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366A - 다수 지점에서의 카시트 감지 - Google Patents

다수 지점에서의 카시트 감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366A
KR20230057366A KR1020237006459A KR20237006459A KR20230057366A KR 20230057366 A KR20230057366 A KR 20230057366A KR 1020237006459 A KR1020237006459 A KR 1020237006459A KR 20237006459 A KR20237006459 A KR 20237006459A KR 20230057366 A KR20230057366 A KR 20230057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e
passenger
sea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론 모즐리
대런 리
토드 쿠프스타스
Original Assignee
텍추얼 랩스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추얼 랩스 컴퍼니 filed Critical 텍추얼 랩스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3005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4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 B60N2/0027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occupant or of occupant's body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sensing anthropometric parameters, e.g. heart rate or body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4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 B60N2/0025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by using weight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24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 B60N2/0026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for identifying, categorising or investigation of the occupant or object on the seat for distinguishing between humans, anima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3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characterised by the sensor mounting location in or on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60N2/0021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 B60N2/0035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measurement characterised by the sensor data transmission, e.g. wired connections or wireless transmitt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ensor data processing, e.g. seat sensor signal amplification or electric circuits for providing seat sensor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 B60N2/2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with detection or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improper locking or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s or parts thereof alerting 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5/0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 G08C15/0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simultaneously, i.e. using frequency divi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5/0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 G08C15/0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ultiplexing for th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over a common path successively, i.e. using time div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10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N2210/12Capacitive; Electr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센서 시스템은 차량에서의 패신저의 활동, 움직임 및 위치의 결정에 감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안테나 및/또는 다수의 주입 안테나의 그룹화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에서의 패신저의 위치 및 움직임에 대한 결정이 향상될 수 있다. 감지 시스템은 차량 내의 다양한 범위 및 위치에서의 패신저의 움직임 및 활동을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 지점에서의 카시트 감지
본 출원은 저작권 보호가 적용되는 자료를 포함한다. 저작권 소유자는 특허청 파일 또는 기록에 나타나는 특허 개시 내용을 누구든지 팩스로 복제하는데 이의를 제기하지는 않지만, 그 밖의 경우에는 어떠한 것도 모든 저작권 권리를 보유한다.
본 개시의 시스템 및 방법은 일반적으로 감지 분야, 특히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컴포넌트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상술한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더욱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수 있으며, 그 참조 부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따른 것은 아니며, 대신에 개시된 실시형태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도록 강조된다.
도 1은 차량의 탑승자의 도면이다.
도 2는 차량 내의 탑승자의 도면이다.
도 3은 차량 시트와 함께 사용되는 센서의 실시형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차량 시트와 함께 사용되는 센서의 실시형태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개시는 차량 내의 객체의 위치 및 배치를 결정할 수 있는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지 시스템은 송신 기간 동안에 복수의 신호를 송신하고, 감지된 신호를 사용하여 차량 내의 객체와 사람의 움직임 및 위치를 나타내는 히트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용어 "이벤트"는 근육 활동 및/또는 신체의 위치가 검출되고 결정되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벤트는, 예를 들면 대략 10밀리초 이하 또는 대략 1밀리초 미만의 매우 낮은 레이턴시로 검출되고, 처리되고, 및/또는 다운스트림 계산 프로세스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히 청구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와 같은 서수 용어는 그 자체로 순서, 시간 또는 고유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청구된 구성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문맥이 지시하는 일부 용도에 있어서, 이들 용어는 제 1 및 제 2가 고유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가 첫번째에 발생하고 또 다른 이벤트가 두번째에 발생하는 경우, 첫번째가 두번째 이전, 두번째 이후 또는 두번째와 동시에 발생한다는 의미를 의도하지 않는다. 그러나, 두번째가 첫번째 이후라는 추가 한정이 청구항에 나타내어진 경우, 그 문맥은 첫번째와 두번째를 고유한 시간으로 판독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이, 문맥이 지시하거나 허용하는 경우, 서수 용어는 2개의 식별된 청구항 구성이 동일한 특성을 갖거나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추가 한정이 없는 제 1 및 제 2 주파수는 동일한 주파수, 예를 들면 제 1 주파수가 10MHz이고 제 2 주파수가 10MHz일 수 있고; 또한, 상이한 주파수, 예를 들면, 제 1 주파수는 10Mhz이고 제 2 주파수는 11Mhz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주파수가 서로에 대해 주파수 직교하는 것으로 추가 한정되는 경우, 문맥은 달리 지시할 수 있고, 이 경우, 이들은 동일한 주파수일 수 없다.
