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953A - 통신시스템에서 rrc 연결 유보/재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 rrc 연결 유보/재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953A
KR20230046953A KR1020220103677A KR20220103677A KR20230046953A KR 20230046953 A KR20230046953 A KR 20230046953A KR 1020220103677 A KR1020220103677 A KR 1020220103677A KR 20220103677 A KR20220103677 A KR 20220103677A KR 20230046953 A KR20230046953 A KR 20230046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rc
layer
rrc connec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석
정희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3004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제2 계층(layer 2)에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계층의 유보(suspend) 또는 재개(resume)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RRC 연결 유보 절차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RRC 연결 상태(RRC Connected State) 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RRC 휴지 상태(RRC Idle State)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RRC Inactive State) 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 RRC 연결 유보/재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RESUMING RRC CONNECTION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C(Radio Resource Connection) 연결 관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에서 RRC 연결을 유보(Suspend)하고 재개(Resume)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5G 또는 그 이후 세대의 통신 기술에서는, 이전 세대의 통신 기술에서 보다 더 높은 데이터율, 더 큰 통신 용량, 더 낮은 지연 시간, 더 넓은 커버리지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하여, 액세스 백홀 통합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이 연구 및 상용화되고 있다. 이처럼 복잡하고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이동통신 환경에서 단말과 네트워크 간 오버헤드(예를 들어, 제어 시그널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단말이 스스로 판단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의 불필요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말의 제어를 통한 RRC 연결 유보/재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 단말의 제2 계층(layer 2)에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계층의 유보(suspend) 또는 재개(resume)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RRC 연결 유보 절차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RRC 연결 상태(RRC Connected State) 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RRC 휴지 상태(RRC Idle State)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RRC Inactive State) 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하고 복잡한 이동통신 환경에서 기지국에서 판단할 수 없는 RRC 연결 유보/재개 상황이 발생하면 단말이 판단하고 결정하여 RRC 연결 유보/재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단말은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 및 폐기 등 시스템 부하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동작이 발생하기 않도록 적절히 RRC 연결 유보/재개 절차를 제어함으로써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성능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전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제어 평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사용자 평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4G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initiated) RRC 연결 유보(RRC connection suspend)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4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재개(RRC connection resume)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재개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백홀 통합(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네트워크의 상위 노드 및 하위 노드 간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백홀 통합(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4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2 계층의 RRC 유보/재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2 계층의 RRC 유보/재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뿐 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DC)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노드들 간의 무선 연결 구간에서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이 정의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직적으로 사용자 평면(user plane) 및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제어 평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사용자 평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도 3에 도시된 제어 평면(300) 및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평면(40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평면(300)은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평면일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시그널링 신호라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평면(400)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평면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단말(310 또는 410)과 기지국(320 또는 420)에 쌍(pair)으로 존재하여 무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계층(L1)은 물리(physical, PHY) 계층(311 및 321, 또는 411 및 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계층(L2)은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312 및 322, 또는 412 및 422), 라디오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313 및 323, 또는 413 및 423) 및 패킷 데이터 수렴(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314 및 324, 또는 414 및 424)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평면의 경우 서비스 데이터 적응(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SDAP) 계층(415 및 4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계층(L3)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415 및 425)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단말(310 또는 410)과 기지국(320 또는 420)에 쌍(pair)으로 존재하여 무선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4에 도시된 계층들 중 일부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도 3 및 4에 도시되지 않은 계층들이 추가로 정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계층인 PHY 계층(311 및 321, 또는 411 및 421)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PHY 계층(311 및 321, 또는 411 및 421)은 상위의 MAC 계층(312 및 322, 또는 412 및 422)과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PHY 계층(311 및 321, 또는 411 및 421)과 MAC 계층(312 및 322, 또는 412 및 422) 사이의 데이터는 전송 채널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전송 채널은 채널의 공유 여부에 따라 전용(dedicated) 채널 및 공용(common) 채널로 구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PHY 계층 사이의 데이터는 무선 자원을 이용한 물리 채널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즉, 단말(310 또는 410) 측의 PHY 계층(311 또는 411)과 기지국(320 또는 420) 측의 PHY 계층(411 또는 421) 사이의 데이터는 무선 자원을 이용한 물리 채널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제2 계층의 MAC 계층(312 및 322, 또는 412 및 422)은 복수개의 논리 채널(logical channel)들을 복수개의 전송 채널들에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MAC 계층(312 및 322, 또는 412 및 422)은 복수개의 논리 채널들을 하나의 전송 채널에 매핑시키는 논리 채널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MAC 계층(312 및 322, 또는 412 및 422)은 상위 계층인 RLC 계층(313 및 323, 또는 413 및 423)과 논리 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 논리 채널은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 