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940A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940A
KR20230056940A KR1020210140781A KR20210140781A KR20230056940A KR 20230056940 A KR20230056940 A KR 20230056940A KR 1020210140781 A KR1020210140781 A KR 1020210140781A KR 20210140781 A KR20210140781 A KR 20210140781A KR 20230056940 A KR20230056940 A KR 20230056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table
axis
laboratory
hol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4535B1 (en
Inventor
임철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옵토
(주) 대명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옵토, (주) 대명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옵토
Priority to KR1020210140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535B1/en
Publication of KR2023005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41/14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very small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2Specific details about manufact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used in various experiments in a laboratory of a university, a research institute, etc. and, in particular,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that can be usefully used in measurement experiments or laser experiments of sensitive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costs in manufacturing the optical table and ensure excellent quality of the optical table by implementing a new table processing method in which holes, tabs, and countersinks are processed on the upper plate of the optical table in parallel using a multi-axis drill machine moving in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when manufacturing the optical table used in the laboratory.

Description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Laboratory optical tab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

본 발명은 대학교, 연구기관 등의 실험실에서 각종 실험에 사용되는 옵티컬 테이블을 제조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민감한 장비의 측정 실험이나 레이저 실험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옵티컬 테이블을 제조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used in various experiments in laboratories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more particularly, to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measurement experiments of sensitive equipment or laser experiments It's about the device and how to do it.

일반적으로 옵티컬 테이블은 대학교, 연구기관 등의 실험실에서 광학, 레이저,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명과학 등의 각종 실험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플랫폼이다.In general, an optical table is a kind of platform used in laboratories such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o conduct various experiments on optics, lasers, semiconductors, displays, and life sciences.

보통 산업 현장이나 실험실에는 정밀기기의 측정 등을 위한 테이블(정반)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러한 테이블 위에는 실험을 위한 각종 기자재들이 놓여지게 된다. Usually, industrial sites or laboratories are equipped with tables (tables) for measuring precision instruments, and various equipment for experiments are placed on these tables.

예를 들면, 옵티컬 테이블은 민감한 장비의 측정 실험이나 레이저 실험 등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광학 테이블에는 실험장비와 기구, 광학용 렌즈 및 컴포넌트 부품 등이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뛰어난 정적ㆍ동적 강성을 제공한다. For example, optical tables are used for measurement experiments of sensitive equipment or laser experiments. These optical tables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experimental equipment and instruments, optical lenses and component parts are fastened, and provide excellent static and dynamic rigidity. .

이와 같은 옵티컬 테이블은 약 25mm 내지 400mm 정도의 두께와 최대 3,500mm×1,500mm 정도의 면적을 가지게 되며, 이때의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은 약 4mm 내지 6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Such an optical table has a thickness of about 25 mm to 400 mm and an area of up to about 3,500 mm × 1,500 mm, and the upper plate of the optical table at this time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about 4 mm to 6 mm.

그리고, 상기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에는 약 25mm 정도의 간격으로 직경이 5.3mm 정도인 홀과 카운터 싱크가 가공되며, 상판의 면적이 최대 3,500mm×1,500mm 정도인 경우에는 대략 5,000개 정도의 홀이 가공된다.In addition, holes and countersinks with a diameter of about 5.3 mm are machined at intervals of about 25 mm on the top plate of the optical table, and when the area of the top plate is about 3,500 mm × 1,500 mm at most, about 5,000 holes are machined. do.

이러한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에 대한 홀 가공 시, 현재 상판의 두께가 얇고 또 상판의 면적이 큰 이유 등으로 레이저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홀을 가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When drilling a hole in the top plate of such an optical table, the hole is currently being processed using a laser processing method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is thin and the area of the top plate is large.

그러나, 레이저 가공 방식으로 홀을 가공하는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 경제적인 부담이 있다. However, in case of processing a hole by a laser processing method, there is an economic burden in terms of cost.

예를 들면, 홀 1개당 가공비가 100원 정도이며 5,000개의 홀을 가공하게 되면 50만원 정도가 소요되므로 1대의 옵티컬 테이블 제작 시 홀 가공에만 상당한 비용이 지출되는 등 광학 테이블의 제조에 소요되는 전체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부담이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ing cost per hole is about 100 won, and it takes about 500,000 won to process 5,000 holes. Therefore, when manufacturing one optical table, the entire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such as a considerable cost for hole processing alone, There is this greatly increasing burden.

또한,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에 홀을 가공한 후, 홀 가공부위에 카운터 싱크 작업을 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핸드드릴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하나하나 작업을 하는 관계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다보니 카운터 싱크 모양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등 옵티컬 테이블의 전체적인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after machining a hole in the upper plate of the optical table, countersinking work must be done on the hole machining part.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the overall quality of the optical table is degraded, such as poor performance, countersink shape being inconsistent due to manual work by worker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5688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45688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3661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9366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2907호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2907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7471호Publication No. 10-2011-0087471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옵티컬 테이블 제조 시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축 드릴 머신을 이용하여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에 홀, 탭, 카운터 싱크 작업을 함께 병행하여 가공하는 새로운 테이블 가공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옵티컬 테이블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when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used in a laboratory, a multi-axis drill machine moving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is used to form holes, taps, and counters on the upper plate of the optical table. By implementing a new table processing method that processes sink work in parallel,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ptical table and to provide an optical tab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laboratories that can secure the excellent quality of the optical table. But it has a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boratory optical tabl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2∼8mm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 형태의 상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상판에 드릴 가공을 통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홀과 각 홀에 하나씩 배속되는 카운터 싱크를 가공함과 더불어 탭 가공을 통해 홀의 내주면에 탭을 가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상판의 저면에 각 홀의 위치마다 씰 캡을 하나씩 부착하는 제3단계와, 상기 상판의 저면에 상판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벽체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상기 상판의 저면에 벽체의 내측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5단계와, 상기 벽체의 내측 영역에 상판의 저면과 하판의 상면 사이에 밀착 지지되면서 상하판 간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다수 개의 코어를 설치하는 제6단계와, 상기 벽체의 하단부에 하판을 설치하여 상판과 하판, 그리고 벽체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테이블 내부 공간을 마감하는 제7단계를 포함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table for the laboratory includes a first step of preparing a top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having a thickness of 2 to 8 mm and made of stainless steel, and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in a lattice shape through drilling on the top plate A second step of processing a countersink assigned to each hole one by one and processing a tap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through tap processing, and a third step of attaching one seal cap to each hole posi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The fourth step of installing a wall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long the edge of the top plate, the fifth step of applying an adhesive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o the inside of the wall, and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the top of the bottom plate on the inner region of the wall The sixth step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cores that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while being closely supported between them, and the second step of installing the lower plate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to close the space inside the table surrounded by the upper and lower plates and the wall. It includes 7 steps.

