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102A - 사이드링크 레이어 2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상태 천이 - Google Patents

사이드링크 레이어 2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상태 천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102A
KR20230043102A KR1020237001667A KR20237001667A KR20230043102A KR 20230043102 A KR20230043102 A KR 20230043102A KR 1020237001667 A KR1020237001667 A KR 1020237001667A KR 20237001667 A KR20237001667 A KR 20237001667A KR 20230043102 A KR20230043102 A KR 2023004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remote
idle
network entity
inactiv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펑 청
카르티카 파라두구
오즈칸 오즈터크
개빈 버나드 호른
홍 청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은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나리오에서 페이징을 위한 기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방법은 일반적으로, 원격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릴레이 UE 중 하나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링크 레이어 2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상태 천이
본 개시의 양태들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드링크 레이어 (L2) 릴레이 시스템에서 상태 천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화 통신,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여러 전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리소스들 (예컨대, 대역폭, 송신 전력 등)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채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몇가지만 거론하자면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LTE-A (LTE-Advanced) 시스템,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및 TD-SCDMA (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들 (BS들) 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각각은, 다르게는 사용자 장비들 (UE들) 로 알려진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 가능하다. LTE 또는 LTE-A 네트워크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의 세트는 eNodeB (eNB) 를 정의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예를 들어, 차세대, 뉴 라디오 (NR), 또는 5G 네트워크에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중앙 유닛 (CU) (예를 들어, 중앙 노드 (CN), 액세스 노드 제어기 (ANC) 등) 과 통신하는 다수의 분산 유닛 (DU) (예를 들어, 에지 유닛 (EU), 에지 노드 (EN), 무선 헤드 (RH), 스마트 무선 헤드 (SRH),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을 포함하며, 여기서 CU 와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DU 들의 세트는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BS, 5G NB, 차세대 NodeB (gNB 또는 gNodeB), 송신 수신 포인트 (TRP) 등) 를 정의할 수도 있다. BS 또는 DU 는 (예를 들어, BS 또는 DU 로부터 UE 로의 송신을 위한) 다운링크 채널 및 (예를 들어, UE로부터 BS 또는 DU 로의 송신을 위한) 업링크 채널 상에서 UE들의 세트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들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지방, 국가, 지역 그리고 심지어 국제적 수준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었다. NR (예를 들어, 뉴 라디오 또는 5G) 은 부상하고 있는 전기 통신 표준의 예이다. NR 은 3GPP 에 의해 공포된 LTE 모바일 표준에 대한 향상들의 세트이다. NR 은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하는 것,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 서비스들을 개선하는 것,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는 것, 그리고 다운링크 (DL) 상에서 및 업링크 (UL) 상에서 순환 전치 (CP) 를 갖는 OFDMA 를 이용하여 다른 공개 표준들과 더 우수하게 통합하는 것에 의해, 모바일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더 우수하게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이들을 위해, NR 은 빔포밍,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안테나 기술, 및 캐리어 집성을 지원한다.
사이드링크 통신은 한 UE에서 다른 UE로의 통신이다.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사이드링크 통신에 대한 개선을 포함한, NR 및 LTE 기술에서 추가 개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이들 개선은 다른 다중 액세스 기술들에 그리고 이들 기술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간단한 요약
본 개시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각각 여러 양태들을 갖고, 그 양태들 중 어떠한 단일의 양태도 그 바람직한 속성들을 단독으로 책임지지 않는다. 뒤따르는 청구항들에 의해 표현되는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함이 없이, 일부 특징들이 이제 간략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 논의를 고려한 후에, 그리고 특히 "상세한 설명" 이라는 제목의 섹션을 읽은 후에, 사람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들과 스테이션들 간의 향상된 통신들을 포함하는 이점들을 본 개시의 특징들이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소정 양태들은 원격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원격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릴레이 UE 중 하나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양태들은 릴레이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릴레이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시그널링 또는 무선 링크 실패 이벤트의 검출 중 하나에 기초하여 릴레이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결정하는 단계; 및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들도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되도록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 양태들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릴레이 사용자 장비 (UE) 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 원격 UE 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원격 UE에, 송신하는 단계; 및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릴레이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릴레이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그리고 그 첨부 도면들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들, 장치, 시스템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및 프로세싱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 및 관련 목적의 달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이하 충분히 설명되고 청구항들에서 특별히 적시된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소정의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제시한다. 하지만, 이들 특징들은 다양한 양태들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단지 몇몇만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위에 기재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위에 간략히 요약된 더 상세한 설명이 양태들을 참조하여 행해질 수도 있으며, 이 양태들 중 일부가 도면들에 예시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오직 소정의 통상적인 양태들만을 예시하고, 따라서, 본 설명은 다른 동일하게 효과적인 양태들을 인정할 수도 있으므로, 그 범위의 한정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소정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전기통신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에 따른 분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RAN) 의 예시적인 논리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소정 양태에 따른 분산 RAN의 예시적인 논리 아키텍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기지국 (BS) 및 사용자 장비 (UE) 의 설계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원격 사용자 장비 (UE) 의 예시적인 접속 경로를 예시하는 하이 레벨 경로 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원격 UE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직접 접속 경로가 없을 때 L3 상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원격 UE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직접 접속 경로가 있을 때 L2 상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8 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레이어 3 (L3) 릴레이 절차를 예시한다.
도 9 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레이어 2 (L2) 릴레이 절차를 예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예시적인 릴레이 발견 절차를 예시한다.
도 11은 릴레이 UE가 하나 이상의 원격 UE에 서빙하는 예시적인 통신 환경을 예시한다.
도 12a 및 12b는 원격 UE가 네트워크 엔티티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지 또는 밖에 있는지에 기초하여 원격 UE가 페이징 및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도 13은 릴레이와 접속하기 전의 페이징 및 원격 UE의 예시적인 접속 경로를 예시한다.
도 14은 원격 UE 가 릴레이와 접속한 후 원격 UE 와 릴레이 사이의 예시적인 접속 경로를 예시한다.
도 15 는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원격 UE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 는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릴레이 UE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 는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 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원격 UE 와 릴레이 UE 의 상이한 조합을 예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원격 UE를 천이시키기 위해 원격 UE, 릴레이 UE와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에 전달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메시지를 예시하는 호 흐름도이다.
도 20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릴레이 UE 에서 무선 링크 실패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원격 UE를 천이시키기 위해 원격 UE, 릴레이 UE와 네트워크 UE 사이에 전달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메시지를 예시하는 호 흐름도이다.
도 21는 본 개시의 소정 양태들에 따른,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 원격 UE를 천이시키기 위해 원격 UE, 릴레이 UE와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에 교환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메시지를 예시하는 호 흐름도이다.
