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709A - 하이브리드 차량용 마그네슘 및 붕소 함유 윤활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마그네슘 및 붕소 함유 윤활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709A
KR20230042709A KR1020237005100A KR20237005100A KR20230042709A KR 20230042709 A KR20230042709 A KR 20230042709A KR 1020237005100 A KR1020237005100 A KR 1020237005100A KR 20237005100 A KR20237005100 A KR 20237005100A KR 20230042709 A KR20230042709 A KR 2023004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ppm
lubricating oil
oil composition
lubr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타나카
존 로버트 밀러
Original Assignee
셰브런 재팬 리미티드
셰브런 오로나이트 컴퍼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브런 재팬 리미티드, 셰브런 오로나이트 컴퍼니 엘엘씨 filed Critical 셰브런 재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41/1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two or more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main groups C10M125/00 - C10M139/00,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at least one of them being an organic compound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141/02 - C10M141/10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29/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29/26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 C10M129/48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10M129/54Carboxylic acids;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10M135/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ntaining a sulfur-to-oxygen bond
    • C10M135/10Sulfon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127/00 - C10M137/00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003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2Aliphatic fractions
    • C10M2203/1025Aliphatic fraction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4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144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10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 C10M2207/14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146Carboxylix acids; Neutral salts thereof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ered aromatic rings having a hydrocarbon substituent of thirty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26Overbased carboxylic acid salts
    • C10M2207/262Overbased carboxylic acid salts derived from hydroxy substituted aromatic acids, e.g. salic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15/064Di- and triaryl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8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9/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9/04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containing sulfur-to-oxygen bonds, i.e. sulfones, sulfoxides
    • C10M2219/044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neutral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3/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3/02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having no phosphorus-to-carbon bonds
    • C10M2223/04Phosphate esters
    • C10M2223/045Metal containing thio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7/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3/00, C10M2207/00, C10M2211/00, C10M2215/00, C10M2219/00 or C10M2223/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7/06Organic compounds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or metal salts
    • C10M2227/061Esters derived from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10/00Metal present as such or in compounds
    • C10N2010/04Groups 2 or 12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i.e. function, of component of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20/01Physico-chemical properties
    • C10N2020/071Branched chai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04Detergent property or dispersant proper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24Emulsion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14Electric or magnetic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5Internal-combustion eng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60/00Chemical after-treatment of the constituents of the lubricating composition
    • C10N2060/14Chemical after-treatment of the constituents of the lubricating composition by boron or a compound containing bor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에멀젼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하이브리드 엔진을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를 갖는 윤활유 조성물로 윤활 및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마그네슘 및 붕소 함유 윤활유 조성물
발명의 배경
최신 윤활유 제제는 원래 장비 제조업체가 설정한 정확한 사양으로 제제화된다. 이러한 사양을 충족시키기 위해, 윤활 점도의 기유와 함께 다양한 첨가제가 사용된다. 응용 분야에 따라, 전형적인 윤활유 조성물은 몇가지만 언급하면 분산제, 세제, 산화방지제, 마모 억제제, 방청제, 부식 억제제, 거품 억제제 및 마찰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러 상이한 응용 분야가 윤활유 조성물에 들어갈 첨가제의 유형을 결정할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주로 저속에서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고속에서는 내연 기관에 의해 구동된다. 전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회생 제동을 통해 내연 기관에 의해 충전된다. 가속 동안 모터가 엔진을 보조하는 병렬 시스템이 있다. 직렬/병렬 시스템은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엔진과 모터의 동력 입력을 균형 잡힌 방식으로 분배하며, 시작 및 저속에서 주 구동 장치는 모터이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차량이 정지할 때 엔진이 정지하고, 차량이 모터 또는 제동에 의해서만 구동될 때 엔진 연료 시스템도 중단된다. 따라서, 엔진은 정상 작동 동안 반복적으로 시작-정지 사이클을 거친다.
결과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되는 엔진 오일은 통상적인 엔진에 의해서만 구동되는 자동차의 엔진 오일과 비교하여 다른 환경에서 작동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이 짧은 시간 동안만 작동하기 때문에, 엔진이 장시간 작동을 통해 수분과 연료를 충분히 증발시킬 수 없으므로 오일에 수분과 연료가 축적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엔진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불안정한 에멀젼의 형성을 야기한다.
따라서,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함으로써 오일에 상당한 양의 물(저온 작동에서 생성됨)을 유지시켜 엔진 부품의 보호를 개선하는 조성물이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수정된 ASTM D7563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에서 에멀젼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내연 기관 윤활유 조성물이 개시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에서 에멀젼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윤활유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한 양태에서,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에멀전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하이브리드 엔진을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로 윤활 및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또 다른 양태에서, 하이브리드 엔진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하이브리드 엔진을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로 윤활 및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추가 양태에서,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물 및/또는 연료 오염의 유화를 개선하기 위한 윤활유 조성물의 용도가 제공되고: 이는 하이브리드 엔진에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 형태가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가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여기서 특정 구체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와는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균등물, 및 대안을 포괄하는 것이 의도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주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 다수의 용어, 약어 또는 기타 약칭이 아래에 정의된다. 정의되지 않은 임의의 용어, 약어 또는 약칭은 본 출원서의 제출과 동시에 당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다음 용어는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다음 단어 및 표현은, if 및 when이 사용될 때 아래 주어진 의미를 갖는다.
"다량"은 조성물의 50 중량% 초과를 의미한다.
"소량"은 첨가제 또는 첨가제들의 활성 성분으로 생각되는, 언급된 첨가제 및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든 첨가제의 총 질량에 대해 표현되는, 조성물의 50 중량% 미만을 의미한다.
