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386A - Pogo pin - Google Patents

Pogo p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386A
KR20230053386A KR1020210136832A KR20210136832A KR20230053386A KR 20230053386 A KR20230053386 A KR 20230053386A KR 1020210136832 A KR1020210136832 A KR 1020210136832A KR 20210136832 A KR20210136832 A KR 20210136832A KR 20230053386 A KR20230053386 A KR 20230053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ogo pin
bottom plunger
hook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9686B1 (en
Inventor
송현태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3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686B1/en
Publication of KR20230053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3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6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 pogo pin,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go pin, wherein a top plunger located at the top of the pogo pin and a bottom plung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ogo pin are relatively displaced to each other, but the relative displacements of the top plunger and bottom plunger are stably guided and coupling of the top plunger and bottom plunger is maintained stably, thereby reducing positional distortion and improving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Description

포고 핀{POGO PIN}POGO PIN {POGO PIN}

본 발명은 포고 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탑 플런저와, 하부에 위치하는 바텀 플런저가 서로 상대 변위하되, 탑 플런저와 바텀 플런저의 상대 변위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위치 틀어짐이 적어지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포고 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go pin, wherein a top plunger located at the top and a bottom plunger located at the bottom are displac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is stably guided and the coupling is stably maintained, so that the position A pogo pin with less distortion and improved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반도체 장치 등 각종 전기 부재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포고 핀과 같은 압접형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various electrical members, such as semiconductor devices, to each other, press-fit connectors such as pogo pins are used.

이러한 포고 핀은, 포고 핀을 구성하는 플런저(plunger)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포고 핀의 작동 시, 플런저 사이의 위치가 틀어져서 형태가 붕괴되어 플런저 사이의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유지되지 않거나, 또는 플런저 사이의 접촉 면적이 작을 경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In such a pogo pin, electrical contact between plungers constituting the pogo pin is very important. For example, when the pogo pin is operated, the position between the plungers is distorted and the shape collapses,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plungers is not maintained, or 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lungers is small, the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may be very low. .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위치 틀어짐이 방지되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포고 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ogo pin that solves these problems, prevents displacement, and improves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공개특허 제10-2011-0048446호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4844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탑 플런저와, 하부에 위치하는 바텀 플런저가 서로 상대 변위하되, 탑 플런저와 바텀 플런저의 상대 변위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고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서, 위치 틀어짐이 적어지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포고 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op plunger located at the top and the bottom plunger located at the bottom relatively displace each other, but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is stably guided and the coupling is stable. As it is maintained, the object is to provide a pogo pin in which positional displacement is reduced and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is improved.

