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890A -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890A
KR20230051890A KR1020210134819A KR20210134819A KR20230051890A KR 20230051890 A KR20230051890 A KR 20230051890A KR 1020210134819 A KR1020210134819 A KR 1020210134819A KR 20210134819 A KR20210134819 A KR 20210134819A KR 20230051890 A KR20230051890 A KR 20230051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ceiling
bracket
magne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8968B1 (ko
Inventor
박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포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3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96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단파장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 모듈이 케이스에 내장되고, 케이스의 측면에 통기공이 다수 형성된 살균부, 살균부를 지지하기 위해 천장면에 고정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래킷, 중앙에 뚫린 관통구멍을 통해 케이스의 상면 양쪽에 나란히 볼트로 죄어 고정된 제1마그넷, 브래킷의 제1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마그넷의 외경보다 작게 뚫린 가이드 홀, 가이드 홀의 두께보다 높게 볼트의 헤드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슬라이더, 슬라이더의 상단에 일체로 가이드 홀의 내경보다 작고 슬라이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래치, 가이드 홀의 한쪽과 통하도록 연결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 및 살균부가 제1마그넷의 자기력을 이겨내고 브래킷에서 분리 시 래치가 브래킷에 걸리게 하기 위해 가이드 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마운트 홀, 살균부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라이트 패널의 테두리에 에지 프레임이 결합되고, 전원 공급 시 빛을 발생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LED 모듈이 구비된 조명부 및 케이스의 하면에 조명부를 자기력으로 부착하기 위해 조명부의 상면 중 에지 프레임 상에 다수 고정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는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LED LIGHTING APPARATUS COMBINED WITH STERILIZING FUNCTION}
본 발명은 주택이나 빌딩, 건물 등의 실내조명은 물론 공기 중의 세균 및 냄새를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살균 효과를 동시에 얻기 위해 천장에 설치하는 자외선 살균기 일체형 측면발광형(edge type)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천장 마감면에 직접 설치 시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작업자 혼자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UVC를 이용한 살균 겸용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야간 또는 어두운 실내에 빛을 제공하거나 물체를 조명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조명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LED 조명등은 백열전구나 형광등에 비해 전력 소비가 작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광원들과 달리 고체 형태 점광원으로 견고하고 수명이 길며 환경친화적인 특성상 유지보수 등의 측면에서도 상당히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발광다이오드를 단순 조합한 형태의 조명등은 광학적으로 선명한 단색광을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불쾌 글레어(discomfot glare) 및 눈의 피로감을 유발하므로 직접조명 또는 실내 분위기 연출을 위한 간접조명으로 사용할 경우 용도에 맞는 배광을 가질 수 있도록 적절한 렌즈 또는 도광판의 결합이 중요하다.
근래에는 발광다이오드와 빛을 확산시키는 도광판의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하는 점광원의 빛이 도광판을 통해 면광원(빛을 발하는 부분이 면상으로 확산을 하는 광원)의 빛으로 바뀌는 LED 평판등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기존의 형광등을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LED 평판등은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가 배치되는 방식과 빛을 직접 및 발광하는 방향에 따라 직하형(Direct-lighting type)과 측면발광형(Edge-lighting type)으로 분류되고 있다.
직하형은 제품의 두께를 줄이면 발광면에 발광다이오드 도트(LED Dot)가 보이는 문제와 전원공급장치(PSU)를 사용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슬림화에 한계가 있다.
측면발광형은 발광다이오드의 위치를 측면에 배치하여 비교적 얇은 두께로 제품의 슬림화 및 박형화가 유리하고 장수명 특성을 유지하여 최근 대면적 플렛 타입(flat-type) 평판등의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한편, 단파장 자외선 종류인 UVC는 바이러스 및 세균을 강력하게 살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발간하는 스펙트럼지는, 파장이 짧은 자외선이 인체에 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공기 중의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진의 연구 결과를 게재한 바 있다.
