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028A - Elevator ro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Elevator ro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028A
KR20230044028A KR1020237009631A KR20237009631A KR20230044028A KR 20230044028 A KR20230044028 A KR 20230044028A KR 1020237009631 A KR1020237009631 A KR 1020237009631A KR 20237009631 A KR20237009631 A KR 20237009631A KR 20230044028 A KR20230044028 A KR 20230044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eel
steel wire
elevator rop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야 나이토
마사히코 히다
도요히로 노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0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05Composite ropes, i.e. 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and 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07B1/068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core desig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5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01Wires or filaments
    • D07B2201/201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 D07B2201/2012Wires or filaments characterised by a coating comprising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 D07B2201/2056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arranged parallel to the axi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5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 D07B2201/2057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filaments or fibers resulting in a twisted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52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D07B2201/2059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wires
    • D07B2201/2061Cor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mprising wires resulting in a twisted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67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 D07B2201/2068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having a load bearing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71Spacers
    • D07B2201/2073Spacers in circumferencial dire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71Spacers
    • D07B2201/2074Spacers in radial dire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엘리베이터용 로프로서,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심과, 강심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제1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제공한다. 이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의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타원도가 낮은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As an elevator rope for suspending an elevator car in an elevator, a steel core made of a steel strand or a single steel wire twisted wit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 first fiber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and a plurality of steel wires An elevator rope comprising a first steel wire layer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twisted steel strands or a single steel wire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According to this elevator rope, an elevator rope containing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nd having a low ellipticity can be easily manufactur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Elevator ro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elevator rope for suspending an elevator car in an elevat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건조물의 고층화에 수반하여, 엘리베이터의 고양정화(高揚程化)가 진행되고 있다. 고양정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사용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직경 및 길이가 커지기 때문에, 경량이고 고강도인 로프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심(芯)에 가볍고 강한 고강도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With the increase in the height of buildings, the increase in lift of elevators is progressing. In a high-lift elevator, since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elevator rope used increase, a lightweight and high-strength rope is required. Therefore, a method of using light and strong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for the core of an elevator rope is known.

특허문헌 1에는, 중심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심(纖維芯)을 배치하고, 그 외주에 강제(鋼製) 스트랜드(strand)를 감아서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vator rope by arranging a fiber core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 in the center and winding a steel stra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국제 공개 제2017/064808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7/064808

그런데,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심의 제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지름이 수~수십 ㎛인 고강도 합성 섬유를 복수 묶어서 이루어지는 고강도 섬유 얀(yarn)을 다수 늘어놓아 묶거나 서로 꼬거나 하여 섬유심을 형성하면서, 그 전체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운행시에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걸리는 인장 하중을 섬유심이 충분히 부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강도 섬유 얀은 고의로 조금 느슨하게 서로 꼰다. 그렇지만, 고강도 섬유 얀은 가늘고 부드럽기 때문에 느슨하게 서로 꼴 때에 형태가 무너지기 쉬워, 원형의 심재를 만드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타원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심재의 타원도가 높으면 그 외주에 강제 스트랜드를 감은 로프의 타원도도 높아지고, 타원도가 높으면 로프의 수명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By the way, in the manufacture of fiber cor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for example, a plurality of high-strength fiber yarns formed by bundling a plurality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having a diameter of several to several tens of μm are arranged in a row, bundled, or twisted together to form a fiber core. , so that the overall cross-sectional shape is circular.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fiber core to sufficiently bear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elevator rope during elevator operation, the high-strength fiber yarns are deliberately twisted slightly loosely with each other. However, since high-strength fiber yarns are thin and soft, they tend to lose their shape when loosely twisted, and it is not easy to make a circular core material, which sometimes results in an ellipse. If the ellipticity of the core material is high, the ellipticity of the rope with the steel strand wound around its outer periphery also increases, and if the ellipticity is high, the life of the rope may be reduced.

그래서, 본 개시의 목적은,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타원도가 낮은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조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elevator rop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manufacturing an elevator rope having a low elliptic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cluding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는,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심과, 강심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제1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을 구비한 것이다.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teel core made of a steel strand or a single steel wire twisted wit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 first fiber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and a steel strand made of a plurality of steel wires twisted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a first steel wire layer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ingle steel wire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is provided.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심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1 섬유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상기 제1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1 강선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a step of forming a first fiber layer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steel core made of a steel strand or a single steel wire twisted with each other and a step of forming a first steel wire layer by winding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or a single steel wire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gether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본 개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타원도가 낮은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vator ro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 elevator rope containing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nd having a low ellipticity can be easily manufactured.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각 층을 차례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각 층을 차례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각 층을 차례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layer of the elevator ro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equentially cu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layer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sequentially cut.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layer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sequentially cut.
6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first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11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13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15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용 로프(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용 로프(100)의 각 층을 차례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Hereinafter, the elevator rop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elevator rope 100.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layer of the elevator rope 100 is sequentially cut.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100)는, 강심(11)과, 강심(1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1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섬유층(12)의 외주에 복수 개의 제1 강제 스트랜드(13n)를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13)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elevator rope 100 has a steel core 11 and a first fiber layer 12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eel core 11 . It also has a first steel wire layer 13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first steel strands 13n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12.

강심(11)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진다. 강심(11)은 심선(11a)과, 이 심선(11a)의 외주에 감겨진 6개의 측선(11b)으로 이루어진다. 이 심선(11a)과 측선(11b)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The steel core 11 consists of a steel strand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together. The steel core 11 is composed of a core wire 11a and six side wires 11b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wire 11a. Both the core wire 11a and the side wire 11b are made of steel wires.

제1 섬유층(12)은 강심(1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1 섬유층(12)은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꼬아 형성되고, 각 섬유 다발은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폴리파라페닐렌 벤즈옥사졸(PBO)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또는 바솔트 섬유 등을 이용한다. 각 섬유 다발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로 굳혀서 일체화시킨 것이어도 되고, 수지를 피복한 것이어도 된다. The first fiber layer 12 is a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11. The first fiber layer 12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with each other, and each fiber bundle i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s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for example, carbon fibers, glass fibers, polyparaphenylene benzoxazole (PBO) fibers, aramid fibers, polyarylate fibers, or basalt fibers are used. Each fiber bundle may be made integral by being hardened with a resin such as, for example,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or may be coated with a resin.

