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039A -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 Google Patents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039A
KR20230059039A KR1020210143058A KR20210143058A KR20230059039A KR 20230059039 A KR20230059039 A KR 20230059039A KR 1020210143058 A KR1020210143058 A KR 1020210143058A KR 20210143058 A KR20210143058 A KR 20210143058A KR 20230059039 A KR20230059039 A KR 20230059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eg
epilepsy
brain wa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철훈
김윤지
허성권
현아림
송승준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039A/en
Publication of KR2023005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0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94Diagnosing or monitoring seizure diseases, e.g. epile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 측정 센서부를 포함하며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웨어러블기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측정되는 뇌전증 환우의 뇌파 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환우의 뇌파 변화를 관리하고 뇌전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디스플레이, 사운드부, 통신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뇌전증 환우 케어 애플리케이션과 뇌파 정보 제어부를 탑재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환우 정보 및 연락처, 복약 현황, 및 긴급 연락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 제공부,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뇌파 데이터를 관리하고 뇌파 변화 및 발작 시간을 포함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여 수치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로 뇌파 변화를 제공하는 뇌파 데이터 관리부, 진료 일자 정보를 제공하고 진료 일정을 알려주는 진료일정 관리부, 복용약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복약 관리부를 포함하는 뇌전증 케어 및 뇌파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n brain wave measurement sensor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 mobile device that receives and stores brain wave data of a patient with epilepsy measured from the wearable device, manages changes in the brain wave of the patient, and provides services related to epilepsy A system including a device, wherein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display, a sound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memory, and is equipped with an epilepsy patient care application and an EEG information control unit, and the applications include patient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medication status, and emergency Basic information provision unit including contact information, EEG data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EEG data transmitted from wearable devices and stores real-time data including EEG changes and seizure times to provide EEG changes as numerical or graphic data, treatment date information Provides an epilepsy care and EEG data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a medical treatment schedule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a medical treatment schedule and a medication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medication status information and informs a taking time.

Description

뇌전증 케어 및 뇌파 데이터 관리 시스템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system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본 발명은 뇌전증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뇌전증 환우의 실시간 뇌파 정보를 수신하고 뇌파 데이터를 관리하여 뇌전증 환우의 안전한 생활 및 인식 개선에 도움을 주면서 지속적인 뇌파 데이터 공유를 통해 뇌전증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느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pilepsy ca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receive real-time brain wave information of a patient with epilepsy and manage the brain wave data to help improve the safe life and awareness of patients with epilepsy, while continuously sharing brain wave data to prevent epilepsy We propose a new system that can contribute to research.

뇌전증(간질)은 뇌 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이상을 일으켜 과도한 흥분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나타나는 의식 소실, 발작, 행동 변화 등과 같은 뇌 기능의 일시적 마비 증상이 만성적,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뇌 질환으로서, 대뇌에서 서로 연결된 신경세포들이 미세한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데 이러한 정상적인 전기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잘못 방출되면 발작이 나타나게 된다.Epilepsy (epilepsy) is a brain disease in which symptoms of temporary paralysis of brain functions, such as loss of consciousness, seizures, and behavioral changes, such as loss of consciousness, seizures, and behavioral changes, caused by temporary abnormality of brain nerve cells and causing a state of overexcitement, occur chronically and repeatedly. Neurons connected to each other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minute electrical signals, and when these normal electrical signals are abnormally and incorrectly emitted, seizures occur.

뇌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운동성 경련 발작이며 증상은 영향을 받은 뇌의 부위와 그 강도에 따라 눈꺼풀을 가볍게 깜빡이는 것부터 몸 전체가 격심하게 떨리는 것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한쪽 팔만 떠는 정도의 증상만이 발생할 수도 있고 측두엽 부분에서 증세가 나타나면 멍해지면서 일시적으로 의식을 상실하고 입맛을 다시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양쪽 뇌에 전체적으로 퍼지면 거품을 물고 온몸이 뻣뻣해지며 대발작이 발생할 수도 있다.The most common symptom of epilepsy is motor convulsive seizures, which vary from light blinking of the eyelids to violent shaking of the entire body,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brain affected and its intensity. It may occur, and if symptoms appear in the temporal lobe, temporary loss of consciousness and taste may occur while being dazed.

