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290A -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290A
KR20230043290A KR1020210125807A KR20210125807A KR20230043290A KR 20230043290 A KR20230043290 A KR 20230043290A KR 1020210125807 A KR1020210125807 A KR 1020210125807A KR 20210125807 A KR20210125807 A KR 20210125807A KR 20230043290 A KR20230043290 A KR 20230043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reconstruction
chemotherapy
cyclophosphamide
prognosis
compl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태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1012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3290A/ko
Publication of KR20230043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A61B5/1109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of wounds, e.g. at the operation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2Detecting or monitoring se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3Monitoring transplanted tissue or organ, e.g. for possible rejection reactions after a trans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4Evaluating particular organs or parts of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4Evaluating skin marks, e.g. mole, nevi, tumour, s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Immu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Dermat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eth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방법 및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또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유방 재건과 함께 보조 화학요법의 시행이 예정되거나 이미 시행된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준비할 수 있으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은 보조 화학요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ing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prognosis}
본 발명은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은 여성에 있어 가장 흔한 암이며, 두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이다. 2001년 유방암의 유병률은 미국에서 100,000 명당 90-100 명이었으며, 유럽에서는 100,000 명당 50-70 명이었다. 이 질환의 발병은 세계적으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유방암의 위험 인자는 인종, 나이 및 암 억제 유전자 BRCA-1, BRCA-2 및 p53에서의 돌연변이 등을 포함한다. 알코올 섭취, 고지방 식이, 운동 부족, 외인성 폐경 후 호르몬 및 이온화 방사선 또한 유방암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 유방암(각각 "ER-" 및 "PR-"), 큰 종양 크기, 높은 등급의 세포진단결과, 및 35세 이하인 경우 그 예후가 나쁘다(Goldhirsch et al. (2001). J. Clin. Oncol. 19: 3817-27).
유방암에서 가장 필수적인 치료법은 종양을 제거하는 외과적 수술이며, 종양의 상태에 따라 수술 전에 약물을 이용하여 처치하는 선행 화학요법, 수술 후 암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방사선요법, 항암 화학요법, 항암 호르몬요법 등의 보조 요법이 시행된다. 보조 요법은 환자의 연령, 폐경의 유무, 유방암의 현미경적 특성, 전이 정도, 환자의 증상 및 다른 건강 상태에 따라 요법의 종류 및 순서가 결정된다.
유방암 수술은 암이 국소적으로 존재할 경우 암과 암 주위 정상 조직의 일부만을 제거하여 유방을 보존할 수 있으며, 암이 림프절이나 다른 조직까지 침범한 경우 유방을 완전히 제거한 후 유방 복원을 위한 유방 재건술이 시행될 수 있다. 유방 절제술 후 재건술로는 재건하는 시기에 따라 유방 절제술과 동시에 시행하는 즉시 재건술과 수술 후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 시행하게 되는 지연 재건술로 나뉘며, 보형물이나 조직 확장기 및 보형물을 삽입하는 삽입술과 등이나 배의 피부, 근육, 지방 등 자가조직을 이용한 피판술이 있다. 이러한 재건술의 시행시기 및 방법은 환자의 상태, 유방 절제술 방법, 유방암의 병기, 전이 여부, 보조 요법 여부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유방 절제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는 신체의 외형적 변화뿐만 아니라 여성성 상실로 인한 자존감 저하, 우울증 등 정신적 부작용을 경험하게 되는데, 유방 절제술과 동시에 유방을 복원하는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치료 후 심리적 측면과 전반적인 삶의 질 모두에서 환자에게 상당한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 즉시 재건술이 선호된다.
유방암 수술 후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암세포까지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유방 절제술을 통해 완치 확률이 높은 환자에게 추가적으로 항암제를 투여하는 보조 화학요법이 시행된다. 즉시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재건술의 유형에 따라 보조 화학요법의 시기가 결정되므로, 즉시 재건술과 보조 화학요법 간의 잠재적인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주로 종양학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고, 즉시 재건술이 보조 화학요법의 개시 시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었으며, 보조 화학요법이 즉시 재건술의 결과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재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는 환자의 경우 대개 1단계 수술(조직 확장기 삽입)과 2단계 수술(보형물로 교체) 사이에 보조 화학요법이 시행되는데, 2단계 수술 이전에 시행된 보조 화학요법이 최종적으로 유방 재건술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96545호
본 발명은 유방 절제술 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방 절제술 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유방 재건술"은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해 유방을 제거한 후 유방의 모양 복원을 위해 시행하는 수술을 의미하며, 보형물을 삽입하거나 근육과 피부를 자신의 배나 등 부위에서 일부 옮겨 자가 조직으로 유방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예후"는 아직 진단되지 않거나 진단을 받은 개체를 대상으로 치료 전/후 개체의 재발, 전이, 합병증, 약물 반응성, 내성 등과 같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방 재건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을지 여부에 대해 예측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방 재건술은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조직 확장기를 보형물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 유방 재건술일 수 있다.