포고 핀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하는 탑 플런저; 하부에 위치하는 바텀 플런저; 및 상기 탑 플런저와 바텀 플런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탑 플런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적어도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플런저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라인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전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천공되는 관통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가 결합되면, 상기 스프링은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탑 플런저의 상기 제1 바디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바텀 플런저의 중공 내에 투입되며, 상기 연결 돌기부는 상기 연결 라인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상대 변위하되, 상기 연결 돌기부가 상기 연결 라인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의 상하 방향 상대 변위가 안내된다.A pogo pin comprising: a top plunger located on an upper portion; Bottom plunger located in the lower part; and a spring positioned between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to apply elasticit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move away from each other, wherein the top plunger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body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part protru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a connection protrusio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and protruding forward, wherein the bottom plunger includes a second body part having a hollow penetr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line formed in a front part of the second body and extending in an up-and-down direction, wherein the connection line is formed of a through-hole punched in a front-back direction in at least a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the top plunger When the bottom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are coupled, the spring is located between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ody of the top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bottom plunger,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unger. Located within the line portion,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slide in a vertical direction to displace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is located within the connecting line portion to guid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in a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부는, 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돌기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후면이 전방으로 펀칭 가공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함몰되는 입체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body portion is composed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punched forwar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 It is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 part that protrudes forward and sinks backward.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돌기부는, 상면에 형성되는 편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편평면은 연결 라인부의 상단부에 걸림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protrusion includes a flat surfac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the flat surface is caught on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uni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돌기부는, 전면에 형성되는 슬로프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로프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폭이 커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protrusion includes a slo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width of the slope surface protrudes for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creases.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텀 플런저는, 상기 중공의 내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라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ttom plunger further includes a guide line formed on a front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sitioned above the connection line portion, and extending vertically.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라인의 전후 방향 깊이는, 상부분이 하부분에 비해서 더 깊은 깊이를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pth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guide line, the upper part has a deeper depth than the lower part.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텀 플런저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가 벤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양 단부 부분이 맞닿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는 캐뉼라 형태로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ttom plunge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nnula in which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a is bent so that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plat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ollow is formed inside the plate.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는, 측방향 일 단부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는 제1 후크와, 측방향 타 단부에 측 방향으로 함몰되고 전후 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벤딩되었을 때, 상기 제1 후크가 상기 제2 후크 내에 삽입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ate, a first hook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t one e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rotruding and sink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first hook rec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rotruding and sink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t includes 2 hooks, and when the plate is bent, the first hook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ok.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스프링 내에 내삽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pring, and the spring is locat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2 바디부의 내면에 밀착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제2 바디부의 내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밀착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bod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한 포고 핀은, 탑 플런저와 바텀 플런저 사이의 상대 변위가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되고, 위치 틀어짐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바텀 플런저의 형상이 유지되고,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므로,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is guided more stably, and the positional displacement prevention effect can be improved. Also, since the shape of the bottom plunger is maintain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is maintained,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may be improve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분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의 A-A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는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탑 플런저의 하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바텀 플런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의 B-B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바텀 플런저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바텀 플런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paration structure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long the AA direction of FIG.
4 and 5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ich are enlarged views of the lower end of the top plunger.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bottom plunger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long the BB direction of FIG. 2 .
7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bottom plunger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bottom plunger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분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의 A-A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는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탑 플런저(100)의 하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바텀 플런저(20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의 B-B 방향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eparated structure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long the A-A direction of FIG. 4 and 5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ich are enlarged views of the lower end of the top plunger 100.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bottom plunger 200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long the B-B direction of FIG. 2 .

이하 설명에서,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은 도 2 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좌우 방향은 X 축 방향이고, 전후 방향은 Y 축 방향이며, 상하 방향은 Z 축 방향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are described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FIG. 2 . That is, the left-right direction is the X-axis direction, the front-back direction is the Y-axis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is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은, 탑 플런저(100), 바텀 플런저(200), 및 스프링(300)을 포함한다.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unger 100, a bottom plunger 200, and a spring 300.

<탑 플런저(100)><Top Plunger (100)>

탑 플런저(100)는 포고 핀의 상부분을 구성한다. The top plunger 100 constitutes an upper part of the pogo pin.

탑 플런저(100)는 제1 바디부(110), 지지부(120), 및 연결 돌기부(130)을 포함한다.The top plunger 100 includes a first body part 110 , a support part 120 , and a connection protrusion part 130 .

제1 바디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태의 부분이다. 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a bar-shaped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부(110)의 상단 부분에는 예컨대 크라운(crown)과 같은 입체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부(110)의 상단 부분과, 포고 핀 상부에 놓여지는 반도체 칩 패키지의 단자부(미도시)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olid shape such as, for example, a crown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 Accordingly,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terminal portion (not shown) of the semiconductor chip package placed on the pogo pin can be effectively made.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부(110)의 하단 부분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곡면 모서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탑 플런저(100)가 바텀 플런저(200)의 중공(212) 내에 투입되고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가 결합될 때, 제1 바디부(110)의 하단이 충돌하거나 마찰하는 것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chamfer por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to have a curved edge. Therefore, when the top plunger 100 is put into the hollow 212 of the bottom plunger 200 and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re coupled,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110 collides or rubs doing may decrease.

지지부(12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의 적어도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예컨대 지지부(120)는 제1 바디부(110)의 좌우 양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20 is a part protruding in at least one sid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10 .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20 may protrude in both left and right lateral directions of the first body part 110 .

