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321A - Legs push exercise apparatus - Google Patents

Legs push exercis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321A
KR20230059321A KR1020210143387A KR20210143387A KR20230059321A KR 20230059321 A KR20230059321 A KR 20230059321A KR 1020210143387 A KR1020210143387 A KR 1020210143387A KR 20210143387 A KR20210143387 A KR 20210143387A KR 20230059321 A KR20230059321 A KR 20230059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frame portion
leg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
Priority to KR102021014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321A/en
Publication of KR2023005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3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1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with guided foot supports moving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by trans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리 밀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의자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 및 본체 프레임부를 연결한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단부에 구비된 발받침대를 다리로 밀어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 프레임부상에 본체 프레임부가 연결되어 회전프레임의 발받침대를 운동자가 자신의 체중과 대응되는 가압력으로 밀게 되면 본체 프레임부가 들어 올려져 효율적으로 운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Pushing the leg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the base frame portion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 body frame portion movably connected to the basic frame portion by a link and having a chair at one end; a rotating frame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body frame, and elevating the body frame by pushing a footrest provided at the end with a leg; and a handle frame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fram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dy fram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exerciser pushes the footrest of the rotating frame with a pressing force corresponding to his/her weight, the body frame portion is lifted, thereby enabling efficient movement.

Description

다리 밀기 {LEGS PUSH EXERCISE APPARATUS}Leg Push {LEGS PUSH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다리 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등에 설치되며, 다리로 미는 동작에 의해 운동자 자신의 몸을 들어올리면서 운동하는 다리 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p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g push installed outdoors and exercising while lifting the body of an exerciser by pushing with the leg.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놀이터 등과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야외에 설치하여 손쉽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운동기구가 널리 개발되어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exercise equipment is widely developed so that people can easily exercise by installing it in an outdoor place where people often visit, such as a park or a playground.

종래, 야외에 설치되는 운동기구는 다리 밀기용 운동기구, 자전거타기 운동기구, 상체 운동기구, 파도타기 운동기구, 런닝 운동기구 등 여러 가지의 운동기구가 알려져 있으며, 특히 다리 밀기용 운동기구는 베이스부재의 중앙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지주부재를 고정 설치하며, 좌대에 장치된 노가 전후로 작동되는 다리 밀기운동구를 지주부재의 좌우 측에 각각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Conventionally, various exercise equipment such as leg pushing exercise equipment, bicycle riding exercise equipment,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surfing exercise equipment, and running exercise equipment are known as exercise equipment installed outdoors. It is configured by fixing and installing a holding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member, and installing a leg pushing exercise too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lding member, respectively, in which a furnace installed on the seat is operated back and forth.

이러한, 다리 밀기용 운동기구인 레그 프레스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42369호에 제안된 바 있다.A technology related to the leg press, which is an exercise device for pushing legs, has been prop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42369.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다리로 발판을 미는 동작으로 운동하게 되므로 운동 효율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the exercise efficiency is limited because the exercise is performed by pushing the footrest with the leg.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42369호(2004.02.06)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42369 (2004.0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다리로 밀어 운동자 자신의 몸을 들어올리면서 운동 가능한 다리 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g push that can be exercised while lifting the exerciser's own body by pushing with the le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리 밀기는, 설치면에 안착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의자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 및 본체 프레임부를 연결한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단부에 구비된 발받침대를 다리로 밀어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Leg p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frame portion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 body frame portion movably connected to the basic frame portion by a link and having a chair at one end; a rotating frame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body frame, and elevating the body frame by pushing a footrest provided at the end with a leg; and a handle frame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frame portion.

상기 기초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이웃한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구비될 수 있다.A connecting rod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base frame part and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body frame part.

