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732A - 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 Google Patents

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732A
KR20230044732A KR1020210127229A KR20210127229A KR20230044732A KR 20230044732 A KR20230044732 A KR 20230044732A KR 1020210127229 A KR1020210127229 A KR 1020210127229A KR 20210127229 A KR20210127229 A KR 20210127229A KR 20230044732 A KR20230044732 A KR 20230044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amper
compaction
area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신환
변영기
Original Assignee
안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신환 filed Critical 안신환
Priority to KR102021012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4732A/en
Publication of KR2023004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7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26Improving by compacting by rolling with rollers usable only for or specially adapted for soil compaction, e.g. sheepsfoot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The low-vibration,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 plurality of bracket pairs having a connecting ring for connection to a crane wire; and a body part on which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are installed in an embedded manner.

Description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본 발명은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다짐공법에 적용되는 저진동 및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는 탬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vibration and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mper capable of achieving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applied to a dynamic compaction method.

동다짐공법은 개량하고자 하는 연약지반 위에 무거운 물체를 반복하여 낙하시켜 다짐 효과를 얻는 공법이다. 무거운 추를 크레인 등의 특별 장비를 이용하여 높은 곳에서 자유낙하시켜 지반에 충격에너지를 가함으로써 지반을 상당 깊이까지 다져서 단단하게 만드는 공법이다. The dynamic compaction method is a method of obtaining a compaction effect by repeatedly dropping a heavy object on the soft ground to be improved. It is a method of making the ground hard by compacting the ground to a considerable depth by free-falling a heavy weight from a high place using special equipment such as a crane and applying impact energy to the ground.

관련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475호(발명명칭: 다짐판을 이용한 동 다짐 장치)는 타격에너지가 지반에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개량된 다짐판을 지반에 밀착시켜 다집판에 해머를 이용해 타격을 가하는 구성을 보여준다. 개량된 다짐판 정중앙 영역에 수직홈이 형성되고, 이 수직홈에 삽입 고정되는 봉, 및 봉 외주연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공이 관통 형성되는 해머가 개시된다. As related prior literatu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77475 (invention title: compaction device using a compaction plate) discloses that an improved compaction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impact energy can be accurately transferred to the ground, and a hammer is applied to the compaction plate. Shows the composition of the attack. Disclosed is a hammer in which a vertical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mproved compaction plate, a rod inserted and fixed into the vertical groove, and a vertical hole inserted movably up and down through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d are formed.

하지만 상기 선행특허를 포함한 기존의 기술들은 동다짐공법을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제대로 된 다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소음과 진동만 심하다는 평가가 있다. 상기 선행특허의 경우에도 지반과 다짐판 사이의 충격면뿐만 아니라 다짐판과 해머 사이에 추가 충격면에 존재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However, it is evaluated that the existing technologies including the prior patents are difficult to expect a proper compaction effect in applying the dynamic compaction method to the field, and only noise and vibration are severe. Even in the case of the prior patent, it is a structure in which noise and vibration are inevitably more severe by existing on an additional impact surface between the compaction plate and the hammer as well as the impact surface between the ground and the compaction plate.

다짐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while maximizing the compaction effect.

또한 자유낙하에 의한 지반 타격이라는 본질적인 특성상 탬퍼는 높은 중량을 가져야 하고 그만큼 크레인 와이어와의 연결부위는 큰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하는데, 사용 과정에서 지속적인 충격에 노출됨으로 인해 그 연결부위에서 손상이 발생하는 일이 잦다. 약간의 손상도 수평 유지를 어렵게 하여 작업의 능률을 떨어뜨리고, 크레인 와이어로부터 이탈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한다. In addition, due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ground impact caused by free fall, the tamper must have a high weight, and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crane wire must be designed to withstand a large load. work is frequent Even slight damage makes it difficult to maintain level, reducing work efficiency, and poses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rane wire.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ng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다짐공법에 있어서 저진동 및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고 내구성 또한 우수한 동다짐 탬퍼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ynamic compaction tamper that can achieve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in the dynamic compaction method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Meanwhile, other u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다짐공법에 적용되는 동다짐 탬퍼는, 크레인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를 갖는 복수의 브라켓 쌍들; 및 상부에 상기 복수의 브라켓 쌍들이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ynamic compaction tamper applied to the dynamic comp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 pairs having a connecting ring for connection with a crane wire; and a body portion on which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are installed in a buried manner.

