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797A -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 - Google Patents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797A
KR20230042797A KR1020210125477A KR20210125477A KR20230042797A KR 20230042797 A KR20230042797 A KR 20230042797A KR 1020210125477 A KR1020210125477 A KR 1020210125477A KR 20210125477 A KR20210125477 A KR 20210125477A KR 20230042797 A KR20230042797 A KR 2023004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terest
user
conten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형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로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로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로웍스
Priority to KR102021012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2797A/en
Publication of KR2023004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7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sion platform system. More specifically, provided is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sion platform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udible or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 user.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s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Description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

본 발명은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청각적 또는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udible or visual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location.

문화 관광과 관련하여 국내외적으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 나라별 또는 지역별로 문화적인 감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관광객들이 단순히 구경을 통해 단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육체를 움직여서 체험을 하는 체험관광기술이 발전하고 있다.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 increases in relation to cultural tourism, technologies to provide cultural sensibility for each country or region are developing. Experiential tourism technology, in which tourists do not simply acquire fragmentary knowledge through sightseeing, but experience by moving their bodies, is developing.

이러한 체험관광기술로는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 또는 전광판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하여 시각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s such experiential tourism technology, visual content can be provided using a display, a beam projector, or an electric signboard, or using a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using a user's smartphone.

하지만,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 또는 전광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실체 공간에 각종 장비를 설치해야 하며, 특히 프레임의 크기, 조도, 표출 각도 등을 조절해야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display, a beam projector, or an electronic display board,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having to install various equipment in the real space, and in particular, adjusting the size, illumination, and angle of exposure of the frame.

또한, 증강현실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스크린을 통해서만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can access content only through a screen.

최근에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해주는 서비스 기술을 공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사용한 QR(Quick Response) 코드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정보를 제공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연속적인 사용자의 위치 변화의 파악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콘텐츠 제공의 여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Recently, a service technology for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a user's location has been disclosed. In this technology, a user's location is tracked and information is provided using a QR (Quick Response) code 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using a smartphone camera. However, these technologies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continuous change of the user's location, and thus, when the user moves, there is a gap in provi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capable of continuously providing content by recognizing a user's loca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제1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와,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역의 위치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는 위치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1 위치정보와 상기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that provides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a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first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location from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obtain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of at least one region of interest, input and store at least one distance information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This is achieved by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comprising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compares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provides at least one prese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이 경우, 상기 거리정보는 진입반경거리와 이탈반경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진입반경거리 이하로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이탈반경거리 이상으로 상기 관심지역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tance information includes an entry radius distance and an exit radius distance, and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content when the user's location approaches the area of interest less than the entry radius distance, and the user's location When is farther away from the region of interest by more than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provision of the content may be stopped.

또한, 상기 이탈반경거리는 상기 진입반경거리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탈반경거리와 상기 진입반경거리의 차이는 GPS 오차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may be set larger than the entry radius distance.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and the entry radius distance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GPS error.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진입반경거리와 이탈반경거리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관심지역의 위치로부터 반경거리에 따라 상기 콘텐츠 중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unit may gradually change the display degree of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radial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when the user's location is located between the entry radius distance and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

또한, 상기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loca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obtain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나아가, 상기 관심지역을 둘 이상 설정하는 경우에 이웃하는 관심지역 사이의 직선거리는 각 관심지역의 진입반경거리의 합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wo or more regions of interest are set, a straight-lin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regions of interest may be set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entry radius distances of each region of interest.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연속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vide content by recognizing the user's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위치정보 관리부가 웹사이트로 구현되어 거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지도상에 표시된 하나의 관심지역의 진입반경거리와 이탈반경거리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지도상에 표시된 두 개의 관심지역의 진입반경거리와 이탈반경거리가 각각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is implemented as a website and can input distance information;
4 is a view showing an entry radius distance and an exit radius distance of one area of interest displayed on a map;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try radius distance and a departure radius distance of two regions of interest displayed on a map, respectively.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FIG. It is a block diagra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1000)은 먼저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1000 may first include a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

