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454A -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454A
KR20230051454A KR1020230045416A KR20230045416A KR20230051454A KR 20230051454 A KR20230051454 A KR 20230051454A KR 1020230045416 A KR1020230045416 A KR 1020230045416A KR 20230045416 A KR20230045416 A KR 20230045416A KR 20230051454 A KR20230051454 A KR 20230051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stinal
information
sample
providi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0995B1 (ko
Inventor
박소영
지요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이엠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이엠파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이엠파마
Priority to KR102023004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099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454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109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biostatistics; ICT specially adapted for bioinformatics-related machine learning or data mining, e.g. knowledge discovery or pattern finding
    • G16B40/20Supervised data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et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Abstract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분변 검사를 통해 각 시료 제공자의 장내 미생물 종류 및 분포를 알아내기 위한 시료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료 제공자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시료의 채취를 위한 키트(Kit)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시료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와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그룹은 서로 다른 캐릭터로 표현되고, 상기 각 그룹마다 매핑된 캐릭터는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배변활동 및 장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ANALYSIS RESULT OF GUT MICROORGANISM}
본 발명은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장균총(microbiota)은 숙주(사람)의 면역, 대사물질 등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장균총과 숙주는 화학물질 신호를 주고받으며 장균총에 의한 면역세포의 발현이나 신경전달물질 생성, 단쇄지방산(SCFA; Short chain fatty acids) 등이 숙주 내 체계에 비대한 영향을 미친다.
프로바이오틱스/프리바이오틱스는 숙주의 불균형한 장균총을 균형화하고, 이에 따른 건강한 장균총의 대사산물이 숙주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기존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일반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균 양(dose), 유사한 균 종(species)를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마다 마이크로바이옴 유사성(microbiome similarity)은 50% 미만이고, 사람마다 장내 환경이 모두 다르다.
한편, 사용자가 분변 검진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장내 환경을 검사하더라도 검사 결과의 내용이 사용자가 알기 어려운 용어들로 이루어져있어서 본인의 장내 환경이 어떠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특징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 중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분류된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분변 검사를 통해 각 시료 제공자의 장내 미생물 종류 및 분포를 알아내기 위한 시료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료 제공자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시료의 채취를 위한 키트(Kit)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시료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와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그룹은 서로 다른 캐릭터로 표현되고, 상기 각 그룹마다 매핑된 캐릭터는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배변활동 및 장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분변 검사를 통해 각 시료 제공자의 장내 미생물 종류 및 분포를 알아내기 위한 시료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 상기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료 제공자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분석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시료의 채취를 위한 키트(Kit)를 등록받는 키트 등록부; 상기 사용자의 시료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와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그룹은 서로 다른 캐릭터로 표현되고, 상기 각 그룹마다 매핑된 캐릭터는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배변활동 및 장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특징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 중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분류된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게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장내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그룹 별로 매칭될 서로 다른 캐릭터를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시스템은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시료의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특징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시료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유사한 장건강의 특징을 갖는 시료 제공자들을 그룹핑하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장내 맞춤형 솔루션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장내 맞춤형 솔루션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맞춤형 솔루션 제공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사용자의 장내 환경을 검진하는데 사용될 키트(Kit)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키트에 대한 정보를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키트는 사용자의 시료를 채취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여기서, 시료는 사람의 분변이다.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시료 채취를 위한 키트를 등록 받은 경우, 사용자의 시료의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그룹 생성부(200), 키트 등록부(210), 문진 정보 수신부(220), 장 증상 도출부(230), 분류부(240) 및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룹 생성부(200)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시료 분석 또는 문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유사한 장건강의 특징을 갖는 시료 제공자들을 그룹핑하여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료 분석은 시료 제공자의 분변 검사를 통해 시료 제공자의 장내 미생물 종류 및 분포를 알아내기 위한 분석이다. 문진 정보는 시료 제공자의 장 건강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복수의 질문과, 각 질문에 대한 시료 제공자의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미도시)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가 작성한 문진 정보로부터 각 시료 제공자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장 증상 도출부(230)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가 작성한 문진 정보로부터 각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증상을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증상은 만성 복부 팽만 증상, 만성 복통 증상, 만성 설사 증상, 만성 변비 증상, 고체질량지수(BMI)(비만) 증상, 고혈당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장 증상 도출부(230)는 각 시료 제공자의 시료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로부터 각 시료 제공자에 대한 장건강에 관한 증상들과 연관되는 장내 미생물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 증상 도출부(230)는 복부 팽만 증상을 느끼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시료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에 기초하여 복부 팽만 증상과 연관되어 있는 장내 미생물의 종류 및 수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usicatenibacter가 복부 팽만 증상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면, 장 증상 도출부(230)는 Fusicatenibacter의 분포 구간을 복부 팽만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복수의 시료 제공자가 분포하는 구간, 증상이 없다고 응답한 복수의 시료 제공자가 분포하는 구간, 증상과 무관하게 시료 제공자가 분포하는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룹 생성부(200)는 장건강에 관한 증상들과 연관되는 장내 미생물의 분포 구간을 의미별로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 별도의 색상(예컨대, 회색, 푸른색, 노랑색, 붉은색)과 설명(예컨대, 미생물 수치가 적정함, 미생물 수치가 평균 수준임, 미생물 수치가 주의 요함 수준임, 검측 적정 범위를 벗어남)을 부여할 수 있다.
