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841A - 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 Google Patents

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841A
KR20230042841A KR1020210125564A KR20210125564A KR20230042841A KR 20230042841 A KR20230042841 A KR 20230042841A KR 1020210125564 A KR1020210125564 A KR 1020210125564A KR 20210125564 A KR20210125564 A KR 20210125564A KR 20230042841 A KR20230042841 A KR 20230042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plasma
sensor
ga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5992B1 (en
Inventor
정우남
이현엽
김형수
나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도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도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도환경
Priority to KR102021012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992B1/en
Publication of KR2023004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8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olluted gas treatment device using plasma which comprises: an ozone-generation device (300) generating ozone by the plasma; a control unit (1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zone-generating device (300); and a sensor unit (200)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in the inside of a workplace, wherein the ozone-generation device (300) includes: a plasma-generation unit (340) for generating the plasma; and a blowing fan (320) for blowing air to the plasma-generation unit (340), 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gas sensor (210); and an ozone sensor (220)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workplace, and the control unit (100) drives the plasma-generation unit (340) and the blowing fan (320)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luted gases detected by the gas sensor (210) is higher than a standard value, and does not operate the plasma-generation unit (340) and sends a warning to a manager when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the workplace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220) is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polluted gases in a livestock farm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personnel or livestock in the livestock farm from being damaged by ozone.

Description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Smart polluted gas treatment device using plasma {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본 발명은 축사 또는 비료 생산 공장 등과 같은 대규모 오염 가스(암모니아, 황화수소) 발생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축사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링 수단과 플라즈마 오존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축사 내부의 악취를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오염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pollutant gases discharged from a large-scale pollutant gas (ammonia, hydrogen sulfide) generating facility such as a barn or a fertilizer production plant, and more particularly, using a monitor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barn and a plasma ozone genera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lutant gas treatment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and effectively managing the odor inside a barn.

본 발명은 축사 또는 비료 생산 공장 등과 같은 대규모 오염 가스(암모니아, 황화수소) 발생 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축사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링 수단과 플라즈마 오존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축사 내부의 악취를 지속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오염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pollutant gases discharged from a large-scale pollutant gas (ammonia, hydrogen sulfide) generating facility such as a barn or a fertilizer production plant, and more particularly, using a monitor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barn and a plasma ozone genera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lutant gas treatment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and effectively managing the odor inside a barn.

등록특허공보 제10-1888373호 (공고일: 2018.08.1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888373 (Announcement date: 2018.08.14.) 등록특허공보 제10-2096093호 (공고일: 2020.04.01.)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96093 (Announcement date: 2020.04.01.) 등록특허공보 제10-2012631호 (공고일: 2019.08.21.)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2631 (Announcement date: 2019.08.2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축사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모니터링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존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 smart polluted gas treatment device using plasma capable of monitor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barn using various sensors and controlling the ozone supply based on the monitored information. is intended to provide

본 발명은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즈마에 의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장치(300); 상기 오존 발생 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 및 작업장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센서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오존 발생 장치(30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부(340) 및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340)로의 송풍을 위한 송풍팬(320)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200)는 작업장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 센서(210) 및 오존 센서(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가스 센서(210)에 의하여 감지된 오염 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340)와 송풍팬(320)을 구동시키되, 상기 오존 센서(220)에 의하여 감지된 작업장 내 오존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플라즈마 발생부(340)를 작동시키지 않고,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olluted gas treatment device using plasma, which includes an ozone generating device 300 generating ozone by plasma; a controller 1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and a sensor unit 200 for monitoring a state inside the workplace, wherein the ozone generator 300 includes a plasma generator 340 for generating plasma and a blower for blowing air to the plasma generator 340. A fan 320 is included, and 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gas sensor 210 and an ozone sensor 220 installed inside a workplace, and the control unit 100 senses the gas sensor 210.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ted gas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lasma generating unit 340 and the blowing fan 320 are driven. 340) and sends a warning to the administrator.