도 22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도 15 에 예시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여러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23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도 16 에 예시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여러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24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도 17 에 예시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여러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가능한 경우, 도면들에 공통되는 동일한 요소들을 표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하나의 양태에서 개시된 엘리먼트들은 특정 언급 없이도 다른 양태들에 대해 유익하게 활용될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상세한 설명
본 개시의 양태는 사이드링크 레이어 2(L2) 릴레이 시스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과 접속 상태 사이에서 원격 및 릴레이 사용자 장비(UE)를 천이하기 위한 장치, 방법, 프로세싱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릴레이와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의 접속은 Uu 접속 또는 Uu 경로를 통한 것으로 불릴 수도 있다. 원격 UE와 릴레이(예를 들어, 다른 UE 또는 "릴레이 UE") 사이의 접속은 PC5 접속 또는 PC5 경로를 통한 것으로 불릴 수도 있다. PC5 접속은 원격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비교적 근접성을 이용할 수도 있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접속이다(예를 들어, 원격 UE가 가장 가까운 기지국보다 릴레이 UE에 더 가까운 경우). 릴레이 UE는 Uu 접속을 통해 인프라 노드(예를 들어, gNB)에 접속하고 PC5 접속을 통해 Uu 접속을 원격 UE에 릴레이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청구항들에 제시된 범위, 적용가능성, 또는 예들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논의된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에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은 다양한 프로시저 또는 컴포넌트들을 적절히 생략, 치환 또는 추가할 수도 있다. 가령,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 대하여 설명된 특징들은 일부 다른 예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수의 양태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제시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 외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 및 기능성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의 임의의 양태는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에 의해 구체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단어 "예시적인" 은 "예, 실례, 또는 예시의 역할을 하는 것" 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적" 으로 설명된 임의의 양태는 반드시 다른 양태들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은 LTE,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 은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는 WCDMA (Wideband 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NR (예를 들어, 5G RA), 진화된 UTRA (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UMB),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A 등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 는 유니버셜 모바일 텔레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의 부분이다.
뉴 라디오 (NR) 는 5G 기술 포럼 (5GTF) 과 협력하여 개발 중인 부상중인 무선 통신 기술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및 LTE-어드밴스드 (LTE-A) 는 E-UTRA 를 사용하는 UMTS 의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 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라는 이름의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 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 이라는 이름의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여기에 설명된 기법들은, 전술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 그리고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에 사용될 수도 있다. 명료성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3G 및/또는 4G 무선 기술과 공통으로 연관된 용어를 사용하여 양태들이 설명될 수도 있지만, 본 개시의 양태들은 NR 기술들을 포함하는, 5G 및 그 이후와 같은, 다른 세대-기반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뉴 라디오 (NR) 액세스 (예를 들어, 5G 기술) 는 넓은 대역폭 (예를 들어, 80MHz 이상) 을 목표로 하는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높은 캐리어 주파수 (예를 들어, 25 GHz 이상) 를 목표로 하는 밀리미터 파 (mmW), 비하위 호환성 MTC 기술들을 목표로 하는 매시브 머신 타입 통신 MTC (mMTC), 및/또는 초신뢰성 저 레이턴시 통신 (URLLC) 을 목표로 하는 미션 크리티컬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들 서비스들은 레이턴시 및 신뢰성 요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서비스들은 또한, 각각의 서비스 품질 (QoS) 요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상이한 송신 시간 간격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들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서비스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공존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양태들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UE(120a) 및/또는 BS(110a)는 도 15, 16, 및 17 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동작들 (1100, 1200 및 1300) 을 수행하여 사이드링크 레이어 2 릴레이 시스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와 접속 상태 사이에서 원격 UE 및 릴레이 UE를 천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처럼,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는 다수의 기지국들 (BS들) (110a-z) (각각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BS (110) 또는 집합적으로 BS들 (110) 로도 지칭됨)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에서, RSU(roadside service unit)는 BS 의 일종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BS(110)는 RSU로 지칭될 수도 있다. BS (110) 는 모바일 BS (110) 의 위치에 따라 정지식일 수도 있거나 이동할 수도 있는, 때때로 “셀” 로 지칭된,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BS들 (110) 은 임의의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다양한 타입의 백홀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어, 직접 물리적 접속, 무선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 을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BS 또는 네트워크 노드 (미도시) 에 및/또는 서로에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BS들 (110a, 110b, 및 110c) 은 각각 매크로 셀들 (102a, 102b, 및 102c) 을 위한 매크로 BS들일 수도 있다. BS (110x) 는 피코 셀 (102x) 을 위한 피코 BS 일 수도 있다. BS들 (110y 및 110z) 은 각각 펨토 셀들 (102y 및 102z) 을 위한 펨토 BS들일 수도 있다. BS 는 하나 또는 다수의 셀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BS들 (110) 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에서 사용자 장비 (UE) (120a-y) (각각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UE (120) 로 지칭되거나 또는 UE들 (120) 로 총칭됨) 와 통신한다. UE들 (120) (예컨대, 120x, 120y 등) 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전체에 걸쳐 산재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UE (120) 는 정지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는 또한 업스트림 스테이션 (예를 들어, BS (110a) 또는 UE (120r)) 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 (예를 들어, UE (120) 또는 BS (110)) 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전송하거나, UE들 (120) 사이의 송신을 릴레이하여,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릴레이 등으로도 지칭되는 릴레이 UE들 (예를 들어, 릴레이 UE (110r))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130) 는 BS들 (110) 의 세트에 커플링할 수도 있고, 이들 BS들 (110) 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130) 는 백홀을 통해 BS들 (11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BS (110) 들은 또한,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예를 들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UE들 (120)(예를 들어, 120x, 120y 등) 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전반에 걸쳐 산재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UE 는 정지식 또는 이동식일 수도 있다. UE 는 또한, 이동국,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CPE (Customer Premises Equipment), 셀룰러 폰, 스마트 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젼, 태블릿 컴퓨터, 카메라, 게이밍 디바이스, 넷북, 스마트북, 울트라북, 기기, 의료용 디바이스 또는 의료용 장비, 생체인식 센서/디바이스, 스마트 시계, 스마트 의류, 스마트 안경, 스마트 손목 밴드, 스마트 장신구 (예컨대, 스마트 반지, 스마트 팔찌 등) 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예컨대, 뮤직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위성 라디오 등), 차량 컴포넌트 또는 센서, 스마트 미터/센서, 산업용 제조 장비,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일부 UE들은 MTC (machine-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들 또는 eMTC (evolved MTC) 디바이스들로 고려될 수도 있다. MTC 및 eMTC UE들은 예를 들어, BS,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원격 디바이스) 또는 기타 엔티티와 통신할 수도 있는, 로봇들, 드론들, 원격 디바이스들, 센서들, 미터들, 모니터들, 위치 태그들 등을 포함한다.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예컨대, 광역 네트워크 이를테면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에 대한 또는 그 네트워크에의 접속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UE들은 협대역 IoT (NB-IoT)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는 사물 인터넷 (Internet-of-Things; IoT) 디바이스들로 고려될 수도 있다.
