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519A - 에너지 수요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수요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519A
KR20230052519A KR1020210135663A KR20210135663A KR20230052519A KR 20230052519 A KR20230052519 A KR 20230052519A KR 1020210135663 A KR1020210135663 A KR 1020210135663A KR 20210135663 A KR20210135663 A KR 20210135663A KR 20230052519 A KR20230052519 A KR 20230052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sumption
energy
power
resid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현
방선규
김가연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21013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519A/ko
Publication of KR20230052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06Power analysis or power optim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거주 시설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거주형태를 반영하여 에너지 수요를 구현하고 발생시킴으로써 실제 거주환경을 조성하고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주택의 에너지 공급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에너지 소비가 발현하는 거주 환경을 조성하는 거주유닛과 거주유닛의 내부에 형성되며,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소비시설과 복수의 소비시설에 형성되며,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서버와 소비시설 및 측정서버를 제어하며, 수요 소비 전력을 분석하는 제어서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수요 발생 시스템{System for Generating Energy Demand}
본 발명은 무인 거주 시설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거주형태를 반영하여 에너지 수요를 구현하고 발생시킴에 따라 실제 거주환경을 조성하고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주택의 에너지 공급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a) 공공데이터 입력모듈에, 상기 공공데이터로부터 건축물의 난방과 냉방을 포함하는 용도에 대한 연료 월사용량 및 전력 월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각각 입력되되, 적어도 12개월의 기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 분석모듈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된 적어도 12개월의 기간을, 월 단위로 난방이 수행되는 동절기, 냉방이 수행되는 하절기 및 나머지 기간에 해당되는 중간기로 분류하고, 상기 중간기 중 연료 월사용량이 최소가 되는 연료 기준월 및 전력월사용량이 최소가 되는 전력 기준월이 결정되는 단계; (c) 급탕 연산모듈은, 급탕 다중회귀식을 생성하되, 상기 급탕 다중회귀식에 적용되는 에너지부문인자는, 상기 공공데이터 입력모듈에 입력된 정보인 동절기의 연료 사용량 및 전력 사용량의 합에서, 상기 연료 기준월의 연료 사용량 및 상기 전력 기준월의 전력사용량의 합에 상기 동절기의 개월수를 곱한 값을 차감한 값을 사용하며, 환기 연산모듈은 환기 다중회귀식을 생성하되, 상기 환기 다중회귀식에 적용되는 에너지부문인자는, 상기 공공데이터 입력모듈에 입력된 정보인 동절기 및 하절기의 전력 사용량 합에서, 상기 전력 기준월의 전력 사용량에 상기 동절기 및 하절기의 개월수를 곱한 값을 차감한 값을 사용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급탕 다중회귀식을 통해 급탕에 사용된 연간 연료 사용량 및 전력 사용량의 합이 도출되고, 상기 (c) 단계의 환기 다중회귀식을 통해 환기에 사용된 연간 전력 사용량이 도출되는 단계; 및 (e) 난방 연산모듈은, 상기 공공데이터 입력모듈에 입력된 상기 동절기의 연료 사용량 및 전력 사용량의 합에서, 상기 연료 기준월의 연료 사용량과 상기 전력 기준월의 전력 사용량의 합에 상기 동절기의 개월수를 곱한 값을 차감한 후, 상기 동절기 동안 급탕에 사용된 연료 사용량 및 전력 사용량의 합을 차감하고, 상기 동절기 동안 환기에 사용된 전력 사용량을 차감하여 연간 난방 에너지사용량이 결정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a) 건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사용량에 대한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b)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예측 기상 데이터를 기초로 예측 기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및 상기 예측 기상 데이터를 기초로 인공 신경망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건물의 냉난방량, 가스 및 전력 사용량을 예측하는 단계; d) 상기 건물의 구성 및 스케쥴을 입력하여 가상 건물화하고, 건물의 설계 도면, 설비 설계 도면을 통해 상기 건물의 구성 및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단계; e) 과거 소정 기간 동안의 기상 정보를 기초로 시간대별 평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거 기상 데이 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f) 상기 모델링 및 상기 평균 기상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과거 기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건물이 사용하게 될 에너지 사용량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환경정보와 기상예보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차를 산출하는 오차 산출부,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에너지 정보와 상기 오차 산출부로부터 획득한 오차에 기초하여 비선형 에너지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에너지 예측 모델 생성부 및 상기 비선형 에너지 예측 모델을 통해 에너지 수요 정보를 예측하는 에너지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세분화되는 건물이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는 커뮤니티의 에너지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각 구역에 설치되는 센서네트워크로부터 각 구역에 대한 환경데이터를 획득하고, 각 구역에서 