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371A -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Hom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371A
KR20230044371A KR1020230036594A KR20230036594A KR20230044371A KR 20230044371 A KR20230044371 A KR 20230044371A KR 1020230036594 A KR1020230036594 A KR 1020230036594A KR 20230036594 A KR20230036594 A KR 20230036594A KR 20230044371 A KR20230044371 A KR 2023004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light
unit
home applian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훈
김훈
김민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4371A/en
Publication of KR2023004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3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appliance that has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improving assemblyability and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comprises: a manipulation unit including a touch part for user touch operation and a display par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us; a substrate installed behind the manipulation unit; a light emitting member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facing the display part; a gui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anipulation unit and the substrate and forming a light hole for guiding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to the display part; a touch sensor installed on the substrate facing the touch part; and a sensing member connecting the touch sensor and the touch part. The manipulation un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blocking layer that blocks light transmission is formed in the remaining areas except the display part.

Description

가전기기 {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s { HOME APPLIANCE }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me appliances.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low-temperature storage of food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cool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ol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ng cycle, thereby storing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Recently, refrigerators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and more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he trend of high-end products. .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는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펜서를 통해서 필터장치에 의해 정수된 물을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아이스 메이커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을 통해서 얼음을 취출할 수도 있다.A dispenser operable from the outside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water purified by a filter device may be dispensed through the dispenser. Also, the dispenser may be connected to an ice maker where ice is made, and ice may be taken out through operation of the dispenser.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의 조작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펜서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Also,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and operating states of the dispens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enser.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5383호에는 디스펜서의 일측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터치 조작하는 조작부와, 냉장고의 동작 상태와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5383 discloses a structure including a display assembly mounted on one side of a dispenser and having a control unit for a user to touch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and setting state of the refrigerator. there is.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깨끗한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디스펜서와 연결된 배관 또는 탱크를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 처리 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evice for sterilizing a pipe or a tank connected to the dispenser using ultraviolet rays may be provided so that clean water can be dispensed through the dispenser.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95996호에는 디스펜서에서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노즐관의 일측에 노즐관 내부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이 구비되어 노즐관 내부를 살균하는 디스펜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5996 discloses a dispenser structure in which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inside of the nozzle pipe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nozzle pipe from which purified water is taken out from the dispenser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nozzle pipe. has been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별도 제공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별도 구성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디스펜서 일측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자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외관이 상대적으로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display assembly is separate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resulting in poor assembly and productivity. In addition, since a display assembly configured separately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ispenser, the size of the display itself increases, resulting in a relatively unclean appearance.

그리고, 디스펜서의 외측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별도로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통한 전체적인 조작과 상태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직관적인 사용자의 조작 유도와 상태의 표시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assembly is separately disposed outside the dispenser, and overall manipulation and status display are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assembly,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guide the user's operation and display the status.

특히, 노즐관의 살균 상태 또는 노즐관 살균의 동작을 직관적으로 보일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사용자에게 동작의 신뢰성 및 위생 상태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in that operation reliability and sanitary conditions cannot be conveyed to the user because there is no structure that can intuitively show the sterilization state of the nozzle tube or the operation of the nozzle tube sterilization.

그리고, 노즐관의 살균을 위한 구성이 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거나, 고정 또는 파손된 경우에도 이를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even when the configuration for sterilizing the nozzle tube does not operate normally, or is fixed or damaged, it cannot be recognize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조가 간결하고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having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and thus improving assemblyability and productivity.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관 구조가 간결하고 깔끔하게 보일 수 있는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that can have a simple and clean exterior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직관적인 사용자의 조작 유도와 상태 표시가 가능한 가전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appliance capable of intuitively inducing a user's operation and displaying a sta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전 기기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부와, 조작 상태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가 함께 형성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후방에 설치된 기판; 상기 표시부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의 전면에 설치된 발광부재; 상기 조작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기 위한 라이트 홀을 형성한 가이드부재; 상기 터치부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부를 연결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층이 형성될 수 있다.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med with a touch unit for a user's touch oper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a board installed behind the control unit; a light emitting member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facing the display unit; a gui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anipulation unit and the substrate and having a light hole for guid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to the display unit; a touch sensor installed on the substrate facing the touch unit; and a sensing member connecting the touch sensor and the touch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blocking layer blocking light transmission may be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재가 온되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is formed to transmit light, and can be displayed externally when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turned on.

상기 표시부는 다수의 미세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재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부재가 켜진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fine holes, and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invisible when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turned off compared to when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turned on.

상기 표시부는 상기 터치부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in an area of the touch unit.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를 포함한 외관을 형성하는 터치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층은 상기 터치 케이스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단층을 국부적으로 제거하여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t is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and further includes a touch case forming an exteri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the blocking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touch case, and the display unit can transmit light by locally removing the blocking layer. can be formed to

상기 차단층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동일한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layer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exture as the outer plate forming the exterior.

상기 조작부의 외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이 돌출되고 양측방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the center protrudes and may be formed toward the rear toward both sides.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면이 상기 조작부와 접하고, 후면이 상기 기판과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와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may have a fron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anipulation unit and a rea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member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unit.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터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감지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hole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and accommodating the sensing member may be formed in the guide member.

상기 기판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기판의 결합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기판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홀의 후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조작부와 접할 수 있다.The substrate is coupled to the guide member, and when the substrate is coupled, the sensing member may be insert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hole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substrat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nsing member.

상기 감지부재의 전면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결합시 탄성변형 되면서 상기 조작부에 밀착될 수 있다.A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member protrudes more than a front surface of the guide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anipulation unit and the guide member are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nipulation unit.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조작부의 배면에 밀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 표면의 정전기를 상기 터치 센서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nsing member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and a transmission memb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ransmitting static electricity on a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to the touch sensor, wherein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터치 기판에서 상기 조작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 상기 기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protrude from the substrate more than a distance between the touch substrate and the manipulation unit.

상기 전달부재는 플렉시블한 구조의 금속 박막 또는 전도성 필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formed of a metal thin film or conductive film material having a flexible structure.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전면과 좌우 양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전달부재의 단부는 상기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member extends along the front surface and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elastic member, and an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일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a capacitive touch sensor.

상기 터치부는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un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the sens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상기 조작부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 부재와 결합되는 다수의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ooks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and coupled to the guy member may be formed.

상기 기판을 후방에서 관통하여 상기 조작부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체결시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이드부재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screw that penetrates the substrate from the rear and is fastened to the manipulation unit, and when the screw is fastened, the manipulation unit and the guide member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라운드진 곡면 형상의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배면에 터치 장치가 밀착 배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용이하게 인식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device is close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uch assembly having a rounded curved surface, so that a user's touch manipula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그리고,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는 터치부와 함께 상기 디스펜서의 설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투명한 소재의 터치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차단층을 일부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tting state of the dispenser may be further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touch assembly along with a touch unit for inducing a user's touch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by partially removing a blocking lay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cas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따라서, 직접 타공 없이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미세한 홀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미세하고 균일한 크기의 개구로 구성된 표시부의 성형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without direct perforation, an effect similar to a fine hole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of the touch assembly is transmitted may be obtained, and a display portion formed of fine and uniformly sized openings may be 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장착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디스펜서의 취출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디스펜서의 일 구성인 터치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디스펜서의 일 구성인 라이팅 어셈블리와 아이스 슈트 및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와 아이스 슈트 및 노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라이트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확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어퍼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 18은 도 11의 XVII-XVIII' 절개 사시도이다.
도 19은 도 2의 XIX-XIX'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디스펜서의 얼음 취출 조작시의 상기 취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와 확산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XXII-XXII' 단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디스펜서의 물 취출 조작시의 상기 취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상기 디스펜서의 노즐 살균 동작시의 상기 취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라이트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mounted on a door of the refrigerator.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ejection portion of the dispense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assembly,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dispenser, viewed from the rea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assembly.
FIG. 7 is a VII-V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lighting assembly, an ice chute, and a nozzle assembly, which are components of the dispenser.
9 is an IX-IX′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assembly, ice chute, and nozzle assembly.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assembly.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assembled lighting assembly viewed from the front.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assembled lighting assembly viewed from below.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guide,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lighting assembly.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ffusion member,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lighting assembly.
16 is a plan view of an upper body, which is a component of the lighting assembly.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1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1 cut away from XVII-XVIII'.
FIG. 19 is a XIX-XIX' sectional view of FIG. 2 .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ispensing unit when the ice dispensing operation of the dispenser is performed.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light guide and the diffusion member.
FIG. 22 is a XXII-XX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21 .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ispensing unit when the dispenser is dispensing water.
2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ejection unit during nozzle sterilization operation of the dispenser.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light guid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d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components. can sugges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한쌍의 도어가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바이사이드타입(또는 양문형)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ide-by-side type (or double-door type) refrigerator in which a pair of doors are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Please note in advance that it can be applied to the refrigerator.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에서 도어의 아웃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후측 방향을 후방,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상기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이라고 할 수 있다.Define direction before description. In FIG. 1 ,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plate of the door is provided is forward, the rear direction based on the outer plate is rear, the direction toward the floor where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s downward, an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loor where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s upward. can be sai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10 coupled to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

상기 도어(10)는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된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캐비닛의 저장 공간은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10)는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1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may open and close a spac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by rotation. For example, the storage space of the cabinet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o form a freezing chamber and a refrigerating chamber, and the door 10 may include a freezing chamber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hamber and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

상기 도어(10)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도어(10)의 전면은 아웃 플레이트(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11)는 일 예로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oor 10 may form most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1. To form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1,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0 may be formed by the outer plate 11. The outer plate 11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or a material having a metallic texture.

그리고, 상기 도어(10)에는 디스펜서(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도어(10)가 닫혀진 상태에서 외부에서 정수된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Also, a dispenser 20 may be provided at the door 10 . The dispenser 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10 to take out purified water from the outside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10 .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 및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웃 플레이트(11)가 금속 소재로 형성된 경우 상기 디스펜서(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주요 구성들은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되 표면에 금속 질감의 코팅 또는 필름이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penser 2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color and texture to the outer plate 11 so as to harmonize with the outer plate 11 . For example, when the outer plate 1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main components forming the exterior of the dispenser 20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and a metal texture coating or film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there is.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방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2)는 상기 디스펜서(20)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을 통해 얼음을 취출하도록 할 수 있다.An ice maker 12 for making and storing ice may be provided above the dispenser 20, and the ice maker 12 is connected to the dispenser 20 to make ice through manipulation of the dispenser 20. can be made to be extracted.

상기 아이스 메이커(12)는 냉동실의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냉동실 도어의 후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0)가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아이스 메이커(12)는 상기 냉장실 도어 배면의 단열된 제빙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ice maker 12 may be provided inside the freezing compartment or behind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Also, when the dispenser 20 is provided o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he ice maker 1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sulated ice making compartment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한편, 상기 디스펜서(2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고 동작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enser 20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a user's manipulation is easy, and the dispenser 20 may be configured to be easily manipulated by a user and display an operating state.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2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장착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디스펜서의 취출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도면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enser mounted on a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ejection portion of the dispens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20)는 상기 도어(1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에서 조작을 통해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enser 20 is mount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10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ense water or ice through manipulation in a space sunk inward.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20)는 함몰 공간(210)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케이스(21)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의 개구를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에 의해 사용자가 컵 또는 용기를 접근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In detail, the dispenser case 21 forming the recessed space 210 of the dispenser 20 may be mounted such that the opening of the outer plate 11 is shielded. The dispenser case 21 can form a space where a user can access a cup or container, and can provide a space where water or ice can be taken out.

그리고, 상기 함몰 공간(210)의 내측면 중앙에는 레버(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22)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0)를 통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레버(22)는 하단을 축으로 상단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nd, the lever 22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ed space 210 . Dispensing of water or ice through the dispenser 20 may be initiated by manipulating the lever 22 . The upper end of the lever 22 can be rotated around the lower end, and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dispenser case 21 .

그리고, 상기 레버(22)의 수직 상방에 얼음이 배출되는 아이스 슈트(24)의 출구(241)가 배치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전단에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부(2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22)와 아이스 슈트(24) 및 출수부(25)의 중심은 동일한 수직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컵 또는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레버(22)를 조작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출수부(25)을 통해 배출되는 얼음 또는 물이 컵 또는 용기로 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241 of the ice chute 24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is disposed vertically above the lever 22, and the water outlet 25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ice chute 24. can be placed. That is, the centers of the lever 22, the ice chute 24, and the water outlet 25 may be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plane. Accordingly, when the lever 22 is operated using a cup or container, the ice or water naturally discharged through the ice chute 24 and the water outlet 25 may be directed to the cup or container.

그리고, 상기 레버(22)의 수직 상방에는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에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설정 상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bove the lever 22 . A setting state of the dispenser 20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assembly 30, and a user's touch manipulation may be input.

