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914A -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유리 물품 - Google Patents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유리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914A
KR20230052914A KR1020237007949A KR20237007949A KR20230052914A KR 20230052914 A KR20230052914 A KR 20230052914A KR 1020237007949 A KR1020237007949 A KR 1020237007949A KR 20237007949 A KR20237007949 A KR 20237007949A KR 20230052914 A KR20230052914 A KR 20230052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hinge mechanism
glass sheet
bendable display
ben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매튜 리 블랙
조던 토마스 보그스
매튜 존 켐파
케빈 토마스 가하간
에반 그레이 키스터
발라무루간 미낙시 선다람
데이비드 에반 로빈슨
제이슨 스콧 스튜어트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5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5/223Flexi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3Cover plat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92Manufacturing of instruments
    • B60K2360/96Manufacturing of instruments by assembling
    • B60K2370/1533
    • B60K2370/67
    • B60K2370/69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구부릴 수 있는 유리 물품이 개시된다.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과 제1 주 표면에 반대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된다.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를 제1 사이드와 제2 사이드로 분할한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고 유리 시트와 힌지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주변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접착 재료가 배치된다. 제1 사이드는 제2 사이드에 대해 힌지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접착 재료 내에 밀봉된다.

Description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유리 물품
본 출원은 2020년 8월 19일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63/067,526의 35 U.S.C. § 119에 따라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가 참조로서 의존되고 본원에 통합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유리 물품, 특히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구부릴 수 있는 유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차량의 전체적인 미적 디자인에 통합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를 대시보드와 같은 연속적인 표면에 혼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또한, 미적 디자인과 기능성을 모두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가 사용되어 이러한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했다. 그러나 유리의 사용은 기존의 플라스틱, 금속 및 복합 재료에 비해 추가적인 설계 과제를 제공하며, 이는 자동차 산업에서 개발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유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 및 제1 주 표면과 반대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의 제2 주요 표면에 배치된다.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를 제1 사이드와 제2 사이드로 분할한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고 유리 시트와 힌지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 재료는 디스플레이 주변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된다. 제1 사이드는 제2 사이드에 대해 힌지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접착 재료 내에 밀봉된다.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개시의 구현예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부 시스템은 차량의 중심선 축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대시보드 베이스를 포함한다. 중심선 축은 차량을 운전자 사이드와 조수석 사이드로 종으로 분할한다. 유리 물품은 대시보드 베이스에 부착된다.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과 제1 주 표면과 반대되는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제1 유리 시트는 제1 사이드 및 제2 사이드를 갖는다. 제1 사이드는 중심선 축의 운전자 사이드에 위치된다.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된다.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를 제1 사이드와 제2 사이드로 분할한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고 힌지 메커니즘과 유리 시트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 재료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는 접착 재료와 유리 시트 사이에 밀봉된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리 시트의 제2 사이드가 힌지 메커니즘에 대하여 구부러질 때, 곡면 구성과 평면 구성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다음에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에 제시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그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하거나,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을 포함하여 본원에 기재된 구현예를 실시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전술한 일반적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청구항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요 또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포함되며, 본원에 포함되고 본원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여러 관점들을 예시하며,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 차량의 대시보드에 통합된 리빙 힌지(living hinge)를 갖는 유리 물품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유리 물품을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리빙 힌지를 갖는 단순화된 유리 물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른 유리 물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a-13a는 유리 물품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및
도 5b-13b는 도 5a-13a의 각 도면들에서 선 A-A를 따라 촬영된 도 5a-13a의 구현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유리 물품의 구부러질 수 있는 영역을 가로지르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의 구부러질 수 있는 유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구현예에서, 유리 물품은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스크린, 계기판 및 차량 주변 카메라와 같이 차량의 대시보드에서 발견될 수 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합하도록 구성된다. 유리 물품의 한쪽 끝은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를 향해 벤드(bend)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그 안에 함유된 스크린의 가시성을 향상시킨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곡면 또는 평면이 될 수 있도록 벤드 축을 가로질러 제공된다. 구부릴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얇고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이다. 그러나 OLED 디스플레이를 유리 물품에 혼입하는 것은 OLED 디스플레이에 적절한 실링을 제공하는 동시에 장착 메커니즘에서 디스플레이로 전달되는 기계적 응력으로 인한 OLED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회피해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OLED 디스플레이의 유기층은 매우 얇고, 대부분의 OLED 디스플레이는 화학적 활성 물질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공기 중의 습기나 산소에 노출되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전극으로 사용되는 얇은 금속층도 부식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유리 물품은 OLED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계적 신뢰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OLED 디스플레이에 대한 밀봉성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 및 기타 관점과 장점은 아래에서 논의되고 도면에 도시되는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예들은 예시를 위해 제시된 것이지, 제한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대시보드 베이스(12)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10)를 도시한다. 구현예들에서, 대시보드 베이스(12)는 센터 콘솔 영역(14) 및 계기판 영역(16)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대시보드 베이스(12)는 차량의 중심선 축(18)을 가로질러 배치된다. 중심선 축(18)은 차량을 운전자 사이드(20)과 조수석 사이드(22) 사이를 종으로 분할한다. 계기판 영역(16)은 중심선 축(18)의 운전자 사이드(20)에 있고, 센터 콘솔 영역(14)은 센터 콘솔 영역(14)이 운전자 사이드(20) 및 조수석 사이드(22) 모두에 있도록 중심선 축(18)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센터 콘솔 영역(14)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을 포함하고, 계기판 영역(16)은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을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대시보드 베이스(12)는 하나 이상의 추가 디스플레이 영역(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은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을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제 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및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LED(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센터 콘솔 영역(14)의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은 차량의 운전자 및/또는 승객에게 정보 및 제어 패널을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센터이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은 차량 정보, GPS 방향, 온도 제어, 오디오 제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계기판 영역(16)의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은 속도계, 연료 게이지, 타코미터, 냉각수 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을 포함하는 구현예들에서,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예를 들어, 원격 카메라에 의해 캡처된 차량의 전방, 차량의 후방, 또는 차량의 하나 이상의 사각지대의 뷰를 표시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및/또는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및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포함되는 경우)은 모두 동일한 곡면 유리 물품(32)에 혼입된다. 이하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및 추가 스크린(30))은 대시보드(12)의 계기판 영역(14)에 고정되고, 센터 콘솔 영역(14)의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은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에 대하여 구부러질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이 운전자 사이드(20)와 조수석 사이드(2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향되는 제1 위치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이 운전자 사이드(20)를 향하여 배향되는 제2 위치로 구부러진다. 