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903A -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903A
KR20230053903A KR1020210137245A KR20210137245A KR20230053903A KR 20230053903 A KR20230053903 A KR 20230053903A KR 1020210137245 A KR1020210137245 A KR 1020210137245A KR 20210137245 A KR20210137245 A KR 20210137245A KR 20230053903 A KR20230053903 A KR 20230053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coupling
electronic device
vehicle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3057B1 (en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박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훈 filed Critical 박종훈
Priority to KR102021013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57B1/en
Publication of KR2023005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a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The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a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main body which is fixedly installed at the inner structure of a vehicle to mount an electronic device, and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lurality of brackets which are individually and separably coupled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main body at loca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table which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rackets in a separable manner, an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coupling location to the plurality of brackets to cor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intervals among the plurality of brack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a center console in a vehicle, such that the passenger seated at the backseat may conveniently mount a mobile electronic device to use the same.

Description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A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a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뒷자석에 앉은 사용자가 편하게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을 그 상부에 안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a vehicular electronic device cradle, in which a user sitting in the back seat of a vehicle can comfortably mount and use a display electronic device and place various items thereon, and an electronic device cradle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will be.

현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를 차량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차량용 거치대의 경우 운전자나 조수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구조나 설치 형태가 적용된 경우가 대부분이다.Currently, various types of vehicle cradle have been developed for mount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so as to be conveniently used in vehicles. However, in most cases, a structure or installation form is applied to a user seated in a driver or passenger seat in most vehicle holders.

물론 운전석, 조수석의 헤드 레스트에 뒷자석에 착석한 사용자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경우가 있지만, 이는 헤드 레스트에 매립 고정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Of course, there are cases where display panels for users sitting in the back seat are installed on the headrests of the driver's seat and front passenger's seat, but these are embedded and fixed to the headrests, and are not a structure in which users can freely mount and use mobile electronic devices.

따라서, 본 출원인은 협소한 차량 뒷자리 공간에 모바일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뒷좌석 착석자가 영상, 이미지를 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제안하는 바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s a cradle that enables rear seat occupants to comfortably enjoy videos and images by allow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to be freely mounted in a narrow space behind the back seat of a vehicl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384호 (2009. 06. 02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900384 (2009. 06. 02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다양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뒷좌석 착석자가 편하게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 테이블 상에 다양한 물품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s provided so that various mobile display electronic devices can be mounted at the rear of the center console inside the vehicle, so that rear seat occupants can comfortably mount and use the electronic devices, as well as a separate tab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a vehicular electronic device cradle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various items thereon, and a vehicular electronic device cradl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모델에 따라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형상 및 구조 변경시에도 동일한 부품으로 적용 가능하여 부품 공용화에 따른 제조효율 및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a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that can be applied as the same part even whe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thereby increasing manufacturing efficiency and parts management efficiency according to parts sharing, and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including th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를 거치하도록 차량 내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대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브래킷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로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브래킷의 사이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브래킷과의 결합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ackets are connected to a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fixedly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structure to mount electronic devices, and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nd a tabl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rackets and is capable of adjusting a coupling position with the plurality of brackets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brackets. A table assembly is provided.

상기 복수의 브래킷은 각각,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 결합유닛; 및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테이블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테이블과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rackets includes a cradle coupl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vehicular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table coupl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table,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table being variably adjustable.

상기 테이블의 일측변 근방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장공이 마련되며,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테이블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장공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제1 테이블 결합부; 및 상기 테이블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서 상기 장공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1 테이블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테이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lurality of long holes are provided near one side of the tabl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table coupling unit can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at least a part thereof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ng ho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ble. 1 table joint; and a second table coupling portion contactable with a lower surface of the tabl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ng hole from a lower side of the table, and separably coupled to the first table coupling portion.

상기 제1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한 제1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장공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제1 삽입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한 제2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장공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1 삽입블록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삽입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삽입블록의 폭은 상기 장공의 폭과 동일하거나 일정이상 작을 수 있다.The first tabl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ing plate contactable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a first insertion block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and insertable into the long hole, and wherein the second table coupling unit includes: The part includes a second coupling plate contactab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and a second insertion block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insertable into the long hol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block. And,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blocks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width of the long hole.

상기 제2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의 단부에 절곡되게 마련되어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장공 근방의 상기 테이블의 일측면을 접촉 지지 가능한 지지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able coupl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connection plate provided to be bent at an end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capable of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side surface of the table near the long hole. there is.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는 차량 실내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은, 상기 연장부를 둘레방향으로 감싸면서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면과 대응하는 결합홈이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의 결합홈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때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includes a pair of extensions extending upward from the interior floor surface of the vehic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radle coupling unit surrounds the extension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 pair of cradle coupling parts each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unit; and anti-slip parts provided in each of the coupling grooves of the pair of cradle-coupled part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pair of cradle-coupled parts are coupled.

상기 슬립방지부는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nti-slip par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ubber and silicon.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대한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배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함과 더불어 조절된 배치각도를 유지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유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An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may be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the table coupling unit to variably adjust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table coupl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to maintain the adjusted arrangement angle. .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에는 제1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2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유지부는, 상기 제1 관통홀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치형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 치형부; 상기 제2 관통홀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치형부를 마주보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치형부의 치형과 맞물림 가능하도록 복수의 치형을 갖는 링 형상의 제2 치형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에 관통 삽입가능하며, 상기 제1 관통홀 또는 제2 관통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한 회전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through-hole is provided in the table coupling unit, a second through-hole is provided in the cradle coupling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has the first through-hole in its inner central region. A ring-shaped first tooth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table coupling unit so as to be located at a plurality of teeth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ing-shaped devic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cradle coupling unit facing the first tooth portion so that the second through hole is located in an inner central region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to be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first tooth portion. 2 teeth; and a rotary knob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screwable to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or the second through hole.

