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186A - Bus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busbar unit - Google Patents

Bus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busba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186A
KR20230054186A KR1020210137896A KR20210137896A KR20230054186A KR 20230054186 A KR20230054186 A KR 20230054186A KR 1020210137896 A KR1020210137896 A KR 1020210137896A KR 20210137896 A KR20210137896 A KR 20210137896A KR 20230054186 A KR20230054186 A KR 20230054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unit
bar body
bar unit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상옥
김성규
이창훈
정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3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4186A/en
Publication of KR2023005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1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6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A bus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usbar bodies that are stacked in multiple layers; an insul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busbar bodies; and at least one busbar hole that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sulating member and is formed in the busbar bodies. The busb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achieve weight reduction.

Description

버스바 유닛, 이러한 버스바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그리고, 이러한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BUS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BUSBAR UNIT}Bus 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uch a bus b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us bar unit UNIT}

본 발명은 버스바 유닛, 이러한 버스바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그리고, 이러한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bar unit, a battery module, a battery pack, and a vehicle including such a busbar uni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usbar unit.

제품 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highly applicable to each product group and hav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are used not only in portable devices but also in electric vehicles (EVs) or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driven by an electrical driving source. It is universally applied. 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nergy source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nd eco-friendliness in that they do not generate any by-products due to the use of energy as well as the primary advantage of dramatically reducing the use of fossil fuels.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 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 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5V ~ 4.5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배터리 팩에 요구되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Currently, types of secondary batteries widely used include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the like. The operating voltage of such a unit secondary battery cell, that is, a unit battery cell is about 2.5V to 4.5V. Therefore, when an output voltage higher than this is required, a battery pack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 In addition, a battery pack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parallel according to a charge/discharge capacity required for the battery pack. Accordingly,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required output voltage or charge/discharge capacity.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배터리 팩이나 배터리 랙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Meanwhile, when a battery pack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parallel, a battery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is first configured, and other components are added us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 method of configuring a battery pack or battery rack is common.

종래 배터리 모듈의 경우,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조립체와 외부 전원 등과의 연결, 또는, 기타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 유닛이 구비된다. 이러한 버스바 유닛의 경우, 일반적으로, 허용 전류에 따라 단면적이 정의되며, 도체 폭이 일정할 경우, 적층수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a bus bar unit for connection between a battery cell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or other electrical connection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case of such a bus bar unit, the cross-sectional area is generally defined according to the allowable current, and when the conductor width is constant, the number of layer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종래, 버스바 유닛의 경우, 도체로서 구리 소재가 사용되는데, 최근 들어, 제조 비용을 저감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게 구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bus bar unit, a copper material is used as a conductor, but recently, it is requested to find a way to reduce the amount of copper used to achieve weight reduction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버스바 유닛, 이러한 버스바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그리고, 이러한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 bar unit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 battery module, a battery pack and an automobile including such a bus bar uni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us bar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버스바 유닛, 이러한 버스바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그리고, 이러한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 bar unit that can realize weight reduction, a battery module, a battery pack, and a vehicle including such a bus bar uni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us bar unit.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버스바 유닛으로서,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버스바 본체; 상기 버스바 본체에 삽입되는 절연부재; 및 상기 절연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버스바 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s a bus bar unit, a bus bar body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 insul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bus bar body; and at least one bus bar hole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in the bus bar body.

상기 버스바 본체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bus bar body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버스바 본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body includes a first layer provided in plurality; and at least one second layer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는, 구리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어는,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may be made of a copper material, and the at least one second layer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상기 버스바 본체는, 적어도 1회 벤딩될 수 있다.The bus bar body may be bent at least once.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버스바 본체와 함께 적어도 1회 벤딩될 수 있다.The insulating member may be bent at least once together with the bus bar body.

