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758A -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758A
KR20230045758A KR1020210128411A KR20210128411A KR20230045758A KR 20230045758 A KR20230045758 A KR 20230045758A KR 1020210128411 A KR1020210128411 A KR 1020210128411A KR 20210128411 A KR20210128411 A KR 20210128411A KR 20230045758 A KR20230045758 A KR 20230045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unit
hand
products
hand dra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호균
문미경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5758A/ko
Publication of KR2023004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2Glob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the whole pattern, e.g. using frequency domain transformations or autocorr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70Labelling scene content, e.g. deriving syntactic or semantic represen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손 그림이 작성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에 캔버스를 제공하는 캔버스 제공부, 상기 손 그림을 획득한 후 객체인식 모델을 통해서 상기 손 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식별하는 특징 식별부,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을 조합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을 추출하는 목표의류상품 추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lothing Search System and Method using Hand Drawing}
본 발명은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객체인식 모델을 이용해서 임의의 쇼핑몰 내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 중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손 그림과 유사한 의류를 검색하는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여 의류를 구매하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이 상거래의 중요한 수단으로 발달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를 취급하는 쇼핑몰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 의류 쇼핑몰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카테고리나 색상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필터기능 또는 스마트폰 등의 장치로 촬영된 사진을 업로드 하면 이와 유사한 의류를 검색할 수 있는 이미지 검색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필터기능의 경우 관리자로부터 설정된 필터만을 선택해야하는 한정성이 있고, 이미지 검색기능은 촬영한 사진의 각도와 빛의 방향에 따라 원하는 이미지가 검색되어 나오지 않고 노이즈 데이터만이 추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를 갖고 있지 않다면 이미지 검색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문헌 1은 사용자 검색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별 선호도를 고려한 의류 추천 시스템으로, 사용자 검색 데이터를 활용해 선호도를 고려한 고객 맞춤형 의류를 추천할 수 있으나, 이는 기존의 사용자 검색이력이 반드시 필요하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함으로 현재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의류를 추천하기에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의류가 업로드 되어 있는 쇼핑몰 상에서 현재 사용자가 원하는 의류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20-010153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의류상품을 찾기 위해서 수많은 의류상품이 업로드 되어 있는 쇼핑몰을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경감시키고 의류 검색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객체인식 모델을 이용해서 임의의 쇼핑몰 내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 중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손 그림과 유사한 의류를 검색하는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손 그림이 작성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에 캔버스를 제공하는 캔버스 제공부; 상기 손 그림을 획득한 후 객체인식 모델을 통해서 상기 손 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식별하는 특징 식별부;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을 조합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을 추출하는 목표의류상품 추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방법은 캔버스 제공부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손 그림이 작성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에 캔버스가 제공되는 캔버스 제공단계; 특징 식별부에 의하여, 상기 손 그림이 획득된 후 객체인식 모델을 통해서 상기 손 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이 식별되는 특징 식별단계; 목표의류상품 추출부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이 조합되어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이 추출되는 목표의류상품 추출단계; 및 정보 전송부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정보 전송단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객체인식 모델을 이용해서 임의의 쇼핑몰 내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 중에서 사용자가 작성한 손 그림과 유사한 의류를 검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의류상품을 찾기 위해서 수많은 의류상품이 업로드 되어 있는 쇼핑몰을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경감시키고 의류 검색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이미지 기반으로 의류를 검색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의류를 찾기 위해서 유사한 이미지를 별도로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손 그림을 누적으로 저장한 후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의류상품을 추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디자인이나 선호하는 디자인을 파악하여 이전에 검색되지 않았던 신상품 품목에서 유사한 디자인의 의류상품을 추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영자 입장에서는 자동적으로 판매를 유도하여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의류상품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자신의 