본 출원은 감지 시스템에서의 구현을 위해 설계된 센서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고려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센서 구성은 주파수-직교 신호화 기술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번호 9,019,224 및 9,529,476, 및 미국 특허 번호 9,811,214 참조, 이들은 모두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됨).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센서 구성은 스캐닝 또는 시분할 기술, 및/또는 코드 분할 기술을 포함하는 다른 신호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고 도시된 센서는 신호 주입(신호 삽입이라고도 함) 기술 및 장치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신호 주입은 신호를 사람에게 송신하는 기술이며, 그 신호는 사람에 대해, 사람의 내부에서 및 사람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신호는 주입의 객체(예를 들면, 손, 손가락, 팔 또는 사람 전체)가 신호의 송신기가 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은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DM),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DM), 또는 FDM 및 CDM 방법을 모두 결합한 하이브리드 변조 기술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직교 신호화에 기반한 멀티플렉싱 스킴을 사용하는 용량성 기반 센서 및 용량성 기반 센서를 설계, 제조 및 사용하기 위한 관련 원리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주파수에 대한 언급은 다른 직교 신호 베이스를 참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출원인의 이전의 "낮은 레이턴시 터치 감지 장치"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번호 9,019,224 및 "고속 멀치 터치 후 프로세싱"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번호 9,158,411을 참조로 포함한다. 이들 출원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센서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고,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컨셉을 갖는 FDM, CDM 또는 FDM/CDM 하이브리드 터치 센서를 고려한다. 상술의 센서에서는 로우 컨덕터로부터의 신호가 컬럼 컨덕터에 결합(증가)되거나 분리(감소)되고, 그 결과 해당 컬럼 컨덕터로부터 검출되면, 상호 작용이 감지된다. 로우 컨덕터를 순차적으로 여기하고, 컬럼 컨덕터에서 상기 여기 신호의 커플링을 측정함으로써, 커패시턴스 변화를 반영하는 히트 맵 및 이에 따른 센서에 대한 근접성을 생성할 수 있다.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된 이들 특허 및 출원의 전체 개시 내용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은 미국 특허 번호 9,933,880; 9,019,224; 9,811,214; 9,804,721; 9,710,113; 9,158,411; 10,191,579; 10,386,975; 10,175,772; 10,528,201에 개시된 고속 멀티 터치 센서 및 다른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원리를 채용한다. 이들 특허 내의 설명, 개념 및 명명법에 익숙하다고 가정한다. 이들 특허 및 그 특허 내에 참조로 원용된 출원의 전체 개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은 미국 특허 출원 15/195,675; 15/904,953; 15/905,465; 15/943,221; 16/102,185; 62/540,458, 62/575,005, 62/621,117, 62/619,656 및 PCT 공보 PCT/US2017/050547에 개시된 고속 멀티 터치 센서 및 다른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원리를 채용하고, 이들 특허 출원 내의 설명, 개념 및 명명법에 익숙하다고 가정한다. 이들 출원 및 그 출원 내에 참조로 원용된 출원의 전체 개시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고속 멀티터치(FMT: fast multi-touch) 센서의 특정 원리가 상술의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송신 컨덕터(또는 안테나)로 직교 신호가 송신되고, 복수의 수신 컨덕터(또는 안테나)에 부착된 수신기에 의해 정보가 수신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기는 샘플링 기간(t) 동안에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에 존재하는 신호를 "샘플링"한다. 이어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예를 들면, 샘플링된 신호)는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분석되어 터치 이벤트(예를 들면, 송신 안테나(또는 컨덕터)와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 사이의 결합의 변화를 야기하는 액추얼 터치, 니어 터치, 호버링 및 더 멀리 떨어진 이벤트를 포함함)를 식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또는 컨덕터)는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또는 컨덕터)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 사이의 결합을 변화시킨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또는 컨덕터)는 하나 이상의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며, 신호 및/또는 송신된 신호와 환경 요인의 상호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또는 컨덕터)와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 사이의 결합의 변화를 야기한다. 송신 안테나(또는 컨덕터) 및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는, 예를 들면 교차점이 노드를 형성하고, 상호 작용이 수신된 신호의 처리에 의해 검출되는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으로 조직화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교 신호가 주파수 직교인 경우, 상기 직교 주파수 사이의 간격(Δf)은 적어도 측정 기간(τ)의 역수이고, 상기 측정 기간(τ)은 컬럼 컨덕터가 샘플링되는 기간과 등가이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컬럼 컨덕터의 수신값은 1킬로헤르츠의 주파수 간격(Δf)을 사용하여 1밀리세컨드(τ)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즉, Δf=1/τ).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혼합 신호 집적 회로(또는 다운스트림 컴포넌트 또는 소프트웨어)의 신호 프로세서는 로우 컨덕터(또는 안테나)로 송신되는(또는 존재하는) 각각의 주파수 직교 신호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값을 결정하도록 적합화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혼합된 신호 집적 회로(또는 다운스트림 컴포넌트 또는 소프트웨어)의 신호 프로세서는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에 존재하는 신호에 대해 푸리에 변환을 행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혼합된 신호 집적 회로는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도록 적합화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혼합된 신호 집적 회로(또는 다운스트림 컴포넌트 또는 소프트웨어)는 수신 컨덕터 또는 안테나 상에 존재하는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정보에 대해 이산 푸리에 변환(DFT)을 행하도록 적합화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혼합된 신호 집적 회로(또는 다운스트림 컴포넌트 또는 소프트웨어)는 수신된 컨덕터 또는 안테나 상에 존재하는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정보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여기서, FFT는 이산 푸리에 변환의 하나의 유형임)을 행하도록 적합화된다.
