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867A -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867A
KR20230058867A KR1020210142596A KR20210142596A KR20230058867A KR 20230058867 A KR20230058867 A KR 20230058867A KR 1020210142596 A KR1020210142596 A KR 1020210142596A KR 20210142596 A KR20210142596 A KR 20210142596A KR 20230058867 A KR20230058867 A KR 20230058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kin
skin stimulator
flow path
hea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라미
Original Assignee
(주)일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론 filed Critical (주)일론
Priority to KR102021014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8867A/ko
Publication of KR2023005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심축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안내된 유체가 반경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유로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여, 미세바늘에 액상 화장품을 보다 균등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Skin stimulator,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표피층을 관통하여 진피층까지 화장품이 침투하도록 하여 화장품의 흡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화장품의 용이한 토출과 금속 미세바늘의 파손으로 인한 피부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부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사람들의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미용 제품, 화장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피부에 주름을 형성하는 진피는 표피 맨 아래층을 구성하며, 두께가 0.7mm 내지 4m 정도로 표피보다 두꺼운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층은 콜라겐을 포함하고 있으며, 노화가 진행될 수록 진피층의 콜라겐의 함유량이 줄어들어 피부가 건조해지거나 주름이 발생하여 피부 탄력이 줄어든다.
따라서, 콜라겐 형성에 비타민 C 또는 펩타이드 등과 같은 영양분을 피부에 바르거 나 뿌려 피부의 탄력을 높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의 영양분이 피부의 각질층을 통과하는 양은 전체 함량의 0.3%에 불과하고, 나머지 99.7%는 피부 최외각의 피지를 통과하지 못하고 피부 위에 남거나 말라서 소멸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피부에 침투 가능한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한 롤러를 이용하여 돌기가 피부에 침투함과 동시에 영양분이 함유된 화장품이 진피까지 침투하게 되고, 피부에 미세한 상처를 내면 피부 자체의 자연치유력에 의하여 콜라겐이 자연적으로 생성되므로 피부가 재생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표피층을 상하게 하지 않고도 레이저 박피 또는 필링 시술과 같은 자연 치유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여 노화된 피부를 환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2029호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돌기가 구비된 롤러를 포함하는 피부자극기에 대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화장품을 공급하는 니들을 외주면에 배치하여, 니들에 의한 자극과 동시에 화장품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롤러형태로 사용자의 피부를 따라 밀어지면서 사용되어, 사용자의 얼굴의 굴곡이 있는 경우, 롤러와 사용자의 피부 접촉이 불안정하며, 나아가, 화장품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즉, 피부와 롤러의 접촉이 고르지 않아, 피부 윤곽에 따라 피부의 일부에는 화장품이 주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942029호 (2007.10.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피부 자극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기는, 피부와 접하는 니들부에 화장품을 고르게 공급하여 화장품의 피부 흡수 효율이 높고, 피부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기는 전체적인 구조를 보다 간소화하여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가 간편하며, 생산 불량률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기는, 헤드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중심과 외주에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에 화장품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자극기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여 헤드부 및 니들부의 결속력을 강화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자극기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 상기 화장품이 안내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미세바늘을 포함하는 니들부;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고, 중심축에 유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드부는, 중심축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안내된 유체가 반경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유로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니들부는, 상기 미세바늘의 일측에 유체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헤드부는, 상기 제1 유로의 높이보다, 외주의 높이가 더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헤드부는, 상측면이 상기 제2 헤드부의 경사에 대응하여, 외주에서 상기 유체 이동로를 향하여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니들부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미세바늘은, 상기 제2 유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헤드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니들부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플레이트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2 헤드부의 외주를 감싸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상측에서, 상기 유체 이동로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헤드부는,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헤드부에 안착될 때,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헤드부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 이상 구비되며, 서로 원주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니들부는, 플레이트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3 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헤드부에 안착될 때,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자극기는, 진피층까지 영양분이 포함된 화장품을 효율적으로 투입시켜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자극기는,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자극기는, 수용된 화장품을 복수개의 미세바늘에 균등하게 제공하여, 화장품 투입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에서 헤드부 및 니들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에서 헤드부 및 니들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에서 제1 헤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의 헤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헤드부에서 일부를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000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1)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1)에서 헤드부(300) 및 니들부(400)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1)의 니들부(400)와 헤드부(300)를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부 자극기(1)는 수용부(100), 펌핑부(200), 헤드부(300) 및 니들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자극기(1)는 단부를 얼굴 등의 피부에 타격하여 침과 같이 뾰족한 복수개의 돌기를 진피까지 진입함과 동시에 콜라겐, 비타민 C 등 영양 분이 함유된 화장품을 침투시키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0)의 상부에는 상하가 개방되는 유체 배출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크기로 내부에 영양분이 함유된 액상 화장품이 저장되어 기울일 경우 상부의 유체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 등의 통체로 형성된다.
