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286A - 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286A
KR20230045286A KR1020210127959A KR20210127959A KR20230045286A KR 20230045286 A KR20230045286 A KR 20230045286A KR 1020210127959 A KR1020210127959 A KR 1020210127959A KR 20210127959 A KR20210127959 A KR 20210127959A KR 20230045286 A KR20230045286 A KR 20230045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outlet
unit
power supply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1472B1 (en
Inventor
김남식
남현유
Original Assignee
김남식
남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식, 남현유 filed Critical 김남식
Priority to KR1020210127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472B1/en
Publication of KR2023004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cket with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which can directly resolve complexity in building a system. The socket with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comprises: a socket body; a charging terminal unit provided in the socket body and connected with a charging unit of a device; a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socket body and recognizing the device running a charging application within a certain radiu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socket bod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and transmitting socket use approval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setting the socket use approval information, and when the charging unit of the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sock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unit, executing a control to provide power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charging un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system having the socket with the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Description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이를 갖는 충전 시스템{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Charging system having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자의 통신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충전가의 통신기기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이를 갖는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le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harger's communication device and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by a charging application installed in a charger's communication device. It's about the charging system.

종래의 매장에 설치되는 충전용 콘센트는 다수로 설치된다. 충전자들은 다수의 충전용 콘센트를 사용하여 통신 기기를 충전함에 사용한다.A plurality of charging outlets installed in conventional stores are installed. Chargers use a plurality of charging outlets to charge communication devices.

종래에는 다수의 충전용 콘센트를 사용하여 유료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 충전자는 해당 기기를 매장의 서버에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한다.Conventionally, when charging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charging outlets, the charger connects the corresponding device to the server of the sto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이어 서버는 통신이 연결된 해당 기기에 사용 아이디를 부여한다.Subsequently, the server assigns a use ID to the device through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그리고 충전자는 부여받은 사용 아이디에 해당되는 충전용 콘센트를 찾아가 해당 기기를 충전한다.Then, the charger visits a charging outlet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use ID and charges the corresponding device.

그리고 서버는 해당 기기의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전달받고, 전달 받은 충전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용을 충전자의 기기로 전송하여 과금한다.In addition, the server receives the charge amount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n real time, calculates a cost according to the received charge amount, and transfers the calculated cost to the charger's device for billing.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기기와 서버가 서로 통신이 연결된 형태로 운용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콘센트들을 사용한 충전 및 과금을 이루는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이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에 투입되는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and the server are inevitably operated in a form in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Due to this,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of a charging and billing system using outlets become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system increas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16136호(등록일: 2021년 2월 8일)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16136 (registration date: February 8, 2021)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전자의 기기에서 콘센트들 중 사용 가능한 콘센트와 독립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당 기기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센트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서버를 사용함에 따른 시스템 구축의 복잡함을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이를 갖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제 1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charger's device to independently communicate with an available outlet among outlets, and to control power supply and shutdown of the outlet through a charg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evice. A first object is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having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that can directly solve the complexity of system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a conventional server.

또한 본 발명은 충전자의 기기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 시간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을 비롯하여 콘센트 자체를 통신 가능한 모듈로 구성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이를 갖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제 2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set the charging time through a charg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harger's device to check the charging status in real time, and configure the outlet itself as a module that can communicat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constructed regardless of location. A second object is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having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상기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는 콘센트 본체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구비되며, 기기의 충전부가 접속되는 충전 단자부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설치되며, 일정 반경에 충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기기와 무선 통신을 실시하여,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가 설정되며,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전송 받은 상기 기기의 충전부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 단자부에 접속되면,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전원을 제공하여 상기 충전부를 충전시키는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outlet having the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includes an outlet main body;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outlet and connected to a charging unit of the device; a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outlet and recognizing a device on which a charging application is executed within a certain radiu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outl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to transmit use approval information of the outlet;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set, and when the charging unit of the device receiving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unit, a control unit controls to charge the charging unit by provid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cludes

여기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에는,Here, in the charging application,

충전 시간을 설정하는 충전 시간 설정부가 설치되고,A charging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charging time is install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달 받은 상기 설정된 충전 시간 동안 상기 충전부를 충전시키는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charge the charging unit for the set charging tim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그리고 상기 충전 단자부는,And the charging terminal part,

상기 외부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A switch for turning on/off the external power supply;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에는, 전원 차단부가 설치되고,In the charging application, a power cutoff unit is installed,

상기 전원 단자부는,The power terminal part,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되,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an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충전 시간을 이루도록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n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 is controlled to achieve the charging time.

