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955A -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955A
KR20230058955A KR1020210142840A KR20210142840A KR20230058955A KR 20230058955 A KR20230058955 A KR 20230058955A KR 1020210142840 A KR1020210142840 A KR 1020210142840A KR 20210142840 A KR20210142840 A KR 20210142840A KR 20230058955 A KR20230058955 A KR 2023005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dummy
driver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067B1 (ko
Inventor
이은규
Original Assignee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4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1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 G08G1/163Decentralised systems, e.g. inter-vehicle communication involving continuous che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시스템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출현 시점 결정부,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DUMMY DEVICE}
본 발명은 고령자의 신체적 저하가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평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더미 돌발장치를 이용하여 더미 돌발 출현시 운전자가 더미돌발을 인지하고 차량을 제동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분석함에 있어 차량의 속도에 따른 데이터 왜곡을 최소화 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와 연계하여 더미 돌발장치의 출현시점을 결정하고 이를 통해 고령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운전면허시험은 운전을 위한 최소의 지식과 법규준수 능력, 차량조작 및 조향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을 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 이상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운전면허시험은 필기시험, 장내기능시험, 도로주행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전면허시험은 필기시험, 장내기능시험, 도로주행시험 순으로 진행되며, 각 시험에 모두 합격되어야 합격증이 발급된다.
이 중에서 장내기능시험은 운전면허시험장에 실제 도로와 유사한 환경의 지형물을 설치하여 수험생의 운전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장내기능시험의 채점 방식은 기결정된 기준 평가값 이상이면 합격으로 처리한다.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고령 운전자의 경우, 기존의 장내기능시험에 따른 평가 구조(즉, 기결정된 기준 평가값에 의해 합격 및 불합격을 판정하는 구조)로는 신체 저하로 인한 운전적합성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21-033742호 (2021.03.01.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도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를 출현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시스템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출현 시점 결정부;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방법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를 출현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운전자가 고령 운전자인 경우라도 고령화로 인한 신체적 능력 저하에 따라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고령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을 정밀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운전 평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주행 코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미 출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에 따른 운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은 운전 평가 시스템(100),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110)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와, 도출된 차량(110)의 속도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결정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에게 출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더미 돌발 장치(120)는 운전 평가 시스템(100)로부터 수신된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에서 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돌발 장치(120)는 출현 돌발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인지, 반응 및 조작 평가를 위한 장치이다.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하면, 운전자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을 인지하고 빠르게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이 때,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하지 않고 얼마나 빨리 차량(110)을 안전하게 멈추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운전 적합성 평가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수집부(200),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 출현 시점 결정부(220), 전송부(230), 운전 평가부(240), 운전 정보 제공부(250) 및 충돌 예방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5b를 함께 참조하여 도 2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령화에 따른 전반적인 신체적 저하(동체시력 저하, 인지반응 시간 증대, 순발력 및 제동력 부족 등)가 실제 운전에 미치는 영향이나 위험도에 분석하고자 한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면서 고령화에 따른 신체적 기능저하가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집부(200)는 나이별로 모집된 일반 운전자 실험군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 각각의 실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실험 데이터는 시험장 내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하는 코스와 관련된 주행 데이터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실험 데이터는 동일한 조건에서의 더미돌발 상황에 따른 운전자의 인지반응시간, 공주시간, 제동시간 등을 도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반응시간은 운전자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으로부터 차량의 브레이크를 밟는 시점까지의 소요시간을 의미하고, 공주시간은 운전자가 차량의 브레이크를 밟는 시점으로부터 해당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의미하고, 제동 시간은 인지반응시간 및 공주시간의 합을 의미한다.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예컨대,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인지반응시간, 공주시간 및 제동시간 각각에 대한 표준분포)를 도출하고,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예컨대,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인지반응시간, 공주시간 및 제동시간 각각에 대한 표준분포)를 도출할 수 있다.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도출하고, 차이값에 기초하여 고령운전자 및 일반운전자 간의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인지반응시간에 대한 표준분포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인지반응시간에 대한 표준분포를 비교하여 제 1 차이값을 도출하고, 제 1 차이값에 기초하여 인지반응시간에 대한 고령운전자 및 일반운전자 간의 제 1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예컨대, 고령운전자일수록 일지반응시간이 일반운전자에 비해 길다.)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공주시간에 대한 표준분포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공주시간에 대한 표준분포를 비교하여 제 2 차이값을 도출하고, 제 2 차이값에 기초하여 공주시간에 대한 고령운전자 및 일반운전자 간의 제 2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예컨대, 고령운전자일수록 공주시간이 일반운전자에 비해 길다.)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는 일반 운전자 실험군의 제동시간에 대한 표준분포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의 제동시간에 대한 표준분포를 비교하여 제 3 차이값을 도출하고, 제 3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동시간에 대한 고령운전자 및 일반운전자 간의 제 3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예컨대, 고령운전자일수록 제동시간이 일반운전자에 비해 길다.)를 도출할 수 있다.
