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362A -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362A
KR20230051362A KR1020210134114A KR20210134114A KR20230051362A KR 20230051362 A KR20230051362 A KR 20230051362A KR 1020210134114 A KR1020210134114 A KR 1020210134114A KR 20210134114 A KR20210134114 A KR 20210134114A KR 20230051362 A KR20230051362 A KR 20230051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module
information
site
search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겁쟁이사자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겁쟁이사자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겁쟁이사자들
Priority to KR102021013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1362A/ko
Publication of KR2023005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러(Seller)와 바이어(Buyer)가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하여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가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셀러용 단말기가 셀러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비즈 프로포절, 제품 등록, 수출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제시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바이어용 단말기가 바이어 인콰이어리, 바잉 오퍼, 오더, 구매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며; 글로벌 B2B 서비스 제공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된 셀러용 단말기 또는 바이어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다음에, 바이어와 서플라이어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시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역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신규 거래제의서, 컨설팅, 구매계약 및 사후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search engine marketing service in the global B2B}
본 발명은 글로벌 B2B(Business to Business)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셀러(Seller)와 바이어(Buyer)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하여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2B 서비스는 기업과 기업 사이에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를 일컫는 경제용어로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의 유형 가운데 하나로, '기업 간 거래' 또는 '기업 간 전자상거래'라고도 한다. 거래 유형으로는, 바이어가 운영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다수의 셀러가 접속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바이어 중심형과, 이와 반대로 셀러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다수의 바이어가 접속하여 거래하는 셀러 중심형과, 중개용 사이트에 다수의 셀러와 바이어가 접속하여 거래하는 중개자 중심형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B2B 서비스는 기업들이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직거래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초기에는 주로 부품이나 기계, 원료, 소재 등의 산업재를 거래하다가 오늘날에는 제조와 유통, 서비스 등을 포함하여 기업이 제공하는 모든 물품과 서비스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거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2년 한국의 연간 전자상거래 총액(1144조 6890억 원)의 91.8%(1050조 9850억 원)을 B2B 거래가 차지하였다. 이는 2001년의 108조 9410억 원에 비하여 10배 가까이 늘어난 액수이다.
한편, 검색엔진의 광고 방식은 광고주(즉, 셀러)로부터 광고를 의뢰받아 배너나 텍스트를 노출시켜 인터넷 이용자의 클릭을 유도하여 광고하였으며, 이용자에게는 단순 정보 제공 기능이었을 뿐 특별한 혜택을 주지 않았으며, 또한 광고주와의 일대일 계약관계로 광고를 진행함에 따라 광고 효과의 폭은 웹사이트 방문자에 국한되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2843호(2002.12.12 공개)는 인터넷 검색엔진에서의 다자간 매치 마케팅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통신망 상의 검색엔진에서 회원 자신의 검색엔진 이용경로와 적립금을 확인할 수 있는 회원 관리자모드, 광고주의 이벤트방식, 배너, 광고방식을 수시로 관리하는 광고주 관리자모드, 광고 유치대기자의 광고 진행 상태와 적립금을 확인하는 광고 진행자 관리자모드, 이용자, 광고주, 광고 진행자의 모든 정보를 모니터할 수 있는 운영자 관리자모드를 포함하는 인터넷 검색엔진을 기본으로 하며, 광고주로부터 광고의뢰를 받아 이벤트방식, 배너 등을 검색엔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단계; 검색엔진을 이용함으로써 검색결과에 광고 진행 유무 사이트를 구분하며 광고 진행 사이트에는 배너박스와 방문 클릭 시 마일리지, 사이버머니, 적립금의 혜택을 표시하는 단계; 검색엔진 이용자가 검색엔진의 결과를 통해 광고 진행 중인 사이트를 방문 시 적립금을 지급하는 단계; 일반 웹사이트 광고 유치자가 광고 진행 중인 사이트의 배너박스를 클릭하여 배너를 선택한 후 배너코드를 자신의 웹사이트에 링크시키는 단계; 이용자가 일반 광고 유치자 웹사이트에 링크된 광고 클릭 시 클릭된 정보가 검색엔진 운영자에게 보고되어 수익금을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광고가 진행되고 있는 사이트가 많아지면 질수록 이용자가 인터넷 검색엔진을 사용하기만 하여도 검색결과 정보전달은 물론 현금이나 사이버머니, 마일리지가 적립이 되어 이용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9166호(2005.03.03 공개)는 홈페이지 운영에 있어 검색창을 설치하도록 한 검색시스템을 이용한 제휴마케팅 기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인터넷 상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검색패키지(검색엔진, 검색창, 검색기, 검색 디렉터리 서비스 등) 모듈형 제휴마케팅, 인터넷 마케팅 광고를 제공하며, 검색패키지 제공에 따른 쿼리, 클릭, 실적, 매출분배 비즈니스모델 인터넷 마케팅 광고를 제공하며, 검색패키지의 다양한 모듈화, 배너 및 검색창 형태의 배열위치 변화, 랜덤배너의 활용, 팝업 및 기타 스크립트를 활용한 인터넷 마케팅 광고를 제공하며, 결과 분석, 통계에 따른 현금, 상품, 마일리지를 지불하는 비즈니스모델 인터넷 마케팅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사용자의 90(%) 이상이 검색엔진을 통해 신규 거래처(셀러)와 제품 정보를 검색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해외 바이어의 경우에도 대부분 구글(Google), 야후(Yahoo), 빙(Bing) 등과 같은 검색엔진을 통해 신규 거래처(셀러)와 제품 정보를 검색하고 있으므로, 인지도가 낮은 셀러의 경우에는 셀러의 제품 및 기업 정보(셀러 정보)가 제대로 검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검색 결과 상위 노출이 쉽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해외 바이어의 경우에 상위 2페이지 내 검색 결과를 참고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인지도가 낮은 셀러의 경우에는 셀러의 제품 및 기업 정보(셀러 정보)가 제대로 참고되지 않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9284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1916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셀러(Seller)와 바이어(Buyer)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하여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 셀러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비즈 프로포절, 제품 등록, 수출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제시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셀러용 단말기; 바이어 인콰이어리, 바잉 오퍼, 오더, 구매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바이어용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된 셀러용 단말기 또는 바이어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다음에, 바이어와 서플라이어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시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역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신규 거래제의서, 컨설팅, 구매계약 및 사후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B2B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셀러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용 단말기로부터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는 송수신모듈;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셀러 등록 의뢰 신호에서 셀러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셀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기업등록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하는 셀러사이트분석모듈;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제품 검색 요청 신호에서 검색 제품을 확인하며, 확인된 검색 