상기 기초 프레임부는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과,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정지프레임이 종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base frame unit may include spaced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and horizontal frames connec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and a stop fram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limit the lowering height of the body frame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 프레임부상에 본체 프레임부가 연결되어 회전프레임의 발받침대를 운동자가 자신의 체중과 대응되는 가압력으로 밀게 되면 본체 프레임부가 들어 올려져 효율적으로 운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dy fram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exerciser pushes the footrest of the rotating frame with a pressing force corresponding to his/her weight, the body frame portion is lifted, thereby enabling efficient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의 다리 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리 밀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리 밀기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리 밀기에서 전후 분할된 본체 프레임부의 전방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g pus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eg push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side views showing state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leg p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front of the front and rear divided body frame parts can be adjusted in the leg push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리 밀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leg pu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다리 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리 밀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리 밀기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리 밀기에서 전후 분할된 본체 프레임부의 전방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eg push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eg push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side views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the leg p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front of the front and rear divided body frame parts can be adjusted in the leg pu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밀기(100)는 기초 프레임부(110), 본체 프레임부(120), 회전프레임(130), 의자(140) 및 핸들 프레임부(150)를 포함한다.1 to 5, a leg pus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10, a body frame 120, a rotation frame 130, a chair 140, and a handle frame. Includes section 150.

이때, 기초 프레임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 구조로 구비되고, 본체 프레임부(120) 및 핸들 프레임부(150)는 원형파이프 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변경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base frame unit 110 is provided with a square pip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nd the body frame unit 120 and the handle frame unit 150 are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with a circular pipe structur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is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subject to change.

기초 프레임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직립 상태로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과,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된 수평프레임(116) 및 수평프레임(116)에 기초 프레임부(110)와 본체 프레임부(120)의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112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종방향으로 연결된 정지프레임(114b)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base frame unit 110 is formed in an "H" shape on the side, and includes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112 and 114 spaced apart in an upright state, and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112 , 114) and the horizontal frame 116 connec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frame 116 to the base frame unit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unit 120. Limit the lowering height of the connecting rod 1120 It includes a still frame (114b)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더욱이, 기초 프레임부(110)는 전후방 수직프레임(112, 114)의 하부에 설치면에 볼트로 고정 가능하도록 제1, 2 고정구(112a, 114a)가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base frame unit 110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ixtures 112a and 114a, respectively, to be bolt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112 and 114 to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surfaces.

후방 수직프레임(114)은 상단에 연결대(112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1120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top of the rear vertical frame 114.

본체 프레임부(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초 프레임부(110)에서 링크에 의해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일단부가 기초 프레임부(110)의 전방 수직프레임(112)과 연결편(11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에 의자(14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body frame portion 120 is formed in a "┘" shape on the side, and is provided by a link in the base frame portion 110, and the front end portion is the base frame portion. I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ont vertical frame 112 and the connection piece 1140 of 110, and a chair 14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더욱이, 본체 프레임부(120)는 하부에 경사진 제1 연장프레임(122)이 구비되어 연결대(112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Moreover, the body frame unit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extension frame 122 inclined at the bottom,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table 1120 is rotatably connected.

도 5를 참조하면, 본체 프레임부(120)는 선단이 전후로 분리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체 프레임부(120)가 전방 프레임(1210)과 후방 프레임(1220)으로 분할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전방 프레임(1210)의 후단과 후방 프레임(1220)의 선단에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전방 프레임(1210)과 후방 프레임(1220)의 나선돌기에 나선 체결되며, 내주면 양단의 나선 방향이 반대인 나선홀을 형성한 회전부(123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length of the body frame unit 120 can be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is separated from the front and back. To this end,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frame unit 120 is divided into a front frame 1210 and a rear frame 1220, the rear end of the front frame 1210 and the front end of the rear frame 1220 have opposite spiral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rotating part 1230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screwed to the screw protrusions of the front frame 1210 and the rear frame 1220, and spiral holes having opposite spiral directions at both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따라서, 회전부(123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부(1230)의 양단에 나선 체결된 전방 프레임(1210)과 후방 프레임(1220)의 간격이 줄거나 넓어진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 unit 1230 is rotated in either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frame 1210 and the rear frame 1220 screwed to both ends of the rotation unit 1230 is reduced or widened.

더욱이, 전방 프레임(1210)과 후방 프레임(1220)에는 대향된 단부가 회전부(1230)에 나선 체결된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회전부(1230)의 상하면에 밀착 체결된 제1, 2 풀림방지부(1232, 1234)가 구비된다.Furthermore, the first and second anti-loosening parts ( 1232, 1234) are provided.