작동되는 에너지 기기 및 개인화기기에 대한 기기에너지사용량데이터를 획득하며, 각 구역에 대한 물리적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역에이전트; 및 상기 환경데이터 중 온도데이터 및 CO2데이터와, 상기 개인화기기에 대한 기기에너지사용량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포함하는 제1기계학습모델을 통해 각 구역에 대한 재실자추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재실자추정정보, 상기 환경데이터, 상기 에너지기기 및 개인화기기에 대한 기기에너지사용량데이터 및 각 구역에 대한 물리적정보를 입력데이터로 포함하는 제2기계학습모델을 통해 각 구역에 대한 구역에너지수요예측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구역에이전트로 전송하는 머신러닝장치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976784 B1 (2019년05월02일) KR 10-1168153 B1 (2012년07월10일) KR 10-2019-0043976 A (2019년04월29일) KR 10-2018-0053452 A (2018년05월23일)
본 발명은 무인 거주 시설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거주형태를 반영하여 에너지 수요를 구현하고 발생시킴에 따라 실제 거주환경을 조성하고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주택의 에너지 공급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무인거주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가 발현하는 거주 환경을 조성하는 거주유닛(100); 상기 거주유닛(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소비시설(200); 복수의 상기 소비시설(200)에 형성되며,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서버(300); 상기 소비시설(200) 및 상기 측정서버(300)를 제어하며, 수요 소비 전력을 분석하는 제어서버(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거주유닛(100); 소비시설(200); 측정서버(300); 제어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거주유닛(100)은 거주자가 거주할 수 있는 단독주택, 연구시설, 공동주택의 세대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거주유닛(100); 소비시설(200); 측정서버(300); 제어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소비시설(200)에 형성되며, 상기 거주유닛(100)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력장치(210); 상기 거주유닛(100)의 열을 소비하는 난방장치(220); 상기 거주유닛(100)의 물을 소비하는 급수설비장치(2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거주유닛(100); 소비시설(200); 측정서버(300); 제어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측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전력장치(210)와 연결되어 전력 소비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310); 상기 난방장치(220)와 상기 급수설비장치(230)와 연결되며, 열 소비량을 측정하는 난방측정부(320); 상기 거주유닛(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측정부(3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거주유닛(100); 소비시설(200); 측정서버(300); 제어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어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소비시설(200) 및 상기 측정서버(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10); 상기 소비시설(200)의 소비 전력을 분석하는 분석부(420); 상기 분석부(420)에 형성되며, 상기 거주유닛(100)에 거주자가 생활하는 것과 동일한 변수를 적용하는 변수적용부(4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거주유닛(100); 소비시설(200); 측정서버(300); 제어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어부(410)에 형성되며, 상기 소비시설(200)의 전원 및 전력량을 조절하는 제 1컨트롤러(411); 상기 거주유닛(100)의 창 및 문을 개폐하며, 단열을 제어하는 제 2컨트롤러(41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거주유닛(100); 소비시설(200); 측정서버(300); 제어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분석부(420)에 형성되며, 시간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는 시간분석부(421); 상기 시간분석부(421)에 형성되며, 에너지 소비량을 저장하는 저장부(422); 상기 저장부(422)에 형성되며, 기상청의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423);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거주유닛(100); 소비시설(200); 측정서버(300); 제어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어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410)에서 제어되는 소비시설(200) 및 상기 분석부(420)에서 분석한 소비 전력을 표출하는 표출부(4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거주유닛(100); 소비시설(200); 측정서버(300); 제어서버(4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변수적용부(430)는 상기 거주유닛(100)에 거주하는 복수의 거주자에 대한 에너지 소비습관을 적용하는 것;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거주자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과 관련된 변수를 적용하여 거주자가 거주하는 환경과 동일한 무인 거주유닛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주자가 거주하는 환경을 조성한 무인 거주유닛에 의하여 다양한 거주자가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량과 동일한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IOT 기능 가전기기의 추가, 변경, 제어 및 스케쥴링을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인 거주환경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함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법을 연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 온습도 