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282A -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282A
KR20230059282A KR1020210143309A KR20210143309A KR20230059282A KR 20230059282 A KR20230059282 A KR 20230059282A KR 1020210143309 A KR1020210143309 A KR 1020210143309A KR 20210143309 A KR20210143309 A KR 20210143309A KR 20230059282 A KR20230059282 A KR 20230059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ief
flood
possibility
evaluation index
rescu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영진
Original Assignee
(주)헤르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르메시스 filed Critical (주)헤르메시스
Priority to KR102021014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282A/ko
Publication of KR20230059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는, 분석 대상 영역을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한 영역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분석 대상 영역 내의 홍수 발생시 구호를 수행하는 구호 시설물 및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구호를 받는 피구호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정보 획득부;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위치정보와 상기 구호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홍수 발생시 상기 구호 시설물에 의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구호가능성 분석부; 및 상기 각 격자 셀 내에 포함되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기초로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상기 격자 셀별로 산출하는 지표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홍수 위험도 평가시 적용되는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실제에 최대한 부합하게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ALCULATING INDEX OF FLOOD RISK ASSESS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 영역별로 홍수에 의한 위험 정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산출하는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거건물과 사회기반 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에 홍수가 발생할 경우 인명 및 재산 피해는 크게 증가된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에서는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는 방재대책의 일환으로 지역안전도와 같은 지자체별 위험도 평가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안전도는 홍수뿐만 아니라 풍수해 전반에 걸친 평가로서 다른 요인들도 평가에 포함되기 때문에, 지자체별 홍수 위험에 대한 방재 역량을 평가하는데 부족함이 있다.
홍수 위험도 평가는 홍수 발생 가능성 및 홍수 노출시의 취약성, 대응·복구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지역별로 홍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이때, 강우의 확률적인 패턴, 해당 지역 내 건물의 노후화 수준, 인구 분포, 방재시설, 재난 방재를 위한 지역예산 등이 평가 지표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표 기반 분석을 진행할 때, 홍수 위험도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 지표별 값을 분석 단위별로 정확하게 산출하여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홍수 위험도 평가 방법에 의하면, 방재시설 등과 같은 홍수 피해 저감에 기여하는 평가지표는 행정 구역 단위의 구조 역량을 평균화한 값을 해당 행정 구역에 포함되는 세부 영역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 구역보다 세분화된 공간 영역별로 홍수 위험도를 평가할 때에는 각 영역별 지표값이 정확하게 반영되지 못하여 세분화된 공간 영역별 홍수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분석 기준이 되는 공간 영역별로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면 홍수 위험도 평가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43905호 (2006.01.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홍수 위험도 평가시 홍수 피해 저감에 관한 각 단위 영역별 평가지표의 값을 정량화할 수 있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에 있어서, 분석 대상 영역을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한 영역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분석 대상 영역 내의 홍수 발생시 구호를 수행하는 구호 시설물 및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구호를 받는 피구호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정보 획득부;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위치정보와 상기 구호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홍수 발생시 상기 구호 시설물에 의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구호가능성 분석부; 및 상기 각 격자 셀 내에 포함되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기초로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상기 격자 셀별로 산출하는 지표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호가능성 분석부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과 상기 구호 시설물의 거리 또는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상기 피구호 대상물로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을 기초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호가능성 분석부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과 상기 구호 시설물 간의 미리 결정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소요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구호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기준 거리 또는 상기 기준 소요 시간은, 상기 격자 셀별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거리 또는 상기 기준 소요 시간은, 상기 구호 시설물의 면적 또는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각 구호 시설물별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구호 대상물은 건물이며, 상기 지표값 산출부는, 상기 평가지표 값의 산출시,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면적, 또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사람의 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호가능성 