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249A -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249A
KR20230053249A KR1020210136572A KR20210136572A KR20230053249A KR 20230053249 A KR20230053249 A KR 20230053249A KR 1020210136572 A KR1020210136572 A KR 1020210136572A KR 20210136572 A KR20210136572 A KR 20210136572A KR 20230053249 A KR20230053249 A KR 20230053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unit
rear wheel
vehicle body
leaf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다롱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광원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광원기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광원기계
Priority to KR102021013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249A/en
Publication of KR2023005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2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 A01D45/263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cabbage or lettuce of lettu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7/00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 A01D27/04Machines with both topping and lifting mechanisms with moving or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ith conveyor be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that can effectively collect and store cut leafy vegetables and can harvest both tall and short leafy vegetables. Here,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includes a vehicle body frame part, a front wheel part, a rear wheel part, a rotating part, a cutting part, a conveyor part, and a mounting part. The vehicle body frame part has a handle for driving on both sides of the rear. The front wheel part is provided o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part, and the rear wheel par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part and behind the front wheel part. The rotating part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part and strikes planted leafy vegetables and makes the leafy vegetables lie rearwards while rotating. The cutting part is provided o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part and cuts the leafy vegetables laid rearwards by the rotating part. The conveyor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body frame part so that the front side is inclined downward and transports the leafy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part to the upper rear side. The mounting par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frame part,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leafy vegetables that fall after being transported by the conveyor part is placed thereon.

Description

엽채류 수확장치{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

본 발명은 엽채류 수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된 엽채류를 효과적으로 모아 담을 수 있고, 엽채류의 키가 크거나 키가 작더라도 모두 수확 작업이 가능한 엽채류 수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collecting and storing cut leafy vegetables and capable of harvesting both tall and short leafy vegetables.

엽채류(葉菜類)는 잎을 식용하는 채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서, 곤달비, 쑥갓, 참취, 비름, 머위 등을 포함한다. Leafy vegetables (葉菜類) refers to vegetables that eat leaves, including gondola, crown daisy, sesame, amaranth, and butterbur.

이러한 엽채류는 낫, 칼과 같은 기구로 줄기의 아랫부분을 잘라내어 수확할 수 있다. 엽채류의 재배면적이 소규모일 경우에는 적은 노동력으로 쉽게 수확할 수 있지만, 대규모 재배에 있어서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한 수확장치를 사용한다.These leafy vegetables can be harvested by cutting off the lower part of the stem with an instrument such as a sickle or knife. If the cultivation area of leafy vegetables is small, it can be easily harvested with little labor, but in large-scale cultivation, a lot of labor is required, so a harvesting device using mechanical power is used to lower the production cost.

이러한 엽채류 수확장치는 엽채류의 줄기를 자르는 커터를 포함한다. This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includes a cutter for cutting the stems of leafy vegetables.

그런데, 커터에 의해 절단된 엽채류가 쓰러지는 방향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절단된 엽채류가 수확장치의 외측으로 넘어지게 되면, 작업자가 이를 모아 담는 작업이 더 진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afy vegetables cut by the cutter fall is not constant, when the cut leafy vegetables fall to the outside of the harvest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er collects them further.