수집부(200)는 실제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110)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수집부(200)는 시험장 내 존재하는 복수의 주행 코스(301, 303, 305, 307, 309, 311, 313)를 주행하는 운전자의 차량(110)에 대한 주행 데이터를 차량(1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장 내 복수의 주행 코스(301, 303, 305, 307, 309, 311, 313) 중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110)의 위치를 기초로 결정된 주행 코스에서 차량(110)이 주행하는 경우, 수집부(200)는 결정된 주행 코스를 주행하는 차량(110)에 대한 주행 데이터를 차량(1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출현 코스(313)에서 출현하는 더미 돌발 장치(120)에 대한 운전자의 상황인지 및 대처능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집부(200)는 더미 출현 코스(313)에서 주행하는 운전자의 차량(110)에 대한 주행 데이터를 차량(110)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110)의 위치 및 속도를 도출할 수 있다.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더미 돌발 장치(120)는 도 3을 참조하면, 시험장 내 더미 출현 코스(313)의 기지정된 위치에서 출현되는 교통 장애물이다.
한편,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차량(110)의 속도와 상관없이 기설정된 시점에 일정하게 출현시킨다고 가정하면, 운전자의 차량(110)이 저속 주행일 경우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에 대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반면, 차량(110)이 고속 주행일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운전자의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돌발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인지, 반응 및 조작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잃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와, 차량(110)의 속도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와, 도출된 차량(110)의 속도에 기초하여 더미 출현 코스(313) 내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도출된 차량(110)의 속도 및 공주 시간에 기초하여 차량(110)에 대한 공주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공주 거리는 운전자가 교통 장애물(예를 들어, 더미 돌발 장치(120))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서 브레이크가 작동되기까지 차량(110)이 주행한 거리이다. 이러한, 공주 거리는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s는 공주 거리이고, v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은 시점에서의 차량 속도이고, t는 공주 시간이다.
여기서, 공주 시간은 교통 장애물에 대한 운전자의 인지에 기초하여 실험적으로 도출된 운전자의 반응 시간이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공주 거리는 차량의 속도가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늘어난다. 즉, 공주 거리는 차량이 달리고 있는 속도와 운전자의 반응 시간(즉, 공주 시간)에 각각 비례한다.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의 무게, 브레이크 성능, 시험장의 지면 및 차량(110)의 타이어 간 마찰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110)의 가속도를 산출하고, 도출된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차량(110)에 대한 제동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제동 거리는 차량(110)의 브레이크가 작동된 후(즉, 제동이 시작된 후) 차량(110)이 완전히 정차할 때까지 주행한 거리이다. 이러한, 제동 거리는 등가속도 공식(수학식 2)을 따르며, 차량(110)의 최종 속도는 0이고, 브레이크로 인한 가속도의 방향은 차량(110)의 진행 방향과 반대이므로, 제동 거리는 [수학식 3]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서, v는 차량의 속도이고, a는 가속도이고, s는 제동 거리이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여기서, s는 제동 거리이다.