연결 돌기부(130)은 상기 제1 바디부(1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을 보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결 돌기부(130)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 바디부(110)의 전면이 아니라, 측면, 또는 후면일 수 있다.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 However,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is formed may be no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but the side surface or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

도 5, 6 은 연결 돌기부(130)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부(110)는, 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돌기부(130)는, 상기 제1 바디부(110)의 후면이 전방으로 프레싱, 또는 펀칭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면이 함몰되어 있는 입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돌기부(130)가 전방으로 돌출된 것에 대응하여, 연결 돌기부(130)의 후방에는 함몰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돌기부(130)는 1 회 또는 복수 회의 간단한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5 and 6 are enlarged views of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protrusion 130 is form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body portion 110 may be composed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rotrusion 130 is formed by pressing or punching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forward, and may be configured 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surface protrudes forward and the rear surface is depressed. . That is,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protruding forward, a depression 136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 Accordingly,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through simple processing once or multiple times.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돌기부(130)는, 상면에 형성되는 편평면(1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 플런저(100)가 바텀 플런저(200) 내에 투입되었을 때, 상기 편평면(132)은 후술하는 연결 라인부(220)의 상단부에 걸림될 수 있다. 따라서,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may include a flat surface 132 formed on an upper surface. Accordingly, when the top plunger 10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lunger 200, the flat surface 132 may be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unintentional separation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can be prevented.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 돌기부(130)는, 전면에 형성되는 슬로프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로프면(134)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면, 연결 돌기부(130)의 전후 방향 돌출 폭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 플런저(100)가 바텀 플런저(200) 내에 투입될 때 연결 돌기부가 바텀 플런저(200)에 지나친 마찰 및 손상을 주지 않을 수 있으며 스무스한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may include a slope surface 13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Describing the specific shape of the slope surface 134 ,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protruding width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creases from bottom to top. Therefore, when the top plunger 10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lunger 200, the connecting protrusion may not cause excessive friction or damage to the bottom plunger 200, and a smooth coupling may be achieved.

<바텀 플런저(200)><Bottom Plunger (200)>

바텀 플런저(200)는 포고 핀의 하부분을 구성한다. The bottom plunger 200 constitutes a lower part of the pogo pin.

바텀 플런저(20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212)을 갖는 제2 바디부(210), 및 상기 제2 바디부(210)에 형성되는 연결 라인부(220)를 포함한다.The bottom plunger 200 includes a second body part 210 having a hollow 212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line part 220 formed in the second body part 210 .

제2 바디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212)을 갖는 통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212)은, 위, 아래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평탄면 형상을 갖는 전면과 후면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body portion 210 is configur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hollow 212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Preferably, the hollow 21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or below. That is, it may have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having a flat surface shape.

실시예에 의하면, 제2 바디부(210)의 상단 부분은 편평한 평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스프링(300)의 하단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바디부(210)의 하단 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컨택트 팁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팁부(240)가 구비됨으로서, 포고 핀의 하단 부분과, 포고 핀 아래에 놓여지는 소정의 PCB 등의 단자부(미도시)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택트 팁부(240)는 하나 이상의 절곡부(242, 244)를 갖고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컨택트 팁부(240)의 하단부는 바텀 플런저(200)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전기 단자(미도시)와 접촉할 때, 비틀림이나 위치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0 may be configured as a flat flat surf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pring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 contact tip portion 240 protruding downward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0 . As the contact tip 240 is provided,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ogo pin and a predetermined terminal (not shown) of a PCB placed under the pogo pin can be effectively ma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act tip portion 240 may have one or more bent portions 242 and 244 and be bent. 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tip 240 may extend vertically from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lunger 2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wisting or dislocation from occurring when contacting an external electrical terminal (not shown).