제품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여 수행된 제품 검색 결과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검색엔진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며,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엔진모듈을 최적화하는 검색엔진최적화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하며,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키워드를 선정하는 키워드선정모듈;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셀러사이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검색엔진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한 검색엔진 정보와 상기 키워드선정모듈에서 선정한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셀러사이트 정보를 수정하여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키는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하는 마케팅모듈; 및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의 검색 결과, 방문자 수, 신규 매출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은, 상기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파악하고, 방문 경로 및 링크를 분석하며, 분석된 셀러사이트 정보를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색엔진최적화모듈은, 최적화한 검색엔진모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 통보하며, 상기 검색엔진모듈에 대해서 URL 규칙 관리,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 문구 관리, 검색엔진 최적화 관련 소스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파악한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최적화시키고, 셀러사이트의 이미지, 타이틀 및 메타 태그를 최적화시키고,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분석한 방문 경로 및 링크를 최적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상기 검색엔진모듈, 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에서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키워드선정모듈에서 선정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타이틀 및 메타 디스크립션 태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상기 검색엔진모듈, 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의 유입을 방해하는 플래시를 확인하여 제거하고, 제거된 플래시 대신에 텍스트 메뉴로 변경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방문자 분석기를 삽입시켜 방문자 경로, 셀러사이트 이용패턴을 분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푸터 텍스트 링크를 삽입시켜 상기 검색엔진모듈, 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의 의 수집을 돕기 위한 중요 페이지 링크 및 키워드를 삽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셀러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용 단말기로부터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셀러 등록 의뢰 신호에서 셀러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셀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며,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검색엔진모듈을 최적화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하며,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키워드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셀러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검색엔진모듈에 대한 정보와 상기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셀러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여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키는 단계; 및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하며,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의 검색 결과, 방문자 수, 신규 매출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어와 셀러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하여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지도가 낮은 셀러의 경우에도 셀러의 제품 및 기업 정보(셀러 정보)가 제대로 검색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또한 검색 결과 상위 노출을 제공해 줌으로써 온라인 마케팅의 교도부를 세울 수 있으며, 이에 검색 결과 상위 노출로 바이어의 쉽고 빠른 접근을 도울 수 있으며, 경쟁사 대비 상위 노출로 신뢰도 및 경쟁력 제고를 기대할 수 있으며, 검색 이용자는 검색 순위에 따라 신뢰도를 평가하므로 경쟁사보다 높은 검색 결과 노출로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도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은, 해외 마케팅을 위해서 구글, 야후, 빙 등과 같은 검색엔진에 대한 검색 최적화를 수행하여 검색 결과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 사용자가 아닌 유효 바이어(주요 또는 유력 바이어)가 검색하는 키워드로 최적화시켜 줌으로써, 유효 바이어의 유입 및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으며, SNS, CPC, 메일 등의 온라인 마케팅보다 높은 투자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고 평균 1년 이상의 마케팅 지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제품등록모듈의 제품 등록 시에 사용되는 매핑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제품견적모듈에서 제공하는 견적 요청 화면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제품견적모듈에서 제공하는 견적 제출 화면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검색엔진최적화모듈의 정규식 관리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있는 검색엔진모듈에서 제공하는 검색 결과 화면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있는 검색엔진모듈에서 제공하는 인콰이어리 화면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있는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의 셀러사이트 최적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 수행 단계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 수행 단계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있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 수행 단계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에 있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 수행 단계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에 있는 모니터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다수 개의 셀러(Seller)용 단말기(110), 다수 개의 바이어(Buyer)용 단말기(120),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셀러용 단말기(110)는, 셀러가 사용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PC,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나, 스마트폰, 핸드폰, PDA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로서, 네트워크(150)를 통해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통신 연결한 다음에, 셀러 인콰이어리(Inquiry), 셀링 오퍼(Selling Offer), 비즈 프로포절(Biz Proposal), 제품 등록, 수출 문의 및 컨설팅(Consulting), 견적 제시 등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셀러용 단말기(11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셀러 자신의 정보(예를 들어, 기업 정보 등) 또는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에, 해당 입력받은 셀러 정보를 포함한 셀러 등록 의뢰 신호 또는 제품 정보를 포함한 제품 등록 의뢰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셀러 등록 의뢰 신호 또는 제품 등록 의뢰 신호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셀러용 단말기(110)는,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견적 요청서를 열람하여 해당 열람되는 견적 요청서에서 견적 요청 정보(예를 들어, 품명, 유효기간, 모델(사양), 수량, 도면, 지불방식, 선적조건, 희망가격, 카테고리 등)를 확인하여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셀러에게 제공해 준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견적 정보(예를 들어, 품명, 유효기간, 모델(사양), 수량, 도면, 지불방식, 선적조건, 희망가격, 카테고리 등)를 작성하여 등록하는 경우에, 해당 등록한 견적 정보를 포함한 견적서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견적서를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주거나 직접 바이어용 단말기(120)로 제공해 줌으로써, 셀러가 새로운 바이어를 쉽게 발굴할 수 있으며, 바이어와 직접 연락할 수 있으며, 투명한 계약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온라인 영업 진출을 편리하게 도울 수 있다.