뇌전증은 고열 등의 특별한 유발 인자가 없이 장기간 반복적으로 발작을 하는 질환으로 20세 미만 소아청소년에서 가장 많지만, 최근 인구 고령화로 노년층에서도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뇌전증 치료는 크게 약물 치료와 수술 치료로 구분되는데 약물 치료가 우선이며 기본이며 뇌전증 환자 10명 중 7 ~ 8명은 약으로 조절 가능하고, 이중 3명은 2 ~ 5년 정도의 약물 치료 후에 약을 끊어도 경련이 재발되지 않으나 나머지 3~4명은 약을 끊으면 경련이 재발하므로 오랜 기간 항경련제를 복용해야 한다. 따라서 뇌전증 환우에게 약의 복용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Epilepsy is a disease in which repeated seizures occur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specific triggers such as high fever. Epilepsy treatment is largely divided into drug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Drug treatment is the first priority and is basic, and 7 to 8 out of 10 patients with epilepsy can be controlled with drugs, and 3 of them take drugs after 2 to 5 years of drug treatment. Convulsions do not recur even if they are stopped, but the remaining 3-4 patients have to take anticonvulsants for a long time because the seizures recur when they stop taking the medicin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take and manage medicines for patients with epilepsy.

뇌전증은 인구 1000명당 5 ~ 10명의 유병률을 보이는 흔한 질환임에도 뇌전증에 대한 무지로 인하여 발작 시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발작에 대한 오해로 자동심장충격기 또는 잘못된 응급처리를 유발하여 상황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허다하다. 뿐만 아니라 뇌전증 환우에 대한 사회적 차별로 해당 환우들은 질환 자체로 인한 고통외에 심리적 불안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Although epilepsy is a common disease with a prevalence of 5 to 10 per 1,000 population, ignorance of epilepsy does not result in proper coping with seizures, and misunderstanding of seizures causes an automatic defibrillator or incorrect emergency treatment, which worsens the situation. There are cases. In addition, due to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epilepsy patients, the affected patients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xiety in addition to the pain caused by the disease itself.

등록특허 10-2239984호에 따르면, 환자의 휴지기 뇌파를 이용하여 뇌전증 여부, 나아가 뇌 네트워크 변화정도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뇌전증 진단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상인과 뇌전증 질환자의 휴지기 뇌파에 대한 기능적 연결성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딥러닝 또는 머신 러닝하여 뇌전증 진단에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뇌전증 진단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진단에 그치고 뇌전증 환자의 상시적인 관리 및 주변인들의 응급처치나 대응에는 도움을 주기 어렵다. According to Registered Patent No. 10-2239984,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pilepsy diagnosis information that enables diagnosis of epilepsy and, furthermore, the degree of brain network change using a patient's resting EEG. By performing functional connectivity analysis on EEG and using it for epilepsy diagnosis through deep learning or machine learning, it is effective to diagnose epilepsy more quickly and accurately, but it is limited to diagnosis, and constant management and It is difficult to help those around them with first aid or response.

또한, 공개특허 10-2021-0095606호에 따르면, 피하에 매립되어 신경에 전기 자극을 제공하며 무선충전이 가능한 뇌전증 치료용 전자약의 제어방법으로서, 무선충전이 가능한 뇌전증 치료용 전자약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신경에 제공되는 전기 자극을 생성하는 전기 자극 발생부; 상기 전기 자극 발생부에 전력을 공급하며,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 무선 충전기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전류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하는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극 발생부는 무선 충전이 시작되면 작동이 중지되는 뇌전증 치료용 전자약 제어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뇌와 신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전자장치로서,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상 안전성을 높이고 있으나 뇌전증 환우의 관리 및 케어 서비스와는 무관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95606, as a control method for an electronic medicine for epilepsy treatment that is embedded under the skin and provides electrical stimulation to nerves and can be wirelessly charged, the electronic medicine for epilepsy treatment that can be wirelessly charged is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to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electrical stimulation provided to nerves;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ting unit and can be repeatedly charged;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 power receiver for converting a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n external wireless charger into current and supplying it to the battery; including, the electric stimulation generator for treating epilepsy, which stops working when wireless charging starts An electronic medicine control method is proposed. This technology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treats diseases by controlling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in the brain and nerve cells. It enhances safety in use by enabling wireless charging, but has nothing to do with management and care services for patients with epilepsy.

한편, 공개특허 10-2020-0097192호는 컴퓨터가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 동안 제1환자의 뇌파 데이터 및 정량화 뇌파 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뇌파 데이터 및 정량화 뇌파 데이터는 상호 매칭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일정 구간으로 분할되어 있는 데이터 획득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뇌파 데이터 상의 파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뇌파 데이터 상에서 뇌전증 지속상태에 해당하는 제1뇌전증 지속상태 뇌파 데이터 구간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전증 지속상태의 뇌손상 지표 산출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뇌전증 지속상태(status epilepticus)는 일반적으로 반복적인 발작이 있는 만성질환인 '뇌전증(epilepsy)'과는 전혀 다른 질환이며, 제안된 기술은 뇌전증 환자의 치료 개선이나 연구에 적용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7192, a computer obtains EEG data and quantified EEG data of a first patien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divides the EEG data and quantified EEG data into predetermined intervals to be mutually matched. Continuing epilepsy comprising a data acquisition step and the step of the computer deriving a first epileptic sustained state EEG dat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epileptic sustained state on the EEG data based on the waveform information on the EEG data A brain damage index calculation method is proposed. The status epilepticus is a completely different disease from 'epilepsy', a chronic disease with repetitive seizures, and the proposed technology is epileptic.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in applying it to patient treatment improvement or research.

