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220A -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device for stretching film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device for stretching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220A
KR20230046220A KR1020220119201A KR20220119201A KR20230046220A KR 20230046220 A KR20230046220 A KR 20230046220A KR 1020220119201 A KR1020220119201 A KR 1020220119201A KR 20220119201 A KR20220119201 A KR 20220119201A KR 20230046220 A KR20230046220 A KR 2023004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zone
clip
temperature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0416B1 (en
Inventor
아유무 나카하라
히토시 키타기시
타카시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2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4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in a direction which is not parallel or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feed,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20Edge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2035/0283Thermal pretreatment of the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 with reduced deviation in orientation angle with high production efficienc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stretched film by using a film stretching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gripping zone, a preheating zone, a stretching zone, and an opening zone in this order from an entrance side of the film to an exit side thereof and comprises: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of endless shape passing through these zones; and a plurality of variable pitch type left and right clips guided by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and moving in a circular motion passing through the gripping zone, the preheating zone, the stretching zone, and the opening zone in this order.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tretched film comprises: gripp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ng film in a width direction by the left and right clips, respectively; preheating the film; runn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changing a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to obliquely stretch the film; and opening the film from the left and right clips. Provided is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tretched film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on the way back from the open zone to the gripping zone is adjusted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gripping the film is below Tg-90℃ of th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ive width can be widened by gripping the film with a clip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ch that manufactu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필름 연신 장치{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DEVICE FOR STRETCHING FILM}Stretched film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and film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은,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필름 연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laminate, and a film stretching device.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OLE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 특성의 향상이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원편광판이 이용되고 있다. 원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대표적으로는 λ/4판)이, 편광자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적층되어 있다. 종래, 위상차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함으로써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지상축은, 많은 경우, 장척상의 필름 원반(原反)의 횡방향(폭 방향) 또는 종방향(장척 방향)으로 발현한다. 결과로서, 원편광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을 폭 방향 또는 장척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재단하고, 1매씩 첩합할 필요가 있었다.BACKGROUND ART In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 (OLEDs), circularly polarizing plate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display characteristics or preventing reflection. In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typically,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typically a λ/4 plate) are laminated so that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form an angle of 45°. Conventionally, since the retardation film is typically produced by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in the machine direction and/or transverse direction, the slow axis thereof is, in many cases, the transverse direction ( width direction) or longitudinal direction (long direction). As a result, in order to produce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t was necessary to cut the retardation film so as to form an angle of 45°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r the elongated direction, and bond it one by one.

또한, 원편광판의 광대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λ/4판과 λ/2판의 2매의 위상차 필름을 적층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는 λ/2판은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7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하고, λ/4판은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1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도, 원편광판을 제작할 때에는, 위상차 필름을 폭 방향 또는 장척 방향에 대하여 15° 및 7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재단하고, 1매씩 첩합할 필요가 있었다.Further, in order to secure the broadband property of the circular polarizing plate, there are cases in which two retardation films, a λ/4 plate and a λ/2 plate, are laminated. In that case, the λ/2 plate needs to be laminated at an angle of 7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nd the λ/4 plate needs to be laminated at an angle of 15°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Also in this case, when producing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t was necessary to cut the retardation film so as to form angles of 15° and 75°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r the elongated direction, and bond them one by one.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노트 PC로부터의 광이, 키보드 등에 비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편광판으로부터 나온 직선 편광의 방향을 90° 회전시킬 목적으로, 편광판의 시인 측에 λ/2판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위상차 필름을 폭 방향 또는 장척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재단하고, 1매씩 첩합할 필요가 있었다.In another embodiment, a λ/2 plate is us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for the purpose of rotating the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from the polarizing plate by 90° in order to avoid light from a note PC from being reflected on a keyboard or the like. . Also in this case, it was necessary to cut the retardation film so as to form an angle of 45°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r the elongated direction, and bond it one by on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단부를 각각, 종방향의 클립 피치가 변화하는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고, 해당 좌우의 클립의 적어도 한쪽 클립 피치를 변화시켜, 장척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신(이하, '경사 연신'이라고도 칭함)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을 경사 방향으로 발현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로 얻어진 경사 연신 필름에서는, 배향각에 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일층의 생산성의 향상도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left and right ends of a lo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held by left and right clips of a variable pitch type in which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nges, and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is fixed with a clip pitch. A technique for developing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in an oblique direction by stretching the film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ongate direc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oblique stretching")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However, in the obliquely stretched film obtained by such a technique, the orientation angle may vary. Moreover, further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s also calculated|required.

일본특허 제4845619호Japanese Patent No. 4845619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주된 목적은, 배향각의 편차가 저감된 장척상의 경사 연신 필름을 높은 제조 효율로 얻는 것에 있다.This invention was made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main objective is to obtain the obliquely stretched film of the shape of a long picture in which the dispersion|variation of orientation angle was reduced with high manufacturing efficiency.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르면,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을 향하여 파지 존, 예열 존, 연신 존 및 개방 존이 이 순서대로 마련되고, 이들 존을 통과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과, 해당 좌우의 기준 레일로 안내되어 해당 파지 존, 해당 예열 존, 해당 연신 존 및 해당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통과하여 순회 이동하는 복수의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을 포함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단부를 각각, 해당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는 것, 해당 필름을 예열하는 것, 해당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해당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 및 해당 필름을 해당 좌우의 클립으로부터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며, 해당 필름을 파지할 때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면서, 해당 필름을 파지할 때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가 해당 필름의 Tg-90℃ 이하가 되도록, 해당 개방 존으로부터 해당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ding zone, a preheating zone, a drawing zone, and an open zone are provided in this order from the inlet side of the film toward the exit side, and the left and right standards of the endless shape passing through these zones A film stretching device including a rail and a plurality of variable-pitch type left and right clips guided by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and passing through the holding zone, the preheating zone, the stretching zone, and the opening zone in this order and moving in a circular mo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using a film, wherein the left and right ends of a lo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held by the left and right clips, the film is preheated, and the left and right clips are clipped with at least one clip. The film is obliquely stretched by traveling while changing the pitch, and the film is opened from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holding the film.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clips on the left and right while returning from the open zone to the gripping zone is adjust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lips on the left and right when holding the film is equal to or less than Tg-90°C of the film. is provided.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필름을 파지할 때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의 변동폭이, 6℃ 이내로 조정된다.In one embodiment,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at the time of gripping the film is adjusted to within 6°C.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필름을 파지할 때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가, 20℃~50℃이다.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gripping the film is 20°C to 50°C.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개방 존으로부터 상기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상기 좌우의 클립에 냉각풍을 송풍함으로써,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is adjusted by blowing cooling air to the left and right clips on the way back from the open zone to the holding zone.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필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이다.In one embodiment, the film is a resin film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carbonate-based resins, cellulose ester-based resins, polyester-based resins, polyester carbonate-based resins, and cycloolefin-based resins.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얻는 것, 및 장척상의 광학 필름과 해당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반송하면서, 그의 장척 방향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첩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ing a long stretched film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and conveying the long optical film and the long picture-shaped stretched film, aligning the direction of the long picture and continuously bonding them together Optica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is provided.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판이고, 상기 연신 필름이 λ/4판 또는 λ/2판이다.In one embodiment, the optical film is a polarizing plate, and the stretched film is a λ/4 plate or a λ/2 plate.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을 향하여 파지 존, 예열 존, 연신 존 및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이들 존을 통과하도록 마련된 무단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과, 해당 좌우의 기준 레일로 안내되어 해당 파지 존, 해당 예열 존, 해당 연신 존 및 해당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통과하여 순회 이동하는 복수의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과, 해당 파지 존으로 들어가기 전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과, 해당 개방 존으로부터 해당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필름 연신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dless reference rail on the left and right, including a holding zone, a preheating zone, a drawing zone, and an open zone in this order from the inlet side to the exit side of the film, and provided to pass through these zones,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 clips of the variable pitch type that are guided by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and pass through the corresponding holding zone, the corresponding preheating zone, the corresponding stretching zone, and the corresponding opening zone in this order, and the left and right clips of the variable pitch type, and the corresponding clip before entering the corresponding gripping zone A film stretching device comprising means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and means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on the way back from the opening zone to the holding zone.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필름을 파지할 때의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면서, 필름을 파지할 때의 좌우의 클립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도록, 개방 존으로부터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어, 폭 방향에서의 배향각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클립으로 필름을 파지하면, 파지한 부분에 신장이 생기게 되어, 결과로서, 얻어지는 필름의 유효 폭이 적어진다. 이에 대하여, 소정의 온도의 클립으로 필름을 파지함으로써, 유효 폭을 넓게 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holding the film, return from the open zone to the holding zon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holding the film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on the way. Thereby, the temperature of the clip at the time of gripping a film can be controlled with high precision, and the dispersion|variation of the orientatio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Further, when the film is gripped with a high-temperature clip, elongation occurs in the gripped portion, and as a result, the effective width of the resulting film is reduced. In contrast, by gripping the film with a clip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effective width can be widened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필름 연신 장치의 일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신 장치에서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신 장치에서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개략 평면도이다.
도 4a는, 경사 연신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의 클립 피치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b는, 경사 연신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의 클립 피치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이용한 원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film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a link mechanism for changing a clip pitch in the stretching device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a link mechanism for changing a clip pitch in the stretching device of Fig. 1;
Fig. 4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lip pitch profile in one embodiment of oblique stretching.
4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lip pitch profile in one embodiment of oblique stretchin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ircular polarizing plate using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종방향의 클립 피치'란, 종방향에 인접하는 클립의 주행 방향에서의 중심 간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관계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해당 필름의 반송 방향을 향한 좌우 관계를 의미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a distance between centers in the running direction of clips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eft-right relationship in the width direction of a long film-shaped film means the left-right relationship toward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aid film, unless there is a special description.

A.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stretched film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을 향하여 파지 존, 예열 존, 연신 존 및 개방 존이 이 순서대로 마련되고, 이들 존을 통과하는 무단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과, 해당 좌우의 기준 레일로 안내되어 해당 파지 존, 해당 예열 존, 해당 연신 존 및 해당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통과하여 순회 이동하는 복수의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을 포함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한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ding zone, a preheating zone, a stretching zone, and an open zone are provided in this order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of the film,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ndless shape passing through these zones A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variable-pitch type left and right clips guided by the reference rail and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and moving in a circular motion through the holding zone, the preheating zone, the stretching zone, and the opening zone in this order. A stretched film is manufactured using a stretching device.

당해 실시형태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단부를 각각, 해당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는 것(파지 공정),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etched film of the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spectively held by the left and right clips (holding step),

해당 필름을 예열하는 것(예열 공정),Preheating the film (preheating process);

해당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해당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연신 공정), 및,Mov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to obliquely stretch the film (stretching step), and

해당 필름을 해당 좌우의 클립으로부터 개방하는 것(개방 공정)을 포함하고,Including opening the film from the left and right clips (opening process),

해당 필름을 파지할 때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면서, 해당 필름을 파지할 때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가 해당 필름의 Tg-90℃ 이하가 되도록, 해당 개방 존으로부터 해당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한다.While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holding the film, move the film from the open zone to the holding zon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holding the film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g-90°C of the film.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corresponding left and right clips on the way back.

