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479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479A
KR20230044479A KR1020237006741A KR20237006741A KR20230044479A KR 20230044479 A KR20230044479 A KR 20230044479A KR 1020237006741 A KR1020237006741 A KR 1020237006741A KR 20237006741 A KR20237006741 A KR 20237006741A KR 20230044479 A KR20230044479 A KR 2023004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boarding
snpn
information
snpns
d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랄리스 쿠마르
알록 쿠마르 장기드
카일라쉬 쿠마르 즈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05PBS [Private Base St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세대(4G) 통신 시스템 이후 더 높은 데이터의 송신률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pre-5세대(5G) 또는 5G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UE가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한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5세대(5G) 통신 네트워크 등)에서 프로비저닝 절차(provisioning procedure)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세대(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세대(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또한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System)" 통신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의 송신률(data rate)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GHz 대역)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무선파(radio wave)의 전파 손실을 감소시키고 송신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FD-MIMO(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 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장치 간 통신(Device-to-Device(D2D) communication),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 수신 단 간섭 제거(reception-end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액세스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비저닝 절차는 홈 서비스 제공자의 가입 또는 기본 자격 증명(default credential), 즉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 또는 홈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을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에 설정하는 것이다.
프로비저닝 또는 온보딩 절차(onboarding procedure)는 두 가지 타입일 수 있다.
CP(Control Plane) 기반 프로비저닝: CP 기반 프로비저닝에서는 사용자 평면 자원이 설정되지 않는다. 프로비저닝 정보는 제어 평면 기반 절차를 사용하여 온보딩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통해 프로비저닝 서버에 의해 UE에 제공되며, 즉, 다운링크(downlink; DL) NAS(non-access stratum) TRANSPORT 또는 UE CONFIGURATION UPDATE 또는 임의의 다른 NAS 메시지와 같은 시그널링 메시지를 사용하여 UE로 송신된다.
UP(User Plane) 기반 프로비저닝: UP 기반 프로비저닝에서는 사용자 평면 자원이 설정되며, 즉, UE는, UP 기반 프로비저닝이 필요하다는 인디케이션(indication)을 수신한 후, 온보딩을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세션을 개시할 것이다. 이러한 PDU 세션 정보는 네트워크에 의해 UE에 제공되거나 UE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PDU 세션이 설정되면, UE에는 이러한 PDU 세션 네트워크의 사용자 평면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필요한 프로비저닝 정보가 제공된다.
도 1a 및 1b는 장치(예를 들어, UE)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현재 이용 가능한 솔루션을 도시한다. UE(100)는 온보딩을 위한 등록 절차를 개시한다. UE(100)는 UE(100)의 아이덴티티 및 UE가 프로비저닝되기를 원하는 SO-SNPN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온보딩 AMF(200d)는 UE 아이덴티티 또는 UE(100)에 의해 온보딩 AMF(200d)에 제공된 정보를 봄으로써 DCS(200B)를 식별한다. AMF(200d)는 DCS(200B)와 접촉하고, UE(100)의 정보를 DCS(200B)에 제공할 것이다. DCS(200B)는 이러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를 트리거(trigger)한다. 온보딩 PLMN(예를 들어, AMF(200d))은 인증 절차가 성공적일 때 통지를 받는다. DCS(200B)는 또한 UE가 온보딩 절차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SO-SNPN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O-SNPN(200a)은 UE(100)의 아이덴티티와 함께 프로비저닝 서버(200c)에 대한 인증이 성공했음을 나타낼 것이다. 프로비저닝 서버(200c)는 UE의 가입(subscription)에 기초하여 UP 자원 메커니즘 또는 CP 기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UE(100)를 프로비저닝할지를 결정할 것이다. AMF(200d)는 UE(100)에게 UE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CP 또는 UP 기반 메커니즘의 이러한 선택 정보를 위임한다(delegate). O-SNPN(200a)은 용이하게 되며, 즉, 이는 프로비저닝 절차를 위한 인에이블러(enabler)가 된다. UE(100)에는 모든 SO-SNPN으로부터의 SO-SNPN의 리스트의 가입 정보가 온보딩된다(이는 모든 SO-SNPN에 대한 개별 프로비저닝 서버 또는 공통 프로비저닝 서버일 수 있거나 이의 상이한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주된 목적은 UE가 로밍할 때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5세대(5G) 통신 네트워크 등)에서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UE가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한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온보딩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 DCS(Default Credential Server), PS(Provisioning Server)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 요청은 온보딩이 수행되도록 요구되는 SO-SNPN, 프로비저닝 서버의 정보 및 DCS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NAS 메시지는 예를 들어 등록 수락 메시지 및 UE 설정 업데이트 메시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의 리스트,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및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DCS,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 및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DCS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는 것,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것, 및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 상의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SO-SNPN의 리스트와 함께 타이머가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는, 미리 정의된 시간 값 및 정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중 하나 이후에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온보딩을 재시도(retry)하는 것, 및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 해제 절차는 NAS 시그널링으로 UE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명시적으로 실행될 수 있거나 UE는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시그널링 없이 등록 해제 상태에 들어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고,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며,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 상의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며, 여기서 정보는 DCS로부터 수신되고, DCS에 의해 보호되며, 여기서 UE는 타이머와 연관된 값에 기초하여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보딩이 허용되는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온보딩이 허용되는 DCS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는 동작,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UE에 의해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DCS를 지원하는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동작, 및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에서 DCS 지원을 사용할 수 없는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DCS와 함께 타이머가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미리 정의된 시간 값 중 하나 이후 또는 정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중 하나 이후에 어떤 DCS가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온보딩을 재시도하는 동작, 및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으로 DCS를 사용할 수 없는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는 동작, 및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모든 DCS를 지원하는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SO-SNPN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DCS와 연관된 SO-SNPN에 대해 다시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정보는 무결성 보호된 메시지를 사용하여 DCS로부터 수신되고 보호되며, 정보는 DCS에 의해 보호되며, UE는 타이머와 연관된 값에 기초하여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는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mismatch provisioned parameter reject)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reject cause), 온보딩 및 등록이 제1 시간 구간까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1 시간 구간,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제2 시간 구간 이후에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2 시간 구간, 및 거부 