[수학식 3]을 참조하면, 제동 거리는 차량이 달리고 있던 초기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고, 가속도에 반비례한다. 이 때, 가속도는 차량의 무게, 브레이크 성능, 지면 및 타이어의 마찰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차량(110)에 대한 공주 거리 및 차량(110)에 대한 제동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정지 거리는 운전자가 교통 장애물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 제동이 시작된 후 차량(110)이 완전히 정차할 때까지 이동한 거리를 말한다. 이러한, 정지 거리는 [수학식 4]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4]
정지 거리 = 공주 거리 + 제동 거리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 및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와,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도출된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가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보다 짧아지거나 같아지는 시점을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현 시점 결정부(220)는 기설정된 보상값을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반영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대해 최종 결정할 수 있다.
고령 운전자의 경우, 일반인 운전자에 비해 교통 장애물에 대한 반응 시간이 늦으므로 고령 운전자의 정지 거리는 일반인 운전자에 비해 길어질 수 있다. 이를 출현 시점에 반영하기 위하여, 출현 시점 결정부(210)는 보상값(예컨대, 0.5s)을 기결정된 기존의 출현 시점에 반영함으로써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기존의 출현 시점보다 늦춰지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결정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에게 출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더미 돌발 장치(12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40)에서 출현할 수 있다. 더미 돌발 장치(120)는 시험장 내 도로에서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40)을 가로질러 출현할 수 있다.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하면, 운전자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을 인지하고 빠르게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이 때,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가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하지 않고 얼마나 빨리 차량(110)을 안전하게 멈추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고위험에 따른 안전운전 능력 항목, 돌발 상황인지 및 대처 능력 항목에 대한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 운전자의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여부를 평가 할 수 있다. 즉,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차량(110)이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한 경우에는 안전운전 능력 항목에 대한 점수를 0점으로 채점하고, 운전자의 차량(110)이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하지 않은 경우에는 안전운전 능력 항목에 대한 점수를 100점으로 채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차량(110) 전방에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시점부터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황인지 항목(즉, 인지반응 시간)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에 따라 운전자가 상황을 명확히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는 시점에서부터 차량(100)이 완전히 정지(즉, 차량(110)의 속도= 0)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대처능력 항목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부터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 차량(110)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당 감속도 변화량(평균)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당 감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돌발상황 대처능력 항목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가 더미 돌발 장치(120)로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하였는지 또는 차량(110)이 더미 돌발 장치(120)와 충돌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 능력 항목의 지수를 채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을 인지한 인지 반응 시간을 측정하고, 차량(110)의 시간당 감속도 변화량을 측정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황인지 및 대처 능력 항목의 지수를 채점할 수 있다.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 및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에 의해 도출된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 간 비교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 및 운전 적합성 평가 지표 정보 간 비교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적합성 평가 점수가 상위 50% 내에 속하면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을 양호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고, 운전자의 적합성 평가 점수가 중위 40% 내에 속하면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을 보통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고, 운전자의 적합성 평가 점수가 하위 10% 내에 속하면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을 위험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가 일반 운전자인 경우,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와 일반 운전자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 간 비교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인지반응시간과 일반 운전자 실험 데이터의 인지반응시간에 대한 표준분포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운전 평가부(230)는 운전자가 고령 운전자인 경우,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와 고령 운전자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 간 비교 결과 및, 운전자의 주행 데이터와 일반 운전자 실험 데이터에 대한 표준분포 간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에 기초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 정보 및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령자인 운전자의 인지반응속도가 현격히 떨어지고, 공주거리가 긴 경우,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자보조장치(ADAS)나 긴급제동장치(AEB)같은 보조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만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령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이 하위 10%에 속하는 경우,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면허 반납유도, 야간 또는 러시아워시 운전을 제한하는 등의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평가부(230)는 복수의 항목에 대응하는 운전 적합성 평가에 기초하여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항목은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돌발상황 인지 및 대처 능력 항목, 안전하고 신속한 돌발상황 대처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방사형 차트(도 5a)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평가 정보 및 운전자의 운전 능력에 대한 위험도 수준(도 5b)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른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자의 전반적인 운전능력 점수는 62.5점이고, 해당 점수는 평균적인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비해 하위 4% 수준으로 운전에 따른 위험 등급은 위험 수준입니다. 