평면(300)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및 사용자 평면(400)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계층의 RLC 계층(313 및 323, 또는 413 및 423)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segmentation) 및 연결(concatenation)하여 하위 계층이 무선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LC 계층(313 및 323, 또는 413 및 423)은 각각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만족시키기 위한 투명 모드(transparent mode, TM), 무응답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응답 모드(acknowledged mode, AM)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AM RLC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동 반복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 ARQ) 기능을 통한 재전송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계층의 PDCP 계층(314 및 324, 또는 414 및 424)은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헤더 압축 기능은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또는 IPv6와 같은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IP 패킷 전송할 경우,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담고 있는 IP 패킷 헤더 사이즈를 줄이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헤더 압축 기능은 데이터의 헤더 부분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무선 구간의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PDCP 계층(314 및 324, 또는 414 및 424)은 보안(securit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안 기능은 제3자의 데이터 감청을 방지하는 암호화(ciphering) 기능 및 제3자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하는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계층의 SDAP 계층(315 및 325)은 5G NR에서 추가된 계층으로 사용자 평면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SDAP 계층(315 및 325)은 QoS 플로우(flow)와 무선 베어러 간의 매핑,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패킷 내 QoS 플로우 식별자(ID) 마킹(mark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계층의 RRC 계층(415 및 425)은 제어 평면(400)에서만 정의될 수 있다. RRC 계층(415 및 425)은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 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된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RB는 단말(310 또는 410) 및 기지국(320 또는 420)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무선 프로토콜의 제1 및 제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RB는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를 포함할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400)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DRB는 사용자 평면(300)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상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연결 상태(RRC Connected State), RRC 인액티브 상태(RRC Inactive State), 및 RRC 휴지 상태(RRC Idle State)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이 RRC 연결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 RAN(radio access network)(예를 들어, RAN의 제어 기능 블록) 및 기지국은 단말의 RRC 연결 설정 정보 및/또는 컨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RRC 컨텍스트(context) 정보, AS(access stratum) 컨텍스트 정보, 인액티브 AS 컨텍스트 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AS 컨텍스트 정보는 UE AS 컨텍스트, 단말 AS 컨텍스트로 지칭될 수 있고, 인액티브 AS 컨텍스트 정보는 UE 인액티브 AS 컨텍스트, 단말 인액티브 AS 컨텍스트로 지칭될 수 있다.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연결 설정 유지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필요한 물리계층 제어 채널 및/또는 참조 신호의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참조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참조 신호는 채널 품질 측정 또는 빔포밍을 위한 참조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지연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RRC 휴지 상태에서 지원되는 이동성 관리 기능/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한 이동성 관리 기능/동작은 해당 단말을 위해 지원될 수 있다. 즉, 단말이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베어러는 설정되지 않을 수 있고, MAC 계층의 기능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비-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단말의 동작 상태를 RRC 인액티브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제한된 크기를 가지는 데이터, 제한된 서비스 품질을 가지는 데이터, 및/또는 제한된 서비스에 연관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RRC 휴지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해당 단말과 기지국 간의 연결 설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해당 단말의 RRC 연결 설정 정보 및/또는 컨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RRC 컨텍스트 정보, AS 컨텍스트 정보, 인액티브 AS 컨텍스트 정보)는 단말, RAN(예를 들어, RAN의 제어 기능 블록) 및 기지국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의 동작 상태를 RRC 휴지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해,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초기 접속 절차가 수행된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기지국의 결정에 따라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는 절차(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절차)는 초기(initial) 접속 절차 및 비(non)-초기 접속 절차로 분류될 수 있다. RRC 휴지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에서 관리되는 컨텍스트 정보가 없는 경우,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는 RRC 컨텍스트 정보, AS 설정 정보(예를 들어, AS 컨텍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는 단말을 위한 RRC 설정 정보, 암호화(security) 설정 정보,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상태를 포함하는 PDCP 정보, 식별자(예를 들어, C-RNTI(cell radio resource temporary identifier)), 및 단말과의 연결(connection) 설정이 완료된 기지국의 식별자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초기 접속 절차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를 위해 정의된 별도의 접속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단말에 제한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휴지 상태에서 RRC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의 능력(capability)에 따라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기지국 및/또는 RAN의 제어 기능 블록은 단말의 타입(type), 능력, 및 서비스(예를 들어,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 제공될 서비스) 중에서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 가능한 조건(들)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조건(들)에 기초하여 RRC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이 RRC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 동작을 허용한 경우"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 가능한 것으로 설정된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연결 상태 또는 RRC 휴지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한편, LTE 통신 시스템(또는, LTE-A 통신 시스템)과 같은 4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상태는 RRC 연결 상태, RRC 휴지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4G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유보 절차는 다음과 같이 기지국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도 6은 4G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initiated) RRC 연결 유보(RRC connection suspend)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4G 통신 시스템은 단말(UE)(610), 기지국(eNB)(620), 코어 네트워크(Evolved Packet Core, EPC)(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PC(630)는 MME, S-GW, P-G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610)과 상기 기지국(620)은 RRC 연결 상태로 단말(610)의 RRC 계층과 기지국(620)의 RRC 계층 간 RRC 연결(connection)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610)은 코어 네트워크(6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610).
