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484A - 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 - Google Patents

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484A
KR20230046484A KR1020210129530A KR20210129530A KR20230046484A KR 20230046484 A KR20230046484 A KR 20230046484A KR 1020210129530 A KR1020210129530 A KR 1020210129530A KR 20210129530 A KR20210129530 A KR 20210129530A KR 20230046484 A KR20230046484 A KR 2023004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user
sports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5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3622B1 (en
Inventor
정주영
우상혁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622B1/en
Publication of KR2023004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4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mask for sports, which comprises: a foreign substance blocking unit which is worn on a user's face to restric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user's respiratory tract; an air transport unit which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foreign substance blocking unit; an air supply unit which provides external air to the foreign substance blocking unit through the air transport unit; and a wearing unit which is worn on the user's body, accommodates the air supply unit, and reduces shaking of the air transport unit.

Description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Air cleaning mask for sports {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할 경우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을 최소화 가능한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that is ergonomically designed and can minimize discomfort that a user may feel when exercising while wearing the mask.

팬데믹 이후 호흡기를 통한 세균 및 바이러스의 전파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마스크 착용이 법제화 되면서,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운동기관(피트니스 센터, 수용장, 실내 운동장)에서의 마스크를 착용이 의무화 되었다.After the pandemic, as wearing a mask was legislated to minimize the spread of germs and viruses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it became mandatory to wear a mask in sports facilities (fitness centers, prison camps, indoor playgrounds) where many people gather.

그러나, 종래에 널리 사용되던 일회용 마스크의 경우 세균 및 바이러스 차단능력이 높은 마스크일수록 공기가 통과하는 공극이 작아 사용자의 호흡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어, 일회용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가 호흡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disposable masks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sk with a higher ability to block bacteria and viruses has a smaller air gap, making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breathe. Difficulty breathing often occurs.

이후,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로 공기를 공급하여,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호흡 가능한 스포츠 마스크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스포츠 마스크의 경우 공기 공급장치가 팔에 장착되는 형태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공기 공급장치와 마스크를 연결하는 호스가 팔의 관절 가동범위에 위치되었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에 부딪혀 운동을 방해하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Later, in order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 sports mask was developed that allows air to be supplied to the mask and allows smooth breathing even while wearing the mask. Not only did it have a problem of feeling foreign body, but also had a problem of bumping into the user's arm and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because the hose connecting the air supply device and the mask was located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rm joint.

따라서, 공기 공급장치 및 호스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용 마스크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type of sports mask capable of minimizing discomfort caused by an air supply device and a hose.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20-0133572호(명칭: 클린에어 공급장치, 공개일: 2020.11.30)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133572 (Name: Clean Air Supply Device, Publication Date: 2020.11.30)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944498호(명칭: 고기능 필터가 구비된 마스크, 공고일: 2019.01.31.)Patent Document 2)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944498 (Name: Mask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filter, Publication date: 2019.01.31.) 특허문헌 3)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772363호(명칭: 고성능 에어 클린 마스크, 공고일: 2017.08.29)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772363 (Name: High Performance Air Clean Mask, Publication Date: 2017.08.2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시에도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는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that allows the user to breathe smoothly even during exercise.

또한, 운동 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 가능한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capable of minimizing discomfort felt by a user during exerci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호흡기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이물질 차단부(100); 상기 이물질 차단부(200)로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이송부(200);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 이송부(200)를 통해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로 제공하는 공기 공급부(300);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고, 상기 공기 공급부(300)가 수용되며, 상기 공기 이송부(200)의 흔들림을 저감시키는 착용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worn on a user's face to limi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tract; an air delivery unit 200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200; an air supply unit 300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through the air delivery unit 200; and a wearing part 400 worn on a user's body, accommodating the air supply part 300, and reducing shaking of the air conveying part 200.

또한, 상기 착용부(400)는 사용자의 등과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부(300)가 수용되며,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통풍부(401)가 형성되는 제1 수용수단(410); 상기 제1 수용수단(410)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 결합하는 착용수단(420);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수용수단(410) 및 상기 착용수단(420)과 연결되는 가이드 수단(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ing part 400 is positioned to face the user's back, the air supply part 300 is accommodated, the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formed with a ventilation part 401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side; Wearing means 420 for tightly coupling the first receiving means 410 to the user's body; It is positioned to face the user's shoulder,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and the wearing means 42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guide means 430.