결국 종래 제안된 기술들은 실제 뇌전증 환우들의 상시적인 질환 관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없고 뇌전증 환우를 대상으로 하는 뇌파 데이터를 관리하여 뇌전증 치료 역량을 개선하기에 역부족이다. As a result,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ologies cannot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in the regular disease management of actual epileptic patients, and are insufficient to improve epilepsy treatment capabilities by managing EEG data for epileptic patients.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뇌전증 환우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뇌파 변화를 포함한 몸 상태 정보를 가족 내지 관련 기관의 담당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under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flect the needs of actual epileptic patients and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share body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brain wave changes, with family members or those in charge of related institutions. will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뇌전증 치료 관련 복용 약 관리 및 진료 일정 등을 체크할 수 있고,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 위주의 뇌전증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friendly epilepsy care system capable of checking management of medications taken and medical treatment schedules related to epilepsy treatment and sharing related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뇌전증 긴급 상황 시 응급대처방안 및 긴급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주기적인 뇌파 측정 정보를 축적하여 관련 기관과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뇌파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EEG data management system that can accumulate periodic EEG measurement information and share it with related institutions while providing emergency response measures and emergency information in an emergency of epilepsy.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뇌파 측정 센서부를 포함하며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웨어러블기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측정되는 뇌전증 환우의 뇌파 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환우의 뇌파 변화를 관리하고 뇌전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디스플레이, 사운드부, 통신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뇌전증 환우 케어 애플리케이션과 뇌파 정보 제어부를 탑재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환우 정보 및 연락처, 복약 현황, 및 긴급 연락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 제공부,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뇌파 데이터를 관리하고 뇌파 변화 및 발작 시간을 포함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여 수치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로 뇌파 변화를 제공하는 뇌파 데이터 관리부, 진료 일자 정보를 제공하고 진료 일정을 알려주는 진료일정 관리부, 복용약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복약 관리부를 포함하는 뇌전증 케어 및 뇌파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rable device including an brain wave measuring sensor unit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receiving and storing brain wave data of an epileptic patient measured from the wearable device, managing changes in the patient's brain wave, and A system including a mobile device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epilepsy, wherein the mobile device has a display, a sound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memory, and is equipped with an epilepsy patient care application and an EEG information control unit, wherein the application includes patient information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including contact information, medication status, and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manages EEG data transmitted from wearable devices, and stores real-time data including EEG changes and seizure times to provide EEG changes as numerical or graphic data Provides an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n EEG data management unit, a treatment schedule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treatment date information and informs of a treatment schedule, and a medication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medication status information and informs the taking time.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뇌파 변화와 관련된 비상 상황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디스플레이 또는 사운드부를 통해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응급대처방법 및 긴급연락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emergency information related to brain wave change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the mobile device generates a warning event through a display or sound unit, and displays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and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뇌파 정보 제어부는 뇌파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되어 축적된 뇌파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외부 의료기관 또는 뇌전증 연구기관에 통계 정보로 전송하고, 외부 기관으로부터 뇌파 관련 의학 정보를 피드백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EG information control unit may periodically transmit EEG data stored and accumulated in the EEG data management unit as statistical information to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or epilepsy research institution, and receive feedback of EEG-related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institu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뇌전증 환우 케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는 커뮤니티부로서, 뇌전증 환우의 포스팅 정보, 복용 약 정보, 뇌전증 전문가들의 뇌전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pilepsy patient care application is a community unit shared by a plurality of users, and can provide a community service including posting information of epilepsy patients, medication information, and epilepsy-related information of epilepsy experts.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뇌파 데이터 관리부는 뇌파 변화 및 발작 시간을 포함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뇌전증 환우의 몸 상태 관련 정보를 캘린더 형태의 그래픽 정보로 모바일기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EG data management unit can store real-time data including EEG changes and seizure times, and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the body condition of the epileptic patient as graphic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alendar on a mobile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뇌전증 환자의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하고 주변인들에게 올바른 응급처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뇌전증 환우의 심리적 부담감을 완화하는 한편 뇌전증 치료 개선 및 뇌전증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nage the health of patients with epilepsy, guide the right first aid to those around them, alleviate the psychological burden of patients with epilepsy, improve treatment of epilepsy, and form a social consensus on epilepsy can contribute to

또한, 실시간 측정되는 뇌전증 환우의 뇌파 데이터 축적 및 공유를 통해 뇌전증 전조 증상 연구 등 뇌파 관련 데이터 체계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고, 뇌전증 등과 관련한 바이오산업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accumulating and sharing EEG data of patients with epilepsy measured in real time, it can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EEG-related data system such as research on epilepsy precursor symptoms, and vitalization of the bio industry related to epilepsy can also be expect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통해 다른 뇌혈증질환이나 치매 등 각종 헬스케어 서비스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be used to improve various health care services such as other cerebrovascular diseases or dementia.

