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430A -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 Google Patents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430A
KR20230049430A KR1020210132582A KR20210132582A KR20230049430A KR 20230049430 A KR20230049430 A KR 20230049430A KR 1020210132582 A KR1020210132582 A KR 1020210132582A KR 20210132582 A KR20210132582 A KR 20210132582A KR 20230049430 A KR20230049430 A KR 20230049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bodily fluid
microneedle
capillar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현
송인혁
임흥섭
최홍식
박철순
김훈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21013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430A/ko
Publication of KR2023004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4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77Arrays of piercing elements for simultaneous piercing
    • A61B5/150984Microneedles or micro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61B5/14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 A61B5/14514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for interstitial fluid using means for aiding extraction of interstitial fluid, e.g. microneedles 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배치되되, 상기 일 면과 이에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 각각의 내부와 연통하는 복수 개의 제1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각각의 내부로 유입된 체액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와 접하는 일 면과 이에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상기 제1통로 각각으로부터 이어지며 말단에서 하나로 모이는 제2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통로를 통해 상기 제1통로 내부로 유입된 상기 체액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되, 상기 제2통로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통로를 따라 유동한 상기 체액을 분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capilary connected microneedle array}
본 발명은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니들 각각을 통해 유입되는 체액의 유동 경로 말단이 하나로 연결되고, 하나로 연결된 체액 유동 경로 말단에 센서가 연결됨으로써 마이크로 니들을 통한 체액의 추출 및 센서를 통한 체액의 분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센서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질병의 치료 또는 검사 등을 목적으로 약물의 주입 또는 혈중 바이오마커의 추출이 실시되고 있다.
이때, 약물 주입 또는 혈중 바이오마커 추출은 환자 피부에 삽입되는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바, 해당 분야에서는 의료용 니들(이하, '니들'이라 함)을 이용하여 약물 주입 또는 간질액, 혈중 바이오마커 추출을 실시하고 있다.
여기서, 니들은 선단이 뾰족한 침 형태인바, 가압을 통해 간단히 피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피부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에 연결되는 주사기의 피스톤 작동을 통해 가압 또는 감압함으로써 약물의 주입 또는 혈중 바이오마커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일반 니들은 두께 및 길이가 상당하므로 약물 주입 또는 혈중 바이오마커 추출시 통증 유발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공포감 유발이 상당하므로 환자들이 치료 및 검사에 부담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약물 주입 또는 혈중 바이오마커 추출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9944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각종 형태의 마이크로 니들이 이용되고 있다.
마이크로 니들은 일반 니들에 비해 그 길이가 월등히 짧을 뿐만 아니라 특히 그 두께가 수백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하므로 일반 바늘을 이용하여 약물 주입 또는 혈중 바이오마커 추출을 실시할 때에 비해 통증 유발 및 공포감 유발을 줄일 수 있으므로 환자들이 치료 및 검사에 부담을 덜 수 있어 그 이용이 늘고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배치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서 마이크로 니들 각각에는 모세관이 연결됨으로써 피부에 삽입된 각 마이크로 니들의 중공을 통해 유입되는 혈중 바이오마커, 예컨대 체액이 모세관을 따라 유동하게 되며, 모세관 각각은 센서에 연결됨으로써 모센관을 따라 유동한 체액이 센서에 미침에 따라 체액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보고(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5(18):201716772)에 따르면 마이크로 니들 한 개당 추출되는 간질액은 20 min 동안 1μl 미만으로 매우 적다.
따라서 마이크로 니들에 센서를 결합하는 경우 센서가 검출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체액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단위 면적당 니들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나 마이크로 니들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못 침대 효과에 의해 마이크로 니들 한 개에 가해지는 힘이 줄어들어 피부를 침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서 마이크로 니들에 각각 형성된 모세관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각 모세관으로 흡수된 체액이 센서의 각 부분에 고르게 배이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결과적으로 체액 추출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못 침대 효과를 상쇠하고 모세관의 개수를 증가하게 되면 모세관과 접하는 센서의 면적도 증가해야하므로 센서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제품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마이크로 니들을 통한 체액의 추출 및 센서를 통한 체액의 분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센서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99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마이크로 니들을 통한 체액의 추출 및 센서를 통한 체액의 분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센서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배치되되, 상기 일 면과 이에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 각각의 내부와 연통하는 복수 개의 제1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각각의 내부로 유입된 체액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와 접하는 일 면과 이에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상기 제1통로 각각으로부터 이어지며 말단에서 하나로 모이는 제2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통로를 통해 상기 제1통로 내부로 유입된 상기 체액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되, 상기 제2통로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통로를 따라 유동한 상기 체액을 분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를 제안한다.
