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338A - Non-slip sports socks - Google Patents

Non-slip sports so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338A
KR20230053338A KR1020210136733A KR20210136733A KR20230053338A KR 20230053338 A KR20230053338 A KR 20230053338A KR 1020210136733 A KR1020210136733 A KR 1020210136733A KR 20210136733 A KR20210136733 A KR 20210136733A KR 20230053338 A KR20230053338 A KR 20230053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slip portion
sock
sport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효
김현주
Original Assignee
김태효
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효, 김현주 filed Critical 김태효
Priority to KR102021013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338A/en
Publication of KR20230053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3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8Hosiery with an anti-slip co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ti-slip sports socks, which solves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ports socks with an anti-slip function. An inner non-slip part for preventing slipping is formed with a film-based wet urethane sheet having a certain shape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ports socks. An outer non-slip part is formed with a fiber-based wet urethane sheet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ports socks.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ar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art to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art is 1.2 to 1.5: 1.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from slipping due to the relative difference in the kinet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inner non-slip part and the outer non-slip part even when the wearer sweats on the sole of the foot due to long-term exercise.

Description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Non-slip sports socks}Non-slip sports socks {Non-slip sports socks}

본 발명은 축구, 야구, 농구, 마라톤, 등산 등과 같이 장시간 많은 활동량을 가지는 스포츠 양말에 관한 것으로, 스포츠 양말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논슬립 부재를 부착하여, 스포츠 활동시에 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하여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고, 발의 부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ports socks having a large amount of activity for a long time, such as soccer, baseball, basketball, marathon, mountain climbing, etc., by attaching non-slip members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ports socks, respectively, to prevent slipping of the foot during sports activities and to reduce shock. It relates to an anti-slip sports sock that improves athletic performance by mitigating and prevents foot injury.

발은 인체의 체중을 지지하고 각종 운동시에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신체 부위로서, 수많은 근육과 신경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다. 발에 미세한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신체 능력이 충분한 경우라도 걷거나 달릴 수 없게 되어 운동을 할 수 없게 되므로 발은 아주 민감하게 관리되어야 하며, 발에 착용하는 스포츠 양말은 그만큼 발의 특성에 맞게 설계되어야 한다.The foot is a body part that supports the body weight and maintains the balance of the body during various exercises, and is a place where numerous muscles and nerves are concentrated. In the case of a minor injury to the foot, even if the overall physical ability is sufficient, it becomes impossible to walk or run and exercise, so the foot must be managed very sensitively, and the sports socks worn on the foot must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t. do.

양말에 적용되는 섬유 소재들은 땀 흡수에 용이한 면을 주로 사용하면서, 강도나 탄력성을 고려하여 폴리에스테르, 나일론과 같은 합성 섬유 소재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섬유 소재들은 마찰 계수가 낮아서 격렬한 움직임을 가지는 스포츠 활동의 경우에 발바닥과 양말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거나, 스포츠 양말과 신발의 인솔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기도 한다.Textile materials applied to socks mainly use cotton, which is easy to absorb sweat, and synthetic fiber materials such as polyester and nylon are used in combination in consideration of strength and elasticity. In the case of sports activities with a foot, slippage may occur between the sole and the sock, or slippage may occur between the sports sock and the insole of the shoe.

또, 걸음을 걸을 때 발을 딛는 순간마다 내닫는 힘과 체중으로 발과 스포츠 양말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스포츠 양말과 신발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발가락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러한 충격은 걷는 동안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slipping occurs between the feet and sports socks due to the force and weight of the foot every step when walking, and slipping occurs between sports socks and shoes, resulting in shock to the toes, and these shocks continuously occur while walking. will do

특히, 동일한 동작을 장시간 반복하는 마라톤이나 등산, 트레일런과 같은 스포츠의 경우에 발바닥과 양말 사이의 마찰은 물집을 유발하거나 심하게는 피부 벗겨짐이 일어나도록 하여 운동을 포기할 수 밖에 없도록 하며, 이러한 부상은 회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치명적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orts such as marathon, mountain climbing, and trail running where the same motion is repeated for a long time, the friction between the sole and the sock causes blisters or, worse, peeling of the skin, forcing you to give up the exercise. It is fatal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recover.

이러한 미끄러짐은 발바닥의 피부와 양말 사이의 마찰력이 낮아서 그립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다. 이처럼 그립력이 부족한 스포츠 양말은 발목, 무릎의 부상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This slippage occurs because the grip force is not sufficient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kin of the sole and the sock is low. As such, sports socks lacking in grip can cause injuries to the ankle and knee.

상기와 같은 슬립 현상에 따른 부상을 방지하고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스포츠용 논슬립 양말(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6547호)", "완충이격부가 구비된 논슬립 발의류(특허문헌 2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2633호)" 등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여 등록 받았다.In order to prevent injury due to the above slip phenomenon and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entitled "Non-slip socks for sports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686547)", "Non-slip feet with buffer spacers. Clothing (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2633)", etc. have been applied for and registered.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에서와 같이 양말 내부와 외부의 동일 지점에 논슬립 물질을 코팅하는 경우에 논슬립 물질 코팅 부분이 장시간 착용시 발바닥과 논슬립 물질이 접촉하는 지점에 압력이 집중되고, 이 압력에 의하여 착용자의 피로감이 누적되며, 심하게 되면 물집과 상처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s in the patent document, when the nonslip material is coated on the same point inside and outside the sock, when the nonslip material coated part is worn for a long time, the pressure is concentrated at the point where the sole and the nonslip material contact, and this pressure causes the wearer's Fatigue accumulates, and when severe, blisters and wounds occur.

양말의 안팎의 동일 지점에 논슬립 물질을 코팅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양말 바닥 내측면의 논슬립 코팅면과 양말 바닥 외측면의 노슬립 코팅면의 위치가 중첩되지 않도록 지그재그로 구성한 특허문헌 2의 경우에도 체중에 의하여 부여되는 압력이 내측면의 논슬립 코팅면과 외측면의 논슬립 코팅면에 집중되어 스포츠 양말의 표면 조직이 쉽게 붕괴되고, 하중이 집중되는 논슬립이 양말에서 분리되거나 탈락하는 문제가 증가하게 되었다.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coating the non-slip material at the same point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ock, in Patent Document 2, the positions of the non-slip coating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 bottom and the no-slip coating surfa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 sole are zigzag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ven so, the pressure given by the body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non-slip coating surface of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so that the surface structure of sports socks is easily collapsed, and the problem of the non-slip,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is separated from the socks or falls off increases. It became.

또한 양말 내측면과 발바닥 피부면 사이의 마찰력과 양말 외측면과 신발의 인솔면 사이의 마찰력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장시간 운동으로 발바닥 피부면에서 땀이 다량으로 배출되면 양말 외측면과 신발 인솔면 사이의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발바닥 피부면과 양말 내측면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발바닥 피부의 물집이 생기거나 상처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sock and the skin of the sole and the outer side of the sock and the insole of the shoe, when a large amount of sweat is discharged from the skin of the sole of the shoe during long-term exercise, the friction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sock and the insole of the shoe As this becomes relatively large, slip occurs between the sole skin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 and consequently blisters or scars may occur on the sole skin.

따라서, 양말 내측의 논슬립과 외측의 논슬립이 동일한 위치에서 중첩되는 경우에도 논슬립의 두께에 따른 발바닥의 압통을 감소시키고 다량의 땀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양말 내측과 발바닥 피부면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마찰계수가 외부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 발바닥의 피부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even when the inner nonslip and the outer nonslip are overlapped at the same position, the tenderness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nonslip is reduced, and even when a large amount of sweat is discharged, the relative motion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inner sock and the sole skin surface is increase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ti-slip sports socks that can prevent slipping of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by keeping it higher than the outside.

한국등록공보 10-1686547호(2016. 12. 14 공고)Korean Registration No. 10-1686547 (2016. 12. 14 announcement) 한국등록공보 10-2002633호(2019. 7. 22 공고)Korean Registration No. 10-2002633 (Announced on July 22, 2019)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은 종래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포츠 양말이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스포츠 양말 바닥의 내측면에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필름 기재형 습식 우레탄 시트로 미끄럼 방지용 내측 논슬립부를 형성하고, 스포츠 양말 바닥의 외측면에는 섬유 기재형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로 외측 논슬립부를 형성함으로써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의 운동 마찰계수의 상대적인 차이에 의하여 착용자가 장시간 운동으로 발바닥에 땀이 나는 경우에도 발바닥 피부면의 슬립을 방지하고자 한다. The anti-slip sports s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sports socks having an anti-slip function, and form an inner non-slip portion for anti-slip with a film-based wet urethane sheet having a certain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ports socks , By forming an outer non-slip portion with a fiber-based wet polyurethane shee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ports socks,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s kinetic friction coefficient makes the soles of the feet sweaty even when the wearer sweats on the soles of the feet due to prolonged exercise. I want to prevent the slip of the surface.