또한, 상기 가이드 수단(430)은 상기 공기 이송부(200)를 압박 고정하는 흔들림 방지부재(4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means 43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hake-preventing member 431 for pressing and fixing the air delivery unit 200 .

또한, 상기 착용수단(420)은 사용자의 가슴과 마주보게 위치되며 보관부(421-1)가 형성되는 제2 수용수단(421); 상기 제2 수용수단(421)과 상기 제1 수용수단(410)을 연결하는 착용부재(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earing means 420 is positioned to face the user's chest and includes a second receiving means 421 in which a storage part 421-1 is formed; and a wearing member 422 connecting the second accommodating means 421 and the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사용자의 호흡기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공기를 통과 시키고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비말 차단부재(110); 상기 비말 차단부재(11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is positioned to face the user's respiratory system, the droplet blocking member 110 for passing air and filtering foreign mat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act member 120 for bringing the droplet blocking member 1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또한,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301)와,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배출부(302)가 형성되는 공급부 하우징(310); 상기 공급부 하우징(310) 내부에 상기 공기 유입부(301)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팬(320); 상기 공기 유입부(301)와 상기 팬(320) 사이에 워치되어 통과하는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수단(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unit 300 includes a supply unit housing 310 having an air intake unit 30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air discharge unit 302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air delivery unit 200; a fan 320 positioned to face the air inlet 301 inside the supply unit housing 3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filtering means 330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watch between the air inlet 301 and the fan 320.

또한,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상기 팬(32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340); 상기 제어부(340)와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350); 상기 팬(320), 제어부(340), 통신수단(35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unit 300 includes a control unit 3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320; Communication means 35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40 and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battery 360 supplying electricity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fan 320, the controller 340, and the communication means 35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상기 공급부 하우징(310)은 상기 공기 유입부(301) 및 상기 공기 배출부(302)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공간(303)을 구획하여 공기 유입공간(303)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공기 유입부(30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302)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립(3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ly unit housing 310 divides an air inlet space 303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301 and the air outlet 302 to reduce the volume of the air inlet space 303 and allow air to flow 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uide lip 370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unit 301 to move to the air discharge unit 302.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는, 공기 공급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이물질 차단부로 공급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더라도 원활하게 호흡 가능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external air to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through the air supply unit, the user can breathe smoothly even when exercising while wearing the mask.

또한, 착용부에서 공기 이송부를 잡아 운동 중 이송부가 흔들리며 운동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shaking the conveying part during exercise by holding the air conveying part in the wearing part and interfering with the motion.

그리고, 공기 이송부가 사용자의 어깨 상측에 고정되므로, 공기 이송부가 사용자의 팔 움직임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delivery uni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user's shoulder, there is an advantage in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air delivery unit interferes with the user's arm movement.

또한, 공기 공급부가 사용자의 등에 고정되므로, 사용자의 양팔 중 어느 하나의 팔에 고정될 때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체 밸런스를 저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supply unit is fixed to the user's back, there is an advantage in not disturbing the user's body balance compared to when the air supply unit is fixed to either one of the user's arms.

아울러, 가이드 립이 사용되지 않는 공기 유입공간을 구획하므로, 공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공기 배출부로 이동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lip divides the unused air inlet spa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is more smoothly moved to the air outlet.

도 1은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를 나타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의 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의 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의 착용부가 신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및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의 커넥터 수단을 나타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의 고기 이송부 및 커넥터 수단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supply of the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ir supply of the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front and rear views showing that the wearing part of the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body.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means of the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meat transfer unit and the connector means of the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ir cleaning mask 1000 for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를 나타내 사시도이고, 도 2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호흡기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이물질 차단부(100)와, 상기 이물질 차단부(200)로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이송부(200)와, 외부 공기를 상기 이송부(200)를 통해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로 제공하는 공기 공급부(300)와,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고, 상기 공기 공급부가 수용되며, 상기 공기 이송부(200)의 흔들림을 저감시키는 착용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 and 2, the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worn on the user's face to limi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tract, and the foreign material blocking unit 200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tract. An air delivery unit 200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is supplied, an air supply unit 300 providing outside air to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through the delivery unit 200, and worn on a user's body, the air The supply unit is accommodated and may include a wearing unit 400 that reduces shaking of the air delivery unit 200 .