또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에는,In addition, in the charging application,

상기 충전 시간에 따라 충전되는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according to the charge time in real time is provided.

또한 상기 인식부는,In addition, the recognition unit,

근접 통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include a proximity communication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In addition, the control unit,

충전 요금 산출부를 포함하되,Including a charge rate calculator,

상기 충전 요금 산출부는,The charging rate calculation unit,

상기 설정되는 충전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산출 비율을 기준으로 충전 요금을 산출하고,Calculating a charging rate based on a predetermined calculation ratio according to the charging time set above;

상기 산출된 충전 요금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인식된 기기의 충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alculated charging rate is transmitted to a charging application of the recognized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상기 콘센트는, 전기적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이상의 과전력을 이루면 상기 전원 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차단하여 과전력 보호를 이루고,In addition, the outlet includes a power switch having an electrical on-off function, and the control unit cuts off power through the power switch when overpower of a certain level is achieved to achieve overpower protection,

비상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이 접속 및 공급 및 차단을 이루는 각 단계에서 공급되는 전원량을 선형 및 비선형적으로 제어하여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고,An emergency control switch, wherein the control unit linearly and non-linearly control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at each step in which the power is connected, supplied, and cut off to prevent spark generation,

상기 케이스의 둘레에는 방수층이 형성되고,A waterproof layer is formed around the case,

상기 케이스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수분 센서에 의해 일정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상기 배수 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수분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drainage means, and the control unit may forcibly discharge the moisture formed inside the cas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means when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s detected by a mois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case. .

특히, 상기 제어부에는,In particular, in the control unit,

유료 사용자 정보와 무료 사용자 정보가 미리 설정되고,Paid user information and free user information are set in advance,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기기의 사용자 정보가 상기 유료 사용자 정보인 경우,Whe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device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is the paid user information,

상기 인식된 기기의 충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It is transmitted to the charging application of the recognized device.

상기 충전 단자부가 다수를 이루는 경우,When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are formed,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다수를 이루는 충전 단자부 각각의 충전 단자 정보들이 설정되고,Charging termin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 units is set,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단자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를 이루어 설정된다.A plurality of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set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charging terminal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In addition, the control unit,

상기 다수를 이루는 충전 단자부 각각의 충전 온 상태 및 충전 오프 상태를 감지하고,Detecting a charging on state and a charging off st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 units,

상기 다수의 충전 단자부 중, 상기 충전 오프 상태인 충전 단자부가 존재하는 경우,Among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 units, when there is a charging terminal unit in the charging off state,

상기 충전 오프 상태인 충전 단자부를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되는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어플레케이션으로 추가적으로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전송한다.The charging terminal unit in the charging off state additionally transmits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to an application of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의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갖는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system having an outlet having the above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상기의 과제에 따라 본 발명은 충전자의 기기에서 콘센트들 중 사용 가능한 콘센트와 독립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당 기기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센트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서버를 사용함에 따른 시스템 구축의 복잡함을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ccordance with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charger device to independently communicate with an available outlet among outlets, and controls power supply and cutoff of the outlet through a charg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evice, so that the conventional server It has the effect of directly solving the complexity of system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

또한 본 발명은 충전자의 기기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 시간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을 비롯하여 콘센트 자체를 통신 가능한 모듈로 구성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set the charging time through a charg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harger's device to check the charging status in real time, and configure the outlet itself as a module that can communicat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constructed regardless of location. have possible effects.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자의 기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에 충전 시간이 설정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요금산출이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단자부가 다수를 이루는 콘센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 전원 스위치 및 비상 제어 스위치, 배수 수단이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harging time is set for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calculating charging r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utlet comprising a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ower switch, an emergency control switch, and a drain unit are further provided in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an arbitrary element on the "upper (or lower)" or "upper (or lower)" of a component means that an arbitrary elem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In addition,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및 이를 갖는 충전 시스템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and a charging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상기 충전 시스템은 본 발명의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콘센트를 설명함에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charging system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described including the outlet.