원인#7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온보딩 정보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시하고 제1 시간 구간의 만료 후에 UE로부터의 온보딩 정보를 삭제하는 것, 프로비저닝된 정보를 제2 시간 구간 후에 유효한 것으로서 사용하는 것, SO-SNPN이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올바르지 않고 프로비저닝된 정보와 연관된 필요한 파라미터가 누락되었음을 식별하고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UE에 나타내어질 때 온보딩 절차를 다시 시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 및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삭제된 경우 온보딩 절차를 수행하는 것, 및 거부 원인 #75가 SNPN이 SNPN에 대해 영구적으로 허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UE가 현재 SNPN의 현재 기본 자격 증명을 삭제하는 경우,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삭제되지 않고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시되는 경우 SNPN 상에서 등록을 다시 트리거하기 위해 UE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UE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사용하여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UE가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UE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UE를 개시한다. UE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결합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한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는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개시한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결합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를 포함한다.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는 UE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로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도록 설정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이러한 및 다른 양태는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더 잘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및 이의 수많은 특정 상세 사항을 나타내지만, 제한이 아니라 예시로서 제공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러한 모든 수정을 포함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착수하기 전에, 본 특허 문서의 전체에 걸쳐 사용된 특정 단어 및 문구를 정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포함한다(include)" 및 "구성한다(comprise)"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제한 없이 포함(inclusion)을 의미하고;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며, 및/또는(and/or)을 의미하며; "~와 관련된(associated with)"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를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included within)", "~와 상호 연결하고(interconnect with)", "~을 함유하고(contain)", "~내에 함유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또는,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또는, ~와 결합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고(cooperate with)", "~를 인터리브하고(interleave)", "~와 병치하고(juxtapose)", "~에 가까이 있고(be proximate to)", "~에 또는, ~와 묶이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 있고(have a property of)" 등인 것을 의미하며; "제어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이의 일부를 의미하며, 이러한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의 일부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제어부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로든 원격으로든 중앙 집중화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더욱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로부터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에서 구현된다.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에서 구현을 위해 적응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software components),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절차, 기능, 객체(object), 클래스, 인스턴스(instance), 관련된 데이터 또는 이의 일부를 지칭한다. 문구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source code), 객체 코드(object code) 및 실행 가능 코드(executable code)를 포함하는 임의의 Type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문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임의의 다른 Type의 메모리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Type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를 송신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중복 기록(overwriting)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특정 단어 및 문구에 대한 정의는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지만 이러한 정의가 이러한 정의된 단어 및 문구의 이전 및 이후의 사용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것과 관련하여 개선이 있다.
본 개시 및 그 이점에 대한 더욱 완전한 이해를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제 이루어진다.
도 1a 및 도 1b는 UE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 현재 이용 가능한 솔루션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개요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UE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기 위해 UE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O-SNPN과 PS/SO-SNPN 사이에 합의(agreement)가 없을 때 UE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O-SNPN이 DCS를 식별할 수 없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9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DCS가 UE의 가입 정보에 기초하여 허용된 SO-SNPN의 리스트를 O-SNPN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DCS가 UE의 가입 정보에 기초하여 허용된 SO-SNPN의 리스트를 O-SNPN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0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PS가 UE의 가입 정보에 기초하여 허용된 SO-SNPN의 리스트를 O-SNPN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PS가 UE의 가입 정보에 기초하여 허용된 SO-SNPN의 리스트를 O-SNPN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SO-SNPN이 프로비저닝된 정보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UE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도 1 내지 도 11, 및 본 특허 문서에서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실시예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고, 어떤 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원리가 적절히 배치된 임의의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이의 다양한 특징 및 유리한 상세 사항은 첨부된 도면에 예시되고 다음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충분하게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를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잘 알려진 구성 요소 및 처리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예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는 방식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더욱 더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을 달성한다. 이 방법은 UE가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한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UE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된 방법은 UE가 로밍 영역에 있을 때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로비저닝 절차를 신속하게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이제 도면, 특히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일관되게 상응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다음의 용어를 사용한다:
1. 기본 UE 자격 증명: 고유하게 식별 가능하고 검증 가능한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실제 온보딩 절차 전에 UE가 가지고 있는 정보이다.
2. DCS(Default Credential Server): 기본 UE 자격 증명으로 UE를 인증하거나 이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다른 엔티티에 제공할 수 있는 서버이다. DCS는 O-SNPN의 AUSF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3. NPN: TS 23.501에 정의된 바와 같은 Non-Public Network. NPN이라는 용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 실시예에서 SNPN 및 PNI-NPN 모두를 지칭한다.
4. NPN 자격 증명: UE가 NPN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에 사용하는 정보. NPN 자격 증명은 3GPP 자격 증명 또는 비-3GPP 자격 증명일 수 있다.
5. 온보딩 네트워크(Onboarding Network; ON): UE 온보딩을 위해 UE에 대한 초기 등록 및/또는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이것은 O-SNPN이라고도 하며, 온보딩 AMF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온보딩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예로서 취급되어야 한다.
6. 프로비저닝 서버(Provisioning Server; PS): 가입 데이터 및 선택적으로 가입 소유자 또는 자격 증명 보유자 네트워크의 다른 설정 정보를 인증/허가된 UE에 제공하는 서버.