그룹 생성부(200)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시료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 또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문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도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특징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룹 생성부(200)는 복수의 캐릭터 중 장내 미생물 정보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복수의 그룹마다 연령별 또는 라이프스타일별로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캐릭터는 장내 미생물 현황을 캐릭터화 하여 표현한 것으로,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문진 정보 또는 장내 미생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캐릭터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연령,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배변 활동 등이 고려되어 생성된 캐릭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각 캐릭터(301, 303, 305, 307)의 이름은 각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장 건강 상태 또는 라이프스타일을 유추할 수 있는 단어로 표현될 수 있고, 각 캐릭터(301, 303, 305, 307)의 이미지는 각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연령 및 식습관 등에 따른 체형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고, 각 캐릭터(301, 303, 305, 307)의 특징은 각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라이프스타일(예컨대, 운동 유무, 스트레스를 수용하는 정도 등), 식습관(예컨대, 편식 습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식습관, 좋아하는 또는 싫어하는 음식 정보 등) 및 배변 활동(예컨대, 규칙적인 배변, 변비 또는 설사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정보일 수 있다.
그룹 생성부(200)는 생성된 복수의 그룹마다 각 그룹의 특징을 나타내는 서로 다른 캐릭터를 매칭하고, 각 그룹마다 매칭된 캐릭터에 대한 정보(예컨대, 캐릭터의 이름, 이미지 및 특징)에 기초하여 각 그룹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키트 등록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시료의 채취를 위한 키트(Kit)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시료는 사람의 분변이다.
예를 들어, 키트 등록부(210)는 장내 맞춤형 솔루션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맞춤형 솔루션 제공 웹페이지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장내 환경 검진을 위한 키트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트 등록부(210)는 사용자 단말(110)의 카메라를 통해 스캔 된 키트에 표시된 디지털 코드(예컨대, QR 코드 등)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코드에는 키트에 대한 정보(예컨대, 키트의 식별 정보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문진 정보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문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문진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의 장 건강의 상태, 라이프스타일 및 식습관 등을 체크하기 위한 복수의 질문과, 각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분류부(240)는 사용자의 시료의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기 설정된 복수의 그룹(장내 미생물 현황을 나타내는 캐릭터가 매칭된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분류부(240)는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분석 정보와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사용자가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장내 미생물 현황 정보(401)를 표시한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로 알아보는 캐릭터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표현하는 캐릭터의 이름(40), 이미지(42) 및 특징(44)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403)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정보와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와의 일치율(46)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403)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를 캐릭터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장내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사용자의 시료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는 예를 들어, 장내 미생물 다양성 정보, 락토바실러스균 분포정보, 비피도박테리움균 분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내 미생물 다양성 정보와 관련하여, 사람의 장내에 얼마나 다양한 미생물이 있는가는 건강한 장의 중요한 기준이 되며, 장내 미생물의 감소는 과민성 대장염, 염증성 장 질환, 대장암 등과 관련이 있다. 락토바실러스균은 발효식품에 많이 존재하는 유익균으로 장내 유해균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비피도박테리움균은 대표적인 장내 유익균으로 유익한 물질을 대량 생성하여 장세포를 건강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 정보(즉,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다양성에 대한 점수가 복수의 단계(예컨대, 낮음-중간-높음) 중 어느 단계에 속하는지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락토바실러스균의 분량 정도 및 비피도박테리움균의 분량 정도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현황 정보(401)를 장내 맞춤형 솔루션 제공 어플리케이션 또는 맞춤형 솔루션 제공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사용자가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b 내지 4c를 함께 참조하면,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증상(만성 복부 팽만 증상, 만성 복통 증상, 만성 설사 증상, 만성 변비 증상, 고체질량지수(BMI)(비만) 증상, 고혈당 증상) 별로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에 대한 복수의 증상 결과(405)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는 복수의 증상 별로 장 상태를 표현하는 이모티콘 표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모티콘 표정 정보는 각 증상에 따른 사용자의 장 상태 단계(예컨대, 양호 단계, 보통 단계, 미흡 단계) 별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사용자의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증상 별로 각 증상에 대한 정보 및 각 증상과 연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내 미생물에 대한 분석 결과(407)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에 대한 복수의 증상 결과(405) 중 하나(48)를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선택 받으면,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선택된 증상 결과(48)와 연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내 미생물에 대한 정보(52)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각각의 분량 정도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기 설정된 복수의 그룹(증상별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는 장내 미생물의 구간이 매칭된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b의 52를 참조하면, 만성 복부 팽만 증상과 연관되어 있는 미생물 중, Fusicatenibacter 미생물은 회색 그룹(증상과 무관), Bacteroides.vulgatus 미생물은 붉은색 그룹(증상과 정적 상관)이며, Roseburia 미생물은 푸른색 그룹(증상과 부적 상관)임을 보여준다.