바이어용 단말기(120)는, 바이어가 사용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PC,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단말기이나, 스마트폰, 핸드폰, PDA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로서, 네트워크(150)를 통해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통신 연결한 다음에, 바이어 인콰이어리, 바잉 오퍼(Buying Offer), 오더(Order), 구매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요청 등에 관련된 정보를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바이어용 단말기(12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바이어 자신의 정보(예를 들어, 기업 정보 등) 또는 소싱을 원하는 제품에 대한 견적 요청을 작성하여 등록하는 경우에, 해당 등록하는 바이어 정보를 포함한 바이어 등록 의뢰 신호 또는 소싱 제품 정보(예를 들어, 도면, 지불방식, 선적조건 등)를 포함한 제품 견적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바이어 등록 의뢰 신호 또는 제품 견적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 연결(접속)된 셀러용 단말기(110) 또는 바이어용 단말기(120)를 확인한 후에,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 등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Log)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한 다음에, 바이어와 서플라이어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시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무역프로세스 전반을 관리하고, 신규 거래제의서, 컨설팅(예를 들어, 플랫폼 컨설팅, 뉴노멀 컨설팅, 복합 FTA 컨설팅, FTA 리스크 컨설팅, 종합 FTA 비즈니스모델 컨설팅, FTA 가치사슬 컨설팅 등), 구매계약 및 사후관리(예를 들어, 바이어의 성향, 구매력, 관심품목, 구매국가 등)까지 통합적으로 제공(관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셀러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셀러 등록 의뢰 신호(또는, 바이어용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바이어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셀러 등록 의뢰 신호(또는, 바이어 등록 의뢰 신호)에서 셀러 정보(또는, 바이어 정보)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셀러 정보(또는, 바이어 정보)(예를 들어, 기업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업체만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150)를 통해 해당 확인된 셀러사이트(또는, 셀러사이트를 관리 운용하는 셀러사이트제공서버)(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 다음에, 해당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할 수 있는데, 이때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파악하고, 방문 경로 및 링크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 방문 경로, 링크를 셀러사이트제공서버에게 요청한 후에 셀러사이트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예를 들어, 검색 상위 노출, 유효 바이어(주요 또는 유력 바이어) 검색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검색엔진을 최적화해 줄 수 있다. 이때,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재사용 캐시(Cache)와 스태틱 클래스(Static Class)를 활용하고, 사용빈도와 부하가 높은 쿼리를 기억 프로시저(Stored Procedure)로 전환하고, 데이터 모델별로 전용 DAO(Data Access Object)를 사용하는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한 검색엔진(구글(Google), 야후(Yahoo), 빙(Bing) 등과 같은 검색엔진)과의 연동을 통해 고객 맞춤형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검색엔진에 대한 최적화 관리를 수행하는데, URL 규칙 관리, 타이틀(Title) 및 디스크립션(Description) 문구 관리, 검색엔진 최적화 관련 소스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URL 규칙 관리로는, 기 설정해 둔 국가나 카테고리 선택에 따른 URL 규칙 정의에 대응하여 키워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 설정해 둔 카테고리 뎁스(Depth)에 따른 URL 규칙 정의에 대응하여 카테고리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블로그 서브도메인, 회사, 제품리스트, 제품상세 등에 대응하여 블로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검색결과 페이징 URL 규칙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 문구 관리로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문구를 관리자페이지에서 생성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며, 검색 조건과 관리자의 문구를 조합하여 정규식 형태로 생성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검색엔진 최적화 관련 소스 관리로는, 검색엔진 웹마스터(Webmaster) 인증 관리, 로그분석기 소스 삽입 관리, robots.txt 관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Sitemap.xml를 생성시킬 수 있는데, 최근 생성된 콘텐츠 주소를 sitemap.xml로 생성하고, 생성 시간, 위치에 따라 자식 사이트맵(Sitemap)을 생성하고, 인덱싱 시간을 고려하여 기 설정해 둔 시간 이상 지난 URL 리스트를 삭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한 후에, 해당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검색 상위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키워드(또는, 일반 사용자가 아닌 바이어(유력한 바이어나 주요 바이어)가 검색하는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검색엔진의 최적화와 상술한 바와 같은 키워드 선정을 통해서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재정비 내지는 수정)시켜 줄 수 있다. 이때,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파악한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최적화시켜 주고, 셀러사이트의 이미지, 타이틀 및 메타 태그를 최적화시켜 주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분석한 방문 경로 및 링크(내외부 링크)를 최적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화된 셀러사이트를 글로벌 B2B 사이트를 통해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르게는,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화된 셀러사이트를 구글, 야후, 빙 등과 같은 해외 유명 검색엔진에 등록시켜 주거나, 소셜미디어 사이트에 등록시켜 줄 수도 있다. 또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셀러에 대한 신규 거래제의서를 작성하여 바이어용 단말기(120)로 발송시키거나, 홍보 보도기사를 작성하여 배포하는 등의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셀러의 제품 및 기업 정보(셀러 정보)가 제대로 검색되고 있는지, 셀러사이트의 트래픽이 증가되는지, 검색결과 상위 페이지에 노출되는지 등과 같은 마케팅 효과(예를 들어, 검색 결과, 방문자 수, 신규 매출 등)를 모니터링하며, 해당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사이트 분석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셀러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제품 등록 의뢰 신호에서 제품 정보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제품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제품만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줄 수 있다. 이때,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대표적 상품/서비스 분류 코드인 국제 표준 상품분류 코드(UNSPSC), 수출입 상품에 대한 무역 통계 및 관세행정을 위한 분류 코드인 통일 상품 분류 코드(HS) 등과 같은 기존 코드로 제품을 찾아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직관적인 제품 분류 체계 수립으로 사용자가 어려움이 없이 등록하고, 또한 유동적으로 카테고리를 생성 및 삭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존 코드를 통한 기준 제품 카테고리 분류를 기 설정해 둔 신규 카테고리 분류로 매핑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기존 코드를 반영한 신규 카테고리 매핑테이블을 가지는 데이터베이스(140)를 구축함으로써, 카테고리들을 정리 및 통합하여 중복링크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바이어용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견적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제품 견적 요청 신호에서 소싱 제품 정보를 확인하여 견적 요청을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하는데, 이때 해당 견적 요청에 따른 정보(예를 들어, 품명, 유효기간, 모델(사양), 수량, 도면, 지불방식, 선적조건, 희망가격, 카테고리 등)를 포함한 견적 요청서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견적 요청서를 셀러용 단말기(110)로 전송해 준 후에, 셀러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견적서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견적서를 바이어용 단말기(120)로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검증된 바이어와 셀러 간의 구매유도를 위하여 기존의 기다리는 셀러(즉, 셀러)의 입장을 벗어나, 셀러(즉, 셀러)가 원하는 항목의 품목을 올린 바이어를 대상으로 항목에 맞춰 견적을 제시하는 양방향 체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CNC 가공, 사출 성형, 금속 스탬핑, 금속 제조 등의 완제품이 아닌 특정 항목에 대해서도 원하는 항목에 대한 제품을 찾는 바이어를 대상으로 견적 요청 등록이 가능하며, 또한 셀러(즉, 셀러)가 등록된 견적 요청서를 열람하고 바이어에게 견적서를 쉽게 제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로부터 등록되는 셀러(예를 들어, 상호, 카테고리, 설립년도, 종업원 수, 수출액, 회사소개, 셀러사이트, 요구사항(예를 들어, 검색 상위 노출, 유효 바이어(주요 또는 유력 바이어) 검색 등), 경쟁사 등), 바이어(예를 들어, 국가, 주소, 형태, 연락처, 메일, 블로그주소 등),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 등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예를 들어, 제품명, 뭄목구분코드, 제품규격, 형상(사진), 생산기술 등)와, 로그(Log)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네트워크(15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다수 개의 셀러용 단말기(110), 다수 개의 바이어용 단말기(120)와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여,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 바이어와 셀러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하여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인지도가 낮은 셀러의 경우에도 셀러의 제품 및 기업 정보(셀러 정보)가 제대로 검색되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또한 검색 결과 상위 노출을 제공해 줌으로써 온라인 마케팅의 교도부를 세울 수 있으며, 이에 검색 결과 상위 노출로 바이어의 쉽고 빠른 접근을 도울 수 있으며, 경쟁사 대비 상위 노출로 신뢰도 및 경쟁력 제고를 기대할 수 있으며, 검색 이용자는 검색 순위에 따라 신뢰도를 평가하므로 경쟁사보다 높은 검색 결과 노출로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외 검색 사용자(바이어)의 85(%) 이상이 구글, 야후, 빙 등과 같은 검색엔진을 사용함으로써, 국내 마케팅에 네이버를 주목하듯이, 해외 마케팅을 위해서 구글, 야후, 빙 등과 같은 검색엔진에 대한 검색 최적화를 수행하여 검색 결과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 일반 사용자가 아닌 유효 바이어(주요 또는 유력 바이어)가 검색하는 키워드로 최적화시켜 줌으로써, 유효 바이어의 유입 및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으며, SNS, CPC, 메일 등의 온라인 마케팅보다 높은 투자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고 평균 1년 이상의 마케팅 지속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 검색엔진 마케팅의 시작부터 끝까지 단계별로 밀착 컨설팅을 제공해 줌으로써, 자율 마케팅까지 가능한 기술이전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 양질의 콘텐츠로 사이트를 보완하고, 구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는 등의 셀러사이트 재정비를 통해 셀러의 웹사이트 트래픽을 증가시켜 검색결과 상위 1 ~ 2 페이지에 노출시키고, 이에 기업 및 브랜드 홍보에 기여할 수 있으며, 유력 바이어 유입 가능성 제공 및 인콰이어리 증가와 수익 창출 기대를 통한 마케팅 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있는 제품등록모듈의 제품 등록 시에 사용되는 매핑테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있는 제품견적모듈에서 제공하는 견적 요청 화면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있는 제품견적모듈에서 제공하는 견적 제출 화면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2에 있는 검색엔진최적화모듈의 정규식 관리를 예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2에 있는 검색엔진모듈에서 제공하는 검색 결과 화면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2에 있는 검색엔진모듈에서 제공하는 인콰이어리 화면을 예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2에 있는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의 셀러사이트 최적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는, 송수신모듈(1301), 기업등록모듈(1302), 제품등록모듈(1303), 제품견적모듈(1304),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 검색엔진모듈(1307), 키워드선정모듈(1308),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 마케팅모듈(1310), 모니터링모듈(1311)을 포함한다.