상기 2단계 유방 재건술에서는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단계 (1단계 수술)와 조직 확장기를 보형물로 교체하는 단계 (2단계 수술) 사이에 유방암 환자의 유방암 재발 위험을 줄이고 전반적인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조 화학요법(adjuvant chemotherapy)이 시행될 수 있다.
상기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예후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상기 임상 데이터는, 유방 절제술 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연령, 체질량지수(BMI), 당뇨병 유무, 고혈압 유무, 흡연 여부, 수술 전 화학요법 여부, 유방 재건술에 사용된 조직 확장기 및 보형물, 유방 재건술 후 결과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에 있어서 1단계 수술과 관련된 정보는 유방 절제술의 유형, 절제한 검체의 무게, 조직 확장기의 질감(Siltex-textured 또는 Biocell-textured) 및 크기, 조직 확장기의 하외부(inferolateral aspect)를 덮기 위한 인조진피 (acellular dermal matrix, ADM)의 사용 여부, 및 수술 중 및 수술 후의 팽창량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2단계 수술과 관련된 정보는 조직 확장기의 최종 팽창량, 보형물의 크기와 형태, 지방이식이 동시에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보형물은 크기가 다양할 수 있으며, 형태와 질감에 따라 Smooth round 또는 Textured shaped 유형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임상 데이터에는 보조 화학요법 여부, 방사선 치료 여부, 및 내분비 호르몬 치료 여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보조 화학요법과 관련하여, 보조 화학요법과 2단계 수술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대한 정보와 요법(regimen)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임상 데이터는 유방 재건술 시 화학요법을 받은 개체에서 얻은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상 데이터는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은 개체에서 얻은 것으로, 화학요법, 치료 결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는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을 위하여 수집된 임상 데이터에서 화학요법과 치료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화학요법의 유형에 따른 치료 결과에 상응하는 패턴, 즉 예후 예측 모델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상기 화학요법은 약물을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유방 재건술 전, 보다 구체적으로 유방 절제술을 하기 전이나 유방 절제술과 유방 재건술 사이에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유방 재건술을 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부분의 화학요법은 정맥주사로 투여되며 전신에 미치는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 약물에 따라 4 ~ 6개월간 1 ~ 3주 간격으로 4 ~ 8주기 투여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요법은,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요법;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및 탁산(taxane) 순차요법;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독소루비신(doxorubicin) 및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동시요법; 및 도세탁셀(docetaxel)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동시요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요법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학요법은 2단계 유방 재건술에서 1단계 수술과 2단계 수술 사이에 시행되는 보조 화학요법일 수 있다.
상기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요법은 2세대 항암제인 안트라사이클린과 1세대 항암제인 사이클로포스파미드를 병용하는 요법으로, 보통 3주 간격으로 4주기(cycle)로 투여된다.
상기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은 안트라사이클린과 사이클로포스파미드를 투여한 후 탁산을 순서대로 투여하는 요법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각 약물이 3주 간격으로 4주기 또는 주1회 12주간 투여된다.
상기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은 5-플로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를 동시에 투여하는 요법으로, 주로 6주기로 투여된다.
상기 도세탁셀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은 도세탁셀과 사이클로포스파미드를 동시에 투여하는 요법으로, 통상 4주기로 투여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6주기 이상 시행될 수도 있다.
