KR20230060743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743A
KR20230060743A KR1020210145269A KR20210145269A KR20230060743A KR 20230060743 A KR20230060743 A KR 20230060743A KR 1020210145269 A KR1020210145269 A KR 1020210145269A KR 20210145269 A KR20210145269 A KR 20210145269A KR 20230060743 A KR20230060743 A KR 20230060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transceiver
output signal
external information
deplo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학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743A/en
Publication of KR2023006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7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4Communication circuits for data transmission
    • B60R2021/01102Transmission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86Electronic control units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는, 차량의 외부에 대한 제1 외부정보를 수신하는 제1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상기 차량의 충돌 예상에 대한 제2 외부정보를 수신하는 제2 캔 트랜시버, 상기 제1 캔 트랜시버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외부정보 및 상기 제2 외부정보와 기 설정된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Micom), 및 상기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의 제2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는, 상기 제2 외부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드웨어 안전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n airba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that receives first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exterior of a vehicle, and receives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bout a collision prediction of the vehicle. A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whether an airbag needs to be deployed using a second can transceiver,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an transceivers, and a preset airbag deployment decision logic ( Micom), and an airbag control unit controlling an airbag of the vehicle based on a first output signal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icom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wherein the second can transceiver comprises: Whether or not the second output signal is output may be determined using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preset hardware safety logic.

Description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Airbag control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능동 에어백을 위한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를 이용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ba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for an active airbag.

최근 캠핑 등의 취미를 즐기는 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차량을 이용한 이동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사고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다.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demand for enjoying hobbies such as camping, movement using vehicles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risk of vehicle accidents is also increasing.

교통사고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차량의 에어백이 전개되어 대부분 큰 사고를 방지하지만, 에어백의 오전개로 인한 피해로 사망 사고 등의 더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서 에어백을 제어하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In the event of an accident, such as a traffic accident, the vehicle's airbag deploys to prevent most major accidents. need this

이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is purpos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ut the existing problems have not been solved.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는, 사고가 실제 발생하기 전에 라이다(LIDAR), 레이다(RADAR) 또는 카메라(CAMERA)를 통하여 충돌을 판정하기 위해, CAN 통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개를 판정할 수 있으며, 2개의 CAN 메시지를 받아서 마이컴 및 자체 판단이 가능한 CAN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전개를 판단할 수 있다. CAN 메시지를 통하여 전개를 수행하는 ASIC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An airba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deployment using CAN communication data in order to determine a collision through LIDAR, RADAR, or CAMERA before an accident actually occurs. It can receive two CAN messages and determine deployment using a microcomputer and a CAN transceiver capable of self-determination. A signal can be delivered to the ASIC performing deployment through a CAN message.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는, 차량의 외부에 대한 제1 외부정보를 수신하는 제1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상기 차량의 충돌 예상에 대한 제2 외부정보를 수신하는 제2 캔 트랜시버; 상기 제1 캔 트랜시버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외부정보 및 상기 제2 외부정보와 기 설정된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Micom); 및 상기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의 제2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는, 상기 제2 외부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드웨어 안전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n airba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CAN transceiver) for receiving first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exterior of a vehicle; a second can transceiver receiving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predicted collision of the vehicle; a micom that determines whether an airbag needs to be deployed using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an transceivers and a preset airbag deployment decision logic; and an airbag control unit controlling an airbag of the vehicle based on a first output signal based on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icom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wherein the second can transceiver comprises the second external can transceiv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using information and preset hardware safety logic.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는, 상기 제2 외부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can transceiver may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airbag control unit for a preset period of time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collision-related specific data.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대한 제1 전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대한 제2 전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전개 여부 및 상기 제2 전개 여부 모두 에어백의 전개 필요로 결정된 경우,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icom determines whether to first deploy the airbag using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o deploy the airbag secondly based on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first deployment and the second deployment need to deploy the airbag, the first out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bag control uni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할 수 있다.The airba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ransmits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the vehicle when the second out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d the first out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icom. can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백 제어 장치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점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The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switch, and the safety switch may control an ignition current based on the first output signal.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안전 스위치가 켜진(On)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할 수 있다.The airba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transmit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the vehicle when the safety switch is turned on.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은, 상기 안전 스위치가 턴온(Turn-on)되어 상기 점화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부터 전개 전류가 공급되면, 전개될 수 있다.The airbag install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eployed when the safety switch is turned on and the ignition current is supplied and the deployment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airbag control unit.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안전 스위치가 꺼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The airba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not transmit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the vehicle when the safety switch is turned off.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방법은, 차량의 외부에 대한 제1 외부정보를 제1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돌 예상에 대한 제2 외부정보를 제2 캔 트랜시버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캔 트랜시버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외부정보 및 상기 제2 외부정보와 기 설정된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를 마이컴(Micom)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의 제2 출력 신호를 기초로 에어백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캔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제2 외부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드웨어 안전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airba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receiving first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exterior of a vehicle by a first 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receiving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predicted collision of the vehicle by a second CAN transceiver; Determining, by a Micom, whether an airbag needs to be deployed using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an transceiver and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d a preset airbag deployment decision logic; ; and controlling an airbag of the vehicle by an airbag control unit based on a first output signal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icom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wherein the second can transcei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using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a preset hardware safety logic.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외부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some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s collision-related specific data, the second outpu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irbag control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outputting as .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백 제어부가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할 수 있다.Controlling the airbag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when the airbag control unit receives the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d the first output signal from the micom, to the vehicle A deployed airbag can deliver deployment current.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제2 캔 트랜시버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어백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second can transceiver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of an airbag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n airba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implemented.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substitu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contextual meanings of related technolog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lso,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A, B, and C are combined.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 is not limited to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combined with,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the case of being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above (above) or below (below)” of each component, “upper (above)” or “lower (below)” is not only a case wher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one A case in which another component above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s also included.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제1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110), 제2 캔 트랜시버(120), 마이컴(Micom)(130), 에어백 제어부(140), 안전 스위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제어 장치 또는 에어백 제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는, 메모리, 데이터송수신기, 프로세서, 전자회로, 전기회로, 논리회로, 통신회로, 반도체 등의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1 , the airbag control device includes a first 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110, a second CAN transceiver 120, a Micom 130, an airbag controller 140, A safety switch 150 may be included. The airbag control device or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a portion of components such as a memory, a data transceiver, a processor, an electronic circuit, an electric circuit, a logic circuit, a communication circuit, and a semiconductor. does not