상세히 설명하면, 호흡은 근육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배출시키고 산소를 받아들이기 위한 것으로, 근육의 움직임이 보다 활성화 되는 운동 상황에서는 호흡량이 늘어나게 된다.In detail, breathing is for discharging carbon dioxid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uscle movement and accepting oxygen, and in an exercise situation in which muscle movement is more active, the amount of breathing increases.

그러나,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세균, 바이러스 등이 비말과 함께 퍼져나가거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개의 공극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이물질 차단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할 경우 충분한 호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공기 공급부(300)를 통해 이물질 차단부(1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양의 공기를 공급 가능하도록 하였다.However, since the foreign matter blocking part 100 is a means for blocking the spread or inflow of bacteria, viruses, etc. along with droplets, and has a porous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air gaps are formed, the foreign matter blocking part 100 is worn. Since it is difficult to breathe sufficiently when exercising in this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fficient amount of air can be supplied to the user wearing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through the air supply unit 300.

다시한번 설명하면, 사용자가 이물질 차단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 시, 상기 공기 공급부(300)에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인 후 상기 공기 이송부(200)를 통해 이물질 차단부(100) 내부로 공급하여, 사용자가 공급되는 원활하게 호흡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exercises while wearing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outside air is sucked in from the air supply unit 300 and then into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through the air delivery unit 200. It is supplied so that the user can breathe smoothly with the supply.

그리고, 상기 공기 이송부(200)와 상기 공기 공급부(300)를 팔에 착용 시 사용자의 운동 모션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착용부(400)를 통해 공기 공급부(300)를 사용자의 등에 위치시키고, 공기 이송부(200)가 사용자의 어깨를 거쳐 이물질 차단부(100)와 연결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인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air conveying part 200 and the air supplying part 300 are worn on the arm, they may interfere with the user's motion, 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ing part 300 is supplied to the user's back through the wearing part 400. position, and the air transfer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via the user's shoulder, so that the user wearing the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eel uncomfortable.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원활한 호흡 및 운동을 위한 물질 차단부(100), 공기 이송부(200), 공기 공급부(300), 착용부(4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material blocking unit 100, the air transport unit 200, the air supply unit 300, and the wearing unit 400 for the user's smooth breathing and move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사용자의 호흡기와 마주보게 위치되며, 공기를 통과 시키고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비말 차단부재(110)와, 비말 차단부재(11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is positioned to face the user's respiratory system, and the droplet blocking member 110 passes air and filters foreign substances, and the contact member 120 closes the splash blocking member 110 to the user's face. ) can be made including.

상세히 설명하면, 호흡 과정에서 세균 및 바이러스가 퍼져나가거나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공기만을 통과 시키고 비말을 차단 가능한 다공성 구조의 비말 차단부재(110)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여야 하므로, 상기 밀착부재(120)를 이용하여 비말 차단부재(110)를 당겨, 비말 차단부재(110)의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in order to minimize the spread or inflow of bacteria and viruses during the breathing process, since air must pass through the porous droplet blocking member 110 capable of blocking only air and blocking droplets, the contact member ( 120) to pull the droplet blocking member 110 so that the edge of the droplet blocking member 11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이때, 상기 비말 차단부재(110)는 공기를 통과 시키고 세균 및 바이러스를 차단 가능한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밀착부재(12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개의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비말 차단부재(110)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도록 당기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oplet blocking member 11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materials capable of passing air and blocking bacteria and viruses, and in the case of the close contact member 120,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members having elastic for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dge of the splash blocking member 110 is pu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but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ring form that spans the user's ear.