"활성 성분" 또는 "활성물" 또는 "무오일"은 희석제 또는 용매가 아닌 첨가제 물질을 지칭한다.
기록된 모든 백분율은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활성 성분 기준으로 (즉, 담체 또는 희석제 오일과 관계 없이) 중량%이다.
약어 "ppm"은 윤활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중량 백만분율을 의미한다.
150℃에서의 고온 고전단(high temperature high shear, HTHS) 점도는 ASTM D4683에 따라 결정되었다.
100℃에서의 동점도(KV100)는 ASTM D445에 따라 결정되었다.
금속 - 용어 "금속"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이들의 혼합을 지칭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유용성 또는 분산성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유용성 또는 분산성은 원하는 수준의 활성 또는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양이 윤활 점도의 오일에 용해, 분산 또는 현탁됨으로써 혼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물질의 적어도 약 0.001 중량%가 윤활유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유용성 및 분산성, 특히 "안정적으로 분산성"의 추가 논의에 대해서는, 이와 관련하여 관련 교시에 대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번호 4,320,019를 참조하라.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설페이트화 회분"은 윤활유의 세제 및 금속 첨가제에서 기인한 불연성 잔류물을 지칭한다. 설페이트화 회분은 ASTM 테스트 D874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총 염기가(Total Base Number)" 또는 "TBN"은 1 그램의 샘플 중 KOH의 밀리그램에 해당하는 염기의 양을 지칭한다. 따라서, 더 높은 TBN 수는 더 많은 알칼리성 생성물, 그러므로 더 큰 알칼리도를 반영한다. TBN은 ASTM D 2896 테스트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붕소, 칼슘, 마그네슘, 몰리브덴, 인, 황 및 아연 함량은 ASTM D5185에 따라 결정되었다.
질소 함량은 ASTM D4629에 따라 결정되었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ASTM 표준은 본 출원의 출원일 현재 가장 최신 버전이다.
올레핀 - 용어 "올레핀"은 다수의 공정에 의해 수득된, 하나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부류를 지칭한다. 하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것은 모노-알켄으로 지칭되고, 둘의 이중 결합을 갖는 것은 디엔, 알킬디엔 또는 디올레핀으로 지칭된다. 알파 올레핀은 이중 결합이 첫 번째 탄소와 두 번째 탄소 사이에 있기 때문에 특히 반응성이다. 예는 중간 생분해성 계면활성제의 출발점으로 사용되는 1-옥텐 및 1-옥타데센이다. 선형 및 분지형 올레핀도 올레핀의 정의에 포함된다.
노말 알파 올레핀 - 용어 "노말 알파 올레핀"은 탄화수소 사슬의 알파 또는 1차 위치에 존재하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직쇄, 비분지 탄화수소인 올레핀을 지칭한다.
이성화 노말 알파 올레핀.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이성화 노말 알파 올레핀"은 존재하는 올레핀 종의 분포 변경 및/또는 알킬 사슬을 따른 분지화 도입을 야기하는 이성화 조건을 거친 알파 올레핀을 지칭한다. 이성화 올레핀 생성물은 약 10 내지 약 40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28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2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알파 올레핀을 이성화하여 수득될 수 있다.
C10-40 노말 알파 올레핀 - 이 용어는 10 미만의 탄소 수가 증류 또는 기타 분별 방법에 의해 제거된 노말 알파 올레핀의 분획을 정의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은 중량 퍼센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대안적 형태가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가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여기서 특정 구체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와는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균등물, 및 대안을 포괄하는 것이 의도임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인 설명 또는 예에서 설명된 모든 활동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특정 활동의 일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설명된 것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활동이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하라. 또한, 활동이 나열되는 순서가 반드시 수행되는 순서는 아니다.
이점, 기타 장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특정 구체예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점, 장점,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을 발생시키거나 더 두드러지게 만들 수 있는 임의의 특징(들)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하거나, 필요하거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기재된 구체예의 명세서 및 도해는 다양한 구체예의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다(includes)", "포함하는(including)", "가지다(has)", "갖는(having)" 또는 이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특징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그러한 특징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대해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특징 또는 이에 대해 고유한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한, "또는"은 포괄적-또는을 지칭하며 배타적-또는을 지칭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충족된다: A가 참 (또는 존재함) 및 B가 거짓 (또는 존재하지 않음), A가 거짓 (또는 존재하지 않음) 및 B가 참 (또는 존재함), 그리고 A 및 B 모두가 참 (또는 존재함).
"하나(a)" 또는 "하나(an)"의 사용은 본원에 기재된 요소 및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단지 편의상 그리고 본 발명의 구체예의 범위의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 설명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읽어야 하며, 달리 의미하는 것이 명백하지 않는 한 단수가 복수를 또한 포함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값을 언급할 때 용어 "평균된"은 평균, 기하 평균, 또는 중앙값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원소 주기율표 내의 열에 해당하는 족 번호는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81st Edition (2000-2001)에서 볼 수 있는 "신 표기법(New Notation)" 규칙을 사용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물질, 방법 및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원에 설명되지 않는 한, 특정 물질 및 가공 행위에 대한 많은 세부사항은 통상적이며 윤활제뿐만 아니라 오일 및 가스 산업 내의 교과서 및 기타 정보원에서 발견될 수 있다.