제1 강선층(13)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1 강제 스트랜드(13n)를 제1 섬유층(1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제1 섬유층(12)의 외주에, 8개의 제1 강제 스트랜드(13n)가 감겨져 있다. 각 제1 강제 스트랜드(13n)는 심선(13a)과, 이 심선(13a)의 외주에 감겨진 9개의 제1 측선(13b)과, 추가로 그 외주에 감겨진 9개의 제2 측선(13c)을 가진다. 이 심선(13a), 제1 측선(13b) 및 제2 측선(13c)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제1 강선층(13)이 엘리베이터용 로프(100)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is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first steel strands 13n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together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ber layer 12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eight first steel strands 13n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12. Each first steel strand 13n comprises a core wire 13a, nine first side wires 13b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wire 13a, and nine second side wires 13c further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wire 13a. have The core wire 13a, the first lateral wire 13b, and the second lateral wire 13c are all made of steel wire. In 1st Embodiment, this 1st steel wire layer 13 is located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1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엘리베이터용 로프(100)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강심(11)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1 섬유층(1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강심(11)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서로 꼬아 제1 섬유층(12)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섬유층(12)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걸리는 인장 하중을 충분히 부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은 고의로 조금 느슨하게 서로 꼬지만, 강심(11)을 심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꼴 때의 형태가 잘 무너지지 않아, 제1 섬유층(12)의 형성이 용이하다. 그 후,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1 강제 스트랜드(13n)를 제1 섬유층(1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1 강선층(13)을 형성한다. When manufacturing the elevator rope 100, first,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re plac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11 made of steel strands twisted with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 form a first fiber layer 12 do.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twisted toge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core 11 to form the first fiber layer 12 . At this time, in order to sufficiently bear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elevator rope by the first fiber layer 12, the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deliberately twisted slightly loosely, but since the steel core 11 is used as the core material, they do not form each other. The shape of the soil does not collapse easily, and the formation of the first fiber layer 12 is easy. After that, a plurality of first steel wire strands 13n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12 to form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100)는 강심(11)과, 그 강심(1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12)과, 강제 스트랜드를 제1 섬유층(1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13)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강심(11)을 심재로 하여 제1 섬유층(1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타원도가 낮은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rope 100 includes a steel core 11, a first fiber layer 12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11, and a first fiber layer 12 comprising steel strands It is equipped with the 1st steel wire layer 13 formed by winding multiple piece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In this way, the first fiber layer 12 can be easily formed using the steel core 11 as a core material, and an elevator rope containing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nd having a low ellipticity can be easily manufactured.

또한, 엘리베이터는, 승강 높이가 높아질수록, 엘리베이터에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엘리베이터용 로프(100)에 의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의 갯수 또는 질량을 더 줄이거나, 또는 완전하게 제거하거나 할 수 있다. In the elevato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ope (or chain) for weight compensation in the elevator as the lifting height increases, but according to the elevator rope 100, weight reduction can be realized by including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Therefore, the number or mass of ropes (or chains) for weight compensation can be further reduced or completely eliminated.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섬유층(12)이, 강심(11)의 외주에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꼰 것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엮은 것이어도 되고,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대체로 평행하게 늘어놓아 묶은 것이어도 된다. 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rst fiber layer 12 is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twis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11 has been described, but instead of this,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twisted It may be one, or it may be one in which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laid out in parallel and bundled together.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강심(11)을 구성하는 구성 스트랜드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1 강선층(13)을 구성하는 제1 강제 스트랜드(13n)의 갯수나, 각 제1 강제 스트랜드(13n)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In the above firs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constituent strands constituting the steel core 11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teel wires, etc.)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ddition, the number of first steel strands 13n constituting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and the structure of each first steel strand 13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teel wires, etc.)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of First Embodiment]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인 엘리베이터용 로프(1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엘리베이터용 로프(1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엘리베이터용 로프(101)의 각 층을 차례로 절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Hereinafter, the rope 101 for an elevator which is a 1st modified example of 1st Embodiment is demonstrat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101.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layer of the elevator rope 101 is sequentially cut.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101)는 최외층으로서 수지제의 피복층(18)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100)에 있어서는, 제1 강선층(13)이 엘리베이터용 로프(100)의 최외층으로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이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101)에 있어서는, 제1 강선층(13)의 외주가 피복층(1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101)는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피복층(18)은 서로 인접하는 제1 강제 스트랜드(13n)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 피복층(18)의 재료로서는, 쉬브와의 사이의 트랙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마찰 계수를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계 수지,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한다. 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elevator rope 101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resin coating layer 18 as the outermost layer. That is, in the elevator rop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100. On the other hand, in the elevator rope 101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is covered with the coating layer 18. Thereby,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elevator rope 101 is improv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The covering layer 18 is sandwiched between adjacent first steel strands 13n. As the material of the coating layer 18, a resin having a sufficient coefficient of friction, for example, an elastomer-based resin, polyurethane, or the like is used in order to ensure traction capability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또한, 엘리베이터는, 승강 높이가 높아질수록, 엘리베이터에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엘리베이터용 로프(101)에 의하면,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쉬브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의 향상에 의해서 쉬브와의 사이의 미끄러짐을 억제하여, 안정된 동력 전달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의 갯수 또는 질량을 추가로 줄이거나, 또는 완전하게 제거하거나 할 수 있다. In the elevato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ope (or chain) for weight compensation in the elevator as the lifting height increases, but according to the elevator rope 101, weight reduction can be realized by including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slippage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can be suppressed, and stable power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As a result, the number or mass of ropes (or chains) for weight compensation can be further reduced or completely eliminated.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인 엘리베이터용 로프(1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엘리베이터용 로프(10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로프(102)는 강심(11)과 제1 섬유층(12)의 사이, 및 제1 섬유층(12)과 제1 강선층(13)의 사이에 각각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 상위점에 대해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elevator rope 102 as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102. The elevator rope 102 is provided with a buffer layer made of resin between the steel core 11 and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respectively. It is different from 1st Embodiment in thi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fference is demonstrated, an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similar to 1st Embodiment is abbreviate|omitted.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102)는 강심(11)과 제1 섬유층(12)의 사이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층(19a)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강심(11)과 제1 섬유층(12)이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한 제1 섬유층(12)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12)과 제1 강선층(13)의 사이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완충층(19b)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섬유층(12)과 제1 강선층(13)이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한 제1 섬유층(12)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완충층(19a), 및 제2 완충층(19b)의 재료로서는, 내마모성과 저마찰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한다. As shown in Fig. 5, the elevator rope 102 has a first buffer layer 19a made of resin between the steel core 11 and the first fiber layer 12. Accordingly, wear of the first fiber layer 12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steel core 11 and the first fiber layer 12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a second buffer layer 19b made of resi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Thereby, the abrasion of the 1st fiber layer 12 by direct contact between the 1st fiber layer 12 and the 1st steel wire layer 13 can be suppressed. As a material for the first buffer layer 19a and the second buffer layer 19b, a resin having wear resistance and low friction propertie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is used.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서는, 강심(11)과 제1 섬유층(12)의 사이, 제1 섬유층(12)과 제1 강선층(13)의 사이 모두에 각각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을 대신하여, 그 중 어느 1개소에만 완충층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그 완충층을 구비하는 개소에 있어서 제1 섬유층(12)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강심(11)과 제1 섬유층(12)의 사이, 및 제1 섬유층(12)과 제1 강선층(13)의 사이 중 적어도 1개소에 완충층을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Further, in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both between the steel core 11 and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are made of resin, respectively. The case where the buffer layer is provided is described. However, instead of this, you may make it provide a buffer layer only in any one place among them. In this way, wear of the first fiber layer 12 can be suppressed at the location provided with the buffer layer. That is, a buffer layer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between the steel core 11 and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엘리베이터용 로프(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로프(200)는 강심(21)이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상위하다. 이것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강심(11)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진다. 그 외의 점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elevator rop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200. The elevator rope 200 differs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steel core 21 consists of a single steel wire. On the other hand, in 1st Embodiment, the steel core 11 consists of the steel strand which twisted several steel wire mutually. Since other points are in common with the first embodiment, explanations are omitted here.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강심(21)과 제1 섬유층(12)의 사이, 및 제1 섬유층(12)과 제1 강선층(13)의 사이 중 적어도 1개소에 완충층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Further, in this second embodiment, a buffer layer is provided at least one of between the steel core 21 and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1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You can do it.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인 엘리베이터용 로프(2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엘리베이터용 로프(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201)는 최외층으로서 수지제의 피복층(28)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200)에 있어서는, 제1 강선층(13)이 엘리베이터용 로프(200)의 최외층으로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이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201)에 있어서는, 제1 강선층(13)의 외주가 피복층(2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201)는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Hereinafter, an elevator rope 201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201. As shown in FIG. 7, the elevator rope 201 differs from 2nd Embodiment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coating layer 28 made from resin as an outermost layer. That is, in the elevator rop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200. On the other hand, in the elevator rope 201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13 is covered with the coating layer 28. Thereby,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elevator rope 201 is improv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피복층(28)은 서로 인접하는 제1 강제 스트랜드(13n)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 피복층(28)의 재료로서는, 쉬브와의 사이의 트랙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마찰 계수를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계 수지,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한다. The covering layer 28 is sandwiched between adjacent first steel strands 13n. As the material of the coating layer 28, a resin having a sufficient coefficient of friction, for example, an elastomer-based resin or polyurethane, is used in order to ensure traction capability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엘리베이터용 로프(3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Hereinafter, the elevator rop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300.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300)는 강심(31)과, 강심(3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32)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섬유층(32)의 외주에 복수 개의 제1 강제 스트랜드(33n)를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33)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강선층(33)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섬유층(3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섬유층(34)의 외주에 복수 개의 제2 강제 스트랜드(35n)를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2 강선층(35)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8 , the elevator rope 300 has a steel core 31 and a first fiber layer 32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eel core 31 . It also has a first steel wire layer 33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first steel strands 33n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32. In addition, it has a second fiber layer 34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rrang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It also has a second steel wire layer 35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econd steel strands 35n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iber layer 34.