A-1. 필름 연신 장치A-1. film stretch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을 향하여 파지 존, 예열 존, 연신 존 및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갖고, 이들 존을 통과하도록 마련된 무단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과, 해당 좌우의 기준 레일로 안내되어 해당 파지 존, 해당 예열 존, 해당 연신 존 및 해당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통과하여 순회 이동하는 복수의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과, 해당 파지 존으로 들어가기 전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과, 해당 개방 존으로부터 해당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해당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행하여질 수 있다. 당해 필름 연신 장치는, 연신 존에서,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킴으로써, 필름을 경사 연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etch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r example, a gripping zone, a preheating zone, a stretching zone, and an open zone in this order from the inlet side to the exit side of the film, and an endless shape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se zones. A plurality of variable pitch type left and right clips that are guided by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and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and pass through the holding zone, the preheating zone, the stretching zone, and the opening zone in this order to move in a circuit, Using a film stretching device including means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before entering the gripping zone, and means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on the way back from the open zone to the gripping zone can lose The film stretching device is configured to obliquely stretch the film by moving the left and right clips in the stretching zone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필름 연신 장치의 일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연신 장치(100)는, 평면시에서, 좌우 양측에, 필름 파지용의 다수의 클립(20)을 포함하는 무단 루프(10L)와 무단 루프(10R)를 좌우 대칭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보아 좌측의 무단 루프를 좌측의 무단 루프(10L), 우측의 무단 루프를 우측의 무단 루프(10R)라고 칭한다.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의 클립(20)은, 각각, 무단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70)로 안내되어 루프상으로 순회 이동한다. 좌측의 무단 루프(10L)의 클립(좌측의 클립)(20)은 반시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하고, 우측의 무단 루프(10R)의 클립(우측의 클립)(20)은 시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한다. 연신 장치에서는, 시트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을 향하여, 파지 존(A), 예열 존(B), 연신 존(C) 및 개방 존(D)이 순서대로 마련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존은,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이 실질적으로 파지, 예열, 경사 연신, 및 개방되는 존을 의미하고, 기계적, 구조적으로 독립된 구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연신 장치에서의 각각의 존의 길이의 비율은, 실제 길이의 비율과 상이한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film stretch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tching device 100 includes, in plan view, endless loops 10L and endless loops 10R including a plurality of clips 20 for gripping the film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symmetrically.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left endless loop viewed from the entry side of the film is referred to as the left endless loop 10L, and the right endless loop is referred to as the right endless loop 10R. The clips 20 of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are respectively guided by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70 of the endless shape, and are circularly moved in a loop shape. The clip (left clip) 20 of the left endless loop 10L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clip (right clip) 20 of the right endless loop 10R rotates clockwise. . In the stretching device, a holding zone (A), a preheating zone (B), a stretching zone (C), and an open zone (D) are provided in this order from the inlet side to the outlet side of the sheet. Each of these zones means a zone in which the film to be stretched is substantially gripped, preheated, obliquely stretched, and opened, and does not mean a mechanically or structurally independent sec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atio of the length of each zone in the stretching device of FIG. 1 is different from the ratio of the actual length.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신 존(C)과 개방 존(D)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처리를 하기 위한 존이 마련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처리로서는, 횡수축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연신 장치는, 대표적으로는, 예열 존(B)으로부터 개방 존(D)까지의 각 존을 가열 환경으로 하기 위한 가열 장치(예컨대, 열풍식, 근적외선식, 원적외선식 등의 각종 오븐)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예열, 경사 연신 및 클립으로부터의 개방은 각각, 소정의 온도로 설정된 오븐 내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In FIG. 1, although not shown, the zone for performing arbitrary appropriate process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awing zone C and the opening zone D as needed. Examples of such a treatment include a transverse shrinkage treatment and the like. Also, although not shown, the stretching device is typically a heating device (for example, a hot air type, a near infrared ray type, a far infrared ray type) for setting each zone from the preheating zone B to the open zone D to a heating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ovens such as food) are provided. In one embodiment, preheating, oblique stretching, and opening from a clip may each be performed in an oven set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연신 장치(100)의 파지 존(A) 및 예열 존(B)에서는,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는,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의 초기 폭에 대응하는 이간 거리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신 존(C)에서는, 예열 존(B)의 측으로부터 개방 존(D)을 향함에 따라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의 이간 거리가 상기 필름의 연신 후의 폭에 대응할 때까지 서서히 확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개방 존(D)에서는,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는, 상기 필름의 연신 후의 폭에 대응하는 이간 거리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의 구성은 상기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는, 파지 존(A)으로부터 개방 존(D)까지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의 초기 폭에 대응하는 이간 거리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holding zone A and the preheating zone B of the stretching device 100,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separation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width of the film to be stretched. Consists of. In the stretching zone (C), from the side of the preheating zone (B) toward the open zone (D),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gradually expands until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after stretching of the film. is composed of In the open zone D,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are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separation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lm after stretching.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above.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may be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separation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width of the film to be stretched from the holding zone A to the open zone D.

좌측의 무단 루프(10L)의 클립(좌측의 클립)(20) 및 우측의 무단 루프(10R)의 클립(우측의 클립)(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순회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좌측의 무단 루프(10L)의 구동용 스프로킷(11, 12)이 전동 모터(13, 14)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우측의 무단 루프(10R)의 구동용 스프로킷(11, 12)이 전동 모터(13, 14)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 결과, 이들 구동용 스프로킷(11, 12)에 계합하고 있는 구동 롤러(도시하지 않음)의 클립 담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주행력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좌측의 클립은 반시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하고, 우측의 클립은 시계 방향으로 순회 이동한다. 좌측의 전동 모터 및 우측의 전동 모터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좌측의 클립 및 우측의 클립을 각각 독립적으로 순회 이동시킬 수 있다.The clip (left clip) 20 of the endless loop 10L on the left side and the clip (clip on the right side) 20 of the endless loop 10R on the right side can each independently tour. For example, the driving sprockets 11 and 12 of the endless loop 10L on the left are rotationally drive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the electric motors 13 and 14, and the driving sprockets 11 and 12 of the endless loop 10R on the right 12) is rotationally driven clockwise by the electric motors 13 and 14. As a result, a driving force is applied to a clip holding member (not shown) of a driving roller (not shown) engaged with these driving sprockets 11 and 12. Accordingly, the clip on the left is circularly mov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clip on the right is circularly moved in a clockwise direction. By independently driving the electric motor on the left and the electric motor on the right, respectively, the clip on the left and the clip on the right can be independently circularly moved.

또한, 좌측의 무단 루프(10L)의 클립(좌측의 클립)(20) 및 우측의 무단 루프(10R)의 클립(우측의 클립)(20)은, 각각 가변 피치형이다. 즉, 좌우의 클립(20, 2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에 따라 종방향의 클립 피치가 변화할 수 있다. 가변 피치형의 구성은, 팬터그래프 방식, 리니어 모터 방식, 모터·체인 방식 등의 구동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44339호 등에는, 팬터그래프 방식의 링크 기구를 이용한 텐터식 동시 2축 연신 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하, 일례로서, 링크 기구(팬터그래프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clip (left clip) 20 of the left endless loop 10L and the clip (right clip) 20 of the right endless loop 10R are each variable pitch type. That is, the left and right clips 20 and 20 can each independently change the clip pitch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pitch type can be realized by employing a driving method such as a pantograph method, a linear motor method, or a motor/chain metho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44339 describe in detail a tenter typ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device using a pantograph type link mechanism. Hereinafter, as an example, a link mechanism (pantograph mechanism)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연신 장치에서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는 링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개략 평면도이고, 도 2는 클립 피치가 최소인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클립 피치가 최대인 상태를 나타낸다.2 and 3 are respectively schematic plan views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a link mechanism for changing the clip pitch in the stretching device of FIG. 1, FIG. 2 shows a state where the clip pitch is minimum, and FIG. 3 shows a state where the clip pitch is maximum. indicate state.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립(20)을 개별적으로 담지하는 평면시 횡방향으로 세장(細長) 직사각형상의 클립 담지 부재(30)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클립 담지 부재(30)는, 상 대들보, 하 대들보, 전벽(클립 측의 벽), 및 후벽(클립과 반대 측의 벽)에 의해 닫힌 단면의 강고한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 담지 부재(30)는, 그의 양단의 주행륜(38)에 의해 주행 노면(81, 82) 위를 전동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전벽 측의 주행륜(주행 노면(81) 위를 전동하는 주행륜)은 도시되지 않는다. 주행 노면(81, 82)은, 전역에 걸쳐 기준 레일(70)에 병행하고 있다. 클립 담지 부재(30)의 상 대들보와 하 대들보의 후측(클립 측의 반대 측(이하, 반대 클립 측))에는, 클립 담지 부재의 긴 방향을 따라 긴 구멍(31)이 형성되고, 슬라이더(32)가 긴 구멍(31)의 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클립 담지 부재(30)의 클립(20) 측 단부의 근방에는, 상 대들보 및 하 대들보를 관통하여 1개의 제1 축 부재(33)가 수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편, 클립 담지 부재(30)의 슬라이더(32)에는 1개의 제2 축 부재(34)가 수직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클립 담지 부재(30)의 제1 축 부재(33)에는 주(主)링크 부재(35)의 일단이 추동 연결되어 있다. 주링크 부재(35)는, 다른 단을 인접하는 클립 담지 부재(30)의 제2 축 부재(34)에 추동 연결되어 있다. 각 클립 담지 부재(30)의 제1 축 부재(33)에는, 주링크 부재(35)에 더하여, 부링크 부재(36)의 일단이 추동 연결되어 있다. 부링크 부재(36)는, 다른 단을 주링크 부재(35)의 중간부에 추축(37)에 의해 추동 연결되어 있다. 주링크 부재(35), 부링크 부재(36)에 의한 링크 기구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2)가 클립 담지 부재(30)의 후측(반클립 측)으로 이동해 있을수록, 클립 담지 부재(30)끼리의 종방향의 피치(결과로서, 클립 피치)가 작아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2)가 클립 담지 부재(30)의 전측(클립 측)으로 이동해 있을수록, 클립 담지 부재(30)끼리의 종방향의 피치(결과로서, 클립 피치)가 커진다. 슬라이더(32)의 위치 결정은, 피치 설정 레일(90)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레일(70)과 피치 설정 레일(90)의 이간 거리가 작을수록 클립 피치가 커진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re is provided a clip holding member 30 having an elongated rectangular shap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plan view for individually holding the clips 20 . Although not shown, the clip holding member 30 is formed into a rigid frame structure with a cross section closed by an upper crossbeam, a lower crossbeam, a front wall (a wall on the clip side), and a rear wall (a wall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lip). The clip holding member 30 is provided so as to roll over the running road surfaces 81 and 82 by the running wheels 38 at both ends thereof. 2 and 3, running wheels on the front wall side (traveling wheels that roll on the running road surface 81) are not shown. The running road surfaces 81 and 82 run parallel to the reference rail 70 throughout. A long hole 3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ip holding member 30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cross beams of the clip holding member 30 (the side opposite to the clip side (hereinafter, the opposite clip side)), and the slider 32 ) is slidably enga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hole 31 . In the vicinity of the end of the clip 20 side of the clip holding member 30, one first shaft member 33 is vertically provided through the upper crossbeam and the lower crossbeam. On the other hand, one second shaft member 34 is provided vertically penetrating the slider 32 of the clip holding member 30. One end of a main link member 35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member 33 of each clip holding member 30 by driving. The main link member 35 is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shaft member 34 of the clip holding member 30 adjacent to the other end. In addition to the main link member 35, one end of the sub link member 36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member 33 of each clip holding member 30 by driving. The other end of the sub link member 36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ain link member 35 by a pivot 37. As shown in FIG. 2 by the link mechanism of the main link member 35 and the auxiliary link member 36, the slider 32 is moved to the rear side (half clip side) of the clip holding member 30, When the pitch of the clip holding members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the clip pitch) becomes small and the slider 32 moves to the front side (clip side) of the clip holding member 3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pitch of the clip holding members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the clip pitch) increases. Positioning of the slider 32 is performed by the pitch setting rail 90 .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lip pitch increases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rail 70 and the pitch setting rail 90 decreases.

