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793A -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793A
KR20230055793A KR1020210139590A KR20210139590A KR20230055793A KR 20230055793 A KR20230055793 A KR 20230055793A KR 1020210139590 A KR1020210139590 A KR 1020210139590A KR 20210139590 A KR20210139590 A KR 20210139590A KR 20230055793 A KR20230055793 A KR 2023005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mp
inner case
ultraviolet
ultraviol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우
Original Assignee
조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우 filed Critical 조병우
Priority to KR102021013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793A/ko
Publication of KR2023005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과 광촉매제의 촉매반응을 통해 공기 내의 바이러스와 세균을 살균하고, 특히 세균 및 먼지들이 자외선과 광촉매 반응에 오랜 시간 노출되도록 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로서, 전·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 흡입구와 타측에 공기 배출구를 갖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내부 발열을 상쇄하도록 설치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공기정화필터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되는 팬모듈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램프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차단함과 동시에 흐르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을 포함하되,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을 경면 처리하여 자외선 조사를 최대한 램프에 향하게 하여 살균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외선램프 살균장치{Sterilizing apparatus the ultra-violet ray lamp}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과 광촉매제의 촉매반을 통해 공기 중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특히 유기화합물을 분해하는 광촉매와 자외선이 결합하여 공기를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도록 하여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내부에 설치된 팬을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팬으로 흡입한 후 각종 오염물질 및 냄새 등을 여과/탈취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외부 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냄새 등을 분해, 집진 또는 흡착하여 제거하도록 장착되는 프리필터 및 헤파필터와 같은 각종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공기정화기는 단순히 공기를 필터링만 하는 구성이어서 세균을 살균하여 완벽하게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어 근래에는 자외선 및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기가 많이 제작되고 있다.
최근 살균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장치의 종래 기술을 살펴 보면, 한국공개특허 특2003-0089194호에 각종 먼지 등의 미세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필터 및 중간필터와; 공기 중의 각종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AC/ACF필터와; 미량의 오염된 공기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램프 및 광촉매부재와; 상기 정화 및 살균된 공기를 실내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자외선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585223호에는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지성분을 걸러주는 그리스 필터, 입자가 큰 분진을 포집하는 프리 필터, 광화학 산화, 환원작용으로 악취성분의 제거 및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 소독하는 광촉매 필터 및 자외선램프, 잉여 라디칼 제거와 기타 불특정 냄새를 제거하는 촉매필터의 순서로 설치되며, 제어부의 전원인가로 촉매필터의 후방에서 공기를 강제흡입하기 위한 블로워가 내장 설치되어 공기배출구를 통해 청정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된 악취제거장치에 있어, 상기 자외선램프(UV lamp)와 촉매필터의 사이에 자외선살균램프(UVC lamp)가 설치되되, 자외선살균램프는 촉매필터로부터 축적되는 잉여 광화학 라디칼을 제거를 위한 조사거리를 300~400mm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편, 제어부에 의해 일정시간 경과 후 조사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살균램프가 구비된 악취제거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공기정화장치들 중 필터를 사용한 제품은 필터에 미세먼지가 그 형태 그대로 다공 층에 끼이게 되어 공기의 흡입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필터의 기능이 저하되는 속도가 가속되어 필터의 기능도 저하되는 속도가 그만큼 가속되고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를 하면 그 기능은 어느 정도 유지되지만 이에 대한 비용 부담은 물론 때를 맞추어 교체하거나 청소를 한다는 것이 사실 쉬운 일은 아니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하여 광촉매 효과로 광분해를 유도할지라도 이산화티타늄과 자외선을 발광하는 광원 간의 조화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재의 필라멘트 형식의 UVC램프의 짧은 수명과 이산화티타늄의 코팅방식 또한 문제가 있어 왔다.