상기 치료 결과는 화학요법과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결과를 의미하며, 암세포가 완전히 제거되어 완치되거나 유방 재건술 후 수술 부위 또는 삽입된 보형물에서 합병증이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 결과는 창상 열개, 장액종/혈종, 감염, 중증 구형 구축 및 재건 실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창상 열개(wound dehiscence)는 상처의 맞물린 부분이 열리거나 찢어져 상처가 벌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유방 재건 수술 후 수술 부위가 열리거나 찢어져 벌어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장액종(seroma)은 주변 상처에서 나온 조직액이 흡수되지 않고 고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혈종(hematoma)은 장기나 조직 속에서 출혈이 일어나 한 곳에 혈액이 고인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감염(infection)은 삽입된 보형물과 관련된 국소 또는 전신 염증의 징후가 있는 것으로, 항생제 치료나 외과적 수술로 처치한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구형 구축(capsular contracture)은 삽입된 조직 확장기나 보형물 주위에 두꺼운 피막이 형성되어 점진적으로 촉감이 단단해지는 증상으로, 이에 따른 염증 등을 수반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형 구축은 그 정도에 따라 의사의 임상적인 판단에 의해 단계가 나눠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중증 구형 구축(severe capsular contracture)은 의사가 베이커 구형 구축 등급 체계(Baker capsular contracture grading system)에 따라 진단한 3단계 또는 4단계로 정의된다.
상기 재건 실패(reconstruction failure)는 삽입된 보형물에 의해 합병증이 발생하여 다른 보형물로 교체하지 않고 해당 보형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패턴은 다양한 화학요법과 치료 결과를 분류하고 통계 분석함으로써 각 화학요법에 대응되는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하여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예후 예측이 필요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험자는 유방 절제술 후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일 수 있으며, 1단계 수술과 2단계 수술 사이에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일 수 있다.
상기 합병증은 유방 절제술 후 조직 확장기와 보형물을 이용한 2단계의 즉시 재건술 이후 발생하는 합병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창상 열개, 장액종/혈종, 감염, 중증 구형 구축 및 재건 실패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합병증은 중증 구형 구축 또는 재건 실패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피험자의 화학요법이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인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피험자의 화학요법이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또는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인 경우에는 합병증 발생률이 각각 17.7% 및 19.4%로,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요법 및 도세탁셀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의 합병증 발생률이 각각 7.0% 및 4.3%에 비해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합병증 중 중증 구형 구축 발생률 및 재건 실패율이 각각 12.9% 및 13.9%로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은 유방 재건술 중에 보조 화학요법이 처방된 환자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준비할 수 있으며, 유방 재건술 중에 보조 화학요법의 처방이 예정된 환자에게 다양한 화학요법 중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적은 최적의 화학요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은 컴퓨터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을 참고하면, 상기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100)은 임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상기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전처리부(120); 및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분석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내용과 공통되는 설명은 과도한 복잡성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진료기록 서버 등으로부터 임상 데이터 및 진료기록을 수신한다. 상기 임상 데이터는 유방 절제술 후 유방 재건술을 받은 환자의 보조 화학요법 및 2단계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여부에 대한 진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방 재건술은,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조직 확장기를 보형물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 유방 재건술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임상 데이터는 유방 재건술 시 화학요법을 받은 개체에서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120)는 상기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 즉 예후 예측 모델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요법;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 및 도세탁셀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요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치료 결과는 창상 열개, 장액종/혈종, 감염, 중증 구형 구축 및 재건 실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턴을 산출하기 위해 다양한 화학요법과 치료 결과를 분류하여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30)는 전처리부(120)에서 산출된 패턴과 입력부(110)에 입력된 보조 화학요법의 정보를 분석하여 유방 재건술 중 보조 화학요법이 처방되거나 처방 예정인 환자의 유방 재건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한다.
예를 들면, 2단계 유방 재건술 및 보조 화학요법이 예정되거나 이미 2단계 유방 재건술 중 1차 수술이 완료된 피험자에서 화학요법으로서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요법 또는 도세탁셀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이 처방된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이 처방된 경우에는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합병증은 중증 구형 구축 또는 재건 실패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분석부는 피험자의 화학요법이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인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 전처리부 및 분석부를 포함하는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은 결과 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분석부에서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 있으며 예후 예측 시스템(100)이 저장된 기존의 컴퓨터 장치 내 일정한 공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100)은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보조 화학요법의 유형이 입력되고, 입력된 보조 화학요법의 유형에 따라 유방 재건술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기록매체 등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또는 서버 등의 장치로 구축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서버의 프로세서가 실행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하고 있는 함수 등의 코드와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록매체는 컴퓨터나 서버에 의해 판독이 가능한 매체로 예컨대,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디스크, USB 메모리, SD 카드, 마이크로 SD 카드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기존 하드웨어 장치에 수용되는 임베디드 장치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로 다운로드 및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또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유방 재건과 함께 보조 화학요법의 시행이 예정되거나 이미 시행된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여부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준비할 수 있으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은 보조 화학요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학요법을 받은 유방 재건술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방 재건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 예측을 위한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1. 연구 준비
1-1. 연구 모집단
2010년과 2016년 사이에 유방 전절제술과 함께 조직 확장기 삽입술과 보형물 교체술의 2단계 유방 재건술을 완료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 확장기나 보형물을 전경공간(prepectoral space)에 삽입하거나 인공 또는 자가 피판(flap)을 함께 활용한 사례는 제외하였다. 조직 확장기 조기 제거 사례, 2단계 수술 이후에 보조 화학요법을 시행한 사례, 2단계 수술 후 1년 이내에 추적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례, 또는 데이터가 누락된 사례도 제외하였다.
