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663A -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663A
KR20230043663A KR1020220055954A KR20220055954A KR20230043663A KR 20230043663 A KR20230043663 A KR 20230043663A KR 1020220055954 A KR1020220055954 A KR 1020220055954A KR 20220055954 A KR20220055954 A KR 20220055954A KR 20230043663 A KR20230043663 A KR 20230043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ball
pen
bal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원
권철
Original Assignee
(주)컴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버스테크 filed Critical (주)컴버스테크
Publication of KR2023004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06F3/03546Pens or stylus using a rotatable ball at the tip as position detecting memb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8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sensing at the edges of the touch surface the interruption of optical paths, e.g. an illumination plane, parallel to the touch surface which may be virtu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에 사용하는 펜의 속성을 손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와 관련된 기술이다. 이러한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는 일단에 제1크기로 형성된 제1터치볼 그리고 타단에 제1크기와 다른 크기인 제2크기로 제2터치볼이 형성된 터치펜부, 프레임모듈과 프레임모듈에 설치되어 제1터치볼의 크기 또는 제2터치볼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셋팅모드 일 때, 제1터치볼이 셋팅버튼에 접하면 센서모듈에서 제1터치볼의 크기를 감지해 디스플레이부에 복수 개의 속성타입을 출력하고, 복수 개의 속성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이 선택되면 선택된 타입을 제1터치볼의 펜 속성으로 저장하고, 셋팅모드 일 때, 제2터치볼이 셋팅버튼에 접할 때, 센서모듈에서 제2터치볼의 크기를 감지해 디스플레이부에 복수 개의 속성타입을 출력하고, 복수 개의 속성타입 중 다른 하나의 타입이 선택되면 선택된 타입을 제2터치볼의 펜 속성으로 저장한 후, 제1터치볼의 펜 속성과 제2터치볼의 펜 속성이 결정되면 셋팅모드에서 판서모드로 전환한 후, 센서모듈에서 제1터치볼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터치볼의 펜 속성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터치볼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2터치볼의 펜 속성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Interactive whiteboard with Multi-ID Touch Pen Property Input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에 사용하는 펜의 속성을 손쉽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많은 학교 및 학원에서는 칠판에 분필 및 수성 펜으로 판서 타입으로 강의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칠판을 이용한 수업 방식은 강사가 칠판에 판서된 내용을 지우개로 지우는 과정을 수반과 깨끗하게 지워지지 않는 칠판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 시인성을 많이 떨어뜨리는 문제를 만들어 낸다.
이에, 현재에는 전술한 문제를 강사와 학생들 모두 고충을 토로하는 방식을 탈피할 수 있도록 기존의 칠판대신을 대신할 수 있는 전자칠판 즉,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보급된 많은 대형크기의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는 사용하는 펜의 속성을 변경하려면 사용할 때 마다,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8790호 (공고일자: 2015.07.24)
본 발명은 기존의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가 가지고 있는 문제 즉,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에 서로 다른 타입의 펜을 사용할 때, 매번 펜의 속성을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는, 일단에 제1크기로 형성된 제1터치볼 그리고 타단에 제1크기와 다른 크기인 제2크기로 제2터치볼이 형성된 터치펜부, 프레임모듈과 프레임모듈에 설치되어 제1터치볼의 크기 또는 제2터치볼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셋팅모드 일 때, 제1터치볼이 셋팅버튼에 접하면 센서모듈에서 제1터치볼의 크기를 감지해 디스플레이부에 복수 개의 속성타입을 출력하고, 복수 개의 속성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이 선택되면 선택된 타입을 제1터치볼의 펜 속성으로 저장하고, 셋팅모드 일 때, 제2터치볼이 셋팅버튼에 접할 때, 센서모듈에서 제2터치볼의 크기를 감지해 디스플레이부에 복수 개의 속성타입을 출력하고, 복수 개의 속성타입 중 다른 하나의 타입이 선택되면 선택된 타입을 제2터치볼의 펜 속성으로 저장한 후, 제1터치볼의 펜 속성과 제2터치볼의 펜 속성이 결정되면 셋팅모드에서 판서모드로 전환한 후, 센서모듈에서 제1터치볼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터치볼의 펜 속성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터치볼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2터치볼의 펜 속성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프레임모듈은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및 제4측면을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센서모듈은 제1측면과 제2측면에 설치되어 일직선으로 빛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발광기와,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3측면 