더 나아가, 복수의 오존 발생 장치(300)가 작업장 내 복수의 위치에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복수의 오존 발생 장치(300)의 부근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00)는 오염 가스의 농도를 영역별로 모니터링하되, 특정 영역에서의 오염 가스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설치된 오존 발생 장치(300)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a plurality of ozone generating devices 300 are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locations in a workplace, and the sensor unit 200 is installed near each of the plurality of ozone generating devices 300, and the control unit 100 )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gas is monitored for each region, but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gas in a specific region is relatively high,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s operated.

그리고 복수 개의 오존 발생 장치(300)가 설치된 작업장에는 오존 발생 장치(300)가 설치된 영역들 사이에 가스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가변 파티션(700)이 구비되되, 제어부(100)가 특정 영역에서의 오염 가스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해당 특정 영역과 기타 영역 사이에 있는 가변 파티션(700)을 내려서 해당 특정 영역과 기타 영역 사이의 가스 흐름을 최소화하며, 해당 특정 영역에 설치된 오존 발생 장치(3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variable partition 700 capable of blocking the flow of gas between areas in which the ozone generator 300 is installed is provided in the workplace where the plurality of ozone generators 300 are installed, and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control unit 100 in a specific area.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llutant gas concentration is abnormally high, the variable partition 700 between the specific area and other areas is lowered to minimize the gas flow between the specific area and other areas, and the ozone generator installed in the specific area (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본 발명에 따른 오염 가스 처리 장치는 축사 내부에 설치된 악취 센서 및 오존 센서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축사 내부에 공급되는 오존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축사 내의 오염 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축사 내의 인력 또는 가축들이 오존에 의하여 피해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llutant gas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mount of ozon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arn based on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odor sensor and the ozone sensor installed inside the barn,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pollutant gas inside the barn and at the same time, Humans or livestoc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ozone.

더 나아가, 가스 센서를 구비한 드론이 축사 주변을 비행하면서 축사 주변의 악취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기초로 필요한 경우 물을 분사함으로써 악취가 축사 외부로 널리 퍼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a drone equipped with a gas sensor monitors the state of odor around the barn while flying around the barn, and sprays water if necessary based on the monitored information, thereby reducing the spread of the odor to the outside of the barn.

더 나아가 축사 내부에 발생하는 오염 가스의 농도를 구역별로 모니터링하고, 특정 영역에서 오염 가스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해당 특정 영역을 가변형 파티션에 의하여 다른 영역과 격리하고, 해당 특정 영역을 중심으로 오존을 대량 공급함으로써, 전체적인 오존 공급량을 제한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오염 가스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gas generated inside the barn is monitored by zone, and if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gas is abnormally high in a specific area, the specific area is isolated from other areas by a variable partition, and ozone is centered on the specific area. By supplying in large quantiti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pollutant gases while limiting the overall supply of ozo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축사용 오염 가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사힌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오존 발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하나의 축사에 복수 개의 오존 발생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어부에 의하여 오존 발생 장치가 제어되는 방식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관리자의 스마트폰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가변형 파티션을 도입하여 영역별로 오염 가스를 관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드론을 이용하여 축사 외부의 오염 가스를 관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treating polluted gas for livestock farm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and 3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polluted gas processing device using plasm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ozone generator.
6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ozone generators are installed in one barn.
7 is a flowchart showing how the ozone generating devic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anager's smartphone screen.
9 and 10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pollutant gas is managed for each area by introducing a variable partition.
11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managing pollutant gases outside a barn using a dron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mart polluted gas treatment device using plasm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장치는 크게 오존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존 발생 장치(300),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 그리고 축사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센서부(2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제어부(100)가 하나의 오존 발생 장치(300)와 연결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제어부(100)에 복수 개의 오존 발생 장치(30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하나의 마스터 오존 발생 장치(300)에 직접 연결되되, 마스터 오존 발생 장치(300)는 다른 복수 개의 슬레이브 오존 발생 장치(300)와 연결되도록 하고, 슬레이브 오존 발생 장치(300)의 제어는 마스터 오존 발생 장치(300)로 보내지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와 원격 통신 장치는 마스터 오존 발생 장치(300)에만 구비되면 되고, 마스터 오존 발생 장치와 슬레이브 오존 발생 장치와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 또는 유선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통신 장비 또는 장거리 이동 통신망의 사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polluted gas treatment device using plasm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device largely includes an ozone generating device 300 for generating ozone, a control unit 100 for controlling it, and a sensor unit 200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barn. Although the control unit 100 is depicted as being connected to one ozone generator 300 in FIG. 2 , a plurality of ozone generators 300 may be connected to one control unit 100 as shown in FIG. 3 .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one master ozone generator 300, the master ozone generator 3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ther slave ozone generators 300, and the slave ozone generator ( 300)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control signal sent to the master ozone generator 30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remote communication device only need to be provided in the master ozone generator 300,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ozone generator and the slave ozone generator can be performed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or wired communication equipment or long-distance movement. The cost of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reduced.