7. 가입 소유자(Subscription Owner; SO): 저장하고 UE 온보딩 절차의 결과로서 가입 데이터 및 선택적으로 다른 설정 정보를 PS를 통해 UE에 제공하는 엔티티.
8. UE 온보딩(UE Onboarding): UE가 NPN에 대한 허가된 액세스 및 연결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네트워크 내에서 UE에 프로비저닝한다.
9. 고유 UE 식별자: 네트워크와 DCS에서 UE를 식별하고 DCS에 의해 할당되고 설정된다.
PLMN 및 SNPN이라는 용어는 이 문서에서 서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었으며, 용어는 온보딩 PLMN 또는 온보딩 SNPN, 가입 소유자 PLMN 또는 가입 소유자 SNPN 등을 나타낸다. 온보딩 및 프로비저닝이라는 용어는 이 문서에서 서로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었으며, 이는 서로의 동의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의 개요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는 UE(100) 및 네트워크 엔티티(200)를 포함한다. UE(100)는 예를 들어, 랩톱,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릴레이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V2X(Vehicle to Everything) 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장치, 몰입형 장치(immersive device) 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엔티티(200)는 예를 들어 온보딩 SNPN(200a), DCS(200b), PS(200c) 및 AMF 엔티티(200d)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UE(100)는 네트워크 엔티티(200)에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한다. 일 실시예에서, 등록 요청은 프로비저닝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SO-SNPN, 프로비저닝 서버(200c)의 정보 및 DCS(200b)와 연관된 주소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티티(200)는 UE(100)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한다.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 및 UE 설정 업데이트 메시지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티티(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는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수신된다.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UE(100)는 네트워크 엔티티(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한다. 수신된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UE(100)는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한다. 하나 이상의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UE(100)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110), 커뮤니케이터(communicator)(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0)는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110), 커뮤니케이터(120) 및 메모리(130)와 결합된다.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110)는 네트워크 엔티티(200)에 대한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하도록 설정된다.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110)는 네트워크 엔티티(200)로부터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110)는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정보 및 하나 이상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11에 설명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을 실행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커뮤니케이터(12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내부 하드웨어 구성 요소 사이에서 외부 장치와 내부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설정된다. 메모리(130)는 또한 프로세서(140)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저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저장 요소의 예는 자기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memory)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메모리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일부 예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비일시적(non-transitory)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반송파 또는 전파된 신호로 구현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메모리(130)가 이동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특정 예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캐시(cache)에서)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AI 모델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AI 모델과 연관된 기능은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14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처리 유닛, VPU(Visual Processing Unit), 및/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AI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AI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한다.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은 훈련(training) 또는 학습(learning)을 통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는 것은 복수의 학습 데이터에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원하는 특성의 AI 모델이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은 실시예에 따른 AI가 수행되는 장치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있거나, 별개의 서버/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AI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계층은 복수의 가중치를 가지며, 이전의 계층의 계산과 복수의 가중치의 연산을 통해 계층 연산을 수행한다. 신경망의 예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학습 알고리즘은 복수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타겟 장치(예를 들어, 로봇)를 훈련시켜 타겟 장치가 결정하거나 예측하도록 유발, 허용 또는 제어하는 방법이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UE(100)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UE(100)는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의 라벨 또는 이름은 예시만을 위해 사용되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는 함께 조합되어 UE(100)에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200)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200)는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210), 커뮤니케이터(220), 메모리(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40)는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210), 커뮤니케이터(220) 및 메모리(230)와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210)는 UE100)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210)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메모리(230)에 저장된 명령어을 실행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커뮤니케이터(22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내부 하드웨어 구성 요소 사이에서 외부 장치와 내부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설정된다. 메모리(230)는 또한 프로세서(240)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한다. 메모리(230)는 비휘발성 저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저장 요소의 예는 자기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또는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memory)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메모리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일부 예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반송파 또는 전파된 신호로 구현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비일시적"이라는 용어는 메모리(230)가 이동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특정 예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캐시(cache)에서)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AI 모델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AI 모델과 연관된 기능은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및 프로세서(14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처리 유닛, VPU(Visual Processing Unit), 및/또는 NPU(Neu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AI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AI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한다.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 지능 모델은 훈련(training) 또는 학습(learning)을 통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학습을 통해 제공된다는 것은 복수의 학습 데이터에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미리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원하는 특성의 AI 모델이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은 실시예에 따른 AI가 수행되는 장치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있거나, 별개의 서버/시스템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AI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계층은 복수의 가중치를 가지며, 이전의 계층의 계산과 복수의 가중치의 연산을 통해 계층 연산을 수행한다. 