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169A -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169A
KR20230054169A KR1020210137827A KR20210137827A KR20230054169A KR 20230054169 A KR20230054169 A KR 20230054169A KR 1020210137827 A KR1020210137827 A KR 1020210137827A KR 20210137827 A KR20210137827 A KR 20210137827A KR 20230054169 A KR20230054169 A KR 20230054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e
specific site
information
lt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지욱
이동문
변병주
장치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 휴먼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식회사 휴먼인텍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3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4169A/ko
Publication of KR2023005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42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 G06K19/045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the record carrier being of the non-contact type, e.g. RFID,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a disc, e.g. a CD or DV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9Microscopic objects, e.g. biological cells or cellular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은, 특정 현장을 위한 투입용으로 지정된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이 보유하는 식별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며 PS-LTE 단말기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인식 단말들; 및 상기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들의 식별정보들로부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감시하는 현장 감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HAZARDOUS SITE MONITORING SYSTEM USING PS-LTE NETWORK}
본 발명은 위험 현장의 업무 수행자, 특히, 소방관이 재난발생 현장에 도착하여 위험지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PS-LTE망을 활용한 위험지역 현장진입자 모바일 확인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험 현장들 중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는 화재 환경의 경우, 화재에 의해 발생된 농연으로 시야 확보가 매우 힘든 재난 환경에서 소방관이 들어가 자신의 위치를 모르는 상황에서 경험과 감으로 자신의 위치를 추정하고, 구조자를 탐색하여 구조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재난 환경에서는 소방관들의 상황 및 위치 정보를 소방지휘관에게 음성으로 전달 및 공유하여 요구조자 및 소방관의 상태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소방관들은 무전기를 활용하여 불확실한 자신의 위치를 설명하며, 소방지휘관들은 각 소방관들의 추정위치를 기반으로 구조작업을 지시하고 있다. 그런데, 재난 현장에서 소방관의 추정 위치가 잘못 되거나 소방지휘관의 해석이 잘못되어 각 소방관들의 협업을 통한 구조작업을 수행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재난 현장 소방관의 위치 추적을 위해 재난환경에서 소방관의 개인 정보를 통합하고 공유하여 소방지휘관에게 가시화하며, 지휘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무선 지휘 시스템이나, Wi-Fi, GPS등의 센서를 활용하여 실내환경내의 사용자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기술 등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화재현상에서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고가의 통신 장치를 번거롭게 소방관들이 장착하여야 하며, 후자의 경우 실내 위치 정보 제공에 국한될 뿐이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경찰·소방·지자체 등 재난관련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PS-LTE(Public Safety Long Term Evolution 음성, 데이터, 영상이 가능한 재난안전용 4세대 무선통신)기술방식의 전국을 단일화하는 PS-LTE(Public Safety Long Term Evolution 음성, 데이터, 영상이 가능한 재난안전용 4세대 무선통신)기술방식의 전국 단일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추진 중이다. 재난 발생 시 재난관련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재난현장의 효율적인 통신지원 및 데이터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함이다.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은 단계별로 3년간(’18년~’20년) 진행되며, 이후 5년간(’21~’25년) 운영 및 유지보수를 수행할 예정인데, 재난안전통신망을 기반을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주요 기술과 접목하여 재난·생활안전분야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재난안전통신망을 기반하여 재난환경에서의 접근성 및 사용편의성을 고려하여 이동형(휴대형) 단말장치를 기반으로 구성된 시스템의 적용예는 전무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소방관이 재난발생 현장에 도착하여 위험지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용화된 표준 정보통신시스템이 없다. 일부 소방본부에서 개인인식표를 활용하고 있지만 오프라인 상태로 운영하거나, 복잡한 시스템을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에 화재현장에 출동한 소방관들이 현장지휘부나 선착대장에게 별다른 보고 없이 스스로 판단하여 진입하게 되는데, 이 경우 현장지휘소에서는 대원들의 소재와 위치 확인이 어려워 해마다 많은 소방관이 화재현장에서 부상을 당하거나 심지어 순직하기도 한다.