계측 및 모니터링 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이 설치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서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컨트롤러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있어서, 무인거주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가 발현하는 거주 환경을 조성하는 거주유닛(100); 상기 거주유닛(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소비시설(200); 복수의 상기 소비시설(200)에 형성되며,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서버(300); 상기 소비시설(200) 및 상기 측정서버(300)를 제어하며, 수요 소비 전력을 예측하는 제어서버(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거주유닛(100)은 거주자가 거주할 수 있는 단독주택, 연구시설, 공동주택의 세대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거주유닛(100)은 방, 거실, 욕실, 주방, 발코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거주유닛(100)은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는 무인 거주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소비시설(200)은 상기 거주유닛(100)에 거주자가 거주하는 것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거주자가 생활하지 는 연구시설, 주택에서 거주자의 다양한 생활패턴을 구현하고 전력소비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연구의 일환으로 실제 거주자가 거주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주택 등에서 신재생 에너지 및 신규 에너지원 등의 공급방안을 설정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형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거주자가 거주하는 환경을 조성함에 따라 가전기기의 전력 소비량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거주자가 상시 거주할 수 없으므로 거주자가 거주하는 것과 동일한 환경의 거주유닛(100)이 형성되며, 거주유닛(100)은 단독주택, 연구시설에 설치된 연구주택,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등의 세대에 형성되며, 거주유닛(100)에 설치되는 소비시설(200)은 전력, 열, 급수 시설로 형성되어 거주자가 거주하는 것과 동일한 환경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소비시설(200)은 측정서버(300)에 의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거주유닛(100)의 방, 거실, 욕실, 주방, 발코니 등 위치에 따라 소비시설(200)이 다르게 설치되므로 측정서버(300) 또한 소비시설(200)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거주유닛(100)에 소비시설(200)과 측정서버(300)가 설치되면 제어서버(400)에서 각각의 소비시설(200)과 측정서버(300)를 제어하며, 이때, 제어서버(400)는 거주자가 거주하지 않으나 거주자가 거주하는 환경과 동일하게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과 관련된 변수를 적용하여 소비시설(200)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무인으로 형성되나 다양한 생활 습관을 가지는 거주자의 정보를 적용하여 거주유닛(100)의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함에 따라 다양한 거주유닛(100)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공급량, 공급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소비시설(200)에 형성되며, 상기 거주유닛(100)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력장치(210); 상기 거주유닛(100)의 열을 소비하는 난방장치(220); 상기 거주유닛(100)의 물을 소비하는 급수설비장치(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전력장치(210)는 전력이 끊기지 않고 공급되어야 하는 제 1전력장치(210); 거주자가 사용할 때만 전력이 공급되는 제 2전력장치(21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력장치(210)는 냉장고, 김치냉장고, 비상조명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제 2전력장치(210)는 조명, TV, PC, 청소기, 건조기, 세탁기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난방장치(220)는 보일러, 급탕장치, 난방기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비시설(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소비시설(200)은 거주유닛(100)의 에너지 소비시설(200)로 형성되며, 전기기기, 난방기기, 급수장치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소비시설(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자가 거주하는 환경과 동일하게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으로 거주유닛(100)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력장치(210)와 열을 소비하는 난방장치(220)와 물을 소비하는 급수설비장치(230)로 형성된다. 이때, 전력장치(210)는 냉장고, 김치냉장고, 비상조명과 같은 비상장치 등의 전력이 상시 공급되어야 하는 제 1전력장치(210)와 거주자가 필요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하여야 하는 조명, TV, PC, 청소기, 건조기, 세탁기 등의 제 2전력장치(210)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전력장치(210)와 제 2전력장치(210)는 다양한 생활 습관을 가지는 복수의 거주자에 따라 추가 및 삭제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력장치(210)의 소비량은 거주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난방장치(220)는 거주유닛(100)의 내부 난방시설로 보일러, 급탕장치,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난방기구 등으로 형성되며, 난방장치(220)를 통해 열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거주유닛(100)의 물을 소비하는 급수설비장치(230)는 급수수전기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물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비시설(200)은 