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932A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컴퓨터 설비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컴퓨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932A
KR20230057932A KR1020220081127A KR20220081127A KR20230057932A KR 20230057932 A KR20230057932 A KR 20230057932A KR 1020220081127 A KR1020220081127 A KR 1020220081127A KR 20220081127 A KR20220081127 A KR 20220081127A KR 20230057932 A KR20230057932 A KR 20230057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roduct
target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빙큉 선
큐유에 웬
첸홍 리우
수안 왕
신 예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다지아 인터넷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다지아 인터넷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다지아 인터넷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5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7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extracting optical codes from image or text carrying said optical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인터넷 기술분야에 속한다. 해당 방법은, 생방송실에서 물품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통해,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서버를 트리거하고, 또한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생방송실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며, 발표 컨트롤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통해, 목표 물품 대상을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컴퓨터 설비{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EQUIPMENT}
본 발명은 인터넷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컴퓨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21년10월22일에 제출한 중국특허출원 제202111235350.2호를 기반으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에서 공개한 내용 전부를 인용하여 본 발명에 인입한다.
생방송 및 전자상거래가 부단히 발전됨에 따라, 생방송과 전자상거래의 결합도 점점 긴밀해지고 있다. 앵커는 생방송실에서 각양각색의 물품들을 발표하고, 나아가 생방송 시 물품에 대해 소개하는 것으로,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어서 생방송실 내의 물품을 구매하게 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컴퓨터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물품 검색 요청을 발송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하는 단계;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을 기반으로 해당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며, 해당 발표 컨트롤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하는 단계;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단말기에서 발송한 물품 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은 물품 인식을 기반으로 물품 정보를 확정하도록 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해당 물품 정보를 담고 있는 단계;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단말기로 발송하여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도록 트리거하고, 해당 발표 컨트롤은 해당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하는 단계; 해당 단말기에서 발송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에 대한 발표 요청을 접수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고, 해당 발표 요청은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단말기에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에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설비를 제공하고, 여기서,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아래와 같은 단계: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물품 검색 요청을 발송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하는 단계;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을 기반으로 해당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며, 해당 발표 컨트롤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하는 단계;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실시 환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리스트 페이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세부사항 페이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리스트 페이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발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발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또는 정보는 사용자의 인가 또는 각 당사자의 충분한 인가를 받은 데이터 또는 정보이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의 실시 환경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1을 참조하면, 해당 실시 환경은 단말기(101)와 서버(102)를 포함한다.
단말기(101)는 생방송실의 앵커 계정과 대응하는 단말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01)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데스크탑 컴퓨터, 가상 현실 단말기, 증강 현실 단말기, 무선 단말기 및 랩탑 컴퓨터 등 설비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단말기(101)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다. 단말기(101)는 통상 다수의 단말기 중의 하나를 가리키고, 본 실시예는 단지 단말기(101)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해당분야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다시피, 상기 단말기의 수량은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01)에는 생방송 기능을 가지는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앵커는 단말기(101) 상에서 조작하는 것을 통해, 생방송실 중에서 각양각색의 물품을 발표할 수 있고, 즉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여, 물품 대상이 거래 가능한 상태에 있게 하고, 나아가 생방송 시 물품에 대해 소개하는 것으로,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어서 생방송실 중의 물품을 구매하게 한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앵커가 있는 생방송실은 물품 대상 집합이 관련되어 있고, 해당 물품 대상 집합은 앵커가 예비 설정한 다수의 물품 대상 및 해당 다수의 물품 대상의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앵커는 단말기(101) 상에서 조작하는 것을 통해, 해당 물품 대상 집합 중에 새로운 물품 대상 및 해당 새로운 물품 대상의 관련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관련 기술 중에서, 앵커는 생방송실 중에서 물품 대상을 발표할 때, 앵커가 관련해 놓은 물품 대상 집합 중에서 페이지 넘김 검색을 진행하거나, 또는 물품 타이틀에 따라 검색을 진행해야 하고, 나아가 검색된 다수의 물품 중에서 페이지 넘김 검색을 하며, 나아가 발표하려는 물품에 대해 발표를 진행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품 인식을 기반으로 물품 매칭을 진행하는 것으로 신속히 물품을 발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101)는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하고,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102)에 물품 검색 요청을 발송하여, 서버(102)를 트리거하여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을 기반으로 해당 서버(103)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며,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한다.
서버(102)는 생방송 기능을 구비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백그라운드 서버이다. 서버(102)는 단말기(101)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을 진행하고,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02)는 독립된 물리적 서버일 수 있고, 또는 다수의 물리적 서버로 구성된 서버 그룹 또는 분산 파일 시스템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연산, 클라우드 함수, 클라우드 저장,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우드 통신, 미들웨어 서비스, 도메인 서비스, 안전 서비스,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및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플랫폼 등 기본적인 클라우드 연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102)의 수량은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고,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한정하지 않는다. 당연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102)는 기타 기능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더 전면적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102)는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단말기(101)에서 발송한 물품 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고,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단말기(101)로 발송하여, 해당 단말기(101)가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도록 트리거하고, 해당 목표 물품 대상에 대한 발표 요청을 접수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한다.
도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2를 참조하면, 해당 방법은 단말기에서 실행하고,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단말기는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한다.
단계(202)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물품 검색 요청을 발송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한다.
단계(203)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을 기반으로 해당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며, 해당 발표 컨트롤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한다.
단계(204)에서, 단말기는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은,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통해,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신속히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서버를 트리거하고,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한 경우, 생방송실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고, 발표 컨트롤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통해, 신속히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고, 이러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 매칭을 진행하고 나아가 신속히 물품을 발표하는 방법을 통해, 단말기는 모든 발표 대기 중의 물품을 전시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대응하는 물품을 검색할 수 있게 하여, 이로써 단말기의 연산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도 여러번의 페이지를 넘기는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이 대응하는 물품을 검색할 수 있게 하여, 이로써 물품을 획득하는 조작 경로를 감소시킴으로써, 인간 기계 상호작용 효율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하기 중의 어느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도형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의 물품을 촬영하여, 해당 물품의 물품 도면을 획득하고, 해당 물품 도면을 인식하여, 해당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번호를 촬영하여, 해당 번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획득하고, 해당 번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인식하여, 해당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생방송실은 슬라이딩 컨트롤을 포함하고;
해당 방법은,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스캔하는 경우,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제1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해당 촬영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
해당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촬영하는 경우,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제2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촬영 기능을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는 하기 중의 어느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하나인 경우,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고, 해당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리스트의 형식으로 다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선택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는 단계;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생방송실은 물품 인식 컨트롤을 포함하고,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은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을 트리거하도록 하며, 해당 방법은,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를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은,
해당 생방송실에서, 돌출 전시하는 형식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은,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고,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는 해당 생방송실 내에서 거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대상을 전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이 추가 완성된 경우,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 페이지로 넘어가는 단계;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는,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의 목표 구역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은 하기 중의 어느 한 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해당 물품 정보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 해당 생방송실 중에서 인식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인식 제시 정보는 인식 실패를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생방송실 중에서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네트워크 제시 정보는 네트워크 이상을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생방송실에서 검색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검색 제시 정보는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서버에서 실행하고,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1)에서, 서버는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단말기에서 발송한 물품 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은 물품 인식을 기반으로 물품 정보를 확정하도록 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해당 물품 정보를 담고 있다.