최근에는 UVC LED를 활용해 바이러스 살균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조명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실내 공기 살균 기능을 겸비한 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인입구(112)와 공기배출구(113)를 가지는 케이스(100), 상기 공기인입구(1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공기가 인입되도록 하고, 상기 공기배출구(113)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팬(19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한 기판(120), 상기 기판(120)에 실장되어 상기 공기인입구(112)를 통해 들어온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0), 상기 기판(120)에 실장되어 실내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용 발광다이오드(140), 실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감지하는 센서 모듈(150), 상기 센서 모듈(150)의 감지결과 실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0)를 제어하여 UVB(280~320nm) 또는 UV-C(250~280nm) 중 하나 이상의 파장의 자외선을 인입된 공기에 조사하고,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140)를 제어하여 실내로의 조명광 조사를 중단하며, 실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0)를 제어하여 UV-A(320~360nm) 파장의 자외선을 인입된 공기에 조사하거나 자외선 조사를 중단하고, 상기 조명용 발광다이오드(140)를 제어하여 실내로 조명광을 조사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은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팬(190)의 작동 소음과, 공기의 강제적인 흐름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고 정숙한 실내공간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명장치(100)를 천장면에 직접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천장에 배선되어 있는 전선을 인출하여 적정 길이로 잘라 피복을 벗긴 후, 작업자 1명이 조명장치(100)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 1명이 그 상면(천장과 마주하는 면)에 부착되어 있는 PSU{고전압의 교류 전류를 저전압의 직류 전류로 변환하여 LED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정전류 회로로 이루어진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에 전선을 연결한 다음, 케이스(110)를 천장면에 밀착시킨 채로 그 테두리에 나사못(screw)을 일일이 박아서 천장에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상당히 불편하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반드시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그에 따른 인건비 부담으로 설치 비용이 상승하는 등 천장면에 설치 시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경우 천장 마감면이 지지력이 취약한 석고보드로 이루어진 특성상 우선 천장에 조명장치(100)의 부착 위치를 미리 정확하게 잡고 석고용 앵커를 박은 뒤 나사못 등을 사용해 천장 마감면에 케이스(110)를 고정해야 하는데, 이때 무거운 조명장치(100)를 들고 넓은 천장 마감면에서 석고용 앵커의 박는 위치를 정확하게 잡는 것은 매우 힘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천장 마감면이 대개 단일 합판으로 마감되는 일반 주택의 경우, 멀쩡한 천장 마감면을 파손해야 하는 등 설치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조명장치(100)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시에는 나사못을 일일이 풀었다가 다시 조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10-1338130 B1(2013.12.02) KR 10-2304922 B1(2021.09.15) KR 10-2203674 B1(2021.01.11) KR 10-2093720 B1(2020.03.2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천장면에 직접 설치 시 걸리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작업자 혼자서도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고,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자중에 의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작업자 혼자서도 천장의 정확한 위치에 쉽고 간편하면서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하면이 자성체로 이루어진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전원 공급 시 단파장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 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상기 살균 모듈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방사하고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통기공이 다수 형성된 살균부, 상기 살균부를 지지하기 위해 천장면에 고정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래킷, 중앙에 뚫린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면 양쪽에 나란히 볼트로 죄어 고정된 제1마그넷, 상기 브래킷의 상기 제1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마그넷의 외경보다 작게 뚫린 가이드 홀, 상기 가이드 홀의 두께보다 높게 상기 볼트의 헤드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 일체로 상기 가이드 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래치, 상기 가이드 홀의 한쪽과 통하도록 연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살균부가 상기 제1마그넷의 자기력을 이겨내고 상기 브래킷에서 분리 시 상기 래치가 상기 브래킷에 걸리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마운트 홀, 상기 살균부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라이트 패널의 테두리에 에지 프레임이 결합되고, 전원 공급 시 빛을 발생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LED 모듈이 구비된 조명부 및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조명부를 자기력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조명부의 상면 중 상기 에지 프레임 상에 다수 고정된 제2마그넷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작업자 혼자서도 천장의 정확한 부착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 천장면에 직접 설치 시 걸리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줄이고 설치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마운트 홀의 안쪽 면에 상기 슬라이더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일으키는 캐치가 형성됨으로써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자중에 의한 낙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살균부의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의 상부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는 끼움턱 및 상단이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조명부의 상면에 고정된 다수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살균부와 조명부 상호 간의 틈새 및 단차 없이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부가 살균부로부터 완전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브래킷을 천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나사못(screw)을 박아서 고정하고, 살균부의 케이스에 장착된 슬라이더와 래치를 브래킷의 가이드 홀로 삽입하는 단순한 조작으로 천장면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즉, 케이스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제1마그넷의 자기력으로 인해 살균부를 브래킷에 매달린 상태로 가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마운트 홀을 따라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살균부가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명부는 케이스의 하면에 제2마그넷의 자기력을 이용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혼자서도 천장면에 쉽고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의 피로도를 줄이고 편의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설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설치인력 및 비용(인건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더구나 살균부가 천장면에 설치된 상태를 제1마그넷의 자기력으로 유지하다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제1마그넷과 브래킷 간의 자기력(인력)을 이겨내고 브래킷에서 분리되더라도 래치가 2차적으로 브래킷에 걸리기 때문에 천장에서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살균부의 래치가 브래킷의 가이드 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제1마그넷과 브래킷 간의 인력이 작용하고, 이와 함께 살균부 전체가 슬라이더와 마운트 홀의 안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살균부를 천장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 케이스의 하면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가이드 홀과 래치의 위치를 쉽고 자연스럽게 맞출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 혼자서도 천장의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중 국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절단면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제1마그넷과 볼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살균부와 브래킷 간 결합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살균부와 조명부 간 결합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브래킷과 제1마그넷 간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살균부와 조명부 간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될 수 있고, 그 도면상의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살균부(10), 브래킷(20), 가이드 홀(21), 마운트 홀(22), 제1마그넷(30), 슬라이더(35), 래치(36), 조명부(40) 및 제2마그넷(50)을 포함하고 있다.