상세히,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부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전방에서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touch assembly 30 may be located above the lighting assembly 40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dispenser 20 . Also, the touch assembly 30 may form part of an upper exterior of the dispenser 20 . The ice chute 24 may be disposed inside the touch assembly 30 and may be configured to shield the ice chute 24 from the front.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는 전방에서 볼 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진 전면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부(316)와 조작 상태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315)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ouch assembly 30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a touch unit 316 for a user's touch manipulation and a display unit 315 for displaying a manipulation state are disposed on the rounded front surface. can

상기 터치부(316)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의 기능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전면에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조작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16)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터치부(316)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unit 316 can set the function of the dispenser by a user's touch manipulation, and can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assembly 30 so that the manipulation position can be confirmed by printing or surface processing. The touch unit 316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rts, and the display unit 315 may include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316 .

일 예로, 상기 터치부(316)는 가로 방향으로 연속 배치된 세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큐브 상태의 얼음, 정수된 물, 분쇄 상태의 얼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16)는 선택되는 대상이 그림 또는 문자의 형태로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선택 대상을 확인하고 조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각각의 상기 터치부(316)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터치부(316)에 대응하는 표시부(315)가 빛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 및 설정 상태를 가시화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uch unit 316 may be composed of three parts continuously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select cube-shaped ice, purified water, and crushed ice, respectively. The touch unit 316 is configured to display a selected object in the form of a picture or text, and may induce the user to intuitively check and manipulate the selected object. Also, the display unit 315 may be formed above each of the touch units 316, and the display unit 315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316 selected by the user is configured to shine so that the user operates and sets the state. can be visualized.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부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 또한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하단이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노즐 어셈블리(5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 및 이들의 내부에 구비된 구성들을 포함하여 취출부(27)라 부를 수도 있다.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touch assembly to form a part of the upper exterior of the dispenser 20 .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also be formed in a round shap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ower end of the touch assembly 30 may be extended.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provided in a coupled state, and the ice chute 24 and the nozzle assembly 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ghting assembly 40 . Therefore,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and components provided therein may be referred to as the take-out part 27 .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상기 출수부(25)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몰 공간(210)을 통해서 노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ce chute 24 and the water outlet 25 protrude more downward than the lower end of the lighting assembly 40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exposed through the recessed space 210 .

한편,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링 라이트(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 라이트(730)는 상기 디스펜서(2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확산부재(7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 라이트(730)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하단과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부(27)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발광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include a ring light 730 . The ring light 730 can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penser 20 and can be configured as a part of a diffusion member 70 to be described below. Also, the ring light 73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ighting assembly 40 . For example,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dispos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touch assembly 30 and a lower end of the lighting assembly 40, and light may be emit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jection part 27. .

상기 링 라이트(730)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 라이트(730)는 전체 중 일부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노출되지 않게 된다.The ring light 7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 In addition, only a part of the ring light 7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ighting assembly 40 are disposed inside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ill not become

그리고, 상기 링 라이트(730)는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으며, 발광되는 패턴, 또는 발광 상태 변화 연계되어 상기 냉장고(1) 및 디스펜서의 동작 상태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ng light 730 may emit light in various colors, and display operation states of the refrigerator 1 and the dispenser in various ways in association with a light emission pattern or a change in light emission state.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2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ispenser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상기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20)는 전체적으로, 디스펜서 케이스(21)와, 터치 어셈블리(30) 및 라이팅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enser 20 may include a dispenser case 21, a touch assembly 30, and a lighting assembly 40 as a whole.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를 포함한 다양한 구성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는 상기 함몰 공간(210)을 형성하는 내측면을 형성하는 함몰부(211)와, 상기 함몰부(2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케이스 테두리(212)를 포함 할 수 있다. The dispenser case 21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dispenser 20, and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mounted therein. The dispenser case 21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211 forming an inner surface forming the recessed space 210 and a case edge 212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211. can

상기 케이스 테두리(21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테두리(212)와 상기 함몰부(211)의 둘레 사이에는 플레이트 삽입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삽입홈(213)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의 개구 둘레를 따라 절곡된 단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ase edge 21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plate 11 . A plate insertion groove 213 may be formed between the case rim 212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recessed portion 211 . An end ben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of the outer plate 11 may be inserted into the plate insertion groove 213, and the outer plate 11 and the dispenser case 2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함몰부(211)는 상기 함몰 공간(21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함몰 공간(210)은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211)의 후벽면에는 상기 레버(22)가 장착되는 레버 장착부(21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22)는 상기 레버 장착부(214)의 내측에서 하단이 축결합되어 상단을 눌러 회전 조작할 수 있으며, 스프링(도 19에서 221)에 의해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22)는 조작 후 상기 스프링(221)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22)의 미조작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22)의 상단은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후면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Also, the recessed portion 211 may provide the recessed space 210 . The recessed space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widths become narrower toward the rear, and the lever mounting portion 214 on which the lever 22 is mounted may be recessed on the rear wall of the recessed portion 211. there is. The lower end of the lever 22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ever mounting portion 214 so that the upper end can be pressed and rotated, and the lever 22 can be supported from the rear by a spring (221 in FIG. 19). Therefore, the lever 22 can be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21 after manipulation. Also, when the lever 22 is not operated, the upper end of the lever 22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ice chute 24 .

그리고, 상기 함몰부(211)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가 장착되는 터치 장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장착부(215)는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터치 케이스(3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ouch mounting parts 215 to which the touch assembly 30 is mounted may be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of the recessed part 211 . The touch mounting portion 215 may be recessed, and may be formed such that an end of the touch case 31 constituting the touch assembly 30 is inserted.

그리고, 상기 함몰부(211)의 후면에는 슈트 지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슈트 지지부(216)는 상기 레버 장착부(214)의 상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후면이 안착되도록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슈트(24)는 상기 취출부(27) 내측에서 안정적인 지지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chute support part 216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cessed part 211 . The chute support part 216 may be formed above the lever mounting part 214 and may be recessed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ice chute 24 is seated therein. Therefore, the ice chute 24 can be mounted in a stable supported state inside the take-out part 27 and can maintain an accurate mounting position.

그리고, 상기 슈트 지지부(216)의 상방에는 라이팅 장착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후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 후단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후단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라이팅 모듈(42)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 lighting mounting portion 217 may be formed above the chute support portion 216 . The lighting assembly mounting portion 217 may be recessed backwar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ighting assembly 40 can be inserted. Also, the lighting assembly mounting portion 217 may be recess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rear end of the lighting assembly 40 so as to accommodate the rear end of the lighting assembly 40 . Accordingly, the rear end of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inserted and mounted into the lighting assembly mounting portion 217 . In addition, the lighting assembly mounting portion 217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lighting module 42 constituting the lighting assembly 40 can be accommodated.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의 상면에는 연결 통로(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통로(2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2)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20)로 취출되기 위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12) 상면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통로(23)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2)와 상기 디스펜서(2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connection passage 23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ispenser case 21 . The connection passage 23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12 moves to be dispensed to the dispenser 20, and may extend obliquely backward a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er 12. there is. That is, the connection passage 23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ice maker 12 and the dispenser 20 .

그리고, 상기 연결 통로(23)의 개구된 하면은 얼음 출구(23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얼음 출구(231)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의 상방 즉, 상기 함몰부(2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출구(231)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통로(23)를 따라 이동된 얼음은 상기 함몰 공간(210)의 내측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Also, an open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ssage 23 may form an ice outlet 231, and the ice outlet 231 is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ing assembly mounting portion 217, that is, an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211. can be formed in The ice outlet 231 may communicate with the ice chute 24 . Accordingly, the ice moved along the connection passage 23 may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recessed space 210 through the ice chute 24 .

한편, 상기 연결 통로(23)가 형성된 상기 함몰부(211)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211) 상면에는 상기 연결 통로(23)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셔터(26)는 상단이 축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의 얼음 취출 조작시에만 개방되어 상기 연결 통로(23)를 통해 얼음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도 19에서 26)는 얼음 배출 동작 이외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n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211 where the connection passage 23 is formed may be inclined, and a shutter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assage 2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211. there is. The shutter 26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an upper end coupled thereto, and may be opened only when the dispenser 20 is operated to take out ice so that ic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23 . In addition, the shutter (26 in FIG. 19) maintains a closed state except for the ice dispensing operation, so that leakage of cold air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도하여,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touch assembly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5는 상기 디스펜서의 일 구성인 터치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터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의 VII-VII' 단면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assembly,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dispenser, viewed from the rea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uch assembly. And, FIG. 7 is a VII-V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터치 어셈블리(30)는 전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터치 케이스(31)와, 상기 터치 케이스(31)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하는 터치 장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ouch assembly 30 includes a touch case 31 forming an overall appearance and a touch device 32 provided inside the touch case 31 to recognize a user's touch manipulation. can include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상단의 외형 및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위한 취출부(27)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복잡한 외관 형상과 장착 구조의 구현을 위해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상기 취출부(27)의 상부를 형성하므로 어퍼 케이스라 부를 수도 있다. The touch case 31 may be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top of the dispenser 20 and the take-out part 27 for a user's touch manipulation. The touch case 31 may be injection-molded with a plastic material in order to implement a complex exterior shape and mounting structure. Since the touch case 31 forms an upper part of the take-out part 27, i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upper case.

그리고,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전면부(311)와 하면부(312) 그리고 조작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상기 조작부(313)가 다른 구성과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lso, the touch case 31 may include a front part 311 , a bottom part 312 , and a control part 313 . Of course, if necessary, the touch case 31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control unit 313 with other components.

상세히, 상기 전면부(311)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전면 상단을 형성하며, 상기 함몰 공간(210)의 상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311)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전면부 결합 돌기(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결합 돌기(311a)는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와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front part 311 may form the top of the front of the dispenser 20 and the top of the recessed space 210 . Also, a plurality of front coupling protrusions 311a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portion 311 . The front coupling protrusion 311a may be formed in a hook-like shape and coupled to the dispenser case 21 .

상기 전면부(311) 하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면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312)는 상기 전면부(311)의 하단에서 상기 함몰부(211)의 후면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의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함몰 공간(2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312)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하면부 결합 돌기(312a)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A bottom portion 312 extending rearward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311 . The lower surface portion 312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311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211, and divides the inside of the dispenser case 21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space 210. can form In addition, a lower surface portion coupling protrusion 312a extending rearwar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312 to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enser case 21 .

한편, 상기 하면부(312)의 중앙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배치를 위해 개구(31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312b)의 둘레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조작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3)는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전방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취출부(27)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an opening 312b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312 for disposing of the ice chute 24, and a control unit 313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312b is formed. It can be. The manipulation part 31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ice chute 24 from the front and may form an upper part of the take-out part 27 .

상기 조작부(313)는 상기 터치부(316) 및 표시부(315)가 형성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13)의 외측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이 돌출되고 양측방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3)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13)의 하단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3 may extend downward to a sufficient length to form the touch unit 316 and the display unit 315 .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the center protrudes and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toward the rear toward both sides. The control unit 313 may extend downward, and a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313 may extend up to the lighting assembly 40 .

상기 조작부(313)에는 터치부(316)와 표시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316)는 상기 조작부(313)의 표면에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부(316)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터치부(316) 조작시 상기 감지부재(35)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A touch unit 316 and a display unit 315 may be formed on the control unit 313 . The touch unit 316 may be formed to induce a user's touch operation by printing or surface processing on th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 Also, the touch unit 316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member 35 of the touch device 32 . Accordingly,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touch unit 316, the sensing member 35 can recognize the user's touch manipulation.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터치부(316)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장치(32)에 구비된 발광부재(33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5)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331)가 온된면,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면서 빛나게 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 또는 설정 상태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The display unit 315 may be located above the touch unit 316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provided in the touch device 32 . The display unit 315 is configured to transmit light, and therefore, when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is turned 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transmits and shines to display the user's touch operation or setting state. becomes possible

상기 표시부(315)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층(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층(314)은 코팅, 도색 또는 필름 부착, 인쇄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15 may be formed to transmit light. To this end, the touch case 31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In addition, a blocking layer 314 blocking transmission of light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display unit 315 . The blocking layer 314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coating, painting or film attachment, and printing.

일 예로, 상기 차단층(314)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터치 케이스(31)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315)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상기 차단층(314)을 국부적으로 제거하여 빛의 투과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공을 통해 상기 표시부(315)는 매우 미세한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는 하나의 터치부(316)당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15)는 다수의 스팟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locking layer 314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ouch case 31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the display unit 315 may locally remove the blocking layer 314 through laser processing or the like. It can be formed in a form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Through this processing, the display unit 315 may be formed in a very fine hole shape. 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315 may be formed per one touch unit 316 . Also, the display unit 315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pot shapes, may be formed in an arbitrary shape, or may be formed in a specific shape as needed.

