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306A - 필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필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306A
KR20230052306A KR1020237010839A KR20237010839A KR20230052306A KR 20230052306 A KR20230052306 A KR 20230052306A KR 1020237010839 A KR1020237010839 A KR 1020237010839A KR 20237010839 A KR20237010839 A KR 20237010839A KR 20230052306 A KR20230052306 A KR 20230052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cartridge
wall
convex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르트 발러스토르퍼
Original Assignee
어클라리스 워터 이노베이션즈 게엠베하, 린다우, 츠바이크니더라쑹 렙슈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클라리스 워터 이노베이션즈 게엠베하, 린다우, 츠바이크니더라쑹 렙슈타인 filed Critical 어클라리스 워터 이노베이션즈 게엠베하, 린다우, 츠바이크니더라쑹 렙슈타인
Publication of KR2023005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6Filtering elements with a vertical rotation or symmetry axis mounted on tanks or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A47J31/605Wate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9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46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46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 B01D2201/4053Means for avoiding false mounting of different parts using key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Retarder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 제품용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이 필터 카트리지는 그 벽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를 분리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필터 카트리지의 동작 중에 필터 하우징의 외부 주변부로 개방되어 있는 필터 입구 개구가 제공되고, 물을 유도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필터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이 디바이스는 동작 중에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필터 입구 개구를 따르고, 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매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챔버를 포함하고 필터 카트리지로부터 물의 추출을 위해 필터 출구 개구에서 종료하고, 환형 필터 연결편을 갖는 필터 연결 요소가 제공되고, 이 필터 연결편은 물 탱크 내의 탱크 체결 표면으로의 필터 카트리지의 기밀 연결을 위한 환형 필터 체결 표면을 갖는다. 필터 카트리지는 환형 필터 연결편의 주연부를 따른 제1 필터 체결 표면의 프로파일이 중심축에 대해 가변 반경을 가져, 제1 필터 체결 표면이 반경방향 돌출부 및/또는 반경방향 오목부를 포함하게 되고,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는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카트리지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필터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의도된 용례에 따라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물 탱크가 있는 물-보유(water-carrying) 가전 제품, 특히 커피 머신(coffee machines), 티 머신(tea machines) 등과 같은 음료 기계(beverage machines)에 사용된다. 이온 교환 수지와 같은 연수화(water softening)를 위한 또는 활성탄과 같은 맛을 개선하기 위한 필터 매체가 이러한 필터 카트리지에 종종 사용된다. 예를 들어, 미네랄 또는 비타민 등의 첨가와 같은, 건강 또는 맛 개선을 위한 첨가제의 계량 첨가는 이미 필터 매체와 조합하여 제공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 유형의 기계의 물 탱크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물 탱크용으로 제공되는 필터 카트리지의 필터 연결 요소의 기밀 연결을 위한 환형 탱크 밀봉면을 갖는 탱크 저부에 탱크 연결 요소를 갖는데, 이는 물이 필터 카트리지와 물 탱크로부터 가전 제품으로 유동하게 하기 위한 탱크 저부 내의 탱크 통로 개구를 에워싼다.
이러한 물 탱크 및 필터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공보 DE 10 2004 050 877 A1, EP 1 867 626 A1 및 DE 197 17 056 C2에 설명되어 있다.
부적합한 필터 카트리지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탱크 연결 요소는 미리 코딩 요소가 제공되어 있어 이들 코딩 요소와 정합하는 필터 카트리지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공보 EP 2 433 906 B1, EP 2 065 972 B1, EP 2 050 220 B1, EP 2 050 221 B1 및 EP 2 050 218 B1에 개시되어 있는 특정 실시예에서, 밀봉부 및 탱크 밀봉면의 다각형 형상이 또한 코딩을 위해 사용되어, 밀봉 기능과 별도로 부가의 코딩 및 고정 기능이 또한 밀봉부 자체에 의해 수행되게 된다.
이들 실시예는 각형 윤곽이 코너로 고정 기능을 제한하고 동시에 둥근 윤곽에 비교하여 밀봉 기능이 더 어렵게 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된 단점이 회피되고 필터 카트리지의 고정이 개선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필터 카트리지를 개선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로부터 진행하여, 이 목적은 특징적인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필터 카트리지에 할당될 요소는 일반적으로 "필터"로 시작하는 할당 단어를 구비하고 물 탱크에 할당될 요소는 "탱크"로 시작하는 할당 단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예의 특징은 필수는 아니지만 존재할 수도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이하에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는 그 벽이 하우징 외부측으로부터 하우징 내부측을 분리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개방형 필터 입구 개구가 임의의 추가의 연결 요소 없이 급수부로부터 물이 진입되게 하기 위해 제공되고, 이는 이에 따라 물 탱크 내에 사용될 때, 필터 카트리지의 동작 위치에서 탱크 내부에 연결된다. 동작 중에 유동의 방향에 대해 필터 입구 개구의 하류에, 물 유도를 위한 디바이스가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제공되고, 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매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챔버를 포함하고 필터 카트리지로부터 물을 흡입하기 위해 필터 출구 개구에서 종료된다. 필터 연결 요소는 탱크 기단 탱크 고정면에 대한 고정을 위한 환형 필터 고정면을 갖는 환형 필터 포트를 구비한다.
이 설계 실시예의 결과로서, 이러한 필터 카트리지는 그 하우징이 내압 연결부를 갖는 수도망의 수도관에 기밀하게 연결되고 따라서 수도망에 통합되는 필터 디바이스의 필터 카트리지와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는 필터 고정면을 구비하고, 환형 필터 포트의 원주를 따른 그 프로파일은 중심축에 관련하여 가변 반경을 가져, 필터 고정면이 반경방향 볼록부 및/또는 반경방향 오목부를 포함하게 되고,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둥근 프로파일을 가져, 코너 또는 에지가 회피되게 된다.