상기 RRC 연결 상태에서 기지국(620)이 연결 유보를 결정하게 되면 기지국(620)은 S1-AP(Application Part)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630)로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UE Context Suspend Request)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610). 상기 코어 네트워크(630)은 상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지국(620)에게 단말 컨텍스트 유보 응답(UE Context Suspend Response)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기지국(6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630).
코어 네트워크(630)로부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응답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620)은 상기 단말(610)과의 RRC 연결을 유보하기 위해 RRC 연결 유보(RRC Connection Suspend)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를 상기 단말(610)로 전송할 수 있다(S640). 상기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는 상기 단말(610)에 저장되는 재개 식별자(Resume ID), RRC 연결 유보의 해제 원인(release cause)(예컨대, releaseCause가 rrc-Suspe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개 식별자(Resume ID)는 resumeIdentity, I-RNTI, 또는 ShortI-RNTI 등 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620)으로부터 RRC 연결 유보(RRC Connection Suspend)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610)은 AS(Access Stratum) 컨텍스트의 저장, SRB 및 DRB의 유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610)은 RRC 상태를 RRC 휴지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650).
단말이 RRC 휴지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은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절차를 이용하여 유보된 RRC 연결을 재개할 수 있다. 유보된 연결 재개를 위한 RA 절차는 4단계(4-step)로 구성된 단말의 무선 접속(또는 RA) 절차로서 수행될 수 있다. 4단계 RA 절차를 이용하여 단말은 다음과 같이 유보된 RRC 연결을 재개할 수 있다.
도 7은 4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재개(RRC connection resume)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4G 통신 시스템은 단말(UE)(710), 기지국(eNB)(720), 코어 네트워크(EPC)(7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PC(730)는 MME, S-GW, P-G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RC 휴지 상태로 동작하는 상기 단말(710)은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710)은 상기 기지국(720)에 의해 설정된 무선 자원(예를 들어,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사용하여 RA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RA MSG1을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710). 4단계 RA 절차에서 RA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메시지 1은 "RA MSG1"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720)은 상기 단말(710)로부터 RA MSG1을 수신할 수 있고, RA MSG1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710)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즉, 단계 S720에서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요청(또는 접속 시도)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 또는 구성하여 상기 단말(7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상기 기지국(720)이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PDCCH(예컨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형태)만으로 전송되거나, RA 응답을 위한 PDCCH만으로 전송되거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전송될 수 있다. 4단계 RA 절차에서 RA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메시지 2은 "RA MSG2"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단말(710)은 상기 기지국(720)으로부터 RA MSG2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710)은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sumeRequest 메시지)를 포함하는 RA MSG3(즉, 메시지 3)을 상기 기지국(7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30). 상기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sumeRequest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Resume ID), 확립 원인(establishment cause)(예컨대, resumeCause),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개 식별자(Resume ID)는 resumeIdentity, I-RNTI, 또는 ShortI-RNTI 등 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720)은 RA MSG3에 포함된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sumeRequest 메시지)로부터 재개 식별자(Resume ID)의 존재 여부가 확인되고 인증 토큰의 검증이 성공되면 RRC 연결 재개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sume 메시지)를 포함하는 RA MSG3을 상기 단말(7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740). 여기서, 재개 식별자(Resume ID)는 resumeIdentity, I-RNTI, 또는 ShortI-RNTI 등 일 수 있다.