또한,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사용자의 호흡기와 마주보는 상기 비말 차단부재(110)의 내면 또는 내부에 위치되어, 비말 차단부재(110)와 사용자의 호흡기 사이에 공기가 위치될 수 있는 충분한 호흡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 the drawing,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r inside of the splash blocking member 110 facing the user's respiratory tract, and air is between the splash blocking member 110 and the user's respiratory tract. May include a frame portion that forms a sufficient breathing space that can be positioned.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하기 위해선 호흡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프레임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호흡기와 마주보는 비말 차단부재(110)의 중앙부가 사용자의 안면 전측으로 돌출되며 호흡공간을 형성 가능하게 한 것이다.In detail, since sufficient space for breathing must be secured in order for the user to breathe smoothly, the central part of the splash blocking member 110 facing the user's respiratory system is used to cover the entire face of the user by using a frame having a certain rigidity. It protrudes to the side and makes it possible to form a breathing space.

그리고, 상기 비말 차단부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실링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링부는 천 재질일 수도 있으나, 보다 높은 밀착력을 얻을 수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권장된다.In addition, a sealing portion may be further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plash blocking member 110 to increase adhesion, and although such a sealing portion may be made of cloth, it is recommended that the sealing portion be formed of rubber or silicone to obtain higher adhesion. do.

도 3은 이물질 차단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supply unit supplying air to a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공급부(3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301) 및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배출부(302)가 형성되는 공급부 하우징과, 공급부 하우징(310) 내부에 상기 공기 유입부(301)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팬(320)과, 공기 유입부(301)와 팬(320) 사이에 위치되어 통과하는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링 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air supply unit 300 includes a supply unit housing having an air inlet 30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air discharge unit 302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air transfer unit 200, and a supply unit housing. 310, a fan 320 positioned facing the air inlet 301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320 located between the air inlet 301 and the fan 320 Means 330 may be included.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팬(320)에서 공기 유입부(301)를 통해 외부 공기를 빨아들인 후, 상기 공기 배출부(302)로 배출하여, 공기 배출부(302)와 연결된 공기 이송부(200)를 통해 이물질 차단부(100)로 공기를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the fan 320 sucks in external air through the air inlet 301 and then discharges it to the air outlet 302 so that the air delivery unit 200 connected to the air outlet 302 Through this, air is supplied to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이때, 공기 유입부(30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 유입부(301)에서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조대 이물질을 1차 필터링 하고, 상기 필터링 수단(330)에서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미세 이물질을 2차 필터링 하는 것을 권장한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301 may contain foreign substances, the coarse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ir are primarily filtered in the air inlet 301, and the filtering means 330 Secondary filtering of fine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air is recommended.

상기 공기 유입부(301)는 공급부 하우징(310)에 천공된 구멍에 교차 형성되는 이물제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링 수단(330)은 메쉬 또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필터(3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let 301 may include a foreign matter removal frame intersecting a hole drilled in the supply unit housing 310, and the filtering unit 330 includes various filters 331 having a mesh or porous structure. can do.

필터링 수단(330)은 사용자가 일정 주기마다 교체 가능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버튼(332)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교체버튼과 공급부 하우징(310)의 결합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교체버튼을 손으로 압박 시 교체버튼이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하여 공급부 하우징(310)과 필터링 수단(33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권장한다.As shown in FIG. 3, the filtering means 330 may be formed with a replacement button 332 protruding so that the user can replace it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replacement button and the supply unit housing 31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user It is recommended that when the replacement button is pressed by hand, the replacement button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ly unit housing 310 and the filtering unit 330 is released.

그리고, 공기 공급부(300) 상에는 사용자가 팬(320) 작동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340)와, 제어부(340)와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350)과, 팬/제어부/통신수단에 전기를 공급하여 작동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360)를 포함할 수 있다.And, on the air supply unit 300, a control unit 340 that enables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320, a communication unit 35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40 and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fan/control unit/communication unit. It may include a battery 360 that supplies electricity to the means to enable operation.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공기 공급부(300)는 사용자가 공급부 하우징(310) 상에 장착된 버튼을 이용하여 작동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운동 시 착용부(400) 내부에 수납되기 때문에 버튼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통신수단(350)을 통해 제어부(340)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스마트장치(핸드폰, 스마트 워치)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스마트장치를 통해 공기 공급부(300)의 작동을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the air supply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by a user using a button mounted on the supply unit housing 310, but in general, since the air supply unit 3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wearable unit 400 during exercise, button operation is not required. Since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the control unit 340 communicates with a smart device (cell phone, smart watch)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350, and the us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300 through the smart device that made it possible