여기서, 상기 제2단계는 홀과 카운터 싱크의 가공 시 하강 작동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홀을 선(先) 가공한 후에 계속해서 하강 작동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카운터 싱크를 후(後) 가동하는 방식으로 홀과 카운터 싱크를 한 공정에서 동시에 가공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step is to process the hole in advance using a drill that operates downward during machining of the hole and the countersink, and then operate the countersink later using a drill that continues to operate downward. It may include a process of processing holes and countersinks simultaneously in one process.

그리고, 상기 제6단계에서는 파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코어를 사용하고, 상기 코어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통해 상판의 저면과 하판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세워지는 구조로 배치되는 동시에 테이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코어는 마주 대하면서 나란하게 2열을 이루는 2개가 한쌍을 이루는 동시에 함께 원형을 이루는 각 코어의 요부 내에 씰 캡을 수용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And, in the sixth step, a core made of a wave-shaped band is used, and the core is placed in a structure that is erec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ble. It is installed in an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co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 cap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of each core forming a circle while facing each other and forming a pair of two columns side by side.

이러한 제6단계에서는 벽체 상에 설치되면서 코어 장착홈을 통해 한쌍의 코어의 단부를 결속시켜주는 코어 브라켓을 이용하여 코어를 잡아줄 수 있다. In this sixth step, the core can be held using a core bracket installed on the wall and binding the ends of the pair of cores through the core mounting groov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이 로딩되는 곳으로서 상판에 형성되어 있는 홀의 갯수 및 위치에 상응하는 툴 관통홀을 가지는 동시에 상판의 고정을 위한 클램프장치를 가지는 베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양편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 및 X축 LM장치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포스트 프레임과,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 및 Y축 LM장치에 의해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헤드 프레임과, 상기 헤드 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툴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툴 구동장치와, 상기 헤드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툴을 이용하여 상판에 홀, 카운터 싱크, 탭을 가공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The laboratory optical table manufacturing apparatus is a place where the top plate of the optical table is loaded, and has tool through-hol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holes formed in the top plate. Base including a bed having a clamp device for fixing the top plate A frame, a post frame movable along the X-axis direction by a pair of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s and an X-axis LM devic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base frame, and a Y-ax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post frame A head frame moving along the Y-axis direction by a ball screw driving device and a Y-axis LM device, a tool driv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head frame to provide power for tool rotation, and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head frame and includes a head that processes holes, countersinks, and taps on the upper plate using a tool while moving along the Z-axis direction.

따라서,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툴을 이용하여 실험실에서 각종 실험에 사용되는 옵티컬 테이블의 2∼8mm의 두께를 가지는 상판에 홀을 가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Therefore,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table for the laboratory uses a tool capable of moving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to process a hole in the upper plate having a thickness of 2 to 8 mm of the optical table used in various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It is characterized by what can be done.

여기서, 상기 툴은 소직경부와 대직경부의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진 툴로서, 소직경부는 드릴부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간의 경계부위는 테이퍼 모양의 카운터 싱크부로 이루어져 홀 가공 후에 연이어 카운터 싱크 가공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tool is a tool made up of a stepped shape of a small diameter part and a large diameter part, and the small diameter part is made of a drill part,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mall diameter part and the large diameter part is made of a taper-shaped counter sink part. can be made to do.

그리고,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헤드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헤드부의 Z축 방향 이동과 연계되어 Z축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로드측의 패드를 이용하여 홀 가공부위 주변의 상판 상면을 눌러주는 4개의 실린더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boratory optical table manufacturing apparatus is installed on the head frame and at the same time is moved in the Z-axis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head part in the Z-axis direction, and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round the hole processing part using the pad on the rod side A four-cylinder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부는 기어조합과 스플라인을 내장하는 다축 헤드로 이루어져 다수 개의 툴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축 헤드에 장착되는 여러 개의 툴 중에서 적어도 1개는 탭으로 이루어져 홀 및 카운터 싱크 가공 후에 연이어 탭 가공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head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ools composed of a multi-axis head having a built-in gear combination and a spline,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ools mounted on the multi-axis head is composed of a tap after hole and countersink machining. Tapping can be performed consecutively.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boratory optical tabl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축의 드릴 머신을 이용한 드릴 가공 방식으로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에 홀 가공과 카운터 싱크 가공을 동시에 실시함과 더불어 탭도 함께 가공하는 새로운 옵티컬 테이블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옵티컬 테이블 제작 시 인건비 절감은 물론, 옵티컬 테이블의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일정하고 균일하게 카운터 싱크 가공을 할 수 있는 등 옵티컬 테이블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a drilling method using a multi-axis drill machine moving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simultaneously performs hole processing and countersink processing on the top plate of the optical table, as well as a new optical table manufacturing device that also processes taps. By applying the and manufactu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of the optical table as well as labor cost reduction when manufacturing the optical table, and to secure excellent quality of the optical table, such as constant and uniform countersink processing. There is an effect.

둘째, 홀 가공과 카운터 싱크 가공을 한 공정 내에서 병행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공정 단축 및 가공시간 단축에 따른 전반적인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applying a method in which hole processing and countersink processing are performed in parallel in one proces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overall manufacturability by shortening the process and reducing the processing time.

셋째,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이 세팅되는 드릴 머신의 베드에 대한 평탄도를 확보하여 상판과 베드 간의 밀착도를 높여줌으로써, 상판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따라서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옵티컬 테이블용 상판도 드릴 가공방식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홀을 가공할 수 있는 등 레이저 가공방식 대비 홀 가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 flatness of the bed of the drill machine where the top plate of the optical table is set is secured to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ed, so that the top plate can be stably fixed, and thus the top plate for the optical table with a thin thickness and a large area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hole processing compared to the laser processing method, such as efficiently processing holes by applying the drill processing method.

넷째, 옵티컬 테이블의 내부, 즉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파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코어를 배치하여 상판과 하판 간의 간격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에 대한 평면도를 확보할 수 있는 등 실험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실험에 폭 넓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a plan view of the upper plate of the optical table by applying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accurately and firmly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placing a corrugated band-shaped core inside the optical table, that i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 such as securing, and has the effect of being widely applied and used in various experiments.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에서 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1 to 8 are perspective views, plan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tool i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1 to 8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은 실험실 등에서 테이블로 사용되는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 특히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상판에 홀/카운터 싱크/탭을 형성할 때, 기존의 레이저 가공을 대신하여 드릴 가공 방식을 채택하여 제조비용 절감 및 우수한 제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적절한 지지 및 보강 구조를 채택하여 테이블 평탄도가 우수한 고품질의 테이블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다. As shown in FIGS. 1 to 8,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table for the laboratory is to form a hole/counter sink/tab on the upper plate of the optical table used as a table in the laboratory, especially the upper plate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large area. , It is a method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secure excellent manufacturability by adopting a drilling method instead of conventional laser processing, and also can manufacture a high-quality table with excellent table flatness by adopting an appropriate support and reinforcement structure.

