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964A - 가변 데이터 레이트 지원을 위한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데이터 레이트 지원을 위한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964A
KR20230057964A KR1020220134634A KR20220134634A KR20230057964A KR 20230057964 A KR20230057964 A KR 20230057964A KR 1020220134634 A KR1020220134634 A KR 1020220134634A KR 20220134634 A KR20220134634 A KR 20220134634A KR 20230057964 A KR20230057964 A KR 20230057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
schedule
data transmission
time
transmission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우진
고경준
변일무
박성수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05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15Individual queue per QOS, rate or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04L47/263Rate modification at the source after receiv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56Queue scheduling implementing delay-aware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간 민감형 네트워크(TSN)의 TAS 설정 방법에 있어서, TSN 브릿지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요청이 인식되면,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TAS 스케쥴 및 상기 제2 TAS 스케쥴을 기초로 상기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TSN 브릿지의 TAS 스케줄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서 상기 제2 TAS 스케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AS 설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 데이터 레이트 지원을 위한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TAS Set Up of TSN for Variable Data Rate Support}
본 개시는 가변 데이터 레이트 지원을 위한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TSN에서 데이터 전송 레이트(rate)가 변경되는 경우 적응적으로 TAS의 설정을 변경하는 TAS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시간 민감형 네트워크(Time Sensitive Network, 이하, TSN)는 표준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확정적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술이다.
TAS(Time Aware Scheduling)는 TSN 프로토콜의 일부로,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포워딩하는 TSN 브릿지의 전송 포트에서 주기적으로 포트의 큐 게이트(queue gate)를 관리하여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스케쥴링하는 프로토콜이다.
TAS는 미리 설정된 동작 주기(operation cycle)를 가지며, TAS의 동작 주기는 복수의 시구간 프레임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시구간 프레임에 대응되는 데이터는 해당 시구간에서 TSN 브릿지의 하나 이상의 큐 게이트를 이용하여 독점적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TSN은 시 민감 데이터로 설정된 데이터 스트림을 미리 설정된 특정 시구간 프레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전송하고, 나머지 데이터 스트림은 나머지 시구간 프레임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전송하여, 시 민감 데이터의 확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TSN은 네트워크의 초기 설정과정에서 TSN 브릿지 간의 전송 지연, 처리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TAS 스케쥴을 설정한다. 여기서, TAS 스케쥴은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변화에 따라 새로운 TAS 스케쥴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TSN에서는 TSN 브릿지의 MAC/PHY 레이어에서 발생하는 전송 데이터의 크기 변화에 따라 TAS 스케쥴의 설정을 변경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적응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일 실시예에 따른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은 TSN 브릿지에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요청이 감지되면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고, 이후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대한 TAS 스케쥴로 TAS 설정이 변경될때까지 임시 TAS 스케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간 민감형 네트워크(TSN)의 TAS 설정 방법에 있어서, TSN 브릿지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요청이 인식되면,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TAS 스케쥴 및 상기 제2 TAS 스케쥴을 기초로 상기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TSN 브릿지의 TAS 스케줄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서 상기 제2 TAS 스케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AS 설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TSN 브릿지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요청이 인식되면,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하고, 상기 제1 TAS 스케쥴 및 상기 제2 TAS 스케쥴을 기초로 상기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고, 상기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TSN 브릿지의 TAS 스케줄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서 상기 제2 TAS 스케쥴로 변경하는 TAS 설정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 과정에서 적응적으로 TAS 스케쥴 설정을 변경함으로서, 의도하지 않은 전송 지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가 TAS 스케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TSN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가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줄이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TSN 브릿지의 TAS 스케쥴이 임시 TAS 스케쥴에서 제2 TAS 스케쥴로 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100)는 통신부(communication unit, 110), 프로세서(processor, 120) 및 메모리(memory, 13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는 버스(140)를 통하여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TAS 설정 장치(10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TAS 설정 장치(1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TSN의 네트워크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10)는 TSN을 구성하는 토커, CNC, CUC, TSN 브릿지 및 리스너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TSN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전송 데이터 식별정보, 데이터 전송 경로정보, 데이터 전송 레이트 정보 등과 같은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TAS 설정 장치(100)가 결정한 TSA 스케쥴에 관한 설정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TSN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인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TSN 브릿지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TAS 스케쥴은 해당 TSN 브릿지에서 제1 TAS 스케쥴이 개시되는 제1 기준시점, 제1 TAS 스케쥴의 동작 주기를 구성하는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 및 제1 기타 데이터 전송시간을 포함한다.