거주유닛(100)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기기로 거주자의 생활습관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측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전력장치(210)와 연결되어 전력 소비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310); 상기 난방장치(220)와 상기 급수설비장치(230)와 연결되며, 열 소비량을 측정하는 난방측정부(320); 상기 거주유닛(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측정부(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전력측정부(310)는 각각의 전력장치(210)에 결합되는 전력측정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측정부(330)는 상기 거주유닛(100)에 형성되며,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측정서버(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측정서버(300)는 소비시설(200)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서버(300)는 복수의 전력장치(210)에 각각 연결되어 전력 소비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센서로 형성되거나 전기계량기와 연동하여 전력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서버(300)는 열 소비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일러, 급탕장치와 연동하거나 보일러를 구동시키는 열원인 가스, 석유, 등유의 소비량을 측정하고, 수도계량기와 연동하여 물의 소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온습도측정부(330)는 거주유닛(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온도계, 습도계 등의 측정센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력측정부(310)와 난방측정부(320)와 온습도측정부(330)는 측정서버(300)를 통해 통신하여 제어서버(400)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소비시설(200) 및 상기 측정서버(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10); 상기 소비시설(200)의 소비 전력을 분석하는 분석부(420); 상기 분석부(420)에 형성되며, 상기 거주유닛(100)에 거주자가 생활하는 것과 동일한 변수를 적용하는 변수적용부(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410)에서 제어되는 소비시설(200) 및 상기 분석부(420)에서 분석한 소비 전력을 표출하는 표출부(4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서버(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어서버(400)는 측정서버(300)에서 수신받은 측정값으로 소비 전력을 분석하여 소비시설(200)을 제어하거나 거주유닛(100)으로 에너지 공급량 및 공급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서버(400)는 도 4를 참조하면, 거주유닛(100)의 외부에 형성되며, 거주유닛(100)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분석함과 동시에 다양한 거주자의 생활 습관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에너지원에 따른 거주유닛(100)의 에너지 소비 습관을 판단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410)에서 제어되는 소비시설(200) 및 측정서버(300)는 표출부(440)에 표출되어 관리자 및 거주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분석부(420)에서 분석되는 소비 전력이 표출되어 관리자 및 거주자가 사전에 에너지 소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표출부(440)를 통해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과 관련된 변수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10)에 형성되며, 상기 소비시설(200)의 전원 및 전력량을 조절하는 제 1컨트롤러(411); 상기 거주유닛(100)의 창 및 문을 개폐하며, 단열을 제어하는 제 2컨트롤러(412);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10)는 사물인터넷(IoT)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 1컨트롤러(411)는 거주자의 생활 습관에 따라 전력량 및 전원을 제어하는 스마트 플러그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 2컨트롤러(412)는 창이나 문에 각각 설치되며, 동력에 의하여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41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제어부(410)는 소비시설(200)에 각각 연결되어 전원 및 전력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개폐됨에 따라 에너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410)는 도 5를 참조하면, 소비시설(200)의 전원 및 전력량을 조절하는 제 1컨트롤러(411)가 형성되며, 제 1컨트롤러(411)는 스마트 플러그로 형성되어 시간, 거주자의 수, 거주자의 생활 습관 등에 따라 각각의 전력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컨트롤러(411)는 외부에서 무선으로 PC, 단말기 등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거주자의 의도에 따라 전력 소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컨트롤러(412)는 에너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창이나 문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창이나 문을 개폐시킴에 따라 열 에너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외부 환경에 의하여 내부의 온도가 변경되어 전력장치(210)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420)에 형성되며, 시간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는 시간분석부(421); 상기 시간분석부(421)에 형성되며, 에너지 소비량을 저장하는 저장부(422); 상기 저장부(422)에 형성되며, 기상청의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4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석부(42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분석부(420)는 시간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여 에너지 공급량 및 