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186A - 간편 광고 이미지 제작 및 발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편 광고 이미지 제작 및 발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186A
KR20230060186A KR1020210144613A KR20210144613A KR20230060186A KR 20230060186 A KR20230060186 A KR 20230060186A KR 1020210144613 A KR1020210144613 A KR 1020210144613A KR 20210144613 A KR20210144613 A KR 20210144613A KR 20230060186 A KR20230060186 A KR 20230060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mobile terminal
content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영인
Original Assignee
여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영인 filed Critical 여영인
Priority to KR1020210144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186A/ko
Publication of KR20230060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를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개인이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배포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이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여 광고에 활용하고, 또한 일반 사용자는 광고에 대한 리뷰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자 포인트를 부여받아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편 광고 이미지 제작 및 발송 시스템{Simple advertising image production and sending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이 손쉽게 광고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On-Line)에서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는 다방면의 산업분야에 걸쳐 오프라인(Off-Line)상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비즈니스 방법들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전자상거래 활성화로인해 이에 따른 광고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으며, 다양한 포맷의 광고가 생산 및 배포되고 있다.특히, 최근에는 UCC(User Created Contents)와 같이 개인이 소지한 전자정보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여 개인적인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광고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는 종래 대비 매우 낮은 제작비만으로 효과적인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예라 할 수있다.그러나, 여전히 온라인 상의 광고방법은 개인이나 자영업자와 같은 광고주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온라인상에 게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특히, 전술한 개인이 제작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광고 콘텐츠로 이용하는 방식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가장 큰이유는, 디지털 콘텐츠 거래와 같이 광고 콘텐츠가 광고전문 업체에 의해 판매 및 제공되는 형태로만 거래되고있으며, 개인이 자신의 업체에 직접 이용하기 위한 광고 제작을 시도하더라도 전문지식이 없는 개인이 정해진형식에 맞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업체를 운영하는 개인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촬영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하나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편집툴을 제공하는 광고 생성모듈; 제작된 하나이상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설정하는 광고 관리모듈; 상기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리뷰정보를 생성 및 온라인 상에 공유하고, 공유된 리뷰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광고 공유모듈; 및 하나이상의 제작된 광고 콘텐츠가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광고 생성모듈은,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작자인 사용자의 프로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제공하는 회원정보 제공부; 광고 생성을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메뉴 제공부;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GUI 방식의 편집툴 상에서 광고제작을 수행하는광고 제작부; 상기 편집 툴을 제공하는 편집 툴 제공부; 및 메인 서버로부터 광고 콘텐츠 제작을 위한 하나이상의 소스를 다운로드하는 스토어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광고 관리모듈은,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배치 및 재생순서를 설정하는 광고 콘텐츠 구성부; 및 상기 광고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복수의 슬롯을 할당하며, 상기 슬롯상에 광고 콘텐츠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추가 삭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광고 공유모듈은, 메인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창제공부; 상기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작성된 리뷰정보를 연동하여 메인서버에 제공하는 리뷰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리뷰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자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으로서,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 및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편집툴 상에서 광고 디자인을 편집하는 단계; 및 편집결과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이후, 광고 생성모듈이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편집툴 상에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 및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는 단계는, 광고 생성모듈이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화면상에 광고에대한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생성모듈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레이아웃 샘플 및 그래픽 효과 아이콘을 입력받아 상기 화면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할당된 슬롯의 개수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생성기능과 광고 관리 기능 및 광고공유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이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여 광고에 활용하고, 또한 일반 사용자는 광고에 대한 리뷰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전자 포인트를 부여받아 광고 효과가극대화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구성하는 모듈들에 대한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제작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편집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리뷰 공유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및 "...