연결 라인부(220)는 제2 바디부(2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천공되는 관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이라 함은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가 결합되었을 때, 연결 돌기부(130)가 위치하는 방향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을 보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결 라인부(220)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2 바디부(210)의 전면이 아니라, 측면, 또는 후면일 수 있다. 연결 라인부(220)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210 and may be configured as a through 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ri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Here, the front side is a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is positioned wh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re coupled. However, according to the viewing direction of the pogo p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is formed may be not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210, but may be the side surface or the rear surface. A specific shape of the connection line unit 220 may be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바텀 플런저(200)는 가이드 라인(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라인(230)은, 상기 중공(212)의 내면의 전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라인부(220)의 상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라인(230)은 상하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라인(230)의 좌우 방향 폭은 상기 연결 돌기부(130)의 좌우 방향 폭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bottom plunger 2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line 230 . The guide line 230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212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line portion 220 . The guide line 230 may be configured as a groove extending vertically,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idth of the guide line 230 in the left-right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in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라인(230)의 전후 방향 깊이는, 상부분이 하부분에 비해서 더 깊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라인(230)의 깊이는, 제2 바디부(210)의 상단부 부분에 인접한 부분이 가장 깊은 깊이를 갖고, 상기 연결 라인부(220)에 인접한 부분이 가장 얕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 the depth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guide line 230 may have a greater depth in the upper part than in the lower part. For example, as to the depth of the guide line 230, a por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portion 210 may have the deepest depth, and a portion adjacent to the connection line portion 220 may have the shallowest depth.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바텀 플런저(2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바텀 플런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ttom plunger 200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bottom plunger 200 of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7 및 8 을 참조하여 바텀 플런저(200)의 제조 방법 및 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anufacturing method and configuration of the bottom plung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바텀 플런저(200)는, 도 7 과 같이, 프레스 공정에 의해서 제조되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P)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bottom plunger 2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plate P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a and manufactured by a press process.

상기 플레이트(P)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갖고, 하단에 하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 팁은, 상기 설명한 컨택트 팁부(240)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P)에는 상기 연결 라인부(220), 및 가이드 라인(230)이 형성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라인부(220) 및 가이드 라인(230)의 형성 가공은 펀칭, 프레싱 가공, 성형 가공 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공 방법은 한정하지 않는다.The plate P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may have a protruding tip protruding downward at a lower end thereof. The protruding tip may function as the contact tip portion 240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and the guide line 230 may be formed and processed on the plate P. The forming process of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and the guide line 230 may be performed by punching, pressing process, molding process, etc., and the processing method is not limited.

상기 플레이트(P)를 벤딩 가공하여 바텀 플런저(200)가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P)는 중심 라인(C)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예컨대, 좌측)에는 제1 후크(250)를 구비하며, 반대측(예컨대, 우측)에는 제2 후크(2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250)는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이되, 측방향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 헤드(2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후크(260)는 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이며, 측방향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함몰되는 후크 홈부(262)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ttom plunger 200 may be manufactured by bending the plate P.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late (P) is provided with a first hook 250 on one side (eg, the left side) with the center line (C) as the center, and a second hook (eg, on the right side) on the opposite side (eg, the right side) 260) may be provided. The first hook 250 i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may have a hook head 252 that protrud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t the lateral end. The second hook 260 is a recessed portion that is rec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hook groove portion 262 that is reces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inner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바텀 플런저(200)는, 도 8 과 같이, 상기 플레이트(P)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이 서로 맞닿도록 벤딩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후크(250)는 제2 후크(260) 내에 삽입된다. 아울러, 후크 헤드(252)는 후크 홈부(262)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후크(250)와 제2 후크(260)가 서로 맞물려 끼워지는 형태가 된다. As shown in FIG. 8 , the bottom plunger 200 may be manufactured by bending so that the left and right end surfaces of the plate P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first hook 2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ok 260 . In addition, the hook head 252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262 . Accordingly, the first hook 250 and the second hook 26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플런저(200)는 상기 플레이트(P)가 벤딩되어 상기 플레이트(P)의 측면 양 단부 부분이 맞닿는 형태로 가공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P)의 측면 양 단부 부분이 맞닿아서, 상기 제1 후크(250)와 제2 후크(260)가 서로 체결되고,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중공(212)을 갖는 캐뉼라(cannula)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bottom plunger 200 is processed in such a way that the plate P is bent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side surfaces of the plate P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both end portions of the side surfaces of the plate P come into contact, so that the first hook 250 and the second hook 260 are fasten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cannula having a rectangular hollow 212 as a whole. may consist of