단계(302)에서, 서버는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한다.
단계(303)에서, 서버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단말기로 발송하여,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도록 트리거하고, 해당 발표 컨트롤은 해당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한다.
단계(304)에서, 서버는 해당 단말기에서 발송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에 대한 발표 요청을 접수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고, 해당 발표 요청은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단말기에서 발송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은,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통해,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신속히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를 트리거하여, 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고, 생방송실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고, 발표 컨트롤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통해, 신속히 목표 물품 대상을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고, 이러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 매칭을 진행하고 나아가 신속히 물품을 발표하는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여러번의 페이지를 넘기는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이 대응하는 물품을 신속히 찾을 수 있게 하여, 이로써 물품을 획득하는 조작 경로를 감소시킴으로써, 인간 기계 상호작용 효율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서버에서도 모든 발표 대기 중의 물품 대상을 단말기에 다 발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상호작용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켜, 데이터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는,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해당 물품 도면과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고, 해당 물품 대상 집합은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물품 도면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해당 물품 도면과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는 단계는,
해당 물품 도면과 해당 물품 대상 집합에 포함된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 사이의 도면 유사도를 각각 확정하는 단계;
해당 도면 유사도가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대상을 해당 목표 물품 대상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하는 단계는,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해당 번호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고, 해당 물품 대상 집합은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번호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은 하기 중의 어느 한 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정된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하나인 경우, 해당 단말기에 제1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제1제시 정보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게끔 해당 단말기를 제시하도록 하고, 해당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사항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확정된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해당 단말기에 제2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제2제시 정보는 리스트의 형식으로 다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게끔 해당 단말기를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방법은 하기 중의 어느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네트워크 제시 정보는 네트워크 이상을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검색 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검색 제시 정보는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도2 내지 도3은 단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흐름이고, 아래에 구체적 실시 방식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한 방안에 대해 진일보 설명을 진행하며, 도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4를 참조하여, 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상호작용을 예를 들어 소개를 진행하며, 해당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1)에서, 단말기는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고,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는 해당 생방송실 내에서 거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대상을 전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방송실은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제공하고,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은 물품 인식 기능을 트리거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리스트 페이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5를 참조하면, 물품 리스트 페이지는 도5에서 도시한 바의 상품 리스트 페이지(작은 노란색 장바구니 페이지라고도 칭함)이고, 물품 인식 컨트롤은 도5에서 도시한 바의 "코트 스캔하여 장바구니에 넣기 "컨트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의 네비게이션 바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한다. 예시 적으로, 도5를 참조하면, 상품 리스트 페이지의 네비게이션 바에는 해당" "코트 스캔하여 장바구니에 넣기" 컨트롤을 전시한다. 이로써 물품 리스트 페이지 중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는 것을 통해,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전시하는 정보량을 증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생방송실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기능 제시 정보를 전시한다. 상응한 과정은, 단말기의 로그인된 계정에서 최초로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 최초로 접속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기능 제시 정보를 전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이 위치한 구역의 호버 조작의 응답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기능 제시 정보를 전시한다.
여기서, 해당 기능 제시 정보는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트리거 기능을 제시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기능 제시 정보의 내용은 "스캔 상품은 즉시 작은 노란색 장바구니에서 신속히 상품을 발표할 수 있음"이다. 호버 조작이란 마우스, 스타일러스, 손가락 등 명령 입력 도구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어느 한 구역의 상방에 떠있게 하지만 클릭을 진행하지 않은 조작을 가리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기포 팝업창의 형식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이 위치한 구역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기능 제시 정보를 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기능 제시 정보의 전시 횟수가 제1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기능 제시 정보를 전시하는 것을 중지한다. 여기서, 제1횟수는 예비 설정된 횟수이고, 예를 들면 3회이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기능 제시 정보의 전시 시간이 제1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기능 제시 정보를 전시하는 것을 중지한다. 여기서, 제1시간은 예비 설정된 시간이고, 예를 들어 3초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생방송실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돌출 전시하여, 사용자가 물품 인식 컨트롤을 통해 물품 인식 기능을 트리거하도록 제시한다. 상응하는 과정은: 단말기는 해당 생방송실에서, 돌출 전시하는 형식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로그인된 계정에서 최초로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 최초로 접속하는 경우, 단말기는 돌출 전시하는 형식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한다. 예시적으로, 해당 돌출 전시는 디더링, 하이라이트, 문자 굵게 하기, 보더 추가, 쉐도우 추가 및 동적 효과 추가 등 중의 어느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돌출 전시로 디더링을 예를 들면, 단말기는 해당 물품 리스트에서, 디더링의 형식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한다. 이해 가능한 것은, 상기 열거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일 뿐이고, 본 발명 실시예는 돌출 전시의 실시방식에 대해 한정을 하지 않으며, 어느 한 컨트롤을 돌출 전시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돌출 전시 방식인 경우라면, 모두 상기 돌출 전시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 전시로 디더링을 예를 들면,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디더링 횟수가 제2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디더링 형식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는 것을 중지한다. 여기서, 제2횟수는 예비 설정된 횟수이고, 예를 들면 2회이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디더링 시간이 제2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디더링 형식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는 것을 중지한다. 여기서, 제2시간은 예비 설정된 시간이고, 예를 들어 5초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돌출 전시의 형식을 통해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고, 사용자가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통해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을 트리거하도록 제시하여, 인간 기계 상호작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402)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를 전시한다.