소정 무선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LTE) 은 다운링크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을 활용하고 업링크 상에서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SC-FDM) 을 활용한다. OFDM 및 SC-FDM 는, 일반적으로 톤 (tone), 빈 (bin) 등으로 지칭되는, 다수의 (K)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시스템 대역폭을 파티셔닝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OFDM 으로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 SC-FDM 으로 전송된다. 인접한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될 수도 있고, 서브캐리어들의 총 수 (K) 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의 간격은 15 kHz 일 수도 있으며, 최소 리소스 할당 (“리소스 블록” (RB) 으로 지칭됨) 은 12개 서브캐리어들 (또는 180 kHz) 일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명목상의 고속 푸리에 변환 (FFT) 사이즈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쯔 (MHz) 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 과 동일할 수도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서브대역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대역은 1.08 MHz (즉, 6개 리소스 블록들) 를 커버할 수도 있으며, 1.25, 2.5, 5, 10 또는 20 MHz 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개의 서브대역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들의 양태들은 LTE 기술들과 연관될 수도 있지만, 본 개시의 양태들은 NR 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로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NR 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상에서 CP 를 갖는 OFDM 을 활용할 수도 있고 TDD 를 사용한 하프-듀플렉스 동작에 대한 지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빔포밍이 지원될 수도 있으며 빔 방향은 동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리코딩 (precoding) 을 갖는 MIMO 송신이 또한 지원될 수도 있다. DL 에서의 MIMO 구성은 UE 당 8개의 스트림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2개의 스트림에 이르기까지의 멀티-레이어 DL 송신과 함께, 8개에 이르기까지 송신 안테나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UE 당 2개에 이르기까지 스트림들을 갖는 멀티-레이어 송신이 지원될 수도 있다. 다수의 셀들의 집성은 8 개에 이르기까지 서빙 셀들로 지원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세스가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엔티티 (예컨대, BS) 는 그 서비스 영역 또는 셀 내의 일부 또는 모든 디바이스들 및 장비간의 통신을 위한 리소스들을 할당한다. 스케줄링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종속 엔티티들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 배정, 재구성, 및 해제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즉, 스케줄링된 통신에 대해, 종속 엔티티들은 스케줄링 엔티티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들을 활용한다. 기지국들은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 있는 유일한 엔티티들은 아니다. 일부 예들에서, UE 는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종속 엔티티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 에 대한 리소스들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고, 다른 UE들은 무선 통신을 위해 UE 에 의해 스케줄링된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UE 는 피어-투-피어 (P2P) 네트워크에서, 및/또는 메시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 엔티티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메시 네트워크 예에 있어서, UE들은 스케줄링 엔티티와 통신하는 것에 더하여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 에서,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 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BS 인 서빙 BS 와 UE 사이의 원하는 송신을 표시한다. 이중 화살표를 갖는 미세 파선은 UE 와 BS 사이의 간섭 송신을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 (100) 에서 구현될 수도 있는 분산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RAN) (200) 의 예시적인 논리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5G 액세스 노드 (206) 는 액세스 노드 제어기 (ANC)(20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ANC (202) 는 분산 RAN (200) 의 중앙 유닛 (CU) 일 수 있다. NG-CN (Next Generation Core Network) (204) 에 대한 백홀 인터페이스는 ANC (202) 에서 종료될 수도 있다. 이웃한 NG-AN (next generation access Node) (210) 에 대한 백홀 인터페이스는 ANC (202) 에서 종료될 수도 있다. ANC (202) 는 하나 이상의 TRP들 (208) (예컨대, 셀들, BS들, gNB들 등) 을 포함할 수도 있다.
TRP들 (208) 은 분산 유닛 (DU) 일 수 있다. TRP들 (208) 은 단일의 ANC (예컨대, ANC (202)) 또는 1개보다 많은 ANC (미도시)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AN 공유, RaaS (radio as a service) 및 서비스 특정 AND 전개들을 위해, TRP들 (208) 은 1개보다 많은 ANC 에 접속될 수도 있다. TRP들 (208) 은 각각,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TRP들 (208) 은 UE 에 트래픽을 개별적으로 (예컨대, 동적 선택) 또는 공동으로 (예컨대, 공동 송신) 서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산 RAN (200) 의 논리 아키텍처는 상이한 배치 유형들에 걸쳐 프론트홀링 솔루션 (fronthauling solution) 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논리 아키텍처는 송신 네트워크 능력들 (예를 들어, 대역폭, 레이턴시, 및/또는 지터) 에 기초할 수도 있다.
분산 RAN (200) 의 논리 아키텍처는 LTE 와 특징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을 공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G-AN (next generation access node) (210) 는 NR 과의 이중 접속성을 지원할 수도 있고, LTE 및 NR 을 위한 공통 프론트홀을 공유할 수도 있다.
분산 RAN (200) 의 논리 아키텍처는 TRP 들 (208) 간에 그리고 중에, 예를 들어 TRP 내에서 및/또는 ANC (202) 를 통해 TRP 들을 가로질러서 협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RP 간 인터페이스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분산 RAN (200) 의 논리 아키텍처에서 논리 기능들은 동적으로 분산될 수도 있다. RRC (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PDCP) 레이어, RLC (Radio Link Control) 레이어, MAC (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 및 물리 (PHY) 레이어들은 DU (예를 들어, TRP (208)) 또는 CU (예를 들어, ANC (202)) 에 적응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분산 RAN (300) 의 예시적인 물리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중앙집중형 코어 네트워크 유닛 (C-CU) (302) 은 코어 네트워크 기능들을 호스팅할 수도 있다. C-CU (302) 는 중앙집중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C-CU (302) 기능성은, 피크 용량을 핸들링하기 위한 노력으로, (예컨대, 진보한 무선 서비스들 (AWS) 로) 오프로딩될 수도 있다.
C-RU (centralized RAN unit) (304) 는 하나 이상의 ANC 기능들을 호스팅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C-RU (304) 는 코어 네트워크 기능을 로컬적으로 호스팅할 수도 있다. C-RU (304) 는 분산 배치를 가질 수도 있다. C-RU (304) 는 네트워크 에지에 근접할 수도 있다.
DU (306) 는 하나 이상의 TRP들 (에지 노드 (EN), 에지 유닛 (EU), RH (Radio Head), SRH (Smart Radio Head) 등) 을 호스팅할 수도 있다. DU 는 RF (radio frequency) 기능성을 가진 네트워크의 에지들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개시의 양태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 (도 1 에 도시된 바처럼) BS (110a) 및 UE (120a) 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UE (120a) 의 안테나들 (452), 프로세서들 (466, 458, 464), 및/또는 제어기/프로세서 (480) 및/또는 BS (110a) 의 안테나들 (434), 프로세서들 (420, 430, 438), 및/또는 제어기/프로세서 (440) 는 도 15, 16, 및 17 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법들 및 방법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BS (110a) 에서, 송신 프로세서 (420) 는 데이터 소스 (412) 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 (440) 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정보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 (PCFICH), 물리 하이브리드 ARQ 표시자 채널 (PHI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그룹 공통 PDCCH (GC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데이터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등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420) 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 (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맵핑) 하여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각각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420) 는 또한, 예를 들어 1차 동기화 신호 (PSS), 2차 동기화 신호 (SSS), 및 셀-특정 참조 신호 (CRS) 에 대한 참조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TX)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프로세서 (430) 는, 적용가능한 경우,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참조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 (예를 들어, 프리코딩) 을 수행할 수도 있고, 변조기 (MOD) 들 (432a 내지 432t) 에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 (432) 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기는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 (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 할 수도 있다. 변조기들 (432a 내지 432t) 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 (434a 내지 434t) 을 통해 각각 송신될 수도 있다.