강심(31)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진다. 강심(31)은 심선과, 이 심선의 외주에 감겨진 6개의 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 심선과 측선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The steel core 31 consists of a steel strand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together. The steel core 31 consists of a core wire and six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wire. Both the core wire and the side wire are made of steel wire.

제1 섬유층(32)은 강심(3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1 섬유층(32)은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꼬아 형성되고, 각 섬유 다발은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폴리파라페닐렌 벤즈옥사졸(PBO)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또는 바솔트 섬유 등을 이용한다. 각 섬유 다발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로 굳혀서 일체화시킨 것이어도 되고, 수지를 피복한 것이어도 된다. The first fiber layer 32 is a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31. The first fiber layer 32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with each other, and each fiber bundle i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s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for example, carbon fibers, glass fibers, polyparaphenylene benzoxazole (PBO) fibers, aramid fibers, polyarylate fibers, or basalt fibers are used. Each fiber bundle may be made integral by being hardened with a resin such as, for example,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or may be coated with a resin.

제1 강선층(33)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1 강제 스트랜드(33n)를 제1 섬유층(3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진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제1 섬유층(32)의 외주에, 12개의 제1 강제 스트랜드(33n)가 감겨져 있다. 각 제1 강제 스트랜드(33n)는 심선과, 이 심선의 외주에 감겨진 6개의 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 심선과 측선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is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first steel strands 33n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together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ber layer 32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12 first steel strands 33n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32. Each first steel strand 33n consists of a core wire and six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wire. Both the core wire and the side wire are made of steel wire.

제2 섬유층(34)은 제1 강선층(33)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2 섬유층(34)은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꼬아 형성되고, 각 섬유 다발은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폴리파라페닐렌 벤즈옥사졸(PBO)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또는 바솔트 섬유 등을 이용한다. 각 섬유 다발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로 굳혀서 일체화시킨 것이어도 되고, 수지를 피복한 것이어도 된다. The second fiber layer 34 is a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The second fiber layer 34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with each other, and each fiber bundle i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s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for example, carbon fibers, glass fibers, polyparaphenylene benzoxazole (PBO) fibers, aramid fibers, polyarylate fibers, or basalt fibers are used. Each fiber bundle may be made integral by being hardened with a resin such as, for example,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or may be coated with a resin.

제2 강선층(35)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2 강제 스트랜드(35n)를 제2 섬유층(34)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진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제2 섬유층(34)의 외주에, 12개의 제2 강제 스트랜드(35n)가 감겨져 있다. 각 제2 강제 스트랜드(35n)는 심선과, 이 심선의 외주에 감겨진 9개의 제1 측선과, 추가로 그 외주에 감겨진 9개의 제2 측선을 가진다. 이 심선, 제1 측선 및 제2 측선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제2 강선층(35)이 엘리베이터용 로프(300)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The second steel wire layer 35 is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econd steel strands 35n of twisted plurality of steel wire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iber layer 34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12 second steel strands 35n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iber layer 34. Each second steel strand 35n has a core wire, nine first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wire, and nine second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wire. All of these core wires, first lateral wires, and second lateral wires are made of steel wires. In 3rd Embodiment, this 2nd steel wire layer 35 is located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3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엘리베이터용 로프(300)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강심(31)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1 섬유층(3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강심(31)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서로 꼬아 제1 섬유층(32)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섬유층(32)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걸리는 인장 하중을 충분히 부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은 고의로 조금 느슨하게 서로 꼬지만, 강심(31)을 심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꼴 때의 형태가 잘 무너지지 않아, 제1 섬유층(32)의 형성이 용이하다. 그 후,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1 강제 스트랜드(33n)를 제1 섬유층(3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1 강선층(33)을 형성한다. When manufacturing the elevator rope 300, first,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re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steel core 31 made of steel strands twisted with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 form a first fiber layer 32 do.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twisted toge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core 31 to form the first fiber layer 32 . At this time, in order to sufficiently bear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elevator rope by the first fiber layer 32, the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deliberately twisted slightly loosely, but since the steel core 31 is used as the core material, they do not form each other. The shape of the soil does not collapse easily, and the formation of the first fiber layer 32 is easy. After that, a plurality of first steel wire strands 33n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ar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ber layer 32 to form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