아울러, 병원균을 사멸하고자 하여도 병원균이 부유하는 속도는 공기의 흐름에 비례하기 때문에 자외선을 쪼일 시간이 없으므로 종래에 사용되는 기술은 유해균을 사멸하고자 하더라도 공기 흐름의 속도와 자외선의 조사량과 시간을 맞출 수가 없고, 더군다나 무작정 자외선램프의 조사량을 크게 하거나 공기의 양과 속도를 조절하는 데 공간적 시간적 제한이 따르는 현실적으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특2003-0089194호 한국등록특허 10-0585223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과 광촉매의 촉매반응을 통해 공기 내의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균과 바이러스 및 먼지들이 자외선과 광촉매 반응에 오랜 시간 노출되도록 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살균 정화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강력 자외선램프로서 살균 효과를 신속하게 하며 모든 종류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하여 탁월한 공기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지 보수 또한 간단한 자외선램프 살균정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로서, 전·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 흡입구와 타측에 공기 배출구를 갖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내부 발열을 상쇄하도록 설치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공기정화필터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되는 팬모듈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램프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차단함과 동시에 흐르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을 포함하되,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을 경면 처리하여 자외선 조사를 최대한 램프에 향하게 하여 살균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벽은 세라믹 용사 후에 다시 광촉매를 코팅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전면이 다수의 간격 유지공이 천공된 유공판으로 구성되며, 내부케이스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공기 흡입구에 설치하되, 1·2차 프리필터 및 3차 헤파필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는 무전극 UVC 램프로서, 파장이 254nm, 램프 수명이 80% 효율 기준으로 6만 시간을 가지며, 램프 표면에서는 40 ~ 50mw/㎠의 강력한 조사 강도를 가지는 자외선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은 수직 수평의 전면판과; 전면판에서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자외선램프가 조사되는 방향으로 굴절된 좌우 확장판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이 있어 공기의 흐름을 지체하고 방해하므로 통상 공기의 출구 쪽에 팬을 1개 설치하는 것과는 달리 입구 쪽에도 팬을 1개 더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동시에 다량의 공기를 순환하게 하여 살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과 광촉매제의 촉매반응을 통해 공기 내의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균과 바이러스 및 유기 화합물과 오존 등의 미세 먼지들이 자외선과 광촉매 반응에 오랜 시간 노출되도록 하여 살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입구와 출구 쪽에 각각 1대의 팬을 설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신 속하게 함으로서 오염원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살균 정화하도록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6mj/cm2dp에 살균되거나 불활성화되는 반면 램프의 전면에서 40-50mw/cm2, 또는 40-50mj/cm2/sec의 초강력 살균 능력을 가지게 되어 대량으로 그것도 신속하게 살균하며 코로나 바이러스는 물론 기타 모든 종류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의 풍량이 400 CFM일 경우 자외선 램프의 체적이 800-1,000cm2일 때 자외선 전면에서 바람이 살균장치에 체류하는 시간을 1초 이상으로 설계하여 살균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제공하여 탁월한 공기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유지 보수 또한 간단한 자외선램프 살균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보인 일 실시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횡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 및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의 공기 살균 흐름 과정을 보인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에 따른 확장판의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를 보인 일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100)는, 전·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S)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 흡입구(111)와 타측에 공기 배출구(113)를 갖는 내부케이스(110)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측에 결합하여 내부 발열을 상쇄하도록 설치되는 외부케이스(120)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공기정화필터(130)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공기 흡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3)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되는 팬모듈(140)(140A)과;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램프(150)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외선램프(15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차단함과 동시에 흐르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케이스(110)는 박스 형태의 프레임 구조로서, 일직선상의 전·후에는 일부 개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111) 및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113)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구(111) 쪽에는 공기정화필터(130) 및 팬모듈(14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113) 쪽에는 다른 팬모듈(140A)이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모듈(140)(140A)는 그 양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램프 쪽을 향하여 경면 처리된 차관판(140a)(140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내벽은 세라믹 용사 후에 다시 광촉매를 코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자외선램프가 위치하는 내장케이스의 내벽에 광촉매 코팅으로서, 소재 금속인 알루미늄 표면에 플라스마 프라이머로 용사 코팅한 후 탑 코팅으로 광촉매 코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플라스마 코팅은 이산화알미늄(Al), 즉 세라믹으로 코팅으로 광촉매는 용사 코팅한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광촉매의 접착력을 강화하고, 광촉매의 표면적을 확대하며, 자외선 광선의 난반사를 유도하게 하여 광촉매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촉매는 다공질의 세라믹에 침투하여 일체형이 되므로 접착력은 강화할 수 있다. 이때 광촉매의 성능은 광촉매 면적에 비례하며, 광촉매 코팅 부분의 표면적을 확대하여 광촉매의 역할을 증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용사 코팅 부분의 거칠기(삼각형의 모양으로 계산)를 3미크론으로 하면 표면적은 약 30%가 넓어 표면이 확대될 수 있다. 이로써, 용사 표면은 높이 3미크론 정도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거칠게 되어 있어 자외선은 당연하게 난반사 하게 되어 광촉매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와류 형성판(160)의 램프(150) 쪽 면은 표면이 미세 염나 처리한 거울 형태의 경면 처리를 하고, 팬모듈(140)(140A)의 램프 쪽 차관판(140a)(140b)도 경면 처리하여 귀중한 자외선을 반사하게 하여 살균 효과와 광촉매 효과를 극대할 수 있다.