먼저, 제1단계로서, 실험 시에 각종 기자재들이 놓여지는 사각판 형태의 상판(10)을 준비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First, as a first step, a step of preparing the upper plate 10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on which various equipment is placed during the experiment is performed.

상기 상판(10)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판(10)은 2∼8mm 정도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4∼6mm의 두께와 최대 3,500mm×1,500mm 정도의 면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The upper plate 10 is made of stainless steel, etc., and the upper plate 10 can have a thickness of about 2 to 8 mm, preferably a thickness of about 4 to 6 mm and an area of up to about 3,500 mm × 1,500 mm. do.

다음, 제2단계로서, 상판(10) 위에 각종 기자재들을 체결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홀(11)과 카운터 싱크(12), 그리고 탭(13)을 상판(10)에 형성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Next, as a second step, a step of forming a hole 11, a counter sink 12, and a tab 13 used for fastening various equipment on the top plate 10 is performed on the top plate 10 .

상기 상판(10)에 형성되는 홀(11)은 후술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축의 드릴 머신에 의해 가공될 수 있으며, 4개의 드릴을 갖춘 헤드의 1회 상하 작동에 의해 4개씩의 홀(11)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The hole 11 formed in the upper plate 10 can be processed by a multi-axis drill machine moving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one-time up-and-down operation of a head equipped with four drills. Four holes 11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여기서, 상기 홀(11)은 약 25mm 정도의 간격을 이루면서 약 5.3mm 정도의 직경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이렇게 가공되는 각각의 홀(11)은 상판(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Here, the holes 11 may be machined to a diameter of about 5.3 mm at intervals of about 25 mm, and each hole 11 thus machined is arranged in a grid pattern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op plate 10. form can be achieved.

상기 카운터 싱크(12)는 각 홀(11)의 상측 진입구간을 약 45°정도의 경사면으로 가공한 형태로서, 즉 각 홀(11)의 상측 진입구간을 약 45°정도로 모따기한 형태로서, 홀(11)이 가공된 후에 연속적으로 순차 가공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The counter sink 12 is in the form of processing the upper entry section of each hole 11 into an inclined surface of about 45 °, that is, in the form of chamfering the upper entry section of each hole 11 at about 45 °, After (11) is processed, it can be formed in a manner in which it is continuously and sequentially processed.

예를 들면, 상기 제2단계에서 상판(10) 상에 홀(11)과 카운터 싱크(12)를 가공할 때, 하강 작동하는 드릴(예컨대, 드릴 날과 카운터 싱크 날을 단계적으로 갖춘 하나의 드릴)을 이용하여 홀(11)을 선(先) 가공한 후, 계속해서 하강 작동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카운터 싱크(12)를 후(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machining the hole 11 and the countersink 12 on the top plate 10 in the second step, a drill that operates downward (eg, a drill equipped with a drill bit and a countersink bit in stages) After the hole 11 is pre-processed using ), the counter sink 12 can be post-processed using a drill that continues to descend.

즉, 제2단계에서는 홀(11)과 카운터 싱크(12)를 한 공정에서 연계하여 동시에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러한 가공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기존 수작업 대비 카운터 싱크(12)의 균일한 가공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in the second step, the hole 11 and the countersink 12 can be processed simultaneously and automatically by linking them in one process. Eventually, by adopting this processing method, the number of man-hours can be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untersink compared to the existing manual work can be process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uniform processing quality of (12).

상기 탭(13)은 각각의 홀(1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으로서, 이러한 탭(13)은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축의 드릴 머신에 의해 가공될 수 있게 된다.The tap 13 is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hole 11, and the tap 13 can be machined by a multi-axis drill machine moving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즉, 상기 탭(13)은 4개의 가공용 탭을 갖춘 헤드(예컨대, 4개의 드릴을 대신하여 장착한 4개의 가공용 탭을 갖춘 헤드)의 1회 상하 작동에 의해 각 홀(11)의 내주면에 가공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tap 13 is machi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hole 11 by a single up-and-down operation of a head equipped with four taps for machining (eg, a head equipped with four taps for machining instead of four drills). can become

이렇게 탭(13)의 가공을 기존의 수작업 대신에 드릴 머신을 이용한 자동화 공정으로 실시함으로써 나사산의 표면 거칠기를 줄여 효율적인 나사 체결이 가능하고 나사 체결 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등 우수한 탭 가공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performing the machining of the tap 13 as an automated process using a drill machin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manual work,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tap processing quality such as reduc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crew thread, enabling efficient screw fastening and reducing the defective rate during screw fastening. be able to

다음, 제3단계로서, 상판(10)의 저면에 씰 캡(14)을 부착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Next, as a third step, a step of attaching the seal cap 14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is performed.

상기 씰 캡(14)은 개방부위 직경이 넓고 막힌부위 직경이 좁은 원통형의 캡 형태로서, 상판(1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홀(11)의 위치마다 하나씩 순간 접착제 등으로 부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seal cap 14 is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cap with a wide opening diameter and a narrow closed diameter, and is attached to each hole 11 formed in the top plate 10 with an instant adhesive, etc. Installed in a structure do.

이렇게 설치되는 씰 캡(14)은 오와 열을 맞춘 격자형의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The seal cap 14 installed in this way can form a lattice-lik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five and five rows are aligned.

이러한 씰 캡(14)은 제5단계에서 도포되는 접착제(16)가 탭(13)의 나사산으로 스며드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seal cap 14 serves to prevent the adhesive 16 applied in the fifth step from permeating into the thread of the tap 13.

다음, 제4단계로서, 상판(10)의 저면에 벽체(15)를 설치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Next, as a fourth step, a step of installing the wall 15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 is performed.

이러한 벽체(15)는 상판(10)의 4변 가장자리를 따라 세워지는 구조로 설치되며, 태그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This wall 15 is installed in a structure erected along the edges of the four sides of the top plate 10, and can be fixed by tag welding or the like.

다음, 제5단계로서, 상판(10)의 저면에 접착제(16)를 도포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Next, as a fifth step, a step of applying the adhesive 16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is performed.

이러한 접착제(16)는 상판(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벽체(15)의 내측 영역에서 상판 전체 면적에 걸쳐서 도포되며, 이렇게 도포되는 접착제(16)는 제6단계에서 설치되는 코어(18)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adhesive 16 is appli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op plate in the inner region of the wall 15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top plate 10, and the adhesive 16 thus applied is applied to the core 18 installed in the sixth step. will play a role in fixing the

여기서, 상기 접착제(16)는 코어(18)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해 약 0.5∼1㎝ 정도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adhesive 16 is preferably applied to a thickness of about 0.5 to 1 cm in order to stably hold the core 18.

다음, 제6단계로서, 상판(10)과 하판(17) 간의 간격을 유지해주면서 테이블 상판의 평면도를 유지시켜주는 수단으로 코어(19)를 포함한다. Next, as a sixth step, a core 19 is included as a means for maintaining a flatness of the table top plate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17 .