상기 단말(710)이 연결 재개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sume 메시지)를 포함하는 RA MSG4(즉, 메시지 4)를 수신하면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750). 또한, 상기 단말(710)은 RRC 연결이 성공적으로 재개되었음을 확인하는 RRC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Resume Complete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sumeComplete)를 상기 기지국(7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760). 이때, 상기 단말(710)은 상항링크 버퍼 상태 보고 및/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기지국(720)은 상기 단말(710)의 RRC 상태 변경을 상기 코어네트워크(730)에게 알리기 위해 S1-AP를 통해 단말 컨텍스트 재개 절차(S1-AP Context Resume procedure)의 개시를 요청할 있다(S770). 상기 기지국(72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730)로부터 단말 컨텍스트 재개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단말 컨텍스트 재개 응답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780).
한편, 상기 단말(710)의 RRC 계층과 상기 기지국(720)의 RRC 계층 간 연결 이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단말(710)은 코어 네트워크(7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790).
다음으로, 5G 통신 시스템에서 RRC 연결 해제 절차와 RRC 연결 재개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5G 통신 시스템은 단말(UE)(810), 기지국(gNB)(820),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8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830)은 AMF, SMF, UP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gNB)(820)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CN)(830)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gNB)(820)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에 연결될 수 있고,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810)의 RRC 계층과 상기 기지국(820)의 RRC 계층 간 연결이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단말(81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8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810).
상기 기지국(810)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단말(810)의 RRC 연결 유보를 결정할 있다(S820). 예를 들어, 설정된 시간 동안 데이터의 송수신 없는 경우, 상기 기지국(820)은 상기 단말(810)이 RRC 연결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의 천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810)의 RRC 연결 유보가 결정된 경우, 상기 기지국(820)은 NG2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예컨대, N2 Suspend Request)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830)로 전송할 수 있다(S830). 즉, 상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830)의 AMF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830)는 상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단말 컨텍스트 유보 응답(예컨대, N2 Suspend Response)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8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840). 반면, 상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의 처리가 실패한 경우, 상기 코어 네트워크(830)는 단말 컨텍스트 유보 실패(예컨대, N2 Suspend Failure)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8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82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830)로부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응답을 수신한 경우, RRC 연결 유보 설정(예컨대, suspendConfig)을 포함하는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 메시지)를 상기 단말(8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850). 상기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 메시지)에 포함된 RRC 연결 유보 설정(예컨대, suspendConfig)은 상기 단말(810)에 저장되는 재개 식별자(Resume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개 식별자(Resume ID)는 resumeIdentity, I-RNTI, ShortI-RNTI 등 일 수 있다.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상기 단말(810)은 상기 기지국(820)으로부터 상기 RRC 연결 유보 설정(예컨대, suspendConfig)을 포함하는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유보 설정(예컨대, suspendConfig)을 포함하는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810)은 RRC 연결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 단말(810)의 RRC 계층과 상기 기지국(820)의 RRC 계층 간 연결은 유보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기지국(830)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830) 간 인터페이스 연결(NG 인터페이스)은 유지될 수 있다(S860).
RRC 인액티브 상태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유보된 RRC 연결을 재개하라는 요청 (예를 들어, 상위 레이어의 요청,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수신 등)을 받으면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도 9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재개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5G 통신 시스템은 단말(UE)(910), 기지국(gNB)(920),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9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930)은 AMF, SMF, UP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gNB)(920)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CN)(930)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gNB)(920)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에 연결될 수 있고,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910)의 RRC 계층과 상기 기지국(920)의 RRC 계층 간 연결은 유보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기지국(920)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930) 간 NG 인터페이스 연결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S910).
RRC 인액티브 상태에서 동작하는 상기 단말(910)은 단계 S920과 단계 S930을 거쳐서 상기 기지국(92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920)에 접속된 상기 단말(920)은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ResumeRequest/RRCResumeRequest1 메시지)를 포함하는 RA MSG3을 상기 기지국(9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930). 상기 RRC 연결 재개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ResumeRequest/RRCResumeRequest1 메시지)는 재개 식별자(Resume ID), 확립 원인, 인증 토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개 식별자(Resume ID)는 resumeIdentity, I-RNTI, 또는 ShortI-RNTI 등 일 수 있다.