무전극 자외선 램프 발열은 80 ~ 100도에 달하므로 외부케이스(120)는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외측에 결합하여 내부 발열을 상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케이스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20)는 전면이 다수의 간격 유지공(123)이 천공된 유공판으로 구성되어 내부케이스(110)에서 자외선램프(150)에 의한 뜨거운 발열에 의한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필터(130)는 공기 흡입구에 설치하되, 공기정화필터(130)의 구성은 1,2차 프리필터(131)(132) 및 3차 헤파필터(133)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헤파필터, 활성탄소 섬유필터(Activated Carbon Fiber), 활성탄필터(Activated Carbon) 또는 탈취필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팬모듈(140)(140A)은 일반적인 회전팬과 회전팬을 구동하는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팬모듈은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베이스에 탄성패드를 함께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베이스는 공기가 통과하는 재질로 제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공기 통과용의 슬롯을 천공하며, 베이스에는 필터모듈이 자성부재로 개재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자외선램프(150)는 6만 시간 이상의 반영구적인 무전극 UVC 램프로서, 파장이 254nm 자외선램프이며, 외부 석영관이 없이도 완벽한 방수와 고출력으로 바이러스와 기타 세균을 거의 99.99% 살균을 달성할 수 있어 물체의 표면에 부착된 세균을 살균하고 동시에 공기 중의 세균 살균 또한 가능하다.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160)은 상기 내부케이스(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외선램프(150)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차단함과 동시에 흐르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수평의 전면판(161)과; 전면판(161)에서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자외선램프가 조사되는 방향으로 굴절된 좌우 확장판(163)(16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161)과 좌우 확장판(163)(163')은 그 표면이 경면 처리되어 자외선램프에서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주위로 누설시키지 않고 전방으로 모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좌우 확장판의 확산은 바깥으로 갈수록 확대된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확산면을 이룰 수 있으며, 좌우 확장판은 광을 반사하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표면이 경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판에 불어온 공기는 좌우 확장판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하 및 측면으로 빠져나가 공기 배출구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와류된 공기층은 그 시간만큼 더 머물게 되면서 공기 중에 노출된 세균은 더 많이 자외선램프에 조사되어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160)은 다른 실시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전면판(161-1)과, 좌우 확장판(163-1)으로 형성하되, 상기 좌우 확장판(163-1)은 그 일면에 복수의 와류 안내홈(163-2)을 더 형성하여 불어오는 공기 흐름에 따른 굴절 확률을 높이는 형태를 제공하여 공기 와류 형성을 좀 더 극대화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자외선램프 살균장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은 상기 구조 설명에 따른다.
먼저, 자외선램프 살균장치(100)의 공기 흡입구(111)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정화필터(130)를 경유하는 동안 미세먼지가 걸러져 정화가 이루어진다.
다음, 팬모듈(140)에 의해 공기는 자외선램프(150)에 이르게 되어 자외선 조사에 의해 1차 살균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전방에 있는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160)에 충돌하면서 좌우 확장판(163)(163')을 따라 와류 형성되면서 지속적인 자외선 조사로 2차 살균이 이루어진다.
끝으로, 와류된 공기는 팬모듈(140A)을 통해 공기 배출구(113)를 통해 정화된 공기로 방출한다.