1-2. 기초 정보 수집
환자 및 수술 관련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및 환자의 의료 차트에서 수집하였다.
환자와 관련하여 연령, 체질량지수(BMI), 당뇨병 유무, 고혈압 유무, 흡연 여부, 수술 전 화학요법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1단계 수술과 관련하여 유방 절제술의 유형, 절제한 검체의 무게, 조직 확장기의 질감(Siltex-textured 또는 Biocell-textured) 및 크기, 조직 확장기의 하외부(inferolateral aspect)를 덮기 위한 인조진피 (acellular dermal matrix, ADM)의 사용 여부, 및 수술 중 및 수술 후의 팽창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2단계 수술과 관련하여 조직 확장기의 최종 팽창량, 보형물의 크기와 형태, 지방이식이 동시에 이루어졌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보조 화학요법 여부, 방사선 치료 여부, 및 내분비 호르몬 치료 여부에 대하여도 정보를 수집하였다. 보조 화학요법과 관련하여, 보조 화학요법과 2단계 수술 사이의 시간적 간격에 대한 정보와 요법(regimen)에 대한 정보도 수집하였다.
1-3. 합병증에 대한 정보 수집
2단계 수술 후 합병증으로서 창상 열개(wound dehiscence), 장액종(seroma), 혈종(hematoma), 감염(infection), 중증 구형 구축(severe capsular contracture) 및 재건 실패(reconstruction failure)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의사의 진단으로 분류되었다.
감염환자는 삽입된 보형물과 관련된 국소 또는 전신 염증의 징후가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이는 항생제 치료나 외과적 수술로 치료되었다. 중증 구형 구축은 의사가 베이커 구형 구축 등급 체계(Baker capsular contracture grading system)에 따라 진단한 3단계 또는 4단계로 정의하였다. 재건 실패는 다른 보형물로 교체하지 않고 합병증으로 인하여 삽입된 보형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1-4. 통계분석
모든 분석은 유방 별로 수행되었다. 보조 화학요법을 받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환자들 간의 기준특성의 분포와 값을 비교하였다. 두 그룹의 합병증 프로파일도 비교하였다. 하위그룹(Subgroup) 분석은 보조 화학요법 완료 시기와 2단계 수술 사이의 간격과 그 특정 요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를 분석하는 데는 Pearson의 카이 제곱 검정(Chi square test) 또는 Fisher의 정확 검정(exact test)이 사용되었고 연속형 변수(continuous variable)를 비교하는 데는 Student의 t 검정 또는 Mann-Whitney 검정이 채택되었다. 부정적 결과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 변수를 식별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편측성(laterality)을 포함한 모든 환자 및 수술 관련 변수를 다변량 분석에 포함시키고 후진 선택 모델(backward selection model)을 사용했다. 수정된 p 값, 승산비(OR) 및 해당하는 95% 신뢰 구간(CI)이 계산되었다. p 값 <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모든 통계 분석은 SPSS 버전 20(IBM Corporation, 미국)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2. 연구 결과
2-1. 정보 수집 결과
연구 기간 동안 624건의 사례 중 즉시형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는 587명의 환자가 모집단으로 조사되었다. 전술한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본 연구를 위하여 605건의 사례를 대표하는 5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531명의 환자가 유방 일측의 재건술을 받았고 374명의 환자가 유방 양측의 재건술을 받았다. 평균 연령은 43.7세이며 평균 BMI는 22.0 kg/m2 이었다. 1단계 수술과 2단계 수술의 평균적인 경과 관찰 기간은 각각 58.5개월 (범위: 18개월 내지 109개월) 및 41.0개월 (범위: 12개월 내지 102개월)이었다.
605건 중 239건이 보조 화학요법을 받았다.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의 환자 정보와 수술 정보는 표 1과 같다.