상기 기지국(920)은 RA MSG3에 포함된 상기 단말(910)의 RRC 연결 재개 요청메시지(예컨대, RRCResumeRequest/RRCResumeRequest1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개 식별자(Resume ID)의 존재 여부 확인 및 인증 토큰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920)은 재개 식별자(Resume ID)의 존재 여부가 확인되고, 인증 토큰이 성공적으로 검증되면 RRC 연결 재개 응답 메시지(예컨대, RRCResume 메시지)를 포함하는 RA MSG4를 상기 단말(9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940). 여기서, 재개 식별자(Resume ID)는 resumeIdentity, I-RNTI, 또는 ShortI-RNTI 등 일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재개 응답 메시지(예컨대, RRCResume 메시지)을 포함하는 RA MSG4을 수신한 상기 단말(910)은 RRC 인액티브 상태에서 RRC 연결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960). 또한, 상기 단말(910)은 RRC 연결이 성공적으로 재개되었음을 확인하는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예컨대, RRCResumeComplete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9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970). 이때, 상기 단말(910)은 상항링크 버퍼 상태 보고 및/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연결 재개 완료 메시지(예컨대, RRCResume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910)의 RRC 계층과 상기 기지국(920)의 RRC 계층 간 연결이 존재할 수 있고, 상기 단말(91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9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980).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RRC 연결 유보 및 재개 절차의 실시예들은 4G 또는 5G 이동통신 환경에서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채널을 기반으로 판단하여 기지국 제어를 통한 유보/재개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이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2V(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와 같은 환경은 단말이 음영지역 유무에 따라 기지국의 간여 또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판단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단말에서 판단하고 결정하여 RRC 연결 유보/재개 절차가 진행되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상황 중에서 릴레이 상황에 대해 설명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백홀 통합(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네트워크의 상위 노드 및 하위 노드 간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IAB 네트워크는 IAB 노드(1000), IAB 노드(1000)의 상위 노드들(부모(parent)/도너(donor) 노드)(1010), IAB 노드(1000)의 하위 노드인 자식 노드들(child node)(1020)과 단말(user equipment, UE)(1030), IAB 노드(1000)와 상위 노드들(1010)을 연결하는 NR Uu 인터페이스(1040), IAB 노드(1000)와 자식 노드들(1020)을 연결하는 NR Uu 인터페이스(1050) 및 IAB 노드(1000)와 단말(1030)을 연결하는 NR Uu 인터페이스(10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AB 노드(1000)는 프론트-홀(front-haul) 구조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릴레이/중계기의 일종으로 생각될 수 있다. IAB 노드(1000)는 IAB-DU(IAB-Distributed Unit)와 IAB-MT(IAB-Mobile Termination)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IAB 노드(1000)는 IAB-DU를 사용하여 자식 노드(1020) 또는 단말(103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자식 노드(1020) 또는 단말(1030)은 해당 IAB 노드(1000)를 하나의 셀(서빙 셀)로 인식할 수 있다.
이는 IAB 노드(1000)의 IAB-DU와 자식 노드(1020)의 IAB-MT 또는 단말(1030)이 기지국-단말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인 NR Uu 인터페이스(1050, 106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IAB 노드(1000)는 IAB-MT를 통하여 상위 노드(10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위 노드(1010)는 해당 IAB 노드(1000)를 하나의 단말로 인식할 수 있다. 이는 IAB 노드(1000)의 IAB-MT와 상위 노드(1010)의 IAB-DU가 기지국-단말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인 NR Uu 인터페이스(104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IAB 노드(1000)는 수신 신호를 완전히 디코딩한 후에 이를 다시 인코딩(re-encoding)하여 증폭/전송하는 구조일 수 있다. IAB 노드(1300)는 재생 성형 중계기(regenerative relay)의 일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IAB 노드(1000)는 프로토콜 스택상 L1, L2 계층을 포함(경우에 따라서는 L3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음)하는 구조로 상위 노드(1010)에서 단말(1030)까지 제어 평면(control plane, CP) 및 사용자 평면(user plane, UP)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1은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백홀 통합(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 네트워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IAB 네트워크(1100)는 코어 네트워크(CN)(1110)과 기지국 역할을 하는 IAB 도너(donor)(1120), IAB 노드(node)(1130-1, 1130-2, 1130-3, 1130-4, 1130-5), 단말(UE)(1140-1, 1140-2, 1140-3)등을 포함할 수 있다. IAB 도너(1120)는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기능을 수행하는 CU-CP(Control Plane; CP)(1150) 및 CU-UP(User Plane; UP)(1160)와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1170, 1175) 분리될 수 있다. 무선 백홀 링크(Wireless access link)는 IAB 도너(1120)와 IAB 노드(1130-1, 1130-2, 1130-3), IAB 노드(1130-2, 1130-3)와 IAB 노드(1130-4, 1130-5)을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링크는 IAB 노드(1130-1, 1130-3, 1130-4)와 단말(1140-1, 1140-3, 1140-2)를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때, IAB 노드(1130-1, 1130-2, 1130-3, 1130-4, 1130-5)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IAB-DU와 IAB-MT의 두가지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IAB 노드(1130-2)는 무선 백홀 링크를 통해 자식 노드인 제 2 IAB 노드(1130-4), 부모 노드인 IAB 도너(1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IAB 노드(1130-2)는 기지국(예컨대 IAB 도너(1120))과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2 IAB-노드(1130-4)는 제1 IAB-노드 (1130-2)에 접속되어 릴레이를 통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 1 IAB 노드(1130-2)는 자체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예컨대 IAB 도너(1120))과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는 상태이고, 제2 IAB 노드(1130-4)와 릴레이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없는 