그 결과, 고정 기능이 개선되고 코딩을 위한 추가의 가능성이 있다. 필터 고정면의 이 형상은 탱크 고정면의 대응 형상과 정합하고, 곡률은 원주의 프로파일에 걸쳐 외부측으로부터 내부측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변화하여 고정된 탱크 기단 접촉 표면 상으로 형상이 적응되지 않는 밀봉부를 클램핑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하거나 완전히 불가능하게 한다.
필터 고정면의 본 발명에 따른 형상은, 반경방향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환형 스프링의 형상을 구성하고, 환형 스프링의 원주가 탄성적으로 팽창 또는 압축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터 고정면의 영역에서 필터 포트의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가변 반경에 의해 용이하게 되는 이러한 변형의 결과로서, 예를 들어 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과 비교하여, 기계적 클램핑 및 따라서 고정의 견지에서 개선이 가능하다.
이 필터 고정면은 유리하게는 동시에 필터 밀봉면으로서 제공된다. 여기서 환형 스프링의 스프링 효과는 또한 필터 밀봉면이 스프링 압력의 결과로서 연관 탱크 밀봉면에 대해 평탄하게 가압되기 때문에, 밀봉 작용을 개선시킨다. 코너 또는 에지가 또한 필터 고정면의 설명된 형상에 의해 회피되기 때문에, 이 형상은 또한 탄성 효과에 추가하여 밀봉 기능을 개선시킨다.
필터 고정면의 탄성 변형성은 필터 고정면의 영역에서 필터 고정면을 갖는 필터 연결 요소의 환형 필터 포트가 서로 평행하거나 기울어지게 연장하는 벽 내부측 및 벽 외부측을 갖는 환형 벽을 갖는다는 점에서 개선될 수 있다. 커넥터가 탱크 고정면 상에 압박되는지 탱크 고정면 내에 플러깅되는지 여부에 따라, 환형 벽의 벽 외부측 및/또는 벽 내부측은 필터 고정면을 포함하거나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필터 고정면에 대향하는 벽의 측면은 대응적으로 더 크거나 더 작은 원주를 갖는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 벽은 전체적으로 환형 스프링으로서 구성된다. 환형 벽은 이어서 평행하거나 상호 기울어진 원주방향 측면을 갖는 환형 스프링을 형성한다.
더욱이, 필터 연결 요소의 환형 필터 포트는 수직에 관련하여 경사진 외부 및/또는 내부 벽을 가질 수 있어, 필터 카트리지의 동작 위치의 견지에서 외부 벽과 내부 벽은 상부로부터 저부를 향해 수렴하게 된다. 이는 정합하는 형상의 2개의 탱크 기단 면 사이의 간극 내로의 포트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 보조부를 생성하고, 탱크 기단 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및/또는 외부 탱크 밀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진 외부 벽은 외부 필터 고정면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경사진 내부 벽은 대응 탱크 밀봉면과의 고정 및 선택적으로 밀봉 형태 맞춤을 설정하기 위해 내부 필터 고정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필터 고정면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배열은 원주에 걸쳐 회전 대칭성이 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설치 위치에서 필터 카트리지의 더 안정한 고정 및 밀봉을 갖고 원주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된 환형 스프링의 복원력을 야기한다.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원형 라인 주위에서 주기적으로 진동하도록 구성될 때 필터 고정면의 회전 대칭 구성이 생성된다. 이는 필터 카트리지의 상이한 각도 위치를 허용하여, 필터 카트리지를 연결하는 것을 더 쉽게 한다. 게다가, 다른 기술적 기능이 또한 각도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설치 위치에서 필터 카트리지의 더 안정한 고정은, 필터 고정면의 볼록부 및 오목부의 배열이 원주에 걸쳐 동일한 각도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따라서, 이 방식으로 형성된 환형 스프링은 볼록부의 영역 및 오목부의 영역의 모두에서 원주에 걸쳐 균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필터 고정면의 볼록부 및 오목부는 원형 라인을 따라 파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파형 형상은 볼록부를 형성하는 볼록 원호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 원호의 교번 시퀀스로 구성된다. 반경방향 지향 스프링 효과는 원형 라인을 따르는 프로파일로부터 발생한다.
오목 및 볼록 원호가 오목 및 볼록 곡률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전환점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면 환형 스프링의 스프링 작용이 더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볼록 원호의 호 길이는 오목 원호의 호 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볼록 원호의 스윕 각도는 오목 원호의 스윕 각도보다 크다. 그 결과, 곡선 사이의 접선 방향 전이부는 환형 스프링의 중앙 원과 관련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변형 중에 전이부에서 반경방향 내향 또는 외향 지향 힘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볼록 및 오목 원호는 동일한 세그먼트 반경을 갖는다. 이는 변형 중에 세그먼트 내에서 비슷한 힘 분포를 야기한다.
원호는 볼록 및 오목 원호가 외부 포락선 원 내부 및 내부 포락선 원 외부에 놓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볼록 원호의 원 중심은 내부 포락선 원 내에 놓이고 오목 원 중심의 원 중심은 외부 포락선 원 외부에 놓인다. 이 형상은 포락선 원 사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포락선 원 또는 원호와 관련하여 평탄한 프로파일을 야기하고, 그 결과 환형 스프링의 확장 또는 수축이 용이해진다.
내부 포락선 원의 반경이 외부 포락선 원의 반경의 5% 내지 15% 사이일 때 양호한 기능이 나타났다.
더욱이, 볼록 및/또는 오목 원호의 반경이 외부 포락선 원의 반경의 20% 내지 35%이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스프링 링의 스프링 효과는 그에 대해 평행하거나 기울어지게 연장하는 벽의 외부측과 벽의 내부측 사이의 벽 두께가 외부 포락선 원의 반경의 7% 내지 10%일 때 더 상쇄된다.