제1 캔 트랜시버(110)는, 차량의 외부에 대한 제1 외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can transceiver 110 may receiv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exterior of the vehicle.

제2 캔 트랜시버(120)는, 차량의 충돌 예상에 대한 제2 외부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can transceiver 120 may receiv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bout vehicle collision prediction.

제2 캔 트랜시버(120)는, 제2 외부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드웨어 안전 로직을 이용하여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second can transceiver 120 may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using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preset hardware safety logic.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캔 트랜시버(120)는, 제2 외부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출력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can transceiver 120 may output a second output signal to the airbag control unit 140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t least some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collision-related specific data. there is.

예를 들어, 제2 외부정보 중 충돌 예상 시간이 임계치(threshold)보다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출력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pected collision time among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s less than a threshold, the second output signal may be output to the airbag control unit 140 for a preset time.

마이컴(130)은, 제1 캔 트랜시버(110) 및 제2 캔 트랜시버(120)로부터 전송된 제1 외부정보 및 제2 외부정보와 기 설정된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microcomputer 130 determines whether an airbag needs to be deployed by using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an transceiver 110 and the second can transceiver 120 and a preset airbag deployment decision logic. can do.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이컴(130)은, 제1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에 대한 제1 전개 여부를 결정하고, 제2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에 대한 제2 전개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전개 여부 및 제2 전개 여부 모두 에어백의 전개 필요로 결정된 경우, 에어백 제어부(140)로 제1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icrocomputer 130 determines whether to first deploy the airbag using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o deploy the airbag secondly based on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first deployment and the second deployment need to deploy the airbag, a first out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bag control unit 140 .

에어백 제어부(140)는, 마이컴(13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캔 트랜시버(120)의 제2 출력 신호를 기초로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할 수 있다.The airbag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airba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first output sig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icrocomputer 130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120 .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부(140)는, 제2 캔 트랜시버(120)로부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마이컴(130)으로부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unit 140 deploys an airbag mounted on a vehicle when receiving a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can transceiver 120 and a first output signal from the micom 130. current can be transmitt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전 스위치(150)는 제1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점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afety switch 150 may control the ignition current based on the first output signal.