상기 바디부가 주물로 제작될 때 상기 복수의 브라켓 쌍들이 인서트 되어 주조될 수 있다. When the body is made of a casting,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may be inserted and cast.

상기 복수의 브라켓 쌍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 쌍은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includes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and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may be install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bracket is buri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부 상부로 노출되는 일영역과 상기 바디부 내부로 매립되는 타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영역에 상기 연결고리가 마련될 수 있다. The bracket may include a base portion including one area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nother area buried into the body, and the connection ring may be provided in the one area.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일영역과 상기 타영역에 걸쳐서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입설된 한 쌍의 리브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부에 형성되는 확장공은 상기 일영역과 상기 타영역 중 상기 타영역에 인접할 수 있다. The bracket further includes a pair of rib parts installed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art across the one area and the other area, and the expansion hole formed in the rib part is the other of the one area and the other area. area can be adjacent.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타영역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입설된 레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leg portion installed from an end of the base portion in the other area.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타영역에 형성되는 확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n expansion hole formed in the other area.

본 기술은 저진동 및 고효율의 동다짐 탬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dynamic compaction tamper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또한 본 기술은 내구성이 우수한 동다짐 탬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technology can provide a dynamic compaction tamper with excellent dur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를 이용하여 동다짐공법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의 정면도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쌍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쌍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를 이용하여 작업 영역에 동다짐공법을 적용하는 계획도를 보여준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를 이용하여 크레이터를 형성하는 과정을 기존의 방식과 대비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7a가 기존의 탬퍼를 이용한 경우를, 도 7b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탬퍼를 이용한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ynamic compaction method is performed using a low-vibration and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bracket 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plan diagram of applying a dynamic compaction method to a work area using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a crater using a low-vibration and high-efficiency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a conventional method. shows a case in which a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reveal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llustrated as reference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interval are expres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the actual physical thicknes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configuration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를 이용하여 동다짐공법을 수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ynamic compaction method is performed using a low-vibration and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10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다짐 탬퍼'라 함)를 크레인(10)의 와이어(11)에 매달리도록 설치하고, 높은 곳에서 자유낙하시킴으로써 개량하고자 하는 지반을 다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ynamic compaction tamp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s installed to hang from the wire 11 of the crane 10, and By free-falling, the ground to be improved can be compacted.

동다짐 탬퍼에 의해 타격된 부위에는 구덩이(Crater)(C로 참조됨)가 생성된다. 1회 타격할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같은 부위를 수차례 반복하여 타격함으로써 다짐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인접 부위들에 동일한 다짐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A crater (referred to as C) is created in the area hit by the compaction tamper. It may be hit once, but typically the compac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by repeatedly hitting the same part several times. The same compaction procedure can then be performed on adjacent areas.

한편, 지반은 토양으로부터 유래하는 탄성 특성을 갖는데, 이에 상술한 동다짐 공법에서는 해당 지반의 토양이 갖는 탄성 구간을 벗어나도록 하는 에너지 인텐시티(energy intensity)로 타격하는 것이 중요하다. On the other hand, the ground has an elastic property derived from the soil, and in the above-described dynamic compaction method, it is important to strike with an energy intensity that allows the ground to deviate from the elastic range of the soil.