상기 차단층(314)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금속 소재의 아웃 플레이트(11)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차단층(314)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터치 케이스(31)는 상기 도어(10)와 보다 일체감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The blocking layer 314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texture as that of the outer plate 11 . For example, the blocking layer 314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color as the outer plate 11 so as to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outer plate 11 made of metal. A more integrated appearance with the door 10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표시부(315)는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고, 레이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차단층(314)의 제거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331)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부(315)가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재(331)가 켜진 상태에서만 상기 표시부(315)가 외부에서 명확하게 식별 가능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315 may be formed in a fine size, and the degree of removal of the blocking layer 314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laser.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is turned off, the display unit 315 can be hidden from the outside, and the display unit 315 can be clear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is turned on. .

물론, 상기 표시부(315)는 상기 터치부(316)와 일체화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터치부(316)의 영역에 상기 터치부(316)와 동일 형상으로 상기 표시부(315)가 형성되어 발광부재(331)가 켜지게 되면, 상기 터치부(316)의 형상이 발게 빛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display unit 315 may be integrated with the touch unit 316 . 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315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touch unit 316 in the area of the touch unit 316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is turned on, the shape of the touch unit 316 shines brightly. It may be configured as a list.

그리고,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와 결합되기 위한 케이스 결합 돌기(313a)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 돌기(313a)는 좌우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결합 돌기(313a)는 상기 조작부(313) 중 곡면으로 된 전면과 직선으로 된 양측면이 서로 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 돌기(313a)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바디 구속홈(412b)에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ase coupling protrusion 313a for coupling with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 The case coupling protrusions 313a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lso, the case coupling protrusion 313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a curved front surface and straight side surfaces of the manipulation unit 313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ase coupling protrusions 313a protrude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to be engaged and constrained in a body restraining groove 412b to be described below.

그리고,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는 더 상기 터치 장치(32)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 후크(3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후크(313b)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상단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장착을 위한 스크류(36)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36)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하단 좌우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장치(32)는 곡면 형상의 상기 조작부(313)의 후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Further, a mounting hook 313b for mounting the touch device 32 may b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 The mounting part hook 313b may restrain the upper end of the touch device 32 . Further, a screw fastening part (not shown) to which a screw 36 for mounting the touch device 32 is fastene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 The screw 36 may pass throug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touch device 32 and be fastened to the screw fastening part. Accordingly, the touch device 32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rved control unit 313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it.

상기 터치 장치(32)는 상기 터치부(316)의 조작을 인식하고, 상기 표시부(315)를 통해 빛이 투과되어 조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장치(32)는 터치 센서(332)와 상기 발광부재(331)가 장착된 터치 기판(33)과, 상기 터치 기판(33)의 전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device 32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manipulation of the touch unit 316 and transmit light through the display unit 315 to display a manipulation state. The touch device 32 may include a touch substrate 33 on which the touch sensor 332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are mounted, and a guide member 34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ubstrate 33. .

상세히, 상기 터치 기판(33)은 상기 터치 장치(32)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재(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35)는 상기 터치부(316)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감지부재(35)가 구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감지부재(35)의 수는 상기 터치부(316)의 구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touch substrate 33 may form a rear surface of the touch device 32 and the sensing member 35 may be mounted thereto. The sensing member 3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316 . In this embodiment, three sensing members 35 ar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number of the sensing members 35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unit 316 .

상기 감지부재(35)는 터치 센서(332)와, 탄성부재(351) 그리고 전달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332)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332)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316)를 터치할 때의 정전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센서(332)는 상기 터치 기판(3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달부재(3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센서(332)는 상기 터치 기판(33)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조작부(313)상에 형성된 터치부(316)를 사용자가 조작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351) 및 전달부재(352)에 의해 효과적인 터치 조작의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The sensing member 35 may include a touch sensor 332 , an elastic member 351 , and a transmission member 352 . The touch sensor 332 is a capacitive touch sensor 332 and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static electricity when a user touches the touch unit 316 . Also, the touch sensor 332 may be provided on the touch substrate 33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352 .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33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ouch substrate 33 . Therefore, even if the user manipulates the touch unit 316 formed on the curved control unit 313, the touch operation can be effectively sensed by the elastic member 351 and the transmission member 352.

상세히, 상기 터치 센서(332)의 전방에는 탄성부재(3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51)는 스폰지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1)는 상기 터치 기판(33)에서 상기 조작부(313) 까지의 거리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장치(32)의 장착시 상기 탄성부재(351)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In detail, an elastic member 35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ouch sensor 332 . The elastic member 351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a sponge, and may be formed in a block shape. Also, the elastic member 351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a distance from the touch substrate 33 to the control unit 313 . Therefore, when the touch device 32 is mounted, the elastic member 351 can be completely adhe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rved control unit 313 .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1)의 외측면에는 전달부재(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352)는 상기 조작부(313) 표면의 정전기를 상기 터치 센서(332)로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5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51)의 변형시 함께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352)는 얇은 금속 박막 또는 전도성 필름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Also, a transmission member 352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51 . The transfer member 35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ferring static electricity on th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to the touch sensor 332 . And, it may be formed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51,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together when the elastic member 351 is deformed.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member 352 may be formed of a thin metal film or a conductive film material, and may be formed to have a flexible structure.

상기 전달부재(352)는 상기 탄성부재(351)를 따라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터치 기판(3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과 상기 터치 키판(33)의 터치 센서(332)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달부재(352)는 상기 탄성부재(351)의 전면과 좌우 양측면을 따라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51)의 후면은 상기 터치 기판(33)에 용접 등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The transfer member 352 may be disposed along the elastic member 351 and may have an end connected to the touch substrate 33 . Accordingly,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and the touch sensor 332 of the touch key board 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member 352 may be dispos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51 along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351 is attached to the touch substrate 33 by welding or the like. It can be.

상기 터치 기판(33)에는 발광부재(3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331)는 각각의 상기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331)는 상기 감지부재(35)에 의한 사용자의 터치 감지시 해당되는 발광부재(331)가 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331)는 일 예로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A light emitting member 331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touch substrate 33 .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corresponding sensing member 35 .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member 331 when a user's touch is sensed by the sensing member 35 .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may be composed of an LED, for example.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상기 터치 기판(3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상기 터치 장치(32)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장치(3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기판(33)과 상기 조작부(313) 배면 사이를 채우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guide member 34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ubstrate 33 . The guide member 34 may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device 32, and is configured to fill a space between the touch substrate 33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in a state where the touch device 32 is mounted. It can be.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표시부(315)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4)는 상기 감지부재(35)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Also, the guide member 34 may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to the display unit 315 . Also, the guide member 34 may guide the sensing member 35 to maintain a mounted state in an accurate position.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재(34)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과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장치(32)의 장착시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4)의 둘레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기판(33)의 전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member 34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and when the touch device 32 is mounted, it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there is. Also, a circumference of the guide member 34 may extend rearward and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ubstrate 33 .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4)의 상면에는 상기 장착부 후크(313b)가 결합되는 후크 결합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기판(33)의 하단에는 상기 스크류(36)가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36)는 스크류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터치 장치(32)가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Also, a hook coupling portion 343 to which the mounting portion hook 313b is coupled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34 . Further, the screw 36 may pas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ouch substrate 33, and the screw 36 is fastened to the screw fastening part so that the touch device 32 closely adheres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It can be installed in a fixed state.

상기 가이드부재(34)에는 가이드 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341)은 상기 터치부(316) 및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며, 내부에 상기 감지부재(35)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341)은 상기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51)가 탄성 변형되더라도 상기 감지부재(35)가 배치 위치를 벗어나거나 이상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 guide hole 341 may be formed in the guide member 34 . The guide hole 341 is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316 and the sensing member 35, and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sensing member 35 is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guide hole 341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nsing member 35, and even if the elastic member 351 is elastically deformed, the sensing member 35 is out of the arrangement position or abnormally deformed.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즉, 상기 감지부재(35)는 상기 터치 기판(3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홀(341)의 개구된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장치(32)가 장착될 때, 상기 감지부재(35)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313)의 배면과 접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부재(35)는 상기 가이드 홀(341) 내에서 압축되어 상기 터치부(316) 조작의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That is, the sensing member 35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more than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guide hole 341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touch substrate 33, and the touch device 32 may be mounted thereon. In this case,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member 35 may be deformed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313 . At this time, the sensing member 35 is compressed in the guide hole 341 to maintain a position where manipulation of the touch unit 316 can be accurately sensed.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341)의 상방에는 라이트 홀(3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홀(342)은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새지 않고 상기 표시부로 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터치 기판(33)의 전면에서 상기 조작부(313) 배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331)는 상기 가이드 홀(34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홀(342)은 상기 표시부(315)와 상기 발광부재(331) 사이에 빛이 조사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A light hole 342 may be formed above the guide hole 341 . The light hole 342 is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toward the display unit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and extend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ubstrate 33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can Also,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may be located inside the guide hole 341 . The light hole 342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light is irradiated between the display unit 315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316)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감지부재(35)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부재(35)와 대응하는 상기 발광부재(331)가 온되어 상기 표시부(315)로 빛을 조사하게 되어 상기 표시부(315)를 밝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15)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20)의 조작 상태 및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unit 316, the sensing member 35 senses the user's touch,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member 35 is turned on. Light is irradiated to the display unit 315 to illuminate the display unit 315 . Also, the user can check the operating state and setting state of the dispenser 20 through the display unit 315 .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 및 상기 라이트 어셈블리(40)의 인접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light assembly 40 and the adjacent configuration of the light assembly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8은 상기 디스펜서의 일 구성인 라이팅 어셈블리와 아이스 슈트 및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3의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와 아이스 슈트 및 노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lighting assembly, an ice chute, and a nozzle assembly, which are components of the dispenser. And, FIG. 9 is an IX-IX' sectional view of FIG. 3 .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assembly, ice chute, and nozzle assembl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에 후단이 고정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상기 노즐(55)이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rear end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dispenser case 21 . In addition, the ice chute 24 and the nozzle 55 may be mounted on the lighting assembly 40 .

상기 아이스 슈트(24)는 상하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연결 통로(23)를 통해 배출되는 얼음이 지나는 공간(2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개구된 상단은 상기 연결 통로(23)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통로(23)의 단부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상부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ice chute 24 may be formed in a shape opened up and down, and a space 240 through which ice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23 passes may be formed therein. Also, an open top of the ice chute 24 may open toward the connection passage 23 and may be larger than an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23 . Also, an upper portion of the ice chute 24 disposed above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a lower portion of the ice chute 24 .

상기 아이스 슈트(24) 상부의 좌우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디스펜서 케이스(2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부의 좌우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양측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2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243)와 하부 고정부(244)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슈트(24)는 상기 디스펜서(20) 내의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An upper fixing part 243 protruding laterally and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ispenser case 21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ce chute 24 . In addition, lower fixing parts 244 protruding laterally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lower part of the ice chute 24 . By the upper fixing part 243 and the lower fixing part 244 , the ice chute 24 can maintain its mounting position in the dispenser 20 .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부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단의 슈트 출구(241)는 하방을 향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단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방에서 노출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ice chute 24 may extend through the lighting assembly 40 and may extend more downward than a lower portion of the lighting assembly 40 . In addition, the chute outlet 241 at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24 may face down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24 may be exposed below the lighting assembly 40 .

한편,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투명 또는 및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의 확산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슈트 발광부재(331)가 온될 경우 상기 아이스 슈트(24) 자체가 빛날 수 있다. 즉, 적어도,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 하방으로 노출된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단이 빛나게 되어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펜서(20)의 사용 상태를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parent or transmissive,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diffusing light. Therefore, when the chute light emitting member 331 to be described below is turned on, the ice chute 24 itself may be illuminated. That is, at least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24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ghting assembly 40 is illuminated so that the use state of the dispenser 20 can be visualized and displayed to the user.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전면 하단에는 슈트 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슈트 홈(242)은 하단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55)이 장착된 상기 라이팅 장착부의 출수부(25)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chute groove 242 may be formed at a front lower end of the ice chute 24 . The chute groove 242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depressed upward from the lower end, and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water outlet 25 of the lighting mounting part to which the nozzle 55 is mounted.

즉,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단과 상기 출수부(25)의 하단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20)의 컵 또는 용기를 동일 위치 또는 큰 이동 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과 얼음을 받을 수 있다.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24 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outlet 25 may overlap, so that the cup or container of the dispenser 20 is not placed in the same position or moved greatly, so that water is dispensed. and ice are available.

한편,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전방에는 노즐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a nozzle assembly 50 may be mounted in front of the ice chute 24 .