그리고 제2측면과 대향 되는 제4측면에 설치되어 발광기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신하신 수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 개의 수광기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수광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터치볼이 디스플레이부의 상면에 접할 때 N개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2터치볼이 디스플레이부의 상면에 접할 때 N개 보다 적은 N-1개를 수신하여, 제1터치볼과 제2터치볼을 구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광기에는 각각 번호가 할당되고, 제어부는 번호가 할당된 수광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연산해 디스플레이부에 접하는 제1터치볼 또는 제2터치볼의 위치를 산출하여 저장되어 있는 제1터치볼의 펜 속성 또는 제2터치볼의 펜 속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에 서로 다른 타입의 펜의 속성이 저장되어, 사용자가 펜을 제1타입으로 사용하다가 바로 제2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펜의 타입을 변경할 때 마다 타입을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멀티 ID 터치펜과 터치펜이 거치되는 거치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멀티 ID 터치펜의 제1타입터치모듈과 제2타입터치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을 비롯해 청구항을 뒷받침하는 설명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평면도이다.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액정부(20)가 베젤부(10) 그리고 백커버부(40)와 간편하게 결합되며 결합되는 밀착도가 높아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베젤부(10)와 액정부(20) 사이 간격이 종래이 전자칠판 대비 6~8배 좁아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해 원활하게 판서가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액정부(20)를 구성하는 글라스모듈(220)과 LCD패널모듈(210)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어 글라스모듈(220)과 LCD패널모듈(210) 사이에 먼지가 끼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양 모듈 사이에 습기 또한 일어나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액정부(20)를 구성하는 글라스모듈(220)의 두께가 얇아 짐에 따라 무게 또한 종래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대비 경량화 된다.
더욱이,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글라스모듈(220)과 패널모듈(210)이 옵티컬 본드로 부착되어 글라스모듈(22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유리 파편들이 사방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베젤부(10), 다이렉트본딩액정부(20), 홀더부(30), 백커버(40) 및 연산부(5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먼저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 후,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 한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액정부 및 홀더부 그리고 백커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백커버부에 홀더부가 부착된 액정부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액정부의 글라스모듈과 LCD패널모듈간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액정부의 글라스모듈과 LCD패널모듈이 옵티컬 본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백커버부에 형성된 홀더수용홈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베젤부(10)는 액정부의 모서리를 감싸는 장치된다.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전면부가 된다. 이러한 베젤부(10)는 좌측면인 제1측면, 상측면인 제2측면, 우측면인 제3측면, 하측면인 제4측면을 포함하는 프레임모듈(110)과, 제1측면과 제2측면에 설치되어 일직선으로 빛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20) 그리고 제3측면과 제4측면에 설치되어 빛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12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베젤부(10)는 서로 반대편에 발광모듈(120)과 수광모듈(130)이 설치되어 액정부(20)를 감싼다.
액정부(20)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장치가 된다. 이러한 액정부(20)는 상면으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패널모듈(210) 그리고 LCD 패널모듈(210)의 하면에 부착되는 글라스모듈(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LCD(Liquid Crystal Display)패널모듈(210)과 글라스모듈(220)은 옵티컬 본드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글라스모듈(220)은 옵티컬 본드(15)를 통해 LCD패널모듈(210)과 글라스모듈(220)이 1mm 내외의 간격을 두고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액정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모듈(220)의 하면에 옵티컬 본드(215)가 LCD패널모듈(210)의 상면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도포된 후 LCD패널모듈(210)의 상면이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액정부(20)는 글라스모듈(220)과 LCD패널모듈(210)간 간격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액정부(20)의 상면에는 베젤부(10)가 설치되고 하면에는 홀더부(30)가 설치된다.