본 발명의 충전 시스템은 상기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포함한다.Th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utlet having the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자의 기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of a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1)는 콘센트 본체(100)와, 충전 단자부(200)와, 인식부(300)와, 무선 통신 모듈(400)과, 제어부(500)를 포함한다.1 to 3, the outlet 1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charging terminal 200, a recognition unit 3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00. ) and a controller 500.

상기 콘센트 본체(100)는 벽체에 매립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outlet body 10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embedded in a wall.

상기 충전 단자부(200)는 콘센트 본체(100)에 구비되며, 기기(600)의 충전부(610)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단자부(200)는 220V의 경우 2개의 충전 단자 삽입구가 형성된다.The charging terminal unit 200 is provided on the outlet body 10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unit 610 of the device 600. In the case of 220V,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0 has two charging terminal insertion holes.

여기서 상기 기기(2)의 충전부(600)는 상기 충전 단자 삽입구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 수단(미도시)과 연결된다.Here, the charging unit 600 of the device 2 is connected to a charging means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insertion hole.

상기 기기(2)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 충전이 요구되는 모든 전자 기기를 포함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2 includes all electronic devices that require charging power for driving, and may includ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ype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인식부(300)는 상기 콘센트 본체(100)에 설치되며, 일정 반경에 충전 어플리케이션(630)이 실행된 기기(2)를 인식한다.The recogni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let body 100 and recognizes the device 2 in which the charging application 630 is executed in a certain radius.

상기 기기(600)는 근접통신모듈(620)을 갖는다.The device 600 has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620.

상기 인식부(300)는 근접 통신 센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근접 통신 센싱 모듈은 기기(600)는 상기 근접 통신 센싱 모듈을 통해 충전자의 기기(600)를 인식한다.The recognition unit 300 includes a proximity communication sensing module. The proximity communication sensing module recognizes the device 600 of the charger through the proximity communication sensing module.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모듈(400)은 상기 콘센트 본체(100)에 구비되며, 상기 인식부(300)를 통해 인식된 상기 기기(600)와 무선 통신을 실시하여,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전송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outlet main body 10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vice 600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300, and transmits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0)는 상기의 콘센트 사용승인정보가 설정되며,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전송 받은 상기 기기(600)의 충전부(610)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 단자부(200)에 접속되면,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전원을 제공하여 상기 충전부(610)를 충전시키는 충전시키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set and the charging unit 610 of the device 600 that has received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0, The charging unit 610 is controlled to be charged by provid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에 충전 시간이 설정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harging time is set for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어플리케이션(630)에는 충전 시간을 설정하는 충전 시간 설정부(631)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4 , a charging time setting unit 631 for setting a charging time is installed in the charging application 6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400)을 통해 전달 받은 상기 설정된 충전 시간 동안 상기 충전부(610)를 충전시키는 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charging unit 610 to be charged during the set charging tim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00 .

그리고 상기 충전 단자부(200)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210)를 포함한다.And,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0 includes a switch 210 for turning on/off the external power supply.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630)에는 전원 차단부(631)가 설치된다.A power cutoff unit 631 is installed in the charging application 630 .

상기 전원 차단부(631)는 상기 근접통신모듈(620)과 무선 통신 모듈(400)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스위치(2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한다.The power cutoff unit 631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 210 to the control unit 500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6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00. send.

여기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충전 시간을 이루도록 상기 스위치(2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500 may control the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 210 to achieve the charging time.

또한 상기 충전어플리케이션(630)에는 상기 충전 시간에 따라 충전되는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632)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application 63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632 for displaying in real time the charging amount charged according to the charging time.