살균부(10)는 단파장 자외선을 이용해 살균 기능을 얻는 것으로, 하면이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빈 육면체형의 케이스(11)가 구비되어 있고, 이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 시 인입된 공기에 100~290nm 범위의 단파장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 모듈(12)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의 측면(측벽부)에는 내부의 살균 모듈(12)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방사하고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통기공(13)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가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해 통기공(13)을 통해 케이스(11)의 내부 공간으로 출입하고, 이때 살균 모듈(12)에서 조사하는 단파장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살균 및 냄새 제거 기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는 살균 모듈(12)에서 조사하는 단파장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하거나 불투명한 물질을 코팅하고, 살균 모듈(12)을 감싸듯이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11)의 직하 방향으로는 살균 모듈(12)에서 발생하는 단파장 자외선이 노출 및 조사되지 않아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살균 모듈(12)에서 발생하는 빛이 통기공(13)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므로, 빛이 부드럽고 눈부심이 적어 온화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 간접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의 하부에는 조명부(40)의 스커트(44) 안쪽 공간으로 삽입되는 끼움턱(14)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살균부(10)의 하측에 조명부(40)를 설치 시 그 끼움턱(14)이 조명부(40)의 스커트(44)에 의해 만들어지는 조명부(40)의 상부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어 서로 간의 연결 부분을 틈새 및 단차 없이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의 하면은 제2마그넷(50)이 달라붙도록 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케이스(11)의 상면 테두리에는 리딩 에지(15)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1)의 상면 및 하면 중앙부에는 천장에 배선되어 있는 전선을 인출 및 통과시켜 살균 모듈(12)과 LED 모듈(43)에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구멍(미부호)이 뚫려 있다.
여기서 케이스(11)의 표면에는 아연 코팅 또는 산화방지제 코팅 처리를 함으로써 살균 모듈(12)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습기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부(10)는 케이스(11)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순환부는 살균 모듈(12)에서 발생하는 단파장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 내부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새로운 공기를 흡입 및 살균하여 실내 공간에 부유하는 유해균을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순환부는 살균부(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 모듈(12)은 전원 공급 시 인체에 무해한 심자외선(100~290nm 범위의 단파장)을 빛을 내는 UVC LED 램프가 다수 실장된 기판을 포함하거나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수은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 모듈(12)은 투명한 석영관의 양단에 전극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수은, 금속 할라이드 첨가물, 비활성의 버퍼가스를 충진한 상태에서 양단을 실링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SiO2 함량이 약 99.97% 이상의 고순도 석영관을 적용할 경우 살균력이 우수한 253.7nm 파장 대역의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살균부(10)는 살균 모듈(12)에서 발생하는 100~290nm 정도의 단파장 자외선이 직하 방향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그 케이스(11)의 하면을 폐쇄하는 별도의 차폐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폐커버는 케이스(11)의 하면을 완전하게 폐쇄하여 살균 모듈(12)에서 발생하는 100~290nm 정도의 단파장 자외선의 방사범위를 측방으로 제한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 인체를 향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차폐커버는 단파장 자외선이 투과하지 못하면서 자외선에 의해 변색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불투명 PC, PMAA 등의 자외선 차단율이 높은 소재 및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20)은 실내 공간의 천장 마감면에 직접 설치하는 것으로, 살균부(10)를 천장면에 부착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20)은 제1마그넷(30)이 달라붙도록 철 등의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브래킷(20)의 높이는 살균부(10)가 천장면과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케이스(11)의 리딩 에지(15) 높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즉, 브래킷(20)은 살균부(10)의 설치 시 그 케이스(11)의 리딩 