즉, 다짐 과정에서는 토양이 탄성 구간을 벗어나 소성 구간에 이르도록 하는 에너지 인텐시티를 인가하고, 이로써 원하는 다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탄성변형 구간 내의 값으로만 다짐 과정이 이루어지면, 결국 토양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게 되고, 따라서 설계하고자 하는 하중을 견디는 지반으로 개량할 수가 없다. 탄성 구간 내의 에너지 인텐시티만으로는 아무리 많은 횟수의 타격이 이루어지더라도 마치 스프링에 대하여 무의미한 타격을 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뿐이다. That is, in the compaction process, energy intensity is applied so that the soil leaves the elastic section and reaches the plastic section, thereby obtaining a desired compaction effect. If the compaction process is performed only with values within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the soil eventually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by its own elasticity, and therefore cannot be improved into a ground that can withstand the load to be designed. With only the energy intensity within the elastic section, no matter how many blows are made, the same result as a meaningless blow to the spring is obtained.

에너지 인텐시티는 탬퍼의 형상과 밀도, 그리고 자유낙하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서, 단순히 동다짐 탬퍼의 무게를 늘이거나 자유낙하시키는 높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요구되는 에너지 인텐시티 이상의 값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들은 주변 건축물이나 사람들에 큰 진동과 소음을 유발한다. 다짐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진동문제나 소음문제는 증가한다. Energy intensity is a value determined by the shape and density of the tamper and the free fall height, and may have a value greater than the required energy intensity by simpl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compaction tamper or increasing the free fall height. However, these things cause great vibration and noise to surrounding buildings and people. It can only increase the compaction effect, but the problem of vibration or noise increases.

또한 하나의 작업영역이라 하더라도 다짐위치가 주변 건축물에 가까울수록 전파되는 진동과 소음이 또한 커지므로, 상술한 토양의 탄성 구간을 벗어나는 에너지 인텐시티로 타격함과 동시에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설계는 더욱 요구된다. In addition, even in one work area, the closer the compaction position is to the surrounding building, the greater the propagation of vibration and noise, so the design that can reduce vibration and noise while hitting with the energy intensity outside the elastic section of the soil described above is more It is required.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및 고효율의 동다짐 탬퍼를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다짐 탬퍼는 고밀도의 단일 재질로서 단면적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일관된 에너지 인텐시티를 타격 위치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고밀도의 재질에 적합한 최적의 동다짐 탬퍼의 설계 구조를 제시한다. Hereinafter, a low-vibration and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high-density material and can apply consistent energy intensity to the hitting position that is not affect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In addition, the design structure of the optimal dynamic compaction tamper suitable for high-density materials is presen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의 정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가 정면도를 도 3b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3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shows a front view and FIG. 3B shows a plan view,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쌍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쌍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가 평면도를 도 5b가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bracket p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shows a plan view and Figure 5b shows a side view, respectively.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동다짐 탬퍼(100)는 복수의 브라켓 쌍들(110A, 110B, 110C, 110D) 및 바디부(1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2 to 5 , the compaction tampe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racket pairs 110A, 110B, 110C, and 110D and a body portion 120 .

복수의 브라켓 쌍들(110A, 110B, 110C, 110D)은 바디부(120)의 상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디부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브라켓 쌍(110A)과 브라켓 쌍(110B)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브라켓 쌍(110C)과 브라켓 쌍(110D)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브라켓 쌍들(110A, 110B, 110C, 110D)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브라켓 쌍(110A)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110A, 110B, 110C, and 110D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20 .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bracket pair 110A and the bracket pair 110B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and the bracket pair 110C and the bracket pair 110D are symmetrically arranged with each other. It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arranged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In addition, since all of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110A, 110B, 110C, and 110D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the drawing, one bracket pair 110A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브라켓 쌍(110A)은 제1 브라켓(110a)과 제2 브라켓(110b)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바디부(120)의 상부에 매립형으로 설치된다.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 제1 브라켓(110a)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제2 브라켓(110b)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설명이 제2 브라켓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제1 브라켓 또는 제2 브라켓을 간단히 '브라켓'이라고 할 수 있다. The bracket pair 110A includes a first bracket 110a and a second bracket 110b.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20 in a buried typ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pplied to the first bracket 110a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bracket 110b. The same description as that for the first bracket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bracket. Hereinafter, the first bracket or the second bracket may simply be referred to as a 'bracket'.