또한 양말 내측의 논슬립과 외측의 논슬립이 동일한 위치에서 중첩되는 경우에도 논슬립의 두께에 따른 발바닥의 압통을 감소시키고 다량의 땀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양말 내측과 발바닥 피부면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마찰계수가 외부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 발바닥의 피부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을 개발하고자 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nonslip inside the sock and the nonslip outside the sock overlap at the same position, the tenderness of the sol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nonslip is reduced, and even when a large amount of sweat is discharged, the coefficient of relative motion friction between the inside of the sock and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is It is intended to develop anti-slip sports socks that can be kept higher to prevent slipping of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10)에 있어서 양말 바닥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는 내측 논슬립부(20)이 형성되고, 양말 바닥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신발의 인솔에 접촉하는 외측 논슬립부(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논슬립부는 필름 기재형 습식 우레탄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논슬립부는 섬유 기재형 습식 우레탄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논슬립부(20)의 면적은 상기 외측 논슬립부(30)의 면적보다 크고, 내측 논슬립부 면적 : 외측 논슬립부 면적의 비율이 1.2~1.5 :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non-slip sports s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nner non-slip portion 20 in contact with the user's fee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ocks in the non-slip sports socks 10 that surround the wearer's feet. An outer nonslip part 30 that contacts the insole of the user's sho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 sole, the inner nonslip part is formed of a film-based wet urethane sheet, and the outer nonslip part is a fiber-based wet type It is formed of a urethane sheet,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art 2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art 30,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art: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art is 1.2 to 1.5: 1. .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의 운동마찰계수 비는 1 : 0.5~0.8 이고, 내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100~200 ㎛이고, 외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30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측 논슬립부의 섬유 기재형은 DMF가 치환하여 셀이 형성될 때 위아래로 통과하여 셀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데 반해 상기 내측면의 필름 기재형 습식 우레탄의 경우 수조에서 DMF가 치환하여 셀이 형성될 때 PET 필름에 막혀 위아래로 통과하지 못하고 DMF가 그대로 치환이 되기 때문에 셀의 크기가 아주 작게 형성되는 반면 그 작은 미세 구멍은 상대적으로 빨아들이는 압력이 크게 작용하여 내측 논슬립의 마찰계수가 아주 크게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between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1: 0.5 to 0.8,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100 to 2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300 to 500 μm. In addition, the fiber-based type of the outer non-slip part passes up and down when cells are formed by replacing DMF, and the size of the cells is large. When it is blocked by the PET film, it cannot pass up and down, and the DMF is substituted as it is, so the size of the cell is formed very small, but the small fine hole has a relatively large sucking pressure, so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inner non-slip is very large. can be said to be

또한,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외측 논슬립부는 기재 상에 우레탄 용액을 도포한 후 수용액 중에 투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pplying a urethane solution on a substrate and then putting it into an aqueous solution.

또한,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외측 논슬립부는 상기 우레탄 용액의 DMF와 수용액의 물이 치환되면서 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pores are formed while DMF of the urethane solution and water of the aqueous solution are replaced.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는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는 400 nm ~ 100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pore siz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icropore size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The micropore siz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400 nm ~ 1000 nm.

상기 내측 논슬립부는 상기 양말 바닥의 내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고, 엄지발가락 위치에 대응되는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 위치에 대응되는 앞꿈치부 및 뒷꿈치 위치에 대응되는 뒷꿈치부로 나뉘며, 상기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부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non-slip portion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ock, and is divided into a big to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ig toe, a he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refoot, and a he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ee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엄지 발가락부의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되고,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슬립부의 면적은 나머지 다른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non-slip part of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part are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fo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nd the area of the two inner slip parts located at both ends to the outside of the foo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ther inner non-slip parts. .

상기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된 내측 논슬립부에 있어서,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논슬립부 사이는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ner non-slip portion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forefo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oo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two inner non-slip portion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oot is empty.

기존의 논슬립 양말은 습식 폴리우레탄 재질의 논슬립의 두께가 두껍고, 양말의 내측과 외측의 논슬립에 의한 마찰력 차가 착용자의 사용 중에 발생하게 되어 발바닥 피부면에 압통 또는 이물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말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마찰 계수를 차이가 나게 하며, 실제로 발이 닿아 힘이 전달되는 면적에 있어서 습식 우레탄의 제조 과정에서의 셀의 크기 차이를 두고 내측면의 습식 우레탄에 발이 닿는 면적이 외측면의 면적보다 더 크게 하여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운동하는 사람들이 안정적인 그립성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Conventional non-slip socks have a thick non-slip material made of wet polyurethane, and a difference in frictional force due to the non-slip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ock occurs during use by the wearer, causing tenderness or foreign body sensation on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of the foo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sock is different, and in the area where the foot actually touches and transmits force, the difference in cell siz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wet urethane is used to wet the inner surface. The area where the foot touches the urethane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surface to maximize the anti-slip effect, allowing exercisers to feel a stable gri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존 습식 우레탄에 사용되는 섬유 내지 부직포 기재가 아닌 PET 필름 기재를 사용한 습식 우레탄을 적용하여 내측의 논슬립부를 제조하기 때문에, 기공의 크기가 작은 (기존 내측 논슬립부의 기공 크기는 10 ㎛~ 200 ㎛인 반면, 본 발명의 필름 기재 타입 논슬립부의 기공 크기는 400 nm ~ 1000 nm 임) 논슬립 재료를 적용하여 마찰 계수의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그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manufactured by applying a wet urethane using a PET film substrate rather than a fiber or non-woven fabric substrate used in conventional wet urethane, the pore size is small (compared to the existing inner non-slip portion) While the pore size is 10 μm to 200 μm, the pore size of the non-slip film type non-slip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400 nm to 1000 nm.) By applying a non-slip material to increase the difference in friction coefficient, more stable gripping can be secured .