상기 버스바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홀이 구비되는 버스바 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plating part formed on a bus bar body in which the at least one bus bar hole is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은,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으로서,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버스바 본체를 적어도 1회 압연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를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홀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에 절연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절연부재가 삽입된 버스바 본체를 벤딩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부를 도금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s bar unit, comprising: rolling a bus bar body stacked in multiple layers at least once; Cutting the bus bar body to a predetermined width; Processing at least one bus bar hole in the bus bar body; inserting an insulating member into the bus bar body; Bending the bus bar body into which the insulating member is inserted; and plating and welding a part of the bus bar body.

상기 버스바 본체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bus bar body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버스바 본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body includes a first layer provided in plurality; and at least one second layer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아울러,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a battery module, provides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bus bar uni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팩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a battery pack, provides a battery pack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리고, 본 발명은, 자동차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as a vehicle, provides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버스바 유닛, 이러한 버스바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그리고, 이러한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 bus bar unit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bus bar unit, a battery pack and an automobi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us bar unit can be provided. .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버스바 유닛, 이러한 버스바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자동차, 그리고, 이러한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s bar unit that can realize weight reduction, a battery module, a battery pack, and a vehicle including such a bus bar uni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us bar unit. .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버스바 유닛의 버스바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스바 본체의 다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버스바 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버스바 본체의 다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버스바 유닛 제조 시스템을 통한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유닛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tails described in such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s bar unit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s bar body of the bus bar unit of FIG. 2 .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bus bar body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s ba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bus bar unit of FIG. 2 .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bus bar body of FIG. 5;
7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bus bar unit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through a bus bar unit manufacturing system.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shown by way of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not be drawn to an actual scale, but the dimens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은, 배터리 셀 조립체(10), 연결 터미널(30) 및 버스바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battery module 1 may include a battery cell assembly 10, a connection terminal 30, and a bus bar unit 50.

배터리 셀 조립체(1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 각형 이차 전지 또는 원통형 이차 전지일 수 있다.The battery cell assembly 10 may include at least one battery cell or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battery cell, as a secondary battery, may be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 prismatic secondary battery, or 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상기 연결 터미널(30)은, 외부 전원 등과 연결되며, 후술하는 버스바 유닛(50)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 조립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etc., and is connected to a bus bar unit 5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ssembly 10 .

상기 버스바 유닛(50)은, 상기 배터리 셀 조립체(10)와 상기 연결 터미널(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스바 유닛(50)은, 상기 배터리 셀 조립체(10) 및 상기 연결 터미널(30)과 볼팅부재를 통한 결합 또는 용접 결합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버스바 유닛(50)은,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타 다른 방식의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us bar unit 5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battery cell assembly 1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0 . The bus bar unit 50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ssembly 1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0 through a bolting member or by welding.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us bar unit 50 may be connected by other coupling methods capable of enabling electrical connection.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버스바 유닛(5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Hereinafter, the bus bar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버스바 유닛의 버스바 본체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s bar unit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s bar body of the bus bar unit of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 유닛(50)은, 버스바 본체(100), 절연부재(200), 및 버스바 홀(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bus bar unit 50 may include a bus bar body 100, an insulating member 200, and a bus bar hole 300.

상기 버스바 본체(100)는, 도체로서, 복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스바 본체(100)는, 공간 활용성 등을 극대화할 수 있게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의 플렉시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스바 본체(100)는, 적어도 1회 벤딩될 수 있다.The bus bar body 100, as a conductor, may be stacked in multiple layers. The bus bar body 10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flexibly bent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In this embodiment, the bus bar body 100 may be bent at least once.

상기 버스바 본체(100)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1 레이어(110)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110)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body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layers 110 and at least one second layer 130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110 .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110)는, 구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11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110 may be made of a copper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110 may be provided as a pair.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어(130)는,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레이어(130)는, 한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레이어(130)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이어(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econd layer 130 may be made of aluminum.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ayer 130 may be provided as one.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layer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layers 110 .