게다가, 프로파일은 오목 및 볼록 원호의 곡률 사이의 전환점이 외부 포락선 원보다 내부 포락선 원에 더 가까울 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터 고정면은 필터 출구 개구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하여 지향하는 필터 연결 요소의 환형 필터 포트의 외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포트는, 변화하는 원주방향 곡률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고정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응 반경방향 내향 지향 탱크 고정면을 갖는 물 탱크 상의 개구 내에 삽입될 때 본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외향으로 탄성 접촉 압력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대응 반경방향 외향 지향 탱크 고정면을 갖는 물 탱크 상의 탱크 커넥터 상에 플러깅될 때, 원하는 고정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반경방향 내향 지향 필터 고정면에 의해 본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내향으로 탄성 접촉 압력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필터 고정면은 필터 포트의 내부측 및 외부측의 모두에 제공되고, 이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동시에 필터 밀봉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필터 포트는 탱크 상의 환형 슬롯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그 각각의 측벽은 탱크 고정면 및/또는 탱크 밀봉면을 형성한다.
엘라스토머 밀봉부를 사용하는 관점에서, 필터 고정면을 갖는 필터 연결 요소의 환형 필터 포트가 적어도 필터 밀봉면으로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 고정면의 영역에서, 동작 온도에서 엘라스토머에 비교하여 더 치수적으로 안정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강도의 결과로서, 필터 고정면에 의한 필터 카트리지의 필터 포트는 한편으로는, 필터 카트리지의 단단히 인장된 끼워맞춤을 설정하기 위해, 탱크 기단 탱크 고정면 상에 탄성 접촉 압력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남아 있다. 이러한 고정은 예를 들어, 필터 포트의 내부 및/또는 외부측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필터 포트는 또한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부가 필터 밀봉면을 형성하는 필터 고정면에 꼭 맞는 기밀 끼워맞춤부를 갖도록 물 탱크 측면의 탱크 기단 엘라스토머 밀봉부를 즉시 변형시킬 수 있다. 이 변형은 마찬가지로 필터 포트의 내부 및/또는 외부측에서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한 엘라스토머 밀봉부가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될 수 있거나, 상기 엘라스토머 밀봉부가 필터 포트가 그 내로 도입될 수 있는 환형 슬롯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 밀봉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고정 기능 및 밀봉 기능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이 또한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또한 밸브 기능 등과 같은 유압 기능일 수 있다.
탱크 밀봉면과 함께 필터 밀봉면의 밀봉 효과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코너 또는 에지가 회피되도록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개선된다.
예를 들어, 6개의 볼록부와 6개의 오목부가 3 c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원형 라인을 따라 제공될 때, 매우 양호하게 작동하는 배열이 발견되었다.
필터 카트리지의 필터 입구 개구는 필터 포트 외부에 환형 스크린 개구로서 구성될 수 있고, 그 결과 물 탱크 내의 필터 카트리지가 그 내부에 수용된 물에 대해 개방된다.
물 탱크 기단 센터링 요소를 안내하고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체가 필터 포트 내에 제공되면 필터 카트리지가 개선된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는 연관 물 탱크 내에 삽입될 때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이 정렬 상태에서 동작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구조체가 축방향으로, 즉, 중심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을 갖는 경우, 물 탱크 상에 센터링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를 수용하기 위해, 필터 카트리지는 물 탱크 내에 삽입될 때, 이 가이드 구조체를 통해 그리고 연관 물 탱크 기단 센터링 요소와 상호 작용시에, 적어도 하나의 각도 위치 내로 안내되고 부가적으로 축방향 이동에 의해 거기에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각도 위치에서 안내 및 고정을 제공하기 위해, 가이드 구조체는 이 목적을 위해 원주 주위에 분포된 다수의 가이드 홈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의 벽은 가이드 홈의 폭이 동작 위치에 관련하여 저부로부터 상부로 테이퍼지는 이 방식으로 둥글게 될 때 원하는 각도 위치 내로의 필터 카트리지의 양호한 안내가 얻어진다. 홈의 폭이 내부측으로부터 외부로 반경방향으로 테이퍼지는 이러한 방식으로 가이드 홈의 벽이 둥글게 되는 경우 필터 카트리지의 안내가 또한 개선될 수 있다. 2개의 테이퍼 홈 형상의 조합은 이러한 홈에 진입하는 물 탱크 기단 센터링 요소의 리브에 대한 일 유형의 깔때기 효과를 야기한다.
언급된 홈 형상은 예를 들어, 가이드 홈을 연결하는 가이드 구조체의 벽 내의 내부 곡률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삽입된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된 탱크 저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센터링 요소 및 체결 링을 갖는 탱크 저부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설치된 센터링 요소 및 설치된 체결 링을 갖는 도 2에 따른 탱크 저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탱크 저부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측면으로부터 본 필터 카트리지의 연결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본 필터 카트리지의 연결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탱크 저부 내에 삽입된, 필터 포트의 레벨에서 절결 개방된 필터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탱크 저부 내에 삽입된, 가이드 홈의 레벨에서 절결 개방된 필터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탱크 저부 내에 삽입된 필터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센터링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물 탱크 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필터 카트리지를 갖지 않는 탱크 저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탱크 밀봉부에서 폐쇄 가능한 바이패스 라인을 시각화하기 위해 도 11로부터의 2개의 확대된 단편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삽입된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도 11에 따른 탱크 저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는 폐쇄된 바이패스 라인을 시각화하기 위한 도 12로부터의 확대된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포트의 개략 단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는 도 13으로부터의 단편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커넥터 상의 경사부에 의한 안내 보조부를 예시하기 위해 연결 영역을 나타내는 필터 카트리지의 단편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커피 머신,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동 커피 머신과 같은 음료 기계의 물 탱크(1)의 일반적인 구성을 시각화한다. 물 탱크(1)는 탱크 저부(2)와 부분적으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물 탱크 측벽(3)을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5)을 갖는 필터 카트리지(4)가 물 탱크(1) 내에 삽입된다. 탱크 저부(2)와 필터 카트리지(4) 사이의 연결은 물 탱크 상의 탱크 연결 요소(6)와 필터 상의 필터 연결 요소(7)를 통해 실현된다.
