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039A -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039A
KR20230060039A KR1020210144244A KR20210144244A KR20230060039A KR 20230060039 A KR20230060039 A KR 20230060039A KR 1020210144244 A KR1020210144244 A KR 1020210144244A KR 20210144244 A KR20210144244 A KR 20210144244A KR 20230060039 A KR20230060039 A KR 20230060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mobile terminal
forming apparatus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진
강형종
안창남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44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039A/en
Priority to PCT/US2022/024207 priority patent/WO2023075830A1/en
Publication of KR2023006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0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browsers, i.e. interfaces based on mark-up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7Wireless connection means, e.g. RF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88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by us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될 시각적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중에서 표시될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표시되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s embodiments of extending a displa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The disclose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ming a network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a user interface device, a 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instructions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Identifying a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on a device, determining a device on which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among the image form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the identified visual object, and displaying the visual object on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trolled to generate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visual object and to transmit control data for the create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Figure P1020210144244
Figure P1020210144244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확장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Display extension using mobile terminal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한다. 기존의 제어 패널은 인쇄, 복사, 스캔과 같이 한정된 사용 목적에 맞게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간략히 표시하는데 충분한, 해상도가 낮고 크기가 작은 스크린을 포함하였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panel that controls function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xisting control panels include a small-sized screen with low resolution sufficient to control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limited purposes such as printing, copying, and scanning, and to briefly display the statu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개념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동작들의 순서도이다.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동작들의 순서도이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오브젝트가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오브젝트가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ending a displa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3 is a flowchart of operations of extending a display by an image forming apparatus.
4 is a flowchart of operations for forming a network betwe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wo-way communication network formed betwe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tivating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bjects displayed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bjects displayed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bject displayed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bjects displayed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bjects displayed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an object on an image form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an object on an image form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서, 종래의 제어 패널의 스크린으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어렵다.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보다 큰 스크린이 포함된 제어 패널이 요구되지만, 제어 패널의 스크린이 커질수록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어 패널 보다 높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방안이 요구된다.As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ecome more diverse,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n the screen of a conventional control panel. As the func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iversifies, a control panel having a larger screen is required. However, as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becomes larg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rea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expanding the displa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y using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display having a higher resolution than the control panel.

본 개시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될 시각적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중에서 표시될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표시되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s embodiments of extending a displa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The disclose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ming a network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a user interface device, a 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executes the instructions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Identifying a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on a device, determining a device on which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among the image form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the identified visual object, and displaying the visual object on the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controlled to generate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visual object and to transmit control data for the create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패널의 스크린으로 제공하기 힘든 화상 형성 장치 장치의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function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are difficult to provide through a screen of a control panel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an be easily provided to a user using a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개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스기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한다.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 예를 들어, 인쇄, 카피, 스캔, 팩스 또는 이와 연계된 기능을 의미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llectively refers to an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an image forming operation, such as a printer, a copier, a multifunction machine, a fax machine, and the like. An image forming job may mean various tasks related to images, such as printing, copying, scanning, faxing, or functions related thereto, and a series of processes necessary to perform an image forming job. It may mean including.

본 개시의,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전자 장치를 통칭하며, 화상 형성 장치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화상 형성 작업 대상이 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생성한 출력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obile terminals of the present disclosure collectively refer to electronic devices carried by users, and may include computing devices such as PCs (Personal Computers), smartphones, tablets, and notebooks that form a network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re is. The mobile terminal may serve as a host device that transmits output data generated using content to be an image forming task to the image forming device.

본 개시의, 출력 데이터는 사용자로부터의 인쇄 요청에 대응하여, 호스트 장치가 표준 함수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화상을 묘사하는 프린팅 커맨드를 의미한다. 출력 데이터는 인쇄 작업(print job)으로 불려 지기도 한다. 출력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가 디스크립션 언어로 프린팅 커맨드를 인코딩한 페이지 디스크립션 랭귀지(Page Description Language, PDL)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는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에 관련된 프린터 잡 랭귀지(Printer Job Language, PJL)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는 화상의 픽셀 정보(예를 들면, 픽셀이 이미지, 그래픽 또는 텍스트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출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함으로써 화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output data refers to a printing command describing an image generated by a host device using standard functions in response to a print request from a user. The output data is also called a print job. The output data may include Page Description Language (PDL) data in which the host device encodes a printing command in a description language. The output data may include a Printer Job Language (PJL) related to setting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output data may include pixel information of the image (e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pixel corresponds to an image, graphic, or tex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image information by performing rendering using output data.

본 개시의, 시각적 오브젝트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될 화면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시각적 오브젝트는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화면,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하는 아이콘 및 위젯들, 텍스트 박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될 출력물의 프리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서 획득된 스캔 이미지 및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시각적 오브젝트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패널의 스크린 및 화상 형성 장치에게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a visual object refers to a screen component to be displayed in relation to a function provided by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xample, the visual object may be a setting screen of the image forming device, icons and widgets provided by the image forming device, a text box, a preview of an output to be output from the image forming device, a scanne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ation. It may include applications provided by the device. One or more visual objects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one of a screen of a control panel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개시의, 확장 기능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화상 형성 장치의 보조 디스플레이로 이용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화상 형성 장치와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관한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tens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extending a display to use a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as a secondary displa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an object on a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control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mobile terminal may transmit data related to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개시의, 민감 정보는 타인 혹은 외부로 유출되어서는 안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민감 정보는 영업 비밀과 같은 보안이 필요한 정보, 개인 정보 및 개인 정보와 보안이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URL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sensitiv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should not be leaked to others or to the outside. For example, sensitiv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such as trade secrets, personal information, and a URL for access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도 1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extending a displa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mobile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어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패널(13)은 하나 이상의 시각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control panel 13 . The control panel 13 may include a screen displaying one or more visual objects.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어 패널(13)을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10)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어 패널(13)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10)가 제공하는 기능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기능에 관한 시각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through the control panel 13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through the touch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display a visual object related to a selected function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웹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블루투스, UWB, WIFI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와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form a network with the mobile terminal 20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operate as a web server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 can access it using a web browser. For anothe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form a network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20 using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protocol (eg, Bluetooth, UWB, WIFI, etc.).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receiv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from the mobile terminal 2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receive output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20 .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와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는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기(20)가 상호간에 제어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수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면,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모바일 단말기(20)가 제1 시각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가 제1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 패널(13)의 스크린이 제2 시각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모바일 단말기(20)가 화상 형성 장치(10)로 제2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form a two-way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mobile terminal 20 .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generate and transmit/receive data controlled by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network,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transmits first control data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 displays the first visual object, 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transmits the first control data to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This is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20 transmits second control data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so as to display the second visual object.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를 화상 형성 장치(10)의 보조 디스플레이로 이용하는 확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모바일 단말기(20)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provide an extended function using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as a secondary displa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20 and transmit the control data to the mobile terminal 20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for activating the extended function.