그리고, 엽채류는 종류에 따라 키가 다양한데, 키가 큰 엽채류를 수확하기 위해 커터의 위치, 수확장치의 전진 속도 등이 설명된 수확장치를 키가 작은 엽채류의 수확 작업에 사용하는 경우, 키가 작은 엽채류가 효과적으로 절단되지 못해 수확 작업이 더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키가 작은 엽채류를 수확하기 위해 커터의 위치, 수확장치의 전진 속도 등이 설명된 수확장치를 키가 큰 엽채류의 수확 작업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In addition, the height of leafy vegetable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In the case of using a harvesting devic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utter and the forward speed of the harvesting device are described in order to harvest tall leafy vegetables is used for harvesting short leafy vegetab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leafy vegetables are not effectively cut, which slows down the harvesting operation. This is the same phenomenon that occurs even when the harvesting device described in the cutter position, forward speed of the harvesting device, etc. is used for harvesting tall leafy vegetables in order to harvest short leafy vegetable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8496호(2011.08.31. 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8496 (published on August 31, 201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절단된 엽채류를 효과적으로 모아 담을 수 있고, 엽채류의 키가 크거나 키가 작더라도 모두 수확 작업이 가능한 엽채류 수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collecting and storing cut leafy vegetables and harvesting both tall and short leafy vegetabl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후방 양측에 운전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차체 프레임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는 전륜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하측에서 상기 전륜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륜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심어진 엽채류를 쳐서 후방으로 눕히는 회전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에 의해 후방으로 눕혀진 엽채류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상부에 전방이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엽채류를 후방 상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 그리고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후 낙하하는 엽채류를 수납하는 수납용기가 올려지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body frame portion formed with handles for driving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a front wheel portion provided at a front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portion; a rear wheel portion provided behind the front wheel portion at a lower side of the body frame portion; a rotation unit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and rotating to strike planted leafy vegetables and lay them rearward; a cutting unit provided at a front low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and cutting the leafy vegetables laid backward by the rotating unit; a conveyor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and transporting the leafy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unit to the rear and upper side; And it provides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frame portion, on which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leafy vegetables that fall after being transported by the conveyor portion is lif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후륜과,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후륜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후륜과 쌍을 이루는 제2후륜과,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후륜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제1후륜 및 상기 제2후륜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heel unit includes a first rear whee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a first driv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and driving the first rear wheel, and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a second rear wheel provided and paired with the first rear wheel, and a second drive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and driving the second rear wheel, wherein the first rear wheel and the second rear wheel are independently driven. It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제1후륜의 제1회전축이 결합되며, 상기 제1스크류가 회전되면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제1후륜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마운트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e unit is coupled to a first screw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to the first screw, and to a first rotation shaft of the first rear wheel, When the first screw is rotated, it may have a first mount that allows the first rear wheel to move forward or backward while reciproca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2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제2후륜의 제2회전축이 결합되며, 상기 제2스크류가 회전되면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제2후륜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마운트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rive unit is coupled to a second screw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the second screw, and the second rotational shaft of the second rear wheel is coupled to the When the second screw is rotated, it may have a second mount that allows the second rear wheel to move forward or backward while reciprocat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전단부 양측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엽채류를 쳐서 후방으로 눕히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블레이드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제2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제2지지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제3동력부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art is coupled with a pair of extension frames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frame, and a lower end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frame and extends upward.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s, a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s, and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 a blade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 striking leafy vegetables and laying them backward, and a third power unit provided on one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and rotating the blade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이 상기 연장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는 수확할 엽채류의 키에 대응하여 전방, 후방, 하강 또는 상승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frame moves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first support frame moves along the extension frame, so that the blade assembly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Forward, backward, descending or ascending movement may be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지지 프레임과, 중앙부는 상기 제3지지 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3지지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연장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3지지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확할 엽채류를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절단부 방향으로 모아주는 가이드 프레임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hird support frame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extends forward, and a central portion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A guide having a guide frame for collecting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toward the rotating part and the cutting part by extending inwardly of the third supporting frame and having a front end extending outwardly of the third supporting frame, and a rear end extending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third supporting frame. wealth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손잡이 사이의 하부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거치 프레임과, 상기 거치 프레임에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납용기를 받치고 상기 수납용기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holding frame provided in the body frame part at the lower part between the handle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holding fram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frame part, and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 The storage container may have a plurality of rollers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frame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륜 및 제2후륜은 전후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엽채류가 심어진 밭의 이랑, 고랑 등의 상태에 따라 제1후륜 및 제2후륜을 적절하게 전진시키거나, 후진시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에 수납된 엽채류가 많아져서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제1후륜 및 제2후륜을 후진시켜 엽채류 수확장치의 무게 중심이 뒤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엽채류 수확장치가 뒤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rear wheel and the second rear wheel can move back and forth, the first rear wheel and the second rear wheel are appropriately advanc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ridges and furrows of the field where leafy vegetables are planted, It can be reversed to make the work easier. In addition, when the weight of leafy vegetable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increas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moves backward by moving the first rear wheel and the second rear wheel backward, so that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operates stably without falling backward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동력부 및 제2동력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제1후륜 및 제2후륜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후륜은 제2후륜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거나, 또는 더 느리게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엽채류 수확장치의 조향이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power unit and the second power unit can be independently driven, the first rear wheels and the second rear wheels can be driven independently,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rear wheel may rotate faster or slower than the second rear wheel, and through this, steering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may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되는 블레이드는 엽채류를 후방으로 쳐서 눕힐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엽채류는 뿌리가 땅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가 블레이드에 의해 가압되어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절단부에 의한 절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절단부가 후방으로 누운 엽채류를 절단하면 엽채류는 절단되면서 바로 후방으로 쓰러지게 되기 때문에, 후방의 컨베이어 벨트에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blade can strike the leafy vegetables backward and lay them down. In this way, since the top of the leafy vegetables is pressed by the blade in a state where the root is fixed to the ground and both ends can be in a state where both ends are fixed, cutting by the cutting unit can be stably performed. In addition, in this state, if the cutting part cuts the leafy vegetables lying backwards, the leafy vegetables fall backwards while being cut, so that they can be stably put on the rear conveyor bel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후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회전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회전부에서 블레이드 조립체의 구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절단부 및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컨베이어부 및 거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컨베이어부 및 거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rear wheel portion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of the leaf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example of a blade assembly in a rotation unit of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enter of the cutting part and the guide part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side view showing the conveyor unit and the mounting unit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plan view showing the conveyor unit and the mounting unit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엽채류 수확장치는 차체 프레임부(100), 전륜부(200), 후륜부(300), 회전부(400), 절단부(500), 컨베이어부(600) 그리고 거치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includes a body frame unit 100, a front wheel unit 200, a rear wheel unit 300, a rotation unit 400, a cutting unit 500, a conveyor unit 600, and a A section 700 may be included.