도 4는 도 3의 버스바 본체의 다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bus bar body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 본체(102)는, 상기 배터리 모듈(1, 도 1 참조)에서 요구되는 전류 용량 등에 따라, 다층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바 본체(102)는, 한 쌍의 제1 레이어(110) 사이에 제2 레이어(130)가 배치되는 적층 구조가 다층으로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bus bar body 102 may be provid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current capacity required by the battery module 1 (see FIG. 1). Accordingly, the bus bar body 102 may have a multi-layered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lay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layers 110.

도 5는 도 2의 버스바 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본체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버스바 본체의 다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s bar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bus bar unit of FIG. 2, an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ultilayer structure of the bus bar body of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버스바 본체(105)는, 상기 제1 레이어(110)와 상기 제2 레이어(130)로 구비되는 2층 레이어 구조로도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버스바 본체(107)는, 요구되는 전류 용량 등에 따라, 전술한 2층 레이어 구조의 다층 적층 구조로도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2층 레이어 구조의 다층 적층 구조는 인접하는 2층 레이저 구조의 제2 레이어들(130)이 서로 마주 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바 본체(107)의 상측 및 하측에 노출되는 레이어는, 제1 레이어들(110)일 수 있다. 이는 구리 재질의 제1 레이어(110)의 외측에 노출시키기 위함이다.5 and 6, the bus bar body 105 may also be provided with a two-layer structure including the first layer 110 and the second layer 130. In addition, the bus bar body 107 may also be provided with a multi-layered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two-layer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quired current capacity. Here, the multi-layer stacked structure of the two-layer structure may be a form in which the second layers 130 of the adjacent two-layer laser structure face each other. Accordingly, the layers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us bar body 107 may be the first layers 110 . This is to expose the outside of the first layer 110 made of copper.

이하에서는, 상기 버스바 유닛(50)의 나머지 다른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Hereinafter, other configurations of the bus bar unit 50 will be examined in detail.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부재(200)는, 상기 버스바 본체(1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절연부재(200)는, 유연한 절연 재질로서, 내부 중공을 갖는 절연 튜브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절연부재(200)는, 상기 버스바 본체(100)와 함께 적어도 1회 벤딩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insulating member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bus bar body 100 . The insulating member 200 is a flexible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as an insulating tube having an inner hollow. The insulating member 200 may be bent at least once together with the bus bar body 100.

상기 버스바 홀(300)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스바 홀(300)은, 상기 절연부재(200)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버스바 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홀(300)에는, 앞선 상기 배터리 셀 조립체(10)과 연결 터미널(30)과의 상기 버스바 유닛(50)의 연결 시 볼팅부재가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을 위한 용접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At least one or more bus bar holes 300 may be provided. The bus bar hole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member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formed in the bus bar body 100. A bolt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bus bar hole 300 or a welding process for coupling may be performed when the bus bar unit 5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 assembly 1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0. there is.

상기 버스바 유닛(50)은, 적어도 하나의 도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unit 50 may include at least one plating part 40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금부(4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홀(400)이 구비되는 버스바 본체(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금부(400)는,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lating part 400 may be formed in the bus bar body 100 in which the at least one bus bar hole 400 is provided. The at least one plating portion 400 may prevent corrosion of the bus bar body 100.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유닛(50)의 제조 공정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us bar unit 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 내지 도 13은 버스바 유닛 제조 시스템을 통한 도 1의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유닛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bus bar unit of the battery module of FIG. 1 through a bus bar unit manufacturing system.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 유닛(50)은, 버스바 유닛 제조 시스템(500)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 유닛(50)의 제조 방법은,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버스바 본체(100)를 적어도 1회 압연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100)를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100)에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홀(300)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100)에 절연부재(200)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절연부재(200)가 삽입된 버스바 본체(100)를 벤딩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일부를 도금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7 to 13 , the bus bar unit 5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the bus bar unit manufacturing system 500. He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us bar unit 50 includes rolling the bus bar main body 100 stacked in multiple layers at least once, cutting the bus bar main body 100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Processing at least one bus bar hole 300 in the bar body 100, inserting the insulating member 200 into the bus bar body 100, and inserting the insulating member 200 into the bus bar body It may include the step of bending 100, and the step of plating and welding a part of the bus bar body 100.