스타일에 적합한 의류를 추천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 그림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이 식별되는 것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의류상품이 추출되는 것을 표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방법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 그림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이 식별되는 것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표의류상품이 추출되는 것을 표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100)과 클라우드 서버(200)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가장 바람직하게 시각적으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상의 터치인식 또는 별도의 입력장치로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네트워크상에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일컫는다.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PC, 데스크톱,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이 내장된 소프트웨어와 실시간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OpenCV 라이브러리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 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해당 소프트웨어와 라이브러리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OpenCV는 이미지 전처리 및 딥러닝 프레임워크 지원이 가능함으로, 딥러닝 기술기반으로 학습된 객체인식 모델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로부터 임의의 객체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운영자 단말(300)과 관리자 단말(400)과 인터넷 네트워크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운영자 단말(300)은 운영하고 있는 쇼핑몰에 대한 웹페이지 주소, 쇼핑몰에 업로드 된 의류상품에 대한 사진, 명칭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해당 쇼핑몰의 웹페이지 상에서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해당 소프트웨어를 설계한 후 업로드 한 주체로써,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한 피드백을 받으면, 관리자 권한으로 해당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 및 수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은 캔버스 제공부(210), 특징 식별부(220), 목표의류상품 추출부(230) 및 정보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캔버스 제공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손 그림이 작성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에 캔버스를 제공한다. 상기 캔버스는 도 3과 같이 흰 여백의 입력화면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곡선, 직선 등 자유로운 작성이 가능하다. 도 3의 상단 도면을 보면, 상기 캔버스 제공부(210)는 흰 여백의 입력화면, 이전 입력사항을 제거할 수 있는 ‘뒤로 돌리기’ 탭, 입력사항을 모두 제거하는 ‘캔버스 초기화’ 탭,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사항을 모두 작성한 ‘다 그렸어요’ 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손 그림이 용이하게 작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특징 식별부(220)는 상기 손 그림을 획득한 후 객체인식 모델을 통해서 상기 손 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보면 하방으로 두 갈래로 갈라지고, 하단에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과 상단 부분이 모두 주름 형상을 제1 특징으로 식별할 수 있고, 더불어 상단과 하단 사이 양 측면에 주머니 형상을 제2 내지 제3 특징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특징은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로 구분할 수 있고, 명칭과 식별율(%)을 바운딩 박스(Bounding Box)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징 식별부(220)는 웹페이지 상에서 구현이 가능한 상기 객체인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도록 데이터 셋 획득부(221), 객체인식 모델 생성부(222) 및 변환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데이터 셋 획득부(221)는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에 대한 손 그림을 데이터 셋으로 획득한 후 라벨링(Labeling)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객체인식 모델 생성부(222)는 선 학습된 임의의 모델을 상기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전이학습시킴으로써, 상기 객체인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객체인식 모델 생성부(222)는 신속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선 학습된 임의의 모델로 대표적인 One-Stage Detector 중 Tensorflow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SD 모델은 특징 맵(Feature Map)의 크기가 작아지는 특성을 사용하여 영역 경계로 더 넓은 객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변환부(223)는 상기 객체인식 모델을 웹상에서 구현이 가능하도록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 된 후 웹 기반으로 설계된 쇼핑몰에 용이하게 적용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부(2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을 조합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을 추출한다.
즉, 상기 언급한 예와 같이 상기 특징 식별부(220)로부터 하방으로 두 갈래로 갈라지고, 하단에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과 상단 부분이 모두 주름 형상을 제1 특징으로 식별되고, 더불어 상단과 하단 사이 양 측면에 주머니 형상을 제2 내지 제3 특징으로 식별된다면,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부(2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특징을 조합하여 ‘팬츠’ 중에서 ‘조거팬츠’이고, ‘조거팬츠’중에서 ‘카고조거팬츠’를 목표의류상품으로 판단하고, 해당 쇼핑몰의 웹페이지에 ‘카고조거팬츠’를 명칭으로 업로드 된 의류상품을 모두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검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의류상품의 색, 질감 및 패턴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체크박스를 제공하는 체크박스 제공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부(2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선택된 상기 체크박스에 해당하는 목표의류상품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필터링(Filtering)할 수 있다.
