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766A -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766A
KR20230045766A KR1020210128436A KR20210128436A KR20230045766A KR 20230045766 A KR20230045766 A KR 20230045766A KR 1020210128436 A KR1020210128436 A KR 1020210128436A KR 20210128436 A KR20210128436 A KR 20210128436A KR 20230045766 A KR20230045766 A KR 20230045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nnector
optical
module
fusion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현
이동화
김창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솔텍 filed Critical 한국공학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5766A/ko
Publication of KR20230045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3Splicing machines, e.g. optical fibre fusion splic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는 한손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와 무게를 갖도록 설계되어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광커넥터 제조 작업이 가능한 광커넥터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손에 파지될 수 있는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길이방향 상면 상부 끝단에 힌지결합하여 길이방향의 개폐하는 커버(10-2)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0)와 상기 본체(10-1)의 커버(10-2)에 의해 덮혀지는 부위의 일측면 방향에 설치되며, 날개형 접속점 보호 슬리브(2-2)를 갖는 광커넥터 헤드(2)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상기 광커넥터 홀더(20)와 마주보는 나란한 위치의 타측면 방향에 설치되며, 인입 광케이블(3)이 결합하여 고정되는 광케이블 홀더(30)와 승강 모듈(40)과 아크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봉을 포함하여 상기 광커넥터 헤드(2)의 광섬유(2-1)와 상기 인입 광케이블(3)의 광섬유(3-1)를 접속점에서 융해시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접속 모듈(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광케이블 홀더(30) 및 하나로 이루어진 카메라부(60)를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와 무게를 구현하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커버(10-2)의 개폐가 이루어져 작업자가 융착접속 광커넥터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Ultra-small melted and stuck optical connector manufacturing device capable of one-handed operation}
본 발명은 광커넥터 헤드와 인입 광케이블이 융착접속한 광커넥터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손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와 무게를 갖도록 설계되어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광커넥터 제조 작업이 가능한 광커넥터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는 빛을 전달 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광섬유 내부와 외부를 서로 다른 밀도와 굴절률을 가지는 유리섬유로 제작하여, 한번 들어간 빛이 전반사를 하며 진행하도록 섬유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일컫는다.
구체적으로 '광섬유'는 투명한 섬유 상태의 물질로 광에너지가 입력되면, 광에너지는 경계면에 있어서 전반사, 또는 굴절률 기울기에 의한 파형을 반복하여 전송된다.
이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는 '광섬유'는 광통신 방식의 전송로에 이용되며 최근에 급속히 발전했다.
소재는 석영 유리나 다성분계 유리가 쓰이고 중심부는 코어라고 하는 굴절률이 큰 부분으로 하고, 외부는 클래더(cladder)라고 불리는 굴절률이 작은 부분에 따라 여러 구조로 되어 있고, 정보통신 분야에서 전기 신호를 빛으로 변환하여 도착지까지 광속의 2/3속도로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정보통신 외에도 이미징, 채광, 광섬유 현미경, 광섬유 센서, 광섬유 레이저 그리고 빛을 이용한 장식에도 이용된다.
한편, FTTH(Fiber To The Home) 인터넷 서비스는 거리와 주변 환경에 관계없이 고품질의 서비스를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고, 간단한 설치 등의 장점으로 전 세계적으로 주요 통신 서비스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고, 시장의 성숙과 발전에 따라 FTTH 인터넷 서비스 보급률은 급격히 증가하여 국내는 완성단계에 이르고 있고, 해외는 성숙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또한, FTTH(Fiber To The Home) 인터넷 서비스는 기가(giga) 및 테라(tera)급 초고속 통신망 인프라의 신규 구축과 유지보수에 따라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되고 있고, 향후에도 급격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은 FTTH 인터넷 서비스는 인입광케이블(드롭광케이블)을 전주로부터 가입자 댁내까지 설치하여 케이블 종단에 광섬유 커넥터를 설치하여 All Optic 방식으로 초고속 통신 서비스를 한다.
한편, 상기 인입광케이블 종단에 설치하는 광섬유 커넥터의 한 종류인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는 편리하고 간편한 사용성과 낮은 가격으로 인해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많은 수량이 사용중에 있으나, 제품 내부에 사용되는 메칭젤의 온도 특성과 습기 문제로 인해 사용의 편리함과 간편함에 비해 설치시에 불필요한 불량 발생이 많아 FTTH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인터넷 가입자 증가로 인하여(신규, 재가입 등) FTTH 인터넷 서비스 광선로 구성의 핵심인 인입광케이블(드롭광케이블)의 사용량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도 1 광케이블이 설치되는 전주의 일반적인 상태를 예시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종료후 인입광케이블을 별도로 철거하지 않아 발생되는 폐케이블도 늘어나 도심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도 있다.