예시적으로, 도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5에서 도시한 바의 "스캔하여 장바구니에 넣기" 컨트롤을 클릭하는 것을 통해, 단말을 트리거하여 도6에서 도시한 바의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를 전시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물품 인식 컨트롤을 설치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통해,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를 전시하는 것을 트리거하여, 나아가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인간 기계 상호작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물품 정보 획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은 도형 코드 스캔 기능과 촬영 기능을 포함하고,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은 물품의 도형 코드를 스캔하도록 하고, 해당 촬영 기능은 물품 도면 또는 물품 정보가 포함된 도면을 촬영하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도6을 참조하면,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제공하는 페이지는 도6에서 도시한 바의 스캔 페이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생방송실은 슬라이딩 컨트롤을 포함하고,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슬라이딩 조작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인식 기능을 트리거하고, 상응하는 과정은: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스캔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제1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해당 촬영 기능으로 전환하고; 해당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촬영하는 경우, 단말기는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제2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촬영 기능을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컨트롤은 도6에서 도시한 바의 "슬라이딩 컨트롤(601)"이다. 예를 들면, 제1슬라이딩 조작은 왼쪽 슬라이딩 조작이고, 제2슬라이딩 조작은 오른쪽 슬라이딩 조작이며, 상응하게, 단말기는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왼쪽 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해당 촬영 기능으로 전환하고; 단말기는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오른쪽 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촬영 기능을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으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컨트롤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을 통해, 물품 인식 기능에 대한 전환을 실현할 수 있고, 물품 인식 기능 전환의 융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403)에서, 단말기는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해당 물품 정보를 확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은 도형 코드 스캔 기능과 촬영 기능을 포함하고, 아래에 각각 도형 코드 스캔 기능과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 정보를 확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을 진행한다.
(403A) 일부 실시예에서,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은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이고, 단말기가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는 과정은: 단말기는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도형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형 코드는 데이터 정보를 탑재하도록 구성된 도형이고, 스캔 설비를 통해 데이터 정보의 자동 처리를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예를 들면, 상품의 바코드를 스캔하는 것을 통해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형 코드는 QR코드, VR코드 또는 바코드 등이다, 도형 코드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예를 들면, 해당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는 도형 코드가 담고 있는 물품 명칭, 물품 ID(Identity, 신분인식번호) 등이다. 목표 위치는 실체 공간 내의 임의의 위치를 가리키고, 예를 들면, 물품이 탁자에 놓이면, 해당 목표 위치는 즉 탁면이 있는 위치이며, 이에 대해 한정을 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목표 위치 상의 물품의 도형 코드는 물품 실체 상에 인쇄된 도형 코드이거나, 또는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도형 코드는 물품의 도형 코드가 인쇄된 종이장일 수 있다.
(403B) 일부 실시예에서,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은 촬영 기능이고, 단말기가 해당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는 과정은 하기 중의 어느 한 항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단말은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의 물품을 촬영하여, 해당 물품의 물품 도면을 획득하고, 해당 물품 도면을 인식하여, 해당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목표 위치 상의 물품은 물품 실체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촬영된 물품 도면에 대해 도면 인식을 진행하는 것을 통해, 신속히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는 물품 도면의 도면 특징이다.
둘째, 단말기는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번호를 촬영하여, 해당 번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획득하고, 해당 번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인식하여, 해당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번호는 물품 실체 상에 인쇄된 번호이거나, 또는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번호는 번호가 인쇄된 종이장이거나, 또는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번호는 육필로 된 번호를 가지는 종이장일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촬영된 번호를 포함한 도면에 대해 문자 인식을 진행하는 것을 통해, 신속히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는 물품의 번호 정보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통해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촬영 기능을 통해 물품 도면 또는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모두 신속히 물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여러번의 페이지를 넘기는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이 대응하는 물품을 신속히 찾을 수 있게 하여, 인간 기계 상호작용 효율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기능을 기반으로 해당 물품 정보를 확정한 경우, 단계(404)를 실행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기능을 기반으로 해당 물품 정보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 해당 생방송실 중에서 인식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인식 제시 정보는 인식 실패를 제시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에서, 해당 인식 제시 정보를 전시한다. 예시적으로, 인식 제시 정보의 내용은 "코드 스캔 실패"이다. 이와 같이, 인식 제시 정보를 전시하는 것을 통해, 생방송실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량을 증가하여, 사용자가 즉시 물품 인식의 상태를 획득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네트워크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상응하게, 단말기는 네크워크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생방송실에서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네크워트 제시 정보는 네트워크 이상을 제시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에서, 해당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전시한다. 예시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제시 정보의 내용은 "네트워트 타임아웃되어, 다시 시도해 보세요."이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전시하는 것을 통해, 생방송실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량을 증가하여, 사용자가 즉시 네트워크 상태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단계(404)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물품 검색 요청을 발송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한다.
여기서, 물품 정보는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 물품 도면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 또는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 중의 어느 한 항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은 생방송실과 대응하는 앵커 계정의 물품 진열대이고 물품 대상을 상품으로 예를 들면, 해당 물품 대상 집합은 앵커 계정의 상품 진열대이다. 본 방안을 실시하기 전에, 앵커가 물품 대상 집합에 새로운 물품 대상을 추가하는 경우, 해당 물품 대상의 도형 코드 또는 해당 물품 대상의 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으므로, 나아가 해당 도형 코드 또는 번호를 기반으로 물품 대상의 매칭 과정을 진행하는데 편리하다.
단계(405)에서, 서버는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한다.
단계(403)에서 도시한 바의 도형 코드 스캔 기능 또는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 정보를 확정하는 실시예를 기반으로, 확정된 물품 정보는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 또는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 중의 어느 한 항이고, 아래에 상기 3가지 유형의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대상의 매칭 과정에 대해 설명을 진행하며, 아래의 3가지 매칭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해당 물품 정보는 물품 명칭, 물품 ID등이다. 물품 대상 집합은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포함한다. 물품 명칭을 예를 들면, 서버가 해당 물품 명칭을 기반으로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과정은: 서버는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해당 물품 명칭을 기반으로 검색을 진행하여, 해당 물품 명칭과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는 것이다. 물품ID를 예를 들면, 서버가 해당 물품ID를 기반으로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과정은: 서버는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해당 물품ID를 기반으로 검색을 진행하여, 해당 물품ID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는 것이다.
두번째,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물품 대상 집합은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물품 도면을 포함한다. 상응하게, 서버가 해당 물품 도면을 기반으로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과정은: 서버는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해당 물품 도면과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가 물품 도면을 기반으로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과정은: 서버는 해당 물품 도면과 해당 물품 대상 집합에 포함된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 사이의 도면 유사도를 각각 확정하고, 해당 도면 유사도가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대상을 해당 목표 물품 대상으로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인식해야 할 도면과 다수의 물품 도면 사이의 도면 유사도를 연산하는 것을 통해, 나아가 도면 유사도를 기반으로, 매칭하는 물품 도면을 확정하여, 신속히 목표 물품 대상을 획득함으로써, 목표 물품 대상을 획득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면 유사도란 인식해야 할 물품 도면과 다수의 후보 도면 사이의 유사 정도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인식해야 할 물품 도면은 촬영하여 획득한 물품 도면이고, 다수의 후보 도면은 물품 대상 집합에 포함된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면 유사도는 인식해야 할 물품 도면의 도면 특징과 다수의 후보 도면의 도면 특징 사이의 거리로 표시한다. 여기서, 도면 특징은 한개 도면과 다른 한개 도면 사이의 유사도 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이다. 예를 들면, 도면 특징은 벡터 형식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거리는 유클리드 거리, 코사인 거리 또는 해밍 거리 등이다. 이해 가능한 것은, 거리가 클 수록, 도면 유사도가 더 작은 것을 말하고, 거리가 작을 수록, 도면 유사도가 더 큰 것을 말한다.
