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831A - 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 - Google Patents

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831A
KR20230047831A KR1020210131151A KR20210131151A KR20230047831A KR 20230047831 A KR20230047831 A KR 20230047831A KR 1020210131151 A KR1020210131151 A KR 1020210131151A KR 20210131151 A KR20210131151 A KR 20210131151A KR 20230047831 A KR20230047831 A KR 20230047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lock
wire
support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화정준
Original Assignee
화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정준 filed Critical 화정준
Priority to KR102021013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7831A/en
Publication of KR20230047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8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that can prevent a hook from shaking during movement by stably attaching the hook to a crane boo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including: a hook block for attaching a hook to the end of a wire that is retractable and connected to a crane boom; a block support which is movably installed on the wire and has a hook block slidably coupled to the end;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hook block and the block support, and is compressed by the hook block sliding relative to the block support after the block support is supported on the crane boom according to the drawing of the wire, thereby supporting the hook block.

Description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Hook support device for crane {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

본 발명은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크레인은 토목, 건설, 건축 등 각종 산업 현장에서 고중량의 중량물을 인양하여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시키는 기계 장비로서, 크레인에 설치된 윈치에 감긴 와이어 로프의 말단부에 후크를 연결하고 후크(인양 고리)에 와이어 로프, 슬링, 체인 등을 연결하여 고중량의 중량물 인양할 수 있다.A crane is a mechanical device that lifts heavy objects at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and moves them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back and forth. By connecting wire ropes, slings, chains, etc., heavy weights can be lifted.

크레인은 기본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며 크레인 차량은 붐 말단부에 후크를 매단 상태로 주행, 이동 및 작업 등을 실시한다. 크레인 차량 이동 시 후크가 전후 좌우 상하로 흔들거림으로써 와이어 로프가 꺾이거나 크레인 구조물에 부딪히는 등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후크의 흔들림으로 인해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할 수 있고, 도로 주행 시 후크가 가로수, 신호등, 표지판 등의 주변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인접 차량 등에 충격을 가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A crane is basically installed in a vehicle, and the crane vehicle runs, moves, and works while hanging a hook at the end of a boom. When the crane vehicle moves, the hook shakes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the wire rope may break or be damaged by colliding with the crane structure. In addition, shaking of the hook may interfere with the driver's driving, and an accident may occur in which the hook hits a nearby obstacle such as a roadside tree, a traffic light, or a sign, or gives an impact to an adjacent vehicle while driving on a road.

따라서 크레인 차량 이동시 후크의 흔들림을 근본적으로 배제할 후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fundamentally eliminates the shaking of the hook when moving the crane vehic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20019호 (2006.06.21 등록)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0019 (registered on 2006.06.21)

본 발명은 크레인 붐에 후크를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이동 중 후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capable of preventing the hook from shaking during movement by stably attaching the hook to a crane boo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 붐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의 단부에 후크를 결합하기 위한 후크 블록, 와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에 후크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지지대 및 후크 블록과 블록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와이어의 인입에 따라 크레인 붐에 블록 지지대가 지지된 이후 후크 블록이 블록 지지대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함에 의해 압축되어 후크 블록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ok block for coupling a hook to an end of a wire retractably connected to a crane boom, a block support movably installed on the wire, and a hook block slidably coupled to the end of the hook block, and Interposed between the hook block and the block support, after the block support is supported on the crane boom according to the inlet of the wire, the hook block is compressed by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lock support Crane hook including an elastic member supporting the hook block A support device is provided.

후크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시 후크 블록의 와이어를 축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hook block slides, it may further include an anti-rotation unit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wire of the hook block as an axis.

회전 방지부는 블록 지지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후크 블록에 가이드 레일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rotation unit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guide rail hook block formed on the block support to correspond to a position of the guide rail and sliding on the guide rail.

가이드 레일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돌기의 종방향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guide rail may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guide protrusion.

후크 블록에는 블록 지지대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블록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A block stopper may be formed on the hook block to limit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lock support.

후크 블록은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 연결부 및 와이어가 결합되고 후크 연결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block may include a hook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 hook is coupled and a wir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 wire is coupl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connection portion.

후크 연결부에는 후크의 결합을 위한 후크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A hook coupling hole for hook coupling may be formed in the hook connection portion.

후크를 후크 연결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후크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hook coupling member for detachably coupling the hook to the hook connec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와이어 연결부에는 와이어의 결합을 위한 와이어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A wir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res may be formed in the wire connection portion.

