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261A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261A
KR20230042261A KR1020230036884A KR20230036884A KR20230042261A KR 20230042261 A KR20230042261 A KR 20230042261A KR 1020230036884 A KR1020230036884 A KR 1020230036884A KR 20230036884 A KR20230036884 A KR 20230036884A KR 20230042261 A KR20230042261 A KR 20230042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wire
washing machine
doo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9009B1 (en
Inventor
전광민
김화식
최민제
박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3283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20194B1/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009B1/en
Publication of KR2023004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261A/en
Priority to KR1020240009005A priority patent/KR20240013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Abstract

Disclosed i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wire connection structure to electrically connect electrical components. The washing machine may comprise: a cabinet provided with a first electrical component, forming an appearance,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laundry is put; a door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ical component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ical component and the second electrical component; and a hinge coupling the door to the cabinet so that the door can rotate about a rotating axis, and having a wire guide unit guiding the wire.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와이어 연결구조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wire connection structure to electrically connect electrical components.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과 세탁수가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washing laundry by rotating a cylindrical rotary tub containing laundry and washing water. Types of washing machines include a drum washing machine in which a rotating tub is placed horizontally and when the rotating tub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axis, laundry is lifted upwar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tub and falls to wash laundry, and a pulsator inside There is a vertical axis washing machine in which a rotary tub having a vertical axis is arranged vertically to wash laundry using a water stream generated by a pulsator when the rotary tub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a vertical axis.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기는 원통 형상의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과, 터브의 후방에 배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에는 드럼으로 연통되는 개구가 마련되고, 도어는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A drum washing machine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 cylindrical tub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nd containing wash wate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to wash laundry, and a drum disposed behind the tub to rotate the drum. It may include a driving motor and a door installed in front of the cabinet. The cabinet is provided with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drum, and the door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일반적으로 전장품들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세탁기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전장품들과 캐비닛 외부에 배치되는 전장품들을 와이어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나고 있다.Generally, electrical components are placed inside a cabinet. However,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washing machines having various designs, there are cases i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electrical components disposed outside the cabinet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wire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electrically connect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a door with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a cabinet.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세탁기의 미관을 헤치지 않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a door and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a cabinet can be connected using wires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와이어로 하여금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도록 하여 도어 내부의 전장품들과 캐비닛 내부의 전장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a door and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a cabine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llowing a wire to pass through a hinge assembl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제 1전장품, 외관을 형성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제 2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도어가 회전축(rotating axis)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고,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가지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ical appliance,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laundry is put, a door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ical applianc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A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and a hinge coupling the door to the cabinet so that the door can rotate around a rotating axis and having a wire guide for guiding the wire.

상기 제 2전장품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상기 도어는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The door is rotatable about one rotation axis.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guide part may be recessed in the hinge to allow the wire to be inserted.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guide part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inge.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바디 및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ay include a hinge body coupled to the cabinet and at least one hinge arm extending from the hinge body and having the wire guide part formed there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은 상기 캐비닛과 마주하는 제 1면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hinge arm may include a first surface facing the cabinet, and the wire guide part may be recess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은 회전축 방향으로 하방을 향하는 제 2면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2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hinge arm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facing downward in a ro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wire guide part may be recess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상기 힌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으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at least one hinge arm in a rotational axis direction to form the rotational axi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으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 1돌기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으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 2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돌기부 및 상기 제 2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인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rotrus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at least one hinge arm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at least one hinge arm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 A wire inlet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so that the wire may be introduced into the wire guide part.

상기 캐비닛과 마주하는 상기 힌지바디의 일 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 인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A wire outle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inge body facing the cabinet so that the wire can be drawn out from the wire guide unit.

상기 힌지바디가 결합되는 상기 캐비닛의 일 면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A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to which the hinge body is coupled, and the wire drawn out from the wire outlet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be introduced into the cabinet.

상기 힌지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ay include a hing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 guide part to prevent the wire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par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바디 및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힌지바디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may include a hinge body coupled to the cabinet and at least one hinge arm extending from the hinge body toward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ire guide part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inge body.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힌지 및 상기 힌지를 통과하는 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의 다른 일 단부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terior and includes a cabinet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laundry is put in,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hinge that rotatably couples the door to the cabinet, and a wire passing through the hinge. , one end of the wire may include a wire positioned inside the door and another end of the wire positioned inside the cabinet.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는 제 1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제 2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전장품 및 상기 제 2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A first electrical appliance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 second electrical appliance is provided inside the door, and the wire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and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상기 힌지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드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A wire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may be recessed in the hinge.