예컨대, 색깔 항목으로 검정색, 초록색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질감 항목으로 코튼(Cotton), 폴리(Poly)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패턴 항목으로 패턴없음, 체크패턴, 국방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색깔 항목에서 초록색 체크박스와 질감 항목에서 코튼(Cotton) 체크박스와 패턴 항목에서 패턴없음이 입력되었다면,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부(230)는 도 3과 같이 ‘카고조거팬츠’ 중에서 ‘패턴이 없는 초록색의 코튼(Cotton) 재질로 된 카고조거팬츠’를 최종적으로 상기 목표의류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보 전송부(2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인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의 사진, 가격, 결제 가능한 웹페이지 주소(URL)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의류상품을 찾기 위해서 수많은 의류상품이 업로드 되어 있는 쇼핑몰을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미지 기반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의류를 찾기 위해서 유사한 이미지를 별도로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본 발명은 어떠한 이미지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대한 손 그림을 간단하게 작성하면 실시간으로 의류를 검색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쇼핑몰에 대한 의류 검색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상기 손 그림을 누적으로 저장하는 손 그림 저장부(260) 및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손 그림에 기초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사용자 맞춤형으로 의류상품을 추천하는 의류상품 추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별로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고, 고유식별번호별로 획득된 상기 손 그림을 누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디자인이나, 선호하는 디자인을 파악하여 이전에 검색되지 않았던 신상품 품목에서 유사한 디자인의 의류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자 입장에서는 판매를 유도하여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의류상품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자신의 스타일에 적합한 의류를 추천받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방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방법 흐름도이다.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방법은 캔버스 제공단계(S100), 특징 식별단계(S300), 목표의류상품 추출단계(S400) 및 정보 전송단계(S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캔버스 제공단계(S100)는 캔버스 제공부(210)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손 그림이 작성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에 캔버스가 제공된다. 상기 캔버스는 흰 여백의 입력화면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곡선, 직선 등 자유로운 작성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특징 식별단계(S300)는 특징 식별부(220)에 의하여, 상기 손 그림이 획득된 후 객체인식 모델을 통해서 상기 손 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이 식별된다. 즉, 상기 특징 식별단계(S3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이 식별되면 각각의 특징을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로 구분될 수 있고, 명칭과 식별율(%)이 바운딩 박스(Bounding Box)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징 식별단계(S300)는 웹페이지 상에서 구현이 가능한 상기 객체인식 모델이 생성될 수 있도록 데이터 셋 획득단계(S310), 객체인식 모델 생성단계(S320), 변환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데이터 셋 획득단계(S310)는, 상기 데이터 셋 획득부(221)에 의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에 대한 손 그림이 데이터 셋으로 획득된 후 라벨링(Labeling)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셋은 의류상품 실물을 촬영한 사진 형식이 아닌, 의류상품을 그린 손 그림이다.
다음으로, 상기 객체인식 모델 생성단계(S320)는 객체인식 모델 생성부(222)에 의하여, 선 학습된 임의의 모델이 상기 데이터 셋이 이용되어 전이학습됨으로써, 상기 객체인식 모델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이학습은 학습 데이터가 부족한 분야의 모델 구축을 위해 데이터가 풍부한 분야에서 훈련된 모델을 재사용하는 학습 기법이다. 즉, 상기 손 그림을 포함하는 데이터 셋은 특정 쇼핑몰에 국한된 것으로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키기에는 데이터양이 상당히 적다. 그러므로 상기 객체인식 모델 생성단계(S320)는 상기 데이터 셋보다 방대한 양의 의류 디자인 데이터 셋으로 선 학습된 임의의 모델이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 학습된 임의의 모델은 대표적인 One-Stage Detector 중 Tensorflow SSD(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모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SSD 모델은 특징 맵(Feature Map)의 크기가 작아지는 특성을 사용하여 영역 경계로 더 넓은 객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변환단계(S330)는 변환부(223)에 의하여, 상기 객체인식 모델이 웹상에서 구현이 가능하도록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 된 후 웹 기반으로 설계된 쇼핑몰에 용이하게 적용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단계(S400)는 목표의류상품 추출부(230)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이 조합되어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이 추출된다.