상기 각도 조절유지부는,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과 상기 회전노브 사이, 또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회전노브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노브의 나사 결합시 상기 제1 치형부와 제2 치형부 간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프링 와셔일 수 있다.The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table coupling unit and the rotation knob, or between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the rotation knob so that the rotation knob is tightly coupled between the first tooth portion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when the rotation knob is screwed.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may be made of silicone or rubber, or may be a spring wash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및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상기 차량 시트레일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이상 연장되며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거치부를 갖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mounting fram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enter console inside the vehicle and capable of hold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fixedly installed together with the vehicle seat rail at a seat rail fixing part for fixing the vehicle seat rail to the floor panel, and An electronic device cradle for a vehicle including a vehicular electronic device cradle main body having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at least a certain amount and to which the cradle coupling unit is detachably coupled, and a cradle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so as to mount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뒷좌석 착석자도 편하게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and the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including the tabl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at the rear of the center console inside the vehicle, so that the rear seat occupant can comfortably mount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an be used.

또한, 마운팅 프레임의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되게 고정됨으로써, 플로어 패널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차량 훼손없이 마운팅 프레임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 훼손에 대한 반감을 갖는 사용자에게 반감을 해소하고 설치에 대한 호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seat rail of the mounting frame is overlapped and fixed to the seat rail fixing part for fixing the vehicle seat rail to the floor panel, there is no need to process a separate screw hole in the floor panel and the mounting frame can be fixed to the floor panel without damaging the vehic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antipathy of users who have aversion to vehicle damage and to provide a favorable feeling for installation.

또한, 확장 플레이트 구조를 통해 플로어 패널에 대해 마운팅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 진동에 의해 마운팅 프레임 고정부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전체적인 설치 내구성이 하락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panel can be s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floor panel through the expansion plat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crease in overall installation durability due to the weakening of the fastening force of the mounting frame fixing part due to the driving vibration of the vehicle.

또한, 차량 모델에 따라 후술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의 형상 및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를 공통 부품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단일화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 및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bod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the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is used as a common part,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ing parts management efficiency due to unification of parts. can increase

또한, 테이블이 거치대 결합유닛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테이블 상에 거치된 물품에 대해 한층 편한 자세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tructure in which the table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radle coupling unit is provided, the user can use the article mounted on the table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또한, 각도 조절유지부를 통해, 테이블 상에 거치된 물품의 무게에 의해 테이블이 의도치 않게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table from unintentionally rotating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article mounted on the table through the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브래킷과 테이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의 브래킷과 테이블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테이블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8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nic device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cradle for a vehicl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of a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a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cket and table of Figure 5;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and the table of the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connec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ble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cket in FIG. 8;
11 and 12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bracket of FIG. 8;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racket of FIG. 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will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fully cover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는 디스플레이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현재 사용중인 차량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즉 차량의 플로어 패널 등과 같은 기본 차량 프레임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차량 훼손에 대한 반감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반감을 해소하고 설치에 대한 호감을 제공할 수 있다.A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a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and a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old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without damaging the vehicle currently in use, that is, It has a feature that can be installed on a basic vehicle frame, such as a vehicle floor panel, without additional screw hole processing, and can relieve users who have aversion to vehicle damage and provide a favorable feeling for installation.

또한, 차량 모델에 따라 후술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의 형상 및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를 공통 부품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단일화에 따른 제조 비용 절감 및 부품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bod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the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is used as a common part,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nd improving parts management efficiency due to unification of parts. can increase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1000, 이하 '거치대')는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10)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단말,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다양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기기(11)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와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1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hind the center console 10 inside the vehicle and includes a mobile terminal, a tablet PC, and a laptop computer. It is possible to mount various mobile display electronic devices 11, such as the like, and includes a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body 100 and a table assembly 200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먼저,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를 설명한다.First,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body 100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는 마운팅 프레임(110), 연장부(120) 및 거치부(130)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main body 100 includes a mounting frame 110, an extension part 120 and a mounting part 130, and is entirely made of metal. material or plastic material.

마운팅 프레임(110)은 차량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13)에 차량 시트레일(12)과 함께 고정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마운팅 프레임(110)은 차량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17)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13)에 중첩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중첩 설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The mounting frame 110 is fixedly installed together with the vehicle seat rail 12 to the seat rail fixing part 13 for fixing the vehicle seat rail 12 to the floor panel. In other words, the mounting frame 110 is fixedly installed to overlap the seat rail fixing part 13 for fixing the vehicle seat rail 12 to the floor panel 17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overlapping install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시트레일(12)은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 하부에 시트 위치를 조절하도록 마련되고, 시트레일 고정부(13)는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17)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시트레일과 연결된 별도 브래킷(미도시), 상기 브래킷을 플로워 패널에 고정하는 스크루(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플로어 패널에는 상기 스크루(14)가 브래킷 등을 통해 체결되도록 스크루가 관통되는 시트레일고정 스크루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레일 고정부(13)는 통상적인 구조로 적용 가능하며 관련 도면에는 통상적인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이외 다양한 구조로 적용 가능하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unting frame 11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vehicle seat rail 12 is provided to adjust the seat position under the driver's seat and passenger seat, and the seat rail fixing part 13 ) fixes the seat rail 12 to the floor panel 17, and may include a separate bracket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at rail, a screw 14 fixing the bracket to the floor panel, and the like. To elaborate, a seat rail fixing screw fastening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crew 14 is fastened through a bracket or the like is formed in the floor pane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rail fixing part 13 can be applied in a conventional structure, and an example of a typical structure is schematically shown in the related drawings,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other structure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110)은 베이스부(111),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4), 확장 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 the mounting frame 110 includes a base portion 111 , a pair of fixed flanges 114 , and an extension plate 116 .