상태일 때(예컨대, 기지국(IAB 도너(1120))에서 릴레이를 위한 스케줄 정보가 없거나 제1 IAB 노드(1130-2) 자체에서 릴레이를 위한 스케줄을 할 수 없는 경우), 제2 IAB 노드(1130-4)는 제3 IAB-노드(1130-4)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IAB 노드(1130-2)는 불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고, 불필요하게 처리된 데이터를 드롭(drop)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IAB 노드(1130-2)의 부하는 증가할 수 있고, 제1 IAB 노드(1122)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 1 IAB 노드(1130-2)는 릴레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일시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경우 유보/재개를 판단하여 다음과 같이 RRC 연결 유보 절차/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4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4G 통신 시스템은 단말(UE)(1210), 기지국(eNB)(1220), 코어 네트워크(EPC)(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PC는 MME, S-GW, P-G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210)은 RRC 연결 상태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123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1210). 상기 단말(12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한 경우, RRC 연결 유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20). 상기 RRC 연결 유보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Request 메시지)는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의 변형이거나 새롭게 정의된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단말(1210)로부터 RRC 연결 유보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122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1230)에게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UE 컨텍스트 유보 요청)할 수 있다(S1230). 상기 코어 네트워크(1230)는 상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기지국에게 단말 컨텍스트 유보 응답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40). 상기 기지국(1220)은 상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1210)의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250).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상기 단말(1210)은 상기 기지국(1220)으로부터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1210)은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RRC 연결 유보 완료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1250-1). 상기 RRC 연결 유보 요청 완료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Complete 메시지)는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의 변형이거나 새롭게 정의된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1260에서, 상기 단말은 RRC 연결 상태에서 RRC 휴지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13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개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5G 통신 시스템은 단말(UE)(1310), 기지국(gNB)(1320), 코어 네트워크(CN)(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CN)(1330)은 AMF, SMF, UP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gNB)(1320)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CN)(1330)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gNB)(1320)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에 연결될 수 있고,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1310)은 RRC 연결 상태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133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1310). 상기 단말(13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한 경우, RRC 연결 유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1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20). 상기 RRC 연결 유보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Request 메시지)는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 메시지)의 변형이거나 새롭게 정의된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단말(1310)로부터 RRC 연결 유보 요청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1320)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1330)에게 단말 컨텍스트 유보를 요청(UE 컨텍스트 유보 요청)할 수 있다(S1330). 상기 코어 네트워크(1330)는 상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단말 컨텍스트 유보 응답을 상기 기지국(1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340). 상기 기지국(S1320)은 상기 단말 컨텍스트 유보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1310)의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 메시지)를 상기 단말(1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S1350).
RRC 연결 상태로 동작하는 상기 단말(1310)은 상기 기지국(1320)으로부터 RRC 연결 유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단말(1310)은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RRC 연결 유보 완료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1350-1). 상기 RRC 연결 유보 요청 완료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Complete 메시지)는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Release 메시지)의 변형이거나 새롭게 정의된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1360에서, 상기 단말은 RRC 연결 상태에서 RRC 인액티브 상태로 천이할 수 있고 상기 기지국(1320)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1330) 간 NG 인터페이스 연결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기존의 RRC 연결 유보 절차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620 및 820)에 의해 RRC 연결 유보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단말(610 및 810)이 상기 기지국(620 및 820)에서 개시된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 및 RRC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단말(610 및 810)은 상기 RRC 연결 유보 메시지(예컨대,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 및 RRCRelease 메시지)에 기초하여 RRC 유보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단말(610 및 810)의 MAC 프로토콜 계층, RLC 프로토콜 계층, PDCP 프로토콜 계층 그리고 SDAP 프로토콜 계층에게 유보(suspend)를 알릴 수 있다.