브라켓 쌍(110a, 110b)은 크레인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H)를 갖는다. 연결고리는 크레인 와이어(11)와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홀 구조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bracket pair (110a, 110b) has a connection ring (H) for connection with the crane wire. The connecting ring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for connection with the crane wire 11,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a hole structure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쌍(110a, 110b)은 바디부의 상부면(122)으로부터 일정 구간 노출되는 매립형으로 설치된다. Bracket pairs 110a and 110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buried type exposed for a certain period from the upper surface 122 of the body part.

브라켓 쌍(110a, 110b)은 노출 구간(S1)과 매립 구간(S2)으로 구분될 수 있고, 노출 구간(S1)이 바디부(120)의 상부면(122)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그리고 매립 구간(S2)이 바디부(120) 상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즉, 브라켓 쌍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바디부의 상부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The bracket pairs 110a and 110b may be divided into an exposure section S1 and a buried section S2, so that the exposure section S1 is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122 of the body portion 120, and the buried section ( S2) is installed to be buri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20. That is, the pair of bracket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such that a part of them is buri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20)는 고밀도의 단일 재질로 제작된다. 여기서 단일 재질은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밀도의 예측이 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일례로, 바디부(120)는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ingle high-density material. Here, a single material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density can be predicted even if the size is changed by being composed of one material.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20 may be made of a steel material.

바디부(120)는 고밀도의 단일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주조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20 may be manufactured by a casting method as it is made of a single high-density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브라켓 쌍들(110A, 110B, 110C, 110D)은 바디부(120)의 제조 과정에서 인서트 되어 주조될 수 있다. 즉, 바디부가 주물로 제작될 때 복수의 브라켓 쌍들이 인서트 되어 주조될 수 있다. 이로써 크레인 와이어와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브라켓을 보다 견고히 바디부와 결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110A, 110B, 110C, and 110D may be inserted and cas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ody part 120 . That is, when the body is made of a casting, a plurality of bracket pairs may be inserted and cast. As a result, the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rane wire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통상적으로 동다짐 과정에서는 자유낙하 위치까지 상승 및 하강이 반복되므로, 매우 높은 하중이 크레인 연결부위(와이어-탬퍼간 연결부위, 예를 들어 연결고리(H)와 같이)로 집중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물 방식의 바디부 및 매립 방식의 브라켓은 바디부와 브라켓간 연결을 견고히 하여 상기 연결부위로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브라켓이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한다. 동다짐 탬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In general, in the dynamic compaction process, since the rise and fall are repeated to the free fall position, a very high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rane connection part (wire-tamper connection part, for example, such as the link (H)). At this time, the cast-type body part and the embedded brac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bracke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bracket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even when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on par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dynamic compaction tamper.

이하 브라켓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제1 브라켓을 중심으로 살펴보지만, 제2 브라켓에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racke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lthough the first bracket is mainly examined, the same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bracket.

계속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110a)은 베이스부(112), 한 쌍의 리브부들(114) 및 레그부(116)를 포함한다. Continuing to refer to FIGS. 4 and 5 , the first bracket 110a includes a base part 112 , a pair of rib parts 114 and a leg part 116 .

베이스부(112)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바디부 상부면 밖으로 노출되는 일영역(R1)과 바디부 내부로 매립되는 타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영역(R1)에 상술한 연결고리(H)가 마련된다. The base portion 112 may have a plate shape. It may include one region R1 exposed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nother region R2 buried inside the body. The aforementioned connection ring H is provided in one region R1.

