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6477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6477A
KR20230056477A KR1020210140529A KR20210140529A KR20230056477A KR 20230056477 A KR20230056477 A KR 20230056477A KR 1020210140529 A KR1020210140529 A KR 1020210140529A KR 20210140529 A KR20210140529 A KR 20210140529A KR 20230056477 A KR20230056477 A KR 20230056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washing machine
coupled
suppo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영
성종훈
권백규
김민형
나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6477A/ko
Publication of KR2023005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치 수용부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래치를 상기 도어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서포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개시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잠금장치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발명이다.
세탁기는 의류, 수건, 침구류 등을 세탁하는 가전제품이다. 세탁기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세탁기와, 드럼이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전동식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하우징 내부로 연통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도어는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특히 드럼 세탁기의 경우, 투입구와 도어는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므로, 하우징 내측에 세탁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될 경우, 세탁수가 투입구를 통해 외부에 쏟아질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세탁기에는 하우징 내부에 세탁수가 담긴 상태에서는 투입구가 도어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잠금장치는 도어 측에 위치하는 래치와, 하우징에 위치하고 이를 감지하는 래치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래치 수용부에 삽입되어,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게 해준다. 도어의 조립이나 하우징의 조립시에는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차에 의하여 래치가 래치 수용부에 삽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치는 약간의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도어에 결합된다.
다만,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치 수용부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래치를 상기 도어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 수용부에 결합되는 동안,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도어 커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래치 서포터의 일 부분은 상기 래치에 의해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래치가 결합되는 일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제1 슬롯, 상기 제2 슬롯 및 상기 제3 슬롯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랩은 상기 래치를 대칭적으로 가압하도록, 래치를 기준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랩은,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장착된 때, 상기 래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래치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래치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변형부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락킹돌기의 상하 대칭면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락킹돌기의 좌우대칭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장착된 때,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래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래치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플랩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일 부분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서 돌출되며 연장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강도를 강화하도록 상기 래치를 향해 돌출되는 강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개구가 형성되며,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상기 커버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서포터는 스펀지, 스프링,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커버 바디에 결합되는 동안,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치 수용부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를 포함하고,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래치가 결합되는 일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 상기 복수의 슬롯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장착된 때, 상기 래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래치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래치를 상기 도어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여, 상기 래치의 움직임이 감소하도록 하는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랩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래치 서포터가 유동할 수 있는 래치를 탄성지지하도록 하여 소음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탁기의 래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세탁기의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세탁기의 도어를 AA'단면을 따라 자른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세탁기의 도어를 BB'단면을 따라 자른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4의 세탁기에서 래치를 제거하고 래치 서포터를 AA'단면을 따라 자른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세탁기의 래치 서포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세탁기의 래치 서포터가 가질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세탁기의 래치 서포터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세탁기의 래치 서포터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부", "하부", "전방" 및 "후방"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에게 세탁기(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의 전면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면 상부에는 세탁을 위한 세제를 넣을 수 있는 세제함(120)이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20)에 수용된 세제는 급수를 공급받아 급수와 함께 하우징(100) 내부의 터브(102, 도2)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1)의 도어(20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내부의 세척공간인 터브(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방되어 투입구(10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입구(101)를 통하여 터브(102)안으로 세척물을 넣을 수 있다.
도어(200)는 투입구(10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입구(101)를 통해 세척물을 터브(102)에 넣고, 도어(200)를 닫고 세탁기(1)를 구동할 수 있다.
특히 도어(200)가 전방에 위치하는 드럼 세탁기(1)에서는 세탁 과정에서 도어(200)가 열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터브(102)에는 세탁수가 채워져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도어(200)가 열리게 되면, 세탁수가 외부로 쏟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가 닫힌 경우에는 도어(200)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잠금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잠금 장치로서 기능을 하기 위하여 도어(200)의 외관을 구성하는 도어 커버(300, 400)는 래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커버(300, 400)는 도어 전면 커버(300)와 도어 후면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500)는 이중 도어 후면 커버(4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래치(500)가 도어 전면 커버(300)에 결합된 경우도 아래의 사상을 포함하며, 도어 전면 커버(300)와 도어 후면 커버(400)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된 경우도 그와 같다.