상기 제1통로 및 제2통로는 100~300㎛ 직경의 모세관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은, 말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하며 점차로 뾰족해지게 형성되는 날개를 구비하는 촉부; 및 상기 촉부 말단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이어지게 형성되어 유체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모세관을 구비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는 상기 날개 어느 하나의 일 면과 다른 하나의 일 면이 서로 맞대지는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의 상기 모세관은 상기 홈과 연통한다.
상기 촉부의 상기 날개는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의 상기 모세관은 단일로 형성되어 상기 홈 모두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의 상기 모세관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상기 홈 어느 하나와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는, 몸체 일 면과 다른 일 면 사이에 마이크로 니들 각각의 내부와 연통하는 복수 개의 제1통로가 형성되고, 지지체 일 면과 다른 일 면 사이에 제1통로와 이어지되 말단에서 하나로 모이는 복수 개의 제2통로가 형성되는바, 각 마이크로 니들로 유입된 체액이 몸체에 형성된 제1통로 각각 및 지지체에 형성된 제2통로 각각을 따라 유동할 수 있으므로 체액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체액 추출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는, 체액 분석을 위한 센서가 복수 개 갈래로 이어지다 하나로 모이는 제2통로 말단에 배치되는바, 상대적으로 단시간 내에 센서 각 부분에 고르게 체액이 배어들게 되므로 센서를 통한 체액 분석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는, 각 마이크로 니들이 날개를 구비하는 촉부; 및 촉부 말단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되, 모세관을 구비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바, 촉부의 날개에 의해 피부 내측으로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둥부의 모세관에 의해 각 마이크로 니들 내에서 체액의 유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마이크로 니들을 통한 체액 추출이 더욱 원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서 체액의 유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서 마이크로 니들의 일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서 마이크로 니들 일 형태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서 마이크로 니들의 기둥부에 형성된 모세관이 복수 개로 마련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서 마이크로 니들의 기둥부에 형성된 모세관이 단일로 마련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에서 마이크로 니들의 촉부에 형성된 날개 개수가 증가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A)는, 몸체(100); 지지체(200); 및 센서(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몸체(100)는, 일 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니들(110)이 배치되되, 일 면과 이에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마이크로 니들(110) 각각의 내부와 연통하는 복수 개의 제1통로(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체액 추출 대상의 피부 내측으로 삽입된 마이크로 니들(110) 각각의 내부로 유입된 체액이 제1통로(120) 각각을 따라 상호 간의 간섭 없이 유동할 수 있다.
이때, 몸체(100)에 형성되는 제1통로(120)는 100~300㎛ 직경의 모세관임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1통로(120)를 통한 체액 유동이 원활할 수 있다.
한편, 몸체(100)에서 마이크로 니들(110)은, 촉부(111); 및 기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 니들(110)의 촉부(111)는 말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하며 점차로 뾰족해지게 형성되는 날개(111a)를 구비함으로써 날개(111a)에 의해 체액 추출 대상의 피부 내측으로 원활히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촉부(111)의 날개(111a)는, 단일(도면상 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 면과 다른 하나의 일 면이 서로 맞대지는 부위를 따라서는 홈(111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촉부(111)가 체액 추출 대상의 피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날개(111a) 사이의 홈(111b)을 통해 체액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복수 개로 마련되는 날개(111a)는, 개수에 제한이 없으며,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날개(111a) 사이에 형성되는 홈(111b) 각각을 통한 체액의 유동이 원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복수 개의 날개(111a)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4개 이외에 2개, 3개, 5개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촉부(111)의 홈(111b)은 각진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홈(111b)은 각진 형태 외에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마이크로 니들(110)의 기둥부(112)는, 촉부(111) 말단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이어지게 형성되는 모세관(112a)을 구비함으로써 모세관(112a)에 의해 유체, 즉 체액의 유동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홈(111b)을 통해 기둥부(112)로 유입되는 체액이 모세관(112a)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때, 모세관(112a)은 홈(111b)과 연통,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홈(111b) 어느 하나와 연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로 형성되어 홈(111b) 모두와 연통할 수 있다.