안전 스위치(150)는 제1 출력 신호가 수신될 경우, 꺼진(Off) 상태에서 켜진(On) 상태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안전 스위치(150)는 차량의 탑승자 또는 관리자 등에 의해 On/Off 상태가 변경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output signal is received, the state of the safety switch 150 may change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The on/off state of the safety switch 150 may be changed by a vehicle occupant or a manag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부(140)는, 안전 스위치(150)가 켜진(On) 상태인 경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unit 140 may transmit a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a vehicle when the safety switch 150 is turned 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은, 안전 스위치(150)가 턴온(Turn-on)되어 점화 전류가 공급되고, 에어백 제어부(140)로부터 전개 전류가 공급되면, 전개될 수 있다.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은, 인플레이터(inflater)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 airbag mounted in a vehicle may be deployed when the safety switch 150 is turned on and ignition current is supplied and deployment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airbag control unit 140 . An airbag mounted on a vehicle may include an inflator.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부(140)는, 안전 스위치(150)가 꺼진(Off) 상태인 경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unit 140 may not transmit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a vehicle when the safety switch 150 is turned off.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외장 에어백 오전개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기능 안전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신규 개발 필요 부품 1종 외 시스템 구성 대부분 재사용 가능하여 원가 변동폭 및 개발 변경의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device can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functional safety required in relation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ternal airbag, and most of the system configuration except for one type of newly developed parts is reusable, so the range of cost fluctuation and development change range can be minimized.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차량 충돌이 발생하기 전에 충격을 흡수하거나 외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에 대한 시스템에서 기능의 안전으로 요구하는 수준(예를 들어 ASIL D: 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D)에서의 에어백 오전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CAN 트랜시버 및 시스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irbag control device is designed to absorb shock before a vehicle collision occurs or to protect an outside passenger, at a level required for functional safety in an airbag system (for example, ASIL D: Automotive Safety Integrity It can include a new CAN transceiver and system configuration for airbag false opening prevention in Level D).

제1 캔(CAN) 트랜시버(21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하여 외부 제어기 또는 센서인 라이다(LIDAR), 카메라 등을 통한 충돌 정보 등의 정보인 제1 외부정보를 마이컴(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AN transceiver 210 transmits first external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such as collision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controller or sensor LIDAR, camera, etc., through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to the microcomputer 230. can be sent to

이때, 제1 외부정보는 레이더(Radar)와 카메라(Camera)의 원시 데이터(Raw Data)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may include raw data of a radar and a camera.

제2 캔 트랜시버(220)는 CAN을 통하여 제2 외부정보를 마이컴(23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CAN transceiver 220 may transmit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o the microcomputer 230 through CAN.

이때, 제2 외부정보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제어기의 센서 퓨전(Sensor Fusion)의 결과로서 상대 속도, 오버랩(overlap), 충돌 예상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relative speed, overlap, and predicted collision time as a result of sensor fusion of an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controller.

마이컴(230)은 외부 제어기 등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외부정보 또는 제2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판정하고, 에어백 제어부(140)와 안전 스위치(150)로 제1 출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에어백 제어부(140)는 외부의 안전(Safing)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백 제어부(14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출력 신호는 전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computer 230 determines whether the airbag deploys using first external information or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an external controller and the like, and outputs a first signal to the airbag control unit 140 and the safety switch 150. signal can be output. In this case, the airbag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n external safety switch, the airbag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the first output signal may include a deployment command. can

마이컴(230)은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23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231)은 제2 외부정보의 상대 속도, 오버랩 및 충돌 예상 시간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여부 및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마이컴(230)은 제1 외부정보의 카메라와 레이더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가능성 여부를 별도로 판정하여 두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1 전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The microcomputer 230 may include an airbag deployment determination logic 231 . The airbag deployment determination logic 231 may determine whether and when to deploy the airbag using the relative speed, overlap, and collision expected time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230 may separately determine whether the airbag can be deployed by using information about the camera and radar as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first deployment command only when the two conditions are satisfied.

안전 스위치(250)는 점화 전류의 온(ON)/오프(OFF) 제어를 수행하며, 에어백 제어부(240)인 ASIC의 단일 고장으로 인한 에어백 오전개를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백 전개 에너지의 전달 여부를 이중화하여 마이컴(230)에서 전개가 최종 결정된 경우에만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The safety switch 250 performs on/off control of the ignition current, and redundantly determines whether the airbag deployment energy is delivered to prevent the airbag from opening in the morning due to a single failure of the ASIC, which is the airbag control unit 240. Thus, the airbag can be deployed only when the microcomputer 230 finally decides to deploy the airbag.

에어백 제어부(240)는 ASI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컴(230)의 제1 출력 신호로서 전개 명령과, 제2 캔 트랜시버(220)의 제2 출력 신호로서 아밍(Arming) 출력이 만족하는 경우에 에어백 전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에어백 제어부(240)는 안전 스위치(250)와 동시에 켜진(ON) 상태에서만 에어백의 실제 점화가 가능하다.The airbag control unit 240 may include an ASIC, and when the deployment command as the first output signal of the microcomputer 230 and the arming output as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220 are satisfied, Airbag deployment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airbag control unit 240 can actually ignite the airbag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safety switch 250 and the safety switch 250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제2 캔 트랜시버의 구성에 대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second can transceiver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2 캔 트랜시버(320)는 HS-CAN(322)(CAN FD)를 이용하여 CAN 트랜시버 기능으로서 CAN H/L(High/Low) 신호를 RXD/TXD로 변경하여 마이컴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CAN transceiver 320 uses the HS-CAN 322 (CAN FD) as a CAN transceiver function to convert CAN H/L (High/Low) signals to RXD/TXD and transmit them to the microcomputer.