반복되지만, DFT는 본질적으로 샘플링 기간(예를 들면, 통합 주기) 동안에 취해진 디지털 샘플(예를 들면, 윈도우)의 시퀀스를 처리한다는 것이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중앙 주파수가 아닌 신호(즉, 통합 주기의 역수의 정수배가 아님(여기서, 역수는 최소 주파수 간격을 규정함))는 비교적 매우 적지만, 작은 값을 다른 DFT 빈으로 기여하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직교라는 용어가 그러한 작은 기여에 의해 "위반"되지 않는다는 것이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또한 명백할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주파수 직교라는 용어가 사용됨에 따라, DFT 빈에 대한 하나의 신호의 실질적으로 모든 기여가 다른 신호의 실질적으로 모든 기여와 상이한 DFT 빈으로 생성되면 두 신호는 주파수 직교로 간주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샘플링 시, 수신된 신호는 적어도 1MHz에서 샘플링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는 적어도 2MHz에서 샘플링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는 4MHz에서 샘플링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는 4.096Mhz에서 샘플링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는 4MHz 초과에서 샘플링된다. 예를 들면, kHz 샘플링을 달성하기 위해, 4.096MHz에서 4096의 샘플이 취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합 주기는 1밀리세컨드이고, 이는 주파수 간격이 통합 주기의 역수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는 제약에 따라 1KHz의 최소 주파수 간격을 제공한다(예를 들면, 4MHz에서 4096개의 샘플을 취하면 1밀리세컨드보다 약간 더 긴 통합 주기가 생성되고, kHz 샘플링을 달성할 수 없으며, 976.5625Hz의 최소 주파수 간격이 얻어진다는 것이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간격은 통합 주기의 역수와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파수 직교 신호 범위의 최대 주파수는 2MHz 미만이어야 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파수 직교 신호 범위의 실제 최대 주파수는 샘플링 비율의 약 40% 또는 약 1.6MHz 미만이어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DFT(FFT일 수 있음)는 디지털화된 수신 신호를 정보의 빈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며, 송신 안테나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송신된 주파수 직교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반영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2048빈은 1KHz~약 2MHz의 주파수에 대응한다. 본 개시의 당업자에게는 이들 실시예가 단지 예시적이라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시스템의 필요 및 상술의 제약 조건의 적용에 따라서, 샘플링 비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통합 주기를 조정하고, 주파수 범위를 조정하는 등을 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DFT(FFT일 수 있음) 출력은 송신되는 각각의 주파수-직교 신호에 대한 빈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DFT(FFT일 수 있음) 빈은 동상(I) 및 직교(Q)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I 및 Q 컴포넌트의 제곱합은 해당 빈에 대한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측정치로서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I 및 Q 컴포넌트의 제곱합의 제곱근은 해당 빈에 대한 신호 강도에 대응하는 측정치로서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송수신 안테나 또는 컨덕터 부근에서 발생하는 것에 관한 정보의 결정에 추가하여, 사람 또는 도전성 객체에 신호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입 신호가 주입된 사람이나 객체에 근접한 센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주입 범위 센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193,476에 있어서, 센서로부터 주입된 물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논의되어 있다. 해당 출원에 있어서, 신체 부위나 객체에 신호를 주입하고, 센서에 대해 움직였다. 주입된 신체 부위 또는 객체의 움직임을 통해, 시스템은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치를 결정하고, 센서로부터 신체 부위 또는 객체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었다.
신호가 주입된 사람 또는 객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술한 개시로부터 학습된 통찰력을 구축하여, 주입의 추가 용도를 탐색하였다. 신호가 내부에 주입된 사람 또는 객체는 센서 시스템 및 센서 시스템의 수신기가 측정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신호는 감지 장치에 의해 송수신되는 다른 신호에 대해 직교하는 주파수이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로서, 주입은 객체의 신체에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효과적으로 신체(또는 신체의 일부)가 신호의 능동적인 송신 소스가 되도록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기 신호가 손(또는 신체의 다른 부분)에 주입되고, 이 신호는 손(또는 손가락 또는 신체의 다른 부분)이 센서의 터치 표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소정 정도로, 이것은 표면에 상대적으로 손(또는 손가락 또는 일부 다른 신체 부위)의 근접성 및 배향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실시형태에서, 신호는 신체에 의해 전달(예를 들면, 도전)되며, 관련된 주파수에 따라 피부 표면 근처 또는 피부 표면 아래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KHz 범위의 주파수는 주파수 주입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MHz 범위의 주파수는 주파수 주입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FMT와 관련하여 주입을 사용하기 위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신호는 송신된 신호에 직교하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송신되는 다른 신호와 함께 보여질 수 있다. 추가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신호가 서로 주입된 서로 직교하는 하나 초과의 신호가 사람에게 주입될 수 있다. 각각의 직교 주입 신호는 측정 시, 서로 다른 직교 주입 신호와 상이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주입 신호는 각각의 다른 주입 신호와 직교하는 주파수이다.