또한 상기 인식부(300)는 근접 통신 센서를 포함한다.Also, the recognition unit 300 includes a proximity communication senso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요금산출이 가능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calculating charging r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0)는 충전 요금 산출부(5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rate calculation unit 510.

상기 충전 요금 산출부(510)는 상기 설정되는 충전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산출 비율을 기준으로 충전 요금을 산출한다.The charging rate calculation unit 510 calculates the charging rate based on a predetermined calculation ratio according to the set charging time.

이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출된 충전 요금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400)을 통해 상기 인식된 기기(600)의 충전어플리케이션(630)으로 전송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500 may transmit the calculated charging rate to the charging application 630 of the recognized device 6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00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단자부가 다수를 이루는 콘센트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utlet comprising a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0)에는 유료 사용자 정보와 무료 사용자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6 , paid user information and free user information ar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인식부(300)를 통해 인식된 상기 기기(600)의 사용자 정보가 상기 유료 사용자 정보인 경우, 상기 인식된 기기(600)의 충전어플리케이션(630)으로 전송한다.If the user information of the device 600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300 is the paid user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500 transmits it to the charging application 630 of the recognized device 600.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단자부(200)가 다수(1,2,…,n)를 이루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다수를 이루는 충전 단자부(200) 각각의 충전 단자 정보들이 설정된다.When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1, 2, ..., n), the control unit 500 is set with information on each charging terminal of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0 constituting the plurality.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에는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상기 충전 단자 정보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를 이루어 설정된다.And, in the control unit 500, a plurality of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set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charging terminal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다수를 이루는 충전 단자부(200) 각각의 충전 온 상태 및 충전 오프 상태를 감지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detects a charging on state and a charging off stat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 units 200 .

이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다수의 충전 단자부(200) 중, 상기 충전 오프 상태인 충전 단자부(200)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충전 오프 상태인 충전 단자부(200)를 상기 인식부(300)를 통해 인식되는 다른 무선통신장치의 어플레케이션으로 추가적으로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Next, the control unit 500 selects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0 in a charging off state through the recognizing unit 300 when the charging terminal unit 200 in the charging off state exists among the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 units 200.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may be additionally transmitted to an application of anoth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ecogn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이러한 경우 상술한 스위치 역시 다수의 충전 단자부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forementioned switches may also be individually installed to turn on/off a plurality of charging terminal unit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의 무선통신모듈(400)이 건물 내 와이파이(3)와 연결되고 인터넷 망을 통해 충전어플리케이션(630)에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통해 별도 통신료 부담이 없이 원거리로 이격되는 충전자의 기기(600)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00 of the out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Wi-Fi 3 in the building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charging application 63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so that there is no burden of separate communication fees. It may be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device 600 of the charger spaced apart by .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충전자의 기기에서 콘센트들 중 사용 가능한 콘센트와 독립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해당 기기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센트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서버를 사용함에 따른 시스템 구축의 복잡함을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communication independently with available outlets among outlets in a charger's device, and controls power supply and cutoff of the outlet through a charg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device. It has the effect of directly solving the complexity of system construction by using the server of

또한 본 발명은 충전자의 기기에 설치된 충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충전 시간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을 비롯하여 콘센트 자체를 통신 가능한 모듈로 구성하여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lectively set the charging time through a charg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harger's device to check the charging status in real time, and configure the outlet itself as a module that can communicat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constructed regardless of location. have possible effect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에 전원 스위치 및 비상 제어 스위치, 배수 수단이 더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ower switch, an emergency control switch, and a drainage means are further provided in the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 하면,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는 전기적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전원 스위치(8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7, on the other hand, the out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witch 820 having an electrical on-off function.

상기 제어부(500)는 일정 이상의 과전력을 이루면 상기 전원 스위치(820)를 통해 전원을 차단하여 과전력 보호를 이룰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can achieve overpower protection by cutting off power through the power switch 820 when overpower exceeds a certain level.