또한, 양말 내측의 논슬립과 외측의 논슬립이 동일한 위치에서 중첩되는 경우에도 논슬립의 두께를 달리하여 (외측의 논슬립재의 두께 300㎛~ 500㎛, 내측 필름 기재 타입 논슬립재의 두께 100㎛ ~200㎛) 발바닥의 압통을 감소시키고 다량의 땀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양말 내측과 발바닥 피부면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마찰계수가 외부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 발바닥의 피부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nonslip on the inside and the nonslip on the outside overlap at the same 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nonslip is changed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material 300㎛ ~ 500㎛, thickness of the inner film base type nonslip material 100㎛ ~ 200㎛) s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of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by reducing tenderness and maintaining a relativ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between the inside of the sock and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utside even when a large amount of sweat is dis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에 필름기재형 습식 우레탄 시트를 적용하고, 외측 논슬립부는 섬유기재형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를 적용함으로써 내측과 외측의 운동마찰력 차를 크게 하여 착용자가 발에 땀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발바닥과 양말 내측과의 마찰력이 크게 되므로 슬립을 방지하여 피부의 물집이나 상처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based wet urethane sheet is applied to the inner non-slip portion of the sports sock, and a fiber-based wet polyurethane sheet is applied to the outer non-slip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difference in kinetic fri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ports sock, thereby increasing the wearer's Even when the wig sweats a lot, the friction between the sole of the foot and the inside of the sock increases,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and blisters or scars on the skin.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를 필름기재형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로 형성하여 내측 논슬립부의 두께를 최소로 하면서도 운동에 의한 충격 완화효과를 높이고, 발바닥 전체에 체압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발바닥의 특정부위의 압통을 예방할 수 있다. Forming the inner non-slip part of sports socks with a film-based wet polyurethane sheet minimizes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art while enhancing the effect of mitigating shock caused by exercise, and evenly distributing body pressure throughout the sole to relieve tenderness in a specific part of the sole. I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은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크고, 내측 논슬립부 면적 : 외측 논슬립부 면적의 비율이 1.2~1.5 : 1을 만족하도록 조절함으로써, 내측 논슬립의 마찰력이 외측 논슬립의 마찰력보다 클 수 있어, 스포츠 양말의 내측에서 발의 피부면과 양말의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ar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art,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art: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art is adjusted to satisfy 1.2 to 1.5: 1, so that the inner non-slip part is The frictional force of can b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outer non-slip, so slipping of the sock and the skin surface of the foot on the inside of the sports socks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의 운동마찰계수 비는 1 : 0.5~0.8이고, 내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100~200 ㎛이고, 외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30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내측 논슬립의 마찰력이 외측 논슬립의 마찰력보다 클 수 있어, 스포츠 양말의 내측에서 발의 피부면과 양말의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between the inner nonslip part and the outer nonslip part is 1: 0.5 to 0.8,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art is 100 to 2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art is 300 to 500 μm. Si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 the frictional force of the inner nonslip can b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outer nonslip, so that the slip of the sock and the skin surface of the foot can be prevented on the inside of the sports sock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는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보다 작고 기공의 숫자가 동일 면적 대비 아주 많기 때문에, 빨아 들이는 압력이 크고 기공 숫자가 많아서 반복 운동시 발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icropore siz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icropore size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and the number of pores is very large compared to the same area, the suction pressure is large and the number of pores is large, so that the repetition It can absorb sweat generated from the skin of the feet more efficiently during exerci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논슬립부는 상기 양말 바닥의 내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고, 엄지발가락 위치에 대응되는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 위치에 대응되는 앞꿈치부 및 뒷꿈치 위치에 대응되는 뒷꿈치부로 나뉘며, 상기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부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발에 땀이 발생할 경우 끈적거림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부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6 mm 정도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ner non-slip parts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 sole, and the toe pa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ig toe, the toe pa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refoot, and the heel par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ig toe It is divided into a heel part, and since the big toe part and the forefoot part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tickiness can be prevented when sweat occurs on the feet. The distance between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6 m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엄지 발가락부의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되고,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슬립부의 면적은 나머지 다른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스포츠 양말의 슬립 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즉, 내측 논슬립부 중에서는 엄지발가락 위치와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된 내측 논슬립부로서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슬립부 위치가 중요한데, 이 부분이 힘점이 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of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portion are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end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oot, and the area of the two inner slip portions located at both ends to the outside of the foot is the other inner non-slip portion. By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negative area, the anti-slip effect of the sports socks may be more excellent. That is, among the inner non-slip parts, the position of the big toe and the inner non-slip part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forefo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oot, and the position of the two inner slip parts located at both ends to the outside of the foot are important, because these parts become the power point. .

구체적으로, 달리기를 할 때 발바닥의 외측면이 먼저 착지하고, 그 다음에 발바닥의 안측면으로 중심을 이동한 후 엄지발가락으로 밀어주면서 전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 엄지 발가락부의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되고,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슬립부의 면적은 나머지 다른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스포츠 양말의 슬립 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run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lands first, then moves the cen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ole, and then moves forward while pushing with the big toe, so that the inner non-slip part of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Among the parts, the area of the two inner slip parts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ends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oot and located at both ends to the outside of the foot has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other inner non-slip parts, so that the slip prevention effect of sports socks can be more excellent. .

또한, 상기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된 내측 논슬립부에 있어서,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논슬립부 사이는 비어 있어 착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즉, 상기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된 내측 논슬립부에 있어서,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논슬립부 사이는 용천혈(오목한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로서, 이 위치에 논슬립부가 부착될 경우 운동할 때 발바닥면과 붙었다 떨어졌다가 반복됨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막아 착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ner non-slip part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forefo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oot, the two inner non-slip parts positioned at both ends outside the foot are empty, so that the fit can be excellent. That is, in the inner non-slip part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forefo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oot, the position between the two inner non-slip parts located at both ends to the outside of the foot corresponds to Yongcheonhyeol (concave part), and the non-slip part is located at this position. If it is attached, it can be excellent in wearing comfort by blocking it because the wearing feeling is reduced due to repeated attachment and falling off of the sole surface during exercise.

스포츠 양말의 외측 논슬립부를 섬유기재형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패턴, 문양, 캐릭터를 열전사 방식으로 양말의 바닥에 접착함으로써 양말의 외관에 미적인 요소를 부여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스포츠 양말의 제조가 용이하다.In order to form the outer non-slip part of the sports socks with textile-based wet polyurethane, various patterns, patterns, and characters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ocks by thermal transfer to give an aesthetic element to the exterior of the socks,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high value-added sports socks. do.

도 1은 종래의 논슬립이 부착된 양말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논슬립이 부착된 양말의 바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바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외측 논슬립부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가 서로 겹쳐지는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부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가 서로 겹쳐지는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뒷꿈치부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외측 논슬립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경사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non-slip socks attach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of a conventional non-slip sock.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of the anti-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big toe and a forefoot for showing a shape in which an inner non-slip portion and an outer non-slip portion of an anti-slip sports sock overlap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lane view of the heel part for showing the overlapping shape of the inner non-slip part and the outer non-slip part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outer non-slip portion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non-slip portion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the slope test results of the non-slip sports s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only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any sense.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10)에 있어서 양말 바닥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는 내측 논슬립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양말 바닥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신발의 인솔에 접촉하는 외측 논슬립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논슬립부(20)는 습식우레탄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논슬립부(30)는 발포 폴리우레탄시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에 관한 것이다.In the non-slip sports so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non-slip portion 20 in contact with the user's fee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 sole, and the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sole of the user's sho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 sole. A non-slip portion 30 is formed,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is formed of a wet urethane sheet,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is formed of a foamed polyurethane sheet. will be.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기존의 논슬립 양말은 양말(10) 바닥의 내측에 논슬립부(20)가 형성되고, 동시에 양말 바닥의 외측에 별도의 논슬립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논슬립부는 습식 폴리우레탄 재질의 시트를 일정한 패턴의 형상으로 재단한 것으로 접착제나 핫멜트(21 또는 31)를 이용하여 양말의 편직물에 열압착하여 부착 형성된다.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the conventional non-slip socks have a non-slip portion 20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ttom of the sock 10,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non-slip portion 3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sock. . The non-slip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a sheet of wet polyurethane material into a shape of a certain pattern, and is formed by thermal compression bonding to the knitted fabric of socks using an adhesive or a hot melt (21 or 31).

이렇게 부착되는 논슬립부(20, 30)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를 이용한 것으로 논슬립 및 충격 흡수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두께가 300~500㎛ 두께로 형성된다. 양말의 두께와 함께 양말의 내, 외측에 부착되는 논슬립의 두께를 포함하면 전체 두께가 상당히 두꺼워지게 되고 논슬립 부착부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이와 접촉하는 발바닥 피부면에 체중에 의한 하중이 집중되게 되므로 발바닥의 논슬립 접촉면이 물집이 생기거나 상처가 발생하기도 한다.The non-slip parts 20 and 30 attached in this way use wet polyurethane sheets and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300 to 500 μm in order to perform non-slip and shock absorbing functions. When including the thickness of the nonslip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ock along with the thickness of the sock, the overall thickness becomes considerably thicker. The non-slip contact surface of the product may be blistered or scratched.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양말 내측 논슬립부(20)와 양말 외측 논슬립부(30)를 양말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논슬립부의 중첩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논슬립면이 체중의 압력에 의하여 양말의 단면을 기준으로 위, 아래로 눌려지면서 변형되므로 오히려 논슬립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2, a method of positioning the sock inner nonslip part 20 and the sock outer nonslip part 30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side end surface of the sock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the case of preventing the overlapping of the non-slip parts in this way, the non-slip surface is deformed while being pressed up and down bas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sock by the pressure of the weight, so that the function of the non-slip is rather deteriorated.