필터 카트리지(4)는 물 탱크(1)의 내부(8)에 위치되는데, 즉, 동작 중에, 이는 물 탱크(1) 내에 저장된 물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직립되어 있다. 물 탱크(1)를 음료 기계(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한 물 탱크(1)의 필터 포트(9)가 물 탱크(1)의 하부측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2에는 탱크 저부(2)의 둥근 단편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체결 링(10) 및 탱크 저부(2)의 오목부(12) 내에 삽입을 위한 센터링 요소(11)가 제공되어 있다. O-링으로서 구성된 밀봉부(14)를 갖는 탱크 밸브 본체(13)가 마찬가지로 도 2에서 볼 수 있고, 탱크 밸브 본체로부터 2개의 핀(15)이 상향 돌출한다. 체결 링(10)은 또한 엘라스토머 밀봉부(16)를 갖는다.
도 3 및 도 4에서, 체결 링(10)과 센터링 요소(11)는 탱크 저부(2)에 설치된다. 여기서 핀(15)이 센터링 요소를 통과할 수 있고 따라서 물 탱크가 삽입될 때 탱크 밸브 본체(13)가 작동되어야 하는 연관 기계 연결과 관련하여 물 탱크를 코딩하기 위한 코딩 요소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 탱크 밀봉부(17)를 형성하는 엘라스토머 밀봉부(16)가 중심축(A)에 관련하여 그 원주를 따라 가변 반경(R)을 갖는 환형 밀봉부이므로, 탱크 밀봉면(18)을 형성하는 물 탱크 밀봉부(17)의 내부면이 반경방향 오목부(19) 및 반경방향 볼록부(20)를 포함하게 된다는 것이 또한 도 4에 명확하게 가시화되어 있다. 제1 탱크 밀봉면(18)은 동시에 제1 탱크 고정면으로서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적합한 필터 카트리지(22)의 연결 영역(21)이 도시되어 있다. 필터 포트(23)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25) 및 오목부(26)를 갖는 외부 링(24)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링을 형성한다. 내부 링(23)과 외부 링(24) 사이에는 물이 그를 통해 필터 카트리지로 진입하는 환형 입구 스크린(27)이 있다. 필터 포트(23)의 외부면(28) 및 내부면(68)은 또한 탱크 밀봉면(18)과 정합하도록 볼록부(29) 및 오목부(30)를 구비한다. 필터 포트(23)의 외부면(28) 및/또는 내부면(68)은 동시에 필터 고정면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의 도면에서, 전술된 필터 카트리지(22)의 연결 영역(21)의 부분에 추가하여, 센터링 요소(11)를 수용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22)의 가이드 구조체(31)의 특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구조체는 다각형 링(34)의 에지(33)와 정렬되는 가이드 홈(32)을 갖는데, 본 예에서는 육각형 링의 6개의 에지와 정렬되는 6개의 가이드 홈을 갖는다. 도 7에 따라 위로부터의 뷰를 갖는 본 단면도에서, 단면 평면은 이 다각형 링(34)을 관통한다.
에지(33)와 가이드 홈(32) 사이에 있는 내부 곡률(35)은 필터 카트리지의 내부 내로 상향 인접한다. 내부 곡률(35)은 가이드 홈(32)의 측벽(36)을 형성한다. 이 아치형 형상으로 인해, 가이드 홈(32)의 벽(36)은 상향 축방향으로(동작 위치에 대해) 그리고 내부로부터 외부로 반경방향으로 테이퍼진다. 교차점에서, 도 8에 따라 위에서 볼 때, 단면 평면은 가이드 홈(32)이 명확하게 구성되는 높이에서 연장한다. 라이저 파이프(37)가 내부측 상에 중앙에 연결되고, 이를 통해 필터 카트리지(22)로 진입하는 물이 필터 섹션으로 상향으로 지향된다.
도 9에는 전체 필터 카트리지(22)가 도시되어 있다. 필터 하우징(37)에서, 이는 선택적 측방향 계량 개구(38)와 설명된 저부에 물 연결부를 갖는다. 선택적 계량 개구(38)는 필터 하우징(37) 내에 수용된 계량 챔버로부터 물 저장조 내로 첨가제, 예를 들어 미네랄, 비타민 등을 분배하기 위해 구성된 필터 카트리지의 실시예의 경우에만 제공된다. 이러한 계량 챔버는 필터 섹션에 대해 필터 하우징(37) 내에서 폐쇄되기 때문에, 여과와 관련하여 더 이상 의미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는 또한 이 계량 챔버 및 그 계량 개구(38)를 갖지 않고 즉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동작 위치는 이 설명에서 상기 및 이하의 언급이 관련되는 도 9에서 볼 수 있다.
센터링 요소(11)의 사시도는 도 10에서 볼 수 있다. 센터링 요소는, 설치 상태에서, 엘라스토머 밀봉부의 리셉터클에 놓이고 후방으로부터 상기 리셉터클과 주연에서 맞물리는 저부판(39)을 구비한다. 센터링 맨드릴(40)은 저부판(39)으로부터 상향 돌출하고 제2 탱크 고정면을 또한 형성하는 환형 외부면(41)을 갖는다. 이 외부면(41)은 중심축(A)에 관련하여 원주를 따라 변하는 반경을 가져, 이 외부면(41)은 또한 반경방향 오목부(42) 및 볼록부(43)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면(41)은 필터 포트(9)의 대응 형상에 적응된다.