그 후, 제1 강선층(33)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2 섬유층(34)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제1 강선층(33)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서로 꼬아 제2 섬유층(34)을 형성한다. 그 후,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2 강제 스트랜드(35n)를 제2 섬유층(34)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2 강선층(35)을 형성한다. After that,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r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to form the second fiber layer 34.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twisted toge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to form the second fiber layer 34 . After that, a plurality of second steel wire strands 35n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iber layer 34 to form the second steel wire layer 35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300)는 강심(31)과, 그 강심(3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32)과, 강제 스트랜드를 제1 섬유층(3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33)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강심(31)을 심재로 하여 제1 섬유층(3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타원도가 낮은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용 로프(300)는 제1 강선층(33)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섬유층(34)과, 강제 스트랜드를 제2 섬유층(34)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2 강선층(35)을 더 구비하고 있다. 즉, 섬유층을 2층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의 사용량을 늘려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rope 300 includes a steel core 31, a first fiber layer 32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31, and a first fiber layer 32 comprising steel strands It is equipped with the 1st steel wire layer 33 formed by winding multiple piece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In this way, the first fiber layer 32 can be easily formed using the steel core 31 as a core material, and an elevator rope containing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nd having a low ellipticity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elevator rope 300 is formed by winding a second fiber layer 34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and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iber layer 34. It is further equipped with the 2nd steel wire layer 35 which consists. That is, two layers of fiber layers are provided. Thereby, weight reduction is realizable by increasing the usage-amount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

또한, 엘리베이터는, 승강 높이가 높아질수록, 엘리베이터에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엘리베이터용 로프(300)에 의하면, 복수의 섬유층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를 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보다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의 갯수 또는 질량을 추가로 줄이거나, 또는 완전하게 제거하거나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elevator height increase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ope (or chain) for weight compensation in the elevator, but according to the elevator rope 300, a plurality of fiber layers contain more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By doing this, weight reduction can be realized than conventional elevator ropes, and the number or mass of ropes (or chains) for weight compensation can be further reduced or completely eliminated.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섬유층(32)과 제2 섬유층(34)이, 강심(31)의 외주에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꼰 것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엮은 것이어도 되고,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대체로 평행하게 늘어놓아 묶은 것이어도 된다. Further, in the above thir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rst fiber layer 32 and the second fiber layer 34 are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31 has been described, but instead of this,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y be woven together, or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d bundled together.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강심(31)을 구성하는 구성 스트랜드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1 강선층(33)을 구성하는 제1 강제 스트랜드(33n)의 갯수나, 각 제1 강제 스트랜드(33n)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2 강선층(35)을 구성하는 제2 강제 스트랜드(35n)의 갯수나, 각 제2 강제 스트랜드(35n)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said 3rd Embodiment, you may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 strand which comprises the steel core 31 (number of steel wires, arrangement|positioning, etc.) suitably. In addition, the number of first steel strands 33n constituting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and the structure of each first steel strand 33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teel wires, etc.)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ddition, the number of second steel strands 35n constituting the second steel wire layer 35 and the structur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teel wires) of each second steel strand 35n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강심(31)과 제1 섬유층(32)의 사이, 제1 섬유층(32)과 제1 강선층(33)의 사이, 제1 강선층(33)과 제2 섬유층(34)의 사이, 및 제2 섬유층(34)과 제2 강선층(35)의 사이 중 적어도 1개소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그 완충층을 구비하는 개소에 있어서 제1 섬유층(32) 또는 제2 섬유층(34)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완충층의 재료로서는, 내마모성과 저마찰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third embodiment, between the steel core 31 and the first fiber layer 32,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3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and between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A buffer layer made of resin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location between the two fiber layers 34 and between the second fiber layer 34 and the second steel wire layer 35. In this way, wear of the first fiber layer 32 or the second fiber layer 34 can be suppressed at the location provided with the buffer layer. At this time, as the material of the buffer layer, a resin having abrasion resistance and low friction,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c. can be used.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이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인 엘리베이터용 로프(3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엘리베이터용 로프(3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301)는 최외층으로서 수지제의 피복층(38)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300)에 있어서는, 제2 강선층(35)이 엘리베이터용 로프(300)의 최외층으로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이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301)에 있어서는, 제2 강선층(35)의 외주가 피복층(3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301)는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Hereinafter, an elevator rope 301 as a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301. As shown in FIG. 9, the elevator rope 301 differs from 3rd Embodiment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coating layer 38 made from resin as an outermost layer. That is, in the elevator rop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econd steel wire layer 35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300. In contrast, in the elevator rope 301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35 is covered with the coating layer 38. Thereby,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elevator rope 301 is improv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피복층(38)은 서로 인접하는 제2 강제 스트랜드(35n)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 피복층(38)의 재료로서는, 쉬브와의 사이의 트랙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마찰 계수를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계 수지,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한다. The coating layer 38 is sandwiched between adjacent second steel strands 35n. As the material of the coating layer 38, a resin having a sufficient coefficient of friction, for example, an elastomer-based resin or polyurethane, is used in order to ensure traction capability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또한, 엘리베이터는, 승강 높이가 높아질수록, 엘리베이터에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엘리베이터용 로프(301)에 의하면, 복수의 섬유층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를 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보다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쉬브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의 향상에 의해서 쉬브와의 사이의 미끄러짐을 억제하여, 안정된 동력 전달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의 갯수 또는 질량을 추가로 줄이거나, 또는 완전하게 제거하거나 할 수 있다. Further, as the lift height increase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ope (or chain) for weight compensation in the elevator, but according to the elevator rope 301, a plurality of fiber layers contain more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By doing thi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reduction in weight compared to conventional elevator ropes, and by improv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slipping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can be suppressed, and stable power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As a result, the number or mass of ropes (or chains) for weight compensation can be further reduced or completely eliminated.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이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인 엘리베이터용 로프(3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엘리베이터용 로프(30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302)는 제1 강선층(33)의 각 제1 강제 스트랜드(33n)를 각각 피복하는 수지제의 피복체(39)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와 상위하며, 그 외의 점에 실질적인 차이는 없다. 이것에 의해, 제1 섬유층(32)과 제1 강선층(33)이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한 제1 섬유층(32)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강선층(33)과 제2 섬유층(34)이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한 제2 섬유층(34)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피복체(49)의 재료로서는, 내마모성과 저마찰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한다. Hereinafter, an elevator rope 302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302. As shown in Fig. 10, the elevator rope 302 has a resin cover 39 covering each of the first steel strands 33n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respectively. I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and there is no substantial difference in other points. Accordingly, wear of the first fiber layer 32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3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abrasion of the second fiber layer 34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first steel wire layer 33 and the second fiber layer 34 can be suppressed. As the material of the covering body 49, a resin having wear resistance and low friction propertie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is used.