상기 코어(19)는 파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판으로서, 상단부와 하단부를 통해 상판(10)의 저면과 하판(17)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동시에 테이블 길이방향, 즉 상하판(10,17)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core 19 is a plate made of a wave-like band, and is vertically erect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 and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7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at the same ti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ble, that is,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 17)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코어(19)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코어(19)는 상하판(10,17)의 길이방향을 따라가면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하판(10,17)의 폭방향을 따라가면서 일정간격, 예를 들면 씰 캡(14)의 각 열 간의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cores 19 are provided, and each core 19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17 and at the same time extends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17. It can be arranged side by side while maintaining a certain interval, for example,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each row of the seal cap 14 while following.

그리고, 상기 코어(19)는 상판(10)의 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16)에 의해 고정되면서 코어 브라켓(21)에 의해 양단 지지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ore 19 can be supported at both ends by the core bracket 21 while being fixed by the adhesive 16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

이를 위하여, 상기 코어 브라켓(21)은 "ㄷ"자형 단면을 가지는 절곡형의 바 형태로서, "ㄷ"자형 단면의 아래쪽 수평부재에는 직선형의 초입부와 원형의 안쪽부로 이루어진 코어 장착홈(14)이 형성되며, 이때의 코어 장착홈(14)의 초입부와 안쪽부에 코어(18)의 단부가 끼워지는 구조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core bracket 21 is in the form of a bent bar having a "c"-shaped cross section, and a core mounting groove 14 formed of a linear inlet portion and a circular inner portion in the horizontal member below the "c"-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and at this time, the end of the core 18 can be supported by fitting into the entrance and the inner part of the core mounting groove 14.

이러한 코어 브라켓(21)은 수평 자세를 취하면서 측면을 이용하여 양쪽 벽체(15)의 각 안쪽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코어(18)의 양쪽 단부를 잡아줄 수 있게 된다. The core bracket 21 is installed in a structure fixed by welding to each inner surface of both walls 15 using the side surface while taking a horizontal posture, so that both ends of the core 18 can be held.

이와 더불어, 상기 코어(18)는 수직자세를 취하는 동시에 서로 마주 대하면서 나란하게 2열을 이루는 2개가 한쌍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한쌍을 이루는 2개의 코어(18)의 조합이 씰 캡(14)을 안쪽으로 수용하면서 1열을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the cores 18 form a pair of two cores 18 that form two rows side by side while facing each other while taking a vertical posture, and the combination of the two cores 18 forming a pair in this way forms a seal cap 14 By accepting them inward, they form a row.

즉, 한쌍을 이루는 2개의 코어(18)가 조합되면서 조성하는 원형의 각 요부(19) 내에 씰 캡(14)이 1개씩 삽입 배치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one seal cap 14 can be inserted and disposed into each circular concave portion 19 formed by combining two cores 18 forming a pair.

이에 따라, 상기 코어(19)는 벽체(15) 상의 코어 브라켓(21)에 양단이 끼워져 결속되는 동시에 접착제(16)에 의해 고정되면서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단부와 하단부를 통해 상판(10)측 및 하판(17)측과 밀착되므로서, 상판(10)과 하판(17)은 코어(19)에 의해 지지되면서 서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결국 기자재 등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벽체(15)에 의해 받쳐지는 가장자리 영역은 물론 코어(19)에 의해 받쳐지는 중앙 영역 모두 처짐이나 변형없이 정확한 평면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core 19 are inserted and bound to the core bracket 21 on the wall 15, and at the same time fixed by the adhesive 16,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olid installation state, and in this state,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Through this,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17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17 can maintain a distance from each othe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core 19. Even when it is lost, both the edge area supported by the wall 15 and the central area supported by the core 19 can maintain an accurate plan view without deflection or deformation.

다음, 제7단계로서, 코어(18), 씰 캡(14) 등이 들어 있는 테이블 내부 공간을 마감하는 하판(17)을 설치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Next, as the seventh step, a step of installing the lower plate 17 that closes the inner space of the table containing the core 18 and the seal cap 14 is performed.

상기 하판(17)은 상판(10)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 형태로서, 벽체(15)의 하단부에 테크 용접 등으로 설치되어 상판(10)과 하판(17), 그리고 벽체(15)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테이블 내부 공간을 마감할 수 있게 된다. The lower plate 17 is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pper plate 10,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15 by tech welding, so that the upper plate 10, the lower plate 17, and the wall 15 It is possible to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table surrounded by

이와 같이, 상기 제1단계 내지 제7단계를 모두 완료하면, 상판(10)과 하판(17),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벽체(15), 내측에서 상하판(10,17)을 지지하는 코어(18) 및 탭(13)의 나사산 부분을 보호하는 씰 캡(14)을 포함하는 옵티컬 테이블이 완성된다.In this way, when all of the first to seventh steps are completed,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17, the wall 15 surrounding the edges, and the core 18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17 from the inside ) and the seal cap 14 protecting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ab 13 is completed.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9 to 11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10)을 로딩할 수 있는 수단으로 베이스 프레임(25)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9 to 11 ,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table for the laboratory includes a base frame 25 as a means for loading the upper plate 10 of the optical table.

상기 베이스 프레임(25)은 사각의 빔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져 공장 등의 바닥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25)의 상면에는 상판(10)이 놓여지는 베드(24)가 설치된다. The base frame 25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beam structure and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factory, etc., and a bed 24 on which the top plate 10 is place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25 installed in this way.

여기서, 상기 베드(24)에는 다수의 툴 관통홀(22)이 형성되며, 이때의 툴 관통홀(22)은 상판(10)에 형성되어 있는 홀(11)의 갯수 및 위치에 상응하는 갯수와 위치에 형성되면서 오와 열을 맞춘 격자형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Here, a plurality of tool through-holes 22 are formed in the bed 24, and the number of tool through-holes 22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holes 11 formed in the upper plate 10 and As it is formed at the loca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lattice-type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five and five rows are aligned.

이에 따라, 상기 상판(10)에 홀(11)을 가공하고 아래로 내려온 툴(33), 즉 상판(10)의 두께를 뚫고 아래로 내려온 툴(33)은 툴 관통홀(22)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tool 33 that descends after the hole 11 is machined in the upper plate 10, that is, the tool 33 that penetrates the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10 and descends downward is accommodated in the tool through-hole 22. be able to

이때, 상기 홀(11)은 약 5.3mm 정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툴 관통홀(22)은 약 6∼7mm 정도의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ole 11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5.3 mm, and the tool through hole 22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6 to 7 mm.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5)에는 베드(24)의 가장자리 위치에 다수 개의 클램프장치(23)가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클램프장치(23)는 베드(24) 상에 로딩되는 상판(10)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lamp devices 23 ar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bed 24 on the base frame 25, and the clamp devices 23 installed in this way hold the top plate 10 loaded on the bed 24 It serves as a fixation.