추가 적응을 위해, 이 외부면(41)의 오목부(42) 및 볼록부(43)는 또한 원형 라인 주위에서 주기적으로 진동하도록 구성되고,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필터 카트리지(22)의 예시된 실시예의 설계에 대응하여, 6개의 오목부(42) 및 6개의 볼록부(43)가 3 c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원형 라인을 따라 제공된다. 상이한 필터 카트리지에서, 외부면(41) 또는 제2 탱크 고정면의 적응은 이에 따라 수정되어야 한다.
센터링 맨드릴(11)의 외부면(41)에 대한 모든 적응은 필터 포트(23)를 삽입하기 위한 외부면(41)과 엘라스토머 밀봉부(16) 사이의 환형 슬롯만이 설치 상태에서 개방되게 한다. 이는 부적합한 필터 카트리지의 사용에 대한 추가 코딩을 야기한다. 게다가, 이 방식으로 센터링 맨드릴(11)의 외부면(41) 상에서 그 내부측에서 필터 포트(23)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식으로, 엘라스토머 밀봉부(16) 상의 필터 포트의 접촉 압력은 전체 주연 형상을 따라 가변 형상에 걸쳐 균일하게 증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향 돌출 톱니(44)가 환형 외부면 위에 제공된다. 하나의 톱니 또는 복수의 톱니(44)가 센터링 맨드릴(40)의 단차부(45) 상에 장착된다. 또한, 외부면(41)의 형상을 따르는 단차부(45)와 관련된 융기부(46)는 톱니(44)로부터 소정 거리에 부착되어, 간극(47)이 톱니와 융기부(46) 사이에 남게 된다. 톱니 또는 톱니들(44) 및/또는 융기부(46)는 코딩을 바이패스하기 위한 축방향 밀봉부의 사용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욱이, 통로 개구(48)가 외부면(41) 위에 제공되는데, 이는 센터링 요소(11)가 설치 상태에 있을 때 탱크 통로 개구로 이어진다. 필터 카트리지(22)의 여과수는 이 통로 개구(48)를 통해 물 탱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저부 통기구(49)가 외부면(41) 아래에서 저부판(39)에 제공된다. 미여과수는 저부에 있는 이들 개구를 통해 물 탱크 외부로 지향될 수 있다. 융기부(46) 아래 및 외부면(41)을 지지하는 벽 내에는 탱크 밸브 본체(13)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50)이 있다.
환형 외부면(41) 위에는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측이 경사질 수 있는 가이드 리브(51)가 제공된다. 이 방식으로 형성된 가이드 경사부(52)는 필터 카트리지(22)의 가이드 홈(32) 내에 가이드 리브(51)를 삽입할 때 도움을 준다. 도 4에 따른 단면도에서, 부착된 필터 카트리지(22) 내의 가이드 리브(51)의 가이드 경사부(52)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22)를 갖거나 갖지 않는 필터 카트리지의 연결을 위한 물 탱크(1)의 조립된 구성요소가 도 11, 도 11a, 도 11b, 도 12 및 도 12a에 도시되어 있다. 체결 링(10)은 물 탱크의 저부 리브(54) 후방에서 맞물림으로써 탱크 저부(2) 상에 래치 결합될 수 있는 래치 결합 돌출부(53)를 구비한다. 엘라스토머 밀봉부(16)는 체결 링(10) 아래에서 맞물리고 따라서 탱크 저부(2) 상에 체결 링(10)으로 엘라스토머 밀봉부(16)를 유지하는 저부 섹션(55)을 갖는다.
탱크 저부(2)에 관련한 밀봉을 위해, 엘라스토머 밀봉부(16)는 밀봉면을 갖는데, 이는 본 경우에 밀봉 비드(56)에 의해 실현된다. 체결 링(10)에 관련한 엘라스토머 밀봉부(16)의 기밀 폐쇄를 위해, 원주방향 밀봉면이 다양한 지점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라스토머 밀봉부(16)의 상부에 형성되고 체결 링의 밀봉 홈(58) 내에서 엘라스토머 밀봉부와 밀봉하는 환형 밀봉부(57)가 제공된다.
엘라스토머 밀봉부(16)는 일체로 성형되고 서로 연결되는 외부 링(59) 및 내부 링(60)을 포함한다. 외부 링(59) 및 내부 링(60)은 그 형상의 견지에서 모두 체결 링(10), 필터 포트(23) 및 엘라스토머 밀봉부(16)의 가변 반경과 이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 및 볼록부를 원주방향으로 따른다. 외부 링(59)은 단차형이고 환형 밀봉부(57) 및 밀봉 비드(56)를 지지한다. 외부 링(59)은 또한 미여과수가 그를 통해 유동 방향(P1)으로 외부 링(59)과 내부 링(60) 사이의 환형 간극(62)으로 진입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이패스 개구(61)를 구비한다. 설치 상태에서, 엘라스토머 밀봉부(16)의 바이패스 개구(61)는 체결 링(11) 내의 바이패스 개구(63) 바로 뒤에 위치되는데, 이는 또한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서 볼 수 있다. 바이패스 개구(63)를 통해, 미여과수는 방향(P2)으로 물 탱크(1)로부터 대응 음료 기계 내로 환형 간극(62)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내부 링(60)은 외부 링(59) 상의 밀봉면(65)에 대향하는 그 하부측에 밀봉 립(64)을 갖는다. 엘라스토머 밀봉부(16)의 이완 상태에서, 외부 링(59)과 내부 링(60) 사이의 환형 간극(62)은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부에서 개방되어, 바이패스 내에서 안내된 미여과수는 유동 방향(P2)으로 환형 간극(62) 외부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물 탱크 밀봉부(17)를 형성하는 내부 링(60)의 내부측(66)은 하향 프로파일에서 내향 경사진다. 바이패스의 설계 실시예는 도 11a 및 도 11b에 따른 확대도에서 강조되어 있다.