한 쌍의 리브부들(114)은 베이스부(112)의 양측으로부터 입설된다. 바디부 내측으로는 바디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여 브라켓-바디부간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고, 바디부 외측으로는 노출 구간의 베이스부가 외력 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 역할을 한다. A pair of rib portions 114 are upright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112 . The inner part of the body part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body part to make the coupling between the bracket and the body part more robust, and the outer part of the body part serves as a support to prevent damage to the base part of the exposed section by external force.

한 쌍의 리브부들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142)와 평탄부(1144)를 가질 수 있다. 경사부는 연결고리(H)로 삽입되는 연결부재(연결핀과 같은, 미도시)를 위한 오프셋 공간을 제공한다. 동시에 상술한 바디부 외측에서의 지지 역할을 한다. 평탄부는 상술한 바디부 내측에서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ir of rib parts may have an inclined part 1142 and a flat part 1144. The inclined portion provides an offset space for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connecting pin, not shown)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ing H. At the same time, it serves as a support on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described above. The flat portion serves to strengthen the above-described coupling inside the body portion.

레그부(116)는 베이스부(112)의 단부로부터 입설된다. 바디부 내측에서 바디부와의 접촉 면적을 늘여 브라켓-바디부간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한다. 상술한 한 쌍의 리브부들이 바디부와의 세로 방향(도면상 h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접촉 면적을 늘이고, 레그부가 바디부와의 가로 방향(도면상 D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접촉 면적을 늘인다. The leg portion 116 is upright from the end of the base portion 112 .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body inside the body, the coupling between the bracket and the body is more firmly established. The above-described pair of ribs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direction indicated by h on the drawing), and the leg portion increases the contact area with the bod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rection indicated by D on the drawing). stretch

바디부 내부에서 인접 브라켓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레그부의 입설 높이는 리브부의 입설 높이와 동일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nding height of the leg part is designed to be the same as the standing height of the rib par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djacent brackets inside the body part.

바디부 내에서 바디부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넓히기 위해서, 확장공들(1141, 1121, 1123, 1125)이 마련될 수 있다. 리브부에 이를 관통하는 구조의 확장공(1141)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에 이를 관통하는 구조의 확장공들(1121, 1123, 1125)이 마련될 수 있다. 확장공들의 개수와 크기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나, 접촉 면적 증가와 타공에 의한 경도 감소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고려하여 리브부에 각 1개씩의 확장공, 베이스부의 타영역에 3개의 확장공들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의 타영역에서 대략적으로 가운데에 배치되는 확장공(1123)이 양쪽에 배치되는 확장공들(1121, 1125)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라켓 제작의 편의를 함께 도모하기 위해, 확장공(1123)의 크기는 연결고리(H)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Expansion holes 1141 , 1121 , 1123 , and 1125 may be provided to further increase a contact area with the body part within the body part. An expansion hole 1141 having a structure penetrating the rib portion may be provided. Expansion holes 1121, 1123, and 1125 having a structure penetrating the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The number and size of the expansion holes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 but considering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in contact area and the decrease in hardness due to perforation, one expansion hole each in the rib part and three expansion holes in the other area of the base part It is desirable that balls are provid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hole 1123 disposed approximately in the center of the other area of the base portion is larger than the expansion holes 1121 and 1125 disposed on both sides.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the bracket together, the size of the expansion hole 1123 may be designed to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connecting ring (H).