신경망의 예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및 심층 Q-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학습 알고리즘은 복수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타겟 장치(예를 들어, 로봇)를 훈련시켜 타겟 장치가 결정하거나 예측하도록 유발, 허용 또는 제어하는 방법이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네트워크 엔티티(200)의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200)는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의 라벨 또는 이름은 예시만을 위해 사용되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는 함께 조합되어 네트워크 엔티티(200)에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기 위해 UE(100)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의 흐름도(500)를 도시한다. 동작(502-508)은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110)에 의해 처리된다. 502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200)에 대한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04에서, 방법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200)로부터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06에서, 방법은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08에서, 방법은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200)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의 흐름도(600)를 도시한다. 동작(602 내지 606)은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210)에 의해 처리된다. 602에서, 방법은 UE(100)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604에서, 방법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606에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O-SNPN(200a)과 PS(200c)/SO-SNPN 사이에 합의가 없을 때 UE(100)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0)는 온보딩을 위해 등록 절차를 트리거한다. 등록 요청은 프로비저닝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SO-SNPN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비저닝 서버 정보가 또한 포함된다. SO-SNPN(예를 들어, AMF(200d))은 DCS(200B)로 인증 요청을 개시할 것이다. 인증 절차 후 또는 인증 절차 중에, DCS(200B)는 이러한 UE(100)에 대해 프로비저닝될 필요가 있는 SO-SNPN의 리스트를 SO-SNPN(예를 들어, AMF(200d))에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AMF(200d)는 프로비저닝이 필요한 SO-SNPN의 리스트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SO-SNPN은 이러한 SO-SNPN의 일부 또는 전부와 합의하지 않을 수 있거나 프로비저닝 서버(200c)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시적으로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AMF(200d)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와 같은 NAS 메시지로 UE(100)에게 아래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등록 절차가 완료된 후에 PS(200c)에 도달하는 것이 약간의 비정상(abnormality)에 직면하는 경우, SO-SNPN은 UE 설정 업데이트와 같은 다른 NAS 메시지의 일부로서 UE(100)에 아래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a.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
b.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c.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d.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2. 또 다른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UE(100)가 단일 SO-SNPN 및 O-SNPN에 대한 온보딩 절차를 트리거하여 거부 원인을 제공함으로써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경우,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PLMN 검색을 수행하여,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3.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 상에서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타이머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리스트와 함께 제공되며,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구현 의존 시간(implementation dependent time) 이후 또는 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이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이러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프로비저닝을 재시도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상태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3.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 상에서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UE(100)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이러한 SO-SNPN에 대해 다시 프로비저닝되기를 시도하지 않는다. 이러한 정보는 DCS(200B)로부터 수신되고 DCS(200B)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UE(100)는 구현 의존 시간 후에 이러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기를 시도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는 타이머 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후 UE(100)는 다시 시도하거나 UE(100)가 전원을 껐다가 켤 때까지, 즉 스위치를 껐다가 켤 때까지, (U)SIM은 제거되며, 즉, UE(100)는 등록 해제 상태로 돌아간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O-SNPN(200a)이 DCS(200B)를 식별할 수 없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UE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0)는 온보딩을 위한 등록 절차를 트리거한다. 등록 요청은 프로비저닝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SO-SNP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DCS(200B) 주소를 포함한다. 이 시점에서, AMF(200d)는 인증 절차가 O-SNPN(200a)과 DCS(200B)의 상이한 조합에 대해 실행될 수 있는 DCS(200B) 주소의 리스트를 갖는다. 그러나, SO-SNPN은 이러한 DCS(200B) 중 일부와 합의하지 않을 수 있거나 DCS(200B)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AMF(200d)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와 같은 NAS 메시지로 UE(100)에게 아래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등록 절차가 완료된 후에 DCS(200B)에 도달하는 것이 비정상에 직면하는 경우, SO-SNPN은 UE 설정 업데이트와 같은 다른 NAS 메시지의 일부로서 UE(100)에 아래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1.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DCS(200B) 중 하나 이상(리스트).
2.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DCS(200B) 중 하나 이상(리스트).
3.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DCS(200B) 중 하나 이상(리스트).
4. UE(100)를 프로비저닝하도록 허가되지 않은 DCS(200B) 중 하나 이상(리스트).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하나 이상의 DCS(200B)"를 수신하면,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DCS(200B)의 리스트에 대해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UE(100)가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DCS(200B)를 지원하는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3.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DCS(200B) 지원이 현재 O-SNPN(200a)에서 사용할 수 없는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DCS(200B)의 리스트"을 수신하면, 선택적으로 타이머는 이러한 리스트와 함께 제공되며,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구현 의존 시간 이후 또는 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이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이러한 SO-SNPN(DCS(200B)이 사용 가능하지 않음)의 리스트에 대한 프로비저닝을 재시도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DCS(200B)이 현재 O-SNPN(200a)으로 사용 가능하지 않음)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DCS(200B) 리스트"을 수신하면,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모든 DCS(200B)를 지원할 수 있는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UE(100)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DCS(200B)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UE(100)는 이러한 리스트에 존재하는 DCS(200B)와 연관된 이러한 SO-SNPN에 대해 다시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정보는 DCS(200B)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CS(200B)로부터의 무결성 보호 메시지에서, 선택적으로, 이러한 정보는 DCS(200B)로부터 수신되고 DCS(200B)에 의해 보호된다. UE(100)는 구현 종속 시간 후에 이러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는 타이머 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후 UE(100)는 다시 시도하거나 UE(100)가 전원을 껐다가 켤 때까지, 즉 스위치를 껐다가 켤 때까지, 즉, UE(100)는 등록 해제 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솔루션에서, SO-SNPN의 리스트는 프로비저닝 서버 주소 또는 SO-SNPN ID(즉, PLMN ID+NID) 또는 PLMN ID 또는 DCS(200B) 식별자 또는 가입자 데이터의 리스트 등 또는 UE(100)에 설정된 SO-SNPN에 대한 임의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는 O-SNPN(200a)의 맵과 SO-SNPN 리스트에 대해 금지된 O-SNPN(200a)으로 불리는 SO-SNPN의 리스트로서 UE(100)에 의해 유지된다. UE(100)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금지된 O-SNPN(200a)에 표시된 O-SNPN(200a)을 통해 이러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아야 한다. UE(100)는 타이머 만료 후에 다시 시도할 수 있다. 