상기 힌지에는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드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A wire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may be formed through the hinge.

상기 힌지는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힌지바디 및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ay include a hinge body coupled to the cabinet and at least one hinge arm extending from the hinge body and having a wire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은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암부 및 상기 세탁기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제 1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암부의 일 면 및 상기 제 2암부의 일 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hinge arm includes a first arm part extending from the hinge body toward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second arm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arm part so as to be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wire guide part A depression may be formed along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arm part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arm part.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는 상기 제 1암부의 일 면 및 상기 제 2암부의 일 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guide part may be continuously recessed along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arm part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arm part.

상기 도어는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으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may be rotatable around one axis of rotation, and the hing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at least one hinge arm in a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to form the axis of rota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은 상기 힌지바디로부터 상기 세탁기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암부 및 상기 세탁기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제 1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상기 제 2암부로부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hinge arm includes a first arm part extending from the hinge body toward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second arm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arm part so as to be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at least one protrusion part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arm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인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A wire inlet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protrusion so that the wire may be introduced into the wire guide part.

상기 캐비닛과 마주하는 상기 힌지바디의 일 면에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 인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A wire outle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inge body facing the cabinet so that the wire can be drawn out from the wire guide unit.

상기 힌지는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ay include a hing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 guide part to prevent the wire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part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장품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 가이드부를 가지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laundry is put, a door provided with electrical components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wi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 and coupling the door to the cabinet, It may include a hinge having a wire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상기 도어는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The door is rotatable about one rotation axis.

도어에 구비되는 전장품들과 캐비닛에 구비되는 전장품들을 와이어로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힌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외부로 크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provided in the door and electrical components provided in the cabinet with wires, the wires pass through the hinge, thereby preventing the wires from being greatly exposed to the outside.

와이어를 힌지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함으로써 간편하고 용이한 방식으로 와이어가 힌지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By inserting the wire into the wir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hinge, it is possible to allow the wire to pass through the hinge in a simple and easy manner.

와이어 가이드부에 와이어 커버를 결합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와이어 가이드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coupling the wire cover to the wire guide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wire guide unit.

와이어 가이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와이어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를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는 와이어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가 와이어 가이드부에 삽입되면 와이어 커버를 와이어 가이드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가 와이어 수용공간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By using a wire cover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 guide part,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wire into the wire guide part, the work can be performed with the wire cover removed, improving work efficiency, and the wire When inserted into the guide unit, the wire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wire receiving space by coupling the wire cover to the wire guid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발광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힌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 7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글라스 홀더의 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글라스 홀더의 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s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is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oor and a hing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4;
Figure 6 is a view of Figure 5 from another angl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angle in FIG.
9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wires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wires viewed from the front of a glass holder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wires viewed from the rear of a glass holder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Meanwhile, the terms "front", "rear", "upper", "lower", "top", and "bottom"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drawings, and by these terms, the shape and Location is not limited.

전장품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기/전자부품을 의미한다. 또한, 전장품은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장품은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전장품 및 제 2전장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Electrical components refer to electrical/electronic components that ar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In addition, electrical equipment may be used as a meaning including a power supply device. The electrical component may include a first electrical component and a second electrical compon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rst electrical component and the second electrical componen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s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에는 디스플레이(display)(2)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2)는 세탁기(1)의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는 세탁기(1)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사용자가 세탁기(1)의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사용자의 편의 도모 측면에서 시간, 온도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는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그림, 사진, 영상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세탁기(1)에는 디스플레이(2) 및 컨트롤패널(7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a display 2 may be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 Specifically, the display 2 may be provided on the door 20 of the washing machine 1 . The display 2 may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1. In addition, the display 2 may be implemented in a touch screen metho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function of the washing machine 1. In addition, the display 2 may display time, temperature, and the lik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display 2 may display pictures, photos, images, etc. in consideration of design factor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2 and the control panel 70 may be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1 .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2)가 세탁기(1)의 도어(20)에 마련될 경우, 디스플레이(2)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전장품 중 적어도 일부가 도어(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전장품의 일 예가 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2 is provided on the door 20 of the washing machine 1 as shown in FIG. 1 , at least some of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required to operate the display 2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20 . A circuit board that controls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2 may be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발광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예시도이다.2 is another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ght emitting unit is applied to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에는 발광부(3)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는 세탁기(1)의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발광부(3)는 도어(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세탁기(1)의 도어(20)에 발광부(3)를 마련함으로써 다이나믹(dynamic)한 디자인을 가지는 세탁기(1)를 구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a light emitting unit 3 may be a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1 .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unit 3 may be provided on the door 20 of the washing machine 1 . As an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3 may be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door 20 . The washing machine 1 having a dynamic design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the light emitting unit 3 in the door 20 of the washing machine 1 .