차체 프레임부(100)는 엽채류 수확장치의 차체를 형성할 수 있다. 차체 프레임부(100)는 전륜부(200), 후륜부(300), 회전부(400), 절단부(500), 컨베이어부(600) 그리고 거치부(700)가 설치되는 기본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vehicle body frame unit 100 may form a vehicle body of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The vehicle body frame unit 100 may form a basic frame in which a front wheel unit 200, a rear wheel unit 300, a rotation unit 400, a cutting unit 500, a conveyor unit 600, and a mounting unit 700 are installed.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엽채류 수확장치의 절단부(500) 및 손잡이(120)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전단부/전방, 후단/후단부/후방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했을 때, 절단부(500)가 설치된 우측을 전방으로, 손잡이(120)가 위치되는 좌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ront/front/front and rear/rear/rea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utting part 500 and the handle 120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Referring to FIG. 1 , the right side where the cutout 500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as the front, and the left side where the handle 120 is located will be described as the rear.

차체 프레임부(100)는 전방은 낮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차체 프레임부(100)의 후방 양측에는 작업자가 운전하도록 하기 위한 한 쌍의 손잡이(120)가 형성될 수 있다.The vehicle body frame portion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low at the front and higher toward the rear from the front. A pair of handles 1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body frame unit 100 to allow an operator to drive.

전륜부(20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전륜부(20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륜(201)을 가질 수 있다.The front wheel unit 2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100 . The front wheel unit 200 may have front wheels 201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frame unit 100, respectively.

후륜부(30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하측에서 전륜부(2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wheel unit 300 may be provided behind the front wheel unit 200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100 .

회전부(40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전방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심어진 엽채류를 회전하면서 쳐서 후방으로 눕힐 수 있다.The rotation unit 4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100, and may rotate and hit the planted leafy vegetables to lay them backward.

절단부(50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회전부(400)에 의해 후방으로 눕혀진 엽채류를 절단할 수 있다.The cutting unit 50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100 and may cut the leafy vegetables laid backward by the rotating unit 400 .

컨베이어부(60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전방이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절단부(500)에 의해 절단된 엽채류를 후방 상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The conveyor unit 6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frame unit 100 so that the front side is tilted downward, and the leafy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unit 500 may be transferred rearward and upward.

거치부(70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부(600)에 의해 이송된 후 낙하하는 엽채류를 수납하는 수납용기가 올려질 수 있다.The holding unit 70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frame unit 100,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leafy vegetables that fall after being transported by the conveyor unit 600 may be placed on top.

상세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후륜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In detail,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rear wheel portion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륜부(300)는 제1후륜(310), 제1구동부(320), 제2후륜(330) 및 제2구동부(340)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rear wheel unit 300 may have a first rear wheel 310 , a first driving unit 320 , a second rear wheel 330 and a second driving unit 340 .

제1후륜(310)은 차체 프레임부(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rear wheel 3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100 .

제1구동부(32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후륜(310)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32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unit 100 and may drive the first rear wheels 310 .

제1구동부(320)는 제1스크류(321)와 제1마운트(322)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320 may have a first screw 321 and a first mount 322 .

제1스크류(321)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스크류(321)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제1수직 프레임(110)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1수평 프레임(111)의 하측에 제1수평 프레임(111)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크류(321)의 전단부는 제1수직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screw 32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part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screw 321 is provided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1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1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of the vehicle body frame 100. It can be. The front end of the first screw 3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

또한, 제1수평 프레임(111)의 후단부에는 제1플랜지(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스크류(321)의 후단부는 제1플랜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lange 11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1 ,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screw 3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lange 112 .

제1마운트(322)는 제1스크류(3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마운트(322)에는 제1후륜(310)의 제1회전축(311)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마운트(322)에는 제1후륜(310)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1동력부(334)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ount 3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crew 321 ,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311 of the first rear wheel 31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ount 322 . Also, the first mount 322 may include a first power unit 334 that provides power so that the first rear wheel 310 rotates.