제2 캔 트랜시버(320)는 외부에서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으로 설정할 수 있는 하드웨어 안전 로직(HW Safing Logic)(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캔 트랜시버(320)는 하드웨어 안전 로직(321)을 이용하여 특정 캔 아이디(CAN ID)와 캔 메시지(CAN MSG)를 설정하여 외부로부터 특정 CAN ID로 에어백 전개 요청이 특정 CAN MSG로 송부되는 경우, 설정된 시간(dwell time)만큼 아밍 출력(Arming output)을 출력한다. 하드웨어 안전 로직(321)은 데이터가 들어올 때마다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설정된 시간(dwell time)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The second CAN transceiver 320 may include hardware safety logic (HW safing logic) 321 that can be externally configured through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communication. The second can transceiver 320 uses the hardware safety logic 321 to set a specific can ID (CAN ID) and a can message (CAN MSG) so that an airbag deployment request with a specific CAN ID from the outside is sent to the specific CAN MSG. In this case, an arming output is output as much as the set time (dwell time). The hardware safety logic 321 may restart the set time (dwell time) if a condition is satisfied whenever data is received.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을 알 수 있다. 외부 제어기 등에서 충돌 관련 정보 등에 대한 제1 외부정보, 제2 외부정보가 두 개의 CAN 채널로 각각 제1 캔 트랜시버(410), 제2 캔 트랜시버(420)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고, 각각 다른 CAN ID와 MSG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onfiguration of the airbag control device can be seen. In an external controller,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bout collision-related information, etc. may be transmitted through two CAN channels using the first CAN transceiver 410 and the second CAN transceiver 420, respectively. It can be composed of ID and MSG.

마이컴(430)은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431)을 이용하여 제1 외부정보, 제2 외부정보 모두를 기초로 전개를 판정하며, 안전 스위치(450)와 에어백 제어부(440)로 제1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에어백 제어부(440)는 ASIC로 구성되거나, ASI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신호는 전개 신호이거나, 또는 전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microcomputer 430 determines deployment based on both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using the airbag deployment determination logic 431, and sends a first output signal to the safety switch 450 and the airbag control unit 440. can transmit The airbag controller 440 may be composed of an ASIC or may include an ASIC. The first output signal may be or include an evolution signal.

제2 캔 트랜시버(420)는 하드웨어 안전 로직(421)을 이용하여 제2 외부정보의 데이터를 별도 판정하여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가 송부된 경우(예를 들어, 충돌 예상 시간 < 임계치(threshold) 등)에만 제2 출력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4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출력 신호는 아밍 출력(Arming output)이거나, 또는 아밍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AN transceiver 420 separately determines the data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using the hardware safety logic 421, and when specific data related to collision is transmitted (eg, collision expected time < threshold, etc.) The second out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bag control unit 440 only at . The second output signal may be an arming output or may include an arming output.

에어백 제어부(440)는 마이컴(430)으로부터 제1 출력 신호로서 전개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제2 출력 신호로서 아밍 출력이 유효한 경우에만 전개 전류를 에어백(401)으로 송출할 수 있다.Even if the airbag controller 440 receives a deployment signal as the first output signal from the micom 430, it can transmit deployment current to the airbag 401 only when the arming output is effective as the second output signal.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오전개 방지를 위해 기능 안전 관련 주요 요구 사항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현하는 경우에, 충돌과 관련된 제1 외부 정보 또는 제2 외부 정보, 제1 캔 트랜시버(410), 제2 캔 트랜시버(420), 마이컴(430), 안전 스위치(450), 에어백 제어부(440) 모두 단일 고장으로는 오전개를 발생시킬 수 없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as described above as a functional safety-related major requirement to prevent an airbag from opening incorrectly, the first or second external information related to a collision, the first can transceiver 410, the first can transceiver 410, The two-can transceiver 420, the micom 430, the safety switch 450, and the airbag control unit 440 all can secure a structure in which a morning shutdown cannot occur with a single failure.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2개의 외부정보 기반으로 점화 신호로서 전개 전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안전 회로를 추가하여 ASIL D 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output a deployment current as an ignition signal based on two external information, and secure ASIL D level stability by adding a safety circuit.