2013년 소방방재청의「소방공무원 현장대응 안전기술연구 기반 조성을 위한 연구」에 따르면‘화재시 선착대장은 투입되는 대원의 안전을 위하여 누가 어디에 투입되고 무슨 임무를 하는가를 확인하여야 하지만, 현장에 투입되는 대원들은 선착대장의 지휘나 별다른 보고 없이 스스로 판단하여 현장에 진입함으로 써 대원의 위치확인을 어렵게 한다’고 지적하는 등 위험지역 현장진입 소방관에 대한 관리 부재를 소방관들의 공상과 부상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소방관들이 위험지역에 진입하였는지 확인하는 이전의 대응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미국의 단순 개인인식표 이용 방식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는 가장 전통적으로 미국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모든 대원들은 기본적으로 2개의 개인인식표를 지급받게 되는데, 하나는 출동차량에 보관하고 다른 하나는 건물 등 현장에 진입하기 전 현장안전점검관에게 전달한다. 현장 활동을 마친 대원들은 안전담당관에게 맡겼던 자신의 태그를 찾아 소방서로 복귀한다.
도 2a 및 2b는 국내 소방본부 안전관리태그의 사용 방식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우리나라 일부 소방본부에서는 소방대원 안전을 위해 안전관리태그(Tag)를 사용하는데, 안전관리태그는 재난현장으로 진입하는 대원들이 입·출입할 때 활용함으로써 대원들의 현장안전관리의 효율성 제고에 그 도입 목적이 있다. 안전관리태그는 재난현장 붕괴, 폭발, 고립 등 위험으로부터 현장진입 소방대원의 도착·투입에 활용한다. 평상시 대원들은 태그를 인명구조경보기에 연결하여 관리하며,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인명구조경보기와 분리하여 자석 태그를 소방차 문짝에 부착하게 된다. 현장활동을 끝낸 후에는 태그를 다시 인명구조 경보기에 결착하고 현장안전점검관이 대원 수와 차량 문짝에 부착된 태그 수를 확인하여 누락된 인원 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어느 소방서에서는 아크릴 명찰을 제작해서 활용하기도 한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화재 현장에 투입된 다수의 각종 팀들의 조장(일종의 현장의 중간 지휘자로서 군의 경우 부대장이 될 수 있음)이 육안으로 자신의 팀원이나 다른 팀원의 출입을 확인하고, 이를 무전기 등을 통해 종합 지휘자에게 통보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10-1567342호
본 발명은 저렴한 구축 비용으로 화재 진압 지역과 같은 위험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들의 출입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은, 특정 현장을 위한 투입용으로 지정된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이 보유하는 식별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며 PS-LTE 단말기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인식 단말들; 및 상기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들의 식별정보들로부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감시하는 현장 감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태그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각 인원에 대한, 개인인식표, 안전관리태그 또는 투입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장비식별태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 단말들은,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구별하여 상기 식별태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S-LTE 단말기들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현장 감시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 단말들은, 얼굴, 지문, 홍채 등 생체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생체 인식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은, 소지한 인원을 식별하기 위한 안전관리태그; 특정 현장을 위한 투입용으로 지정되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이 보유하는 상기 안전관리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 및 상기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들의 식별정보들로부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감시하는 현장 감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팀들; 각 팀에 소속된 인원들 각각의 식별을 위한 정보들; 각 팀에 부여된 PS-LTE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들; 및 상기 특정 현장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들을 확보하는 단계; 감시 대상이 되는 특정 현장에 투입되는 PS-LTE 단말기들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들의 진입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에 진입한 인원들의 이탈을 인식하는 단계; 및 진입 후 이탈이 확인되지 않은 인원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상기 특정 현장의 진입한 특정 인원이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되도록 지정되어 상기 특정 현상에 진입한 팀의 인원들 중에서, 상기 팀의 다른 인원들이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한 이후에도 이탈하지 않은 인원이 존재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방법은,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들을 확보하는 단계; 감시 대상이 되는 특정 현장에 투입되는 PS-LTE 단말기들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들의 진입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에 진입한 인원들의 이탈을 인식하는 단계; 