도 2와 같이 발광부(3)가 세탁기(1)의 도어(20)에 마련될 경우, 발광부(3)를 구현하거나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각종 전장품 중 적어도 일부가 도어(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나 발광부(3)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회로기판이 전장품의 일 예가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when the light emitting part 3 is provided on the door 20 of the washing machine 1, at least some of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required to implement or operate the light emitting part 3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20. there is.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or a circuit board that controls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unit 3 may be an example of the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이, 세탁기(1)의 도어(20)에는 사용자의 편의 또는 디자인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수 있고, 그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는 도어(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way, various functions may be added to the door 20 of the washing machine 1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or design aspects, and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components for implementing such functions is inside the door 20. can be provided i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가 적용된 세탁기(1)를 도시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3 shows a washing machine 1 to which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1), 세탁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프레임(12), 세탁기(1)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13), 세탁기(1)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 프레임(미도시) 및 세탁기(1)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washing machine 1 may include a cabinet 10 forming an exterior. The cabinet 10 includes a front frame 11 forming a front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1, an upper frame 12 forming a top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a side frame forming a side exterior of the washing machine 1 ( 13), a lower frame (not shown)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a rear frame (not shown)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washing machine 1.

세탁기(1)는 터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저수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tub (not shown). The tub is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and may store washing water.

세탁기(1)는 드럼(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15)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15)의 벽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5a)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15)은 원통형일 수 있다. 드럼(15)의 전면부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drum 15 . The drum 15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tub. A plurality of dewatering holes 15a may be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drum 15 . Drum 15 may be cylindrical. An opening for entering and exiting laundry may be formed at the front of the drum 15 .

세탁기(1)는 도어(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개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20)는 개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하나의 회전축(rotating axis)(19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door 20 . An opening 16 may be formed in the front frame 11 to insert or take out laundry. The door 20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6 . Specifically, the door 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frame 11 of the cabinet 1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6 . The door 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about one rotating axis 195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oor 20 will be described later.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에는 도어(20)가 개구(16)를 폐쇄하였을 때 도어(20)와 접촉하는 도어 접촉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 접촉부(17)는 세탁기(1)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고, 개구(16)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A door contact portion 17 contacting the door 20 when the door 20 closes the opening 1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frame 11 of the cabinet 10 . The door contact portion 17 may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may b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opening 16 .

또한, 도어 접촉부(17)는 도어(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20)가 폐쇄되었을 때, 캐비닛(10)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contact portion 17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oor 20 . Accordingly,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appearance of the cabinet 10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protruding portion from the surface of the cabinet 10 .

세탁기(1)는 급수관(미도시) 및 세제통(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은 터브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터브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관의 일 측은 급수밸브(미도시)와 연결되고, 급수관의 타 측은 세제통(18)과 연결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and a detergent container 18 . A water supply pipe may be installed above the tub to supply wash water into the tub.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and the other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container 18 .

세제통(18)은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드럼(15)과 연결되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통(18)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드럼(15) 내부로 공급된다.The detergent container 18 is connected to the drum 15 through a connection pipe (not shown), and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s supplied into the drum 15 together with the detergent via the detergent container 18.

세탁기(1)는 구동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는 드럼(15)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드럼(15)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not shown). A driving motor may be provided behind the drum 15 to drive the drum 15 .

세탁기(1)는 배수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유닛은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세탁기(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유닛은 배수펌프(미도시)와, 터브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와 배수펌프를 연결하는 연결호스(미도시)와,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unit (not shown). The drain unit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10 to discharge wash water inside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 The drainage unit includes a drainage pump (not shown), a connection hose (not shown) connecting the tub and the drainage pump so that water inside the tub can flow into the drainage pump, and the water pumped by the drainage pump to the washing machine (1). It may include a drain hose (not shown) that guides to the outside of.