구부러짐을 허용하기 위해, 유리 물품(32)은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사이드에 자유 단부를 갖는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유리 물품(32)은 유리 물품(32)이 구부러지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과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사이의 영역에 구부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포함한다. 유리 물품의 구부러진 영역에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시청자(특히, 운전자)의 공통 초점면에 정보를 배치하여 눈의 피로를 최소화하고 반응 시간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부러진 영역에 정보가 표시되면 사용 가능한 화면 영역이 증가하여 더 많은 정보, 더 큰 글꼴 크기, 추가 그래픽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그래픽은 차량의 내부 스타일링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및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모듈인 것으로 설명되지만,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및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단일 연속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또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유리 물품(32)의 구부림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 및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32)을 도시한다.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유리 물품(32)의 제1 사이드(34)에 제공되고,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및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유리 물품(32)의 제2 사이드(36)에 제공된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사이드(34) 및 제2 사이드(36) 각각에 배치된다. 도 2의 구현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물품(32)은 하나 이상의 곡률(38a- d)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들(38a-d)의 조합은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을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 뒤에 배치한다. 여기서, "뒤에"는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이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이 위치되는 평면보다 운전자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평면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과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고, 다른 구현예들에서,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과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은 다른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4, 26, 30)이 위치되는 각 평면은 다른 평면들 중 어느 것과도 평행하지 않거나, 다른 평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평면들 모두에 평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포지셔닝을 달성하기 위해, 유리 물품(32)은 추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0)과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 사이에 제1 볼록 곡률(38a) 및 제2 오목 곡률(38b)을 포함한다. 또한, 유리 물품은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과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사이에 제3 오목 곡률(38c) 및 제4 볼록 곡률(38d)을 포함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유리 물품(32)의 제2 사이드(36)는 대시보드 베이스(12)에 고정되고, 유리 물품(32)의 제1 사이드(34)는 유리 물품(32)의 제2 사이드(36)에 대하여 벤딩 축(40)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제4 볼록 곡률(38d)은 굽힘 축(40)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사이드(34)는 제4 볼록 곡률(38d)이 가변적이고, 특히 유리 물품(3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즉, 유리 물품(32)의 제1 사이드(34)는 유리 물품(32)이 제3 오목 곡률(38c)과 유리 물품(32)의 제1 사이드(34)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평면이 되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구부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구부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또한 곡면이거나 실질적으로 평면이 될 수 있도록 벤드 축(40) 상에 배치된다.
구현예들에서, 유리 물품(32)의 제2 사이드(36)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이 운전자 사이드(20)를 향하여 배열되는 구성에서 제1 사이드(34)와 약 180°의 각도(즉, 실질적으로 평면적인 각도)를 형성한다. 구현예들에서, 제2 사이드(36)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운전자 사이드(20)와 조수석 사이드(22) 사이에서 배향되는 구성에서 제1 사이드(34)와 190° 내지 약 360°의 각을 형성한다. "약 360°"란, 제1 사이드(34)가 제2 사이드(36)에 대하여 반으로 접힐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실질적으로 평면적이거나(예를 들어, 180°의 각도를 형성) 또는 반으로 접힐 수 있다.
도 3은 제4 곡률(38d)의 영역을 나타내는 유리 물품(32)의 단순화된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물품(32)은 제1 주 표면(44) 및 제2 주 표면(46)을 갖는 유리 시트(42)를 포함한다. 제2 주 표면(46)은 제1 주 표면(44)과 반대에 있고, 두께(T1)(평균 두께 또는 최대 두께)는 제1 주 표면(44)과 제2 주 표면(46) 사이에 정의된다. 구현예에서, 두께는 평균적으로 0.3 mm 내지 2.0 mm, 특히 0.4 mm 내지 1.1 mm이다. 부 표면(48)은 유리 시트(4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제1 주 표면(44)과 제2 주 표면(46)을 연결한다.
제2 주 표면(46)에 배치된 것은 힌지 메커니즘(50)이다. 구현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유리 시트(42)를 제1 사이드(34)와 제2 사이드(36) 사이에서 분할하고, 제1 사이드(34)가 유리 물품(32)의 제2 사이드(36)에 대하여 구부러지도록 허용한다. 구현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제1 사이드(34)가 제1 사이드(34)의 최대 이동 위치 사이의 임의의 각도로 놓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즉, 운전자 사이드를 향해 배향되는 평면 구성과 운전자 사이드와 조수석 사이드 사이에 동일하게 배향되는 구부러진 구성 사이). 또한, 구현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수동으로 작동가능, 즉 사용자가 유리 물품(32)의 제1 사이드(34)를 손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전기 기계적으로 작동 가능하여, 예를 들어, 터치 기능, 음성 명령 또는 푸시 버튼에 의해, 활성화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1 사이드(34)가 사용자에 의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힌지 메커니즘(50)은 리빙 힌지, 맨드릴 힌지, 굴곡(flexure) 힌지, 격자 힌지 또는 링크 힌지 등과 같이 벤딩 축(40)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힌지 중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단일 힌지이다. 구현예들에서, 단일 힌지(50)는 제1 사이드(34)와 제2 사이드(36) 사이의 벤딩 축(40)의 10%에서 최대 전체 길이까지 연장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적어도 2개의 힌지(50)가 제1 사이드(34)와 제2 사이드(36) 사이의 벤딩 축(40)을 따라 제공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힌지들(50)은 벤딩 축(40)을 따라 등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접착 재료(52)는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의 적어도 일부에 몰딩되거나 도포된다. 구현예들에서, 접착 재료(52)는 유리 시트(42)를 캡슐화, 지지 및/또는 보호하기 위해 선택된다. 특히, 접착 재료(52)는 유리 시트(42)의 자유 단부(54)의 에지 응력으로부터 유리 시트(42)를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현예들에서, 접착 재료(52)는 제2 주 표면(46)의 일부뿐만 아니라 적어도 부 표면(48)의 일부도 커버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접착 재료(52)는 유리 시트(42)의 제1 주 표면(44)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접착 재료(52)는 또한 힌지(50)를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에 결합시킨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에 결합되지 않고, 접착 재료(52)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접착 재료(52)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및 반응 사출 몰딩 재료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반응 사출 몰딩 재료"는 사출 몰딩 절차 동안 몰드 내에서 경화되는 열경화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반응 사출 몰딩 재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놀, 폴리에폭사이드 및 나일론 6을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접착 재료(52)는 유리 섬유 또는 운모와 같은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메커니즘(50)은 제1 프레임(56a) 및 제2 프레임(56b)(일반적으로 프레임 또는 프레임들(56)로 지칭됨)에 연결되거나 이를 혼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될 바와 같이, 프레임들(56)은 유리 물품(32)의 자유 단부(54)를 배치하고 유리 물품(32)을 차량 내부 베이스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프레임들(56)은 알루미늄 합금, 강철 합금, 또는 아크릴 재료로 제조된다. 도 3은 또한 접착 재료(52)에 내장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예를 들어, OLED 디스플레이 유닛,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시블 LCD)을 도시하여, 여기서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밀봉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유리 물품(32)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1 프레임(56a) 및 제2 프레임(56b) 각각은 각각의 제1 디스플레이 유닛(60a)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60b)(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들(60)),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을 수용하는 각각의 제1 개구부(aperture)(58a) 및 제2 개구부(58b)(일반적으로 개구부 또는 개구부들(58))를 포함한다(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유닛(60a) 및 제2 디스플레이 유닛(60b) 각각은 각각의 제1 지지 부재(62a) 및 제2 지지 부재(62b)(일반적으로, 지지 부재 또는 지지 부재들(62))에 의해 기계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프레임들(56)에 연결되지 않고 대신 지지 부재들(62)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현예들(아래에 도시된 구현예들을 포함)에서, 유리 물품(32)은 프레임들(56)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구현예들(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접착 재료(52)에 내장될 수 있고 프레임(56) 또는 지지 부재(62) 중 하나에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현예로 돌아가서, 접착 재료(52)는 프레임(56)과 힌지 메커니즘(50)을 유리 시트(42)에 결합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는 디스플레이 유닛(60)을 프레임(56)의 각 개구부(58) 내에서 유리 시트(42)에 접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접착제 층(도시되지 않음)이 디스플레이 유닛(60)의 후면에 지지 부재(62)를 결합시킬 수 있고, 및/또는 지지 부재(62)가 프레임(56)과 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interlock).