교통사고 위험을 고려하여 직접 운전을 최소화하시길 바랍니다'를 포함하는 운전 적합성 평가 정보 및 위험도 수준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에 따른 안전하고 신속한 돌발상황 대처 능력 항목에서 운전자가 위험 수준으로 평가된 경우,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운전 간 갑작스러운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대처능력이 부족하며, 도로주행 시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서행운전 및 전방/주변 상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을 포함하는 운전 가이드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발상황 인지 및 대처 능력 항목에서 운전자가 위험 수준으로 평가된 경우, 운전 정보 제공부(250)는 '주행 간 전방의 다양한 돌발상황 인지 및 대처능력이 부족하며, 사고예방을 위해 서행운전 및 위험예측을 통한 방어운전 습관이 필요함'을 포함하는 운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충돌 예방부(26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가 더미 돌발 장치(120)로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40)으로 진입하면 차량(110)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이 예상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충돌 예방부(260)는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신호가 더미 돌발 장치(120)로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40)에서 정지하지 않은 경우, 차량(110)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110)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충돌 위험 구간은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10)에 대한 정지 거리가 5m 이상이고,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가 5m 이내인 경우,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이 더미 돌발 장치(120)와의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110)의 강제적인 브레이크 작동 및 시동 정지를 통해 차량(110)을 강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시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의 전방 센서(예컨대, 레이더 센서 등)가 더미 돌발 장치(120)를 감지한 경우,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충돌 예상 시간에 따라 차량(110)을 강제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시의 충격을 최소화하고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 예방부(260)는 차량(110) 및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예상 시간이 기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판정되면, 차량(110)의 강제적인 브레이크 작동 및 시동 정지를 통해 차량(110)을 강제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수집부(200),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210), 출현 시점 결정부(220), 전송부(230), 운전 평가부(240), 운전 정보 제공부(250) 및 충돌 예방부(2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110)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의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험장 내에 설치된 더미 돌발 장치(120)의 출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에게 출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이 시험장 내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출현 신호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한 경우, 더미 돌발 장치(120)가 출현된 상황에서 차량(110)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11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출현 신호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차량(110)이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하지 않은 경우, 차량(110)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의 속도 및 차량(110)의 위치와 더미 돌발 장치(120)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충돌 위험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613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과 더미 돌발 장치(120) 간의 충돌 위험도에 기초하여 차량(110)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15에서 운전 평가 시스템(100)은 차량(110)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고, 충돌에 따른 차량(110)의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도를 평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1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운전 평가 시스템
110: 차량
120: 더미 돌발 장치
200: 수집부
210: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
220: 출현 시점 결정부
230: 전송부
240: 운전 평가부
250: 운전 정보 제공부
260: 충돌 예방부

Claims (21)

  1.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출현 시점 결정부;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부
    를 포함하는 운전 평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돌발 장치는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 기지정된 더미 출현 구간에서 출현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도출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도출된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를 도출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공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거리를 도출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무게, 브레이크 성능, 상기 시험장의 지면 및 상기 차량의 타이어 간 마찰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제동 거리를 도출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시점 결정부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거리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제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지 거리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 운전자 실험군 및 고령 운전자 실험군으로부터 상기 시험장 내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하는 코스와 관련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전 적합성 지수를 산출하는 운전 적합성 지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평가부는 상기 운전 적합성 지수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에 기초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 정보 및 운전 가이드를 제공하는 운전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현 신호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차량이 상기 더미 출현 구간에서 정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더미 돌발 장치 간의 충돌을 예방하는 충돌 예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예방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예방부는 상기 차량이 상기 충돌 위험 구간에 진입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예방부는 상기 차량의 전방 센서가 상기 더미 돌발 장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및 상기 더미 돌발 장치 간의 충돌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충돌 예상 시간에 따라 상기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는 것인, 운전 평가 시스템.
  15.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운전 평가 방법에 있어서,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전 평가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속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도출된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공주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무게, 브레이크 성능, 상기 시험장의 지면 및 상기 차량의 타이어 간 마찰 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도출된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제동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주 거리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제동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지 거리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차량의 위치와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위치 간의 거리 및 상기 차량에 대한 정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운전 평가 방법.