이때, 제1, 2 풀림방지부(1232, 1234)는 나선홀이 각각 형성된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나선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전방 프레임(1210)의 나선돌기를 회전부(1230)의 전면에 고정시키고, 후방 프레임(1220)의 나선돌기를 회전부(1230)의 후면에 고정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anti-loosening parts 1232 and 1234 are formed in a nut shape with spiral holes, respectively, and the spiral direction is reversed, fixing the spiral protrusion of the front frame 1210 to the front of the rotation unit 1230 , The screw protrusion of the rear frame 1220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on unit 1230.

회전프레임(13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연결판(1140)의 상단에 고정되어 연결판(1140)과 연동되며, 상측에 직교 방향으로 구비된 발받침대(132)를 다리로 밀면서 본체 프레임부(120)를 상승시킨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rotating frame 130 is fixed to the top of the connecting plate 1140 rotatably provided at the top of the front vertical frame 112 and interlocks with the connecting plate 1140, and the upper side The body frame portion 120 is raised while pushing the footrest 132 provid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the leg.

즉, 회전프레임(130)은 운동자가 발(F)로 가압하게 되면,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상단과 연결판(1140)의 하단과의 연결 기점을 기준으로 다리 밀기(100)의 전방을 향해 회전되면서 연결판(1140)의 후단과 본체 프레임부(120)의 선단과의 연결 지점이 하향 회전되므로 본체 프레임부(120)가 상승하게 된다.That is, the rotating frame 130 moves the front of the leg pushing 100 based on the starting point of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ront vertical frame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1140 when the exerciser presses with the foot F. While being rotated towar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late 1140 and the front end of the body frame unit 120 is rotated downward, so that the body frame unit 120 rises.

그리고 회전프레임(130)의 회전시 본체 프레임부(120)의 제1 연장프레임(122)와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상면 사이에 연결된 연결대(1120) 역시 하향 회전된다.Also, when the rotating frame 130 rotates, the connecting rod 1120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frame 122 of the body frame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vertical frame 112 is also rotated downward.

의자(1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에 운동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 수평 부분에 고정되는 안장(132)과, 본체 프레임부(120)의 후방 단부에 경사진 부분에 고정되는 등받이(13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chair 140 is provided so that an exerciser can sit on the rear of the body frame 120, and the saddle 132 fixed to the rear horizontal portion of the body frame 120 and , It includes a backrest 134 fixed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body frame portion 120.

핸들 프레임부(15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형상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본체 프레임부(120)에 고정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handle frame portion 150 is fixed to the body frame portion 120 while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 “∪” shape, and handles are provided at both ends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리 밀기(100)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such,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leg push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운동자가 의자(14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발받침대(132)에 발(F)을 밀착시킨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exerciser is seated on the chair 140, the foot F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ootrest 132.

다음으로, 운동자가 발(F)로 발받침대(132)를 밀게 되면 회전프레임(130)이 고정된 연결판(1140)의 하단이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상단과의 연결 기점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되고, 연결판(1140)의 회전에 의해 연결판(1140)의 후단과 본체 프레임부(120)의 선단과의 연결 기점이 회전됨과 동시에 본체 프레임부(120)의 제1 연장프레임(122)과 후방 수직프레임(114)의 상면 사이에 연결된 연결대(1120)가 연동되면서 본체 프레임부(120)가 상승하게 된다.Next, when the exerciser pushes the footrest 132 with the foot F,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late 1140 to which the rotating frame 130 is fixed is forward based on the connection starting point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vertical frame 112. , and the starting point of connection between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1140 and the front end of the body frame part 1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connecting plate 114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extension frame 122 of the body frame part 120 is rotated.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vertical frame 114, the body frame unit 120 rises as the connecting rod 1120 is interlocked.

이때, 운동자는 핸들 프레임부(150)를 손(H)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발받침대(132)를 밀어 안전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xerciser maintains a safe posture by pushing the footrest 132 while holding the handle frame portion 150 with the hand H.