유리 물품(32)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도 5-13은 그러한 구성요소가 유리 물품(32)에 조립되는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유리 물품(32)의 제4 곡률(38d)의 폭을 가로지르는 단면이 도시된다. 특히, 도 5a(및 도 6a-13a)에 도시된 배향과 관련하여, 벤드 축은 도시된 것에 관한 페이지에 대하여 수직일 것이다(또는 도 5b-13b 각각에 도시된 평면에 대하여 평행할 것이다). 도 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 물품(32)의 이 구현예는 접착 재료(52)가 그 위에 도포된 힌지 메커니즘(50)을 포함한다.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둘러싸고,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을 힌지 메커니즘(50)에 결합한다. 구현예들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주변 디스플레이 표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표면을 포함한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64)를 사용하여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에 결합된다.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주변 디스플레이 표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표면에 결합된다.
도 5b는 도 5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유리 물품(32)의 제4 곡률(38d)의 또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5b에서 볼 수 있듯이,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으며, 유리 시트(42)를 힌지 메커니즘(50)에 접착할 뿐만 아니라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도 힌지 메커니즘(50)에 접착한다. 구현예에서, 접착 재료(52)는 유리 시트(42)와 힌지 메커니즘(50) 사이의 제2 두께, 예를 들어 5㎛ 내지 10㎛를 정의하고,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힌지 메커니즘(50) 사이의 제3 두께, 예를 들어 5㎛ 내지 10㎛를 정의한다. 또한, 접착 재료(52)는 주변 디스플레이 표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표면에 결합함으로써, 유리 시트(42)와 접착 재료(52) 사이에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밀봉을 제공한다.
도 6a는 유리 물품(32)의 다른 구현예의 제4 곡률(38d)의 단면을 도시한다. 유리 물품(32)은 접착 재료(52)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주변 표면 또는 후면에 접착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5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접착 재료(52)는 여전히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46)을 힌지 메커니즘(50)에 결합하고, 접착 재료(52)는 힌지 메커니즘(50)과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사이에 배치된다. 도 6a에는, 접착 재료(52)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사이에 갭(66)이 도시되어 있다. 구현예들에서, 갭(66)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접착 재료(52)로부터 예를 들어, 1 ㎛ 내지 10 ㎛의 거리 d만큼 분리한다.
또한, 구현예들에서,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재료와 같은, 스플린터 방지 필름(ASF)(68)을 포함한다. ASF(68)는 유리 시트(42)의 충격 및 압력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F(68)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둘러싸고 있으며, 구현예들에서, ASF(68)는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유리 시트(42)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구현예들에서, ASF(68)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주위에 접촉을 방지하고,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주변 힌지 메커니즘(50) 및/또는 프레임(56) 사이의 기계적 응력(예를 들어, 유리 시트(42), 힌지 메커니즘(50) 및/또는 프레임(56)의 재료의 차등 열 팽창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는 응력)의 전달을 최소화하는 경계(border)를 제공한다. 구현예들에서, ASF(68)의 경계 두께는 1㎛ 내지 10㎛이다.
도 6b는 도 6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유리 물품(32)의 제4 곡률(38d)의 또 다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6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 재료(52)는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또한, 도 6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갭(66)은 또한 전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더 나아가, 구현예들에서, ASF(68)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전체 주위로 연장된다. 도 6a 및 도 6b에 따른 구현예들에서, 접착 재료(52)는 여전히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밀봉을 제공하지만,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힌지 메커니즘(50)에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힌지 메커니즘(50)으로부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의 기계적 힘의 전달이 감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힌지 메커니즘(50)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간섭하지 않으며 힌지 메커니즘(50)으로부터의 진동이 감소된다.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힌지 메커니즘(50) 사이의 열 유도 전단 응력이 분리되어 유리 시트(42)로부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갭(66)이 제공될 때,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에 대한 사용자 터치 힘 응답이 조정될 수 있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힌지 메커니즘(50) 사이의 결합의 결여에도 불구하고,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는 헤드폼 충격 테스트(HIT) 성능은 불리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7a는 유리 물품(32)의 다른 구현예의 제4 곡률(38d)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의 구현예는, 도 7a에서, 스페이서(70)가 접착 재료(52)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사이의 갭(66)에 제공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6a의 구현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스페이서(70)는 그 구조 및/또는 그것이 만들어지는 재료에 따른다. 구현예들에서, 스페이서(70)는 허니콤 구조 재료, 고무 개스킷, 또는 에어 블래더 등을 포함한다. 구현예들에서, 스페이서(70)는 디스플레이 유닛(60) 또는 접착 재료(5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지 않고, 둘 다와 접촉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스페이서(70)는 구부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또는 접착 재료(52) 중 하나에만 결합된다. 구현예들에서, 스페이서(70)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접착 재료(52) 사이의 갭(66)을 채운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70)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후면과 공존(co-extensive)하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스페이서(70)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거나, 심지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보다 약간 더 작은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스페이서(70)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면적과 공존하거나 그보다 작은 구현예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주변의 공간은 비접촉 영역을 제공하여, 응력을 감소시키고 열 배리어를 생성한다. 또한, 이 공간은 다른 구성 요소(예컨대,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기능과 관련된 와이어 또는 기타 전자 장치, 버튼을 포함)를 하우징하기 위한 룸(room)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전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유리 시트(42)의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에 ASF(68)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유리 물품(32)의 제4 곡률(38d)의 또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이전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52)는 여전히 디스플레이 유닛(60)의 밀봉을 제공하지만,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힌지 메커니즘(50)에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힌지 메커니즘(50)으로부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의 기계적 힘의 전달이 감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힌지 메커니즘(50)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간섭하지 않으며 힌지 메커니즘(50)으로부터의 진동이 감소된다.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힌지 메커니즘(50) 사이의 열 유도 전단 응력이 분리되어, 유리 시트(42)로부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에 대한 사용자 터치 힘 응답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힌지 메커니즘(50) 사이에 스페이서(70)를 사용하면 헤드폼 충격 테스트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예를 들어, 허니콤 알루미늄 구조를 갖는 스페이서를 사용하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에 방열판을 제공하여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부터의 열 전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8a는 유리 물품(32)의 다른 구현예의 제4 곡률(38d)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의 구현예는, 도 8a에서 유리 물품(32)이 힌지 메커니즘(50)과 함께 프레임(56)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5a의 구현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힌지 메커니즘(50)과 유리 시트(42) 사이에 위치된다. 