연신 장치(100)는, 필름의 입구에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40L, 40R)을 포함한다. 클립 온도 모니터링 수단(40L, 40R)으로서는, 스폿 방사 온도계, 주사형 방사 온도계, 서모그래피 카메라 등의 방사 온도계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서모그래피 카메라가 바람직하다. 클립 온도 모니터링 수단(40L, 40R)의 배치 개소로서는, 필름의 입구로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클립이 필름을 파지할 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개소이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클립의 온도 또는 클립 온도란, 클립이 필름을 파지할 때에 해당 필름에 접하는 상하의 파지부의 온도를 의미한다.The stretching device 100 includes means 40L and 40R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clip at the inlet of the film. As the clip temperature monitoring means 40L, 40R, a radiation thermometer such as a spot radiation thermometer, a scanning radiation thermometer, or a thermography camera is preferably used. Among them, a thermography camera is preferable. The position where the clip temperature monitoring means 40L, 40R is disposed is not limited to the entrance of the film, and may be any position where the temperature when the clip holds the film can be measured substantially.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mperature of a clip or a clip temperature means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nd lower gripping part which contact|connects the film when a clip grips a film.

연신 장치(100)는 또한,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의 개방 존(D)으로부터 파지 존(A)으로 향하는 도중에 클립의 온도를 조정하는 수단(50L, 50R)을 포함한다. 클립 온도 조정 수단(50L, 50R)은, 예컨대, 냉풍기이고, 설정 또는 입력에 따라 소정 온도의 냉각풍을 클립에 불어넣는다.The stretching device 100 also includes means 50L and 50R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clip on the way from the open zone D of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to the holding zone A.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50L, 50R is, for example, a cooling fan, and blows cooling ai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to the clip according to setting or input.

연신 장치(100)는, 클립의 설정 온도와 클립 온도 모니터링 수단(40L, 40R)으로부터 보내지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클립 온도 조정 수단(50L, 50R)의 출력(온도, 풍량, 풍속 등)을 변화시키는 컨트롤러(60L, 60R)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러(60L, 60R)는, 모니터링 결과(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 온도의 실측값)와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 온도의 설정 온도를 비교하고, 그 차를 상쇄(캔슬)하여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 온도가 설정값에 가까워지는 것과 같은 신호를 클립 온도 조정 수단(50L, 50R)으로 출력한다(결과로서, 클립 온도 조정 수단(50L, 50R)의 출력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60L, 60R)가 모니터링 결과를 클립 온도 조정 수단(50L, 50R)에 피드백함으로써, 클립 온도를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연신 장치(100)에 컨트롤러(60L, 60R)를 마련하지 않고, 작업자가 모니터링 결과와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 온도의 설정 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를 상쇄하도록, 클립 온도 조정 수단(50L, 50R)의 출력 설정을 수작업으로 변경하여도 된다.The stretching device 100 changes the output (temperature, wind volume, wind speed, etc.) of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50L, 50R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of the clip and the monitoring result sent from the clip temperature monitoring means 40L, 40R. The controllers 60L and 60R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ontrollers 60L and 60R compare the monitoring result (the actual measured value of the clip temperature when holding the film) with the set temperature of the clip temperature when holding the film, and offset (cancel) the difference to hold the film. A signal such that the clip temperature at the time of processing approaches the set value is output to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50L, 50R (as a result, the output of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50L, 50R is changed). Thus, clip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with high precision by controller 60L, 60R feeding back the monitoring result to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50L, 50R. In general, without providing the controllers 60L and 60R in the stretching device 100, the operator compares the monitoring result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clip temperature when holding the film, and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so that the difference is offset. The output settings of (50L, 50R) may be manually changed.

필요에 따라, 연신 장치(100)에는, 클립 온도 조정 수단(50L, 50R)으로부터 송풍된 냉각풍이 필름의 연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관점에서, 예열 존으로부터 개방 존까지의 가열 환경에 냉각풍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As needed, in the stretching device 100, from the viewpoint that the cooling air blown from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50L, 50R does not affect the stretching of the film, cooling air enters the heating environment from the preheating zone to the open zone. A cov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i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rocess is demonstrated in detail.

A-2. 파지 공정A-2. holding process

파지 존(A)(연신 장치(100)의 필름 취입의 입구)에서는,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의 클립(20)에 의해,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의 좌우 단부가 서로 동일한 일정한 클립 피치로 동시에 파지된다. 이때, 좌우의 클립의 중심을 연결한 선은, 필름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예컨대 90°±3°, 바람직하게는 90°±1°,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5°,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9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 시의 좌우의 클립의 클립 피치는, 예컨대 100㎜~200㎜, 바람직하게는 125㎜~175㎜,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160㎜이다.In the gripping zone A (entrance for taking in the film of the stretching device 100), by the clips 20 of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lm to be stretched are at the same constant clip pitch. are gripped at the same time as At this time,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left and right clips is approximately orthogonal (for example, 90 ° ± 3 °, preferably 90 ° ± 1 °, more preferably 90 ° ± 0.5 °, and more preferably 90 ° ± 0.5 °)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preferably 90°). The clip pitch of the left and right clips during gripping is, for example, 100 mm to 200 mm, preferably 125 mm to 175 mm, and more preferably 140 mm to 160 mm.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해당 필름의 Tg-90℃ 이하이고, 예컨대 Tg-100℃ 이하, 또한 예컨대 20℃~Tg-110℃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는, 예컨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로 할 수 있다. 또한,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연속 생산하는 동안에서의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의 변동폭은, 바람직하게는 6℃, 보다 바람직하게는 4℃의 범위 내이다.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를 해당 필름의 Tg-90℃ 이하로 함으로써, 폭 방향에서의 배향각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유효 폭이 넓은 연신 필름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그의 변동폭을 좁게 제어함으로써, 당해 효과가 안정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클립으로 파지할 때의 필름 온도는, 대표적으로는 실온이다.The temperature of the clip when gripping the film is typically Tg - 90°C or less of the film, for example, Tg - 100°C or less, and may be, for example, 20°C to Tg - 110°C. 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clip when gripping the film is, for example, 50°C or lower, preferably 20°C to 50°C, more preferably 20°C to 40°C. In addition,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temperature of the clip at the time of gripping the film during continuous production of a long stretched film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6°C, more preferably 4°C. By setting the temperature of the clip when holding the film to the Tg of the film - 90 DEG C or less, a stretched film with excellent uniformity of the orientatio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wide effective width can be obtained. In addition, by narrowly controlling the fluctuation range, the effect can be obtained stably. In addition, the film temperature at the time of gripping with a clip is typically room temperature.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의 클립(20)의 이동(실질적으로는, 기준 레일로 안내된 각 클립 담지 부재의 이동)에 의해, 당해 필름이 예열 존(B)으로 보내진다.By the movement of the clip 20 of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actually, the movement of each clip holding member guided by the reference rail), the film is sent to the preheating zone B.

A-3. 예열 공정A-3. preheating process

예열 존(B)에서는, 좌우의 무단 루프(10L, 10R)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신 대상이 되는 필름의 초기 폭에 대응하는 이간 거리로 서로 대략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횡연신도 종연신도 행하지 않고, 필름이 가열된다. 단, 예열에 의해 필름의 휨이 일어나, 오븐 내의 노즐에 접촉하는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하여, 근소하게 좌우 클립 간의 거리(폭 방향의 거리)를 확장하여도 된다.In the preheating zone B, since the left and right endless loops 10L and 10R are configured so as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separation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width of the film to be stretched as described above, they are basically horizontal. Neither stretching nor longitudinal stretching is performed, and the film is heated.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slightly increased in order to avoid problems such as warping of the film due to preheating and contact with nozzles in the oven.

예열 공정에서는, 필름을 온도 T1(℃)까지 가열한다. 온도 T1은,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Tg+5℃ 이상이다. 한편, 가열 온도 T1은, 바람직하게는 Tg+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30℃ 이하이다. 이용하는 필름에 따라 상이하지만, 온도 T1은, 예컨대 70℃~190℃이고, 바람직하게는 80℃~180℃이다.In the preheating step, the film is heated to a temperature T1 (° C.). The temperature T1 is preferably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film, more preferably equal to or higher than Tg+2°C, and still more preferably equal to or higher than Tg+5°C.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temperature T1 is preferably Tg+40°C or lower, more preferably Tg+30°C or lower. Although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lm used, the temperature T1 is, for example, 70°C to 190°C, preferably 80°C to 180°C.

상기 온도 T1까지의 승온 시간 및 온도 T1에서의 유지 시간은, 필름의 구성 재료나 제조 조건(예컨대, 필름의 반송 속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이들 승온 시간 및 유지 시간은, 클립(20)의 이동 속도, 예열 존의 길이, 예열 존의 온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The heating time up to the temperature T1 and the holding time at the temperature T1 may b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film or manufacturing conditions (eg, film conveyance speed). These heating times and holding times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oving speed of the clip 20, the length of the preheating zone, the temperature of the preheating zone, and the like.

A-4. 경사 연신 공정A-4. oblique stretching process

연신 존(C)에서는, 좌우의 클립(20)을, 그의 적어도 한쪽 클립의 종방향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필름을 경사 연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클립을,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클립 피치를 증대 또는 축소시키면서 주행 이동시키는 것, 각각 상이한 변화 속도로 클립 피치를 변화(증대 및/또는 축소)시키면서 주행 이동시키는 것 등에 의해, 필름을 경사 연신한다. 이와 같이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좌우의 클립을 주행 이동시킨 결과, 연신 존으로 동시에 이행한 한 쌍의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이 다른 쪽 클립에 선행하여 연신 존의 종단에 도달한다. 이와 같은 경사 연신에 의하면, 당해 선행하는 클립 측의 단부가 후행하는 클립 측의 단부보다도 높은 연신 배율로 연신되게 되어, 그 결과로서, 장척 필름의 소망하는 방향(예컨대, 긴 방향에 대하여 45°의 방향)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In the stretching zone C, the clips 20 on either side are run and moved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clips, thereby obliquely stretching the film. More specifically, by mov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increasing or reducing the clip pitch at different positions, by changing (increasing and/or reducing) the clip pitch at different changing speeds, etc. The film is obliquely stretched. As a result of runn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in this way, among a pair of left and right clips that have simultaneously moved to the stretching zone, one clip precedes the other and reaches the end of the stretching zone. According to such oblique stretching, the end of the preceding clip is stretched at a higher draw ratio than the end of the following clip, and as a result, the elongated film is stretched in a desired direction (e.g., 45°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rection) can express the slow axis.

경사 연신은, 횡연신을 포함하여도 된다. 이 경우, 경사 연신은, 예컨대 도시예와 같이, 좌우의 클립 간의 거리(폭 방향의 거리)를 확대시키면서 행하여질 수 있다. 혹은, 도시예와는 상이하게, 경사 연신은, 횡연신을 포함하지 않고, 좌우의 클립 간의 거리를 유지한 채 행하여질 수 있다.Oblique stretching may also include lateral stretching. In this case, the obliqu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while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ample,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Alternatively,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bliqu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without including the lateral stretching.

경사 연신이 횡연신을 포함하는 경우, 횡방향(TD)의 연신 배율(필름의 초기 폭(Winitial)에 대한 경사 연신 후의 필름의 폭(Wfinal)의 비(Wfinal/Winitial)) 은, 바람직하게는 1.05~6.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5.00이다.When the oblique stretching includes transverse stretching, the draw ratio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film after oblique stretching (W final ) to the initial width of the film (W initial ) (W final /W initial )) Silver is preferably 1.05 to 6.00, more preferably 1.10 to 5.00.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경사 연신은, 상기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가 증대 또는 감소하기 시작하는 위치와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가 증대 또는 감소하기 시작하는 위치를 종방향에서의 상이한 위치로 한 상태에서, 각각의 클립의 클립 피치를 소정의 피치까지 증대 또는 감소함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에 대해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238524호 등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oblique stretching, the position where the clip pitch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starts to increase or decrease and the position where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starts to increase or decrease are differen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state, it can be don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each clip to a predetermined pitch. Regarding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s such as Patent Literature 1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238524 can be referred to, for example.