필터 포트(23)를 갖는 필터 카트리지(22)가 삽입될 때, 엘라스토머 밀봉부(16)는 내부측(66)이 외향으로 가압되고 필터 포트를 따라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변형된다. 밀봉 립(64)은 대향 밀봉면(65) 상으로 가압되고, 따라서 환형 간극(62) 및 따라서 또한 바이패스 개구(61, 63)를 통한 바이패스가 폐쇄된다. 변형은 탱크 밀봉면(17)을 필터 밀봉면(28)에 대해 가압하고 동시에 밀봉 립(64)을 밀봉면(65)에 대해 가압하는 접촉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 상태는 도 12 및 도 12a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의 탱크 밸브 본체(13)는 연관 기계의 디텐트(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복원 스프링(67)에 반대 방향으로 공동(50) 내로 상승되고 따라서 삽입된 물 탱크에 대응하는 개방 위치에 있다. 물 탱크가 기계로부터 제거되면, 탱크 밸브 본체(13)는 복원 스프링(67)의 압력 하에서 폐쇄된다.
탱크 밀봉면(18)은 엘라스토머 밀봉부(16)의 내부측(66)에 의해 형성되고 동시에 제1 탱크 고정면(18)을 나타낸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필터 밀봉면(28)에 의해 형성된 제1 필터 고정면(28)은, 고정 및 밀봉 형태 맞춤이 달성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카트리지(5, 22)가 삽입 상태에 있을 때 엘라스토머 밀봉부(16)를 변형시키는 접촉 압력 하에서 이 측면 상에 안착한다.
필터 포트(23)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필터 고정면(68)(도 5 참조)은 제2 탱크 고정면을 형성하는 외부면(41)과 접촉한다. 이 형태 맞춤은 또한 접촉 압력 하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포트(23)의 형상으로 인해, 이는 필요한 경우 탄성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는 환형 벽(69)을 형성한다. 이는 대응 브레이싱에 의해 야기되는 양호한 고정으로 공차 보상의 가능성을 야기한다. 제1 필터 고정면(28)과 제2 필터 고정면(68)의 상호 평행하거나 상호 기울어진 형상으로 인해, 이들 사이에 놓인 커넥터(23)의 환형 파형 벽(69)은 파형 환형 스프링(70)을 형성한다. 제2 필터 고정면(68)은 또한 제2 필터 밀봉면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 13의 단부도 및 도 13a에 따른 확대된 상세에 따른 필터 포트는 볼록부(29) 및 오목부(30)로 설명된 파형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벽 두께(W)를 갖는 필터 포트(23)의 환형 벽(69)은 벽 외부측(71) 상에 제1 필터 고정면(28) 및 벽 내부측(72) 상에 제2 필터 고정면(68)을 갖는다. 벽 외부측(71)과 벽 내부측(72)은 도시되어 있는 도면에서 평행하게 연장하지만,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경사져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파형 형상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중심선(73)에 의해 추가로 예시된다.
중심선(73)은 그 반경이 가변 반경의 최대값을 갖는 외부 포락선 원(74)과, 그 반경이 파형 형상의 가변 반경의 최소 반경을 갖는 내부 포락선 원(75) 사이에서 기복을 이룬다. 중심선(73)의 볼록부(29) 및 오목부(30)는 볼록 원호(76)의 형태의 파정부(wave crests)와 오목 원호(77)의 형태의 파곡부(wave troughs)를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모든 원호(76, 77)는 동일한 세그먼트 반경(S)을 갖는다. 원호(76, 77)의 중심(78, 79)은 볼록 원호(76)에 대한 내부 포락선 원(75) 내에 그리고 오목 원호(77)에 대해 외부 포락선 원(74)의 외부에 놓여 있다. 볼록 원호(76)와 오목 원호(77)는 접선 방향으로 병합되고 원주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되어, 회전 대칭 형상을 야기한다.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6개의 볼록 원호(76)와 6개의 오목 원호(77)가 제공되고, 이들은 30°의 각도 거리로 교대로 놓여 있는데, 즉 볼록 원호(76)는 서로로부터 이격하여 60°의 각도(α)로 놓여 있고 동일한 것이 오목 원호(77)에도 적용된다.
세그먼트 반경의 선택 및 연관된 중심(78, 79)의 연관된 위치로 인해, 중심선은 중심 원 라인(80) 주위에 비교적 평탄하고 만곡된 파형 방식으로 연장된다. 중심선(73)은 중심 원 라인(80)과 둔각(β)으로 교차한다. 그 결과, 볼록부(29)의 호 길이는 오목부(30)의 호 길이보다 상당히 더 길고, 그 결과 볼록부(29)의 세그먼트 원호에 의해 스윕된 각도(γ)는 오목부(30)에 의해 스윕된 각도(δ)보다 상당히 더 크다. 이 형상은 필터 포트(23)의 스프링 효과를 개선시킨다.
비교를 위해, 도면은 또한 그 세그먼트 중심(82)이 중심선(73) 바로 위에 놓여 있는 원호(8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실현되지 않은 이 프로파일은 상당히 더 작은 세그먼트 반경 및 중심선(73)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프로파일을 갖는다.
내부 포락선 원(75)의 반경이 외부 포락선 원(74)의 반경의 5% 내지 15%이고 볼록 및/또는 오목 원호의 반경이 외부 포락선 원(74)의 반경의 20% 내지 35%인 반경 및 벽 두께에서 양호한 스프링 효과가 나타났다. 그에 대해(동작 위치에 대해) 평행하거나 기울어지게 연장하는 벽 외부측(71)과 벽 내부측(72) 사이의 벽 두께(W)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포락선 원(74)의 반경의 5% 내지 15%이다.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외부 포락선 원(74)은 대략 11 mm의 반경을 갖고 내부 포락선 원(75)은 대략 9.75 mm의 반경을 갖는다. 볼록 및 오목 원호의 세그먼트 반경은 대략 3.08 mm이고 그에 대해 평행하거나 기울어지게 연장하는 벽 외부측(71)과 벽 내부측(72) 사이의 벽 두께는 대략 0.9 mm이다.