또한, 장시간 착용한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양말 내측면에 사용자의 발에서 다량의 땀이 배출되고 이 수분이 양말의 외부로 완벽하게 배출되지 못하면서 논슬립의 표면에 남게 되면서 양말 외측에 비하여 양말 내측의 운동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면서 발바닥 피부면의 슬립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intense exercise while wearing for a long time, a large amount of sweat is discharged from the user's feet on the inner side of the sock, and this moisture is not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ock and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non-slip, compared to the outer sock. As the kinetic frictional force on the inside of the sock is relatively reduce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lip on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of the foot is increas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바닥의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양말 내측 논슬립부(20)는 그 전체 두께가 100~200 ㎛ 범위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내측 논슬립부(20)의 두께가 200 ㎛를 초과하게 되면 스포츠 양말 바닥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어, 발바닥 피부의 접촉면에서 압통이 증가하게 되고 물집이 발생될 수 있으며, 100 ㎛ 미만인 경우에는 논슬립의 기능이 저하된다. Referring to FIG. 3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slip portion 20 inside the sock has a total thickness in the range of 100 to 200 μm. If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exceeds 200 μm, the total thickness of the bottom of the sports sock may become thick, increasing tenderness 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sole skin and causing blisters. function deteriorate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20)의 두께가 100~200 ㎛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스포츠 양말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은 내측 및 외측 논슬립부의 두꺼운 두께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of the sports sock in the range of 100 to 200 μm,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ports sock can be thinned, so that the inner and outer non-slip portions like the prior art The problem caused by the thick thickness can be solved.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20)의 두께가 100 ㎛로 제작할 수 있어,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20)의 두께가 종래에 비하여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20)의 두께가 두꺼운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발바닥 피부면에 체중에 의한 하중이 집중되게 되어 발바닥의 논슬립 접촉면이 물집이 생기거나 상처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발바닥과 양말 내측과의 마찰력을 크게 유지하면서도 슬립을 방지하여 피부의 물집이나 상처를 예방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of the sports sock can be manufactured to 100 μm, so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of the sports sock can be formed thinner than before.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problem of the thick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of the conventional sports sock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blisters or scars on the non-slip contact surface of the sole because the load by weight is concentrated on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of the foot. This can prevent blisters and cu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포츠 양말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논슬립부(20)와 외측 논슬립부(30)를 양말의 측단면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게 형성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를 양말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시킴에 따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논슬립부의 중첩을 방지하는 경우에 논슬립면이 체중의 압력에 의하여 양말의 단면을 기준으로 위, 아래로 눌려지면서 변형되므로 오히려 논슬립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ports socks can be reduced,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can be formed to overlap each other based on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sock. There is,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by positioning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side end surface of the sock. That is, when the overlapping of the non-slip parts is prevented, the non-slip surface is deformed while being pressed up and down bas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sock by the pressure of the body weight, so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non-slip fun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스포츠 양말 외측 논슬립부(30)는 섬유기재형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를 사용하여 300~500㎛로 형성되도록 하며 스포츠 양말 바닥의 외측면에 자유로운 패턴, 문양, 캐릭터, 이미지의 형태로 열전사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때 형성되는 외측 논슬립부(30)는 내측 논슬립부의 위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내측 논슬립부와 겹쳐지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논슬립부(30)의 두께가 500㎛를 초과하게 되면 스포츠 양말 바닥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으므로 외측 논슬립부(30)의 두께는 500㎛ 이하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으로 외측 논슬립부(30)의 두께를 최소로 하면서 운동 마찰력을 높게 발휘할 수 있으면 좋으나, 외측 논슬립의 두께를 300㎛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양말 조직에 견고하게 부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논슬립 및 충격 흡수 기능이 저하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of sports socks is formed with a thickness of 300 to 500 μm using a fiber-based wet polyurethane sheet, and free patterns, patterns, characters, and imag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sports socks. Formed by thermal transfer method.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formed at this time is not limited to the location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inner non-slip portion.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exceeds 500 μm,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sports sock bottom may be increased, so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is formed to be 500 μm or less. On the other hand, while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it is desirable to exert high kinetic frictional force.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300 μm or less, it is difficult to firmly attach to the sock tissue and has non-slip and shock absorption functions. this is lower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논슬립부(20)의 면적은 상기 외측 논슬립부(30)의 면적보다 크고, 내측 논슬립부 면적 : 외측 논슬립부 면적의 비율이 1.2~1.5 :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1.2 to 1.5: 1 to be characterized

상기 내측 논슬립부(20)의 면적은 상기 외측 논슬립부(30)의 면적보다 크고, 내측 논슬립부 면적 : 외측 논슬립부 면적의 비율이 1.2~1.5 : 1을 만족하도록 조절함으로써, 내측 논슬립의 마찰력이 외측 논슬립의 마찰력보다 클 수 있어, 스포츠 양말의 내측에서 발의 피부면과 양말의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adjusted to satisfy 1.2 to 1.5: 1, so that the frictional forc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ncreases. It can b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outer non-slip, so slipping of the sock and the skin surface of the foot on the inside of the sports sock can be prevented.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내측 논슬립부 면적 : 외측 논슬립부 면적의 비율이 30:21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내측 논슬립의 마찰력이 외측 논슬립의 마찰력보다 클 수 있어, 스포츠 양말의 내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슬립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to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30:21, the frictional forc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which may occur on the inside of the sports sock. Possible slippage can be prevented su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의 운동마찰계수 비는 1 : 0.5~0.8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마찰계수의 차이를 부여하는 것은 착용자가 스포츠 양말을 장시간 착용한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 발의 피부에서 배출되는 땀이 완벽하게 양말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면서 남아있게 되면서 내측 논슬립부(20)와 착용자의 발바닥 피부면의 운동마찰계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렇게 땀의 수분에 의해 내측 논슬립부(20)의 운동마찰계수가 감소되는 경우에도 내측 논슬립부(20) 운동마찰계수가 외측 논슬립부(30)의 운동마찰계수보다 커서 발바닥의 슬립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between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1: 0.5 to 0.8.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is that when the wearer performs intense exercise while wearing sports socks for a long time, the sweat discharged from the skin of the feet remains without being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ocks, and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and It reduces the kinet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of the wearer's foot. In this way, even when the motion friction coefficient of the inner non-slip part 20 is reduced by the moisture of sweat, the inner non-slip part 20 has a greater kinetic friction coefficient than the outer non-slip part 30, so the slip phenomenon of the sole can be suppressed. is to make it possible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의 운동마찰계수 비를 1 : 0.5~0.8 로 함으로써, 마찰력의 비는 예를 들어, 내측 논슬립부 : 외측 논슬립부가 9 : 2로 조절될 수 있어, 발바닥의 슬립 현상 억제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ratio of the kinet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to 1: 0.5 to 0.8, the ratio of frictional force is, for example, the inner non-slip portion: the outer non-slip portion adjusted to 9: 2. Therefore,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slip phenomenon of the sole can be excellent.

즉,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의 운동마찰계수 비는 1 : 0.5~0.8이고, 내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100~200 ㎛이고, 외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30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내측 논슬립의 마찰력이 외측 논슬립의 마찰력보다 클 수 있어, 스포츠 양말의 내측에서 발의 피부면과 양말의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the ratio of th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between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1: 0.5 to 0.8,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100 to 2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300 to 500 μm. Frictional force of the nonslip can be greater than frictional force of the outer nonslip, so slipping of the sock and the skin surface of the foot on the inside of the sports sock can be preven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4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of the anti-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외측 논슬립부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사진이다. 5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graph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에서,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는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는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보다 작기 때문에, 반복 운동시 내측 논슬립부의 마찰계수를 아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는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보다 작고 기공의 숫자가 동일 면적 대비 아주 많기 때문에, 빨아 들이는 압력이 크고 기공 숫자가 많아서 반복 운동시 발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땀의 수분에 의해 내측 논슬립부(20)의 운동마찰계수가 감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발바닥의 슬립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4 and 5, in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ore siz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icropore size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Since the micropore siz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icropore size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can be formed to be very large during repetitive motion. In addition, since the micropore siz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icropore size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and the number of pores is very large compared to the same area, the suction pressure is large and the number of pores is large, so that sweat generated from the skin of the feet during repetitive exercise is reduced. can be absorbed more efficiently.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from being reduced due to moisture in sweat, and thu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lip phenomenon of the sole.