및 진입 후 이탈이 확인되지 않은 인원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각 인원에 대한, 개인인식표 정보, 안전관리태그 정보, 투입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장비식별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은, 각 PS-LTE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태그 인식 단말이 인식하여 연결된 PS-LTE 단말기로 전송한 상기 개인인식표 정보, 상기 안전관리태그 정보, 상기 장비식별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S-LTE 단말기들을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되는 팀에 대하여 할당된 PS-LTE 단말기들을 상기 특정 현장을 위한 PS-LTE 단말기들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들의 진입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현장에 진입한 인원들의 이탈을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PS-LTE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진입 및 이탈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의 진입한 특정 인원이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되도록 지정되어 상기 특정 현상에 진입한 팀의 인원들 중에서, 상기 팀의 다른 인원들이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한 이후에도 이탈하지 않은 인원이 존재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을 실시하면, 저렴한 구축 비용으로 화재 진압 지역과 같은 위험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들의 출입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위험지역에서 현장으로 진입하는 소방관들의 현황과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으며, PS-LTE망 활용, 저비용으로 신속히 재해재난 현장진입자 확인 시스템을 구축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얼굴, 지문, 신용카드, 개인인식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식별이 가능하여, 시스템 구축 및 현장 사용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미국의 단순 개인인식표 이용 방식을 나타낸 사진.
도 2a 및 2b는 국내 소방본부 안전관리태그의 사용 방식을 나타낸 사진들.
도 3은 LTE망을 활용한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를 표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의 구축 구성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의 구축 구성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위험(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들의 위치 확인을 위해 고가의 위치 추적 단말을 모든 인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최대한 기 보급된 장비들을 이용하여 추가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위험(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인원들의 확인, 특히, 진입 후 이탈 확인을 감시(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도 3은 LTE망을 활용한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를 표현한 개념도이다.
상기 시스템의 구축 방안으로서, 위험 현장 투입 기관들에게 상당 비율로 보급된 PS-LTE 단말기와 식별태그를 인식하면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타 단말기와 접속이 용이한 근태단말기를 결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이 지향하는 PS-LTE망을 활용한 위험지역 현장진입자 모바일 확인시스템은, 2020년 11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도에 따라 건설현장에 의무적으로 시설하고 있는 근태단말기를 응용한 것이다.
먼저, 상기 근태단말기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전자카드제는 2020년 11월 27일 이후 발주하는 건설공사 중 공공부분 100
억원, 민간부분 300억원 이상의 대형건설공사부터 의무적용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2024년 1월 1일부터는 모든 퇴직공제 당연가입 대상 건설공사에 적용할 예정이다.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를 이용하면 건설근로자는 임금체불과 퇴직공제부금 누락 방지의 효과가 있고, 사업주에게는 근로인원 실시간 확인 기능이 있으며, 발주기관에서는 현장안전관리를 강화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는 근태단말기에 근로자가 가지고 있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를 태그하거나 지문을 인식하면 근로자의 출퇴근 기록을 LTE망을 통해서 건설근로자공제회 서버로 전송한 후 데이터를 가공하여 활용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를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것은 근태단말기가 부스형, 벽부형, 이동형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규모 팀단위 근로자이거나 단일 공사이지만 건설현장이 넓게 산재해 있는 송전선로와 배전선로 건설공사를 비롯하여 철도, 수도, 가스 등 네트워크형 공사현장 근로자에게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래서, 소규모 팀단위 근로자나 네트워크형 공사현장 근로자를 위해 모바일 근태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이는 LTE 통신모듈을 장착해서 전자카드/지문/얼굴을 인식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M200단말과, 전자카드를 인식한 후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M100 단말이다.