도 14에서, 실시예에 따라 또한 하나 또는 2개의 필터 밀봉면(28)을 형성하는 필터 포트(23)의 외부 벽(71) 및/또는 내부 벽(72)은 수직과 관련하여 각도(ω1 또는 ω2)만큼 경사져서, 이들이 필터 카트리지(4, 22)의 동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부로부터 저부로 수렴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도 또는 각도들(ω1 및/또는 ω2)에 의한 이러한 경사부 또는 경사부들은 엘라스토머 밀봉부(16)와 물 탱크(1)의 외부면(41) 사이의 환형 간극 내에 커넥터(23)를 삽입할 때 삽입 보조부를 형성한다.
1: 물 탱크
2: 탱크 저부
3: 물 탱크 측벽
4: 필터 카트리지
5: 필터 하우징
6: 탱크 연결 요소
7: 필터 연결부
8: 내부
9: 필터 포트
10: 체결 링
11: 센터링 요소
12: 오목부
13: 탱크 밸브 본체
14: 밀봉부
15: 핀
16: 엘라스토머 밀봉부
17: 물 탱크 밀봉부/환형 밀봉부
18: 탱크 밀봉면
19: 오목부
20: 볼록부
21: 연결 영역
22: 필터 카트리지
23: 필터 포트/내부 링
24: 외부 링
25: 돌출부
26: 오목부
27: 입구 스크린
28: 필터 밀봉면/외부면
29: 볼록부
30: 오목부
31: 가이드 구조체
32: 가이드 홈
33: 에지
34: 다각형 링
35: 내부 곡률
36: 벽
37: 필터 하우징
38: 계량 개구
39: 저부판
40: 센터링 맨드릴
41: 외부면
42: 오목부
43: 볼록부
44: 톱니
45: 단차부
46: 융기부
47: 간극
48: 통로 개구
49: 저부 통기구
50: 공동
51: 가이드 리브
52: 가이드 경사부
53: 래치 결합 돌출부
54: 저부 리브
55: 저부 부분
56: 밀봉 비드
57: 환형 밀봉부
58: 밀봉 홈
59: 내부 링
60: 외부 링
61: 바이패스 개구
62: 환형 간극
63: 바이패스 개구
64: 밀봉 립
65: 밀봉면
66: 내부측
67: 복원 스프링
68: 제2 필터 고정면/내부면
69: 벽
70: 환형 스프링
71: 벽 외부측
72: 벽 내부측
73: 중심선
74: 외부 포락선 원
75: 내부 포락선 원
76: 볼록 원호
77: 오목 원호
78: 중심
79: 중심
80: 중심 원 라인
81: 원호
82: 세그먼트 중심
83: 전환점
84: 탱크 통로 개구
A: 축
W: 벽 두께
S: 세그먼트 반경
P1: 유동 방향
P2: 유동 방향

Claims (17)

  1. 그 벽이 하우징 내부측과 하우징 외부측을 분리하는 필터 하우징(37)을 구비한 가전 제품용 필터 카트리지(22)이며, 필터 카트리지(22)의 동작시에 필터 하우징(37)의 외부 환경에 관련하여 개방되는 필터 입구 개구(27)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필터 매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챔버를 포함하고 필터 카트리지(22)로부터 물을 흡입하기 위해 필터 출구 개구에서 종료하는 물 유도용 디바이스가 동작 중에 유동 방향에 대해 필터 입구 개구(27)의 하류에서 필터 하우징(37)의 내부에 제공되고, 물 탱크 내의 탱크 고정면으로의 필터 카트리지(22)의 기밀 연결을 위한 환형 필터 고정면(28)을 갖는 환형 필터 포트(23)를 갖는 필터 연결 요소가 제공되는, 필터 카트리지(22)에 있어서,
    환형 필터 포트(23)의 원주를 따른 제1 필터 고정면(28)의 프로파일은 중심축에 관련하여 가변 반경을 가져, 제1 필터 고정면(28)이 반경방향 볼록부(29) 및/또는 반경방향 오목부(30)를 포함하게 되고, 볼록부(29) 및/또는 오목부(30)는 둥근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필터 고정면(28)은 동시에 필터 밀봉면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필터 고정면(28)의 영역에서, 필터 고정면(28)을 갖는 필터 연결 요소의 환형 필터 포트(23)는 벽 내부측(72)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필터 고정면(28)을 포함하거나 형성하는 벽 외부측(71)을 갖는 벽(6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고정면(28)의 반경방향 볼록부(29) 및 반경방향 오목부(30)의 배열은 원주에 걸쳐 회전 대칭성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고정면(28)의 볼록부(29) 및 오목부(30)의 배열은 원주에 걸쳐 동일한 각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밀봉면의 볼록부(29) 및 오목부(30)는 원형 라인(80)을 따라 파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파형 형상은 볼록부를 형성하는 볼록 원호(76)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 원호(77)의 교번 시퀀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목 및 볼록 원호(76, 77)가 오목 및 볼록 곡률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전환점에서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록 원호(76)의 호 길이는 오목 원호(77)의 호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록 및 오목 원호(76, 77)는 동일한 세그먼트 반경(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록 및 오목 원호(76, 77)는 외부 포락선 원(74) 내부 및 내부 포락선 원(75) 외부에 놓여 있고, 볼록 원호(76)의 원 중심(78)은 내부 포락선 원(75) 내에 놓여 있고 오목 원호(77)의 원 중심(79)은 외부 포락선 원(74) 외부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포락선 원(75)의 반경은 외부 포락선 원(74)의 반경의 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록 및/또는 오목 원호(76, 77)의 반경은 외부 포락선 원(74)의 반경의 20% 내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벽 외부측(71)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벽 내부측(72) 사이의 벽 두께(W)는 외부 포락선 원(74)의 반경의 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호(76, 77)의 곡률의 전환점(83)은 외부 포락선 원(74)보다 내부 포락선 원(75)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고정면(28)을 갖는 필터 연결 요소의 환형 필터 포트(23)는 적어도 필터 밀봉면으로서 제공된 적어도 필터 고정면(28)의 영역에서, 동작 온도에서 엘라스토머에 비교하여 더 치수적으로 안정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연결 요소의 환형 필터 포트(23)는, 필터 카트리지의 동작 위치에 관련하여, 필터 카트리지의 외부 벽(71)과 내부 벽(72)이 서로 기울어진 방식으로 상부로부터 저부로 수렴하도록 수직에 대해 각도(ω1 및/또는 ω2)로 경사져 있는 외부 벽(71) 및/또는 내부 벽(7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22).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진 외부 벽(71)은 외부(28)를 갖고 그리고/또는 경사진 내부 벽(72)은 내부 필터 고정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카트리지(22).