화상 형성 장치(10)는 확장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 패널(13)의 스크린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 중에서 어느 장치에 시각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As the extension function is activat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That i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determine whether to display a visual object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or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

화상 형성 장치(10)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민감 정보에 관련된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로 결정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determine a location where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type of the visual object.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determine a display location of a visual object related to sensitive information as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

화상 형성 장치(10)는 확장 기능이 활성화되기 전의 제어 패널(13)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에 기초해서, 확장 기능이 활성화된 후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가 제어 패널(13)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가로 및/또는 세로 배열에 기초해서,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의 각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 및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determine a position to display a visual object after the extension function is activated based on an arrangement of at least one visual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before the extension function is activated. there is.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determines the display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isual objects based on horizontal and/or vertical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visual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and arrangement can be determined.

화상 형성 장치(10)는 디스플레이가 될 위치에 기초하여,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 데이터(frame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화면 데이터는 화상 형성 장치(10) 또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어 패널(13)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제1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제1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될 제2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xml)에 기초하여 제1 화면의 화면 데이터 및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웹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html)에 기초하여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frame data including a visual object based on a position to be displayed. The screen data may includ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or the mobile terminal 20 to display a screen including a visual object.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screen data of a first screen including a first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screen data of a second screen including a second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generates screen data of a first screen and screen data of a second screen based on a language (eg, xml) used to generate a user interface (UI)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can d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screen data of the second screen based on a language (eg, html) used to create a web page.

모바일 단말기(20)가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2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20)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서버로 동작하는 화상 형성 장치(10)로 접속함으로써, 웹페이지 형태의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screen data of the secon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2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 displays the second screen.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 may display the second screen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For anothe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 may display a second screen in the form of a web page by access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operating as a web server using a web browser.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13)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화면(frame)을 맞바꿀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가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1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어 패널(13)의 스크린이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swap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and the fram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based on a user's input.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screen data of the first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20 so that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displays the first scr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control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to display the second screen.

화상 형성 장치(10)는 제어 패널(13)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과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맞바꾸기 위해서 화면 데이터를 컨버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xml)로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컨버팅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웹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html)로 제1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컨버팅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convert screen data to exchang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and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convert screen data of the second screen into a language (eg, xml) used to generate a user interface (UI)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convert screen data of the first screen into a language (eg, html) used to create a web page.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와 모바일 단말기(20)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화상 형성 장치(10)는 스캔 모듈(11), 출력 모듈(12), 제어 패널(13), 통신 모듈(15), 메모리(17) 및 프로세서(1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 요소의 모두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10)가 구현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scan module 11 , an output module 12 , a control panel 13 , a communication module 15 , a memory 17 , and a processor 19 . However, no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shown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elements than the elemen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shown in FIG. 2, and fewer elements than the elemen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shown in FI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can be implemented by.

스캔 모듈(11)은 문서로 광을 조사하고, 문서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함으로써, 문서에 기록된 화상을 스캔할 수 있다. The scan module 11 scans an image recorded on a document by irradiating light onto a document and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document.

출력 모듈(12)은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인쇄 방식을 통해서 인쇄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2)은 인쇄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 또는 잉크를 담는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module 12 may form and output an image on a printing medium through various printing methods such as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and an inkjet method. The output module 12 may include a cartridge containing toner or ink for forming an image on a print medium.

제어 패널(13)은 화상 형성 장치(10)를 제어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의미한다. 제어 패널(13)은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패널(13)은 화상 형성 장치(10)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13 refers to a user interface device that receives a user's input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outputs inform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control panel 13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Also, the control panel 13 may include a screen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통신 모듈(15)은 모바일 단말기(20) 및 서버(3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5)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은 Ethernet,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와 같은 규격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은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규격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5)은 스캔 모듈(11)에 의해서 획득된 출력물 이미지를 외부의 팩스 장치로 전송하거나, 출력 모듈(12)이 출력하도록 외부의 팩스 장치로부터 출력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팩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5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external devices or networks such as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server 3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5 may receive output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module 15 may perform wired communication of standards such as Ethernet,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he communication module 15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of standards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Bluetooth, UWB (Ultra Wide Band),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5 performs a fax function by transmitting the output image obtained by the scan module 11 to an external fax device or receiving output data from an external fax device so that the output module 12 outputs the output image. can

메모리(17)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프로세서(19)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인스트럭션)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상태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17 may store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programs and files such as applications. The memory 17 may store at least one command (instruction) and at least one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processor 19 . The memory 17 can store information about the state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메모리(17)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이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롬(ROM, Read-Only Memory)과 같이 비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스토리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emory 17 includes a memory temporarily storing data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flash memory type, and a read-only memory (ROM).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data storages for non-temporarily storing data. Memory 17 may consist of one or more memory chips.

프로세서(19)는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9)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싱 유닛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9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such as a CPU or the like. Also, the processor 19 may include at least one specialized process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프로세서(19)는, 메모리(1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인스트럭션)를 실행함으로써, 도 1,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캔 모듈(11), 출력 모듈(12), 제어 패널(13), 통신 모듈(15), 메모리(17)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9, by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17, the scan module 11, the output module to provide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3 to 13 (12), control panel 13, communication module 15, memory 17, etc. can be controlled overall.

프로세서(19)는 메모리(17)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7)에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는 메모리(17)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9)는 통신 모듈(15)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파일이나 프로그램 등을 메모리(17)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9 may access and use data stored in the memory 17 or may store new data in the memory 17 . The processor 19 may execute a program installed in the memory 17. The processor 19 may store files or program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5 in the memory 17 .

모바일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21), 사용자 인터페이스(26), 통신 모듈(25), 메모리(27) 및 프로세서(2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20)의 구성 요소의 모두가 모바일 단말기(2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20)의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모바일 단말기(20)가 구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20)의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모바일 단말기(20)가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 may include a display 21 , a user interface 26 , a communication module 25 , a memory 27 and a processor 29 . However, not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20 shown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20 . The mobile terminal 2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20 shown in FIG. 2, and by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20 shown in FIG. Terminal 20 may be implemented.