먼저 베이스부(111)는 센터콘솔(10)의 후방 하부가 내측 영역에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이자면, 베이스부(111)는 센터콘솔(10)의 후방 형상과 일정 이상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질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내 협소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관련 도면에서 베이스부(111)의 하부에는 절개구(112)가 마련되고, 절개구(112)는 센터콘솔(10) 후방의 플로어 패널이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플로어 패널의 돌출된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First, the base portion 111 is formed in a concavely rounded shape so that the lower rear portion of the center console 10 can be disposed in the inner area. In addition, the base part 111 can be round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shape of the center console 10 or more to a certain extent, and thus can be installed efficiently in a narrow space in the vehicle. In the related drawings, a cutout 112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111, and the cutout 112 is formed in a relatively protruding form compared to other places on the floor panel at the rear of the center console 10. It can be cut in various shape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truding part of the.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랜지(114)는 베이스부(111)의 양단에 절곡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며,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5)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6)에 각각 중첩되게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운전석 시트레일과 한 쌍의 조수석 시트레일 중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을 고정하는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1 and 3, fixing flanges 114 are provided as a pair to be bent at both ends of the base part 111, and the driver's seat rail fixing part 15 and the passenger's seat seat rail fixing part 16 are fixed to overlap each other. Specifically, among the pair of driver's seat rails and the pair of passenger's seat rails, the driver's seat rail and the passenger's seat seat rail disposed most adjacently are overlapped and fixed to a seat rail fixing part fixing the driver's seat rail and the passenger's seat seat rail.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5)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6)는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17)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미도시), 스크루(14)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첩 고정'이라 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4)를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5)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6) 내측으로 삽입한 후 동일한 스크루(14) 체결을 통해 고정 플랜지를 고정함을 의미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seat rail fixing part 15 and the passenger seat seat rail fixing part 16 include a bracket (not shown) and a screw 14 for fixing the driver's seat rail and the passenger seat seat rail to the floor panel 17. ), Including, the 'overlapping fixing' means, as shown in FIGS. 3 and 4, a pair of fixing flanges 114 to the driver's seat seat rail fixing part 15 and the passenger's seat seat rail fixing part 16 After inserting it inside, it means fixing the fixing flange through the same screw 14 fastening.

부연하자면, 현재 체결되어 있는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5)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6)의 스크루(14)를 분리한 후, 시트레일 고정부의 브래킷(미도시) 등에 고정 플랜지(114)를 중첩되게 삽입(배치)한 후 분리된 스크루(14)를 다시 체결함으로써, 플로어 패널(17)에 대한 운전석(조수석) 시트레일과 고정 플랜지(114)의 고정 결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To elaborate, after separating the driver's seat rail fixing part 15 and the screw 14 of the passenger's seat rail fixing part 16, which are currently fastened, fix flange 114 to the bracket (not shown) of the seat rail fixing part. By inserting (arranging) them in an overlapping manner and then fastening the separated screws 14 again, the driver's seat (passenger's seat) seat rail and the fixing flange 114 to the floor panel 17 can be fixedly coupl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110)의 고정 플랜지(114)가 시트레일 고정부(13)에 중첩되게 고정됨으로써, 고정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차량 훼손없이 마운팅 프레임(110)을 플로어 패널(17)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flange 114 of the mounting frame 110 is overlapped and fixed to the seat rail fixing part 13 in this way, there is no need to process a separate screw hole in the floor panel to fix the fixing flange, and the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ounting frame 110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panel 17 without damage.

도 1에 도시된 도면번호 21은 스크루(14)가 관통되는 스크루 체결홀이고, 도면번호 22는 시트고정핀(미도시)이 관통되는 시트고정핀 관통홀이다. 여기서, 시트고정핀(미도시)은 후술하는 플로어 시트(18)를 플로어 패널상에 흔들림없이 고정하기 위한 핀이다.Reference number 21 shown in FIG. 1 is a screw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screw 14 passes, and reference number 22 is a sheet fixing pin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seat fixing pin (not shown) passes. Here, the sheet fixing pin (not shown) is a pin for fixing the floor sheet 18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floor panel without shaking.

다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플레이트(116)는 베이스부(111)의 측방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되며, 저면이 플로어 패널(17) 또는 플로어 시트(18)와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관련 도면에서는 플로어 패널(17) 상부에 플로어 시트(18)가 덮혀 있으므로 확장 플레이트(116)는 플로어 시트(18)와 접촉되고, 이하에서는 플로어 패널 상부에 플로어 시트가 마련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Next, as shown in FIGS. 1 to 4, the expansion plate 116 extends to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111 to have an expanded cross-sectional area, and the bottom surface contacts the floor panel 17 or the floor sheet 18. made possible In the related drawings, since the floor sheet 18 is covered on the floor panel 17, the expansion plate 116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heet 18.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floor sheet is provided on the floor panel will be described.

확장 플레이트(116)는 전체적으로 마운팅 프레임(110)과 플로어 시트(18) 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고정 플랜지(114)의 중첩 결합 부분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extension plate 116 increas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ounting frame 110 and the floor sheet 18 as a whole to prevent the bonding force of the overlapping coupling portion of the fixed flange 114 from being weakened due to vibration generated during vehicle driving. can do.

덧붙이자면, 확장 플레이트(116)가 없는 마운팅 프레임(110)은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4)가 일측으로 치우처셔 플로어 패널에 고정된 일종의 캔틸레버(cantilever)와 같으며, 이 경우 차량 주행진동에 의해 고정 플랜지(114)의 중첩결합 부분의 결합력이 현격히 저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플랜지(114)는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되게 고정됨에 따라, 이러한 결합력 저하는 심하게는 운전석(조수석) 시트레일의 고정 결합력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frame 110 without the expansion plate 116 is like a kind of cantilever in which a pair of fixed flanges 114 are fixed to the floor panel on one side, and in this case, the vehicle driving vibration The bonding force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xing flange 114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As described above, as the fixing flange 114 is overlapped and fixed to the seat rail fixing portion, this deterioration in coupling force may seriously adversely affect the fixing coupling force of the driver's seat (passenger's seat) seat rail.

본 발명은 확장 플레이트(116)가 베이스부(111)의 측방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플로어 시트(18)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시 마운팅 프레임(1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고 고정 플랜지(114)의 중첩결합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한층 감소시켜 전체적인 설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tension plate 116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that is extended to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111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floor sheet 18,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mounting frame 110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disperse and further reduce transmission to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fixing flange 114, thereby increasing overall installation durability.

다음, 연장부(120)는 후술하는 거치부(130)를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단부가 센터콘솔(10)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마운팅 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이상 연장된다.Next, the extension part 120 supports the mounting part 13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frame 110, and may be formed in a 'c' shape, for example, and its upper end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console 10. It extends over a certain length to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frame 110 so as to come to.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운팅 프레임(110)과 연장부(1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연장부(120)의 하단 영역을 마운팅 프레임(110)에 용접하여 일차 결합하고 이러한 결합 강도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118)를 마운팅 프레임(110)과 연장부(120)에 각각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해 연장부(120)를 견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frame 110 and the extension part 1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extension part 120 is firstly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110 by welding, and this combination In order to prevent weakening of strength, as shown in FIGS. 1 and 3 , reinforcing plates 118 may be welded to the mounting frame 110 and the extension part 120 , respectively. Thus, the extension part 120 can be firmly integrated with the mounting frame 110 .