한편, 공기의 1.2차 살균시에는 자외선 노출 및 광촉매 효과가 미치지 못하여 살균 정화되지 않은 바이러스와 세균 또는 분해되지 않은 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은 자외선 조사와 내벽의 광촉매 효과에 의하여 세균이 재차 살균됨과 동시에 유해물질은 분해되어 완전 살균할 수 있다. 이때 내벽의 광촉매는 UVC 자외선에 반응하여 광화학반응을 촉진(광촉매효과)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와 세균, 유해물질 등을 산화 분해하고 탈취하여 정화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하게 될 때 공기와 함께 흘러가던 세균이나 미세먼지 중 일반 큰 먼지는 상기 공기정화필터에 걸리게 되고 세균이나 미세먼지 등은 통과하고, 자외선램프에 도달하게 되면 UV 자외선 및 벽면에 코팅된 광촉매 효과에 의하여 세균을 살균한다. 동시에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에 충돌하는 공기는 외류 형성되어 순간 머물면서 지속적인 자외선램프 및 광촉매 작용으로 재차 살균되어 유해물질은 완전 분해되어 살균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외선의 조사와 광촉매의 촉매반응을 통해 공기 내의 세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하도록 함과 동시에 오염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살균 정화하면서도 초강력 자외선램프로 살균 효과를 신속 및 지속 가능하게 하여 모든 종류의 세균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110 : 내부케이스
120 : 외부케이스
130 : 공기정화필터
140, 140A : 팬모듈
140a, 140b : 차광판
150 : 자외선램프
160 :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
161 : 전면판
163, 163' : 좌우 확장판

Claims (8)

  1. 자외선램프 살균장치로서,
    전·후방이 개방된 내부공간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 흡입구와 타측에 공기 배출구를 갖는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어 내부 발열을 상쇄하도록 설치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공기정화필터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되는 팬모듈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램프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외부로 차단함과 동시에 흐르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을 포함하되,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을 경면 처리하여 자외선 조사를 최대한 램프에 향하게 하여 살균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벽은 세라믹 용사 후에 다시 광촉매를 코팅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전면이 다수의 간격 유지공이 천공된 유공판으로 구성되며, 내부케이스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공기 흡입구에 설치하되, 1·2차 프리필터 및 3차 헤파필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와 타측에 공기 배출구를 가지는 공기 순환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차광 및 와류 형성판을 경면 처리하여 자외선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램프는 무전극 UVC 램프로서, 파장이 254nm 자외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및 공기 와류 형성판은
    수직 수평의 전면판과;
    전면판에서 양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자외선램프가 조사되는 방향으로 굴절된 좌우 확장판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KR1020210139590A 2021-10-19 2021-10-19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KR20230055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90A KR20230055793A (ko) 2021-10-19 2021-10-19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90A KR20230055793A (ko) 2021-10-19 2021-10-19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793A true KR20230055793A (ko) 2023-04-26

Family

ID=8609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590A KR20230055793A (ko) 2021-10-19 2021-10-19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79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194A (ko) 2002-05-17 2003-11-21 차진명 광촉매 자외선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KR100585223B1 (ko) 2005-10-05 2006-06-08 주식회사 천우엔지니어링 자외선살균램프가 구비된 악취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194A (ko) 2002-05-17 2003-11-21 차진명 광촉매 자외선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KR100585223B1 (ko) 2005-10-05 2006-06-08 주식회사 천우엔지니어링 자외선살균램프가 구비된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371B1 (ko) 공기살균 및 미세먼지제거 기능을 겸비한 공기정화장치
KR102191144B1 (ko) 미세먼지제거,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 습도조절, 산소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공기정화장치
KR102163950B1 (ko) 지그재그유로를 이용한 광촉매 접촉효율 향상된 공기탈취 살균기
KR100660138B1 (ko) 공기 살균기
KR100943328B1 (ko) 공기살균기
KR20080059959A (ko) 공기 살균장치
KR20110077804A (ko) 공기 정화 및 살균장치
KR20140095243A (ko) 허니컴 구조의 공기살균기
KR20220048338A (ko)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광촉매판 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JP2006198142A (ja) 脱臭装置
KR101463216B1 (ko)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KR100668177B1 (ko) 광촉매 코팅 필터를 이용한 핸드 드라이기
CN111457505A (zh) 灭菌除异味型一体机
KR100626193B1 (ko) 공기청정기
KR20230055793A (ko)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KR20050020065A (ko) 공기정화기
JPH11104225A (ja) 空気清浄装置
KR102456705B1 (ko) 공기중의 오염원 제거장치
KR20080073472A (ko) 천정 매입형 공기 살균 정화기
JP2004357775A (ja) オゾン殺菌システム
KR20230114761A (ko) 자외선 공기살균기
KR100799106B1 (ko) 보조 살균정화장치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150014822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및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KR20210091959A (ko) 볼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20050035921A (ko) 공기 정화 살균 방법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