공급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부(420)는 무인으로 형성되는 거주유닛(100)에 다양한 생활 습관을 가지는 거주자가 거주한다는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과 관련된 변수를 반영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생활 습관을 가지는 거주자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분석됨에 따라 소비시설(200)의 종류, 추가, 확대, 용량 등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주유닛(100)으로 공급되는 전력량, 가스량, 수도량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분석부(421)는 분, 시, 일, 원, 년 등 다양한 시간대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에너지 소비량을 판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에너지 소비량은 저장부(422)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부(422)에서는 측정서버(300)에서 측정한 정보와 함께 저장되는 것으로 이를 활용하여 빅데이터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저장부(422)는 기상청의 정보를 수신받아 외부 환경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변화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변수적용부(430)는 상기 거주유닛(100)에 거주하는 복수의 거주자에 대한 에너지 소비습관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은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변수는 거주자의 생활 습관, 외부 환경, 거주자의 수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변수적용부(4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변수적용부(430)는 무인으로 형성되는 거주유닛(100)에 거주자가 거주하고 있다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변수를 적용시킨다. 이러한 변수적용부(430)에서 적용하는 변수는 다양한 거주자의 생활 습관, 외부 환경, 거주자의 수 등 다양하게 형성되며, 거주자의 생활 습관은 거주자의 나이, 성별, 직업, 취미 등 다양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거주자 중 요리를 좋아하는 사람은 요리를 함에 따라 주방기기 및 온도 상승에 따른 냉방기기의 사용이 많아지고, 취미가 게임이나 TV 시청일 경우 TV나 PC의 전력 소비량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변수적용부(430)에서는 분석부(420)에서 전력 소비량을 분석할 때 변수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소비시설(200)과 자주 사용되지 않는 소비시설(200)을 구분하여 전력 소비량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변수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소비시설(200)은 자주 사용되지 않는 소비시설(200)보다 소비량을 높게 반영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100: 거주유닛 200: 소비시설
210: 전력장치 220: 난방장치
230: 급수설비장치 300: 측정서버
310: 전력측정부 320: 난방측정부
330: 온습도측정부 400: 제어서버
410: 제어부 411: 제 1컨트롤러
412: 제 2컨트롤러 420: 분석부
421: 시간분석부 422: 저장부
423: 수신부 430: 변수적용부
440: 표출부

Claims (9)

  1. 무인거주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에 있어서,
    에너지 소비가 발현하는 거주 환경을 조성하는 거주유닛(100);
    상기 거주유닛(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 소비시설(200);
    복수의 상기 소비시설(200)에 형성되며, 소비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서버(300);
    상기 소비시설(200) 및 상기 측정서버(300)를 제어하며, 수요 소비 전력을 분석하는 제어서버(400);를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주유닛(100)은 거주자가 거주할 수 있는 단독주택, 연구시설, 공동주택의 세대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비시설(200)에 형성되며, 상기 거주유닛(100)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력장치(210);
    상기 거주유닛(100)의 열을 소비하는 난방장치(220);
    상기 거주유닛(100)의 물을 소비하는 급수설비장치(230);를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정서버(300)에 형성되며, 상기 전력장치(210)와 연결되어 전력 소비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310);
    상기 난방장치(220)와 상기 급수설비장치(230)와 연결되며, 열 소비량을 측정하는 난방측정부(320);
    상기 거주유닛(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측정부(330);를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소비시설(200) 및 상기 측정서버(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10);
    상기 소비시설(200)의 소비 전력을 분석하는 분석부(420);
    상기 분석부(420)에 형성되며, 상기 거주유닛(100)에 거주자가 생활하는 것과 동일한 변수를 적용하는 변수적용부(430);를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10)에 형성되며, 상기 소비시설(200)의 전원 및 전력량을 조절하는 제 1컨트롤러(411);
    상기 거주유닛(100)의 창 및 문을 개폐하며, 단열을 제어하는 제 2컨트롤러(412);를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420)에 형성되며, 시간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는 시간분석부(421);
    상기 시간분석부(421)에 형성되며, 에너지 소비량을 저장하는 저장부(422);
    상기 저장부(422)에 형성되며, 기상청의 정보를 수신받는 수신부(423);를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400)에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410)에서 제어되는 소비시설(200) 및 상기 분석부(420)에서 분석한 소비 전력을 표출하는 표출부(440);를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수적용부(430)는 상기 거주유닛(100)에 거주하는 복수의 거주자에 대한 에너지 소비습관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너지 수요 발생시스템.