통신 모듈(25)은 모바일 단말기(20)가 화상 형성 장치(10) 및 외부 서버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25)은 화상 형성 장치(10)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25)은 Ethernet,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와 같은 규격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25)은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규격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5 allows the mobile terminal 20 to transmit/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such a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an external serv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25 may form a network with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The communication module 25 may perform wired communication of standards such as Ethernet,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he communication module 25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of standards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Bluetooth, UWB (Ultra Wide Band),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26)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정보를 출력하는 하드웨어 모듈 및/또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6)는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와 키보드, 터치 패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의 조합이거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6)는 화상 형성 장치(10)로부터 수신한 화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26-1)를 포함할 수 있다. User interface 26 is a hardware module and/or device that receives user input and output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26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and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touch pad, or mouse, or a touch screen. Also, the user interface 26 may include a display 26 - 1 that displays a screen including a visual object using screen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메모리(27)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7)는 프로세서(23)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인스트럭션)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27 may store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S), programs such as applications, and files. The memory 27 may store at least one command (instruction) and at least one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processor 23 .

메모리(27)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이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롬(ROM, Read-Only Memory)과 같이 비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스토리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7 includes a memory temporarily storing data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a flash memory type, and a ROM (Read-Only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data storages for non-temporarily storing data.

프로세서(29)는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9)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싱 유닛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9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such as a CPU or the like. Also, the processor 29 may include at least one specialized process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프로세서(29)는, 메모리(2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인스트럭션)를 실행함으로써, 이하의 도 1,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6), 통신 모듈(25), 메모리(27)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9, by executing at least one command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27, to provide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 3 to 13 below, the user interface 26, The communication module 25, the memory 27, and the like can be generally controlled.

프로세서(29)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9)는 화상 형성 장치(10)가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9)는 메모리(27)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쇄 요청에 따라, 인쇄할 문서의 페이지 디스크립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9 may generat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The processor 29 may generate output data so tha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perform an image forming task. For example, the processor 29 may execut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27 to generate a page description file of a document to be printed according to a print request through an application application.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동작들의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of operations of extending a display by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3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가 포함된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Each step of FIG. 3 may be implemented by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processor. Also,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including a processor.

단계 S31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eferring to step S31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a first screen.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의 스크린 상에 하나 이상의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화면,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하는 아이콘 및 위젯들, 텍스트 박스, 화상 형성 장치에서 출력될 출력물의 프리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서 획득된 스캔 이미지 및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시각적 오브젝트가 하나 이상 포함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a first screen including one or more visual objects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include a setting scree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cons and widgets provid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text box, a preview of an output to be output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canned images and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first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visual object such as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forming device may be displayed.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의 스크린 상에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가 배열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의 각각이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도록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를 배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가 배열된 제1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화면 데이터를 제어 패널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a first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are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rrange each of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to be positioned o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scr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rrange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to di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creen horizontally and/or verticall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first screen data in which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are arrang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ontrol the control panel to display the first screen data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단계 S32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블루투스, UWB, WIFI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웹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모바일 단말기가 상호간에 제어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모바일 단말기와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step S32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orm a network with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orm a network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protocol (eg, Bluetooth, UWB, WIFI, etc.). For anothe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operate as a web server so that a mobile terminal can access the image using a web brows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form, with the mobile terminal,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data tha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mobile terminal mutually contro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received.

단계 S33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step S33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the extended function.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화상 형성 장치의 보조 디스플레이로 이용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an extension function for extending the display to use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as a secondary displa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생성한 소정의 웹주소로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블루투스, UWB, WIFI 등)을 이용하여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한 것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하는 UI(예를 들면, 토글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the extended function based on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identify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web address generated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lternativel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identify a mobile terminal connected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protocol (eg, Bluetooth, UWB, WIFI, etc.).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utomatically activate the extended function in response to access by the mobile terminal. Alternativel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the extended function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to a UI (eg, a toggle button) for activating the extended function.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이 활성화된 것에 대응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xtended function.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to display screen data including one or more visual objects.

단계 S34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step S34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단계 S330에서 확장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어 패널(13)의 스크린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 중에서 어느 장치에 시각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서의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As the extension function is activated in step S33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That i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determine whether to display a visual object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13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or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 Als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n arrangement of visual objects at positions where the visual objects are to be displayed.

화상 형성 장치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는 민감 정보에 대한 보안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정된 시각적 오브젝트들의 가중치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는 우선 순위가 높은 시각적 오브젝트가 모바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시각적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 시각적 오브젝트의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민감 정보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출력물의 썸네일, 스캔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텍스트 박스의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 될 수 있다. 또한, 가로 보다 세로가 더 긴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display position of the visual object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visual object. The priority of visual objects indicates weights of visual objects determined to be desirable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for security of sensitive information and user convenienc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visual object so that the visual object having a higher priority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he priority of the visual objec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visual object and the ratio of the visual object. For example, the priority of a visual object receiving an input related to sensitive information from a user may be set high. In addition, the priority of an image visual object such as a thumbnail of a printout or a scanned image may be set high. In addition, the priority of a text box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through a virtual keyboard may be set high. In addition, the priority of a visual object having a height longer than a width may be set higher.

화상 형성 장치는 단계 S310에서 제어 패널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에 기초해서,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개의 시각적 오브젝트가 제어 패널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가로 및/또는 세로 배열에 기초해서,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 및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In operation S31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visual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display position and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based on horizontal and/or vertical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visual object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단계 S35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제2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step S35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reate a second screen including visual objects.

화상 형성 장치는 단계 S340 에서 결정된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맞게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된 제1 시각적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된 제2 시각적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2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reate a screen including the visual object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visual object determined in step S340 is to be display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a first screen including the first visual object determin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ontrol panel and create a second screen including the second visual object determin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화상 형성 장치는 단계 S340 에서 결정된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에 기초하여,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용하는 언어를 결정할 수 있다. 화면 데이터는 화상 형성 장치(10) 또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xml)에 기초하여, 제1 화면의 디스플레이 하는데 이용되는 제1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웹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html)에 기초하여, 제2 화면의 디스플레이 하는데 이용되는 제2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language used to generate screen data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visual object determined in step S340 is to be displayed. The screen data may includ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or the mobile terminal 20 to display a screen including a visual object.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first screen data used to display the first screen based on a language (eg, xml) used to create a user interface (UI)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 i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second screen data used to display the second screen based on a language (eg, html) used to create a web page.