송수신모듈(1301)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 연결(접속)된 셀러용 단말기(110) 또는 바이어용 단말기(120)를 확인한 후에, 셀러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등록처리모듈(1302)로 전달하며, 바이어용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바이어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바이어 등록 의뢰 신호를 등록처리모듈(1302)로 전달하며, 셀러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제품 등록 의뢰 신호를 제품등록모듈(1303)로 전달하며, 바이어용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견적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제품 견적 요청 신호를 제품견적모듈(1304)로 전달한 다음에, 제품견적모듈(1304)로부터 전달되는 견적 요청서를 셀러용 단말기(110)로 전송해 준 후에, 셀러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견적서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견적서를 제품견적모듈(1304)로 전달한 다음에, 제품견적모듈(1304)로부터 전달되는 견적서를 바이어용 단말기(120)로 전송하며, 바이어용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제품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제품 검색 요청 신호를 검색엔진모듈(1307)로 전달한 다음에, 검색엔진모듈(1307)로부터 전달되는 제품 검색 결과를 바이어용 단말기(120)로 전송해 준다.
기업등록모듈(1302)은,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전달되는 셀러 등록 의뢰 신호로부터 셀러 정보를 확인하거나,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전달되는 바이어 등록 의뢰 신호로부터 바이어 정보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셀러 정보 또는 바이어 정보(예를 들어, 기업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기업 정보만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기업등록모듈(1302)은, 아래의 표 1과 같이, 수출실정, 제품의 적합성, 품질/디자인 경쟁력, 가격 경쟁력, 수출증가율 등을 포함한 수출경쟁력과, 연구개발조직 및 인력, 인증 및 특허 보유현황, 제품의 기술수준 및 개발단계 등을 포함한 기술성과, 회사 수출의지 및 계획, 수출 준비도, 회사 성장성 및 수익성, 해외마케팅 전담조직 등을 포함한 기업경쟁력으로 이루어진 평가 항목으로,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전달되는 기업 정보(셀러 정보, 바이어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총합이 만점(예를 들어, 100점)이 되도록 각 평가 항목별로 점수를 기 설정해 두며, 이에 각 평가 항목별 획득 점수를 포함한 조사 결과 입력 데이터를 엑셀 자료로 접수받아, 해당 접수받은 엑셀 자료로부터 각 평가 항목별 획득 점수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각 평가 항목별 획득 점수의 총합을 계산한 후에 해당 계산된 총합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지를 확인하며, 해당 계산된 총합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에만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전달되는 기업 정보(셀러 정보, 바이어 정보)만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줄 수 있다.
제품등록모듈(1303)은,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전달되는 제품 등록 의뢰 신호로부터 제품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제품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제품만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준다.
평가항목 배점 기타의견


수출경쟁력
수출실적 10
제품의 적합성 10
품질/디자인 경쟁력 10
가격 경쟁력 10
수출 증가율 5

기술성
연구개발조직, 인력 10
인증, 특허보유현황 5
제품의 기술수준 및 개발단계 5

기업경쟁력
회사 수출의지 및 계획 10
수출 준비도 10
회사 성장성/수익성 10
해외마케팅 전담조직 5
합계 100
일 실시 예에서, 제품등록모듈(130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규 카테고리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신규 카테고리 분류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신규 카테고리 분류에 따라 제품을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줄 수 있다. 이때,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130)에서는, 기존 코드(UNSPSC 및 HS)를 통한 기존 제품 카테고리 분류를 기 설정해 둔 신규 카테고리 분류로 매핑작업을 진행함과 동시에, 기존 코드(UNSPSC 및 HS)를 반영한 신규 카테고리 매핑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140) 내에 구축함으로써, 카테고리들을 정리 및 통합하여 중복링크 등을 감소시켜 주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품등록모듈(1303)은,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할 제품을 기 설정해 둔 신규 카테고리 분류 체제로 전환시킨 후에, 기존 코드(UNSPSC 및 HS)를 통한 기존 제품 카테고리 분류와 신규 카테고리 분류를 매핑시켜 준 다음에, 기 설정해 둔 카테고리별 키워드 사전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할 제품의 키워드를 매핑시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분류가 모호한 제품의 경우에, 제품등록모듈(1303)은, 분류가 모호한 제품 대상을 추출하여 해당 추출한 제품 대상을 운용자에게 통보한 후에 운용자에 의해 선정된 신규 카테고리 분류 체제로 전환시켜 별도로 매핑해 줄 수도 있다.