TSN에서 송신단인 토커에서 수신단인 리스너까지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SN 브릿지를 거치게 된다. 토커에서 데이터를 TAS 스케쥴에 따라 송신을 개시하면, 일정 시간 후에 그 다음 노드인 TSN 브릿지에 데이터가 도달한다. 따라서, TSN 브릿지가 원활하게 그 다음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TSN 브릿지에서 TAS 스케쥴이 개시되는 기준시점은 그 직전 노드의 TAS 스케쥴 기준시점보다 일정 시간이 지연된 시점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전송되는 데이터의 관점에서, TSN을 구성하는 노드가 각각의 TAS 스케쥴 기준시점에 TAS 스케쥴을 실행하도록 설정되면, 전체 TSN의 데이터 전송 경로가 동기화되어 원활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데이터가 TSN 브릿지의 이전 노드에서 TSN 브릿지까지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시간은 네트워크의 설정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노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속도, 네트워크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지연, TSN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 등에 따라서 데이터의 도달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TSN 브릿지에서 TAS 스케쥴이 개시되는 기준시점은 네트워크의 설정정보에 따라 변경되어야 한다.
프로세서(120)는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시, TSN 브릿지에 데이터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제1 기준시점에 개시되며,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도록 설정된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을 포함하는 제1 TAS 스케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TSN 브릿지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TSN 브릿지에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요청이 인식되면,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SN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변경되면, TSN 브릿지의 직전 노드로부터 TSN 브릿지까지 데이터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달라지므로, TAS 스케쥴의 기준시점도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시, TSN 브릿지에 데이터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제2 기준시점에 개시되며,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도록 설정된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을 포함하는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은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제1 TAS 스케쥴 및 제2 TAS 스케쥴을 기초로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한다.
TSN의 토커에서 전송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 요청이 TSN 브릿지에 도달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이 다시 토커에 도달하면 비로소 토커에서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TSN 브릿지는 어느 시점부터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TAS 스케쥴을 변경하여야 하는지 알 수 없으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 요청을 감지한 시점에도 변경 전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여야 한다.
TSN 브릿지에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가 도달한 시점에 TAS 스케쥴을 변경하면 원치 않은 전송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송 지연은 데이터 전송경로상에 존재하는 TSN 브릿지마다 발생하게 되므로, 데이터가 다수의 TSN 브릿지를 거쳐서 리스너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전송 지연이 점차 누적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높은 지터(jitter)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전송 레이트 변경요청이 TSN 브릿지에 도달한 시점에, 임시 TAS 스케쥴을 생성하고 적응적으로 TSN 브릿지의 TAS 스케쥴을 임시 TAS 스케쥴로 변경한다.
프로세서(120)는 제1 TAS 스케쥴에 대한 제1 기준시점 및 제2 TAS 스케쥴에 대한 제2 기준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을 임시 TAS 스케쥴이 개시되는 시점인 임시 기준시점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값보다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값이 큰 경우, 제2 기준시점은 제1 기준시점보다 더 늦은 시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상대적으로 더 빠른 시점인 제1 기준시점을 임시 기준시점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120)는 임시 기준시점으로부터,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및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중에서 늦은 어느 하나의 시점까지의 시구간을 임시 TAS 스케쥴에 대한 임시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값보다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값이 큰 경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전송된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은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보다 더 늦은 시점까지 확정적으로 전송되어야 한다.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전송된 데이터가 도달한 시점에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을 변경하면, 전송 지연 또는 일부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임시 TAS 스케쥴에서 시민감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는 시점은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및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중에서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으로 결정된다.
프로세서(120)는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TSN 브릿지의 TAS 스케줄을 임시 TAS 스케쥴에서 제2 TAS 스케쥴로 변경한다. TSN 브릿지는 변경된 제2 TAS 스케쥴에 따라,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수행한다.
메모리(130)는 TAS 설정 장치(100)에 의해 사용되거나 그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 영구, 가상 또는 다른 종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다이내믹 RAM(dynamic RAM, DRA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TAS 설정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네트워크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프로세서(120)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에는 프로세서(120)에 제공된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관한 정보, 프로세서(120)가 생성한 임시 TAS 스케쥴 및 제2 TAS 스케쥴의 설정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가 TAS 스케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TSN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SN(Time Sensitive Network, 200)은 CUC(Centralized User Configuration, 210), CNC(Centralized Network Configuration, 220), 토커(Talker, 230), TSN 브릿지(240, 250) 및 리스너(Listener, 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TSN(200)은 토커(230)에서 리스너(260)까지의 단일의 데이터 전송 경로상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TSN 브릿지(240, 250)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전송경로상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TSN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TSN(200)의 구성요소들은 모두 TSN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토커(230)는 TSN(200)의 데이터 송신 말단(endpoint)이고, 리스너(260)는 TSN(200)의 데이터 수신 말단(endpoint)이다. 토커(230)에서 송신된 데이터는 TSN 브릿지(240, 250)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리스너(260)에 전송된다.