에어백 제어 장치는 충돌 정보와 관련된 제1 외부정보 및 제2 외부정보에 대하여 2개 신호 채널에서 TRUE여야 전개하도록 할 수 있다.The airbag control apparatus may deploy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llision information only when two signal channels are TRUE.

2 개의 각 채널은 각각 안전(safing)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제1 외부정보 > 제1 캔 트랜시버(410) > 마이컴(430)(에어백 전개 판단, 제1 외부정보, 제2 외부정보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 전개 신호 발생) > 안전 스위치 / 에어백의 점화 신호(제1 출력 신호)의 순서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two channels may have a safety configuration. First, first external information > first can transceiver 410 > micom 430 (determination of airbag deployment, generation of a deployment signal when both conditions of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re satisfied) > safety switch / ignition of airbag The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the order of signals (first output signal).

다음으로, 제2 외부정보 > 제2 캔 트랜시버(420) > 제2 출력 신호(아밍 출력)의 순서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안전 스위치(점화 전류), 점화 신호(제1 출력 신호), 아밍 출력(제2 출력 신호)이 모두 TRUE여야 전개 전류가 송출되어 에어백(401)의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다.Next, configuration may be made in the order of second external information > second can transceiver 420 > second output signal (arming output). When the safety switch (ignition current), ignition signal (first output signal), and arming output (second output signal) are all TRUE, the deployment current is sent so that the airbag 401 can be deploy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캔 트랜시버(420)는, 수신된 제2 외부정보를 CAN 신호로서 수신하고 RXD/TXD 신호로 변경하여 마이컴(430)으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CAN transceiver 420 may receive the received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s a CAN signal, convert it into an RXD/TXD signal, and transmit the received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o the microcomputer 430 .

제2 캔 트랜시버(420)는, 제2 외부정보를 CAN 신호로서 수신하고 하드웨어 안전 로직(HW Safing Logic)(421)으로 입력된 CAN 신호가 설정된 CAN ID 및 MSG를 갖는 경우에는(제2 외부정보가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인지 확인되면), 아밍 출력(Arming output)을 출력할 수 있다. 하드웨어 안전 로직(421)에 입력된 CAN 신호는 SPI 통신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can transceiver 420 receives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s a CAN signal and the CAN signal input to the hardware safety logic 421 has a set CAN ID and MSG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f it is confirmed that is specific data related to collision), an arming output may be output. The CAN signal input to the hardware safety logic 421 may be configurable through SPI communication.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제1 캔 트랜시버(510), 제2 캔 트랜시버(520), 마이컴(530), 에어백 제어부(540), 안전 스위치(5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first can transceiver 510, a second can transceiver 520, a micom 530, an airbag controller 540, and a safety switch 550.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에어백 점화 신호 안전을 위해, 제2 캔 트랜시버(520)의 하드웨어 안전 로직(521)을 이용하여, 캔 트랜시버 단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하드웨어적으로 안전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apparatus may use the hardware safety logic 521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520 to secure the signal input from the can transceiver stage in hardwar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airbag ignition signal. .

에어백 제어 장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531), 안전 스위치(550), 하드웨어 안전 로직(521) 등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 전 신호 오동작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외장 에어백 등의 에어백(501)의 오전개를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능/수동 통합 제어 요소 기술로 향후 외장 에어백 제어 기술 양산 시 적용될 수 있다.Unlike conventional methods, the airbag control device can safely prevent signal malfunctions before an accident by using an airbag deployment determination logic 531, a safety switch 550, a hardware safety logic 521, and the like. Also, the airbag control device can prevent the airbag 501 such as an external airbag from being opened in the morning. In particular, as an integrated active/passive control element technology, it can be applied to mass production of external airbag control technology in the future.

에어백(501)이 점화 전류와 전개 전류를 모두 입력 받아야 점화되어 전개되는 경우, 불필요한 에어백의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irbag 501 is ignited and deployed by receiving both an ignition current and a deployment current, unnecessary deployment of the airbag can be prevented.

또한, 에어백(501)이 점화 전류 또는 전개 전류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아도 점화되어 전개되는 경우, 안전 스위치(550)에 다른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차량 배터리의 방전/고장 등으로 갑자기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에어백(501)이 전개되어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bag 501 is ignited and deployed even if any of the ignition current or deployment current is input, when o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safety switch 550, or when the vehicle battery is not suddenly operated due to discharge/failure, etc. Even when the airbag 501 is deployed, it can prevent non-operation.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ba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제1 캔 트랜시버(610), 제2 캔 트랜시버(620), 마이컴(630), 에어백 제어부(640), 안전 스위치(650),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airbag control device includes a first can transceiver 610, a second can transceiver 620, a micom 630, an airbag control unit 640, a safety switch 650, and an airbag deployment final determination unit ( 660) may be included.