UE (120a) 에서, 안테나들 (452a 내지 452r) 은 기지국 (110a) 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트랜시버 내 복조기 (DEMOD) 들 (454a 내지 454r) 에 각각 제공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조기 (454) 는 입력 샘플들을 획득하기 위해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 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는 또한,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한) 입력 샘플들을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MIMO 검출기 (456) 는 모든 복조기들 (454a 내지 454r) 로부터의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한 경우, 수신된 심볼들에 대한 MIMO 검출을 수행하며,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458) 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 (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 하고, UE (120a) 를 위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460) 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48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 (120a) 에서, 송신 프로세서 (464) 는 데이터 소스 (462) 로부터 (예컨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에 대한)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 (480) 로부터 (예컨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464) 는 또한, 참조 신호에 대한 (예컨대, 사운딩 참조 신호 (SRS) 에 대한) 참조 심볼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 프로세서 (464) 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한 경우, TX MIMO 프로세서 (466) 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한) 트랜시버 내의 복조기들 (454a 내지 454r) 에 의해 더 프로세싱되고, 기지국 (110a) 에 송신될 수도 있다. BS (110a) 에서, UE (120a) 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 (434) 에 의해 수신되고, 변조기들 (432)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 (436) 에 의해 검출되며, 수신 프로세서 (438) 에 의해 더 프로세싱되어, UE (120a) 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수신 프로세서 (438) 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 (439) 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 (44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 (440 및 480) 은 각각 BS (110a) 및 UE (120a) 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도 있다. BS (110a) 에서의 프로세서 (4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도 15, 16, 및 17 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에 대한 프로세스들의 실행을 수행하거나 지시할 수도 있다.
일부 상황에서, 2 개 이상의 종속 엔티티들 (예를 들어, UE들) 은 사이드링크 신호들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이드링크 통신의 현실의 응용은 치안, 근접 서비스들, UE-대-네트워크 릴레잉, V2V (Vehicle-to-Vehicle) 통신, 만물 인터넷 (IoE) 통신, IoT 통신, 미션-크리티컬 메시, 및/또는 다양한 다른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링크 신호는, 스케줄링 엔티티가 스케줄링 및/또는 제어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지라도, 스케줄링 엔티티 (예를 들어, UE 또는 BS) 를 통해 그 통신을 릴레이하지 않고 하나의 종속 엔티티 (예를 들어, UE1) 로부터 다른 종속 엔티티 (예를 들어 UE2) 로 통신되는 신호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비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들과 달리) 사이드링크 신호들은 허가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통신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UE 대 NW 릴레이
본 개시의 양태들은, 예시적인 접속 경로: 릴레이 UE와 네트워크 gNB 사이의 Uu 경로(셀룰러 링크), 원격 UE와 릴레이 UE 사이의 PC5 경로(D2D 링크) 를 예시하는 하이 레벨 경로도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UE, 릴레이 UE 및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원격 UE 및 릴레이 UE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모드에 있을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UE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와의 Uu 접속 없는 (그리고 네트워크에 대한 가시성이 없는) 레이어 3(L3) 접속을 통해 또는 UE가 Uu 액세스 계층(AS) 및 네트워크와의 비-AS 접속(NAS)을 지원하는 레이어 2(L2) 접속을 통해 릴레이 UE에 접속할 수도 있다.
도 6은 원격 UE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직접적인 접속 경로 (Uu 접속) 가 없을 때 L3 상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 상황에서, 원격 UE는 네트워크와의 Uu 접속을 갖지 않고 PC5 접속 (예를 들어, 레이어 3 UE-대-NW) 만을 통해 릴레이 UE에 접속된다. PC5 유니캐스트 링크 셋업 (setup) 은 일부 구현에서 릴레이 UE가 원격 UE를 서빙하기 위해 필요할 수도 있다. 원격 UE는 릴레이 경로를 통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와 Uu 애플리케이션 서버(AS) 접속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원격 UE는 5G 코어 네트워크(5GC)와 직접적인 NAS(none access stratum) 접속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릴레이 UE는 원격 UE의 존재에 관해 5GC에 보고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임의적으로, 원격 UE는 N3IWF(non-3GPP interworking function)를 통해 5GC에 가시적일 수도 있다.
도 7은 원격 UE와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직접 접속 경로가 있을 때 L2 상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이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은 NR-V2X 접속성에 기초한 L2 릴레이 옵션을 나타낸다. PC5 제어 평면(C-평면)과 NR Uu C-평면 양자 모두는 도 6에 예시된 것과 유사하게 원격 UE 상에 있다. PC5 C-평면은 릴레이 전에 유니캐스트 링크를 셋업할 수도 있다. 원격 UE는 PC5 무선 링크 제어(RLC) 위에 NR Uu AS 및 NAS 접속을 지원할 수도 있다. NG-RAN은 NR 무선 리소스 제어(RRC)를 통해 원격 UE의 PC5 링크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릴레이 UE의 Uu 접속 상에서 다수의 UE 트래픽을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적응화 레이어가 필요할 수도 있다.
NR과 같은 소정 시스템은, 위에 언급된 바처럼, 예를 들어 레이어 3(L3) 및 레이어 2(L2) 릴레이를 활용하여 사이드링크 기반 UE-대-네트워크 및 UE-대-UE 릴레이 통신을 위한 독립(SA) 능력을 지원할 수도 있다.
특정 릴레이 절차는 릴레이가 L3 릴레이인지 L2 릴레이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 8은 L3 릴레이를 위한 예시적인 전용 PDU 세션을 예시한다. 예시된 시나리오에서, 원격 UE는 PC5-S 유니캐스트 링크 셋업을 확립하고 IP 주소를 얻는다. PC5 유니캐스트 링크 AS 구성은 PC5-RRC를 사용하여 관리된다. 릴레이 UE와 원격 UE는 AS 구성 상에서 협력한다. 릴레이 UE는 RAN으로부터의 정보를 고려하여 PC5 링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릴레이하는 것에 대한 원격 UE 액세스의 인증/인가는 PC5 링크 확립 동안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된 예에서, 릴레이 UE는 L3 릴레이하는 것을 수행한다.