제품견적모듈(130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견적 요청 화면을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바이어용 단말기(120)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요청 화면에 의해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전달되는 제품 견적 요청 신호로부터 소싱 제품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소싱 제품 정보를 견적 요청으로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해 준 다음에, 해당 견적 요청에 따른 정보(예를 들어, 품명, 유효기간, 모델(사양), 수량, 도면, 지불방식, 선적조건, 희망가격, 카테고리 등)를 포함한 견적 요청서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견적 요청서를 송수신모듈(1301)로 전달한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견적 제출 화면을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셀러용 단말기(110)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제출 화면에 의해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전달되는 견적서를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해 준 다음에 송수신모듈(1301)로 전달해 준다.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은,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셀러사이트(또는, 셀러사이트를 관리 운용하는 셀러사이트제공서버)(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접속한 다음에, 해당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하며, 해당 분석된 셀러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은,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파악하고, 방문 경로 및 링크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은,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 방문 경로, 링크를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셀러사이트제공서버에게 요청한 후에 셀러사이트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예를 들어, 검색 상위 노출, 유효 바이어(주요 또는 유력 바이어) 검색 등)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검색엔진모듈(1307)을 최적화하며, 해당 최적화한 검색엔진모듈(1307)에 대한 정보를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검색엔진모듈(1307)에 대해서 URL 규칙 관리,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 문구 관리, 검색엔진 최적화 관련 소스 관리 등을 수행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기 설정해 둔 국가나 카테고리 선택에 따른 URL 규칙 정의에 대응하여 키워드를 검색하고, 기 설정해 둔 카테고리 뎁스에 따른 URL 규칙 정의에 대응하여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블로그 서브도메인, 회사, 제품리스트, 제품상세 등에 대응하여 블로그를 관리하도록 URL 규칙을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검색결과 페이징 URL 규칙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검색 결과 페이지의 문구를 관리자페이지에서 생성 및 편집하고, 검색 조건과 관리자의 문구를 조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규식 형태로 생성 관리하도록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 문구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검색엔진 웹마스터 인증 관리, 로그분석기 소스 삽입 관리, robots.txt 관리를 수행하도록 검색엔진 최적화 관련 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Sitemap.xml를 생성시킬 수 있는데, 최근 생성된 콘텐츠 주소를 sitemap.xml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 시간, 위치에 따라 자식 사이트맵(Sitemap)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인덱싱 시간을 고려하여 기 설정해 둔 시간 이상 지난 URL 리스트를 삭제할 수도 있다.
검색엔진모듈(1307)은,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에 의해 최적화되는데, 재사용 캐시와 스태틱 클래스를 활용하고, 사용빈도와 부하가 높은 쿼리를 기억 프로시저로 전환하고, 데이터 모델별로 전용 DAO를 사용하는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전달되는 제품 검색 요청 신호로부터 검색 제품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검색 제품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한 후에, 해당 수행된 제품 검색 결과를 송수신모듈(1301)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검색엔진모듈(1307)은, 수행된 제품 검색 결과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색 결과 화면을 통해 바이어용 단말기(12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 화면을 통해 비교 제품 및 기업을 클릭하여 담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콰이어리 화면을 통해 저장한 제품별로 항목별 비교하여 선택적으로 문의하는 기능도 바이어용 단말기(120)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키워드선정모듈(1308)은,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한 후에, 해당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검색 상위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키워드(또는, 일반 사용자가 아닌 바이어(유력한 바이어나 주요 바이어)가 검색하는 키워드)를 선정하며, 해당 선정된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 통보해 준다.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로부터 통보되는 셀러사이트 정보를 저장해 두며,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로부터 통보되는 검색엔진 정보와 키워드선정모듈(1308)로부터 통보되는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저장해 둔 셀러사이트 정보를 수정(또는 재정비)하여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에서 파악한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최적화시켜 주고, 셀러사이트의 이미지, 타이틀 및 메타 태그를 최적화시켜 주고, 또한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에서 분석한 방문 경로 및 링크(내외부 링크)를 최적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켜 줄 수 있는데, 이때 타이틀 및 메타 디스크립션 태그의 경우에 검색엔진모듈(1306)(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 등)에서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키워드선정모듈(1308)에서 선정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작성해 줄 수 있으며, 플래시의 경우에 제거하는데, 검색엔진모듈(1306)(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 등)의 유입을 방해하는 플래시를 확인하여 제거하고 해당 제거된 플래시 대신에 텍스트 메뉴로 변경시켜 줄 수 있으며, 콘텐츠의 경우에 셀러의 주요 제품을 메인에 배치시켜 검색 노출 및 유입을 증대시켜 줄 수 있으며, 방문자 분석기(예를 들어, 구글 등과 같은 외부 검색엔진(또는, 방문자 등)의 방문자 분석기)를 삽입시켜 방문자 경로, 셀러사이트 이용패턴 등의 마케팅 효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푸터 텍스트 링크를 삽입시켜 검색엔진모듈(1306)(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 등)의 수집을 돕기 위한 중요 페이지 링크 및 키워드를 삽입할 수 있다.
마케팅모듈(1310)은,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글로벌 B2B 사이트를 통해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마케팅모듈(1310)은,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구글, 야후, 빙 등과 같은 해외 유명 검색엔진에 등록시켜 주거나, 소셜미디어 사이트에 등록시켜 줄 수도 있다. 또한, 마케팅모듈(1310)은, 셀러에 대한 신규 거래제의서를 작성하여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바이어용 단말기(120)로 발송시키거나, 홍보 보도기사를 작성하여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외부 사이트로 배포하는 등의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모듈(1311)은, 셀러의 제품 및 기업 정보(셀러 정보)가 제대로 검색되고 있는지, 셀러사이트의 트래픽이 증가되는지, 검색결과 상위 페이지에 노출되는지 등을 모니터링하며, 해당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이를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에게 통보해 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있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 수행 단계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에 있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 수행 단계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3은 도 10에 있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 수행 단계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10에 있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 수행 단계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5는 도 10에 있는 모니터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송수신모듈(131)에서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 연결(접속)된 셀러용 단말기(110)를 확인한 후에, 셀러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기업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기업 등록 의뢰 신호를 등록처리모듈(132)로 전달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송수신모듈(131)은 셀러용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등록처리모듈(132)로 전달하게 된다(S111).
기업등록모듈(132)은, 상술한 단계 S111에서 송수신모듈(131)을 통해 전달되는 기업 등록 의뢰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 해당 입력받은 기업 등록 의뢰 신호로부터 기업 정보(셀러 정보)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기업 정보(셀러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기업 정보(셀러 정보)만 셀러와 바이어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준다(S112).