타이머 값은 네트워크(200)에 의해 제공되거나 UE 구현 의존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DCS(200B)의 리스트는 O-SNPN(200a)의 맵과 DCS(200B)에 대해 금지된 O-SNPN(200a)으로 불리는 DCS(200B)의 리스트로서 UE(100)에 의해 유지된다. UE(100)는 DCS(200B)에 대해 금지된 O-SNPN(200a)에 표시된 O-SNPN(200a)을 통해 DCS(200B)가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아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O-SNPN(200a)가 이러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대신, O-SNPN(200a)은 원인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원인 값은 리스트 정보로 대체된다. 원인 값은 요청된 DCN 또는 프로비저닝 서버에 대해 나타낸다. 원인 값으로 대체되는 각각의 리스트에 대한 UE(100)의 동작은 요청된 DCS(200B) 또는 프로비저닝 서버 또는 UE 식별자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UE(100)가 특정 O-SNPN(200a) 또는 DCS(200B)에 대해 요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논의되면, 또한, UE(100)는 O-SNPN(200a) 또는 DCS(200B) 또는 PS(200c)를 입력으로서 취한 후 구축된 UE 식별자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암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UE(100)가 지리적 위치, 예를 들어 TAI로부터 온보딩을 위한 등록을 트리거하지만, AMF(200d) 또는 DCS(200B) 또는 PS(200c)가 그 영역에서의 온보딩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식별하는 경우, 이러한 정보는 NAS 메시지에서, 예를 들어 등록 거부 메시지에서 UE(100)에 위임될 것이다. 그런 다음, UE(100)는 이러한 TAI(일반적으로 영역 식별자) 상에서 온보딩을 위해 다시 시도하지 않아야 하며, UE(100)는 예를 들어 금지된 온보딩 영역 리스트라고 하는 리스트를 사용하여 이를 기억한다. UE(100)에게 위임된 이러한 정보는 또한 특정 SO-SNPN 또는 DCS(200B)에 대해 UE(100)에게 제공될 수 있고, UE(100)는 이에 따라 이러한 정보를 유지한다. UE(100)의 위치는 UE(100)에 의해 O-SNPN(200a)에 제공되거나 O-SNPN(200a) 코어 네트워크는 RAN으로부터 UE(100)의 위치를 획득하고, O-SNPN(200a)은 이러한 정보를 DCS(200B) 또는/및 PS(200c)에 전달하고, DCS(200B) 또는/및 PS(200c)는 수신된 이러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서의 프로비저닝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가능하지 않다면, DCS(200B) 또는/및 PS는 이러한 정보를 UE(100) 또는 DCS(200B)에게 위임하는 O-SNPN(200a)(예를 들어, AMF(200d))에게 동일하게 나타내고/내거나 PS(200c)는 이러한 정보를 UE(100)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DCS(200B)가 UE의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허용된 SO-SNPN의 리스트를 O-SNPN(200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UE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0)는 온보딩을 위해 등록 절차를 트리거한다. 등록 요청은 프로비저닝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SO-SNPN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비저닝 서버 정보가 또한 포함된다. SO-SNPN(예를 들어, AMF(200d))은 DCS(200B)로 인증 요청을 개시할 것이다. 인증 절차 후 또는 인증 절차 중에, DCS(200B)는 이러한 UE(100)에 대해 프로비저닝될 필요가 있는 SO-SNPN의 리스트를 SO-SNPN(예를 들어, AMF(200d))에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DCS(200B)는 프로비저닝이 필요한 SO-SNPN의 리스트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DCS(200B)는 이러한 SO-SNPN의 일부와 합의하지 않을 수 있거나 프로비저닝 서버(200c)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이러한 DCS(200B)를 기반으로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AMF(200d)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와 같은 NAS 메시지로 UE에게 아래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그렇지 않으면, 등록 절차가 완료된 후에 PS(200c)에 도달하는 것이 약간의 비정상에 직면하는 경우, SO-SNPN은 UE 설정 업데이트와 같은 다른 NAS 메시지의 일부로서 UE(100)에 아래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1.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
2.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3.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4.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를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3.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를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 상에서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타이머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리스트와 함께 제공되며, UE(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구현 의존 시간(implementation dependent time) 이후 또는 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이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이러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프로비저닝을 재시도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상태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3.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 상에서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UE(100)는 이러한 SO-SNPN에 대해 다시 프로비저닝되기를 시도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정보는 DCS(200B)로부터 수신되고 DCS(200B)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UE(100)는 구현 의존 시간 후에 이러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기를 시도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는 타이머 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후 UE(100)는 다시 시도하거나 UE(100)가 전원을 껐다가 켤 때까지, 즉 스위치를 껐다가 켤 때까지, 즉, UE(100)는 등록 해제 상태로 돌아간다.
이 실시예에서, 인증 절차 후 또는 동안은 인증 절차가 성공할 수 있거나 인증 절차가 성공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PS(200c)가 UE의 가입 정보에 기반하여 허용된 SO-SNPN의 리스트를 O-SNPN(200a)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UE(100)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0)는 온보딩을 위해 등록 절차를 트리거한다. 등록 요청은 프로비저닝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SO-SNPN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비저닝 서버 정보가 또한 포함된다. SO-SNPN(예를 들어, AMF(200d))은 DCS(200B)로 인증 요청을 개시할 것이다. 인증 절차 후 또는 인증 절차 중에, DCS(200B)는 이러한 UE(100)에 대해 프로비저닝될 필요가 있는 SO-SNPN의 리스트를 SO-SNPN(예를 들어, AMF(200d))에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PS(200c)는 프로비저닝이 필요한 SO-SNPN의 리스트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PS(200c)는 AMF(200d)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와 같은 NAS 메시지로 UE(100)에게 아래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지라도 이러한 PS(200c)를 기반으로 이러한 SO-SNPN의 일부와 합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등록 절차가 완료된 후에 프로비저닝에 도달하는 것이 약간의 비정상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 O-SNPN(200a)은 UE 설정 업데이트와 같은 다른 NAS 메시지의 일부로서 UE(100)에 아래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1.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
2.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3.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4. UE(100)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를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3.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를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 상에서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선택적으로, 타이머는 이러한 리스트와 함께 제공되며, UE(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구현 의존 시간(implementation dependent time) 이후 또는 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이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이러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프로비저닝을 재시도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상태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이러한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UE(100)는 프로비저닝이 허용되거나 가능한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프로비저닝을 수행한다.