[제4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이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엘리베이터용 로프(4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로프(400)는 강심(41)이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3 실시 형태의 것과 상위하다. 이것에 대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강심(31)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진다. 그 외의 점에 있어서는 제3 실시 형태와 공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elevator rop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400. The elevator rope 400 differs from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the steel core 41 consists of a single steel wire. On the other hand, in 3rd Embodiment, the steel core 31 consists of the steel strand which twisted several steel wire mutually. Other point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so explanations are omitted here.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Modified Example of the 4th Embodiment]

이하,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인 엘리베이터용 로프(4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엘리베이터용 로프(4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401)는 최외층으로서 수지제의 피복층(48)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4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즉,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400)에 있어서는, 제2 강선층(35)이 엘리베이터용 로프(400)의 최외층으로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이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401)에 있어서는, 제2 강선층(35)의 외주가 피복층(4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401)는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Hereinafter, an elevator rope 401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401. As shown in FIG. 12, the elevator rope 401 is different from 4th Embodiment in the point provided with the coating layer 48 made from resin as an outermost layer. That is, in the elevator rop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second steel wire layer 35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400. In contrast, in the elevator rope 401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35 is covered with the coating layer 48. Thereby,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elevator rope 401 is improv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피복층(48)은 서로 인접하는 제2 강제 스트랜드(35n)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 피복층(48)의 재료로서는, 쉬브와의 사이의 트랙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마찰 계수를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계 수지,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한다. The coating layer 48 is sandwiched between adjacent second steel strands 35n. As the material of the coating layer 48, a resin having a sufficient coefficient of friction, for example, an elastomer-based resin or polyurethane, is used in order to ensure traction capability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제5 실시 형태][Fifth Embodiment]

이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엘리베이터용 로프(5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Hereinafter, an elevator rope 5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500.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500)는 강심(51)과, 강심(5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52)과, 제1 섬유층(52)의 외주에 복수 개의 제1 강제 스트랜드(53n)를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53)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강선층(53)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섬유층(54)과, 제2 섬유층(54)의 외주에 복수 개의 제2 강제 스트랜드(55n)를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2 강선층(55)을 가지고 있다. 추가로, 제2 강선층(55)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3 섬유층(56)과, 제3 섬유층(56)의 외주에 복수 개의 제3 강제 스트랜드(57n)를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3 강선층(57)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13, an elevator rope 500 includes a steel core 51, a first fiber layer 52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51,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ber layer 52. It has the 1st steel wire layer 53 formed by winding the some 1st steel strand 53n around. In addition, a second fiber layer 54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and a plurality of second steel strands 55n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iber layer 54. It has two steel wire layers (55). In addition, a third fiber layer 56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and a plurality of third forced strands 57n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ird fiber layer 56. It has the 3rd steel wire layer 57.

강심(51)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진다. 강심(51)은 심선과, 이 심선의 외주에 감겨진 6개의 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 심선과 측선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The steel core 51 consists of a steel strand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together. The steel core 51 consists of a core wire and six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wire. Both the core wire and the side wire are made of steel wires.

제1 섬유층(52)은 강심(5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1 섬유층(52)은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꼬아 형성되고, 각 섬유 다발은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폴리파라페닐렌 벤즈옥사졸(PBO)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또는 바솔트 섬유 등을 이용한다. 각 섬유 다발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로 굳혀서 일체화시킨 것이어도 되고, 수지를 피복한 것이어도 된다. The first fiber layer 52 is a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51. The first fiber layer 52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with each other, and each fiber bundle i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s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for example, carbon fibers, glass fibers, polyparaphenylene benzoxazole (PBO) fibers, aramid fibers, polyarylate fibers, or basalt fibers are used. Each fiber bundle may be made integral by being hardened with a resin such as, for example,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or may be coated with a resin.

제1 강선층(53)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1 강제 스트랜드(53n)를 제1 섬유층(5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진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제1 섬유층(52)의 외주에, 12개의 제1 강제 스트랜드(53n)가 감겨져 있다. 각 제1 강제 스트랜드(53n)는 심선과, 이 심선의 외주에 감겨진 6개의 측선으로 이루어진다. 이 심선과 측선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is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first steel strands 53n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together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ber layer 52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12 first steel strands 53n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52. Each first steel strand 53n consists of a core wire and six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wire. Both the core wire and the side wire are made of steel wire.

제2 섬유층(54)은 제1 강선층(53)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2 섬유층(54)은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꼬아 형성되고, 각 섬유 다발은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폴리파라페닐렌 벤즈옥사졸(PBO)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또는 바솔트 섬유 등을 이용한다. 각 섬유 다발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로 굳혀서 일체화시킨 것이어도 되고, 수지를 피복한 것이어도 된다. The second fiber layer 54 is a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The second fiber layer 54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with each other, and each fiber bundle i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s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for example, carbon fibers, glass fibers, polyparaphenylene benzoxazole (PBO) fibers, aramid fibers, polyarylate fibers, or basalt fibers are used. Each fiber bundle may be made integral by being hardened with a resin such as, for example,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or may be coated with a resin.

제2 강선층(55)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2 강제 스트랜드(55n)를 제2 섬유층(54)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진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제2 섬유층(54)의 외주에, 20개의 제2 강제 스트랜드(55n)가 감겨져 있다. 각 제2 강제 스트랜드(55n)는 심선과, 이 심선의 외주에 감겨진 9개의 제1 측선과, 추가로 그 외주에 감겨진 9개의 제2 측선을 가진다. 이 심선, 제1 측선 및 제2 측선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is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econd steel strands 55n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gether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iber layer 54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20 second steel strands 55n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iber layer 54. Each second steel strand 55n has a core wire, nine first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wire, and nine second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wire. All of these core wires, first lateral wires, and second lateral wires are made of steel wires.