기존의 논슬립 양말은 습식 폴리우레탄 재질의 논슬립의 두께가 두껍고, 양말의 내측과 외측의 논슬립에 의한 마찰력 차가 착용자의 사용 중에 발생하게 되어 발바닥 피부면에 압통 또는 이물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양말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마찰 계수를 차이가 나게 하며, 실제로 발이 닿아 힘이 전달되는 면적에 있어서 습식 우레탄의 제조 과정에서의 셀의 크기 차이를 두고 내측면의 습식 우레탄에 발이 닿는 면적이 외측면의 면적보다 더 크게 하여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운동하는 사람들이 안정적인 그립성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Conventional non-slip socks have a thick non-slip material made of wet polyurethane, and a difference in frictional force due to the non-slip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ock occurs during use by the wearer, causing tenderness or foreign body sensation on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of the foo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metho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sock is different, and in the area where the foot actually touches and transmits force, the difference in cell siz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wet urethane is used to wet the inner surface. The area where the foot touches the urethane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surface to maximize the anti-slip effect, allowing exercisers to feel a stable gri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존 습식 우레탄에 사용되는 섬유 내지 부직포 기재가 아닌 PET 필름 기재를 사용한 습식 우레탄을 적용하여 내측의 논슬립부를 제조하기 때문에, 기공의 크기가 작은 (기존 내측 논슬립부의 기공 크기는 10 ㎛~ 200 ㎛인 반면, 본 발명의 필름 기재 타입 논슬립부의 기공 크기는 400 nm ~ 1000 nm 임) 논슬립 재료를 적용하여 마찰 계수의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그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manufactured by applying a wet urethane using a PET film substrate rather than a fiber or non-woven fabric substrate used in conventional wet urethane, the pore size is small (compared to the existing inner non-slip portion) While the pore size is 10 μm to 200 μm, the pore size of the non-slip film type non-slip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400 nm to 1000 nm.) By applying a non-slip material to increase the difference in friction coefficient, more stable gripping can be secured .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는 400 nm ~ 100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micropore siz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400 nm to 1000 nm.

또한, 양말 내측의 논슬립과 외측의 논슬립이 동일한 위치에서 중첩되는 경우에도 논슬립의 두께를 달리하여 (외측의 논슬립재의 두께 300㎛~ 500㎛, 내측 필름 기재 타입 논슬립재의 두께 100㎛ ~200㎛) 발바닥의 압통을 감소시키고 다량의 땀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양말 내측과 발바닥 피부면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마찰계수가 외부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하여 발바닥의 피부면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nonslip on the inside and the nonslip on the outside overlap at the same 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nonslip is changed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material 300㎛ ~ 500㎛, thickness of the inner film base type nonslip material 100㎛ ~ 200㎛) s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of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by reducing tenderness and maintaining a relativ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between the inside of the sock and the skin surface of the sole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outside even when a large amount of sweat is dis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에 필름기재형 습식 우레탄 시트를 적용하고, 외측 논슬립부는 섬유기재형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를 적용함으로써 내측과 외측의 운동마찰력 차를 크게 하여 착용자가 발에 땀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발바닥과 양말 내측과의 마찰력이 크게 되므로 슬립을 방지하여 피부의 물집이나 상처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based wet urethane sheet is applied to the inner non-slip portion of the sports sock, and a fiber-based wet polyurethane sheet is applied to the outer non-slip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difference in kinetic fri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ports sock, thereby increasing the wearer's Even when the wig sweats a lot, the friction between the sole of the foot and the inside of the sock increases,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and blisters or scars on the skin.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를 필름기재형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로 형성하여 내측 논슬립부의 두께를 최소로 하면서도 운동에 의한 충격 완화효과를 높이고, 발바닥 전체에 체압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발바닥의 특정부위의 압통을 예방할 수 있다. Forming the inner non-slip part of sports socks with a film-based wet polyurethane sheet minimizes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art while enhancing the effect of mitigating shock caused by exercise, and evenly distributing body pressure throughout the sole to relieve tenderness in a specific part of the sole. I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논슬립부(20)와 상기 외측 논슬립부(30)는 기재 상에 우레탄 용액을 도포한 후 수용액 중에 투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non-slip part 20 and the outer non-slip part 30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by applying a urethane solution on a substrate and then putting it into an aqueous solution.

또한, 상기 내측 논슬립부(20)와 상기 외측 논슬립부(30)는 상기 우레탄 용액의 DMF와 수용액의 물이 치환되면서 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are characterized in that pores are formed while DMF of the urethane solution and water of the aqueous solution are substituted.

상기 내측 논슬립부는 기존 습식 우레탄에 사용되는 섬유 내지 부직포 기재가 아닌 PET 필름 기재를 사용한 습식 우레탄을 적용하기 때문에, 기공의 크기가 작은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마찰계수를 크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그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inner non-slip part uses wet urethane using a PET film substrate rather than a fiber or nonwoven fabric substrate used in conventional wet urethane, it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with a small pore siz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 coefficient to secure more stable grip can

즉, 외측 논슬립부의 섬유 기재형은 DMF가 치환하여 셀이 형성될 때 위아래로 통과하여 셀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데 반해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필름 기재형 습식 우레탄의 경우 수조에서 DMF가 치환하여 셀이 형성될 때 PET 필름에 막혀 위아래로 통과하지 못하고 DMF가 그대로 치환이 되기 때문에 셀의 크기가 아주 작게 형성되는 반면 그 작은 미세 구멍은 상대적으로 빨아들이는 압력이 크게 작용하여 내측 논슬립의 마찰계수가 아주 크게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That is, the fiber-based type of the outer non-slip part passes up and down when cells are formed by replacing DMF, and the size of the cell is large, whereas in the case of the film-based wet urethane of the inner non-slip part, DMF is substituted in the water tank to form cells When it is blocked by the PET film, it cannot pass up and down, and DMF is substituted as it is, so the size of the cell is formed very small, but the small micropores have a relatively high suction pressure, so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inner non-slip is very large. can be said to be formed.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작된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는 습식 폴리우레탄 시트 형태로서, 양말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이 제작될 수 있다.The inner non-slip part and the outer non-slip part manufactured by the above process are in the form of wet polyurethane sheets, and by attaching them to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socks, respectively, anti-slip sports sock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가 서로 겹쳐지는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부의 평면 모식도이다.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big toe and a forefoot for showing a shape in which an inner non-slip portion and an outer non-slip portion of an anti-slip sports sock overlap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가 서로 겹쳐지는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뒷꿈치부의 평면 모식도이다. 7 is a schematic plane view of the heel part for showing the overlapping shape of the inner non-slip part and the outer non-slip part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검은색의 원형 내측 논슬립부 각각의 크기와 전체 면적은 검은색 리본 형상의 외측 논슬립부 각각의 크기 및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측 논슬립부(20)의 면적은 상기 외측 논슬립부(30)의 면적보다 크고, 내측 논슬립부 면적 : 외측 논슬립부 면적의 비율이 1.2~1.5 : 1을 만족하도록 조절함으로써, 내측 논슬립의 마찰력이 외측 논슬립의 마찰력보다 클 수 있어, 스포츠 양말의 내측에서 발의 피부면과 양말의 슬립이 방지될 수 있다. 6 and 7, the size and total area of each of the black circular inner non-slip parts are larger than the size and area of each of the black ribbon-shaped outer non-slip parts. In this way,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20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30,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adjusted to satisfy 1.2 to 1.5: 1, so that the inner non-slip The frictional force can b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outer nonslip, so that slipping of the sock with the skin surface of the foot on the inside of the sports sock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논슬립부(20)는 상기 양말 바닥의 내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고, 엄지발가락 위치에 대응되는 엄지 발가락부(20a)와 앞꿈치 위치에 대응되는 앞꿈치부(20b) 및 뒷꿈치 위치에 대응되는 뒷꿈치부(20c)로 나뉘며, 상기 엄지 발가락부(20a)와 앞꿈치부(20b)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발에 땀이 발생할 경우 끈적거림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엄지 발가락부(20a)와 앞꿈치부(20b) 사이의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6 mm 정도의 간격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ner non-slip parts 20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 sole, and the big toe part 20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refoot It is divided into a part 20b and a heel part 20c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eel, and the big toe part 20a and the front heel part 20b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stickiness when sweating occurs on the feet. The distance between the big toe part 20a and the forefoot part 20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have, for example, about 6 m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엄지 발가락부(20a)의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앞꿈치부(20b)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되고,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슬립부의 면적은 나머지 다른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스포츠 양말의 슬립 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non-slip part of the big toe part 20a and the forefoot part 20b are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end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oot, and the two inner slips are located at both ends outside the foot. The area of th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other inner non-slip portion. Due to this, the anti-slip effect of sports socks may be more excellent.

즉, 내측 논슬립부 중에서는 엄지발가락 위치와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된 내측 논슬립부로서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슬립부 위치가 중요한데, 이 부분이 힘점이 되기 때문이다. That is, among the inner non-slip parts, the position of the big toe and the inner non-slip part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forefo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oot, and the position of the two inner slip parts located at both ends to the outside of the foot are important, because these parts become the power point. .