상기 두번째 매칭 과정에서 나타낸 실시예를 기반으로,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는 물품 도면의 도면 특징이다. 상응하게, 서버는 해당 물품 도면의 도면 특징, 및 해당 물품 대상 집합에 포함된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의 도면 특징을 기반으로, 해당 물품 도면과 해당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 사이의 도면 유사도를 연산하고, 나아가 도면 유사도를 기반으로 매칭하는 물품 도면을 확정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단말기에서 도면 인식을 실행하여 도면 특징을 획득하고, 나아가 서버에서 도면 특징을 기반으로 물품 매칭을 실행하는 과정으로서, 이와 같이, 서버의 처리 내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시 말하면 서버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도면 인식을 실행하여 도면 특징을 획득하고, 나아가 서버에서 도면 특징을 기반으로 물품 매칭을 진행하는 과정이고, 다른 일부 실시예는, 또한 서버에서 도면 인식과 물품 매칭을 실행하는 과정으로서, 상응하는 과정은: 서버는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 도면을 기반으로, 해당 물품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확정하며, 또한 해당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후속적으로 도면 유사도를 확정하는 과정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도면 모형을 이용하여 도면 유사도를 확정하고, 상응하는 과정은: 서버는 해당 물품 도면과 해당 물품 대상 집합에 포함된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을 도면 모형에 입력하고, 해당 도면 모형의 특징 추출층을 통해, 해당 물품 도면과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의 도면 특징을 추출하고, 해당 도면 모형의 중첩층을 통해, 해당 물품 도면과 해당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의 도면 특징을 기반으로, 해당 물품 도면과 해당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 사이의 도면 유사도를 확정하여, 나아가 다수 도면 유사도를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통해, 물품 도면과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획득하여, 신속히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획득하여, 목표 물품 대상을 획득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번째,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다. 서버가 해당 물품의 번호를 기반으로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과정은: 서버가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해당 번호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고, 해당 물품 대상 집합은 물품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번호를 저장하여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세번째 매칭 과정에서 나타낸 실시예를 기반으로,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는 물품의 번호 정보이다. 상응하게, 서버는 해당 물품의 번호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번호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단말기에서 문자 인식을 실행하여 번호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서버에서 번호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매칭을 실행하는 과정으로서, 이와 같이, 서버의 처리 내용을 감소하시키고, 또한 서버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단말기에서 문자 인식을 실행하여 번호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서버에서 번호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매칭을 실행하는 과정으로서, 다른 일부 실시예는, 또한 서버에서 문자 인식과 물품 매칭을 실행하는 과정으로서, 상응하는 과정은: 서버는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번호를 포함한 도면을 기반으로, 해당 도면 중의 번호에 대해 문자 인식을 진행하여, 해당 도면과 대응하는 번호 정보를 확정하고, 또한 해당 도면과 대응하는 번호 정보를 기반으로 후속적인 물품 매칭을 실행하는 과정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통해, 번호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획득하여, 신속히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획득하는 것으로, 목표 물품 대상을 획득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406)에서, 서버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단말기로 발송하여, 해당 단말기가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도록 트리거하고, 해당 발표 컨트롤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확정된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하나인 경우, 해당 단말기에 제1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제1제시 정보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게끔 해당 단말기를 제시하도록 하고, 해당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사항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확정된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해당 단말기에 제2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제2제시 정보는 리스트의 형식으로 다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게끔 해당 단말기를 제시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서버에서 해당 단말기에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리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서버는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검색 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상응하게, 단말기는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생방송실 중에서 검색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검색 제시 정보는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도록 한다.
단계(407)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을 기반으로 해당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하나인 경우,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고, 해당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사항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세부사항 페이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7을 참조하면, 물품 세부사항 페이지는 도7에서 도시한 바의 "상품 상세사항 페이지"이고, 해당 "상품 상세사항 페이지"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가격 정보, 판매량 정보, 재고 정보 등을 전시한다. 발표 컨트롤은 도7에서 도시한 바의 "장바구니에 넣기 확인" 컨트롤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발표 취소 컨트롤을 더 포함하고, 상응하게, 단말기는 해당 발표 취소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는 것을 중지한다. 도7을 참조하면, 발표 취소 컨트롤은 도7에서 도시한 바의 "취소" 컨트롤이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리스트의 형식으로 다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한다.
예시적으로, 도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8을 참조하면, 도8에서 도시한 바의 페이지에서, 리스트의 형식으로 매칭하여 획득한 다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한다. 발표 컨트롤은 도8에서 도시한 바의 "장바구니에 넣기 확인" 컨트롤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목표 물품 대상에 따른 수량은 부동하고, 부동한 전시 형식을 이용하여, 목표 물품 대상의 전시 효과를 향상하고, 하나의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사항 정보를 찾아 볼수 있게 하고, 다수의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다수의 물품 대상 중에서 발표 대기 중의 물품 대상을 선택하게 한다.
단계(408)에서, 단말기는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서버에 해당 목표 물품 대상에 대한 발표 요청을 발송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은 다수인 경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선택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고,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한다. 이해 가능한 것은, 목표 물품 대상을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은 즉 해당 물품 대상을 거래 가능한 상태로 조절하는 것을 가리키고, 이를 기반으로, 생방송실 내의 시청자들은 해당 생방송실 내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거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8을 참조하면, 도8에서 나타낸 페이지에서 다수의 선택 컨트롤이 전시되고, 하나의 선택 컨트롤은 하나의 목표 물품 대상에 대응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다수의 목표 물품 대상이 전시된 경우, 사용자는 발표 대기 중의 물품 대상을 선택하고, 나아가 발표 컨트롤을 기반으로, 발표 대기 중의 물품 대상에 대한 발표를 실현하여, 물품 대상을 발표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409)에서, 서버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에 대한 발표 요청을 접수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한다.
단계(410)에서, 단말기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이 추가 완성된 경우,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 페이지로 넘어간다.
단계(411)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의 목표 구역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한다. 여기서, 목표 구역은 물품 리스트 페이지의 고정 구역이고, 예를 들면,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의 제1행이다. 이와 같이, 물품 리스트 페이지의 목표 구역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것을 통해, 돌출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새로 발표한 목표 물품 대상을 찾아 볼 수 있게 제시한다.