상기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각종 콘텐츠 또는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exchange various contents or inform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carried by the user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사용자 단말기(100)와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망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communicat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onfigured regardless of its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and wireless, and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It can be configur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network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well-known World Wide Web (WWW).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00) 상의 GPS 수신기가 복수개의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세 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 상의 GPS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삼각 측량법으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not shown). In detail, the GPS receiver on the user terminal 100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s from three GPS satellites to the GPS receiver on the user terminal 100, respectively, and calculating the measured distances using triangul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이동 전화기, 태블릿 PC,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GPS receiver.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memory means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computer (eg,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etc.), a workstation, a PDA, a web pad, and the like, and is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Thus, it may be one of digital devices equipped with computing pow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와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소정 동작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한 상태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igital device that performs an operation desired by a user through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n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nd may provide the user with a state of an operation performed by a user's predetermined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input unit through the display unit.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그 자체로서 입력부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입력부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방식으로 구현되어 표시부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FIG. 1 ,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100 is implemented in a touch screen method and is shown to simultaneously serve as an input unit itself, but the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keyboard or keypad method and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에서, '콘텐츠(contents)'는 상기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may consist of visually, audibly and/or tactilely recognizabl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ere is.

예를 들어, 시각적 정보로는 텍스트로 제공되는 정보, 그림이나 도형으로 제공되는 정보 또는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각적 정보로는 내레이션(narration), 음악, 배경 사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촉각 정보로는 진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 정보는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콘텐츠는 관심지역에 대한 설명, 관광 안내, 주변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배경음악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sual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provided in text, information provided in the form of pictures or figures, or video. Also, auditory information may include narration, music, background sound, and the like. Furthermore, the tactile information may include vib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aforementioned visual, auditory, or tactile information is only described as an example, and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visually, aurally, and tactilely recogniz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 Meanwhile, the aforementioned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description of a region of interest, tour guide,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r may include background music.

또한,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시각적, 청각적 및/또는 촉각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스크린 등의 시각적 표시부와, 스피커 등의 청각적 표시부 및 진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시각적 표시부, 청각적 표시부 및 진동부는 적절하게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 visual display unit such as a screen, an auditory display unit such as a speaker, and a vibration unit to display the visual, auditory and/or tactile information. The visual display unit, the auditory display unit, and the vibration unit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ppropriately deformed and provided.

한편, 상기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제1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310)와,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역의 위치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는 위치정보 관리부(320) 및 상기 제1 위치정보와 상기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0 that receives first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lo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carried by the user, and at least one region of interest.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capable of acquir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inputting and storing at least one piece of distance information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istance It may include a content providing unit 330 that compares information and provides at least one prese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100 .

나아가, 상기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상기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0 for obtain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310), 위치정보 관리부(320), 콘텐츠 제공부(330) 및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34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0,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the content provider 330, and the region of intere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0 are program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They can be modules or hardware. These program modules or hardware may be included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or other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program modules,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ar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It can be.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Meanwhile, these program modules or hardwar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specific tasks or execute specific abstract data ty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3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가 GPS위성으로부터 획득한 제1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이와 같이 획득한 제1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위치 기반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0 may receiv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by the user terminal 100 from a GPS satellite.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location-based content to the user 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way.

한편, 상기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340)는 관심지역(500)(도 3 참조)의 위치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게 된다.Meanwhile, the region of intere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0 acquires and stores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500 (see FIG. 3).

예를 들어, 관심지역에 대한 위도, 경도 등의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340)는 관심지역에 대해 미리 알려진 제2 위치정보를 인터넷 등을 통해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region of interest may be obtained and stored. In this case, the region of intere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340 may extract and store previously known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through the Internet or the like.

또는 상기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340)는 관심지역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웹사이트로 구현되어 관심지역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1000)을 제공하고자 하는 제작자가 관심지역에 방문하여 별도의 단말기의 GPS를 통해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340)를 통해 저장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region of interest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34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application for obtain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egion of interest or implemented as a separate website to obtain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egion of interest. can In this case, a producer who intends to provide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sits an area of interest and acquires seco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GPS of a separate terminal to acqui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rea of interest (340). ) can be saved.