도 2, 도 4, 그리고 도 5를 참조하여 오존 발생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케이스(370) 내에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340)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구동부(330)가 구비되어 있어서, 공기 흡입부(38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산소)로 오존을 생성하고, 이를 오존 분사부(390)를 통하여 분사하게 된다. 플라즈마 발생부(340)는 복수 개의 전극봉(341)과 복수 개의 세라믹봉(342)이 소정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되어 형성되는데, 플라즈마 구동부(330)에 의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전압이 복수 개의 전극봉(341)에 걸리게 되면, 전극봉(341)과 세라믹봉(342)의 사이에는 플라즈마가 발생하고 이는 흡입된 공기중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오존 발생 방식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하고 특허등록을 받은 기술(등록번호 제10-1800230)에 기초한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Looking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with reference to FIGS. 2, 4, and 5, a plasma generating unit 340 for generating plasma and a plasma driving unit 330 for driving the same are included in the case 370. Since it is provided, ozone is generated from the air (oxygen) sucked through the air intake unit 380, and is sprayed through the ozone spray unit 390. The plasma generator 340 is formed by alternately arrang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341 and a plurality of ceramic rods 34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high voltage supplied by the plasma driver 330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electrodes ( 341), plasma i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 341 and the ceramic rod 342, which changes oxygen in the inhaled air into ozone. This method of generating ozone is based on a technology (Registration No. 10-1800230) developed and patent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병렬로 배열된 전극봉(341)과 세라믹봉(342)과 사이로 송풍(w)을 하기 위한 송풍팬(320)이 플라즈마 발생부(340)와 공기 흡입부(38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는데, 요구되는 오존 발생량에 기초하여 송풍팬 구동부(310)는 송풍팬(320)을 필요한 속도로 구동하게 된다. A blowing fan 320 for blowing air (w) between the electrode rods 341 and ceramic rods 342 arranged in parallel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asma generating unit 340 and the air intake unit 380. Based on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the blowing fan driving unit 310 drives the blowing fan 320 at a required speed.

이와 같은 오존 발생 장치(300)를 축사 환경에서 사용하다보면,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 물질에 의하여 전극봉(341) 및 세라믹봉(342) 주변에 이물질 코팅막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플라즈마 발생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전극봉(341)과 세라믹봉(34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세척수 분사부(360)가 구비되되, 오존 발생을 하고 있지 않는 순간에 고압의 세척수를 전극봉(341)과 세라믹봉(342)에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악취 물질에 의하여 플라즈마 발생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데 된다. When such an ozone generator 300 is used in a barn environment, a coating film of foreign substances may be formed around the electrode rod 341 and the ceramic rod 342 due to ammonia or hydrogen sulfide, which reduces the plasma generation efficiency. . Therefore, a washing water spraying unit 360 capable of spraying washing water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341 and the ceramic rod 342 is provided, and high-pressur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electrode 341 and the ceramic rod 342 at the moment when ozone is not generated.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crease in plasma generation efficiency due to odorous substances.