분석부는, 소정 시간대별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각각 분석하고, 상기 지표값 산출부는, 소정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평가지표 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호가능성 분석부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과 상기 구호 시설물 간의 거리, 상기 구호 시설물의 면적,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 및 상기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평균 면적을 변수로 하는 함수식에 따라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홍수 위험도 분석 대상 영역을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한 영역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영역 내의 홍수 발생시 구호를 수행하는 구호 시설물 및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구호를 받는 피구호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위치정보와 상기 구호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홍수 발생시 상기 구호 시설물에 의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격자 셀 내에 포함되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기초로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상기 격자 셀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홍수 위험도 평가시 적용되는 각 영역별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의 산출시, 지표 값에 영향을 미치는 각 영역의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제에 부합하는 지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표 기반 홍수 위험도 평가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격자 데이터의 일 예;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구호가능성 분석부에 의하여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는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비롯하여, 분석 대상 지역의 홍수 위험도 평가시 기준으로 적용되는 평가지표 값을 산출한다. 참고로, 홍수 위험도는 여러 평가항목 및 세부지표를 이용하여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가항목의 일 예로서, 재해에 대한 위험요인을 나타내는 Hazard 항목, 홍수 위험요인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자산에 관한 Exposure 항목, 위 Exposure를 구성하는 세부지표와 연관된 취약성에 관한 Vulnerability 항목, 홍수 피해 저감에 기여하는 Capacity 항목을 들 수 있다. 홍수 위험도는 위 항목들을 구성하는 세부지표별 값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된 분석 대상 지역별 홍수 위험도 평가지수를 기초로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 메모리(20), 및 프로세서(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홍수 위험도 평가시 활용되는 평가지표 값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각종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마우스, 키보드, 버튼, 키패드 등의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장치, 및 입력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분석 결과 등을 비롯하여 각종 영상 및 정보를 표시하는 LCD, OLED, Q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0)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 소자로 구현되어,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100)의 다양한 운영체제(OS), 미들웨어, 플랫폼, 분석 대상 지역의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값을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로는 과거 관측 강우량을 기초로 빈도해석을 통하여 빈도별, 지속기간(지속시간)별로 산정된 강우량인 확률강우량, 소정 지속기간 동안의 최대강우량, 총 건축물수, 총 인구수, 공시지가, 소정 기준보다 노후된 노후 건축물 비율, 10세 이하와 60세 이상의 인구 비율인 의존인구 비율, 소방소를 비롯하여 홍수로 인한 피해 등을 예방하기 위해 설립한 시설인 방재시설 개수, 방재시설 분포밀도, 지자체에 배정된 재난방재예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값을 산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영역격자 데이터를 저장한다. 영역격자 데이터는 분석 대상 영역을 소정의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한 래스터 포맷(raster format) 또는 사각형 벡터 포맷(vector format)데이터이다. 만약, 홍수 위험도를 산출할 분석 대상 영역이 대한민국 전역이라면, 영역격자 데이터는 대한민국 전역을 소정 해상도에 따른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한 것이다. 분할된 각 격자 셀에는 추후 격자 셀 단위 연산 및 프로세싱을 위하여 격자 셀의 식별을 위한 아이디가 부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격자 데이터의 일 예로서, 영역격자 데이터의 일부로서 여주시와 이천시 경계 지역에 대한 영역격자 데이터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500m 간격으로 분석 대상 영역을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하고, 각 격자 셀마다 아이디가 부여된 예를 보여준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일 예시로서 500m 간격으로 분할된 예를 보여주나, 홍수피해 위험지수를 산출할 단위 지역의 크기 및 구분에 따라 분할 해상도는 달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영역격자 데이터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으나, 국가 표준으로서 국토지리정보원을 비롯한 유관기관에서 제공하는 격자 데이터를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0m 간격 국가지점번호 체계 등이 활용 가능하다.
프로세서(30)는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분석 단위 영역별로 산출한다.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는, 홍수 위험도 분석시 홍수 피해 저감에 기여하는 Capacity 항목의 세부지표 값 중 하나로서, 재난방재예산, 홍수 예방대책 추진 정도, 방재시설에 관한 다른 세부지표 값과 함께 홍수 위험도 평가지수 산출시 적용될 수 있다.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은 해당 영역에서 홍수가 발생하였을 때 대응 가능한 정도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프로세서(30)는 영역격자 데이터의 격자 셀별, 및 미리 결정된 단위 영역에 대하여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홍수 위험도를 시군구 단위, 읍면동 단위, 유역 단위 등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단위 영역별로 산출한다고 가정할 때, 프로세서(30)는 단위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 셀들의 평가지표 값을 처리하여 해당 단위 영역에 대한 평가지표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30)는 객체정보 획득부(31), 구호가능성 분석부(33), 및 지표값 산출부(35)를 포함한다.