웨어러블과 관련된 송신 안테나(또는 컨덕터) 및 수신 안테나(또는 컨덕터)의 구현예에 관한 추가 논의는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5/926,478,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5/904,953,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383,090 및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383,996에서 찾을 수 있으며, 상술의 모든 출원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이하, 차량 구현예로 돌아가서, 송신 안테나(컨덕터라고도 함) 및 수신 안테나(컨덕터라고도 함)는 차량의 컴포넌트 내부 또는 컴포넌트에 사용되는 재료 및 패브릭에 구현될 수 있다. 차량의 다른 부품 내부 또는 그 위에 센서 시스템을 위치하는 일 구현예는 패브릭, 가죽 등과 같은 카시트를 형성하는 재료 내에 존재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천으로 제조된 시트 내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천으로 제조된 시트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가죽으로 제조된 시트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가죽으로 제조된 시트 내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가죽으로 제조된 시트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트 내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시트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패신저의 위치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및/또는 패신저의 위치 근처에 작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에는 차량 내에 위치된 시트(50)에 착석한 탑승자(40)가 도시된다. 시트(50)는 전방 열에 위치된 시트이지만, 차량 내에 위치된 임의의 시트 중 어느 것이나 패신저 상 또는 패신저 근처에 구현된 센서 시스템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센서 시스템은 차량 전체에 걸쳐 위치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에서 센서 시스템은 차량 내 활동 또는 패신저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시트(50)와 함께 사용되는 센서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시트(50)의 최상층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시트(50)의 최상층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센서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미도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프로세서(미도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송신 안테나(101) 및 수신 안테나(102)로 형성된다. 또한, 송신 안테나(101)는 수신 안테나로서 기능할 수 있고, 또한 수신 안테나(102)는 송신 안테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100)의 하나 초과의 층이 시트(50)에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50)의 각각의 부분은 자체 센서 시스템을 갖는다. 예를 들면, 헤드 레스트는 자체 센서 부분을 갖고, 암 레스트는 자체 센서 부분을 가지며, 백 레스트는 자체 센서 부분을 가지며, 시트 영역에는 자체 센서 부분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50)의 일부 부분만이 센서 시스템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100)은 전체 시트(50) 내에 형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송신 안테나(101)는 고유한 직교 신호를 송신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송신 안테나(101)는 고유한 주파수 직교 신호를 송신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101)가 동일한 신호를 송신한다.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초과의 송신 안테나(101)를 가짐으로써, 해당 신호의 강도는 더 커질 수 있고, 센서 시스템은 센서 시스템으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활동 및 움직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초과의 송신 안테나 그룹은 일정 시간(즉, 통합 시간 또는 통합 주기) 동안에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적합화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송신 안테나의 그룹 상에서 송신되는 동일한 신호와 함께 송신 안테나 상에서 복수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적합화된다. 즉, 동일한 신호가 2개 이상의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다. 하나 초과의 송신 안테나 상에 동일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송신 안테나는 표면으로부터 더 먼 거리를 감지하고, 개체의 접근을 결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은 객체 또는 사람이 시트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될 때까지 이 모드에서 기능할 수 있다.
시트에 대한 접근이 결정되면, 센서 시스템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가 직교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다. 이것은 객체나 사람의 움직임 및 위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식별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접근을 결정하기 위해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 그룹을 가질 수 있고, 객체 또는 사람이 가까워짐에 따라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사람 또는 객체가 시트에 접근하고 궁극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더 많은 정보를 파악하고 상이한 감도를 제공하기 위해, 시트에 대한 센서 시스템의 감도를 집중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송신 안테나 그룹화는 감지 시스템의 감지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차량 내의 다른 위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수의 감지 시스템은 시트 내에 위치되며, 각각의 감지 시스템은 송신 안테나 및 그 위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상이한 그룹화를 구현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드 레스트는 송신 안테나의 그룹화를 갖고, 시트는 또 다른 송신 안테나의 그룹화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상의 송신 안테나의 그룹화는 헤드 레스트 내의 송신 신호의 그룹화와 상이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헤드 레스트에 위치된 감지 시스템은 시트 내의 감지 시스템과 상이한 시간 또는 시간 동안에 상이한 그룹화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헤드 레스트에서의 신호의 그룹화는 시트에서의 신호의 그룹화와 상이한 시간에서 감지하거나 변경한다. 