연장부(1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센터콘솔(10)의 후방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차량 주행진동에 의해 센터콘솔과 미세하게나마 반복 접촉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표면 경도가 큰 연장부(금속 재질)와 상대적으로 표면 경도가 작은 센터콘솔 표면(가죽, 천 등)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센터콘솔에 스크래치, 찢겨짐이 발생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120 is disposed close to the rear of the center console 10, and a situation may arise where it repeatedly contacts the center console in a minute manner due to vehicle driving vibration. In this case, the extension has a relatively large surface hardness. Scratches and tears may occur on the center console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metal material) and the center console surface (leather, cloth, etc.) having a relatively low surface hardness.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콘솔(10)과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도록 연장부(120)에 완충부재(122)가 마련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22)는 외력에 의해 쉽게 탄성 압축, 팽창 가능한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from occurr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 a buffer member 122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part 120 to buffer a contact impact with the center console 10 . The buffer member 122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elastically compressed and expandable rubber, silicone, urethane, or the like, which is easily elastically compressed by an external force.

다음, 거치부(130)는 디스플레이 전자기기(11)를 거치 가능하도록 연장부(120)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거치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별도의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클램프의 다른 부분을 다시 거치부(130)에 클램핑하여 전자기기를 거치부(130)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련 도면에서, 거치부(130)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램프(미도시)를 클램핑할 수 있고 전자기기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적용되어도 무방하다.Next, the mounting unit 130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extension unit 120 so as to be able to mount the display electronic device 11, and the user clamps the electronic device to be mounted using a separate clamp (not shown), Another part of the clamp can be clamped again to the holder 130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holder 130 and used. In the related drawings, the mounting portion 130 is shown to have an approximately 'c' cross-section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clamp a clamp (not shown) and stabl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free to be

이하,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able assembly 200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will be described.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는 거치부(130) 외에 추가적으로 노트북, 핸드폰, 음료수병 등 다양한 물품을 그 상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의 연장부(120)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S. 1, 2, and 5 to 7, the table assembly 200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cradle for a vehicle mounts various items such as a laptop computer, a mobile phone, and a beverage bottle in addition to the holder 130 on the top thereof. As provided to be able to, it is connected to the extension part 120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body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는 복수의 브래킷(210)과 하나의 테이블(300)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assembly 200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s 210 and one table 300.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210)은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에 대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한 쌍의 연장부(12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S. 5 to 7, the bracket 210 is separated from the pair of extension parts 120 so as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body 100. It is made in a pair so that it can be combined as possible.

여기서, 한 쌍의 브래킷(210)은 각각,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테이블(3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테이블 결합유닛(220)을 포함한다.Here, the pair of brackets 210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and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detachably coupled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body 100, respectively, and the table 300 ) and a table coupling unit 22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여기서, 거치대 결합유닛(211)은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와 슬립방지부(217)를 포함한다.Here,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includes a pair of cradle coupling parts 213 and a slip prevention part 217 .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는 연장부(120)를 둘레방향으로 감싸면서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연장부(120)의 외면과 대응하는 결합홈(215)이 각각 마련된다.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는 서로간에 스크루 등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결합홈(215)은 연장부(120)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연장부(120)의 단면 형상 변경시 대응하여 변경 가능하다.A pair of cradle coupling parts 213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while surrounding the extension part 1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upling grooves 215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20 are provided, respectively. A pair of cradle coupling parts 213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screw or the like. The coupling groove 215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xtension 120, and thus can be changed correspondingly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xtension 120 is changed.

슬립방지부(217)는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의 결합홈(215) 내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때, 연장부(120)의 외면에 밀착되어 거치대 결합부(213)가 연장부(120)를 따라 하방으로 슬립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nti-slip parts 217 are provided in the coupling grooves 215 of the pair of holder coupling parts 213,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120 when the pair of holder coupling parts 213 are enga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radle coupling part 213 from slipping and moving downward along the extension part 120 .

슬립방지부(217)는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슬립방지부(217)는 각각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의 결합홈(215) 내에 고정될 수 있다.The anti-slip part 217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ubber and silicon, and the pair of anti-slip parts 217 may be fixed in the coupling grooves 215 of the pair of cradle coupling parts 213, respectively.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거치대 결합부(213)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슬립방지부(217)는 접착제 등을 통해 거치대 결합부(21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coupling part 213 may be made of metal or plastic, and the anti-slip part 217 may maintain a fixed state to the cradle coupling part 213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다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유닛(220)은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테이블(300)에 분리 가능하도록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테이블(300) 사이를 연결한다.Next, as shown in FIGS. 5 to 7, the table coupling unit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and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and the table so as to be separable from the table 300 ( 300) connect between them.

특히, 테이블 결합유닛(220)은 테이블(300)과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쌍의 테이블 결합유닛(2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테이블 결합유닛(220)에 대한 테이블(300)의 결합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table coupling unit 220 is made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table 300 can be variably adjusted, and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table coupling unit 220 while the pair of table coupling units 220 are fixed.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table 300 can be variably adjusted.

테이블(300)은 그 상부에 다양한 물품을 거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300)의 일측변 근방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장공(310)이 마련된다. 장공(310)의 개수는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테이블 결합유닛(220)의 개수에 대응된다.The table 300 is made to hold various items on its top, and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plastic, and metal, and as shown in FIGS. 1 and 6, near one side of the table 300, A plurality of long hole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umber of long holes 310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cradle coupling units 211 and table coupling units 22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테이블(300)은 한 쌍의 브래킷(21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로 결합되되, 한 쌍의 브래킷(210)의 사이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브래킷(210)과의 결합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 위치 조절을 위해 상기 장공(310)이 마련되며, 관련하여 부연 설명은 후술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brackets 210,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brackets 210 is changed, the pair of brackets ( 210) is made to be adjustable. The elongated hole 310 is provided to adjust the coupling position, and a detailed explanation in relation to it will be described later.