CUC(210)는 토커(230) 및 리스너(260)와 같은 TSN의 말단과 인터페이싱하며, 토커(230)로부터 전송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 스트림 프로파일(data stream profile)을 생성한다. 여기서, 전송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CNC(220)는 CUC(210) 및 TSN 브릿지와 인터페이싱하며, CUC(210)로부터 데이터 스트림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수신한 스트림 프로파일을 기초로 데이터 전송 경로상의 TSN 브릿지(240, 250)들이 정상적으로 데이터 스트림을 포워딩할 수 있도록 TSN 브릿지의 설정값을 생성하여 TSN 브릿지(240, 250)들에게 각각 전송한다. 여기서, TSN 브릿지 설정값은 TAS 스케쥴에 관한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SN 브릿지(240, 25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들을 다음 TSN 브릿지 또는 리스너(260)에 포워딩될 수 있도록 TAS 스케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TSN 브릿지는 미리 설정된 TAS 스케쥴의 동작 주기에서 시민감 데이터 전송 시구간 동안에는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만 확정적으로 포워딩하고, 그 외의 전송 시구간 동안에는 비시민감 데이터 스트림들을 포워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TSN 브릿지(240, 25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시구간 프레임을 포함하는 TAS 스케쥴의 동작 주기 중에서 특정 시구간 프레임을 시민감 데이터가 큐잉되는 큐에 독점적으로 할당하여 해당 시구간에는 시민감 데이터 큐 게이트만 개방(open)하고 나머지 큐 게이트는 모두 폐쇄(close)한다. 따라서 시민감 데이터만 TSN 브릿지의 송신포트의 MAC/PHY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토커(230)와 물리매체로 연결된 TSN 브릿지(240)는 토커(2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딜레이, 전파 딜레이 및 TSN 브릿지의 프로세싱 딜레이를 고려하여 TAS 기준시점, 동작 주기, TAS 스케쥴의 시구간을 설정한다. 이어지는 데이터 경로 상의 브릿지(250)도 동일한 방법으로 해당 스트림의 경로에서 이전 브릿지와의 딜레이 관계를 고려하여 TAS 기준시점, 동작 주기, TAS 스케쥴의 시구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TSN 브릿지의 설정 값들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에서 도출되고, CNC(220)를 거쳐 각각의 TSN 브릿지(240, 250)로 전달될 수 있다. CNC(220)는 네트워크 초기 설정과정에서 TSN 브릿지 간의 전송 지연, TSN의 전송처리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 및 갱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는 이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TSN 브릿지(240, 250) 각각에 대응하는 TAS 스케쥴의 구체적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가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TSN의 데이터 송신 말단인 토커는 토커 TAS 스케쥴(300)에 따라 TSN의 데이터 전송 경로상의 다음 노드인 TSN 브릿지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전송된다.
토커 TAS 스케쥴(300)은 송신 개시시점(301)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동작 주기(304)로 반복된다. 여기서, 토커 TAS 스케쥴(300)은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이 독점적으로 전송되는 시구간인 토커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302), 및 시민감 데이터 외의 다른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는 시구간인 비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303)을 포함한다.
토커에서 TAS 스케쥴에 따라 송신된 데이터는 일정 시간 후에 그 다음 노드인 TSN 브릿지에 도달한다. 즉, 데이터의 전송 과정에서 노드간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TSN 브릿지에서는 토커의 송신 개시시점(301)으로부터 제1 딜레이(311) 후의 시점부터 TAS 스케쥴이 시작된다.