도 2를 참조하여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제어부(100)는 축사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200)를 통하여 축사 내부 정보를 획득하게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00)는 축사 내부의 악취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스 센서(210), 축사 내부의 오존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존 센서(220), 그리고 축사 내부에 작업자 또는 가축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동작 감지 센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 센서(210)는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황화수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그리고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축사 내부의 곳곳에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오존 발생 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이 분사될 영역 부근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Looking a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mart polluted gas processing device using plasma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control unit 100 obtains information inside the barn through the sensor unit 200 installed inside the barn.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gas sensor 210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odor inside the barn, an ozone sensor 220 for measuring the ozone concentration inside the barn, and whether there are workers or livestock inside the barn. It may include a motion detection sensor 230 for grasping. Specifically, the gas sensor 210 may include a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gas, a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The sensor unit 20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side the barn, but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t near the area where the ozone supplied from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is to be sprayed.

제어부(100)는 가스 센서(210)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오존 발생 장치(300)의 플라즈마 구동부(330) 및 송풍팬 구동부(310)를 제어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스 센서(210)를 통하여 악취의 정도(암모니아, 황화수소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되, 기준치 이상 값이 감지되었을 경우 제어부(100)는 동작 감지 센서(230)를 통하여 축사 내부에 작업자 또는 가축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 때 동작 감지 센서(230)에 감지되는 동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축사 내부에 작업자 또는 가축이 없는 것으로 보고 제어부(100)는 오존 발생 장치(300)에 의하여 다량의 오존을 발생시켜서 축사 내부로 공급한다. 만일 동작 감지 센서(230)에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에는 축사 내부에 작업자 또는 가축이 있는 것으로 보고, 오존 센서(220)를 통하여 오존 농도를 모니터링하되, 오존 농도가 기준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오존 발생 장치(300)에 의하여 축사 내로 오존을 공급한다. 그리고 오존 농도가 기준치보다 높을 경우에는 환기팬(510)을 구동하여 축사 내의 오존 농도를 낮추거나, 제어 패널(110)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 제어 수단(120)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내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plasma driving unit 330 and the blowing fan driving unit 310 of the ozone generator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gas sensor 210 . Referring to FIG. 7, the degree of odor (concentration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is continuously monitored through the gas sensor 210, but when a value above the standard valu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00 uses the motion detection sensor 230 to It will check whether there are workers or livestock inside.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motion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230,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worker or livestock inside the barn, and the control unit 100 generates a large amount of ozone by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ozone inside the barn. supplied with If motion is detected by the motion detection sensor 230,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worker or livestock inside the barn, and the ozone concentration is monitored through the ozone sensor 220, but if the ozon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100 supplies ozone into the barn by the ozone generator 300. In addition, when the ozon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ventilation fan 510 is driven to lower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barn, or a warning is sent to the manager through the control panel 110 or a remote control means 120 such as a smartphone. .

더 나아가, 제어부(100)는 플라즈마 구동부(330)가 작동하지 아니할 때(오존을 발생시키지 아니할 때) 세척수 분사부(360)를 통하여 전극봉(341) 및 세라믹봉(342)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세척수 공급부(350)를 구동시키게 된다. 축사에서의 사용으로 인하여 전극봉(341) 및 세라믹봉(342)의 표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은 주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성분에 의한 것들이므로, 주기적인 세척수 분사만으로도 플라즈마 발생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00 may spray washing water to the electrode 341 and the ceramic rod 342 through the washing water spraying unit 360 when the plasma driving unit 330 does not operate (when ozone is not generated).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350 is driven so as to Since th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electrode rod 341 and the ceramic rod 342 due to use in a barn are mainly caused by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components, plasma generation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only by periodically spraying washing wat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센서부(20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축사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되, 이를 기초로 오존 발생 장치(300)의 각종 요소들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보들은 제어 패널(110)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원격 제어수단(12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8은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에서 관리자의 스마트폰 화면을 도시한 것인데, 오존, 암모니아,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및 다수 개의 오존 발생 장치(300) 내에서 플라즈마 구동부(330), 송풍팬 구동부(310), 그리고 세척수 공급부(35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개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00 monitors the internal state of the barn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200, and controls the driving state of various elements of the ozone generator 300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s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panel 110 or a remote control means 120 such as a manager's smart phone. 8 shows a manager's smartphone screen in a smart polluted gas treatment device using plasma, monitoring results for ozone, ammonia, and fine dust concentrations and a plasma driver 330 in a plurality of ozone generating devices 300, Information on operating states of the blowing fan driving unit 310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350 is disclosed.