한편, FTTH 인입광케이블의 광커넥팅 작업에 사용되는 종래기술은 크게 상기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장조립형 광커넥터(사용량 70%)를 이용하는 방법과 상기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완성형 드롭광케이블 코드(사용량 20%)를 이용하는 방법과 도 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섬유 융착접속기(사용량 10%)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는 드롭광케이블의 종단처리를 위해 제작된 전용 솔루션으로 내부에 미리 가공 되어진 광섬유와 메칭젤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현장에서 드롭광케이블의 광섬유를 절단한 후 '현장조립형 광커넥터'의 내부에 인입시켜 클리핑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용되며 커넥터 내부에서 광섬유와 광섬유가 V블럭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메칭젤로 접속점의 손실을 낮춰주는 방식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현장조립형 광커넥터'는 가격이 저렴하고 주상작업(전주)이 편리하여 가장 많이 보급되어, 현재 국내 FTTH 개통 방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지만, 메칭젤의 사용연한, 온도 특성, V블럭의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커넥터의 고장이 많고, 특히 옥외사용시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습기 침투 또는 온도 상승시 메칭젤이 녹어 없어지는 현상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기계식 점속점에 메칭젤이 사라지고 습기가 침투되면 난반사가 일어나 분기망 전체에 파장교란을 일으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한편, 상기 도 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완성형 드롭광케이블 코드'는 위와 같은 '현장조립형 광커넥터'의 환경 및 접속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광커넥터 제조 공장에서 특정길이의 드롭광케이블 양단에 광커넥터를 미리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완성형 드롭광케이블 코드'는 현장에서 광커넥터를 케이블 종단에 설치하지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적용되는 제품이 개통 현장의 실제 거리보다 항상 길게 주문되기 때문에 설치후 케이블 여장이 많이 남게 되는 문제와 전주 또는 옥상, 주택외벽에 남은 케이블의 여장을 감아 놓게 되어 도시환경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고, '공중선 정비'라는 또 다른 작업상황을 만들게 되는 문제와 케이블 여장이 남는 문제로 인해 불필요한 길이로 인한 가격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끝으로, 상기 도 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광커넥터 제작하는 방식은 일반 광섬유 케이블의 중간접속과 성단에 사용하는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장조립형 광커넥터'의 접속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 상대적으로 고가의 장비인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FTTH 인터넷 서비스 개통현장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접속 정밀성이 높고, 광선로 자체가 안정적인 장점이 있으나, 휴대성이 매우 낮아 FTTH 개통현장인 전주 위 또는 주상 작업이나, 옥외작업에 최적화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FTTH 현장 적용 시에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조작함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련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09-0057230호 발명의 명칭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작업자가 휴대하며 용이하게 광섬유를 융착접속시키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기에 설치되어 광섬유에 슬리브관를 융착시키는 가열부에는 한번에 다수개의 광섬유에 슬리브관를 융착시킬 수 있도록 ┖┚자 형태의 가열판에 하나 이상의 분할판이 설치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또는, 휴대용 광섬유 융착기에 설치되어 광섬유에 슬리브관를 융착시키는 가열부에는 슬리브관의 융착상태가 뛰어나도록 하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 형상으로 가열판이 설치된 휴대용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도 1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비해 부피를 작게 설계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광커넥터 제작에는 여전히 번거롭게 높은 집중력과 주의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한 작업성 저하를 유발하고, 장애 포인트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한손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되, 상대적으로 쉽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접속 신뢰성이 높은 융착접속 방식으로 광커넥터를 현장에서 제조할 수 있는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점이 보호되는 접속점 보호 슬리브를 갖는 광커넥터 헤드가 장착되는 구조로 접속점을 보호하는 광커넥터를 현장에서 제조할 수 있는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 절단 기능을 더 포함하는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광섬유 융착접속기'에 비해 저렴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는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에 있어서, 한손에 파지될 수 있는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길이방향 상면 상부 끝단에 힌지결합하여 길이방향의 개폐하는 커버(10-2)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0); 상기 본체(10-1)의 커버(10-2)에 의해 덮혀지는 부위의 일측면 방향에 설치되며, 날개형 접속점 보호 슬리브(2-2)를 갖는 광커넥터 헤드(2)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 상기 광커넥터 홀더(20)와 마주보는 나란한 위치의 타측면 방향에 설치되며, 인입 광케이블(3)이 결합하여 고정되는 광케이블 홀더(30); 상기 광커넥터 홀더(20)와 상기 광케이블 홀더(30)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과 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 모듈(40); 상기 승강 모듈(4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모듈(40)과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며, 아크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봉을 