상술한 단계 S112에 있어서, 기업등록모듈(132)은, 송수신모듈(131)을 통해 전달되는 셀러 등록 의뢰 신호로부터 셀러 정보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셀러 정보(예를 들어, 기업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기업 정보만 셀러별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2에 있어서, 기업등록모듈(132)은, 수출실정, 제품의 적합성, 품질/디자인 경쟁력, 가격 경쟁력, 수출증가율 등을 포함한 수출경쟁력과, 연구개발조직 및 인력, 인증 및 특허 보유현황, 제품의 기술수준 및 개발단계 등을 포함한 기술성과, 회사 수출의지 및 계획, 수출 준비도, 회사 성장성 및 수익성, 해외마케팅 전담조직 등을 포함한 기업경쟁력으로 이루어진 평가 항목으로, 송수신모듈(131)을 통해 전달되는 기업 정보(셀러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등록모듈(132)에서는, 각 평가 항목별로 점수를 기 설정하되, 각 평가 항목의 모든 점수 총합이 만점(예를 들어, 100점)이 되도록 설정해 두며, 이에 각 평가 항목별 획득 점수를 포함한 조사 결과 입력 데이터를 엑셀 자료로 접수받아, 해당 접수받은 엑셀 자료로부터 각 평가 항목별 획득 점수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각 평가 항목별 획득 점수의 총합을 계산한 후에 해당 계산된 총합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지를 확인하며, 해당 계산된 총합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경우에만 송수신모듈(131)을 통해 전달되는 기업 정보(셀러 정보)를 셀러와 바이어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2에서 기업 정보(셀러 정보)를 등록한 후에,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은,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확인하며,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해당 확인된 셀러사이트(또는, 셀러사이트를 관리 운용하는 셀러사이트제공서버)(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 다음에, 해당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하게 된다(S113).
상술한 단계 S113에 있어서,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은, 상술한 단계 S113에서 확인한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파악하고, 방문 경로 및 링크를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3에 있어서,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은,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 방문 경로, 링크를 분석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분석 요청 신호를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셀러사이트제공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셀러사이트제공서버는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로부터 전송되는 분석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분석 요청 신호에 따라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 방문 경로, 링크에 대한 정보를 분석 요청 응답 신호에 실어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은, 셀러사이트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분석 요청 응답 신호를 수신받아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 방문 경로, 링크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113에서 셀러사이트를 분석한 다음에,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예를 들어, 검색 상위 노출, 유효 바이어(주요 또는 유력 바이어) 검색 등)을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검색엔진모듈(1307)을 최적화해 준다(S114).
상술한 단계 S114에 있어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검색엔진모듈(1307)에 대해서 URL 규칙 관리,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 문구 관리, 검색엔진 최적화 관련 소스 관리 등을 수행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4에 있어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기 설정해 둔 국가나 카테고리 선택에 따른 URL 규칙 정의에 대응하여 키워드를 검색하고, 기 설정해 둔 카테고리 뎁스에 따른 URL 규칙 정의에 대응하여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블로그 서브도메인, 회사, 제품리스트, 제품상세 등에 대응하여 블로그를 관리하도록 URL 규칙을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검색결과 페이징 URL 규칙을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4에 있어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검색 결과 페이지의 문구를 관리자페이지에서 생성 및 편집하고, 검색 조건과 관리자의 문구를 조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규식 형태로 생성 관리하도록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 문구를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4에 있어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검색엔진 웹마스터 인증 관리, 로그분석기 소스 삽입 관리, robots.txt 관리를 수행하도록 검색엔진 최적화 관련 소스를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4에 있어서,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은, Sitemap.xml를 생성시킬 수 있는데, 최근 생성된 콘텐츠 주소를 sitemap.xml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 시간, 위치에 따라 자식 사이트맵(Sitemap)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인덱싱 시간을 고려하여 기 설정해 둔 시간 이상 지난 URL 리스트를 삭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114에서 검색엔진모듈(1307)을 최적화한 다음에, 키워드선정모듈(1308)은,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한 후에, 해당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검색 상위 노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키워드(또는, 일반 사용자가 아닌 바이어(유력한 바이어나 주요 바이어)가 검색하는 키워드)를 선정해 준다(S115).
상술한 단계 S113에서 분석된 셀러사이트에 대한 정보는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 통보되며, 또한 상술한 단계 S114에서 최적화된 검색엔진모듈(1307)에 대한 정보도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 통보되며, 또한 상술한 단계 S115에서 선정된 키워드에 대한 정보도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 통보된다. 이에 따라,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로부터 통보되는 셀러사이트 정보를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두며, 검색엔진최적화모듈(1306)로부터 통보되는 검색엔진 정보와 키워드선정모듈(1308)로부터 통보되는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메모리에 저장해 둔 셀러사이트 정보를 수정(또는 재정비)하여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켜 준다(S116).
상술한 단계 S116에 있어서,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상술한 단계 S113에서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이 파악한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최적화시켜 주고, 셀러사이트의 이미지, 타이틀 및 메타 태그를 최적화시켜 주고, 또한 상술한 단계 S113에서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이 분석한 방문 경로 및 링크(내외부 링크)를 최적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6에 있어서,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타이틀 및 메타 디스크립션 태그의 경우에 검색엔진모듈(1306)(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 등)에서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키워드선정모듈(1308)에서 선정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작성함으로써,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6에 있어서,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플래시의 경우에 제거하는데, 검색엔진모듈(1306)(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 등)의 유입을 방해하는 플래시를 확인하여 제거하고 해당 제거된 플래시 대신에 텍스트 메뉴로 변경시켜 줌으로써,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6에 있어서,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콘텐츠의 경우에 셀러의 주요 제품을 메인에 배치시켜 검색 노출 및 유입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6에 있어서,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은, 방문자 분석기(예를 들어, 구글 등과 같은 외부 검색엔진(또는, 방문자 등)의 방문자 분석기)를 삽입시켜 방문자 경로, 셀러사이트 이용패턴 등의 마케팅 효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푸터 텍스트 링크를 삽입시켜 검색엔진모듈(1306)(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 등)의 수집을 돕기 위한 중요 페이지 링크 및 키워드를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6에서 셀러사이트를 최적화한 다음에, 마케팅모듈(1310)은,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글로벌 B2B 사이트를 통해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하게 된다(S117).