도 6, 도 9, 그리고 도 10은 복수 개의 오존 발생 장치(300)가 축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오존 발생 장치(300)의 오존 분사부(390)는 오존 공급관(410)과 연결되어 있어서, 오존 분사부(390)를 통하여 분사되는 오존은 오존 공급관(410)을 통하여 축사(H) 내부로 공급된다. 축사 내부에는 복수 개의 센서부(220)가 곳곳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오존 발생 장치(300)에 의하여 공급되는 오존이 축사 내부로 유입되는 영역에 설치된다. 악취 정도가 축사 내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가스 센서(210)에 의하여 측정된 오염 가스의 농도가 높은 영역에 설치된 오존 발생 장치(300)의 오존 발생량을 다른 영역에 설치된 오존 발생 장치(300)의 오존 발생량에 비하여 높임으로써, 축사 내의 전체적인 오존 농도는 크게 높이지 않으면서 국소적으로 오염 가스 농도가 높은 영역만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영역마다 가스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가변 파티션(700)을 설치하고, 특정 영역(A21)에서의 오염 가스 농도가 다른 영역에 비하여 과도하게 높아진 것이 가스 센서(210)에 의하여 확인될 경우에는 가변 파티션(700)을 내려서 해당 영역(A21)과 기타 영역과의 가스 흐름을 최소화시키고, 해당 영역(A12)에 연결된 오존 발생 장치(300)의 가동만을 높임으로써, 국부적인 오염 가스 농도의 현저한 증가 상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에서 흑색으로 채워진 가변 파티션(700)은 가변 파티션(700)이 펼쳐진 상태를, 내부가 비워진 가변 파티션(700)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가변 파티션(700)은 롤스크린 또는 커튼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6, 9, and 10 show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ozone generators 300 are installed in a barn. The ozone spraying unit 390 of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ozone supply pipe 410, so the ozone sprayed through the ozone spraying unit 390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arn H through the ozone supplying pipe 410. do. A plurality of sensor units 220 may be installed throughout the barn, and in the embodiment of FIG. 9 , they are installed in an area where ozone supplied by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flows into the barn. The degree of odor may vary depending on the area within the barn.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by the ozone generator 300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gas measured by the gas sensor 210 is high is determined by the ozone generator 300 installed in another area. By increasing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compared to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only areas with high pollutant gas concentrations locally without greatly increasing the overall ozone concentration in the barn. If necessary, a variable partition 700 capable of blocking the flow of gas is installed in each area, and when it is confirmed by the gas sensor 210 that the pollutant gas concentration in the specific area A21 is excessively high compared to other areas, By lowering the variable partition 700 to minimize the flow of gas between the corresponding area A21 and other areas and increasing only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area A12, the local pollutant gas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creases. You can effectively deal with the situation. For reference, in FIG. 9 , a variable partition 700 filled with black represents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partition 700 is unfolded, and a variable partition 700 whose inside is empty represents a state in which it is folded. Preferably, the variable partition 700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roll screen or curtain.

도 11의 실시예는 가스 센서(210)를 탑재한 드론(610)에 의하여 축사(H) 주변의 광범위한 영역의 악취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축사(H) 내부에서 악취 가스 제거는 이루어지지만, 축사 외부로 악취가 광범위하게 퍼저나간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급수 라인(62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드론(610)이 살포함으로써 악취 가스가 주변의 민가까지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는 주로 암모니아 또는 황화수소와 같이 물에 쉽게 녹는 것들이므로, 물을 살포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근래들어 소화액을 상공에서 뿌릴 수 있는 소방용 드론이 소개되고 상용화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소방용 드론을 비상용 악취 확산 방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mbodiment of FIG. 11 shows a situation in which odor conditions in a wide area around the barn H are monitored by the drone 610 equipped with the gas sensor 210. Normally, the odorous gas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barn (H), but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odor widely spreads outside the barn, the drone 610 sprays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620 to remove the od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s from spreading to nearby private houses. Odor gases from livestock housing are mainly water soluble, such as ammonia or hydrogen sulphide, so spraying with water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Recently, since firefighting drones capable of spraying fire extinguishing liquid from the sky have been introduced and commercialized, these firefighting drones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spread of odors for emergency.