아울러, 공급부 하우징(310)은 상기 공기 공급부(301) 및 상기 공기 배출부(302)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공간(303)을 구획하여 공기 유입공간(303)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공기 유입부(30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302)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립(37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unit housing 310 divides the air inlet space 303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pply unit 301 and the air discharge unit 302 to reduce the volume of the air inlet space 303, and the air inlet ( A guide lip 370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301 to move more easily to the air discharge unit 302 may be included.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 공급부(301)와 공기 배출부(302)를 연결하는 공기 유입공간(303)의 부피가 클수록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립(370)을 이용하여 공기 유입공간(303)의 부피를 최소화 하여 준 것이다.In detail, as the volume of the air inlet space 303 connecting the air supply unit 301 and the air discharge unit 302 increases, the air does not move smoothly, 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lip 370 is used. Thus, the volume of the air inlet space 303 was minimized.

그리고, 가이드 립(370)이 공기 공급부(30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302)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여,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guide lip 370 forms a path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301 moves to the air discharge unit 302, so that the air can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more easily.

이때, 상기 가이드 립(370) 상에는 표면을 타고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이 상기 공기 배출부(302)를 향하게 하는 복수개의 보조 립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 립은 호선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auxiliary ribs may be protrudingly formed on the guide rib 370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ir moving along the surface is directed toward the air outlet 302, and these auxiliary ribs have an arc-shaped cross-sectional shape. can have

도 4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부(40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부(400)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후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howing that the wearable part 400 is coupled to the user's body, and FIG. 5 is a rear view showing that the wearable part 400 is coupled to the user's body.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착용부(400)는 사용자의 등과 마주보게 위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부(300)가 수용되며,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통풍부(401)가 형성되는 제1 수용수단(410)과, 제1 수용수단(410)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 결합하는 착용수단(420)과,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제1 수용수단(410) 및 상기 착용수단(420)과 연결되는 가이드 수단(430)을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wearing part 400 is positioned facing the user's back, the air supply part 300 is accommodated, and a ventilation part 401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side is formed. A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a wearing means 420 for closely coupling the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to the user's body, and positioned to face the user's should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re positioned to face the user's shoulder. 1 may include a receiving means 410 and a guide means 430 connected to the wearing means 420.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 수용수단(410)에 공급부(300)를 수용한 후 제1 착용수단(410)이 가슴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하면, 공급부(300)가 수용된 제1 수용수단(410)이 사용자의 등에 위치되므로 장치를 착용하며 느껴지는 이물감 및 좌우 무게 벨런스가 무너지며 발생하는 불편함 또한 최소화 가능한 것이다.In detail, when the user accommodates the supply unit 300 in the first housing unit 410 and then wears the first wearing unit 410 in a form that covers the chest, the first housing unit in which the supply unit 300 is accommodated ( 410) is located on the user's back,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oreign body sensation felt while wearing the device and discomfort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left and right weight balance.

그리고, 관 형상을 가지는 공기 이송부(200)는 가이드 수단(430)에 형성된 흔들림 방지부재(431)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에 밀착 고정되므로, 운동 시 발생하는 공기 이송부(200)의 흔들림을 최소화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팔이 공기 이송부(200)와 부딪히며 발생하는 불편함 또한 최소화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air conveying unit 200 having a tubular shape is tightly fixed to the user's shoulder by the shaking preventing member 431 formed on the guide means 430, shaking of the air conveying part 200 generated during exercis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discomfort caused by the user's arm colliding with the air delivery unit 200 during exercise can also be minimized.

상세히 설명하면, 운동 시 움직임이 크게 발생하는 부위는 목, 팔, 허리, 다리 등의 부위로, 종래와 같이 움직임이 크게 발생하는 부위에 공기공급장치를 고정할 경우, 공기 공급장치와 얼굴에 착용하고 있는 마스크를 연결하는 관이 크게 흔들리고, 사용자의 신체와 부딪힐 뿐만 아니라, 흔들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연결부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detail, the areas where large movements occur during exercise are areas such as the neck, arms, waist, and leg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ube connecting the mask being shaken greatly, not only colliding with the user's body, but also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part was released by the force generated during the shak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수단(430)이 공기 이송부(200)를 사용자의 어깨까지 밀착 고정하여, 사용자의 팔 움직임 및 허리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한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ans 430 closely fixes the air delivery unit 200 to the user's shoulder,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user's arm movement and waist movement.