모듈(Module)"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있다.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업체를 운영하는 개인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업체내 설치되는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 광고 콘텐츠를 일반인에게 제공할수 있으며, 그 일반인들은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리뷰정보를 공유하여 포인트를 획득하는 형태의 서비스 방법을 개시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나타내는 도면이다.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탑재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동영상을 촬영하고 그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며, 생성된 광고 콘텐츠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 메인 서버(200)에 등록한 후, 업체에 구비된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300) 등을 통해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100)는 메인 서버(200)에 회원등록된 사용자가 자신의 업체에서 셀프(Self)형태의광고로서 이용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와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메인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탑재하고 있고, 메인서버(200)와 연동하여 광고 콘텐츠를 업로드(Upload)하며, 공유된 타 광고 콘텐츠들에 대한 리뷰정보를 작성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팅 장치이다.메인 서버(20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동하여 회원정보를 관리하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해당 업체의 단말기(미도시) 및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광고 콘텐츠를 업체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메인 서버(200)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회원관리, 광고 콘텐츠 등록 및전송기능과 리뷰정보 입력요청을 지연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고사양의 마이크로프로 세서 및 대용량의 데이터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 서버(200)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업체가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기(101)와 로컬(local)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광고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각 업체에 설치되어 메인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설정된 주기에따라 재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제어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DID, KIOSK, LED 전광판 및 보조간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업체를 운영하는 개인이 직접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기초하여 하나이상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메인서버(200)에 등록하여 업체의 광고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광고 콘텐츠의 제작 및 관리를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에 대응하는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모바일 단말기는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성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촬영된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에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편집툴을 제공하는 광고 생성모듈(110),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표시 배열순서를 설정하는 광고 관리모듈(120), 상기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리뷰정보를 생성 및 온라인 상에 공유하고,공유된 리뷰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광고 공유모듈(130) 및, 하나이상의 제작된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는데이터 저장모듈(140)를 포함할 수 있다.광고 생성모듈(110)은 모바일 단말기(100)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고 생성모듈(110)은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내 텍스트 및 이미지 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GUI 방식의 편집툴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편집툴 상에서 아이콘 선택 및텍스트 입력 등을 통해 자신이 의도한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광고 관리모듈(120)은 광고 생성모듈(120)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들을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하는 역할을 한다. 회원권한에 따라 하나의 사용자가 제작할 수 있는 광고 콘텐츠의 개수는 제한적일 수있으며, 사용자는 정해진 권한내에서 복수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기존 제작된 광고 콘텐츠에 새로운광고 콘텐츠들을 추가하거나,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또한, 광고 관리모듈(120)은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300)에서 복수의 광고 콘텐츠가 재생될 때 그 재생주기 및 순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광고 공유모듈(130)은, 사용자가 제작한 광고 콘텐츠를 메인서버(200)상에서 타 사용자들에게 공유하거나 또는,타 사용자가 공유한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그 리뷰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제작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단순히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이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자신이 제작한 광고 콘텐츠를 타 사용자들과 공유함으로써 자신이 만든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공유된 타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들에 대하여 리뷰정보를 작성하여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행위에 대한 이득으로서 전자 포인트를 적립 받음으로써 본 발명의 이용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데이터 