예컨대, 상기 특징 식별단계(S300)로부터 하방으로 두 갈래로 갈라지고, 하단에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과 상단 부분이 모두 주름 형상을 제1 특징으로 식별되고, 더불어 상단과 하단 사이 양 측면에 주머니 형상을 제2 내지 제3 특징으로 식별된다면,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단계(S4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특징이 조합되어 ‘팬츠’ 중에서 허리 부분과 팬츠 말단 부분에 시보리가 있는 ‘조거팬츠’이고, ‘조거팬츠’중에서 팬츠 측면에 큰 주머니가 달려있는 ‘카고조거팬츠’가 목표의류상품으로 판단되고, 해당 쇼핑몰의 웹페이지에 ‘카고조거팬츠’가 명칭으로 업로드 된 의류상품이 모두 추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체크박스 제공부(250)에 의하여, 검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의류상품의 색, 질감 및 패턴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체크박스가 제공되는 체크박스 제공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캔버스와 체크박스는 웹페이지 상에 동시에 제공되거나, 별도의 웹페이지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단계(S4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선택된 상기 체크박스에 해당하는 목표의류상품만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필터링(Filtering)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체크박스 제공단계(S200)로부터 색깔 항목으로 검정색, 초록색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체크박스가 제공될 수 있고, 질감 항목으로 코튼(Cotton), 폴리(Poly)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체크박스가 제공될 수 있고, 패턴 항목으로 패턴없음, 체크패턴, 국방패턴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체크박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단계(S400)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색깔 항목에서 초록색 체크박스와 질감 항목에서 코튼(Cotton) 체크박스와 패턴 항목에서 패턴없음이 선택된 것이 확인된다면, 앞서 언급한 예에서 추출된 ‘카고조거팬츠’ 중에서 ‘패턴이 없는 초록색의 코튼(Cotton) 재질로 된 카고조거팬츠’가 최종적으로 상기 목표의류상품으로 추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보 전송단계(S500)는 정보 전송부(240)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인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의 사진, 가격, 결제 가능한 웹페이지 주소(URL)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의 의류상품을 찾기 위해서 수많은 의류상품이 업로드 되어 있는 쇼핑몰을 일일이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이미지 기반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의류를 찾기 위해서 유사한 이미지를 별도로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본 발명은 어떠한 이미지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대한 손 그림을 간단하게 작성하면 실시간으로 의류를 검색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쇼핑몰에 대한 의류 검색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방법은 손그림 저장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상기 손 그림이 누적으로 저장되는 손 그림 저장단계(S600) 및 의류상품 추천부(270)에 의하여,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손 그림에 기초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사용자 맞춤형으로 의류상품이 추천되는 의류상품 추천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그림 저장단계(S6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별로 고유식별번호가 부여되고, 고유식별번호별로 획득된 상기 손 그림이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누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상품 추천단계(S700)는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손 그림을 토대로 해당 사용자가 자주 검색하는 디자인이나, 선호하는 디자인이 파악될 수 있다. 해당 쇼핑몰에 사용자가 재방문할 시 이전에 검색되지 않았던 신상품 품목에서 해당 사용자가 선호할만한 디자인을 가진 의류상품이 추천될 수 있고, 추천된 의류상품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영자 입장에서는 판매를 유도하여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신상품 등 임의의 쇼핑몰에 업로드 된 의류상품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자신의 스타일에 적합한 의류를 추천받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마이크로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컴포넌트와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 또는 컴포넌트들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데이터 형식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양태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원격 처리 디바이스들에 의해 작업들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들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들은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에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으로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클라우드 서버
210.. 캔버스 제공부
220.. 특징 식별부
221.. 데이터 셋 획득부
222.. 객체인식 모델 생성부
223.. 변환부
230.. 목표의류상품 추출부
240.. 정보 전송부
250.. 체크박스 제공부
260.. 손 그림 저장부
270.. 의류상품 추천부
300.. 운영자 단말
400.. 관리자 단말

Claims (5)

  1.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손 그림이 작성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에 캔버스를 제공하는 캔버스 제공부;