단계 S36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2 화면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step S36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transmit the secon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모바일 단말기가 단계 S350에서 생성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는 제2 화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형성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 화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웹서버로 동작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로 웹페이지로 생성된 제2 화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transmit the second scree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second screen generated in step S350.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transmit second screen data using a network form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another example, the image forming device operating as a web server may transmit second screen data generated as a web page to a mobile terminal accessed through a web browser.

모바일 단말기는 수신한 제2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페이지 형태의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may display the received second screen data.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may display the second screen using a dedicated application. For anothe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may display the second screen in the form of a web page using a web browser.

도 4는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동작들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operations for forming a network betwe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도 4의 각 단계들은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가 포함된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Each step of FIG. 4 may be implemented by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processor. Also,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including a processor.

단계 S410에서, 모바일 단말기(20)는 화상 형성 장치(10)로 연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410,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connection request data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모바일 단말기(20)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블루투스, UWB, WIFI 등)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로 연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20)는 블루투스 표준 스펙에 맞는 연결 요청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connection request data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protocol (eg, Bluetooth, UWB, WIFI, etc.).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connection request data conforming to Bluetooth standard specifications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또는, 모바일 단말기(20)는 인터넷에 연결된 화상 형성 장치(10)로 연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20)는 화상 형성 장치(10)에게 할당된 IP주소로 연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connection request data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connected to the Internet.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connection request data to an IP address assign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단계 S4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S42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create a network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20.

화상 형성 장치(10)는 단계 S410에서 수신된 연결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모바일 단말기(20)와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연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이용된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면, 블루투스, UWB, WIFI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블루투스 표준 스펙에 맞는 연결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10)에게 할당된 IP주소로 접속한 모바일 단말기(20)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create a network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20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request data received in step S41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data for forming a network to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protocol (eg, Bluetooth, UWB, WIFI, etc.) used to receive connection request data.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connection data conforming to Bluetooth standard specifications to the mobile terminal 20 . Alternativel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data for forming a network to the mobile terminal 20 accessed through the IP address assign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단계 S4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와 모바일 단말기(20)는 Websocket 핸드쉐이크를 할 수 있다. In step S430, the image forming device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may perform a Websocket handshake.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기(20)는 양방향 연결 통신을 형성하기 위해서, websocket을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기(20)는 websocket 연결을 위해서 websocket 핸드쉐이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may use a websocket to establish bi-directional connection communica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may perform websocket handshake for websocket connection.

화상 형성 장치(10) 및/또는 모바일 단말기(20)는 상대방에게로 Websocket 연결 요청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20)는 "Sec-WebSocket-Key" 헤더를 통해 핸드쉐이크 응답을 검증할 키 값이 포함된 Websocket 연결 요청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20)는 WebSocket 연결시 보조로 이용할 프로토콜 정보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가 헤더에 포함된 Websocket 연결 요청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Websocket 연결 요청 데이터는 "Connection:Upgrade", "Upgrade:websocket" 와 같은 Websocket 요청 데이터임을 표시하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device 10 and/or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Websocket connection request data to the other party.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Websocket connection request data including a key value for verifying a handshake response to the image forming device 10 through a “Sec-WebSocket-Key” header.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to the image forming device 10 Websocket connection request data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protocol information to be used as an aid in a WebSocket connection, in a header. Websocket connection request data may include headers indicating Websocket request data, such as "Connection:Upgrade" and "Upgrade:websocket".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Websocket 연결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여, Websocket 연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Websocket 연결 요청 데이터의 "Sec-WebSocket-Key" 헤더를 통해 수신한 키 값에 특정 값을 부가하여 SHA-1로 해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해싱된 값을 base64로 인코딩함으로써 핸드쉐이크 응답을 검증할 키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키 값이 포함된 "Sec-WebSocket-Accept" 헤더를 포함하는 Websocket 연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 Websocket 연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Websocket connection data in response to Websocket connection request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hash SHA-1 by adding a specific value to the key value received through the “Sec-WebSocket-Key” header of the Websocket connection request data.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obtain a key value for verifying a handshake response by encoding the hashed value into base64.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Websocket connection data including a “Sec-WebSocket-Accept” header including a key valu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Websocket connection data to the mobile terminal 20 .

모바일 단말기(20)는 화상 형성 장치(10)로부터 수신한 Websocket 연결 데이터를 이용하여 Websocket 핸드쉐이크를 검증할 수 있다. Websocket 핸드쉐이크가 완료된 후 모바일 단말기(20) 및 화상 형성 장치(10)는 Websocke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 may verify the Websocket handshake by using Websocket connection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forming device 10 . After the Websocket handshake is completed,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image forming device 10 may form a network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sing the Websocket protocol.

단계 S4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Access Token을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440, the image forming device 10 may transmit the access token to the mobile terminal 20.

단계 S4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와 모바일 단말기(20)가 Websocket 핸드쉐이크를 수행함으로써 형성된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 Access Token을 전송할 수 있다. Access Token은 모바일 단말기(20)를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토큰이다.In step S430, the image forming device 10 may transmit an access token to the mobile terminal 20 through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network formed by performing a Websocket handshake betw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Access Token is a token used to authenticate the mobile terminal 20 .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20)의 정보에 기초하여, Access Token이 포함된 Token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식별 정보, 모바일 단말기(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 형성 장치(10)로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Token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식별 정보, 모바일 단말기(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 형성 장치(10)로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해시(hash)함으로써 획득된 문자열이 포함된 Token을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generate a token including an access token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20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mobile terminal 20 , and identification of an application used by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Token can be created using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mobile terminal 20 ,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used by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By hashing one or more of them, a Token containing the obtained string can be created.

단계 S4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와 모바일 단말기(20)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In step S450, the image forming device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may activate extended functions.

화상 형성 장치(10) 및/또는 모바일 단말기(2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를 화상 형성 장치(10)의 보조 디스플레이로 이용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 및/또는 모바일 단말기(20)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50은 도 3의 단계 S330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or the mobile terminal 20 may activate an extension function that expands the display to use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20 as a secondary displa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or the mobile terminal 20 may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data for activating extended functions. Since step S450 is similar to step S330 of FIG. 3, overlapping details will be omitted.

단계 S460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로 URL을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S460,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provide the URL to the mobile terminal 20.

화상 형성 장치(10)는 확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20)가 화상 형성 장치(10)로 접속할 URL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사용자 별로 다르게 할당된 URL을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a URL to be ac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in order to provide extended function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URLs allocated differently for each user to the mobile terminal 20 .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식별 정보, 모바일 단말기(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및 모바일 단말기가 화상 형성 장치(10)로 접속하는데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해시(hash)함으로써 획득된 문자열에 기초하여 사용자 별로 다르게 할당되는 URL을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using the mobile terminal 2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used by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Based on the string obtained by hashing, a URL that is differently assigned to each user may be generated.