여기서, 상기 클램프장치(23)는 사각판과 볼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각판의 끝 부분으로 상판(10)의 가장자리 상면을 눌러준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사각판을 베드(24) 상에 고정시키면 상판(10)은 사각판의 누르는 힘에 의해 베드(24)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clamp device 23 may be made of a combination of a square plate and a bolt, and the square plate is placed on the bed 24 by fastening the bolt while pressing the upper edge of the top plate 10 with the end of the square plate. When fixed to the top plate 10 can be firmly fixed on the bed 24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square plate.

특히, 상기 베드(24)는 플레이너 가공 등에 의한 평면 가공 및 연마 가공 처리가 되어 있어서 평판도가 확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베드(24) 상에 상판(10)을 올려놓고 고정시키게 되면 베드(24)와 상판(10) 간의 밀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되고, 결국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 용도로 사용되는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은 상판(10)의 경우에도 충분한 밀착도 확보에 따라 드릴 가공방식으로 홀은 물론 카운터 싱크, 탭 가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레이저 가공방식 대비 가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적으로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In particular, the bed 24 is flat and polished by planer processing, etc., so that flatness can be secured, and when the top plate 10 is placed and fixed on the bed 24, the bed 24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10 as much as possible, and eventually, even in the case of the upper plate 10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large area used for the purpose of the upper plate of an optical table, sufficient adhesion is secured, thereby drilling the hole as well as the counter Since sink and tap processing are possible, not only can the efficiency of processing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laser processing method, but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erms of cost.

또한,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툴(33)을 포함하는 헤드부(34) 전체를 X축 방향(예컨대, 장치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주는 수단으로 포스트 프레임(28)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laboratory optical tabl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post frame 28 as a means for moving the entire head part 34 including the tool 33 in the X-axis direction (eg,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apparatus). .

상기 포스트 프레임(28)은 베이스 프레임(25)의 폭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하부 구조물과 이때의 하부 구조물에서 상부로 세워지는 상부 구조물의 조합형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포스트 프레임(28)의 상단부 전면에는 헤드 프레임(31)이 설치된다.The post frame 28 is composed of a combined structure of a lower structure disposed across the width of the base frame 25 and an upper structure erected upward from the lower structure at this time, and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post frame 28 The head frame 31 is installed.

이와 같은 포스트 프레임(28)은 베이스 프레임(25)의 폭 양편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6) 및 X축 LM장치(27)에 지지됨과 더불어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6)의 동력과 X축 LM장치(27)의 안내를 받으면서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Such a post frame 28 is supported by a pair of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s 26 and an X-axis LM device 27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base frame 25, and the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 26) and guided by the X-axis LM device 27, it can move along the X-axis direction.

이를 위하여, 상기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6)는 베이스 프레임(25)의 한쪽 측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6a)와, 상기 모터(26a)의 축에 연결됨과 더불어 베이스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2곳의 베어링장치(26a)에 의해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스크류 샤프트(26c)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26c)에 스크류 결합되는 동시에 포스트 프레임(28)측, 예를 들면 포스트 프레임(28)의 하부 구조물에 연결되는 스크류 슬라이더(26d)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6 is connected to a motor 26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25 to provide power and a shaft of the motor 26a, and the base frame 25 A screw shaft 26c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supported by two bearing devices 26a while being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 and a post frame 28 screwed to the screw shaft 26c at the same time It consists of a screw slider (26d) connected to the lower structure of the side, for example, the post frame (28).

이에 따라, 상기 모터(26a)의 작동 시 스크류 샤프트(26c)와 스크류 슬라이더(26d) 간의 스크류 전동에 의해 포스트 프레임(28)은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motor 26a operates, the post frame 28 can reciprocate along the X-axis direction by screw transmission between the screw shaft 26c and the screw slider 26d.

여기서, 상기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6)는 베이스 프레임(25)의 전후 폭 양편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6 can be formed as a pai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base frame 25,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X축 LM장치(27)는 베이스 프레임(25) 상에 설치되는 LM 레일(27a)과, 포스트 프레임(28) 상에 결합되는 LM 슬라이더(27b)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And, the X-axis LM device 27 is made of a combination type of an LM rail 27a installed on the base frame 25 and an LM slider 27b coupled to the post frame 28.

이러한 X축 LM장치(27)는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6)의 바로 윗쪽에서 베이스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면서 포스트 프레임(28)의 X축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The X-axis LM device 27 is install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25 right above the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6, and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post frame 28 in the X-axis direction. there will be

여기서, 상기 X축 LM장치(27)도 베이스 프레임(25)의 전후 폭 양편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Here, the X-axis LM device 27 can also be made of a pai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base frame 25, respectively.

또한,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툴(33)을 포함하는 헤드부(34) 전체를 Y축 방향(예컨대, 장치의 전후 폭 방향)으로 움직여주는 수단으로 헤드 프레임(31)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laboratory optical tabl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es a head frame 31 as a means for moving the entire head part 34 including the tool 33 in the Y-axis direction (eg, the front and rear width direction of the apparatus). .

상기 헤드 프레임(31)은 베이스 프레임(25)의 전후 폭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 및 Y축 LM장치(30), 즉 포스트 프레임(28)의 상단부 전면에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 및 Y축 LM장치(30)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head frame 31 includes a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9 and a Y-axis LM device 30 disposed across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ase frame 25, that is, the Y-axis Y-axis LM device 30 in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post frame 28.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9 and the Y-axis LM device 30 disposed along the axial direction.

즉, 상기 헤드 프레임(31)은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 및 Y축 LM장치(30)에 연결되는 수직부재(31a)와, 상기 수직부재(31b)의 전면에 연결되는 수평부재 상판(31b)과, 상기 수평부재 상판(31b)의 저부에 4개의 봉에 의해 연결되는 수평부재 하판(31c)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이러한 헤드 프레임(31)은 포스트 프레임(28)의 전면에 설치되는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 및 Y축 LM장치(30)에 지지됨과 더불어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의 동력과 Y축 LM장치(30)의 안내를 받으면서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head frame 31 includes a vertical member 31a connected to the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9 and the Y-axis LM device 30, and a horizontal member top plat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31b (31b) and the horizontal member lower plate (31c)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member upper plate (31b) by four rods, while being mad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such a head frame (31) of the post frame (28) In addition to being supported by the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9 and the Y-axis LM device 30 installed on the front, the Y-axis You can move in any direction.

이를 위하여, 상기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는 포스트 프레임(28)의 한쪽 측면부에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9a)와, 상기 모터(29a)의 축에 연결됨과 더불어 포스프 프레임(2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2곳의 베어링장치(미도시)에 의해 양단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스크류 샤프트(29c)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29c)에 스크류 결합되는 동시에 헤드 프레임(31)측, 예를 들면 헤드 프레임(31)의 수직부재(31b)에 연결되는 스크류 슬라이더(29d)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9 is connected to a motor 29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ost frame 28 to provide power and a shaft of the motor 29a, as well as a post frame ( 28), a screw shaft 29c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supported by two bearing devices (not shown) while being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w shaft 29c, and a head frame ( 31) side, for example, a screw slider 29d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31b of the head frame 31.