포함하여 상기 광커넥터 헤드(2)의 광섬유(2-1)와 상기 인입 광케이블(3)의 광섬유(3-1)를 접속점에서 아크방전에 의해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융해시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접속 모듈(50);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에서 융착접속을 위한 광섬유(2-1, 3-1)를 촬영하는 카메라부(60); 상기 케이스부(10)에 노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광섬유(2-1, 3-1)의 접점 부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0); 상기 케이스부(10)에 노출되어 설치되며, 작동제어를 위한 선택키가 구비된 조작부(80); 상기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상기 승강 모듈(40)과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부(90); 및 충/방전회로를 포함하여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며, 전기에너지를 요하는 구성에 대하여 상기 회로부(90)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는 상기 인입 광케이블(3)의 노출된 광섬유(3-1)의 노출길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절단하는 광섬유절단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 모듈(40)은 상승 종료시에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 사이에서 상기 광커넥터 헤드(2)의 날개형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양쪽 날개를 구속하고, 하강 종료시에는 상기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양쪽 날개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광커넥터 홀더 모듈(20)에 상기 광커넥터 헤드(2)가 장착된 상태에서 융착접속이 이루어진 광섬유(2-1, 3-1)의 접속점을 포함하는 광섬유 부위를 내제한 상태로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날개를 접어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90)는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아크방전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보정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보정기능은 아크방전이 발생하는 밝은 영역의 중심부 위치(좌표, 방전중심)를 측정하여 초기값으로 저장하고, 장착된 광섬유의 끝단이 방전중심에서 벗어난 거리를 픽셀단위로 측정하여, 벗어난 거리(픽셀수)에 비례하여 아크방전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전진과 후진 구동이 이루어지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광케이블 홀더(30) 및 하나로 이루어진 카메라부(60)를 통해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광커넥터 제조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와 무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커버(10-2)의 개폐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광커넥터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쉽고 간단한 조작을 통해 접속 신뢰성이 높은 융착접속 방식으로 광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점이 보호되는 접속점 보호 슬리브를 갖는 광커넥터 헤드가 장착되는 구조로 융착접속된 광섬유의 접속점이 보호된 광커넥터를 현장에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 절단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인입 광케이블(3)의 노출된 광섬유(3-1)의 길이를 융착접속에 최적인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광섬유 융착접속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방전 시간의 보정기능을 통해 광섬유 융착접속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광케이블이 설치되는 전주의 일반적인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의 승강 모듈(4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의 카메라부(60)와 디스플레이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도 2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섬유가 융착접속 방식으로 접속된 융착접속 광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인의 손을 기준으로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한 크기와 무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와 같은 특징을 통해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한손으로 쉽고 간단한 동작을 통해 융착접속 광커넥터를 제조하여 신뢰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FTTH(Fiber To The Home)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광선로를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1)는 케이스부(10)와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광케이블 홀더(30)와 승강 모듈(40)과 융착접속 모듈(50)과 카메라부(60)와 디스플레이부(70)와 조작부(80)와 회로부(90)와 전원부(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부(10)는 상기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인 기준으로 한손으로 파지가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한손에 파지될 수 있는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길이방향 상면 상부 끝단에 힌지결합하여 길이방향의 개폐하는 커버(10-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부(10)는 길이(L)는 약 12 cm 내외로 하고, 높이(H)는 4 cm 내외로 하며, 폭(W)은 6 cm 내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커넥터 홀더 모듈(20)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1)의 커버(10-2)에 의해 덮혀지는 부위의 일측면 방향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광커넥터 홀더 모듈(20)은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형 접속점 보호 슬리브(2-2)를 갖는 광커넥터 헤드(2)가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광케이블 홀더(30)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커넥터 홀더(20)와 마주보는 나란한 위치의 타측면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입 광케이블(3)이 결합하여 고정된다.