한편,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역의 위치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may acquir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at least one region of interest, and input and store at least one distance information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there is.

이 경우,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320)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미리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웹사이트(web site)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or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websit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320)가 웹사이트를 통해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is implemented through a website is assumed and described.

도 3은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320)가 웹사이트로 구현되어 거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322)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face 322 through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is implemented as a website and inputs distance informa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정보 관리부(320)의 인터페이스(322)는 관심지역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제2 위치정보 입력부(530),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거리정보 입력부(54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interface 322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20 includes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530 capable of inputt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region of interest, and content based 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distance information input unit 540 capable of inputting at least one piece of distance information to provide.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322)는 상기 관심지역(500)에 대한 명칭을 입력할 수 있는 명칭 입력부(510), 관심지역을 그룹핑 할 수 있는 그룹타입 입력부(520), 상기 관심지역에 대한 설명을 입력할 수 있는 설명입력부(560) 및 관심지역을 저장 또는 삭제할 있는 저장선택부(57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322 includes a name input unit 510 for inputting a name for the area of interest 500, a group type input unit 520 for grouping the area of interest, and input of a description of the area of interest. It may include a description input unit 560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and a storage selection unit 570 capable of storing or deleting a region of interest.

상기 제2 위치정보 입력부(530)를 통해 관심지역(500)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작자가 직접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340)에 저장된 관심지역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region of interest 500 may be input through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input unit 530 . In this case, the producer may directly input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r may automatically extract and input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region of interest stored in the region of interest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340 .

또한, 상기 거리정보 입력부(540)를 통해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iece of distance information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the distance information input unit 540 .

예를 들어, 상기 거리정보는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하는 진입반경거리(도 4 참조)(580)와, 상기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이탈반경거리(도 4 참조)(590)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tance information may include an entry radius distance (see FIG. 4) 580 for starting to provide the content, and an exit radius distance (590) for stopping the provision of the content. there is.

도 4는 지도상에 표시된 하나의 관심지역(500)의 진입반경거리(580)와 이탈반경거리(59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에서 'M1'은 상기 진입반경거리(580)와 이탈반경거리(590) 사이의 제1 중간영역(M1)을 도시한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ntry radius distance 580 and an exit radius distance 590 of one region of interest 500 displayed on a map. In FIG. 4, 'M1' denotes a first intermediate region M1 between the entry radius distance 580 and departure radius distance 59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심지역(500)이 설정되면, 제작자는 진입반경거리(580)와 이탈반경거리(590)를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when a region of interest 500 is set, a producer may input an entry radius distance 580 and an exit radius distance 590 .

즉, 상기 인터페이스(322)에는 진입반경거리(580)를 입력할 수 있는 진입반경거리 입력부(542)와, 이탈반경거리(590)를 입력할 수 있는 이탈반경거리 입력부(544)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interface 322 may include an entry radius distance input unit 542 capable of inputting an entry radius distance 580 and a departure radius distance input unit 544 capable of inputting a departure radius distance 590. there is.

이 때, 상기 진입반경거리(580)와 이탈반경거리(590)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반경거리(590)가 상기 진입반경거리(580)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try radius distance 580 and departure radius distance 59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departure radius 590 may be set larger than the entry radius 580 .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스마트폰의 GPS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A-GPS라는 기술을 채용하여 LTE, WiFi, 3G 등의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GPS와 관계없이 현 위치의 근사값을 빠른 속도로 계산하여 이후 GPS 위성을 이용한 오차보정 및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현재 스마트폰 GPS의 경우 대략 5 내지 10m 오차 범위를 가지며, 또한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위치 파악에 걸리는 시간 편차 존재하게 된다.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implemented as a smartphone, the GPS system of the smartphone generally adopts a technology called A-GPS and utilize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LTE, WiFi, and 3G to obtain an approximate value of the current location regardless of GPS. It calculates at high speed and has the feature of enabling error correction and accurate location tracking using GPS satellites. However, the current smartphone GPS has an error range of approximately 5 to 10 m, and there is a time deviation for positioning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smartphone.