세탁기(1)는 컨트롤패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70)은 캐비닛(10)의 전면 프레임(11)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70)은 세탁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71)과, 사용자가 세탁기(1)의 작동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부(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anel 70 . The control panel 70 may be provided above the front frame 11 of the cabinet 10 . The control panel 70 may include a display window 71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1 and a manipulation unit 72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manipul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shing machine 1 .

세탁기(1)는 힌지(hinge)(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100)는 도어(20)와 캐비닛(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100)는 도어(20)를 회동 가능하게 캐비닛(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hinge 100 . The hinge 100 may couple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 In other words, the hinge 100 can pivot the door 20 to the cabinet 1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inge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세탁기(1)는 제 1전장품(200)(도10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전장품(200)은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전장품(200)은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see FIG. 10).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10 . Preferably,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제 1전장품(200)은 일 예로써, 메인 인쇄회로기판(main PCB), 서브 인쇄회로기판(sub PCB), 급수밸브, 구동모터, 전원공급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캐비닛(10)의 후방 측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드럼(1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마이컴(microcomputer), 급수밸브, 구동모터 등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인쇄회로기판은 제 2전장품(3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서브 인쇄회로기판은 컨트롤패널(7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인쇄회로기판은 컨트롤패널(70)에 마련되는 표시창(71), 조작부(72) 등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인쇄회로기판 및 서브 인쇄회로기판의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 제 1전장품(200)의 일 예로써, 메인 인쇄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first electrical component 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main PCB), a sub printed circuit board (sub PCB), a water supply valve, a driving motor, a power supply device, and the like.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10 . Specifically,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cabinet 10 . In other words,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behind the drum 15.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can control the operating states of a microcomputer, a water supply valve, a driving moto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can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300 . The sub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trol panel 70 . The sub printed circuit board can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window 71 and the operation unit 72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70 . The positions of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ub printed circuit boar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Hereinafter, as an example of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will be mainly described.

세탁기(1)는 제 2전장품(300)(도10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전장품(300)은 캐비닛(10)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전장품(300)이 마련되는 위치의 일 예로써, 제 2전장품(300)은 도어(20)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전장품(300)은 도어(2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전장품(300)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예로써, 디스플레이(2)(도1참고)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회로기판,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 발광부(3)(도2참고)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refer to FIG. 10).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abinet 10 . As an example of a location where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is provided,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may be provided in the door 20 . Preferably,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oor 20 . As described in FIGS. 1 and 2,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300 includes, for example,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2 (see FIG. 1),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and a light emitting unit 3. (See FIG. 2) may include a circuit board that controls the operating state.

세탁기(1)는 와이어(400)(도10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400)는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400)는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wire 400 (see FIG. 10). The wire 400 may connect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and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 Specifically, the wire 4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and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ire 4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힌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 7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가 적용된 세탁기(1)를 도시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oor and a hinge of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4 . 6 is a view of FIG. 5 from another angle,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in FIG. 7 , and FIG. 9 is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in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to 6 show a washing machine 1 to which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는 사용자가 드럼(15)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도어 글라스(30)와, 도어 글라스(30)가 결합되고, 그 일 측에 힌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 내지 결합되는 수용홈(44)이 형성되는 글라스 홀더(40)와, 글라스 홀더(40)의 전면을 덮는 도어 커버(50)와, 글라스 홀더(40)와 도어 커버(50) 사이에 위치하며, 수용홈(44)을 덮어 수용홈(44)과 함께 힌지(1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를 형성하는 커버플레이트(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9, the door 20 is coupled with a door glass 30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side of the drum 15 and the door glass 30, on one side thereof A glass holder 40 in which an accommodation groove 44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100 is accommodated or coupled is formed, a door cover 50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holder 40, and the glass holder 40 and the door It is located between the covers 50 and includes a cover plate 60 covering the receiving grooves 44 and forming an accommodating portion (not shown)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100 together with the receiving grooves 44. can

도어 글라스(30)는 사용자가 세탁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glass 3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washing process.

