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322A -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322A
KR20230049322A KR1020210132309A KR20210132309A KR20230049322A KR 20230049322 A KR20230049322 A KR 20230049322A KR 1020210132309 A KR1020210132309 A KR 1020210132309A KR 20210132309 A KR20210132309 A KR 20210132309A KR 20230049322 A KR20230049322 A KR 20230049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pe
switch
heigh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숙
Original Assignee
박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숙 filed Critical 박현숙
Priority to KR102021013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322A/en
Publication of KR2023004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09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balls or rollers urged by an axial displacement of a wedge or a conical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V bar height adjust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IV bar that holds an IV fluid on the top, the IV bar height adjustment device allows mounting and easy replacement of the IV flui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a handle frame; a switch frame; and a fixing means.

Description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

본 발명은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거액을 상부에 걸어서 고정하는 링거대, 운동기구와 같이 임의적인 길이조절이 필요한 파이프형 길이조절 기구의 높이를 손쉽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파이프형 길이조절기구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pipe-type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can easily and freely adjust the height of a pipe-type length adjustment mechanism that requires arbitrary length adjustment, such as an intravenous ringer stand for fixing by hanging Ringer's liquid on top and an exercise device. It relates to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pipe-type length adjusting mechanism.

링거액을 주기적으로 교체하기 위해 길이조절이 필요한 링거대, 유저의 체형에 따라 길이조절이 필요한 운동기구와 같이 상황이나 인체 특성에 따라 길이조절이 필요한 파이프형 기구에는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한다.Pipe-type devices that require length adjustment according to circumstances or human body characteristics, such as ringer rods requiring length adjustment to periodically replace Ringer's solution and exercise equipment requiring length adjustmen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are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그러나, 종래의 높이 조절장치는 단순히 2개의 파이프 사이에 관통공을 통해 나사를 조여서 높이를 고정하고,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 나사를 푼 상태에서 파이프의 높이를 조절한 후 해당 관통공에 나사를 조여서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height adjusting device fixes the height by simply screwing a screw through a through hole between two pipes, and if height adjustment is required, adjust the height of the pipe while unscrewing the screw, and then tighten the screw into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is mainly used.

예를 들어 링거대의 경우 종래의 링거대는 파이프가 상단 파이프와 하단 파이프로 분리 구성되고, 높이 조절 나사를 구비하여 상기 높이 조절 나사를 푼 상태에서 파이프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높이 조절 나사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ringer, the conventional ringer is composed of a pipe separated into an upper pipe and a lower pipe, and has a height adjustment screw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ipe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screw is loosened, and then fixing the height adjustment screw You can adjust the height in this way.

그러나, 종래의 링거대 높이 조절 방식은 나사를 풀었다 다시 조이는 방식으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링거액 교체를 위한 파이프의 높이 조절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Ringer stand height adjustment method is very cumbersome by unscrewing and re-tightening the screw, and both hands must be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ipe for replacing the Ringer solution is very cumbersome.

이에 따라, 다수의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 입장에서 링거액을 교체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간호 업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since it takes a lot of time to replace the Ringer's s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nurse who cares for a large number of patien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nursing work efficiency is reduced.

뿐만 아니라, 사람의 키, 체형에 따라 높이(또는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운동기구의 경우에도 높이 또는 길이조절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exercise equipment that needs to be adjusted in height (or length) according to a person's height and body shape, height or length adjustmen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손쉬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특히 링거액을 상부에 걸어서 고정하는 링거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링거액의 거치 및 손쉬운 교체가 가능한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pipe-type mechanism that can be easily adjusted in height with a one-touch metho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inger's stand, which allows the mounting and easy replacement of the Ringer's liquid by adjust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는 파이프형 기구의 파이프가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 사이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외주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아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 프레임과; 상기 핸들 프레임 상부에 결합되어 핸들 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된 잠금모드와 핸들 프레임이 상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열림모드로 스위칭하는 스위치 프레임과; 상기 핸들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의해 잠금 또는 열림으로 전환되고 열림상태에서 상기 핸들 프레임의 조절된 높이를 고정하여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pipe-ty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ipe of the pipe-type device is separated into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a main frame coupl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 handle fram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fram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by holding it by hand; a switch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frame to switch between a locked mod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handle frame is fixed and an open mode in which the handle frame can freely move up and dow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le frame, switched to locked or opened by the switch frame, and converting to the locked state by fixing the adjusted height of the handle frame in the open state.