즉,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제1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GPS 오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진입반경거리(580)와 이탈반경거리(590)를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게 된다.That is, since a GPS error occurs wh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loc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the entry radius distance 580 and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590 ar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o.

이 경우, 상기 이탈반경거리(590)와 상기 진입반경거리(580)의 차이(D)는 GPS 오차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반경거리(590)가 너무 크게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관심지역(500)에서 멀리 떨어진 경우에도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상기 이탈반경거리(590)는 상기 진입반경거리(580)보다 10% 내지 80% 정도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반경거리(590)의 반경크기는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fference (D) between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590 and the entry radius distance 580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GPS error. If the departure radius 590 is set too large, content can be provided even when the user is far from the region of interest 500, so the departure radius 590 is 10% to 10% greater than the entry radius 580. It can be set as large as 80%. The size of the radius of the separation radius 590 is just an example and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따라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내레이션이나 관심지역에 대한 설명 등과 같이 반복이 필요없는 콘텐츠의 경우(이하, '제1 콘텐츠'라 함) 사용자가 상기 진입반경거리(580)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진입반경거리(580)보다 가깝게 상기 관심지역(500)에 접근하는 경우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제1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content that does not require repetition, such as narration or description of a region of intere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reaches the entry radius 580 or When approaching the region of interest 500 closer than the entry radius 580, the first content is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사용자가 상기 이탈반경거리(590)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이탈반경거리(590)보다 멀게 상기 관심지역(500)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콘텐츠의 제공을 중지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330 stops providing the first content when the user reaches the departure radius 590 or moves away from the ROI 500 farther than the departure radius 590. do.

또한, 상기 제1 콘텐츠의 제공 중에 사용자가 상기 이탈반경거리(590)보다 멀게 상기 관심지역(500)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제1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의 소리크기, 화면밝기, 화면크기 및 진동세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region of interest 500 farther than the departure radius 590 while the first content is provided, the degree of display of the first content may be gradually reduced. For example, at least one of content volume, screen brightness, screen size, and vibration intensity may be gradually reduced.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진입반경거리(580)와 이탈반경거리(59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즉 전술한 제1 중간영역(M1)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관심지역(500)의 위치로부터 반경거리에 따라 상기 콘텐츠 중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determines the interest when the user's location is located between the entry radius distance 580 and departure radius distance 590, that is, is located in the aforementioned first middle area M1. The degree of display of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may be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a radial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area 500 .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상기 관심지역(500)의 위치로부터 반경거리에 따라 콘텐츠의 소리크기, 화면밝기, 화면크기 및 진동세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er 330 may gradually change at least one of sound volume, screen brightness, screen size, and vibration intensity of the content according to a radial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500 .

즉,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사용자의 위치가 전술한 제1 중간영역(M1)에서 상기 관심지역(500)에 가까워지는 경우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키울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제1 중간영역(M1)에서 상기 관심지역(500)에 멀어지는 경우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작게 하거나 줄일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may gradually increase the degree of display of content when the user's location approaches the region of interest 500 in the first intermediate region M1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er 330 may gradually reduce or reduce the degree of display of content when the user's location moves away from the region of interest 500 in the first middle region M1.

예를 들어,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배경음 등과 같이 반복되는 콘텐츠의 경우(이하 '제2 콘텐츠'라 함) 사용자가 상기 진입반경거리(580)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콘텐츠의 표시정도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repeated content such as background s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content'), the content provider 330 sends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user reaches the entry radius 580. will be provided through At this time, the degree of display of the first content may be relatively small.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1 중간영역(M1)에서 상기 관심지역(500)에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상기 제1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키울 수 있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region of interest 500 from the first middle region M1,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may gradually increase the degree of display of the first content.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진입반경거리(580)보다 더 가깝게 상기 관심지역(500)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최고표시정도를 유지하여 상기 제1 콘텐츠를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ROI 500 closer than the entry radius 580,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while maintaining a preset maximum display degree.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1 중간영역(M1)에서 상기 관심지역(500)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상기 제1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작게 하거나 줄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region of interest 500 in the first intermediate region M1,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may gradually reduce or reduce the display degree of the first content.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이탈반경거리(590)보다 더 멀게 상기 관심지역(500)에서 멀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콘텐츠의 제공을 중지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moves farther away from the ROI 500 than the departure radius 590, the provis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pped.