도 9은 L2 릴레이를 위한 예시적인 전용 PDU 세션을 예시한다. 예시된 시나리오에서, 릴레이하기 전에 PC5 유니캐스트 링크 셋업이 없다. 원격 UE는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SBCCH)을 통해 PC5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상에서 NR RRC 메시지를 전송한다. RAN은 NR RRC 메시지를 통해 독립적으로 원격 UE 및 릴레이 UE에 PC5 AS 구성을 표시할 수 있다. NR RRC/PDCP에서 무선 베어러 핸들링을 지원하지만 PC5 링크에서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지원하기 위해 NR V2X PC5 스택 동작을 변경할 수도 있다. L2 릴레이하는 것에서, PC5 RLC는 NR PDCP와의 직접 상호 작용을 지원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DRX 시나리오에는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가 있다. 한 가지 문제는 릴레이 발견을 위한 원격 UE 사이드링크 DRX 의 지원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 릴레이 발견을 위한 한 가지 가정은 릴레이 UE가 유휴(IDLE)/비활성(INACTIVE)보다는, 접속(CONNECTED) 모드에만 있다는 것이다. 원격 UE는 CONNECTED, IDLE/INACTIVE 에 있거나 또는 OOC(Out of Coverage) 모드에 있을 수도 있다.
릴레이 선택 및 재선택 양자 모두를 위한 발견이 지원될 수도 있다. 상이한 유형의 발견 모델이 지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모델(모델 A 발견이라고 함)이 도 10a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UE는 다른 UE가 모니터링하는 동안 발견 메시지(어나운스먼트)를 보낸다. 도 10b에 도시된 제 2 모델(모델 B 발견이라고 함)에 따르면, UE(디스커버러(discoverer))는 간청 메시지(solicit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모니터링 UE(디스커버리(discoveree))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린다. 이러한 발견 메시지는 (예를 들어, 별도의 발견 채널 상에서가 아니라) PC5 통신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발견 메시지는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그룹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식별자로 설정될 수 있는 목적지 레이어-2 ID, 항상 송신기의 유니캐스트 식별자로 설정되는 소스 레이어-2 ID 를 포함하는 다른 직접적인 통신에 사용되는 것들과 동일한 레이어-2 프레임 내에서 반송될 수도 있고, 프레임 유형은 그것이 ProSe 직접적인 발견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릴레이 선택을 위해, 원격 UE는 어떤 릴레이 노드에도 접속되지 않았다(즉, 원격 UE와 릴레이 노드 사이에 PC5 유니캐스트 링크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릴레이 선택을 위한 릴레이 발견 메시지 모니터링에 대한 원격 UE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DRX 모드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릴레이 재선택을 위해, 원격 UE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노드에 접속되었다(예를 들어, PC5 유니캐스트가 원격 UE와 릴레이 노드 사이에 확립됨). 릴레이 재선택을 위해, 릴레이 재선택 및 PC5 데이터 송신을 위한 릴레이 발견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동안 원격 UE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DRX 구성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도 11은 UE 대 네트워크 릴레이(예를 들어, 릴레이 UE)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원격 UE가 서빙되는 예시적인 환경을 예시한다. 릴레이 UE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서는, 릴레이 노드에 접속되지 않은 원격 UE가 릴레이 노드를 발견하고 하나 이상의 릴레이 노드를 원격 UE의 릴레이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 UE는 (예를 들어, q-Rx-LevMin 보다 위의 minHyst 를 넘는) 제1 임계값보다 위의 SD-RSRP(sidelink discovery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갖는 모든 릴레이 노드를 발견할 수도 있다. 원격 UE는 또한 원격 UE가 이미 릴레이 노드와 접속된 경우 릴레이를 재선택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원격 UE는 사이드링크 RSRP(SL-RSRP)가 (예를 들어, q-Rx-LevMin 보다 아래의 minHyst 를 넘는) 제 2 임계값보다 아래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고, 그 결정에 기초하여, 제 1 임계 값보다 위의 SD-RSRP를 갖는 릴레이 노드를 발견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레이어 2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예시적인 상태 천이
본 개시의 양태는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스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과 접속 상태 사이에서 원격 및 릴레이 UE를 천이하기 위한 장치, 방법, 프로세싱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술은 원격 UE로 하여금 레이어 2 릴레이를 사용하여 릴레이 UE와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태들간에 천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2a 및 12b는 UE가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gNB)와 통신하는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예시한다. 도 12a 및 도 12b 에 예시된 두 시나리오 모두에서, 릴레이 UE는 커버리지 내에 있고, RRC 유휴, 비활성, 또는 접속 상태 중 하나에 있다. 도 12a에 예시된 시나리오에서, 원격 UE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 원격 UE가 커버리지 내에 있기 때문에, 원격 UE는 Uu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직접 페이징 및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b에 예시된 시나리오에서, 원격 UE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커버리지 밖에 있을 수도 있다. 원격 UE는 커버리지 밖에 있고, 릴레이 UE는 커버리지 내에 있기 때문에, 원격 UE는 릴레이 UE와 접속하고 릴레이 UE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페이징 및 SIB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3은 릴레이 UE와 접속하기 전에 원격 UE에 의한 페이징의 예를 예시한다. 원격 UE가 릴레이 UE와 접속하기 전에, UE는 원격 UE가 네트워크 엔티티와 접속되었다면 사용되는 바처럼 UE 유휴 또는 비활성 거동을 따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는 유휴 모드 측정 및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Uu 페이징의 수신시에, UE는 UAC(Unified Access Control) 및 RRC(Radio Resource Configuration) 셋업 또는 재개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 SIB 업데이트를 위해 Uu 접속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의 커버리지 내의 원격 UE는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페이징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커버리지 내 릴레이와 접속되지 않은 네트워크 엔티티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원격 UE는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페이징 및 SIB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도 14는 릴레이와 접속된 후 (예를 들어, PC5 RRC 접속이 확립된 후) 원격 UE에 의한 페이징의 예를 예시한다. 원격 UE는 복수의 페이징 모드 중 하나에서 gNB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직접적인 페이징에서, 원격 UE는 Uu 페이징 및 SIB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직접적인 페이징은 UE에 의해 사용될 페이징 모드를 나타내는 시그널링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원격 UE가 적용하는 디폴트 모드일 수도 있다. 포워드 페이징은 원격 UE가 Uu 페이징 또는 SIB 업데이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포기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그 대신 릴레이 UE는 원격 UE의 페이징을 모니터링하고 원격 UE의 페이징을 원격 UE에 포워딩한다. 적응적 페이징은 원격 UE에 의한 요청에 기초하여 직접적인 페이징과 포워드 페이징 사이의 전환을 허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원격 UE는 원격 UE도 릴레이 UE도 원격 UE에 대한 Uu 페이징 및/또는 SIB 업데이트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비페이징 모드 (no-paging mode) 에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격 페이징 모드는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격 UE별 기반(per-remote-UE basis)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 UE 3은 Uu 페이징을 직접 모니터링할 수도 있는 반면,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 1 및 2는 페이징 포워딩에 의존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양태는 원격 UE가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스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무선 리소스 제어(RRC) 상태와 접속 RRC 상태 사이에서 천이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도 15, 16 및 17은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스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와 접속 상태 사이에서 천이하기 위한 원격 UE, 릴레이 UE 및 네트워크 엔티티의 관점에서의 예시적인 동작을 각각 예시한다.