저장모듈(140)은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제작된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모듈(14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개인 사용자가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고,자신의 업체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타 사용자들간의 간접적 교류를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평가 받을 수 있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모바일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들에 대한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구성하는 모듈들에 대한 구조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광고 생성모듈(110)은 광고 콘텐츠의 제작자인 사용자의 프로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제공하는 회원정보 제공부(111), 광고생성을 위한 하나이상의 기능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112),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하나에 기초하여 GUI 방식의 편집툴 상에서 광고제작을 수행하는 광고 제작부(113, 114), 상기 편집 툴을 제공하는 편집 툴 제공부(115) 및, 메인 서버(200)로부터 광고 콘텐츠 제작을 위한 하나이상의 소스를 다운로드하는스토어 접속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회원정보 제공부(111)는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가 로그인 과정을 통해 메인서버(200)에 등록된 회원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회원정보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화폐에 갈음하여 이용되는 전자포인트를 포함하며, 이러한 회원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시 제공되는 화면의 상부에 사용자의 전자메일 주소 등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메뉴 제공부(112)는 광고 제작, 편집 및 공유를 위한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탭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후술하는 하위 구성요소들을 실행하게 된다.이미지 광고 제작부(113)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160)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인 이미지에 기초하여 광고 제작 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또한, 동영상 광고 제작부(114)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160)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인 이미지에 기초하여 광고 제작 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동영상 광고 제작부(114)는 광고 콘텐츠의 제작시 재생중지 상태의 초기 프레임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재생에 따라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사용자가특정 프레임에 원하는 광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광고 제작부(113, 114)는 광고 제작 과정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편집 툴상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광고 제작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편집 툴 제공부(115)는 상기 이미지 및 동영상 광고 제작부(113, 114)에 GUI 방식의 편집 툴을 제공하는 역할을한다. 사용자는 편집 툴에 포함된 아이콘 등을 이용하여 텍스트 문구 또는 그래픽 아이콘 등을 삽입하고, 그래픽 효과를 줄 수 있다.스토어 접속부(116)는 편집 툴이 제공하는 기본 디자인 도구뿐만 아니라, 확장된 다양한 형태의 글꼴, 이미지,아이콘 및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확장된 디자인 도구는 메인서버(200)에 저장되며 유료로 판매될 수 있다.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광고 관리모듈(1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발명의 광고 관리모듈(130)은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배치 및 재생순서를 설정하는 광고 콘텐츠 구성부(121) 및,상기 광고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복수의 슬롯(123)을 할당하며, 상기 슬롯(123)상에 광고 콘텐츠를 추가 또는삭제하는 추가 삭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광고 콘텐츠 구성부(121)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복수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음에따라 그 다수의 광고 콘텐츠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이러한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의 회원권한에 따라 그 제작 및 저장 개수가 한정될 수 있으며, 그 범위내에서 사용자는 광고 콘텐츠의 제작 및 저장 등의 콘텐츠 관리를 실행하게 된다.특히, 광고 콘텐츠 구성부(121)는 저장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들의 재생 순서 및 주기 설정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광고 콘텐츠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배치순서를 바꾸어 상기 재생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추가 삭제부(122)는 광고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기본 슬롯(123) 뿐만 아니라, 회원권한에 따라 확장된 슬롯(123)을 추가 제공하거나,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 광고 콘텐츠는 할당된 각 슬롯(123)의 개수만큼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권한변경에 따라 더욱더 많은 슬롯(123)을 할당받아 다수의 광고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광고 공유모듈(130)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발명의 광고 공유모듈(130)은 메인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창제공부(131), 상기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132) 및,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작성된 리뷰정보를 메인서버에 제공하여 연동하는 리뷰 연동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검색창 제공부(131)는 메인서버(200)에 저장된 자신의 광고 콘텐츠를 포함하여 타 사용자들의 공유된 광고 콘텐츠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검색창 제공부(131)가 제공하는 검색창에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검색창 제공부(131)는 메인서버(200)로부터 검색된 광고 콘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리스트 제공부(132)는 메인서버(200)부터 수신된 검색결과에 따른 광고 콘텐츠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광고 콘텐츠 리스트에서 원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광고정보를 확인하고 리뷰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리뷰 연동부(133)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리뷰 정보를 입력받고, 그 리뷰정보를 해당 광고 콘텐츠와 연동하여 메인서버(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원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리뷰 정보를 작성할 수 있으며, 그 리뷰정보는 메인서버(200)에 전송되어 저장되고, 메인서버(200)는 리뷰정보 입력에대한 전자 포인트를 해당 사용자 계정에 부여하게 된다.