예시적으로, 도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리스트 페이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9를 참조하면, 도9에서 나타낸 물품 리스트 페이지 중의 제1행에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한다. 당연하게,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물품 리스트 페이지 중의 앞의 여러행에서 다수의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목표 물품 대상이 추가 완성된 후, 물품 리스트 페이지로 자동적으로 넘어가고, 나아가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물품 대상을 발표 후의 효과를 찾아 볼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조작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발표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10을 참조하면, 물품 대상이 상품이고, 도형 코드인 것을 예로, 물품 발표의 흐름에 대해 설명을 진행하고, 상응하는 흐름은: 앵커가 생방송실의 작은 노란색 장바구니 페이지에서 제공된 물품 인식 컨트롤을 클릭하여, 코드 스캔 인터페이스를 불러내고, 코드 스캔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품의 도형 코드에 대해 스캔을 진행하고, 코드 스캔이 완성되면 서버를 트리거하여 도형 코드와 매칭하는 목표 상품을 검색하고, 코드 스캔이 완성되지 않으면 코드 스캔 실패를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의 목표 상품을 검색한 경우, 단말기는 해당 목표 상품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고, 앵커는 해당 발표 컨트롤을 클릭하면 즉시 생방송실에서 해당 목표 상품을 발표할 수 있고; 다수의 목표 상품을 검색한 경우, 단말기는 해당 다수의 목표 상품의 리스트와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고, 앵커는 발표 대기 중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표 컨트롤을 클릭하면 즉시 생방송실에서 선택된 목표 상품을 발표할 수 있고, 목표 상품이 발표 성공된 후 작은 노란색 장바구니 페이지로 리턴한다. 목표 상품을 전시한 경우, 또한 발표 취소 컨트롤을 전시하고, 앵커가 발표 취소 컨트롤을 클릭하는 경우, 생방송실에서 목표 상품을 발표하지 않고, 작은 노란색 장바구니로 리턴한다.
아래에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한 물품 발표 흐름에 대해 소개한다. 도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발표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11을 참조하면, 서버는 상품 센터 서버와 지능 인식 센터 서버를 포함하고, 본 방안을 실시하기 전에, 앵커는 상품 진열대(상품 대상 집합) 중에 상품 및 해당 상품의 관련 정보(예를 들면 바코드)을 입력하고, 또한 입력 요청을 상품 센터 서버로 발송하고, 상품 센터 서버에서 심사 통과한 후, 즉시 상품을 입력 완성한다. 나아가, 생방송실 중에서 쾌속 상품 발표의 입구(물품 인식 컨트롤)를 제공하고, 클릭하면 즉시 스캔 기능을 트리거하고, 상품의 도형 코드를 스캔하는 것을 통해 상품의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상품 센터 서버에서 도형 코드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품 진열대 중으로부터 도형 코드와 매칭하는 상품을 검색하거나, 또는 촬영 기능으로 전환하여, 촬영을 통해 상품 도면을 신속히 획득하여, 나아가 상품 센터 서버에서 해당 상품 도면을 지능 인식 센터 서버로 발송하여, 해당 지능 인식 센터 서버에서 상품 진열대로부터 상품 도면과 매칭하는 상품을 검색하여, 나아가 매칭된 상품을 앵커 단말기에 리턴하며, 매칭된 상품이 다수인 것으로 예를 들면, 앵커 단말기에 상품 리스트를 리턴하여, 앵커가 선택하게 하고, 나아가 앵커는 발표 대기 중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표를 클릭하면 즉시 생방송실 중에서 선택된 상품을 발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은, 생방송실에서 물품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통해,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신속히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가 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트리거하고,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한 경우, 생방송실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고, 발표 컨트롤에 대한 트리거 조작을 통해, 신속히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고, 이러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 매칭을 진행하고 나아가 신속히 물품을 발표하는 방법을 통해, 단말기는 모든 발표 대기 중의 물품을 전시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로 하여금 대응하는 물품을 검색할 수 있게 하여, 이로써 단말기의 연산 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도 여러번의 페이지를 넘기는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이 대응하는 물품을 검색할 수 있게 하여, 이로써 물품을 획득하는 조작 경로를 감소시킴으로써, 인간 기계 상호작용 효율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해당 장치는 인식 유닛(1201), 발송 유닛(1202), 전시 유닛(1203)과 발표 유닛(1204)을 포함한다.
인식 유닛(1201)은,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발송 유닛(1202)은,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물품 검색 요청을 발송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전시 유닛(1203)은,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을 기반으로 해당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며, 해당 발표 컨트롤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구성된다.
발표 유닛(1204)은,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인식 유닛(1201)은,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도형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의 물품을 촬영하여, 해당 물품의 물품 도면을 획득하고, 해당 물품 도면을 인식하여, 해당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번호를 촬영하여, 해당 번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획득하고, 해당 번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인식하여, 해당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중의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생방송실은 슬라이딩 컨트롤을 포함하고;
해당 장치는 전환 유닛을 더 포함하고, 해당 전환 유닛은,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스캔하는 경우,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제1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해당 촬영 기능으로 전환하고;
해당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촬영하는 경우, 해당 슬라이딩 컨트롤의 제2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촬영 기능을 해당 도형 코드 스캔 기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전시 유닛(1203)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하나인 경우,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고, 해당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리스트의 형식으로 다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중의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발표 유닛(1204)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선택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고;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생방송실은 물품 인식 컨트롤을 포함하고,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은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을 트리거하도록 하고,
해당 전시 유닛(1203)은,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를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전시 유닛(1203)은 또한,
해당 생방송실에서, 돌출 전시하는 형식으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전시 유닛(1203)은 또한,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해당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고,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는 해당 생방송실 내에서 거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대상을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전시 유닛(1203)은 또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이 추가 완성된 경우,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 페이지로 넘어가고;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전시 유닛(1203)은 또한,
해당 물품 리스트 페이지의 목표 구역에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전시 유닛(1203)은 또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해당 물품 정보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 해당 생방송실 중에서 인식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인식 제시 정보는 인식 실패를 제시하도록 하고;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생방송실 중에서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네트워크 제시 정보는 네트워크 이상을 제시하도록 하고;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생방송실에서 검색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해당 검색 제시 정보는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도록 하는 중의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13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해당 장치는 접수 유닛(1301), 검색 유닛(1302), 발송 유닛(1303)과 발표 유닛(1304)을 포함한다.