도 15는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수신하기 위해 원격 U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1500)을 예시한다. 예시된 바처럼, 동작 (1500) 은 블록 (1502) 에서 시작하고, 여기서 원격 UE는, UE 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릴레이 사용자 장비 (UE) 중 하나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표시를 수신한다.
블록 (1504) 에서, 원격 UE 는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한다.
도 16은 릴레이 UE에 접속된 원격 UE 에 대한 포워드 페이징 및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스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와 접속 상태 사이를 천이하기 위해 릴레이 U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1600)을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동작(1600)은 블록(1602)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여기서 릴레이 UE는,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릴레이 UE가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한다. 그 결정은 릴레이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시그널링 또는 무선 링크 실패 이벤트의 검출 중 하나에 기초할 수도 있다.
블록 (1604) 에서, 릴레이 UE 는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들도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되도록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한다.
도 17은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스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와 접속 상태 사이에서 릴레이 UE 및 원격 UE를 천이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을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동작(1700)은 블록(1702)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여기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릴레이 사용자 장비 (UE) 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 원격 UE 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한다.
블록 (1704) 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원격 UE에, 송신한다.
블록 (1706) 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릴레이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릴레이 UE에 송신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와 접속 상태 사이에서 원격 UE 및 릴레이 UE를 천이하는 것은 릴레이 UE에 대한 시그널링 및 절차 변경을 수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릴레이 UE는 RRC 유휴, RRC 비활성 또는 RRC 접속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UE는 레거시 RRC 상태 천이 절차에서 제공되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RRC 상태 천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8은 릴레이 UE 및 원격 UE 상태의 실현 가능한 조합을 보여주는 표이다. 동일한 릴레이에 접속된 서로 다른 원격 UE는 서로 다른 RRC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는 RRC 유휴, RRC 비활성 또는 RRC 접속 상태 중 어느 것에 있을 수도 있다. RRC 상태 천이 절차 이후에, 원격 UE의 상태는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UE의 상태와 별도로 관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격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 릴레이 UE는 유휴, 비활성 또는 접속 상태 중 어느 것에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원격 UE가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 릴레이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 RRC 접속 및 베어러가 릴레이 UE에서 해제될 수도 있으므로, 릴레이는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는 것 또는 이 상태에 있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고, 따라서 원격 UE는 릴레이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경우 네트워크 엔티티와 RRC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9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의 릴레이 UE 및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의 예시적인 천이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원격 UE들 및 원격 UE의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의 천이를 달성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는 RRC 해제 메시지를 원격 UE들로 송신하여 원격 UE들을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시킬 수도 있다. 원격 UE가 비활성 상태로 천이되면, 원격 UE가 이전에 접속되었던 릴레이 UE는 릴레이 UE로 RRC 해제 메시지의 송신을 통해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될 수도 있다. 이어서, 원격 UE가 접속 상태에 진입하려고 시도할 때, 릴레이 UE는 접속 상태로 천이할 수도 있다(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됨).
도 20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라, 릴레이 UE에 의한 유휴 상태로의 자율적 천이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의 릴레이 UE 및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의 예시적인 천이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도 20은 접속 상태에서 릴레이 UE 및 릴레이 UE와 접속된 각각의 원격 UE로 시작한다. 어떤 시점에서, 릴레이 UE는 유휴 상태로 자율적으로 천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는 RLF(radio link failure)의 검출 및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접속 재확립 실패에 기초하여 자율적으로 유휴 상태로 천이할 수도 있다.
릴레이 UE가 자율적으로 유휴 상태로 천이한 후, 릴레이 UE는 원격 UE가 유휴 상태로 천이하게 하도록 원격 UE를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릴레이 UE는 릴레이 UE와 접속된 각각의 원격 UE에게 RRCReconfigurationSidelink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RRCReconfigurationSidelink 메시지의 수신시에, 원격 UE는 유휴 상태로 천이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비활성 타이머는 릴레이 UE와 네트워크 엔티티 사이의 접속을 위해 만료될 수도 있다. 비활성 타이머가 만료될 때, 네트워크 엔티티는 릴레이 UE 및 그의 연관된 원격 UE에 대한 컨텍스트(context) 및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도 21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접속 상태로의 원격 UE 및 그의 연관된 릴레이 UE의 예시적인 천이를 예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원격 UE 및 릴레이 UE는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원격 UE는 릴레이 UE에 RRC 접속을 셋업 또는 재개하라는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요청은, 예를 들어, RRCSetupRequest 또는 RRCResumeRequest 일 수도 있다.
접속을 셋업 또는 재개하라는 요청의 수신은 접속 상태에 진입하도록 릴레이 UE를 트리거할 수도 있다. 접속 상태에 진입하기 위해, 릴레이 UE는 릴레이 UE와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접속을 확립 또는 재확립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제 1 접속 셋업 또는 재개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어서, 릴레이 UE는 원격 UE와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접속을 확립 또는 재확립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제 2 접속 셋업 또는 재개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릴레이 UE로부터 제 1 및 제 2 접속 셋업 또는 재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엔티티는 릴레이 UE 및 원격 UE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제 1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릴레이 UE로 송신하고 제 2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원격 UE에 송신한다. 제 2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는 릴레이 UE로 송신될 수도 있고, 릴레이 UE는 제 2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원격 UE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원격 UE 및 릴레이 UE는 접속 상태에 진입할 수도 있고, 원격 UE는 이어서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원격 UE에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원격 UE는 원격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로 진입하려고 시도할 때 접속에 이용 가능한 적합한 릴레이 UE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원격 UE가 적합한 릴레이 UE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원격 UE는 원격 UE가 이전에 릴레이 UE를 통해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엔티티에 셋업 또는 재개 요청을 송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원격 UE는 네트워크 엔티티와 접속할 때 디폴트 물리(PHY) 레이어 및/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레이어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원격 UE가 비활성 상태로부터 천이하려고 시도하고 UE가 접속을 확립하려고 시도하는 네트워크 엔티티가 원격 UE가 이전에 릴레이 UE를 통해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엔티티인 경우, UE 컨텍스트 리트리벌 프로세스(context retrieval process)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지 않고, 원격 UE가 이전에 릴레이 UE를 통해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엔티티와는 상이한 네트워크 엔티티와 접속을 확립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새로운 네트워크 엔티티는 컨텍스트 리트리벌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원격 UE가 이전에 릴레이 UE를 통해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UE 컨텍스트 정보를 회수(retrieve)할 수도 있다.
릴레이 UE가 유휴 모드에 있고 원격 UE가 비활성 모드에 있을 때, 릴레이 UE는 RAN(radio access network) 페이징을 모니터링하고 원격 UE로의 포워드 페이징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비활성 상태에 있는 릴레이 UE는 CN(Core Network) 페이징의 수신 시 유휴 상태에 진입하는 것 및 NAS(Network Access Stratum) 복구를 수행하는 것이 차단될 수도 있다.