이때,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431)는 가이드 수단(430)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흔들림 방지부재(431)는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벨크로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anti-shake members 431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along the guide means 430, and the plurality of anti-shake members 431 may be formed with Velcro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아울러, 상기 착용수단(4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과 마주보게 위치되며, 보관부(421-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장치가 수용 가능한 제2 수용수단(421)과, 상기 제2 수용수단(421)과 상기 제1 수용수단(410)을 연결하며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는 착용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부재(422) 상에는 사용자의 착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버클(422-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ing means 420 is located facing the user's chest,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a storage unit 421-1 is formed, a second smart device used by the user can be accommodated. It may include a receiving member 422 connecting the receiving means 421, the second receiving means 421 and the first receiving means 410 and covering the user's chest, and on the wearing member 422, the user A buckle 422-1 that makes it easier to wear may be formed.

도 6은 공기 공급부와 공기 이송부를 연결하는 커넥터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커넥터 수단과 공기 이송부의 결합을 나타내 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unit connecting an air supply unit and an air transfer unit,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 unit and the air transfer unit.

상기 공기 이송부(200)와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공기 이송부(200)가 공기 배출부(302)에 끼워지는 직접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공기 공급부(30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수단(500)을 통해 공기 이송부(200)와 공기 공급부(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ir conveying part 200 and the air supply part 300 may be formed in a direct coupling form in which the air conveying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air discharge part 302, but the connector means 500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supply part 300 Through ), the air delivery unit 200 and the air supply unit 300 may be coupled.

그리고, 상기 커넥터 수단(500)은 상기 공기 배출부(302)와 결합되는 커넥터 관(510)과, 상기 커넥터 관(510)의 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공기 이송부(200)가 끼워지는 체결 돌기(521)가 형성되는 커넥터부(520)와, 상기 커넥터부(5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이송부(200)의 주름을 잡아 사용되는 공기 이송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means 500 includes a connector tube 510 coupled to the air discharge unit 302 and a fastening protrusion 521 positioned at an end of the connector tube 510 and into which the air delivery unit 200 is fitted. ) is formed on the connector part 520, and the length adjusting part 530 formed on the edge of the connector part 520 and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ir conveying part 200 used by crimping the air conveying part 200 can include

상세히 설명하면, 사람마다 인체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 공기 이송부(200)를 주름관 형태로 형성하여 공기 이송부(2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할 지라도, 공기 이송부(200)가 사용자의 체형에 최적화된 길이를 가지지 못할 경우 많이 흔들리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길이조절부(530)를 이용하여 공기 이송부(200)의 길이를 자신의 체형에 최적화된 길이로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detail, since the human body structur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even if the length of the air transport unit 200 is variable by forming the air transport unit 200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the air transport unit 200 is optimized for the user's body shape. If it does not have a length, it shakes a lot, 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air conveying unit 200 to a length optimized for his or her body shape using the length adjusting unit 530.

이때, 상기 길이조절부(530)는 길이조절 몸체(531)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 립(532)이 공기 이송부(200)의 주름에 끼워져 가용되는 공기 이송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며, 사용되지 않는 공기 이송부(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하여 커넥터부(52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ment unit 530 adjusts the length of the available air transfer unit 200 by inserting the stopper lip 532 formed at th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body 531 into the wrinkles of the air transfer unit 200, and In order to hold the air delivery unit 200 more stably, a plurality of them may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unit 520 .

그리고,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목이 일정 이상의 범위로 움직이게 되면, 자연스럽게 길이조절부(530)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공기 이송부(200)가 풀려나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립(532)은 탄성변형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만들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s neck moves over a certain range during the exercise process, the stopper lip 532 is elastically deformable rubber or It can be made of silicone material.