래치(500)는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된 형상을 수용하여 잠금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우징(100)은 래치 수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수용부(110)는 래치(500)의 돌출된 형상이 삽입되기 위한 래치 수용부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0)가 닫히게 되면, 래치(500)의 돌출된 형상이 래치 수용부(110)의 래치 수용부 홀(111)로 삽입되고, 잠금 기능이 작동한다.
래치 수용부(110)가 래치(500)를 잠그기 때문에, 도어(200)가 닫히면, 세탁기(1)의 구동 중에는 도어(200)가 열리지 않게 된다.
도 3은 도 2의 세탁기(1)의 래치(500)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500)는 도어 후면 커버(400)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500)는 도어 후면 커버(400)에 결합부재(600)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600)만으로 래치(500)가 도어 후면 커버(400)에 결합될 수 있지만, 결합부재(600)와 와셔(610)를 사용하여 래치(500)를 도어 후면 커버(4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와셔(610)가 결합부재(600)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래치(500)를 도어 후면 커버(400)에 결합시킬 때, 도어 후면 커버(400)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600)가 래치(500)와 도어 후면 커버(400)를 체결하는 것이 느슨해진다고 하여도, 그 래치(500)와 도어 후면 커버(400)가 분리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래치(500)는 도어 후면 커버(400)에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락킹돌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500)는 락킹돌기(510)를 지지하고, 도어 후면 커버(4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판의 형상을 가진 락킹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500)는 락킹 플레이트(520)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락킹돌기(510)를 포함할 수 있다.
락킹돌기(510)는 락킹 플레이트(520)로부터 돌출되는 제1 락킹돌기(511)와 제1 락킹돌기(511)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락킹돌기(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락킹돌기(512)의 폭은 제1 락킹돌기(511)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래치 수용부(110, 도 2)의 래치 수용부 홀(111, 도 2)에 락킹돌기(510)의 끝단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제2 락킹돌기(512)는 래치 수용부 홀(111, 도 2)의 면적 보다 좁아야 한다. 이 때, 제1 락킹돌기(511)를 제2 락킹돌기(512)보다 두껍게 함으로써, 락킹돌기(510)가 래치 수용부 홀(111, 도 2)에 삽입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락킹돌기(510)는 래치 수용부 홀(111, 도 2)에 삽입된 후 고정시킬 수 있는 공간인 락킹홀(513)을 포함할 수 있다. 락킹홀(513)은 락킹돌기(51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락킹돌기(510)의 단부에는 제2 락킹돌기(512)가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락킹홀(513)은 제2 락킹돌기(512)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세탁기(1)의 도어(200)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500)는 도어 후면 커버(400)에 마련되는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 서포터(410)는 도어 후면 커버(400)에 래치(50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래치 서포터(410)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면에 지지 플레이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440)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래치 서포터(410)는 리세스(4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세스(450)가 형성됨에 따라, 리세스(450)의 외면에는 리세스 외면(460)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450)는 래치(500)가 결합되는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치(500)가 결합되는 형상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래치(500)는 오목하게 마련되는 리세스(450)에 위치되기 때문에, 도어 후면 커버(400)에서 분리되는 것이 어렵게 될 수 있다.
래치(500)는 결합부재(60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52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522)은 1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결합홀(522)은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홀(522)은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홀(522)은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좌우방향 대칭축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래치(500)를 안정적으로 래치 서포터(41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게 하여 래치(500)가 래치 수용부 홀(111, 도2)을 정확하게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래치(500)는 결합홀(522)의 주변에 결합부재(600)가 결합하려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돌출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500)는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래치(500)에 결합부재(600)가 결합하게 되면, 그 형상이 뭉개질 수 있다. 그러나 래치(500)가 결합 돌출부(521)를 포함한다면 전체적인 형상의 변화가 더 적어질 수 있다.
결합 돌출부(521)는 결합홀(522)을 둘러싸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생산하는 것은 난이도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래치(500)의 결합홀(522)을 통하여 결합부재(6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600)는 래치 서포터(410)에 위치하는 결합돌기(310)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돌기(310)는 도어 전면 커버(300)에 포함될 수 있다. 래치(500)가 결합부재(600)에 의하여 결합되더라도, 도어 후면 커버(400)에 직접 결합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락킹돌기(510)의 고정에도 불구하고, 도어 후면 커버(400)는 움직일 수 있다.