도 22은 도 15에 예시된 동작들과 같이 본원에 개시된 기법들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기능식 컴포넌트들에 대응함) 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 (22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2200) 는 트랜시버 (2208) 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시스템 (2202) 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2208) 는 안테나 (2210) 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 (2200) 에 대한 신호, 이를테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시스템 (2202) 은, 통신 디바이스 (2200) 에 의해 수신 및/또는 송신되는 신호 프로세싱을 포함한, 통신 디바이스 (2200) 를 위한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2202) 은 버스 (2206) 를 통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212)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2204) 를 포함한다. 소정 양태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212) 는 프로세서 (22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 (2204) 로 하여금 도 15에 예시된 동작들, 또는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스템에서 페이징을 수신하기 위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예를 들어,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 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소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212) 는, 원격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릴레이 UE 중 하나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2214); 및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코드 (2216) 를 저장한다. 소정 양태들에서, 프로세서 (22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212) 에 저장된 코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갖는다. 프로세서 (2204) 는, 원격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릴레이 UE 중 하나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회로부(2218); 및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회로부(2220)를 포함한다.
도 23은 도 16에 예시된 동작들과 같이 본원에 개시된 기법들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기능식 컴포넌트들에 대응함) 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 (23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2300) 는 트랜시버 (2308) 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시스템 (2302) 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2308) 는 안테나 (2310) 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 (2300) 를 위한 신호, 이를테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시스템 (2302) 은 통신 디바이스 (2300) 에 의해 수신된 및/또는 송신될 신호 프로세싱을 포함한, 통신 디바이스 (2300) 를 위한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2302) 은 버스 (2306) 를 통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312)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2304) 를 포함한다. 소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312) 는 프로세서 (23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 (2304) 로 하여금 도 16에 예시된 동작들, 또는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나리오에서 페이징을 위해 원격 UE를 구성하고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나리오에서 릴레이 UE에서의 페이징된 데이터를 건네주기 위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예를 들어,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 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소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2312)는 릴레이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시그널링 또는 무선 링크 실패 이벤트의 검출 중 하나에 기초하여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결정하기 위한 코드 (2314); 및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들도 접속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기 위한 코드(2316)를 저장한다. 소정 양태들에서, 프로세서 (23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312) 에 저장된 코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갖는다. 프로세서(2304)는 릴레이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시그널링 또는 무선 링크 실패 이벤트의 검출 중 하나에 기초하여 유휴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위한 회로부 (2318); 및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들도 접속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천이하도록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기 위한 회로부(2324)를 포함한다
도 24은 도 17에 예시된 동작들과 같이 본원에 개시된 기법들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양한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기능식 컴포넌트들에 대응함) 을 포함할 수도 있는 통신 디바이스 (24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2400) 는 트랜시버 (2408) 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시스템 (2402) 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2408) 는 안테나 (2410) 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 (2400) 를 위한 신호, 이를테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시스템 (2402) 은, 통신 디바이스 (2400) 에 의해 수신 및/또는 송신되는 신호 프로세싱을 포함한, 통신 디바이스 (2400) 를 위한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2402) 은 버스 (2406) 를 통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412)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2404) 를 포함한다. 소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412) 는 프로세서 (2404)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 (2404) 로 하여금 도 17에 예시된 동작들, 또는 사이드링크 L2 릴레이 시나리오에서 페이징을 위한 원격 UE 및 원격 UE를 구성하기 위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 (예를 들어,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 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소정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2412)는 릴레이 사용자 장비 (UE) 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 원격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2414);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원격 UE에 송신하기 위한 코드(2416); 및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릴레이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릴레이 UE에 송신하기 위한 코드(2418)를 저장한다. 소정 양태들에서, 프로세서 (2404) 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메모리 (2412) 에 저장된 코드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갖는다. 프로세서(2404)는 릴레이 사용자 장비 (UE) 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 원격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하기 위한 회로부(2420);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원격 UE에 송신하기 위한 회로부(2422); 및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릴레이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릴레이 UE에 송신하기 위한 회로부(2424)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그 방법들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 또는 행위들을 포함한다. 그 방법 단계들 및/또는 행위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서로 교환될 수도 있다. 즉, 단계들 또는 행위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으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행위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정될 수도 있다.
본원에 사용된,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를 나타내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한 그러한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나타낸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 뿐만 아니라 동일한 엘리먼트의 배수들과의 임의의 조합 (예컨대,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및 c-c-c 또는 a, b, 및 c 의 임의의 다른 배열) 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 것" 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행위들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 것" 은 계산하는 것, 컴퓨팅하는 것, 프로세싱하는 것, 도출하는 것, 조사하는 것, 찾아보는 것 (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찾아보는 것), 확인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 은 수신하는 것 (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액세스하는 것 (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 은 해결하는 것, 선택하는 것, 선정하는 것, 확립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들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쉽게 분명해질 것이고,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 보여진 다양한 양태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문언에 부합하는 전체 범위가 부여되야 하고, 단수형 엘리먼트에 대한 언급은 "하나 및 오직 하나만" 을, 명확하게 그렇게 언급되지 않았으면,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 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일부” 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거나 추후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양태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원용되며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떤 것도, 그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되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공중에 바쳐지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엘리먼트가 어구 "하는 수단" 을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 엘리먼트가 어구 "하는 단계" 를 사용하여 기재되지 않는다면 35 U.S.C. §112(f) 의 규정 하에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 가능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 수단들은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된 동작들이 존재하는 경우, 그 동작들은 대응하는 상대의 기능식 (means-plus-function)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 16, 및 17 에 도시된 다양한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다양한 프로세서, 이를테면 UE (120a) 의 프로세서(466, 458, 464) 및/또는 제어기/프로세서(48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에서 구현되면,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에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버스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할 수도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다른 것들 중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버스를 통해 프로세싱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레이어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120) (도 1 참조) 의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 가 또한 버스에 접속될 수도 있다. 버스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어,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범용 및/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 프로세서들,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회로부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해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최선의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기타 등등으로서 지칭되든 아니든, 명령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될 것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과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 및 버스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로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송신 라인,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캐리어 파, 및/또는 무선 노드와 분리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 모두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부분은, 캐시 및/또는 일반 레지스터 파일들의 경우와 같이,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예들은, 예로써, 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ROM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들,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수록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여러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 상에, 상이한 프로그램들 중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와 같은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에 상주하거나 또는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예로써, 소프트웨어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할 때 하드 드라이브로부터 RAM 으로 로딩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는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명령들의 일부를 캐시 내로 로딩할 수도 있다. 그 후 하나 이상의 캐시 라인들이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일반 레지스터 파일 내로 로딩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성을 참조하면, 그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의 명령들을 실행할 때 그러한 기능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불린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IR), 전파 (radio),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그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전파,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laser disc), 광 디스크 (optical disc), 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 disc) 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태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유형의 매체)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다른 양태들의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예를 들어, 신호)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정 양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을 저장 (및/또는 인코딩) 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도 15, 16, 및 17 에 예시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되거나 및/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 (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디스크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 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서, 그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 또는 제공할 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변형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위에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상세들에 있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27)