다른 실시형태에서, 경사 연신은, 상기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고정한 채,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소정의 피치까지 증대 또는 감소시킨 후, 당초의 클립 피치까지 되돌림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543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2호 등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bliqu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to a predetermined pitch while fixing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and then returning it to the original clip pitch. there is. Regarding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s such as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3-54338 an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194482 can be referred to, for example.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경사 연신은, (i)상기 좌우의 클립 중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2까지 증대시키면서,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3까지 감소시키는 것, 및 (ii)해당 감소한 클립 피치와 해당 증대된 클립 피치가 소정의 동일한 피치가 되도록, 각각의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행하여질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4호 등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당해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은, 좌우의 클립 간의 거리를 확대시키면서,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 에서 P2까지 증대시키면서,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1에서 P3까지 감소시켜,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제1 경사 연신), 및 좌우의 클립 간의 거리를 확대시키면서, 좌우의 클립의 클립 피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해당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로 유지 또는 P4까지 감소시키고, 또한, 해당 다른 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 또는 P4까지 증대시켜,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제2 경사 연신)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blique stretching is (i) the clip pitch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is POnein P2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to POnein P3and (ii) changing the clip pitch of each clip so that the corresponding reduced clip pitch and the corresponding increased clip pitch are the same predetermined pitch. Regarding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s such as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194484 can be referred, for example. In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embodiment, the clip pitch of one clip is set to P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is increased.Onein P2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other clip to POneat P3until decrease, obliquely stretching the film (first oblique stretching), and while enlar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the clip pitch of the one clip is set to P so that the clip pitches of the left and right clips become the same.2keep as or P4until decrease, and also set the clip pitch of the corresponding other clip to P2 or P4until It may include stretching the film obliquely by increasing it (second oblique stretching).

상기 제1 경사 연신에서는, 필름의 한쪽 단부를 장척 방향으로 신장시키면서, 다른 쪽 단부를 장척 방향으로 수축시키면서 경사 연신을 행함으로써, 소망하는 방향(예컨대, 장척 방향에 대하여 45°의 방향)으로 높은 일축성 및 면내 배향성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 연신에서는, 좌우의 클립 피치의 차를 축소하면서 경사 연신을 행함으로써, 여분의 응력을 완화하면서, 경사 방향으로 충분히 연신할 수 있다.In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oblique stretching is performed while one end of the film is stretched in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and the other end is contracted in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so that the film is stretched in a desired direction (for example, in a direction at 45°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A slow axis can be developed with uniaxial and in-plane orientation. In addition,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 by performing the oblique stretch while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 pitches, the film can be sufficiently stretched in an oblique direction while relieving excess stress.

상기 3개의 실시형태의 경사 연신에서, 좌우의 클립의 이동 속도가 동일해진 상태에서 필름을 클립으로부터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의 클립의 개방 시에 필름의 반송 속도 등의 편차가 생기기 어렵고, 그 후의 필름의 권취가 적합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In the oblique stretching of the above three embodiments, since the film can be released from the clips in a state where the moving speeds of the left and right clips are the same, variation in the transport speed of the film and the like is unlikely to occur when the clips on the left and right are released. Winding of the later film can be suitably performed.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상기 제1 경사 연신 및 제2 경사 연신을 포함하는 경사 연신에서의 클립 피치의 프로파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1 경사 연신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4a 및 4b에서, 횡축은 클립의 주행 거리에 대응한다. 제1 경사 연신 개시 시에서는, 좌우의 클립 피치는 모두 P1로 되어 있다. P1은, 대표적으로는, 필름을 파지하였을 때의 클립 피치이다. 제1 경사 연신이 개시됨과 동시에, 한쪽 클립(이하, 제1 클립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클립 피치의 증대를 개시하고, 또한, 다른 쪽 클립(이하, 제2 클립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클립 피치의 감소를 개시한다. 제1 경사 연신에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까지 증대시키고,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P3까지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1 경사 연신의 종료 시(제2 경사 연신의 개시 시)에서, 제2 클립은 클립 피치 P3으로 이동하고, 제1 클립은 클립 피치 P2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클립 피치의 비는 클립의 이동 속도의 비에 대체로 대응할 수 있다.4A and 4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clip pitch profile in oblique stretching including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and the second oblique stretching, respectively. Hereinafter, 1st oblique stretch is demonstrated concretely, referring these drawings. Also, in Figs. 4A and 4B, the horizontal axis corresponds to the traveling distance of the clip. No. 1 At the start of oblique stretching, both the left and right clip pitches are P 1 . P 1 is typically a clip pitch when the film is gripped. Simultaneously with the start of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the increase in the clip pitch of one clip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first clip) is started, and the other clip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 second clip) Initiates a decrease in clip pitch. In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is set to P 2 increase, and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up to P 3 Decrease. Therefore, at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start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the second clip moves at the clip pitch P 3 and the first clip moves at the clip pitch P 2 . Further, the ratio of the clip pitches may correspond substantially to the ratio of the moving speeds of the clips.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키기 시작하는 타이밍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기 시작하는 타이밍을 모두 제1 경사 연신의 개시 시로 하고 있지만, 도시예와는 상이하게,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키기 시작한 후에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기 시작하여도 되고,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기 시작한 후에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키기 시작하여도 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키기 시작한 후에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미 필름이 폭 방향으로 일정 정도(바람직하게는 1.2배~2.0배 정도) 연신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크게 감소시켜도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다 예각인 경사 연신이 가능해져, 일축성 및 면내 배향성이 높은 위상차 필름이 적합하게 얻어질 수 있다.In FIGS. 4A and 4B, the timing at which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starts to increase and the timing at which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starts to decrease are both taken as the start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but different from the illustrated example. , You may start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after starting to 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or you may start in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after starting to decrease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 In one preferred embodiment, after starting to 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start decreasing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film is already stretch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width direction (preferably, about 1.2 to 2.0 times), wrinkles are unlikely to occur even i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greatly reduced. Therefore, oblique stretching at a more acute angle becomes possible, and a retardation film having high uniaxial property and high in-plane orientation can be suitably obtained.

마찬가지로,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제1 경사 연신의 종료 시(제2 경사 연신의 개시 시)까지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감소가 계속되고 있지만, 도시예와는 상이하게, 클립 피치의 증대 또는 감소의 어느 한쪽이 다른 쪽보다도 빨리 종료되고, 다른 쪽이 종료할 때까지(제1 경사 연신의 종료 시까지) 그 클립 피치가 그대로 유지되어도 된다.Similarly, in FIGS. 4A and 4B,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continues to decrease until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the start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Unlike , either of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lip pitch ends earlier than the other, and the clip pitch may be maintained as it is until the other ends (until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2/P1)은, 바람직하게는 1.25~1.75,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1.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1.65이다. 또한,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3/P1)은, 예컨대 0.50 이상 1 미만, 바람직하게는 0.50~0.9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0.85이다. 클립 피치의 변화율이 이와 같은 범위 내이면, 필름의 긴 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45도의 방향으로 높은 일축성 및 면내 배향성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P 2 /P 1 ) is preferably 1.25 to 1.75, more preferably 1.30 to 1.70, still more preferably 1.35 to 1.65.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P 3 /P 1 ) is, for example, 0.50 or more and less than 1, preferably 0.50 to 0.95, more preferably 0.55 to 0.90, still more preferably 0.55 to 0.85. When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is within this range, a slow axis can be developed with high uniaxiality and in-plane orientation in a direction of approximatel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클립 피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신 장치의 피치 설정 레일과 기준 레일과의 이간 거리를 조정하여 슬라이더를 위치 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ip pitch can be adjusted by positioning the slider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itch setting rail of the stretching device and the reference rail.

제1 경사 연신에서의 필름의 폭 방향의 연신 배율(제1 경사 연신 종료 시의 필름 폭/제1 경사 연신 전의 필름 폭)은, 바람직하게는 1.1배~3.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배~2.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배~2.0배이다. 당해 연신 배율이 1.1배 미만이면, 수축시킨 측의 단부에 함석 형상의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연신 배율이 3.0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이축성이 높아지게 되어, 원편광판 등에 적용한 경우에 시야각 특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The draw ratio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first oblique stretch (film width at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film width before the first oblique stretch) is preferably 1.1 to 3.0 times, more preferably 1.2 to 1.2 times. 2.5 times, more preferably 1.25 times to 2.0 times. When the draw ratio is less than 1.1 times, tin-like wrinkles may be formed at the end portion on the contracted side. Moreover, when the said draw ratio exceeds 3.0 times, the biaxiality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will become high, and when applied to a circular polarizing plate etc.,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may fall.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1 경사 연신은,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과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과의 곱이, 바람직하게는 0.7~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8~1.45,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1.40이 되도록 행하여진다. 변화율의 곱이 이와 같은 범위 내이면, 일축성 및 면내 배향성이 높은 위상차 필름이 얻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first oblique stretching, the product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preferably 0.7 to 1.5, more preferably 0.8 to 1.45, still more preferably. It is performed so that it is 0.85 to 1.40. When the product of change rates is within this range, a retardation film having high uniaxiality and high in-plane orientation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제2 경사 연신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도 4a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경사 연신에서는,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P3에서 P2까지 증대시킨다. 한편,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는, 제2 경사 연신 동안, P2인 채 유지된다. 따라서, 제2 경사 연신의 종료 시에서, 좌우의 클립은 모두, 클립 피치 P2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Next, one Embodiment of 2nd diagonal stretch is concretely demonstrated, referring FIG. 4A.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set at P 3 up to P2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remains P 2 during the second oblique stretching. maintain. Therefore, at the end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both the left and right clips move at the clip pitch P 2 .

도 4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제2 경사 연신에서의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2/P3)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에서 제한은 없다. 해당 변화율(P2/P3)은, 예컨대 1.3~4.0, 바람직하게는 1.5~3.0이다.The change rate (P 2 /P 3 )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A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The rate of change (P 2 /P 3 ) is, for example, 1.3 to 4.0, preferably 1.5 to 3.0.

제2 경사 연신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4b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경사 연신에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킴과 함께,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증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1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에서 P4까지 감소시키고, 제2 클립의 클립 피치를 P3에서 P4까지 증대시킨다. 따라서, 제2 경사 연신의 종료 시에서, 좌우의 클립은 모두 클립 피치 P4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제2 경사 연신의 개시와 동시에,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감소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들은 상이한 타이밍에서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감소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는, 상이한 타이밍에서 종료하여도 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B.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reducing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is increased. Specifically,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is set at P 2 Decrease to P 4 , and increase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from P 3 to P 4 . Therefore, the second At the end of oblique stretching, both the left and right clips move at the clip pitch P 4 .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reduction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and the increase of the pitch of the second clip are disclosed simultaneously with the start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 but these may be started at different timings. Similarly, the reduction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and the increase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may end at different timings.

도 4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제2 경사 연신에서의 제1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4/P2) 및 제2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4/P3)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에서 제한은 없다. 변화율(P4/P2)은, 예컨대 0.4 이상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0.6~0.95이다. 또한, 변화율(P4/P3)은, 예컨대 1.0 초과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2~1.8이다. 바람직하게는, P4는 P1 이상이다. P4<P1이면, 단부에 주름이 생기고, 이축성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first clip (P 4 /P 2 )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clip pitch of the second clip (P 4 /P 3 )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B a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 as long as it does not harm the The rate of change (P 4 /P 2 ) is, for example, 0.4 It is more than 1.0 and less than 1.0, Preferably it is 0.6-0.95. In addition, the rate of change (P 4 /P 3 ) is, for example, more than 1.0 and 2.0 or less, preferably 1.2 to 1.8. Preferably, P 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P 1 . If P 4 < P 1 , problems such as wrinkles at the end and increased biaxiality may occur.