KR1020237010839A 2020-09-03 2021-09-01 필터 카트리지 KR20230052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23005.2 2020-09-03
DE102020123004.4 2020-09-03
DE102020123004 2020-09-03
DE102020123005 2020-09-03
DE102021107068.6 2021-03-22
DE102021107068 2021-03-22
PCT/EP2021/074148 WO2022049133A1 (de) 2020-09-03 2021-09-01 Filterpat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306A true KR20230052306A (ko) 2023-04-19

Family

ID=777264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835A KR20230051776A (ko) 2020-09-03 2021-09-01 필터 카트리지
KR1020237010839A KR20230052306A (ko) 2020-09-03 2021-09-01 필터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835A KR20230051776A (ko) 2020-09-03 2021-09-01 필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30242416A1 (ko)
EP (2) EP4208278A1 (ko)
KR (2) KR20230051776A (ko)
AU (2) AU2021335410B2 (ko)
DE (2) DE102021122612A1 (ko)
WO (2) WO2022049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4923B2 (en) 2020-09-03 2024-04-02 Aclaris Water Innovations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Water tank with filter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7056C1 (de) 1997-04-23 1998-05-14 Draegerwerk Ag Elektrochemischer Gassensor
EP2105432A1 (en) 2002-02-28 2009-09-3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Chromone Compound
US7326342B2 (en) * 2004-09-13 2008-02-05 Baldwin Filters, Inc. Fuel filter cartridge and keyed end cap
DE102004050877A1 (de) 2004-10-18 2006-04-20 Grohe Water Technology Ag & Co. Kg Mischventil mit thermostatischer Regelung der Mischwassertemperatur
EP2560313B1 (en) 2006-07-26 2014-09-03 Marvell World Trade Ltd. Symbol-level combining for MIMO systems with HARQ and/or repetition coding
US8059754B2 (en) 2006-07-28 2011-11-15 Xg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fast signal acquisition in a wireless digital receiver for wideband signals
FR2904901B1 (fr) 2006-08-09 2008-10-03 Sagem Defense Securite Procede de verification de l'integrite d'une clef de chiffrement obtenue par combinaison de parties de clef
CN101563141B (zh) * 2006-08-10 2012-07-25 阿奎斯水空气系统有限公司林道雷布斯坦分公司
TWI347034B (en) 2007-11-21 2011-08-11 Arcadyan Technology Corp Dual-band antenna
DE102009025437A1 (de) * 2008-06-27 2009-12-31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Wassertank und damit verbindbares, separat ausgebildetes Filterpatronen-Anschlusselement
US8236176B2 (en) * 2008-07-29 2012-08-07 Parker-Hannifin Corporation Replaceable filter cartridge
DE102009050587A1 (de) * 2009-10-24 2011-04-28 Hydac Filtertechnik Gmbh Filtervorrichtung sowie Filterelement für den Einsatz bei einer solchen Filtervorrichtung
RU2641818C2 (ru) * 2011-10-26 2018-01-22 Дональдсон Компани, Инк. Фильтры в сборе, их элементы и отличительные признак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и сборки
DE102014223648A1 (de) * 2014-11-19 2016-05-19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Filterkartusche da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35410A1 (en) 2023-05-11
AU2021335401A1 (en) 2023-05-11
AU2021335410B2 (en) 2023-07-13
WO2022049133A1 (de) 2022-03-10
US20230256368A1 (en) 2023-08-17
EP4208278A1 (de) 2023-07-12
AU2021335401B2 (en) 2023-06-15
DE102021122612A1 (de) 2022-03-03
KR20230051776A (ko) 2023-04-18
AU2021335401A9 (en) 2024-02-08
AU2021335401C1 (en) 2023-11-09
US20230242416A1 (en) 2023-08-03
EP4208069A1 (de) 2023-07-12
WO2022049115A1 (de) 2022-03-10
DE102021122619A1 (de)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08B2 (ja) タンク
US8096423B2 (en) Replaceable fuel filter element and fuel filter assembly
KR101604872B1 (ko) 탱크
KR20230052306A (ko) 필터 카트리지
KR102641265B1 (ko)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물 탱크
AU2021335408B2 (en) Filter having a centering device
KR102643332B1 (ko)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물 탱크
RU2812010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CN116456871B (zh) 带有过滤器筒的水箱
RU2810033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US20240182326A1 (en) Filter comprising a centring device
RU2814052C1 (ru) Водный резервуар с фильтрующим патроном
RU2811921C1 (ru) Фильтр с центрирова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