그 후에 발받침대(132)을 밀고 있던 발(F)에 힘을 서서히 빼면 회전프레임(130)이 고정된 연결판(1140)의 하단이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상단과의 연결 기점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되고, 연결판(1140)의 회전에 의해 연결판(1140)의 후단과 본체 프레임부(120)의 선단과의 연결 기점이 회전됨과 동시에 본체 프레임부(120)의 제1 연장프레임(122)과 전방 수직프레임(112)의 상면 사이에 연결된 연결대(1120)가 연동되면서 본체 프레임부(120)가 하강하게 된다.After that, when the foot F pushing the footrest 132 is slowly release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1140 to which the rotating frame 130 is fixed is based on the connection starting point with the upper end of the front vertical frame 112. The first extension frame of the body frame unit 120 ( 12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vertical frame 112, the body frame unit 120 descends as the connecting rod 1120 is interlocked.

다음으로, 운동 종료시 기초 프레임부(110)의 하부와 후방 수직프레임(114)을 연결한 연결대(1120)가 하향 회전되면서 정지프레임(114b)에 의해 하강 위치가 제한된다.Next, at the end of the movemen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unit 110 and the rear vertical frame 114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1120, which is rotated downward, and the lowering position is limited by the stop frame 114b.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다리 밀기
110: 기초 프레임부
120: 본체 프레임부
130: 회전프레임
140: 의자
150: 핸들 프레임부
100: leg push
110: base frame part
120: body frame part
130: rotation frame
140: chair
150: handle frame part

Claims (3)

설치면에 안착되는 기초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에 링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에 의자가 구비되는 본체 프레임부;
상기 기초 프레임부 및 본체 프레임부를 연결한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단부에 구비된 발받침대를 다리로 밀어 상기 본체 프레임부를 상승시키는 회전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밀기.
Foundation frame portion seat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a body frame portion movably connected to the basic frame portion by a link and having a chair at one end;
a rotating frame rotatably fixed to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body frame, and elevating the body frame by pushing a footrest provided at the end with a leg; and
The leg pus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frame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fram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프레임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이웃한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밀기.
According to claim 1,
Pushing the leg,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rod is provided for connecting the base frame portion and the other end adjacent to the body fram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프레임부는 이격 배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과, 상기 전후방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수평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 상기 본체 프레임부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정지프레임이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밀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fram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rizontal frame is connected between spaced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and the front and rear vertical frames, and a stop frame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limit the lowering height of the body frame unit to the horizontal frame leg push.
KR1020210143387A 2021-10-26 2021-10-26 Legs push exercise apparatus KR202300593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87A KR20230059321A (en) 2021-10-26 2021-10-26 Legs push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87A KR20230059321A (en) 2021-10-26 2021-10-26 Legs push exercis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321A true KR20230059321A (en) 2023-05-03

Family

ID=8638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387A KR20230059321A (en) 2021-10-26 2021-10-26 Legs push exercis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32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369B1 (en) 1994-08-31 2002-10-3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Gas Insulated Switchge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369B1 (en) 1994-08-31 2002-10-3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Gas Insulated Switchg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553209U (en) Squatting and straighting exercise equipment
CN213313187U (en) Device is tempered with shank to nursing of old internal medicine
KR20230059321A (en) Legs push exercise apparatus
CN214512510U (en) Old person takes exercise equipment with shank
KR102459992B1 (en) Upside down exercise equipment
KR102522850B1 (en) Barbell exercise apparatus
KR20140024581A (en) Bicycle supporting device for indoor exercise
KR102434939B1 (en) Bench press
CN108525199B (en) Space walker
KR102434920B1 (en) Stair climbing exercise apparatus
KR102434937B1 (en) Barbell lifting exercise apparatus
KR102434911B1 (en) Barbell down exercise apparatus
JP3208290U (en) A chair with the function of an exercise bike
CN219423657U (en) Rehabilitation exercise bicycle
CN217794348U (en) Four limbs muscl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KR20150112303A (en) parallel bars
CN216798606U (en) Body-building stool with many user states
CN215916373U (en) Convenient operation's shank strength training ware
US11801418B2 (en) Fitness equipment, in particular weight bench
CN204447095U (en) Fitness equipment is pedaled under a kind of outdoor dead-weight
CN212369490U (en) Children rehabilitation training frame
CN110585660A (en) Multipurpose body-building equipment
KR101144592B1 (en) Leg press training equipment for installation on tourist spot, park, leisure complex and housing lots
CN212067577U (en) Le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19614829U (en) Walk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