접착 재료(52)는 유리 시트(42)를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영역 외부의 프레임(56)에 결합하고,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영역에서, 접착 재료(52)는 적어도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아래의 영역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힌지 메커니즘(50)에 결합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메커니즘(50)과 접착 재료(52) 사이에 갭이 도시되어 있다(실제로는, 접착 재료(52)가 힌지 메커니즘(50)에 실제로 접촉하고 있을 수 있지만 결합되지는 않는다). 특히, 도 8a에서, 접착 재료(52)는 제4 곡률(38d)의 폭에 걸쳐 힌지 메커니즘(50)에 전혀 결합되지 않는다. 도 8b에서,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외부 영역에서 길이를 따라 힌지 메커니즘에 결합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에서는 힌지 메커니즘(50)이 제4 곡률(38d)의 길이 및 폭을 따라 접착 재료(52)에 전혀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구현예들과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52)와 힌지 메커니즘(50)의 디-커플링(de-coupling)은 힌지 메커니즘(50)으로부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의 열 및 기계적 응력의 전달을 감소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신뢰성 있는 작동을 위한 밀봉을 여전히 제공하기 위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주변 표면 및 후면에 결합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이전 구현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전 구현예와 도 9a 및 9b의 구현예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힌지 메커니즘(50)의 하나의 사이드 프레임(56)을 지나서 연장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들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힌지 메커니즘(50)의 양 사이드 프레임(56)을 지나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제1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제2 디스플레이 스크린(26)은 제1 사이드(34)에서 제2 사이드(36)로 벤드 축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하나의 연속적인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도 10a는 유리 물품(32)의 다른 구현예의 제4 곡률(38d)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의 구현예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접착 재료(52)에 결합되지 않지만, 접착 재료는 힌지 메커니즘(50) 및 프레임(56) 모두에 결합되어 있다.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접착 재료(52) 사이에 갭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접착 재료(52)와 접촉될 수 있다(그러나 결합하지 않음).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결합하지 않음으로써,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유리 물품(32)을 구부릴 때 중성 응력 평면에 더 가까워지고,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전단 응력을 최소화한다.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주위에 스페이서(70)가 제공된다. 특히, 스페이서(70)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힌지 메커니즘(50) 및/또는 프레임(56)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 주위에 경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70)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에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전단 응력은 스페이서(70)로부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 전달될 수 없다. 스페이서(70)는 도 7a 및 7b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스페이서(70)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전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힌지 메커니즘(50)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의 프레임(56)을 지나서 연장된다.
도 10b는 도 10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유리 물품(32)의 또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앞의 구현예들과 마찬가지로,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밀봉을 제공한다. 또한, 접착 재료(52)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을 힌지 메커니즘(50)에 결합시키지 않기 때문에, 기계적 및 열적 응력이 힌지 메커니즘(50)으로부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11a 및 도 11b는 유리 물품(32)의 다른 구현예의 제4 곡률(38d)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1a 및 11b의 구현예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돌출부(72)를 포함한다. 도 11a 및 11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돌출부(72)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대신,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에 결합되고,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은 접착 재료(52)를 통해 힌지 메커니즘(50) 및 프레임(56)에 결합된다. 도 11a 및 11b의 구현예에서, 돌출부(7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부터의 열 전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돌출부(72)에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힌지 메커니즘(50)으로부터의 기계적 및 열적 응력 중 적어도 일부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이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42), 접착 재료(52) 및 힌지 메커니즘(50) 사이에 밀봉이 생성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유리 물품(32)의 다른 구현예의 제4 곡률(38d)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의 구현예에서, 힌지 메커니즘(50)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연장되는 리세스(74)를 포함한다. 도 12a 및 도 1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리세스(74)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대신,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에 결합되고,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은 접착 재료(52)(예를 들어, 1㎛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를 통해 힌지 메커니즘(50) 및 프레임들(56)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후면과 리세스(74)의 바닥 사이 및/또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주변 표면과 리세스(74)의 측벽 사이에 갭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의 구현예에서, 리세스(74)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부터의 열 전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리세스(74)는 열 전도 페이스트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주변 표면 및/또는 후면과 리세스(74)의 측벽 및/또는 바닥 사이에 갭이 제공되지 않아,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리세스(74)의 바닥 및/또는 측벽과 접촉한다. 그러나,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리세스(74)에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힌지 메커니즘(50)으로부터의 기계적 및 열적 응력 중 적어도 일부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13a는 유리 물품(32)의 다른 구현예의 제4 곡률(38d)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의 구현예와 유사하게, 도 13a의 유리 물품(32)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과 접착 재료(52) 사이에 갭(66)을 포함한다. 해당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64)를 통해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에 결합된다.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은 ASF(68)로 둘러싸여 있을 수도 있다. 접착 재료(52)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위치된 영역 외부의 유리 시트(42)의 제2 주 표면(46)에 결합된다. 또한, 접착 재료(52)는 백킹 플레이트(76)에 결합되고, 힌지 메커니즘(50)은 백킹 플레이트(76)에 연결된다. 구현예들에서, 백킹 플레이트(76)는 얇고 구부릴 수 있는 재료 시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강철 합금,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백킹 플레이트(76)는 구부러지도록 분할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백킹 플레이트(76)는 2mm 이하의 두께(예컨대, 10㎛ 내지 1㎜)를 갖는다. 구현예들에서, 백킹 플레이트(76)는 최대 500,000 사이클의 주기적 굽힘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3b의 단면(도 13a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메커니즘(50)은 이전 구현예들보다 덜 본격적이며, 유리 물품(32)의 상부 및 하부만을 가로질러 연장되고, 감소된 무게 및 잠재적으로 더 저렴한 구조를 제공한다. 구현예들에서, 백킹 플레이트(76)는 예를 들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에의 연결 및/또는 케이블 관리를 위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의 접근성을 허용하는 실링된 포트를 포함한다.