명세서 및 예시는 본원에 기재된 구조 및 방법을 사용하는 제제, 조성물, 장치 및 시스템의 모든 요소 및 특징에 대한 완전하고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개별 구체예는 또한 단일 구체예에서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고, 반대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구체예의 맥락에서 기재된 다양한 특징이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범위에 언급된 값에 대한 참조는 해당 범위 내의 각각의 모든 값이 포함된다. 많은 다른 구체예가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만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치환, 논리적 치환, 또는 또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른 구체예가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사용되고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다음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에서 에멀젼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내연 기관 윤활유 조성물이 개시된다: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에서 물 오염을 유화시키기 위한 물 및 연료로 오염된 윤활유의 능력을 개선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수정된 ASTM D7563 테스트(본원에 개시됨)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에멀젼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이 또한 개시되고, 상기 방법은 하이브리드 엔진을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로 윤활 및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다음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을 윤활시키기 위한 윤활유 조성물의 용도가 또한 개시된다: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여기서 윤활유 조성물은 수정된 ASTM D7563 방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에서 에멀젼 안정성을 유지시킨다.
윤활 점도의 오일
윤활 점도의 오일(때로 "베이스 스톡" 또는 "기유"로 지칭됨)은 윤활제의 주요 액체 성분이며, 여기에 첨가제 및 가능하게는 오일이 블렌딩되어, 예를 들어 최종 윤활제(또는 윤활제 조성물)를 생성한다. 기유는 농축물 제조뿐만 아니라 이로부터의 윤활유 조성물 제조에 유용하고 천연 및 합성 윤활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천연 오일은 동물성 및 식물성 오일, 액체 석유 오일 및 파라핀계, 나프텐계 및 혼합 파라핀계-나프틴계 유형의 수소화 정제되고 용매 처리된 미네랄 윤활유를 포함한다. 석탄 또는 셰일로부터 유도된 윤활 점도의 오일이 또한 유용한 기유이다.
합성 윤활유는 탄화수소 오일, 예컨대 중합 및 혼성중합 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염소화 폴리부틸렌, 폴리(1-헥센), 폴리(1-옥텐), 폴리(1-데센); 알킬벤젠 (예를 들어, 도데실벤젠, 테트라데실벤젠, 디노닐벤젠, 디(2-에틸헥실)벤젠; 폴리페놀 (예를 들어, 비페닐, 터페닐, 알킬화 폴리페놀); 및 알킬화 디페닐 에테르 및 알킬화 디페닐 설파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유사체 및 동족체를 포함한다.
합성 윤활유의 또 다른 적합한 부류는 디카르복실산(예를 들어, 말론산, 알킬 말론산, 알케닐 말론산, 석신산, 알킬 석신산 및 알케닐 석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젤라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리놀레산 이량체, 프탈산)과 다양한 알코올(예를 들어, 부틸 알코올, 헥실 알코올, 도데실 알코올, 2-에틸헥실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러한 에스테르의 특정 예는 디부틸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 세바케이트, 디-n-헥실 푸마레이트, 디옥틸 세바케이트, 디이소옥틸 아젤레이트, 디이소데실 아젤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데실 프탈레이트, 디에이코실 세바케이트, 리놀레산 이량체의 2-에틸헥실 디에스테르, 1 몰의 세바스산과 2 몰의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2 몰의 2-에틸헥산산을 반응시켜 형성된 복합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합성 오일로서 유용한 에스테르는 또한 C5 내지 C12 모노카르복실산 및 폴리올, 및 폴리올 에테르, 예컨대 네오펜틸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및 트리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제조된 것을 포함한다.
기유는 피셔-트롭쉬(Fischer-Tropsch) 합성된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피셔-트롭쉬 합성된 탄화수소는 피셔-트롭쉬 촉매를 사용하여 H2 및 CO를 포함하는 합성 가스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탄화수소는 전형적으로 기유로서 유용하기 위해 추가 처리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탄화수소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공정을 사용하여 수소화이성질화; 수소화분해 및 수소화이성질화; 탈납; 또는 수소화이성질화 및 탈납될 수 있다.
비정제, 정제 및 재정제 오일이 본 윤활유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정제 오일은 추가의 정제 처리 없이 천연 또는 합성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수득된 것이다. 예를 들어, 레토르팅 작업으로부터 직접 수득한 셰일 오일, 증류로부터 직접 수득한 석유 오일 또는 에스테르화 공정으로부터 직접 수득하고 추가의 처리 없이 사용되는 에스테르 오일이 비정제 오일일 것이다. 정제 오일은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정제 단계에서 추가로 처리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비정제 오일과 유사하다. 증류, 용매 추출, 산 또는 염기 추출, 여과 및 삼출과 같은 이러한 많은 정제 기술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재정제 오일은 이미 사용 중인 정제 오일에 적용된, 정제 오일을 얻기 수득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수득된다. 이러한 재정제 오일은 재생 또는 재가공 오일로도 알려져 있으며 흔히 사용된 첨가제 및 오일 분해 생성물의 승인을 위한 기술에 의해 추가로 가공된다.
따라서, 본 윤활유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유는 미국 석유 협회(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 기유 호환성 지침(Base Oil Interchangeability Guidelines) (API 간행물 1509)에 명시된 바와 같이 그룹 I-V의 기유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유 그룹은 아래 표 1에 요약된다:
기유 특성
그룹 (a) 포화물 (b) , wt. % (c) , wt. % 점도 지수 (d)
그룹 I <90 및/또는 >0.03 80 내지 <120
그룹 II ≥90 ≤0.03 80 내지 <120
그룹 III ≥90 ≤0.03 ≥120
그룹 IV 폴리알파올레핀(PAO)
그룹 V 그룹 I, II, III 또는 IV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모든 베이스 스톡
(a) 그룹 I-III은 미네랄 오일 베이스 스톡임.