제2 캔 트랜시버(620)는 하드웨어 안전 로직(6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컴(630)은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6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AN transceiver 620 may include a hardware safety logic 621 , and the micom 630 may include an airbag deployment decision logic 631 .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는,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 또는 차량 내에서 탑승자의 움직임 또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전자 기기 등과 INICnet(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networking) 등과 같은 고속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는 CAN 또는 다른 초고속 무선/유선 통신에 연결될 수도 있다.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cision unit 660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an airbag control device, or a sensor or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movement or weight of an occupant in a vehicle, and the like, such as INICnet (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networking). can be connected to a network of 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cision unit 660 may be connected to CAN or other high-speed wireless/wired communication.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는 충돌 확률이 미리 설정된 제1 확률보다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안전 스위치(650)로부터 점화 전류가 전달되고 에어백 제어부(640)로부터 전개 전류가 전달될 경우에, 에어백(601)으로 전개 신호를 송출하거나 또는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termination unit 660 determines that the probability of collis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first probability, the safety switch 650 transmits the ignition current and the airbag controller 640 transmits the airbag deployment current. In 601, a deployment signal may be sent or transmitted.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는 충돌 확률이 미리 설정된 제2 확률보다 이상이라고 판단될 경우, 안전 스위치(650)로부터 점화 전류가 전달되거나 또는 에어백 제어부(640)로부터 전개 전류가 전달될 경우, 에어백(601)으로 전개 신호를 송출하거나 또는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termination unit 660 determines that the collision probability is higher than the preset second probability, when an ignition current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switch 650 or an airbag deployment current is transmitted from the airbag control unit 640, 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termination unit 660 In 601, a deployment signal may be sent or transmitted.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는 에어백(601)에 근접한 탑승자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안전 스위치(650)로부터 점화 전류 또는 점화 신호가 전달되거나, 또는 에어백 제어부(640)로부터 전개 전류 또는 전개 신호가 전달될 경우에도, 에어백(601)으로 전개 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termination unit 660 determines that there is no occupant near the airbag 601, an ignition current or igni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switch 650 or a deployment current or deploym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irbag control unit 640. Even when transmitted, a deployment signal may not be sent to the airbag 601.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는 에어백(601)에 근접한 탑승자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안전 스위치(650)로부터 점화 전류 또는 점화 신호가 전달되거나, 또는 에어백 제어부(640)로부터 전개 전류 또는 전개 신호가 전달될 경우에, 에어백(601)으로 전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When 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termination unit 66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occupant close to the airbag 601, an ignition current or igni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afety switch 650 or a deployment current or deploym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airbag control unit 640. When transmitted, a deployment signal may be sent to the airbag 601.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는 에어백(601)에 근접한 탑승자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탑승자 에어백 전개 기준 무게보다 이하일 경우, 안전 스위치(650)로부터 점화 전류 또는 점화 신호가 전달되거나, 또는 에어백 제어부(640)로부터 전개 전류 또는 전개 신호가 전달될 경우에도, 에어백(601)으로 전개 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termination unit 660 transmits an ignition current or an ignition signal from the safety switch 650 when the weight of an occupant close to the airbag 601 is less than a preset occupant airbag deployment standard weight, or an airbag control unit 640 ), the deployment signal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airbag 601 even when the deployment current or deployment signal is transmitted.

에어백 전개 최종결정부(660)는 에어백(601)에 근접한 탑승자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탑승자 에어백 전개 기준 무게를 초과할 경우, 안전 스위치(650)로부터 점화 전류 또는 점화 신호가 전달되거나, 또는 에어백 제어부(640)로부터 전개 전류 또는 전개 신호가 전달될 경우에, 에어백(601)으로 전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airbag deployment final determination unit 660 transmits an ignition current or an ignition signal from the safety switch 650 when the weight of an occupant close to the airbag 601 exceeds a preset occupant airbag deployment standard weight, or an airbag controller ( When a deployment current or deployment signal is transmitted from 640 , a deploymen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bag 601 .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에어백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n airbag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n airba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백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상술한 에어백 제어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에어백 제어 장치의 구성 요소는, 제1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제2 캔 트랜시버, 마이컴(Micom), 에어백 제어부, 안전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each step of the airbag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airbag control device described above. Components of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first CAN transceiver, a second CAN transceiver, a Micom, an airbag control unit, and a safety switch.

단계(701)에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차량의 외부에 대한 제1 외부정보를 제1 캔 트랜시버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In step 701,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receiv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ex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a first can transceiver.