도 1은 웨어러블기기와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2a 및 2b는 모바일기기 구성도 및 케어 애플리케이션 구성도
도 3은 웨어러블기기의 동작을 보인 순서도
도 4는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정보 예시 화면
도 5는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뇌파 서비스 예시 화면
도 6은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진료일정 서비스 예시 화면
도 7은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복약관리 서비스 예시 화면
도 8은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커뮤니티 서비스 예시 화면
도 9는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몸상태 캘린더 예시 화면
도 10은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긴급상황 시 예시 화면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wearable device and a mobile device
2a and 2b are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evice and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re applica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4 is an example screen of basic information of a care application
5 is an example screen of the EEG service of the care application
6 is an example screen of the treatment schedule service of the care application
7 is an example screen of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of a care application.
8 is an example screen of community service of care application
9 is an example screen of the physical condition calendar of the care application
10 is an example screen in case of an emergency of a care application

본 발명은 뇌전증 환우를 위한 케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새로운 시스템으로서, 주기적으로 뇌파 측정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고, 발작이 일어나는 상황 시 실시간으로 응급처치에 대해 알려주거나 뇌전증 환우의 복약 및 치료 관련 서비스를 상시적으로 제공하는 뇌전증 케어 및 뇌파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new system that includes a care application for patients with epilepsy, which can periodically record and manage EEG measurement information, notify emergency measures in real time in the event of a seizure, or take medication and treat patients with epilepsy. We propose an epilepsy care and EEG data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related services at all times.

본 발명의 시스템은 뇌파 측정 센서부를 포함하며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웨어러블기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측정되는 뇌전증 환우의 뇌파 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환우의 뇌파 변화를 관리하고 뇌전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를 포함한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able device that includes an brain wave measurement sensor unit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receives and stores brain wave data of an epileptic patient measured from the wearable device, manages changes in the brain wave of the patient, and provides epilepsy-related services Including mobile devices.

웨어러블기기는 기본적으로 신체에 걸치거나 착용할 수 있는 기본 구조물과 뇌파 측정 센서, 전원용 배터리로 구성되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는 하나 이상의 EGG 센서와 피부 접촉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정된 뇌파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와 비상 상황 시 경보 동작을 수행하는 알림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웨어러블기기(100)와 모바일기기(200)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도로서, 뇌파 측정용 웨어러블기기의 예시적 구성을 보이고 있다. A wearable device basically consists of a basic structure that can be worn or worn on the body, an EEG measuring sensor, and a battery for power supply. Sensors for measuring EEG may include one or more EGG sensors and skin contact sensor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brain wave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a notification unit for performing an alarm oper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may be further included.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cluding a wearable device 100 and a mobile device 200,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brain waves.

상기 모바일기기는 디스플레이(210), 사운드부(220), 통신부(230), 및 메모리(240)를 구비하고, 뇌전증 환우 케어 애플리케이션(300)과 뇌파 정보 제어부(400)를 탑재하며, 전체 동작을 위한 전원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비상상황 시 정보 안내 및 긴급 연락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통합 제어부를 더 포함하거나, 이러한 동작을 상기 케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는 뇌전증 환우나 환우의 가족 내지 친지가 사용하는 휴대용 전화기, 태플릿 등의 상용 모바일 제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인터넷 접속과 컴퓨팅이 가능하고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개별 단말기라면 어떤 것이든 유효하다.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display 210, a sound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nd a memory 240, and is equipped with an epilepsy patient care application 300 and an EEG information control unit 400, and has overall operation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provided, and a separate integrated control unit can be further included to perform information guidance and emergency contact operations in case of an emergency, or thes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are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commercially available mobile products such as portable phones and tablets used by patients with epilepsy or their family members or relatives can be used. In addition, any individual terminal capable of Internet access and computing and data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can be used. Anything is valid.

도 2a 및 2b는 모바일기기 구성 및 뇌전증 케어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케어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기기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내장되어 동작하며, 모바일기기의 디스플레이와 사운드부, 통신부 등을 통해 특정 동작이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2a and 2b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epilepsy care application, the care application is built into the mobile device as software and operates, and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or process through the display, sound unit, and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device. can do.