(b) ASTM D2007에 따라 결정됨.
(c) ASTM D2622, ASTM D3120, ASTM D4294 또는 ASTM D4927에 따라 결정됨.
(d) ASTM D2270에 따라 결정됨.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유는 예외적인 휘발성, 안정성, 점도 및 청정도 특색으로 인해 API 그룹 I, 그룹 II, 그룹 III, 그룹 IV, 및 그룹 V 오일 및 이들의 조합, 바람직하게는 그룹 III 내지 그룹 V 오일에 해당하는 임의의 다양한 것이다.
기유로도 지칭되는, 본 개시내용의 윤활유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윤활 점도의 오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전형적으로 다량, 예를 들어, 50 wt. %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70 wt. %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 내지 약 99.5 wt.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5 내지 약 98 wt. %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표면 "기유"는 단일 제조업체가 동일한 사양(공급원 또는 제조업체의 위치와 무관)으로 생산하는 윤활제 성분인 베이스 스톡 또는 베이스 스톡의 블렌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동일한 제조업체의 사양을 충족하며; 고유한 포뮬라, 제품 식별 번호, 또는 두 가지 모두에 의해 식별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유는 임의의 모든 적용을 위한 윤활유 조성물, 예를 들어, 엔진 오일, 선박용 실린더 오일, 기능성 유체, 예컨대 유압 오일, 기어 오일, 변속기 오일 등 제제화에서 사용되는 윤활 점도의 임의의 현재 공지되어 있거나 이후에 발견된 오일일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유는 점도 지수 개선제, 예를 들어, 중합체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올레핀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스타이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 및 이들의 혼합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것과 같이, 기유의 점도는 적용에 의존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기유의 점도는 일반적으로 섭씨 100°(C)에서 약 2 내지 약 2000 센티스토크(cSt) 범위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별적으로 엔진 오일로서 사용되는 기유는 약 2 cSt 내지 약 30 cSt, 바람직하게는 약 3 cSt 내지 약 16 cSt,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 cSt 내지 약 12 cSt의 100℃에서의 동점도 범위를 가질 것이고, 원하는 최종 용도 및 최종 오일 중의 첨가제에 따라 선택되어나 블렌딩되어 원하는 등급의 엔진 오일, 예를 들어 0W, 0W-8, 0W-12, 0W-16, 0W-20, 0W-26, 0W-30, 0W-40, 0W-50, 0W-60, 5W, 5W-20, 5W-30, 5W-40, 5W-50, 5W-60, 10W, 10W-20, 10W-30, 10W-40, 10W-50, 15W, 15W-20, 15W-30, 15W-40, 30, 40 등의 SAE 점도 등급을 갖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할 것이다.
Mg 세제
바람직한 마그네슘 함유 세제는 마그네슘 설포네이트, 마그네슘 페네이트 및 마그네슘 살리실레이트, 특히 마그네슘 설포네이트 및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살리실레이트 세제는 염기성 금속 화합물을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산과 반응시키고 반응 생성물로부터 물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살리실산으로부터 제조된 세제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제조된 세제의 한 부류이다. 유용한 살리실레이트는 장쇄 알킬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조성물의 한 유용한 계열은 다음 구조 (5)이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은 C1 내지 C30(예를 들어, C13 내지 C30) 알킬 기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고; M은 마그네슘이다.
하이드로카르빌-치환된 살리실산은 콜베 반응에 의해 페놀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미국 특허 번호 3,595,791 참조). 하이드로카르빌-치환된 살리실산의 금속 염은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에서 금속 염의 이중 분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살리실레이트는 C10-C40 이성화 NAO로부터 유도되고 약 0.10 내지 약 0.40,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약 0.35,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약 0.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2 내지 약 0.30의 이성화 수준 (i)을 갖는 이성화 NAO로부터 유도된 알킬 기를 갖는 알킬페놀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살리실레이트는 C20-C24 이성화 NAO로부터 유도된다.
일반적인 세제는 분자의 장쇄 소수성 부분 및 분자의 더 작은 음이온성 또는 소유성 친수성 부분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물질이다. 세제의 음이온성 부분은 일반적으로 황산, 카르복실산, 아인산, 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다. 반대이온은 일반적으로 알칼리 토금속 또는 알칼리 금속이다.
실질적으로 화학량론적 양의 금속을 포함하는 염은 중성 염으로 기재되며 0 내지 80 mg KOH/g의 총 염기가(TBN)를 갖는다. 많은 조성물이 과량의 금속 화합물(예를 들어 금속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 풍부 산성 가스(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달성된 다량의 금속 염기를 포함하여, 과염기성이다. 유용한 세제는 중성, 약간 과염기성 또는 매우 과염기성일 수 있다.