본 발명이 사상에 따라 구축되는 재난안전 통신망에서는 이 M200 모델과 M100 모델을 이용하여 위험지역 현장진입자 모바일 확인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다른 형태의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USB 등 유선 통신으로 PS-LTE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일종의 동글 단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구체적인 화재 현장 인원 관리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화재현장에 출동하는 소방관들은 소방차 별로 소그룹으로 구성된다. 선착대장을 따라 관할 소방관들이 도착하고 관할지역 밖의 응원 소방관들도 도착한다. 또한 행정기관 재난담당자, 의료진, 군인, 경찰, 전기/가스 기술자 등이 현장에 속속 도착하게 된다. 소방관들은 소그룹(팀)으로 나뉘어 현장으로 진입하기에 앞서 개인인식표, 안전관리태그 등을 이용해서 자신의 현장진입 여부를 표시한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현장진입 여부를 표시하는 것은 지역소방본부별 표준화된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일부 소방본부에서 활용하는 스마트 현장관리시스템은 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손쉽게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관할소방서와 응원소방서의 소방팀들이 뒤섞여서 개인인식표, 안전관리태그, 스마트 현장관리시스템 등을 통합하여 관리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화재진압 현장이 넓은 경우 현장지휘소에서 모든 소방관들의 현장진입 여부를 통제하고 파악하기 힘들다. 소규모 팀단위 소방관들은 화재 현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다방면의 출입구를 이용하거나, 출입구를 새로 만들기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은, 특정 현장을 위한 투입용으로 지정된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200);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이 보유하는 식별태그(10)를 인식할 수 있으며 PS-LTE 단말기(200)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인식 단말들(100); 및 상기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식별태그들(10)의 식별정보들로부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감시하는 현장 감시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태그(10)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각 인원에 대한, 개인인식표, 안전관리태그 또는 투입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장비식별태그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FID 태그가 내장된 개인인식표나, RFID와 유사한 비접촉식 상호인증 식별수단을 가지는 안전관리태그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위험 지역에 진입한 인원의 이탈을 확인하여야 하므로, 상기 식별태그(10)의 인식은 진입시와 이탈시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단한 구현의 경우, 상기 식별태그(10)가 인식되는 시각으로 진입/이탈을 구분하거나, 특정 태그에 대한 최초 인식을 진입으로, 다음번 인식을 이탈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구현의 경우, 예컨대, 이동식 근태단말기에서 건설근로자들이 출근 및 퇴근을 표시하는 것과 유사하게, 상기 인식 단말들 또는 상기 PS-LTE 단말기들(200)은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구별하여 상기 식별태그(10)를 인식할 수 있다.
개선된 구현에 따라, 상기 PS-LTE 단말기들(200)은, GPS 신호 및/또는 기지국(비컨) 정보로부터 획득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현장 감시 서버(400)로 제공한다.
상기 특정 현장에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는 각 인원은, 상기 특정 현장의 여러 지점들에 분산 파견되어 있는 각 중간 지휘자들이 소지한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200) 중 하나에 자신의 식별태그(10)를 인식시켜 진입을 표현하고, PS-LTE 단말기들(200) 중 다른 하나에 자신의 식별태그(10)를 인식시켜 이탈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현장 감시 서버(400)는 특정 식별태그(10)에 대하여 진입이 인식된 PS-LTE 단말기의 인식시 위치 정보로 진입 지점을 파악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식별태그(10)에 대하여 이탈이 인식된 PS-LTE 단말기의 인식시 위치 정보로 이탈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위험 지역의 긴급한 조치 중에 해당 인원이 소지하거나 장비에 부착된 상기 식별태그(10)가 훼손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상기 인식 단말들(100)은, 상기 식별태그(10) 뿐만 아니라, 얼굴, 지문, 홍채 등 생체 인식 방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상기 현장 감시 서버(400)는,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생체 인식 정보를 보유하여야 한다.
상기 현장 감시 서버(40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방법을 수행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하는 바, 위험 현장 감시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들 및 데이터들을 내부 저장소 또는 외부 DB에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현장 감시 서버(400)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팀들; 각 팀에 소속된 인원들 각각의 식별을 위한 정보들; 각 팀에 부여된 PS-LTE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들; 및 상기 특정 현장의 경계 등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현장 감시 서버(400)는 진입 후 이탈이 확인되지 않은 인원에 대한 조치를 수행한다. 예컨대, 해당 사안의 관련인들로서 총괄 지휘자 및 중간 지휘자로서 팀장(분대장)에게 이탈이 확인되지 않은 인원에 대한 통보 및 수색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제안을,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용으로 개발한 모바일 근태단말기를 변환/활용하여 PS-LTE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예시하겠다.