상기 노즐 어셈블리(50)는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에 형성된 노즐 삽입부(435) 내측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The nozzle assembly 50 allows purified water to be taken out and can be fixedly mounted inside the lighting assembly 40 and inserted and mounted inside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formed in the lighting assembly 40. It can be.

상기 노즐 어셈블리(50)는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노즐(55)과, 상기 노즐(55)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55)을 지나는 물을 살균하는 살균 장치(52) 그리고 상기 노즐(55)과 연결된 배관(501) 및 피팅(50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ozzle assembly 50 includes a nozzle 55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 sterilization device 52 provided on the nozzle 55 to sterilize water passing through the nozzle 55, and the nozzle 55. A connected pipe 501 and a fitting 502 may be included.

상기 노즐(55)의 상부에는 정수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5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551)는 상기 노즐(55)의 상단에 형성된 배관 연결부(554)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연결부(55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는 배관(501)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관 연결부(554)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유입부(551)로 공급될 수 있다. An inlet 551 into which purified water is introduced may be formed above the nozzle 55 . The inlet part 551 may communicate with a pipe connection part 554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nozzle 55 . A pipe 501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may be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ion part 554 . Accordingly,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pipe connection part 554 may be supplied to the inlet part 551 .

그리고, 상기 유입부(551)는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551)의 개구된 상면에는 살균 장치(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52)는 상기 노즐(55)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노즐(55) 내부를 살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inlet 551 may be formed to have an open upper surface, and the sterilization device 52 may be disposed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inlet 551 . The sterilization device 52 may be configured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nozzle 55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inside of the nozzle 55 .

상기 살균 장치(52)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 엘이디(522)가 장착된 살균 기판(5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 장치(52)는 상기 노즐(55)의 상단에 장착되는 살균 케이스(5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살균 케이스(51)는 상기 유입부(551)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 케이스(51)와 살균 기판(521)에 의해 상기 유입부(551)의 개구된 상면은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살균 기판(521)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살균 엘이디(522)는 상기 유입부(551)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살균 엘이디(522)는 상기 노즐(55) 내부의 출수 유로(553)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551)는 물론 물이 유동되는 상기 출수 유로(553)까지 전체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device 52 may include a sterilization substrate 521 equipped with a sterilization LED 522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nd, the sterilization device 52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sterilization case 51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nozzle 55. The sterilization case 5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inlet 551, an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inlet 551 may be shielded by the sterilization case 51 and the sterilization substrate 521 . In a state where the sterilization substrate 521 is mounted, the sterilization LED 522 may be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inlet 551 .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LED 522 is dispos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as the water outlet 553 inside the nozzle 55 to sterilize the inlet 551 as well as the water outlet 553 through which water flows. can

그리고, 상기 살균 장치(52)는 광 투과성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투과성 커버(53)는 상기 유입부(551)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살균 엘이디(522)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551)의 물이 상기 살균 엘이디(522) 또는 살균 기판(5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물론, 상기 광 투과성 커버(53)는 상기 살균 엘이디(522)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광 투과성 커버(53)는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sterilization device 52 may include a light transmissive cover 53 . The light transmissive cover 53 may be mounted to shiel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inlet 551 and may shield the sterilization LED 522 in a mounted state. Accordingly, water from the inlet 551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terilization LED 522 or the sterilization substrate 521 . Of course, the light-transmitting cover 53 may be formed to transmit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rom the sterilization LED 522 . For example, the light transmissive cover 53 may be formed of glass or a transparent acrylic material.

상기 광 투과성 커버(53)의 둘레에는 실러(54)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러(54)에 의해 상기 광 투과성 커버(53)와 노즐(55) 또는 살균 케이스(51) 사이에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sealer 54 may be further provided around the light transmissive cover 53, and the sealer 54 prevents water between the light transmissive cover 53 and the nozzle 55 or the sterilization case 51. leakage can be prevented.

상기 노즐(55)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노즐 삽입부(43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노즐(55)은 상기 노즐 삽입부(435)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551)의 하단에서 상기 노즐(55)의 하단까지 출수 유로(553)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부(551)의 물은 상기 출수 유로(553)를 통해 상기 노즐(55)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 nozzle 55 may extend downward and be inserted into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 The nozzle 55 may extend to a lower end of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 Also, a water outlet passage 553 may be formed through a lower end of the inlet 551 to a lower end of the nozzle 55 . Accordingly, water from the inlet 551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nozzle 55 through the water outlet 553 .

상기 노즐(55)의 내부에는 가이드 리브(5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52)는 상기 유입부(551) 내측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551)를 지나 상기 출수 유로(553)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52)는 상기 배관 연결부(554)를 통해서 측방에서 유입되는 물이 부딪혀 상기 유입부(551)의 내측 벽면에 부착되지 않고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출수 유로(553)를 지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52)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A guide rib 552 may be formed inside the nozzle 55 . The guide rib 552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art 551 toward the center and pass through the inlet part 551 to extend to the inside of the water outlet passage 553 . The guide rib 552 can allow water introduced from the side through the pipe connection part 554 to pass through the water outlet passage 553 more effectively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let part 551 due to collision. The number of guide ribs 552 may be radially provided.

한편,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가 장착되는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를 포함하여, 취출부 바디(45)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43)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커버(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include an upper body 41 and a lower body 43 to which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are mounted.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take-out body 45 including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 In addition, a lower cover 44 forming an exterio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body 43 .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는 상기 어퍼 바디(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41)의 내측에는 아이스 슈트(24)의 하부 고정부(244)와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415)는 후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고정부(244)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ce chute 24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body 41 . A body coupling part 415 coupled to the lower fixing part 244 of the ice chute 24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body 41 . The body coupling part 415 may be formed in a hook-like shape and may be caught and restrained by the lower fixing part 244 .

그리고, 상기 노즐 어셈블리(50)는 상기 로어 바디(43)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43)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노즐 삽입부(4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삽입부(435)는 상기 노즐(55)이 삽입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삽입부(43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단과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Also, the nozzle assembly 50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lower body 43 .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43, and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may be penet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nozzle 55 is inserted. .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extend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24 .

그리고, 상기 노즐 삽입부(435)의 외측면에는 노즐 데코(23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데코(235a)는 금속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 삽입부(435)의 외측면에 끼워질 수 있다.Also, a nozzle deco 235a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nozzle insert 435 . The nozzle deco 235a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material having a metallic texture,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serted into an outer surface of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상기 노즐 삽입부(435)와 상기 노즐 데코(235a) 및 상기 노즐(55)를 포함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어 물이 취출되는 부분을 출수부(25)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출수부(25)는 상기 노즐 삽입부(435) 또는 노즐(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 portion including the nozzle insert 435, the nozzle decoration 235a, and the nozzle 55 protruding downward to discharge water may be referred to as a water outlet 25. Of course, the water outlet 25 may also be composed of only at least one of the nozzle insert 435 and the nozzle 55 .

상기 어퍼 바디(41)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로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모듈(42)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빛을 확산시켜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확산부재(70)가 장착될 수 있다. In the upper body 41, the light guide 60, the lighting module 42 for irradiating light with the light guide 60, and the light of the light guide 60 are diffused to be visible to the outside. A diffusion member 70 may be mounted.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외측단이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사이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엘이디(422)가 온되면 상기 확산부재(70)가 빛나면서 상기 출수부(25)의 외측면에서 링 형상으로 빛나게 된다. 한편,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상기 확산부재(70)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를 포함하여 라이트 링이라 부를 수도 있다. When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are mounted, the outer end of the light guide 60 may be exposed between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and the lighting module ( When the LED 422 of 42) is turned on, the diffusion member 70 shines in a ring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25 while shining. Meanwhile,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light ring including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lighting assembly 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1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assembly.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ghting assembly disassembled from the front. and.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assembled lighting assembly viewed from below.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상기 라이팅 모듈(42)과 상기 어퍼 바디(41), 상기 로어 바디(43) 및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는 상기 확산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include the lighting module 42 , the upper body 41 , the lower body 43 and the light guide 60 . Also,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further include the diffusion member 70 .

상기 라이팅 모듈(42)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엘이디(422)와 상기 엘이디(422)가 장착되는 라이트 기판(4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기판(421)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가로 길폭 보다 더 긴 가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양측에는 상기 엘이디(422)가 구비되어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양측 후단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The lighting module 42 may include an LED 422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ight guide 60 and a light substrate 421 on which the LED 422 is mounted. The light substrate 421 may be formed to have a horizontal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light guide 60 . In addition, the LEDs 42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substrate 421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rear ends of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60 .

한편, 상기 엘이디(422)는 상기 라이트 기판(421)을 중앙으로 좌우 양측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55)의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방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EDs 422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ith the light substrate 421 as the center, and may be spaced apart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nozzle 55 .

그리고, 상기 엘이디(422)는 좌우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엘이디(422)는 모두 상기 라이트 가이드(60) 후단의 양측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엘이디(422) 외측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 후단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엘이디(422)에서 조사되는 빛은 전체적으로 상기 라이트 가이드(60) 후단으로 향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EDs 422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n this case, all of the plurality of LEDs 422 may be dis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light guide 60 .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ends of the plurality of LEDs 42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end of the light guide 60 .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plurality of LEDs 422 may be direct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light guide 60 as a whole.

그리고, 상기 복수의 엘이디(422)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엘이디(422)는 청색의 엘이디(422a)와 백색의 엘이디(422b)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 라이트(730)의 발광을 통해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상기 엘이디(422)의 색상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20) 또는 냉장고(1)의 동작 상태 또는 설정 상태에 따라서 상기 링 라이트(730)는 다른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Also, the plurality of LEDs 422 may have different color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LEDs 422 may include a blue LED 422a and a white LED 422b. Therefor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rough light emission of the ring light 730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color of the LED 422 . That is, the ring light 730 may emit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r setting state of the dispenser 20 or the refrigerator 1 .

물론, 상기 엘이디(422)는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자 또는 발광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광원 또는 발광부재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422)는 각각의 색상으로 빛나는 복수의 광원으로 구성되지 않고, 단일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일 구성의 광원이 복수의 색상으로 빛나도록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LED 422 may use various elements or light emitting bodies capable of irradiating light, and thus may be referred to as a light source or a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LED 422 may be composed of a single component instead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shining in respective colors. Also, a light source of a single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to emit light in a plurality of colors.

상기 라이트 기판(421)에는 슈트 엘이디(4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슈트 엘이디(423)는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상기 라이트 기판(421) 및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슈트 엘이디(423)는 상기 노즐(55)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노즐(55)과 전후 방향으로 동일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A shoot LED 423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ight substrate 421 . The chute LED 423 radiates light toward the ice chute 24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ight substrate 421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 The chute LED 423 is disposed behind the nozzle 55 and may be dispos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as the nozzle 55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슈트 엘이디(423)가 온되면,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외측면 중간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슈트 엘이디(423)가 온되면,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40)의 하방으로 노출된 아이스 슈트(24)의 하단이 밝게 빛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펜서(20)의 동작을 가시화할 수 있다.When the chute LED 423 is turned on, light may be radiated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ce chute 24 . Therefore, when the chute LED 423 is turned on,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24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ghting assembly 40 can be brightly lit, and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20 can be visualized to the user. .

상기 어퍼 바디(41)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며, 상기 아이스 슈트(24)와 라이팅 모듈(42)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upper body 41 is made entirely of plastic injection molding,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ce chute 24, the lighting module 42, and the light guide 60 can be mounted.

상세히, 상기 어퍼 바디(41)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어퍼 베이스(411)와,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아이스 슈트(24)가 관통되는 어퍼 개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개구(410)의 좌우 양측에는 바디 결합부(4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부 고정부(244)와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detail, the upper body 41 may include an upper base 411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n upper opening 433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base 411 through which the ice chute 24 passes. there is. In addition, body coupling parts 415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opening 410, and may have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lower fixing part 244 of the ice chute 24.

그리고,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어퍼 테두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테두리(412)는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테두리(412)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의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Also, an upper rim 412 may b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base 411 . The upper rim 412 may extend upward. The upper rim 412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lighting module 42 may be mounted, and may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with the touch assembly 30 .

상기 어퍼 테두리(412)는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전체 둘레 중 양측면과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테두리(412)는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이 다른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상단과 같거나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테두리(412)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에 삽입 가능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rim 412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and a rear surface of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base 411 . The upper rim 412 may be formed at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lighting module 42 so that the lighting module 42 provided therein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he upper rim 412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lighting assembly mounting portion 217 .