접수 유닛(1301)은,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단말기에서 발송한 물품 검색 요청을 접수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물품 인식 기능은 물품 인식을 기반으로 물품 정보를 확정하고,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해당 물품 정보를 담고 있으며;
검색 유닛(1302)은, 해당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구성되고;
발송 유닛(1303)은,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단말기로 발송하여 해당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게끔 해당 단말기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발표 컨트롤은 해당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하고;
발표 유닛(1304)은, 해당 단말기에서 발송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에 대한 발표 요청을 접수한 응답으로,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해당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발표 요청은 해당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단말기에서 발송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해당 검색 유닛(1302)은,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해당 물품 도면과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물품 대상 집합은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물품 도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검색 유닛(1302)은,
해당 물품 도면과 해당 물품 대상 집합에 포함된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 사이의 도면 유사도를 각각 확정하고;
해당 도면 유사도가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대상을 해당 목표 물품 대상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물품 검색 요청은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해당 검색 유닛(1302)은,
해당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해당 번호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고, 해당 물품 대상 집합은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번호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발송 유닛(1303)은,
확정된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하나인 경우, 해당 단말기에 제1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제1제시 정보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게끔 해당 단말기를 제시하도록 하고, 해당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사항 정보를 포함하고;
확정된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해당 단말기에 제2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제2제시 정보는 리스트의 형식으로 다수의 해당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게끔 해당 단말기를 제시하도록 하는 중의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발송 유닛(1303)은,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네트워크 제시 정보는 네트워크 이상을 제시하도록 하고;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기에 검색 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해당 검색 제시 정보는 해당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도록 하는 중의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데이터 처리 시, 단지 상기 각 기능 모듈의 구분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실제 응용에서, 수요에 따라 상기 기능을 분배하여 부동한 기능 모듈로 완성하는 것으로, 즉 설비의 내부 구조를 부동한 기능 모듈로 구분하여, 상기 서술한 전부 또는 부눈 기능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데이터 처리 장치와 데이터 처리 방법 실시예는 동일한 사상에 속하고, 그 구체적 실현 과정은 방법 실시예를 참고하고,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설비를 제공하고, 해당 컴퓨터 설비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해당 프로세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시예 중의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실현할 수 있고;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시예 중의 서버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기된 컴퓨터 설비는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140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MP3플레이어(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 III, 동영상 전문가 그룹 압축 표준 오디오 계층3), MP4(Moving Picture Experts Group Audio Layer IV,동영상 전문가 그룹 압축 표준 오디오 계층4), 플레이어, 노트북 컴퓨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400)는 또한 사용자 설비, 휴대용 단말기, 랩톱 단말기, 데스크탑 컴퓨터 등 기타 명칭으로 불리운다.
통상적으로, 단말기(1400)는 프로세서(1401)와 메모리(140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01)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4코어 프로세서, 8코어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1)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디지털 신호 처리),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PLA (Programmable Logic Array,프로그램 가능 논리 배열) 중의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형식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1)는 메인 프로세서와 코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메인 프로세서는 웨이크업 상태의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이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중앙 처리 장치)로도 칭하며; 코프로세서는 대기 상태의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하도록 구성된 저전력 프로세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1)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그래픽 처리 장치)가 집적되어 있고, GPU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디스플레이할 내용에 대한 렌더링과 제작을 책임지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1)는 AI(Artificial Intelligence,인공지능)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해당 AI프로세서는 관련된 기기 러닝의 연산 조작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4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일부 실시예에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상태이다. 메모리(14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다수의 디스크 기억 장치, 플래시 기억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402) 중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1401)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여, 본 발명 중의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한 데이터 처리 방법 중에서 단말기가 실행하는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400)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403)와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1401), 메모리(1402)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403) 사이에 버스 또는 신호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각 주변 장치는 버스, 신호 라인 또는 회로판을 통해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403)와 서로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주변 장치는 RF회로(1404),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 카메라 수단(1406), 오디오 회로(1407), 위치 확인 수단(1408)과 전원(1409)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403)는 I/O(Input/Output, 입력/출력)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1401)와 메모리(1402)에 연결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1), 메모리(1402)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403)는 동일 칩 또는 회로판 상에 집적되고; 일부 가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1), 메모리(1402)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403)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두개는 단독 칩 또는 회로판 상에서 실현되고,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더 한정하지 않는다.
RF회로(1404)는 RF(Radio Frequency,무선 주파수) 신호를 접수하고 발사하도록 하고, 또한 전자기 신호로도 칭한다. RF회로(1404)는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설비와 통신을 진행한다. RF회로(1404)는 전기신호를 전자기 신호로 전환하여 발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접수한 전자기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RF회로(1404)는 안테나 시스템, RF 트랜스시버, 하나 또는 다수의 증폭기, 동조기,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 칩셋, 사용자 인식 모듈 카드 등을 포함한다. RF회로(1404)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 기타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한다. 해당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도시 지역 통신망, 각 세대 이동 통신망(2G、3G、4G 및 5G), 무선랜 및/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무선 충실도)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RF회로(1404)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근거리 무선 통신)와 관련된 전기회로를 포함하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해 더 한정을 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UI(User Interface,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해당 UI는 도형, 텍스트, 아이콘, 동영상 및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의 표면 또는 표면 상방의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능력을 더 구비한다. 해당 터치 신호는 제어 신호로서 프로세서(1401)에 입력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또한 가상 버튼 및/또는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하고, 소프트 버튼 및/또는 소프트 키보드로도 칭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하나이고, 단말기(1400)의 앞패널에 설치되고;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적어도 두개이고, 각각 단말기(1400)의 부동한 표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접이식 디자인을 이루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유연성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고, 단말기(1400)의 벤딩표면 또는 접힘면 상에 설치된다. 심지어,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비사각형인 불규칙적인 도형으로 설치되고, 즉 이형 스크린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액정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유기 발광 다이오드)등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카메라 수단(1406)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수집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단(1406)은 전면 카메라와 후면 카메라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전면 카메라는 단말기의 앞패널에 설치되고, 후면 카메라는 단말기의 배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면 카메라는 적어도 두개이고, 각각 메인 카메라, 심도 카메라, 광각 카메라, 망원 카메라 중의 어느 하나이고, 메인 카메라와 심도 카메라를 융합하여 배경 흐려짐 기능을 실현하고, 메인 카메라와 심도 카메라를 융합하여 전경 촬영 및 VR(Virtual Reality,가상현실) 촬영 기능 또는 기타 융합 촬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메라 수단(1406)은 플래시를 더 포함한다. 플래시는 단색 플래시 또는 이색 플래시이다. 이색 플래시는 난광 플래시와 냉광 플래시의 조합이고, 부동한 색온도 하에서의 광선을 보상하도록 한다.