화상 형성 장치(10)는 Websocket을 이용해서 모바일 단말기(20)로 URL을 전송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접속 주소, 포트 및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URL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a URL to the mobile terminal 20 using Websocke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a URL including access address, port, and protoco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단계 S470에서 모바일 단말기(20)는 화상 형성 장치(10)로부터 수신한 URL로 접속할 수 있다. In step S470, the mobile terminal 20 can access the URL received from the image forming device 10.

모바일 단말기(20)는 단계 S460에서 수신한 URL로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는 사용자 별로 다르게 할당된 URL을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10)로 접속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는 URL에 접속할 때, 단계 S440에서 획득한 Access Token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인증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0 can access the URL received in step S460. The mobile terminal 20 may acces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through URLs allocated differently for each user. When the mobile terminal 20 accesses the URL, it can be authenticated by the image forming device using the access token obtained in step S440.

화상 형성 장치(10)는 URL로 접속하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Access Token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Access Token이 유효한 경우에, 웹페이지로 생성된 제2 화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check the validity of an Access Token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accessing through a URL. When the access token is vali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transmit second screen data generated as a web page to the mobile terminal 20 .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의 접속이 종료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20)와 형성된 네트워크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단계 S430에서 형성된 websocket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is terminat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release the network establish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release the websocket connection formed in step S430.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wo-way communication network formed betwe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도 5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의 스크린(510)에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출력 설정을 제어 패널(13)의 스크린(5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520)에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20)는 출력물의 프리뷰를 디스플레이(5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a first screen on the screen 510 of the control panel 13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output settings on the screen 510 of the control panel 13 . The mobile terminal 20 may display the second screen on the display 520 .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20 may display a preview of output on the display 520 .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와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모바일 단말기(20)와 websocket 핸드쉐이크를 수행함으로써, Websocke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form a two-way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mobile terminal 2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perform a websocket handshake with the mobile terminal 20 to form a two-way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websocket protocol.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는 화상 형성 장치(10) 및 모바일 단말기(20)가 상호간에 제어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수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면, 양방향 통신 네트워크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1 화면에 대한 제1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2 화면을 갱신하는 제1 제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제2 화면에 대한 제2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화면을 갱신하는 제2 제어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어 데이터는 제2 화면을 재생성한 화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and the mobile terminal 20 generate and transmit/receive data controlled by each other. For example, in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network, an image forming apparatus transmits first control data for updating a second screen to a mobile terminal based on a first user's input for a first screen, and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second screen. Based on the second user's input for the first screen, second control data for updating the first screen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first control data may include screen data obtained by regenerating the second screen.

화성 형성 장치의 스크린(510)에 디스플레이된 출력 설정 화면에 대해서 컬러 또는 흑백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520)에 디스플레이된 출력물의 프리뷰의 색상이 컬러 또는 흑백으로 변경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for selecting color or black and white for the output setting screen displayed on the screen 510 of the image formation device, the color of the preview of the output displayed on the display 520 of the mobile terminal 20 changes to color or black and white. can be changed to

또한,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520)에 디스플레이된 출력물의 프리뷰를 수정하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면, 민감 정보를 마스킹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화성 형성 장치의 스크린(510)에 디스플레이된 출력 설정 화면에 수정 사항(예를 들면, 민감 정보가 마스킹 됨)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는 프리뷰를 수정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력물 이미지를 수정하고, 수정된 출력물 이미지를 base64로 인코딩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화성 형성 장치는 출력물의 수정 사항을 스크린(5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for modifying the preview of the output displayed on the display 520 of the mobile terminal 20 (for example, the user's input for masking sensitive information), the screen 510 of the Mars forming device Modifications (eg, sensitive information is mask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ed output setting screen. The mobile terminal 20 may modify the output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based on the user's input for modifying the preview, encode the modified output image into base64, and transmit the modified output image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e Mars Forming Device may display the correction items of the output on the screen 510 .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tivating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도 6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화상 형성 장치의 보조 디스플레이로 이용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an extension function for extending the display to use the display of the mobile terminal as a secondary displa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을 활성화하는 UI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토글 버튼(61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620)에 대응하여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the extension function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to the UI for activating the extension function.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an extended function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620 to the toggle button 610 .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을 식별한 결과에 기초하여,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의 접속을 식별한 경우에만 사용자 입력(620)이 수신되도록 토글 버튼(61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접속한 것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확장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the extended function based on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ctivate the toggle button 610 so that the user input 620 is received only when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identified. Alternativel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automatically activate the extension function in response to access by the mobile terminal.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이 활성화된 것에 대응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xtended function.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to display screen data including one or more visual objects.

도 7 내지 도 9는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isual objects displayed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이 활성화되기 전의 제어 패널(13a)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에 기초해서, 확장 기능이 활성화된 후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개의 시각적 오브젝트가 제어 패널(13a)에 디스플레이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가로 및/또는 세로 배열에 기초해서, 제어 패널(13b) 및 모바일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제어 패널(13b) 및 모바일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7 to 9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position of a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after the extension function is activated, based on an arrangement of visual objects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a before the extension function is activated. there is.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has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to be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b and the mobile terminal 20 based on horizontal and/or vertical arrangement of the visual objects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a. , and the arrangement of visual objects to be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b and the mobile terminal 20 may be determined.

도 7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패널(13a)은 제1 시각적 오브젝트(710a) 및 제2 시각적 오브젝트(720a)를 가로 배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각적 오브젝트(710a)는 출력 설정 화면일 수 있다. 제2 시각적 오브젝트(720a)는 출력물의 프리뷰 일 수 있다. 제1 시각적 오브젝트(710a) 및 제2 시각적 오브젝트(720a)의 종횡비가 다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 panel 13a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the first visual object 710a and the second visual object 720a in a horizontal arrangement. For example, the first visual object 710a may be an output setting screen. The second visual object 720a may be a preview of the output. The aspect ratios of the first visual object 710a and the second visual object 720a may be different.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이 활성된 것에 대응하여, 제1 시각적 오브젝트(710a) 및 제2 시각적 오브젝트(720a)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a)에 디스플레이된 제1 시각적 오브젝트(710a) 및 제2 시각적 오브젝트(720a)의 가로 배열에 기초해서, 제어 패널(13b)에 제1 시각적 오브젝트(710b)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하고, 모바일 단말기(20)에 제2 시각적 오브젝트(720b)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b)에 출력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하고, 모바일 단말기(20)에 출력물의 프리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positions where the first visual object 710a and the second visual object 720a are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xtension func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isplays the first visual object 710b on the control panel 13b based on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the first visual object 710a and the second visual object 720a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a. and it may be determined to display the second visual object 720b on the mobile terminal 20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to display an output setting screen on the control panel 13b and display a preview of the output on the mobile terminal 20 .