구체적으로, 달리기를 할 때 발바닥의 외측면이 먼저 착지하고, 그 다음에 발바닥의 안측면으로 중심을 이동한 후 엄지발가락으로 밀어주면서 전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 엄지 발가락부(20a)의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앞꿈치부(20b)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되고,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슬립부의 면적은 나머지 다른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스포츠 양말의 슬립 방지 효과가 보다 우수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run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ole lands first, then moves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ole, and then moves forward while pushing with the big toe, so that the inner side of the big toe 20a is non-slip. and the forefoot portion 20b, the area of the two inner slip parts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fo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nd located at both ends outside the foot has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other inner non-slip part, thereby preventing slipping of sports socks. The effect may be better.

또한, 상기 앞꿈치부(20b)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된 내측 논슬립부에 있어서,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논슬립부 사이는 비어 있어 착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 즉, 상기 앞꿈치부(20b)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된 내측 논슬립부에 있어서,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논슬립부 사이는 용천혈(오목한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로서, 이 위치에 논슬립부가 부착될 경우 운동할 때 발바닥면과 붙었다 떨어졌다가 반복됨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막아 착용감이 우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inner non-slip portion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forefoot portion 20b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oot, the two inner non-slip portions positioned at both ends outside the foot are empty, so that the fit can be excellent. That is, in the inner non-slip part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forefoot part 20b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oot, the position between the two inner non-slip part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oot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Yongcheonhyeol (concave part), and this position When the non-slip part is attached to the foot sole surface during exercise, and falling off repeatedly, the wearing feeling is reduced, so it can be prevented and the wearing feeling can be excellen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외측 논슬립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8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outer non-slip portion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내측 논슬립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9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non-slip portion of the non-slip sports s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외측 논슬립부는 형상이나 색채에 제한이 없으나, 도 8과 같이 검은색 리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내측 논슬립부도 형상이나 색채에 제한이 없으나, 도 9와 같이 검은색의 원형 형상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outer non-slip portion of the non-slip sports s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shape or color, but may be a black ribbon shape as shown in FIG. 8 . In addition,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also not limited in shape or color, but may have a black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 9 .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only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n any sens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양면 논슬립부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In-Out Nonslip Socks, IOS)이고, 비교예는 종래의 운동용 양말(NS)을 이용하여 기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Out Nonslip Socks (IOS) including a double-sided non-slip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uses a conventional sports sock (NS) f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compared.

본 발명에서 연구 대상자는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신체 건강한 오른발이 주 동측인 20대 남성 15명 (나이 23.73±2.1 yrs., 신장 174.1±2.6cm, 체중 71.6±7.9kg, 발 사이즈 265mm)으로 선정하였으며 지면 반력기가 장착된 트레드밀(Instrumented treadmill, Bertec, USA)과 8대의 적외선 카메라(Oqus 300, Qualisys, Sweeden) 및 16채널 EMG(Noraxon EMG Ultium EPS, USA)를 사용한 3차원 동작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30분의 트레드밀 달리기(treadmill running)와 방향 전환(cutting maneuver) 동작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기자재의 data sampling rate는 각각 1,000 Hz, 100 Hz 그리고 1,000 Hz였다.In the present study, 15 males in their 20s (age 23.73±2.1 yrs., height 174.1±2.6cm, weight 71.6±7.9kg, foot size 265mm) with a healthy right foot without musculoskeletal disease were selected and the foot size was 265mm. A 3D mo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treadmill equipped with a reaction force (Instrumented treadmill, Bertec, USA), 8 infrared cameras (Oqus 300, Qualisys, Sweeden), and 16-channel EMG (Noraxon EMG Ultium EPS, USA). The analysis of treadmill running and cutting maneuvers was conducted. The data sampling rate of each equipment was 1,000 Hz, 100 Hz, and 1,000 Hz, respectively.

본 발명은 IOS(실시예)의 기능성에 대한 생체역학적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있었으며 국내에 상용되는 NS(비교예)과 비교하여 IOS(실시예)의 기능적 특성을 근육 효율성과 양말의 미끌림의 기준에서 평가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was to conduct a biomechanical evalu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IOS (Example), and compar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IOS (Example) to NS (Comparative Example)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in terms of muscle efficiency and slippage of socks. evaluated.

먼저 30분 달리기 프로토콜에서 두 양말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수직 지면 반력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달리기를 주도한 장딴지근과 긴 종아리근의 근육활성도는 NS(비교예)의 경우 30분 경과 후 시작 시에 비하여 각각 약 57%, 9% 유지된 반면 IOS(실시예)의 경우 각각 72%, 27% 유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IOS(실시예)의 경우 양말이 신발과의 마찰력을 높게 만들어 지면을 누르는 지면 반력의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러닝 시 주동근이 발의 안정성에 사용하는 힘을 최소화 시켰기 때문으로 생각된다.First, in the 30-minute running protocol, both sock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over time. However, the muscle activity of the calf muscle and the calf muscle that led such running were maintained at about 57% and 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start after 30 minutes in the case of NS (Comparative Example), whereas in the case of IOS (Example), each 72% , 27% was maintained. This result is thought to be due to the fact that in the case of IOS (Example), the sock mad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hoe high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pressing the ground was kept constant while minimizing the force used by the agonist to stabilize the foot during running.

따라서, 30분 후 유지된 근력의 크기로 볼 때 IOS(실시예)가 NS(비교예)에 비하여 피로의 축적이 덜 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양말의 신발 안에서의 미끌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방향 전환 동작을 프로토콜로 사용하였다. 즉 양말이 신발과의 미끌림이 적다면 방향 전환 동작을 수행할 때 효율적으로 힘을 신발에 전달하여 궁극적으로 큰 움직임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을 가지고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30분 달리기와 방향 전환 프로토콜 모두에서 양말의 착용감은 IOS(실시예)가 NS(비교예)에 비하여 월등히 좋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refore, in view of the amount of muscle strength maintained after 30 minutes, IOS (Example) is considered to have less fatigue accumulation than NS (Comparative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change motion was used as a protocol to evaluate the degree of slippage of socks in the shoe. In other words, the test was carried out with the hypothesis that if the socks have little slippage with the shoes, the power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hoes when performing a direction change operation, ultimately causing a large movement. Finally, the fit of the sock in both the 30-minute running and direction change protocols showed that IOS (Example)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NS (Comparative Example).

특히, 마찰에 관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예상과 다르게 패드에 대한 이물감을 느끼지 못하고 편안함을 느꼈다는 대답이 도출되었다.In particular, it showed the highest value for friction, and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answer was derived that they felt comfortable without feeling foreign body on the pad.

1. 근육 효율성 평가1. Assessment of muscle efficiency

가. 생체역학적 검사go. biomechanical test

트레드밀 달리기 시 시간 경과(0-30 mins)에 따른 양말의 효과를 생체역학적으로 평가한 결과 NS(비교예)와 IOS(실시예)를 착용하였을 때 모두 트레드밀 달리기 이후 GRFz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 1; p<.05). 그러나 양말의 종류에 따른 GRFz의 값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As a result of biomechanically evaluating the effect of socks over time (0-30 mins) during treadmill running, the GRFz value after treadmill run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NS (Comparative Example) and IOS (Example) were worn. increased (Table 1; p<.05).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value of GRFz according to the type of socks.

근육 효율성의 경우 트레드밀 달리기 이후 IOS(실시예)를 착용하였을 경우가 NS(비교예)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장딴지근과 긴 종아리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 2; p<.05).In the case of muscle efficiency, when IOS (Example) was worn after treadmill runn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alf muscle and long calf muscle compared to the case where NS (Comparative Example) was worn (Table 2; p<.05)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트레드밀 달리기 시에 NS(비교예)에 비하여 IOS(실시예)을 착용하였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직 지면 반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When IOS (Example) was worn during treadmill running compared to NS (Comparative Example),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트레드밀 달리기 시에 NS(비교예)에 비하여 IOS(실시예)을 착용하였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근육의 효율성이 약 15% 가량 증가하였다. 즉, 실시예인 IOS를 착용하였을 경우, 장거리 런닝 시 근육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기 때문에 근육의 피로가 덜 할 수 있으며, 혹은 근육의 피로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IOS (Example) was worn during treadmill running compared to NS (Comparative Example), muscle efficiency increased by about 15% over time. That is, when wearing the IOS of the embodiment, since the muscles can be efficiently used during long-distance running, muscle fatigue can be reduced, or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muscle fatigue.