이에 따라, 상기 모터(29a)의 작동 시 스크류 샤프트(29c)와 스크류 슬라이더(29d) 간의 스크류 전동에 의해 헤드 프레임(31)은 Y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motor 29a operates, the head frame 31 can reciprocate along the Y-axis direction by screw transmission between the screw shaft 29c and the screw slider 29d.

그리고, 상기 Y축 LM장치(30)는 포스트 프레임(28) 상에 설치되는 LM 레일(30a)과, 헤드 프레임(31) 상에 결합되는 LM 슬라이더(30b)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And, the Y-axis LM device 30 is made of a combination type of an LM rail 30a installed on the post frame 28 and an LM slider 30b coupled to the head frame 31.

이러한 Y축 LM장치(30)는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의 위아래에서 포스트 프레임(2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헤드 프레임(31)의 Y축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The Y-axis LM device 30 consists of a pair install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frame 28 above and below the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9,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head frame 31 in the Y-axis direction You can do it.

또한,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헤드부(34)의 툴(33)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툴 구동장치(32)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laboratory optical table includes a tool driving device 32 as a means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tool 33 of the head part 34 .

상기 툴 구동장치(32)는 모터의 동력과 벨트의 전동, 그리고 샤프트 조합(예컨대 스플라인 결합 구조를 갖는 샤프트 조합) 등을 이용하여 툴(33)을 회전시켜주게 된다. The tool driving device 32 rotates the tool 33 by using power of a motor, transmission of a belt, and a combination of shafts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shafts having a spline coupling structure).

이러한 툴 구동장치(32)는 헤드 프레임(31)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This tool driving device 32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head frame 31 .

예를 들면, 상기 툴 구동장치(32)는 헤드부(34)와 일체식 구조를 이루면서 헤드 프레임(31)측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tool driving device 32 can b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on the head frame 31 side while forming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head part 34 .

또한,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실질적으로 상판(10)에 홀(11)을 가공하는 수단으로 헤드부(34)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substantially includes a head part 34 as a means for processing a hole 11 in the upper plate 10 .

상기 헤드부(34)는 헤드 프레임(31)의 하단부에 설치되면서 Z축 방향(예컨대, 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툴(33)을 이용하여 상판(10)에 홀(11)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The head part 34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ead frame 31 and moves along the Z-axis direction (eg, up and down height direction) to process a hole 11 in the upper plate 10 using a tool 33. be able to

예를 들면, 상기 헤드부(34)는 헤드 프레임(31)측에 설치되는 툴 구동장치(32)와 일체식 구조를 이루면서 이때의 툴 구동장치(32)의 수직 몸체 부분의 저면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헤드부(34)는 툴 구동장치(32)의 수직 몸체 부분의 저면부로부터 인출 또는 수직 몸체 부분의 저면부로 수납되면서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head portion 34 forms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tool driving device 32 installed on the head frame 31 side, a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vertical body portion of the tool driving device 32 at this time. structure, the head portion 34 installed in this way can be drawn out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vertical body portion of the tool driving device 32 or descended or rais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vertical body portion.

여기서, 상기 헤드부(34)의 상승 및 하강 작동 방식과 툴 구동장치(32)측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방식은 공지의 스기노 셀피다(SUGINO SELFEEDER)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since the operation method of raising and lowering the head unit 34 and the method of receiving power from the tool driving device 3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known SUGINO SELFEED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헤드부(34)는 기어조합(미도시)과 스플라인(미도시)을 내장하는 다축 헤드로 이루어져 다수 개의 툴(33), 예를 들면 드릴, 탭 등과 같은 다수 개의 툴(33)을 포함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head part 34 is composed of a multi-axis head incorporating a gear combination (not shown) and a spline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tools 33 such as drills and taps are used. can include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34)의 다축 헤드에 장착되는 여러 개의 툴(33) 중에서 적어도 1개는 일체형의 드릴부(33a)와 카운터 싱크부(33b)로 구성되는 드릴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적어도 1개는 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헤드부(34)는 홀 및 카운터 싱크 가공 후에 연이어 탭 가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ools 33 mounted on the multi-axis head of the head part 34 is made of a drill composed of an integral drill part 33a and a counter sink part 33b, and at least one is made of taps, so that the head portion 34 can continuously perform tap processing after hole and countersink processing.

특히, 상기 툴(33)은 서로 간에 상대적으로 직경차이를 갖는 소직경부와 대직경부의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tool 33 can be formed in a stepped form with a small diameter part and a large diameter part having a relatively different diameter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소직경부는 드릴부(33a)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대직경부와 소직경부 간의 경계부위는 테이퍼 모양의 카운터 싱크부(33b)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드릴부(33a)에 의한 홀 가공 후에 연이어 카운터 싱크부(33b)에 의한 카운터 싱크 가공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Here, the small diameter part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s made of the drill part 33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large diameter part and the small diameter part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s made of a tapered counter sink part 33b. After hole processing by the drill unit 33a, counter sink processing by the counter sink unit 33b can be performed successively.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부(34)는 홀, 카운터 싱크, 탭 가공 시에 상판(10)이 툴 가공 시의 진동 등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수단으로 4개의 실린더장치(36)를 포함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head part 34 includes four cylinder devices 36 as a means for holding the upper plate 10 so that it does not move due to vibration during tool processing during hole, countersink, and tap processing. .

상기 실린더장치(36)는 헤드부(34)의 주변에서 사각 배치구조를 이루면서 헤드 프레임(31)의 수평부재 하판(31c)에 설치되고, 헤드부(34)의 Z축 방향 이동과 연계되어 Z축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로드의 끝에 장착되어 있는 패드(35)를 이용하여 홀 가공부위 주변의 상판 상면을 눌러주게 되므로서, 툴(33)에 의한 가공 시에 상판(10)이 패드(35)에 의해 고정되면서 안정적인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cylinder device 36 is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31c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head frame 31 while forming a square arrangement structure around the head part 34, and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head part 34 in the Z-axis direction to Z As it moves up and down in the axial direction, the pad 35 attached to the end of the rod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around the hole processing part, so that the top plate 10 is attached to the pad 35 during processing by the tool 33. As it is fixed by, stable processing can be perform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에서 툴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tool i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툴(33)을 이용하여 실험실에서 각종 실험에 사용되는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10), 예를 들면 약 2∼8mm의 두께를 가지면서 최대 3,500mm×1,500mm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상판(10)에 홀과 카운터 싱크 및/또는 탭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table for the laboratory uses a tool 33 movable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to form an upper plate 10 of the optical table used in various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for example, about 2 to It is possible to process holes, countersinks and/or taps on the upper plate 10 having a thickness of 8 mm and an area of up to 3,500 mm × 1,500 mm.