  1. 원격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원격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릴레이 UE 중 하나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상기 표시는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해제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RC 해제 메시지는 상기 릴레이 UE가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릴레이 UE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상기 표시는 상기 릴레이 UE로부터 수신된 사이드링크 RRC(radio resource control)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UE는 상기 사이드링크 RRC 재구성 메시지가 수신될 때 접속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릴레이 UE에,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접속을 확립하거나 재개하라는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릴레이 U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U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상기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접속을 확립 또는 재개하라는 상기 요청은 상기 릴레이 U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유휴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에 진입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적합한 릴레이 UE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디폴트 물리(PHY) 레이어 또는 매체 액세스 레이어 (MAC) 레이어 구성을 사용하여, 셋업 또는 재개 요청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직접,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유휴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에 진입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적합한 릴레이 UE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디폴트 물리(PHY) 레이어 또는 매체 액세스 레이어 (MAC) 레이어 구성을 사용하여, 셋업 또는 재개 요청 메시지를,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릴레이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릴레이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시그널링 또는 무선 링크 실패 이벤트의 검출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들도 접속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천이되도록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RRC 해제 메시지가 상기 릴레이 UE 에 접속된 원격 UE로 송신된 후에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수신된 RRC(radio resource control) 해제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무선 링크 실패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접속을 재확립하려고 시도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접속을 재확립하려는 시도가 실패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접속을 재확립하려는 시도가 실패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UE 에 접속된 원격 UE로 재구성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원격 UE로 하여금 유휴 상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메시지는 각각의 상기 원격 UE로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RRC (radio resource control) 재구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원격 UE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접속을 셋업 또는 재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 UE에 대한 셋업 또는 재개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셋업 또는 재개 요청을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UE를 위한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있는 원격 UE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접속을 셋업 또는 재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UE 및 상기 원격 UE를 위한 셋업 또는 재개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셋업 또는 재개 요청을 송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릴레이 UE 및 상기 원격 UE를 위한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UE 및 상기 원격 UE를 위한 상기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에 진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접속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원격 UE를 위한 상기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상기 원격 UE에, 포워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유휴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원격 UE 를 위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페이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UE 를 위한 RAN 페이징을, 상기 원격 UE에, 포워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비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원격 UE 를 위한 코어 네트워크 (CN) 페이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UE가 유휴 상태에 진입하지 않을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UE 를 위한 상기 CN 페이징을, 상기 원격 UE에, 포워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릴레이 사용자 장비 (UE) 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 원격 UE 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상기 원격 UE에, 송신하는 단계; 및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릴레이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상기 릴레이 UE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UE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접속을 셋업 또는 재개하기 위한 제 1 요청을, 상기 릴레이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와 상기 원격 UE 간의 접속을 셋업 또는 재개하기 위한 제 2 요청을, 상기 릴레이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릴레이 UE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제 1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상기 릴레이 UE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UE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제 2 셋업 또는 재개 메시지를, 상기 원격 UE에 포워딩하기 위해 상기 릴레이 UE 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U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와 이전에 접속되지 않은 제 2 원격 UE로부터, 상기 제 2 원격 UE와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접속을 확립 또는 재개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원격 UE를 위한 제 2 네트워크 엔티티와 컨텍스트 리트리벌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 제 2 UE가 이전에 접속되었던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로서,
    원격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릴레이 UE 중 하나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로서,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릴레이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시그널링 또는 무선 링크 실패 이벤트의 검출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상기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들도 접속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천이되도록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로서,
    릴레이 사용자 장비(U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 원격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하고;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상기 원격 UE에, 송신하고; 및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릴레이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상기 릴레이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원격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릴레이 UE 중 하나로부터, 접속 상태에서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접속 상태에 있는 동안, 릴레이 UE가 접속된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의 시그널링 또는 무선 링크 실패 이벤트의 검출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 UE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릴레이 UE와 접속된 원격 UE들도 접속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천이되도록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릴레이 사용자 장비(U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 원격 UE 가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할 것으로 결정하는 수단;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상기 원격 UE에, 송신하는 수단; 및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원격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한 후에, 유휴 또는 비활성 상태에 진입하도록 상기 릴레이 UE를 트리거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상기 릴레이 UE에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237001667A 2020-07-25 2020-07-25 사이드링크 레이어 2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상태 천이 KR202300431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04672 WO2022020981A1 (en) 2020-07-25 2020-07-25 State transition in sidelink layer 2 relay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102A true KR20230043102A (ko) 2023-03-30

Family

ID=8003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667A KR20230043102A (ko) 2020-07-25 2020-07-25 사이드링크 레이어 2 릴레이 시스템에서의 상태 천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00937A1 (ko)
EP (1) EP4190117A4 (ko)
KR (1) KR20230043102A (ko)
CN (1) CN116210343A (ko)
BR (1) BR112023000685A2 (ko)
WO (1) WO2022020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4699B2 (en) 2021-04-05 2024-05-07 Conair Llc Drive coupling for a food proce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3658B (zh) * 2010-04-19 2016-06-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无线链路失败的方法和中继节点
JP5277210B2 (ja) * 2010-06-24 2013-08-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リレーノード
EP3123782B1 (en) * 2014-03-28 2019-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2d specific access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724232B1 (ko) * 2015-05-26 2017-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링크 해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GB2555662A (en) * 2016-11-04 2018-05-09 Tcl Communication Ltd Paging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via relay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59269B2 (en) * 2017-03-17 2022-02-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base station for performing paging, and method and network entity for supporting paging
CN109245845B (zh) * 2017-05-05 2022-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令传输方法及设备
WO2018205387A1 (zh) * 2017-05-12 2018-11-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辅小区配置方法、基站及终端设备
EP3782430B1 (en) * 2018-04-16 2022-1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of inactive parameters upon release and re-suspend
US11252664B2 (en) * 2018-09-28 2022-0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 connected state with a network for continuing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210343A (zh) 2023-06-02
WO2022020981A1 (en) 2022-02-03
US20230300937A1 (en) 2023-09-21
EP4190117A4 (en) 2024-06-05
BR112023000685A2 (pt) 2023-02-07
EP4190117A1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6864B2 (en) Local area data network connectivity
US20230269809A1 (en) Rrc re-establishment and radio link failure reporting in sidelink relay systems
WO2021212260A1 (en) Mobility handling between uu path and pc5 relay path
US20230156854A1 (en) Nr sidelink drx design for relay reselection
US20230262564A1 (en) Radio link failure in sidelink relay
US20230300937A1 (en) State transition in sidelink layer 2 relay systems
US20230284116A1 (en) Relay reselection and link release messaging in relay reselection procedures
WO2022011639A1 (en) System acquisition design in sidelink relay systems
WO2022011662A1 (en) Paging in sidelink layer 3 relay systems
WO2022067715A1 (en) Relay selection and re-selection assisted by discovery information
WO2022011643A1 (en) Paging adaptation in sidelink relay systems
US20230224858A1 (en) Paging in sidelink layer 2 relay systems
US20240163959A1 (en) Small data transmission in l2 relay
US20240137734A1 (en) Pws support for ue to network relay on cellular network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