이를 위해 상기 버스바 유닛 제조 시스템(500)은, 소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버스바 본체(100) 등을 가공하여 버스바 유닛(5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버스바 유닛 제조 시스템(500)은, 제1 레이어 릴(510), 제2 레이어 릴(520), 열처리 유닛(530), 제1 압연 롤러(540), 제2 압연 롤러(550), 슬리팅 유닛(560), 도금 유닛(570), 커팅 유닛(580) 및 펀칭 유닛(585)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us bar unit manufacturing system 500 may manufacture the bus bar unit 50 by processing the bus bar body 100 or the like that mo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bus bar unit manufacturing system 500 includes a first layer reel 510, a second layer reel 520, a heat treatment unit 530, a first rolling roller 540, a second rolling roller 550, A slitting unit 560, a plating unit 570, a cutting unit 580, and a punching unit 585 may be included.

상기 제1 레이어 릴(510),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레이어들(110)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하여 상기 제1 레이어(1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reel 510 is provided as a pair,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layer 110 may be guided by winding or unwinding the pair of first layers 110 .

상기 제2 레이어 릴(520)은, 상기 한 쌍의 제1 레이어 릴(5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레이어(130)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하여 상기 제2 레이어(1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second layer reel 52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layer reels 51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second layer 130 by winding or unwinding the second layer 130 can do.

상기 열처리 유닛(530)은, 상기 한 쌍의 제1 레이어(510) 및 상기 제2 레이어(130) 상호 간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열처리 유닛(530)는, 후술하는 제1 압연 롤러(540) 및 제2 압연 롤러(550) 부근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유닛(530)의 열처리 온도는, 대략적으로 200도 내지 300도 사이일 수 있다.The heat treatment unit 530 may increas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air of first layer 510 and the second layer 130 . The heat treatment unit 530 may be provided near the first rolling roller 540 and the second rolling roller 550 to be described later.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unit 530 may be between approximately 200 degrees and 300 degrees.

상기 제1 압연 롤러(54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레이어 릴들(510, 520)을 마주 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한 쌍의 제1 압연 롤러(540) 사이에는,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상기 한 쌍의 제1 레이어(510) 및 제2 레이어(130)가 통과할 수 있다.The first rolling rollers 540 ar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layer reels 510 and 520 . Between the pair of first rolling rollers 540, the pair of first layer 510 and second layer 130 of the bus bar body 100 may pass.

상기 제2 압연 롤러(55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압연 롤러(540)와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압연 롤러(550)는, 상기 한 쌍의 제1 압연 롤러(540)를 통과한 버스바 본체(100)를 보다 더 압착할 수 있다.The second rolling rollers 550 ar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first rolling rollers 5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air of second rolling rollers 550 may further compress the bus bar body 100 passing through the pair of first rolling rollers 540 .

상기 슬리팅 유닛(560)은, 요구되는 버스바 유닛(50)의 폭에 따라,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폭을 재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슬리팅 유닛(56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양측 단부의 폭을 이동 방향을 따라 절단할 수 있다.The slitting unit 560 may cut the width of the bus bar body 100 according to the required width of the bus bar unit 50. The slitting unit 560 is provided as a pair to cut the width of both ends of the bus bar body 100 along the moving direction.

상기 도금 유닛(570)은,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부식이나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게 이동되는 버스바 본체(100)의 적어도 일부를 도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금 유닛(570)은, 주석(Sn) 전해 도금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plating unit 570 may pl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moving bus bar body 100 to prevent corrosion or oxidation of the bus bar body 100. The plating unit 570 may have a tin (Sn) electrolytic plating structure.

상기 커팅 유닛(580)은, 요구되는 버스바 유닛(50)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길이를 재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팅 유닛(580)을 통한 커팅은, 이동되는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수직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utting unit 580 may cut the length of the bus bar body 100 according to the required size of the bus bar unit 50. Cutting through the cutting unit 580 may be per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moving bus bar body 100 .