상술한 베이스부, 한 쌍의 리브부들 및 레그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제1 브라켓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조의 방식으로 단일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브라켓들은 각각 주조의 방식으로 제조되고, 이후, 바디부가 주조될 때 브라켓이 인서트 되어 주조될 수 있다. The first bracket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base portion, a pair of rib portions, and a leg portion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For example, it can be made from a single material by way of casting. That is, each of the brackets may be manufactured by casting, and then, when the body is cast, the bracket may be inserted and cas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를 이용하여 작업 영역에 동다짐공법을 적용하는 계획도를 보여준다. 6 shows a plan diagram of applying a dynamic compaction method to a work area using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를 이용하여 크레이터를 형성하는 과정을 기존의 방식과 대비하여 보여준다. 도 7a가 기존의 탬퍼를 이용한 경우를, 도 7b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탬퍼를 이용한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7 shows a process of forming a crater using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method. FIG. 7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conventional tamper is used, and FIG. 7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개량이 요구되는 작업 영역(Aw)이 결정되고, 이 작업 영역에 인접하여 주변 건축물(B)이 존재한다. 작업 영역(Aw)에는 동다짐이 수행될 크레이터들의 위치가 C1~Cn으로 표시된다. 도면에서 n은 크레이터들의 총 개수인 25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6 , a work area (Aw) requiring improvement is determined, and a neighboring building (B) exists adjacent to the work area. In the work area Aw, positions of craters to be compacted are indicated by C1 to Cn. In the drawing, n is 25, which is the total number of craters.

소정의 에너지 인텐시티로 작업 영역에 대해 동다짐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인텐시티는 탬퍼의 높이(h) * 템퍼의 밀도(ρ) * 자유낙하 높이(s) * 탬퍼의 단면적(A) / 탬퍼의 단면적(A)으로 나타내진다. 소정의 에너지 인텐시티는 해당 작업 영역의 토양이 갖는 탄성 구간을 벗어나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 즉, 해당 작업 영역의 토양이 소성 구간에 진입하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인텐시티는 작업 영역의 지반 정보나 목표로 하는 설계 하중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Dynamic compaction is performed over the work area with a given energy intensity. In general, the energy intensity is represented by the height of the tamper (h) * the density of the tamper (ρ) * the free fall height (s)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amper (A)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amper (A). The predetermined energy intensity may be a value that allows the soil to deviate from an elastic range of the corresponding work area. That is, it may be a value that allows the soil of the corresponding work area to enter the firing section. Such energy intensity may be determined from ground information of a work area or target design load information.

