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142A -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 Google Patents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142A
KR20230050142A KR1020210133472A KR20210133472A KR20230050142A KR 20230050142 A KR20230050142 A KR 20230050142A KR 1020210133472 A KR1020210133472 A KR 1020210133472A KR 20210133472 A KR20210133472 A KR 20210133472A KR 20230050142 A KR20230050142 A KR 2023005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ttle
handle
detachable
structural character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문학
이화
Original Assignee
손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문학 filed Critical 손문학
Priority to KR102021013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0142A/en
Publication of KR2023005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1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23Holders for bottles facilitating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53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ly attachable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which comprises: a bottle body unit which receives liquid therein, and forms a space for storing the liquid; an arrangement frame unit which is provided in an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and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and a handle unit which has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is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Description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본 발명은 젖병의 몸체로부터 손잡이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일측이 하향 오목하게 형성되는 핸들과 오목한 내부에 체결되도록 하는 볼록한 몸체로부터 형성되는 트랩핑부를 통하여 핸들과 몸체가 체결되고 몸체의 구조적 특성을 통하여 핸들 체결이 유지되도록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a handle from the body of a baby bottle, and more specifically, the handle and the body are fastened through a trapping part formed from a handle having one side concave downward and a convex body fastening to the inside of the concave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bottle system for selectively attaching and detaching a handle through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a bottle so that a handle fastening is maintained through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a body.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발행한 월드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따르면 2014년 추정치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25명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것은 결과이다. According to The World Factbook published by the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Korea's total fertility rate was analyzed to be 1.25 as of 2014. This result is the low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저출산 원인 중 하나로는 여성의 사회적 진출 증가의 원인으로, 결혼 시기가 늦어지고, 결혼을 해도 육아 부담으로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One of the reasons for the low birthrate is the increase in women's social advancement, and the delay in getting married, and even if married, avoid childbirth due to the burden of raising children.

저출산 위기는 의류, 신발 및 전체 유아용품 업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고가 수입 브랜드 선호 및 해외직구 트랜드 등으로 유아용품 업계는 점점 설 곳을 잃어가고 있다. The low birth rate crisis is affecting the clothing, footwear, and entire baby product industries, and the baby product industry is gradually losing ground due to consumers' preference for expensive imported brands and overseas direct purchase trends.

대부분 온라인과 모바일을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등 엄마들의 소비 형태의 변화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발달로 브랜드의 가치와 제품의 혁신성 및 가치(가성비)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기업에서도 신속한 단점 보완과 제품 개발에 세심한 신경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Due to changes in mothers'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development of online communities, such as most of them purchasing products online and mobile, the value of brands and innovation and value (cost-effectiveness) of product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You will have to pay close attention to development.

또한, 기업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변화에 맞춰 차별화된 제품 개발과 끊임없는 시장 모니터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companies will need to develop differentiated products and constantly monitor the market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market.

시장 변화에 맞추어 당업계에서는 기존 젖병으로부터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In line with market changes, various technical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e industry to develop product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baby bottles.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분해조립이 편리한 실리콘 젖병(등록번호 제10-1610589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한다.)"가 존재한다. For example, there is a prior patent document “a silicone baby bottl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Registration No. 10-161058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의 경우, 몸체가 실리콘재질로 구성된 젖병의 입구를 손으로 눌러 좁혀준 뒤 경질의 홀더 내부로 끼워넣으면 좁혀진 입구가 쉽게 펼쳐지면서 홀더와 입구를 빠르게 원형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젖꼭지와 몸체를 분해 및 결합하기 쉬운 분해조립이 편리한 실리콘 젖병에 관한 것이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when the inlet of a baby bottle whose body is made of silicone is narrowed by hand and then inserted into a hard holder, the narrowed inlet is easily unfolded and the holder and the inlet can be quickly combin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nipple and the body can be formed. It relates to a silicone baby bottl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특허문헌1은 실리콘 재질의 몸체가 구비되고, 몸체의 입구가 끼워지는 홀더의 외주면에 볼트부가 형성되며, 젖꼭지를 갖는 체결부재의 내주면에는 볼트부에 체결되는 너트부가 형성되어 젖꼭지를 입구에 밀착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분해조립이 편리한 실리콘 젖병에 있어서, 입구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데, 각 돌출부는 중앙이 양단보다 돌출되고, 각 돌출부의 양단은 입구의 내주면과 일치되는 잘록부로 구성되어서 입구를 좁혀주면 각 돌출부들이 서로 좁혀지거나 또는 벌어지는 형태가 반복되면서 각 잘록부들이 최대로 압축 및 인장되면서 복원력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In Patent Document 1, a body made of silicon is provided, a bolt part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holder into which an inlet of the body is fitted, and a nut part fastened to the bolt part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astening member having a nipple, so that the nipple is closely coupled to the inlet. In a silicone baby bottle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so that it can be disassembled and assemble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radially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When the inlet is narrowed, each protruding part is compressed and stretched to the maximum as each protruding part is repeatedly narrowed or widened, and a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선행 특허문헌으로서"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등록번호 제10-1897663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도 존재한다.As a prior patent document, there is also a "straw-type baby bottle equipped with a backflow preventer (Registration No. 10-189766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2의 경우,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가 담긴 젖병몸체와, 젖병몸체의 목 내주연에 안착되는 역류방지체와, 젖병몸체와 역류방지체의 상부 선단에 안착되는 빨대형 젖꼭지 및 젖꼭지를 고정시키는 젖꼭지조임체로 이루어지고, 젖꼭지조임체로 잠금시 젖병의 내부의 급격한 온도 및 기압 변화로 발생되는 우유의 역류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젖병에 관한 것이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it relates to a straw-type baby bottle equipped with a backflow prevention body, and more specifically, a baby bottle body containing milk, a backflow prevention body seat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neck of the baby bottle body, and a baby bottle body and a backflow prevention body It consists of a straw-type nipple seated on the upper tip and a nipple clamp that fixes the nipple, and is equipped with a backflow preventer that prevents the backflow of milk caused by rapid temperature and air pressure changes inside the bottle when locked with the nipple clamp. it's about