하기 표 1은 위험지역 현장진입자 모바일 확인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M100 단말 및 M200 단말의 외형 및 간단한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모바일 근태단말기는 LTE 통신 기능이 있는 M200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있는 M100 단말이 있다. M200 단말에는 PS-LTE 통신기능을 추가하고, M100 단말에는 PS-LTE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M1 단말은 도 4의 인식 단말(100)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M200 단말은 인식 단말과 PS-LTE 단말기의 일체형 단말기라고 볼 수 있다.
M100 , M200 단말들은 소방관의 개인인식표, 안전관리태그를 비롯하여, 개인 신용카드까지 인식할 수 있다. M200 단말을 중규모 소방팀이나 현장지휘소에 비치하고, M100 단말을 소규모 소방팀에 배분하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PS-LTE를 활용한 위험지역 현장진입자 모바일 확인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M200 단말을 적용하여 도 4의 인식 단말(100)과 PS-LTE 단말기(200)의 일체형 단말기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은, 소지한 인원을 식별하기 위한 안전관리태그; 특정 현장을 위한 투입용으로 지정되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이 보유하는 상기 안전관리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다수개의 일체형 PS-LTE 단말기들; 및 상기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식별태그들의 식별정보들로부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감시하는 현장 감시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은, 도 4의 인식 단말(100)과 PS-LTE 단말기(200)가 일체형 PS-LTE 단말기로 변경된 것 외에는 도 4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한 위험 현장 감시 방법은, 도 4의 현장 감시 서버(400)의 주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들을 확보하는 단계(S110); 감시 대상이 되는 특정 현장에 투입되는 PS-LTE 단말기들을 지정하는 단계(S120);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S140)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들의 진입을 인식하는 단계(S145, S150);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에 진입한 인원들의 이탈을 인식하는 단계(S160); 및 진입 후 이탈이 확인되지 않은 인원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S170, S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각 인원에 대한, 개인인식표 정보, 안전관리태그 정보, 투입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장비식별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비적으로, 얼굴, 지문, 홍채 등 생체 인식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은, 각 PS-LTE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태그 인식 단말이 인식하여 연결된 PS-LTE 단말기로 전송한 상기 개인인식표 정보, 상기 안전관리태그 정보, 상기 장비식별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들을 확보하는 단계(S110)는 도 4의 현장 감시 서버(400)가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 관련 기관의 서버로부터 투입 팀 및 소속 인원들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내부 저장소나 외부 DB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PS-LTE 단말기들을 지정하는 단계(S120)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되는 팀에 대하여 할당된 PS-LTE 단말기들을 상기 특정 현장을 위한 PS-LTE 단말기들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들의 진입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현장에 진입한 인원들의 이탈을 인식하는 단계, 즉, 진입 or 이탈을 구분하여 인식하는 단계(S145)에서는, 상기 PS-LTE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진입 및 이탈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식별태그가 인식되는 시각으로 진입/이탈을 구분하거나, 특정 태그에 대한 최초 인식을 진입으로, 다음번 인식을 이탈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S180)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의 진입한 특정 인원이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S180)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되도록 지정되어 상기 특정 현상에 진입한 팀의 인원들 중에서, 상기 팀의 다른 인원들이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한 이후에도 이탈하지 않은 인원이 존재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련인들로서, 총괄 지휘자 및 중간 지휘자로서 팀장(분대장)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방법 및 시스템의 예시적인 사용 상황을 간략히 살펴보겠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의 구축 구성을 도시하고,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의 구축 구성을 도시한다.
도 6a의 구축 구성은, 블루투스용 인식 단말인 M100 단말(100)과 PS-LTE폰(200)을 결합한 것으로, 각 M100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으로 PS-LTE폰(200)에 연결되며, 개인인식표 및 전자카드를 인식하며, 소규모 작전팀에 적합하다.