세제 혼합물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일부 세제는 과염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과염기화 세제는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산성 불순물을 중화시키고 오일에 포획되는 것을 돕는다. 일반적으로, 과염기성 물질은 당량 기준은로 1.05:1 내지 50:1(예를 들어 4:1 내지 25:1)의 세제의 금속 이온 대 음이온 부분의 비율을 갖는다. 생성된 세제는 150 mg KOH/g 이상(예를 들어 250 내지 450 mg KOH/g 이상)의 TBN을 일반적으로 가질 과염기성 세제이다. 상이한 TBN의 세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설포네이트는 석유의 분별로부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의 알킬화에 의해 수득된 것과 같은 알킬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의 설폰화에 의해 전형적으로 수득되는 설폰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나프탈렌, 디페닐 또는 이들의 할로겐 유도체를 알킬화하여 수득된 것을 포함했다. 알킬화는 약 3 내지 70 개 초과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화제와 함께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다. 알카릴 설포네이트는 일반적으로 알킬 치환된 방향족 모이어티당 약 9 내지 80 개 이상 탄소 원자(예를 들어, 약 16 내지 60 개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페네이트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또는 산화물(예를 들어, CaO, Ca(OH)2, MgO 또는 Mg(OH)2)을 알킬 페놀 또는 황화 알킬페놀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유용한 알킬 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 C1 내지 C30(예를 들어, C4 내지 C20) 알킬 기 또는 이들의 혼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페놀의 예는 이소부틸페놀, 2-에틸헥실페놀, 노닐페놀, 도데실 페놀 등을 포함한다. 출발 알킬페놀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인 하나 초과의 알킬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비황화 알킬페놀이 사용되는 경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황화 생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알킬페놀 및 황화제(예를 들어, 원소 황, 이염화황과 같은 할로겐화황 등)의 혼합물을 가열한 다음 황화된 페놀을 알칼리 토금속 염기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마그네슘 함유 세제는 중량으로 적어도 100 내지 2000 ppm, 적어도 100 내지 1500 ppm, 적어도 100 내지 1200 ppm, 적어도 100 내지 1100 ppm, 적어도 100 내지 1000 ppm, 적어도 200 ppm 내지 2000 ppm, 적어도 300 내지 1500 ppm, 적어도 300 내지 1200 ppm, 적어도 300 내지 1200 ppm, 적어도 300 내지 1100 ppm, 적어도 300 내지 1000 ppm 또는 적어도 400 내지 1000 ppm의 마그네슘을 윤활유 조성물에 제공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붕소 함유 분산제
보레이트화 분산제의 예는 보레이트화 무회분 분산제, 예컨대 보레이트화 폴리알케닐 석신산 무수물; 폴리알킬렌 석신산 무수물의 보레이트화 비-질소 함유 유도체; 석신이미드, 카르복실산 아미드, 하이드로카르빌 모노아민, 하이드로카르빌 폴리아민, 마니히 염기, 포스포노아미드, 티오포스폰아미드 및 포스포르아미드, 티아졸(예를 들어,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 머캅토벤조티아졸 및 이들의 유도체), 트리아졸(예를 들어, 알킬트리아졸 및 벤조트리아졸), 아민, 아미드, 이민, 이미드, 하이드록실, 카르복실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극성 작용기가 있는 카르복실레이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예를 들어, 장쇄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상기 작용기의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보레이트화 염기성 질소 화합물;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보레이트화 분산제는 예를 들어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이미드와 같은 붕소의 석신이미드 유도체이다.
보레이트화 무회분 분산제의 예는 하이드로카르빌 석신산 또는 무수물을 아민과 반응시켜 제조된 보레이트화 무회분 하이드로카르빌 석신이미드 분산제이다. 바람직한 하이드로카르빌 석신산 또는 무수물은 하이드로카르빌 기가 C3 또는 C4 모노올레핀의 중합체, 특히 폴리이소부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이고, 여기서 폴리이소부테닐 기는 700 내지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2,500의 수평균 분자량(Mn)을 갖는다. 이러한 분산제는 일반적으로 각 폴리이소부테닐 기에 대해 적어도 1,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8 개의 석신산 기를 갖는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약 550 내지 약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약 550 내지 약 4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약 550 내지 약 3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550 초과 내지 약 23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약 950 내지 약 23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약 950 내지 약 13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약 23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약 13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한 구체예에서, 유용성 또는 유분산성 보레이트화 폴리이소부틸렌 석신이미드 분산제는 약 1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기로부터 유도된다.
석신이미드를 형성하기 위한 반응에 바람직한 아민은 분자당 2 내지 60 개의 탄소 원자 및 2 내지 12 개의 질소 원자를 갖는 폴리아민이고,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폴리알킬렌아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NH2(CH2)n-(NH(CH2)n)m-NH2
여기서 n은 2 내지 3이고 m은 0 내지 10이다. 예시적인 것은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테트라프로필렌 펜타민, 펜타에틸렌 헥사민 등뿐만 아니라, 이러한 폴리아민의 시판되는 혼합물이다. 하이드록시, 알콕시, 아미드, 니트라이드 및 이미다졸린 기와 같은 다른 기를 포함하는 아민이 또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아민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아민은 전형적으로 반응물을 10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175℃로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알케닐 석신산 또는 무수물 대 폴리아민의 몰의 약 1:1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3:1의 통상적인 비율, 바람직하게는 약 1:1의 비율로, 알케닐 석신산 또는 무수물과 반응한다.
알케닐 석신이미드 분산제의 보레이트화는 미국 특허 번호 3,087,936 및 3,254,0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또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석신이미드는 예를 들어 분산제에서 질소의 각 원자 비율에 대해 0.1 원자 비율의 붕소 내지 10 원자 비율의 붕소를 제공하는 양으로 붕소, 산화붕소, 할로겐화붕소, 붕산 및 이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붕소 화합물로 처리될 수 있다.