    상기 손 그림을 획득한 후 객체인식 모델을 통해서 상기 손 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식별하는 특징 식별부;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을 조합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을 추출하는 목표의류상품 추출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검색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의류상품의 색, 질감 및 패턴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한 체크박스를 제공하는 체크박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의류상품 추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선택된 상기 체크박스에 해당하는 목표의류상품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필터링(Filter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식별부는,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에 대한 손 그림을 데이터 셋으로 획득한 후 라벨링(Labeling)하는 데이터 셋 획득부;
    선 학습된 임의의 모델을 상기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전이학습시킴으로써, 상기 객체인식 모델을 생성하는 객체인식 모델 생성부; 및
    상기 객체인식 모델을 웹상에서 구현이 가능하도록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 그림을 누적으로 저장하는 손 그림 저장부; 및
    누적으로 저장된 상기 손 그림에 기초하여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사용자 맞춤형으로 의류상품을 추천하는 의류상품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5. 캔버스 제공부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손 그림이 작성될 수 있도록 웹페이지에 캔버스가 제공되는 캔버스 제공단계;
    특징 식별부에 의하여, 상기 손 그림이 획득된 후 객체인식 모델을 통해서 상기 손 그림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징이 식별되는 특징 식별단계;
    목표의류상품 추출부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이 조합되어 상기 웹페이지에 업로드 된 다종의 의류상품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이 추출되는 목표의류상품 추출단계; 및
    정보 전송부에 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목표의류상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방법.
KR1020210128411A 2021-09-29 2021-09-29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5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11A KR20230045758A (ko) 2021-09-29 2021-09-29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411A KR20230045758A (ko) 2021-09-29 2021-09-29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758A true KR20230045758A (ko) 2023-04-05

Family

ID=8588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411A KR20230045758A (ko) 2021-09-29 2021-09-29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57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538A (ko) 2019-02-01 2020-08-28 고준수 사용자 검색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별 선호도를 고려한 의류 추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538A (ko) 2019-02-01 2020-08-28 고준수 사용자 검색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인별 선호도를 고려한 의류 추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7010B1 (en) Techniques for shape-based search of content
CN104584033B (zh) 在线商店中的交互式服装搜索
US20140111542A1 (en) Platform for recognising text using mobile devices with a built-in device video camera and automatically retrieving associated content based on the recognised text
US2021039060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tyle recommendation
KR102102571B1 (ko)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6004330A1 (en) Interactive content generation
JP2020502662A (ja) 画像のインテリジェント自動クロッピング
KR20220054896A (ko) 이미지 특징 데이터 추출 및 사용
US20170308938A1 (en) Digitization of a catalog of retail products
US20190325497A1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00141384A (ko) 입력영상데이터 기반 사용자 관심정보 획득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95459B1 (ko) 사용자에게 날짜를 이용하여 패션 아이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ahanian et al. Autonomous color theme extraction from images using saliency
JP2019133620A (ja) イメージ内の複数の客体の調和に基づく調和検索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740228A (zh) 视觉搜索引擎
KR20170125619A (ko)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연동 쇼핑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70083574A1 (en) Search system, search method, and program
KR20220019737A (ko) 패션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39697A (ko) 코디네이션 패션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
US20170013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placement
KR102102572B1 (ko)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5868299A (zh) 一种数据搜索方法和装置
KR20200132681A (ko)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서버
JP2017228278A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30045758A (ko) 손 그림을 이용한 의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