변수 전체
[n =605]
보조 화학요법 받은 그룹
[n = 239, 39.5%]
보조 화학요법 받지 않은 그룹
[n = 366, 60.5%]
p
환자 관련 변수
나이 43.7 (± 7.3) 43.5 (± 7.1) 43.8 (± 7.4) 0.330
BMI, kg/m2 22.0 (± 2.7) 22.1 (± 2.8) 21.9 (± 2.6) 0.720
당뇨병 5 (0.8%) 0 5 (1.4%) 0.070
고혈압 23 (3.8%) 8 (3.3%) 15 (4.1%) 0.637
흡연 19 (3.2%) 12 (5.0%) 7 (1.9%) 0.032
수술 전 화학요법 14 (2.3%) 1 (0.4%) 13 (3.6%) 0.012
1단계 수술 관련 변수
유방 절제술 유형 0.175
피부 보존술
(Skin sparing mastectomy, SSM)
380 (62.8%) 158 (66.1%) 222 (60.7%)
유두-유륜 보존술(Nipple-areolar sparing mastectomy, NSM) 225 (37.2%) 81 (33.9%) 144 (39.3%)
절제된 검체 무게 341.4 (± 173.8) 361.6 (± 178.1) 331.3 (± 169.3) 0.069
조직 확장기 유형 0.300
Siltex-textured 518 (85.6%) 209 (87.4%) 309 (84.4%)
Biocell-textured 87 (14.4%) 30 (12.6%) 57 (15.6%)
조직 확장기 크기 384.9 (± 88.1) 391.8 (± 89.4) 381.9 (± 86.7) 0.165
초기 팽창량 (Initial inflation volume) 162.4 (± 97.4) 166.0 (± 103.2) 161.5 (± 93.2) 0.705
인조진피 사용 363 (60.0%) 145 (60.7%) 218 (59.6%) 0.786
수술 후 과정 관련 변수
수술 후 팽창량 (Postoperative inflation volume) 207.5 (± 111.0) 217.8 (± 108.9) 200.6 (± 111.9) 0.042
최종 팽창량
(Final inflation volume)
370.8 (± 113.8) 383.2 (± 113.2) 361.9 (± 113.6) 0.016
최종 팽창 비
(Final inflation ratio)
0.97 (± 0.22) 0.98 (± 0.21) 0.95 (± 0.23) 0.070
보조 요법(Adjuvant treatments)
보조적 방사선 치료 66 (10.9%) 43 (18.0%) 23 (6.3%) <0.001
호르몬 치료 498 (82.3%) 198 (82.8%) 300 (82.0%) 0.782
2단계 수술 관련 변수
보형물 크기 331.0 (± 102.1) 340.7 (± 106.9) 325.3 (± 98.9) 0.150
보형물 유형 0.754
Smooth round 268 (44.3%) 104 (43.5%) 164 (44.8%)
Textured shaped 337 (55.7%) 135 (56.5%) 202 (55.2%)
지방 이식 157 (26.0%) 68 (28.5%) 89 (24.3%) 0.257
추적조사 기간 (개월)
1단계 수술로부터의 기간 58.5 62.0 58.0 0.071
2단계 수술로부터의 기간 41.0 42.5 40.0 0.161
흡연 여부와 수술 전 화학요법을 받는 비율은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과 받지 않은 그룹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나, 나이, BMI, 인조진피(ADM)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다른 변수들의 비율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 수술 관련 변수를 보면,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에서 조직 확장기의 수술 후 팽창량과 최종 팽창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에서 보조 방사선 치료를 받은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형물의 유형과 크기, 지방 이식 비율(the rates of fat grating)은 두 그룹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두 그룹에서 추적조사의 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다.
2단계 수술 후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38명, 15.9%)과 보조 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그룹(26명, 7.1%) 모두에서 전반적인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었다. 특히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에서 감염 발생률, 중증 구형 구축 발생률 및 재건 실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 외의 창상 열개 및 장액종/혈종을 포함한 다른 합병증은 두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표 2 참고).
합병증 종류 보조 화학요법 받은 그룹 (%) 보조 화학요법 받지 않은 그룹(%) p
2단계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 전체 38 (15.9) 26 (7.1) 0.001
창상 열개 7 (2.9) 6 (1.6) 0.285
장액종/혈종 1 (0.4) 1 (0.3) 0.761
감염 7 (2.9) 3 (0.8) 0.047
중증 구형 구축 23 (9.6) 16 (4.4) 0.010
재건 실패 11 (4.6) 1 (0.3) < 0.001
다변량 분석에 따르면 보조 화학요법은 전반적인 합병증을 발병하는 독립된 예측 인자로 나타났다(p=0.007, OR 2.127, 95% CI 1.231-3.676) (표 3).