도어 글라스(30)는 그 전방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의 글라스 바디(31)와, 글라스 홀더(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글라스 바디(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32)와, 글라스 바디(31)의 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탁 과정에서 사용되는 세탁수를 드럼(15) 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glass 30 includes a cylindrical glass body 31 whose front is opened, a flange portion 32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lass body 31 so as to be coupled to the glass holder 40, and a glass A guide part 33 formed obliquely at the rear of the body 31 and guiding wash water used in the washing process toward the drum 15 may be included.

글라스 홀더(40)는 그 중심부가 중공된 원판 형상의 홀더바디(41)와, 홀더바디(41)의 원주방향을 따라 그 전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2)와, 손잡이부(42)와 반대되는 위치에서 홀더바디(41)의 원주방향을 따라 그 전면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lass holder 40 has a holder body 41 in the shape of a disc with a hollow center, a handle part 4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41, and opposite to the handle part 42 It may include a hinge coupling portion 43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41 at the position.

힌지결합부(43)는 힌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 내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44)과, 커버플레이트(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홀더바디(41)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결합리브(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coupling portion 43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body 41 so that at least one receiving groove 44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100 is accommodated or coupled and the cover plate 60 can be coupled It may include a coupling rib 45 to be.

수용홈(44)은 도어(20)가 개구(16)를 폐쇄한 상태에서 힌지(100)의 제 2암부(122)를 수용하는 제 1수용홈(44a)과, 힌지(100)의 돌기부(130)를 수용하는 제 2수용홈(4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수용홈(44a)은 홀더바디(41)의 일부분이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되며, 제 2수용홈(44b)은 제 1수용홈(44a)과 교차, 연통될 수 있다. 제 1수용홈(44a)은 대략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마련되고, 제 2수용홈(44b)은 제 1수용홈(44a)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groove 44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groove 44a accommodating the second arm portion 122 of the hing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closes the opening 16, and a protrusion of the hinge 100 ( 130)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4b.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4a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holder body 41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4b can cross and communicate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4a. there is.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4a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4b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4a.

결합리브(45)는 홀더바디(41)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커버플레이트(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홀더바디(41)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다. 또한, 결합리브(45)가 홀더바디(41)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됨으로써, 도어(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도어(20)의 하중이 집중되는 힌지결합부(43)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므로, 도어(20)가 쳐지거나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upling rib 45 is formed lo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der body 41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body 41 so that the cover plate 60 can be coupled thereto. In addition, as the coupling rib 45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holder body 41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rigidity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43 in which the load of the door 20 is concentrated while the door 20 rotates is reinforced. Therefore, the door 20 can be stably rotated without being hit or damaged.

도어 커버(50)는 도어(20)의 외관을 형성하고, 글라스 홀더(4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글라스 홀더(40)에 결합될 수 있다.The door cover 50 forms the exterior of the door 20 and may be coupled to the glass holder 40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holder 40 .

도어 글라스(30), 글라스 홀더(40) 및 도어 커버(50)는 가벼우면서도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The door glass 30, the glass holder 40, and the door cover 50 may be injection molded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lightweight and has a certain level of strength.

커버플레이트(60)는 결합리브(4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드럼(15)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힌지결합부(43)에 결합된다. 커버플레이트(60)는 힌지결합부(43)를 덮을 수 있도록 그 외측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절곡부(61)와, 도어(20)가 개구(16)를 폐쇄한 상태에서 힌지(100)의 제 2암부(122) 및 돌기부(13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 1수용홈(44a) 및 제 2수용홈(44b)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2암부(122) 및 돌기부(130)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제 3수용홈(62)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plate 6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rib 45 and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43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um 15 . The cover plate 60 includes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61 formed by bending an outer end thereof to cover the hinge coupling portion 43, and a hing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closes the opening 16. A part of the second arm part 122 and the protrusion part 13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4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4b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cond arm part 122 and the protrusion part 130 of ) It may include a third receiving groove 62 for accommodating.

제 3수용홈(62)은 제 1수용홈(44a) 및 제 2수용홈(44b)과 함께 힌지(1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수용홈(62)은 커버플레이트(60)가 제 2암부(122)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 1수용홈(44a)과 함께 제 2암부(122)를 수용하고, 도어(20)가 회전축(195)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수용홈(44b)과 함께 돌기부(130)를 수용 내지 지지할 수 있다.The third accommodating groove 62 may form an accommodating portion (not shown)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inge 100 together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4a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groove 44b. Specifically, the third accommodating groove 62 accommodates the second arm portion 122 together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groove 44a so that the cover plate 6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cond arm portion 122, and the door 20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or support the protrusion 130 together with the second receiving groove 44b so that the rotation shaft 195 can be rotated as a rotation center.