블록 지지대의 크레인 붐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블록 지지대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agnetic material provided on the block support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lock support for the crane boom is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 붐에 후크를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이동 중 후크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ok from shaking during movement by stably bringing the hook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rane bo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process of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hook support device 100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below are on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no.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블록(110), 블록 스토퍼(111), 제1 지지부(112), 블록 지지대(120), 제2 지지부(121), 탄성 부재(130), 회전 방지부(140), 가이드 레일(141), 가이드 돌기(142), 후크 연결부(150), 후크 결합홀(151), 후크 결합 부재(152), 와이어 연결부(160), 와이어 결합부(161), 와이어 결합홀(162), 와이어 결합 부재(163), 와이어 결합 기구(164), 와이어 결합핀(165) 및 자성체(170)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100)가 제시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hook block 110, the block stopper 111, the first support 112, the block support 120, the second support 121, the elastic member 130, anti-rotation part 140, guide rail 141, guide protrusion 142, hook connection part 150, hook coupling hole 151, hook coupling member 152, wire connection portion 160, Crane hook support device 100 including a wire coupling portion 161, a wire coupling hole 162, a wire coupling member 163, a wire coupling mechanism 164, a wire coupling pin 165, and a magnetic body 170 is present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블록(110)은 크레인 붐(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20)의 단부에 후크(30)를 결합할 수 있고, 블록 지지대(120)는 후크 블록(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30)는 이들 후크 블록(110)과 블록 지지대(120) 사이에 개재되어, 와이어(20)의 인입에 따라 크레인 붐(10)에 블록 지지대(120)가 지지된 이후 후크 블록(110)이 블록 지지대(1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함에 의해 압축되어 후크 블록(110)을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hook block 110 can couple the hook 30 to the end of the wire 20 connected to the crane boom 10 to be drawn in and out, and the block The support 1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hook block 110 and may be movably installed on the wire 20 . The elastic member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ok block 110 and the block support 120, and after the block support 120 is supported on the crane boom 10 according to the inlet of the wire 20, the hook block 110 ) may be compressed by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lock support 120 to support the hook block 110.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붐(10)에 와이어(20)가 인입됨에 따라 후크 블록(110), 블록 지지대(120) 및 탄성 부재(130)가 결합된 상태로 와이어(20)를 따라 크레인 붐(10) 방향으로 이동하면 블록 지지대(120)가 크레인 붐(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0)의 인입이 더 진행되면, 블록 지지대(120)는 크레인 붐(10)에 지지되어 이동하지 않고 후크 블록(110)이 탄성 부재(130)를 압축시키며 와이어(20)의 인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 (b), as the wire 20 is introduced into the crane boom 10, the hook block 110, the block support 120 and the elastic member 130 are coupled to the wire When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crane boom 10 along 20, the block support 120 can be supported by the crane boom 10. After that, as shown in FIG. 1 (c), when the wire 20 is pulled in further, the block support 120 is supported by the crane boom 10 and does not move, and the hook block 110 is the elastic member 130 ) and can slide in the lead-in direction of the wire 20.

이와 같이, 블록 지지대(120)가 지지되고 후크 블록(110)이 탄성 부재(130)를 압축시키며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크레인 차량의 이동 및 크레인 붐(10)의 방향 전환 등 크레인 붐(10)이 움직이는 상황에서 크레인 붐(10)에 블록 지지대(120)가 탄성 부재(1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흔들림이 감소 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 지지대(120)에 결합한 후크 블록(110)의 흔들림 또한 감소 및/또는 제거되어, 결론적으로 후크(30)의 흔들림이 감소 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block support 120 is supported and the hook block 110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130 and slides, the crane boom 10, such as moving the crane vehicle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rane boom 10, In a moving situation, the block support 120 on the crane boom 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30, so shaking can be reduced and/or eliminated. Accordingly, shaking of the hook block 110 coupled to the block support 120 is also reduced and/or eliminated, and as a result, shaking of the hook 30 can be reduced and/or eliminated.