나. 착용감 검사me. fit check

달리기 시 IOS(실시예)의 착용감을 측정한 결과 IOS(실시예)는 NS(비교예)에 비해 종합적으로 59±24 % 향상된 착용감을 나타냈으며 특히, 마찰(80±22%)에 있어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wearing comfort of IOS (Example) during running, IOS (Example) showed a comprehensive 59±24% improved wearing comfort compared to NS (Comparative Example), and in particular, the highest friction (80±22%) figures were shown.

2. 양말의 미끌림 평가2. Evaluation of slippage of socks

가. 생체역학적 검사go. biomechanical test

방향 전환 시 동작의 방향과 난이도에 따른 양말의 효과를 생체역학적으로 평가한 결과 방향전환 동작의 난이도가 높은 60°에서 방향전환 시 신체를 측면으로 밀어내어 효과적으로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M/L GRFx (medial · lateral ground reaction force, Fx)의 값이 NS(비교예)를 착용했을 때 보다 IOS(실시예)를 착용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 3; p<.05). As a result of biomechanically evaluating the effect of sock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ifficulty of movement when changing direction, M/ The value of L GRFx (medial lateral ground reaction force, Fx)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hen IOS (Example) was worn than when NS (Comparative Example) was worn (Table 3; p<.05).

또한, 방향 전환 동작의 난이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지면과 상호작용하며 신체의 방향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발목관절 모멘트(ankle joint moment)의 값이 NS(비교예)를 착용했을 때 보다 IOS(실시예)를 착용하였을 때 30°에서 inversion moment, 그리고 60°에서 plantar flexion moment와 inversion moment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표 3, 표 4; p<.05). In addition, as the difficulty of the change of direction increases, the value of the ankle joint moment, which actually interacts with the ground and affects the change of direction of the body, is higher than when wearing NS (Comparative Example). Example), the inversion moment at 30° and the plantar flexion moment and inversion moment at 60°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ables 3 and 4; p<.05).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방향전환 시에 NS(비교예)에 비하여 IOS(실시예)을 착용하였을 경우 발목관절 모멘트 값이 20% 가량 증가하였다.When changing direction, the ankle joint moment value increased by about 20% when IOS (Example) was worn compared to NS (Comparative Example).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방향전환 시에 NS(비교예)에 비하여 IOS(실시예)을 착용하였을 경우 M/L(몸무게 대비 좌우로 미는 힘), Plant.Flex.moment(발목 앞쪽으로 미는 회전력), Inver. moment(측면 미는 힘)이 각각 8%, 5%, 19% 가량 증가하였다.When IOS (Example) was worn compared to NS (Comparative Example) when changing direction, M/L (force pushing left and right against body weight), Plant.Flex.moment (rotational force pushing the ankle forward), Inver. Moment (lateral pushing force) increased by 8%, 5%, and 19%, respectively.

나. 착용감 검사me. fit check

방향전환 시 IOS(실시예)의 착용감에 대한 측정 결과는 IOS(실시예)의 경우 NS(비교예)에 비하여 종합적으로 62±26 % 향상된 착용감을 나타냈으며, 특히 앞축 접지력(71±28%), 뒤축 접지력(62±29%) 및 마찰(77±28%)에 있어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As a result of measuring the wearing comfort of IOS (Example) when changing direction, the IOS (Example) showed a comprehensive 62±26% improved wearing comfort compared to NS (Comparative Example), especially the front axle grip (71±28%) , showed very high values for heel grip (62±29%) and friction (77±28%).

본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양말의 종류와 관계없이 오랜 시간 달리기가 지속되었을때 수직 지면 반력(GRFz)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장시간 달리기(30분 이상)로 인해 피로도가 누적되면 NS(비교예)와 IOS(실시예) 두 양말 모두 착용 시 지면을 지지할 때 충격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GRFz) increased when running for a long time regardless of the type of socks. This is because when fatigue is accumulated due to long-term running (more than 30 minutes), both NS (Comparative Example) and IOS (Example) socks do not properly absorb shock when supporting the ground when worn, so it can be judged that this phenomenon occurs. can

그러나, 양말 종류에 따른 GRFz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IOS(실시예)착용 시 NS(비교예)착용 시 보다 장딴지근과 긴 종아리근의 근육의 효율성(muscle efficiency)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두 양말 모두 오래달리기 시 동일한 퍼포먼스(performance)를 나타냈음에도 불구하고 IOS(실시예)착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근활성도와 함께 더 나은 근육의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불어 양말의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인 신발과의 마찰력에 있어 NS(비교예)보다 IOS(실시예)에서 높은 수치(80±22%)를 나타내며 미끄러움을 충분히 방지해준다고 평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IOS(실시예)가 생체역학적으로 뛰어난 효율성과 함께 신축성 통풍성 편안함 접지력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Fz according to the type of sock, it was confirmed that the muscle efficiency of the calf muscle and long calf muscle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wearing IOS (Example) compared to when wearing NS (Comparative Example). . This means that wearing the IOS (Example) can demonstrate better muscle efficiency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muscle activity, even though both socks showed the same performance during long running. In addition, in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hoe,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socks, IOS (Example) showed a higher value (80 ± 22%) than NS (Comparative Example) and was evaluated to sufficiently prevent slippage. Such a result is determined to be a basis that the IOS (Example) can provide various effects to the user, such as elasticity, breathability, comfort and grip, along with excellent biomechanical efficiency.

또한, 본 티스트 결과에 따르면 방향 전환 시 동작의 난이도가 높아짐(30°→ 60°)에 따라 IOS의 착용이 신체의 방향전환을 발생시키는 회전(rotation), 추진(propulsion)과 관련한 M/L GRFx, plantar flexion moment, inversion moment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격렬한 동작을 수행하는 축구 농구 야구 등과 같은 구기 종목은 물론 다양한 스포츠 활동 시 IOS(실시예)가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test, as the difficulty of motion increases when changing direction (30° → 60°), wearing the IOS causes rotation and propulsion of the body to change M/L GRFx , plantar flexion moment, and inversion moment were confirmed to increase. This suggests that the IOS (Example) can play a positive role in various sports activities as well as ball games such as soccer, basketball, and baseball that perform intense motions.

따라서, IOS(실시예)의 착용은 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스포츠 종목보다 격렬하고 역동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스포츠 종목에서 그 효과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양말을 착용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착용감이 NS(비교예)보다 IOS(실시예)의 경우에서 눈에 띄게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IOS(실시예)가 생체역학적인 기능적 우수함과 함께 신축성, 내구성, 통풍성, 편안함 및 접지력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wearing the IOS (Example) will have a more pronounced effect in sports events that perform intense and dynamic motions than sports events that perform static mo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it in wearing socks was noticeably superior in the case of IOS (Example) than NS (Comparative Example).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grounds for the IOS (Example) to provide users with various effects such as elasticity, durability, breathability, comfort and grip along with biomechanical functional excellence.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의 논슬립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사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In addition, a slope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on-slip performance of the anti-slip sports s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경사로 테스트는 비교 대상이 미끄러지지 않고 올라갈 수 있는 각도를 파악하여 양말의 내부/외부 마찰면의 마찰 계수를 도출하기 위한 테스트이다.The ramp test is a test for deriving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internal/external friction surface of the sock by determining the angle at which the comparison target can climb without slipping.

본 테스트는 1) 양말 내부 마찰면 테스트- 양말 안감과 피부간의 논슬립 성능 평가 테스트, 라스트 구조물: 인조 가죽, 플랫폼: 양말 안감 부착, 2) 양말 외부 마찰면 테스트- 양말 겉감과 인솔간의 논슬립 성능 평가 테스트, 라스트 구조물: 양말 겉감, 플랫폼: 인솔 부착 및 3) 양말 종합 마찰면 테스트- 양말 착용 상태에서 양말과 인솔간 논슬립 성능 평가 테스트, 라스트 구조물: 양말 착용, 플랫폼: 인솔 부착 형태로 진행되었다.In this test, 1) Sock inner friction surface test- non-slip performance evaluation test between sock lining and skin, last structure: artificial leather, platform: sock lining attached, 2) sock outer friction surface test- non-slip performance evaluation test between sock outer material and insole , Last structure: sock outer material, platform: insole attached, and 3) sock comprehensive friction surface test - non-slip performance evaluation test between sock and insole while wearing socks, last structure: sock worn, platform: insole attached.