힌지(100)는 도어(20)가 회전축(rotating axis)(19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도어(20)를 캐비닛(10)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hinge 100 may couple the door 20 to the cabinet 10 such that the door 20 is pivotable around a rotating axis 195 .

힌지(100)는 힌지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바디(110)는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바디(110)는 개구(16)의 외측으로 캐비닛(1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힌지바디(110)는 개구(16)의 외측으로 전면 프레임(11)에 결합될 수 있다.The hinge 100 may include a hinge body 110 . The hinge body 110 may be coupled to the cabinet 10 . Specifically, the hinge body 11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16 . That is, the hinge body 11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frame 11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16 .

힌지바디(110)는 대략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힌지바디(110)는 캐비닛(10)의 전면, 즉, 전면 프레임(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body 110 may be provided as a plate extending substanti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oor 20 . In addition, the hinge bod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11 to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that is, to the front frame 11.

힌지(10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힌지바디(1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The hinge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hinge arm 120 . At least one hinge arm 120 may extend from the hinge body 110 .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힌지바디(110)로부터 세탁기(1)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암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암부(121)는 힌지바디(11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hinge arm 120 may include a first arm portion 121 extending from the hinge body 110 toward the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1 . That is, the first arm portion 121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inge body 110 .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세탁기(1)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제 1암부(121)로부터 연장되는 제 2암부(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hinge arm 1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rm portion 122 extending from the first arm portion 121 so as to be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1 .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제 1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123)은 캐비닛(10)과 마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면(123)은 캐비닛(10)의 전면과 마주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t least one hinge arm 12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23 . The first surface 123 may face the cabinet 10 . Specifically, the first surface 123 may face the front of the cabinet 10 .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제 2면(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24)은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할 수 있다.At least one hinge arm 1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rface 124 . The second surface 124 may face downwar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제 3면(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면(125)은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할 수 있다.* At least one hinge arm 12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rface 125. The third surface 125 may face upwar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제 4면(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4면(126)은 도어(20)와 마주할 수 있다.At least one hinge arm 12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urface 126 . The fourth surface 126 may face the door 20 .

제 2면(124) 및 제 3면(125)은 제 1면(123) 및 제 4면(126)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면(124)은 제 1면(123)의 하단부 및 제 4면(126)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 3면(125)은 제 1면(123)의 상단부 및 제 4면(126)의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surface 124 and the third surface 125 may connect the first surface 123 and the fourth surface 126 . Specifically, the second surface 124 may connec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rface 123 and the lower end of the fourth surface 126 . The third surface 125 may connec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rface 123 and the upper end of the fourth surface 126 .

힌지(10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으로부터 회전축 방향(rotating axis)(X)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회전축(195)을 형성할 수 있다.The hinge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 At least one protrusion 130 may protrude from at least one hinge arm 120 in a rotating axis direction (X). At least one protrusion 130 may form a rotation shaft 195 .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제 1돌기부(131) 및 제 2돌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돌기부(131)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으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돌기부(132)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으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돌기부(131)는 제 2암부(122)의 일 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 2돌기부(132)는 제 2암부(122)의 일 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돌기부(131) 및 제 2돌기부(132)는 각각 제 2암부(122)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 및 하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At least one protrusion 13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31 and a second protrusion 132 . The first protrusion 131 may protrude upward from at least one hinge arm 120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The second protrusion 132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131 may protrude up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arm portion 122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one part of the second arm portion 122. It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en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That is,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may exten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econd arm 122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respectively.

힌지(100)는 와이어(400)를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100 may further include a wire guide part 140 for guiding the wire 400 .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힌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와이어(4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힌지(10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와이어(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10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guide part 140 may be formed on the hinge 100 . The wire guide part 140 may be recessed in the hinge 100 so that the wire 400 can pass therethrough. In other words, the wire guide part 140 may be recessed into the hinge 100 so that the wire 400 can be inserted.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암부(121)의 일 면 및 제 2암부(122)의 일 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암부(121)의 일 면 및 제 2암부(122)의 일 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속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guide part 14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hinge arm 120 . The wire guide part 140 may be recessed along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arm part 121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arm part 122 . The wire guide part 140 may be continuously formed by recessing along at least on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arm part 121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arm part 122 .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면(123)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guide unit 140 may be recess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123 .