에지(15)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하 두께가 갖는 높이는 케이스(11)의 리딩 에지(15) 높이보다 낮게, 길이 및 폭은 리딩 에지(15)의 서로 마주하는 간격보다 짧고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브래킷(20)의 양쪽 가장자리 또는 사방 모서리 부분에는 살균부(10)를 제1마그넷(30)의 자기력으로 부착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 밀 때 슬라이더(35)와 래치(36)가 끼워지고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이드 홀(21)과 마운트 홀(22)이 서로 통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20)에는 천장의 보강목 등에 나사못으로 고정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나사구멍(미부호)과 전선 배선구멍(미부호) 등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래킷(20)은 철판과 같은 두께가 얇은 금속판재를 프레스 판금가공 등의 소성가공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브래킷(20)은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그 횡단면의 형상이 마치 '└┘'자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홀(21)은 브래킷(20)의 양쪽 가장자리 또는 사방 모서리 부분 중 제1마그넷(3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제1마그넷(30)의 외경보다 작게 뚫려 있다.
즉, 가이드 홀(21)의 내경은 제1마그넷(30)이 브래킷(20)에 달라붙고 슬라이더(35)와 래치(36)는 통과하도록 제1마그넷(30)의 외경보다는 작고 래치(36)의 외경보다는 큰 둥근 구멍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마운트 홀(22)은 슬라이더(35)가 슬라이딩 이동 및 살균부(10)가 자중에 의해 제1마그넷(30)의 자기력을 이겨내고 브래킷(20)에서 분리될 때 래치(36)가 브래킷(20)에 걸리게 하기 위해 가이드 홀(21)의 한쪽과 통하도록 연결 형성되어 있다.
즉, 마운트 홀(22)은 가이드 홀(21)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슬라이더(35)의 외경보다는 크거나 동일하고 래치(36)의 외경보다는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홀(22)의 안쪽 면에는 슬라이더(35)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일으켜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캐치(23)가 형성되어 있다.
즉, 캐치(23)는 반원형의 홈 모양으로 마운트 홀(22)의 안쪽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더(35)의 압입 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살균부(10)가 브래킷(20)에 매달린 상태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이로 인해 살균부(10)가 외력에 의해 브래킷(20)에서 쉽게 이탈되어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마그넷(30)은 살균부(10)를 브래킷(20)에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11) 상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나란히 장착되어 있다.
즉, 제1마그넷(30)은 원판형 디스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뚫린 관통구멍(31)을 통해 케이스(11)의 상면 중 양쪽 테두리 부분에 볼트(32)로 죄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31)의 테두리에는 볼트(32)의 헤드(33)를 제1마그넷(30)의 표면 아래로 묻기 위하여 카운터 싱크(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마그넷(30)은 살균부(10)를 브래킷(20)에 설치 시 편의와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케이스(11)의 상면 양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마그넷(30)은 내열성 및 부식성이 우수한 마그네틱 자석이나 네오디움 자석 등과 같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35)는 가이드 홀(21)의 두께보다 높게 볼트(32)의 헤드(33)에 돌출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35)는 살균부(10)를 제1마그넷(30)의 자기력으로 브래킷(20)에 가설치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밀어줄 때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면서 마운트 홀(2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일으켜 살균부(10)가 브래킷(20)에 잠금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볼트(32)의 헤드(3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래치(36)는 살균부(10)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제1마그넷(30)의 자기력을 이겨내고 브래킷(20)에서 분리되더라도 낙하하지 않고 브래킷(20)에 걸리어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더(35)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래치(36)의 외경은 가이드 홀(21)의 내경보다는 작고 슬라이더(3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래치(36)의 상면에는 전동 드라이버나 육각렌치 등과 같은 각종 공구를 끼워서 볼트(32)를 신속하고 쉽게 돌릴 수 있도록 하는 공구삽입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조명부(40)는 발광다이오드(LED)의 빛을 이용해 실내를 밝게 비추는 것으로, 살균부(10)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하기 위해 라이트 패널(41)의 테두리에 에지 프레임(42)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지 프레임(42)에는 전원 공급 시 빛을 발생하는 LED 램프가 다수 실장된 기판을 포함하는 LED 모듈(43)이 장착되어 있다.