예를 들면, 헤드 레스트의 감지 시스템은 헤드 레스트의 송신 안테나 그룹이 그룹화의 사용으로부터 신체 일부가 임의의 구역에 접근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시트의 감지 시스템과 상이한 시간에 각각의 송신 안테나 상에 고유한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의 다수의 영역은 상이한 시간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내부, 중간 내부, 및 후방 내부가 존재한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객체 및 사람의 접근을 결정할 수 있는 차량의 외부 부분이 존재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송신 안테나는 상이한 모드 동안에 일부 송신 안테나 상에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지 시스템은 수동 송신 모드 및 능동 송신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지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 및 차량에서 구현되어 접근하는 패신저의 판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어서 접근하는 패신저가 판단되면 내부 감지 모드가 활성화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의 다수의 영역은 차량에서의 활동에 따라 상이한 그룹화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신저가 일부 구역에 접근하고, 다른 구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송신 안테나의 상이한 그룹화가 활성화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의 위치와 움직임을 결정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에 신호의 주입 및 송신을 포함할 수 있는 감지 시스템이 구현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안테나는 패신저에게 신호를 송신하도록 적합화된다. 패신저에게 신호가 송신되면, 패신저는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 가능한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는 패신저의 위치 및 움직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주입 신호는 다양한 센서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각각의 다른 신호와 직교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초과의 신호가 패신저에게 주입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신호가 차량의 상이한 위치로부터 패신저에게 주입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주입 신호는 바닥 위치로부터 패신저에게 송신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주입 신호는 헤드 레스트 위치에서 패신저에게 송신될 수 있다. 센서 시스템은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된 주입 신호를 사용하여 차량 내의 패신저의 움직임 및 위치를 결정한다. 신호가 차량 내의 상이한 위치에서 패신저에게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이한 활동 및 거동을 결정할 수 있다. 센서 시스템은 패신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수신된 신호와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신호의 조합, 및 차량 내에서의 패신저, 패신저 및/또는 객체의 활동에 대한 다양한 보기를 제공하기 위해 패신저를 통해 송신되는 수신된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패신저는 각각의 패신저에게 주입된 다수의 신호를 갖는다. 패신저에게 주입된 각각의 신호는 패신저에게 주입되는 신호와 서로 직교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신저에게 주입되는 각각의 신호는 패신저에게 송신되는 신호와 서로 직교하는 주파수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의 재료는 송수신 안테나(본 명세서에서, 컨덕터라고도 함)로 형성된 센서 시스템을 그 안에 내장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의 재료는 송수신 안테나로 형성된 센서 시스템을 그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는 그 안에 매립되어, 송수신 안테나로 형성된 센서 시스템 위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는 가요성 기재(비도전성 패브릭, 플라스틱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음) 위에 위치되고, 시트의 재료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는 가요성 기재 내에 내장되고, 시트의 재료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전성 스레드는 하나 이상의 소망의 치수로 소망의 팽창(예를 들면, 지그재그, 웨이브 등)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가요성 재료(예를 들면, 패브릭) 상에 위치되거나 스티칭되고, 시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요성 기재 또는 패브릭은 시트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교차 지그재그 패턴(또는, 예를 들면, 교차 사인파 패턴)을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요성 기재 또는 패브릭은 위에서 논의된 패턴 중 하나, 또는 사람에 의한 가요성 용도를 견디도록 적합화된 다른 패턴을 갖는다.
송신기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 상에 고유한 주파수 직교 신호를 송신한다. 수신 안테나는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및/또는 재료의 사용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커패시티브 상호 작용에 응답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는 수신된 신호의 측정치를 처리하고, 상기 측정치를 사용하여 히트 맵, 또는 기타 데이터 세트를 형성하여 카시트와 발생하는 상호 작용을 반영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송신 안테나 및 각각의 수신 안테나는 송신 안테나 또는 수신 안테나로서 기능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와 복수의 수신 안테나가 존재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가 존재한다.
탑승자(40)가 자동차의 시트(50)에 착석할 때, 시트(50) 내에서 및/또는 그것의 움직임이 존재한다. 시트(50)를 형성하는 재료는 이동되고, 및/또는 휘어진다. 이 움직임으로 인해,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가 서로에 대해 이동인다. 이 움직임은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측정치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움직임은 탑승자(40)가 시트(50)에 착석할 때뿐만 아니라 차량의 이동 동안, 및 차량이 정지해 있을 때에 탑승자(40)가 시트(50)에 착석한 동안에도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탑승자(40)는 송신 안테나 또는 송신 안테나들 및 수신 안테나 또는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필드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탑승자와 필드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시스템에서 상이한 측정치가 취해진다.
탑승자(40)가 시트(50)에 착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 안테나에 연결된 수신기로부터 취해진 처리된 측정치가 사용될 수 있다.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취해지고 처리된 측정치는 시트(50)의 사용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로 처리되도록 센서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의 사용에 대한 결정은 신호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고, 측정치를 취하여, 시트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의 사용의 결정은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측정치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로직에 의해 행해진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의 사용의 결정은 신호 프로세서와 별도로 위치된 센서 시스템의 일부에 의해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의 사용의 결정은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측정치를 처리하는 회로에 의해 행해진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의 사용의 결정은 시트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차량에 위치된 센서 시스템의 일부에 의해 행해진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의 사용에 대한 결정은 시트에 가까운 위치에서 차량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차량의 탑승자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탑승자의 심박수를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탑승자의 호흡 