아울러, 상기 길이조절부(530) 사용 시 상기 길이조절 몸체(531)가 사용자에 의해 벤딩되기 때문에, 길이조절 몸체(531)와 커넥터부(520)의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되거나 피로가 누적되어 파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길이조저 몸체(531)와 커넥터부(520)의 연결부에는 보강립(533)이 형성되어, 장치 사용 시 발생하는 길이조절 몸체(531)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권장한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adjusting body 531 is bent by the user when the length-adjusting part 530 is used,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length-adjusting body 531 and the connector part 520, or fatigue accumulates and breaks. Since this may occur, it is recommended that a reinforcing lip 533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ength adjustment body 531 and the connector unit 520 to prevent damage to the length adjustment body 531 that occurs when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 이물질 차단부 110 : 비말 차단부재
120 : 밀착부재
200 : 이송부
300 : 공기 공급부 301 : 공기 유입부
302 : 공기 배출부 303 : 공기 유입공간
310 : 공급부 하우징
320 : 팬 330 : 필터링 수단
340 : 제어부 350 : 통신수단
360 : 배터리 370 : 가이드 립
400 : 착용부 401 : 통풍부
410 : 제1 수용수단 420 : 착용수단
421 : 제2 수용수단 421-1 : 제2 수용수단
422 : 착용부재 430 : 가이드 수단
431 : 흔들림 방지부재
100: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10: splash blocking member
120: adhesion member
200: transfer unit
300: air supply unit 301: air inlet unit
302: air outlet 303: air inlet space
310: supply unit housing
320: fan 330: filtering means
340: control unit 350: communication means
360: battery 370: guide lip
400: wearing part 401: ventilation part
410: first accommodating means 420: wearing means
421: second accommodating means 421-1: second accommodating means
422: wearing member 430: guide means
431: anti-shake member

Claims (8)

공기를 필터링하여 사용자의 호흡기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이물질 차단부(100);
상기 이물질 차단부(200)로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 이송부(200);
상기 공기 이송부(200)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 공급부(300);
상기 공기 공급부(300)가 수용되고, 상기 공기 이송부(200)를 사용자의 몸에 밀착시키는 착용부(400);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
A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that filters air to limi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user's respiratory tract;
an air delivery unit 200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200;
an air supply unit 300 supplying air to the air delivery unit 200;
A wearing part 400 accommodating the air supply part 300 and bringing the air delivery part 2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ncluding,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400)는 상기 공기 공급부(300)가 수용되고, 통풍부(401)가 형성되는 제1 수용수단(410);
상기 제1 수용수단(410)을 사용자의 몸에 밀착하는 착용수단(420);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 수용수단(410) 및 상기 착용수단(420)과 연결되는 가이드 수단(430);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ing part 400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in which the air supply part 300 is accommodated and a ventilation part 401 is formed;
a wearing means 420 for adhering the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to a user's body;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comprising: a guide means (430) positioned to face the user's shoulder and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and the wearing means (4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430)은 상기 공기 이송부(200)를 압박 고정하는 흔들림 방지부재(431);를 포함하는, 스포츠형 공기청정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2,
The guide means 430 includes a shake-preventing member 431 for pressurizing and fixing the air delivery unit 200; sports-type air cleaning mask.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수단(420)은 보관부(421-1)가 형성되는 제2 수용수단(421);
상기 제2 수용수단(421)과 상기 제1 수용수단(410)을 연결하는 착용부재(422);를 포함하는, 스포츠형 공기청정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2,
The wearing means 420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means 421 in which a storage part 421-1 is formed;
A sports type air cleaning mask comprising a; wearing member 422 connecting the second accommodating means 421 and the first accommodating means 4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단부(100)는 통과하는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비말 차단부재(110);
상기 비말 차단부재(110)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재(120);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foreign matter blocking unit 100 is a droplet blocking member 110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mix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comprising: a contact member 120 that adheres the droplet blocking member 110 to the user's 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공기 유입부(301) 및 공기 배출부(302)가 형성되는 공급부 하우징(310);
상기 공급부 하우징(310) 내부에 상기 공기 유입부(301)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팬(320);
상기 공기 유입부(301)와 상기 팬(320) 사이에 위치되어 통과하는 공기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수단(330);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unit 300 includes a supply housing 310 in which an air inlet 301 and an air outlet 302 are formed;
a fan 320 positioned to face the air inlet 301 inside the supply unit housing 310;
A filtering means 330 positioned between the air inlet 301 and the fan 32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passing ai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300)는 상기 팬(320)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340);
상기 제어부(340)와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수단(350);
상기 팬(320), 제어부(340), 통신수단(35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360);를 포함하는,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6,
The air supply unit 300 includes a control unit 3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320;
Communication means 35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40 and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battery 360 supplying electricity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the fan 320, the controller 340, and the communication means 350; including,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 하우징(310)은 상기 공기 유입부(301) 및 상기 공기 배출부(302)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공간(303)을 구획하고, 공기 유입부(30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부(302)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립(370);을 포함하는, 스포츠용 공기청정 마스크.
According to claim 6,
The supply unit housing 310 partitions an air inlet space 303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301 and the air outlet 302,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301 is passed through the air outlet. An air cleaning mask for sports, including; a guide lip 370 that guides the movement to 302.
KR1020210129530A 2021-09-30 2021-09-30 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 KR102653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530A KR102653622B1 (en) 2021-09-30 2021-09-30 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530A KR102653622B1 (en) 2021-09-30 2021-09-30 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484A true KR20230046484A (en) 2023-04-06
KR102653622B1 KR102653622B1 (en) 2024-04-01