이때, 주변 건축물(B)에 가까운 위치일수록(C1, C2, 또는 C5와 같이) 전파되는 진동과 소음을 줄이기 위한 작업변경이 필요한데, 도 7a와 같이 기존의 탬퍼(20)인 경우에는 상단(21)과 하단(22)으로 이루어지는 탬퍼(20)를 그들 중 하나인 하단(22)을 제거하여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써 에너지 인텐시티는 줄어들지만(그래서 주변 건축물로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은 줄어들지만), 그 값이 낮아짐으로 인해 토양을 소성 구간으로 진입시키는 에너지 인텐시티를 더 이상 만족할 수 없게 된다. 탬퍼의 높이(h)가 절반으로 줄어서 에너지 인텐시티 또한 절반으로 줄어든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타격은 토양의 탄성 구간 내의 타격으로서 반복타격이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다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At this time, as the location is closer to the surrounding building (B) (such as C1, C2, or C5),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work to reduce propagated vibration and noise. In the case of the existing tamper 20, as shown in FIG. ) and the bottom 22, it is common to work by removing one of them, the bottom 22. As a result, the energy intensity is reduced (so the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surrounding buildings are reduced), but due to the lower value, the energy intensity for entering the soil into the firing section can no longer be satisfied. Since the height (h) of the tamper is halved, the energy intensity is also halved. As described above, such a blow is a blow within the elastic section of the soil,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ufficient compaction effect even if repeated blows are made.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탬퍼(100)는 이전 작업에서 사용하던 탬퍼(100') 대비, 높이는 동일하고 단면적만이 축소 변경된 탬퍼(100)를 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에너지 인텐시티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너지 인텐시티는 탬퍼의 단면적에 무관하기 때문이다. 즉, 작업변경 이후에도 목표로 하는 에너지 인텐시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충분한 다짐 효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탬퍼의 단면적이 줄어서 약간의 타격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수반하지만, 일정 수준까지는 진동파(P파, S파, R파) 중 오히려 레일레이파(R파)의 지배도를 낮춰줌으로써 주변 건축물(B)에 전해지는 진동과 소음을 줄이는 데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In contrast, the tamp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tamper 100 having the same height and only a reduced cross-sectional area compared to the tamper 100 'used in the previous work, thereby maintaining the energy intensity as it is It is possible. This is because the energy intensity is independen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amper. That is, even after a job change, the target energy intensity can be maintained as it is, and thus a sufficient compaction effect can be derived. Although it is accompanied by a slight reduction in the impact area due to the reduction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amper, it reduces the dominance of the Rayleigh wave (R wave) among the vibration waves (P-wave, S-wave, R-wave) to a certain level, thereby reducing the damage to the surrounding buildings (B). It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탬퍼는 주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단면적에 무관하게 일관된 밀도의 탬퍼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이전 작업에서 사용하던 탬퍼(100')의 밀도와 변경 후 사용할 탬퍼(100)의 밀도가 동일하므로 작업 현장에 단면적이 다른 몇 개의 탬퍼들을 마련해두면 다짐 위치에 따른 손쉬운 작업변경이 가능하다. 즉, 주변 건축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단면적이 큰 탬퍼를 이용하여 다짐하다가 주변 건축물에 매우 가까운 곳에서는 단면적이 작은 탬퍼를 이용하여 다짐할 수 있다. 이는 주변 건축물에 대한 진동과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동시에 충분한 다짐 성능을 도출할 수 있다. Since the tam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asting,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amper with a consistent density regardless of the cross-sectional area. That is, since the density of the tamper 100' used in the previous work and the density of the tamper 100 to be used after the change are the sam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work according to the compaction position by providing several tamper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t the work site. That is, compac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tamper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t a location far from the surrounding building, and compacting using a tamper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at a location very close to the surrounding building. This can effectively reduce the vibration and noise of surrounding buildings and at the same time derive sufficient compaction perform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는 지반의 토양이 탄성구간을 벗어나도록 하는 일관된 에너지 인텐시티를 인가하여 동다짐 효율을 높인다. 또한 높이 변경없이 단면적만이 변경되는 다양한 형상의 탬퍼로 제작되고 그 에너지 인텐시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영역에서 다짐공정시 다짐 위치에 따라 다른 형상의 탬퍼를 용이하게 변경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건축물에 전파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에너지 인텐시티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는 주물로 제작되는 바디부를 갖고, 주물로 제작시 그 상부에 복수의 브라켓 쌍들이 인서트 되어 주조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된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low-vibration and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dynamic compaction efficiency by applying a consistent energy intensity that allows the soil of the ground to deviate from the elastic section. In addi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predict the energy intensity of tampers of various shapes in which only the cross-sectional area is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height,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and apply tampers of different shapes according to the compaction position during the compaction process in the work area. It can minimize the vibration and noise propagated to the At this time, the energy intensity is maintained as it is. To this end, the low-vibration and high-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part made of a casting, and when it is made of a casting, since a plurality of bracket pairs are inserted and cast thereon, it has a robust coupling structure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written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s are for explanation and not for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크레인
11: 크레인 와이어
100: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
110A, 110B, 110C, 110D: 복수의 브라켓 쌍들
110a: 제1 브라켓
110b: 제2 브라켓
112: 베이스부
1121, 1123, 1125: 확장공
114: 한 쌍의 리브부들
1141: 확장공
1142: 경사부
1144: 평탄부
116: 레그부
120: 바디부
122: 상부면
S1: 노출 구간
S2: 매립 구간
R1: 베이스부의 일영역
R2: 베이스부의 타영역
10: Crane
11: crane wire
100: low vibration high 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110A, 110B, 110C, 110D: plural pairs of brackets
110a: first bracket
110b: second bracket
112: base part
1121, 1123, 1125: Expansion hole
114: a pair of rib parts
1141: expansion hole
1142: slope
1144: flat part
116: leg part
120: body part
122: upper surface
S1: exposure period
S2: landfill section
R1: one area of the base
R2: Other areas of the base