또한 선행 특허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젖병(등록번호 제20-0451897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In addition, "baby bottle (Registration No. 20-045189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also exists as a prior patent document (registered utility model).

특허문헌3의 경우, 분유, 우유, 또는 모유 등의 내용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젖병이 소개된다. 이 젖병은 젖꼭지부, 젖병본체, 주머니부, 및 받침커버를 포함한다. 젖병본체는 상부에 젖꼭지부가 결합되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주머니부는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젖병본체에 내장되고, 받침커버는 젖병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주머니부의 하부를 지지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a baby bottle that allows contents such as powdered milk, milk, or breast milk to be easily discharged is introduced. This baby bottle includes a teat portion, a baby bottle body, a bag portion, and a base cover. The baby bottle body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which a teat part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a bag part is built into the baby bottle body to accommodate contents, and a support cover is mounted on the baby bottle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bag part.

아울러, "내용물 확인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젖병(등록번호 제20-0468266호, 이하 특허문헌4라 한다.)"도 선행 특허문헌(등록 실용신안)으로서 존재한다. In addition, "a stainless baby bottle capable of confirming the contents (Registration No. 20-046826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4)" also exists as a prior patent document (registered utility model).

특허문헌4의 경우, 내용물 확인이 가능한 스테인레스 젖병에 관한 것으로, 젖병몸체와 젖병몸체의 입구에 결합되는 젖꼭지로 구성되는 수유용 젖병에 있어서: 젖병몸체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되고, 젖병몸체의 하측은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개방되어 있으며, 젖병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젖병몸체의 개구를 막아서 젖병몸체에 있는 내용물이 흘러나오거나 새는 것을 막기 위한 투시창; 투시창이 젖병몸체의 개구를 막은 상태에서 투시창과 개구 사이로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투시창을 상방으로 압착하면서 젖병몸체의 하측에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환경호르몬이 없는 안전한 사용을 할 수 있고 동시에 젖병몸체가 스테인레스 재질이지만 내부를 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4, it relates to a stainless baby bottle in which contents can be confirmed, and in a nursing bottle composed of a baby bottle body and a nipple coupled to an inlet of the baby bottle body: the baby bottle body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lower side of the baby bottle body is an opening formed and open,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baby bottle body can be seen, and a see-through window for blocking the opening of the baby bottle body to prevent contents in the baby bottle body from flowing out or leak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member fasten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by bottle body while pressing the see-through window upward so that the contents do not leak between the see-through window and the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of the baby bottle body is blocked. It can be used and at the same time the bottle body is made of stainless steel, bu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e the inside.

등록번호 제10-1610589호Registration No. 10-1610589 등록번호 제10-1897663호Registration No. 10-1897663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1897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20-0451897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68266호Utility model registration number 20-0468266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젖병의 몸체로부터 핸들을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한다.First, the handle is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body of the baby bottle.

둘째, 젖병의 몸체에 체결되는 핸들이 젖병의 몸체로부터 유동되지 않으며, 핸들이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Second, the handle fastened to the body of the baby bottle does not flow from the body of the baby bottle, and the handle is fixed so that it is stably fastened.