객체정보 획득부(31)는 분석 대상 영역에 대하여, 분석 대상 영역 내의 구호 시설물 및 피구호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구호 시설물은, 홍수 발생시 구호를 수행하는 시설물로서, 소방서, 경찰서를 비롯한 기타 재난구호시설을 포함한다. 또한, 피구호 대상물은, 홍수 발생시 구호 시설물에 의하여 구호를 받는 객체로서, 예컨대, 홍수가 발생된 상업용 건물, 주거용 건물, 공업용 건물을 비롯한 기타 건축물이 될 수 있다. 이때, 획득되는 정보는 구호 시설물 및 피구호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이 외에도 시설(대상)물의 종류, 시설(대상)물의 면적, 내부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인구 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정보 획득부(31)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영역 내의 각 구호 시설물 및 피구호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자료를 입력받거나, 또는 유관기관 서버로부터 해당 자료를 수신할 수도 있다. 객체정보 획득부(31)는 입력 또는 수신한 자료를 기초로 영역격자 데이터의 각 격자 셀의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구호 시설물 및 피구호 대상물을 파악하여, 각 격자 셀별로 정리할 수 있다.
구호가능성 분석부(33)는 피구호 대상물의 위치정보와 구호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홍수 발생시 구호 시설물에 의한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한다.
구호가능성 분석부(33)는 피구호 대상물과 구호 시설물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피구호 대상물과 구호 시설물 간의 거리 또는 구호 시설물로부터 피구호 대상물로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또는 소요 시간에 따라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피구호 대상물과 구호 시설물의 거리는 직선 거리, 도로상 거리가 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구호가능성 분석부(33)에 의하여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대상 영역에 3개의 피구호 대상물(p1, p2, p3)이 존재하고, 2개의 구호 시설물(f1, f2)이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며, 도달 소요 시간에 따라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구호가능성 분석부(33)는 구호 대상물이 피구호 시설물을 구호하는 것이 가능한 소요 시간 또는 거리에 대한 기준인 기준 소요 시간 또는 기준 거리를 미리 설정해두고, 피구호 대상물과 구호 대상물 간의 소요 시간 또는 거리를 위 설정된 기준 소요 시간 또는 기준 거리와 비교하여 구호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t1 내지 t3은 구호 시설물 f1과 각 피구호 대상물(p1, p2, p3) 간의 도달 소요 시간을 나타내며, t4 내지 t6는 구호 시설물 f2와 각 피구호 대상물(p1, p2, p3) 간의 도달 소요 시간을 나타낸다. 구호가능성 분석부(33)는 t1 내지 t6과 소정의 설정 기준을 비교하여 다음의 표와 같이 구호 시설물에 의한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 여부를 도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구호 가능성은 분석 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피구호 대상물에 대하여 분석되며, 이때, 구호 가능성의 분석 결과는, 위 표 1의 종합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구호 시설물에 의한 구호가 가능하면 true, 불가능하면 false 값으로서 구호의 가능 여부에 따라 택일적으로 값이 부여될 수 있다.