힌지(100)는 와이어 인입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로 인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가이드부(140)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와이어 인입구(150)는 제 1돌기부(131) 및 제 2돌기부(13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인입구(150)는 제 2돌기부(132)에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100 may further include a wire inlet 150 . The wire inlet 15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 guide unit 140 so that the wire 4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wire guide unit 140 . The wire inlet 15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 That is, the wire inlet 15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 Preferably, the wire inlet 15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protrusion 132 .

힌지(100)는 와이어 인출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 가이드부(140)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100 may further include a wire outlet 160 . The wire outlet 16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112 of the hinge body 110 facing the cabinet 10 so that the wire 400 can be drawn out from the wire guide unit 140 . The wire outlet 16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 guide part 140 so that the wire 400 can be drawn out from the wire guide part 140 .

힌지(100)는 힌지 커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된 와이어(4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10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힌지 커버(170)를 사용함으로써, 와이어(400)를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시키는 과정에서는 힌지 커버(170)를 제거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되면 힌지 커버(170)를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결합시킴으로써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hinge 100 may further include a hinge cover 170 . The hinge cover 17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 guide unit 140 . The hinge cover 170 may serv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wire guide unit 140 . In addition, the hinge cover 170 may serve to prevent the wire 400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unit 14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hinge cover 17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 guide unit 140 to form part of the exterior of the hinge 100 . In this way, by using the hinge cover 170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 guide unit 14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wire 400 into the wire guide unit 140, the hinge cover 170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 efficiency by performing work with, and when the wire 400 is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part 140, the wire 400 is wired by coupling the hinge cover 170 to the wire guide part 140. It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guide part 140.

힌지 커버(170)는 커버바디(171)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cover 170 may include a cover body 171 .

힌지 커버(17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는 커버바디(17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는 커버바디(171)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결합리브(172a) 및 커버바디(171)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결합리브(17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cover 17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upling rib 172 . At least one coupling rib 172 may extend from the cover body 171 . Preferably, at least one coupling rib 172 is a first coupling rib 172a extending upward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X) from the cover body 171 and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X) from the cover body 171. A second coupling rib 172b extending downward may be included.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7)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7)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7)은 와이어 가이드부(140)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일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와이어 가이드부(140)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1면(123)에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27) 역시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1면(123)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coupling rib 172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127 formed in at least one hinge arm 120 . At least one coupling rib 172 may be fitted into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127 .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127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as one surface of at least one hinge arm 120 on which the wire guide part 140 is formed. As an example, when the wire guide part 140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23 of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the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127 is also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It may be formed on one side (123).

힌지 커버(170)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커버바디(17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일 면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힌지 커버(170)를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절곡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와이어 가이드부(140)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1면(123)에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커버바디(171)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이 때, 절곡부(174)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2면(124)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써, 와이어 가이드부(140)가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1면(123)에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는 커버바디(171)로부터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이 때, 절곡부(174)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3면(125)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The hinge cover 17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pport rib 173 . At least one support rib 173 may extend from the cover body 171 . At least one support rib 173 may be engaged with one surface of at least one hinge arm 120 . At least one support rib 173 may include a bent portion 174 having a bent shape to couple the hinge cover 170 to the wire guide portion 140 . As an example, when the wire guide part 140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23 of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the at least one support rib 173 extends from the cover body 171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 and at this time, the bent part 174 can be engaged with the second surface 124 of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 As another example, when the wire guide part 140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23 of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the at least one support rib 173 extends from the cover body 171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 X), and at this time, the bent part 174 can be engaged with the third surface 125 of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

힌지 커버(17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리브(172)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73)에 의해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hinge cover 170 may be stably coupled to the wire guide part 140 by at least one coupling rib 172 and at least one support rib 173 .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와 함께 와이어 인입구(15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절개부(175)를 포함할 수 있고,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는 절개부(175)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와 함께 와이어 인입구(150)를 형성할 수 있다.One end of the hinge cover 170 may form a wire inlet 150 together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130 .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may include a cutout 175, and one end of the hinge cover 170 is coupled to the cutout 175 to form a wire inlet wit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150) can be formed.