100: 제어부 110: 제어 패널
120: 원격 제어수단
200: 센서부 210: 가스 센서
220: 오존 센서 230: 동작 감지 센서
300: 오존 발생 장치
310: 송풍팬 구동부 320: 송풍팬
330: 플라즈마 구동부 340: 플라즈마 발생부
341: 전극봉 342: 세라믹봉
350: 세척수 공급부 360: 세척수 분사부
370: 케이스 380: 공기 흡입부
390: 오존 분사부
410: 오존 공급관 510: 환기팬
610: 드론 620: 급수 라인
700: 가변 파티션 H: 축사
100: control unit 110: control panel
120: remote control means
200: sensor unit 210: gas sensor
220: ozone sensor 230: motion detection sensor
300: ozone generator
310: Blowing fan driving unit 320: Blowing fan
330: plasma driving unit 340: plasma generating unit
341: electrode 342: ceramic rod
350: washing water supply unit 360: washing water spraying unit
370: case 380: air intake
390: ozone injection unit
410: ozone supply pipe 510: ventilation fan
610: drone 620: water supply line
700: variable partition H: barn

Claims (3)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즈마에 의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 장치(300);
상기 오존 발생 장치(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 및
작업장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센서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오존 발생 장치(30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플라즈마 발생부(340) 및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340)로의 송풍을 위한 송풍팬(320)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200)는 작업장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 센서(210) 및 오존 센서(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가스 센서(210)에 의하여 감지된 오염 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340)와 송풍팬(320)을 구동시키되,
상기 오존 센서(220)에 의하여 감지된 작업장 내 오존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플라즈마 발생부(340)를 작동시키지 않고,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마를 이용한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
It relates to a smart polluted gas processing device using plasma,
an ozone generating device 300 that generates ozone by plasma;
a controller 1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zone generating device 300; and
Including a sensor unit 200 for monitoring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workplace,
The ozone generator 300 includes a plasma generating unit 340 for generating plasma and a blowing fan 320 for blowing air to the plasma generating unit 340,
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 gas sensor 210 and an ozone sensor 220 installed inside the workplace,
The control unit 100 drives the plasma generator 340 and the blowing fan 320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gas detected by the gas sensor 210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When the concentration of ozone in the workplace detected by the ozone sensor 220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lasma generator 340 is not operated and a warning is sent to the manager.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오존 발생 장치(300)가 작업장 내 복수의 위치에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센서부(200)는 상기 복수의 오존 발생 장치(300)의 부근에 각각 설치되되되,
상기 제어부(100)는 오염 가스의 농도를 영역별로 모니터링하되, 특정 영역에서의 오염 가스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 설치된 오존 발생 장치(300)를 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ozone generator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workplace,
The sensor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plurality of ozone generators 300,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100 monitors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gas by region, but when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gas in a specific region is relatively high, the control unit 100 operates the ozone generator 30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 개의 오존 발생 장치(300)가 설치된 작업장에는 오존 발생 장치(300)가 설치된 영역들 사이에 가스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가변 파티션(700)이 구비되되,
제어부(100)가 특정 영역에서의 오염 가스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해당 특정 영역과 기타 영역 사이에 있는 가변 파티션(700)을 내려서 해당 특정 영역과 기타 영역 사이의 가스 흐름을 최소화하되,
해당 특정 영역에 설치된 오존 발생 장치(3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오염 가스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variable partition 700 capable of blocking the flow of gas is provided between areas where the ozone generators 300 are installed in a workplace where the plurality of ozone generators 300 are installed,
When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gas in a specific area is abnormally high, the variable partition 700 between the specific area and other areas is lowered to minimize the gas flow between the specific area and other areas,
A smart polluted gas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rating the ozone generator 300 installed in the specific area.
KR1020210125564A 2021-09-23 2021-09-23 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KR102645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64A KR102645992B1 (en) 2021-09-23 2021-09-23 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64A KR102645992B1 (en) 2021-09-23 2021-09-23 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841A true KR20230042841A (en) 2023-03-30
KR102645992B1 KR102645992B1 (en) 2024-03-11