상기 애플리케이션(300)은 환우 정보 및 연락처, 복약 현황, 및 긴급 연락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 제공부(310),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뇌파 데이터를 관리하고 뇌파 변화 및 발작 시간을 포함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여 수치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로 뇌파 변화를 제공하는 뇌파 데이터 관리부(320), 진료 일자 정보를 제공하고 진료 일정을 알려주는 진료일정 관리(330)부, 복용약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복약 관리부(3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뇌전증 환우 케어 애플리케이션은 뇌전증 환우의 포스팅 정보, 복용 약 정보, 뇌전증 전문가들의 뇌전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는 커뮤니티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300 manages EEG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ic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0, including patient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medication status, and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wearable devices, and stores real-time data including EEG changes and seizure time EEG data management unit 320 that provides EEG changes as numerical data or graphic data, treatment schedule management unit 330 that provides treatment date information and informs the treatment schedule, and provides medication status information and informs the taking time A management unit 340 is included. In addition, the epilepsy patient care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ty unit 350 shared by a plurality of users by providing a community service including posting information of epileptic patients, medication information, and epilepsy-related information of epilepsy experts. can do.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뇌파 변화와 관련된 비상 상황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디스플레이 또는 사운드부를 통해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응급대처방법 및 긴급연락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웨어러블기기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며, 뇌전증 환우 등 사용자가 기기를 착용하고 뇌파 측정 시 특정 기준 값을 초과하는 뇌파가 측정되면 비상 상황으로 인지하고 기기 자체에서 경보음 등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모바일기기로 해당 상황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이 아니더라도 뇌파를 측정하는 모든 시간에 대해 상시적으로 뇌파 정보를 모바일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emergency information related to brain wave change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the mobile device may generate a warning event through a display or sound unit, and display emergency response method and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wearable device as an example, and when a user such as an epileptic patient wears the device and measures an EEG that exceeds a specific reference value when measuring an EEG, it recognizes it as an emergency situation and sounds an alarm from the device itself.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situation to the mobile device as soon as it is generated, and even in non-emergency situations, brain wav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at all times for all times of measuring the brain wave.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기기는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뇌파 데이터를 관리하고 뇌파 변화 및 발작 시간을 포함한 실시간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상기 뇌파 정보 제어부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의 동의하에 뇌파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되어 축적된 뇌파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외부 의료기관 또는 뇌전증 연구기관에 통계 정보로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뇌파 데이터는 복수의 뇌전증 환우에 대한 자료들이 취합되고 분석되어, 뇌전증 관련 연구 및 치료 방법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뇌파 정보 제어부는 뇌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더불어 외부 기관으로부터 뇌파 관련 의학 정보를 피드백받아 모바일기기의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커뮤니티부의 동작에 관한 공유 정보 콘텐츠로 이용할 수도 있다. In this regard, the mobile device manages brain wave data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stores real-time data including brain wave changes and seizure time in memory and forms a database, and the brain wave information control unit stores the brain wave data management unit under the consent of the mobile device user The accumulated EEG data can be periodically transmitted as statistical information to external medical institutions or epilepsy research institutions. EEG data transmitted in this way can be used for epilepsy-related research and treatment method developmen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n a plurality of epileptic patients. In addition to transmitting EEG data, the EEG information control unit may receive EEG-related medical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institution and use it as shared information conten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mmunity unit of the care application of the mobile device.

이를 위하여, 뇌파 정보 제어부는 모바일기기 내부에 또는 외부의 서버를 통해 뇌전증 환우의 뇌파 측정 기록 및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업로드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사용자(뇌전증 환우)가 동의를 제공한 상태에서 허가를 받은 기관에만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시스템화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를 통해 케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다수의 뇌전증 환우간의 데이터 제공 및 공유와 관련하여 의료기관 내지 의학연구기관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중앙 시스템을 추가로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o this end, the brain wave information control unit builds a separate database by periodically uploading the EEG measurement records and data of patients with epilepsy through the internal or external server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state in which the user (patients with epilepsy) has provided consent It can be systematized so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only to institutions authorized by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additionally build a central system that integrates and manages medical institutions or medical research institutions in relation to data provision and sharing among multiple epileptic patients using care applications through mobile devices.

도 4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뇌전증 환우 등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동작하는 뇌전증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세부 서비스 화면을 보이고 있다. 4 to 10 show detailed service screens of an epilepsy care application operated through a mobile device of a user such as a patient with epilepsy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인 화면으로서, 기본 정보 제공부를 통해 환우 정보, 기본 연락처, 복약 현황, 긴급 연락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기본정보 화면은 뇌전증 환우 본인뿐만 아니라 환우 본인의 동의하에 가족 등의 보호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기본 화면에 각 세부 서비스로 연동되는 아이콘 등의 배치될 수 있다.4 is a screen showing basic information of a care application by way of example, displaying patient information, basic contact information, medication status,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etc. through a basic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e basic information screen may be provided not only to the epileptic patient but also to guardians such as family members with the consent of the patient. Icons linked to each detailed service may be arranged on the basic screen.