유리 물품(32)의 다양한 구현예를 설명하였고, 이제 유리 물품(32)을 형성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구현예들에서, 접착 재료(52)는 사출 몰딩 공정에 의해 유리 시트(42) 상에 몰딩된다. 예를 들어, 유리 물품(32)은 몰드(예를 들어, 조개 껍질 몰드) 내에 유리 시트(42)를 배치하고, 몰드 내에 임의의 프레임(56), 지지 부재(62) 및/또는 백킹 플레이트(76)를 포함하는 힌지 메커니즘(50)을 위치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몰드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위치될 공극을 생성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33)이 위치될 공극을 생성하도록 제거 가능한 몰딩 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접착 재료(52)는 원하는 대로 제2 주 표면(46) 및 부 표면(48)을 덮도록 몰드 내에 주입된다. 또한, 접착 재료(52)는 추가적인 접착제 없이 유리 시트(42), 힌지 메커니즘(50), 백킹 플레이트(76), 프레임(56) 및/또는 지지 부재(62)에 결합된다. 따라서, 접착 재료(52)는 또한 유리 시트(42), 힌지 메커니즘(50), 백킹 플레이트(76), 프레임(56) 및/또는 지지 부재(62)를 통합 유리 물품(32)으로 결합한다. 실시예들에서, 프라이머는 캡슐화 재료(52)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도포될 수 있다.
유리 물품(32)의 곡률(38a-c), 특히 제2 사이드(36)의 곡률은 열간 성형 또는 냉간 성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냉간 성형"이란, 곡률(38)이 유리의 연화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유리 시트(42)에 도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냉간 성형은 200℃ 미만, 100℃ 미만 또는 심지어 실온에서도 이루어진다. 이와 대조적으로, "열간 성형"은 프레스, 새깅 장치, 성형 레어(lehrs) 등을 사용하여 유리 시트(42)의 연화 온도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이루어진다. 열간 성형과 냉간 성형의 또 다른 특징은 열간 성형에 의해 도입된 곡률(38)이 유리 시트(42)가 연화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재성형될 때까지 그 곡률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영구적이라는 점입니다.
냉간 성형에 의해 도입된 곡률은 영구적이지 않다. 특히, 냉간 성형 시에는 유리 시트(42)에 압력을 가하여 유리 시트(42)를 원하는 형상에 맞도록 한다. 압력은 진공 압력, 기계식 프레스, 롤러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유리 시트(42)는 지지 구조체(예컨대, 프레임(56))에 결합되어 유리 시트(42)를 냉간 성형된 형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지지 구조체에서 분리되면, 유리 시트(42)는 다시 평면 구성으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특성은 도 2에 도시된 제4 곡률(38d)에 이용되며, 힌지 메커니즘(50)을 사용하여, 유리 시트(42)가 평면 구성(운전자 측(20)을 향함)과 구부러진 구성(운전자 측(20)과 조수석 측(22) 사이를 향함) 사이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고정된 제2 사이드(36)에 있는 다른 곡률(38a-c)은 냉간 성형된 위치에 유지된다.
구현예들에서, 유리 시트(42)는 사출 몰딩 또는 접착 재료(52)의 적용 전에 원하는 곡률(38a-c)을 도입하기 위해 열 성형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유리 시트(42)는 원하는 곡률(38)을 도입하기 위해 사출 몰딩 또는 접착 재료(52)의 적용 전에 냉간 성형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42)는 원하는 곡률(38)을 도입하기 위해 사출 몰딩 또는 접착 재료(52)의 적용 중에 냉간 성형된다.
유리하게도, 본 명세서에 설명된 유리 물품(32)은 머리 충격 테스트(HIT) 요건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HIT 동안, 차량의 내부 표면은 충돌 동안 차량 내부 시스템과의 시뮬레이션된 머리 충격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 시스템이 관련 머리 상해 기준(HIC)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조사된다. 특히 사람의 머리를 시뮬레이션하는 헤드폼을 사용하여 테스트 대상 차량 내부 시스템과의 충돌 시 감속 특성을 결정한다. 성공적인 테스트 성능은 감속의 크기와 감속이 발생하는 시간을 모두 줄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미국 교통부 FMVSS 201에 정의된 대로, 헤드폼이 15 mph의 속도로 충돌할 때 헤드폼이 3 ms 이상 80g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날카로운 유리 파편이 생성되지 않도록 HIT 후에도 유리 시트(42)가 온전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유리 물품(32)의 HIT 성능은 전술한 구조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 메커니즘(50), 프레임(56), 지지 부재(62), 접착 재료(52)의 결합 또는 비결합 영역, 갭(66), 스페이서(70) 및/또는 백킹 플레이트(76)는 너무 큰 감속 크기를 생성할 정도로 높지 않고 유리 시트의 큰 굴절을 생성할 정도로 낮지 않은 정도의 강성 및 굴곡 강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되어, 유리 시트(42)의 파손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고려사항은 차량 내부의 모든 유리 표면과 관련이 있으며, 현재 개시된 유리 물품(32)은 제1 사이드(34)가 제2 사이드(36)에 대하여 구부러지는 능력에 기초하여 유리 물품(32)의 동적 동작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문제를 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리 물품(32)은 본원에 개시된 구조물을 통해 HIT를 통과하는 데 필요한 강성 및 굴곡 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유리 시트(42)의 다양한 기하학적 특성 및 유리 시트의 조성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시트(42)는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제1 주 표면(44)과 제2 주 표면(46)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두께(T1)를 갖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T1은 0.3 mm 내지 2.0 mm이다. 또한, 유리 시트(42)는 두께(T1)에 직교하는 제1 또는 제2 주 표면(44, 46) 중 하나의 제1 최대 치수로 정의되는 폭(W), 및 두께(T1) 및 폭 모두에 직교하는 제1 또는 제2 주 표면(44, 46) 중 하나의 제2 최대 치수로 정의되는 길이(L)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폭(W) 및 길이(L)은 각각 유리 시트(42)의 평균 폭 및 평균 길이일 수 있고, 다른 구현예에서, 폭(W) 및 길이(L)은 각각 유리 시트(42)의 최대 폭 및 최대 길이일 수 있다(예컨대, 가변 폭 또는 길이를 갖는 유리 시트(42)의 경우). 다양한 구현예에서, 폭(W)은 5cm 내지 250cm의 범위이고, 길이(L)는 약 5cm 내지 약 1500cm의 범위이다. 또한, 다양한 구현예에서, 유리 물품(32)의 곡률(38a-d)은 각각 약 20 mm 내지 약 10,000 mm의 범위에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 시스템의 다양한 구현예는 기차, 자동차(예컨대, 차, 트럭, 버스 등), 해상 선박(보트, 선박, 잠수함 등) 및 항공기(예컨대, 드론, 비행기, 제트기, 헬리콥터 등)와 같은 차량에 통합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유리 시트(42)는 강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42)는 표면으로부터 압축 깊이(DOC)까지 연장되는 압축 응력을 포함하도록 강화될 수 있다. 압축 응력 영역은 인장 응력을 나타내는 중앙 부분에 의해 균형을 이룬다. DOC에서, 응력은 양의(압축) 응력에서 음의(인장) 응력으로 교차한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42)는 압축 응력 영역 및 인장 응력을 나타내는 중심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물품의 일부분들 사이의 열팽창 계수의 불일치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유리를 유리 전이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급속히 ?