상기 메인 프레임은 속빈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상단에 상기 제 1 파이프와 결합되는 파이프 체결부와; 상기 파이프 체결부 하단에 형성된 스위치 고정부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부에 핸들 프레임과 스위치 프레임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에 제 1 파이프가 결합되고 외주에 핸들 프레임과 스위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속빈 내부를 통해 제 2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파이프가 메인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파이프내로 삽입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frame is composed of a hollow pipe shape, and a pipe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pipe at an upper end; a switch fixing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ipe fastening part; A frame coupling portion in which a handle frame and a switch frame ar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witch fixing portion; The main frame has a first pipe coupled to the top and a second pipe inserted through a hollow inside in a state where the handle frame and the switch frame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second pipe penetrates the main frame into the first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adjusted while being inserted.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 외부와 스위치 프레임 내부 공간에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메인 프레임 외부에 형성된 한쌍의 볼 홈과; 상기 볼 홈에 결합되는 한쌍의 볼과; 상기 스위치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걸림 턱과; 제 2 파이프 외주에 복수 개로 구성된 한쌍의 고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ixing means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med outside the main frame and inside the switch frame; a pair of ball grooves formed outside the main frame 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a pair of balls coupled to the ball groove; a locking jaw formed inside the switch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ir of fixing groov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pe.

상기 스위치 프레임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 프레임 내부의 걸림 턱이 상기 볼을 가압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볼이 상기 볼 홈가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볼이 상기 볼 홈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볼이 제 2 파이프에 형성된 고정 홈에 맞닿으면서 고정되면서 스위치 프레임이 잠금 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스위치 프레임을 상부로 밀면 상기 스위치 프레임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프레임을 손쉽게 상부로 밀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 프레임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걸림 턱이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볼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제 2 파이프에 형성된 고정 홈에 맞닿았던 볼이 이탈하면서 고정이 해제되어 핸들프레임이 상하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열림 상태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핸들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스위치 프레임을 원위치인 하부로 이동시키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switch frame is in a locked state, the locking jaw inside the switch frame is in a state of pressing the ball, the ball is seated in the ball groove, and in this state, the ball protrudes into the ball groove, The switch frame is in a locked state while the ball abuts and is fixed in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ipe; When the switch frame is pushed upward, the switch frame can be easily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located in the switch frame. As the switch frame moves upward, the hooking jaw is pushed upward and the ball is pressed. While being released, the fixation is released while the ball that came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ipe is released, and the handle frame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in which the handle frame can move freely up and down; In this state, after adjusting the height by moving the handle frame up and down, when the switch frame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ower part, the height is fixed in the adjusted state and converted into a locked stat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는 유저가 한손으로 핸들프레임을 잡은 후에 엄지손가락을 이용해서 스위치 프레임을 상부로 밀어서 잠금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시킨 후 핸들프레임을 원하는 높이로 상하이동시켜 링거대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엄지손가락을 이용해서 스위치 프레임을 원위치인 하부로 밀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열림상태에서 잠금상태로 전환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링거대와 같은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또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pipe-typ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ser grabs the handle frame with one hand, pushes the switch frame upward using the thumb to switch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open state, and then moves the handle frame to the desired position. Afte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nger stand by moving it up and down, if you push the switch frame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ower part, using your thumb, the height is adjusted and the open state is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The height or length of the instrument can be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링거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프레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대 높이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도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infusion stand equipped with an infusion stand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inger table height adjusting device of Figure 1.
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 switch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inger st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기구는 링거대, 운동기구와 같이 상황이나 체형에 따라 높이나 길이 조절이 필요한 기구를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파이프형 기구 중 링거대의 높이 조절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pipe-ty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including instruments that require height or length adjustment according to situations or body shapes, such as ringers and exercise machine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n intravenous ringer of pipe-type instruments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링거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a ringer stand equipp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inger stand height adjusting device of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링거대는 링거대 파이프(20)와 상기 링거파이프 상단에 형성된 링거 후크(30)와 상기 링거 파이프 하단에 형성된 받침대(40)와 상기 링거 파이프 중단에 형성된 링거대 손잡이(50)와 상기 링거 후크와 링거대 손잡이 사이에 형성된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ri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er base pipe 20, the ringer hook 30 formed at the top of the ringer pipe, the pedestal 4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inger pipe, and the ringer pipe formed at the stop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inger bar handle 50 and an ringer bar height adjusting device 10 formed between the ringer hook and the ringer bar handle.