이는 구호 가능성 분석의 일 예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다음의 표 2의 종합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호 가능 정도에 따라 미리 구분된 레벨 내지 등급으로 부여될 수도 있다. 예컨대, p1, 및 p2는 1개의 구호 시설물에 의해서만 구호가 가능하지만, p3는 2개의 구호 시설물에 의한 구호가 가능하므로 p1, 및 p2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레벨이 부여되어 구호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구호가능성 분석부(33)는 소정 시간대별로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각각 분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출근 시간대, 또는 퇴근 시간대에는 교통 체증으로 인하여 구호 시설물로부터 피구호 대상물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므로, 출근/퇴근 시간대에는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구호 가능성이 작아질 수 있다. 이처럼, 시간대에 따라 해당 피구호 대상물에 대한 구호 가능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구호가능성 분석부(33)는 하루를 몇 개의 시간대로 나누고, 각 시간대별로 구호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각 시간대마다 구호 가능성 판단을 위한 기준 소요 시간 및 기준 거리 값이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구호 가능성 분석을 위한 기준 소요 시간 또는 기준 거리는 격자 셀별로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격자 셀 내부에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셀 내부에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가 적은 격자 셀보다 상대적으로 기준 소요 시간 및 기준 거리가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가 적을 때에는 소요 시간이나 거리가 크더라도 구호가 가능할 수 있으나,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가 많을 때에는 사실상 구호 시설물이 먼 곳에 있는 피구호 대상물까지 구호하기 어려운 사정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이와 유사한 이유로 전술된 격자 셀 내부의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 뿐 아니라 격자 셀 내부의 피구호 대상물의 면적, 또는 피구호 대상물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사람의 수를 고려하여 기준 소요 시간 또는 기준 거리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격자 셀 내부의 피구호 대상물의 평균 면적이 넓거나, 또는 피구호 대상물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사람의 수가 많은 격자 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기준 소요 시간 또는 기준 거리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소요 시간은, 격자 셀 내부의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 면적, 거주 또는 체류하는 사람의 수에 반비례 관계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소요 시간은, 격자 셀별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으나, 각 구호 시설물마다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구호 시설물의 면적 또는 구호 시설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를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구호 시설물의 면적이 크면 면적이 작은 경우보다 구호 시설물의 구호 역량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소요 시간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 해당 구호 시설물의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가 적을 때에는 인접 피구호 대상물이 많을 때보다 주변에 위치한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이 커지므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소요 시간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가 많을 때에는 거리가 가깝거나 소요 시간이 작게 걸리더라도 사실상 구호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소요 시간을 더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소요 시간은 구호 대상물의 면적에 비례하고,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에 반비례 관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호 가능성 분석의 기준이 되는 기준 소요 시간 및 기준 거리는 격자 셀별, 또는 각 구호 시설물마다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위 두 가지가 함게 적용됨으로써, 각 격자 셀마다 기준이 다름과 동시에 동일 격자 셀의 각 구호 시설물마다 기준이 달리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피구호 대상물과 구호 대상물 간의 소요 시간 또는 거리를 미리 설정된 기준 소요 시간 또는 기준 거리와 각각 비교하여 true/false, 또는 미리 결정된 레벨이나 등급으로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전술된 실시예와 다른 방식으로서, 구호 가능 정도에 따라 소정 기준에 의한 구체적인 수치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구호 가능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값은 함수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피구호 대상물과 구호 시설물 간의 거리(또는 도달 소요 시간), 구호 시설물의 면적, 구호 시설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 및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평균 면적을 변수로 하는 함수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함수식에서, 구호 시설물은 피구호 대상물과 거리상 가장 가깝거나 또는 도달 소요 시간이 가장 짧은 구호 시설물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피구호 대상물과 소정 거리 또는 도달 소요 시간 내에 존재하는 구호 대상물을 각각 함수식에 적용하고, 각 구호 대상물에 대응하는 함수 값을 합산하거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해당 피구호 대상물에 대한 구호 가능성을 수치값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지표값 산출부(35)는 영역격자 데이터의 각 격자 셀 내부에 포함되는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기초로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격자 셀별로 산출한다. 구호가능성 분석부(33)가 소정 시간대별로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한 경우, 지표값 산출부(35)는 각 시간대에 대응하는 평가지표 값을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지표값 산출부(35)는 각 격자 셀 내부에 포함되는 피구호 대상물들의 구호 가능성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해당 격자 셀의 평가지표 값을 산출한다. 