이를 위하여, 상기 베드 프레임(25)의 베드(24) 상에 상판(10)이 로딩되어 고정된다. To this end, the top plate 10 is loaded and fixed on the bed 24 of the bed frame 25 .

계속해서,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6) 및 X축 LM장치(27),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 및 Y축 LM장치(30)의 동력과 안내를 통해 헤드부(34)의 툴(33)이 상판(10) 상의 해당 가공부위에 위치된다. Subsequently, through the power and guidance of the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6, the X-axis LM device 27, the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9, and the Y-axis LM device 30, the head unit 34 The tool 33 is positioned on the corresponding processing part on the upper plate 10 .

계속해서, 툴 구동장치(32)의 작동에 의해 툴(33)이 회전함과 동시에 헤드부(34) 및 툴(33)이 하강하고, 이와 함께 실린더장치(36)의 패드(35)가 하강하여 상판(10)을 눌러준 상태에서 툴(33)에 의해 상판(10)에 홀(11)과 카운터 싱크(12)가 순차적으로 가공된다. Subsequently, the tool 33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ool driving device 32, the head 34 and the tool 33 descend, and the pad 35 of the cylinder device 36 descends at the same time. The hole 11 and the counter sink 12 are sequentially machined in the top plate 10 by the tool 33 while the top plate 10 is pressed.

이때의 홀(11)과 카운터 싱크(12)의 가공은 4개의 툴(33)에 의해 4곳에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machining of the hole 11 and the counter sink 12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four places by four tools 33.

그리고, 툴(33)의 전환작동을 통한 탭을 이용하여 각각의 홀 가공부위에 대한 탭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n, tap processing for each hole processing por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tap through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tool 33 .

이렇게 툴(33)의 위치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툴(33)을 통해 가공을 진행하면 상판(1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설정 갯수의 홀과 카운터 싱크, 그리고 탭을 가공할 수 있게 되므로서, 두께가 얇고 면적이 넓어서 레이저 가공에만 의존했던 상판에 대한 홀, 카운터 싱크 및 탭 가공을 드릴 가공 방식으로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when machi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tool 33 while moving the position of the tool 33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the set number of holes, countersinks, and taps are process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plate 1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hole, countersink and tap processing for the upper plate, which has been dependent only on laser processing due to its thin thickness and wide area, even by the drilling metho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축 드릴 머신을 이용하여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에 홀, 카운터 싱크 및 탭을 함께 병행하여 가공하는 새로운 옵티컬 테이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옵티컬 테이블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w optical tab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rocessing holes, countersinks and taps together in parallel on the upper plate of the optical table using a multi-axis drill machine moving in the X-, Y-, and Z-axis direction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optical table and to secure the excellent quality of the optical table.

10 : 상판 11 : 홀
12 : 카운터 싱크 13 : 탭
14 : 씰 캡 15 : 벽체
16 : 접착제 17 : 하판
18 : 코어 19 : 요부
20 : 코어 장착홈 21 : 코어 브라켓
22 : 툴 관통홀 23 : 클램프장치
24 : 베드 25 : 베이스 프레임
26 :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 27 : X축 LM장치
28 : 포스트 프레임 29 :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
30 : Y축 LM장치 31 : 헤드 프레임
32 : 툴 구동장치 33 : 툴
34 : 헤드부 35 : 패드
36 : 실린더장치
10: top plate 11: hole
12: counter sink 13: tap
14: seal cap 15: wall
16: adhesive 17: lower plate
18: core 19: lower back
20: core mounting groove 21: core bracket
22: tool through hole 23: clamp device
24: bed 25: base frame
26: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7: X-axis LM device
28: post frame 29: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30: Y-axis LM device 31: Head frame
32: tool driving device 33: tool
34: head part 35: pad
36: cylinder device