합병증 전체에 대한 변수 분석
단변량 분석 다변량 분석
Unadjusted
p value
OR (95% CI) Adjusted
p value
OR (95% CI)
연령 0.503 1.012 (0.977-1.049)
BMI 0.431 1.038 (0.946-1.138)
당뇨병 0.999 0 (0)
고혈압 0.696 1.281 (0.370-4.437)
흡연 0.142 2.338 (0.524-7.272)
수술 전 화학요법 0.675 0.645 (0.083-5.011)
유방 절제술 유형
피부보존술(SSM) Ref
유두-유륜 보존술(NSM) 0.071 1.617 (0.960-2.724)
절제된 검체 무게 0.437 1.001 (0.999-1.002)
조직 확장기 유형
Siltex-textured Ref
Biocell-textured 0.409 0.708 (0.312-1.607)
조직 확장기 크기 0.697 1.001 (0.998-1.003)
인조진피 사용 0.360 0.784 (0.465-1.320)
초기 팽창량 0.697 0.999 (0.997-1.002)
수술 후 팽창량 0.481 1.001 (0.999-1.003)
보조 화학요법 0.001 2.472 (1.457-4.194) 0.007 2.127
(1.231-3.676)
보조 방사선요법 < 0.001 4.019 (2.161-7.473) < 0.001 3.319
(1.751-6.291)
보조 호르몬요법 0.912 1.039 (0.524-2.064)
보형물 크기 0.457 1.001 (0.998-1.003)
보형물 유형
Smooth Round Ref
Textured shaped 0.481 0.830 (0.494-1.394)
지방 이식 0.562 0.858 (0.512-1.438)
보조 방사선요법은 또한 전반적인 합병증 발생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른 종류의 합병증에 대하여, 다른 변수에 대한 조정 후 실시한 다변량 분석에서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은 보조 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그룹에 비해 재건 실패, 감염, 중증 구형 구축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았다(표 4).
합병증 Adjusted p value OR (95% CI)
재건 실패 관련
연령 0.085 1.074 (0.990-1.166)
보조 화학요법 0.017 12.754 (1.587-102.481)
보조 방사선요법 0.004 5.896 (1.760-19.747)
감염 관련
연령 0.042 1.114 (1.004-1.237)
절제된 검체 무게 0.079 0.995 (0.990-1.001)
보조 화학요법 0.041 4.239 (1.059-16.970)
보형물의 유형 Smooth round Ref
Textured shaped 0.039 5.395 (1.085-26.841)
중증 구형 구축 관련
보조 방사선요법 0.049 2.283 (1.002-5.201)
보조 화학요법 0.032 2.107 (1.067-4.159)
보형물의 유형 Smooth round Ref
Textured shaped 0.022 0.455 (0.232-0.892)
2-2. 보조 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하위 그룹에 대한 분석 결과
보조 방사선요법은 재건 실패 및 전반적인 합병증의 발생 등 합병증 발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관련된 교란 요인(confounding effect)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보조 방사선요법을 받는 경우를 제외하고 추가 분석을 실시했다.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196건을 포함하여 총 539건이 분석되었다. 두 그룹 간의 합병증 유형을 비교할 때 전체 합병증, 중증 구형 구축, 재건 실패의 비율에 대하여는 유사한 결과를 얻었으며,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표 5)에서는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변수에 대한 조정 후 실시한 다변량 분석에서 보조 화학요법을 받는 것이 중증 구형 구축(OR 2.310, 95% CI 1.147-4.652; p = 0.019), 재건 실패(OR 9.850, 95% CI 1.139-85.164; p = 0.038), 전반적인 합병증(OR 2.262, 95% CI 1.228-4.168; p = 0.009)에 대한 유의한 예측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합병증 종류 보조 화학요법 받은 그룹 [n = 196, 36.4%] (%) 보조 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그룹 [n = 343, 63.6%] (%) p value
2단계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 전체 25 (12.8) 21 (6.1) 0.008
창상 열개 3 (1.5) 3 (0.9) 0.485
장액종/혈종 1 (0.5) 1 (0.3) 0.688
감염 5 (2.6) 3 (0.9) 0.122
중증 구형 구축 16 (8.2) 14 (4.1) 0.047
재건 실패 5 (2.6) 1 (0.3) 0.016
2-3. 보조 화학요법의 완료 시기와 2단계 수술 사이의 시간적 간격과 합병증의 연관성 분석 결과
보조 화학요법 완료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보조 화학요법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보조 화학요법 완료 시기와 2단계 수술 사이의 시간 간격이 수술 후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평균 간격은 6.0 개월(범위: 1 내지 26 개월)이었다. 평균값을 고려하여 시간 간격에 따라서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간격이 3개월 이하인 82건의 그룹, 간격이 4 내지 6개월인 55건의 그룹, 간격이 7 내지 12개월인 43건의 그룹 및 간격이 12개월 이상인 16건의 그룹). 이들 그룹의 전반적인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할 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4.6% vs. 10.9% vs. 9.3% vs. 18.8%; p = 0.704). 단변량 분석(OR 1.030, 95% CI 0.929-1.141; p = 0.578)과 다변량 분석(OR 1.054, 95% CI 0.953-1.166; p = 0.305) 모두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시간 간격은 합병증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4. 보조 화학요법과 합병증의 연관성 분석 결과