도 8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a)을 삼분할하여 제1 시각적 오브젝트(810a),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a)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각적 오브젝트(810a)는 인쇄 목록일 수 있다.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a)는 출력 설정 화면일 수 있다.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a)는 출력물의 프리뷰 일 수 있다. 제어 패널(13a)은 가로 배열된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a)에 대해서 제1 시각적 오브젝트(810a)를 세로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a first visual object 810a, a second visual object 820a, and a third visual object 830a by dividing the control panel 13a into three parts. For example, the first visual object 810a may be a print list. The second visual object 820a may be an output setting screen. The third visual object 830a may be a preview of an output. The control panel 13a may vertically arrange and display the first visual object 810a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ly arranged second and third visual objects 820a and 830a.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이 활성된 것에 대응하여, 제1 시각적 오브젝트(810a),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a)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삼분할된 제어 패널(13a) 내에서의 제1 시각적 오브젝트(810a),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a)의 배열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13b)에 제1 시각적 오브젝트(810b)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하고, 모바일 단말기(20)에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b)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b)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b)에 인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하고, 모바일 단말기(20)에 출력 설정 화면 및 출력물의 프리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positions where the first visual object 810a, the second visual object 8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830a are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xtension func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s the control panel 13b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isual object 810a, the second visual object 8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830a within the three-part control panel 13a. The first visual object 810b may be determined to be displayed, and the second visual object 820b and the third visual object 830b may be determined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to display a print list on the control panel 13b and display an output setting screen and a preview of output on the mobile terminal 20 .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b) 및 모바일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a) 내에서의 제1 시각적 오브젝트(810a),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a)의 배열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13b) 및 모바일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a)가 가로 배열로 제어 패널(13a)에 디스플레이된 것에 기초하여, 제2 시각적 오브젝트(8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830a)가 가로 배열로 모바일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arrangement of visual objects to be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b and the mobile terminal 2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s the control panel 13b and the mobile terminal ( 20) may determine an arrangement of visual objects to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the second visual object 8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830a horizontally on the control panel 13a based on the display of the second visual object 8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830a. The object 830a may be determined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 in a horizontal arrangement.

도 9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a)을 삼분할하여 제1 시각적 오브젝트(910a),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a)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각적 오브젝트(910a)는 인쇄 목록일 수 있다.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a)는 출력 설정 화면일 수 있다.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a)는 출력물의 프리뷰 일 수 있다. 제어 패널(13a)은 세로 배열된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a)에 대해서 제1 시각적 오브젝트(910a)를 가로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a first visual object 910a, a second visual object 920a, and a third visual object 930a by dividing the control panel 13a into three parts. For example, the first visual object 910a may be a print list. The second visual object 920a may be an output setting screen. The third visual object 930a may be a preview of output. The control panel 13a may horizontally arrange and display the first visual object 910a with respect to the vertically arranged second and third visual objects 920a and 930a.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이 활성된 것에 대응하여, 제1 시각적 오브젝트(910a),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a)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삼분할된 제어 패널(13a) 내에서의 제1 시각적 오브젝트(910a),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a)의 배열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13b)에 제1 시각적 오브젝트(910b)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하고, 모바일 단말기(20)에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b)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b)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b)에 인쇄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하고, 모바일 단말기(20)에 출력 설정 화면 및 출력물의 프리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positions where the first visual object 910a, the second visual object 9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930a are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xtension func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s the control panel 13b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visual object 910a, the second visual object 9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930a within the three-divided control panel 13a. The first visual object 910b may be determined to be displayed, and the second visual object 920b and the third visual object 930b may be determined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 .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to display a print list on the control panel 13b and display an output setting screen and a preview of output on the mobile terminal 20 .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b) 및 모바일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a) 내에서의 제1 시각적 오브젝트(910a),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a)의 배열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13b) 및 모바일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오브젝트의 배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a)가 세로 배열로 제어 패널(13a)에 디스플레이된 것에 기초하여, 제2 시각적 오브젝트(920a) 및 제3 시각적 오브젝트(930a)가 세로 배열로 모바일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arrangement of visual objects to be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b and the mobile terminal 2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s the control panel 13b and the mobile terminal ( 20) may determine an arrangement of visual objects to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isplays the second visual object 9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9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930a based on the display of the second visual object 920a and the third visual object 930a in a vertical arrangement on the control panel 13a. The object 930a may be determined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 in a vertical arrangement.

도 10 및 도 11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오브젝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and 11 are diagrams for explaining visual objects displayed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시각적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는 보안 강화 및 사용자 편의를 위해서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미리 결정된 시각적 오브젝트들의 가중치이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display location of a visual object based on the type of the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display position of the visual object by using the priority of the visual object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the visual object. The priority of visual objects is the weight of visual objects that are predetermined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for security enhancement and user convenience.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민감 정보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가 1순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출력물의 썸네일, 스캔 이미지와 같은 이미지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가 2순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키보드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텍스트 박스의 우선 순위가 3순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설정 화면의 우선 순위가 4순위로 결정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우선 순위가 높은 시각적 오브젝트가 모바일 단말기(20)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시각적 오브젝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ority of a visual object receiving an input on sensitive information from a user may be determined as the first priority. In addition, the priority of an image visual object such as a thumbnail of a printout or a scanned image may be determined as second priority. Also, the priority of a text box receiving an input from a user through a virtual keyboard may be determined as the third priority. Also, the priority of the output setting screen may be determined as 4th priorit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visual object so that the visual object having a higher priority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 .

도 1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텍스트 박스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의 스크린(1010)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1020) 중에서 민감 정보를 수신하는 텍스트 박스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민감 정보를 수신하는 텍스트 박스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텍스트 박스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1020)으로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receive a user inpu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position where a text box for receiving a user's text input is to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position where a text box for receiving sensitive information is to be displayed among the screen 1010 of the control panel 13 or the display 1020 of the mobile terminal 2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position where the text box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020 of the mobile terminal 20 based on the priority of text boxes receiving sensitive information.