보레이트화 생성물은 보레이트화 분산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중량 퍼센트의 붕소를 함유할 것이다. 붕소는 이미드의 메타보레이트 염에 부착된 탈수된 붕산 중합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보레이트화 반응은 1 내지 3 중량 퍼센트(분산제의 중량을 기준으로)의 상기 붕소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붕산을 광유 중의 슬러리로서 분산제에 첨가하고 교반하며 135 ℃로부터 165 ℃까지 1 내지 5 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생성물을 질소 제거 여과하여 쉽게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물을 제거하면서 붕산이 석신산 또는 무수물 및 아민의 뜨거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붕소 함유 분산제는 윤활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30 내지 1000 ppm, 적어도 30 내지 900 ppm, 적어도 30 내지 800 ppm, 적어도 30 내지 700 ppm, 적어도 30 내지 600 ppm, 적어도 30 내지 500 ppm, 적어도 30 내지 400 ppm, 적어도 30 내지 350 ppm, 적어도 30 내지 300 ppm, 적어도 40 내지 1000 ppm, 적어도 40 내지 900 ppm, 적어도 40 내지 800 ppm, 적어도 40 내지 700 ppm, 적어도 40 내지 600 ppm, 적어도 40 내지 500 ppm, 적어도 40 내지 400 ppm, 적어도 40 내지 350 ppm, 적어도 40 내지 300 ppm, 적어도 50 내지 1200 ppm, 적어도 50 내지 1000 ppm, 적어도 50 내지 900 ppm, 적어도 50 내지 800 ppm, 적어도 50 내지 700 ppm, 적어도 50 내지 600 ppm, 적어도 100 내지 600 ppm, 적어도 100 내지 500 ppm, 적어도 100 내지 400 ppm 또는 적어도 100 내지 300 ppm의 붕소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추가 윤활유 첨가제
본 개시내용의 윤활유 조성물은 첨가제가 분산되거나 용해되는 윤활유 조성물의 임의의 바람직한 특성을 부여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첨가제가 본원에 개시된 윤활유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적합한 첨가제가 Mortier et al., "Chemistry and Technology of Lubricants", 2nd Edition, London, Springer, (1996); 및 Leslie R. Rudnick, "Lubricant Additives: Chemistry and Applications", New York, Marcel Dekker (2003)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윤활유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마모방지제, 금속 세제와 같은 세제, 방청제, 탈연무제, 해유화제, 금속 불활성화제, 마찰 조절제, 유동점 강하제, 소포제, 공용매, 부식 억제제, 분산제, 다기능제, 염료, 극압제 등 및 이들의 혼합과 블렌딩될 수 있다. 다양한 첨가제가 알려져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이러한 첨가제 또는 이들의 유사한 화합물은 보통의 블렌딩 절차에 의해 본 개시내용의 윤활유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윤활유 제제의 제조에서, 탄화수소 오일, 예를 들어 광물 윤활유, 또는 기타 적합한 용매 중의 10 내지 100 wt. % 활성 성분 농축물 형태의 첨가제를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농축물은 완성된 윤활제, 예를 들어 크랭크케이스 모터 오일 형성에서 첨가제 패키지의 중량부당 3 내지 100, 예를 들어 5 내지 40 중량부의 윤활유로 희석될 수 있다. 물론 농축물의 목적은 다양한 재료의 취급을 덜 어렵고 어색하게 만들고 최종 블렌드에서 용해 또는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첨가제 각각은 사용될 때 윤활제에 원하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기능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첨가제가 마찰 조절제인 경우, 이 마찰 조절제의 기능적 유효량은 원하는 마찰 조정 특징을 윤활제에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윤활유 조성물 중의 첨가제 각각의 농도는, 사용되는 경우, 윤활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wt. % 내지 약 20 wt. %, 약 0.01 wt. % 내지 약 15 wt. %, 또는 약 0.1 wt. % 내지 약 10 wt. %, 약 0.005 wt.% 내지 약 5 wt.%, 또는 약 0.1 wt.% 내지 약 2.5 wt.%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윤활유 조성물 중의 첨가제의 총량은 윤활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wt.% 내지 약 20 wt.%, 약 0.01 wt.% 내지 약 10 wt.%, 또는 약 0.1 wt.% 내지 약 5 wt.% 범위일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예를 예시하기 위해 제시되지만 본 발명을 제시된 특정 구체예로 제한하려고 의도하지 않는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모든 수치는 근사치이다. 수치 범위가 주어지는 경우, 언급된 범위 밖의 구체예가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각 실시예에 기재된 특정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 개시된 구체예에 대해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되고 본 발명을 조작하는 최선의 방식으로서 구현되는 기능은 단지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다. 다른 배열 및 방법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당업자는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및 사상 내에서 다른 수정을 구상할 것이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는 단지 설명적 목적을 위한 것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윤활유는 아래 ASTM 방법에 의해 평가되었다.
샘플은 수정된 ASTM D7563 방법에 따라 테스트되었다. ASTM D7563은 오일이 물 및 E85 연료를 유화시키는 능력을 측정한다. 이 수정에서 윤활유는 10% 물과 혼합되고 에멀젼 안정성은 25℃에서 24 시간 후에 추적될 것이다. 그 후, 오일, 물 및 에멀젼의 양을 관찰하고 기록했다. D7563은 "비수성" 또는 "수성" 층만을 정의하므로, "비수성" 층을 갈색 및 백색으로 추가로 나누었다 (오일층 및 에멀젼층으로도 지칭할 수 있다). 이 테스트에서, 에멀젼 층이 50% 초과인 경우, 합격으로 간주된다.
ASTM D7563에서, 더 많은 에멀젼 층은 물이 시스템에 잘 고르게 분산되어 있음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에멀젼이 바람직하다. 이는 엔진 오일과 혼합된 임의의 (응축된) 물 또는 E85 연료 등이 표면에서 침착되지 않고 분리 및/또는 얇은 층으로의 응축 없이 에멀젼 형태로 혼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개별 엔진 구성요소가 녹슬거나 부식되지 않는지에 대한 엔진 오일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이다.