보다 구체적으로, 후크 블록(11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탄성 부재(130)가 압축됨에 따라, 탄성 부재(130)의 복원력이 발생된다. 복원력은 후크 블록(110)에 와이어(20)가 인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크레인 붐(10)에 의해 와이어(20)가 인입되는 힘과 후크 블록(110)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와이어(20)의 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발생하는 장력은 블록 지지대(120)의 크레인 붐(10)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켜 결론적으로 후크(30)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감소 및/또는 제거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the hook block 110 slides and the elastic member 130 is compressed,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30 is generated. The restoring force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20 is drawn into the hook block 110, and the wire 20 is drawn in by the crane boom 10 and the restoring force acting on the hook block 110 causes the wire ( 20) may occur. The tension generated by this improv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lock support 120 for the crane boom 10, and as a result, shaking of the hook 30 can be effectively reduced and/or eliminated.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hook support device 100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후크 블록(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붐(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20)의 단부에 후크(3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후크 블록(110)의 하단에는 후크(30)가 연결되고 상단에는 와이어(20)가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 the hook block 110 may couple a hook 30 to an end of a wire 20 connected to the crane boom 10 to be drawn in and out. That is, the hook 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ok block 110 and the wire 2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후크 블록(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가 결합되는 후크 연결부(150) 및 와이어(20)가 결합되고 후크 연결부(15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부(160)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hook block 110 includes a hook connection portion 150 to which the hook 30 is coupled and a wire connection portion 160 to which the wire 20 is coupled and detachably coupled with the hook connection portion 150. may consist of

후크 연결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의 결합을 위한 후크 결합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결합홀(151)은 후크 결합 부재(152)를 지지하도록 하단이 상단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고, 후크(30)는 후크 결합 부재(152)로 후크 결합홀(15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30)의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상황에서 후크(3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hook connection part 150 may have a hook coupling hole 151 for coupling the hook 30 . The hook coupling hole 151 may have a lower end narrower than an upper end to support the hook coupling member 152, and the hook 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coupling hole 151 by the hook coupling member 152. can Therefore, the hook 30 can be easily replaced in situations such as when the hook 30 is defective.

후크 결합홀(15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후크(30)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크 결합홀(151)에 진입하는 후크(30)의 외경과 후크 결합홀(151)의 하단의 내경이 대응되어 후크(3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hook coupling hole 151 may be formed such that a lower end of the hook 30 may enter. Preferably, the outer diameter of the hook 30 entering the hook coupling hole 151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hook coupling hole 151, thereby minimizing shaking of the hook 30.

후크 결합 부재(1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일종의 너트일 수 있다. 또한 후크(3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hook coupling member 152 may be a kind of nut that can be screwed into the hook 30. It may also include a bearing that enables rotation of the hook 30 .

와이어 연결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결합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결합부(161)는 와이어 연결부(160)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결합부(161)에는 와이어(20)가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결합홀(162)에 와이어(20)를 직접 결합할 수도 있고, 와이어(2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와이어 결합 부재(163)를 이용하여 와이어(20)를 결합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wire connection unit 160 may be formed with a wire coupling unit 161 . The wire coupling portion 161 may protrude from the wire connection portion 160 . In addition, a wire coupling hole 162 to which the wire 20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wire coupling portion 161 . The wire 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wire coupling hole 162 , or the wire 20 may be coupled using the wire coupling member 163 so that the coupling force of the wire 20 is improved.

와이어 결합 부재(16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0)의 단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 기구(164) 및 와이어 결합홀(162)에 와이어 결합 기구(164)를 결합하는 와이어 결합핀(16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결합 부재(163)를 이용하여 와이어(20)와 후크 블록(11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20)와 후크 블록(11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도록 와이어 결합부(161)를 복수개로 배치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wire coupling member 163 has a wire coupling mechanism 164 coupled to the end of the wire 20 and a wire coupling pin coupling the wire coupling mechanism 164 to the wire coupling hole 162. (165). A coupling force between the wire 20 and the hook block 110 may be increased by using the wire coupling member 163 . In addition, a plurality of wire coupling parts 161 may be arranged so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wire 20 and the hook block 110 is further improved.

블록 지지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0)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단부에 후크 블록(110)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후크 블록(1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중공형 구조를 가져 후크 블록(110)이 블록 지지대(12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후크 블록(110)의 외경이 블록 지지대(120)의 내경과 대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block support 120 is movable along the wire 20 , and the hook block 110 is slidably movable at an end thereof. It has a hollow structure so that the hook block 110 can be inserted, so that the hook block 110 can slide into the block support 120. Als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ok block 110 ma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lock support 120 .