도 6b의 구축 구성은, PS-LTE용 통합 인식 단말로서 M200 단말(201)이 적용되며, 자체 PS-LTE 통신 기능이 추가되고, 개인인식표, 카드, 얼굴, 지문 인식이 가능하며, 현장 지휘소에 적합하다.
먼저, 전제 상황으로서 소규모의 소방팀 단위로 위험지역 현장진입자 모바일 확인시스템을 배분하는데, 각 소방팀마다 PS-LTE폰이 있으므로 저렴한 M100 단말을 빠르게 보급한다.
M100 단말은 소방관의 개인인식표와 개인신용카드 인식이 가능한 점에 착안하여 작전 중인 소방관의 경우 신용카드, 지문, 얼굴 인식기능은 사용이 곤란하므로 개인인식표나 안전관리태그를 주된 인식 방법으로 적용한다. 경우에 따라, 안전관리태그를 소방관 전원에게 보급하기 전까지 개인신용카드를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 가능하며, 작업 중 태그의 분실에 대비하여, 예비적으로 생체 인식이 가능한 M100 단말을 적용한다.
위험지역인 투입 현장에 도착하면 개인인식표(또는 신용카드)를 M100 단말(100)에 태그하고 진입한다.
M100 단말(100)은 PS-LTE폰(200)을 통해 현장에 진입한 소방관의 개인정보, 진입시간, 진입지역 GPS좌표를 현장에 있는 PS-LTE 고정기지국(301) 또는 임시기지국(202)을 통해 소방청 서버와 현장 지휘소와 작전지역 안에 있는 PS-LTE폰들로 PUSH 알림 전송한다.
현장 지휘소에서는 위험지역에 진입한 관할지역과 응원지역 소방관들의 개인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M200 단말(201)을 이용해서 소방관 이외에 진압작전에 투입한 경찰, 군인, 전기가스 기술자 등의 얼굴이나 지문을 곧바로 현장에서 등록하고 작전에 투입할 수도 있다.
현장 작업을 마친 소방관 등은 복귀 후 개인인식표 등을 단말기(100, 201)에 태그하여 작업 현장 이탈을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설명에서는 위험 현장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화재 현장으로 구체화하여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활용가능 상황 및 기관을 살펴보면, 화재진압현장, 수난재해현장, 산불재해현장 등 광범위한 재해현장에 투입한 진압작전 소방관과 구난활동 지원요원들 현장진입 상태 확인 용도, 고층건설현장, 지하건설현장, 위험물 보관소 건설현장 등 근태기록과 상관없이 위험지역에 투입하는 근로자의 안전확인용으로 활용 용도로 적용가능하다. 또한, 건설근로자들이나 사용자들이 위험지역 현장진입자 확인 단말기를 시설하여 운영하면 소방관리서버에서 GPS 좌표를 비교하여 새로운 관리현장으로 등록하고 일련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하는 방식으로 위험지역을 사전에 관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응용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 식별태그
100 : 인식 단말
200 : PS-LTE 단말기
400 : 현장 감시 서버

Claims (17)

  1. 특정 현장을 위한 투입용으로 지정된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이 보유하는 식별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며 PS-LTE 단말기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인식 단말들; 및
    상기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들의 식별정보들로부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감시하는 현장 감시 서버
    를 포함하는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태그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각 인원에 대한, 개인인식표, 안전관리태그 또는 투입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장비식별태그인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말들은,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구별하여 상기 식별태그를 인식하는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LTE 단말기들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현장 감시 서버로 제공하는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말들은,
    얼굴, 지문, 홍채 등 생체 인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생체 인식 정보를 보유하는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6. 소지한 인원을 식별하기 위한 안전관리태그;
    특정 현장을 위한 투입용으로 지정되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이 보유하는 상기 안전관리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 및
    상기 다수개의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들의 식별정보들로부터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의 진입 및 이탈을 감시하는 현장 감시 서버
    를 포함하는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팀들;
    각 팀에 소속된 인원들 각각의 식별을 위한 정보들;
    각 팀에 부여된 PS-LTE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들; 및
    상기 특정 현장의 위치 정보
    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들을 확보하는 단계;
    감시 대상이 되는 특정 현장에 투입되는 PS-LTE 단말기들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들의 진입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에 진입한 인원들의 이탈을 인식하는 단계; 및
    진입 후 이탈이 확인되지 않은 인원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상기 특정 현장의 진입한 특정 인원이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하는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감시 서버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되도록 지정되어 상기 특정 현상에 진입한 팀의 인원들 중에서, 상기 팀의 다른 인원들이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한 이후에도 이탈하지 않은 인원이 존재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하는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11.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들을 확보하는 단계;
    감시 대상이 되는 특정 현장에 투입되는 PS-LTE 단말기들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들의 진입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PS-LTE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는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에서 상기 특정 현장에 진입한 인원들의 이탈을 인식하는 단계; 및