테이블 결합유닛(2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유닛(220)은 제1 테이블 결합부(221)와 제2 테이블 결합부(227)를 포함하며,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스크루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테이블 결합부(221)와 제2 테이블 결합부(227)도 상호간에 스크루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Describing the table coupling unit 220 in detail, as shown in FIGS. 5 to 7, the table coupling unit 220 includes a first table coupling unit 221 and a second table coupling unit 227, ,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through a screw or the like, and the first table coupling portion 221 and the second table coupling portion 227 are also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screw or the like.

제1 테이블 결합부(221)는 테이블(300)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테이블(300)의 상측으로부터 장공(310)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 결합플레이트(223)와 제1 삽입블록(225)을 포함한다.The first table coupling portion 221 is capable of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30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thereof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0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ble 300, the first coupling plate (223) and a first insertion block (225).

제1 결합플레이트(223)는 테이블(300)과의 결합시 테이블(300)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삽입블록(225)은 제1 결합플레이트(223)의 일면(저면)에 돌출되고 장공(3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late 223 is made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300 when combined with the table 300, the first insertion block 225 is one surfac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23 It protrudes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0.

제2 테이블 결합부(227)는 테이블(300)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테이블(300)의 하측에서 장공(310)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2 결합플레이트(229)와 제2 삽입블록(231)을 포함한다. The second table coupling part 227 is capable of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30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thereof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0 from the lower side of the table 300, and the second coupling plate (229) and a second insertion block (231).

제2 결합플레이트(229)는 테이블(300)과의 결합시 테이블(300)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제2 삽입블록(231)은 제2 결합플레이트(229)의 일면(상면)에 돌출되고 장공(3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late 229 is made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300 when coupled with the table 300, and the second insertion block 231 is on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9. It protrudes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테이블 결합부(221)와 제2 테이블 결합부(227)는 제1 삽입블록(225)과 제2 삽입블록(231) 간의 스크루 결합을 통해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able coupling portion 221 and the second table coupling portion 227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through a screw coupling between the first insertion block 225 and the second insertion block 231. are combined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삽입블록(225,231)의 폭(W)은 장공(310)의 폭과 동일하거나 일정이상 작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브래킷(210)과 테이블(300)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테이블(300)이 전후 방향(장공의 폭 방향)으로 미동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7, the width W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blocks 225 and 231 is preferab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ong hole 310, and thus the bracket 210 When the table 300 and the table 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fine movement of the table 3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long hole)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테이블 결합부(227)는 제2 결합플레이트(229)의 단부에 절곡되게 마련되어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스크루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장공(310) 근방의 테이블(300)의 일측면을 접촉 지지 가능한 지지연결플레이트(233)를 더 포함한다. 지지연결플레이트(233)는 거치대 결합부(213)에 스크루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the second table coupling part 227 is provided to be bent at the end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29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through a screw or the like. A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capable of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table 300 near the long hole 310 is further included.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part 213 through a screw or the like.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300)의 장공(3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는 서로 결합된 제1 삽입블록(225)과 제2 삽입블록(231)의 측면이 각각 접촉하는 상태이고, 장공(310) 근방의 테이블의 일측면에는 지지연결플레이트(233)가 접촉하는 상태이고, 테이블(30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제1 결합플레이트(223)와 제2 결합플레이트(229)가 접촉하는 상태를 갖는다. 이러한 접촉 지지구조를 통해, 테이블(300)이 브래킷(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테이블(300)은 전후방향의 흔들림 발생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배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sides of the first insertion block 225 and the second insertion block 231 coupled to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both inner walls of the long hole 310 of the table 300 facing each other. state,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table near the long hole 31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ble 300 are respectively first coupling plate 223 and second coupling plate 229 ) has a contact state. Through this contact support structure, in a state where the table 300 is coupled to the bracket 210, the table 300 can maintain a stable arrangement position while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shak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한편,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 간의 사이 간격과 콘솔박스의 크기(좌우 폭 등)는 차량 제조사와 모델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즉, 차량 모델별로 콘솔박스의 좌우 폭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100)의 한 쌍의 연장부(120) 간의 사이간격 또한 대응하여 변경될 수 밖에 없다.Mean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r's seat seat rail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rail and the size (left and right width, etc.) of the console box are variously applied depending on the vehicle manufacturer and model.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console box changes for each vehicle model,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extensions 120 of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main body 100 also has to be changed correspondingly.