위와 같이, 후크 블록(110)의 외경이 블록 지지대(120)의 내경과 대응되어 후크 블록(110)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후크 블록(110)이 블록 지지대(120)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감소하여 후크 블록(110)의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후크 블록(110)과 블록 지지대(120)가 동일한 구조를 가져 후크 블록(110)의 흔들림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블록(110)이 원통 구조인 경우, 블록 지지대(120) 또한 원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ok block 110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lock support 120 and the hook block 110 slides, the range in which the hook block 110 can move inside the block support 120 increases. By reducing the shaking of the hook block 110 can be effective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hook block 110 and the block support 120 have the same structure, shaking of the hook block 110 can be further reduced. For example, when the hook block 11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the block support 120 may also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탄성 부재(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블록(110)과 블록 지지대(120) 사이에 개재되어, 와이어(20)의 인입에 따라 크레인 붐(10)에 블록 지지대(120)가 지지된 이후 후크 블록(110)이 블록 지지대(12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함에 의해 압축되어 후크 블록(110)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13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elastic member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ok block 110 and the block support 120, and the block support ( After the hook block 120 is supported, the hook block 110 is compressed by sliding with respect to the block support 120 to support the hook block 110 . The elastic member 130 may be a coil spring.

구제적으로, 탄성 부재(130)가 후크 블록(110)과 블록 지지대(120) 사이에 개재되어 후크 블록(110)이 탄성 부재(130)에 압축하는 힘을 가하면 탄성 부재(130)는 본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 즉 탄성력이 발생한다. 탄성력은 후크 블록(110)에 작용하여 후크 블록(110)을 와이어(20)가 인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 결과 와이어(20)를 인입하는 힘과 후크 블록(110)에 작용하는 탄성력으로 인해 와이어(20)에 장력이 작용되어 와이어(20)가 팽팽해질 수 있다. 와이어(20)가 팽팽하게 유지되면, 후크 블록(110)의 흔들림이 감소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elastic member 130 is interposed between the hook block 110 and the block support 120 and the hook block 110 applies a compressive force to the elastic member 130, the elastic member 130 is in its original shape.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at is, an elastic force occurs. The elastic force may act on the hook block 110 to push the hook block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wire 20 is inserted. As a result, tension is applied to the wire 20 due to the force of pulling the wire 20 and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hook block 110, so that the wire 20 can be taut. When the wire 20 is kept taut, shaking of the hook block 110 can be reduced.

회전 방지부(140)는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지지대(12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41) 및 가이드 레일(141)의 위치에 대응되어 가이드 레일(14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후크 블록(110)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b), the anti-rotation part 140 corresponds to the guide rail 141 formed on the block support 120 and the position of the guide rail 141, so that the guide rail 141 It may be made of a guide protrusion 142 formed on the hook block 110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가이드 레일(141)은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지지대(120)에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돌기(14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며, 가이드 돌기(142)의 종방향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b), the guide rail 141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lock support 120 to limit the movement range of the guide protrusion 142,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142. Can guide directional movement.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141)이 가이드 돌기(142)의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서, 가이드 돌기(142)가 형성된 후크 블록(1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와이어(20)를 축으로 하는 후크 블록(110)의 회전을 방지하여 후크 블록(110)의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as the guide rail 141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guide protrusion 142, the hook block 110 having the wire 20 as an axis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ok block 110 having the guide protrusion 142 formed thereon. It is possible to reduce shaking of the hook block 110 by preventing rotation.

가이드 돌기(14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블록(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크 블록(110)에 가이드 핀이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핀과 후크 블록(110)의 결합은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3(b), the guide protrusion 142 may be formed of a guide pi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block 110. That is, a groove into which a guide pin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hook block 110, and the guide pin and the hook block 110 may be coupled by screw coupling.

위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핀으로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 돌기(142)가 마모된 경우 가이드 핀을 교체할 수 있고, 블록 지지대(120)와 후크 블록(110) 간의 분해가 필요할 경우 가이드 핀을 뽑아 분해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guide pin is formed to be detachable, the guide pin can be replaced when the guide protrusion 142 is worn, and the guide pin can be replaced when disassembly between the block support 120 and the hook block 110 is required. It can be pulled out and disassembled.

회전 방지부(140)는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회전 방지부(140)는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방지부(140)가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 돌기(142)에 후크 블록(110)의 와이어(20)를 축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하는 힘이 분배되어 효과적으로 후크 블록(1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b ), the anti-rota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the plurality of anti-rotation units 14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As the anti-rotation part 140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force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hook block 110 about the wire 20 as an axis is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142, effectively preventing the hook block 110 from rotating. Rotation can be prevented.