즉, 조명부(40)는 빛의 경로 및 산란과 확산을 유도하는 라이트 패널(41)과, 이 라이트 패널(41)의 사방 측면 테두리를 감싸듯이 지지하는 에지 프레임(42) 및 전원 공급 시 발광하여 라이트 패널(41)의 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 모듈(4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라이트 패널(41)은 빛의 경로 및 산란과 확산을 유도하여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는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즉, 라이트 패널(41)은 에지 프레임(42)에 내장된 LED 모듈(43)에 발산되는 점광원의 빛을 전체의 면에 균일하게 확산시켜 면광원의 빛으로 고르고 안정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배광 특성을 구현하여 LED 모듈(43)로부터 생성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조명의 효율을 극대화한다.
이러한 라이트 패널(41)은 LED 모듈(43)에 발산되는 빛을 전체의 면에 균일하게 전달 및 고르게 방출하는 역할의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상면에 적층 또는 부착되어 도광판을 통해 입사(누설)되는 빛을 도광판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도광판의 하측 배치되어 도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산란 및 확산시켜 LED 모듈(43)로부터 방출된 점광원의 빛을 면광원의 빛으로 변환하여 실내 등의 외부를 향해 고르게 방출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의 상면에 적층 또는 부착되어 도광판을 통해서 방출하는 빛이 상면으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방열효과는 물론 도광판의 상면을 보호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광판의 양쪽 측면에 위치하는 LED 모듈(43)에서 생성된 빛은 도광판의 내부로 유입되어 그 상면에 적층된 반사판에 부딪히면서 산란 및 난반사되고, 도광판 하측의 확산판을 통하여 면광원으로 변환된 상태로 전면으로 방출된다.
여기서 도광판은 아크릴 수지(PMM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투과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고, 또 그 표면이나 이면 등에 도트 인쇄방식이나 "V"자 형 홈을 가공하여 일정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판과 확산판은 필름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확산판의 예로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와 저분자 액정의 조합이나 폴리비닐 알코올과 저분자 액정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아크릴 확산제나 광흡수물질을 더 포함하여 구현하거나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백커버는 LED 모듈(43)에서 발생된 열을 원활하게 방출하기 위해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판 등으로 방열판의 기능을 겸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그 테두리 부분은 도광판과 함께 에지 프레임(12)에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LED 모듈(43)은 에지 프레임(42)에 내장되어 전원 공급 시 발광하여 라이트 패널(41)의 도광판 측면을 향해 빛을 고르게 조사한다.
즉, LED 모듈(43)은 라이트 패널(41)의 사방 측면 테두리를 마치 사각 틀 형태로 감싸서 지지하는 4개의 에지 프레임(42)들 중 적어도 어느 양쪽의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에지 프레임(42) 내에 각각 삽입 장착되어 있어, 전원 공급 시 도광판의 내부로 빛을 고르게 입사시킨다.
LED 모듈(43)에서 입사된 빛은 반사판에 의해 반사 및 굴절되고, 확산판에 의해 확산되어 실내를 향해 균일하게 방출된다.
여기서 LED 모듈(43)은 띠 형태의 PCB 회로기판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실장된 다수의 발광소자가 발광하는 LED 스트립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발광소자로는 고휘도 백색 LED(Light Emitting Diode) 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그 외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LED 모듈(43)의 발광소자들은 PCB 회로기판상의 회로배선에 의해 연결되고, 그 끝단은 커넥터(미도시)에 의해 전원공급유닛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하게 되며, 또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별도의 방열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에지 프레임(42)은 라이트 패널(41)의 사방 측면 테두리를 감싸서 지지하고, LED 모듈(43)을 내장하여 보호한다.