활동을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탑승자의 체중 추정치를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탑승자의 키 추정치를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시트 내의 탑승자의 위치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시트 내의 탑승자의 유형을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검출된 탑승자 ID에 기초하여 자동차가 도난당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아동의 존재를 감지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검출기 모듈은 아동용 시트의 존재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아동용 시트에 있는 아동의 존재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등받이의 위치를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시트의 편안함 설정을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헤드 레스트로부터 헤드의 거리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탑승자 대 비탑승자 검출(즉, 존재하지만 배타적으로 인간 탑승자가 아닌 객체)의 %분류 범주의 유형을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차량에 남겨져 있는 것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객체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수동적 수단을 통해 객체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능동 수단을 통해 객체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능동적 및/또는 수동적 수단에 의해 탑승자 객체의 유형을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사람, 카시트, 지갑, 랩탑, 폰, 개, 고양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로직 범주(즉, 인간 탑승자의 존재 또는 부재) 또는 측정치 추정(즉, 신장 체중)은 각각 개별적으로 계산된 신뢰 계수(즉, 신뢰 수준)(예를 들면, 99.9999% 비어 있음, 80% 신뢰 높이 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쿠션 및 배압 분포를 검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탑승자가 얼마나 많이 및 얼마나 자주 이동하는지 등의 동적 움직임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탑승자(40)에 관한 존재에 추가하여 정보는 구현되는 센서의 감도로 인해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머신 러닝은 시트(50)에 착석한 개인의 체중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시트(50) 내에서 또는 시트(50) 상의 센서에 의해 취해진 측정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적용된다. 시트(50)에 착석한 사람의 신체적 특징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는 사람의 체중과 드라이버의 가능한 신원을 연관시킴으로써, 그에 따라 반응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50)가 185파운드의 남자가 차에 착석한 것을 감지할 때에 자동차는 그 설정을 자동으로 조정한다. 자동차의 설정은 185파운드 체중의 판독값과 가장 관련이 있는 사람을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의 탑승자의 수는 카시트 센서 및 검출기 모듈로부터의 측정치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의 탑승자의 수 및 체중은 센서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은 탑승자(40)가 착석한 위치, 체중 및/또는 카시트(50)에서의 센서를 통해 확인되는 다른 물리적 특징에 기초하여 탑승자(40)의 신원을 결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은 센서에 의해 결정된 차량 부하에 기초하여 연료의 사용을 최적화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패신저 구역의 센서는 체중 판독값에 기초하여 유아가 카시트에 남아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 판독값은 차량이 일정 시간 동안 정지했을 때에 유아가 꺼내지지 않은 경우, 경보 또는 기타 경고 표시기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된다.
센서 시스템은 시트(50)의 착석 영역에 추가하여 시트(50) 상 및 내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시트(50)의 후방 영역 내에 위치된다. 시트(50)의 후방 영역에 위치한 센서 시스템은 탑승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속도 또는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지형과 관련된 추가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급격한 움직임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유형의 정보는 차량의 제어 또는 차량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해 차량에 의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계값 이상의 급격한 움직임 또는 저킹(jerking)이 존재한다는 결정은 에어백을 전개하거나 브레이크의 작동을 트리거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는 차량의 헤드 레스트 내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50)와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탑승자(40)에 관한 생체 데이터가 취해진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탑승자(40)의 위치 및 움직임은 탑승자(40)가 잠들어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탑승자가 잠든 경우에는 알람이 트리거될 수 있다. 또한, 산만한 운전 및 물질의 영향 하에서의 운전 등의 다른 잠재적으로 위험한 상황은 시트(50)에 있는 동안에 탑승자(40)의 위치 결정 및 움직임에 기초하여 센서 시스템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검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상호 작용이 검출되는 시트(50) 내 및/또는 상에 위치된 센서 시스템에 추가하여, 주입 송신 안테나 또는 주입 송신 안테나가 시트(50) 내 및/또는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주입은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고유한 직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차량으로부터 분리된 객체를 보유하거나 착용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차량의 컴포넌트 중 하나를 통해 주입 신호를 갖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는 스티어링 휠을 통해 사용자에게 주입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는 대시보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입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는 차량의 내부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게 송신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신호는 차량의 외부 부분을 통해 사용자에게 송신된다.
도 2는 탑승자(40) 내에 주입 신호의 존재를 도시하는 탑승자(40)의 음영을 도시한다. 주입 신호는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또는 차량 전체에 걸쳐 위치된 계기와 관련하여 추가의 기능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탑승자(40)에 의해 송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상태 또는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는 탑승자(40)에 의해 송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가능한 상태 또는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고 도어 오프너는 차량의 내부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탑승자(40)에 의해 송신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된다.