결합돌기(310)는 래치(500)의 결합홀(522)을 관통하여 결합부재(600)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310)는 결합홀(5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합홀(522)은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돌기(310)도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600)가 결합되는 결합돌기(310)의 주변에 지지돌기(44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441)는 래치 서포터(410)에 포함될 수 있다. 지지돌기(441)는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될 때, 래치(500)와 접하여 래치(500)를 지지하여 줄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결합돌기(310)가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돌기(441)도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치(500)가 비틀림이 적게 지지될 수 있다. 지지돌기(441)에 관한 설명은 이하 도 5에 관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한다
래치(500)는 래치 서포터(410)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턱(523)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서포터(410)는 걸림턱(5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걸림홀(442, 도 8)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442, 도 8)에 래치 서포터(410)가 삽입되어, 래치(500)는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하려는 위치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다.
걸림턱(523)과 걸림홈은(442, 도 8) 각각 래치 서포터(410)의 단부와 래치(50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단부에 삽입하는 것은 난이도가 보다 쉽기 때문에,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되는 난이도가 쉬워질 수 있다.
래치 서포터(410)는 슬롯(42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420)은 지지 플레이트(4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슬롯(420)이 마련됨으로써 래치 서포터(410)는 슬롯(420)이 없는 경우보다 더 많이 움직일 수 있다.
슬롯(420)은 단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슬롯(4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슬롯(420)은 서로 만나 일정한 모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래치 서포터(410)는 슬롯(420)에 의해 둘러 쌓인 플랩(4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랩(430)은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하였을 때, 플램은 래치(500)의 일면과 접하여 탄성변형 될 수 있다. 플랩(430)은 탄성 변형되어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하려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래치(500)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래치(500)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 및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자세히 살핀다.
플랩(430)은 바디를 형성하는 변형부(431), 락킹돌기(5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432), 락킹돌기(5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다른 돌출부인 보강 리브(4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5 및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세탁기(1)의 도어(200)를 AA'단면을 따라 자른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500)는 래치 서포터(41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래치(500)의 결합홀(522)(522, 도 4)을 통하여 결합부재(600)가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재(600)는 도어 전면 커버(300)가 포함하는 지지돌기(441)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돌기(441)는 도어 후면 커버(40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도어 후면 커버(400)를 넘어 돌출될 수 있다. 래치(500)는 결합돌기(310)와 결합부재(600)의 결합에 의하여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된다.
래치 서포터(410)에는 지지돌기(441)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돌기(441)는 래치(500)와 결합돌기(310)가 결합되었을 때,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와 접하게 할 수 있다. 지지돌기(441)의 높이는 결합돌기(310)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310)와 래치(500)가 결합하더라도 지지돌기(441)에 의하여 완전히 결합되지 않으므로, 래치(500)와 결합돌기(310)는 유격을 두고 결합하게 된다. 유격을 가지고 결합하기 때문에, 래치(500)는 움직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산공정에 의하여 공차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래치(500)가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래치(500)는 정확하게 래치 수용부 홀(111, 도 2)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할 때, 래치 서포터(410)에 마련되는 플랩(430)은 도어 전방 커버를 향해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플랩(430)은 래치(500)와 접하여 래치(500)가 결합하려고 래치 서포터(410)를 향해 이동하는 만큼 도어 전면 커버(3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플랩(430)은 탄성을 가진 물체일 수 있기 때문에, 플랩(430)은 변화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플랩(430)은 래치(500)를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하려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플랩(430)은 래치(500)를 향하여 돌출되는 가압부(432)를 가질 수 있기에, 가압부(432)가 래치(500)와 접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래치(500)는 락킹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가압부(432)가 압력을 가하는 부분은 락킹 플레이트(520)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래치(500)가 래치 수용부(110)에 쉽게 결합되기 위한 움직임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도어(200)를 열었을 때는 래치(500)가 쉽게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도어(200)를 열었을 때도 래치(500)가 쉽게 움직인다면 소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는 소음 발생을 저감해주는 기능을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 서포터(410)가 도어 커버(300, 4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될 경우, 별도의 래치 서포터(410)을 포함하는 것 보다 생산 공정이 단축될 수 있다.