상기와 같이 제1 후크(250)와 제2 후크(260)가 구비되는 효과는 이하와 같다.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결합 과정 및 포고 핀의 사용 과정에서, 바텀 플런저(200)가 벌어져서 변형되는 것(즉, 중공(212)의 폭이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바텀 플런저(20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바텀 플런저(200)의 중공(212)의 내면에 맞닿은 탑 플런저(100)가 바텀 플런저(200)의 중공(212)의 내면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고, 바텀 플런저(200)와 탑 플런저(100) 사이의 전기적 접촉 및 연결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The effect of providing the first hook 250 and the second hook 260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nd the process of using the pogo pin, the bottom plunger 2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and deformed (ie, the width of the hollow 212 increases). there is.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bottom plunger 200 may be maintained. Therefore, the top plunger 100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212 of the bottom plunger 200 can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212 of the bottom plunger 2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nd the top plunger 200 can be maintained.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ion between the plungers 100 can be effectively achieved.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스 가공된 플레이트(P)를 벤딩시켜서 바텀 플런저(200)가 제조됨으로서, 포고 핀의 제조 과정이 단순해지고, 제조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ttom plunger 200 is manufactured by bending the pressed plate P,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go pin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212)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212) 내에 탑 플런저(100)가 투입되었을 때, 제2 바디부(210)의 전방 내면과 후방 내면에 각각 탑 플런저(100)의 전방면과 후방면이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위치 틀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21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refor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top plunger 1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2, the front and rear inner surfaces of the top plunger 100 are respectively placed on the front and rear inner surfaces of the second body 210. The sides may touch. Also, as described above, displacement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can be effectively made, and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P)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coining shape 로 구성되는 프레싱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싱부(214)는, 예컨대, 제1 후크(250)와 제2 후크(260)가 서로 체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싱부(214)는 상기 부분을 눌러 가압함으로서, 상기 플레이트(P)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이 가압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소성 변형됨으로서 서로 밀착하거나, 또는 일 부분이 겹쳐질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P)의 좌측 단부면과 우측 단부면이 서로 강하게 체결되며, 형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탑 플런저(100)를 바텀 플런저(200)에 끼울 때, 바텀 플런저(200)가 벌어져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ressing portion 214 composed of a coining shape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left end surface and the right end surface of the plate P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ressing portion 214 may be formed, for example,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hook 250 and the second hook 26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pressing part 214 is a part in which the left end surface and the right end surface of the plate P are partially plastically deformed due to pressing by pressing the part, so that the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part can be overlapped. . Accordingly, the left end surface and the right end surface of the plate P are strongly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shape can be maintained more effectively. In particular, when the top plunger 10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lunger 20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bottom plunger 200 from being opened and deformed.

또한,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하면, 컨택트 팁부(240)는, transition shape 를 갖는 형태부(246)를 가질 수 있다. transition shape 는 커넥터 관련 제품에서 단자금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하 방향으로 외력을 받을 때 팁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이 transition shape 를 갖는 형태부(246)가 구비됨으로서, 컨택트 팁부(24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컨택트 팁부(240)가 형태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9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act tip portion 240 may have a shape portion 246 having a transition shape. The transition shape is used for terminal molds in connector-related products, and is a shape that can prevent the tip portion from being deformed whe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ape portion 246 having the transition shape is provided, the contact tip portion 240 may maintain its shape without being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ct tip portion 240 .

<스프링(300)><Spring (300)>

스프링(300)은 가운데가 관통되는 코일 스프링(300)일 수 있다. 스프링(300)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고, 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직경)을 가질 수 있다. The spring 300 may be a coil spring 300 through which the center is penetrated. The spring 300 may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width (diameter) in the lateral direction.

스프링(300) 내에 상기 탑 플런저(10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내삽된다. 이때, 상기 탑 플런저(100)가 상기 스프링(300)내에 내삽되는 부분은, 상기 지지부(120) 아래 부분이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plunger 100 is interpolated within the spring 300 . At this time, the part where the top plunger 100 is inserted into the spring 300 is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20 .

<탑 플런저(100), 바텀 플런저(200), 스프링(300)의 결합 관계, 작동, 및 효과><Coupling relationship, operation, and effect of top plunger 100, bottom plunger 200, and spring 300>

도 10 의 (a), (b), (c)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나타낸 도면이다.10 (a), (b) and (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a pogo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탑 플런저(100)는 스프링(300)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어서, (b) 와 같이, 상기 탑 플런저(100)의 하단부가 화살표 P 와 같이 바텀 플런저(200)의 중공(212) 내에 투입된다. The top plunger 100 is coupled through the spring 300 . Subsequently, as shown in (b), the lower end of the top plunger 1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2 of the bottom plunger 200 as shown by arrow P.