홀더부(30)는 액정부(20)를 베젤부(10)에 밀착시키며 백커버부(40)에 의해 덮여진다. 홀더부(30)는 액정부(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지지모듈(310)과 제2지지모듈(32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1지지모듈(310)은 상면이 LCD패널모듈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2지지모듈(320)은 제1지지모듈(310)의 하면에 연장 형성되어 백커버부(40)와 제3굴절재(114)에 접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홀더부(30)는 연결부재(B)를 통해 베젤부(10)에 백커버부(40)를 고정되도록 한다. 백커버부(40)는 베젤부(10)의 뒤편에서 액정부(20)를 덮는 커버가 된다. 이러한 백커버부(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액정부(20) 및 백라이트(42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외부에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부(40)의 내부 테두리면에는 홀더부(30)를 수용하는 홀더수용홈(410)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액정부(20)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42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백커버부(40)는 연결부재(B)가 홀더수용홈(410)의 형성된 홀과 홀더부의 제2지지모듈(320)를 관통하며 베젤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백커버부(40)는 내부 테두리면에 홀더수용홈(410)이 형성되어, 액정부(20) 그리고 베젤부(10)와 쉽고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백커버부(40)의 하면에는 연산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연산부(50)는 복수 개의 수광모듈(130)과 연결되어 글라스모듈(220)의 상면에 접하는 객체를 통해 수광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객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산부(50)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연산해 액정부(50)로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연산부(50)는 전원보드를 더 포함하여 상용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광모듈, 수광모듈 및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그리고 액정부에 전원을 인가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베젤부, 다이렉트본딩액정부, 홀더부, 백커버, 연산부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도 2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를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2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은 제1굴절재에 발광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제2굴절재와 제3굴절재 사이에 액정부가 개재되고, 다이렉트 본딩 액정부의 하면에 백커버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가 I-I'선으로 절단되면,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단면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젤부(10)의 프레임모듈(110)은 기둥재(111), 제1굴절재(112), 제2굴절재(113) 및 제3굴절재(114)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굴절재(112)는 기둥재(111)의 외측에 직각 방형으로 굴절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1굴절재(112)의 말단부에는 기둥재(111)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121)가 형성된다. 제2굴절재(113)는 제1굴절재(112)의 하방으로 이격되어 제1굴절재(112)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기둥재(11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3굴절재(114)는 제2굴절재(113)의 하방으로 이격되어 제2굴절재(113)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 기둥재(111)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굴절재(112)에는 발광모듈(120) 및 수광모듈(130)이 설치된다. 발광모듈(120)은 발광기(121), 연결재(122) 및 발광필터기(123)를 포함하고, 수광모듈(130)은 수광기(131), 연결재(122) 및 수광필터기(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광기(121)는 적외선을 출력하는 LED가 되고 수광기(131)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포토다이어오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재(122)는 하면에 발광기(121) 또는 수광기(131)가 연결되어 제1굴절재(112)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재(122)는 연결부재를 통해 제1굴절재(112)에 밀착되며 발광기(121) 및 수광기(131) 그리고 발광필터기(123)와 수광필터기(132)가 베젤부의 상측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여기서, 발광필터기(123)는 발광기(121)에서 출력되는 노이즈를 걸러내는 필터가 되고 수광필터기(132)는 외부의 노이즈를 걸러내는 필터가 된다. 이와 같은 발광필터기(123)와 수광필터기(1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재수용홈(1231)과 돌기수용홈(1232)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발광필터기(123)와 수광필터기(13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재수용홈(1231)에 연결재(122)의 일단을 수용하고 돌기수용홈(1232)에 돌기(1121)를 수용해 프레임모듈(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액정부(20)의 LCD패널모듈(210)의 상면에는 글라스모듈(220)이 부착된다. 이때, 글라스모듈(220)의 하면에 LCD패널모듈(210)의 상면과 동일한 크기로 옵티컬 본드(215)가 도포되어 LCD패널모듈(210)의 상면에 글라스모듈(220)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옵티컬 본드(215)은 열 경화 본드가 되어 LCD패널모듈(210)과 글라스모듈(220)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액정부(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굴절재(113)와 제3굴절재(114) 사이에 위치하며 상면이 제2굴절재(113)에 밀착된다. 그리고 백커버부(40)는 하면에 백라이트(420)가 부착되어 베젤부(10)의 뒤편에서 액정부(20)를 덮으며 프레임모듈(1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액정부(20)가 베젤부(10)와 백커버부(40)에 밀착되며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종래이 전자칠판 대비 베젤부(10)와 액정부(20) 사이 간격이 6~8배 좁아 지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맞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가 객체를 감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가 감지된 객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종래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와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간 선명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7은 종래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와 본 발명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간 글라스모듈이 파손되었을 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발광모듈(120)에서 적외선을 출력하고 수광모듈(130)에서 적외선을 수신하며 사용자(A)가 액정부(20)를 터치하는 위치를 산출한다. 이때,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글라스모듈(220)의 상면과 발광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간 높이가 매우 짧아 사용자가 글라스모듈(220)에서 손 또는 펜을 띄었을 때, 이를 터치가 되지 않은 상태로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사용자(A1)가 글라스모듈(220)과 발광모듈(120)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위치 사이의 위에 손 또는 펜을 놓은 경우, 수광모듈(130)은 발광모듈(120)에서 출력하는 적외선을 수신하며 사용자(A1)의 의도에 맞게 LCD패널모듈(210)에 판서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사용자(A2)가 글라스모듈(220)과 발광모듈(120)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위치 사이에 손 또는 펜을 놓은 경우, 수광모듈(130)은 발광모듈(120)에서 출력하는 적외선 일부를 수신하며 사용자(A1)의 의도에 맞게 LCD패널모듈(210)에 판서가 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사용자(A3)가 글라스모듈(220)과 발광모듈(120)에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위치 사이의 안에 손 또는 펜을 놓은 경우, 손 또는 펜이 발광모듈(120)에서 출력하는 적외선 모두를 차단해 수광모듈(130)에서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서, 사용자(A3)의 의도에 맞는 터치하는 위치를 산출한다.