    진입 후 이탈이 확인되지 않은 인원에 대한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원 식별을 위한 정보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각 인원에 대한, 개인인식표 정보, 안전관리태그 정보, 투입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장비식별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현장 감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태그의 인식 정보들은,
    각 PS-LTE 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태그 인식 단말이 인식하여 연결된 PS-LTE 단말기로 전송한 상기 개인인식표 정보, 상기 안전관리태그 정보, 상기 장비식별태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위험 현장 감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S-LTE 단말기들을 지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되는 팀에 대하여 할당된 PS-LTE 단말기들을 상기 특정 현장을 위한 PS-LTE 단말기들로 지정하는 위험 현장 감시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현장의 출입 인원들의 진입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현장에 진입한 인원들의 이탈을 인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PS-LTE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진입 및 이탈을 인식하는 위험 현장 감시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의 진입한 특정 인원이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하는 위험 현장 감시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치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현장에 투입되도록 지정되어 상기 특정 현상에 진입한 팀의 인원들 중에서, 상기 팀의 다른 인원들이 상기 특정 현장에서 이탈한 이후에도 이탈하지 않은 인원이 존재하면 관련인들에게 통보하는 위험 현장 감시 방법.

KR1020210137827A 2021-10-15 2021-10-15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4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27A KR20230054169A (ko) 2021-10-15 2021-10-15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27A KR20230054169A (ko) 2021-10-15 2021-10-15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69A true KR20230054169A (ko) 2023-04-24

Family

ID=8614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827A KR20230054169A (ko) 2021-10-15 2021-10-15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41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342B1 (ko) 2015-03-25 2015-11-10 주식회사 두빛 소방시간 체크시스템 및 상기 체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용 인식칩을 장착한 손전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342B1 (ko) 2015-03-25 2015-11-10 주식회사 두빛 소방시간 체크시스템 및 상기 체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용 인식칩을 장착한 손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199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subjects
US937301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 monitoring using aerial drones
US11024105B1 (e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US76056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location tracking and communications
US9497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ountability by interlinking electronic identities for access control and tracking of personnel during an incident or at an emergency scene
US20210400459A1 (e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US7245223B2 (en) Anti terrorist and homeland security public safety warning system
US7468658B2 (en) Emergency ingress/egress monitoring system
US11074792B2 (en) Mental health, safety, and wellness support system
US20150228183A1 (en) System for Monitoring Evacuation of a Facility
CN110114794A (zh) 事故指挥系统中的针对第一响应者的智能调试
US11778424B2 (en) Evacuation tracking
CN11499807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城市灾后联络方法和系统
US111725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nel accountability and tracking during public safety incidents
US201500519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et Accountability Information
KR20230054169A (ko) Ps-lte 망을 활용한 위험 현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387637B1 (ko) 소방활동지원 시스템 및 소방활동지원 방법
US11330095B2 (en) Emergency kit
KR102286448B1 (ko) 출동 관리 방법 및 인사 관리 시스템
CN110460817A (zh) 基于人脸识别和地理围栏的数据中心视频监控系统及方法
AU2018102252A4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Holden Learning from 9/11: organizational change in the New York City and Arlington County, Va., police departments
JP2018085106A (ja) 支援システム
RU2795794C2 (ru) Набор для экстренных ситуаций
Lanfranchi et al. GPS-based solution for tracking and protecting humanitarians in conflict z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