상기 링거 후크(30)는 링거대 파이프 최상단에 형성되어 링거액의 관을 걸 수 있도록 고리가 상부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inger hook 30 may include at least one hook formed at the top of the Ringer pipe and having a ring pointing upward so as to hang the pipe of Ringer's solution.

상기 링거대 파이프(20)는 상단 파이프(210)와 하단 파이프(22)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하단 파이프(22) 상단에 상기 링거대 손잡이(50)가 결합된다.The ringer rod pipe 2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n upper pipe 210 and a lower pipe 22, and the ringer rod handle 5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ipe 22.

그리고 필요에 따라 링거대 파이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나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screw 60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ringer band pipe 20 as needed.

상기 링거대 손잡이(50)는 환자가 링거액이 거치된 링거대를 잡고서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링거대 손잡이에는 각종 의료 소품 등을 담을 수 있는 용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ringer stand handle 50 serves as a handle that allows the patient to hold and move the ringer stand on which the ringer liquid is placed, and a container for holding various medical accessories may be formed on the ringer stand handle.

상기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10)는 상기 상기 링거대 파이프(20의 상단 파이프(210)에 형성될 수 있다.The ringer stand height adjusting device 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ipe 210 of the ringer stand pipe 20.

상기 상단 파이프(210)는 링거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에 형성된 제1 파이프와 상기 제 1 파이프(211) 상부에 연결된 제 2 파이프(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upper pipe 210 may include a first pipe formed at a lower portion and a second pipe 212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pe 211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inger bar.

상기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10)는 제 1 파이프(211)와 제 2 파이프(212) 사이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110)과 상기 메인 프레임 외주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아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 프레임(120)과 상기 핸들 프레임 상부에 결합되어 핸들 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된 잠금모드와 핸들 프레임이 상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열림모드로 스위칭하는 스위치 프레임(130)과 상기 핸들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에 의해 잠금 또는 열림으로 전환되고 열림상태에서 상기 핸들 프레임의 조절된 높이를 고정하여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고정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inger stand height adjusting device 1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110 coupled between the first pipe 211 and the second pipe 212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frame, so that the handle frame can be held by hand to adjust the height. 120 and the switch frame 1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frame to switch between a locked mod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handle frame is fixed and an open mode in which the handle frame can move freely up and down, and a switch frame formed inside the handle frame to switch the switch fram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means 140 that is switched to lock or open by 120 and converts to the locked state by fixing the adjusted height of the handle frame in the open state.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속빈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상단에 상기 제 1 파이프와 결합되는 파이프 체결부(111)와 상기 파이프 체결부 하단에 형성된 스위치 고정부(112)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부에 핸들 프레임(120)과 스위치 프레임(130)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and has a pipe fastening part 111 coupled to the first pipe at the top, a switch fixing part 11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ipe fastening part, and a lower part of the switch fixing part. It may include a frame coupling part 113 to which the handle frame 120 and the switch frame 130 are coupled.

상기 파이프 체결부(111)는 제 1 파이프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 고정부(112)는 스위치 프레임(130)이 밀어 올려졌을 때 이를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113)는 외주에 핸들 프레임(120)과 스위치 프레임(130)이 결합되어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pipe fastening part 111 is fixed by inserting the first pipe, and the switch fixing part 112 serves to prevent separation by fixing the switch frame 130 when it is pushed up. Part 113 plays a role in fixing the handle frame 120 and the switch frame 130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부에 제 1 파이프(211)가 결합되고 외주에 핸들 프레임(120)과 스위치 프레임(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속빈 내부를 통해 제 2 파이프(212)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파이프가 메인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파이프(211)내로 삽입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In the main frame 110, the first pipe 211 is coupled to the top and the second pipe 212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inside in a state where the handle frame 120 and the switch frame 130 ar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As the second pipe passes through the main frame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211, the height is adjusted.