도 5는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뇌파 서비스를 보인 화면으로서, 뇌파 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측정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뇌전증 환우의 뇌파 변화를 실시간 데이터로 수집하고,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해당 시간 정보를 저장하며, 측정 일자별 또는 일정 기간별 평균 안정 시 뇌파와 발작 뇌파의 수치적 비교 및 그래픽 제공한다. 또한 뇌파 데이터 저장 후 축적된 뇌파 정보는 전술한 뇌파정보제어부를 통해 외부 기관으로 통계 자료로 전송될 수 있다. 뇌파 서비스 화면을 통해 환우 본인은 스스로 뇌파 변화에 대해 감지하면서 건강 관리 및 진료 계획 등을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5 is a screen showing the EEG service of the care application. EEG changes of an epileptic patient transmitted from a measuring device through an EEG data management unit are collected as real-time data, and when a seizure occurs, corresponding time information is stored, and by measurement date or It provides a numerical comparison and graphic of the average resting EEG and seizure EEG for each period. In addition, the brain wave information accumulated after storing the brain wave data may be transmitted as statistical data to an external institution through the aforementioned brain wave information control unit. Through the EEG service screen, the patient himself will be able to modify his health management and treatment plan while detecting changes in his EEG.

도 6은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진료일정 서비스 예시 화면으로서, 월별 진료일정 정보나 연간 진료 일정을 조회할 수 있다. 진료일정 서비스를 통해 해당 진료일 전에 진료일정 알림을 제공받을 수 있고, 환우 본인이 진료 일자 알림 설정이나 진료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메모차트도 제공된다. 도 7은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복약관리 서비스 예시 화면이며, 복용약 알람 서비스가 제공되고, 복약 여부 기록 및 남은 약 수량 확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6 is an example screen of a medical treatment schedule service of a care application, and monthly medical treatment schedule information or annual medical treatment schedules can be inquired. Through the treatment schedule service, a treatment schedule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before the corresponding treatment date, and a memo chart is provided for the patient to set a treatment date reminder or record the treatment details. 7 is an example screen of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of a care application, and a medication alarm service may be provided, and services such as recording whether or not to take medication and checking the amount of remaining medication may be provided.

진료 일정 및 복약 관련 서비스가 뇌전증 환우의 건강 관리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서비스라면, 다른 뇌전증 환우와의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심리적 안전 및 커뮤니티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가 추가로 제공된다. 도 8은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커뮤니티 서비스 예시 화면으로서, 본인의 모바일기기에 케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거나 다운로드 받은 복수의 사용자(케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가입자 등)가 이 커뮤니티 화면을 통한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다. 커뮤니티 서비스에는 포스트 항목을 통해 환우들 및 관련 전문가들의 뇌전증, 건강 관련 정보를 포스팅하고 공유하며, 약 정보 항목을 통해 복용 약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기타 Q&A 항목을 이용하여 개인적 문의 사항을 소통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구축할 수 있다. If services related to treatment schedules and medications are directly helpful in managing the health of patients with epilepsy, services that enable psychological safety and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information sharing with other patients with epilepsy are additionally provided. 8 is an example screen of a community service of a care application. A plurality of users (care application service subscribers, etc.) who have installed or downloaded a care application on their mobile devices can share services through this community screen. In the community service, patients and related experts post and share epilepsy and health-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post section, check information on medications taken through the drug information section, and communicate personal inquiries using other Q&A sections. You can build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이러한 서비스와 더불어 뇌전증 환우 본인의 몸 상태 관련 캘린더 정보를 제공하여 통합적인 건강 관리가 가능하다. 도 9는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몸상태 캘린더 예시 화면으로서, 몸 상태 정보, 진료예약, 발작기록, 생리기간의 횟수 등이 날짜 정보와 함께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몸 상태 기록 정보를 통하여 발작 발생 전 어떠한 전조 증상이 있는지 파악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ese services,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is possible by providing calenda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patients with epilepsy. 9 is an example screen of a physical condition calendar of the care application, in which information on the physical condition, medical appointment, seizure record, number of menstrual periods, etc. are visually displayed along with date information. Through this body condition recor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at kind of prodromal symptoms exist before seizures occur.