셋째, 젖병에 체결된 핸들이 젖병의 몸체 구조로 인하여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Third, the handle fastened to the baby bottle maintains the fastened state due to the body structure of the baby bottle.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for the above problem to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액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보틀 보디 유닛(bottle body unit);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arrange frame unit); 및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핸들 유닛(handle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le body unit (bottle body unit) for forming a space for storing the liquid by receiving the liquid therein; an arrange frame unit provided on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a handle unit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selectively detachable from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단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아웃렛 유닛(outlet unit); 및 상기 보틀 보디 유닛과 상기 아웃렛 유닛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아웃렛 유닛의 상면과 상기 토출구를 커버하는 커버링 유닛(covering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outlet unit discharges the liquid contained in the bottle body un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top discharge port. ); and a covering unit provided on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outlet unit to cover the top surface of the outlet unit and the outle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몸체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제공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bottle body uni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ruded outward from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bottle body unit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aling portion providing a predetermined level difference from the body.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은,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공되며,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형성되어, 상기 핸들 유닛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트랩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rrangement frame uni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so that the handle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pping part that is selectively fastened.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핸들 유닛의 상단에 하향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상기 트랩핑부를 커버하여,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상기 핸들 유닛을 체결하는 커넥션부; 상기 커넥션부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핑부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 유닛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커넥션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핑부의 하면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 유닛의 상부 이동을 제어하는 바텀 블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handle uni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concave downward 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unit to cover the trapping part of the arrange frame unit, and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a connection unit fastening the handle unit; sidewall units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unit and pressuriz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trapping unit to contro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and a bottom blocking uni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and pressing a lower surface of the trapping unit to control an upper movement of the handle uni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트랩핑부는, 말단의 평균 너비가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몸체에 제공되는 일단의 평균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핸들 유닛이 상기 트랩핑부에 걸림으로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몸체에 홀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trapping par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verage width of an end wider than the average width of one end provided o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the handle unit i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hile being held by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by being hooked on the lapp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커넥션부는, 하향 오목한 상기 커넥션부의 타측의 내주면의 평균 너비가 상기 트랩핑부의 말단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상기 커넥션부의 타측의 내주면이 상기 트랩핑부의 말단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the average widt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downwardly concav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verag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trapping part, so that the conn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part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trapp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핸들 유닛의 상기 바텀 블로킹부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바텀 블로킹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부 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sealing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of the handle unit to provide a lower pressur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파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bottle body uni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body by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and is selectively separable from the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uch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는 관통홈을 복수 개로 구비하며, 상기 관통홈이 상기 보틀 보디 유닛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le body unit of the selectively detachable hand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penetra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through holes have a predetermin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intervals.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상기 트랩핑부는, 외주면에 소정의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월부는, 상기 트랩핑부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되, 상기 트랩핑부의 외주면 형성된 패턴과 상기 사이드월부에 형성된 기울어짐 각이 서로 스크레치되며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trapping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tterns form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idewall part has a pattern formed on the trapping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inclination angle is formed, but the patter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pping part and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in the sidewall part are scratch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보틀 보디 유닛의 몸체의 양측의 트랩핑부에 핸들 유닛이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First, the handle unit can be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trapping part on both sides of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둘째, 보틀 보디 유닛에 체결되는 핸들 유닛이 트랩핑부의 소정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트랩핑부의 내주면과 핸들 유닛의 오목한 부분이 접촉하여 체결된 상태가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Second, the handle unit fastened to the bottle body un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trapping unit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pping unit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handle unit contact each other so that the locked state is maintained.

셋째, 보틀 보디 유닛의 구조를 통하여 핸들 유닛에 압력을 제공하여 핸들 유닛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ird,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handle unit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ottle body unit so that the handle unit maintains a fastened stat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에 걸림턱부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핸들 유닛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핸들 유닛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 중 파우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트랩핑부와 커넥션부가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shows a bottle system with an optional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le system with an optional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locking jaw portion is formed on a handl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rangement fram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 frame unit and a handle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 frame unit and a handle unit of a selectively detachable handle bottle system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9 is a front view of a bottle body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pouch part of a bottle body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vering unit of a selectively detachable handle bottle system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trapping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에 걸림턱부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핸들 유닛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핸들 유닛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 중 파우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커버링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트랩핑부와 커넥션부가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shows a bottle system with an optional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le system with an optional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unit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locking jaw portion is formed on a handl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rangement frame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 frame unit and a handle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arrangement frame unit and a handle unit of a selectively detachable handle bottle system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9 is a front view of a bottle body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 pouch part of a bottle body unit of a bottle system with a selective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vering unit of a selectively detachable handle bottle system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trapping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보디 유닛(bottle body unit, 100),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arrange frame unit, 200), 핸들 유닛(handle unit, 300)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bottle body unit (100), an arrange frame unit (200), and a handle unit (handle unit, 300) may be included.