상기 어퍼 테두리(412)의 양측면 전단에는 바디 구속홈(4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구속홈(412b)은 상기 케이스 결합 돌기(313a)와 전방에서 후방에서 이동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 돌기(313a)가 상기 바디 구속홈(412b)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Body restraining grooves 412b may be formed at front end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rim 412 . The body restraining groove 412b may be formed to open forward so as to be inserted while mov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with the case coupling protrusion 313a. As the case coupling protrusion 313a is coupled to the body restraining groove 412b,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may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어퍼 테두리(412)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전단을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된 단차부(411a)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411a)에 의해서 상기 터치 케이스(31)의 하단 즉, 상기 조작부(313)의 곡면으로된 전면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Meanwhile, a stepped portion 411a protruding upward may be further formed along the front end of the upper base 411 on which the upper edge 412 is not formed, and the touch case ( 31),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curved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may be supported.

그리고, 상기 어퍼 테두리(412) 중 후면 일측에는 커넥터 홈(41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홈(412a)은 상기 라이트 기판(421)에 구비되는 케이블 커넥터(424)가 노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조립 장착시 케이블 하네스가 상기 케이블 커넥터(424)에 용이하게 연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 장착부(217)의 내측에 상기 케이블 커넥터(424)와 연결된 상기 케이블 하네스가 배치될 수 있다. Also, a connector groove 412a may be formed on one rear side of the upper rim 412 . The connector groove 412a is a portion where the cable connector 424 provided on the light board 421 is exposed, and the cable harness is easily extended to the cable connector 424 when the lighting module 42 is assembled and mounted. Let it be. Also, the cable harnes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or 424 may be disposed inside the lighting assembly mounting portion 217 .

한편, 상기 어퍼 바디(41)에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장착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베리어(4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413)는 상기 어퍼 바디(41)의 내부 공간을 전후로 구획할 수 있다. 즉, 상기 베리어(413)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후방에 상기 라이팅 모듈(42)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Meanwhile, a barrier 413 providing a space for mounting the lighting module 42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body 41 . The barrier 413 may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ody 41 forward and backward. That is, the barrier 413 forms a space in which the lighting module 42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ice chute 24 .

상세히, 상기 베리어(413)는 상기 어퍼 베이스(411)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어퍼 개구(410)의 후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413)의 양단은 상기 어퍼 테두리(412) 양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413)에 의해서 상기 어퍼 개구(410)와 상기 어퍼 테두리(412)의 후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arrier 413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ase 411 and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half of the upper opening 410 . Also, both ends of the barrier 413 may be connected to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upper edge 412 . Accordingly,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opening 4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edge 412 by the barrier 413 .

이때, 상기 베리어(413)에는 베리어 홈(41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홈(413a)은 상기 슈트 엘이디(423)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슈트 엘이디(423)에서 조사되는 빛의 대부분이 상기 베리어(413)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아이스 슈트(2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홈(413a)은 상기 베리어(413)의 중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barrier groove 413a may be formed in the barrier 413 . The barrier groove 413a is recessed at a position facing the chute LED 423, so mos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chute LED 423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arrier 413 and the ice chute 24 can be directed to The barrier groove 413a may b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barrier 413 .

그리고, 상기 베리어(4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는 상기 라이트 기판(421)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기판 구속부(418), 측면 고정부(412c,412d) 및 기판 지지부(412e)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구속부(416,4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구속부(418) 및 가이드 구속부(416,417)의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And, inside the space formed by the barrier 413, a substrate restraining portion 418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light substrate 421, side fixing portions 412c and 412d, and a substrate support portion 412e, Guide restraining parts 416 and 417 for fixing the light guide 60 may be formed. Structures of the substrate restraining part 418 and the guide restraining parts 416 and 41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한편, 상기 어퍼 바디(41)는 지지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4)는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상기 지지부(414)에 의해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장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body 41 may include a support part 414 . The support part 41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se 411 and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light guide 60 from the rear. The light guide 60 can be positioned in place by the support part 414 and can be maintained in a mounted state.

상기 지지부(414)는 상기 어퍼 개구(410)의 둘레의 일부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4)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하단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14)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상기 확산부재(70)를 지나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414)의 하단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의 하단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를 모두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414 may be formed along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opening 410 and may extend downward. The support part 414 may extend further downward than the lower end of the light guide 60 . Also, the support part 414 may further extend downward past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as shown in FIG. 9 .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414 is locat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and can support both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상기 지지부(414)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라운드부(63)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부(63)의 배면을 후방에서 전체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414 may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round part 63 of the light guide 60, and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as a whole from the rear.

한편,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부(414) 전방의 상기 어퍼 베이스(411) 하면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베이스 구속홈(41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구속홈(411b)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상면에 돌출된 가이드 돌출부(633)를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장착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 a base restraining groove 411b guid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light guide 60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se 411 in front of the support part 414 . The base restraining groove 411b may b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guide protrusion 63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60 and maintain the light guide 60 in a mounting position.

상기 지지부(414)의 하단에는 어퍼 결합부(4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결합부(416)는 상기 지지부(414)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결합부(416)는 상기 로어 바디(43)에 형성된 로어 결합부(436)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결합부(436)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결합부(416)와 로어 결합부(436)의 결합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n upper coupling part 416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414 .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parts 416 may be formed along the support part 414 and may protrude downward. Also, the upper coupling portion 416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upling portion 436 formed on the lower body 43 and may be coupled with the lower coupling portion 436 . Accordingly,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can be firmly coupled b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coupling part 416 and the lower coupling part 436 .

상기 어퍼 바디(41)의 하면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후단은 상기 엘이디(422)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엘이디(422)가 온될 때 조사되는 빛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light guide 6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41, and the rear end of the light guide 60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D 422 when the LED 422 is turned on. The irradiated light may move along the light guide 60 .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41)의 하면에는 상기 확산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7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에서 조사되는 빛이 확산되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외측단은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사이로 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Also, the diffusion member 7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41 . The diffusion member 70 may be combined with the light guide 60,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guide 60 may be diffused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To this end, the outer end of the light guide 60 may be exposed between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and light may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상기 로어 바디(43)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41)의 하방에서 상기 어퍼 바디(4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43)는 상기 어퍼 바디(41) 및 상기 조작부(313)와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바디(43)는 후단의 일부가 절개된 원통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43)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 어셈블리(50)의 장착과 상기 확산부재(70)의 지지 및 상기 어퍼 바디(41)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수 있다.The lower body 43 may support the light guide 60 from below,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body 41 below the upper body 41 . The lower body 43 may be formed round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upper body 41 and the control unit 313 . Also, the lower body 4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ring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rear end is cut. The lower body 43 may be injection-molded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ounting the nozzle assembly 50, supporting the diffusion member 70, and combining with the upper body 41. .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43)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로어 베이스(4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베이스(434)에는 상기 아이스 슈트(24)가 통과되도록 개구된 로어 개구(4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개구(433) 전방의 상기 로어 베이스(434) 일측에는 상기 노즐(55)이 장착되는 상기 노즐 삽입부(4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삽입부(435)는 상기 로어 베이스(434)의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노즐(5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lower body 43 may include a lower base 434 forming a bottom surface. A lower opening 433 through which the ice chute 24 passes may be formed in the lower base 434 . Also,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to which the nozzle 55 is mounted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base 434 in front of the lower opening 433 . The nozzle insertion part 435 may extend downward of the lower base 434 and may be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to allow the nozzle 55 to be inserted therein.

상기 로어 바디(43)의 외측단에는 상기 로어 바디(43)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로어 테두리(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테두리(431)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확산부재(7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A lower rim 431 extending upward along the lower body 43 may be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lower body 43 . The lower rim 431 extends upward to support the diffusion member 70 from below.

그리고, 상기 로어 베이스(434)에 형성된 로어 개구(433)의 둘레를 따라서 이너 서포터(4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서포터(432)는 상기 로어 개구(433)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서포터(432)는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외측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ner supporter 432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opening 433 formed in the lower base 434 . The inner supporter 432 may extend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opening 433 , and the inner supporter 432 may surround and support an outer surface of the ice chute 24 .

상기 로어 테두리(431)의 내측면에는 상기 어퍼 바디(41)의 어퍼 결합부(416)와 결합되는 상기 로어 결합부(43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테두리(431)의 외측면에는 상기 로어 커버(44)의 결합을 위한 테두리 홈(431a)과 테두리 돌기(43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431a)은 상기 로어 테두리(431)의 외측면 상부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 돌기(431b)는 상기 로어 테두리(431)의 외측면 하부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테두리(43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테두리(431)의 후단에는 상기 로어 커버(44)의 후단과 결합되는 후단 결합부(431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coupling portion 436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416 of the upper body 41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rim 431 . Also,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rim 431, an rim groove 431a and an rim protrusion 431b for coupling the lower cover 44 may be formed. The rim grooves 431a may be formed along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rim 431, and a plurality of the rim grooves 431a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so, the rim protrusion 431b may protrude outward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rim 431 and may protrude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rim 431 . In addition, a rear end coupling portion 431c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ower cover 44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rim 431 .

한편, 상기 라이팅 모듈(42)은 로어 커버(4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어 커버(44)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어 바디(43)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ighting module 42 may further include a lower cover 44 . The lower cover 44 is for form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lighting module 42 and may b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43 .

상기 라이팅 모듈(42)은 상기 로어 커버(44)의 로어 테두리(431)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바디(4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어 테두리(431)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어 커버(44)에 의해 상기 로어 바디(43)의 외관 즉,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ighting module 42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ower rim 431 of the lower cover 44, and may shield the lower rim 431 while being mounted on the lower body 43 there is. Accordingly, the exterior of the lower body 43 , that is, the exterior of the lighting module 42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formed by the lower cover 44 .

상기 로어 커버(44)의 배면에는 상기 테두리 홈(431a)에 결합되는 커버 돌기(4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돌기(442)의 하방에는 상기 테두리 돌기(431b)와 걸림 구속되는 커버 구속 돌기(4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44)의 후단에는 상기 후단 결합부(431c)에 결합되는 커버 결합부(4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A cover protrusion 442 coupled to the rim groove 431a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cover 44, and a cover restraint that is engaged with the rim protrusion 431b below the cover protrusion 442 A protrusion 441 may be formed. Also, a cover coupling portion 443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portion 431c may be further formed at a rear end of the lower cover 44 .

따라서, 상기 로어 커버(44)는 상기 커버 돌기(442)가 상기 테두리 홈(431a)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 구속 돌기(441)가 상기 테두리 돌기(431b)와 걸림 구속되며, 상기 커버 결합부(443)가 상기 후단 결합부(431c)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로어 바디(43)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lower cover 44, the cover protrusion 442 is coupled to the rim groove 431a, the cover restraining protrusion 441 is engaged with the rim protrusion 431b, and the cover coupling part ( 443)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lower body 43 by being coupled to the rear coupling part 431c.

상기 로어 커버(44)의 외측면은 외관이 보다 돋보일 수 있도록 필름이 부착되거나 코팅 또는 도색 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로어 커버(44)의 외측면에는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코팅 처리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커버(44)의 외측면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 또는 질감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film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44, or a coating or painting process may be applied to enhance the appearance. 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44 may be coated to have a metallic texture. Als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44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color or texture as that of the outer plate 11 .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s of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4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라이트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guide,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lighting assembl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아크릴 또는 프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조사되는 빛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전달성 물질이 첨가물로 함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ght guide 6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The light guide 60 may be formed of acrylic or plastic resin. In addition, the light guide 6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through which irradiated light can be evenly transmitted,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ain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s an additive. and. The light guide 6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with one side cut out.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양측의 상기 엘이디(422)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와, 상기 어퍼 바디(41)의 지지부(414)에 안착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라운드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상기 라운드부(63)의 단부와 상기 연장부(61)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운드부(63)와 연결부(62) 및 연장부(61)는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guide 60 has an extension part 61 extending forward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D 422 on both sides, and a round shape seated on the support part 414 of the upper body 41 and formed in a ring shape. A portion 63 may be included. Also, the light guide 6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62 connecting an end of the round portion 63 and the extension portion 61 . The round portion 63, the connection portion 62, and the extension portion 61 may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상기 연장부(61)의 후단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61)의 후단의 폭은 한쌍의 상기 엘이디(422)의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422)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연장부(61)의 후단을 향하여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61)는 소정의 길이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61)의 후단이 상기 엘이디(422)의 전면과 매우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width of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may be formed larger than that of the pair of LEDs 422 .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422 can be effectively suppli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 Also, the extension part 61 may extend forwar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may extend to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ED 422 .

상기 연장부(61)의 전단에는 연결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라운드부(63)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연장될 수록 하방 및 측방을 향하도록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어퍼 바디(41)를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바디(41)의 어퍼 베이스(411)를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61)는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상방 즉, 상기 어퍼 바디(4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부(63)는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A connection portion 62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61 . The connecting portion 62 may extend to an end of the round portion 63,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downward and sideways as it extends forward.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62 may extend to pass through the upper body 41 . That is, based on the upper base 411 of the upper body 41, the extension part 61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base 411, that is,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ody 41, The round part 63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base 411 .