그리고 상기 핸들 프레임(120)과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프레임 결합부(113) 외주에 삽입되어 결합된다.Also, the handle frame 120 and the switch frame 130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coupling part 113 of the main frame.

여기서,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은 핸들 프레임(120)에 단단히 결합되어 일체로 고정되지 않고, 상기 핸들 프레임(120) 상부에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밀어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switch frame 130 is firmly coupled to the handle frame 120 and is not integrally fixed, but is fixed to the handle frame 120 so as not to be separated and can be coupled to move upward by pushing.

이를 위해, 상기 핸들 프레임(120)의 상부는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이 결합되는 결합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21)는 핸들 프레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차를 가지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121)의 단차에 의해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이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frame 12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21 to which the switch frame 130 is coupled, and the coupling portion 121 is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frame to have a stepped shape. And the switch frame 130 is fixed by the step of the coupling part 121 to prevent separation.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140)은 메인 프레임 외부와 스위치 프레임 내부 공간에 형성된 탄성부재(141)와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메인 프레임 외부에 형성된 한쌍의 볼 홈(142)와 상기 볼 홈에 결합되는 한쌍의 볼(143)과 상기 스위치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걸림 턱(144)와 제 2 파이프 외주에 복수 개로 구성된 한쌍의 고정 홈(1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140 includes an elastic member 141 formed outside the main frame and inside the switch frame, a pair of ball grooves 142 formed outside the main frame 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and a pair coupled to the ball grooves. It may include a ball 143 of the switch frame, a locking jaw 144 formed inside the switch frame, and a pair of fixing grooves 145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piece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pe.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41)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홈(145)은 파이프의 길이 조절을 위해 제 2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마다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member 141 may be composed of a spring, and the fixing groove 145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pip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ipe.

상기 걸림 턱(144)은 상기 볼(143)을 가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걸림 턱(144)이 상부로 이동하여 볼(143)로부터 분리된 후 하부로 이동하여 볼(143)을 다시 가압하기 쉽도록 상기 걸림 턱(144)은 하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cking jaw 144 serves to press the ball 143, and the locking jaw 144 moves upward and is separated from the ball 143, then moves downward to press the ball 143 again. For ease of use, the hooking protrusion 144 may be configured to have an inclined bottom or a round shap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프레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3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a switch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 프레임 내부의 걸림 턱(144)이 상기 볼(143)을 가압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볼(143)이 상기 볼 홈(142)가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143)이 상기 볼 홈 (142)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볼(143)이 제 2 파이프(212)에 형성된 고정 홈(145)에 맞닿으면서 고정되면서 스위치 프레임(130)이 잠금 상태에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switch frame 130 is in a locked state, the locking protrusion 144 inside the switch frame presses the ball 143, and the ball 143 presses the ball 143. The groove 142 is seated. In this state, the ball 143 protrudes into the ball groove 142, and the ball 1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groove 145 formed in the second pipe 212 while being fixed to the switch frame 130. will be in this locked state.

그리고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을 잠금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을 상부로 밀면 잠금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Also, looking at the case of switching the switch frame 130 from a locked state to an open state, when the switch frame 130 is pushed upward, the switch frame 130 is switched from a locked state to an open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4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을 손쉽게 상부로 밀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걸림 턱(144)이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볼(14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제 2 파이프(212)에 형성된 고정 홈(145)에 맞닿았던 볼(143)이 이탈하면서 고정이 해제되어 핸들프레임(120)이 상하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witch frame 130 can be easily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1 located in the switch frame 130, and while the switch frame 130 moves upward, the hooking jaw 144 ) is pushed upward and the pressure on the ball 143 is released, and the ball 143 that abuts the fixing groove 145 formed in the second pipe 212 is separated and the fixation is released, so that the handle frame 120 This becomes a state in which it can move freely up and down.

여기서,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을 상부로 밀게되면,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의 두부가 메인 프레임의 스위치 고정부(112) 하단에 맞닿게 되고, 걸림 턱(144)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걸림 턱(144)에 맞닿았던 볼(143)이 걸림 턱(144) 하부에 고정되어 스위치 프레임(130)이 자연스럽게 고정된다.Here, when the switch frame 130 is pushed upward, the head of the switch frame 1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witch fixing part 112 of the main frame, and the locking jaw 144 moves upward while the locking jaw moves upward. The ball 143 that abuts on the 144 is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oking jaw 144, so that the switch frame 130 is naturally fixed.