베이스라인 제제
윤활유 조성물은 SAE 0W-20 점도 등급 제제를 얻기 위해 다음 성분들을 함께 블렌딩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인 함량 측면에서 약 770 ppm의 1차 및 2차 징크 디알킬디티오포스페이트의 혼합물;
알킬화 디페닐아민 산화방지제;
에틸렌 프로필렌 VII;
통상적인 양의 유동점 저하제,
거품 억제제; 및
잔부 그룹 III 기유의 혼합물.
세제 A
세제 A는 알파 올레핀으로 제조된 C20-C24 마그네슘 설포네이트 세제이다. 특성: TBN (mg KOH/g) = 400; Mg (wt.%) = 9.4.
세제 B
MeOH(81.4 그램) 및 자일렌(500 그램) 중의 MgO(82 그램)의 슬러리를 제조하고 반응기에 도입한다. 이후 이성화 알파 올레핀(C20-24, 0.16 이성화 수준)으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록시벤조산(1774 그램, 자일렌에서 43% 활성)을 반응기에 로딩하고 온도를 40℃에서 15 분 동안 유지한다. 이후 도데세닐안하이드라이드(DDSA, 7.6 그램)에 이어서 AcOH(37.3 그램) 그 다음 H2O(69 그램)를 온도를 50℃까지 상승시키며 30 분에 걸쳐 반응기에 도입한다. 이후 CO2를 강한 교반하에 반응기에 도입한다 (96 그램). 이후 자일렌(200 그램) 중의 MgO(28 그램)로 구성된 슬러리를 반응기에 도입하고 추가 양의 CO2를 혼합물을 통해 버블링시킨다. CO2 주입이 끝나면, 132 ℃로 가열하여 용매의 증류를 수행한다. 이후 500 그램의 기유를 반응기에 도입한다. 이후 혼합물을 실험실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하여 미반응 산화 마그네슘 및 기타 고체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혼합물을 170℃에서 진공(15 mbar)하에 가열하여 자일렌을 제거하고 0.16의 이성화 수준을 갖는 이성화 NAO로부터 제조된, C20-C24 마그네슘 살리실레이트 세제로서 4.3%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최종 생성물로 이어진다. 특성: TBN (mgKOH/g) = 35 wt%의 희석제 오일에서 199.
세제 C
세제 C는 알파 올레핀으로 제조된 C14-C18 마그네슘 살리실레이트 세제이다. 특성: TBN (mgKOH/g) = 236; Mg (wt.%) = 5.34.
세제 D
세제 D는 상품명 "Infineum C9012"로 Infineum International Ltd에서 입수 가능한 C14-C18 마그네슘 살리실레이트 세제이다. 특성: TBN (mgKOH/g) = 345; Mg (wt.%) = 7.45.
실시예 1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40 ppm의 세제 A의 Mg 및 Mn이 약 1300인 보레이트화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실시예 2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40 ppm의 세제 B의 Mg 및 Mn이 약 1300인 보레이트화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실시예 3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40 ppm의 세제 C의 Mg 및 Mn이 약 1300인 보레이트화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실시예 4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40 ppm의 세제 D의 Mg 및 Mn이 약 1300인 보레이트화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실시예 5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520 ppm의 세제 C의 Mg 및 Mn이 약 1300인 보레이트화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실시예 6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30 ppm의 세제 C의 Mg 및 Mn이 약 1300인 보레이트화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비교예 1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50 ppm의 세제 A의 Mg 및 후처리되지 않은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비교예 2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30 ppm의 세제 A의 Mg 및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후처리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비교예 3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50 ppm의 세제 B의 Mg 및 후처리되지 않은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비교예 4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50 ppm의 세제 C의 Mg 및 후처리되지 않은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비교예 5
제제 베이스라인에 약 1050 ppm의 세제 D의 Mg 및 후처리되지 않은 비스-석신이미드 분산제를 첨가했다.
세제 유형 Mg (ppm) 분산제 유형 ASTM D7563 결과
실시예 1 A 1040 보레이트화 석신이미드 합격
실시예 2 B 1040 보레이트화 합격
실시예 3 C 1040 보레이트화 합격
실시예 4 D 1040 보레이트화 합격
실시예 5 C 520 보레이트화 합격
실시예 6 C 130 보레이트화 합격
비교예 1 A 1050 후처리되지 않은 석신이미드 실패
비교예 2 A 1030 EC-처리된 석신이미드 실패
비교예 3 B 1050 후처리되지 않은 석신이미드 실패
비교예 4 C 1050 후처리되지 않은 석신이미드 실패
비교예 5 D 1050 후처리되지 않은 석신이미드 실패
이성화 수준은 NMR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이성화 수준 (I) 및 NMR 방법
올레핀의 이성화 수준 (I)은 수소-1 (1H) NMR에 의해 결정되었다. NMR 스펙트럼은 TopSpin 3.2 스펙트럼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400 MHz에서 클로로포름-d1에서 Bruker Ultrashield Plus 400에서 획득되었다.
이성화 수준 (I)은 메틸렌 뼈대 기(-CH2-)(화학적 이동 1.01-1.38 ppm)에 부착된 메틸 기(-CH3)(화학적 이동 0.30-1.01 ppm)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고 아래 나타나는 식에 의해 정의되고,
I = m/(m+n)
여기서 m은 0.30 ± 0.03 내지 1.01 ± 0.03 ppm의 화학적 이동을 갖는 메틸 기에 대한 NMR 적분이고, n은 1.01 ± 0.03 내지 1.38 ± 0.10 ppm의 화학적 이동을 갖는 메틸렌 기에 대한 NMR 적분이다.