상기 라운드부(63)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반부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63)의 절개된 후단은 상기 연결부(62)의 전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63)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 또는 네 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운드부(63)의 상면은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하면과 접하고, 상기 라운드부(63)의 하면 및 상기 라운드부(63)의 전면 즉, 외측면은 상기 확산부재(70)와 접하고, 상기 라운드부(63)의 후면은 상기 지지부(414)와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라운드부(63)는 상기 어퍼 바디(41)와 확산부재(70)의 사이에 안정적인 장착 구조를 가지며, 확산부재(70)와의 밀착 구조를 통해 빛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round part 63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part of the second half may be cut out. Also, the cut rear end of the round part 63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art 62 .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round part 6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shape having four sides.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se 41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and the front surface,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are in contact with the diffusion member 70. ,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414 . Therefore, the round part 63 has a stable mounting structure between the upper body 41 and the diffusion member 7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hrough a close contact structure with the diffusion member 70. can have

한편, 상기 라운드부(63)는 상기 연장부(61)보다 더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상기 어퍼 바디(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하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round part 63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extension part 6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se 411 in a state where the light guide 60 is mounted on the upper body 41. It can be placed in contact with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63)는 상기 어퍼 바디(41)의 전반부의 라운드진 형상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운드부(63)는 상기 어퍼 바디(41)의 전단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Also, the round portion 63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rounded shape of the first half of the upper body 41 . Accordingly, the round portion 63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41 .

상기 라운드부(63)의 상면 중앙에는 가이드 돌출부(6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633)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장착될 때 상기 어퍼 베이스(411) 하면에서 함몰된 베이스 구속홈(411b)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633)와 상기 베이스 구속홈(411b)의 결합에 의해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돌출부(633)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사출 성형시 소재의 주입시 형성되는 게이트의 일부일 수 있다.A guide protrusion 63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 The guide protrusion 633 may be inserted into the base restraining groove 411b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ase 411 when the light guide 60 is mounted.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light guide 60 can be prevented by the coupling of the guide protrusion 633 and the base restricting groove 411b, and the light guide 60 can be mounted in an accurate position. Meanwhile, the guide protrusion 633 may be a part of a gate formed when a material is injected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light guide 60 .

상기 라운드부(63)의 후면 즉, 상기 지지부(414)를 향하는 상기 라운드부(63)의 내주면에는 패턴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63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따라 이동되는 빛이 반사되어 전방을 포함하는 외측 방향(상기 라운드부(63)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다수의 요철 형상이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A pattern part 630 may b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 that is,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facing the support part 414 . The pattern part 630 is capable of directing the light moving along the light guide 60 to an outward direction including the front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round part 63), and has a number of irregularities. The shape can be formed continuously.

상세히, 상기 패턴부(630)는 다수의 홈(631)과 돌기(632)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운드부(63)를 통과하여 조사하는 빛은 상기 패턴부(630)의 홈(631)과 돌기(632) 형상에 의해 반사되어 전방을 포함하는 외측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돌기(632)는 상기 홈(6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턴부(630) 상의 돌기(631)들은 모두 동일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detail, the pattern part 630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631 and protrusions 632 continuously and repeatedly formed. Accordingly, the light irradiated through the round portion 63 may be reflected by the shape of the groove 631 and the protrusion 632 of the pattern portion 630 and reflected in an outward direction including the front. The protrusion 632 protrudes relatively from the groove 631 and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and all of the protrusions 631 on the pattern portion 630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한편, 상기 패턴부(630)를 구성하는 다수의 홈(631)은 상기 라운드부(63)의 후방 즉, 상기 연결부(632)와 연결된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W1)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631)은 상기 라운드부(63)의 후방 즉, 상기 연결부(62)와 연결된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홈(631)들 사이의 돌기(632)는 상기 라운드부(63)의 후방 즉, 상기 연결부(62)와 연결된 부분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W2)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grooves 631 constituting the pattern portion 630 are formed such that the width W1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rear of the round portion 63, that is,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632 toward the front. It can be. Further, the groove 631 may be formed such that its depth gradually deepens from the rear of the round portion 63, that is, from a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62 toward the front. Further, the protrusion 632 between the adjacent grooves 63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W2 gradually widens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of the round part 63, that is, from a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62. .

따라서, 상기 엘이디(422)로부터 가까운 상기 라운드부(63)의 후방으로 갈수록 빛의 반사가 적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엘이디(422)로부터 가장 먼 상기 라운드부(63)의 중앙은 빛의 반사가 상대적으로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라운드부(63)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 외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reflection of light is reduced toward the rear of the round part 63 closer to the LED 422, and the center of the round part 63 farthest from the LED 422 has relatively low light reflection. By making it more active, it is possible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outside with a uniform brightness throughout the round portion 63.

한편, 상기 홈(631)과 돌기(632)의 형상(폭, 깊이)의 변화는 각각의 홈(631)과 돌기(632)의 위치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홈(631)과 돌기(632)들 별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영역 내의 홈(631)과 돌기(632)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각 영역마다 홈(631)과 돌기(632)의 형상이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width, depth) of the groove 631 and the projection 632 may be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groove 631 and the projection 632, and a plurality of the same shape may be changed. The grooves 631 and the protrusions 632 may be formed in stages. Further, the groove 631 and the protrusion 632 in a certain area may have the same shape, and the shape of the groove 631 and the protrusion 632 may be different for each area.

도 15는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확산부재의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ffusion member,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lighting assembly.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확산부재(7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통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확산부재(7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확산되어 외측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고르고 밝게 빛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diffusion member 70 is such that the light irradiated forward through the light guide 60 is diffus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member 70 so that it shines evenly and brightly as a whol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can do.

즉, 상기 패턴부(630)에 의해 전방 및 외측으로 조사되는 빛은 상기 홈(631)과 돌기(632)의 형상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음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경우에 따라 이러한 음영이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패턴부(630)에 의해 외측으로 조사되는 빛은 상기 확산부재(7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확산되어 상기 확산부재(7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로 빛나게 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light radiated forward and outward by the pattern unit 630 inevitably partially creates shadows due to the shapes of the grooves 631 and the protrusions 632, and in some cases, these shadows are exposed to the outside. It could be. However, the light irradiated outward by the pattern part 630 is diffused as a whole while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member 70 so that the diffusion member 70 can shine with a uniform brightness as a whole.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사이로 노출되는 상기 확산부재(70)의 일부는 균일한 밝기로 링 형상으로 발광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20)의 정면과 측면 등 어느 위치에서 바라보게 되더라도 균일한 밝기의 상기 링 라이트(730)를 볼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 portion of the diffusion member 70 exposed between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can emit light in a ring shape with uniform brightness, and the user can view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dispenser 20 It is possible to see the ring light 730 with uniform brightness no matter where you look at it.

이를 위해, 상기 확산부재(70)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빛의 확산을 위한 확산제가 첨가되어 성형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iffusion member 7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nd may be molded by adding a diffusion agent for light diffusion therein.

그리고, 상기 확산부재(70)는 상기 라운드부(63)의 형상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부(63)와 같이 후반부 일부가 절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부재(70)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단부에 각각 구속되며,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lso, the diffusion member 7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und part 63, and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second half is cut off like the round part 63. The diffusion member 70 supports the light guide 60 and at the same time is constrained to the ends of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respectively,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thereof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

상세히, 상기 확산부재(70)는 상기 확산부재(7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확산부재 베이스(71)와, 상기 확산부재 베이스(71)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프론트 연장부(72) 그리고, 상기 프론트 연장부(7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사이를 통해 노출되는 노출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iffusion member 70 includes a diffusion member base 71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diffusion member 70, a front extension part 72 protruding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diffusion member base 71, and , An exposed portion 73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extension portion 72 and exposed through a gap between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may be included.

상세히, 상기 확산부재 베이스(71)는 상기 라운드부(6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어 테두리(431)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부재 베이스(71)의 상면에는 안착면(7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711)은 상기 라운드부(63)의 하면이 안착되며, 상기 라운드부(63) 하면 전체와 면접촉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iffusion member base 7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und portion 63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to be supported by an upper end of the lower rim 431 . And, a seating surface 71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ffusion member base 71 . The lowe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71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can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entire lower surface.

그리고, 상기 프론트 연장부(72)는 상기 확산부재 베이스(71) 전단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연장부(72)는 상기 라운드부(63)가 상기 안착면(7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운드부(63)의 상면과 대응하는 높이까지 돌출될 수 있다. Also, the front extension part 72 may vertically extend up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diffusion member base 71 . In this case, the front extension part 72 may protrude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in a state where the round part 63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711 .

따라서, 상기 라운드부(63)의 전면과 하면은 상기 안착면(711)과 상기 프론트 연장부(72)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어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라운드부(63)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 연장부(72)의 내측면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상기 라운드부(63)를 통해 전방 및 외측으로 조사되는 빛이 효과적으로 상기 프론트 연장부(72) 및 노출부(73)를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of the round part 63 ar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711 and the front extension part 72, respectively, so that a stable mounting state can be maintained. In particular, the front surface of the round part 6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extension part 7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ight radiated forward and outward through the round part 63 is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front extension part 72. ) and exposed portion 73.

한편, 상기 노출부(73)는 상기 프론트 연장부(72)의 외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73)는 상기 프론트 연장부(72)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될 수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73)는 상기 프론트 연장부(7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라운드부(63)와 대응하는 높이에서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xposed portion 73 may protrude outwar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extension portion 72 . The exposed portion 73 may protru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xtension portion 72 and may protrude forward even with a predetermined width. Also, the exposed portion 73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ront extension portion 72 and may extend outwar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ound portion 63 .

그리고, 상기 프론트 연장부(72)와 상기 노출부(73)의 사이에는 경사면(7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721)은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전단과 접하여 상기 확산부재(70)가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721 may be formed between the front extension part 72 and the exposed part 73, and the inclined surface 7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upper base 411 to form the diffusion member 70. ) can be more firmly fixed.

그리고, 상기 노출부(73)의 하면과 프론트 연장부(72)의 전면은 단차진 형상의 커버 안착부(731)가 형성될수 있으며, 상기 확산부재(70)의 장착시 상기 로어 커버(44)의 상단이 상기 커버 안착부(731)에 안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tepped cover mounting portion 73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73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extension portion 72, and when the diffusion member 70 is mounted, the lower cover 44 An upper end of may be seated on the cover seating part 731 .

상기 확산부재(70)가 상기 로어 바디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노출부(73)의 하면은 상기 로어 커버(44)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73)의 상면은 상기 터치 케이스(31)의 하단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73)는 상기 조작부(313)의 외측면 및 상기 로어 커버(44)의 외측면 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며,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diffusion member 70 is seated on the lower body, the lower surface of the exposed part 73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44 . Also, an upper surface of the exposed part 73 may be formed to contact a lower surface of the touch case 31 . Also, the exposed part 73 is located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1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44 and may be located at a relatively less protruding position.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것 처럼 상기 조작부(313)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록 후방을 향하는 하단 경사면(313c)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커버(44)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될 수록 후방을 향하는 상단 경사면(4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73)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하단 경사면(313c)의 하단 그리고 상단 경사면(441)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돌출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9 , a bottom inclined surface 313c toward the rear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313 as it extends downward, an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44, as it extends upward, the rearward An upper inclined surface 441 may be formed. The extended end of the exposed part 73 may protrud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inclined surface 313c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441 .

따라서,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의 결합부위는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확산부재(70)의 일부만 가시화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노출부(73)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와 라이팅 어셈블리(40)의 사이에 링 형상으로 보일 수 있으며, 상기 하단 경사면(313c)과 상단 경사면(441)의 사이에 위치되어 보다 가시화가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are coupled, only a portion of the diffusion member 70 is visible while the junction between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is not exposed. can That is, the exposed part 73 can be seen as a ring shape between the touch assembly 30 and the lighting assembly 40,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inclined surface 313c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441 to be more visible. will be easy.

이처럼,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결합시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와 확산부재(70)는 어퍼 바디(41) 및 로어 바디(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 및 확산부재(70)는 라이팅 모듈에 의해 링 형태로 발광되어 최종적으로는 상기 노출부(73)가 외부로 가시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73)에 의해 외부로 발광되는 부분을 링 라이트(730)라 부를 수 있다. As such, when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are coupled, the light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and the light The guide 60 and the diffusion member 70 emit light in a ring shape by the lighting module, so that the exposed portion 73 can be finally visualized to the outside. Also, a portion that emits light to the outside by the exposed portion 73 may be referred to as a ring light 730 .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 및 및 확산부재(70)의 장착에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light guide 60 and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diffusion member 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6은 상기 라이팅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어퍼 바디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도 11의 A부 확대 도면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1의 XVII-XVIII' 절개 사시도이다.16 is a plan view of an upper body, which is a component of the lighting assembly. And,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1 . And, FIG. 18 is a XVII-XVIII'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11 .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바디(41)의 후반부에는 상기 라이팅 모듈(42)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41)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후단은 상기 라이팅 모듈(42)의 엘이디(422)와 매우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ghting module 42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half of the upper body 41 . The light guide 6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body 41 , and a rear end of the light guide 60 may be disposed very close to the LED 422 of the lighting module 42 .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라이트 기판(421)은 상기 어퍼 바디(41)에 형성되는 측면 고정부(412c,412d)와 기판 지지부(412e) 그리고 기판 구속부(418)에 의해 상기 어퍼 바디(4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light board 421 is formed on the upper body 41 by the side fixing parts 412c and 412d formed on the upper body 41, the board support part 412e, and the board restraining part 418. ) can be fixed.