한편, 도 2에서 제작자는 상기 명칭 입력부(510)를 통해 관심지역(500)에 대한 명칭을 입력하거나, 상기 그룹타입 입력부(520)를 통해 관심지역(500)에 대한 그룹 타입을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in FIG. 2 , the producer may input a name for the region of interest 500 through the name input unit 510 or a group type for the region of interest 500 through the group type input unit 520. .

또한, 제작자는 상기 설명입력부(560)를 통해 해당 관심지역(500)에 대한 설명을 입력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작자는 상기 저장선택부(570)를 통해 새로운 관심지역을 저장하거나, 또는 이미 저장된 관심지역을 삭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ducer may input a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region of interest 500 through the description input unit 560 . Furthermore, the producer may store a new region of interest or delete an already stored region of interest through the storage selection unit 570 .

한편, 도 5는 지도상에 표시된 두 개의 관심지역(500, 1500)의 진입반경거리(580, 1580)와 이탈반경거리(590, 1590)가 각각 도시된 도면이다.Meanwhile, FIG. 5 is a diagram showing entry radius distances 580 and 1580 and departure radius distances 590 and 1590 of two regions of interest 500 and 1500 displayed on the map, respectively.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관심지역(500, 1500)은 둘 이상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관심지역(500)의 제1 중간영역(M1)과 제2 관심지역(1500)의 제2 중간영역(M2)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S'는 제1 중간영역(M1)과 제2 중간영역(M2)이 서로 겹치는 중첩영역(S)을 도시한다.Referring to FIG. 5 , two or more regions of interest 500 and 1500 described above may be set. In this case, the first middle region M1 of the first region of interest 500 and the second middle region M2 of the second region of interest 1500 may overlap each other. That is, 'S' in FIG. 5 denotes an overlapping area S where the first middle area M1 and the second middle area M2 overlap each other.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중첩영역(S)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제1 관심지역(500)의 제2-1 콘텐츠와 상기 제2 관심지역(1500)의 제2-2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overlapping region S, the content provider 330 transmits the 2-1 content of the first region of interest 500 and the second region of interest 500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The 2-2 contents of the region of interest 1500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상기 중첩영역(S)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1 콘텐츠와 상기 제2-2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Also, the content providing unit 330 may gradually change the degree of display of the 2-1 content and the 2-2 cont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ser in the overlapping area S.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중첩영역(S)에서 상기 제1 관심지역(500)에 가까워지고 제2 관심지역(1500)에서 멀어지는 경우에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상기 제2-1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키우고 상기 제2-2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first region of interest 500 and moves away from the second region of interest 1500 in the overlapping region S, the content provider 330 determines the 2-1 content The display degree may be gradually increased and the display degree of the 2-2 content may be gradually decreased.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중첩영역(S)에서 상기 제1 관심지역(500)에서 멀어지고 제2 관심지역(1500)에 가까워지는 경우에 상기 콘텐츠 제공부(330)는 상기 제2-1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줄이고 상기 제2-2 콘텐츠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first region of interest 500 and approaches the second region of interest 1500 in the overlapping region S, the content provider 330 determines the 2-1 content The display degree may be gradually reduced and the display degree of the 2-2 content may be gradually increas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심지역(500, 1500)을 둘 이상 설정하는 경우에 이웃하는 관심지역(500, 1500) 사이의 직선거리는 각 관심지역(500, 1500)의 진입반경거리(580, 1580)의 합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웃하는 관심지역(500, 1500)끼리는 각 진입반경거리(580, 1580)내의 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wo or more regions of interest 500 and 1500 are set, the linear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regions of interest 500 and 1500 is the entry radius distance 580 and 1580 of each region of interest 500 and 1500. )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sum of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neighboring regions of interest 500 and 1500 do not overlap each other within the respective entry radius distances 580 and 1580 .