이러한 경우에서, 브래킷(210)에 대한 테이블(300)의 결합 위치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없다면 결국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를 차량 모델에 따라 다수로 준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table 300 to the bracket 210 cannot be adjusted as needed, a problem of having to prepare a plurality of table assemblies 200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may occur. there is.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300)에 한 쌍의 장공(310)을 마련하고, 테이블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공(310) 내측의 제1 삽입블록(225)과 제2 삽입블록(231)의 배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결국 차량 모델 변경에 상관없이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를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커다란 이점이 있다. 덧붙여, 부품의 공용화(단일화)를 구현하여 전체 제품의 제조단가 및 부품관리에 있어 확실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of long holes 310 on the table 300, and moves the 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insertion block 225 and the second insertion block inside the long hole 310 are formed. By variably adjus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231, eventually there is a great advantage that the table assembly 200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can be used in common regardless of vehicle model chan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r advantage in manufacturing unit cost and parts management of the entire product by realizing common (unification) of part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200)의 변형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modified example of the table assembly 200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테이블 결합유닛(220)의 연결 부위에는,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대한 테이블 결합유닛(220)의 배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함과 더불어 조절된 배치각도를 유지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유지부(240)가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 예로 테이블(300) 상에 책을 펼쳐 놓은 상태에서 테이블의 각도를 조절하여 좀 더 편한 자세로 독서하거나 테블릿 pc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핑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8 to 10,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and the table coupling unit 220,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table coupling unit 220 relative to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is variably adjusted. In addition to being possible, an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240 is additionally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aintain the adjusted arrangement angle. Accordingly, for example, the user may adjust the angle of the table in a state where the book is spread on the table 300 to read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or surf the Internet using a tablet pc.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유지부(240)는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대한 테이블 결합유닛(220), 즉 테이블(300)의 배치 자세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즉 각도 변경 후 변경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필요시 다시 변경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 치형부(241), 제2 치형부(242), 회전노브(243) 및 탄성부재(25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9 to 12, the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240 can variably adjust the arrangement posture angle of the table coupling unit 220, that is, the table 300, with respect to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That is, it is made to maintain the changed angle after changing the angle and can be changed again if necessary, and includes a first tooth portion 241, a second tooth portion 242, a rotary knob 243 and an elastic member 251. do.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결합유닛(220)에는 제1 관통홀(253)이 마련되고, 거치대 결합유닛(211)에는 제1 관통홀(253)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2 관통홀(255)이 마련된다. 덧붙이자면, 전술한 지지연결플레이트(233)에는 제1 관통홀(253)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제1 구조체가 연장되며 이러한 제1 구조체와 지지연결플레이트(233)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연결플레이트(233)와 상기 제1 구조체의 일체화된 결합체를 지지연결플레이트라 하기로 한다. 또한,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213) 중 하나에는 상기 제1 구조체와 결합되도록 별도의 제2 구조체가 연장되며 이러한 제2 구조체와 거치대 결합부(213)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거치대 결합부(213)와 상기 제2 구조체의 일체화된 결합체를 거치대 결합부라 하기로 한다.10 to 12, a first through hole 253 is provided in the table coupling unit 220, and a second through hole 253 is provided in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253. A hole 255 is provided. In addition, a separate first structure for forming the first through hole 253 extends from the above-described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and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are integrally form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ntegrated body of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and the first structure will be referred to as a support connection plate. In addition, a separate second structure extends to one of the pair of cradle coupling portions 213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nd the cradle coupling portion 213 are integrally form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integrated assembly of the cradle coupling portion 213 and the second structure will be referred to as a cradle coupling portion.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연결플레이트(233)에 제1 관통홀(253)이 형성되고, 거치대 결합부(213)에 제2 관통홀(255)이 형성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hrough hole 253 is formed in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55 is formed in the cradle coupling part 213 .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치형부(241)는 제1 관통홀(253)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도록, 부연하자면 제1 관통홀(253)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테이블 결합유닛(220)의 지지연결플레이트(233)와 연결되는 상기 제1 구조체의 일측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치형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0 to 12, the first tooth portion 241 surrounds the first through hole 25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o put it another way, the first through hole 253 is located in its inner central region.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one side of the first structure connected to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of the table coupling unit 220, and a plurality of teeth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여기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형은 서로 간에 90도 이상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치형면(257,258)과 제1 치형면과 제2 치형면 사이를 연결하는 원호 형태의 제3 치형면(259)을 포함한다.Here, as shown in FIG. 13, the teeth are first and second tooth surfaces 257 and 258 forming an angle of 90 degrees or more between each other, and a circular arc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tooth surfaces. 3 toothed surface 259.

이에 따라, 제1 치형부(241)는 전체적으로 완만한 곡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린 상태의 치형부 간의 사이간극을 증가시켜 테이블(300)을 회전시킴으로써 테이블(300)의 배치 자세 및 배치 각도를 변경하고자 할 때 테이블을 한층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tooth portion 24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gentle curv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as a whole,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able ( 300), the table can be rotated more easily when changing the arrangement posture and arrangement angle.

제2 치형부(242)는 제2 관통홀(255)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도록, 부연하자면 제2 관통홀(255)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거치대 결합유닛(211)의 거치대 결합부(213)와 연결되는 상기 제2 구조체의 일측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치형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치형부(242)는 제1 치형부(241)의 치형과 맞물림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tooth portion 242 surrounds the second through hole 255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o put it another way, the second through hole 255 is located in the inner central region of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of the cradle coupling unit ( 213)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one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teeth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cond tooth portion 242 is made to be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first tooth portion 241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치형부(241)는 지지연결플레이트(233)와 연결되는 상기 제1 구조체의 일측면 상에 일정이상의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마련되고, 제2 치형부(242)는 거치대 결합부(213)와 연결되는 상기 제2 구조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로 마련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oth portion 24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structure connected to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in a state of protruding at a certain height or more,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242 ) is provided in a recessed state so as not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tructure connected to the holder coupling part 213.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에 안정적인 치형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구조체와 제2 구조체는 상호 간에 간극 발생이 없이 측방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착 결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300)을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3, in a state in which a stable tooth coupling is made between the first tooth portion 24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242, the first structure and the second structure are lateral without gaps between them. It can be in close contact, and this close coupling can more stably support the tabl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 회전노브(243)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손으로 잡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의 맞물림 정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rotary knob 243 is for variably adjusting the degree of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toothed portion 241 and the second toothed portion 242 while the user holds the rotating knob 243 by hand and rotates it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회전노브(243)는 회전노브 본체(245)와 나사부(246)를 포함한다. 회전노브(243)는 제1 관통홀(253)과 제2 관통홀(255)에 관통 삽입가능하며, 제1 관통홀(253) 또는 제2 관통홀(255)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 결합된다. 관련 도면에는 제1 관통홀(253) 내면에 나사산이 결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The rotary knob 243 includes a rotary knob body 245 and a threaded portion 246 . The rotary knob 243 can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53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55, and is screwed to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53 or the second through hole 255. do. In the related drawings, a case in which a screw thread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53 is shown as a reference.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회전노브(24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관통홀(253)의 나사산에 대한 나사부(246)의 체결 깊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의 맞물림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테이블 결합유닛(220)은 전술한 치형부 간의 견고한 맞물림을 통해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거치대 결합유닛(211)에 대해 회전 불가한 상태를 갖는다.Therefore, the user increases the fastening depth of the threaded portion 246 to the thread of the first through hole 253 by, for example, rotating the rotary knob 243 in a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tooth portion 241 and the second tooth The degree of engagement between the molded parts 242 may be increased. At this time, the table coupling unit 220 has a state firm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through the above-described solid engagement between the teeth, and specifically has a non-rotatable state with respect to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

반대로, 사용자는 회전노브(24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관통홀(253)의 나사산에 대한 나사부(246)의 체결 깊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의 맞물림 정도를 일정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Conversely, the user rotates the rotation knob 243 in a reverse direction to reduce the fastening depth of the threaded portion 246 to the screw thread of the first through hole 253, so that the first tooth portion 24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242 ) can reduce the degree of interlocking to a certain extent or more.