위와 같은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광케이블 홀더(30)는 상기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융착접속 광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날개형 접속점 보호 슬리브(2-2)를 갖는 광커넥터 헤드(2)의 광섬유(2-1)와 인입 광케이블(3)의 광섬유(3-1)를 융착접속 방식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서로 나란한 선상에 배치되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은 광커넥터 헤드(2)를 고정시키고, 상기 광케이블 홀더(30)는 인입 광케이블(3)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광커넥터 홀더 모듈(20)은 전동모터에 의해 나란한 선상을 기준으로 전진과 후퇴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제조 장치(1)는 상기 인입 광케이블(3)의 노출된 광섬유(3-1)의 노출길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절단하는 광섬유절단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인입 광케이블(3)의 노출된 광섬유(3-1)의 노출길이를 일정한 길이가 되도록 절단하는 광섬유절단부(100)를 통해 인입 광케이블(3)의 노출된 광섬유(3-1)를 절단함으로써, 인입 광케이블(3)을 상기 광케이블 홀더(30)에 장착하면 인입 광케이블(3)의 노출된 광섬유(3-1)의 끝단 위치가 항상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아크방전을 일어나는 방전중심 부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 모듈(40)은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커넥터 홀더(20)와 상기 광케이블 홀더(30)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모터에 의해 승강과 하강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는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광섬유 융착접속을 위한 상승과 광섬유 융착접속 완료에 따른 하강을 위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승강 모듈(40)은 도 4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의 승강 모듈(4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종료시(a)에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 사이에서 상기 광커넥터 헤드(2)의 날개형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양쪽 날개를 구속하고, 하강 종료시(b)에는 상기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양쪽 날개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커넥터 홀더 모듈(20)에 상기 광커넥터 헤드(2)가 장착된 상태에서 융착접속이 이루어진 광섬유(2-1, 3-1)의 접속점을 포함하는 광섬유 부위를 내제한 상태로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날개를 접어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은 상기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모듈(4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모듈(40)과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며, 아크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봉을 포함하여 상기 광커넥터 헤드(2)의 광섬유(2-1)와 상기 인입 광케이블(3)의 광섬유(3-1)를 접속점인 양끝단이 인접한 부위에서 아크방전에 의해 발생한 1,500 ℃ 가량의 열을 이용하여 광섬유를 융해시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부(60)는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에서 융착접속을 위한 광섬유(2-1, 3-1)를 촬영한다.
이와 같은 카메라부(60)는 한개의 카메라모듈로 이루어지며, 광커넥터 헤드(2)의 광섬유(2-1)와 인입 광케이블(3)의 광섬유(3-1) 끝단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상기 케이스부(10)에 노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광섬유(2-1, 3-1)의 접점 부위를 출력한다.
한편, 도 5 본 발명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의 카메라부(60)와 디스플레이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60)에서 취득한 영상데이터는 별도의 광원(LED)에서 조사된 광이 광섬유(Fiber)를 관통하여 이미지센서(CMOS Camera)를 통해 감지된 영상데이터를 프로세싱 과정을 거쳐 광섬유가 가능한 단면 형태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고, 추가로 상태에 따른 정도를 수치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육안으로 광섬유(2-1, 3-1)의 정렬 상태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에 노출되어 설치되며, 온/오프 키, 이동키와 같은 작동제어를 위한 다양한 선택키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로부(90)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상기 승강 모듈(40)과 상기 융착접속 모듈(50)과 전기회로적으로 연결이 되어 구동 기능을 갖는 구성의 동작 내지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아크방전을 위한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회로부(90)는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아크방전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보정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보정기능은 아크방전이 발생하는 밝은 영역의 중심부 위치(좌표, 방전중심)를 측정하여 초기값으로 저장하고, 장착된 광섬유의 끝단이 방전중심에서 벗어난 거리를 픽셀단위로 측정하여, 벗어난 거리(픽셀수)에 비례하여 아크방전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부(9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충/방전회로를 포함하여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고, 전기에너지를 요하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승강 모듈(40)과 융착접속 모듈(50)과 카메라부(60)와 디스플레이부(70)와 조작부(80) 등에 대하여 상기 회로부(90)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2 : 광커넥터 헤드
2-1 : 광섬유
3 : 인입 광케이블
3-1 : 광섬유
10-1 : 본체
10 : 케이스부
10-1 : 본체
10-2 : 커버
20 : 광커넥터 홀더 모듈
30 : 광케이블 홀더
40 : 승강 모듈
50 : 융착접속 모듈
60 : 카메라부
70 : 디스플레이부
80 : 조작부
90 : 회로부
95 : 전원부
100 : 광섬유절단부

Claims (4)

  1.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에 있어서,
    한손에 파지될 수 있는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길이방향 상면 상부 끝단에 힌지결합하여 길이방향의 개폐하는 커버(10-2)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0);
    상기 본체(10-1)의 커버(10-2)에 의해 덮혀지는 부위의 일측면 방향에 설치되며, 날개형 접속점 보호 슬리브(2-2)를 갖는 광커넥터 헤드(2)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