상술한 단계 S117에 있어서, 마케팅모듈(13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벌 B2B 사이트 내의 상품페이지로 제작되어 홍보할 수 있으며, 맞춤형 거래제의서 제작 및 타깃 바이어 홍보도 지원할 수 있으며, 배너 광고 및 인기상품(Featured Product), 프리미엄공급자(Premium Supplier) 상단에 노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7에 있어서, 마케팅모듈(13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홍보 보도기사(e-PR)를 작성하여 송수신모듈(1301)을 통해 외부 사이트로 배포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117에 있어서, 마케팅모듈(13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엔진 마케팅의 관리자(내지는, 전문가)가 콘텐츠를 기획하고 기사 전문 원어민이 직접 작성한 보도기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신뢰도 높은 기사 전문 해외 사이트 30개에 보도기사를 배포할 수 있으며, 보도자료 내 키워드 및 홈페이지 링크를 추가시켜 셀러사이트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7에 있어서, 마케팅모듈(1310)은, 상술한 단계 S116에서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이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글, 야후, 빙 등과 같은 해외 유명 검색엔진(즉, 유료키워드광고(CPC))(또는, 소셜미디어 사이트)에 등록시켜 줄 수 있는데, 이때 검색엔진 마케팅과 CPC를 조합하여 마케팅 초기 낮은 방문자를 보완할 수 있으며, 구글 네트워크 광고로 유력 매체에 셀러사이트를 노출시켜 줄 수 있으며, 매력적인 문구, 유효 키워드 광고 노출로 구매 전환률을 제고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7에 있어서, 마케팅모듈(131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튜브 등과 같은 동영상 커뮤니티의 채널을 생성시켜 셀러사이트 관련 동영상물을 등록시켜 줄 수 있는데, 이때 1일 트래픽 20억 이상의 최대 동영상 커뮤니티에 채널을 생성시켜 셀러사이트 관련 동영상물을 최적화하여 동영상 커뮤니티에 업로드하고, 셀러사이트와 연동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유튜브 및 구글에 검색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17에서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한 다음에, 모니터링모듈(1311)은, 셀러의 제품 및 기업 정보(셀러 정보)가 제대로 검색되고 있는지, 셀러사이트의 트래픽이 증가되는지, 검색결과 상위 페이지에 노출되는지 등과 같은 마케팅 효과(예를 들어,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에 대한 검색 결과, 방문자 수, 신규 매출 등)를 모니터링하게 되며, 해당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이를 셀러사이트분석모듈(1305)에게 통보해 준다(S118).
상술한 단계 S118에 있어서, 모니터링모듈(131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1309)에서 전기운반차(Electric Transporter Car)의 타깃 제품을 'Track Transporter Car', 'Pipe Coaster', 'mold transporter', 'airo lift' 등의 타깃키워드로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켜, 마케팅모듈(1310)에서 타깃키워드 첫 페이지 노출을 수행한 경우에, 모니터링모듈(1311)은, 'airo lift'의 키워드로 구글에서 4위, 'Pipe Coaster'의 키워드로 구글에서 3위, Track Transporter Car'의 키워드로 구글에서 18위 등으로 검색 결과가 모니터링되었으며, 홈페이지 방문 수도 450(%)로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 및 중동국가로 총 75만불 이상의 신규 매출이 일어났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셀러용 단말기
120: 바이어용 단말기
130: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1301: 송수신모듈
1302: 기업등록모듈
1303: 제품등록모듈
1304: 제품견적모듈
1305: 셀러사이트분석모듈
1306: 검색엔진최적화모듈
1307: 검색엔진모듈
1308: 키워드선정모듈
1309: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
1310: 마케팅모듈
1311: 모니터링모듈
140: 데이터베이스
150: 네트워크

Claims (15)

  1.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
    셀러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비즈 프로포절, 제품 등록, 수출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제시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셀러용 단말기;
    바이어 인콰이어리, 바잉 오퍼, 오더, 구매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바이어용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된 셀러용 단말기 또는 바이어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다음에, 바이어와 서플라이어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시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역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신규 거래제의서, 컨설팅, 구매계약 및 사후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B2B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B2B 서비스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셀러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용 단말기로부터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는 송수신모듈;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셀러 등록 의뢰 신호에서 셀러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셀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기업등록모듈;
    견적 요청 화면을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바이어용 단말기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요청 화면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제품 견적 요청 신호로부터 소싱 제품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소싱 제품 정보를 견적 요청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준 다음에, 해당 견적 요청에 따른 정보를 포함한 견적 요청서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견적 요청서를 상기 송수신모듈로 전달한 후에, 견적 제출 화면을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셀러용 단말기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제출 화면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견적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준 다음에 상기 송수신모듈로 전달해 주는 제품견적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하는 셀러사이트분석모듈;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제품 검색 요청 신호에서 검색 제품을 확인하며, 확인된 검색 제품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여 수행된 제품 검색 결과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검색엔진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며,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엔진모듈을 최적화하는 검색엔진최적화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하며,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키워드를 선정하는 키워드선정모듈;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셀러사이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검색엔진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한 검색엔진 정보와 상기 키워드선정모듈에서 선정한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셀러사이트 정보를 수정하여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키는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하는 마케팅모듈; 및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의 검색 결과, 방문자 수, 신규 매출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셀러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용 단말기로부터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는 송수신모듈;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셀러 등록 의뢰 신호에서 셀러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셀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기업등록모듈;
    견적 요청 화면을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바이어용 단말기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요청 화면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제품 견적 요청 신호로부터 소싱 제품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소싱 제품 정보를 견적 요청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준 다음에, 해당 견적 요청에 따른 정보를 포함한 견적 요청서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견적 요청서를 상기 송수신모듈로 전달한 후에, 견적 제출 화면을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셀러용 단말기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제출 화면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견적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준 다음에 상기 송수신모듈로 전달해 주는 제품견적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하는 셀러사이트분석모듈;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제품 검색 요청 신호에서 검색 제품을 확인하며, 확인된 검색 제품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여 수행된 제품 검색 결과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검색엔진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며,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엔진모듈을 최적화하는 검색엔진최적화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하며,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키워드를 선정하는 키워드선정모듈;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셀러사이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검색엔진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한 검색엔진 정보와 상기 키워드선정모듈에서 선정한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셀러사이트 정보를 수정하여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키는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하는 마케팅모듈; 및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의 검색 결과, 방문자 수, 신규 매출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은,
    상기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파악하고, 방문 경로 및 링크를 분석하며, 분석된 셀러사이트 정보를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엔진최적화모듈은,
    최적화한 검색엔진모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 통보하며, 상기 검색엔진모듈에 대해서 URL 규칙 관리, 타이틀 및 디스크립션 문구 관리, 검색엔진 최적화 관련 소스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파악한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최적화시키고, 셀러사이트의 이미지, 타이틀 및 메타 태그를 최적화시키고,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분석한 방문 경로 및 링크를 최적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상기 검색엔진모듈, 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에서 내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키워드선정모듈에서 선정한 키워드를 활용하여 타이틀 및 메타 디스크립션 태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상기 검색엔진모듈, 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의 유입을 방해하는 플래시를 확인하여 제거하고, 제거된 플래시 대신에 텍스트 메뉴로 변경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방문자 분석기를 삽입시켜 방문자 경로, 셀러사이트 이용패턴을 분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은,
    푸터 텍스트 링크를 삽입시켜 상기 검색엔진모듈, 또는 방문자, 외부 검색엔진의 의 수집을 돕기 위한 중요 페이지 링크 및 키워드를 삽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11.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