Family

ID=8591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530A KR102653622B1 (en) 2021-09-30 2021-09-30 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622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32B1 (en) * 2007-04-25 2008-05-08 김경진 Exercising fine dust-protection apparatus minimizing respiratory resistance
KR20160004241U (en) * 2015-06-02 2016-12-12 박성용 Portable bag
KR101772363B1 (en) 2017-03-27 2017-08-29 정권 High-performance air clean mask
KR20190007580A (en) * 2017-07-12 2019-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purifier
KR101944498B1 (en) 2017-12-27 2019-01-31 주식회사 매경 Mask with filter of High function
KR102024729B1 (en) * 2018-04-04 2019-09-24 박예진 Mask with water filter
KR20200133572A (en) 2019-05-20 2020-11-30 이기수 Apparatus for supplying clean air
KR102217345B1 (en) * 2020-07-02 2021-02-18 이재훈 Air purifier combined with mask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32B1 (en) * 2007-04-25 2008-05-08 김경진 Exercising fine dust-protection apparatus minimizing respiratory resistance
KR20160004241U (en) * 2015-06-02 2016-12-12 박성용 Portable bag
KR101772363B1 (en) 2017-03-27 2017-08-29 정권 High-performance air clean mask
KR20190007580A (en) * 2017-07-12 2019-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purifier
KR101944498B1 (en) 2017-12-27 2019-01-31 주식회사 매경 Mask with filter of High function
KR102024729B1 (en) * 2018-04-04 2019-09-24 박예진 Mask with water filter
KR20200133572A (en) 2019-05-20 2020-11-30 이기수 Apparatus for supplying clean air
KR102217345B1 (en) * 2020-07-02 2021-02-18 이재훈 Air purifier combined with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622B1 (en)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707B1 (en) Facial mask
KR102627983B1 (en) Mask apparatus
RU2642776C2 (en) Respiratory mask with clean air reception chamber
KR101905431B1 (en) Air purification mask system.
WO2016167495A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utants
JP2008543443A (en) Gas transfer mask with flexible bellows
US20210308496A1 (en) Respiratory mask
KR20130063287A (en) Multi functional mask
KR101951239B1 (en) Fine dust blocking mask goggle
KR102471392B1 (en) Functional mask
EP3369451B1 (en) Frameless respiratory mask
KR20200104780A (en) Air control mask
KR102151670B1 (en) Air valve for Mask
KR102086137B1 (en) Mask
KR20190097802A (en) Mask
KR102069369B1 (en) Multi Functional Mask
KR20230046484A (en) Sport mask for supplying clean air
KR101915542B1 (en) Mask
KR20210145043A (en) Powered air-purifying respirator
US20210275840A1 (en) Filter mask
KR200494533Y1 (en) Mask for guard
KR20220063015A (en) Wearable air purifier
KR20220043269A (en) Transparent mask equipped with oxygen supply
KR20210100278A (en) Portable dustproof device
CN105854200B (en) Evaporation formula nasal cavity inhales respiratory track treatment nose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