또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선택된 증상 결과(48)와 연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내 미생물에 대한 정보(52)에서 장내 미생물의 이름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선택 받으면 해당 증상과 연관되어 있는 장내 미생물의 분량 정도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만성 복부 팽만 증상과 연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내 미생물의 정보(52)를 선택하면,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만성 복부 팽만 증상과 연관되어 있는 Fusicatenibacter 미생물, Bacteroides.vulgatus 미생물, 및 Roseburia 미생물 중 적어도 한 가지 미생물이 사용자의 장 내에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분포 정도(409)를 그래프 형식으로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도 4c 참조). 여기에서 그래프는 기 설정된 복수의 그룹 색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를 복수의 증상과 다양하게 연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장내 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는 사용자의 배변 활동에 따른 사용자의 배변 건강도를 사용자와 비슷한 연령대와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배변 건강도에 대한 통계(예컨대, 기설정된 기간 동안의 평균 배변 횟수, 배변 모양, 배변 후 만족감 각각에 대한 통계)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배변 건강도에 대한 통계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문진 정보에 대한 수집 주기 또는 수집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룹 생성부(200)는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된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복수의 그룹 중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와 유사한 그룹의 장 건강 특징을 추가 반영할 수 있다. 또한, 그룹 생성부(200)는 복수의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기 생성된 복수의 그룹을 더 세분화함으로써 각 그룹의 장 건강 특징을 상세화 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그룹 생성부(200), 키트 등록부(210), 문진 정보 수신부(220), 장 증상 도출부(230), 분류부(240) 및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25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시료의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 및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특징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그룹 각각은 서로 다른 캐릭터로 표현되고, 각 그룹을 표현하는 캐릭터의 이미지 및 특징(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 정보를 포함)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한 정보가 각 그룹마다 매핑 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시료의 채취를 위한 키트를 등록 받을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시료의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표현하는 캐릭터의 이미지 및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110: 사용자 단말
200: 그룹 생성부
210: 키트 등록부
220: 문진 정보 수신부
230: 장 증상 도출부
240: 분류부
250: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

Claims (16)

  1.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분변 검사를 통해 각 시료 제공자의 장내 미생물 종류 및 분포를 알아내기 위한 시료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료 제공자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시료의 채취를 위한 키트(Kit)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시료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와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각 그룹은 서로 다른 캐릭터로 표현되고,
    상기 각 그룹마다 매핑된 캐릭터는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배변활동 및 장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시료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유사한 장건강을 갖는 시료 제공자들을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료 제공자의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증상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장내 미생물 정보로부터 상기 각 시료 제공자에 대한 장건강에 관한 증상들과 연관되는 장내 미생물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각 증상과 연관되어 있는 장내 미생물의 종류 및 수치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증상은 만성 복부 팽만 증상, 만성 복통 증상, 만성 설사 증상, 만성 변비 증상, 고체질량지수(BMI)(비만) 증상, 고혈당 증상을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장내 미생물 다양성 정보, 락토바실러스균 분포정보, 비피도박테리움균 분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증상별로 장 상태를 표현하는 이모티콘 표정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증상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증상별로 연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내 미생물의 분량 정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표현하는 캐릭터 정보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와의 일치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정보는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장 건강 상태 또는 라이프스타일을 유추할 수 있는 단어로 표현된 이름,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연령 및 식습관 등에 따른 체형을 나타내는 이미지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을 포함하는 정보에 관한 특징을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방법.