보틀 보디 유닛(100)의 경우, 액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In the cas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 space for storing the liquid is formed by accommodating the liquid therein.

보틀 보디 유닛(100)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bottle body unit 100 may form an empty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liquid.

도 1의 (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는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을 체결하는 체결부(102)가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b) and FIG. 8 , a fastening part 102 fastening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고,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는 체결부(102)와의 체결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3 ,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may be selectively separated or combined through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part 10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100 .

핸들 유닛(300)은,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양측에 제공되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양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The handle unit 300 has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can be selectively attached or detached from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핸들 유닛(300)은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는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혀진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The handle unit 300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as shown in FIGS. 1 to 4 , it may be provided in a bent form.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유닛(300) 중 상부는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소정의 굽혀짐을 형성하며 보틀 보디 유닛(100)까지 이어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1 to 4,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unit 30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form a predetermined ben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the bottle body unit ( 100) may be provided.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연결되는 핸들 유닛(300)의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체결되는 이외의 부분은 핸들링부(301)로 연결되어 제공되며, 핸들링부(301)는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handle unit 300 connecte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parts other than those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re provided connected to the handling part 301, and the handling part 301 is provided by the user as a handle. It is provided for use by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경우, 아웃렛 유닛(outlet unit, 400), 커버링 유닛(covering unit, 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utlet unit (outlet unit, 400) and a covering unit (covering unit, 500) may be further included.

아웃렛 유닛(400)의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어,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상단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 시키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outlet unit 400, it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liquid accommodate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discharge port.

아웃렛 유닛(4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outlet unit 40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또한, 아웃렛 유닛(400)은 자체적으로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unit 400 may itself have elasticity.

아웃렛 유닛(400)의 소정의 형상이라 함은, 하단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주면의 너비와 비등하게 제공되고, 상부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너비가 좁아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As for the predetermined shape of the outlet unit 400, the lower end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equal to tha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width may gradually decrease toward the top.

아웃렛 유닛(400)은 최상단에 액체가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let unit 400 may include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liquid is discharged at the top.

커버링 유닛(500)의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과 아웃렛 유닛(400)의 상단에 제공되어, 아웃렛 유닛(400)의 상면과 토출구를 커버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overing unit 500, it is provided on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outlet unit 400 to cover the top surface of the outlet unit 400 and the outlet.

커버링 유닛(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링부(501)와 제2커버링부(502)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covering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covering part 501 and a second covering part 502 .

제1커버링부(501)는 아웃렛 유닛(400)의 소정의 형성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아웃렛 유닛(400)을 접촉하며 커버하는 구성이다. The first covering portion 501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outlet unit 400 and contacts and covers the outlet unit 400 .

제2커버링부(502)는 제1커버링부(501)와 제2커버링부(50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제2커버링부(502)를 커버하는 구성이다. The second covering part 502 forms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first covering part 501 and the second covering part 502 and covers the second covering part 502 .

제1커버링부(501)와 제2커버링부(502)는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고,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서 액체가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커버링부(501)는 아웃렛 유닛(400)의 토출부와 접촉하여 토출부로부터 액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vering part 501 and the second covering part 502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prevent liquid from leak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ttle body unit 100. The covering part 501 is preferably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part of the outlet unit 400 to prevent liquid from leaking from the discharge part.

또한, 예컨대, 보틀 보디 유닛(100) 내부에 분말과 액체를 넣어 희석하는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과 아웃렛 유닛(400)의 분리가 필수적인데, 커버링 유닛(500)이 아웃렛 유닛(400)의 받침대로 사용되어, 아웃렛 유닛(4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adding powder and liquid to the insid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for dilution, separation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outlet unit 400 is essential. It is used as a support for the outlet unit 400 to prevent contamina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100)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보틀 보디 유닛(100)의 몸체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제공되며, 보틀 보디 유닛(100)의 상부에 몸체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제공하는 실링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ttle body unit 100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100 b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bottle body The unit 100 may include a sealing part 110 providing a predetermined level difference from the body on the upper par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보디 유닛(100)은 상부에 몸체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실링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the bottle body unit 100 may form a sealing part 110 forming a step from the body at the top.

실링부(110)의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외주면의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sealing part 11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은,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공되고,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형성되어, 핸들 유닛(300)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트랩핑(trapping)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s provided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formed, and may include a trapping part 210 for selectively engaging the handle unit 300 .

트랩핑부(210)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양측으로 외향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rapping part 210, as shown in FIG. 5,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on both sides.