유체 배출공(110)이 형성된 수용부(100)의 상부는 수용부(100)의 바디(12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0) 상측 둘레에 제1 헤드부(310)의 하부가 끼워지는 하우징 결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헤드부(310)을 덮을 수 있는 캡부(500, 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펌핑부(200)는 수용부(100)에 수용된 유체를 헤드부(300)의 유로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피부 자극기(1)의 수용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펌핑부(200)는 생략된 상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헤드부(310)는 수용부의 상측에 곧바로 결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피부 자극기(1)는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수용부가 헤드부(300) 및 니들부(40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되는 바,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화장품의 자중에 의해, 수용부에 수용된 유체가 헤드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사용 예정된 화장품의 점성과 같은 성질, 피부 자극기(1)의 크기 및 수용부의 용량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헤드부(300)는 제1 헤드부(310) 및 제2 헤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헤드부(310)는, 실시예에 따라 수용부(100) 또는 펌핑부(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헤드부(310)는 수용부(100)의 유체 배출공(110)과 연통되는 유체 이동로(311)가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이동로(311)는 제1 헤드부(310)의 중심축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에서 안내되는 유체의 유로를 보다 중앙에 위치시켜, 유체의 공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1 헤드부(310)는, 상부에 안착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312)은 제1 헤드부(310)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안착홈(312)은 상측에서 제2 헤드부(32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2 헤드부(3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1 헤드부(310)는 측벽(313) 및 이탈방지구(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헤드부(320)는, 제1 헤드부(31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헤드부(320)는, 제1 헤드부(310)의 안착홈(3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헤드부(320)는 중앙에 제1 유로(3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헤드부(320)의 중앙에는 유체 배출공(110) 및 유체 이동로(311)를 따라 배출되는 화장품이 이동하는 제1 유로(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로(321)는 상하가 관통된 대략적인 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00)의 유체 배출공(110)에서 안내되는 액상 화장품이 상측으로 안내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배출공(1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안내되는 유로를 대략적인 직선 형상으로 제한하여, 액상 화장품의 공급률을 향상할 수 있다.