평가지표 값 산출은 미리 결정된 기준에 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표 1과 같이 각 피구호 대상물에 대하여 true 또는 false로 구호 가능성이 택일적으로 도출된 경우, 지표값 산출부(35)는 구호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 격자 셀 내부의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를 격자 셀 내부의 피구호 대상물의 총 개수로 나누어 지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격자 셀 'A'에서, 총 피구호 대상물이 15개이고, 구호 가능한 피구호 대상물이 9개인 경우, 지표 값은 9/15=0.6으로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지표값 산출부(35)는 격자 셀 내부의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기초로 평가지표 값의 산출시, 피구호 대상물의 면적, 피구호 대상물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사람의 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하게 구호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 경우라도 실질적으로 피구호 대상물의 면적이 더 크고 체류 또는 거주하는 사람의 수가 많은 피구호 대상물일 때 방재 역량이 더 크다고 봄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표값 산출부(35)는 면적이 더 크고, 체류 또는 거주하는 사람의 수가 많은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 결과에 상대적으로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해당 격자 셀에 대한 평가지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지표값 산출부(35)를 통하여 산출된 평가지표 값은 영역격자 데이터의 각 격자 셀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격자 셀별 평가지표 값을 기초로 홍수 위험도 분석 단위영역에 따른 평가지표 값이 산출된다. 예컨대, 시군구 단위로 홍수 위험도를 분석한다고 가정할 때, 서울시에 대한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은 서울시에 포함되는 격자 셀들의 평가지표 값들의 평균 값 등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100) 구성의 유기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100)는 분석 대상 영역을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한 영역격자 데이터를 저장한다(S10). 영역격자 데이터는 평가지표 값 산출의 기준이 된다.
또한, 분석 대상 영역 내의 구호 시설물 및 피구호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S20). 정보는 위치 정보, 면적, 용도, 체류 또는 거주하는 사람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유관기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홍수 발생시 구호 시설물에 의한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한다(S30). 구호 가능성은 구호 가능 여부에 따라 true/false로 도출될 수도 있으며, 또는 구호 가능 정도를 반영하여 미리 설정된 레벨 또는 등급으로 도출되거나 피구호 대상물과 구호 시설물 간의 거리, 구호 시설물의 면적, 구호 시설물의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 및 면적을 변수로 하는 미리 저장된 함수식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수치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어서, 각 격자 셀 내부에 포함되는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기초로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이 격자 셀별로 산출된다(S40). 산출된 평가지표 값은 각 격자 셀 값으로 저장되며, 홍수 위험도 분석 단위 영역에 포함되는 격자 셀 값들은 해당 단위 영역에 대한 홍수 위험도 분석에 적용될 수 있다.
각 단위 영역별 평가지표 값 또는 분석된 홍수 위험도는 그 크기값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이나 표식으로 시각화 처리되어 한눈에 여러 단위 영역의 평가지표 값이나 홍수 위험도를 비교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100)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홍수 위험도 평가시 적용되는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실제에 최대한 부합하게 산출함으로써 홍수 위험도 평가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메모리
30: 프로세서 31: 객체정보 획득부
33: 구호가능성 분석부 35: 지표값 산출부

Claims (9)

  1.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에 있어서,
    분석 대상 영역을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한 영역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분석 대상 영역 내의 홍수 발생시 구호를 수행하는 구호 시설물 및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구호를 받는 피구호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객체정보 획득부;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위치정보와 상기 구호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홍수 발생시 상기 구호 시설물에 의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구호가능성 분석부; 및
    상기 각 격자 셀 내에 포함되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기초로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상기 격자 셀별로 산출하는 지표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가능성 분석부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과 상기 구호 시설물의 거리 또는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상기 피구호 대상물로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소요 시간을 기초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가능성 분석부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과 상기 구호 시설물 간의 미리 결정된 기준 거리 또는 기준 소요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 또는 상기 기준 소요 시간은, 상기 격자 셀별로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거리 또는 상기 기준 소요 시간은, 상기 구호 시설물의 면적 또는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각 구호 시설물별로 상이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호 대상물은 건물이며,
    상기 지표값 산출부는, 상기 평가지표 값의 산출시,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면적, 또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는 사람의 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가능성 분석부는, 소정 시간대별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각각 분석하고,
    상기 지표값 산출부는, 소정 시간대에 대응하는 상기 평가지표 값을 각각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호가능성 분석부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과 상기 구호 시설물 간의 거리, 상기 구호 시설물의 면적,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개수, 및 상기 인접 피구호 대상물의 평균 면적을 변수로 하는 함수식에 따라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9. 홍수 위험도의 평가지표를 산출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방법에 있어서,
    홍수 위험도 분석 대상 영역을 격자 셀 단위로 분할한 영역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분석 대상 영역 내의 홍수 발생시 구호를 수행하는 구호 시설물 및 상기 구호 시설물로부터 구호를 받는 피구호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위치정보와 상기 구호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홍수 발생시 상기 구호 시설물에 의한 상기 각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격자 셀 내에 포함되는 상기 피구호 대상물의 구호 가능성을 기초로 홍수 방재 역량에 관한 평가지표 값을 상기 격자 셀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방법.