즉, 에지 프레임(42)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조합으로 가운데 부분에 조명공간을 갖는 다각형 틀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에지 프레임(42)의 측면 중 라이트 패널(41)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에는 LED 모듈(43)을 내장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테두리에는 일정한 높이로 전원공급장치(SMPS) 등을 둘러싸듯이 내장하기 위한 스커트(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에지 프레임(42)은 직사각형 라이트 패널(41)의 사방 측면 테두리를 각각 감싸서 지지하도록 직선형의 4개가 마치 사각형 틀체 형태로 조립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에지 프레임(44)은 LED 모듈(43)의 LED 스트립바가 내장됨은 물론 그 LED 모듈(43)의 발광소자(LED 램프)에서 발산하는 빛이 도광판의 측면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패널(41)의 일부 테두리는 에지 프레임(42)의 홈에 삽입 및 LED 모듈(43)을 구성하는 LED 스트립바 발광소자에 밀착됨으로써 LED 모듈(43)의 LED 스트립바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에지 프레임(42)은 LED 모듈(43)을 안정적으로 내장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알루미늄 프로파일 형태로 압출 등의 가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에지 프레임(42)들은 그 각각의 양단을 서로 수직하게 맞닿은 상태로 배치한 후 마찰교반용접(friction stir welding) 등의 방식으로 용접하여 일체화할 수 있으나, 별도의 코너연결구(45)를 이용하여 에지 프레임(42)들의 서로 맞닿는 모서리 부분을 수직으로 연결 및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에지 프레임(42)들은 코너연결구(45)를 이용하여 사각형 틀체와 같은 형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코너연결구(45)는 에지 프레임(42)들의 서로 이웃하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하기 위해 평면상에서 볼 때 마치 'ㄱ'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너연결구(45)는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아울러 에지 프레임(42)에는 LED 모듈(43)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높이는 방열핀(미도시)이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에지 프레임(42)의 상면 상에는 결합강도를 보강하고 휨 변형이나 뒤틀림 등을 방지하여 에지 프레임(42)들 간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전원공급유닛 등의 부품을 내장 및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미부호)이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조명부(40)는 LED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용전원으로부터 인가된 AC 전원을 LED 컨버터에서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이에 따라 LED 모듈(43)이 구동하여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40)의 LED 모듈(43)에서 발광하는 빛은 2,700K 대역(웜화이트 계열) 내지 6,500K 대역(쿨화이트 계열)의 색온도로 발광하는 백색광일 수 있다.
제2마그넷(50)은 케이스(11)의 하면에 조명부(40)를 자기력으로 부착하기 위해 조명부(40)의 상면 중 에지 프레임(42) 상에 다수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2마그넷(50)은 조명부(40)를 살균부(10)에 설치 시 편의성 확보와 함께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양쪽 에지 프레임(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마그넷(50)은 내열성 및 부식성이 우수한 마그네틱 자석이나 네오디움 자석 등과 같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마그넷(50)은 에지 프레임(42) 상에 볼트로 죄어 고정하거나 접착제로 접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는 별도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의 온/오프 조작신호 입력에 따라 살균부(10)와 조명부(40)를 각각 또는 함께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사용자의 스위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을 통해 입력된 조작신호를 전달받아 살균부(10)와 조명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는 MCU(Main Controller Unit) 등의 연산 유닛을 통해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속되는 온/오프 조작횟수를 카운트하고, 그 조작횟수에 따라 발광 및 파장의 세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살균부(10) 및 조명부(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는 먼저, 브래킷(20)을 천장면(마감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나사못(screw)을 박아서 단단히 고정하고, 천장에 배선되어 있는 전선을 인출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Unit)를 연결한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의 상면 테두리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더(35)와 래치(36)를 브래킷(20)의 가이드 홀(21)과 일직선상에 놓고 삽입하면, 케이스(11)의 상면 테두리에 고정되어 있는 제1마그넷(30)의 자기력으로 인해 살균부(10)를 브래킷(20)에 매달린 상태로 가설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홀(21)의 내경은 래치(36)의 외경보다는 크고 제1마그넷(30)의 외경보다는 작아 살균부(10)가 천장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20)에 자연스럽게 달라붙을 수 있다.