TSN 브릿지는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310)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TSN 브릿지는 송신 개시시점(301)으로부터 제1 딜레이(311)가 경과된 후의 시점인 제1 기준시점(313)부터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312) 동안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여기서, 제1 TAS 스케쥴(310)은 토커 TAS 스케쥴(300)과 동일한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TAS 스케쥴이므로,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312)은 토커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302)과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변경되면 데이터의 전송 과정에서 노드간 딜레이도 달라질 수 있다.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 TSN 브릿지는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2 TAS 스케쥴(320)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TSN 브릿지는 제2 딜레이(321) 후의 시점인 제2 기준시점(323)부터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322) 동안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여기서, 제2 TAS 스케쥴(320)은 제1 TAS 스케쥴(310)과 동일한 동작 주기일 수 있다.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경우, 단위시간당 전송하는 데이터 양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TSN 브릿지의 딜레이 값이 증가할 수 있으며 데이터 패킷의 입출력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딜레이(321)는 제1 딜레이(31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는다.
즉, 제2 TAS 스케쥴(320)은 제1 TAS 스케쥴(310)의 제1 기준시점(313)보다 더 늦은 시간인 제2 기준시점(323)부터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는 제1 TAS 스케쥴(310) 및 제2 TAS 스케쥴(320)을 기초로 임시 TAS 스케쥴(330)을 설정한다.
임시 TAS 스케쥴(330)이 개시되는 시점인 임시 기준시점은 제1 TAS 스케쥴에 대한 제1 기준시점 및 제2 TAS 스케쥴에 대한 제2 기준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으로 결정된다. 제1 기준시점(313) 및 제1 기준시점(323) 중에서 더 빠른 시점은 제1 기준시점(313)이므로, 임시 TAS 스케쥴(330)은 제1 기준시점(313)과 동일한 시점에 개시되도록 설정된다.
임시 TAS 스케쥴(330)에서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은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및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중에서 늦은 시점으로 결정된다.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314)과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324) 중에서 더 늦은 시점은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324)이므로, 임시 TAS 스케쥴(330)에서의 임시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332)은 제1 기준시점(313)에서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324)까지의 시구간과 동일 시구간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는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전송 레이트 변경 요청이 TSN 브릿지에 도달하는 시점부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전송 데이터가 TSN 브릿지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임시 TAS 스케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TSN 브릿지를 적응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 과정에서도 의도하지 않은 전송 지연의 발생 없이 원활히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줄이 설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SN 브릿지에는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1 TAS 스케쥴이 설정되고(S410), TSN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S420).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중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전송 레이트의 변경이 요구되면, 토커는 CUC에게 전송레이트 변경 요청(S430)을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레이트 변경 요청은 전송 데이터의 크기나 주기 등의 전송 레이트 변경의 구체적인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레이트 변경 요청(S430)뿐만 아니라, 후술한 모든 메시지 전송과정 각각에서는 메시지 전송의 성공을 확인하는 확인응답(Acknowledgement)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CUC는 전송레이트 변경 요청(S430)을 기초로 CNC에 CUC 전송레이트 변경 요청(S440)을 전송한다. CUC 전송레이트 변경 요청(S440)에는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 변경에 관한 구체적인 프로파일 정보와 데이터 스트림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CNC는 수신한 CUC 전송레이트 변경 요청(S440)을 기초로 생성된 TSN 브릿지별 TAS 스케쥴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TSN 설정변경 요청(S450) 메시지를 각각의 TSN 브릿지에 전송한다. 여기서, TSN 설정변경 요청(S450) 메시지에는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새로운 TAS 스케쥴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 및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TAS 스케쥴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는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대한 TAS 스케쥴 설정정보와 임시 TAS 스케쥴 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인 경우, 미리 설정된 복수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대응하는 TAS 스케쥴의 설정값 및 임시 TAS 스케쥴의 설정값을 사전에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데이터 스트림의 초기 전송과정에서 모든 TAS 스케쥴의 설정값 및 임시 TAS 스케쥴의 설정값이 TSN 브릿지들에게 전송되고, TSN 설정변경 요청(S450) 메시지에는 미리 전송된 설정값들 중에서 어떤 설정값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TSN 설정변경 요청(S450) 메시지를 전송받은 TSN 브릿지는 TSN 설정변경 응답(S450) 메시지를 CNC에 전송하고, 제1 TAS 스케쥴을 임시 TAS 스케쥴로 변경 설정한다(S470).
이후, CNC는 TSN 설정변경 응답(S450) 메시지를 기초로 CUC에 CUC 전송레이트 변경 응답(S480)을 전송하고, CUC는 토커에 전송레이트 변경 응답(S490)을 전송한다. 전송레이트 변경 응답(S490)을 수신한 토커는 TSN 구성요소 모두에 전송레이트 변경 요청이 전달되었음을 확인하고,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을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TSN 브릿지에서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요청에 관한 TSN 설정변경 요청(S450) 메시지가 전송된 시점으로부터, 실제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기까지 일정한 시간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장치는 해당 시간 동안 임시 TAS 스케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송 지연에 의한 지터를 최소화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TSN 브릿지의 TAS 스케쥴이 임시 TAS 스케쥴에서 제2 TAS 스케쥴로 변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일련의 과정을 거쳐, 토커가 전송레이트 변경 응답(S500)을 수신하게 되면, 토커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변경(S510)하고,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S520).