    상기 광커넥터 홀더(20)와 마주보는 나란한 위치의 타측면 방향에 설치되며, 인입 광케이블(3)이 결합하여 고정되는 광케이블 홀더(30);
    상기 광커넥터 홀더(20)와 상기 광케이블 홀더(30)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과 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 모듈(40);
    상기 승강 모듈(4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 모듈(40)과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며, 아크방전을 일으키는 전극봉을 포함하여 상기 광커넥터 헤드(2)의 광섬유(2-1)와 상기 인입 광케이블(3)의 광섬유(3-1)를 접속점에서 아크방전에 의해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융해시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접속 모듈(50);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에서 융착접속을 위한 광섬유(2-1, 3-1)를 촬영하는 카메라부(60);
    상기 케이스부(10)에 노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6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되, 상기 광섬유(2-1, 3-1)의 접점 부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70);
    상기 케이스부(10)에 노출되어 설치되며, 작동제어를 위한 선택키가 구비된 조작부(80);
    상기 광커넥터 홀더 모듈(20)과 상기 승강 모듈(40)과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부(90); 및
    충/방전회로를 포함하여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며, 전기에너지를 요하는 구성에 대하여 상기 회로부(90)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부(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광케이블(3)의 노출된 광섬유(3-1)의 노출길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광섬유를 절단하는 광섬유절단부(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모듈(40)은
    상승 종료시에는 광커넥터 홀더 모듈(20) 사이에서 상기 광커넥터 헤드(2)의 날개형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양쪽 날개를 구속하고,
    하강 종료시에는 상기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양쪽 날개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광커넥터 홀더 모듈(20)에 상기 광커넥터 헤드(2)가 장착된 상태에서 융착접속이 이루어진 광섬유(2-1, 3-1)의 접속점을 포함하는 광섬유 부위를 내제한 상태로 접속점 보호 슬리브(2-2)의 날개를 접어서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90)는
    상기 융착접속 모듈(50)의 아크방전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보정기능을 포함하되, 상기 보정기능은 아크방전이 발생하는 밝은 영역의 중심부 위치(좌표, 방전중심)를 측정하여 초기값으로 저장하고, 장착된 광섬유의 끝단이 방전중심에서 벗어난 거리를 픽셀단위로 측정하여, 벗어난 거리(픽셀수)에 비례하여 아크방전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KR1020210128436A 2021-09-29 2021-09-29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KR20230045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36A KR20230045766A (ko) 2021-09-29 2021-09-29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36A KR20230045766A (ko) 2021-09-29 2021-09-29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766A true KR20230045766A (ko) 2023-04-05

Family

ID=8588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436A KR20230045766A (ko) 2021-09-29 2021-09-29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57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1719A (en) Optical waveguide splicing apparatus and method
US7255498B2 (en) Low profile system for joining optical fiber waveguides
US7272283B2 (en) Distribution fiber optic cabl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US8295667B2 (en) Hole arranged photonic crystal fiber for low loss, tight fiber bending applications
US20080013898A1 (en) Multi-piece protective mold
SE7607815L (sv) Sett och anordning for anslutning av optiska fiberkablar
EP2183625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hotonic crystal waveguides
CA2315435A1 (en) Miniature bend splice in optical fibers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20230045766A (ko) 한손 동작이 가능한 초소형 융착접속 광커넥터 제조 장치
US11002910B2 (en) Fibre optic fusion splicer
KR20130063770A (ko) 광섬유 융착 접속기
US20090087152A1 (en) Optical Cable,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Multiplicity of Optical Waveguid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Cable
US20180356599A1 (en) Infrared Transmitting Epoxyless Fiber Optic Connector and Fiber Optic Cable
Doerr et al. Tapered dual-core fiber for efficient and robust coupling to InP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Edelstein et al. Optical fiber systems for the BigBOSS instrument
US20040190834A1 (en) Low profile local injection and detection system for optical fiber waveguides
CN203133330U (zh) 一种新型的热熔型快速连接器
KR102086429B1 (ko) 광섬유 수평화가 가능한 광섬유 융착기
US10156682B2 (en) Hybrid connection system using factory connectorized pigtail
Bickham et al. Reduced diameter fibers for high-density optical interconnects
Bickham et al. Multimode fiber for high-density optical interconnects
KR20240083487A (ko) 오토 승강 모듈을 갖는 광섬유 융착접속장치
Conway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principles and practice
US20230280533A1 (en) Re-Spliceable Splice-On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05301675U (zh) 故障点可视型光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