즉,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의 글라스모듈(220)의 상면과 발광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간 높이가 매우 짧은 간격 대략 1.5mm가 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LCD패널모듈에 터치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사용자가 글라스모듈(220)에 손 또는 펜으로 글을 쓰다가 글라스모듈(220)에 손을 살짝 떼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사용자가 손을 살짝 뗀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손을 뗀 상태로 움직일 때는 판서가 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 종래의 전자칠판은 글라스모듈과 LCD 액정 간 간격이 대략 10 ~ 12mm 즉,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높이가 커, 사용자가 글라스모듈 즉, 커버글라스에 손 또는 펜으로 글을 쓰다가 손을 살짝 떼더라도 이를 터치로 감지한다. 이에, 전자칠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글을 쓰다가 손 또는 펜을 뗀 상태로 이동할 때, 전자칠판에 선이 그려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종래의 전자칠판 대비,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터치를 정확하게 감지해 정확한 내용이 표시되도록 한다.
아울러,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 그리고 제2측면에 설치된 발광모듈(120)에서 적외선을 출력하고, 제3측면 그리고 제4측면에 설치된 수광모듈(130)에서 적외선을 수신하며 수광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객체의 위치를 검출한다.
일례로,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의 프레임모듈의 제1측면에는 24개의 발광기가 설치되고, 제2측면에는 51개의 발광기가 설치되고, 제3측면에는 24개의 수광기가 설치되고 제4측면에는 51개의 수광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에 사용자(A)가 제1측면의 8번째 발광기 그리고 제2측면의 3번째 발광기에서 적외선을 차단하여 제3측면의 8번째 수광기 그리고 제4측면의 3번째 수광기에서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연산부(50)는 제3측면의 8번째 수광기 그리고 제4측면의 3번째 수광기에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서 사용자(A)의 터치 위치를 (x8, y3)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A)가 제1측면의 26번째 발광기 그리고 제2측면의 8번째 발광기에서 적외선을 차단하여 제3측면의 26번째 수광기 그리고 제4측면의 8번째 수광기에서 적외선을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연산부(50)는 제3측면의 26번째 수광기 그리고 제4측면의 8번째 수광기에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서 사용자(A)의 터치 위치를 (x26, y8)으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부(50)는 제3측면에 설치된 24개의 수광기, 그리고 제4측면에 설치된 51개의 수광기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수광기에서 빛을 수신하지 않았을 때 출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객체의 위치를 산출한다.
아울러,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도 16의 (a)에 도시된 종래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보다 높은 화질 즉, 화면의 선명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화질의 화면을 출력한다.
또한 종래의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는 글라스모듈(220)에 충격이 가재지면 도 17의 (a)와 같이 글라스모듈(220)이 깨지면서 비산되며 사용자에 유리 파편이 튀면서 사용자가 위험에 노출되도록 한다.