결합이 완료되면, 스프링(300)은 바텀 플런저(200)의 상단 단부와 탑 플런저(100)의 지지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할 수 있다. 단,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바텀 플런저(200) 또한 소정의 지지 수단을 갖고, 상기 지지 수단과 탑 플런저(100)의 지지부(120) 사이에 스프링(300)이 위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the spring 30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bottom plunger 200 and the support 120 of the top plunger 100, and is elastic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move away from each other. can be added.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bottom plunger 200 may also have a predetermined supporting means, and the spring 3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ing means and the supporting part 120 of the top plunger 100.

따라서, 포고 핀을 누르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며 스프링(300)이 압축되어 포고 핀의 전체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서,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여, 포고 핀의 길이가 원상 복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pogo pi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re relatively displac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the spring 300 is compressed, so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pogo pin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re relatively displac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00, so that the length of the pogo pin can be restor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 플런저(100)의 제1 바디부(110)의 하단부는 바텀 플런저(200)의 중공(212) 내에 투입된다. 이때, 연결 돌기부(130)는, 우선 가이드 라인(230)을 지나서 연결 라인부(220) 내에 투입된다. 따라서, 가이드 라인(230)은 연결 돌기부(130)가 부드럽게 연결 라인부(220) 내에 투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라인(230)의 전후 방향 깊이는, 상부분이 하부분에 비해서 더 깊은 깊이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가이드 효과를 가지면서, 동시에 연결 돌기부(130)와 연결 라인부(220) 사이의 걸림 폭이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110 of the top plunger 1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212 of the bottom plunger 200 .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passes through the guide line 230 a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line unit 220 . Accordingly, the guide line 230 may guide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line unit 220 .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depth of the guide line 230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deeper than that of the lower part, the upper part has a guide effect as described abov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at the same time. The hooking width between the line parts 220 may not decrease.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가 서로 결합되면, 바텀 플런저(200)의 연결 라인부(220) 내에 탑 플런저(100)의 연결 돌기부(130)가 위치한다. 따라서,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상하 방향 상대 변위가 안내될 수 있다. 즉,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는, 연결 라인부(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 상대 변위가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가 서로 상대 변위할 때 위치 틀어짐이 방지되며, 작동 과정에서 포고 핀의 형태가 붕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 플런저(100)의 제1 바디부(110)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바텀 플런저(200)의 제2 바디부(210)의 내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밀착할 수 있다. Wh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of the top plunger 100 is positioned within the connection line portion 220 of the bottom plunger 200 . Accordingly,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guided. That is,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may be gu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line portion 220 . Therefore, wh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re relatively displaced from each other, displacement is prevented, and the shape of the pogo pin is prevented from collapsing during operation. 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body part 110 of the top plunger 100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second body part 210 of the bottom plunger 200, respectively.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 돌기부(130)의 상단부는, 연결 라인부(220)의 상단부에 맞닿아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돌기부(130)의 상단부에는 편평면(132)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 라인부(220)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므로, 연결 돌기부(130)의 상단부와 연결 라인부(220)의 상단부가 서로 맞닿아 걸림됨이 유지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and be caught. At this time, since the flat surface 13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and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has a rectangular shape,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are formed. Abutting each other, the jamming can be maintain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바텀 플런저(200)는 제1 후크(250)와 제2 후크(260)를 구비함으로서,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결합 과정 및 포고 핀의 사용 과정에서 바텀 플런저(200)가 벌어져서 변형되는 것(즉, 중공(212)의 폭이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바텀 플런저(200)의 형상이 유지되며, 바텀 플런저(200)와 탑 플런저(100) 사이의 접촉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ottom plunger 200 includes a first hook 250 and a second hook 260, so that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and the use of a pogo pin In the process, the bottom plunger 2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and deformed (ie, the width of the hollow 212 increases).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bottom plunger 200 is maintained, and contact between the bottom plunger 200 and the top plunger 100 can be effectively achieved.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라인부(220)의 일 부분과 연결 돌기부(130)의 내면이 서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라인부(220)의 양 측부가 연결 돌기부(130)의 양 측방향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라인부(220)의 좌우 방향 폭은 연결 돌기부(130)의 좌우 방향 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line portion 220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may maintain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oth side parts of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may come into contact with inner surfaces in both lateral directions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part 130 . In this case, the left-right width of the connection line portion 22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us,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본 실시예에 따라서,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상대 변위가 더욱 안정적으로 안내되고, 위치 틀어짐 방지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라인부(220)가 연결 돌기부(13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탑 플런저(100)와 바텀 플런저(2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is guided more stably,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displacement may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line part 220 maintains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rotrusion 130,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op plunger 100 and the bottom plunger 200 is maintained, and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e possessor,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플런저
110: 제1 바디부
120: 지지부
130: 연결 돌기부
132: 편평면
134: 슬로프면
136: 함몰부
200: 플런저
210: 제2 바디부
212: 중공
214: 프레싱부
220: 연결 라인부
230: 가이드 라인
240: 컨택트 팁부
242, 244: 절곡부
246: 형태부
250: 제1 후크
252: 후크 헤드
260: 제2 후크
262: 후크 홈부
300: 스프링
100: plunger
110: first body part
120: support
130: connection protrusion
132: flat surface
134: slope surface
136: depression
200: plunger
210: second body part
212: hollow
214: pressing unit
220: connection line part
230: guidelines
240: contact tip unit
242, 244: bent portion
246: form part
250: first hook
252: hook head
260: second hook
262: hook groove
300: spring