단계(702)에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차량의 충돌 예상에 대한 제2 외부정보를 제2 캔 트랜시버에 의해 수신할 수 있다.In operation 702 ,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receiv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bout a vehicle collision prediction through a second CAN transceiver.

단계(703)에서, 에어백 제어 장치는, 제1 캔 트랜시버 및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전송된 제1 외부정보 및 제2 외부정보와 기 설정된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를 마이컴(Micom)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In step 703, the airbag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an airbag needs to be deploy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an transceivers and a preset airbag deployment decision logic ( Micom).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마이컴에 의해, 제1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에 대한 제1 전개 여부를 결정하고, 제2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에 대한 제2 전개 여부를 결정하고, 제1 전개 여부 및 제2 전개 여부 모두 에어백의 전개 필요로 결정된 경우, 에어백 제어부로 제1 출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apparatus determines, by a microcomputer, whether a first deployment of an airbag is performed using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a second deployment of an airbag is performed using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first deployment and the second deployment need to deploy the airbag, a first out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irbag control unit.

단계(704)에서, 에어백 제어 장치는,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1 출력 신호 및 제2 캔 트랜시버의 제2 출력 신호를 기초로 에어백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할 수 있다.In step 704, the airbag control apparatus may control the airbag of the vehicle by the airbag control unit based on the first output sig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icrocomputer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에어백 제어 장치는, 에어백 제어부가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마이컴으로부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할 수 있다.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transmit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a vehicle when the airbag control unit receives the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d the first output signal from the micom.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에어백 제어부가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마이컴으로부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apparatus may transmit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a vehicle when the airbag control unit receives the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d the first output signal from the micom. there is.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제2 캔 트랜시버에 의해, 제2 외부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드웨어 안전 로직을 이용하여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apparatus may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by using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preset hardware safety logic by the second CAN transceiver.

에어백 제어 장치의 제2 캔 트랜시버는, 제2 외부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출력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cond can transceiver of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output a second output signal to the airbag control unit for a preset period of time when at least part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collision-related specific data.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제2 캔 트랜시버에 의해, 제2 외부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드웨어 안전 로직을 이용하여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apparatus may determine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by using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preset hardware safety logic by the second CAN transceiver.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제2 캔 트랜시버에 의해, 제2 외부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출력 신호를 에어백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apparatus may output a second output signal to the airbag control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t least some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collision-related specific data by the second can transceiver. there is.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안전 스위치에 의해, 제1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점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control the ignition current based on the first output signal by the safety switch.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안전 스위치가 켜진(On) 상태인 경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에어백 제어부에 의해 송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a vehicle by an airbag control unit when a safety switch is turned on.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은, 안전 스위치가 턴온(Turn-on)되어 점화 전류가 공급되고, 에어백 제어부로부터 전개 전류가 공급되면, 전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 airbag mounted in a vehicle may be deployed when a safety switch is turned on and ignition current is supplied and deployment current is supplied from an airbag control unit.

일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제어 장치는, 안전 스위치가 꺼진(Off) 상태인 경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에어백 제어부에 의해 송출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bag control device may not send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a vehicle by an airbag control unit when a safety switch is turned off.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제어 장치는, 능동 에어백을 위한 에어백 제어 장치로서, 사고가 실제 발생하기 전에 라이다(LIDAR), 라이다(RADAR) 또는 카메라(CAMERA)를 통하여 충돌을 판정하기 위해, CAN 통신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개를 판정할 수 있으며, 2개의 CAN 메시지를 받아서 마이컴 및 자체 판단이 가능한 CAN 트랜시버를 이용하여 전개를 판단할 수 있다. CAN 메시지를 통하여 전개를 수행하는 ASIC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An airba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 airbag control apparatus for an active airbag, and to determine a collision before an accident actually occurs through a LIDAR, a RADAR, or a camera, a CAN Deployment can be determined using communication data, and deployment can be determined using a microcomputer and a CAN transceiver capable of self-determination by receiving two CAN messages. A signal can be delivered to the ASIC performing deployment through a CAN message.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bu'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Claims (11)