즉, 치형부 간의 결합력이 일정이상 감소함에 따라 거치대 결합부(213)에 연결되는 제2 구조체에 대해 지지연결플레이트(233)에 연결되는 제1구조체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테이블(30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한 상태가 된다.That is, a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eeth is reduced by a certain amount or more, the first structure connected to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become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structure connected to the cradle coupling part 213. That is, the angle of the table 300 becomes adjustable.

사용자는 테이블을 원하는 각도롤 회전시킨 후, 필요시 다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노브(24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치형부와 제2 치형부 간의 결합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제2 구조체에 대한 제1 구조체의 회전 가능상태를 구속시킬 수 있다.After rotating the table at a desired angle, the user rotates the rotary knob 243 in the forward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o increase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first teeth and the second teeth, if necessary. The rotatable state of the structure can be constr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다양한 치형부들은 그 치형부들이 연결되는 대상체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치형부들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뿐 아니라 치형부들과 상기 대상체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bject to which the teeth are connected is a plastic material, the teeth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ntegrally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In addition, the teeth and the object are It may also be integrally injection molded.

다음,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유지부(240)는 테이블 결합유닛(220)과 회전노브(243) 사이, 또는 거치대 결합유닛(211)과 회전노브(243)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노브(243)의 나사 결합시 제1 치형부(241)와 제2 치형부(242) 간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251)를 더 포함한다.Next, as shown in FIGS. 10 to 13, the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240 is between the table coupling unit 220 and the rotary knob 243, or between the cradle coupling unit 211 and the rotary knob 243.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251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 knob 243 is tightly coupled between the first tooth portion 241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242 when the screw is engaged.

이러한 탄성부재(2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노브(243)의 정방향 회전을 통해 거치대 결합부(213)에 연결되는 제2 구조체에 대한 지지연결플레이트(233)에 연결되는 제1 구조체의 회전 제한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ember 251 limits the rotation of the first structure connected to the support connection plate 233 for the second structure connected to the holder coupling part 213 throug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rotary knob 243. It serves to help keep the state more stable.

탄성부재(251)는 서로 대응하여 맞물림 결합되는 복수의 치형부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추가적인 가압력을 제공하여 치형 간의 결합력을 한층 증가시킴으로써, 테이블(300)에 일정 무게 이상의 물품이 안착된 상태에서 테이블 결합유닛(220)이 그 무게를 지지하지 못하고 회전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51 provides an additional press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interlocking to a plurality of teeth that are interdigitated to each other to further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eeth, thereby increasing the table 300 in a state in which items of a certain weight or more are se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table coupling unit 220 rotates without supporting its weigh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51)는 서로 대응 결합하는 치형부 간에 서로 접근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스프링 와셔로 적용 가능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251 may be any elastic member 251 as long as it can provide pressing force to approach each other between correspondingly coupled teeth, and is specifically made in the form of a ring made of silicone or rubber, or a spring. Applicable with washers.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센터콘솔 12: 차량 시트레일
13: 시트레일 고정부 15: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
16: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 17: 플로어 패널
18: 플로어 시트 1000: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100: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 110: 마운팅 프레임
111: 베이스부 114: 고정 플랜지
116: 확장 플레이트 118: 보강 플레이트
120: 연장부 122: 완충부재
200: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210: 브래킷 211: 거치대 결합유닛
213: 거치대 결합부 217: 슬립방지부
220: 테이블 결합유닛 221: 제1 테이블 결합부
223: 제1 결합플레이트 225: 제1 삽입블록
227: 제2 테이블 결합부 229: 제2 결합플레이트
231: 제2 삽입블록 233: 지지연결플레이트
240: 각도 조절유지부 241: 제1 치형부
242: 제2 치형부 243: 회전노브
245: 회전노브 본체 246: 나사부
251: 탄성부재 253: 제1 관통홀
255: 제2 관통홀 257: 제1 치형면
258: 제2 치형면 259: 제3 치형면
300: 테이블 310: 장공
10: center console 12: vehicle seat rail
13: seat rail fixing part 15: driver's seat seat rail fixing part
16: passenger seat seat rail fixing part 17: floor panel
18: floor sheet 1000: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100: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body 110: mounting frame
111: base part 114: fixed flange
116: expansion plate 118: reinforcement plate
120: extension 122: buffer member
200: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210: bracket 211: cradle coupling unit
213: cradle coupling part 217: slip prevention part
220: table coupling unit 221: first table coupling unit
223: first coupling plate 225: first insertion block
227: second table coupling part 229: second coupling plate
231: second insertion block 233: support connection plate
240: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241: first tooth portion
242: second tooth portion 243: rotary knob
245: rotary knob body 246: screw part
251: elastic member 253: first through hole
255: second through hole 257: first tooth surface
258: second tooth surface 259: third tooth surface
300: table 310: long hole

Claims (11)