제1스크류(321)가 회전하면 제1마운트(322)는 제1스크류(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후륜(3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crew 321 rotates, the first mount 322 can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crew 321, and through this, the first rear wheel 310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

그리고, 제1구동부(320)는 제1조절핸들(333)을 가질 수 있다. 제1조절핸들(333)은 제1플랜지(112)의 후방에서 제1스크류(321)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제1조절핸들(333)을 회전시켜 제1스크류(321)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first driving unit 320 may have a first control handle 333 . The first adjusting handle 333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crew 321 at the rear of the first flange 112, and the operator rotates the first adjusting handle 333 so that the first screw 321 is can be made to rotate.

제2후륜(330) 및 제2구동부(340)는 제1후륜(310) 및 제1구동부(320)와 대칭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rear wheel 33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34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rear wheel 310 and the first driving unit 320 .

즉, 제2후륜(330)은 차체 프레임부(1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후륜(310)과 쌍을 이룰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rear wheel 33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100 and may form a pair with the first rear wheel 310 .

제2구동부(34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후륜(330)을 구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34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100 and may drive the second rear wheels 330 .

제2구동부(340)도 제2스크류(341)와 제2마운트(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unit 340 may also have a second screw 341 and a second mount (not shown).

제2스크류(341)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크류(341)는 차체 프레임부(100) 타측의 제1수직 프레임(110)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제1수평 프레임(111)의 하측에 제1수평 프레임(111)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스크류(341)도 제1수직 프레임(110) 및 제1플랜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crew 341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part 100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screw 341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1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11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part 100. there is. The second screw 341 may als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0 and the first flange 112 .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마운트는 제2스크류(34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마운트에는 제2후륜(330)의 제2회전축(331)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마운트에는 제2후륜(330)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동력부(343)가 구비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moun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crew 34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331 of the second rear wheel 33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ount. In addition, a second power unit 343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mount to provide power so that the second rear wheel 330 rotates.

제2스크류(341)가 회전하면 제2마운트는 제2스크류(3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후륜(33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second screw 341 rotates, the second mount can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crew 341, and through this, the second rear wheel 330 can move forward or backward.

그리고, 제2구동부(340)는 제2조절핸들(344)을 가질 수 있다. 제2조절핸들(344)은 제1플랜지(112)의 후방에서 제2스크류(3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제2조절핸들(344)을 회전시켜 제2스크류(341)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And, the second driving unit 340 may have a second control handle 344 . The second adjusting handle 344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crew 341 at the rear of the first flange 112, and the operator rotates the second adjusting handle 344 so that the second screw 341 rotates. can

여기서, 제1구동부(320) 및 제2구동부(340)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후륜(310) 및 제2후륜(330)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후륜(310)은 제2후륜(330)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driving unit 32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340 may be independently driven. Accordingly, the first rear wheel 310 and the second rear wheel 330 may also be independently driven. For example, the first rear wheel 310 may be moved more rearward than the second rear wheel 330, or may be moved more forward.

작업자는 엽채류가 심어진 밭의 이랑, 고랑 등의 상태에 따라 제1후륜(310) 및 제2후륜(330)을 적절하게 전진시키거나, 후진시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700)의 수납용기에 수확된 엽채류가 많아져서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작업자는 제1후륜(310) 및 제2후륜(330)을 후진시켜 엽채류 수확장치의 무게 중심이 뒤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엽채류 수확장치가 뒤로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operator can appropriately move the first rear wheel 310 and the second rear wheel 330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ridges and furrows of the field where the leafy vegetables are planted, so as to facilitate the work.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leafy vegetables harvested in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holder 700 increases and the weight increas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moves backward by moving the first rear wheel 310 and the second rear wheel 330 backwar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operates stably without falling backward.

그리고, 제1동력부(334) 및 제2동력부(343)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후륜(310) 및 제2후륜(330)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후륜(310)은 제2후륜(330)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거나, 또는 더 느리게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엽채류 수확장치의 조향이 용이할 수 있다.Also, the first power unit 334 and the second power unit 343 may be independently driven. Accordingly, the first rear wheel 310 and the second rear wheel 330 may also be independently driven. For example, the first rear wheel 310 may rotate faster or slower than the second rear wheel 330, and through this, steering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may be facilita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회전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of the leaf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와 함께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400)는 연장 프레임(410), 제1지지 프레임(420), 제2지지 프레임(430), 블레이드 조립체(440) 및 제3동력부(450)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ogether with FIGS. 1 and 2, the rotating part 400 includes an extension frame 410, a first support frame 420, a second support frame 430, a blade assembly 440 and a third power It may have section 450 .