블록 스토퍼(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블록(110)의 하단에 형성되어, 블록 지지대(120)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블록 스토퍼(111)는 후크 블록(110)보다 큰 외경을 가져 후크 블록(110)의 슬라이딩 이동시 블록 지지대(120)에 지지되며 후크 블록(110)의 슬라이딩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 블록(110) 전부가 블록 지지대(12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후크(30)에 의한 블록 지지대(12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block stopper 1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ok block 110 to limit the sliding range of the block support 120 . That is, the block stopper 111 has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hook block 110, so that the hook block 110 is supported by the block support 120 during sliding movement and can limit the sliding movement range of the hook block 1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ll of the hook blocks 110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block support 120, thereby preventing the block support 120 from being damaged by the hook 30.

블록 스토퍼(111)가 제한하는 후크 블록(110)의 슬라이딩 이동 범위는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41)이 제한하는 가이드 핀의 슬라이딩 이동 범위와 같거나 보다 짧을 수 있다. 후크 블록(1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블록 스토퍼(111)가 블록 지지대(120)에 가이드 핀보다 먼저 지지되어 후크 블록(110)의 블록 지지대(120)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될 수 있고, 단면적이 좁은 가이드 핀의 부러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b), the sliding movement range of the hook block 110 limited by the block stopper 11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liding movement range of the guide pin limited by the guide rail 141 can be short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ok block 110, the block stopper 111, which has a relatively large cross-section, is supported on the block support 120 before the guide pin, so that the hook block 110's support for the block support 120 can be increased. ,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guide pins with a narrow cross-section.

제1 지지부(1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블록(110)에 형성되어 탄성 부재(130)를 지지할 수 있고 탄성 부재(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후크 블록(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30)가 코일형 스프링일 경우, 스프링의 일단이 홈을 따라 위치되어 후크 블록(110)의 슬라이딩 이동시 압축력이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support part 112 is formed on the hook block 110 to support the elastic member 130 and to stably support the elastic member 130 of the hook block 110. It may be formed as a groove along the edge. For example, when the elastic member 130 is a coiled spring, one end of the spring is positioned along the groove so that a compressive force can be transmitted more efficiently when the hook block 110 slides.

제2 지지부(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지지대(120)에 형성되어 탄성 부재(130)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21)는 블록 지지대(120)의 내면에 돌출되어 탄성 부재(130)를 지지하여 탄성 부재(130)의 안정적인 압축을 유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support part 121 may be formed on the block support 120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30 . The second support part 121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support 120 to support the elastic member 130 and induce stable compression of the elastic member 130 .

또한, 블록 지지대(120)의 내면에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탄성 부재(13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30)가 코일형 용수철인 경우, 용수철의 타단이 제2 지지부(121)를 둘러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 support 120 to more stably support the elastic member 130 . For example, when the elastic member 130 is a coiled spri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may be supported around the second support part 121 and stably supported.

자성체(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지지대(120)에 구비되어 크레인 붐(10)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와이어(20)를 인입하여 블록 지지대(120)가 크레인 붐(10)에 지지된 이후, 자성체(170)는 크레인 붐(10)에 인력이 작용하여 블록 지지대(1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성체(170)는 와이어(20)를 풀면 블록 지지대(120)가 크레인 붐(10)에서 탈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magnetic body 170 is provided on the block support 120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rane boom 10 . After the block support 120 is supported on the crane boom 10 by introducing the wire 20, the magnetic body 170 acts as a force on the crane boom 10 to improv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block support 120 . In addition, when the magnetic body 170 releases the wire 20, the block support 120 can be detached from the crane boom 10.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크레인 붐
20: 와이어
30: 후크
100: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110: 후크 블록
111: 블록 스토퍼
112: 제1 지지부
120: 블록 지지대
121: 제2 지지부
130: 탄성 부재
140: 회전 방지부
141: 가이드 레일
142: 가이드 돌기
150: 후크 연결부
151: 후크 결합홀
152: 후크 결합 부재
160: 와이어 연결부
161: 와이어 결합부
162: 와이어 결합홀
163: 와이어 결합 부재
164: 와이어 결합 기구
165: 와이어 결합핀
170: 자성체
10: crane boom
20: wire
30: hook
100: hook support device for crane
110: hook block
111: block stopper
112: first support
120: block support
121: second support
130: elastic member
140: anti-rotation unit
141: guide rail
142: guide projection
150: hook connection
151: hook coupling hole
152: hook coupling member
160: wire connection
161: wire joint
162: wire coupling hole
163: wire coupling member
164: wire coupling mechanism
165: wire coupling pin
170: magnetic body