전자기기를 거치하도록 차량 내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에 대해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브래킷; 및
상기 복수의 브래킷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로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브래킷의 사이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복수의 브래킷과의 결합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I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body fixedly installed in the vehicle interior structure to mount the electronic device,
a plurality of bracket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body; and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including a tabl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rackets and configured to adjust a coupling position with the plurality of brackets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brackets. table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래킷은 각각,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 결합유닛; 및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테이블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테이블과의 결합위치가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테이블 결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brackets,
a cradle coupl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body; and
In addition to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it is coupled to the table so as to be detachable, and a table coupling unit for connecting the cradle for a vehic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ble coupling unit formed so that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table can be variably adjusted. assemb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변 근방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장공이 마련되며,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은,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테이블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장공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제1 테이블 결합부; 및
상기 테이블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서 상기 장공 내측으로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1 테이블 결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테이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A plurality of lo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provided near one side of the table,
The table coupling unit,
a first table coupling part contactable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partially insertable into the long ho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ble; and
A second table coupling portion capable of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ng hole from the lower side of the table, and separably coupled to the first table coupling portion.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테이블의 상부면에 접촉 가능한 제1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1 결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장공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제1 삽입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테이블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한 제2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되고 상기 장공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1 삽입블록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삽입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삽입블록의 폭은 상기 장공의 폭과 동일하거나 일정이상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table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coupling plate contactable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table and a first insertion block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late and insertable into the long hole,
The second tabl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late contactab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a second coupling plate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insertable into the long hol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block. Includes 2 insertion blocks,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block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long hole or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a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블 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플레이트의 단부에 절곡되게 마련되어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장공 근방의 상기 테이블의 일측면을 접촉 지지 가능한 지지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table coupling unit,
A support connection plate provided to be bent at an end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capable of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table near the long hole.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는 차량 실내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은,
상기 연장부를 둘레방향으로 감싸면서 서로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의 외면과 대응하는 결합홈이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 및
상기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의 결합홈 내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거치대 결합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때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밀착되어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 body extends upward from the vehicle interior floor surface and includes a pair of extensio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radle coupling unit,
A pair of cradle coupling parts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while surrounding the extension part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ach having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s; and
An electronic device crad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nti-slip part provided 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pair of cradle coupling parts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pair of cradle coupling parts are coupled.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고무,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6,
The anti-slip part comprises at least one material of rubber and silico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 대한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배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함과 더불어 조절된 배치각도를 유지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유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An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the table coupling unit to variably adjust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table coupl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to maintain the adjusted arrangement angle. A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vehicle electronic device holde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에는 제1 관통홀이 마련되고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에는 상기 제1 관통홀과 연통 가능하도록 제2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각도 조절유지부는,
상기 제1 관통홀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치형이 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 치형부;
상기 제2 관통홀이 그 내측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치형부를 마주보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치형부의 치형과 맞물림 가능하도록 복수의 치형을 갖는 링 형상의 제2 치형부; 및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에 관통 삽입가능하며, 상기 제1 관통홀 또는 제2 관통홀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 결합 가능한 회전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8,
A first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table coupling unit,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cradle coupling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The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a ring-shaped first tooth portion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table coupling unit so that the first through hole is located in an inner central region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ing-shaped devic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cradle coupling unit facing the first tooth portion so that the second through hole is located in an inner central region thereof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to be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first tooth portion. 2 teeth; and
A rotary knob insertable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screwable to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or the second through hole, table assemb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유지부는,
상기 테이블 결합유닛과 상기 회전노브 사이, 또는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과 상기 회전노브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노브의 나사 결합시 상기 제1 치형부와 제2 치형부 간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프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9,
The angle adjustment holding unit,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table coupling unit and the rotation knob, or between the cradle coupling unit and the rotation knob so that the rotation knob is tightly coupled between the first tooth portion and the second tooth portion when the rotation knob is screwed in, ,
The elastic member is made of silicone or rubber, or is a spring washer.
제2항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 및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상기 차량 시트레일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이상 연장되며 상기 거치대 결합유닛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장부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거치부를 갖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Table assembly for connecting the vehicle electronic equipment cradle according to claim 2; and
A mounting frame tha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enter console inside the vehicle and is capable of hold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and is fixedly installed together with the vehicle seat rail at a seat rail fixing part for fixing the vehicle seat rail to the floor panel, and an upper side of the mounting frame. A vehicular electronic device cradle comprising a body of an vehicular electronic device cradle having an extension portion extended over a certain amount and coupled to the cradle coupling unit to be detachable, and a cradle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so as to be able to mount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0210137245A 2021-10-15 2021-10-15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KR102593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45A KR102593057B1 (en) 2021-10-15 2021-10-15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245A KR102593057B1 (en) 2021-10-15 2021-10-15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903A true KR20230053903A (en) 2023-04-24
KR102593057B1 KR102593057B1 (en) 2023-10-23

Family

ID=8614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245A KR102593057B1 (en) 2021-10-15 2021-10-15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5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031U (en) * 1993-12-31 1995-07-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Car portable computer table
US6279800B1 (en) * 1999-05-28 2001-08-28 Ming-Chi Lee Multifunctional tray for motor vehicles
KR200437419Y1 (en) * 2006-10-23 2007-12-03 임범석 The mounting apparatus of monitor for automobile
US20090084291A1 (en) * 2007-10-01 2009-04-02 Long Ronald W Steering wheel table
KR100900384B1 (en) 2008-05-15 2009-06-02 박옥련 An electronic machine braket for the ca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031U (en) * 1993-12-31 1995-07-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Car portable computer table
US6279800B1 (en) * 1999-05-28 2001-08-28 Ming-Chi Lee Multifunctional tray for motor vehicles
KR200437419Y1 (en) * 2006-10-23 2007-12-03 임범석 The mounting apparatus of monitor for automobile
US20090084291A1 (en) * 2007-10-01 2009-04-02 Long Ronald W Steering wheel table
KR100900384B1 (en) 2008-05-15 2009-06-02 박옥련 An electronic machine braket for the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057B1 (en)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4491B1 (en) Support device of an adjustable vehicular display integrated in the dashboard of a vehicle, in particular an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
US7008013B2 (en) Structure for securing cup support element in automotive seat
JP2015074241A (en) Head rest and vehicle seat
KR20230053903A (en) table assembly for connection to vehicle electronic device cradle and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having the same
JP7480741B2 (en) Seat device
JP5408563B2 (en) Car seat with air pump
JP6380118B2 (en) Headrest
KR102378328B1 (en)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CN115230550A (en) Vehicle seat back comprising at least one vibration device
KR200366679Y1 (en) Vehicle notebook fixation market
JP7421358B2 (en) Storage compartments and vehicle seats
JP2023165338A (en)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internal structure
JPH11252232A (en) Telephone set holder
JP5628101B2 (en) Car seat
JP2000272401A (en) Holder
JP6962120B2 (en) Vehicle seat
CN211684927U (en) Cell-phone groove assembly and car
JPH0752717A (en) Seat device
US20230382282A1 (en) Door-mounted handrest
KR100452915B1 (en) Apparatus for mounting flat display device
JP2008195273A (en) Table for automobile use
JP2003265261A (en) Support structure for resin seat frame
JP3202461U (en) Automotive shelf
JP2024052480A (en) Vehicle seats
JPH0958359A (en) Roof console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