2.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함께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3. 일 실시예에서, UE(100)는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SEARCH을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 상에서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프로비저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한다.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UE(100)는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UE(100)는 이러한 SO-SNPN에 대해 다시 프로비저닝되기를 시도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정보는 DCS(200B)로부터 수신되고 DCS(200B)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UE(100)는 구현 의존 시간 후에 이러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기를 시도할 수 있거나, 네트워크는 타이머 값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후 UE(100)는 다시 시도하거나 UE(100)가 전원을 껐다가 켤 때까지, 즉 스위치를 껐다가 켤 때까지, 즉, UE(100)는 등록 해제 상태로 돌아간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SO-SNPN이 프로비저닝된 정보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UE(100)가 프로비저닝 절차를 관리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00)는 기본 UE 자격 증명으로 온보딩된다. UE(100)가 SO-SNPN 상에서 등록을 시도할 때, (AMF(200d) 또는 UDM/AUSF(200e)와의 상호 작용 후 AMF(200d)에 의해) SO-SNPN은 REGISTRATION REJECT, AUTHENTICATION REJECT와 같은 NAS 메시지로 UE(100)에게 나타낸다.
지속 기간(time duration)-1: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유효한 기간까지. 그 기간 후에, UE(100)는 프로비저닝 정보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시하거나 UE(100)로부터 이러한 콘텐츠를 삭제해야 한다.
지속 기간-2: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유효한 기간 이후. 그 기간 이후에, UE(100)는 프로비저닝된 정보 및 그 유효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순간 이전에, UE(100)는 특정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정보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지속 기간의 이러한 정보는 온보딩 절차 동안 또는 NAS 절차와 같은 정상적인 서비스 절차 동안 정확히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UE(100)에 적용 가능할 때를 UE(100)에 나타내는 예시적인 등록 절차를 자격 증명 보유자 또는 SO-SNPN 또는 PS(200c) 또는 DCS(200b) 또는 O-SNPN(200a)에 의해 UE(100)로 송신될 수 있다. UE(100)는 UE(100)에 할당된 지속 기간 동안에만 주어진 SO-SNPN과 같은 프로비저닝된 정보를 사용해야 하며, 즉, UE(100)는 예를 들어 UE(100)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에만 SO-SNPN에 저장된 자격 증명을 사용하여 등록 절차를 개시함으로써 서비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해야 한다. 이 시간은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유효한 기간과 이러한 설정된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유효한 기간 이후, 및 예를 들어 하루 중 어느 시간, 요일, 월 또는 일 년 중 어느 날과 같이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하루 중 시간은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의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설정된 프로비저닝된 정보의 시작 시간 이후 지속 기간 또는 이의 임의의 조합으로 하루 중 시간이 유추될 수도 있다. 또한 UE(100)에서 프로비저닝된 정보의 만료 시간이 있을 수 있다.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 불일치(올바르지 않은 프로비저닝): SO-SNPN이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중 어느 하나가 올바르지 않거나 필요한 파라미터 중 일부가 누락된 것을 식별하면, 이는 UE(100)에 나타내어질 것이다. 이 정보에 따라, UE(100)는 온보딩 절차를 다시 시작할 것이다.
거부 원인 #75 또는 이 SNPN이 "이 SNPN에 대해 영구적으로 허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일부 다른 원인 값: UE(100)는 현재 SNPN의 현재 기본 자격 증명을 선택적으로 삭제해야 한다. UE(100)가 동일한 SNPN 상에서 서비스를 수신하기를 원하는 경우:
1. 그런 다음, UE(100)는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삭제된 경우) 온보딩 절차 상에서 다시 수행해야 한다.