이 상태에서 핸들 프레임(120)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을 원위치인 하부로 이동시키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In this state, when the handle frame 120 is moved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and then the switch frame 130 is moved to the lower position, the height is fixed in the adjusted state and converted into a locked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 프레임(120)을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높이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을 원위치인 하부로 밀면 상기 탄성부재(14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프레임(130)이 원위치인 하부로 복귀하면서 걸림 턱(144)도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다시 볼(143)과 맞닿아 가압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handle frame 120 is moved up and down to the desired height and the switch frame 130 is push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switch frame 130 is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1. While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lower part, the locking jaw 144 also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ll 143 again to pressurize it.

여기서, 상기 걸림 턱(144) 하부가 경사지거나 라운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로 이동한 걸림 턱(144)이 하부의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큰 힘없이 쉽게 볼(143)과 맞닿아서 가압될 수 있다.Here, the lower part of the hooking jaw 144 is inclined or round, so that the hooking jaw 144 that has moved upward can easi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all 143 without much force and be pressed while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of the lower part.

상기와 같이 걸림 턱(144)이 상기 볼(143)을 가압하게 되면 볼(143)이 다시 볼 홈(142)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볼(143)이 높이가 조절된 위치의 고정 홈(45)과 맞닿게 되면서 핸들 프레임(120)이 현 위치에 고정되면서 잠금 상태로 전환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jaw 144 presses the ball 143, the ball 143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ball groove 142 again, and the ball 143 is fixed in a position where the height is adjusted. ), while the handle frame 120 is fixed in its current position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it, it is converted into a locked stat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거대 높이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진도이다.Figure 4 is a photo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inger st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핸들 프레임(120)이 잠금 상태에 있다가 핸들 프레임(120)을 손으로 잡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스위치 프레임(130)을 위로 밀면 상기 핸들 프레임(120)이 잠금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handle frame 120 is in a locked state first, hold the handle frame 120 with your hand and push the switch frame 130 upward using your thumb, the handle frame 120 is in a locked state. switch to open state.

이 상태에서 핸들 프레임(120)을 위 아래로 이동시켜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뒤 상기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스위치 프레임(130)을 원위치인 아래로 내리면 상기 핸들 프레임(120)이 열림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조절된 높이대로 고정된다.In this state, when the handle frame 120 is moved up and down to adjust to a desired height, and then the switch frame 130 is lowered down to its original position using the thumb, the handle frame 120 is locked from the open state. It is converted and fixed at the adjusted height.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10 : 링거대 높이 조절장치 20 : 링거대 파이프
30 : 링거 후크(30) 40 : 받침대
50 : 링거대 손잡이
10: Ringer stand height adjuster 20: Ringer stand pipe
30: ringer hook (30) 40: stand
50: ringer handle