제2 헤드부(320)에는 상기 제1 유로(321)과 연통되는 방사상의 제2 유로(3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322)는 방사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321)로 안내된 액상 화장품의 일부가 제2 유로(322)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제2 유로(322)는 제1 유로(321)로부터 제2 헤드부(32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321)로 안내된 액상 화장품은 적어도 일부가 제2 유로(322)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1)는, 액상 화장품을 니들부(400)로 보다 균등하게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시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에 액상 화장품을 균등하게 제공하는 더 나은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제2 유로(322)는 제1 유로(321) 방향 일측의 높이가 타측의 높이보다 더 낮게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과 효과는 이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니들부(400)는, 제2 헤드부(3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니들부(400)는 원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들부(400)는 플레이트(401), 미세바늘(410) 및 유체통공(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플레이트(40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니들부(400)는 실시예에 따라, 원판형태 뿐만 아니라, 직사각형 형태의 평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니들부(400)의 형상은 피부 자극기(1)의 형상 변형에 대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미세바늘(410)은 플레이트(401)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미세바늘(410)은 사용자의 진피층까지 진입 가능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401) 본체에서 미세바늘(410)의 첨단부까지의 높이는 사용자의 피부 두께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다른 실시예로, 플레이트(401) 본체의 일부가 헤드부(300)의 일부에 덮이는 경우에는, 표면에 노출된 헤드부(300)에서부터 미세바늘(410) 첨단부까지의 높이가 사용자의 피부 두께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미세바늘(410)의 형상은, 첨단부가 존재하는 형상 중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세바늘(410)은 삼각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세바늘(410)의 단부는 진피층까지 진입될 수 있는 길이로 단부까지 뾰족한 삼각형태로 상기 니들부(400)를 삼각 형태로 절개하여 상부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확대도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세바늘(410)은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401)와 일체로 형성되어,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고분자 소재로 구비되는 돌기에 비해 파손의 위험이 적어 피부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 수용부(100)만을 교체하여 피부 자극기(1)를 재 사용할 수 있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배출공(110)이 형성된 수용부(100)의 상부는 수용부(100)의 바디(12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0) 상측 둘레에 제1 헤드부(310)의 하부가 끼워지는 하우징 결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헤드부(310)의 하부는 상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1 헤드부(310)의 하부 외주면에서 단면이 'ㄱ'형태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헤드부(310)의 하부면이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헤드부(310)은 하부가 상부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제1 헤드부(310)의 하부가 수용부(100)의 상부 혹은 펌핑부(20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니들부(400), 제1 헤드부(310) 및 제2 헤드부(320)의 구조와 결합 관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2 헤드부(320)의 상측으로 제1 헤드부(310) 및 니들부(4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니들부(400) 및 헤드부(300)가 수용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피부 자극기(1)의 유로는, 수용부(100)의 내부에서 유체 배출공(110)으로 배출된 후, 제1 헤드부(310)의 유체 이동로(311)를 따라 제2 헤드부(320)의 제1 유로(321)로 안내된 뒤, 니들부(400)의 유체통공(420)으로 배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헤드부(320)의 제1 유로(321)로 안내된 후, 제2 유로(322)를 거쳐 유체통공(420)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즉, 제2 헤드부(320)로 안내된 액상 화장품은, 제1 유로(321) 및 제2 유로(322)를 통해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니들부(400)로 다양한 위치에서 유로를 형성하여, 화장품 공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미세바늘(410)은 니들부(400)의 플레이트(401) 상측면에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미세바늘(410)은 제2 헤드부(320)의 제2 유로(322)의 함몰된 형상에 대응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로(322)를 통해 안내된 화장품이 최단경로로 미세바늘(410) 또는 미세바늘(4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체통공(42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구조에 의해, 피부에 침투하는 미세바늘(410)와 인접한 유체통공(420)으로 화장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액상 화장품이 피부에 용이하게 투입되어, 피부 자극기(1)를 피부에 가압하는 횟수가 동일할 때, 종래기술 대비 화장품의 피부 침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헤드부(320)의 상부면에는 니들부(400)가 안착되는 플레이트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하여, 니들부(400)에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플레이트 돌기(4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니들부(400)는 제2 헤드부(320)에 플레이트 돌기(430)를 플레이트홈(323)에 끼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방향 회전유동, 상하방향 유동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니들부(400)와 헤드부(300)의 결속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니들부(400)는 미세바늘(410)의 일측에 