연장 프레임(41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차체 프레임부(100)의 전단부 양측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extension frames 41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extend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100 .

제1지지 프레임(42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연장 프레임(410)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 프레임(420)은 연장 프레임(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지지 프레임(42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frame 42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a lower end may be coupled to the extension frame 410 and may extend upward. The first support frame 420 may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frame 410, and through this, the first support frame 420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제2지지 프레임(430)도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지지 프레임(4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 프레임(430)은 제1지지 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지지 프레임(430)은 승강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frame 430 may also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420 . The second support frame 430 may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420, and through this, the second support frame 430 may be moved up and down.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한 쌍의 제2지지 프레임(43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blade assembly 440 may be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430 .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회전축(442), 회전 프레임(441) 및 블레이드(443)를 가질 수 있다.The blade assembly 440 may have a rotating shaft 442 , a rotating frame 441 and a blade 443 .

회전축(442)은 제2지지 프레임(430)의 사이에서 양단부가 제2지지 프레임(430)에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44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ing frame 430 between the second supporting frames 430 .

회전 프레임(441)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지지 프레임(430)의 사이에서 각각 제2지지 프레임(430)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442)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on frame 441 may be provided as a pair,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support frame 430 between the second support frames 430, and may be rotated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shaft 442. there is.

블레이드(443)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441)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양단부가 회전 프레임(441)에 결합될 수 있다. 블레이드(443)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 프레임(44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blade 443 may be provided between a pair of rotating frames 441, and both ends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frame 441. A plurality of blades 443 may be provided,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frame 441 .

제3동력부(450)는 한 쌍의 제2지지 프레임(430) 중 어느 하나의 제2지지 프레임(4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축(442)을 회전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회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했을 때,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되는 블레이드(443)는 엽채류(10)를 후방으로 쳐서 눕힐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엽채류(10)는 뿌리가 땅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가 블레이드(443)에 의해 가압되어 순간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절단부(500)에 의한 절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절단부(500)가 후방으로 누운 엽채류(10)를 절단하면 엽채류(10)는 절단되면서 바로 후방으로 쓰러지게 되기 때문에, 후방의 컨베이어 벨트(610)에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다.The third power unit 450 may be provided on any one second support frame 430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430 and may rotate the rotation shaft 442 . Accordingly, the blade assembly 440 may be rotated. Referring to FIG. 4 , the blade assembly 440 may rotate clockwise. Through this, the rotating blade 443 can hit the leafy vegetables 10 backward and lay them down. In this way, the leafy vegetables 10 can be stably cut by the cutting part 500 because the top of the leafy vegetable 10 is pressed by the blade 443 while the root is fixed to the ground so that both ends can be in a fixed state at the moment. there is. In addition, in this state, when the cutting unit 500 cuts the leafy vegetables 10 lying backwards, the leafy vegetables 10 fall right back while being cut, so they can be stably placed on the conveyor belt 610 at the rear. .

절단부(500)는 제1커터(510) 및 제2커터(520)를 가질 수 있다.The cutting part 500 may have a first cutter 510 and a second cutter 520 .

제1커터(510)는 엽채류 수확장치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커터(510)는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The first cutter 510 may be provided to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The first cutter 510 may be in a fixed state.

제2커터(520)는 제1커터(510)의 상부에서 제1커터(510)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커터(520)는 제4동력부(5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4동력부(5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제1커터(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제2커터(520)는 왕복 이동하면서 제1커터(510)와 함께 엽채류(10)를 절단할 수 있다. 절단부(500)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엽채류 수확장치가 이동하게 되면 엽채류는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절단될 수 있다.The second cutter 520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first cutter 510 at the top of the first cutter 510 . The second cutter 520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power unit 530 and may be reciprocal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utter 51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ourth power unit 530 . The second cutter 520 may cut the leafy vegetables 10 together with the first cutter 510 while reciprocating. Since the cutting unit 500 is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moves, the leafy vegetables can be simultaneously cut at the same height.

컨베이어부(600)는 컨베이어 벨트(610), 제1풀리(620), 제2풀리(630, 도 7 참조) 및 제5동력부(640)를 가질 수 있다.The conveyor unit 600 may have a conveyor belt 610, a first pulley 620, a second pulley 630 (see FIG. 7), and a fifth power unit 640.

제1풀리(62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제2풀리(630)는 차체 프레임부(100)의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5동력부(640)는 제2풀리(63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pulley 620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frame portion 100 , and the second pulley 63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ody frame portion 100 . The fifth power unit 640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pulley 630 .