화상 형성 장치는 결정된 텍스트 박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13)의 스크린(1010)에 디스플레이될 제1 화면의 화면 데이터 및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1020)에 디스플레이될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20)를 이용하여 로그인 하라는 알림 메시지가 포함된 제1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텍스트 박스가 포함된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 패널(13)의 스크린(1010)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1020) 상에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es screen data of a first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10 of the control panel 13 and a second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020 of the mobile terminal 20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text box. Screen data can be created.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use the mobile terminal 20 to generate screen data of the first screen inclu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log in. Als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screen data of a second screen including a text box for receiv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ontrol the screen 1010 of the control panel 13 to display the first scr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transmit screen data of the secon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secon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020 of the mobile terminal 20 .

도 1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디스플레이될 시각적 오브젝트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들의 각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확장 기능이 활성화된 것에 대응하여, 출력 설정 화면 및 출력물 프리뷰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isplay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display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isual objects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determine a location where the output setting screen and the output preview are to be displayed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the extended function.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출력 설정 화면 및 출력물 프리뷰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13)의 스크린(1110)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1120) 중에서 출력 설정 화면 및 출력물 프리뷰의 각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출력물 프리뷰의 우선 순위가 출력 설정 화면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것에 기초하여, 출력 설정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스크린(1110)으로 결정하고, 출력물 프리뷰가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1120)으로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elects an output setting screen and an output preview from among the screen 1110 of the control panel 13 or the display 1120 of the mobile terminal 20 based on the priorities of the output setting screen and the output preview. You can determine where each will be displaye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es the location where the output setting screen will be displayed on the screen 1110 based on the fact that the priority of the output preview i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output setting screen, and determines the location where the output preview will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 It can be determined by the display 1120 of.

화상 형성 장치는 결정된 출력 설정 화면 및 출력물 프리뷰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패널(13)의 스크린(1110)에 디스플레이될 제1 화면의 화면 데이터 및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1120)에 디스플레이될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출력 설정 화면이 포함된 제1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출력물 프리뷰가 포함된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 패널(13)의 스크린(1110)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1120) 상에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2 화면의 화면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isplays screen data of the first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1110 of the control panel 13 and the display 1120 of the mobile terminal 20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s of the output setting screen and the output preview. Screen data of the second screen may be generated.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screen data of a first screen including an output setting screen. Als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screen data of the second screen including the output preview.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ontrol the screen 1110 of the control panel 13 to display the first scre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transmit screen data of the secon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secon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120 of the mobile terminal 20 .

도 12는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시각적 오브젝트가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a visual object on an image form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도 12를 참조하면, 확장 기능이 활성화 된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a)의 스크린(121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1 화면 데이터(1220) 및 제2 화면 데이터(1240)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화면 데이터(1220)를 이용하여 제어 패널(13b)이 제1 화면(123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 패널(13b)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2 화면 데이터(124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가 제2 화면(126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모바일 단말기(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문서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 패널(13b)이 출력 설정 화면이 포함된 제1 화면(1230)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되는 제1 화면 데이터(1220)를 생성하고, 모바일 단말기(20)가 출력물 프리뷰가 포함된 제2 화면(1260)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되는 제2 화면 데이터(1240)를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extended function activated generates first screen data 1220 and second screen data 1240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to the screen 1210 of the control panel 13a. can creat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ontrol the control panel 13b so that the control panel 13b displays the first screen 1230 using the first screen data 122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20 to display the second screen 1260 by using the second screen data 1240 . For exampl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for selecting one from a list of documents, the first screen data ( 1220), and the mobile terminal 20 may generate second screen data 1240 used to display the second screen 1260 including the output preview.

화상 형성 장치는 다른 언어를 이용하여 제1 화면 데이터(1220)와 제2 화면 데이터(124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xml)에 기초하여 제1 화면 데이터(122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로 동작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제2 화면(126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웹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html)에 기초하여 제2 화면 데이터(1240)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the first screen data 1220 and the second screen data 1240 using different languages.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generate the first screen data 1220 based on a language (eg, xml) used to generate a user interface (UI)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ing as a web server may use a language (eg, html) used to generate a web page so that a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rough a web browser can display the second screen 1260. ), the second screen data 1240 may be generated.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제2 화면 데이터(1240)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할 URL(1250)을 모바일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URL(1250)은 모바일 단말기(20)가 접속할 주소, 포트 및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는 전송된 URL(1250)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 접속함으로써, 제2 화면 데이터(1240)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는 수신한 제2 화면 데이터(1240)를 이용하여 제2 화면(126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transmit, to the mobile terminal 20 , a URL 1250 to be ac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 to receive the second screen data 1240 . The URL 125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address, port, and protocol to be ac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 . The mobile terminal 20 can receive the second screen data 1240 by accessing the image forming device using the transmitted URL 1250 . The mobile terminal 20 may display the second screen 1260 using the received second screen data 1240 .

도 13은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에 의해서, 시각적 오브젝트가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isplaying a visual object on an image form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y a display extension function.

도 13을 참조하면, 확장 기능이 활성화 된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어 패널(13a)에 디스플레이된 제1 화면(1310a)과 모바일 단말기(20a)에 디스플레이된 제2 화면(1310b)을 맞바꿔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 패널(13a) 및 모바일 단말기(20a)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 패널(13a)에 디스플레이된 출력 설정 화면을 포함하는 제1 화면(1310a)이 모바일 단말기(20a)에 디스플레이되고, 모바일 단말기(20a)에 디스플레이된 출력물 프리뷰를 포함하는 제2 화면(1310b)이 제어 패널(13a)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 패널(13a) 및 모바일 단말기(20a)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extended function activated corresponds to a user's input, with a first screen 1310a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a and a second screen 1310b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a.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rol panel 13a and the mobile terminal 20a to exchange and display ). For exampl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first screen 1310a including an output setting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a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a, and a preview of the output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20a is displayed. The control panel 13a and the mobile terminal 20a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econd screen 1310b is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13a.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언어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 데이터를 제2 언어에 기초하여 생성된 화면 데이터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서버로 동작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는 모바일 단말기가 제1 화면(13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xml)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화면 데이터(1320)를 웹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html)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화면 데이터(1330)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웹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html)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화면 데이터(1360)를 화상 형성 장치의 UI(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언어(예를 들면, xml)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2 화면 데이터(1370)로 변환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onvert screen data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language into screen data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language. For example, an image forming device operating as a web server generates a user interface (UI) of the image forming device so that a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image forming device through a web browser can display the first screen 1350. The first screen data 1320 generated based on the language used (eg xml) is the first screen data 1330 generated based on the language used to create the web page (eg html) can be converted to 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nverts the second screen data 1360 generated based on a language (eg, html) used to generate a web page into a language (eg, html) used to create a user interface (UI)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xample, it may be converted into second screen data 1370 generated based on xml.