모세관(112a)이 단일로 형성되면 개방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어 체액의 추출이 원활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세관(112a) 형성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기둥부(112)에 형성되는 모세관(112a)은 약 240㎛ 정도의 단일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체액의 추출이 원활하도록 충분히 크게 만들 수 있으며, 모세관(112a)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촉부(111)에는 영향이 없다.
그리고 마이크로 니들(110)의 기둥부(112)의 둘레는 사각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둥부(112)의 둘레는 사각 형태 외에 삼각형, 육각형, 원형 등의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지지체(200)는, 몸체(100)에 결합되되, 몸체(100)와 접하는 일 면과 이에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제1통로(120) 각각으로부터 이어지며 말단(몸체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길이 방향 일단)에서 하나로 모이는 제2통로(2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통로(120) 각각의 내부로 유입된 체액이 제2통로(210) 각각을 따라 상호 간의 간섭 없이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체(200)에 형성되는 제2통로(210)는 100~300㎛ 직경의 모세관임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2통로(210)를 통한 체액 유동이 원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300)는, 지지체(200)에 결합되되, 제2통로(210)의 말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통로(210)를 따라 유동하는 체액이 센서(300)에 고르게 배임에 따라 체액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센서(300)의 폭(W1)은 제1통로(120)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 사이의 폭(W2)에 비해 크고 최전방 제1통로(120)와 최후방 제1통로(120) 사이의 폭(W3)에 비해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2통로(210)를 따라 유동하는 체액이 센서(300) 각 부위에 고르게 배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300)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센서(300)는 체액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센서(3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A)를 통한 체액 추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지지체(200)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100)는 일 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니들(110)이 배치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니들(110)이 체액 추출 대상의 피부에 삽입됨으로써 체액 추출 대상으로부터 체액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몸체(100)는 마이크로 니들(110)이 배치되는 일 면과 이와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마이크로 니들(110) 각각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1통로(120)가 형성되고, 지지체(200)는 일 면과 이와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제1통로(120) 각각에 이어지는 제2통로(210)가 형성되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마이크로 니들(110)을 통해 유입되는 체액이 제1통로(120) 각각을 따라 상호 간의 간섭 없이 유동할 수 있고, 각 제1통로(120) 내부로 유입되는 체액이 제2통로(210) 각각을 따라 상호 간의 간섭 없이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지지체(200)에는 센서(300)가 배치되는바, 제2통로(210)를 따라 유동한 체액이 센서(300)에 배이게 되므로 센서(300)에 의해 체액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순서로 진행되는 체액 추출 및 분석 과정에서 제1통로(120) 및 제2통로(210)에서의 체액 유동이 더뎌지거나 센서(300)에의 체액 배임이 더뎌지게 되면 전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1통로(120) 및 제2통로(210)는 100~300㎛ 직경의 모세관인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제1통로(120) 및 제2통로(210)에서의 유체 유동이 비교적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센서(300)는 특히 다갈래로 이어지다 하나로 모이는 제2통로(210)의 말단에 배치되는바, 제2통로(210) 각각을 따라 유동하는 체액이 센서(300) 각 부위에 비교적 단 시간 내에 고르게 배이게 되어 센서(300)를 통한 체액 분석이 비교적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체액 추출 및 분석에 소요되는 전체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때, 센서(300)는 그 폭(W1)이 제1통로(120)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 사이의 폭(W2)에 비해 크고 최전방 제1통로(120)와 최후방 제1통로(120) 사이의 폭(W3)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는바, 제2통로(210)를 따라 유동하는 체액이 각 부위에 고르게 배이면서도 그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제품, 즉 본 발명에 의한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몸체(100)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니들(1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111a)를 구비하는 촉부(111); 모세관(112a)을 구비하는 기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촉부(111)의 날개(111a)는 말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하며 점차로 뾰족해지게 형성되는바, 촉부(111) 선단, 더욱 구체적으로 날개(111a) 선단이 체액 추출 대상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압됨으로써 간단히 피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촉부(111)의 날개(111a)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날개(111a) 사이로는 홈(111b)이 형성될 수 있는바, 홈(111b)을 통해 체액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체액의 추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날개(111a)는 그 개수에 제한이 없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111a)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홈(111b) 개수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홈(111b)을 통한 체액의 유동이 배가될 수 있다.