컨베이어 벨트(610)는 제1풀리(620) 및 제2풀리(630)에 감겨 회전될 수 있으며, 절단부(500)에 의해 절단된 엽채류를 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다. The conveyor belt 610 may be rotated by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pulley 620 and the second pulley 630, and may transfer the leafy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unit 500 to the rear.

컨베이어 벨트(610)의 양측에는 펜스(130)가 구비되어 컨베이어 벨트(610)에서 이송되는 엽채류가 옆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Fences 1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belt 610 to prevent leafy vegetables transported on the conveyor belt 610 from falling sideway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회전부에서 블레이드 조립체의 구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example of a blade assembly in a rotation unit of a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도 2와 함께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지지 프레임(420)이 연장 프레임(41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지지 프레임(430)이 제1지지 프레임(420)을 따라 승강하게 되면, 그리고,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조립체(440)도 승강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a) together with FIGS. 1 and 2, when the first support frame 420 moves along the extension frame 410, the blade assembly 440 moves forward or backward. It can be. When the second support frame 43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420, and as shown in FIG. 5(b), the blade assembly 440 can also move up and down.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수확할 엽채류의 키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 위치 및 높이가 가변되어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즉,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수확할 엽채류의 키가 크면 엽채류의 윗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승되고, 수확할 엽채류의 키가 낮으면 엽채류의 윗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강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blade assembly 44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varied and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That is, the blade assembly 440 is preferably raised to press the upper part of the leafy vegetables when the height of the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is high, and lowered to press the upper part of the leafy vegetables when the height of the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is low.

또한,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수확할 엽채류의 키가 낮으면 전진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블레이드 조립체(440)는 수확할 엽채류의 키가 크면, 후진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엽채류의 키가 크면, 상대 적으로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절단부(500)에 의해 커팅된 엽채류가 바로 눕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절단된 엽채류가 컨베이어 벨트(610)에 얹혀지지 못하고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블레이드 조립체(440)가 후진되어 고정되면, 절단부(500)에 의해 절단된 엽채류를 블레이드(443)가 좀 더 높은 위치에서부터 위로 밀어 올릴 수 있게 되어 절단된 엽채류가 컨베이어 벨트(610)에서 흘러 내려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ade assembly 440 may be moved forward and fixed when the height of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is low. In particular, when the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are tall, the blade assembly 440 is preferably fixed backwards. In general, if the height of the leafy vegetables is relatively heavy, the leafy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unit 500 lie right down. In this case, the cut leafy vegetables may not be placed on the conveyor belt 610 and may fall down. However, when the blade assembly 440 is reversed and fixed, the blade 443 can push up the leafy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unit 500 from a higher position so that the cut leafy vegetables flow on the conveyor belt 610. You can keep it from coming dow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절단부 및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6 is a plan view showing the center of the cutting part and the guide part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와 함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엽채류 수확장치는 가이드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ogether with FIGS. 1 and 2,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may include a guide unit 800.

가이드부(800)는 제3지지 프레임(810) 및 가이드 프레임(820)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part 800 may have a third support frame 810 and a guide frame 820 .

제3지지 프레임(810)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후단부가 제1지지 프레임(4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지지 프레임(810)은 제1지지 프레임(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3지지 프레임(810)은 승강될 수 있다. 제3지지 프레임(810)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support frame 810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a rear e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420 . The third support frame 810 may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420, and through this, the third support frame 810 may be moved up and down. The third support frame 810 may extend forward.

가이드 프레임(820)은 중앙부가 제3지지 프레임(810)의 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820)은 전단부가 제3지지 프레임(810)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820)은 후단부가 제3지지 프레임(8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엽채류 수확장치가 이동 시에 가이드 프레임(820)은 엽채류 수확장치 전방의 엽채류를 회전부(400) 및 절단부(500) 방향으로 모아줄 수 있다.A central portion of the guide frame 820 may be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third support frame 810 . The front end of the guide frame 820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third support frame 810 . Also, the guide frame 820 may have a rear end extending inward of the third support frame 810 . Through this, when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moves, the guide frame 820 can collect the leafy vegetables in front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toward the rotating part 400 and the cutting part 500.

한편, 차체 프레임부(100)는 추가 가이드 프레임(150)을 가질 수 있다. 추가 가이드 프레임(150)은 가이드부(800)의 내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절단부(500)의 좌우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추가 가이드 프레임(150)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엽채류를 절단부(500)로 안내하는 안내면(151)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vehicle body frame unit 100 may have an additional guide frame 150 . The additional guide frames 150 may be provided as a pair inside the guide part 800 and may be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cutting part 500 . The additional guide frame 150 may have a guide surface 151 that is inclined inwardly and guides leafy vegetables to the cut portion 500 .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컨베이어부 및 거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측면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엽채류 수확장치의 컨베이어부 및 거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7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veyor unit and the mounting unit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the conveyor unit and the mounting unit of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n.