오디오 회로(1407)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은 사용자 및 환경의 음파를 수집하도록 하고, 음파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프로세서(1401)로 입력하여 처리를 진행하고, 또는 RF회로로 입력하여 음성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입체 음향 수집 또는 소음 감소를 목적으로, 마이크로폰은 다수이고, 각각 단말기(1400)의 부동한 위치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은 어레이 마이크로폰 또는 전방향 수집형 마이크로폰이다. 스피커는 프로세서(1401)에서 유래하거나 또는 RF회로(1404)에서 유래한 전기 신호를 음파로 전환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피커는전통적인 박막 스피커이거나, 또는 압전 세라믹 스피커이다. 스피커가 압전 세라믹 스피커인 경우, 전기 신호를 인류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전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신호를 인류가 들을 수 없는 음파로도 전환할 수 있으므로, 거리 측정 등을 진행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회로(1407)는 이어폰 잭을 더 포함한다.
위치 확정 수단(1408)은 단말기(1400)의 현재 지리 위치를 위치 확정하도록 하여, 내비게이션 또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위치를 기반으로하는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전원(1409)은 단말기(1400) 중의 각 수단에 전기 공급을 진행하도록 한다. 전원(1409)은 교류 전기, 직류 전기,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이다. 전원(1409)이 2차 전지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2차 전지는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하다. 해당 2차 전지는 또한 급속 충전 기술이 이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14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1410)를 더 포함한다. 해당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1410)는 가속도 센서(1411), 자이로스코프 센서(1412), 압력 센서(1413), 지문 센서(1414), 광학 센서(1415) 또는 접근 센서(1416)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속도 센서(1411)는 단말기(1400)에서 구축한 좌표계의 3개 좌표축 상의 가속도 크기를 검측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1411)는 중력 가속도의 3개 좌표축 상에서의 분력을 검측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1)는 가속도 센서(1411)에서 수집한 중력 가속도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를 제어하여, 횡방향 화면 또는 종방향 화면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를 진행한다. 가속도 센서(1411)는 또한 게임 또는 사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한다.
자이로스코프 센서(1412)는 단말기(1400)의 본체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검측하도록 하고, 자이로스코프 센서(1412)와 가속도 센서(1411)는 협동하여 사용자가 단말기(1400)에 대한 3D동작을 수집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1)는 자이로스코프 센서(1412)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따라, 아래와 같은 기능: 동작 감응(예를 들면, 사용자의 기울림 조작에 따라 UI를 변경), 촬영 시의 이미지 안정, 게임 제어 및 관성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압력 센서(1413)는 단말기(1400)의 측면 프레임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의 하층에 설치된다. 압력 센서(1413)는 단말기(1400)의 측변 프레임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단말기(1400)에 대한 파지 신호를 검측하고, 압력 센서(1413)에서 수집한 파지 신호에 따라 프로세서(1401)는 좌우 손의 인식 또는 단축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 압력 센서(1413)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의 하층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에 대한 압력 조작에 따라, 프로세서(1401)는 UI인터페이스 상의 조작 가능한 컨트롤에 대해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조작 가능한 컨트롤은 버튼 컨트롤, 스크롤바 컨트롤, 아이콘 컨트롤, 메뉴 컨트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지문 센서(1414)는 사용자의 지문을 수집하도록 하고, 지문 센서(1414)에서 수집한 지문에 따라 프로세서(1401)가 사용자의 신분을 인식하거나, 또는 수집한 지문에 따라 지문 센서(1414)가 사용자의 신분을 인식한다. 인식된 사용자의 신분이 신뢰가 있는 신분인 경우, 프로세서(1401)는 해당 사용자를 인가하여 관련된 민감 조작을 실행하게 하고, 해당 민감 조작은 스크린 잠금 해제, 암호화 정보 보기,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지불 및 설치 변경 등을 포함한다. 지문 센서(1414)는 단말기(1400)의 정면, 배면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1400)에 물리적 버튼 또는 제작사 로고가 설치된 경우, 지문 센서(1414)는 물리적 버튼 또는 제작사 로고와 하나로 집적된다.
광학 센서(1415)는 환경 광의 강도를 수집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센서(1415)에서 수집한 환경 광 강도에 따라, 프로세서(140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환경 광 강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높게 조절하고; 환경 광 강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낮게 조절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401)는 또한 광학 센서(1415)에서 수집한 환경 광 강도에 따라, 카메라 수단(1406)의 촬영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접근 센서(1416)는 거리 센서로도 칭하고, 통상적으로 단말기(1400)의 앞패널에 설치된다. 접근 센서(1416)는 고객과 단말기(1400)의 정면 사이의 거리를 수집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 센서(1416)가 사용자와 단말기(1400)의 정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검측하는 경우, 프로세서(140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을 제어하여 스크린을 켜진 상태에서 꺼진 상태로 전환하고; 접근 센서(1416)가 사용자와 단말기(1400)의 정면 사이의 거리가 점점 커지는 것을 검측하는 경우, 프로세서(140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405)을 제어하여 스크린을 꺼진 상태에서 켜진 상태로 전환한다.
해당분야 당업자라면 이해 가능한 것은, 도14에서 도시한 바의 구조는 단말기(1400)에 대한 한정이 아니고, 도시한 바에 비해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수단을 포함하거나, 또는 어떤 수단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부동한 수단 배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기재된 컴퓨터 설비는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도1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해당 서버(1500)는 구성 또는 성능이 부동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차이가 생기고,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Central Processing Units,CPU)(1501)와 하나 또는 다수의 메모리(1502)를 포함하며, 여기서, 해당 하나 또는 다수의 메모리(1502)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고,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해당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1501)에 의해 로딩 또한 실행되어, 상기 각 방법 실시예에서 제공한 데이터 처리 방법 중의 서버의 실행하는 과정을 실현할 수 있다. 당연하게, 해당 서버(15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트 인터페이스, 키보드 및 입력 출력 인터페이스 등 부품을 더 구비하여, 입력 출력을 진행하도록 하고, 해당 서버(1500)는 기타 설비 기능을 실현하는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서술하지 않는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더 제공하고, 해당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설비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설비를 상기 실시예 중의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실행하게 하고; 또는, 상기 실시예 중의 서버에서 실행하는 단계를 실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OM(Read-Only Memory,읽기 전용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임의 접근 메모리), CD-ROM(Compact-Disc Read-Only Memory,읽기 전용 메모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설비에서 실행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한 지점의 다수의 컴퓨터 설비에서 실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수의 지점에 분포되고 통신 네트워트로 상호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설비에서 실행될 수 이으며, 다수의 지점에 분포되고, 통신 네트워트로 상호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설비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단독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기타 실시예와 결합하여 실행될 수도 있으며, 모두 본 발명에서 청구한 보호범위로 간주할 수 있다.