Claims (10)

  1.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에멀젼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이브리드 엔진을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로 윤활 및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a.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b.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c.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2.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세제는 마그네슘 설포네이트 또는 마그네슘 살리실레이트 세제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함유 세제는 이성화 노말 알파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이성화 노말 알파 올레핀은 약 0.1 내지 약 0.4의 노말 알파 올레핀의 이성화 수준 (I)을 갖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이성화 노말 알파 올레핀은 약 0.1 내지 약 0.3의 노말 알파 올레핀의 이성화 수준 (I)을 갖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이성화 노말 알파 올레핀은 약 0.16 내지 약 0.27의 노말 알파 올레핀의 이성화 수준 (I)을 갖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슘 함유 세제는 약 50 ppm 내지 1500 ppm의 마그네슘을 제공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8. 하이브리드 엔진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
    하이브리드 엔진을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로 윤활 및 작동시킴:
    a.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b.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c.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9. 제8항에 있어서, 윤활유 조성물은 윤활유 조성물에 10% 물을 포함하도록 수정된 ASTM D7563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물 및/또는 연료 오염의 유화를 개선하는 방법.
  10.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물 및/또는 연료 오염의 유화를 개선하는 윤활유 조성물의 용도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용도:
    하이브리드 엔진에 다음을 포함하는 윤활유 조성물을 제공함:
    a. 다량의 윤활 점도의 오일;
    b. 소량의 마그네슘 함유 세제; 및
    c. 소량의 보레이트화 분산제.
KR1020237005100A 2020-07-21 2021-07-20 하이브리드 차량용 마그네슘 및 붕소 함유 윤활유 조성물 KR202300427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54275P 2020-07-21 2020-07-21
US63/054,275 2020-07-21
PCT/IB2021/056527 WO2022018624A1 (en) 2020-07-21 2021-07-20 Magnesium and boron containing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hybrid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709A true KR20230042709A (ko) 2023-03-29

Family

ID=7718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100A KR20230042709A (ko) 2020-07-21 2021-07-20 하이브리드 차량용 마그네슘 및 붕소 함유 윤활유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42832A1 (ko)
EP (1) EP4185676A1 (ko)
JP (1) JP2023534715A (ko)
KR (1) KR20230042709A (ko)
CN (1) CN116096841A (ko)
CA (1) CA3189295A1 (ko)
WO (1) WO20220186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7936A (en) 1961-08-18 1963-04-30 Lubrizol Corp Reaction product of an aliphatic olefinpolymer-succinic acid producing compound with an amine and reacting the resulting product with a boron compound
US3595791A (en) 1969-03-11 1971-07-27 Lubrizol Corp Basic,sulfurized salicylat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US4320019A (en) 1978-04-17 1982-03-16 The Lubrizol Corporation Multi-purpose additive compositions and concentrates containing same
GB2307916A (en) * 1995-12-08 1997-06-11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Lubricating compositions
EP2103673B1 (en) * 2006-12-08 2015-07-15 Nippon Oil Corporatio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943252B2 (ja) * 2012-07-30 2016-07-05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内燃機関用潤滑油組成物
EP2966155A4 (en) * 2013-03-08 2016-11-23 Idemitsu Kosan Co LUBRICATING OIL COMPOSITION
US10421922B2 (en) * 2015-07-16 2019-09-24 Afton Chemical Corporation Lubricants with magnesium and their use for improving low speed pre-ignition
US10443558B2 (en) * 2017-01-18 2019-10-15 Afton Chemical Corporation Lubricants with calcium and magnesium-containing detergents and their use for improving low-speed pre-ignition and for corrosion resistance
US10487289B2 (en) * 2017-02-21 2019-11-26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90002786A1 (en) * 2017-06-30 2019-01-03 Chevron Oronite Company Llc Lubricating oil magnesium detergent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CA3068664C (en) * 2017-06-30 2024-03-05 Chevron Oronite Company Llc Lubricating engine oil compositions containing detergent compounds
US20190270946A1 (en) * 2018-03-02 2019-09-05 Chevron Oronite Technology B.V. Lubricating oil composition providing wear protection at low viscosity
US11459521B2 (en) * 2018-06-05 2022-10-04 Afton Chemical Coporation Lubricant composition and dispersants therefor having a beneficial effect on oxidation stability
KR20230041713A (ko) * 2020-07-21 2023-03-24 셰브런 재팬 리미티드 하이브리드 차량용 살리실레이트 함유 윤활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89295A1 (en) 2022-01-27
JP2023534715A (ja) 2023-08-10
WO2022018624A1 (en) 2022-01-27
CN116096841A (zh) 2023-05-09
US20230242832A1 (en) 2023-08-03
EP4185676A1 (en)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68667C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ntaining detergent compounds
CA2824349C (en) Improved process for prepar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molybdenum succinimide complexes
US11214754B2 (en) Low viscosity lubricating oil composition
EP2665718B1 (en) Improved process for prepar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molybdenum succinimide complexes
US20210002578A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
CN110770329B (zh) 包含清净剂化合物的润滑发动机机油组合物
KR20230041713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살리실레이트 함유 윤활유 조성물
JP5636089B2 (ja) 銅に対する腐食性を改良するための方法
KR20230042709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마그네슘 및 붕소 함유 윤활유 조성물
EP2553061B1 (en) Use of titanium compound for improving fluorocarbon elastomer seal compatibility
WO2023180896A1 (en) Low viscosity lubricating oil
EP4077605A1 (en)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alphaolef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