Claims (11)

포고 핀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하는 탑 플런저;
하부에 위치하는 바텀 플런저; 및
상기 탑 플런저와 바텀 플런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탑 플런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적어도 일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면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플런저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을 갖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라인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전면의 적어도 일 부분이 전후 방향으로 천공되는 관통공으로 구성되며,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가 결합되면,
상기 스프링은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탑 플런저의 상기 제1 바디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바텀 플런저의 중공 내에 투입되며,
상기 연결 돌기부는 상기 연결 라인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상대 변위하되,
상기 연결 돌기부가 상기 연결 라인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탑 플런저와 상기 바텀 플런저의 상하 방향 상대 변위가 안내되는 포고 핀.
In the pogo pin,
Top plunger located at the top;
Bottom plunger located in the lower part; and
A spring located between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to apply elasticit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top plunger,
A first body par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pport part protruding in at least one later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and
It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includes a connection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The bottom plunger,
A second body having a hollow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line portion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ing line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composed of a through hole drill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are coupled,
The spring is located between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ody of the top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bottom plunger;
The connection protrusion is located in the connection line part,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are relatively displaced by slid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go pin is positioned within the connecting line portion to guid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top plunger and the bottom plunger in a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돌기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후면이 전방으로 펀칭 가공되어,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함몰되는 입체부로 구성되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part,
It is composed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connecting protrusi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is punched forward,
A pogo pin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 part that protrudes forward and sinks backw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기부는,
상면에 형성되는 편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편평면은 연결 라인부의 상단부에 걸림되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ng protrusion,
Including a flat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flat surface is a pogo pin that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line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기부는,
전면에 형성되는 슬로프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로프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폭이 커지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ng protrusion,
Including a slope surface formed on the front,
The slope surface protrudes for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width of the pogo pin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런저는,
상기 중공의 내면의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라인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하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lunger,
The pogo pin further comprises a guide line formed on a front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sitioned above the connection line portion,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라인의 전후 방향 깊이는, 상부분이 하부분에 비해서 더 깊은 깊이를 갖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5,
The depth of the guide lin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a pogo pin having a deeper depth than the upper part than the low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런저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가 벤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양 단부 부분이 맞닿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상기 중공이 형성되는 캐뉼라 형태로 구성되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plunger,
A pogo pin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nnula in which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a is bent so that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plat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hollow is formed inside the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측방향 일 단부에 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는 제1 후크와,
측방향 타 단부에 측 방향으로 함몰되고 전후 방향으로 돌출 및 함몰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가 벤딩되었을 때, 상기 제1 후크가 상기 제2 후크 내에 삽입되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7,
The plate includes a first hook that protrudes in the lateral direction at one e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rotrudes and sink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 second hook that is recessed laterally at the other en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protrudes and sink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pogo pin wherein the first hook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ok when the plate is b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스프링 내에 내삽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portion is interpolated within the spring,
The spring is position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pogo p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2 바디부의 내면에 밀착하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ody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제2 바디부의 내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밀착하는 포고 핀.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body uni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unit, respectively.
KR1020210136832A 2021-10-14 2021-10-14 Pogo pin KR102659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832A KR102659686B1 (en) 2021-10-14 2021-10-14 Pogo p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832A KR102659686B1 (en) 2021-10-14 2021-10-14 Pogo p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386A true KR20230053386A (en) 2023-04-21
KR102659686B1 KR102659686B1 (en) 2024-04-23