제3 섬유층(56)은 제2 강선층(55)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3 섬유층(56)은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꼬아 형성되고, 각 섬유 다발은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고강도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폴리파라페닐렌 벤즈옥사졸(PBO) 섬유, 아라미드 섬유, 폴리아릴레이트 섬유, 또는 바솔트 섬유 등을 이용한다. 각 섬유 다발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로 굳혀서 일체화시킨 것이어도 되고, 수지를 피복한 것이어도 된다. The third fiber layer 56 is a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The third fiber layer 56 is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with each other, and each fiber bundle i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s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for example, carbon fibers, glass fibers, polyparaphenylene benzoxazole (PBO) fibers, aramid fibers, polyarylate fibers, or basalt fibers are used. Each fiber bundle may be made integral by being hardened with a resin such as, for example,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or may be coated with a resin.

제3 강선층(57)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3 강제 스트랜드(57n)를 제3 섬유층(56)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진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제3 섬유층(56)의 외주에, 15개의 제3 강제 스트랜드(57n)가 감겨져 있다. 각 제3 강제 스트랜드(57n)는 심선과, 이 심선의 외주에 감겨진 9개의 제1 측선과, 추가로 그 외주에 감겨진 9개의 제2 측선을 가진다. 이 심선, 제1 측선 및 제2 측선은 모두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제3 강선층(57)이 엘리베이터용 로프(500)의 최외층에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The third steel wire layer 57 is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third steel strands 57n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gether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ird fiber layer 56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3, 15 third steel strands 57n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fiber layer 56. Each third steel strand 57n has a core wire, nine first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wire, and nine second side wire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wire. All of these core wires, first lateral wires, and second lateral wires are made of steel wires. In 5th Embodiment, this 3rd steel wire layer 57 is located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50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엘리베이터용 로프(500)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지는 강심(51)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1 섬유층(5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강심(51)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서로 꼬아 제1 섬유층(52)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섬유층(52)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에 걸리는 인장 하중을 충분히 부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은 고의로 조금 느슨하게 서로 꼬지만, 강심(51)을 심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꼴 때의 형태가 잘 무너지지 않아, 제1 섬유층(52)의 형성이 용이하다. 그 후,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1 강제 스트랜드(53n)를 제1 섬유층(5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1 강선층(53)을 형성한다. When manufacturing the elevator rope 500, first,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re plac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steel core 51 made of steel strands twisted with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 form a first fiber layer 52 do.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twisted toge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core 51 to form the first fiber layer 52 . At this time, in order to sufficiently bear the tensile load applied to the elevator rope by the first fiber layer 52, the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deliberately twisted slightly loosely, but since the steel core 51 is used as the core material, they do not form each other. The shape of the soil does not collapse easily, and the formation of the first fiber layer 52 is easy. After that, a plurality of first steel wire strands 53n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52 to form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

그 후, 제1 강선층(53)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2 섬유층(54)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제1 강선층(53)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서로 꼬아 제2 섬유층(54)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2 강제 스트랜드(55n)를, 제2 섬유층(54)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2 강선층(55)을 형성한다. After that,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r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to form the second fiber layer 54.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twisted toge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to form the second fiber layer 54 . Further, a plurality of second steel wire strands 55n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iber layer 54 to form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

그 후, 제2 강선층(55)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3 섬유층(56)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제2 강선층(55)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서로 꼬아 제3 섬유층(56)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제3 강제 스트랜드(57n)를, 제3 섬유층(56)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3 강선층(57)을 형성한다. Thereafter,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r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to form the third fiber layer 56.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are twisted toge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to form the third fiber layer 56 . Further, a plurality of third steel wire strands 57n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fiber layer 56 to form a third steel wire layer 57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500)는 강심(51)과, 그 강심(51)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52)과, 강제 스트랜드를 제1 섬유층(52)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53)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강심(51)을 심재로 하여 제1 섬유층(52)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고강도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용 로프(500)는 제1 강선층(53)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섬유층(54)과, 강제 스트랜드를 제2 섬유층(54)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2 강선층(55)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강선층(55)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3 섬유층(56)과, 강제 스트랜드를 제3 섬유층(56)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3 강선층(57)을 더 구비하고 있다. 즉, 섬유층을 3층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의 사용량을 늘려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rope 500 includes a steel core 51, a first fiber layer 52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51, and a first fiber layer 52 comprising steel strands It is equipped with the 1st steel wire layer 53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piece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In this way, the first fiber layer 52 can be easily formed using the steel core 51 as a core material, and an elevator rope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ddition, the elevator rope 500 is formed by winding a second fiber layer 54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and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iber layer 54. It is further equipped with the 2nd steel wire layer 55 which consists. In addition, a third fiber layer 56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and a third steel wire layer 57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ird fiber layer 56 ) is further provided. That is, three fiber layers are provided. Thereby, weight reduction is realizable by increasing the usage-amount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