    셀러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비즈 프로포절, 제품 등록, 수출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제시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셀러용 단말기;
    바이어 인콰이어리, 바잉 오퍼, 오더, 구매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바이어용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된 셀러용 단말기 또는 바이어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다음에, 바이어와 서플라이어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시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역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신규 거래제의서, 컨설팅, 구매계약 및 사후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B2B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B2B 서비스 제공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셀러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용 단말기로부터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는 송수신모듈;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셀러 등록 의뢰 신호에서 셀러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셀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기업등록모듈;
    견적 요청 화면을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바이어용 단말기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요청 화면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제품 견적 요청 신호로부터 소싱 제품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소싱 제품 정보를 견적 요청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준 다음에, 해당 견적 요청에 따른 정보를 포함한 견적 요청서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견적 요청서를 상기 송수신모듈로 전달한 후에, 견적 제출 화면을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셀러용 단말기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제출 화면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견적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준 다음에 상기 송수신모듈로 전달해 주는 제품견적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하는 셀러사이트분석모듈;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제품 검색 요청 신호에서 검색 제품을 확인하며, 확인된 검색 제품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여 수행된 제품 검색 결과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검색엔진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며,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엔진모듈을 최적화하는 검색엔진최적화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하며,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키워드를 선정하는 키워드선정모듈;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셀러사이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검색엔진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한 검색엔진 정보와 상기 키워드선정모듈에서 선정한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셀러사이트 정보를 수정하여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키는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하는 마케팅모듈; 및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의 검색 결과, 방문자 수, 신규 매출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셀러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용 단말기로부터 셀러 등록 의뢰 신호를 수신받는 송수신모듈;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셀러 등록 의뢰 신호에서 셀러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 정보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통해 기 설정된 기준 점수 이상인 셀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기업등록모듈;
    견적 요청 화면을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바이어용 단말기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요청 화면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제품 견적 요청 신호로부터 소싱 제품 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소싱 제품 정보를 견적 요청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준 다음에, 해당 견적 요청에 따른 정보를 포함한 견적 요청서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시킨 견적 요청서를 상기 송수신모듈로 전달한 후에, 견적 제출 화면을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상기 셀러용 단말기에 제공하여, 해당 견적 제출 화면에 의해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견적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준 다음에 상기 송수신모듈로 전달해 주는 제품견적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사이트를 확인하며, 확인된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접속된 셀러사이트를 분석하는 셀러사이트분석모듈;
    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수신받은 제품 검색 요청 신호에서 검색 제품을 확인하며, 확인된 검색 제품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여 수행된 제품 검색 결과를 상기 송수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검색엔진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셀러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며, 확인된 요구사항에 대응하여 상기 검색엔진모듈을 최적화하는 검색엔진최적화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셀러 정보 중 경쟁사 정보를 분석하여 셀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들을 조사하며, 조사된 주요 키워드들로부터 키워드를 선정하는 키워드선정모듈;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셀러사이트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검색엔진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한 검색엔진 정보와 상기 키워드선정모듈에서 선정한 키워드 정보를 이용하여 셀러사이트 정보를 수정하여 셀러사이트를 최적화시키는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를 홍보하는 사이트 홍보 마케팅을 수행하는 마케팅모듈; 및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서 최적화시킨 셀러사이트의 검색 결과, 방문자 수, 신규 매출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셀러사이트분석모듈은,
    상기 셀러사이트에 접속하여 셀러의 웹사이트 구조, 콘텐츠, 프로그래밍 요소를 파악하고, 방문 경로 및 링크를 분석하며, 분석된 셀러사이트 정보를 상기 셀러사이트최적화모듈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서버.
  15. 컴퓨터에 기록되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
    셀러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비즈 프로포절, 제품 등록, 수출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제시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셀러용 단말기;
    바이어 인콰이어리, 바잉 오퍼, 오더, 구매 문의 및 컨설팅, 견적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다수 개의 바이어용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된 셀러용 단말기 또는 바이어용 단말기를 확인한 후에, 셀러, 바이어, 셀러 인콰이어리, 바이어 인콰이어리, 셀링 오퍼, 바잉 오퍼, 구매, 판매실적과 관련된 정보와, 제품 정보와, 로그 관련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다음에, 바이어와 서플라이어가 원하는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를 구축시켜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역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신규 거래제의서, 컨설팅, 구매계약 및 사후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글로벌 B2B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임.
KR1020210134114A 2021-10-08 2021-10-08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30051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14A KR20230051362A (ko) 2021-10-08 2021-10-08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14A KR20230051362A (ko) 2021-10-08 2021-10-08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362A true KR20230051362A (ko) 2023-04-18

Family

ID=8610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114A KR20230051362A (ko) 2021-10-08 2021-10-08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136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843A (ko) 2002-09-02 2002-12-12 일공오이닷컴 주식회사 인터넷 검색엔진에서의 다자간 매치 마케팅 방법
KR20050019166A (ko) 2003-08-18 2005-03-03 (주) 디비코리아 검색시스템을 이용한 제휴마케팅 기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843A (ko) 2002-09-02 2002-12-12 일공오이닷컴 주식회사 인터넷 검색엔진에서의 다자간 매치 마케팅 방법
KR20050019166A (ko) 2003-08-18 2005-03-03 (주) 디비코리아 검색시스템을 이용한 제휴마케팅 기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420B1 (en) Website owner verific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US8224715B2 (en) Computer-based analysis of affiliate site performance
US20090076899A1 (en) Method for analyzing, searching for, and trading targeted advertisement spaces
CN102682389B (zh) 用于将信息从外部源提供到基于web的文档的方法和系统
US20070043583A1 (en) Reward driven online system utilizing user-generated tags as a bridge to suggested links
US20090182718A1 (en) Remote Segmentation System and Method Applied To A Segmentation Data Mart
US20100281364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Portable Universal Profile
US8620864B2 (en) Physical item data record creation via cloning a data object in an accessible collection
US201300733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king keywords with user profiling and item categories
CN103942702A (zh) 基于电子名片开展电子商务的系统和方法
KR100758024B1 (ko) 웹 사이트에서 중개를 통한 수익배분시스템 및 방법
US8065385B2 (en) Transferring information and records via a data structure for a physical item in the control of a user
US10523546B1 (en) Triggering supplemental channel communications based on data from non-transactional communication sessions
CN101206646A (zh) 一种自制购物引擎投放在博客论坛网站利益共享的方法
KR101645024B1 (ko)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070276720A1 (en) Indexing of a focused data set through a comparison technique method and apparatus
KR20200117668A (ko) 크로스크레딧 기반의 b2b2c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2394221B1 (ko) 온라인 벤더 운영 플랫폼
KR20230051362A (ko) 글로벌 b2b에서의 검색엔진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10096936A (ko) 검색 키워드를 이용한 오픈마켓 통합 관리 시스템
US20070226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reference data
CN117132331B (zh) 一种商城为用户提供促销整合提醒的方法
CN103975355A (zh) 用于通用跟踪系统的设备、系统和方法
KR20110106170A (ko)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컨텐츠의 판매 및 광고 중개 방법
CN107239261A (zh) 移动云建站系统软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