본 발명의 뇌전증 케어 시스템은 환우의 건강 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외에 위급 상황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0은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긴급상황 시 예시 화면으로서, 측정 기기를 통한 비상 상황 정보 전달되면, 모바일기기에도 경고 이벤트(경보음, 경보창 오픈, 긴급의료정보 디스플레이 등)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긴급상황 대처 서비스는 예를 들어 케어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보호자에게 뇌전증 환우의 위급 상황 발생 시 빠른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뇌전증 환우에게 갑작스런 발작이 일어났을 때 주변에 함께 있는 동료나 친구가 당황하지 않고 케어 애플리케이션의 해당 서비스 화면을 확인하여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The epilepsy ca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dditional services capable of coping with emergency situations in addition to various services for health management of patients. 10 is an example screen of a care applic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n emergenc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 measuring device, a warning event (alarm sound, alarm window opening,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display, etc.) can be generated in a mobile device. Such an emergency response service enables, for example, a caregiver who shares a care application to respond quick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of an epileptic patient, and when a sudden seizure occurs in an epileptic patient, colleagues or friends around are embarrassed. You can help by check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screen of the care application without doing so.

위급상황 대처 서비스는 긴급 의료 정보 (뇌전증 환우의 기본 의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긴급 상황 시 대처하는 방법 내지 내용을 그래픽과 함께 제시할 수 있다. 대처방법의 예로서, 억지로 멈추려하지 말고 몸을 가볍게 돌려 엽으로 눕힘(대처방법 1), 넥타이, 벨트 등을 풀고 옷을 느슨하게 하여 숨쉬기 편하게 함(대처방법 2), 환자 행동 모니터링 후 발작이 소정 시간(예, 5분) 지속되면 응급처치기관(소방서 등)에 연락함(대처방법 3) 등으로 단계적인 조치를 주변 사람이 쉽게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부모 등), 치료 병원, 119 등에 자동 연결할 수 있도록 긴급통화연결 화면이 함께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ergency response service may include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basic medical information for patients with epilepsy), and may present a method or contents of an emergency response together with graphics. As examples of countermeasures, do not try to stop forcibly, turn the body lightly and lie down on the lobe (Cope 1), loosen the tie, belt, etc., and loosen the clothes to make breathing easier (Cope 2), monitor the patient's behavior, and then stop the seizure for a predetermined time (eg, 5 minutes) If it persists, you can guide people around you to take step-by-step measures, such as contacting first aid agencies (fire departments, etc.) (response method 3).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an emergency call connection screen be presented together so that a guardian (parent, etc.), treatment hospital, 119, etc. can be automat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시스템은 웨어러블기기와 모바일기기를 연동하여 뇌파 측정값이 일정 범위 수준을 넘어섰을 때 알림을 제공하거나, 뇌전증 환우의 복약 및 진료 일정, 몸상태 정보 등을 기록하고 관리하여 뇌전증 환우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상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티를 통한 원활한 소통 및 지속적 건강관리를 통해 환우들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locks a wearable device with a mobile device to provide a notification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brain wave exceeds a certain level, or records and manages the medication and treatment schedule of the epileptic patient, physical condition information, etc. We can always provide you with the services you need.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patients can be relieved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nd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through the community.

나아가 본 발명의 시스템은 환우의 질환 정보 등을 보호자나 주변인 또는 관련 의료기관의 전문가와 실시간 공유할 수 있으며, 긴급 치료 서비스 등이 가능하도록 측정되고 저장되는 뇌파 데이터를 해당 병원과 실시간 연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뇌파 정보 기록 및 축적을 통한 의학적 통계데이터 수집으로 발작 전 예측 모델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뇌전증 치료용 식이요법이나 식단 정보 제공, 뇌전증 관련 뇌파기기의 개선 및 단순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hare the patient's disease information with guardians, neighbors, or experts in related medical institutions in real time, and can link the measured and stored brain wave data with the hospital in real time to enable emergency treatment services. .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a pre-seizure prediction model by collecting medical statistical data through the recording and accumulation of brain wave inform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diet or diet information for epilepsy treatment, and to improve and simplify epilepsy-related EEG devices.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ively described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forms are provi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claims.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100:뇌파측정 웨어러블기기 200:뇌전증 케어 모바일기기
210:디스플레이 220:사운드부
230:통신부 240:메모리
300:뇌전증 케어 애플리케이션 310:기본정보 관리부
320:뇌파데이터 관리부 330:진료일정 관리부
340:복약 관리부 350:커뮤니티부
100: EEG measurement wearable device 200: Epilepsy care mobile device
210: display 220: sound unit
230: communication unit 240: memory
300: Epilepsy care application 310: Basic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brain wave data management unit 330: treatment schedule management unit
340: medication management department 350: community department

Claims (3)