Family

ID=8598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564A KR102645992B1 (en) 2021-09-23 2021-09-23 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9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797B1 (en) * 2023-07-14 2024-03-08 주식회사 팜인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28U (en) * 2007-08-22 2009-02-26 이기원 Control device
KR101594142B1 (en) * 2015-04-29 2016-02-16 주식회사 랩죤 a air cleaning system of IOT based
KR101800230B1 (en) * 2016-12-08 2017-11-27 주식회사 삼도환경 Air purifying and sterlization device for a agriculture
KR101888373B1 (en) 2017-04-26 2018-08-14 유석원 Disinfecting apparatus for animal shed using ozon
KR102012631B1 (en) 2019-01-31 2019-08-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원에프앤디 System for reduction of bad smell in pigsty using the bio-curtain and the active radical produced by the plasma process
KR102096093B1 (en) 2019-09-23 2020-04-01 주식회사 삼도환경 Air Purifying System Using Ozone and OH Radic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28U (en) * 2007-08-22 2009-02-26 이기원 Control device
KR101594142B1 (en) * 2015-04-29 2016-02-16 주식회사 랩죤 a air cleaning system of IOT based
KR101800230B1 (en) * 2016-12-08 2017-11-27 주식회사 삼도환경 Air purifying and sterlization device for a agriculture
KR101888373B1 (en) 2017-04-26 2018-08-14 유석원 Disinfecting apparatus for animal shed using ozon
KR102012631B1 (en) 2019-01-31 2019-08-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원에프앤디 System for reduction of bad smell in pigsty using the bio-curtain and the active radical produced by the plasma process
KR102096093B1 (en) 2019-09-23 2020-04-01 주식회사 삼도환경 Air Purifying System Using Ozone and OH Radic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797B1 (en) * 2023-07-14 2024-03-08 주식회사 팜인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992B1 (en)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78003B (en) CIT has the vent cabinet of anti-temperature Smoke prevention fire-extinguishing function concurrently
KR20060055439A (en) Building decontamination with vaporous hydrogen peroxide
CN103143471B (en) A kind of integral movable type environment-friendlyplasma plasma spraying equipment and paint mist purification method
KR102645992B1 (en) Smart Gseous Pollutants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sma
CN205550696U (en) Spray booth environmental protection operation monitoring system
CN103499124A (en) Method and system for purifying indoor fresh air
JP2007068612A (en) Air purifier
KR102363439B1 (en) Cooling and fog mist spray device
JP2009219636A (en) Air sterilization system
CN105772309A (en) Environment-friendly spraying chamber ope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onitor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28217A1 (en) Air decontamination system
JP2018093918A (en) Deodorization device and deodorization system
JP2005337610A (en) Air ion carrying device
KR20140089626A (en) Air cleaner for maintaining optimal indoor air quality of pig building
KR102117087B1 (en) smart spray apparatus of agent
KR102271130B1 (en) A system for managing the heat-recovery ventilator with electric dust filter
KR101240456B1 (en) Apparatus for air purification and ventilating in underground structures ,and method for control of that
CN110465426A (en) A kind of automatic painting system
KR102347501B1 (en) Intelligent IOT Painting Boot Control System
CN201225725Y (en) Purifier for sterilizing, deodorizing, abating smoke air of central air conditioner
US9884135B2 (en) Smart optic controller for a hydroxyl generator unit
KR102583868B1 (en) Multi-functional fluid supply system for building
CN110548626A (en) A environmental protection device that sprays paint for bearing roller production
KR102430408B1 (en) Road tunnel ventilation system operation apparatus
CN211160382U (en) A environmental protection device that sprays paint for bearing roller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