또한, 엘리베이터는, 승강 높이가 높아질수록, 엘리베이터에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엘리베이터용 로프(500)에 의하면, 복수의 섬유층에 의해 고강도 합성 섬유를 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보다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 중량 보상용의 로프(또는 체인)의 갯수 또는 질량을 추가로 줄이거나, 또는 완전하게 제거하거나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elevator height increase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ope (or chain) for weight compensation in the elevator, but according to the elevator rope 500, a plurality of fiber layers contain more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By doing this, weight reduction can be realized than conventional elevator ropes, and the number or mass of ropes (or chains) for weight compensation can be further reduced or completely eliminated.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섬유층(52)과 제2 섬유층(54)이, 강심(51)의 외주에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꼰 것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서로 엮은 것이어도 되고,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대체로 평행하게 늘어놓아 묶은 것이어도 된다. Further, in the fifth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rst fiber layer 52 and the second fiber layer 54 are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twis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51 has been described, but instead of this,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y be woven together, or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nd bundled together.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강심(51)을 구성하는 구성 스트랜드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1 강선층(53)을 구성하는 제1 강제 스트랜드(53n)의 갯수나, 각 제1 강제 스트랜드(53n)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2 강선층(55)을 구성하는 제2 강제 스트랜드(55n)의 갯수나, 각 제2 강제 스트랜드(55n)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3 강선층(57)을 구성하는 제3 강제 스트랜드(57n)의 갯수나, 각 제3 강제 스트랜드(57n)의 구조(강선의 수나 배치 등)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In the above fifth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constituent strands constituting the steel core 51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teel wires, etc.)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ddition, the number of first steel strands 53n constituting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and the structure of each first steel strand 53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teel wires, etc.)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ddition, the number of second steel strands 55n constituting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and the structure of each second steel strand 55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teel wires)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ddition, the number of third steel strands 57n constituting the third steel wire layer 57 and the structure of each third steel strand 57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steel wires, etc.)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섬유층(52)과 제1 강선층(53)의 사이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섬유층(52)과 제1 강선층(53)이 직접 접촉하는 것에 의한 제1 섬유층(52)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제1 강선층(53)과 제2 섬유층(54)의 사이, 및 제2 섬유층(54)과 제2 강선층(55)의 사이에도,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2 강선층(55)과 제3 섬유층(56)의 사이, 및 제3 섬유층(56)과 제3 강선층(57)의 사이에도,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완충층의 재료로서는, 내마모성과 저마찰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fifth embodiment, a buffer layer made of resi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5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Accordingly, wear of the first fiber layer 52 due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5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can be suppressed. For the same reason, a buffer layer made of resin may also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and the second fiber layer 54 and between the second fiber layer 54 and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do. A buffer layer made of resin may also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and the third fiber layer 56 and between the third fiber layer 56 and the third steel wire layer 57. In addition, as a material for the buffer layer, a resin having wear resistance and low friction propertie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can be used.

또한,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강심(51)과 제1 섬유층(52)의 사이, 제1 섬유층(52)과 제1 강선층(53)의 사이, 제1 강선층(53)과 제2 섬유층(54)의 사이, 제2 섬유층(54)과 제2 강선층(55)의 사이, 제2 강선층(55)과 제3 섬유층(56)의 사이, 및 제3 섬유층(56)과 제3 강선층(57)의 사이 중 적어도 1개소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그 완충층을 구비하는 개소에 있어서 제1 섬유층(52), 제2 섬유층(54), 또는 제3 섬유층(56)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완충층의 재료로서는, 내마모성과 저마찰성을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fifth embodiment, between the steel core 51 and the first fiber layer 52,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52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and between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53. Between the two fiber layers 54, between the second fiber layer 54 and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between the second steel wire layer 55 and the third fiber layer 56, and between the third fiber layer 56 and You may make it provide the buffer layer which consists of resin in at least one place among the 3rd steel wire layer 57. In this way, wear of the first fiber layer 52, the second fiber layer 54, or the third fiber layer 56 can be suppressed at the location provided with the buffer layer. At this time, as the material of the buffer layer, a resin having abrasion resistance and low friction,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c. can be used.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Modified Example of the Fifth Embodiment]

이하,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인 엘리베이터용 로프(5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엘리베이터용 로프(5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501)는 최외층으로서 수지제의 피복층(58)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5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즉,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500)에 있어서는, 제3 강선층(57)이 엘리베이터용 로프(500)의 최외층으로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이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501)에 있어서는, 제3 강선층(57)의 외주가 피복층(5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501)는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Hereinafter, an elevator rope 501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501. As shown in FIG. 14, the elevator rope 501 differs from 5th Embodiment in that it is provided with the coating layer 58 made from resin as an outermost layer. That is, in the elevator rop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third steel wire layer 57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500. In contrast, in the elevator rope 501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steel wire layer 57 is covered with the coating layer 58. As a result, the elevator rope 501 has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and improved durability.

피복층(58)은 서로 인접하는 제3 강제 스트랜드(57n)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 피복층(58)의 재료로서는, 쉬브와의 사이의 트랙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마찰 계수를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계 수지,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한다. The coating layer 58 is sandwiched between adjacent third steel strands 57n. As the material of the coating layer 58, a resin having a sufficient coefficient of friction, for example, an elastomer-based resin or polyurethane, is used in order to ensure traction capability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제6 실시 형태][Sixth Embodiment]

이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6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엘리베이터용 로프(6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로프(600)는 강심(61)이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5 실시 형태의 것과 상위하다. 이것에 대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강심(51)은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로 이루어진다. 그 외의 점에 있어서는 제5 실시 형태와 공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elevator rop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600. The elevator rope 600 differs from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in that the steel core 61 consists of a single steel wire. In contrast, in the fifth embodiment, the steel core 51 is made of a steel strand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Other point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fth embodiment, so explanations are omitted here.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Modified Example of the 6th Embodiment]

이하,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인 엘리베이터용 로프(6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엘리베이터용 로프(6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용 로프(601)는 최외층으로서 수지제의 피복층(68)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6 실시 형태와 상위하다. 즉,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600)에 있어서는, 제3 강선층(57)이 엘리베이터용 로프(600)의 최외층으로서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이 변형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601)에 있어서는, 제3 강선층(57)의 외주가 피복층(68)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용 로프(601)는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Hereinafter, an elevator rope 601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vator rope 601. As shown in Fig. 16, the elevator rope 601 differs from that of the sixth embodiment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ating layer 68 made of resin as the outermost layer. That is, in the elevator rop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third steel wire layer 57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outermost layer of the elevator rope 600. In contrast, in the elevator rope 601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steel wire layer 57 is covered with the coating layer 68. Thereby,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elevator rope 601 is improved, and durability is improved.

피복층(68)은 서로 인접하는 제3 강제 스트랜드(57n)의 사이에 들어가 있다. 피복층(68)의 재료로서는, 쉬브와의 사이의 트랙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마찰 계수를 가지는 수지,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계 수지,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한다. The coating layer 68 is sandwiched between adjacent third steel strands 57n. As the material of the coating layer 68, a resin having a sufficient coefficient of friction, for example, an elastomer-based resin or polyurethane, is used in order to ensure traction capability between the sheave and the sheav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섬유층을 1층, 2층 또는 3층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섬유층의 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대경(大徑)화의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늘릴 수 있다. 그때, 각 섬유층의 외주에는 강선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fiber layer is one, two or three layers has been described, but the number of fiber layers can be appropriate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diameter increase of the elevator rope. At that tim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steel wire layer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fiber layer.