칭함으로써 열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42)는 이온 교환에 의해 화학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이온 교환 공정에서, 유리 시트의 표면 또는 그 근처의 이온은 동일한 원자가 또는 산화 상태를 갖는 더 큰 이온으로 치환되거나 교환된다. 유리 시트가 알칼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물품의 표면층에 있는 이온과 더 큰 이온은 Li+, Na+, K+, Rb+, 및 Cs+와 같은, 1가 알칼리 금속 양이온이다. 대안적으로, 표면층의 1가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이외의 1가 양이온, 예를 들어, Ag+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 내로 교환된 1가 이온(또는 양이온)은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온 교환 공정은 전형적으로 유리 시트를 유리 시트 내의 작은 이온과 교환될 큰 이온을 함유하는 용융 염욕(또는 둘 이상의 용융 염욕)에 침지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수성 염욕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욕(들)의 조성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더 큰 이온(예컨대, Na+ 및 K+) 또는 단일 더 큰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욕 조성 및 온도, 침지 시간, 염욕(또는 욕들)에서 유리 시트의 침지 횟수, 다중 염욕의 사용, 어닐링, 세척 등과 같은 추가 단계를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이온 교환 공정의 파라미터가 일반적으로 유리 시트의 조성(물품의 구조 및 존재하는 결정상을 포함) 및 강화로 인한 유리 시트의 원하는 DOC 및 CS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시적인 용융 욕 조성은 더 큰 알칼리 금속 이온의 질산염, 황산염 및 염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질산염에는 KNO3, NaNO3, LiNO3, NaSO4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용융 염욕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380℃에서 약 450℃ 범위이며, 침지 시간은 유리 시트 두께, 욕 온도 및 유리(또는 1가 이온) 확산도에 따라 약 15분에서 최대 약 100시간의 범위이다. 그러나 위에 설명된 것과 다른 온도 및 침지 시간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약 370℃ 내지 약 480℃의 온도를 갖는 100% NaNO3, 100% KNO3, 또는 NaNO3 및 KNO3의 조합의 용융 염욕에 침지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약 5% 내지 약 90%의 KNO3 및 약 10% 내지 약 95%의 NaNO3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 염욕에 침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제1 욕에 침지된 후 제2 욕에 침지될 수 있다. 제1 욕 및 제2 욕은 서로 다른 조성 및/또는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욕 및 제2 욕에서의 침지 시간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욕에서의 침지는 제2 욕에서의 침지보다 더 길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약 420℃(예를 들어, 약 400℃ 또는 약 380℃) 미만의 온도를 갖는 NaNO3 및 KNO3(예를 들어, 49%/51%, 50%/50%, 51%/49%)를 포함하는 용융, 혼합 염욕에 약 5시간 미만 또는 심지어 약 4시간 이하 동안 침지될 수 있다.
이온 교환 조건은 "스파이크"를 제공하거나, 생성된 유리 시트의 표면 또는 그 부근에서 응력 프로파일의 기울기를 증가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스파이크는 더 큰 표면 CS 값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파이크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유리 시트에 사용되는 유리 조성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단일 욕 또는 다중 욕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욕(들)은 단일 조성 또는 혼합 조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1가 이온이 유리 시트 내로 교환되는 경우, 상이한 1가 이온은 유리 시트 내에서 상이한 깊이로 교환될 수 있다(그리고 상이한 깊이에서 유리 시트 내에서 상이한 크기의 응력을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응력 생성 이온의 상대적인 깊이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응력 프로파일의 다른 특성을 유발할 수 있다.
CS는 오리하라 공업주식회사(일본)에서 제조된 FSM-6000과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도구를 사용하는 표면 응력 측정기(FSM)와 같이 당업계에 알려진 수단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표면 응력 측정은 유리의 복굴절과 관련된 응력 광학 계수(SOC)의 정확한 측정에 의존한다. SOC는 섬유 및 4점 굽힘 방법과 같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측정되며, 이 두 가지 방법은 모두 그 내용이 본원에 전체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유리 응력 광학 계수 측정을 위한 표준 테스트 방법"이라는 제목의 ASTM 표준 C770-98(2013)에 벌크 실린더 방법에 설명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CS는 압축 응력 층 내에서 측정된 가장 높은 압축 응력 값인 "최대 압축 응력"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최대 압축 응력은 유리 시트의 표면에 위치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최대 압축 응력은 표면 아래의 깊이에서 발생하여 압축 프로파일에 "묻힌(buried) 피크"의 모양을 제공할 수 있다.
DOC는 강화 방법과 조건에 따라 FSM 또는 산란광 편광경(SCALP)(예컨대 에스토니아 탈린에 위치한 Glasstress사에서 입수가능한 SCALP-04 산란광 편광경과 같은)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온 교환 처리를 통해 유리 시트가 화학적으로 강화하는 경우, 유리 시트에 어떤 이온이 교환되느냐에 따라 FSM 또는 SCALP가 사용될 수 있다. 칼륨 이온을 유리 시트에 교환하여 유리 시트에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FSM이 DOC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나트륨 이온이 유리 시트로 교환되어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SCALP가 DOC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리 시트의 응력이 칼륨 이온과 나트륨 이온을 모두 유리로 교환하여 생성되는 경우, 나트륨의 교환 깊이가 DOC를 나타내고 칼륨 이온의 교환 깊이는 압축 응력의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압축에서 인장으로의 응력 변화는 아님)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SCALP를 통해 DOC가 측정되고; 이러한 유리 시트에서 칼륨 이온의 교환 깊이는 FSM으로 측정된다. 중심 장력 또는 CT는 최대 인장 응력이며 SCALP로 측정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시트는 유리 시트(42)의 두께 (T)의 분율로 설명되는 DOC를 나타내도록 강화될 수 있다(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DOC는 약 0.05T 이상 내지 약 0.25T일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DOC는 약 2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강화 유리 시트는 약 200MPa 이상, 약 500MPa 이상 또는 약 1000MPa 이상의 CS(유리 시트 내의 표면 또는 깊이에서 발견될 수 있는)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강화 유리 시트는 약 20MPa 이상, 약 50MPa 이상 또는 약 85MPa 이상의 최대 인장 응력 또는 중심 장력(CT)을 가질 수 있다.