Claims (8)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2∼8mm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 형태의 상판(10)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상판(10)에 드릴 가공을 통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홀(11)과 각 홀(11)에 하나씩 배속되는 카운터 싱크(12)를 가공함과 더불어 탭 가공을 통해 홀(11)의 내주면에 탭(13)을 가공하는 제2단계;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각 홀(11)의 위치마다 씰 캡(14)을 하나씩 부착하는 제3단계;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상판 가장자리를 따라가면서 벽체(15)를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벽체(15)의 내측으로 접착제(16)를 도포하는 제5단계;
상기 벽체(14)의 내측 영역에 상판(10)의 저면과 하판(17)의 상면 사이에 밀착 지지되면서 상하판(10,17) 간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다수 개의 코어(18)를 설치하는 제6단계;
상기 벽체(15)의 하단부에 하판(17)을 설치하여 상판(10)과 하판(17), 그리고 벽체(15)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테이블 내부 공간을 마감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preparing a rectangular top plate 10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ving a thickness of 2 to 8 mm;
In addition to processing a plurality of holes 11 arranged in a lattice shape through drilling on the upper plate 10 and counter sinks 12 assigned to each hole 11 one by one, the number of holes 11 through tap processing A second step of processing the tab 13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third step of attaching one seal cap 14 to each hole 1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
A fourth step of installing a wall 15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 along the edge of the top plate;
A fifth step of applying the adhesive 16 to the inside of the wall 15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0;
In the inner region of the wall 14, a plurality of cores 18 are installed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17 while being closely suppor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7. Step 6;
A seventh step of closing the inner space of the table surrounded by the upper plate 10, the lower plate 17, and the wall 15 by installing the lower plate 17 at the lower end of the wall 15;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홀(11)과 카운터 싱크(12)의 가공 시 하강 작동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홀(11)을 선(先) 가공한 후에 계속해서 하강 작동하는 드릴을 이용하여 카운터 싱크(12)를 후(後) 가동하는 방식으로 홀(11)과 카운터 싱크(12)를 한 공정에서 동시에 가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cond step, the hole 11 is pre-processed using a drill that operates downward during processing of the hole 11 and the countersink 12, and then the countersink 12 is continuously operated using a drill that operates downward. )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of simultaneously processing the hole 11 and the counter sink 12 in one process in a manner of operating the post (af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는 파형의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코어(18)를 사용하고, 상기 코어(18)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통해 상판(10)의 저면과 하판(17)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세워지는 구조로 배치되는 동시에 테이블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코어(18)는 마주 대하면서 나란하게 2열을 이루는 2개가 한쌍을 이루는 동시에 함께 원형을 이루는 각 코어(18)의 요부(19) 내에 씰 캡(14)을 수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ixth step, a core 18 made of a wave-like band is used, and the core 1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re 18 adher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7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s. At the same time,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ble, and the cores 18 face each other and form a pair of two columns side by side while forming a circular shape. 19)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 cap 14 is accommodated therei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는 벽체(15) 상에 설치되면서 코어 장착홈(20)을 통해 한쌍의 코어(18)의 단부를 결속시켜주는 코어 브라켓(21)을 이용하여 코어(18)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3,
In the sixth step, the core 18 is held using the core bracket 21, which is installed on the wall 15 and binds the ends of the pair of cores 18 through the core mounting groove 20.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옵티컬 테이블의 상판(10)이 로딩되는 곳으로서 상판(10)에 형성되어 있는 홀(11)의 갯수 및 위치에 상응하는 툴 관통홀(22)을 가지는 동시에 상판(10)의 고정을 위한 클램프장치(23)를 가지는 베드(24)를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25);
상기 베이스 프레임(25)의 폭 양편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X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6) 및 X축 LM장치(27)에 의해 X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포스트 프레임(28);
상기 포스트 프레임(28)의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Y축 볼스크류 구동장치(29) 및 Y축 LM장치(30)에 의해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헤드 프레임(31);
상기 헤드 프레임(3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툴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툴 구동장치(32);
상기 헤드 프레임(3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툴(33)을 이용하여 상판(10)에 홀(11)을 가공하는 헤드부(34);
를 포함하며,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툴을 이용하여 실험실에서 각종 실험에 사용되는 옵티컬 테이블의 2∼8mm의 두께를 가지는 상판에 홀, 카운터 싱크, 탭을 가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
A clamp device for fixing the top plate 10 while having tool through-holes 22 corresponding to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holes 11 formed in the top plate 10 as a place where the top plate 10 of the optical table is loaded. a base frame (25) comprising a bed (24) having (23);
a post frame 28 movable along the X-axis direction by a pair of X-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s 26 and an X-axis LM device 27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idth of the base frame 25;
a head frame 31 that moves along the Y-axis direction by the Y-axis ball screw driving device 29 and the Y-axis LM device 3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pper end of the post frame 28;
a tool driving device 32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head frame 31 to provide power for tool rotation;
a head part 34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head frame 31 and processing a hole 11 in the upper plate 10 using a tool 33 while moving along the Z-axis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cess holes, countersinks, and taps on the top plate having a thickness of 2 to 8 mm of the optical table used in various experiments in the laboratory using a tool that can move in the X, Y, and Z directions.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툴(33)은 소직경부와 대직경부의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진 툴로서, 소직경부는 드릴부(33a)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소직경부와 대직경부 간의 경계부위는 테이퍼 모양의 카운터 싱크부(33b)로 이루어져 홀 가공 후에 연이어 카운터 싱크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tool 33 is a tool made up of a stepped shape of a small diameter part and a large diameter part, and the small diameter part is made of a drill part 33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mall diameter part and the large diameter part is a tapered counter sink part 33b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erform countersink processing after hole process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프레임(31) 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헤드부(34)의 Z축 방향 이동과 연계되어 Z축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로드측의 패드(35)를 이용하여 홀 가공부위 주변의 상판 상면을 눌러주는 4개의 실린더장치(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It is installed on the head frame 31 and at the same time is moved up and down in the Z-axis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head part 34 in the Z-axis direction, using the pad 35 on the rod side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round the hole processing part Manufacturing apparatus of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our cylinder device (3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34)는 기어조합과 스플라인을 내장하는 다축 헤드로 이루어져 다수 개의 툴(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축 헤드에 장착되는 여러 개의 툴(33) 중에서 적어도 1개는 탭으로 이루어져 홀 및 카운터 싱크 가공 후에 연이어 탭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실용 옵티컬 테이블의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d part 34 may include a plurality of tools 33 composed of a multi-axis head incorporating gear combinations and spline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ools 33 mounted on the multi-axis head is composed of a tap and a hole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n optical table for a laborato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pable of continuously performing tap machining after counter sinking.
KR1020210140781A 2021-10-21 2021-10-21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 KR102644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781A KR102644535B1 (en) 2021-10-21 2021-10-21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781A KR102644535B1 (en) 2021-10-21 2021-10-21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40A true KR20230056940A (en) 2023-04-28
KR102644535B1 KR102644535B1 (en) 2024-03-07

Family

ID=8614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781A KR102644535B1 (en) 2021-10-21 2021-10-21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53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124A (en) * 1991-09-20 1993-03-30 Amada Co Ltd Shape steel machining machine
KR950013504U (en) * 1993-11-09 1995-06-15 Cutting tool
KR200145688Y1 (en) 1996-12-31 1999-06-15 조익상 Table for experiment
KR200293661Y1 (en) 2002-07-29 2002-10-31 주식회사 한미티엘에스 Forming frame of table face for laboratory
KR200432941Y1 (en) * 2006-09-14 2006-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drilling window frame
KR20100112907A (en)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제이오텍 Flask holder
KR20110087471A (en) 2010-01-26 2011-08-03 삼인싸이언스(주) The plate of experiment using aluminum panel
KR101510792B1 (en) * 2014-04-07 2015-04-10 (주)에스엠텍 Optical table boar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124A (en) * 1991-09-20 1993-03-30 Amada Co Ltd Shape steel machining machine
KR950013504U (en) * 1993-11-09 1995-06-15 Cutting tool
KR200145688Y1 (en) 1996-12-31 1999-06-15 조익상 Table for experiment
KR200293661Y1 (en) 2002-07-29 2002-10-31 주식회사 한미티엘에스 Forming frame of table face for laboratory
KR200432941Y1 (en) * 2006-09-14 2006-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Apparatus for drilling window frame
KR20100112907A (en)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제이오텍 Flask holder
KR20110087471A (en) 2010-01-26 2011-08-03 삼인싸이언스(주) The plate of experiment using aluminum panel
KR101510792B1 (en) * 2014-04-07 2015-04-10 (주)에스엠텍 Optical table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535B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449B1 (en) Thin plate drilling and milling machine
KR100712025B1 (en) Gantry type xy stage
JP2006305705A (en) Machining jig
JPH02504370A (en) flat plate processing machine
US20080284116A1 (en) Apparatus for chucking workpieces on a machining center
KR20230056940A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tical table for lab
CN112621068A (en) Positioning frame for welding laboratory cabinet body
KR101612950B1 (en) Level foot unit for access floor panel and equipment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11317988U (en) Clamp for small sample shearing test
KR101181739B1 (en) Scribe device
CN210731095U (en) Workpiece end face drilling tool
JP2015219007A (en) Positioner and processor
JPS61111870A (en) Device for holding object
KR100600149B1 (en) Direct-acting electrode position controller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US8499466B2 (en) Ruler for tool
CN207548588U (en) Elastic steel ball tensioning locating device
JP2011235421A (en) Positioning jig
CN219005759U (en) Pneumatic clamp
CN219901882U (en) Sample positioning device for vertical clamp of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CN105436784A (en) Welding tool for lift car roof wheel assembly
KR101480805B1 (en) water protecter structure of multi-axis processing machine
CN218363429U (en) A kind of tool
CN214815064U (en) Boring and drilling integrated machine for machining main end beam of crane
KR101971916B1 (en) Position marking mechanism for side machining
CN211539967U (en) Crossbeam and linear motor work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