KR1020210135663A 2021-10-13 2021-10-13 에너지 수요 발생 시스템 KR20230052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663A KR20230052519A (ko) 2021-10-13 2021-10-13 에너지 수요 발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663A KR20230052519A (ko) 2021-10-13 2021-10-13 에너지 수요 발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519A true KR20230052519A (ko) 2023-04-20

Family

ID=86143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663A KR20230052519A (ko) 2021-10-13 2021-10-13 에너지 수요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251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153B1 (ko) 2011-12-29 2012-08-07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건물의 에너지 수요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53452A (ko) 2016-11-11 2018-05-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수요 예측 방법, 분산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3976A (ko) 2017-10-19 2019-04-29 광주과학기술원 에너지 수요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76784B1 (ko) 2018-10-10 2019-08-2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데이터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비주거 건축물에서의 연간, 월간 에너지용도별 사용량 추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153B1 (ko) 2011-12-29 2012-08-07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건물의 에너지 수요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53452A (ko) 2016-11-11 2018-05-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 수요 예측 방법, 분산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43976A (ko) 2017-10-19 2019-04-29 광주과학기술원 에너지 수요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76784B1 (ko) 2018-10-10 2019-08-2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데이터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비주거 건축물에서의 연간, 월간 에너지용도별 사용량 추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g et al. Quantitative description and simulation of human behavior in residential buildings
Yoshino et al. IEA EBC annex 53: Total energy use in buildings—Analysis and evaluation methods
Stazi et al. A literature review on driving factors and contextual events influencing occupants' behaviours in buildings
Pombeiro et al. Dynamic programming and genetic algorithms to control an HVAC system: Maximizing thermal comfort and minimizing cost with PV production and storage
CN106817909A (zh) 空调控制方法、空调控制装置以及空调控制程序
Nord et al. Influence of occupant behavior and operation on performance of a residential Zero Emission Building in Norway
US201901208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ccupancy of a building using a tracer gas concentration monitoring device
Mendez et al. Empowering saving energy at home through serious games on thermostat interfaces
Alsharif et al. A review of building parameters’ roles in conserving energy versus maintaining comfort
Vandenbogaerde et al. Optimiz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in office buildings: A review of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and factors influencing energy savings
Li et al. Integrated building envelop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owards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based on operation data
Lakshmanan et al. Energy shift estimation of demand response activation on refrigerators—A field test study
Lyu et al. Seasonal variation of residential cooling use behaviour derived from energy demand data and stochastic building energy simulation
Hernández et al. Impact of zoning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s in users comfort and energy efficiency in residential buildings
KR20230052519A (ko) 에너지 수요 발생 시스템
Sharmin et al. A user-centric space heating energy management framework for multi-family residential facilities based on occupant pattern prediction modeling
Ferrà Detailed energy and comfort simulation of integral refurbishment of existing buildings in Catalonia
Pereira et al. Intelligent Residential Buildings and the Behaviour of the Occupants: State of the Art
Mehrfeld Evaluation of heat pump systems under dynamic operating conditions
Tabatabaei A data analysis approach for diagnosing malfunctioning in domestic space heating
Cosar-Jorda A socio-technical evaluation of the impact of energy demand reduction measures in family homes
KR20180028816A (ko) 에너지시뮬레이션모델 생성방법 및 생성장치, 그리고, 에너지시뮬레이션모델을 이용한 건물에너지관리방법 및 건물에너지관리장치
Aldakheel et al.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evaluation of smart/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in buildings–a review
Penkala Occupant behaviour vs energy consumption in a residential building
Salim Assessing the effect of people's behaviour on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