2. UE(100)의 애플리케이션은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삭제되지 않았지만,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시된 경우) 동일한 SNPN 상에서 등록을 다시 트리거하도록 요청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QR 코드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은 사용자 장치(UE)(100)가 네트워크 엔티티(200)로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 UE(100)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UE(100)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UE(10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의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200)는 온보딩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200a), DCS(Default Credential Server)(200B), PS(Provisioning Server)(200c)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200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등록 요청은 온보딩이 수행되도록 요구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 프로비저닝 서버(200b)의 정보 및 DCS(200B)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 및 UE 설정 업데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의 리스트,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 온보딩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및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DCS(200B)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는 것, 현재 O-SNPN(200a)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것, 및 현재 O-SNPN(200a)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 상의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SO-SNPN의 리스트와 함께 타이머가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의된 시간 값 및 정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중 하나 이후에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온보딩을 재시도하는 것, 및 현재 O-SNPN(200a)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고, 현재 O-SNPN(200a)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며, 현재 O-SNPN(200a)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 상의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동작,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는 동작으로서, 이 정보는 DCS(200B)로부터 수신되고, DCS(200B)에 의해 보호되며, UE(100)는 타이머와 연관된 값에 기초하여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는, 상기 시도하지 않는 동작; 온보딩이 허용되는 DCS(20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온보딩이 허용되는 DCS(200B)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고, 현재 O-SNPN(200a)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UE(100)에 의해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DCS(200B)를 지원하는 다른 O-SNPN을 선택하며, 현재 O-SNPN(200a)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에서 DCS(200B) 지원을 사용할 수 없는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동작,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DCS(20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DCS(200B)의 리스트와 함께 타이머가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의된 시간 값 중 하나 이후 또는 정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 어떤 DCS(200B)가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온보딩을 재시도하고, 현재 O-SNPN(200a)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현재 O-SNPN(200a)으로 DCS(200B)를 사용할 수 없는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동작,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DCS(20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고, 현재 O-SNPN(200a)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SEARCH를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모든 DCS(200B)를 지원하는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동작, 및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SO-SNPN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DCS(200B)와 연관된 SO-SNPN에 대해 다시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는 동작으로서, 이 정보는 무결성 보호된 메시지를 사용하여 DCS(200B)로부터 수신되고 보호되며, 정보는 DCS(200B)에 의해 보호되며, UE(100)는 타이머와 연관된 값에 기초하여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는, 상기 시도하지 않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 온보딩 및 등록이 제1 시간 구간까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1 시간 구간,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제2 시간 구간 이후에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2 시간 구간, 및 거부 원인#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온보딩 정보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시하고 제1 시간 구간의 만료 후에 UE(100)로부터의 온보딩 정보를 삭제하는 것, 프로비저닝된 정보를 제2 시간 구간 후에 유효한 것으로서 사용하는 것, SO-SNPN이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올바르지 않고 프로비저닝된 정보와 연관된 필요한 파라미터가 누락되었음을 식별하고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UE(100)에 나타내어질 때 온보딩 절차를 다시 시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 및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삭제된 경우 온보딩 절차를 수행하는 것, 및 거부 원인 #75가 SNPN이 SNPN에 대해 영구적으로 허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UE(100)가 현재 SNPN의 현재 기본 자격 증명을 삭제할 때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삭제되지 않고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시되는 경우 SNPN 상에서 등록을 다시 트리거하기 위해 UE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E(100)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엔티티(200)를 사용하여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UE(100)가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엔티티(200)가 사용자 장치(UE)(100)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네트워크 엔티티(200)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엔티티(200)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200)는 온보딩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 DCS(Default Credential Server)(200B), PS(Provisioning Server)(200c)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200d)를 포함하며, 여기서 등록 요청은 온보딩이 수행되도록 요구되는 SO-SNPN, 프로비저닝 서버(200b)의 정보 및 DCS(200B)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 및 UE 설정 업데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의 리스트,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및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DCS(200B)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 온보딩 및 등록이 제1 시간 구간까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1 시간 구간,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제2 시간 구간 이후에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2 시간 구간, 및 거부 원인#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200)가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엔티티(200)가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엔티티(200)가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200)는 메모리(230), 프로세서(240), 및 메모리(230) 및 프로세서(240)와 결합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210)를 포함하며,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210)는 사용자 장치(UE)(100)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하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0)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도록 설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온보딩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 DCS(Default Credential Server)(200B), PS(Provisioning Server)(200c)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200d)를 포함하며, 여기서 등록 요청은 온보딩이 수행되도록 요구되는 SO-SNPN, 프로비저닝 서버(200b)의 정보 및 DCS(200B)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 및 UE 설정 업데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의 리스트,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O-SNPN(200a)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200B), 및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DCS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 온보딩 및 등록이 제1 시간 구간까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1 시간 구간,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제2 시간 구간 이후에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2 시간 구간, 및 거부 원인#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하는 것은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를 수행하는 것. 및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 메시지를 UE(100)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흐름도(500 및 600)에서의 다양한 동작, 작용, 블록, 단계 등은 제시된 순서로,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 작용, 블록, 단계 등의 일부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생략, 부가, 수정, 스킵(skip)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여 요소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요소는 하드웨어 장치, 또는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제안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UE)가 네트워크 엔티티로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트리거하는 단계;
    상기 UE가 상기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UE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온보딩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 DCS(Default Credential Server), PS(Provisioning Server)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요청은 온보딩이 수행되도록 요구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 프로비저닝 서버의 정보 및 DCS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 및 UE 설정 업데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의 리스트,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O-SNPN(Owner-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상기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 온보딩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DCS(Default Credential Server),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 상기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 및 상기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DCS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는 단계,
    현재 O-SNPN(Owner-Standalone Non-Public Network)으로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및
    현재 O-SNPN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상기 PLMN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O-SNPN 상의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상기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SO-SNPN의 리스트와 함께 타이머가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의된 시간 값 및 상기 정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중 하나 이후에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온보딩을 재시도하는 단계, 및
    현재 O-SNPN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모든 SO-SNPN에 대한 상기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O-SNPN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상기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및