구체적인 테스트 방법은 테스트 별 요구되는 소재를 착용한 라스트 구조물을 경사로에 부착한 뒤 0.62°/s 속도로 점진적으로 경사도를 증가시켰다. 미끄러짐 발생 여부는 2cm 수평 변위가 포착된 순간으로 정의하였으며, 30fps 고속 카메라를 통해 2cm 이상 미끄러짐 발생 시의 각도를 포착하였다(두께 2 cm 테이프 부착 및 테이프 정면에 카메라 위치).As for the specific test method, after attaching the last structure wearing the material required for each test to the ramp, the slope was gradually increased at a speed of 0.62°/s. The occurrence of slipping was defined as the moment when a horizontal displacement of 2 cm was captured, and the angle at the time of slipping more than 2 cm was captured through a 30 fps high-speed camera (attaching a 2 cm thick tape and positioning the camera in front of the tape).

고속 카메라의 노출 정도를 맞추기 위해 강한 조명을 사용했으며, 매 측정마다 소재의 접착여부를 확인하고, 마찰면의 먼지 또는 실을 제거했으며, 양말이 착용된 경우에 미끄러짐이 발생했을 시 원위치로 복구하도록 하여 매 측정이 동일하도록 하였다.Strong lighting was used to match the exposure of the high-speed camera, adhesion of the material was checked for each measurement, dust or threads on the rubbing surface were removed, and socks were worn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when slippage occurred. So that every measurement was the same.

본 테스트는 KIFLT TM 03 표준시험절차를 참고하여 총 7회 반복 측정 후 가장 높은 각도와 가장 낮은 각도를 제외한 5개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For this test, referring to the KIFLT TM 03 standard test procedure, after a total of 7 repeated measurements, 5 data excluding the highest and lowest angles were used.

하기 [표 5]은 상기 경사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Table 5 below shows the ramp test results.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스포츠 양말의 경사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0 is a graph showing the slope test results of the non-slip sports s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표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종합 마찰면 검사 결과 논슬립 성능이 우수한 순위로 나열 했을 때,Referring to [Table 1] and FIG. 10, when the non-slip performance is ranked in the order of excellence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friction surface inspection,

1. US- 우레탄 논슬립 패드 양말 (본 발명의 실시예)1. US-urethane non-slip pad sock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S-O- 실리콘 논슬립 패드 겉감 부착 양말2. SS-O- Socks with silicone non-slip pad outer fabric

3. SS-I- 실리콘 논슬립 패드 안감 부착 양말3. SS-I-Socks with silicone non-slip pad lining

4. NS- 일반 양말4. NS-Plain Socks

5. ST- 스타킹5. ST-Stockings

순으로 나타났다.appeared in sequence.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내부와 외부 마찰계수 중 종합 마찰계수 결과와 유사했던 것은 외부 마찰계수로 종합적인 논슬립 기능에 더욱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내부 마찰계수가 높을수록 외부 마찰계수와 종합 마찰계수의 차이가 적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경사도 테스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의 논슬립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review, the external friction coefficient that was similar to the overall friction coefficient result amo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riction coefficients seems to have had a greater impact on the overall non-slip func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internal friction coefficient, the small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ternal friction coefficient and the overall friction coefficient, which seems to require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inclination test, it can be seen that the non-slip performance of the anti-slip sports so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es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ince variou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 스포츠양말 20 : 내측 논슬립부
30 : 외측 논슬립부
10: sports socks 20: inner non-slip part
30: outer non-slip part

Claims (8)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에 있어서,
상기 양말 바닥의 내측면에는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는 내측 논슬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말 바닥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신발의 인솔에 접촉하는 외측 논슬립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논슬립부는 필름 기재형 습식 우레탄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논슬립부는 섬유 기재형 습식 우레탄시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은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크고,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 : 외측 논슬립부의 면적의 비율이 1.2~1.5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
In the anti-skid sports socks,
An inner non-slip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ser's foo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 bottom,
An outer non-slip portion contacting the insole of the user's sho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 bottom,
The inner non-slip part is formed of a film-based wet urethane sheet, and the outer non-slip part is formed of a fiber-based wet urethane sheet,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and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to the area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1.2 to 1.5: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외측 논슬립부의 운동마찰계수 비는 1 : 0.5~0.8 이고, 내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100~200 ㎛이고, 외측 논슬립부의 두께는 30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
According to claim 1,
The ratio of the coefficient of motion friction between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1: 0.5 to 0.8, the thickness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100 to 2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is 300 to 500 μm. Sports socks for non-slip,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외측 논슬립부는 기재 상에 우레탄 용액을 도포한 후 수용액 중에 투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are anti-slip sports sock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pplying a urethane solution on a substrate and then putting it into an aqueous solu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외측 논슬립부는 상기 우레탄 용액의 DMF와 수용액의 물이 치환되면서 기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
According to claim 3,
The inner non-slip portion and the outer non-slip portion are non-slip sports socks, characterized in that pores are formed as DMF of the urethane solution and water of the aqueous solution are replac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는 상기 외측 논슬립부의 마이크로 기공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
According to claim 4,
Anti-skid sports so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pore size of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icropore size of the outer non-sli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논슬립부는 상기 양말 바닥의 내측면에 복수 개가 배치되고, 엄지발가락 위치에 대응되는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 위치에 대응되는 앞꿈치부 및 뒷꿈치 위치에 대응되는 뒷꿈치부로 나뉘며, 상기 엄지 발가락부와 앞꿈치부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non-slip portion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ock, and is divided into a big to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ig toe, a he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refoot, and a heel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heel. Anti-skid sports socks,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논슬립부에 있어서,
상기 엄지 발가락부의 내측 논슬립부와 상기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되고,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슬립부의 면적은 나머지 다른 내측 논슬립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
According to claim 6,
In the inner non-slip portion,
The inner non-slip part of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part are disposed horizontally at the end of the foo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nd the area of the two inner slip parts located at both ends to the outside of the foot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ther inner non-slip part. Characterized in that Non-slip sports sock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부 중 발의 중심부 방향 끝단에 가로로 배치된 내측 논슬립부에 있어서, 발의 외측으로 양쪽 끝에 위치하는 두 내측 논슬립부 사이는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용 스포츠 양말.
According to claim 7,
In the inner non-slip portion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end of the foot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forefoot portion, an anti-slip sports s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between the two inner non-slip portions located at both ends outside the foot is empty.
KR1020210136733A 2021-10-14 2021-10-14 Non-slip sports socks KR202300533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33A KR20230053338A (en) 2021-10-14 2021-10-14 Non-slip sports s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33A KR20230053338A (en) 2021-10-14 2021-10-14 Non-slip sports soc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338A true KR20230053338A (en) 2023-04-21

Family

ID=8609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733A KR20230053338A (en) 2021-10-14 2021-10-14 Non-slip sports so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333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547B1 (en) 2016-09-01 2016-12-14 김태효 Non slip socks for sports
KR102002633B1 (en) 2018-07-19 2019-07-22 김태효 Non slip foot wear with separating cushion pa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547B1 (en) 2016-09-01 2016-12-14 김태효 Non slip socks for sports
KR102002633B1 (en) 2018-07-19 2019-07-22 김태효 Non slip foot wear with separating cushion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6935B1 (en) Stretchable high friction socks
US20160007676A1 (en) Multifunctional outdoor shoe
EP3313225B1 (en) A sport sho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nkle injuries
KR102002633B1 (en) Non slip foot wear with separating cushion part
WO2014036176A1 (en) Basketball insole
WO2011138638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AU2010352681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EP2978334A1 (en) Sole construction for biomechanical stability and afferent feedback
KR200486583Y1 (en) Socks with cushion-pad
JP6943546B2 (en) socks
KR101773939B1 (en) Soles of shoes
KR20180011573A (en) The multipurpose socks
KR20230053338A (en) Non-slip sports socks
KR101672477B1 (en) Functional insole
CN111671199A (en) Body-building sports shoes with negative heel
KR20220106365A (en) Non-slip sports socks
CN217986819U (en) Anti-sprain shock-absorbing buffering sports running shoe
US20210120914A1 (en) Heel pad insert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7906524U (en) Fashion flat-bottom foot-protecting shoe
Lin et al. Do thicker midsoles increase shock attenuation and do thin midsoles facilitate propulsion during lunge maneuvers? Footwear design for racket-sport industry
WO2022050168A1 (en) Footwear
CN218682340U (en) Sports shoes with anti-skidding soles
CN218073733U (en) Sports shoes that water-proof effects is good
CN213344559U (en) High-elasticity insole convenient for starting
TWM559084U (en) Anti-slip inso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