유리 시트(42)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리 조성은 소다 석회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알칼리 함유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알칼리 함유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및 알칼리 함유 보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유리 조성은 약 66 mol% 내지 약 80 mol% 범위의 양의 SiO2, 약 4 mol% 내지 약 15 mol% 범위의 양의 Al2O3, 약 0 mol% 내지 약 5 mol% 범위의 양의 B2O3, 약 0 mol% 내지 약 2 mol% 범위의 양의 P2O5, 약 8 mol% 내지 약 20 mol% 범위의 양의 R2O, 약 0 mol% 내지 약 2 mol% 범위의 양의 RO, 약 0 mol% 내지 약 0.2 mol% 범위의 양의 ZrO2, 및 약 0 mol% 내지 약 0.2 mol% 범위의 양의 SnO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조성물에서, R2O는 Li2O, Na2O, K2O, Rb2O 및 Cs2O와 같은,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총량을 의미한다. 특히, Na2O는 약 8 mol% 내지 약 20 mol%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K2O는 약 0 mol% 내지 약 4 mol%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조성물에서, RO는 CaO, MgO, BaO, ZnO 및 SrO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의 총량을 의미한다. 특히, CaO는 약 0 mol% 내지 약 1 mol%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MgO는 약 0 mol% 내지 약 7 mol%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구현예들에서, 유리 조성물은 Ti, V, Cr, Mn, Fe, Co, Ni, Cu, Ce, W, 및 Mo와 같은 금속의 다른 산화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Fe2O3 형태의 Fe는 약 0 mol% 내지 약 1 mol%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TiO2는 약 0 mol% 내지 약 5 mol%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유리 조성물은 약 65 mol% 내지 약 75 mol% 범위의 양의 SiO2, 약 8 mol% 내지 약 14 mol% 범위의 양의 Al2O3, 약 12 mol% 내지 약 17 mol% 범위의 양의 Na2O, 약 0 mol% 내지 약 0.2 mol% 범위의 양의 K2O, 및 약 1.5 mol% 내지 약 6 mol% 범위의 양의 MgO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SnO2는 본 명세서에 달리 개시된 양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관점 (1)은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주 표면 및 제1 주 표면에 반대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힌지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를 제1 사이드(side) 및 제2 사이드로 분할하는, 힌지 메커니즘; 유리 시트의 제 2 주 표면에 결합되고 유리 시트와 힌지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되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디스플레이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사이드는 제2 사이드에 대해 힌지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접착 재료 내에 밀봉(hermetically sealed)된다.
본 개시의 관점 (2)는 관점 (1)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주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재료는 주변 표면 및 후면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관점 (3)은 관점 (2)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관점 (4)는 관점 (2) 또는 관점 (3)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 물품은 힌지 메커니즘의 사이드 상에 있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접착 재료는 프레임을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하고, 상기 접착 재료는 힌지 메커니즘 및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영역에서 힌지 메커니즘에 결합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관점 (5)는 관점 (4)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위로 연장된다.
본 개시의 관점 (6)은 관점 (1)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주변 표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접착 재료와 주변 표면 및 후면 사이에 갭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관점 (7)은 관점 (6)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 물품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는 스플린터 방지 필름을 더욱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8)은 관점 (6) 또는 관점 (7)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 물품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욱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9)는 관점 (6) 또는 관점 (7)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 물품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욱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10)은 관점 (8) 또는 관점 (9)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페이서는 고무 개스킷, 허니콤 구조 또는 에어 블래더(bladd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11)은 관점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힌지 메커니즘의 적어도 한 사이드를 지나서 연장된다.
본 개시의 관점 (12)는 관점 (6)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 물품은 접착 재료와 힌지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되는 백킹 시트를 더욱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13)은 관점 (12)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백킹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철 합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14)는 관점 (6)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리 물품은 힌지 메커니즘의 일 사이드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접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과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관점 (15)는 관점 (14)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힌지 메커니즘의 돌출부와 접촉한다.
본 개시의 관점 (16)은 관점 (14)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며,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리세스로 둘러싸여 있다.
본 개시의 관점 (17)은 관점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접착 재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또는 반응 사출 몰딩 재료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18)은 관점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철 합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19)는 관점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유기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20)은 관점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유리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사이드는 제2 사이드에 대하여 평면 구성으로부터 제1 사이드가 평면으로부터 10° 내지 180° 구부러지는 구부러진(bent) 구성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본 개시의 관점 (21)은 차량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중심선 축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대시보드 베이스로서, 상기 중심선 축은 차량을 운전자 사이드 및 조수석 사이드를 종으로 분할하는, 대시보드 베이스; 대시보드 베이스에 부착되는 유리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물품은, 제1 주 표면과 제1 주 표면에 반대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로서, 여기서 제1 유리 시트는 제1 사이드와 제2 사이드를 포함하며, 제1 사이드는 중심선 축의 운전자 사이드에 위치되는, 유리 시트;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힌지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를 제1 사이드와 제2 사이드 사이에서 분할하는, 힌지 메커니즘; 및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고 힌지 메커니즘과 유리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접착 재료와 유리 시트 사이에 밀봉되고,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사이드가 힌지 메커니즘에 대해 구부러질 때, 만곡된 구성과 평면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관점 (22)는 관점 (21)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주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재료는 주변 표면 및 후면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관점 (23)은 관점 (22)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상기 힌지 메커니즘의 일 사이드에 있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접착 재료는 프레임을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접착 재료는 힌지 메커니즘과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영역에서 힌지 메커니즘에 결합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관점 (24)는 관점 (23)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위로 연장된다.
본 개시의 관점 (25)는 관점 (22)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주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재료와 주변 표면 및 후면 사이에 갭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관점 (26)은 관점 (25)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욱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27)은 관점 (25)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욱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28)은 관점 (25) 내지 (27)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힌지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 사이드를 지나서 연장된다.
본 개시의 관점 (29)는 관점 (25) 내지 (28)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접착 재료와 힌지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되는 백킹 시트를 더욱 포함한다.
본 개시의 관점 (30)은 관점 (25) 내지 (29)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힌지 메커니즘의 일 사이드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접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과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된다.
본 개시의 관점 (31)은 관점 (30)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힌지 메커니즘의 돌출부와 접촉한다.