또한 콘센트(1)는 비상 제어 스위치(810)를 포함한다.Also, the outlet 1 includes an emergency control switch 810.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전원이 접속 및 공급 및 차단을 이루는 각 단계에서 공급되는 전원량을 선형 및 비선형적으로 제어하여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can linearly and non-linearly contro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in each step of connecting, supplying, and cutting off the power to prevent spark generation.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둘레에는 방수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에 외부에서 수분이 케이스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proof layer (not shown) is formed around the case 1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case from the outside.

상기 케이스(100)는 배수 수단(800)을 구비한다.The case 100 includes a drainage means 800 .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수분 센서(830)에 의해 일정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상기 배수 수단(80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형성된 수분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forces the moisture formed inside the case 1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means 800 when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s detected by the moisture sensor 830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can be ejected.

상기의 배수 수단(800)은 배수 라인(미도시)과, 배수 라인 상에 설치되는 배수 모터(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수 라인은 케이스(100)의 내부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에 제어부(500)는 배수 모터를 사용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배수 라인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다.The drain unit 800 may have a drain line (not shown) and a drain motor (not shown) installed on the drain line. The drain line exposes the inside of the case 100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00 may use a drainage motor to forcibly discharge moisture present in the case 100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age lin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1)에 방수 기능과 수분을 강제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추어, 야외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out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terproof function and a function of forcibly discharging moisture, so that it can be used outdoors.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is not limited by

1 : 콘센트
100 : 콘센트 본체
200 : 충전 단자부
300 : 인식부
400 : 무선통신모듈
500 : 제어부
600 : 기기
610 : 충전부
630 : 충전어플리케이션
1: Outlet
100: outlet body
200: charging terminal part
300: recognition unit
40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00: control unit
600: device
610: charging part
630: charging application

Claims (7)

콘센트 본체;
상기 콘센트 본체에 구비되며, 기기의 충전부가 접속되는 충전 단자부;
상기 콘센트 본체에 설치되며, 일정 반경에 충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기기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콘센트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기기와 무선 통신을 실시하여,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가 설정되며, 상기 콘센트 사용승인정보를 전송 받은 상기 기기의 충전부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 단자부에 접속되면,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전원을 제공하여 상기 충전부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기는,
구동을 위해 충전이 요구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outlet body;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outlet and connected to a charging unit of the device;
a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outlet and recognizing a device on which a charging application is executed within a certain radiu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outl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recognized through the recognition unit to transmit use approval information of the outlet;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set, and when the charging unit of the device having received the outlet use approval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harging the charging unit by provid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but
The device,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evice that requires charging for driv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에는,
충전 시간을 설정하는 충전 시간 설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전달 받은 상기 설정된 충전 시간 동안 상기 충전부를 충전시키는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harging application,
A charging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charging time is installed,
The controller has an independent power supply block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charge the charging unit for the set charging time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부는,
상기 외부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에는, 전원 차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 단자부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시간을 이루도록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According to claim 2,
The charging terminal part,
A switch for turning on/off the external power supply;
In the charging application, a power cutoff unit is installed,
The power terminal par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an on/off operation of the switch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witch to achieve the charging tim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어플리케이션에는,
상기 충전 시간에 따라 충전되는 충전량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According to claim 3,
In the charging application,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charge charged according to the charging time in real time is provi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근접 통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gnition unit,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oximity communication sens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충전 요금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요금 산출부는,
상기 설정되는 충전 시간에 따라 기설정된 산출 비율을 기준으로 충전 요금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충전 요금을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인식된 기기의 충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되,
상기 콘센트는, 전기적 온오프 기능을 가지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 이상의 과전력을 이루면 상기 전원 스위치를 통해 전원을 차단하여 과전력 보호를 이루고,
비상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이 접속 및 공급 및 차단을 이루는 각 단계에서 공급되는 전원량을 선형 및 비선형적으로 제어하여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스의 둘레에는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배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수분 센서에 의해 일정 이상의 수분이 감지되면, 상기 배수 수단을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수분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unit,
Including a charge rate calculator,
The charging rate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a charging rate based on a predetermined calculation ratio according to the charging time set above;
Transmitting the calculated charging rate to the charging application of the recognized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outlet includes a power switch having an electrical on-off function,
The control unit,
When overpower exceeds a certain level, the power is cut off through the power switch to achieve overpower protection;
Include an emergency control switch,
The control unit,
Prevent spark generation by linearly and non-linearly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at each stage in which the power is connected, supplied, and cut off;
A waterproof layer is formed around the case,
The case has a drainage means,
The control unit, when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s detected by a moistur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case,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cibly discharging the moisture formed inside the cas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means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독립형 전력 공급차단 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갖는 충전 시스템.