    현재 O-SNPN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O-SNPN 상의 허용된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된 후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상기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는 단계로서, 상기 정보는 DCS(Default Credential Server)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DCS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UE는 타이머와 연관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는, 상기 시도하지 않는 단계;
    온보딩이 허용되는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온보딩이 허용되는 DCS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는 단계,
    현재 O-SNPN으로의 등록 해제 절차 및 PLMN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UE에 의해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DCS를 지원하는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및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PLMN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O-SNPN에서 DCS 지원을 사용할 수 없는 나머지 다른 SO-SNPN에 대한 상기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DCS와 함께 타이머가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정의된 시간 값 중 하나 이후 또는 상기 정보와 연관된 수신된 타이머의 만료 이후에 어떤 DCS가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한 온보딩을 재시도하는 단계, 및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O-SNPN으로 DCS를 사용할 수 없는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상기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의 리스트에 대해 수행된 온보딩을 획득하는 단계, 및
    현재 O-SNPN으로 등록 해제 절차를 수행하고 PLMN 검색을 수행하여 필요한 모든 SO-SNPN에 대한 상기 온보딩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모든 DCS를 지원하는 다른 O-SNPN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DC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SO-SNPN의 리스트에 존재하는 상기 DCS와 연관된 상기 SO-SNPN에 대해 다시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지 않는 단계로서, 상기 정보는 무결성 보호된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DCS로부터 수신되고 보호되며, 상기 정보는 상기 DCS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UE는 타이머와 연관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SO-SNPN에 대해 프로비저닝되도록 시도하는, 상기 시도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 온보딩 및 등록이 제1 시간 구간까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1 시간 구간,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제2 시간 구간 이후에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2 시간 구간, 및 거부 원인#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온보딩 정보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시하고 상기 제1 시간 구간의 만료 후에 상기 UE로부터의 온보딩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상기 프로비저닝된 정보를 상기 제2 시간 구간 후에 유효한 것으로서 사용하는 단계;
    SO-SNPN(Subscription Owner-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이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올바르지 않고 상기 프로비저닝된 정보와 연관된 필요한 파라미터가 누락되었음을 식별하고,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UE에 나타내어질 때 상기 온보딩 절차를 다시 시작하는 단계; 및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삭제된 경우 온보딩 절차를 수행하는 것, 및 상기 거부 원인 #75가 상기 SNPN이 상기 SNPN에 대해 영구적으로 허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상기 UE가 상기 현재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의 현재 기본 자격 증명을 삭제할 때 상기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삭제되지 않고 상기 기본 가입 자격 증명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표시되는 경우 상기 SNPN 상에서 등록을 다시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UE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엔티티를 사용하여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UE가 상기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NAS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가 사용자 장치(UE)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상기 UE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온보딩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 DCS(Default Credential Server), PS(Provisioning Server)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요청은 온보딩이 수행되도록 요구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tandalone Non-Public Network), 프로비저닝 서버의 정보 및 DCS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 및 UE 설정 업데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의 리스트,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O-SNPN(Owner-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상기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DCS(Default Credential Server),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 상기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 및 상기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DCS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 온보딩 및 등록이 제1 시간 구간까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1 시간 구간,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제2 시간 구간 이후에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2 시간 구간, 및 거부 원인#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NAS 메시지를 상기 UE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기 인증 및 보안 관련 절차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NAS 메시지를 상기 U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있어서,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된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보딩 절차 처리 제어부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온보딩 절차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를 상기 UE로 송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도록 설정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는 온보딩 SNPN(Standalone Non-Public Network), DCS(Default Credential Server), PS(Provisioning Server) 및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엔티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요청은 온보딩이 수행되도록 요구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tandalone Non-Public Network), 프로비저닝 서버의 정보 및 DCS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NAS 메시지는 등록 수락 메시지 및 UE 설정 업데이트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SO-SNPN(Subscription Owner-SNPS)의 리스트,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O-SNPN(Owner-Standalone Non-Public Network)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SO-SNPN의 리스트, 상기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SO-SNPN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온보딩이 허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DCS(Default Credential Server),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 상기 O-SNPN을 통해 영구적으로 프로비저닝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DCS, 및 상기 UE가 프로비저닝되도록 허가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DCS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는 불일치 프로비저닝된 파라미터 거부를 나타내는 거부 원인, 온보딩 및 등록이 제1 시간 구간까지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1 시간 구간, 프로비저닝된 정보가 제2 시간 구간 이후에 유효함을 나타내는 제2 시간 구간, 및 거부 원인#7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엔티티.
KR1020237006741A 2020-07-24 2021-07-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44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041031839 2020-07-24
IN202041031839??? 2020-07-24
IN202041031839 2021-07-19
PCT/KR2021/009596 WO2022019723A1 (en) 2020-07-24 2021-07-23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on-boarding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479A true KR20230044479A (ko) 2023-04-04

Family

ID=7968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741A KR20230044479A (ko) 2020-07-24 2021-07-23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71934B2 (ko)
KR (1) KR20230044479A (ko)
WO (1) WO2022019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8909B2 (en) * 2021-09-21 2023-12-19 Nokia Technologies Oy Restricting onboard traffic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516A1 (ko) * 2017-03-20 2018-09-27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as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10058784A1 (en) * 2019-11-08 2021-02-25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onboarding based on default manufacturer credentials unlicensed
US11622272B2 (en) * 2020-01-07 2023-04-04 Qualcomm Incorporated Restricted access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30539A1 (en) 2022-01-27
WO2022019723A1 (en) 2022-01-27
US11671934B2 (en)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6426B1 (en) Network policy configuration
WO2018079691A1 (ja) 通信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装置、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US11490351B2 (en) Efficient PLMN selection upon authentication failure for each network slice in roaming network
US2023030061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secur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18265334B2 (en) Selection of IP version
CN112566050A (zh) 附件无线设备的蜂窝服务账户转移
US20240179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ecurity policies in v2x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322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kma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24181A (ko) 폐쇄형 액세스 그룹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EP38263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working of network slices subject to nssa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78002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lice-specific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in network
US202100514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management, and pro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03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multiple eSIM profiles
KR20230044479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온보딩 절차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632072A1 (en) User authentication in wireless access network
KR2021008738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202106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kma key refresh mechanism in wireless network
US11770762B2 (en) Processing NSSAA failure caused by network error or timeout
US20230370840A1 (en) Method, ue, and network entity for handling synchronization of security key in wireless network
KR20210055721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등록 영역 내에서 등록 절차를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사용자 장치
KR20220018882A (ko) 복수 개의 eSIM 프로파일을 설치,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01889A1 (zh) V2x策略请求方法及装置
US202401878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 MANAGING MULTIPLE eSIM PROFILES
US20240154803A1 (en) Rekeying in authentication and key management for applications in communication network
US20230397092A1 (en) Processing of nssai rejected due to nssaa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