상기 펀칭 유닛(585)은, 상기 버스바 유닛(50)의 버스바 홀(300)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소정 부분을 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펀칭 유닛(585)을 통한 펀칭은, 이동되는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수직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요구되는 설계 조건 등에 따라, 도금 처리가 된 부분 또는 도금 처리가 되지 않은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가능할 수 있다.The punching unit 585 is for forming the bus bar hole 300 of the bus bar unit 50, and may punc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us bar body 100. Punching through the punching unit 585 may be per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ving bus bar body 100, and depending on the required design conditions, at least one of the plated part and the non-plated part It can be possible in one.

상기 버스바 유닛 제조 시스템(500)에서,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이동 중, 상기 절연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다. 절연부재(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요구되는 설계 조건 등에 따라, 상기 절연부재(200)가 삽입된 버스바 본체(100)가 상기 절연부재(200)와 함께 적어도 1회 벤딩될 수 있으며, 커팅 유닛(580)을 통해 상기 버스바 본체(100)의 일측이 커팅되어 소정 단위의 버스바 유닛(50)을 완성할 수 있다.In the bus bar unit manufacturing system 500, the insulating member 200 may be inserted while the bus bar body 100 is moving. When the insertion of the insulating member 200 is completed, the bus bar body 100 into which the insulating member 200 is inserted may be bent at least once together with the insulating member 200 according to required design conditions, etc. One side of the bus bar body 100 is cut through the cutting unit 580 to complete the bus bar unit 50 of a predetermined unit.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P)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1)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5)를 포함할 수 있다.14 and 15, the battery pack P may includ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1 according to the previous embodiment and a pack case 5 packag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1. can

이러한 상기 배터리 팩(P)은 자동차의 연료원으로써, 자동차(V)에 구비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배터리 팩(P)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기타 배터리 팩(P)을 연료원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자동차(V)에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P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V as a fuel source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battery pack P may be provided in a vehicle V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vehicle, and other methods capable of using the battery pack P as a fuel source.

또한, 상기 배터리 팩(P)은 상기 자동차(V) 이외에도 이차 전지를 이용하는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 기타 다른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에도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attery pack P may also be provided in other devices, instruments, and facilities, such as an energy storage system using a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to the vehicle V.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 팩(P)과 상기 자동차(V)와 같은 상기 배터리 팩(P)을 구비하는 장치나 기구 및 설비는 전술한 상기 배터리 모듈(1)을 포함하는 바, 전술한 배터리 모듈(1)로 인한 장점을 모두 갖는 배터리 팩(P) 및 이러한 배터리 팩(P)을 구비하는 자동차 등의 장치나 기구 및 설비 등을 구현할 수 있다.As such, the battery pack 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device, apparatus, or equipment including the battery pack P such as the vehicle V includes the battery module 1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A battery pack P having all the advantages of one battery module 1 and a device such as a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battery pack P can be implemented.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버스바 유닛(50), 이러한 버스바 유닛(5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 배터리 팩(P) 및 자동차(V), 그리고, 이러한 버스바 유닛(50)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 bus bar unit 50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 battery module 1 including the bus bar unit 50, a battery pack P, and a vehicle V ,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us bar unit 50.

또한,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버스바 유닛(50), 이러한 버스바 유닛(50)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1), 배터리 팩(P) 및 자동차(V), 그리고, 이러한 버스바 유닛(50)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bus bar unit 50 capable of implementing weight reduction, the battery module 1 including the bus bar unit 50, the battery pack P, and the vehicle V ,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us bar unit 5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V: 자동차
P: 배터리 팩
1: 배터리 모듈
5: 팩 케이스
10: 배터리 셀
50: 버스바 유닛
100: 버스바 본체
102: 버스바 본체
105: 버스바 본체
107: 버스바 본체
110: 제1 레이어
130: 제2 레이어
200: 절연부재
300: 버스바 홀
400: 도금부
500: 버스바 유닛 제조 시스템
510: 제1 레이어 릴
520: 제2 레이어 릴
530: 열처리 유닛
540: 제1 압연 롤러
550: 제2 압연 롤러
560: 슬리팅 유닛
570: 도금 유닛
580: 커팅 유닛
585: 펀칭 유닛
V: car
P: battery pack
1: Battery module
5: Pack case
10: battery cell
50: bus bar unit
100: bus bar body
102: bus bar body
105: bus bar body
107: bus bar body
110: first layer
130: second layer
200: insulation member
300: bus bar hall
400: plating part
500: busbar unit manufacturing system
510: first layer reel
520: second layer reel
530: heat treatment unit
540: first rolling roller
550: second rolling roller
560: slitting unit
570: plating unit
580: cutting unit
585: punching unit