Claims (7)

동다짐공법에 적용되는 동다짐 탬퍼에 있어서,
크레인 와이어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를 갖는 복수의 브라켓 쌍들; 및
상부에 상기 복수의 브라켓 쌍들이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
In the dynamic compaction tamper applied to the dynamic compaction method,
A plurality of bracket pairs having a linkage for connection with the crane wire; and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compaction tamper including a body por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are installed in a buried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가 주물로 제작될 때 상기 복수의 브라켓 쌍들이 인서트 되어 주조되는,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
According to claim 1,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compaction tamper in which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are inserted and cast when the body is made of a cas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라켓 쌍들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 쌍은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
According to claim 1,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racket pairs includes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so that a part is buri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디부 상부로 노출되는 일영역과 상기 바디부 내부로 매립되는 타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영역에 상기 연결고리가 마련되는,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is
A base portion including one area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another area buried into the body portion; includes,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compaction tamper in which the connection ring is provided in the one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일영역과 상기 타영역에 걸쳐서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으로부터 입설된 한 쌍의 리브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부에 형성되는 확장공은 상기 일영역과 상기 타영역 중 상기 타영역에 인접하는,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
According to claim 4,
The bracket is
A pair of ribs sta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over the one area and the other area; further comprising,
The expansion hole formed in the rib part is adjacent to the other area of the one area and the other area,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compaction tam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타영역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입설된 레그부;를 더 포함하는,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
According to claim 4,
The bracket is
A low-vibration high-efficiency compaction tamper further comprising a; leg portion upright from the end of the base portion in the other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타영역에 형성되는 확장공을 포함하는, 저진동 고효율 동다짐 탬퍼.
According to claim 4,
The base portion includes an expansion hole formed in the other area, low vibration high efficiency dynamic compaction tamper.
KR1020210127229A 2021-09-27 2021-09-27 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KR202300447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229A KR20230044732A (en) 2021-09-27 2021-09-27 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229A KR20230044732A (en) 2021-09-27 2021-09-27 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32A true KR20230044732A (en) 2023-04-04

Family

ID=8592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229A KR20230044732A (en) 2021-09-27 2021-09-27 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473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43819A3 (en) Golf club head
KR100939823B1 (en) Breaker for a excavator
KR20230044732A (en) Dynamic compaction tampers with low vibration and high efficiency
CA2964044C (en) A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steel pile in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an impact pile driving machine, and a method for arranging the support of a steel pile in an impact pile driving device
CN212358273U (en) High-stability digging pile
JP3855196B2 (en) Basic structure of the structure
CN111236203B (en) Frog rammer board rubble device
JP3706091B2 (en) Solid foundation method with stabilizer
CN208668662U (en) The exposed steel kind design of the highly energy-consuming that can be quickly repaired after shake
CN211285104U (en) Anti-settlement protection mechanism based on highway subgrade
CN112942342A (en) Foundation pile for building
CN211143822U (en) Underpinning structure for building seismic isolation reinforcement
KR100625250B1 (en) A construction method of cover type tunnel structure for decreasing biased earth pressure on cut and a cover type tunnel structure thereby
JP3314202B2 (en) Expansion joint that connects the base-isolated building and the ground
KR200214409Y1 (en) Ground Pile Cap
CN208088332U (en) A kind of counterfort wall
JP2583726Y2 (en) Communication device
CN210887202U (en) PHC tubular pile shoe with protruding pile tip plate
CN214401906U (en) Building engineering foundation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CN220827791U (en) Anti-seismic building pile
RU2719858C1 (en) Bottom chuck of pile driving rig
CN209779724U (en) building extension basis that adaptation fill out ground subsides
CN217811014U (en) Steel-pipe pile sinking buffer stop
CN111962385B (en) Anti-seismic energy dissipation structure of pier combined damping arm
CN212026365U (en) Earthquake-resistant building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