Claims (4)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 사이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외주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아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들 프레임과;
상기 핸들 프레임 상부에 결합되어 핸들 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된 잠금모드와 핸들 프레임이 상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열림모드로 스위칭하는 스위치 프레임과;
상기 핸들 프레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의해 잠금 또는 열림으로 전환되고 열림상태에서 상기 핸들 프레임의 조절된 높이를 고정하여 잠금상태로 전환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first pipe and a second pipe;
a main frame coupl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 handle fram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frame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by holding it by hand;
a switch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frame to switch between a locked mod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handle frame is fixed and an open mode in which the handle frame can freely move up and down;
The height of the pipe-typ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xing means formed inside the handle frame to be switched to lock or open by the switch frame and to fix the adjusted height of the handle frame in the open state to switch to the locked state. regula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속빈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상단에 상기 제 1 파이프와 결합되는 파이프 체결부와;
상기 파이프 체결부 하단에 형성된 스위치 고정부와;
상기 스위치 고정부 하부에 핸들 프레임과 스위치 프레임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부에 제 1 파이프가 결합되고 외주에 핸들 프레임과 스위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속빈 내부를 통해 제 2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파이프가 메인 프레임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 1 파이프내로 삽입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frame
It is composed of a hollow pipe shape,
a pipe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pipe at an upper end;
a switch fixing pa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ipe fastening part;
A frame coupling portion in which a handle frame and a switch frame ar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witch fixing portion;
the main frame
With the first pipe coupled to the top and the handle frame and switch fram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the second pipe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interior, and the second pipe penetrates the main frame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pe, increasing the height.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pipe-typ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ust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 외부와 스위치 프레임 내부 공간에 형성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메인 프레임 외부에 형성된 한쌍의 볼 홈과;
상기 볼 홈에 결합되는 한쌍의 볼과;
상기 스위치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걸림 턱과;
제 2 파이프 외주에 복수 개로 구성된 한쌍의 고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xing means is
an elastic member formed outside the main frame and inside the switch frame;
a pair of ball grooves formed outside the main frame to which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a pair of balls coupled to the ball groove;
a locking jaw formed inside the switch frame;
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pipe-typ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fixing groov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pip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프레임이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 프레임 내부의 걸림 턱이 상기 볼을 가압한 상태에 있으며, 상기 볼이 상기 볼 홈가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볼이 상기 볼 홈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볼이 제 2 파이프에 형성된 고정 홈에 맞닿으면서 고정되면서 스위치 프레임이 잠금 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스위치 프레임을 상부로 밀면 상기 스위치 프레임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프레임을 손쉽게 상부로 밀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 프레임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걸림 턱이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볼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제 2 파이프에 형성된 고정 홈에 맞닿았던 볼이 이탈하면서 고정이 해제되어 핸들프레임이 상하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열림 상태로 전환되고;
이 상태에서 핸들 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스위치 프레임을 원위치인 하부로 이동시키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기구의 높이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switch frame is in a locked state
The locking jaw inside the switch frame is in a state of pressing the ball, the ball is seated in the ball groove, and in this state, the ball protrudes into the ball groove, and the ball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ipe. The switch frame is in a locked state while being fixed while abutting against;
When the switch frame is pushed upward, the switch frame can be easily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located in the switch frame. As the switch frame moves upward, the hooking jaw is pushed upward and the ball is pressed. While being released, the fixation is released while the ball that came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pipe is released, and the handle frame is switched to an open state in which the handle frame can move freely up and down;
In this state, when the height is adjusted by moving the handle frame up and down, and then the switch frame is moved to the lower position, the height is fixed in the adjusted state and converted to a locked state.
KR1020210132309A 2021-10-06 2021-10-06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 KR202300493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09A KR20230049322A (en) 2021-10-06 2021-10-06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09A KR20230049322A (en) 2021-10-06 2021-10-06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22A true KR20230049322A (en) 2023-04-13

Family

ID=8597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309A KR20230049322A (en) 2021-10-06 2021-10-06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932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533A (en) Adjustable orthopedic crutch
US7017873B2 (en) Portable stand
US20050115994A1 (en) Device for putting on and taking off a support stocking
US7309312B2 (en) Apparatus for retaining otherwise hand-held retractors and method of use
US6932765B2 (en) Apparatus for retaining otherwise hand-held retractors
US8087707B1 (en) Multifunction device for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KR20230049322A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Pipe Type Instrument
US5323195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US20050272981A1 (en) Threaded fulcrum clamp
US5299589A (en) Orthopedic crutch with adjustable hand grip
KR20090037686A (en) A hanger equipped with height control device
US20150129740A1 (en) Cane Clamp for Walking Aides
JP2002364037A (en) Shower head lifting and lowering supporting device
KR20030036067A (en) Movement operating apparatus as a handle
US11318601B2 (en) Grip tongs apparatus
AU2002219157A1 (en) Infusion holder for mounting on devices that support a patient
CN211912143U (en) Medical arm bracket
CN208619474U (en) Internally locking telescopic rod and mobile trolley used
CN215840097U (en) Device is put with upper limbs position to department of neurology nursing
US5875489A (en) Device for adjusting medical devices
CN112604242A (en) Be used for finger, wrist join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N217138363U (en) Femoral condyle prosthesis condyle holding device
CN112315548A (en) Portable medical forceps
KR100472398B1 (en) height adjustment device
EP1708610A1 (en) Apparatus for retaining otherwise hand-held retra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