반면, 단말에서 RRC 연결 유보 절차의 개시 또는 트리거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 SDAP 계층)에서 RRC 연결 유보/재개 절차를 개시 또는 트리거하는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제2 계층에서 RRC 연결 유보 절차를 트리거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MAC 계층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 MAC 계층에서 스케줄링이 불가한 상황인 경우;
- RLC 계층에서 MAC 계층으로부터 승인(grant)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 RLC 계층에서 MAC 계층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 PDCP 계층에서 IP 데이터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 PDCP 계층에서 하위 계층(RLC 계층)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 SDAP 계층에서 IP 데이터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 SDAP 계층에서 하위 계층(PDCP 계층)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또한, 다른 상황에서 데이터를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상기 단말의 제2 계층은 RRC 연결 유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 SDAP 계층)에서 RRC 연결 재개 절차를 트리거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MAC 계층이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의 수신 또는 자체적으로 스케줄링이 가능한 상태;
- RLC 계층이 MAC 계층으로부터 승인(grant) 정보를 수신하고 RLC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
- PDCP 계층과 SDAP 계층은 IP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하위 계층(예컨대, RLC 계층)과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상태.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2 계층의 RRC 유보/재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에서 제1 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계층(L1)은 PHY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계층(L2)은 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계층(L3)는 RRC(1450)을 포함할 수 있다. 4G 통신 시스템에서 SDAP 계층(144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2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에서 RRC 유보(또는 재개)를 판단하게 되면 유보 메시지로 제3 계층(RRC 계층(1450))의 RRC 연결 유보 절차(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트리거할 수 있다(S1410, S1420, S1430, S1440).
RRC 연결 유보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상태인 경우 RRC 연결 유보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유보 절차에서, 상기 RRC 계층(1450)은 상기 제2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으로 RRC 유보를 지시할 수 있다(S1450, S1460, S1470, S1480). 상기 제2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은 상기 RRC 계층(1450)의 RRC 유보 지시에 의해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는 제2 계층의 속한 모든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에서 RRC 유보의 미리 정의된 기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는 제2 계층의 속한 모든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에서 RRC 유보의 미리 정의된 기능이 수행된 것으로 판정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도 13에 도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한편, 4G 통신 시스템에서 SDAP 계층(1440)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RRC 연결 재개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이 RRC 휴지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인 경우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재개 절차에서, 상기 RRC 계층(1450)은 상기 제2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으로 RRC 재개를 지시할 수 있다(S1450, S1460, S1470, S1480). 상기 제2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은 상기 RRC 계층(1450)의 RRC 재개 지시에 의해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재개 절차는 제2 계층의 속한 모든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에서 RRC 재개의 미리 정의된 기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는 제2 계층의 속한 모든 계층(MAC 계층(1410), RLC 계층(1420), PDCP 계층(1430), SDAP 계층(1440))에서 RRC 재개의 미리 정의된 기능이 수행된 것으로 판정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한편, 4G 통신 시스템에서 SDAP 계층(1440)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RRC 연결 재개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도 15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2 계층의 RRC 유보/재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은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에서 제1 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계층(L1)은 PHY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계층(L2)은 MAC 계층(1510), RLC 계층(1520), PDCP 계층(1530), SDAP 계층(15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계층(L3)는 RRC(1550)을 포함할 수 있다. 4G 통신 시스템에서 SDAP 계층(1440)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제2 계층의 속한 계층은 RRC 유보(또는 재개)를 판단하게 되면 RRC 유보(또는 재개)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계층의 속한 계층은 RRC 계층(1550)을 통하지 않고 바로 제2 계층의 속한 다른 계층에게 RRC 유보(또는 재개)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MAC 계층(1510)이 RRC 유보(또는 재개)를 판단한 경우, 상기 MAC 계층(1510)은 상기 RRC 유보(또는 재개)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RRC 계층(1550)으로 RRC 유보(또는 재개)을 지시할 수 있다(S1510). 또한, 상기 MAC 계층(1510)은 상기 RLC 계층(1520)의 RRC 유보(또는 재개)를 지시할 수 있다(S1520). 상기 MAC 계층(1510)의 지시에 의해 상기 RLC 계층(1520)은 RRC 유보(또는 재개)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RDCP 계층(1530)의 RRC 유보(또는 재개)를 지시할 수 있다(S1530). 상기 RLC 계층(1520)의 지시에 의해 상기 RDCP 계층(1530)은 RRC 유보(또는 재개)에 미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SDAP 계층(1540)의 RRC 유보(또는 재개)를 지시할 수 있다(S1540). 상기 SDAP 계층(1540)의 지시에 의해 상기 RRC 계층(1550)의 RRC 유보(또는 재개)를 지시할 수 있다(S1550). 단계 S1510에서 상기 MAC 계층(1510)의 지시 및 단계 S1550에 SDAP의 지시에 의해, 상기 RRC 계층(1550)의 RRC 연결 유보 절차(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가 트리거될 수 있다.