A charging system having an outlet having an independent power supply cut-off fun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KR1020210127959A 2021-09-28 2021-09-28 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 KR102611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959A KR102611472B1 (en) 2021-09-28 2021-09-28 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959A KR102611472B1 (en) 2021-09-28 2021-09-28 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86A true KR20230045286A (en) 2023-04-04
KR102611472B1 KR102611472B1 (en) 2023-12-06

Family

ID=8592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959A KR102611472B1 (en) 2021-09-28 2021-09-28 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47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92B1 (en) * 2011-04-04 2013-02-15 신광섭 Unmanned selling system of power for charge of electric car and method thereof
KR20140099354A (en) * 2013-02-01 2014-08-12 창신정보통신(주) Multi-tap device with cutting off standby power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90089802A (en) * 2019-07-22 2019-07-31 (주)아이비허브 Electric Socket Having Automatic Payment Function
KR102114671B1 (en) * 2019-12-12 2020-05-26 한국자동차연구원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70075A (en) * 2018-12-08 2020-06-17 (주)참슬테크 Charge recognition device with multi-function
KR102216136B1 (en) 2018-04-25 2021-02-16 이재진 Smart socket and charge management system using it
KR102247373B1 (en) * 2020-06-26 2021-05-03 (주)화봉전기 Outlet cover device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92B1 (en) * 2011-04-04 2013-02-15 신광섭 Unmanned selling system of power for charge of electric car and method thereof
KR20140099354A (en) * 2013-02-01 2014-08-12 창신정보통신(주) Multi-tap device with cutting off standby power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216136B1 (en) 2018-04-25 2021-02-16 이재진 Smart socket and charge management system using it
KR20200070075A (en) * 2018-12-08 2020-06-17 (주)참슬테크 Charge recognition device with multi-function
KR20190089802A (en) * 2019-07-22 2019-07-31 (주)아이비허브 Electric Socket Having Automatic Payment Function
KR102114671B1 (en) * 2019-12-12 2020-05-26 한국자동차연구원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47373B1 (en) * 2020-06-26 2021-05-03 (주)화봉전기 Outlet cover device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472B1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473A (en) Electrical switches with current protection interfaced with a remote station and a portable local unit
CN101390270B (en) Power supply for battery powered devices
EP2214287A2 (en) Charging System
US20070247134A1 (en) Control Apparatus
US20100283329A1 (en) Green consent
CN103928799A (en) Intelligent plug and household appliance control system provided with same
CN108679802B (en)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nd air conditioner
KR20230045286A (en) Socket and charge system having the same
KR20160112447A (en) Portable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KR20140062809A (en) Intelligent plug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11091701A (en) Key trigge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infrared communication
KR101820476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Charge of Mobile Terminal Battery
KR101950875B1 (en) An Apparatus for Charging a Electrical Vehicle Having a Plural of Channel Structure of an Automatic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Function
JP5046502B2 (en) Pack battery
US20200164762A1 (en) Method of Achieving an Optimal Operating Point in Battery Swapping Process
US10564618B2 (en) Time controlled switch
KR20180065595A (en) Power Control Apparatus In Home
JP3663954B2 (en) Distributed power system
KR20190063981A (en) R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loads of electric multi outlets
KR102455053B1 (en) Smart Breaker
KR101055995B1 (en) Intelligent power connector
CN107939663A (en) Middle pump house motor start stop operation remote control system
JP5329791B2 (en) Wireless information input device, wireless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207249904U (en) A kind of infrared converter based on cloud platform
KR101591337B1 (en) Standby power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