하나 이상의 신호가 차량의 각각의 탑승자에게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의 각각의 탑승자에게 주입되는 각각의 신호는 차량의 탑승자 또는 탑승자들에게 주입되는 각각의 다른 신호와 직교하는 주파수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신호가 운전자의 시트에서의 탑승자에게 주입되고, 운전자의 시트에서의 사람의 탑승자에게 주입 신호와 직교하는 주파수인 다른 신호가 차량의 다른 탑승자에게 주입된다. 차량의 컴포넌트는 신호의 측정치에 기초하여, 컴포넌트를 작동하거나 그와 상호 작용하는 사람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정 컴포넌트는 식별된 패신저에 기초하여 상이하게 기능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의 컴포넌트는 차량의 컴포넌트와 동시에 상호 작용하는 동안에 패신저의 신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주파수인 다수의 신호가 각각의 패신저에게 주입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주입 신호는 차량의 컴포넌트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상이한 정보를 전달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주입 신호는 주입되는 신호에 따라 상이하게 작동하도록 적합화되는 차량의 컴포넌트와 상호 작용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포넌트는 하나 초과의 주파수 직교 신호의 측정치에 따라 상이하게 동작하도록 적합화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신호의 존재를 측정하면 컴포넌트가 제 1 방식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신호에 직교하는 주파수인 또 다른 신호의 존재를 측정하면 컴포넌트가 제 2 방식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양쪽의 신호의 존재를 측정하면 컴포넌트가 제 3 방식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차량 또는 시트의 인터랙티브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신호는 상이한 사람들에게 주입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신호는 한 명의 개인에게 주입되지만, 차량의 상이한 부분 또는 차량의 위치로부터 개별 형태로 주입된다. 예를 들면, 주입 신호 중 하나는 사람이 시트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 다른 주입 신호는 사람이 스티어링 휠 또는 미러를 만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입 신호의 조합을 측정하여 카 도어를 록킹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 미러를 조정해야 하는지의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카시트가 도시되어 있지만, 센서 시스템은 자동차 이외의 차량의 시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트럭 시트에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보트 시트에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보트 시트의 방수 재료에 내장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비행기 시트에서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기차 시트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시트는 차량, 시트, 의자 등의 맥락에서 논의되지만, 센서 기술은 다른 곳에서 발견되는 시트 내의 패브릭 및 재료 상 및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스타디움 시트에서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가정 내의 의자와 함께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대기실의 시트와 함께 사용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놀이공원의 놀이기구에 착석하여 사용된다.
추가로, 카시트가 논의되는 동안에, 센서 시스템을 형성하는 송신기,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및 수신기는 차량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차량의 액셀레이터 내에 위치된다. 액셀레이터와의 상호 작용은 차량의 가속에 관한 추가적이고 보다 미묘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료 분배 및 기어 조작은 액셀레이터의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로 인해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차량의 기어 시프트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모터사이클, 삼륜차 또는 사륜 사이클 등의 차량의 핸들 상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차량의 브레이크 상에 위치된다. 브레이크와의 상호 작용은 차량의 핸들링 또는 에어백의 구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대시보드에서 구현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클러치에서 구현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은 턴 신호 컨트롤러에서 구현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 시스템을 형성하는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는 차량의 타이어에 구현된다. 신호의 측정치는 브레이크의 마모 및 타이어의 마모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송신 안테나는 컴포넌트 상에 구현될 수 있고,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처리된 신호는 컴포넌트의 재료에 대한 변경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신호의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는 윈드쉴드에 위치된다.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신호는 액체의 영향을 받고,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측정치에 반영될 수 있다. 이어서, 이들 측정치를 사용하여 윈드쉴드 와이퍼가 작동하도록 트리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감지 시스템이다. 상기 감지 시스템은, 카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송신 안테나의 그룹으로서, 제 1 모드에서, 제 1 통합 주기 동안에, 상기 그룹 중 하나를 초과한 송신 안테나 상에 하나의 신호가 송신되고, 제 2 모드에서, 제 2 통합 주기 동안에, 상기 그룹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 상에 주파수 직교 신호를 송신하도록 적합화되는 송신 안테나의 그룹;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각각의 하나가 송신된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합화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제 1 모드 또는 상기 제 2 모드 동안에 수신된 신호의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고, 결정된 측정치를 처리하여 패신저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결정하도록 더 적합화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는 감지 시스템이다. 상기 감지 시스템은, 차량의 패신저에게 신호를 주입하도록 적합화되고, 각각의 주입 신호 주파수가 통합 주기 동안에 송신된 주입 신호와 서로 직교하는 하나 초과의 주입 송신 안테나;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각각의 하나가 상기 패신저에게 주입된 주입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합화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및 수신된 주입 신호의 각각의 하나의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고, 결정된 측정치를 처리하여 패신저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결정하도록 더 적합화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사항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Claims (18)

  1. 카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송신 안테나의 그룹으로서,
    제 1 모드에서, 제 1 통합 주기 동안에, 상기 그룹 중 하나를 초과한 송신 안테나 상에 하나의 신호가 송신되고,
    제 2 모드에서, 제 2 통합 주기 동안에, 상기 그룹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 상에 주파수 직교 신호를 송신하도록 적합화되는 송신 안테나의 그룹;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각각의 하나가 송신된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합화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제 1 모드 또는 상기 제 2 모드 동안에 수신된 신호의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고, 결정된 측정치를 처리하여 패신저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결정하도록 더 적합화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2 모드보다 카시트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패신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는, 감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의 그룹은 상기 제 1 모드 동안에 패신저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제 1 모드를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적합화되는, 감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의 그룹은 카시트의 헤드 레스트에 위치되는, 감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의 그룹은 카시트의 후방에 위치되는, 감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의 그룹은 카시트의 시트에 위치되는, 감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의 그룹과는 상이한 카시트의 위치에 위치된 다른 송신 안테나의 그룹을 더 포함하는, 감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2 모드 및 상기 제 3 모드보다 카시트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패신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제 2 모드보다 카시트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패신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는, 감지 시스템.