  9.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분변 검사를 통해 각 시료 제공자의 장내 미생물 종류 및 분포를 알아내기 위한 시료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그룹 생성부;
    상기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료 제공자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는 분석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시료의 채취를 위한 키트(Kit)를 등록받는 키트 등록부;
    상기 사용자의 시료 분석을 통한 장내 미생물 정보와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상기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
    를 포함하되,
    각 그룹은 서로 다른 캐릭터로 표현되고,
    상기 각 그룹마다 매핑된 캐릭터는 상기 각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배변활동 및 장 건강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시료 제공자의 시료 분석 및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유사한 장건강을 갖는 시료 제공자들을 그룹핑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시료 제공자의 장건강에 관한 복수의 증상을 도출하고, 상기 장내 미생물 정보로부터 상기 각 시료 제공자에 대한 장건강에 관한 증상들과 연관되는 장내 미생물 데이터를 도출하고, 각 증상과 연관되어 있는 장내 미생물의 종류 및 수치 정보를 도출하는 장 증상 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증상은 만성 복부 팽만 증상, 만성 복통 증상, 만성 설사 증상, 만성 변비 증상, 고체질량지수(BMI)(비만) 증상, 고혈당 증상을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13. 제 9 항에 있어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는 장내 미생물 다양성 정보, 락토바실러스균 분포정보, 비피도박테리움균 분포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14. 제 9 항에 있어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증상별로 장 상태를 표현하는 이모티콘 표정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증상 결과를 제공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15. 제 9 항에 있어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증상별로 연관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내 미생물의 분량 정도를 제공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16. 제 9 항에 있어서,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부는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표현하는 캐릭터 정보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대응하는 장내 미생물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장내 미생물 정보와의 일치율을 제공하고,
    상기 캐릭터 정보는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장 건강 상태 또는 라이프스타일을 유추할 수 있는 단어로 표현된 이름,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연령 및 식습관 등에 따른 체형을 나타내는 이미지 및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시료 제공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식습관 및 배변 활동을 포함하는 정보에 관한 특징을 포함하는 것인,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 제공 서버.
KR1020230045416A 2023-04-06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71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416A KR102710995B1 (ko) 2023-04-06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521A KR20210095511A (ko) 2020-01-23 2020-01-23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0230045416A KR102710995B1 (ko) 2023-04-06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521A Division KR20210095511A (ko) 2020-01-23 2020-01-23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454A true KR20230051454A (ko) 2023-04-18
KR102710995B1 KR102710995B1 (ko) 2024-10-04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45733A1 (en) 2023-08-03
KR20210095511A (ko) 2021-08-02
CN115004317A (zh) 2022-09-02
JP2023511394A (ja) 2023-03-17
JP7466953B2 (ja) 2024-04-15
WO2021149920A2 (ko) 2021-07-29
WO2021149920A3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rillo‐Álvarez et al. Neighbourhood social capital and obesit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Tedim et al. Population biology of intestinal Enterococcus isolates from hospitalized and nonhospitalized individuals in different age groups
Fernández-Ballesteros Quality of life in old age: Problematic issues
Tveten et al. Which contacts of patients with meningococcal disease carry the pathogenic strain of Neisseria meningitidis? A population based study
Davoodi et al. Epistemic justifications for belief in the unobservable: The impact of minority status
Mori et al. Exposure to sexual content and problematic sexual behavi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P7466953B2 (ja) 腸内微生物分析結果を提供する方法及びサーバ
KR20210028765A (ko)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MacQuarrie et al.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groups within science and English secondary classrooms
KR102710995B1 (ko) 장내 미생물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Zhong et al. Who is trying to lose weight? Trends and prevalence in past-year weight loss attempts among US adults 1999–2018 at the intersection of race/ethnicity, gender, and weight status
Kratzke et al. Ethnic differences for public health knowledge, health advocacy skills,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community agents of change
Khoo et al. The impact of diet and ethnicity on gut microbiota variation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 multi‐center study
Dhir et al. View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ype 2 diabetes or weight management programs among minoritized ethnic groups living in high‐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evidence
Johannisson et al. The Communication Attitude Test (CAT‐S): normative values for 220 Swedish children
Uerlich Obesity and dental caries in children: Are there more common determinants than diet?
Lorber et al. The relations of child adiposity with parent-to-child and parent-to-parent hostility
WO202316282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Liang et al. Chronic fatigue syndrome & other difficulties: introducing a modern scientific controversy to a biology classroom
Grund et al. Some friends matter more than others: BMI clustering among adolescents in four European countries
Graells Fernandez Antibiotic consump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abundance of gut microbiota species previously linked to coronary atherosclerosis in the population-based SCAPIS cohort
JP2023511393A (ja) 腸内環境改善のためのカスタマイズソリューションを提供する方法及びサーバ
Poolthawee et al. The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PB-based predictor variables and intention for healthy eating among Thai university students in Bangkok
Kilroy Diets, Detoxes, and Dysmorphia: Health, Wellness, and Misinformation on TikTok
Nishioka et al. Association between a malnutrition screening tool and mealtime observation checklist items in older people receiving oral intake support: A cross‐sectional study of four long‐term care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