반면,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1)는 글라스모듈(220)과 LCD패널모듈(210)이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모듈(220)이 파손되더라도 글라스모듈(220)이 비산되지 않게 되면서 사용자가 유리 파편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10: 터치펜부
110: 제1터치볼 120: 제2터치볼
20: 디스플레이부
210: 프레임모듈
211: 제1측면 212: 제2측면
213: 제3측면 214: 제4측면
220: 센서모듈
2201: 발광기 2202: 수광기
230: 홀더모듈
30: 제어부
310: 셋팅버튼 311: 속성타입
S1: 셋팅모드 S2: 판서모드

Claims (4)

  1. 일단에 제1크기로 형성된 제1터치볼(110) 그리고 타단에 제1크기와 다른 크기인 제2크기로 제2터치볼(120)이 형성된 터치펜부(10);
    프레임모듈(210)과, 프레임모듈(210)에 설치되어 제1터치볼(110)의 크기 또는 제2터치볼(120)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모듈(2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20);
    셋팅모드(S1) 일 때, 제1터치볼(110)이 셋팅버튼(310)에 접하면 센서모듈(220)에서 제1터치볼의 크기를 감지해 디스플레이부(20)에 복수 개의 속성타입(311)을 출력하고, 복수 개의 속성타입(311)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이 선택되면 선택된 타입을 제1터치볼의 펜 속성으로 저장하고, 셋팅모드(S1) 일 때, 제2터치볼(120)이 셋팅버튼(310)에 접할 때, 센서모듈(220)에서 제2터치볼의 크기를 감지해 디스플레이부(20)에 복수 개의 속성타입(311)을 출력하고, 복수 개의 속성타입(311) 중 다른 하나의 타입이 선택되면 선택된 타입을 제2터치볼의 펜 속성으로 저장한 후, 제1터치볼의 펜 속성과 제2터치볼의 펜 속성이 결정되면 셋팅모드(S1)에서 판서모드(S2)로 전환한 후, 센서모듈(220)에서 제1터치볼(110)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제1터치볼의 펜 속성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2터치볼(120)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20)에 저장되어 있는 제2터치볼의 펜 속성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모듈(210)은,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및 제4측면을 가지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센서모듈(220)은,
    제1측면과 제2측면에 설치되어 일직선으로 빛을 출력하는 복수 개의 발광기(2201)와, 제1측면과 대향되는 제3측면 그리고 제2측면과 대향 되는 제4측면에 설치되어 발광기(2201)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신하신 수광기(2202)를 포함하는,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30)는,
    복수 개의 수광기(2202)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수광기(202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터치볼(110)이 디스플레이부(20)의 상면에 접할 때 N개의 신호를 수신하고, 제2터치볼(120)이 디스플레이부(20)의 상면에 접할 때 N개 보다 적은 N-1개를 수신하여, 제1터치볼(110)과 제2터치볼(120)을 구별하는,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수광기(2022)에는 각각 번호가 할당되고,
    제어부(30)는 번호가 할당된 수광기(2022)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연산해 디스플레이부(20)에 접하는 제1터치볼(110) 또는 제2터치볼(120)의 위치를 산출하여 저장되어 있는 제1터치볼의 펜 속성 또는 제2터치볼의 펜 속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KR1020220055954A 2021-09-24 2022-05-06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KR20230043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6233 2021-09-24
KR1020210126233 2021-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663A true KR20230043663A (ko) 2023-03-31

Family

ID=860052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954A KR20230043663A (ko) 2021-09-24 2022-05-06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KR1020220063509A KR20230043667A (ko) 2021-09-24 2022-05-24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에 사용되는 터치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509A KR20230043667A (ko) 2021-09-24 2022-05-24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에 사용되는 터치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436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790B1 (ko) 2014-06-18 2015-07-24 한국산업은행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042B1 (ko) 2011-04-13 2017-09-07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의 다중 운영체제 구동장치 및 운영체제 전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790B1 (ko) 2014-06-18 2015-07-24 한국산업은행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667A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5269A (en) Large area electronic writing system
JP4046689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
US20060290684A1 (en) Coordinate detection system for a display monitor
KR100473515B1 (ko) 좌표 입력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일렉트로루미네선트 표시 장치, 표시 장치 및 전자 장치
US20100214135A1 (en) Dynamic rear-projected user interface
US20020100677A1 (en) Touch panel
KR20170051481A (ko) 터치 칠판, 터치 칠판 프레임, 터치 올인원 장비 및 통합형 칠판
US20140049481A1 (en) Tactile Interface System For Manipulation Of A Touch Screen
KR101312018B1 (ko) 전자칠판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1303007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put device
CN110737142B (zh) 具有增强的线锐度的电子书写器
KR20230043663A (ko) 멀티 id 터치펜 속성 입력 ui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US9164642B2 (en) Touch panel
KR102544258B1 (ko) 터치감을 향상시킨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US20080018654A1 (en) Writing board device having high-definition image display function
CN107479768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79926B1 (ko) 인터랙티브 화이트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280634A1 (en) Input panel and input device using the panel
KR20080003681U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자칠판
JP2005267897A (ja) 表示操作装置及び薄型映像表示装置
US11181953B2 (en) Display device
KR20160143051A (ko) 투명 칠판 스크린 장치
KR102483768B1 (ko) 전자칠판 및 필기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칠판 시스템
CN219328957U (zh) 一种智慧黑板
KR20100003661U (ko) 디스플레이와 필기가 가능한 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