상기 측면 고정부(412c,412d)는 상기 어퍼 바디(41)의 후면을 형성하는 어퍼 테두리(41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부(412c,412d)는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좌우 양측단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라이트 기판(421)을 좌우 양측에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좌우측 유동과 상하 방향 유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 고정부(412c,412d) 중 일측의 측면 고정부(412c)는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측단을 구속하고, 다른 일측의 측면 고정부(412d)는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측단 및 상단을 구속할 수 있다. The side fixing parts 412c and 412d may be formed on the upper rim 412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ody 41 . In addition, the side fixing parts 412c and 412d protrude from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light board 421 to fix the light board 421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of the light board 421 Left and right flow and up and down flow can be constrained. That is, one side fixing part 412c of the side fixing parts 412c and 412d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trains the side end of the light board 421, and the other side fixing part 412d on the light board The side end and top end of (421) can be constrained.

그리고, 상기 어퍼 테두리(412)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판 지지부(412e)가 더 형성될수 있다. 상기 기판 지지부(412e)는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중앙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기판(421)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후면까지 돌출될 수 있다. Further, a substrate support portion 412e protruding forwar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rim 412 . The substrate support portion 412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ight substrate 421, and may protrude to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substrate 421 to support the light substrate 421 from the rear. .

한편, 상기 어퍼 베이스(411)에는 상단으로 돌출된 기판 구속부(41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 구속부(418)는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하단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전면 하단을 구속하여 상기 라이트 기판(421)이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라이트 기판(421)은 상기 어퍼 바디 내에서 장착된 상태에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Meanwhile, a substrate restraining portion 418 protruding upwar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base 411 . A plurality of substrate restraining parts 418 may be form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light substrate 421, and restrict the front lower end of the light substrate 421 so that the light substrate 421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escapes.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light board 421 may be maintained in a mounted state within the upper body.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상기 라운드부(63)가 상기 지지부(414)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414)와 상기 확산부재(70)에 의해 장착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어퍼 베이스(411)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419)를 통과하여 상기 어퍼 바디(41)의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the light guide 60, the round part 63 is disposed along the support part 414, and a mounting position can be maintained by the support part 414 and the diffusion member 70. Also, the connecting portion 62 may pass through the through-holes 419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base 411 and extend into the upper body 41 .

상기 관통구(419)는 상기 베리어(413)의 후방 즉, 상기 베리어(41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개구(4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419)는 상기 엘이디(422)의 위치와 동일 연장선상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419 may be located behind the barrier 413, that is, inside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barrier 413, and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opening 410, respectively. Also, the through-hole 419 may be formed at the front on the same extension line as the location of the LED 422 .

상기 관통구(419)의 일측면 및 후측면에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가이드 안착부(419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안착부(419a)는 상기 연결부(62)의 경사 또는 라운드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62)는 상기 관통구(419)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이드 안착부(419a)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Guide seating portions 419a formed in an inclined or rounded shape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and a rear side of the through hole 419 . In addition, the guide seating portion 419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r roundness of the connection portion 62 . Therefore,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419, the connecting portion 62 remains seated on the guide seating portion 419a, and the light guide 60 does not move and can maintain a stable mounting state. .

한편, 상기 관통구(419)와 상기 라이트 기판(421)의 사이에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60)의 연장부(61)를 구속하는 가이드 구속부(416,4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구속부(416,417)는 상기 어퍼 베이스(4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연장부(61)의 배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구속부(416,417)는 좌우 양측에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배치되어 한쌍의 상기 연장부(61)를 각각 구속할 수 있다. Meanwhile, guide restraining parts 416 and 417 for restraining the extension part 61 of the light guide 60 may be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 419 and the light substrate 421 . The guide restraining parts 416 and 417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base 411 and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position positions of the extension parts 61 . In addition, the guide restraining parts 416 and 417 are disposed in the same shap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o restrain the pair of extension parts 61,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 구속부(416,417)는 제 1 구속부(416)와 제 2 구속부(41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속부(416)와 제 2 구속부(417)는 상기 연장부(61)의 좌우 양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61)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The guide restraining parts 416 and 417 may include a first restraining part 416 and a second restraining part 417 . The first restraining part 416 and the second restraining part 417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xtension part 61, and can restrain the extension part 61 so that it does not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상세히, 상기 제 1 구속부(416)는 상기 연장부(61)보다 더 외측(도 17에서 우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61)의 일측단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속부(416)는 상기 연장부(61)의 일측단과 접하는 제 1 사이드 구속부(416b)와, 상기 연장부(61)의 하면과 접하는 하부 구속부(41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구속부(416b)와 상기 하부 구속부(416a)는 서로 연결되어 단차진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61)의 일측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first restraining part 416 may be located outside (right side in FIG. 17) more than the extension part 61, and may extend upward to restrain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 The first restraining part 416 may include a first side restraining part 416b contacting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and a lower restraining part 416a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61. . The first side restraining part 416b and the lower restraining part 416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a stepped shape, and may support one corner of the extension part 61 .

그리고, 상기 제 2 구속부(417)는 상기 연장부(61)보다 더 내측(도 17에서 좌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61)의 다른 일측단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속부(417)는 상기 연장부(61)의 다른 일측단과 접하는 제 2 사이드 구속부(417a)와, 상기 연장부(61)의 상면과 접하는 상부 구속부(4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구속부(417a)와 상기 상부 구속부(417b)는 서로 연결되어 단차진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61)의 다른 일측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restraining part 417 may be positioned more inward than the extension part 61 (left side in FIG. 17) and may extend upward to restrain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there is. The second restraining part 417 may include a second side restraining part 417a contacting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and an upper restraining part 417b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xtension part 61. there is. The second side restraining part 417a and the upper restraining part 417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have a stepped shape, and may support the other corner of the extension part 61 .

따라서, 상기 연장부(61)가 상기 제 1 구속부(416)와 제 2 구속부(417)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연장부(61)의 상하좌우 측면이 모두 상기 가이드 구속부(416,417)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63)는 상기 지지부(414)와 확산부재(70)에 의해 전후방향의 유동이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61)의 단부와 상기 엘이디(422)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장부(61)의 후단과 상기 엘이디(422)의 전면 사이 간격은 0.5mm ~ 2mm 사이로 유지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extension part 61 passes through the first restraining part 416 and the second restraining part 417,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xtension part 61 are all attached to the guide restraining parts 416 and 417. can be bound by In addition, the flow of the round part 6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can be restricted by the support part 414 and the diffusion member 7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and the LED 422 is can be maintained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ED 422 may be maintained between 0.5 mm and 2 mm.

결국,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는 상기 어퍼 바디(41)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장부(61)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 구속부(416,417)에 의해서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42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light guide 60 can maintain its mounted state without being mov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upper body 41 . In particular, the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can maintain an accurate mounting position by the guide restraining parts 416 and 417 and can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LED 422 .

상기 라이트 가이드(60)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장부(61)의 후단은 상기 엘이디(422)의 전면과 매우 가까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61)의 후단 좌우 양측단의 사이 영역에 복수의 상기 엘이디(422)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422)가 온되면 상기 엘이디(422)에서 조사되는 빛은 모두 상기 연장부(61)로 향하게 되어 상기 링 라이트(730)가 충분한 밝기로 빛날 수 있도록 한다.In a state where the light guide 60 is mounted in an accurate position,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can be disposed very clos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ED 422 .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LEDs 422 may be positioned in an area between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art 61, and when the LEDs 422 are turned on, all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s 422 It is directed to the extension 61 so that the ring light 730 can shine with sufficient brightness.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디스펜서(2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pens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9은 도 2의 XIX-XIX'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디스펜서의 얼음 취출 조작시의 상기 취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9 is a XIX-XIX' sectional view of FIG. 2 . 20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ispensing unit when the ice dispensing operation of the dispenser is performed.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상기 터치 어셈블리(30)의 조작부(313)를 터치 조작하여 상기 디스펜서(20)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3)에 제공되는 다수의 터치부(316) 중 어느 하나를 터치 조작하여 상기 디스펜서(2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동작 상태는 해당하는 상기 발광부재(331)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표시부(315)를 투과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3)를 통해 조각 얼음, 큐브 얼음, 정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메뉴의 상방에 표시부(315)가 점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user may set the state of the dispenser 20 by touch-manipulating the control unit 313 of the touch assembly 30 . That is, the user may set an operating state of the dispenser 20 by touch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ouch units 316 provided on the manipulation unit 313, and the set operating state corresponds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331 ), the light irradiated from may pass through the display unit 315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ice cubes, ice cubes, and purified water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313, and the display unit 315 above the selected menu can be turned on.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313)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0)가 조작 얼음 또는 큐브 얼음 배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22)를 조작하여 얼음 취출 조작을 입력하게 되면, 도 19에서와 같이 상기 셔터(26)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2)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상기 연결 통로(23)를 통해 이동되고,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지나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22)의 조작을 종료하거나 설정된 얼음이 배출된 후에는 상기 레버(22)가 회전되어 상기 연결 통로(23)의 개구를 차폐하게 된다. When the user inputs an ice dispensing operation by manipulating the lever 22 in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20 is set to the manipulating ice or cube ice dispensing mode by the user manipulating the manipulation unit 313, the same as in FIG. 19 Likewise, the shutter 26 may be opened. In addition,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12 can be mov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23 and passed through the ice chute 24 to be discharged downward. After the operation of the lever 22 is finished or the set ice is discharged, the lever 22 is rotated to close the opening of the connection passage 23 .

그리고, 얼음의 취출 조작을 위한 상기 레버(22) 조작을 수행하기 전 상기 취출부(27)의 상태는, 상기 엘이디(422)의 오프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이스 슈트(24)가 발광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te of the take-out unit 27 before manipulating the lever 22 for taking out the ice is the ice chute 24 as shown in FIG. 3 due to the LED 422 being turned off. may be in a non-emission state.

그리고, 얼음의 취출 조작을 위해 상기 레버(2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슈트 엘이디(423)가 온될 수 있다. 상기 슈트 엘이디(423)가 온되면 상기 슈트 엘이디(423)는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부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그리고, 슈트 엘이디(42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아이스 슈트(24)를 밝힐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라이팅 모듈(42) 하방으로 노출된 상기 아이스 슈트(24) 하단이 발광되어 외부로 가시화 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ever 22 is operated to take out ice, the chute LED 423 may be turned on. When the chute LED 423 is turned on, the chute LED 423 radiates light to the bottom of the ice chute 24 . In additio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chute LED 423 may illuminate the ice chute 24, and in particular, the bottom of the ice chute 24 exposed below the lighting module 42 may emit light to be visible to the outside. .

따라서, 사용자는 얼음이 취출되는 출구인 상기 아이스 슈트(24)의 하단이 밝게 빛나는 것을 통해 상기 아이스 슈트(24)로 얼음이 취출 되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ice is taken out through the ice chute 24 through the bright light of the lower end of the ice chute 24 , which is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ice is taken out.

도 21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와 확산부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도 21의 XXII-XXI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디스펜서의 물 취출 조작시의 상기 취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light guide and the diffusion member. Also, FIG. 22 is a XXII-XX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21 . And, FIG. 23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dispensing unit at the time of dispensing operation of the dispenser.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313)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20)가 정수된 물 배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22)를 조작하여 정수된 물 취출 조작을 입력하게 되면 밸브(미도시)가 개방되어 배관(501)을 통해 상기 노즐 어셈블리(50)로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출수부(25)를 통해서 정수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dispenser 20 is set to the purified water dispensing mode by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control unit 313,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lever 22 to input the purified water dispensing operation, the valve (not shown) is open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nozzle assembly 50 through the pipe 501, and purified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25.

정수된 물 취출 조작을 위한 상기 레버(22) 조작을 수행하기 전 상기 취출부(27)의 상태는, 상기 엘이디(422)가 오프되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링 라이트(730)가 발광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In the state of the dispensing unit 27 before the manipulation of the lever 22 for dispensing purified water, the LED 422 is off and the ring light 730 emits light as shown in FIG. 3 . It can become a state of not being able to.