토커에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이 TSN 브릿지에 도달하면, TSN 브릿지는 임시 TAS 스케쥴을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생성한 제2 TAS 스케쥴로 변경하여 설정(S530)하고 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2 TAS 스케쥴이 설정(S530)되는 시점은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이 처음 도달한 시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횟수나 시간 동안 연속으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는 시점일 수 있다.
TSN 브릿지는 제2 TAS 스케쥴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TSN 설정변경 응답(S540) 메시지를 CNC에 전송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AS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TAS 설정장치는 TSN 브릿지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S610).
미리 설정된 TSN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인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TSN 브릿지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TAS 스케쥴은 해당 TSN 브릿지에서 제1 TAS 스케쥴이 개시되는 제1 기준시점, 제1 TAS 스케쥴의 동작 주기를 구성하는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 및 제1 기타 데이터 전송시간을 포함한다.
TSN에서 송신단인 토커에서 수신단인 리스너까지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SN 브릿지를 거치게 된다. 토커에서 데이터를 TAS 스케쥴에 따라 송신을 개시하면, 일정 시간 후에 그 다음 노드인 TSN 브릿지에 데이터가 도달한다. 따라서, TSN 브릿지가 원활하게 그 다음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TSN 브릿지에서 TAS 스케쥴이 개시되는 기준시점은 그 직전 노드의 TAS 스케쥴 기준시점보다 일정 시간이 지연된 시점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TAS 설정장치는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시, TSN 브릿지에 데이터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제1 기준시점에 개시되며,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도록 설정된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을 포함하는 제1 TAS 스케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TSN 브릿지를 제어한다.
TAS 설정장치는 TSN 브릿지에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요청이 인식되면,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한다(S620).
상술한 바와 같이, TSN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서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변경되면, TAS 스케쥴의 기준시점도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TAS 설정장치는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서, TSN 브릿지에 데이터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기초로 결정된 제2 기준시점에 개시되며,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이 전송되도록 설정된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을 포함하는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한다.
TAS 설정장치는 제1 TAS 스케쥴 및 제2 TAS 스케쥴을 기초로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한다(S630).
TSN의 토커에서 전송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 요청이 TSN 브릿지에 도달하는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이 다시 토커에 도달하면 비로소 토커에서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TSN 브릿지는 어느 시점부터 변경된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TAS 스케쥴을 변경하여야 하는지 알 수 없으며, 데이터 전송 레이트 변경 요청을 감지한 시점에도 변경 전 데이터 전송 레이트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TAS 설정장치는 전송 레이트 변경요청이 TSN 브릿지에 도달한 시점에, 임시 TAS 스케쥴을 생성하고 적응적으로 TSN 브릿지의 TAS 스케쥴을 임시 TAS 스케쥴로 변경한다.
TAS 설정장치는 제1 TAS 스케쥴에 대한 제1 기준시점 및 제2 TAS 스케쥴에 대한 제2 기준시점 중에서 빠른 시점을 임시 TAS 스케쥴이 개시되는 시점인 임시 기준시점으로 결정한다.
TAS 설정장치는 임시 기준시점으로부터,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및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중에서 늦은 어느 하나의 시점까지의 시구간을 임시 TAS 스케쥴에 대한 임시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으로 결정한다.