본 개시의 관점 (32)는 관점 (30)의 내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리세스로 둘러싸여 있다.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방법은 그 단계들이 특정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결코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이 실제로 그 단계들이 따라야 할 순서를 기재하지 않거나, 그 단계들이 특정 순서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것이 청구항 또는 설명에 달리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특정 순서가 유추되는 것은 결코 의도된 바가 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하나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 또는 요소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하나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에게는 개시된 구현예들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당업자에게는 구현예들의 사상 및 실질을 혼입하는 개시된 구현예들의 수정, 조합, 하위 조합 및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개시된 구현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2)

  1. 유리 물품으로서,
    제1 주 표면 및 제1 주 표면에 반대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힌지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를 제1 사이드(side) 및 제2 사이드로 분할하는, 힌지 메커니즘;
    유리 시트의 제 2 주 표면에 결합되고 유리 시트와 힌지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되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디스플레이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사이드는 제2 사이드에 대해 힌지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접착 재료 내에 밀봉(hermetically sealed)되는, 유리 물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주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재료가 주변 표면 및 후면에 결합되는, 유리 물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는, 유리 물품.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은 힌지 메커니즘의 사이드 상에 있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접착 재료는 프레임을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하고, 상기 접착 재료는 힌지 메커니즘 및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영역에서 힌지 메커니즘에 결합되지 않는, 유리 물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위로 연장되는, 유리 물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주변 표면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접착 재료와 주변 표면 및 후면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유리 물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는 스플린터 방지 필름을 더욱 포함하는, 유리 물품.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욱 포함하는, 유리 물품.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욱 포함하는, 유리 물품.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고무 개스킷, 허니콤 구조 또는 에어 블래더(bladd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유리 물품.
  11. 청구항 6-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힌지 메커니즘의 적어도 한 사이드를 지나서 연장되는, 유리 물품.
  12. 청구항 6-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은 접착 재료와 힌지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되는 백킹 시트를 더욱 포함하는, 유리 물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백킹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철 합금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
  14. 청구항 6-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은 힌지 메커니즘의 일 사이드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접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과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는, 유리 물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힌지 메커니즘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유리 물품.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며,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리세스로 둘러싸여 있는, 유리 물품.
  17. 청구항 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또는 반응 사출 몰딩 재료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
  18. 청구항 1-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철 합금을 포함하는, 유리 물품.
  19. 청구항 1-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유기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리 물품.
  20. 청구항 1-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는 제2 사이드에 대하여 평면 구성으로부터 제1 사이드가 평면으로부터 10° 내지 180° 구부러지는 구부러진(bent) 구성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유리 물품.
  21. 차량의 내부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중심선 축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대시보드 베이스로서, 상기 중심선 축은 차량을 운전자 사이드 및 조수석 사이드를 종으로 분할하는, 대시보드 베이스;
    대시보드 베이스에 부착되는 유리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유리 물품은 ,
    제1 주 표면과 제1 주 표면에 반대되는 제2 주 표면을 포함하는 유리 시트로서, 여기서 제1 유리 시트는 제1 사이드와 제2 사이드를 포함하며, 제1 사이드는 중심선 축의 운전자 사이드에 위치되는, 유리 시트;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힌지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유리 시트를 제1 사이드와 제2 사이드 사이에서 분할하는, 힌지 메커니즘; 및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고 힌지 메커니즘과 유리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주위의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접착 재료와 유리 시트 사이에 밀봉되고,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사이드가 힌지 메커니즘에 대해 구부러질 때, 만곡된 구성과 평면 구성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주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재료는 주변 표면 및 후면에 결합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상기 힌지 메커니즘의 일 사이드에 있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접착 재료는 프레임을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접착 재료는 힌지 메커니즘과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영역에서 힌지 메커니즘에 결합되지 않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위로 연장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 후면 및 전면 디스플레이 표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주변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 재료와 주변 표면 및 후면 사이에 갭이 제공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욱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표면 주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더욱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28. 청구항 25-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힌지 메커니즘의 적어도 일 사이드를 지나서 연장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29. 청구항 25-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접착 재료와 힌지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되는 백킹 시트를 더욱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30. 청구항 25-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스템은 힌지 메커니즘의 일 사이드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욱 포함하며, 여기서 접착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과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에 결합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힌지 메커니즘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32.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은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리세스로 둘러싸여 있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
KR1020237007949A 2020-08-19 2021-08-10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유리 물품 KR20230052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67526P 2020-08-19 2020-08-19
US63/067,526 2020-08-19
PCT/US2021/045301 WO2022039969A1 (en) 2020-08-19 2021-08-10 Glass article for vehicle interior system having a bendable display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914A true KR20230052914A (ko) 2023-04-20

Family

ID=7754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949A KR20230052914A (ko) 2020-08-19 2021-08-10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유리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28907A1 (ko)
EP (1) EP4200152A1 (ko)
JP (1) JP2023540189A (ko)
KR (1) KR20230052914A (ko)
CN (2) CN116194830A (ko)
WO (1) WO2022039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5155A1 (en) * 2022-09-27 2024-04-04 Schott Glass Technologies (Suzhou) Co. Ltd. Carrier for an electronic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6963A (zh) * 2018-11-13 2019-01-18 厦门祐尼三的新材料科技有限公司 可弯折玻璃盖板、屏显模组及电子设备
US11116098B2 (en) * 2018-12-10 2021-09-07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bendable automotive interior display systems
DE102019200396A1 (de) * 2019-01-15 2020-07-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eckglas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0189A (ja) 2023-09-22
CN217672165U (zh) 2022-10-28
CN116194830A (zh) 2023-05-30
WO2022039969A1 (en) 2022-02-24
US20230328907A1 (en) 2023-10-12
EP4200152A1 (en)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588B2 (en)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JP6418241B2 (ja) 車載表示装置
US20210323270A1 (en) Cold-formed curv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202344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aminating and dynamically and reversibly bending cover glass
US20220274368A1 (en) Glass article including flexible mid-frame for joining a bent glass sheet to a rigid frame
EP3887326B1 (en) Adhering glass cover sheet to a frame
JP7160908B2 (ja) ディスプレイ用の導光体ベースのデッドフロント、関連する方法、及び車両内装システム
TW201927557A (zh) 具有有著改良的衝擊性能的彎曲覆蓋玻璃的載具內部系統及用於形成該載具內部系統的方法
KR20230052914A (ko)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유리 물품
CN214927761U (zh) 玻璃层压体、车辆内饰系统和包括该车辆内饰系统的车辆
US20220324201A1 (en) Glass article having a plastic frame with enhanced reliability against delamination
US20230212070A1 (en) Glass articles having adhesive bead with high aspect ratio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CN216871500U (zh) 用于车辆内饰系统的玻璃制品和车辆的内饰系统
US20210101821A1 (en) Curved glass articles including a bumper piece configured to relocate bending moment from display reg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40038997A (ko) 개선된 헤드 충격 성능을 갖는 차량 내부 시스템용 벤딩 가능한 유리 물품
WO2021024819A1 (ja) 樹脂製枠体付きガラス板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