제2 경사 연신에서의 필름의 폭 방향의 연신 배율(제2 경사 연신 종료 시의 필름 폭/제1 경사 연신 종료 시의 필름 폭)은, 바람직하게는 1.1배~3.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배~2.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배~2.0배이다. 당해 연신 배율이 1.1배 미만이면, 수축시킨 측의 단부에 함석 형상의 주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해 연신 배율이 3.0배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이축성이 높아지게 되어, 원편광판 등에 적용한 경우에 시야각 특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경사 연신 및 제2 경사 연신에서의 폭 방향의 연신 배율(제2 경사 연신 종료 시의 필름 폭/제1 경사 연신 전의 필름 폭)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배~4.0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배~3.0배이다.The draw ratio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n the second oblique stretch (film width at the end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film width at the end of the first oblique stretch) is preferably 1.1 times to 3.0 times, more preferably 1.2 times. times - 2.5 times, more preferably 1.25 times - 2.0 times. When the draw ratio is less than 1.1 times, tin-like wrinkles may be formed at the end portion on the contracted side. Moreover, when the said draw ratio exceeds 3.0 times, the biaxiality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will become high, and when applied to a circular polarizing plate etc.,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may fall. In addition, the draw ratio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irst oblique stretch and the second oblique stretch (film width at the end of the second oblique stretch/film width before the first oblique stretch) is preferably 1.2 from the viewpoint similar to the above. times - 4.0 times, more preferably 1.4 times - 3.0 times.

경사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온도 T2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 온도 T2는,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에 대하여, Tg-20℃~Tg+3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Tg-10℃~Tg+20℃, 특히 바람직하게는 Tg 정도이다. 이용하는 필름에 따라 상이하지만, 온도 T2는, 예컨대 70℃~180℃이고, 바람직하게는 80℃~170℃이다. 상기 온도 T1과 온도 T2와의 차(T1-T2)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T1>T2이고, 따라서, 예열 존에서 온도 T1까지 가열된 필름은 온도 T2까지 냉각될 수 있다.The oblique stretch may be typical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T2. Regard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film, the temperature T2 is preferably Tg-20°C to Tg+30°C, more preferably Tg-10°C to Tg+20°C,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Tg. . Although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lm used, the temperature T2 is, for example, 70°C to 180°C, preferably 80°C to 170°C. The difference (T1-T2) between the temperature T1 and the temperature T2 is preferably ±2°C or more, more preferably ±5°C or more. In one embodiment, T1 > T2, therefore, a film heated to temperature T1 in the preheating zone can be cooled to temperature T2.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 연신 후에 횡수축 처리가 행하여져도 된다. 경사 연신 후의 당해 처리에 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3호의 0029~0032 단락을 참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ransverse shrinkage treatment may be performed after oblique stretching. Regarding the treatment after oblique stretching, paragraphs 0029 to 0032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14-194483 can be referred.

A-5. 개방 공정A-5. open process

개방 존(D)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필름이, 클립으로부터 개방된다. 개방 존(D)에서는, 통상적으로, 횡연신도 종연신도 행하여지지 않고, 필요에 따라, 필름을 열처리하여 연신 상태를 고정(열 고정)하고/하거나 Tg 이하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필름을 클립으로부터 개방한다. 또한, 열 고정 시에는, 종방향의 클립 피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응력을 완화하여도 된다.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open zone D, the film is released from the clip. In the open zone D, neither transverse stretching nor longitudinal stretching is normally performed, and the film is heat-treated to fix the stretched state (heat setting) as necessary, and/or cooled to Tg or lower, and then the film is removed from the clip. open up Further, during heat setting, the clip pitc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reduced, thereby relieving stress.

열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온도 T3에서 행하여질 수 있다. 온도 T3은, 연신되는 필름에 따라 상이하고, T2≥T3인 경우도, T2<T3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이 비정성 재료인 경우는 T2≥T3이고, 결정성 재료인 경우는 T2<T3으로 함으로써 결정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도 있다. T2≥T3인 경우, 온도 T2와 T3의 차(T2-T3)는 바람직하게는 0℃~50℃이다. 열처리 시간은, 대표적으로는 10초~10분이다.The heat treatment may be typical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T3. The temperature T3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lm to be stretched, and may be in the case of T2≥T3 or the case of T2<T3. In general, when the film is an amorphous material, T2 ≥ T3, and when the film is a crystalline material, T2 < T3 may be used to perform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When T2≥T3,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s T2 and T3 (T2-T3) is preferably 0°C to 50°C. The heat treatment time is typically 10 seconds to 10 minutes.

A-6. 클립 온도의 조정A-6. Adjustment of clip temperature

필름을 개방할 때의 클립의 온도는, 예컨대 100℃~140℃이다. 개방 존에서 필름을 개방한 후의 클립은, 파지 존을 향하여 이동하고, 그 도중에 클립 온도 조정 수단에 의해 설정 온도까지 냉각됨과 함께, 필름의 입구 부근에 마련된 클립 온도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 온도가 모니터링된다.The temperature of the clip when opening the film is, for example, 100°C to 140°C. After opening the film in the opening zone, the clip moves toward the gripping zone, and in the meantime is cooled to a set temperature by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while the clip temperature monitoring means provided near the entrance of the film can grip the film. When the clip temperature is monitored.

클립은, 파지 존까지 되돌아가, 필름의 Tg-90℃ 이하의 클립 온도에서 재차 필름을 파지한다. 그때, 필름의 입구 부근에 마련된 클립 온도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클립 온도가 모니터링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소망하는 온도 제어(즉, A-2항에 기재된 클립 온도 및 그의 변동, 예컨대, 50℃ 이하의 클립 온도 및 6℃ 이내, 바람직하게는 3℃ 이내의 클립 온도의 변동)가 달성되도록, 클립 온도 조정 수단의 출력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는, 모니터링에 의해 얻어지는 클립 온도의 실측값이 설정값에 가까워지도록 클립 온도 조정 수단의 출력을 변화시킨다.The clip returns to the gripping zone and grips the film again at a clip temperature equal to or lower than the Tg of the film - 90°C. At that time, the clip temperature is monitored by a clip temperature monitoring means provided near the inlet of the film, and the desired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i.e., the clip temperature described in A-2 and its fluctuations, e.g., 50 ° C. or less The output of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so that the clip temperature and the variation of the clip temperature within 6° C., preferably within 3° C.) are achieved. Specifically, the controller changes the output of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so that the actual measured value of the clip temperature obtained by monitoring approaches the set value.

B. 연신 대상인 필름B. Film to be stretched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위상차 필름으로서 적용 가능한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이다. 이들 수지이면,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소망하는 특성에 따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suitable film can be used. For example, the resin film applicable as retardation film is mentioned. Examples of materials constituting such a film include polycarbonate-based resins, polyvinyl acetal-based resins, cycloolefin-based resins, acrylic resins, cellulose ester-based resins, cellulose-based resins, polyester-based resins, polyester carbonate-based resins, Olefin type resin, polyurethane type resin, etc. are mentioned. Preferably, they are polycarbonate type resin, cellulose ester type resin, polyester type resin, polyester carbonate type resin, and cycloolefin type resin. This is because, with these resins, a retardation film exhibiting the so-called wavelength dependence of reverse dispersion can be obtained. Thes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desired characteristics.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이용된다. 예컨대,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에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n-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n-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sec-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히드록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히드록시에톡시)-3-tert-부틸-6-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히드록시-2,2-디메틸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 외에,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데트, 스피로글리콜, 디옥산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DEG), 트리에틸렌글리콜(TE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시클로헥산디메탄올(CHDM),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TCDDM), 비스페놀류 등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As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any suitable polycarbonate-based resin is used. For example, a polycarbonate-based resin contain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dihydroxy compound is preferred. As a specific example of a dihydroxy compound, 9,9-bis (4-hydroxyphenyl) fluorene, 9,9-bis (4-hydroxy-3-methylphenyl) fluorene, 9,9-bis (4-hydroxyl) Roxy-3-eth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n-prop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isopropylphenyl)fluorene , 9,9-bis (4-hydroxy-3-n-butylphenyl) fluorene, 9,9-bis (4-hydroxy-3-sec-butylphenyl) fluorene, 9,9-bis (4 -Hydroxy-3-tert-but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cyclohexylphenyl)fluorene, 9,9-bis(4-hydroxy-3-phenylphenyl) Fluorene, 9,9-bis (4- (2-hydroxyethoxy) phenyl) fluorene, 9,9-bis (4- (2-hydroxyethoxy) -3-methylphenyl) fluorene, 9, 9-bis(4-(2-hydroxyethoxy)-3-isoprop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isobut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tert-but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cyclohexylphenyl) 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phenylphenyl)fluorene, 9,9-bis(4-(2-hydroxyethoxy)-3,5-dimethyl Phenyl) fluorene, 9,9-bis (4- (2-hydroxyethoxy) -3-tert-butyl-6-methylphenyl) fluorene, 9,9-bis (4- (3-hydroxy-2 , 2-dimethylpropoxy) phenyl) fluorene and the like. Polycarbonate resins, in addition to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above dihydroxy compounds, are isosorbide, isomannide, isoidet, spiroglycol, dioxane glycol, diethylene glycol (DEG), triethylene glycol (TEG), polyethylen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dihydroxy compounds such as glycol (PEG), cyclohexanedimethanol (CHDM), tricyclodecane dimethanol (TCDDM), and bisphenols may be included.

상기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67300호 및 일본특허 제3325560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특허문헌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Details of the above polycarbonate-based resins are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2-67300 and Japanese Patent No. 3325560. Description of the said patent document is used as a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110℃ 이상 2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230℃ 이하이다. 유리전이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내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필름 성형 후에 치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 성형 시의 성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필름의 투명성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는, JIS K 7121(1987)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is preferably 110°C or higher and 250°C or lower, more preferably 120°C or higher and 230°C or lower.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low, the heat resistance tends to deteriorat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dimensional change after forming the film.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the molding stability during film molding may deteriorate, and the transparency of the film may also be impaired.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JIS K 7121 (1987).

상기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는, 적어도 2종류의 알데히드 화합물 및/또는 케톤 화합물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축합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의 구체예 및 상세한 제조 방법은,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61994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Any appropriate polyvinyl acetal-based resin can be used as the polyvinyl acetal-based resin. Typically, polyvinyl acetal-based resin can be obtained by subjecting at least two types of aldehyde compounds and/or ketone compounds to a condensation reac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he specific example and detaile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vinyl acetal-type resin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7-161994. The description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상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시클로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며,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405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48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2137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시클로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시클로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복실산이나 그의 유도체로 변성한 그래프트 변성체, 및 그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노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The cycloolefin-based resin is a generic term for resins polymerized using cycloolefin as a polymerized unit, and is described in,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s. Resin described in 122137 etc. is mentioned. Specific examples include ring-opening (co)polymers of cycloolefins, addition polymers of cycloolefins, copolymers of cycloolefins and α-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typically random copolymers), and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and graft modified products modified with , and hydrides thereof.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oolefin include norbornene-based monomers.