Claims (13)

버스바 유닛에 있어서,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버스바 본체;
상기 버스바 본체에 삽입되는 절연부재; 및
상기 절연부재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버스바 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
In the busbar unit,
A bus bar body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an insul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bus bar body; and
A bus bar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bus bar hole spaced apart from the insulat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in the bus ba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body,
A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body,
A first layer provided in plurality; and
A bus bar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layer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는,
구리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어는,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It is made of copper material,
The at least one second layer,
A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luminum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적어도 1회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body,
A bus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at least o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버스바 본체와 함께 적어도 1회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
According to claim 5,
The insulating member,
A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bent at least once together with the bus ba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홀이 구비되는 버스바 본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
According to claim 1,
A bus bar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plating portion formed on a bus bar body in which the at least one bus bar hole is provided.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 층으로 적층되는 버스바 본체를 적어도 1회 압연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를 소정 폭으로 재단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에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홀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본체에 절연부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절연부재가 삽입된 버스바 본체를 벤딩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부를 도금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us bar unit,
Rolling a bus bar body stacked in multiple layers at least once;
Cutting the bus bar body to a predetermined width;
Processing at least one bus bar hole in the bus bar body;
inserting an insulating member into the bus bar body;
Bending the bus bar body into which the insulating member is inserte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s bar unit, comprising: plating and welding a part of the bus bar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bus bar bod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us b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lexible materi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유닛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bus bar body,
A first layer provided in plurality; and
At least one second layer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layers; manufacturing method of a bus bar unit comprising a.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버스바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A battery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bus bar unit according to claim 1 . 제1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 battery pack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1 . 제1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A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2 .
KR1020210137896A 2021-10-15 2021-10-15 Bus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busbar unit KR202300541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96A KR20230054186A (en) 2021-10-15 2021-10-15 Bus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busba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96A KR20230054186A (en) 2021-10-15 2021-10-15 Bus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busbar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86A true KR20230054186A (en) 2023-04-24

Family

ID=8614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896A KR20230054186A (en) 2021-10-15 2021-10-15 Bus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busba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41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5028B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KR101372780B1 (en) Battery
EP2557609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3709388B1 (en) Battery pack including connection plate
EP3696882A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bar, and battery pack
EP367523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comprising same
KR102258177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US20110305936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attery stacks
US11456502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KR20200043402A (en) Lead tab for battery terminal
KR20140104435A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module
EP2416433A1 (en) Secondary cell and cell system
US20230361354A1 (en)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battery cell, battery, and power consuming device
KR101610431B1 (en) Electrode assembly of jelly roll typ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30054186A (en) Busbar unit,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enufacturing the busbar unit
JP7453465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with busbar frame for efficient layout of connectors
US10680297B2 (en) Tab cooling for pouch cell
EP4254587A1 (en) Electrode sheet, electrode assembly, battery cell, battery, electric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s
US10461305B2 (en) Battery cell and battery system
CN218975473U (en) Pole piece, battery, vehicle and battery manufacturing device
EP4336521A1 (en) Connection wir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EP4283746A1 (en) Battery cell, battery, power consum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cell
EP3996181A1 (en) Cell assembly method, storage unit and relative vehicular battery pack
US10276853B2 (en) Electrode arrangement of a battery cell, electrode layer and battery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latter
CN110291658B (en) Battery unit and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