  21.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이 시험장 내 주행하면서 생성되는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시험장 내에 설치된 상기 더미 돌발 장치의 출현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출현 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로 출현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출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더미 돌발 장치가 출현된 상황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생성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한 운전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42840A 2021-10-25 2021-10-25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2661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840A KR102661067B1 (ko) 2021-10-25 2021-10-25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840A KR102661067B1 (ko) 2021-10-25 2021-10-25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955A true KR20230058955A (ko) 2023-05-03
KR102661067B1 KR102661067B1 (ko) 2024-04-29

Family

ID=8638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840A KR102661067B1 (ko) 2021-10-25 2021-10-25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0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1849A (ja) * 2010-03-12 2011-09-29 Ud Trucks Corp 安全運転促進システム
KR20160108016A (ko) * 2015-03-06 2016-09-19 주식회사 인폼 자율 제동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2017009479A (ja) * 2015-06-24 2017-01-12 株式会社エヌエステイー 衝突防止装置評価システムのための歩行者ダミー駆動装置
KR20170074659A (ko) * 2015-12-22 2017-06-30 (주)네오정보시스템 운전면허시험용 차량의 안전예방시스템
JP2020201795A (ja) * 2019-06-12 2020-12-17 株式会社 Acr 自動車運転機能判断装置
JP2021033742A (ja) 2019-08-27 2021-03-01 オムロン株式会社 運転評価装置、運転評価システム、運転評価方法、プログラム、及び交差点属性判別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1849A (ja) * 2010-03-12 2011-09-29 Ud Trucks Corp 安全運転促進システム
KR20160108016A (ko) * 2015-03-06 2016-09-19 주식회사 인폼 자율 제동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2017009479A (ja) * 2015-06-24 2017-01-12 株式会社エヌエステイー 衝突防止装置評価システムのための歩行者ダミー駆動装置
KR20170074659A (ko) * 2015-12-22 2017-06-30 (주)네오정보시스템 운전면허시험용 차량의 안전예방시스템
JP2020201795A (ja) * 2019-06-12 2020-12-17 株式会社 Acr 自動車運転機能判断装置
JP2021033742A (ja) 2019-08-27 2021-03-01 オムロン株式会社 運転評価装置、運転評価システム、運転評価方法、プログラム、及び交差点属性判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067B1 (ko) 202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0778B2 (en) Running plan creating apparatus
EP2561502B1 (en) Assessment method and system pertaining to acceleration
US68739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operator assistance improvement
US5521580A (en) Danger avoidance system for a vehicle
KR20200118882A (ko) 자율 주행 안전성 평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EP2471694A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driving behaviour
CN108466618B (zh) 车辆自适应巡航控制方法及系统
KR20190003048A (ko) 차량 및 그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CN110517522B (zh) 用于远程控制的车辆限速系统及方法
McAvoy et al. Simulator study of primary and precipitating factors in work zone crashes
Naumann et al. On responsibility sensitive safety in car-following situations-a parameter analysis on german highways
Lundgren et al. Evaluation of safety effects of driver assistance systems through traffic simulation
CN112172829B (zh) 车道偏离预警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58955A (ko) 더미 돌발 장치를 이용한 운전적합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473458B1 (ko) 차등적 전방충돌 경보 시점을 위한 운전자 성향 분류 방법
US20220101663A1 (en) Driving evaluation device, driving evalu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LeBlanc et al. Forward collision warning: Preliminary requirements for crash alert timing
CN114475619A (zh) 汽车的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20230089205A (ko) 시험장 내에서 출현하는 더미 돌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04991A (ko) 차량의 운전자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7374814B2 (ja) 道路交通状況評価システム、道路交通状況評価方法および道路交通状況評価プログラム
Suzuki et al. Designing of brake timing of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to avoid collision to pedestrians
RU2817437C1 (ru) Система ограничения действий при вождении
WO202407991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43190A1 (en) Driving limi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