상기 노보넨계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노보넨, 및 그의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예컨대, 5-메틸-2-노보넨, 5-디메틸-2-노보넨, 5-에틸-2-노보넨, 5-부틸-2-노보넨, 5-에틸리덴-2-노보넨 등, 이들의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 디시클로펜타디엔, 2,3-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등;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 그의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및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 예컨대, 6-메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에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에틸리덴-1,4:5,8-디메타노-1,4, 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클로로-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시아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피리딜-1,4:5,8-디메타노-1, 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메톡시카보닐-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등; 시클로펜타디엔의 3~4량체, 예컨대, 4,9:5,8-디메타노-3a,4,4a,5,8,8a,9,9a-옥타히드로-1H-벤조인덴, 4,11:5,10:6,9-트리메타노-3a,4,4a,5,5a,6,9,9a,10,10a,11,11a-도데카히드로-1H-시클로펜타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norbornene monomer include norbornene and alkyl and/or alkylidene substituents thereof such as 5-methyl-2-norbornene, 5-dimethyl-2-norbornene, 5-ethyl-2-norbornene, 5-butyl-2-norbornene, 5-ethylidene-2-norbornene, etc., these halogen-substituted polar groups; dicyclopentadiene, 2,3-dihydrodicyclopentadiene and the like; Dimethanooctahydronaphthalene, its alkyl and/or alkylidene substituents, and polar substituents such as halogen, such as 6-methyl-1,4:5,8-dimethano-1,4,4a,5,6 ,7,8,8a-octahydronaphthalene, 6-ethyl-1,4:5,8-dimethano-1,4,4a,5,6,7,8,8a-octahydronaphthalene, 6-ethyl Iden-1,4:5,8-dimethano-1,4, 4a,5,6,7,8,8a-octahydronaphthalene, 6-chloro-1,4:5,8-dimethano- 1,4,4a,5,6,7,8,8a-octahydronaphthalene, 6-cyano-1,4:5,8-dimethano-1,4,4a,5,6,7,8 ,8a-octahydronaphthalene, 6-pyridyl-1,4:5,8-dimethano-1, 4,4a,5,6,7,8,8a-octahydronaphthalene, 6-methoxycarbonyl -1,4:5,8-dimethano-1,4,4a,5,6,7,8,8a-octahydronaphthalene, etc.; Tri-tetramers of cyclopentadiene, such as 4,9:5,8-dimethano-3a,4,4a,5,8,8a,9,9a-octahydro-1H-benzoindene, 4, 11:5,10:6,9-trimethano-3a,4,4a,5,5a,6,9,9a,10,10a,11,11a-dodecahydro-1H-cyclopentaanthracene, etc. can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전형적으로는, 디카복실산과 디올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이용된다.As said polyester-type resin, the polyester-type resin which contains polyester obtained by polycondensing dicarboxylic acid and diol as a main component is typically used.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복실산으로서는, 예컨대,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5-설포이소프탈산, 4,4'-디페닐디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복실산, 4,4'-디페닐케톤디카복실산, 4,4'-디페녹시에탄디카복실산, 4,4'-디페닐설폰디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복실산; 1,2-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 등의 지환식 디카복실산; 마론산, 숙식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도데칸산 등의 지방족 디카복실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불포화 디카복실산; 이들의 유도체(예컨대, 테레프탈산 등의 상기 디카복실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방향족 디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테레프탈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복실산에서 차지하는 테레프탈산의 비율은, 50중량% 이상(예컨대 80중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9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카복실산은 실질적으로 테레프탈산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Examples of the dicarboxylic acids constituting the polyester include 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5-sulfoisophthalic acid, 4,4'-diphenyl dicarboxylic acid, 4,4'-diphenyl ether dicarboxylic acid, and 4,4 arom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diphenyl ketone dicarboxylic acid, 4,4'-diphenoxyethane dicarboxylic acid, 4,4'-diphenylsulfone dicarboxylic acid, and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alicycl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1,2-cyclohexanedicarboxylic acid, 1,3-cyclohexanedicarboxylic acid, and 1,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onic acid, succinic acid, glutaric acid, adipic acid, pimelic acid, suberic acid, azelaic acid, sebacic acid, and dodecanoic acid;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maleic anhydride, and fumaric acid; Derivatives thereof (for example, lower alkyl esters of dicarboxylic acids such as terephthalic acid, etc.); and the like.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Especially, from viewpoints of heat resistance etc., aromatic dicarboxylic acid is preferable and terephthalic acid is more preferable. The proportion of terephthalic acid in the dicarboxylic acid constituting the polyester is preferably 50% by weight or more (for example, 80% by weight or more, typically 95% by weight or more), even if the dicarboxylic acid is substantially composed of only terephthalic acid. do.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 1,2-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1-시클로헥산디메틸올, 1,4-시클로헥산디메틸올 등의 지환식 디올, 크실릴렌글리콜, 4,4'-디히드록시비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등의 방향족 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소망하는 물성(예컨대, 프로브 강하 응력, 파단 시 신장률, 인장 강도 등)을 적합하게 실현하는 관점에서, 지방족 디올이 바람직하고,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8-옥탄디올,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며, 1,4-부탄디올,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올에서 차지하는 지방족 디올(바람직하게는 1,4-부탄디올 및/또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비율은, 50중량% 이상(예컨대 80중량% 이상, 전형적으로는 9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디올은 실질적으로 지방족 디올(1,4-부탄디올 및/또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Examples of the diol constituting the polyester include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1,3-propanediol, 1,5-pentanediol, neopentyl glycol, and 1,4-propanediol. aliphatic diols such as butanediol, 1,6-hexanediol, 1,8-octanediol, and polyoxytetramethylene glycol; Alicyclic diols such as 1,2-cyclohexanediol, 1,4-cyclohexanediol, 1,1-cyclohexanedimethylol and 1,4-cyclohexanedimethylol, xylylene glycol, 4,4'-di aromatic diols such as hydroxybiphenyl, 2,2-bis(4'-hydroxyphenyl)propane, and bis(4-hydroxyphenyl)sulfone; etc. can b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Among them, aliphatic diol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itably realizing desired physical properties (eg, probe drop stress, elongation at break, tensile strength, etc.), and 1,4-butanediol, 1,6-hexanediol, 1, 8-octanediol and polyoxytetramethylene glycol are more preferred, and 1,4-butanediol and polyoxytetramethylene glycol are particularly preferred. The proportion of the aliphatic diol (preferably 1,4-butanediol and/or polyoxytetramethylene glycol) in the diol constituting the polyester is 50% by weight or more (for example, 80% by weight or more, typically 95% by weight) above) is preferred, and the diol may be substantially constituted only of aliphatic diols (1,4-butanediol and/or polyoxytetramethylene glycol).

상기 연신 대상인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특성이 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필름(λ/4판)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바람직하게는 100㎚~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155㎚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λ/2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위상차 필름(λ/2판)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바람직하게는 230㎚~31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290㎚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또한,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따라서, Re(550)는, 23℃에서의 파장 550㎚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필름의 두께를 d(㎚)로 하였을 때, 식: Re(λ)=(nx-ny)×d에 의해 구할 수 있다.A stretched film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stretching the film to be stretched preferably has a relationship of nx>ny in refractive index characteristics. In one embodiment, the retardation film can preferably function as a λ/4 pl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the retardation film (λ/4 plate) is preferably 100 nm to 180 nm, more preferably 135 nm to 155 nm. In another embodiment, the retardation film may preferably function as a λ/2 plate. In this embodiment, 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the retardation film (λ/2 plate) is preferably 230 nm to 310 nm, more preferably 250 nm to 290 nm.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lane refractive index is maximized (ie, the slow axis direction),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ow axis in the plane (ie, the fast axis direction), and nz is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ddition, Re(λ) is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film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λ nm at 23°C. Therefore, Re(550) is the in-plane retardation of the film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at 23°C. Re(λ) can be obtained by the formula: Re(λ)=(nx-ny)×d when the thickness of the film is set to d(nm).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경사 연신 조건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소망하는 범위로 할 수 있다. 예컨대, 경사 연신에 의해 100㎚~180㎚의 면내 위상차 Re(550)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543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2385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94484호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당해 개시에 기초하여 적절한 경사 연신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The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the retardation film can be set to a desired range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oblique stretching conditions. For example, a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having an in-plane retardation Re (550) of 100 nm to 180 nm by oblique stretching i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54338,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19448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2014-238524,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4-194484 and the like are disclosed in detail.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set appropriate oblique stretching conditions based on the said disclosure.

1매의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여 원편광판을 제작하는 경우, 또는, 1매의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여 직선 편광의 방향을 90°회전시키는 경우, 이용되는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당해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60° 또는 12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2° 또는 128°~142°,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7° 또는 133°~137°,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또는 135° 정도이다.When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s manufactured using one sheet of retardation film, or when the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is rotated by 90° using one sheet of retardation film,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used is the length of the film.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referably 30 ° to 60 ° or 120 ° to 150 °, more preferably 38 ° to 52 ° or 128 ° to 142 °, more preferably 43 ° to 47 ° or 133 ° to 137 °, Particularly preferably, it is about 45° or 135°.

또한, 2매의 위상차 필름(구체적으로는, λ/2판과 λ/4판)을 이용하여 원편광판을 제작하는 경우, 이용되는 위상차 필름(λ/2판)의 지상축 방향은, 당해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60°~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5°~85°,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정도이다. 또한, 위상차 필름(λ/4판)의 지상축 방향은, 당해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0°,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정도이다.In the case of producing a circular polarizing plate using two retardation films (specifically, a λ/2 plate and a λ/4 plate),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λ/2 plate) used is It is preferably about 60° to 90°, more preferably about 65° to 85°,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75° with respect to the elongated direction of . Further, the direction of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λ/4 plate) is preferably 0° to 30°, more preferably 5° to 25°,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bout 15° with respect to the long direction of the film. .

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그의 면내 위상차는, Re(450)<Re(550)<Re(650)의 관계를 충족한다. Re (450)/Re(550)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95이다. Re(550)/Re(650)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97이다.The retardation film preferably exhibits so-called reverse dispersion wavelength dependence. Specifically, the in-plane phase difference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Re(450)<Re(550)<Re(650). Re(450)/Re(550) is preferably 0.8 or more and less than 1.0, more preferably 0.8 to 0.95. Re(550)/Re(650) is preferably 0.8 or more and less than 1.0, more preferably 0.8 to 0.97.

위상차 필름은, 그의 광탄성 계수의 절댓값이, 바람직하게는 2×10-12(㎡ /N)~100×10-12(㎡/N)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12(㎡/N)~50×10-12(㎡/N)이다.The retardation film has an absolute value of its photoelastic coefficient, preferably 2 × 10 -12 (m 2 /N) to 100 × 10 -12 (m 2 /N), more preferably 5 × 10 -12 (m 2 /N) to 50 × 10 -12 (m 2 /N).

C. 광학 적층체 및 해당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C. Optical laminat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laminates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은, 다른 광학 필름과 첩합되어 광학 적층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 필름은, 편광판과 첩합되어, 원편광판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stretched film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onded together with other optical films to be used as an optical laminate. For example,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onded to a polarizing plate and suitably used as a circular polarizing plate.

도 5는, 그와 같은 원편광판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원편광판(500)은, 편광자(510)와, 편광자(510)의 편측에 배치된 제1 보호 필름(520), 편광자(510)의 다른 편측에 배치된 제2 보호 필름(530), 제2 보호 필름(530)의 외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540)을 포함한다. 위상차 필름(540)은, A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예컨대, λ/4판)이다. 제2 보호 필름(530)은 생략되어도 된다. 그 경우, 위상차 필름(540)이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편광자(510)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540)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3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2°,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7°,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정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such a circular polarizing plate. The illustrated circular polarizing plate 500 includes a polarizer 510, a first protective film 5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510, a second protective film 53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510, A retardation film 540 disposed outside the second protective film 530 is included. The retardation film 540 is a stretched film (eg, λ/4 plate)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in section A. The second protective film 530 may be omitted. In that case, the retardation film 540 may function as a protective film for the polarizer. The angle between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510 and the slow axis of the retardation film 540 is preferably 30° to 60°, more preferably 38° to 52°, still more preferably 43° to 47°, Particularly preferably, it is about 45°.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 필름은, 장척상이고, 또한, 경사 방향(긴 방향에 대하여 예컨대 45°의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다. 또한, 많은 경우, 장척상의 편광자는 장척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면, 이른바 롤 투 롤을 이용할 수 있고, 극히 우수한 제조 효율로 원편광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롤 투 롤이란, 장척상의 필름끼리를 롤 반송하면서, 그의 장척 방향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첩합하는 방법을 말한다.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ng and has a slow axis in an oblique direction (for example, a direction of 45° with respect to the long direction). In many cases, a long picture-like polarizer has an absorption axis in the direction of a long picture or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i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so-called roll-to-roll can be used, and a circular polarizing plate can be produced with extremely excellent production efficiency. In addition, roll-to-roll refers to the method of continuously bonding the elongated films together while the elongated films are conveyed by roll.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A항에 기재된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얻는 것, 및 장척상의 광학 필름과 해당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반송하면서, 그의 장척 방향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첩합하는 것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of this invention obtains a long stretched film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etched film of item A, and conveying the long optical film and this long stretched film, , including continuously bonding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pictur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의 측정 및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In addition,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methods in Examples are as follows.