RRC 연결 유보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상태인 경우 RRC 계층(1550)의 RRC 연결 유보 절차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는 제2 계층의 속한 모든 계층(MAC 계층(1510), RLC 계층(1520), PDCP 계층(1530), SDAP 계층(1540))에서 RRC 유보의 미리 정의된 기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는 제2 계층의 속한 모든 계층(MAC 계층(1510), RLC 계층(1520), PDCP 계층(1530), SDAP 계층(1540))에서 RRC 유보의 필요한 기능이 수행된 것으로 판정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도 13에 도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때, 4G 통신 시스템에서 SDAP 계층(1540)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RRC 연결 유보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한편, RRC 연결 재개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이 RRC 휴지 상태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인 경우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는 제2 계층의 속한 모든 계층(MAC 계층(1510), RLC 계층(1520), PDCP 계층(1530), SDAP 계층(1540))에서 RRC 재개의 미리 정의된 기능이 수행되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는 제2 계층의 속한 모든 계층(MAC 계층(1510), RLC 계층(1520), PDCP 계층(1530), SDAP 계층(1540))에서 RRC 재개의 미리 정의된 기능이 수행된 것으로 판정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RRC 연결 재개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이때, 4G 통신 시스템에서 SDAP 계층(1540)이 지원되지 않을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RRC 연결 재개 절차가 개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단말의 제2 계층(layer 2)에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단말이 제2 계층의 유보(suspend) 또는 재개(resume)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RRC 연결 유보 절차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를 트리거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이 RRC 연결 상태(RRC Connected State) 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유보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가 트리거되고 상기 단말이 RRC 휴지 상태(RRC Idle State) 또는 RRC 인액티브 상태(RRC Inactive State) 인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220103677A 2021-09-30 2022-08-19 통신시스템에서 rrc 연결 유보/재개 방법 및 장치 KR202300469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935 2021-09-30
KR20210129935 2021-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953A true KR20230046953A (ko) 2023-04-06

Family

ID=8591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3677A KR20230046953A (ko) 2021-09-30 2022-08-19 통신시스템에서 rrc 연결 유보/재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69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4454A1 (en) Re-Establishment of Component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31364B1 (en) Method for performing a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d2d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7433488B2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通知エリア(rna)更新の拒否時の構成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2088575B (zh) 用于在拒绝时处置周期性无线电接入网络通知区域(rna)更新配置的方法
CN111034342B (zh) 用于保持dc配置的方法和设备
CN110622561A (zh) 用于无线系统中分阶段重配置的系统和方法
JP6110376B2 (ja) 制御方法、ユーザ端末、プロセッサ、及び基地局
US11882617B2 (en) Methods for suspending inactive when resuming and resuming inactive when suspending
US2020018729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relay terminal
EP36956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pdcp version
US11917711B2 (en) RRC state transition method, terminal, CU, DU,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30038657A (ko) 스몰 데이터 송신을 위한 응답 타이머 및 셀 재선택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025420B1 (ko) 이중연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위한 파라미터 구성 방법 및 장치
CN116368920A (zh) 用于在小数据传输期间处理非小数据传输无线电承载的方法及其装置
KR2020000363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6210339A (zh) 无线通信系统中在rrc_inactive状态下处理小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13455086A (zh) 用于移动通信系统中通过两步随机接入过程传输用户数据的方法和装置
KR20230046953A (ko) 통신시스템에서 rrc 연결 유보/재개 방법 및 장치
WO2021062837A1 (zh) 通信方法及装置
KR2021005497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를 사용한 통신 방법
WO2020172844A1 (zh) 通信方法和装置
US20240188173A1 (en) Rrc state transition method, terminal, cu, du,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6041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200465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간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4181831A1 (ja) 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