전술한 리스트 제공부(132) 및 리뷰 연동부(133)에서 이용된 광고 콘텐츠 들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저장모듈(140)에 저장될 수 있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의설명에서 각 단계의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전술한 광고 생성모듈 및 그 구성부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광고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0),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단계(S110),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는 단계(S120), 상기 편집툴 상에서 광고 디자인을 편집하는 단계(S130) 및편집결과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140)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초기화면에서 광고 제작 기능을 선택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상기 초기화면에는 회원정보 제공부에 의한 회원정보창이 포함될 수 있다.다음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단계(S110)는, 광고 생성모듈이 편집툴상에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광고 콘텐츠의 레이아웃을 설정하는 단계이고,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는 단계(S120)는광고 생성모듈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그래픽 효과를 적용하는 단계이다. 이어서,상기 편집툴 상에서 광고 디자인을 편집하는 단계(S130)는 광고 생성 모듈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편집툴이 제공하는 다수의 아이콘을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삽입하는 단계이다.이후, 편집이 완료되기 전까지 상기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광고 생성모듈이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화면상에 광고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그리고, 편집결과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140)는, 사용자의 완료 입력에 따라 광고 생성모듈이 편집결과를 반영하여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이다.여기서, 생성된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할당된 슬롯의 개수에 대응하여 저장되게 된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별GUI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화면 및 창들은 전술한 광고 생성모듈, 광고 관리모듈 및 광고 공유모듈과 그의 구성부에 의해 구현된다.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제작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상기 초기화면의 화면구성을 설명하면, 상측으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로그인된 사용자의 회원정보 창(W110), 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탭(W120) 및 현재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활성화창(W130)으로구성될 수 있다.회원정보 창(W11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아이디 및 전자메일 주소가 기재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사용자에게 지급된 전자 포인트(W111)가 표시될 수있다. 여기서 전자 포인트(W111)는 사용자의 이용실적에 따라 메인서버(도 1의 200)에서 지급하는 것으로, 다수의 광고를 제작하거나 현재 서비스중인 광고에 대하여 리뷰정보를 공유할 때 부여될 수 있고, 추후 서비스 이용시 화폐에 갈음하여 이용될 수 있다.메뉴탭(W120)은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주요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메뉴탭(W120)에 포함된 '광고 만들기' 아이콘(W121), '내 광고' 아이콘(W122) 및 '광고 세상' 아이콘(W12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제작, 광고 편집 및 리뷰 공유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선택된기능은 활성화창(W130)에 표시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광고 만들기' 아이콘(W121)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활성화창(W130)은 현재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는 광고 제작에 대한 하위메뉴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광고 제작기능의 하위메뉴로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이용한 광고 제작기능을 각각 실행하기 위한 '이미지 광고 만들기' 버튼(W131) 및 '동영상 광고 만들기' 버튼(W132), 광고 제작시 편집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광고 편집하기'버튼(W133) 및 미리 만들어진 샘플을 다운로드(download)하여 광고 제작에 이용하기 위한 '디자인 스토어'버튼(W134)이 있다.사용자는 전술한 버튼(W131 ~ W13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광고 제작을 진행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사용자가 도 5a의 '이미지 광고 만들기' 버튼(W131)의 선택에 따라 정지영상을 이용한 광고 제작기능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화면창(W135)에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의 구동에 따라 현재 촬영중인영상이 표시되며, 그 하부로는 편집기능을 선택을 위한 기능창(W140)이 표시되게 된다.기능창(W140)에는 화면 촬영 버튼(W141), 레이아웃 선택버튼(W142) 및 효과 설정버튼(W143)이 배치된다. 화면촬영 버튼(W141)은 현재 화면창(W135)에 표시된 촬영화면(img)을 이미지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고, 레이아웃 선택버튼(W142)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광고의 레이아웃(layout)을 설정하는 기능을 하며, 효과설정버튼(W143)은 광고 콘텐츠의 그래픽 효과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사용자가 화면촬영 버튼(W141)을 선택하면, 촬영화면(img)은 모바일 단말기내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편집툴 상에 업로드(upload) 된다.도 5c를 참조하면, 편집툴상에서 광고 콘텐츠의 레이아웃을 편집하는 화면의 일 예로서, 편집화면(W150)상에서는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문구, 이미지 또는 뱃지 등을 입력하는 입력란(W151)과, 레이아웃 선택버튼(W142)의선택에 따라 복수의 레이아웃 샘플을 포함하는 레이아웃 샘플창(W152)이 활성화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 샘플을 설정하여 광고 콘텐츠의 화면크기, 글자 배치 및 아이콘 배치 등을 설정할 수있다.