(1) 두께(1) Thickness

다이얼 게이지(피코크(PEACOCK)사 제조, 제품명 'DG-205 type pds-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It was measured using a dial gauge (manufactured by PEACOCK, product name 'DG-205 type pds-2').

(2) 위상차값(2) Phase difference value

위상차계(오지 계측기기사 제조, KOBRA 시리즈)를 이용하여, 파장 550㎚에서의 면내 위상차 Re(550)를 측정하였다. 인라인에서 측정하는 경우는 인라인 위상차계를 이용하여 0.5초 간격으로 측정을 행하였다.The in-plane retardation Re(550) at a wavelength of 550 nm was measured using a retardometer (manufactured by Oji Instruments, KOBRA series). In the case of in-line measuremen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intervals of 0.5 seconds using an in-line retardation meter.

(3) 배향각(지상축의 발현 방향)(3) Orientation angl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low axis)

위상차계(오지 계측기기사 제조, KOBRA 시리즈)를 이용하여, 파장 550㎚에서의 배향각(θ)을 측정하였다. 인라인에서 측정하는 경우는 인라인 위상차계를 이용하여 0.5초 간격으로 측정을 행하였다.The orientation angle (θ)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50 nm using a retardometer (manufactured by Oji Instruments, KOBRA series). In the case of in-line measuremen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intervals of 0.5 seconds using an in-line retardation meter.

(4) 유리전이온도(Tg)(4)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JIS K 712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It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121.

<실시예 1><Example 1>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polyester carbonate resin film)

교반 날개 및 100℃로 제어된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종형 반응기 2기를 포함하는 배치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중합을 행하였다. 비스[9-(2-페녹시카보닐에틸)플루오렌-9-일]메탄 29.60질량부(0.046mol), ISB 29.21질량부(0.200mol), SPG 42.28질량부(0.139mol), DPC 63.77질량부(0.298mol) 및 촉매로서 초산칼슘 1수화물 1.19×10-2질량부(6.78×10-5mol)를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를 감압 질소 치환한 후, 열매(熱媒)로 가온을 행하고, 내부 온도가 100℃가 된 시점에서 교반을 개시하였다. 승온 개시 40분 후에 내부 온도를 220℃에 도달시키고, 이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감압을 개시하여, 220℃에 도달하고 나서 90분에서 13.3㎪로 하였다. 중합 반응과 함께 부생하는 페놀 증기를 100℃의 환류 냉각기로 유도하고, 페놀 증기 중에 약간량 포함되는 모노머 성분을 반응기로 되돌려, 응축하지 않은 페놀 증기는 45℃의 응축기로 유도하여 회수하였다. 제1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일단 대기압까지 복압시킨 후, 제1 반응기 내의 올리고머화된 반응액을 제2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제2 반응기 내의 승온 및 감압을 개시하여, 50분에서 내부 온도 240℃, 압력 0.2㎪로 하였다. 그 후, 소정의 교반 동력이 될 때까지 중합을 진행시켰다. 소정 동력에 도달한 시점에서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복압하고, 생성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를 수중에 압출하여, 스트랜드를 절단하여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의 Tg는, 140℃이었다.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batch polymerization apparatus including two vertical reactors equipped with stirring blades and a reflux condenser controlled at 100°C. Bis [9- (2-phenoxycarbonylethyl) fluoren-9-yl] methane 29.60 parts by mass (0.046 mol), ISB 29.21 parts by mass (0.200 mol), SPG 42.28 parts by mass (0.139 mol), DPC 63.77 parts by mass part (0.298 mol) and 1.19 × 10 -2 mass parts (6.78 × 10 -5 mol) of calcium acetate monohydrate as a catalyst. After replacing the inside of the reactor with reduced pressure nitrogen, heating was performed with a heating medium, and stirring was starte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reached 100°C. The internal temperature reached 220°C 4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temperature rise, and while controlling to maintain this temperature, the pressure reduction was started, and after reaching 220°C, it was set to 13.3 kPa in 90 minutes. Phenol vapor produced as a by-product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directed to a reflux condenser at 100°C, a smal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tained in the phenol vapor was returned to the reactor, and uncondensed phenol vapor was directed to a condenser at 45°C for recovery. After nitrogen was introduced into the first reactor to once restore the pressure to atmospheric pressure, the oligomerized reaction solution in the first reactor was transferred to the second reactor. Then, the temperature increase and pressure reduction in the 2nd reactor were started, and it set the internal temperature to 240 degreeC and the pressure to 0.2 kPa in 50 minutes. Thereafter, polymerization was allowed to proceed until a predetermined agitation power was reached. When the predetermined power was reached, nitrogen was introduced into the reactor to restore pressure, and the resulting polyester carbonate was extruded into water, and the strands were cut to obtain pellets. Tg of the obtained polyester carbonate resin was 140 degreeC.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를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도시바기계사 제조, 실린더 설정 온도: 250℃), T다이(폭 1500㎜, 설정 온도: 250℃), 칠드 롤(설정 온도: 120~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135㎛의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After vacuum drying the obtained polyester carbonate resin at 80 ° C. for 5 hours, a single screw extruder (manufactured by Toshiba Machinery Co., Ltd., cylinder set temperature: 250 ° C.), T die (width 1500 mm, set temperature: 250 ° C.), chilled roll ( A res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35 μm was produced using a film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set temperature: 120 to 130° C.) and a winding machine.

(연신 필름의 제작)(Production of stretched film)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필름 연신 장치, 구체적으로는,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서모그래피가 필름의 입구에 마련되고, 좌우의 무단 레일의 개방 존으로부터 파지 존으로 향하는 도중에, 설정 또는 입력에 따라 소정의 온도의 냉각풍을 클립에 불어넣는 냉풍기와, 클립 온도의 설정 온도와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냉풍기의 출력을 변경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경사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For the polyester carbonate resin film obtained as described above, a film stretching device as shown in FIG. 1, specifically, a thermograph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i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film, and the left and right endless rails On the way from the open zone to the gripping zone, a film having a cooling fan that blows cooling ai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to the clip according to a setting or input, and a controller that changes the output of the cooling fan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of the clip temperature and the monitoring result. It was obliquely stretched using a stretching device to obtain a retardation film.

구체적으로는, 연신 장치의 필름의 입구에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좌우 단부를, 좌우의 클립에 의해 동일한 타이밍 및 동일한 클립 피치로 파지하였다. 필름을 파지하였을 때의 좌우의 클립의 중심을 연결한 선은, 필름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이고, 좌우의 클립의 클립 피치(P1)는 125㎜이었다.Specifically, at the entrance of the film of the stretching device,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polyester carbonate resin film were held at the same timing and the same clip pitch with the right and left clip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holding the film The line was orthogonal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and the clip pitch P 1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as 125 mm.

이어서, 필름을 예열 존(B)으로 이행하고, 145℃로 예열하였다. 예열 존(B)에서는, 파지 시의 좌우의 클립의 클립 간 거리 및 클립 피치를 유지하였다.Then, the film was transferred to the preheating zone (B) and preheated to 145°C. In the preheating zone B, the distance and clip pitch between the left and right clips during gripping were maintained.

다음으로, 필름이 연신 존(C)으로 들어감과 동시에,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 및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감소를 개시하고,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까지 증대시킴과 함께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를 P3까지 감소시켰다(제1 경사 연신). 이때,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 변화율(P2/P1)은, 1.42이고,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 변화율(P3/P1)은 0.78이며, 필름의 원폭에 대한 횡연신 배율은 1.45배이었다. 이어서,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를 P2로 유지한 채로,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를 개시하고, P3에서 P2까지 증대시켰다(제2 경사 연신). 이 사이의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변화율(P2/P3)은 1.82이고, 필름의 원폭(原幅)에 대한 횡연신 배율은 1.9배이었다. 또한, 연신 존(C)은 Tg+3.2℃(143.2℃)로 설정하였다.Next, as the film enters the stretching zone C, an increase in the clip pitch of the right clip and a decrease in the clip pitch of the left clip are started, and the clip pitch of the right clip is increased to P 2 , while the clip pitch of the left clip is increased. The clip pitch was reduced to P 3 (first oblique stretching). At this time, the clip pitch change rate (P 2 /P 1 ) of the right clip was 1.42, the clip pitch change rate (P 3 /P 1 ) of the left clip was 0.78, and the transverse stretch ratio to the original width of the film was 1.45 times. Next, while maintaining the clip pitch of the right clip at P 2 , the increase in the clip pitch of the left clip was started and increased from P 3 to P 2 (second oblique stretching). The clip pitch change rate (P 2 /P 3 ) of the left clip in the interval was 1.82, and the transverse stretch ratio to the original width of the film was 1.9 times. In addition, the drawing zone (C) was set to Tg+3.2°C (143.2°C).

이어서, 개방 존(D)에서, 125℃에서 60초간 필름을 유지하여 열 고정을 행하였다. 열 고정된 필름을, 100℃까지 냉각 후, 좌우의 클립을 개방하였다. 필름을 개방하였을 때의 클립 온도는, 100℃이었다.Then, in the open zone (D), heat setting was performed by holding the film at 125°C for 60 seconds. After cooling the heat-set film to 100°C, the left and right clips were opened. The clip temperature when the film was opened was 100°C.

상기 연신 필름의 제작에서는,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를 30℃로 설정하여 냉풍기를 가동하고, 서모그래피에 의한 필름을 파지하기 직전의 클립 온도의 모니터링 결과(실측 온도)와 당해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실측 온도가 설정 온도에 가까워지도록 컨트롤러로 냉풍기의 출력을 조정하였다. 또한, 연신 장치가 배치된 실내의 온도는 약 23℃이었다.In the production of the stretched film, the temperature of the clip at the time of gripping the film is set to 30°C, a cooling fan is operated, and the result of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clip immediately before gripping the film by thermography (measured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Based on this, the output of the cooling fan was adjusted by the controller so that the measured temperature approached the set temperatur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room where the stretching device was placed was about 23°C.

상기 클립으로부터 개방된 필름에 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효 폭을 특정하고, 당해 유효 폭 내에서, 필름의 폭 방향 중앙 및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25㎜ 내방의 총 3개소에서, 배향각(장척 방향에 대한 각도)을 측정하였다. 제조 개시로부터 60분 후에서의 배향각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중, 배향각의 편차는, 3개소에서 측정한 배향각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를 나타낸다. 또한, 폭 방향 중앙에서 측정한 Re(550)는, 145㎚이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ffective width of the film released from the clip is specified, and within the effective width, the orientation angle (relative to the elongated direction) is determined at a total of three locations within 25 mm from the center and left and right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angle) was measured.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orientation angle after 60 minutes from the start of production. In the table|surface, the deviation of an orientation angle shows the difference of the maximum value and minimum value of the orientation angle measured at three places. In addition, Re (550) measur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was 145 nm.