트랩핑부(210)를 통하여 핸들 유닛(300)은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에 체결되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이 보틀 보디 유닛(100)에 고정됨으로 핸들 유닛(300) 또한 젖병의 몸체에 체결될 수 있다.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through the trapping part 210, and since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s fixed to the bottle body unit 100, the handle unit 300 is also attached to the body of the baby bottle. can be concluded.

트랩핑부(210)의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형상으로 외향 돌출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trapping part 210,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outward in a predetermined shap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핸들 유닛(300)은, 커넥션부(310), 사이드월부(320), 바텀 블로킹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unit 300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310, a side wall part 320, and a bottom blocking part 330.

먼저, 커넥션부(310)의 경우, 핸들 유닛(300)의 상단에 하향 오목하게 형성되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트랩핑부(210)를 커버하여,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핸들 유닛(300)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First,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unit 310, it is concave downwardly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unit 300 to cover the trapping unit 210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thus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the handle unit. It is a configuration that enables fastening of 3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션부(310)는 핸들 유닛(300)의 상부에서 하향 오목하게 제공되어, 핸들 유닛(300)의 상부는 하향 오목하게 개방된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connection unit 310 may be provided concave downward at the top of the handle unit 300, and the top of the handle unit 300 may be provided concave downward.

커넥션부(310)의 경우, 내주면은 소정의 형태로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접촉하는 일측의 내주면의 너비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의 너비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unit 31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form with a width of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and a corresponding width of the other si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커넥션부(310)의 경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에 체결되는 경우, 트랩핑부(210)를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connection unit 310 may cover the trapping unit 210 when 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

사이드월부(320)의 경우, 커넥션부(310)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트랩핑부(210)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핸들 유닛(30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idewall part 320, i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310 and presses both sides of the trapping part 210, so tha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can be controlled.

사이드월부(320)는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체결되는 경우, 트랩핑부(21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The sidewall portion 320 may press the sidewall of the trapping portion 210 when 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

사이드월부(320)의 경우, 트래핑부(210)의 측면 가압을 통하여, 핸들 유닛(30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며,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sidewall unit 320,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is controlled through side pressure of the trapping unit 210,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is restricte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is desirable

바텀 블로킹부(330)는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체결되는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트랩핑부(210)의 하면을 가압할 수 있다.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may pressurize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ping part 210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when 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

바텀 블로킹부(330)의 경우, 커넥션부(310)의 하면에 배치되어, 트랩핑부(210)의 하면을 가압하여, 핸들 유닛(300)의 상부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bottom blocking unit 330 ,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310 and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ping unit 210 to control the upper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

바텀 블로킹부(330)는 사이드월부(320)와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으로 사이드월부(320)는 커넥션부(310)의 측벽을 형성하며, 바텀 블로킹부(330)는 커넥션부(310)의 저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i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side wall part 320, and the side wall part 320 forms a side wall of th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310. is to form

또한, 바텀 블로팅부(330)는 트래핑부(210)의 상부 이동이 제한되도록 함을 통하여,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상부로 이동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blotting unit 330 restricts the upper movement of the trapping unit 210, so that the handle unit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oved upward and separated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커넥션부(310), 사이드월부(320), 바텀 블로킹부(330)는 모두 핸들 유닛(300)이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과 체결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rt 310, the side wall part 320, and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are all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handle unit 300 is fastened to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트랩핑부(210)는, 말단의 평균 너비가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몸체에 제공되는 일단의 평균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되며, 핸들 유닛(300)이 트랩핑부(210)에 걸림으로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몸체에 홀딩되어 제공될 수 있다. The trapping part 210 of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width of the end is formed wider than the average width of one end provided o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the handle The unit 300 may be provided while being held o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by being hooked on the trapping unit 21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핑부(210)는 소정의 형상으로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trapping part 21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n a predetermined shape.

소정의 형상의 경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의 몸체에 제공되는 일단은 너비가 좁게 형성되며, 어레인지 프레이 유닛(200)으로부터 멀어지는 말단의 경우는, 일단의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predetermined shape, one end provided to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s formed to be narrow in width, and in the case of an end away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width of one end.

즉,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가장 멀게 형성되는 말단의 제2트랩핑부(212)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가 넓게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trapping portion 212 at the end farthest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has a wide width.