도 1, 도 2와 함께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치부(700)는 거치 프레임(710) 및 롤러(720)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together with FIGS. 1 and 2 , the mounting unit 700 may include a mounting frame 710 and a roller 720 .

거치 프레임(710)은 손잡이(120) 사이의 하부에서 차체 프레임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거치 프레임(710)은 컨베이어 벨트(610)의 후단부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mounting frame 710 may be provided on the body frame part 100 at the lower part between the handles 120 . The mounting frame 710 may be provided below the rear end of the conveyor belt 610 .

롤러(72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720)는 거치 프레임(710)에 차체 프레임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지지축(730)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720)는 절단된 수납용기(20)를 받칠 수 있으며, 수납용기(20)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rollers 720 may be provided. The roller 72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ing shaft 730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frame 7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100 . The roller 720 can support the cut storage container 20 and allow the storage container 20 to be easily moved.

컨베이어 벨트(610)에 의해 이송되는 엽채류(10)는 낙하하여 수납용기(20)에 채워질 수 있다.The leafy vegetables 10 transported by the conveyor belt 610 may fall and be fill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 .

롤러(720)에는 복수개의 수납용기(20)가 올려질 수 있다. 도 8을 참고했을 때, 먼저 수납용기(20a)가 거치 프레임(710)의 좌측에 먼저 올려진 후 롤러(72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용기(20a)의 좌측으로 새로운 수납용기(20b)가 올려질 수 있고, 앞의 두 수납용기(20a,20b)가 우측으로 밀려난 후 새로운 수납용기(20c)가 올려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먼저 올려진 수납용기 순서대로 엽채류가 먼저 채워지게 되고, 먼저 가득 채워진 제일 우측의 수납용기(20a)를 거치부(700)에서 내릴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수납용기(20b,20c)를 우측으로 밀고 새로운 빈 수납용기를 좌측에 올리는 방법으로 수납용기에 엽채류를 용이하게 채울 수 있다.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20 may be placed on the roller 720 . Referring to FIG. 8 , the storage container 20a may be first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mounting frame 710 and then moved to the right side by the roller 720 . Also, a new storage container 20b may be raised to the left of the storage container 20a, and a new storage container 20c may be raised after the previous two storage containers 20a and 20b are pushed to the right. In this case, the leafy vegetables are first filled in the order of the storage containers that are loaded first, and the rightmost storage container 20a filled first can be lowered from the holder 700 . In addition, by pushing the remaining storage containers 20b and 20c to the right side and placing a new empty storage container on the left side,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easily filled with leafy vegetables.

그리고, 엽채류 수확장치는 제어부(900,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may include a control unit (900, see FIG. 1).

제어부(900)는 전술한 제1동력부(334), 제2동력부(343), 제3동력부(450), 제4동력부(530) 및 제5동력부(6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손잡이(120)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9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power unit 334, the second power unit 343, the third power unit 450, the fourth power unit 530, and the fifth power unit 640 described above. can do. The control unit 9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andle 12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ontrol i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엽채류 20: 수납용기
100: 차체 프레임부 200: 전륜부
300: 후륜부 320: 제1구동부
330: 제2후륜 340: 제2구동부
400: 회전부 440: 블레이드 조립체
443: 블레이드 500: 절단부
600: 컨베이어부 700: 거치부
800: 가이드부 900: 제어부
10: leafy vegetables 20: storage container
100: body frame part 200: front wheel part
300: rear wheel unit 320: first driving unit
330: second rear wheel 340: second driving unit
400: rotating part 440: blade assembly
443: blade 500: cutting part
600: conveyor unit 700: mounting unit
800: guide unit 900: control unit

Claims (8)