아울러 래치(36)가 가이드 홀(21)을 통과하도록 제1마그넷(3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 및 형성되어 있어 래치(36)가 가이드 홀(21)을 통과한 상태에서 제1마그넷(30)과 브래킷(20) 간의 인력이 작용하므로, 설치 과정에서 살균부(10)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가이드 홀(21)의 위치를 찾기가 쉬워 작업자 혼자서도 천장의 정확한 위치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부(10)를 브래킷(20)의 마운트 홀(22) 방향으로 밀어주면 슬라이더(35)가 마운트 홀(22)을 따라 자연스럽고 절도감 있게 슬라이딩 이동되어 래치(36)가 마운트 홀(22) 위에 놓인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2)의 헤드(33)가 제1마그넷(30)의 상면보다 아래에 묻혀 있기 때문에 제1마그넷(30)과 마운트 홀(22) 주위의 접촉 및 부착 면적이 가이드 홀(21)보다 더 넓어져 자연스럽고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23)가 슬라이더(35)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일으켜 잠금 상태로 놓이기 때문에 즉, 캐치(23)는 슬라이더(35)를 압입 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잡아주어 슬라이더(35)가 마운트 홀(22)에서 외력에 의해 가이드 홀(21) 쪽으로 쉽게 이탈되어 움직이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살균부(10)가 브래킷(20)에 매달린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조명부(40)는 케이스(11)의 하면에 제2마그넷(50)의 자기력을 이용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40)의 스커트(44)에 의해 이루어지는 안쪽 공간의 넓이보다 케이스(11) 하면의 넓이가 좁아, 즉 끼움턱(14)으로 인해 조명부(40)의 상부가 케이스(11)의 하부를 덮듯이 자연스럽게 결합되어 서로 간의 연결 부분이 틈새 및 단차 없이 매끄러운 평형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는 작업자 또는 사용자(소비자) 혼자서도 천장면에 쉽고 용이하면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살균부(10)를 조작하여 제1마그넷(30)의 자력이 미치는 범위 밖으로 밀어내거나 떼어내지 않는 한 자유로이 움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살균부(10)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제1마그넷(30)과 브래킷(20) 간의 자기력(인력)을 이겨내고 브래킷(20)에서 분리되더라도 래치(36)가 2차적으로 브래킷(20)에 걸리기 때문에 천장에서 중력에 의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는 조명부(40)가 천장에 매달린 상태에서 살균부(1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6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부분(상단)이 케이스(11)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끝부분(하단)이 조명부(4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와이어(60)는 조명부(40)의 낙하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살균부(10)와 조명부(4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60)는 나사못 등을 이용한 조임 방식으로 살균부(10)와 조명부(4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살균부 11: 케이스
12: 살균 모듈 13: 통기공
14: 끼움턱 20: 브래킷
21: 가이드 홀 22: 마운트 홀
23: 캐치 30: 제1마그넷
31: 관통구멍 32: 볼트
33: 헤드 34: 카운터 싱크
35: 슬라이더 36: 래치
37: 공구삽입홈 40: 조명부
41: 라이트 패널 42: 에지 프레임
43: LED 모듈 44: 스커트
45: 코너연결구 50: 제2마그넷
60: 와이어

Claims (3)

  1. 하면이 자성체로 이루어진 케이스(1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전원 공급 시 단파장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 모듈(12)이 내장되고, 상기 케이스(11)의 측면에 상기 살균 모듈(12)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방사하고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통기공(13)이 다수 형성된 살균부(10);
    상기 살균부(10)를 지지하기 위해 천장면에 고정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브래킷(20);
    중앙에 뚫린 관통구멍(31)을 통해 상기 케이스(11)의 상면 양쪽에 나란히 볼트(32)로 죄어 고정된 제1마그넷(30);
    상기 브래킷(20)의 상기 제1마그넷(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마그넷(30)의 외경보다 작게 뚫린 가이드 홀(21);
    상기 가이드 홀(21)의 두께보다 높게 상기 볼트(32)의 헤드(33)에 상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35);
    상기 슬라이더(35)의 상단에 일체로 상기 가이드 홀(21)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슬라이더(3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래치(36);
    상기 브래킷(20)에 상기 가이드 홀(21)의 한쪽과 통하도록 연결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35)가 슬라이딩 이동 및 상기 살균부(10)가 상기 제1마그넷(30)의 자기력을 이겨내고 상기 브래킷(20)에서 분리 시 상기 래치(36)가 상기 브래킷(20)에 걸리게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홀(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마운트 홀(22);
    상기 살균부(10)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며, 라이트 패널(41)의 테두리에 에지 프레임(42)이 결합되고, 전원 공급 시 빛을 발생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LED 모듈(43)이 구비된 조명부(40); 및
    상기 케이스(11)의 하측에 상기 조명부(40)를 자기력으로 부착하기 위해 상기 에지 프레임(42) 상에 다수 고정된 제2마그넷(50);
    을 포함하는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홀(22)의 안쪽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35)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간섭하는 현상을 일으키는 캐치(23);