또한, 트랩핑부(210)의 말단에 해당하는 제2트랩핑부(212)는 핸들 유닛(300)에 걸림을 제공하고, 핸들 유닛(300)이 트랩핑부(210)에 걸림으로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에 핸들 유닛(300)이 체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trapping part 212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trapping part 210 provides hooking to the handle unit 300, and the handle unit 300 is hooked to the trapping part 210, thereby arranging the frame.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handle unit 300 fastened and fixed to the unit 200 .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커넥션부(310)의 경우, 하향 오목한 커넥션부(310)의 타측의 내주면의 평균 너비가 트랩핑부(210)의 말단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커넥션부(310)의 타측의 내주면이 트랩핑부(210)의 말단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art 310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widt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downward concave connection part 310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rapping part 210.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wid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310 may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rapping unit 210 .

핸들 유닛(300)의 하향 오목한 커넥션부(310)의 내주면의 평균 너비가 트랩핑부(210)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에 대응하게 제공될 수 있다.The average widt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wnward concave connection portion 310 of the handle unit 300 may correspond to the averag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션부(310)의 형태는 트랩핑부(210)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와 대응되도록 제공되고,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200)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트랩핑부(210)의 넓은 너비와 커넥션부(310)의 내측의 타측의 너비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and 6, the shape of the connection part 31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average wid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pping part 210, and the trapping part is disposed farthest from the arrangement frame uni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e width of 210 and the width of the other inner side of connection unit 310 correspond to each other.

너비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트랩핑부(210)에 커넥션부(310)가 제공되어 체결되는 경우, 커넥션부(310)의 타측이 트랩핑부(210)의 말단이 외주면을 가압함으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on part 310 is provided and fastened to the trapping part 210 formed to correspond in wid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310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pping part 210 to maintain a fastened state. can keep

아울러, 커넥션부(310)의 내주면의 너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션부(310)의 상부는 h1의 너비로 형성되고, 하부는 h2의 너비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310 may have a width of h1 and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310 may have a width of h2.

커넥션부(310)의 상부의 너비(h1)는 하부의 너비(h2) 대비 좁게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1<h2).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h1 of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unit 310 is narrower than the width h2 of the lower part (h1<h2).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실링부(110)의 경우, 핸들 유닛(300)의 바텀 블로킹부(330)의 하면과 접촉하여, 바텀 블로킹부(33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ealing part 110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of the handle unit 300. The bottom pressure can be provided from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110)의 경우, 바텀 블로킹부(330)의 하면과 접촉되고, 실링부(110)는 바텀 블로킹부(330)에 하부 압력을 제공하여 핸들 유닛(300)이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in the case of the sealing part 110, it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and the sealing part 110 provides a lower pressure to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so that the handle It is to prevent the unit 300 from leaving the lower part.

실링부(110)는 몸체로부터 외향 돌출된 단차를 이용하여 바텀 블로킹부(330)의 하면을 압박하는 것으로, 보틀 보디 유닛(100)의 자체적인 구조를 통하여 핸들 유닛(300)의 이동을 제안하는 것이다. The sealing part 110 presses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330 by using a step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dy, sugges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itself.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100)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파우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ttle body unit 100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10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is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body. Possible pouch portion 120 may be includ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부(120)가 제공될 수 있는데, 파우치부(12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부에 제공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9 , a pouch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the pouch unit 120, as shown in FIG. 8, it is provide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또한, 파우치부(120)의 외주면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제공되고,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부에서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uch unit 12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liquid may be forme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파우치부(120)의 경우,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pouch unit 120,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

종래의 보틀 시스템의 경우, 보틀 내부의 액체 수유 시 보틀 내부의 공기를 과도하게 흡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 배기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원 발명의 파우치부(120)는 내부에 진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를 아웃렛 유닛(400)의 뒤쪽(즉, 파우치부(120)의 뒤쪽)으로 보내어 일정한 공기가 파우치부(120) 내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ottle system, an air exhaust device is generally required to prevent excessive intake of air inside the bottle when feeding liquid inside the bottle, but the pouch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cuum inside. This is to prevent air from being generated and send air to the back of the outlet unit 400 (ie, the back of the pouch 120) so that a certain amount of air can stay in the pouch 120.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보틀 보디 유닛(100)은, 보틀 보디 유닛(100)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는 관통홈(101)을 복수 개로 구비하며, 관통홈(101)이 보틀 보디 유닛(100)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bottle body unit 100 of the selectively detachable hand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1 penetrat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and the through holes 101 ) may be provided to the bottle body unit 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관통홈(101)의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의 외측에 제공되는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는 홈이 제공된다. In the case of the through groove 101, a groove passing through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ottle body unit 100 is provided.

관통하는 홈에 해당하는 관통홈(101)의 경우,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모양(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태)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모양은 제조 과정에 대한 사출, 성형 등의 과정에서 상이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through hole 10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s shown in FIGS. 1 and 8, it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eg, a diamond shape as shown in FIG. 8), The shape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form in the process of injection, molding, etc.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관통홈(101)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보틀 보디 유닛(100)은 사용자가 몸체를 그립하는 경우, 보틀 보디 유닛(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Due to the 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101, the bottle body unit 100 can prevent the bottle body unit 100 from slipping when the user grips the body.