뇌파 측정 센서부를 포함하며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웨어러블기기, 및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측정되는 뇌전증 환우의 뇌파 데이타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환우의 뇌파 변화를 관리하고 뇌전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기기는 디스플레이, 사운드부, 통신부,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뇌전증 환우 케어 애플리케이션과 뇌파 정보 제어부를 탑재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환우 정보 및 연락처, 복약 현황, 및 긴급 연락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 제공부, 웨어러블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뇌파 데이터를 관리하고 뇌파 변화 및 발작 시간을 포함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여 수치 데이터 또는 그래픽 데이터로 뇌파 변화를 제공하는 뇌파 데이터 관리부, 진료 일자 정보를 제공하고 진료 일정을 알려주는 진료일정 관리부, 복용약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복약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기기로부터 뇌파 변화와 관련된 비상 상황 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모바일기기는 디스플레이 또는 사운드부를 통해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응급대처방법 및 긴급연락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뇌파 정보 제어부는 뇌파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되어 축적된 뇌파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외부 의료기관 또는 뇌전증 연구기관에 통계 정보로 전송하고, 외부 기관으로부터 뇌파 관련 의학 정보를 피드백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증 케어 및 뇌파 데이터 관리 시스템.
Including a wearable device that includes an brain wave measurement sensor unit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 mobile device that receives and stores brain wave data of an epileptic patient measured from the wearable device, manages the patient's brain wave change, and provides epilepsy-related services As a system that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display, a sound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memory, and is equipped with an epilepsy patient care application and an EEG information control unit.
The application manages EEG data transmitted from a wearable device, a basic information provider including patient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medication status, and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stores real-time data including EEG changes and seizure time to provide numerical data or graphic data. Including an EEG data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EEG changes, a treatment schedule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treatment date information and informs the treatment schedule, and a medication management unit that provides medication status information and informs the taking time,
When emergency information related to brain wave change is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the mobile device generates a warning event through a display or sound unit, displays an emergency response method and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The EEG information control unit periodically transmits the EEG data stored and accumulated in the EEG data management unit as statistical information to an external medical institution or epilepsy research institution, and receiving EEG-related medical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institution as feedback.
Epilepsy care and EEG data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전증 환우 케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되는 커뮤니티부로서, 뇌전증 환우의 포스팅 정보, 복용 약 정보, 뇌전증 전문가들의 뇌전증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증 케어 및 뇌파 데이터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pilepsy patient care application is a community unit shared by a plurality of users, and provides a community service including posting information of epileptic patients, medication information, and epilepsy-related information of epilepsy experts. EEG care and EEG data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데이터 관리부는 뇌파 변화 및 발작 시간을 포함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뇌전증 환우의 몸 상태 관련 정보를 캘린더 형태의 그래픽 정보로 모바일기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전증 케어 및 뇌파 데이터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rain wave data management unit stores real-time data including brain wave changes and seizure times and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body condition of the epileptic patient in the form of calendar-type graphic information on a mobile device. .
KR1020210143058A 2021-10-25 2021-10-25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KR202300590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058A KR20230059039A (en) 2021-10-25 2021-10-25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058A KR20230059039A (en) 2021-10-25 2021-10-25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039A true KR20230059039A (en) 2023-05-03

Family

ID=8638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058A KR20230059039A (en) 2021-10-25 2021-10-25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03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751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cision or personal pharmaceutical dosing
JP5346318B2 (en) Communication repeater device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Tartarisco et al. Personal health system architecture for stress monitoring and support to clinical decisions
JP5801878B2 (en) Electronic health journal
US10631760B2 (en) Method for prediction, detection, monitoring, analysis and alerting of seizures and other potentially injurious or life-threatening states
Joshi et al. PKG movement recording system use shows promise in routine clinical care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US20070106129A1 (en) Dietary monitoring system for comprehensive patient management
KR20130051922A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psychological disorders
US20060089856A1 (en) Integrated pharmaceutical dispensing and patient management monitoring
US20210145338A1 (en) Iot based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meditation and mindfulness
JP2007524175A (en) Advanced patient management an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06519626A5 (en)
WO2019012471A1 (en) Iot based wear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meditation and mindfulness
US201301105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hronic conditions
CN113409904A (en) Discharged depression continues to look after platform system
CN106108884A (en) A kind of crisis alert Intelligent worn device and operational approach thereof
Fook et al. Smart mote-based medical system for monitoring and handling medication among persons with dementia
KR20230059039A (en) System for epilepsy care and brain wave data management
US20240008812A1 (en) Wearable data collection device with non-invasive sensing
US20220225949A1 (en) Wearable device network system
WO2016079506A1 (en) Smart device for monitoring and capturing patient data
Russo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and people in health care
US20230293006A1 (en) Ocular feedback system and method
Klironomos et al. Improving quality of life through ICT for the facilitation of daily activities and home medical monitoring
KR102578089B1 (en) Epilepsy Monitoring Apparatus and Epilepsy Monitoring Platform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