KR1020210143309A 2021-10-26 2021-10-26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59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09A KR20230059282A (ko) 2021-10-26 2021-10-26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309A KR20230059282A (ko) 2021-10-26 2021-10-26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282A true KR20230059282A (ko) 2023-05-03

Family

ID=8638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309A KR20230059282A (ko) 2021-10-26 2021-10-26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6628A (zh) * 2023-11-23 2024-02-13 郑州大学 一种智慧城市洪涝风险评估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05B1 (ko) 2003-12-24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관리 공간영상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05B1 (ko) 2003-12-24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관리 공간영상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6628A (zh) * 2023-11-23 2024-02-13 郑州大学 一种智慧城市洪涝风险评估系统
CN117556628B (zh) * 2023-11-23 2024-05-28 郑州大学 一种智慧城市洪涝风险评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g et al. An integrated physical-social analysis of disrupted access to critical facilities and community service-loss tolerance in urban flooding
Coad et al. Widespread shortfalls in protected area resourcing undermine efforts to conserve biodiversity
JP6770125B2 (ja) 建築物改装に伴う損害防止の推定
Aydin et al. Integration of stress testing with graph theory to assess the resilience of urban road networks under seismic hazards
Freire et al. Integrating population dynamics into mapping human exposure to seismic hazard
Pavlova et al. Global overview of the geological hazard exposure and disaster risk awareness at world heritage sites
Jurgilevich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dynamics in climate risk and vulnerability assessments
Kappes et al. Challenges of analyzing multi-hazard risk: a review
US10909647B2 (en) Damage data propagation in predictor of structural damage
Irumba Spatial analysis of construction accidents in Kampala, Uganda
Meyer et al. Flood risk assessment in European river basins—concept, methods, and challenges exemplified at the Mulde river
Dall’Osso et al. Revision and improvement of the PTVA-3 model for assessing tsunami building vulnerability using “international expert judgment”: introducing the PTVA-4 model
McGrath et al. Sensitivity analysis of flood damage estimates: A case study in Fredericton, New Brunswick
Ceyhan et al. Exploratory and inferential methods for spatio-temporal analysis of residential fire clustering in urban areas
US10740684B1 (en) Method and system to predict the extent of structural damage
KR102278683B1 (ko) 홍수피해 위험지수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Liu et al. Measuring and mapping the flood vulnerability based on land-use patterns: A case study of Beijing, China
US10915829B1 (en) Data model update for structural-damage predictor after an earthquake
Strouth et al. Societal risk evaluation for landslides: historical synthesis and proposed tools
KR20230059282A (ko) 홍수 위험도 평가지표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Shah et al. A review on hazard risk assessment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Comes et al. Decision support for disaster risk management: Integrating vulnerabilities into early-warning systems
Indrayani et al. Employing a local framework and GIS to evaluate the flood risk index maps of Makassar City, Indonesia
Babukova et al. Challenges ahead the creation of geo databases for multi-risk assessment in Republic of Bulgaria
de Moraes An impact-based forecast system developed for hydrometeorological hazar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