Claims (10)

크레인 붐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와이어의 단부에 후크를 결합하기 위한 후크 블록;
상기 와이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에 상기 후크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록 지지대; 및
상기 후크 블록과 상기 블록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입에 따라 상기 크레인 붐에 상기 블록 지지대가 지지된 이후 상기 후크 블록이 상기 블록 지지대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함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후크 블록을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 hook block for coupling a hook to an end of a wire retractably connected to a crane boom;
a block support movably installed on the wire and to which the hook block is slidably coupled to an end portion; and
Interposed between the hook block and the block support, after the block support is supported on the crane boom according to the inlet of the wire, the hook block is compressed by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lock support to support the hook block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와이어를 축으로 하는 상기 후크 블록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preventing part preventing rotation of the hook block about the wire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ok blo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부는,
상기 블록 지지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후크 블록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nti-rotation part,
Guide rails formed on the block support; and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comprising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hook block to correspond to a position of the guide rail and sliding on the guide rai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종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rail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guide projection,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블록에는 상기 블록 지지대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블록 스토퍼가 형성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wherein a block stopper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lock support is formed on the hook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블록은,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 연결부; 및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고 상기 후크 연결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 block,
a hook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hook is coupled; and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comprising a wir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wire is coupled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hook connection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연결부에는 상기 후크의 결합을 위한 후크 결합홀이 형성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wherein a hook coupling hole for coupling the hook is formed in the hook connection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를 상기 후크 연결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후크 결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7,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further comprising a hook coupling member for detachably coupling the hook to the hook connection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결합을 위한 와이어 결합부가 형성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hook support device for a crane in which a wire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wire is formed in the wire connection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지대의 상기 크레인 붐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블록 지지대에 구비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지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rane hook suppor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body provided on the block support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lock support for the crane boom is improved.
KR1020210131151A 2021-10-01 2021-10-01 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 KR202300478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151A KR20230047831A (en) 2021-10-01 2021-10-01 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151A KR20230047831A (en) 2021-10-01 2021-10-01 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831A true KR20230047831A (en) 2023-04-10

Family

ID=8598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151A KR20230047831A (en) 2021-10-01 2021-10-01 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783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019Y1 (en) 2006-03-31 2006-06-30 현대제철 주식회사 Support structure for a wire-rope in crane hoo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019Y1 (en) 2006-03-31 2006-06-30 현대제철 주식회사 Support structure for a wire-rope in crane hoo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7831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crane hook
FI981395A0 (en) Lifting device for a lorry truck
US20130140091A1 (en) Construction work unit and method for erecting a mast
CA2998962A1 (en) System for quick coupling and uncoupling of a tracked unit with respect to a chassis of a tracked machine, particularly a tracked pipe laying machine
US10882723B2 (en) Cylinder retention device
CN101356110B (en) Elevator apparatus
CN103010969A (en) Crane, guying mast and pulling pre-tightening device of guying mast
ES2021566A4 (en) MECHANICAL MARKING TO PILOT HINCA, A METHOD FOR TRANSPORTING AND INSTALLING IT,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SUPPORT
JP2006124064A (en) Main rope tension adjusting device for elevator
GB2077224A (en) Load handling mast for a truck
JP2016048015A (en) Screen driver
CN107235456A (en) A kind of special-purpose vehicle with flexible turntable
CN211393695U (en) Braking structure for winch
GB15737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a support element of a crane
KR102174081B1 (en) outrigger driving device of a Industrial cars
GB2158041A (en) Luffing mechanism for jib-type cranes, particularly cranes with a telescopic jib
CN212954070U (en) Hoisting device for die changing
KR200230789Y1 (en) A boom-lifting device of aerial lifts
CN214697741U (en) Catwalk tubular column conveying system
SU1084232A1 (en) Load suspension lifting height limiter for gantry crane
RU2571481C2 (en) Truck-mounted servicing station crane
US20220250882A1 (en) Wire rope hoist limiter
CN219489408U (en) Bridge crane with anticollision function
SU631375A1 (en) Load-carrying rope tensioning device
CN102834312B (en) Close in described driver's cabin below portion for what allow the longitudinal sliding motion forward of the driver's cabin by means of driver to come the vehicles, especially for the equipment of industry or business or the special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