그리고, 정수된 물의 취출 조작을 위해 상기 레버(2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노즐(55)을 통해 물이 취출됨과 동시에 상기 엘이디(422)가 온된다. 상기 엘이디(422)가 온되면 상기 라이트 가이드(60) 양측의 상기 연장부(61)로 상기 엘이디(422)의 빛이 조사되고, 상기 연결부(62)를 지나 상기 라운드부(63)까지 빛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63)로 향하는 빛은 상기 패턴부(630)에 의해 반사되어 전방을 포함하는 외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턴부(630)의 형상에 의해 상기 라운드부(63)의 전체 영역에서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ever 22 is operated to take out purified water, water is taken out through the nozzle 55 and the LED 422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When the LED 422 is turned on, the light of the LED 422 is irradiated to the extension part 61 on both sides of the light guide 60, and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62 to the round part 63. can be conveyed Then, the light directed to the round part 63 is reflected by the pattern part 630 and is directed outward including the front. At this time, light is radiated outward from the entire area of the round part 63 due to the shape of the pattern part 630 .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63)에서 외측으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운드부(63)와 접하는 상기 확산부재(70)를 지나면서 확산되며, 상기 확산부재(70)의 전체에서 균일한 밝기로 빛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노출부(73) 즉 상기 링 라이트(730)는 균일한 밝기의 링 형상으로 빛나게 된다.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round part 63 to the outside is diffu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member 70 in contact with the round part 63, and the whole of the diffusion member 70 shines with uniform brightness. . Accordingly, the exposed portion 73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ring light 730 shines in a ring shape with uniform brightness.

한편, 상기 정수된 물의 취출시에는 복수의 상기 엘이디(422) 중 어느 하나의 엘이디(422)가 동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수된 물의 취출 조작이 입력되면 복수의 상기 엘이디(422) 중 백색의 엘이디(422b)가 온되고,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출수부(25)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노출부(73) 즉, 상기 링 라이트(730)는 백색으로 빛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purified water is taken out, one of the plurality of LEDs 422 may be operated. For example, when the extraction operation of the purified water is input, the white LED 422b among the plurality of LEDs 422 is turned on, and the exposure unit exposed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unit 25 as shown in FIG. 23 (73) That is, the ring light 730 lights up in whit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20)에서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at purified water is dispensed from the dispenser 20 .

도 24는 상기 디스펜서의 노즐 살균 동작시의 상기 취출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24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ejection unit during nozzle sterilization operation of the dispenser.

상기 노즐 어셈블리(50)의 살균 장치(52)는 설정된 로직에 따라서 상기 노즐(55)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살균 운전은 별도의 조작 없이 설정된 시간 마다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살균 엘이디(522)는 50분마다 10분동안 온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살균 엘이디(522)의 동작에 의해 상기 노즐(55)의 내부가 살균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조작 설정에 따라 상기 살균 엘이디(522)의 동작 주기와 동작 시간은 조절 가능할 것이다. The sterilization device 52 of the nozzle assembly 50 performs a sterilization operation of sterilizing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inside of the nozzle 55 according to the set logic. The steriliz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every set tim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For example, the sterilization LED 522 may be configured to be heated for 10 minutes every 50 minutes, and the inside of the nozzle 55 may be sterilized by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LED 522 . Of course, the operation cycle and operation time of the sterilization LED 52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etting.

그리고, 상기 살균 운전은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에 운전 개시를 입력하여 즉각적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3)를 조작하거나, 상기 조작부(313)외 상기 도어(10), 캐비닛 또는 저장 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조작부재나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통해 상기 살균 운전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휴대폰, 피시, 원격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장치를 이용하여 살균 운전을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by inputting an operation start at a moment desire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sterilization operation by manipulating the control unit 313 or by manipulating a display or a separate control member provided inside the door 10, cabinet or storage space other than the control unit 313. can And, if necessary, it will be possible to directly input the sterilization operation using a remote device using a user's mobile phone, PC, remote terminal, or the like.

한편, 상기 살균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엘이디(422)가 온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422)가 온되면 상기 엘이디(422)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60)를 지나 상기 확산부재(70)를 통해 발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노출부(73) 즉 상기 링 라이트(730) 전체는 균일한 밝기의 링 형상으로 빛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starts, the LED 422 may be turned on. When the LED 422 is turned 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422 may pass through the light guide 60 and be emitted through the diffusion member 70 . Accordingly, the exposed portion 73 expos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entirety of the ring light 730 shines in a ring shape with uniform brightness.

그리고, 상기 살균 운전이 시작될 때, 복수의 상기 엘이디(422) 중 어느 하나의 엘이디(422)가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동작과 구분하기 위해서, 상기 확산부재(70) 즉, 링 라이트(730)는 상기 정수된 물이 취출될 때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빛나도록 운전될 수 있다. And, whe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star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EDs 422 may be operated, and in order to differentiate from the operation of dispensing the purified water, the diffusion member 70, that is, , The ring light 730 may be driven to shine in a color different from that when the purified water is taken out.

일 예로, 상기 살균 운전의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복수의 상기 엘이디(422) 중 청색의 엘이디(422a)가 온되어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출수부(25)에서 상기 확산부재(70) 즉, 상기 링 라이트(730)는 청색으로 빛나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start signal of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input, the blue LED 422a among the plurality of LEDs 422 is turned on, and as shown in FIG. 24, the diffusion member 70 in the water outlet 25 , the ring light 730 shines in blu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20)에서 상기 노즐(55)의 살균 운전이 수행되는 것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confirm that the sterilization operation of the nozzle 55 is performed in the dispenser 20 .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various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링 라이트(730)가 라이드 가이드 단일 구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라이트 가이드(60)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light 730 is composed of a single ride guid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light guide 6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라이트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다.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the light gu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20)를 구성하는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사이에 상기 라이트 가이드(8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트 가이드(80)의 노출부(84)가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사이로 노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guide 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constituting the dispenser 20, and the light guide 80 The exposed portion 84 of the may be exposed between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상기 라이트 가이드(80)는 상기 엘이디(422)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연장부(81)와, 상기 연장부(8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라운드부(83)의 양단과 연결되는 연결부(82)와, 상기 어퍼 바디(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라운드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guide 80 includes an extension part 81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LED 422, and a connection part 82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extension part 81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und part 83. ) and a round portion 83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body 41 .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83)의 내측면에는 요철 형상으로 된 패턴부(8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830)는 연속되는 홈(831)과 돌기(832)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attern portion 830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round portion 83 . The pattern portion 83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of continuous grooves 831 and protrusions 832,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그리고, 상기 라운드부(83)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노출부(8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84)는 상기 패턴부(83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41)와 로어 바디(43)의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부(84)는 상기 엘이디(422)가 온 될 때 링 형상으로 빛날 수 있으며 링 라이트라 부를 수 있다. In addition, an exposed portion 84 protruding forward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und portion 83 . The exposed part 8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pattern part 830,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body 41 and the lower body 43 and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exposed portion 84 may shine in a ring shape when the LED 422 is turned on, and may be referred to as a ring light.

상기 라이트 가이드(8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80)의 하면은 상기 로어 바디(43)의 상단 즉, 상기 로어 테두리(431)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84)의 하면은 상기 로어 커버(44)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light guide 80 is mounted, the low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80 may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lower body 43 ,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lower rim 431 . Also, a lower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84 may be supported by an upper end of the lower cover 44 .

상기 라이팅 모듈(42)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엘이디(422)가 온되면, 상기 엘이디(422)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80)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가이드(80)를 따라 이동되는 빛은 상기 패턴부(830)에서 전방을 포함한 외측으로 반사되어 상기 노출부(84)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 링 형상으로 빛나게 되어 사용자에게 가시화 될 수 있다.When the LED 422 is turned on while the lighting module 42 is mount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422 moves along the light guide 80 . And, the light moving along the light guide 80 is reflected outward from the pattern part 830, including the front,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sure part 84 to shine in a ring shape, which can be visualized to the user. there is.

Claims (20)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부와, 조작 상태의 표시를 위한 표시부가 함께 형성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후방에 설치된 기판;
상기 표시부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의 전면에 설치된 발광부재;
상기 조작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재의 빛을 상기 표시부로 안내하기 위한 라이트 홀을 형성한 가이드부재;
상기 터치부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에 설치된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부를 연결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차단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 manipulation unit formed with a touch unit for user's touch oper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anipulation state;
a board installed behind the control unit;
a light emitting member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facing the display unit;
a guide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anipulation unit and the substrate and having a light hole for guid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to the display unit;
a touch sensor installed on the substrate facing the touch unit; and
A sensing member connecting the touch sensor and the touch unit;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blocking layer for blocking light transmission is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재가 온되면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display unit is formed to transmit light, and is displayed externally when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turned 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다수의 미세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재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발광부재가 켜진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urality of fine holes,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turned off, the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relatively less exposed than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mber is turned 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터치부의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display unit is formed in an area of the touch unit.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를 포함한 외관을 형성하는 터치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층은 상기 터치 케이스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차단층을 국부적으로 제거하여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It is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and further includes a touch case forming an exterior including the control unit,
The blocking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touch case,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to transmit light by locally removing the block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동일한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layer is formed to have the same texture as the outer plate forming the exteri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외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이 돌출되고 양측방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center protrudes and is formed toward the rear toward both sid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전면이 상기 조작부와 접하고, 후면이 상기 기판과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은 상기 조작부와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7,
The guide member has a fron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anipulation unit and a rea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터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감지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hole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and accommodating the sensing member therei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기판의 결합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기판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홀의 후면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조작부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9,
The substrate is coupled to the guide member,
When the board is coupled, the sensing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hole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boar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rol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감지부재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9,
The guide hole is a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의 전면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면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결합시 탄성변형 되면서 상기 조작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8,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member protrudes more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member,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ensing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control unit and the guide member are coupled and adheres to the oper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기판에 구비되어 조작부의 배면에 밀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 표면의 정전기를 상기 터치 센서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member,
an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and
A transmission membe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ransmitting static electricity on the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to the touch sensor;
The transfer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터치 기판에서 상기 조작부 사이의 거리보다 더 상기 기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3,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elastic member protrudes from the substrate more than a distance between the touch substrate and the control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플렉시블한 구조의 금속 박막 또는 전도성 필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3,
The transfer member is a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metal thin film or conductive film material of a flexible structur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전면과 좌우 양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전달부재의 단부는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5,
The transmission member extends along the front surface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astic member, and an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식 터치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3,
The touch sensor is a capacitive touch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터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ensing member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 부재와 결합되는 다수의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plurality of hooks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and coupled to the guy member are formed.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후방에서 관통하여 상기 조작부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체결시 상기 조작부와 상기 가이드부재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According to claim 19,
Further comprising a screw that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from the rear and is fastened to the control unit,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and the guide memb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crew is fastened.
KR1020230036594A 2021-02-10 2023-03-21 Home appliance KR202300443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594A KR20230044371A (en) 2021-02-10 2023-03-21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35A KR102514371B1 (en) 2021-02-10 2021-02-10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ving dispenser
KR1020230036594A KR20230044371A (en) 2021-02-10 2023-03-21 Home applian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135A Division KR102514371B1 (en) 2021-02-10 2021-02-10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ving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371A true KR20230044371A (en) 2023-04-04

Family

ID=829017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135A KR102514371B1 (en) 2021-02-10 2021-02-10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ving dispenser
KR1020230036594A KR20230044371A (en) 2021-02-10 2023-03-21 Home applian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135A KR102514371B1 (en) 2021-02-10 2021-02-10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ving dispens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14371B1 (en)
AU (1) AU2022200359B2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507B1 (en) * 2009-09-30 2017-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472287B1 (en) * 2019-02-01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Having a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00359A1 (en) 2022-08-25
KR102514371B1 (en) 2023-03-28
AU2022200359B2 (en) 2024-03-28
KR20220115743A (en)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9441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opening refrigerator door
CN114909866B (en) Lighting assembly, dispenser device and refrigerator
KR102514371B1 (en) lighting module and refrigerator hving dispenser
US20230152030A1 (en) Refrigerator
KR102560062B1 (en) dispenser device
US20230013230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30117497A (en) Home appliance
AU2022205217B2 (en) Panel assembly for a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therewith
US20240085091A1 (en) Refrigerator
KR102640325B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of the home appliance
US20230014764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30011147A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EP4119873A1 (en) Home appliance
US20230152029A1 (en) Home appliance
US20230160568A1 (en) Home appliance
US20240133619A1 (en) Refrigerator
KR20230071625A (en) Home appliance
KR20230011153A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40012263A (en) Refrigerator
KR20230011150A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30021456A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30151767A (en) Home appliance
KR20230041479A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30116592A (en) Home appliance
KR20230071577A (en) Home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