Family

ID=8609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832A KR102659686B1 (en) 2021-10-14 2021-10-14 Pogo p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686B1 (en)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4374A (en) * 2007-06-27 2008-12-31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Method of preparing probe pin, probe pin prepared thereby and test socket including the same
US20100068947A1 (en) * 2008-09-16 2010-03-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tact terminal for burn-in-test-socket
KR20100040349A (en) * 2008-10-10 2010-04-20 주식회사 엠아이티 Vertical probe and probe head assembly
KR20110048446A (en) 2009-11-02 2011-05-11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ogo Pin Press-fit Connector
KR101139671B1 (en) * 2010-09-14 2012-05-07 송원순 Intelligent Advanced Meter infrastructure and transformer management system
KR101303319B1 (en) * 2011-12-05 2013-09-0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Network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a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455174B1 (en) * 2013-04-23 2014-10-2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ogo pi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15094755A (en) * 2013-11-14 2015-05-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Pro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KR20150057487A (en) * 2013-11-19 2015-05-2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ogo p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6024188A (en) *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アイエスシーIsc Co., Ltd. Contactor for inspection and electric inspection socket
KR101612107B1 (en) * 2015-04-13 2016-04-12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Communication tester for ami smart meters and diagnostic method using thereof
KR101991902B1 (en) * 2018-05-04 2019-06-2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Smart data concentration unit for ami shadow area
KR102183498B1 (en) * 2019-05-31 2020-11-27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Electrically conductive pin using spring, test socket and interposer us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in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4374A (en) * 2007-06-27 2008-12-31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Method of preparing probe pin, probe pin prepared thereby and test socket including the same
KR100878346B1 (en) * 2007-06-27 2009-01-14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Method of preparing probe pin, probe pin prepared thereby and test socket including the same
US20100068947A1 (en) * 2008-09-16 2010-03-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tact terminal for burn-in-test-socket
KR20100040349A (en) * 2008-10-10 2010-04-20 주식회사 엠아이티 Vertical probe and probe head assembly
KR20110048446A (en) 2009-11-02 2011-05-11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ogo Pin Press-fit Connector
KR101139671B1 (en) * 2010-09-14 2012-05-07 송원순 Intelligent Advanced Meter infrastructure and transformer management system
KR101303319B1 (en) * 2011-12-05 2013-09-0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Network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a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455174B1 (en) * 2013-04-23 2014-10-2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ogo pi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15094755A (en) * 2013-11-14 2015-05-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Pro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be
KR20150057487A (en) * 2013-11-19 2015-05-2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ogo p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6024188A (en) *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アイエスシーIsc Co., Ltd. Contactor for inspection and electric inspection socket
KR101612107B1 (en) * 2015-04-13 2016-04-12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Communication tester for ami smart meters and diagnostic method using thereof
KR101991902B1 (en) * 2018-05-04 2019-06-2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Smart data concentration unit for ami shadow area
KR102183498B1 (en) * 2019-05-31 2020-11-27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Electrically conductive pin using spring, test socket and interposer us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686B1 (en)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7432B2 (en) Connector
US7789671B2 (en) Electrical contact with overlapping structure
US9033743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9033722B2 (en)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KR101221840B1 (en) Connector
EP2846409A2 (en) Connector
JP5456925B1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KR20090023142A (en) Connector
US841431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tacts embedded in inner bottom of mating cavity
JP4441157B2 (en) connector
US10056714B2 (en)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ing-off preventing structure
EP2846414A1 (en) Connector
CN106030921A (en) Terminal holding structure for connector
US7040910B2 (en) Plug type connector
CN109193216B (en)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thereof
CN210866579U (en) Electrical connector
KR20230053386A (en) Pogo pin
US20160120024A1 (en)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CN108493648B (en) Electrical connector
CN110994298A (en) Coaxial switch
US4929193A (en) Connector
KR102475345B1 (en) Pogo pin
JPS6333336Y2 (en)
CN209860204U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8147023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