유체통공(42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401)에 미세바늘(410)이 일체로 형성되었다가, 상측으로 가압되면, 미세바늘(410)이 절곡되어 첨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401)에서 미세바늘(410)이 절곡되며 생긴 통공이 액상 화장품이 안내되는 유체통공(42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미세바늘(410)과 통공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작업은 상측방향으로 1회 가압으로 종료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미세바늘(410)이 플레이트(401)에 일체로 형성되는 특징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부 자극기(1)는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며, 소요되는 원자재를 절감하는 등,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더 나은 효과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헤드부(31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헤드부(32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헤드부(310)는 상측면, 즉 안착홈(31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헤드부(310)는 상측면, 즉 안착홈(312)이 중심축이 가장 낮고, 외주가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 안착홈(312)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유체 이동로(311)를 통과한 액상 화장품은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품의 특성상 점성이 강한 경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낮고, 이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진행하는 유속은 높을 수 있다. 특히, 펌핑부(20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나 자중에 의해 안내되는 경우, 전술한 유속차이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의 유속차이에 의해, 니들부(400)의 중심에 배치된 미세바늘(410)에는 보다 빠른 속도로 화장품이 공급되며, 외주측에 배치된 미세바늘(410)은 더 느리게 화장품이 공급되어, 화장품이 균일하게 공급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외주측에 배치된 미세바늘(410)에 화장품이 공급될 때까지 사용자에게 피부 자극 작업을 하지 못하고 대기해야 하는 시간이 발생하는데, 이 시간동안 중심에 배치된 미세바늘(410)을 통해 화장품이 누액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안착홈(312)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이동로(311)를 통과한 액상 화장품이 안착홈(312)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수직방향으로 진행하는 유체의 진행 경로를 수평방향으로 변경(90°)하는 것이 아닌, 경사지게 변경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유로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점성이 강한 화장액의 경우 안착홈(312)의 접촉면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부의 유속과 외주 방향의 유속의 차이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속의 차이를 절감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세바늘(410)에 보다 균등하게 화장액을 공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1)의 헤드부(30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은 도 7의 헤드부(300)에서 일부를 확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헤드부(320)는 제1 유로(321)의 높이보다 외주의 높이가 더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로(322)는 제1 유로(321) 방향 일측의 높이보다 타측의 높이가 더 높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로(322)의 경사진 형상에 기인하여, 액상 화장품을 외주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미세바늘(410)에 보다 균등하게 화장품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헤드부(320) 및 제1 헤드부(310)의 경사진 각도는 서로 대응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홈(312)에 제2 헤드부(320)의 하측면이 유격없이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제1 헤드부(310)의 하부 내주면에는 수용부(100)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시에 제1 헤드부(310)가 수용부(100)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결속력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헤드부(310)의 상부는, 상측에서 내려다볼 때 원형의 안착홈(312)이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312)에 상기 제2 헤드부(320)이 안착된다.
또한, 제1 헤드부(310)는 측벽(313) 및 이탈방지구(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3)은, 안착홈(312)의 외주에서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측벽(313)의 높이는 제2 헤드부(320) 및 플레이트(401)의 높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 헤드부(310)에 결합된 제2 헤드부(320)와 니들부(400)를 축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측벽(313)의 상측에는 제2 헤드부(320) 및 니들부(400)의 둘레와 상측 일부를 감싸는 이탈방지구(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구(314)는 측벽(313)의 상측 단부에서 중심축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구(314)는 측벽(313)의 상측에서, 상기 유체 이동로(311)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니들부(400)가 안착된 제2 헤드부(320)를 상측에선 이탈방지구(314)로 고정하며, 하측에선 안착홈(312)으로 지지해, 니들부(400) 및 제2 헤드부(320)의 상하 유동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 헤드부(320)와 미세바늘(410)가 일체로 형성된 니들부(400)를 제1 헤드부(310)에 고정하여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가 간편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헤드부(320)는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기(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참조)