  9. 차량의 패신저에게 신호를 주입하도록 적합화되고, 각각의 주입 신호 주파수가 통합 주기 동안에 송신된 주입 신호와 서로 직교하는 하나 초과의 주입 송신 안테나;
    복수의 수신 안테나의 각각의 하나가 상기 패신저에게 주입된 주입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합화되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 및
    수신된 주입 신호의 각각의 하나의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고, 결정된 측정치를 처리하여 패신저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결정하도록 더 적합화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감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카시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송신 안테나의 그룹으로서,
    제 1 모드에서, 제 1 통합 주기 동안에, 상기 그룹 중 하나를 초과한 송신 안테나 상에 하나의 신호가 송신되고,
    제 2 모드에서, 제 2 통합 주기 동안에, 상기 그룹의 각각의 송신 안테나 상에 주파수 직교 신호를 송신하도록 적합화되는 송신 안테나 그룹을 더 포함하는, 감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2 모드보다 카시트로부터 더 먼 지점에서 패신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는, 감지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의 그룹은 상기 제 1 모드 동안에 패신저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제 1 모드를 상기 제 2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적합화되는, 감지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결정된 측정치를 처리하고, 결정된 측정치에 기초하여 패신저를 식별하도록 적합화되는, 감지 시스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결정된 측정치를 처리하고, 결정된 측정치에 기초하여 패신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적합화되는, 감지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입 안테나가 카시트에 존재하는, 감지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입 안테나가 카시트의 후방에 위치되는, 감지 시스템.
  17.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입 안테나가 카시트의 시트에 위치되는, 감지 시스템.
  18. 제 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입 안테나가 드라이버의 시트에 존재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입 안테나가 패신저의 시트에 존재하는, 감지 시스템.
KR1020237006459A 2020-07-23 2021-07-16 다수 지점에서의 카시트 감지 KR20230057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55832P 2020-07-23 2020-07-23
US63/055,832 2020-07-23
PCT/US2021/041976 WO2022020199A1 (en) 2020-07-23 2021-07-16 Car seat sensing at multiple dist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366A true KR20230057366A (ko) 2023-04-28

Family

ID=7972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459A KR20230057366A (ko) 2020-07-23 2021-07-16 다수 지점에서의 카시트 감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78466A1 (ko)
JP (1) JP2023534836A (ko)
KR (1) KR20230057366A (ko)
DE (1) DE112021003935T5 (ko)
WO (1) WO20220201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9614B2 (ja) * 2006-02-07 2010-09-08 株式会社デンソー 乗員検知システム
EP2036780A1 (en) * 2007-09-12 2009-03-18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occupant in a vehicle seat
US9158411B2 (en) 2013-07-12 2015-10-13 Tactual Labs Co. Fast multi-touch post processing
US9019224B2 (en) 2013-03-15 2015-04-28 Tactual Labs Co. Low-latency touch sensitive device
MX351000B (es) 2013-03-15 2017-09-27 Tactual Labs Co Lápiz óptico y sensor de multi-toques rápidos.
SG10201606730SA (en) 2013-03-15 2016-10-28 Tactual Labs Co Fast multi-touch noise reduction
US9710113B2 (en) 2013-03-15 2017-07-18 Tactual Labs Co. Fast multi-touch sensor with user identification techniques
US9933880B2 (en) 2014-03-17 2018-04-03 Tactual Labs Co. Orthogonal signaling touch user, hand and object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191579B2 (en) 2015-05-22 2019-01-29 Tactual Labs Co.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orthogonal signaling sensors
US10175772B2 (en) 2016-07-01 2019-01-08 Tacutal Labs Co. Touch sensitive keyboard
US10572088B2 (en) * 2016-08-30 2020-02-25 Tactual Labs Co. Vehicular components comprising sensors
WO2018044957A1 (en) 2016-08-30 2018-03-08 Tactual Labs Co. Capacitive sensor
US10528201B2 (en) 2016-08-30 2020-01-07 Tactual Labs Co. Toroidal sensor
KR102338204B1 (ko) * 2017-08-02 2021-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JP7083682B2 (ja) * 2018-04-09 2022-06-1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検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0199A1 (en) 2022-01-27
US20230278466A1 (en) 2023-09-07
JP2023534836A (ja) 2023-08-14
DE112021003935T5 (de)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3295A (en) Method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and orientation of an object in a vehicle
EP1140576B1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USRE37260E1 (en) Method for identifying the presence and orientation of an object in a vehicle
US720903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bject or a person on a seat of vehicle
US6956465B2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in a motor vehicle
US20190184853A1 (en) Occupant sensing system for a vehicle
WO2004091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eat occupancy
KR101076926B1 (ko) 차량 내 좌석 점유를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073569A1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JP2002544495A (ja) 乗員検出システム
US10901562B2 (en) Movement enhanced detection
KR20230057366A (ko) 다수 지점에서의 카시트 감지
JP2003535748A (ja) 乗員検出システム
KR20230129491A (ko) 차량 시트 접지
WO2023220240A1 (en) Simplified manufacturing sensor implementation
EP2161165A1 (en) Capacitive vehicle seat occupant detector
Eisenmann et al. The BMW SBE2 Child Seat Detection System
EP3676695B1 (en) Vehicular components comprising sensors
US20230350018A1 (en) Object Detection
WO2004067330A1 (en) Conductive liner with integrated occupant sensor
Breed et al. Development of an occupant position sensor system to improve frontal crash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