Claims (18)

  1. 단말기에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물품 검색 요청을 발송하고, 상기 물품 검색 요청은 상기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물품 검색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상기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며, 상기 발표 컨트롤은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상기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도형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도형 코드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의 물품을 촬영하여, 상기 물품의 물품 도면을 획득하고, 상기 물품 도면을 인식하여, 상기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목표 위치 상 물품의 번호를 촬영하여, 상기 번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획득하고, 상기 번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인식하여, 상기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방송실은 슬라이딩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기반으로 스캔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컨트롤의 제1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도형 코드 스캔 기능을 상기 촬영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촬영 기능을 기반으로 촬영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컨트롤의 제2슬라이딩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촬영 기능을 상기 도형 코드 스캔 기능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하나인 경우,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의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고, 상기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리스트의 형식으로 다수의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상기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의 선택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상기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방송실은 물품 인식 컨트롤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 인식 컨트롤은 상기 물품 인식 기능을 트리거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물품 인식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물품 인식 기능이 제공된 페이지를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방송실에서, 돌출 전시하는 형식으로, 상기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기 물품 인식 컨트롤을 전시하고, 상기 물품 리스트 페이지는 상기 생방송실 내에서 거래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 대상을 전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이 추가 완성된 경우, 상기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 페이지로 넘어가는 단계;
    상기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리스트 페이지에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리스트 페이지의 목표 구역에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물품 정보를 확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생방송실 중에서 인식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상기 인식 제시 정보는 인식 실패를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생방송실 중에서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시 정보는 네트워크 이상을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생방송실에서 검색 제시 정보를 전시하고, 상기 검색 제시 정보는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2. 서버에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단말기에서 발송한 물품 검색 요청을 접수하고, 상기 물품 인식 기능은 물품 인식을 기반으로 물품 정보를 확정하도록 하고, 상기 물품 검색 요청은 상기 물품 정보를 담고 있는 단계;
    상기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상기 단말기로 발송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도록 트리거하고, 상기 발표 컨트롤은 상기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발송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에 대한 발표 요청을 접수한 응답으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상기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고, 상기 발표 요청은 상기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기에서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검색 요청은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상기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상기 물품 도면과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고, 상기 물품 대상 집합은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물품 도면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상기 물품 도면과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도면과 상기 물품 대상 집합에 포함된 다수의 물품 대상의 물품 도면 사이의 도면 유사도를 각각 확정하는 단계;
    상기 도면 유사도가 유사도 조건을 만족하는 물품 도면과 대응하는 물품 대상을 상기 목표 물품 대상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검색 요청은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담고 있고;
    상기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물품 검색 요청에 담고 있는 물품의 번호와 대응하는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 대상 집합을 검색하여, 상기 번호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확정하고, 상기 물품 대상 집합은 다수의 물품 대상과 대응하는 번호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확정된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하나인 경우, 상기 단말기에 제1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상기 제1제시 정보는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의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를 전시하게끔 상기 단말기를 제시하도록 하고, 상기 물품 상세사항 페이지는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의 상세사항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확정된 목표 물품 대상의 수량이 다수인 경우, 상기 단말기에 제2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상기 제2제시 정보는 리스트의 형식으로 다수의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전시하게끔 상기 단말기를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네트워크 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상기 네트워크 제시 정보는 네트워크 이상을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검색 제시 정보를 리턴하고, 상기 검색 제시 정보는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도록 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8. 컴퓨터 설비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하기 단계:
    생방송실에서 제공한 물품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물품을 인식하고, 물품 정보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물품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 물품 검색 요청을 발송하고, 상기 물품 검색 요청은 상기 생방송실과 관련된 물품 대상 집합으로부터 상기 물품 정보와 매칭하는 목표 물품 대상을 검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물품 검색 요청을 기반으로 상기 서버에서 리턴한 목표 물품 대상을 접수하여, 상기 목표 물품 대상과 발표 컨트롤을 전시하며, 상기 발표 컨트롤은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발표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발표 컨트롤의 트리거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목표 물품 대상을 상기 생방송실의 물품 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실현하는,
    컴퓨터 설비.
KR1020220081127A 2021-10-22 2022-07-01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컴퓨터 설비 KR20230057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235350.2 2021-10-22
CN202111235350.2A CN113891166B (zh) 2021-10-22 2021-10-22 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932A true KR20230057932A (ko) 2023-05-02

Family

ID=7901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127A KR20230057932A (ko) 2021-10-22 2022-07-01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컴퓨터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26063A1 (ko)
JP (1) JP7332762B2 (ko)
KR (1) KR20230057932A (ko)
CN (1) CN1138911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6691B (zh) * 2023-06-14 2023-10-27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多媒体资源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1047A2 (en) 2008-03-05 2009-09-11 Eba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cognition services
US9934322B2 (en) * 2013-10-25 2018-04-03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Concepts for providing an enhanced media presentation
WO2016158075A1 (ja) 2015-04-02 2016-10-06 株式会社ディー・エヌ・エー リアルタイムの動画を配信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650531A (zh) * 2018-07-17 2018-10-12 北京引领海逛科技有限公司 视频内容快速匹配产品的方法和系统
CN110827073A (zh) * 2019-10-31 2020-02-21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13315979A (zh) * 2020-08-10 2021-08-2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970523B (zh) * 2020-08-13 2022-09-0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2235647B (zh) * 2020-10-13 2021-08-17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网络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CN113055724B (zh) * 2021-03-12 2023-01-20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直播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终端、介质及产品
CN113158703A (zh) * 2021-05-27 2021-07-23 湖北华酷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商城快速上架下架用终端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63220A (ja) 2023-05-09
CN113891166B (zh) 2023-06-30
JP7332762B2 (ja) 2023-08-23
CN113891166A (zh) 2022-01-04
US20230126063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8146A1 (en) Electronic purchase order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2527287B (zh) 物品详情信息展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506758B (zh) 物品名称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932963B (zh) 多媒体资源分享方法、系统、装置、终端、服务器及介质
CN111970523B (zh) 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2068762B (zh) 应用程序的界面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EP40930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CN113609358B (zh) 内容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230057932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컴퓨터 설비
CN109995804B (zh) 目标资源信息的显示方法、信息提供方法及装置
CN112000264B (zh) 菜品信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766406A (zh) 物品图像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554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11754272A (zh) 广告推荐方法、推荐广告显示方法、装置及设备
CN113987326B (zh) 资源推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CN112230822B (zh) 评论信息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905328B (zh) 任务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329292A (zh) 资源信息的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638819B (zh) 评论显示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系统
CN115878134A (zh) 程序功能触发方法、装置、设备、系统、介质及程序产品
CN114489874A (zh) 小程序页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385939A (zh) 应用显示方法、应用显示系统、装置及设备
CN115086774B (zh) 资源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93521B (zh) 语音合成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6955757A (zh) 切换应用程序的搜索方法、装置、设备、介质和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