또한, 도 5d를 참조하면 편집툴상에서 광고 콘텐츠의 그래픽 효과를 편집하는 화면의 일 예로서, 편집화면(W160)상에서 그래픽 효과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효과 설정버튼(W143)을 선택하여 효과 설정창(W161)에포함된 다수의 그래픽 효과를 삽입할 수 있으며, 광고 콘텐츠내 텍스트, 이미지 및 아이콘 등에 대하여 원색,강한색 및 흐린색 등의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다.도 5e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편집툴 상에서 광고 콘텐츠의 디자인을 편집하는 형태를 예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편집화면(W170) 상에서 영역을 설정하여 광고에 필요한 정보를 영역창(W171)을 통해 입력하고, 편집툴이 제공하는 아이콘창(W172)내 다수의 아이콘(stmp)중,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편집화면(W170)의일 영역(W173)상에 배치할 수 있다.도 5f는 전술한 방식에 따라, 편집툴을 이용하여 제작된 광고 콘텐츠의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제작완료된 광고콘텐츠 화면(W180)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상에 텍스트 및 아이콘 등을 삽입하여 제작된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광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광고 편집기능을 설명한다.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편집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초기화면에서 메뉴탭(W120)의 '내 광고' 아이콘(W122)이 선택되면, 단말기내 저장되어 있는 미리제작된 광고 콘텐츠들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화면(W200)을제공할 수 있다.편집화면(W200)의 상부로는 회원정보창(W110)이 표시되며, 이러한 회원정보창(W110)에는 해당 사용자가 제작한광고의 총 개수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메뉴탭(W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활성화창(W210)에는 '내 광고' 아이콘(W122)이 선택됨에 따라, 편집을 위한 광고 콘텐츠 들의 리스트가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그 리스트를 통해편집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편집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집과정은 광고 콘텐츠의제작시 이용된 편집툴 기능 뿐만 아니라, 광고 콘텐츠들의 서비스시 그 표시 배열순서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포함하게 된다.상세하게는, 도 6b를 참조하면 무료 회원의 권한을 갖는 경우 편집화면(W200)에서 광고 편집을 실행하면, 활성창(W210)에는 광고편집을 위한 프로필 및 자신이 제작한 복수의 광고 콘텐츠들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그 아이콘을 클릭하여 광고 콘텐츠 자체의 내용을 편집툴을 호출하여 편집하거나, 타 광고 콘텐츠들과 연계하여 광고의 표시시 그 표시 순서배열을 재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무료 회원의 경우는 한정된 갯수의 슬롯을 제공함으로써 그 개수만큼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또한, 편집화면(W200)에서 사용자는 유료회원의 권한을 갖는 경우, 그 등급에 따라 보다 많은 개수의 광고 콘텐츠를 제작 및 저장할 수도 있으며, 활성창(W210)의 하부로 배치되는 추가창(W220)을 통해 활성창(W210)에 기본으로 제공되는 한정된 슬롯 이외에도, 추가창(W220)의 추가 슬롯상에 제공되는 슬롯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광고콘텐츠를 제작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광고 리뷰공유 기능을 설명한다.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리뷰 공유시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초기화면에서 메뉴탭(W120)의 '광고 세상'아이콘(W123)이 선택되면, 메인 서버(도 1의 200)에 자신이 제작한 광고 콘텐츠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리뷰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편집화면(W300)의 상부로는 검색창(W310)이 표시된다. 상기 검색창(W310) 타 회원등록된 사용자들이 공유한 광고 콘텐츠에 대한 검색기능으로서, 사용자는 메인 서버에(도 1의 200)에 저장된 자신의 광고 콘텐츠 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들의 광고 콘텐츠를 검색하여 광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검색창(W310)의 하부로는 메뉴탭(W120)이 배치되고, 사용자가 메뉴탭(W120)에서 '광고 세상' 아이콘(W123)을 선택하면, 하부의 활성화창(W320)에는 메인서버에 공유된 다수의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가 카테고리 별로 구분되어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그 리스트에서 광고정보를 확인하거나 광고 리뷰를 작성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사용자에 의해 리스트상에서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도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원정보창(W311) 및 광고 콘텐츠 리스트창(W330)이 광고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중 어느 하나의 광고 콘텐츠(W331)을 선택함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세한 광고 정보 및 리뷰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도 7c를 참조하면, 하나의 광고 콘텐츠 선택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부화면에는 선택된 광고 콘텐츠에대한 소개창(W312)이 표시되고, 그 하부의 활성화창(W332)에는 광고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가 표시된다.도면에서는 활성화창(W332)에 광고 콘텐츠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광고 형식, 생성일자 및 용량 등의 광고정보가포함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이후, 도 7d를 참조하면, 소개창(W313)의 하부에 표시된 '리뷰정보' 아이콘(W341)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활성화창(W340)에 포함된 리뷰정보창(W342)의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이에 따라, 도 7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00)의 현재화면은 리뷰 정보 입력화면으로 전환되어 상부에는 리뷰 광고창(W314)이 표시되고, 활성화창(W350)에는 광고 콘텐츠와 리뷰정보에 입력에 대한 결과가 표시되게 된다. 특히, 활성화창(W350)에는 리뷰 정보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로의 전자 포인트 내역창(W351)이 포함될수 있다.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모바일 단말기 101 : 관리자 단말기
200 : 메인서버 300 :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