이에 따라, 제2 헤드부(320)는 제1 헤드부(310)로 억지 끼움 결합되어 결속력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제2 돌기(324)가 측벽(313)에 가압되며 끼워져, 상하방향의 유동 및 회전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324)는, 제2 헤드부(32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주를 따라 적어도 2 이상 구비되며, 복수개의 제2 돌기(324)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것과 같이 니들부(400)는 플레이트(401)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 돌기(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기(402)는, 니들부(400)가 제2 헤드부(320)의 상측에 결합될 때, 측벽(313)에 가압되며 억지 끼움 결합되어, 플레이트(401)의 상하 방향 유동 및 회전 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제2 돌기(324)와 마찬가지로, 제3 돌기(402)는 플레이트(401)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원주를 따라 적어도 2 이상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 돌기(324)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피부 자극기
100: 수용부 110: 유체 배출공
200: 펌핑부 300: 헤드부
310: 제1 헤드부 311: 유체 이동로
312: 안착홈 313: 측벽
314: 이탈방지구
320: 제2 헤드부 321: 제1 유로
322: 제2 유로 323: 플레이트홈
324: 제2 돌기
400: 니들부 401: 플레이트
402: 제3 돌기 410: 미세바늘
420: 유체통공 430: 플레이트 돌기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수용부;
    상기 화장품이 안내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미세바늘을 포함하는 니들부;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고, 중심축에 유체 이동로가 형성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헤드부는,
    중심축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를 통해 안내된 유체가 반경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1 유로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 유로;
    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상기 미세바늘의 일측에 유체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부는,
    상기 제1 유로의 높이보다, 외주의 높이가 더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2 헤드부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측면이 외주에서 상기 유체 이동로를 향하여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미세바늘은, 상기 제2 유로의 위치에 대응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니들부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플레이트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부는,
    상기 제2 헤드부의 외주를 감싸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상측에서, 상기 유체 이동로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부는,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헤드부에 안착될 때, 억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헤드부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 이상 구비되며, 서로 원주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10. 상기 니들부는,
    플레이트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3 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헤드부에 안착될 때, 억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기.
KR1020210142596A 2021-10-25 2021-10-25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8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96A KR20230058867A (ko) 2021-10-25 2021-10-25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596A KR20230058867A (ko) 2021-10-25 2021-10-25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867A true KR20230058867A (ko) 2023-05-03

Family

ID=86380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596A KR20230058867A (ko) 2021-10-25 2021-10-25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88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29B1 (ko) 2007-10-10 2010-02-11 이삼국 피부 자극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29B1 (ko) 2007-10-10 2010-02-11 이삼국 피부 자극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752B1 (ko) 유체전달을 조절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 유닛
US11116956B2 (en) Needle disc roller apparatus with pump
KR101710887B1 (ko) 화장품 흡수를 위한 피부 자극기
EP3287037B1 (en) Needle array-equipped cosmetics container
KR20080057658A (ko) 마이크로니들 롤러
US11241540B2 (en) Manual injector for skin
KR20130139149A (ko) 피부용 자가 주입기구
KR102106982B1 (ko) 약액 동시 주입이 가능한 메조 롤러
KR102178324B1 (ko) 피부약물의 공급장치가 구비된 마이크로 니들 롤러
KR20230058867A (ko) 피부 자극기,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162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아이롤러 타입 화장품 용기
KR101991156B1 (ko) 미세침 롤러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KR102006937B1 (ko) 주사장치
KR20200019399A (ko) 마이크로 니들 피부미용기기
JP2020171407A (ja) 皮膚管理装置
KR101714552B1 (ko) 피부용 액체 주입장치
KR102137387B1 (ko)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KR20230000875U (ko) 화장품의 토출량을 증가시키는 피하 침투형 피부 자극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230000874U (ko) 화장품의 피부 흡수율을 증대시키는 피하 침투형 피부 자극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428072B1 (ko) 화장품 흡수를 위한 피부 자극기용 헤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기
KR20230000876U (ko) 화장품의 토출량을 증가시키는 피하침투형 피부 자극기를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KR20230000877U (ko)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는 피하침투형 피부 자극기를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JP7399295B2 (ja) 化粧品吸収誘導用微細針が取り付けられた化粧品注入器及びその制作方法
KR20230119363A (ko) 화장품의 피부 침투량을 증가시킨 피부 자극기
CN110477577A (zh) 一种化妆品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