도어(200)를 열거나 닫을 때 마다 래치(500)는 움직이기 때문에, 이를 탄성 지지하는 플랩(430)은 많은 움직임을 갖게 된다. 따라서 플랩(430)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플랩(430)은 보강 리브(4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433)를 포함함으로써, 플랩(43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보강 리브(433)는 가압부(432)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가압부(432)만 래치(500)를 가압하고, 보강 리브(433)의 단부는 래치(500)를 가압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세탁기(1)의 도어(200)를 BB'단면을 따라 자른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500)는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이 되었을 때, 플랩(430)의 가압부(432)는 래치(500)와 접한다. 래치(500)가 플랩(430)의 가압부(432)를 밀면서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되기 때문에, 플랩(430)은 도어(200) 전면커버 방향으로 변형된다. 도 6에는 이러한 모습이 잘 도시되어 있다.
도 7는 도 4의 세탁기(1)에서 래치(500)를 제거하고 래치 서포터(410)를 AA'단면을 따라 자른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서 분리되면, 플랩(430)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도 8은 도 2의 세탁기(1)의 래치 서포터(41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서포터(410)에서 래치(500)를 분리할 수 있다.
래치 서포터(410)는 지지 플레이트(440), 슬롯(420) 및 플랩(4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40)는 평판의 형상일 수 있다.
슬롯(420)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420)을 제1 슬롯(421)이라고 할 수 있다. 슬롯(420)은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가지는 제2 슬롯(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롯(421)과 제2 슬롯(422)은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슬롯(42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2 슬롯(4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슬롯(420)은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슬롯(4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3 슬롯(423)은 제2 슬롯(422)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각도는 직각이 될 수 있다.
제3 방향은 제2 방향과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방향과 제3 방향이 같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랩(430)은 직사각형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슬롯(420)은 락킹돌기(510)가 결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에 위치할 수 있다. 상하에 위치한 슬롯은 락킹돌기(510)가 결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 대칭적일 수 있다. 또는 상하에 위치한 슬롯(420)이 상하대칭 기준면으로 삼는 면과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락킹돌기(510)가 좌우 대칭 기준면으로 삼는 면이 만나는 선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적인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슬롯(420)의 형상은 이에 제한 되지 않고,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형상이 90도 회전한 형상이나, 단일한 플랩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선 언급한 선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적인 형상을 가진 슬롯(420)으로 설명한다.
슬롯(420)의 사이에 마련되는 플랩(430)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랩(430)은 래치(500)가 래치 서포터(410)에 결합하였을 때, 형상이 변하는 변형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부(431)에서 래치(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32)는 변형부(431)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432)가 변형부(431)의 일단에 형성됨에 따라, 가압부(432)에 의하여 변형되는 변형부(431)의 변화량이 많아 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래치(500)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가 강해질 수 있다.
슬롯(430)이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상하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슬롯(430) 사이에 마련되는 플랩(430)도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상하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 위치한 슬롯(430)은 가압부(432)가 우측 끝단에 마련될 수 있다. 하측에 위치한 슬롯(430)의 가압부(432)는 좌측 끝단에 마련될 수 있다.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각각 좌측과 우측에 마련된 가압부(432)는 락킹돌기(510)를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우측 끝단에 마련된 가압부(432)는 래치의 우측을 가압하게 되고, 좌측 끝단에 마련된 가압부(432)는 래치의 좌측을 가압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래치(500)의 좌측과 우측을 대칭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래치(500)는 안정적으로 탄성지지 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구조는, 래치(500)가 래치 수용부 홀(111)에 정확하게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래치 수용부(110)(110, 도 2)에 결합될 때 정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플랩(430)은 보강 리브(4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433)는 가압부(432)의 일 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리브(433)는 플랩(430)이 지지 플레이트(440)와 연결되는 부분을 넘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플랩(430)이 손상될 수 있는 지지 플레이트(440)와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가 보완될 수 있다.
래치 서포터(410)는 지지 플레이트(440)에서 래치(500)를 향해서 돌출되는 강화부재(443)를 포함할 수 있다. 강화부재(443)는 위 보강 리브(433)와 같은 원리로, 래치 서포터(410)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세탁기(1)의 래치 서포터(410)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4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9은 도 8의 형상이 90도 회전한 상태의 모양으로 슬롯(42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단일한 플랩(43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도 11는 도 10의 형상이 180도 회전한 상태의 모양으로 슬롯(42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다.