TAS 설정장치는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TSN 브릿지의 TAS 스케줄을 임시 TAS 스케쥴에서 제2 TAS 스케쥴로 변경한다(S640). TSN 브릿지는 변경된 제2 TAS 스케쥴에 따라,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흐름도/타이밍도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흐름도/타이밍도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흐름도/타이밍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TAS 설정 장치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Claims (10)

  1. 시간 민감형 네트워크(Time Sensitive Networking: TSN)의 TAS(Time Aware Scheduling: TAS) 설정 방법에 있어서,
    TSN 브릿지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요청이 인식되면,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TAS 스케쥴 및 상기 제2 TAS 스케쥴을 기초로 상기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TSN 브릿지의 TAS 스케줄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서 상기 제2 TAS 스케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AS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AS 스케쥴의 주기와 상기 제2 TAS 스케쥴의 주기는 동일한 시간 주기인 TAS 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SN 브릿지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상기 제1 TAS 스케쥴의 제1 기준시점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 동안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AS 설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상기 제2 TAS 스케쥴의 제2 기준시점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제2 기준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AS 설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AS 스케쥴 및 상기 제2 TAS 스케쥴을 기초로 상기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TAS 스케쥴에 대한 상기 제1 기준시점 및 상기 제2 TAS 스케쥴에 대한 상기 제2 기준시점 중에서 빠른 어느 하나의 기준시점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 대한 임시 기준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임시 기준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및 상기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중에서 늦은 어느 하나의 시점까지의 시구간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 대한 임시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TSN 브릿지의 TAS 스케쥴을 상기 제1 TAS 스케쥴에서 상기 임시 TAS 스케쥴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AS 설정방법.
  6.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TSN 브릿지가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설정된 제1 TAS 스케쥴에 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TSN 브릿지에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로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변경요청이 인식되면,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제2 TAS 스케쥴을 생성하고,
    상기 제1 TAS 스케쥴 및 상기 제2 TAS 스케쥴을 기초로 상기 TSN 브릿지의 임시 TAS 스케쥴을 설정하고,
    상기 TSN 브릿지에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TSN 브릿지의 TAS 스케줄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서 상기 제2 TAS 스케쥴로 변경하는
    TAS 설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AS 스케쥴의 주기와 상기 제2 TAS 스케쥴의 주기는 동일한 시간 주기인 TAS 설정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상기 제1 TAS 스케쥴의 제1 기준시점을 계산하고,
    상기 TSN 브릿지가 상기 제1 기준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 동안 시민감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TAS 설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기초로 상기 제2 TAS 스케쥴의 제2 기준시점을 계산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전송 레이트 및 상기 제2 기준시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을 결정하는 TAS 설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TAS 스케쥴에 대한 상기 제1 기준시점 및 상기 제2 TAS 스케쥴에 대한 상기 제2 기준시점 중에서 빠른 어느 하나의 기준시점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 대한 임시 기준시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임시 기준시점으로부터, 상기 제1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및 상기 제2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이 종료하는 시점 중에서 늦은 어느 하나의 시점까지의 시구간을 상기 임시 TAS 스케쥴에 대한 임시 시민감 데이터 전송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TSN 브릿지의 TAS 스케쥴을 상기 제1 TAS 스케쥴에서 상기 임시 TAS 스케쥴로 변경하는 TAS 설정장치.
KR1020220134634A 2021-10-22 2022-10-19 가변 데이터 레이트 지원을 위한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579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1561 2021-10-22
KR1020210141561 2021-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964A true KR20230057964A (ko) 2023-05-02

Family

ID=8638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634A KR20230057964A (ko) 2021-10-22 2022-10-19 가변 데이터 레이트 지원을 위한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9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87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time-controlled data transmission in a time-sensitive network
US96990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me aware transfer of frames in a medium access control module
US10447583B2 (en) Packet processing technique for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80227080A1 (en) Forward error correction for incomplete blocks
JP2017532913A (ja) パケット交換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低ジッタ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10560383B2 (en) Network latency scheduling
US10728134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easuring delivery latency in a frame-preemption-capable network
EP3375151B1 (en) Packet processing technique for a communication network
JP4342585B2 (ja) パケット中継装置及びパケット中継方法
CN110546926B (zh) 减少时间敏感分组的分组延迟变化
KR20160036878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흐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848769B2 (ja) 車載中継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中継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24620A1 (en)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W201804764A (zh) 偶發性網路流量用超低傳送延遲
US11765094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de-jitter buffer for reducing jitter
JP7191253B2 (ja) パケット交換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エンティティのコンピューター手段によって実施される方法、並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ー可読非一時的記録媒体、並びにパケット交換ネットワークの通信エンティティ
WO20190426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PACKET TRANSMISSION OF DATA
JP2013121144A (ja) パケット制御方法及びパケット制御装置
CN110301116B (zh) 通过绑定连接传送和接收数据分组的方法和系统
EP3977692B1 (en) Avoiding jitter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280105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US106868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and low-latency real-time output and/or processing of an audio data stream
KR20230057964A (ko) 가변 데이터 레이트 지원을 위한 tsn의 tas 설정 장치 및 방법
CN112753206B (zh) 工业通信网络内数据传输的方法和通信设备
CN105577570A (zh) 一种支持业务报文时序逻辑的算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