<실시예 2><Example 2>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를 40℃로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폭 방향의 총 3개소에서, 배향각을 측정하였다. 제조 개시로부터 60분 후에서의 배향각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폭 방향 중앙에서 측정한 Re(550)는, 145㎚이었다.A stretched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lip when holding the film was set to 40°C. About the obtained stretched film, the orientation angle was measured at all three places in the width direction similar to Example 1.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orientation angle after 60 minutes from the start of production. In addition, Re (550) measur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was 145 nm.

<실시예 3><Example 3>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를 20℃로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폭 방향의 총 3개소에서, 배향각을 측정하였다. 제조 개시로부터 60분 후에서의 배향각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폭 방향 중앙에서 측정한 Re(550)는, 145㎚이었다.A stretched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lip when holding the film was set to 20°C. About the obtained stretched film, the orientation angle was measured at all three places in the width direction similar to Example 1.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orientation angle after 60 minutes from the start of production. In addition, Re (550) measur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was 145 nm.

<실시예 4><Example 4>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를 45℃로 설정한 것(냉풍기의 출력을 조정하여 냉각풍의 온도를 45℃로 설정한 것), 및 설정 온도와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한 클립 온도의 피드백 제어를 행하지 않았던 것(결과로서, 냉풍기가 45℃의 냉각풍을 클립에 계속 불어넣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폭 방향의 총 3개소에서, 배향각을 측정하였다. 제조 개시로부터 60분 후에서의 배향각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폭 방향 중앙에서 측정한 Re(550)는, 145㎚이었다.The temperature of the clip when gripping the film is set to 45°C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air is set to 45°C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cooling fan), and the feedback control of the clip temperature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monitoring result is not performed. A stretched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not (as a result, the cooling fan kept blowing 45°C cooling wind to the clip). About the obtained stretched film, the orientation angle was measured at all three places in the width direction similar to Example 1.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orientation angle after 60 minutes from the start of production. In addition, Re (550) measur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was 145 n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클립 온도 조정 수단에 의한 클립의 냉각을 행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연신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폭 방향의 총 3개소에서, 배향각을 측정하였다. 제조 개시로부터 60분 후에서의 배향각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폭 방향 중앙에서 측정한 Re(550)는, 145㎚이었다.A stretched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lip was not cooled by the clip temperature adjusting means. About the obtained stretched film, the orientation angle was measured at all three places in the width direction similar to Example 1.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orientation angle after 60 minutes from the start of production. In addition, Re (550) measured at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was 145 nm.

[유효 폭][effective width]

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서 배향각을 측정하고, 배향각의 편차가 4° 이내인 폭을 유효 폭으로 하고, 당해 유효 폭의 필름 전체 폭에 대한 비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The orientation angles were measur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retched film, and the effective width was defined as a width in which the orientation angle deviation was within 4°, and the ratio (%) of the effective width to the total width of the film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외관 및 취급성 평가][Evaluation of appearance and handling]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연신 필름에 관하여, 외관 및 취급성을 육안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With regard to the stretched film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appearance and handleability were visually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롤 반송 시의 연신 필름에 주름 및 늘어짐이 확인되지 않는다○: Wrinkles and sagging are not observed on the stretched film during roll conveyance

×: 롤 반송 시의 연신 필름에 주름 및/또는 늘어짐이 확인된다×: Wrinkles and/or slack are observed on the stretched film during roll conveyance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의 경사 연신 필름의 제조에서, 필름을 파지할 때의 클립의 온도를 높은 정밀도로 소정의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폭 방향에서의 배향각의 균일성을 향상함과 함께, 유효 폭을 넓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n the manufacture of a long obliquely stretched film, the uniformity of the orientation angle in the width direction is improv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clip at the time of gripping the film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ith high precision. , the effective width can be widened.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게 이용되고, 결과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OLE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에 기여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use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and as a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 (OLEDs). there is.

10L: 무단 루프
10R: 무단 루프
20: 클립
40: 클립 온도 모니터링 수단
50: 클립 온도 조정 수단
60: 컨트롤러
100: 연신 장치
500: 원편광판
10L: stepless loop
10R: stepless loop
20: clip
40: clip temperature monitoring means
50: clip temperature adjustment means
60: controller
100: stretching device
500: circular polarizer

Claims (8)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을 향하여 파지 존, 예열 존, 연신 존 및 개방 존이 이 순서대로 마련되고, 이들 존을 통과하는 무단(無端)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과, 상기 좌우의 기준 레일로 안내되어 상기 파지 존, 상기 예열 존, 상기 연신 존 및 상기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통과하여 순회 이동하는 복수의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을 포함하는 필름 연신 장치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장척상의 필름의 폭 방향의 좌우 단부를 각각, 상기 좌우의 클립에 의해 파지하는 것,
상기 필름을 예열하는 것,
상기 좌우의 클립을 적어도 한쪽 클립의 클립 피치를 변화시키면서 주행 이동시켜, 상기 필름을 경사 연신하는 것, 및,
상기 필름을 상기 좌우의 클립으로부터 개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을 파지할 때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필름을 파지할 때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가 상기 필름의 Tg-90℃ 이하가 되도록, 상기 개방 존으로부터 상기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A holding zone, a preheating zone, a drawing zone and an opening zone are provided in this order from the inlet side of the film toward the exit side, and the endless reference rails on the left and right passing through these zones and the reference rails on the left and right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using a film stretch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variable pitch left and right clips guided and circularly moved through the gripping zone, the preheating zone, the stretching zone, and the opening zone in this order. As,
Hold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elongated film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left and right clips, respectively;
preheating the film;
obliquely stretching the film by moving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changing the clip pitch of at least one clip, and
Opening the film from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holding the film, from the open zone to the holding zon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holding the film is equal to or less than Tg - 90°C of the film.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etched film which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said left and right clip on the way b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파지할 때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의 변동폭이, 6℃ 이내로 조정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wherein a range of temperature fluctuations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en gripping the film is adjusted to within 6°C.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파지할 때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가, 20℃~50℃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etched film whose temperature of the said left and right clips at the time of gripping the said film is 20 degreeC - 50 degreeC.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존으로부터 상기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상기 좌우의 클립에 냉각풍을 송풍함으로써,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하는,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method for producing a stretched film,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is adjusted by blowing cooling air to the left and right clips on the way back from the open zone to the gripping zon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인,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etched film whose said film is a resin film containing at least 1 sort(s) chosen from polycarbonate type resin, cellulose ester type resin, polyester type resin, polyester carbonate type resin, and cycloolefin type resi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얻는 것, 및
장척상의 광학 필름과 상기 장척상의 연신 필름을 반송하면서, 그의 장척 방향을 맞추어 연속적으로 첩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Obtaining a long stretched film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which includes matching the long picture direction and bonding continuously, conveying a long picture-like optical film and the said long picture-like stretched fil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편광판이고,
상기 연신 필름이 λ/4판 또는 λ/2판인,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optical film is a polarizing plate,
The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laminate wherein the stretched film is a λ/4 plate or a λ/2 plate.
필름의 입구 측으로부터 출구 측을 향하여 파지 존, 예열 존, 연신 존 및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이들 존을 통과하도록 마련된 무단 형상의 좌우의 기준 레일과, 상기 좌우의 기준 레일로 안내되어 상기 파지 존, 상기 예열 존, 상기 연신 존 및 상기 개방 존을 이 순서대로 통과하여 순회 이동하는 복수의 가변 피치형의 좌우의 클립과, 상기 파지 존으로 들어가기 전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수단과, 상기 개방 존으로부터 상기 파지 존으로 되돌아가는 도중의 상기 좌우의 클립의 온도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필름 연신 장치.
including a holding zone, a preheating zone, a drawing zone and an open zone in this order from the inlet side of the film toward the exit sid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of endless shap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se zones, and a plurality of variables guided by the left and right reference rails and passing through the holding zone, the preheating zone, the drawing zone, and the opening zone in this order and moving in a circular motion. Pitched left and right clips, means f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before entering the gripping zone, and means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eft and right clips while returning from the open zone to the gripping zone. , film stretching device.
KR1020220119201A 2021-09-27 2022-09-21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device for stretching film KR1025304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56892 2021-09-27
JP2021156892A JP7059430B1 (en) 2021-09-27 2021-09-27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etched film,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laminate, and a film stretch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220A true KR20230046220A (en) 2023-04-05
KR102530416B1 KR102530416B1 (en) 2023-05-11

Family

ID=8137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201A KR102530416B1 (en) 2021-09-27 2022-09-21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device for stretching fil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59430B1 (en)
KR (1) KR102530416B1 (en)
CN (1) CN115871208B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719A (en) * 1997-09-12 1999-03-23 Konica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triacetate film
JP2011201089A (en) * 2010-03-24 2011-10-13 Fujifilm Corp Tenter device
JP4845619B2 (en) 2006-07-19 2011-12-28 東芝機械株式会社 Sheet / film oblique stretching method and clip-type sheet / film stretching apparatus
KR20150122750A (en) * 2013-03-29 2015-11-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circularly polarizing plate
KR20170036603A (en) * 2015-09-24 2017-04-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of producing optical anisotropic film
KR20200102501A (en) * 2018-02-02 2020-08-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anufacturing method of stretched film
KR20200112650A (en) * 2019-03-20 2020-10-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1736A (en) * 1995-11-21 1997-06-03 Toray Ind Inc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and production thereof
JP4218305B2 (en) * 2002-10-21 2009-02-0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film and retardation film
JP4839914B2 (en) * 2006-03-24 2011-12-21 東洋紡績株式会社 Polymer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olymer film manufacturing method
JP4600442B2 (en) * 2006-06-30 2010-12-15 東洋紡績株式会社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molding
WO2008035762A1 (en) * 2006-09-21 2008-03-27 Asahi Kasei Home Products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lactic acid film
JP2008285514A (en) * 2007-05-15 2008-11-27 Toyobo Co Ltd Method for producing polyimide film
JP2010036414A (en) * 2008-08-04 2010-02-18 Nippon Shokuba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ly stretched film
JP5362625B2 (en) * 2010-03-15 2013-12-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Film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5046120A1 (en) * 2013-09-26 2015-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production method for polyester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171021B2 (en) * 2013-09-26 2017-07-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ester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7020942B2 (en) * 2018-02-01 2022-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Film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tardation film
JP7066427B2 (en) * 2018-02-01 2022-05-13 日東電工株式会社 Film stretch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tretched fil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719A (en) * 1997-09-12 1999-03-23 Konica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ellulose triacetate film
JP4845619B2 (en) 2006-07-19 2011-12-28 東芝機械株式会社 Sheet / film oblique stretching method and clip-type sheet / film stretching apparatus
JP2011201089A (en) * 2010-03-24 2011-10-13 Fujifilm Corp Tenter device
KR20150122750A (en) * 2013-03-29 2015-11-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phase-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circularly polarizing plate
KR20170036603A (en) * 2015-09-24 2017-04-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of producing optical anisotropic film
KR20200102501A (en) * 2018-02-02 2020-08-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anufacturing method of stretched film
KR20200112650A (en) * 2019-03-20 2020-10-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71208A (en) 2023-03-31
JP2023047781A (en) 2023-04-06
CN115871208B (en) 2023-08-04
JP7059430B1 (en) 2022-04-25
KR102530416B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3413B2 (en) Stretched film manufacturing method
KR102392233B1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KR2022012272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tardation film
KR102461852B1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KR102530416B1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device for stretching film
KR20220133108A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KR20220136224A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KR102461197B1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KR102530417B1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and device for stretching film
KR102555876B1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KR102531093B1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KR102531094B1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JP704881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JP701595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tretched film
KR20220136233A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KR20230043712A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KR20220133103A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KR20220133801A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KR20220133101A (en) Method for producing stretche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