위 실시예는 다양한 형상으로 슬롯(420)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줄 뿐, 슬롯(420)의 형상은 이에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도어(200)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도어(200)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800)와 결합하는 래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800)는 래치(500)가 결합하려는 위치에 마련되는 커버 플레이트(8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810)에 별도의 슬롯(420)과 플랩(430)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 바디(800)는 탄성체(700)와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커버 바디(800)와 분리되어 마련되는 래치 서포터(410)를 탄성체(700)라 할 수 있다. 탄성체(700)는 래치(500)가 커버 플레이트(810)에 결합될 때, 래치(500)를 결합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래치(500)는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부재를 별도로 포함함으로써, 후에 A/S가 필요한 상황에 있어서, 그 난이도가 보다 쉬워질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는 본 개시가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서포터(410)는 커버 바디(800)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700)는 스펀지(710)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700)는 스프링(720)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700)는 판스프링(730)일 수 있다.
위 실시예는 다양한 형상으로 탄성체(700)가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줄 뿐, 탄성체(700)의 형상은 이에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100: 하우징
101: 투입구
110: 래치
200: 도어
300: 도어 전면 커버
310: 결합 돌기
400: 도어 후면 커버
410: 지지부
420: 슬롯
421: 제1 슬롯
422: 제2 슬롯
430: 플랩
431: 변형부
432: 가압부
433: 보강 리브
440: 지지 플레이트
441: 지지돌기
500: 락킹부
510: 락킹 돌기
520: 락킹 플레이트
700: 탄성체
800: 커버바디

Claims (20)

  1. 투입구가 형성되며,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치 수용부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래치를 상기 도어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서포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 수용부에 결합되는 동안,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도어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세탁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래치 서포터의 일 부분은 상기 래치에 의해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래치가 결합되는 일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슬롯;을 포함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슬롯;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게 마련되는 세탁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제1 슬롯, 상기 제2 슬롯 및 상기 제3 슬롯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랩을 포함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래치를 대칭적으로 가압하도록, 래치를 기준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복수 개 마련되는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장착된 때, 상기 래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래치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결합되는 동안 상기 래치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변형부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세탁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락킹돌기의 상하 대칭면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락킹돌기의 좌우대칭면 상에 위치하는 세탁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장착된 때,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래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래치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플랩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일 부분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서 돌출되며 연장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서포터는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강도를 강화하도록 상기 래치를 향해 돌출되는 강화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개구가 형성되며,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커버 바디;
    상기 커버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상기 커버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서포터;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서포터는 스펀지, 스프링, 판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커버 바디에 결합되는 동안,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9. 투입구가 형성되며, 래치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래치 수용부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커버는,
    상기 래치가 결합되는 일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슬롯; 및
    상기 복수의 슬롯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 커버에 장착된 때, 상기 래치와 접촉하도록 상기 래치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래치를 상기 도어 커버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 하여, 상기 래치의 움직임이 감소하도록 하는 플랩;을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세탁기.
KR1020210140529A 2021-10-20 2021-10-20 세탁기 KR20230056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29A KR20230056477A (ko) 2021-10-20 2021-10-20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29A KR20230056477A (ko) 2021-10-20 2021-10-20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77A true KR20230056477A (ko) 2023-04-27

Family

ID=8610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29A KR20230056477A (ko) 2021-10-20 2021-10-20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64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1389B2 (en) Door hinge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327824B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hinge units
US1081560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70209403A1 (en) Washing machine
KR100479102B1 (ko) 도어 개폐 구조
EP316835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8104312B2 (en) Panel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KR20230056477A (ko) 세탁기
JP7136698B2 (ja) 衣類処理装置
KR100484830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조립구조
KR10156070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0484831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통 장착구조
KR100776593B1 (ko) 드럼세탁기
KR100847555B1 (ko) 세탁기
KR100834946B1 (ko) 세탁기
KR100465714B1 (ko) 드럼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조립구조
KR101560707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N220318188U (zh) 锁具、服务板组件及衣物处理装置
KR20060119437A (ko) 드럼세탁기
KR200232024Y1 (ko) 세탁기
CN115404676A (zh) 一种用于迷你洗衣机的开门结构、迷你洗衣机
KR20060118860A (ko) 드럼 세탁기
KR19980065906U (ko) 세탁기의 도어결합구조
KR20000009005U (ko) 세탁기의 도어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