만약, 이웃하는 관심지역(500, 1500) 사이의 직선거리가 각 관심지역(500, 1500)의 진입반경거리(580, 1580)의 합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이웃하는 관심지역의 제1 콘텐츠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콘텐츠는 해당 관심지역에 대한 설명 등의 내레이션 등의 콘텐츠에 해당되므로 이웃하는 관심지역의 제1 콘텐츠가 동시에 제공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If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regions of interest 500 and 1500 is smaller than the sum of the entry radius distances 580 and 1580 of the respective regions of interest 500 and 1500, the neighboring regions of interest via the user terminal 100 This is because the first content of can be provided simultaneously.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ontent corresponds to content such as narration such as a description of a corresponding region of interest, if the first content of a neighboring region of interest is simultaneously provided, it may cause confusion to the us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You will be able to.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m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사용자 단말기
300 :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서버
310 :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
320 : 위치정보 관리부
330 : 콘텐츠 제공부
340 :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
100: user terminal
300: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server
310: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0: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30: content provision unit
340: Region of interest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laims (7)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제1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위치정보 수집부;
적어도 하나의 관심지역의 위치에 대한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위치정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거리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는 위치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1 위치정보와 상기 거리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In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that provides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a us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first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user's location from a user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apable of acquir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of at least one region of interest, inputting and storing at least one distance information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and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that compar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distance information and provides at least one prese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정보는 진입반경거리와 이탈반경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진입반경거리 이하로 상기 관심지역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이탈반경거리 이상으로 상기 관심지역에서 멀어지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information includes an entry radius distance and a departure radius distance,
The content provider provides the content when the user's location approaches the area of interest by less than the entry radius distance, and provides the content if the user's location moves away from the area of interest by more than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반경거리는 상기 진입반경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entry radius distance,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반경거리와 상기 진입반경거리의 차이는 GPS 오차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and the entry radius dista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GPS err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상기 진입반경거리와 이탈반경거리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관심지역의 위치로부터 반경거리에 따라 상기 콘텐츠 중에 적어도 하나의 표시정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ent provider
When the user's location is located between the entry radius distance and the departure radius distance, the display degree of at least one of the contents is gradu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radius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platform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관심지역 위치정보 획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based content providing platform system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지역을 둘 이상 설정하는 경우에 이웃하는 관심지역 사이의 직선거리는 각 관심지역의 진입반경거리의 합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n two or more regions of interest are set, a straight-lin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regions of interes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um of entry radius distances of the respective regions of interest.
KR1020210125477A 2021-09-23 2021-09-23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 KR202300427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77A KR20230042797A (en) 2021-09-23 2021-09-23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77A KR20230042797A (en) 2021-09-23 2021-09-23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797A true KR20230042797A (en) 2023-03-30

Family

ID=8598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477A KR20230042797A (en) 2021-09-23 2021-09-23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279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116B2 (en) Shared virtual reality
JP6343010B2 (en) Identifying entities associated with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s
RU2417437C2 (en) Displaying network objects on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Casella et al. Augmented heritage: situating augmented reality mobile apps in cultural heritage communication
US202100551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bbreviated name of point of interest on map
Chen Ubiquitous positioning and mobile location-based services in smart phones
US11212639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10989559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isplaying maps
CN102804905A (en) Displaying image data and geographic element data
KR102340027B1 (en) Location error radius determination
CN103064980A (en) Method and system for inquiring information of scenic spots on basis of mobile terminal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US106814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entity information
CN103547887A (en) Navigation system with assistance for making multiple turns in a short distance
US10547981B2 (en) Information pushing based on user location
Hui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of tourism-Yilan hot spring
Blankenbach et al. Building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precise indoor positioning
KR201900896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reet view,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Ranasinghe et al. Pedestrian navigation and GPS deteriorations: User behavior and adaptation strategies
KR20230042797A (en) Contents supply platform system based location
US20160097643A1 (en) Mobile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KR20160095398A (en) Interior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Lin et al. An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awareness services in mobile devices
KR20150021168A (en) Field investigation system using smart device
Villarrubia et al. Hybrid indoor location system for museum tourist routes in augmented reality
Narupiyakul et al. An indoor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based on RSS lateration and RF fingerpr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