화상 형성 장치는 제2 화면 데이터(1370)를 이용하여 제어 패널(13b)이 제2 화면(138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 패널(13b)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화면 데이터(1330)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20b)가 제1 화면(1350)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모바일 단말기(20b)를 제어할 수 있다.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ontrol the control panel 13b to display the second screen 1380 by using the second screen data 1370 .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control the mobile terminal 20b to display the first screen 1350 by using the first screen data 1330 .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20b)가 제1 화면 데이터(1330)를 수신하기 위해 접속할 URL(1340)을 모바일 단말기(20b)로 전송할 수 있다. URL(1340)은 모바일 단말기(20b)가 접속할 주소, 포트 및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b)는 전송된 URL(1340)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로 접속함으로써, 제1 화면 데이터(1330)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b)는 수신한 제1 화면 데이터(1330)를 이용하여 제2 화면(13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transmit, to the mobile terminal 20b, a URL 1340 to be ac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b to receive the first screen data 1330. The URL 134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address, port, and protocol to be ac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b. The mobile terminal 20b can receive the first screen data 1330 by accessing the image forming device using the transmitted URL 1340 . The mobile terminal 20b may display the second screen 1350 using the received first screen data 1330 .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개시는 모바일 단말기의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프리뷰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민감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어 민감 정보에 대해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모바일 단말기의 가상 키보드를 통해서 텍스트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이미지 편집(예를 들면, 민감 정보를 마스킹)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기에게 웹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사, 종류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확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mot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preview image to a user through a high-resolution display of a mobile termina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a user's input for sensitiv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through a mobile terminal, security for sensitive information can be enhanced.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mote user convenience by receiving text input through a virtual keyboard of a mobile terminal familiar to the user.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mote user convenience by performing image editing (eg, masking sensitive information) through a mobile termina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y extension function can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r type of the mobile terminal by providing a web page to the mobile terminal by the image forming apparatus.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 방법들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method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or data executable by a computer or processor. It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such a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uch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include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magnetic tape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hard disk, solid-state disk (SSD), and may store instructions or software, related data, data files, and data structures, and may cause the processor or computer to execute instructions or It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software, related data, data files, and data structures.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Claims (15)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될 시각적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중에서 표시될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표시되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면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화상 형성 장치.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communication module for forming a network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devices;
processor; and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identify a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device;
Based on the type of the identified visual object, determining a device on which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among the image form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that the visual object is displayed on the mobile device, a screen on which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is generat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control data for the generate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민감 정보에 관련된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민감 정보에 관련된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상기 화면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Determine that a visual object related to sensitiv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Generating the screen including the visual object related to the sensitive information,
image form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 정보는
개인 정보, 보안이 필요한 정보 및 개인 정보와 보안이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URL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itive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and a URL for access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image form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된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들의 배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commands, identifies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identified plurality of visual objects, to generate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image form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웹 서버로 동작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웹 페이지 형태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es as a web server,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Crea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 web page,
image form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맞바꿈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화면을 맞바꿈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generating control data for swapping screen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interface device;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control data for switching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image form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재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instructions,
Regenera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an input received by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image forming device.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될 시각적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명령어;
상기 식별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기 중에서 표시될 장치를 결정하는 명령어;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표시되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명령어; 및
상기 생성된 화면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명령어; 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are stored,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mprising:
a command for identifying a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on a user interface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structions for determining a device on which the visual object will be displayed among the image forming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the identified visual object;
instructions for generating a screen on which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of displaying the visual object on the mobile device; and
a command for transmitting control data for the generate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기를 보조 디스플레이로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될 시각적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시각적 오브젝트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중에서 표시될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표시되는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화면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using a mobile terminal as an auxiliary display by an image form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identifying a visual object to be displayed on a user interface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etermining a device on which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among the image forming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the identified visual object;
generating a screen on which the visual object is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of displaying the visual object on the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control data for the generated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표시될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민감 정보에 관련된 시각적 오브젝트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민감 정보에 관련된 시각적 오브젝트가 포함된 상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vice on which the visual object will be displayed,
determining a visual object related to sensitiv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ing the screen including the visual object related to the sensitive information; including,
metho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민감 정보는
개인 정보, 보안이 필요한 정보 및 개인 정보와 보안이 필요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URL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The sensitive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and a URL for access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quiring security;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오브젝트가 표시될 장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된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복수의 시각적 오브젝트들의 배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vice on which the visual object will be displayed,
identifying a plurality of visual objects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identified plurality of visual objects, genera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웹 서버로 동작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웹 페이지 형태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es as a web server,
Crea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Crea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 web page,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된 화면을 맞바꿈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화면을 맞바꿈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method,
generating control data for exchanging screen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control data for switching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표시될 화면을 재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regenera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an input received by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method.
KR1020210144244A 2021-10-27 2021-10-27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KR2023006003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244A KR20230060039A (en) 2021-10-27 2021-10-27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PCT/US2022/024207 WO2023075830A1 (en) 2021-10-27 2022-04-11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244A KR20230060039A (en) 2021-10-27 2021-10-27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039A true KR20230060039A (en) 2023-05-04

Family

ID=8138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244A KR20230060039A (en) 2021-10-27 2021-10-27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0039A (en)
WO (1) WO2023075830A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9418B2 (en) * 2013-02-13 2017-06-21 株式会社リコー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KR20150055474A (en) * 2013-11-13 2015-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pop-up window thereof
KR20160076371A (en)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workflow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830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29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471284B2 (en)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5033956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725715B2 (en) Displaying information on terminal device based on terminal device type
JP2013093017A (en) Wireless printing from out-of-network device
JP50470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output system, data gener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958223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building a print application using a hybrid application
US11079993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rint execution processing where print data is transmitted to a folder
US96026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operation, and storage medium
US20130219260A1 (en) Instrument,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0017996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44756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0284852A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KR20230060039A (en) Extended display using mobile device
JP7087755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device
JP201402963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inting system
US20240040049A1 (en) Web browsing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generation server
US20240004944A1 (en) Web browser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40111822A1 (en) Web browsing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
US2011024260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control method
KR20230017975A (en) Setting printing data type
US2020017776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230034483A (en) notification DISPLAY with thumbnail of PRINT
JP2014021822A (en) Image processing system, control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220050640A (en) Providing Shortened URL and Information related Contents corresponding to Original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