합병증 발생률이 보조 화학요법 별로 다른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보조 화학요법을 5가지로 분류하였다.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단독요법 (AC × 4)을 받은 71건의 그룹,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및 탁산(taxane) 순차요법 (AC × 4 + T × 4)을 받은 62건의 그룹,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독소루비신(doxorubicin) 및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동시요법 (FAC × 6)을 받은 36건의 그룹, 및 도세탁셀(docetaxel)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동시요법 (TC × 4)을 받은 22건의 그룹 및 기타 요법을 받은 5건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표 6을 참고하면,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과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의 경우 보조 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그룹에 비해 전체 합병증, 중증 구형 구축 및 재건 실패의 발생률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다변량 분석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다른 변수에 대한 조정 후, 보조 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및 탁산(taxane) 순차요법 (AC × 4 + T × 4)을 받은 경우(OR 3.206, 95% CI 1.454-7.071; p = 0.004), 독소루비신(doxorubicin) 및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동시요법 (FAC × 6)을 받은 경우(OR 3.803, 95% CI 1.483-9.752; p = 0.005)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합병증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세 그룹은 보조 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그룹과 유사한 합병증 발생률을 나타냈다.
화학요법 환자 수 합병증 발생률 (%)
전체 중증 구형 구축 재건 실패
AC × 4 71 5 (7.0) 2 (2.8) 1 (1.4)
AC × 4 + T × 4 62 11 (17.7) 8 (12.9) 2 (3.2)
FAC × 6 36 7 (19.4) 5 (13.9) 1 (2.8)
TC × 4 23 1 (4.3) 1 (4.3) 1 (4.3)
기타 5 1 (20.0) 0 0
화학요법 받지 않은 경우 343 21 (6.1) 14 (4.1) 1 (0.3)
2-5. 보조 화학요법의 종류와 합병증의 연관성 분석 결과
추가적인 분석은 보조 화학요법을 받은 그룹에 대하여 제한되어 실시되었다. 그 결과, 합병증 발생률은 하위그룹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및 탁산(taxane) 순차요법 (AC × 4 + T × 4)을 받은 하위 그룹과 독소루비신(doxorubicin) 및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동시요법 (FAC × 6)을 받은 하위 그룹을 결합하여 분석한 결과,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단독요법 (AC × 4)을 받은 그룹에 비하여, 전체적인 합병증 발생률(18.4% vs. 7.0%; p = 0.034) 및 중증 구형 구축 발생률(13.3% vs. 2.8%; p = 0.018)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그룹의 결합이 가지는 의미는 다른 변수에 대한 조정 후 실시한 다변량 분석에서도 유지되어서,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단독요법 (AC × 4)을 받은 그룹에 비하여,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anthracycline/cyclophosphamide) 및 탁산(taxane) 순차요법 (AC × 4 + T × 4)을 받은 하위 그룹과 독소루비신(doxorubicin) 및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동시요법 (FAC × 6)을 받은 하위 그룹을 결합한 경우, 전체적인 합병증 발생률(OR 2.912, 95% CI 1.015-8.355; p = 0.047) 및 중증 구형 구축 발생률(OR 5.524, 95% CI 1.148-26.579; p = 0.033)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출된 판단 기준에 따라, 2단계 유방 재건술을 받는 환자에서 1단계 수술과 2단계 수술 사이에 시행되는 보조 화학요법의 유형에 따른 2단계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예측 시스템
110: 입력부
120: 전처리부
130: 분석부
140: 표시부

Claims (15)

  1. 임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방 재건술은,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조직 확장기를 보형물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 유방 재건술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상 데이터는 유방 재건술 시 화학요법을 받은 개체에서 얻은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은,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요법;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 및
    도세탁셀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요법인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료 결과는 창상 열개, 장액종/혈종, 감염, 중증 구형 구축 및 재건 실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은 구형 구축 또는 재건 실패인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단계는 피험자의 화학요법이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인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8. 임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 및 치료 결과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동일한 결과를 포함하는 패턴을 산출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산출된 패턴에 피험자의 임상 데이터 중 화학요법을 적용하여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유방 재건술은,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는 단계; 및
    조직 확장기를 보형물로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 유방 재건술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임상 데이터는 유방 재건술 시 화학요법을 받은 개체에서 얻은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은,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요법;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 및
    도세탁셀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요법인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치료 결과는 창상 열개, 장액종/혈종, 감염, 중증 구형 구축 및 재건 실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병증을 포함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합병증은 구형 구축 또는 재건 실패인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피험자의 화학요법이 안트라사이클린/사이클로포스파미드 및 탁산 순차요법 또는 5-플루오로우라실, 독소루비신 및 시클로포스파미드 동시요법인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분석부에서 피험자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 예측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방 재건술 예후 예측 시스템.