후방 양측에 운전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는 차체 프레임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는 전륜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하측에서 상기 전륜부의 후방에 구비되는 후륜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고, 회전하면서 심어진 엽채류를 쳐서 후방으로 눕히는 회전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에 의해 후방으로 눕혀진 엽채류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상부에 전방이 하부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엽채류를 후방 상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부; 그리고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후 낙하하는 엽채류를 수납하는 수납용기가 올려지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
A vehicle body frame portion having handles for driving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a front wheel portion provided at a front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portion;
a rear wheel portion provided behind the front wheel portion at a lower side of the body frame portion;
a rotation unit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and rotating to strike planted leafy vegetables and lay them backward;
a cutting unit provided at a front low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and cutting the leafy vegetables laid backward by the rotating unit;
a conveyor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and transporting the leafy vegetables cut by the cutting unit to the rear and upper side; and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d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frame unit and on which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leafy vegetables that fall after being transported by the conveyor unit is lif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후륜과,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후륜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후륜과 쌍을 이루는 제2후륜과,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후륜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제1후륜 및 상기 제2후륜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wheel
A first rear whee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a first driv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unit and driving the first rear wheel;
a second rear wheel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and paired with the first rear wheel;
A second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unit and driving the second rear wheel,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ar wheel and the second rear wheel are driven independentl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스크류와,
상기 제1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제1후륜의 제1회전축이 결합되며, 상기 제1스크류가 회전되면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제1후륜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마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driving unit
A first screw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irst mount coupled to the first screw, coupled to a first rotating shaft of the first rear wheel, and allowing the first rear wheel to move forward or backward while reciprocating when the first screw is rotated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스크류와,
상기 제2스크류에 결합되고, 상기 제2후륜의 제2회전축이 결합되며, 상기 제2스크류가 회전되면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제2후륜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마운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screw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vehicle bod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mount coupled to the second screw,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rear wheel, and reciprocating when the second screw is rotated so that the second rear wheel moves forward or backward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전단부 양측에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지지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2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엽채류를 쳐서 후방으로 눕히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가지는 블레이드 조립체와,
상기 한 쌍의 제2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제2지지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제3동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part
A pair of extension frames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body frame;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s having lower end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frame and extending upward;
A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A blade assembly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 striking leafy vegetables and laying them backward;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ird power unit provided on one of the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and rotating the blade assemb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프레임이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이 상기 연장 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는 수확할 엽채류의 키에 대응하여 전방, 후방, 하강 또는 상승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
According to claim 5,
By allowing the second support frame to move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first support frame to move along the extension frame, the blade assembly moves forward, backward, descends or rises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s possi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지지 프레임과,
중앙부는 상기 제3지지 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3지지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연장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3지지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확할 엽채류를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절단부 방향으로 모아주는 가이드 프레임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
According to claim 5,
A pair of third support frame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extends forward;
The central par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ort frame, the front end part extends outwardly of the third support frame, and the rear end part extends inwardly of the third support frame to store leafy vegetables to be harvested in the rotation part and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comprising a guide portion having a guide frame for gathering in the direction of the cut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손잡이 사이의 하부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거치 프레임과,
상기 거치 프레임에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수납용기를 받치고 상기 수납용기가 상기 차체 프레임부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수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part
A mounting frame provided in the body frame part at the lower part between the handles;
The leafy vegetable harves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s spaced apart from the mounting fram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frame portion and supporting the storage container and allowing the storage container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frame portion.
KR1020210136572A 2021-10-14 2021-10-14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 KR202300532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72A KR20230053249A (en) 2021-10-14 2021-10-14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72A KR20230053249A (en) 2021-10-14 2021-10-14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249A true KR20230053249A (en) 2023-04-21

Family

ID=8609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572A KR20230053249A (en) 2021-10-14 2021-10-14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324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96A (en) 2009-07-20 2011-01-27 송병기 Medical b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96A (en) 2009-07-20 2011-01-27 송병기 Medical b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8171A (en) Mechanical picker for strawberries
JP6923872B2 (en) Leafy vegetable harvester
JP2012044913A (en) Leaf vegetable harvester
JP4934581B2 (en) Leaf vegetable harvesting machine
US6945292B1 (en) Tree harvesting apparatus
JP2001251927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 vegetable such as leek
KR20230053249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leafy vegetable
CN116267173A (en) Chinese cabbage harvester
CN205266270U (en) Formula sprouting vegetable harvester is planted to tray
JPH11225542A (en) Leaf vegetable harvester for leek or the like
CN221082077U (en) Leaf vegetable harvester and leaf vegetable orderly conveying and collecting device thereof
JP4403615B2 (en) Vegetable harvesting machine
JP4195748B2 (en) Leaf vegetable harvesting machine
JP2021003086A (en) Harvester
KR102433543B1 (en) Chinese cabbage harvester equipped with cutting depth control system
CN215301589U (en) Harvesting mechanism of leaf vegetable harvester
JP6149248B2 (en) Leaf vegetable harvesting machine
KR102492355B1 (en) Agricultural take away
KR102010845B1 (en) Crop harvesting machine
KR102433540B1 (en) Chinese cabbage harvester equipped with rolling type root cutter
CN2914629Y (en) Minisize cutter windrower
JP3581646B2 (en) Harvester
JPH1146537A (en) Root vegetable harvester
CN115812421A (en) Walking type leek harvester with fixed cutting depth
WO2008044224A2 (en) Automatic self-moving picker machine for the picking of apical leaves of tobacco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