아울러, 사용자는 관통홈(101)을 통하여 보틀 보디 유닛(100)의 내부 액체 양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체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liquid inside the bottle body unit 100 through the through hole 101 .

본 발명에 따른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의 트랩핑부(210)는, 외주면에 소정의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되, 사이드월부(320)는, 트랩핑부(210)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되, 트랩핑부(210)의 외주면 형성된 패턴과 사이드월부(320)에 형성된 기울어짐 각이 서로 스크레치되며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rapping part 210 of the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tterns form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ut the sidewall part 320 is trapping The same tilt angle as the pattern formed on the portion 210 may be formed, but the patter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and the tilt angle formed on the sidewall portion 320 may be scratch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핑부(21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며, 다수의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사이드월부(320)에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 a plurality of pattern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pping part 210 , and the same inclination angle as the plurality of 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part 320 .

기울어짐 각이 동일함으로 인하여 핸들 유닛(300)이 트랩핑부(210)에 제공되는 경우, 제공됨에 따라 서로 스크레칭(scratching)될 수 있다. When the handle units 300 are provided to the trapping part 210 due to the same inclination angle, they may scratch each other as they are provided.

예컨대, 트랩핑부(210)와 사이드월부(320)의 패턴이 서로 접촉하며 접촉한 패턴은 서로 압박을 지속하며 핸들 유닛(30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patterns of the trapping part 210 and the sidewall part 320 contact each other, and the contact patterns continue to press against each other so that the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is restricted.

지속적인 핸들 유닛(300)의 탈부착으로 인하여 커넥션부(310)와 트랩핑부(210)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헐거워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트랩핑부(210)와 사이드월부(320)의 패턴을 통하여 지속적인 탈부착에도 고정이 유지되며, 핸들 유닛(300)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ue to the continuous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handle unit 300,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310 and the trapping part 210, and looseness may occur. Through the pattern of 320,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fixation even during continuous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to limit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300.

커넥션부(310)의 내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부(311)가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걸림턱부(311)의 경우, 커넥션부(310)의 외향 돌출되어 제공되어 트랩핑부(210)를 가압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6, a locking jaw 31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310, and in the case of the locking jaw 311,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nnection unit 310 and is provided to trap the trapping unit ( 210) to pressurize so that it does not escape.

걸림턱부(311)는 트랩핑부(210)의 외주면을 가압하며, 지속적인 가압을 통하여 핸들 유닛(300)의 유격이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gaging jaw portion 311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pping portion 210, and it is preferable to prevent play or separation of the handle unit 300 through continuous pressing.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written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in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components. It should be.

100: 보틀 보디 유닛 101: 관통홈
102: 체결부 110: 실링부
120: 파우치부 200: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
201: 결합부 210: 트랩핑부
211: 제1트랩핑부 212: 제2트랩핑부
300: 핸들 유닛 301: 핸들링부
310: 커넥션부 311: 걸림턱부
320: 사이드월부 330: 바텀 블로킹부
400: 아웃렛 유닛 500: 커버링 유닛
501: 제1커버링부 502: 제2커버링부
100: bottle body unit 101: through groove
102: fastening part 110: sealing part
120: pouch unit 200: arrangement frame unit
201: coupling part 210: trapping part
211: first trapping unit 212: second trapping unit
300: handle unit 301: handling unit
310: connection part 311: locking jaw part
320: sidewall part 330: bottom blocking part
400: outlet unit 500: covering unit
501: first covering part 502: second covering part

Claims (10)