그리고 촉부(111)에는 모세관(112a)을 구비하는 기둥부(112)가 연결되는바, 모세관(112a)에 의해 촉부(111)로부터 기둥부(112)로 체액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둥부(112)의 모세관(112a)은 촉부(111)의 홈(111b)과 연통할 뿐만 아니라 몸체(100)에 형성된 제1통로(120)와 연통함으로써 기둥부(112)의 모세관(112a)을 따라 유동하는 체액이 몸체(100)의 제1통로(12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몸체
110 : 마이크로 니들
111 : 촉부
111a : 날개
111b : 홈
112 : 기둥부
112a : 모세관
120 : 제1통로
200 : 지지체
210 : 제2통로
300 : 센서
A :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W1 : 센서의 폭
W2 : 제1통로 어느 하나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 사이의 폭
W3 : 최전방 제1통로와 최후방 제1통로 사이의 폭

Claims (6)

  1. 일 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배치되되, 상기 일 면과 이에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 각각의 내부와 연통하는 복수 개의 제1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니들 각각의 내부로 유입된 체액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와 접하는 일 면과 이에 마주하는 다른 일 면 사이에 상기 제1통로 각각으로부터 이어지며 말단에서 하나로 모이는 제2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통로를 통해 상기 제1통로 내부로 유입된 상기 체액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되, 상기 제2통로의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통로를 따라 유동한 상기 체액을 분석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 및 제2통로는 100~300㎛ 직경의 모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은, 말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하며 점차로 뾰족해지게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일 면과 다른 하나의 일 면이 서로 맞대지는 날개 사이로 구비하는 촉부; 및 상기 촉부 말단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 일단과 타단 사이에 이어지게 형성되어 유체 유동 경로를 제공하는 모세관을 구비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는 상기 날개 어느 하나의 일 면과 다른 하나의 일 면이 서로 맞대지는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의 상기 모세관은 상기 홈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상기 모세관은 단일로 형성되어 상기 홈 모두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상기 모세관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이 상기 홈 어느 하나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KR1020210132582A 2021-10-06 2021-10-06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KR202300494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582A KR20230049430A (ko) 2021-10-06 2021-10-06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582A KR20230049430A (ko) 2021-10-06 2021-10-06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430A true KR20230049430A (ko) 2023-04-13

Family

ID=8597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582A KR20230049430A (ko) 2021-10-06 2021-10-06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94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944A (ko) 2013-06-13 2016-02-22 마이크로데믹스 인코퍼레이티드 금속 마이크로니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944A (ko) 2013-06-13 2016-02-22 마이크로데믹스 인코퍼레이티드 금속 마이크로니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0151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およびチップ
EP2275164A1 (en) Multichannel micro-needles
Miller et al. Microneedle-based sensors for medical diagnosis
US9579087B2 (en) Flexible biopsy needle
US10524730B2 (en) Medical devices with microneedle arrays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medical devices
EP2200684B1 (en) Injection apparatus for making an injection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skin
EP2926857B1 (en) Catheter
US20080065130A1 (en) Elastomeric toroidal ring for blood expression
CN1984603A (zh) 多尖穿刺针
KR20080051342A (ko) 마이크로니들 기기 및 이의 응용방법
JP2005537893A (ja) 表皮への物質の送出方法および装置
US20080058726A1 (en) Methods and Apparatus Incorporating a Surface Penetration Device
KR20170108049A (ko)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사용 방법
JP3345317B2 (ja) 内視鏡用注射具
KR20230049430A (ko) 모세관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EP3128914A1 (en) Device for biosensing with indwelling venous catheter
JP6921490B2 (ja) ガイドワイヤールアーハブ
KR20230005648A (ko) 화살촉 모양의 끝을 갖는 관형 마이크로 니들
Mukerjee et al. Microneedle array with integrated microchannels for transdermal sample extraction and in situ analysis
CA3071017A1 (en) A suction applying device, an apparatus for sampling a bodily fluid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component in a bodily fluid
Zhang et al. Microneedle arrays for drug delivery and fluid extraction
KR102244503B1 (ko) 생검용 니들셋
KR20240010191A (ko) 마이크로 니들 및 마이크로 니들 어레이
US20180256086A1 (en) Microneedle Device for Interstitial Fluid Extraction
JP2019097656A (ja) マイクロニードル穿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