KR1020210125807A 2021-09-23 2021-09-23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3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07A KR20230043290A (ko) 2021-09-23 2021-09-23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07A KR20230043290A (ko) 2021-09-23 2021-09-23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290A true KR20230043290A (ko) 2023-03-31

Family

ID=8600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807A KR20230043290A (ko) 2021-09-23 2021-09-23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32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545B1 (ko) 2016-11-25 2018-09-07 주식회사 젠큐릭스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545B1 (ko) 2016-11-25 2018-09-07 주식회사 젠큐릭스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moh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complications of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with prereconstruction and postreconstruction radiotherapy
Baschnagel et al. Failure rate and cosmesis of immediate tissue expander/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after postmastectomy irradiation
Handel et al. The Fate of Breast Implants: A CriticalAnalysis of Complications and Outcomes
Carlson et al. Local recurrence after skin-sparing mastectomy: tumor biology or surgical conservatism?
Jhaveri et al. Clinical outcomes of postmastectomy radiation therapy after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Bahng et al. Determination of prognostic factors for vaginal mucosal toxicity associated with intravaginal high-dose rate brachytherapy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itchem et al. Impact of neoadjuvant chemotherapy on rate of tissue expander/implant loss and progression to successful breast reconstruction following mastectomy
Winocour et al. Early surgical site infection following tissue expander breast reconstruction with or without acellular dermal matrix: national benchmarking using National Surgical Quality Improvement Program
Chen et al. Clinical outcomes in breast cancer expander-implant reconstructive patients with radiation therapy
Scomacao et al. The use of surgical site drains in breast recon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Algazar et al. Sinus laser closure (SiLaC) versus Limberg flap in management of pilonidal disease: a short-term non-randomized comparative prospective study
Aristei et al. Expander/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before radiotherapy
Hvilsom et al. Delayed breast implant reconstruction: a 10-year prospective study
Connell Results from the ASPIRE study for breast reconstruction utilizing the AeroForm™ patient controlled carbon dioxide-inflated tissue expanders
Wilson et al. BROWSE: A multicentre comparison of nine year outcomes in acellular dermal matrix based and complete submuscular implant-based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aesthetics, capsular contracture and patient reported outcomes
KR20230043290A (ko)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Bassuner et al. Polytetrafluoroethylene or acellular dermal matrix for diaphragmatic reconstruction?
KR102624177B1 (ko) 유방 재건술 후 유방암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rk et al. Effects of antihypertensive drugs on outcomes of breast reconstruction
Freniere et al. Outcomes following breast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prior mantle radiation for treatment of Hodgkin's lymphoma
KR20230119541A (ko) 유방 재건술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Nag et al. Effects of Neoadjuvant Chemotherapy on Autologous and Implant-Based Breast Recon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US20230290508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information to predicting breast reconstruction surgery prognosis
McIntosh et al. Breast cancer following augmentation mammoplasty–a review of its impact on prognosis and management
KR20230119540A (ko) 유방 재건술의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