  1. 탑재된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편집툴을 제공하는 광고 생성모듈;제작된 하나 이상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추가 및 삭제를 설정하는 광고 관리모듈;메인 서버를 통해 상기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리뷰정보를 생성 및 온라인 상에 공유하고, 공유된 리뷰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광고 공유모듈; 및하나 이상의 제작된 광고 콘텐츠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이고,상기 광고 콘텐츠는 상기 메인서버에 등록되어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광고 디스플레이에 제공되고,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리뷰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리뷰정보를 작성한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자 포인트를 부여하고,상기 광고 생성모듈은,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작자인 사용자의 프로필 및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포인트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제공하는 회원정보 제공부;광고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선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부;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텍스트 및 이미지를 삽입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GUI 방식의 편집툴 상에서 텍스트 문구 또는 그래픽 아이콘 등을 삽입하고, 그래픽 효과를 설정하여 광고제작을 수행하되, 사용자의 재생에 따라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특정 프레임에 원하는 광고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제작부;상기 편집툴을 제공하는 편집 툴 제공부; 및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광고 콘텐츠 제작을 위한 확장된 글꼴, 이미지, 아이콘 및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확장된 디자인 도구를 다운로드하는 스토어 접속부를 포함하고,상기 광고 공유모듈은,상기 메인서버에 등록된 타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창제공부;상기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작성된 리뷰정보를 연동하여 상기 메인서버에 제공하는 리뷰 연동부를 포함하고,상기 광고 관리모듈은,생성된 복수의 광고 콘텐츠의 배치 및 재생순서를 설정하는 광고 콘텐츠 구성부; 및회원권한에 따라 개수가 결정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저장을 위한 복수의 슬롯을 할당하며, 상기 슬롯상에 광고 콘텐츠를 추가 또는 삭제하는 추가 삭제부를 포함하며,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리뷰정보가 제공되면, 해당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자 포인트를 부여하고,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포함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편집툴에서 제공하는 하나이상의 레이아웃 및 그래픽효과를 설정하며, 상기 편집툴 상에서광고 디자인을 편집한 후, 편집결과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 이후,광고 생성모듈이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편집툴 상에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업로드 하며, 상기 광고 생성모듈이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대한 화면상에 광고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 생성모듈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레이아웃 샘플 및 그래픽 효과 아이콘을 입력받아 상기 화면상에 반영하며, 상기 광고콘텐츠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할당된 슬롯의 개수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210144613A 2021-10-27 2021-10-27 간편 광고 이미지 제작 및 발송 시스템 KR20230060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613A KR20230060186A (ko) 2021-10-27 2021-10-27 간편 광고 이미지 제작 및 발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613A KR20230060186A (ko) 2021-10-27 2021-10-27 간편 광고 이미지 제작 및 발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186A true KR20230060186A (ko) 2023-05-04

Family

ID=8637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613A KR20230060186A (ko) 2021-10-27 2021-10-27 간편 광고 이미지 제작 및 발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1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1454B2 (ja) 共有アセット及び個別化アセットからのストーリーボード指示ビデオ制作
US109996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edia content
US7478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multimedia content and for facilitating third party representation of an object
Quinn MoJo-Mobile JournalisM in the asian region
US85953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web site with dynamic content data from an external data source integrated therein
CN109145248A (zh) 用于记录、编辑和再现计算机会话的方法
US20040268224A1 (en) Authoring system for combining temporal and nontemporal digital media
US20160300594A1 (en) Video creation, editing, and sharing for social media
JP2007533015A (ja) メディア・パッケージならびにメディア・パッケージ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143196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
TWI489297B (zh) 貿易卡服務
KR20080089573A (ko) 미디어의 동시 협업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프로덕트
US20120101869A1 (en) Media management system
US20200293995A1 (en) Crowdsourcing multi disciplinary creative work through a network
CN108573391A (zh) 一种推广内容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2002335487A (ja) 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ならびに該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サーバ
US20130198012A1 (en) Process for creating, for use over the Internet or other public communications network, an electronic sales advertisement with a voiceover incorporating a choice of various styles and languages
US20150312344A1 (en) Intelligent Media Production Systems and Services
KR20230060186A (ko) 간편 광고 이미지 제작 및 발송 시스템
KR20220001219A (ko) 디지털 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북 서버
KR101396020B1 (ko) 컨텐츠 편집툴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KR20180067111A (ko)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제작 방법
WO2007066104A1 (en) Video recruitment service
KR102050498B1 (ko)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936B1 (ko) 사용자 템플릿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츠 제작 및 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