액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보틀 보디 유닛(bottle body unit);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arrange frame unit); 및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핸들 유닛(handle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a bottle body unit accommodating liquid therein and forming a space for storing the liquid;
an arrange frame unit provided on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It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includes a handle unit selectively detachable from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Detachable bott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단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아웃렛 유닛(outlet unit); 및
상기 보틀 보디 유닛과 상기 아웃렛 유닛의 상단에 제공되어, 상기 아웃렛 유닛의 상면과 상기 토출구를 커버하는 커버링 유닛(covering unit)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ystem,
an outlet uni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ttle body unit to discharge the liquid contained in the bottle body unit to the outside through an upper discharge port; and
A bottle with an optional detachable handle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vering unit provided on top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outlet unit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utlet unit and the outle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몸체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부에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의 단차를 제공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ttle body uni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aling portion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level difference from the body on the top of the bottle body unit. Optional detachable handle bott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은,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공되며,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형성되어, 상기 핸들 유닛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트랩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rrangement frame unit,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includes a trapping part for selectively fastening the handle unit. Detachable bottle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핸들 유닛의 상단에 하향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상기 트랩핑부를 커버하여,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과 상기 핸들 유닛을 체결하는 커넥션부;
상기 커넥션부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핑부의 양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 유닛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는 사이드월부; 및
상기 커넥션부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트랩핑부의 하면을 가압하여, 상기 핸들 유닛의 상부 이동을 제어하는 바텀 블로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andle unit,
a connection part concave downward at an upper end of the handle unit to cover the trapping part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fasten the arrangement frame unit and the handle unit;
sidewall units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unit and pressuriz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trapping unit to contro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handle unit; and
A bottle system with an optional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ottom blocking uni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and pr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apping unit to control the upper movement of the handle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핑부는,
말단의 평균 너비가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몸체에 제공되는 일단의 평균 너비 대비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핸들 유닛이 상기 트랩핑부에 걸림으로 상기 어레인지 프레임 유닛의 몸체에 홀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rapping unit,
The average width of the end is wider than the average width of one end provided o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unit is provided while being held on the body of the arrangement frame unit by being caught on the trapping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부는,
하향 오목한 상기 커넥션부의 타측의 내주면의 평균 너비가 상기 트랩핑부의 말단의 외주면의 평균 너비에 대응하여 제공되어, 상기 커넥션부의 타측의 내주면이 상기 트랩핑부의 말단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nection unit,
The average widt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downwardly concav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wid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rapping portion,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trapping portion. Optional detachable hand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핸들 유닛의 상기 바텀 블로킹부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바텀 블로킹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부 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aling part,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of the handle unit, to provide a lower pressur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상기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파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ttle body unit,
The optional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uch portion provided inside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bottle body unit and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은,
상기 보틀 보디 유닛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하는 관통홈을 복수 개로 구비하며, 상기 관통홈이 상기 보틀 보디 유닛에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ttle body unit,
A selective handle detachable bottle system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provi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le body unit, and the through hole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bottle body unit.




KR1020210133472A 2021-10-07 2021-10-07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KR202300501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472A KR20230050142A (en) 2021-10-07 2021-10-07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472A KR20230050142A (en) 2021-10-07 2021-10-07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142A true KR20230050142A (en) 2023-04-14

Family

ID=8594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472A KR20230050142A (en) 2021-10-07 2021-10-07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0142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97Y1 (en) 2008-05-08 2011-01-18 우복례 Nnursing bottle
KR200468266Y1 (en) 2012-11-28 2013-08-02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A Stainless steel Feeding bottle
KR101610589B1 (en) 2015-04-13 2016-04-07 신재곤 Disassembly and assembly is convenient silicone baby bottle
KR101897663B1 (en) 2017-06-07 2018-09-12 주식회사 실리캠 A nursing bottle of straw type with ventil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97Y1 (en) 2008-05-08 2011-01-18 우복례 Nnursing bottle
KR200468266Y1 (en) 2012-11-28 2013-08-02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A Stainless steel Feeding bottle
KR101610589B1 (en) 2015-04-13 2016-04-07 신재곤 Disassembly and assembly is convenient silicone baby bottle
KR101897663B1 (en) 2017-06-07 2018-09-12 주식회사 실리캠 A nursing bottle of straw type with ventil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8217A1 (en) Wearable fluid-dispensing apparatus
KR20060126350A (e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KR102061312B1 (en) Tumbler for child having holder case
US8550269B2 (en) Drink bottle and lid with cover for drink spout
US6019335A (en) Water and soda bottle holder
US8333299B2 (en) Leak resistant drinking cup
US20070175931A1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20160015603A1 (en) Infant Feeding System
KR101356390B1 (en) Silicone bottle
JP2006347580A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body with spout
TW201105276A (en) Leak resistant drinking cup and diaphragm therefor
KR20230050142A (en) System of detachable handle throug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ttle
CN211485901U (en) Breast pump and feeding set
CN218220710U (en) Passive milk collecting container
JP2004528907A (en) Fluid collection method using breast pump membrane and breast shield membrane cover
US20200222285A1 (en) Breast pump
US20110139740A1 (en) Feeding bottles
KR20230050141A (en) System for bottle forming subdivision space from double bottle cap
US20020108960A1 (en) Holder for a child&#39;s beverage cup
JP4822821B2 (en) Beverage container
CN210018787U (en) Novel flip cup
CN111434359A (en) Breast pump
CN215903547U (en) Robot cabin
US20050087551A1 (en) Drinking bladder
JP2006062732A (en) Beve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