    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10)의 하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40)의 상부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는 끼움턱(14); 및
    상기 조명부(40)가 상기 살균부(10)로부터 완전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이 상기 케이스(11)의 하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조명부(40)의 상면에 고정된 와이어(60);
    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KR1020210134819A 2021-10-12 2021-10-12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KR10261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819A KR102618968B1 (ko) 2021-10-12 2021-10-12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819A KR102618968B1 (ko) 2021-10-12 2021-10-12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890A true KR20230051890A (ko) 2023-04-19
KR102618968B1 KR102618968B1 (ko) 2023-12-29

Family

ID=8614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819A KR102618968B1 (ko) 2021-10-12 2021-10-12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96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250Y1 (ko) * 2004-05-21 2004-08-16 왕한남 살균 및 간접 조명이 가능한 조명기구
KR20080003640U (ko) * 2007-02-26 2008-08-29 주식회사 신현 등기구용 결합구
KR101338130B1 (ko) 2012-05-09 2013-12-06 전자부품연구원 실내 공기 살균 기능을 겸비한 조명 장치, 그리고 실내 공기 살균 및 조광 방법
KR101368851B1 (ko) * 2012-06-05 2014-02-28 세일전기 주식회사 교환식 커버를 구비한 등기구 케이스
KR101930327B1 (ko) * 2018-05-08 2018-12-19 기민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잠금 고정형 주거조명등 설치구조
KR102094632B1 (ko) * 2019-01-31 2020-03-27 변동주 천장직착등의 등커버 안전체결장치
KR102093720B1 (ko) 2019-07-25 2020-05-29 김종진 살균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장치
KR102203674B1 (ko) 2020-07-22 2021-01-18 주식회사 커니스 면조명 살균장치
KR102304922B1 (ko) 2021-01-13 2021-09-27 주식회사 정길 살균 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250Y1 (ko) * 2004-05-21 2004-08-16 왕한남 살균 및 간접 조명이 가능한 조명기구
KR20080003640U (ko) * 2007-02-26 2008-08-29 주식회사 신현 등기구용 결합구
KR101338130B1 (ko) 2012-05-09 2013-12-06 전자부품연구원 실내 공기 살균 기능을 겸비한 조명 장치, 그리고 실내 공기 살균 및 조광 방법
KR101368851B1 (ko) * 2012-06-05 2014-02-28 세일전기 주식회사 교환식 커버를 구비한 등기구 케이스
KR101930327B1 (ko) * 2018-05-08 2018-12-19 기민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 잠금 고정형 주거조명등 설치구조
KR102094632B1 (ko) * 2019-01-31 2020-03-27 변동주 천장직착등의 등커버 안전체결장치
KR102093720B1 (ko) 2019-07-25 2020-05-29 김종진 살균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장치
KR102203674B1 (ko) 2020-07-22 2021-01-18 주식회사 커니스 면조명 살균장치
KR102304922B1 (ko) 2021-01-13 2021-09-27 주식회사 정길 살균 기능을 가지는 조명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8968B1 (ko)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872Y1 (ko) 측면발광형 발광다이오드 평판조명기구
US7766536B2 (en) LED light fixture
KR101221196B1 (ko) 매입형 led 평판조명기구
US9341354B2 (en) Linear LED light mounting system
KR101009468B1 (ko) 방수기능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형광등형 조명기구
US20130094204A1 (en) Device with combined features of lighting and air purification
JP2012150960A (ja) Led照明ユニット、led照明装置、およびled照明システム
KR101106225B1 (ko) Led 램프
KR200449070Y1 (ko) 엘이디 조명기구
KR101208167B1 (ko) 엘이디 간접 조명식 천정등
TW200720586A (en) Mounting system for a light fixture
KR101478628B1 (ko) 엘이디 등기구 본체
KR102618968B1 (ko)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EP1417867A4 (en) INVERTER FOR CONTROLLING AN EL LAMP AND CONTROLLING LIGHT-EMITTING DIODES
KR20160112912A (ko) Led 조명장치
CN203099546U (zh) 狭缝式自然对流散热智能led水族灯
KR101037896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간접 조명기구
KR20200106597A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축사용 조명장치
KR20230000767U (ko) 천장형 자외선 살균기
CN210441056U (zh) 一种节能灯照明消毒装置及节能灯
PL1530404T3 (pl) Promiennik światła i ciepła
KR10135732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80024690A (ko) 천장용 엘이디 조명기구
KR101240244B1 (ko) 음이온 항균 led 등기구
KR101665487B1 (ko) 조명등의 전선 고정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