11, 21, 31, 41, 51, 61 : 강심 11a, 13a : 심선
11b : 측선 13b : 제1 측선
13c : 제2 측선 12, 32, 52 : 제1 섬유층
13, 33, 53 : 제1 강선층
13n, 33n, 53n : 제1 강제 스트랜드
18, 28, 38, 48, 58, 68 : 피복층 19a : 제1 완충층
19b : 제2 완충층 34, 54 : 제2 섬유층
35, 55 : 제2 강선층
35n, 55n : 제2 강제 스트랜드 39 : 피복체
56 : 제3 섬유층 57 : 제3 강선층
57n : 제3 강제 스트랜드
100, 101, 200, 201, 300, 301, 400, 401, 500, 501, 600, 601 : 엘리베이터용 로프
11, 21, 31, 41, 51, 61: steel core 11a, 13a: core wire
11b: side line 13b: first side line
13c: second side wire 12, 32, 52: first fiber layer
13, 33, 53: first steel wire layer
13n, 33n, 53n: first forced strand
18, 28, 38, 48, 58, 68 Coating layer 19a First buffer layer
19b: second buffer layer 34, 54: second fiber layer
35, 55: second steel wire layer
35n, 55n: 2nd forced strand 39: covering body
56: third fiber layer 57: third steel wire layer
57n: third forced strand
100, 101, 200, 201, 300, 301, 400, 401, 500, 501, 600, 601: Elevator rope

Claims (11)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심과,
상기 강심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상기 제1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1 강선층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A steel core made of a steel strand or a single steel wire in which a plurality of steel wires are twisted together;
A first fiber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el core;
An elevator rope comprising a first steel wire layer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or a single steel wire of a plurality of steel wires twisted together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심과 상기 제1 섬유층의 사이, 및 상기 제1 섬유층과 상기 제1 강선층의 사이 중 적어도 일 개소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The method of claim 1,
An elevator rope comprising a buffer layer made of resin at at least one location between the steel core and the first fiber layer and between the first fiber layer and the first steel wire lay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선층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섬유층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상기 제2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2 강선층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A second fiber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An elevator rop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eel wire layer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or a single steel wire of a plurality of steel wires twisted together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fiber lay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선층과 상기 제2 섬유층의 사이, 및 상기 제2 섬유층과 상기 제2 강선층의 사이 중 적어도 일 개소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The method of claim 3,
An elevator rope comprising a buffer layer made of resin at at least one location between the first steel wire layer and the second fiber layer and between the second fiber layer and the second fiber layer.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선층의 외주에 배치된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3 섬유층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상기 제3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이루어지는 제3 강선층을 더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According to claim 3 or claim 4,
A third fiber layer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An elevator rope further comprising a third steel wire layer formed by winding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or a single steel wire of a plurality of steel wires twisted together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fiber lay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선층과 상기 제3 섬유층의 사이, 및 제3 섬유층과 상기 제3 강선층의 사이 중 적어도 일 개소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The method of claim 5,
An elevator rope comprising a buffer layer made of resin at at least one location between the second steel wire layer and the third fiber layer and between the third fiber layer and the third fiber lay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외층으로서 수지제의 피복층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n elevator rope provided with a resin coating layer as an outermost layer.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강심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1 섬유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상기 제1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1 강선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방법.
Forming a first fiber layer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steel core made of a steel strand or a single steel wire twisted with each oth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vator rope including a step of forming a first steel wire layer by winding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or a single steel wire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gether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fiber lay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강선층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2 섬유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상기 제2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2 강선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forming a second fiber layer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teel wire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vator rope,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second steel wire layer by winding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or a single steel wire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gether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fiber lay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강선층의 외주에, 고강도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섬유 다발을 배치하여 제3 섬유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복수의 강선을 서로 꼰 강제 스트랜드 또는 단일의 강선을, 상기 제3 섬유층의 외주에 복수 개 감아서 제3 강선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forming a third fiber layer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ber bundles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fiber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teel wire lay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vator rope,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third steel wire layer by winding a plurality of steel strands or a single steel wire made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eel wires together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ird fiber layer.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외층으로서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체를 피복하여 피복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로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vator rope which further includ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coating layer by coating the cover made of resin as an outermost layer.
KR1020237009631A 2020-10-14 2020-10-14 Elevator ro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3004402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38791 WO2022079836A1 (en) 2020-10-14 2020-10-14 Rope for elevator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028A true KR20230044028A (en) 2023-03-31

Family

ID=8120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631A KR20230044028A (en) 2020-10-14 2020-10-14 Elevator ro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079836A1 (en)
KR (1) KR20230044028A (en)
CN (1) CN116323458A (en)
DE (1) DE112020007686T5 (en)
WO (1) WO202207983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3730B1 (en) 2022-12-27 2024-03-21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How to repair an elev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4808A1 (en) 2015-10-16 2017-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ro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3232B2 (en) * 2002-03-29 2008-04-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drive mechanism
EP1586526B1 (en) * 2003-01-24 2015-09-3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rope
CN1930074B (en) * 2005-01-14 2010-05-05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using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1046462A (en) * 2009-08-26 2011-03-10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device and wire rope for elevator
CA2959900A1 (en) * 2017-03-03 2018-09-03 Bonita Carter Jacketed wire ro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4808A1 (en) 2015-10-16 2017-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ro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0007686T5 (en) 2023-08-03
JPWO2022079836A1 (en) 2022-04-21
WO2022079836A1 (en) 2022-04-21
CN116323458A (en)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3967C2 (en) Coated rope or belt for lifting systems
JP4832714B2 (en) Synthetic fiber rope for power transmission with reinforcing elements and frictionally engaged, and synthetic fiber rope for power transmission with reinforcing elements and positively engaged
JP4832689B2 (en) Elevator tension member
KR100580908B1 (en) Sheathless synthetic fiber rope
US20150307321A1 (en) Elevator Hoisting Member and Method of Use
US10676320B2 (en) Elevator rop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735651B2 (en) Elevator suspension / drive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traction surface with exposed textile fibers
KR101635468B1 (en) Elevator system belt
US11352743B2 (en) Synthetic fiber rope
KR20230044028A (en) Elevator ro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U2533960C1 (en) Hoist suspending and/or driving assembly having at least one surface providing traction or creation of adhesive forces and containing open-laid weaving fibres
EP1329413B1 (en) Hoisting rope
JP4034629B2 (en) Hybrid rope
US10221043B2 (en) Elevator suspension and/or driving arrangement
WO2022044213A1 (en) Belt,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elevator
RU109113U1 (en) ROPE STEEL MULTI-ORDER SMALL-ROLLING
WO2022079835A1 (en) Elevator rope
RU109112U1 (en) ROPE STEEL MULTI-ORDER SMALL-ROLLING
WO2022097296A1 (en) Composite str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rope, belt, and elevator
WO2024089885A1 (en) Rope and belt using same
KR200224820Y1 (en) Wire rope having a relaxed a tangency pressure with core
RU2588404C2 (en) Tension element for ho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