차량의 외부에 대한 제1 외부정보를 수신하는 제1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상기 차량의 충돌 예상에 대한 제2 외부정보를 수신하는 제2 캔 트랜시버;
상기 제1 캔 트랜시버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외부정보 및 상기 제2 외부정보와 기 설정된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Micom); 및
상기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의 제2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는,
상기 제2 외부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드웨어 안전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
A first can transceiver (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receiving first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outside of the vehicle;
a second can transceiver receiving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predicted collision of the vehicle;
a micom that determines whether an airbag needs to be deployed using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an transceivers and a preset airbag deployment decision logic; and
The airbag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bag of the vehicle based on the first output sig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icom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Including,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 airbag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using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a preset hardware safety log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는,
상기 제2 외부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 출력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 airbag control device that outputs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airbag control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when at least some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collision-related specific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대한 제1 전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외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대한 제2 전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전개 여부 및 상기 제2 전개 여부 모두 에어백의 전개 필요로 결정된 경우,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icrocomputer,
determining whether to first deploy the airbag using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deploy a second airbag with respect to deployment of the airbag using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first output signal to the airbag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first deployment and the second deployment need to deploy the airba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irbag control unit,
An airbag control device that receives the second output signal from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d transmits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the vehicle when receiving the first output signal from the mico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제어 장치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제1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점화 전류를 제어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airbag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safety switch,
The safety switch controls an ignition current based on the first output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안전 스위치가 켜진(On)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airbag control unit,
An airbag control device that transmits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the vehicle when the safety switch is turned 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은,
상기 안전 스위치가 턴온(Turn-on)되어 상기 점화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부터 전개 전류가 공급되면, 전개되는 에어백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airbag installed in the vehicle,
An airbag control device that deploys when the safety switch is turned on, the ignition current is supplied, and a deployment current is supplied from the airbag control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제어부는,
상기 안전 스위치가 꺼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하지 않는 에어백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airbag control unit,
An airbag control device that does not transmit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the vehicle when the safety switch is in an off state.
차량의 외부에 대한 제1 외부정보를 제1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충돌 예상에 대한 제2 외부정보를 제2 캔 트랜시버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캔 트랜시버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외부정보 및 상기 제2 외부정보와 기 설정된 에어백 전개 판정 로직을 이용하여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를 마이컴(Micom)에 의해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컴의 판단 결과에 기초한 제1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캔 트랜시버의 제2 출력 신호를 기초로 에어백 제어부에 의해 상기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캔 트랜시버에 의해, 상기 제2 외부 정보 및 기 설정된 하드웨어 안전 로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제어 방법.
Receiving first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outside of the vehicle by a first CAN 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 transceiver);
receiving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bout the predicted collision of the vehicle by a second CAN transceiver;
Determining, by a Micom, whether an airbag needs to be deployed using the first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rst can transceiver and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d a preset airbag deployment decision logic; ; and
Controlling the airbag of the vehicle by an airbag control unit based on a first output sig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icom and a second output signal of the second CAN transceiver
Including,
Determining, by the second CAN transceiver, whether to output the second output signal using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and preset hardware safety logic;
Airba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신호의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외부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충돌 관련 특정 데이터로 판단될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상기 에어백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output signal is output,
outputting the second output signal to the airbag controller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t least some of the second external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collision-related specific data;
Airba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에어백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백 제어부가 상기 제2 캔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으로 전개 전류를 송출하는 에어백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step of controlling the airbag of the vehicle,
The airbag control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airbag control unit transmits deployment current to an airbag mounted in the vehicle when the second out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can transceiver and the first out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icom.
KR1020210145269A 2021-10-28 2021-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KR202300607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69A KR20230060743A (en) 2021-10-28 2021-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269A KR20230060743A (en) 2021-10-28 2021-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743A true KR20230060743A (en) 2023-05-08

Family

ID=8638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269A KR20230060743A (en) 2021-10-28 2021-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7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4816A (en) Address communication method for a distributed architecture 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system
US5899949A (en) Deployment control method for distributed architecture 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system
US8922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ing keys to vehicle to establish primary and secondary drivers
EP24624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ehicle information to an occupant communication device
US648014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untermeasure devices
JP4650690B2 (en) Bus communication system
JP2007215197A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between microprocessor and interface circuit
CN102673505B (en) Safety deal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llision
JP2021031051A (en) Automatic operation vehicle and system for the same
EP3790233B1 (en) In-vehicle network system
KR202300607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bag
US6732034B2 (en) Method for classifying a rollover event of a vehicle
JP3714111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2006304069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U2006202726C1 (en) In-vehicle wireless device
CN111301283B (en) Vehicle lamp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vehicle
WO2014132314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US20060043724A1 (en) Motorized seat belt system
JP2006056441A (en) Airbag control device
KR20200003479A (en) Apparatus for operating air-bag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155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bag system crash determination signal transmission
KR100404087B1 (en) First-aid application apparatus for car and method thereof
US20220169201A1 (en) Vehicle cotrol system with wirelessly-coupled underhood components
KR102250294B1 (en) Method for protecting malfunction of active hood system
JP2006205776A (en) Starting control device of occupant crash protection device and start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