힌지 커버(170)의 다른 단부는 와이어 인출구(16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 커버(170)의 다른 단부는 힌지바디(110)와 함께 와이어 인출구(160)를 형성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hinge cover 170 may form part of the wire outlet 160 . In other words, the other end of the hinge cover 170 may form the wire outlet 160 together with the hinge body 110 .

힌지(10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커버(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커버(18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를 감싸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커버(180)는 회전축(195)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가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hinge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cover 180 . The at least one protrusion cover 180 may be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 The at least one protrusion cover 18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to prevent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serving as the rotating shaft 195 from being worn or damaged.

세탁기(1)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결합되는 고정링(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190)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링(190)은 와이어 인입구(150)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링(190)은 밑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고정링(190)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고정링(190)은 와이어 인입구(150)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및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를 동시에 감쌀 수 있다. 고정링(19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 및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는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1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ring 190 coupled to at least one protrusion 130 . The fixing ring 190 may be coupled to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so as to surround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from the outside. The fixing ring 19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protrusion 130 where the wire inlet 150 is formed. The fixing ring 19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However, the shape of the fixing ring 19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The fixing ring 190 may cover at least one protrusion forming the wire inlet 150 and one end of the hinge cover 170 at the same tim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and one end of the hinge cover 170 may be firmly coupled by the fixing ring 190 .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은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1힌지암(128) 및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2힌지암(12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의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힌지암(128)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의 와이어 가이드부(140)는 제 1힌지암(128)의 제 1면(123)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may include a first hinge arm 128 positioned downwar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and a second hinge arm 129 positioned upwar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As shown in FIGS. 7 to 9 , the wire guide part 140 of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formed on the first hinge arm 128 . Specifically, the wire guide part 140 of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recessed in the first surface 123 of the first hinge arm 128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글라스 홀더의 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글라스 홀더의 후방에서 바라본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세탁기(1)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400)를 실선으로 도시하였다.FIG.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wires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view of a wire viewed from the front of a glass holder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wires viewed from the rear of a glass holder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0 , a wire 400 dispos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1 is shown as a solid lin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00)는 힌지(100)를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100)를 통과한 와이어(400)의 일 단부는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고, 힌지(100)를 통과한 와이어(400)의 다른 단부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0 to 12 , the wire 400 may pass through the hinge 100 . Specifically, one end of the wire 400 passing through the hinge 100 is located inside the door 2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400 passing through the hinge 100 is located inside the cabinet 10 can do.

와이어(400)는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400)는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wire 4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lectrical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wire 40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ical component 200 and the second electrical component 300 .

와이어(400)는 제 1와이어(410) 및 제 1와이어(410)에 연결되는 제 2와이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와이어(410)는 힌지(100)를 통과하여 제 2와이어(4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와이어(410)의 일 단부는 도어(20) 내부에 구비되는 제 2전장품(300)에 연결되고, 제 1와이어(410)의 다른 단부는 제 2와이어(4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와이어(410) 및 제 2와이어(420)는 제 1와이어(410)의 다른 단부에 마련되는 커넥터(411)와 제 2와이어(420)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커넥터(421)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와이어(410) 및 제 2와이어(420)의 결합은 캐비닛(10)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와이어(420)는 메인 와이어 하네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 400 may include a first wire 410 and a second wire 420 connected to the first wire 410 . The first wire 410 may pass through the hinge 100 and be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420 . One end of the first wire 4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provided inside the door 2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4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420. In other words, the first wire 410 and the second wire 420 include the connector 411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410 and the connector 421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wire 42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mbination of The first wire 410 and the second wire 420 may be coupled inside the cabinet 10 . The second wire 420 may include a main wire harness.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와이어(40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와이어(40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and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40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oor 20. As an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wire 400 located inside the door 2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oor 20 .

캐비닛(10)에는 관통홀(10a)(도4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10a)은 힌지바디(110)가 결합되는 캐비닛(10)의 일 면, 즉, 캐비닛(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100)를 통과한 와이어(400)는 관통홀(10a)을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A through hole 10a (see FIG. 4) may be formed in the cabinet 10. Specifically, the through hole 10a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10 to which the hinge body 110 is coupled, that i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 The wire 400 passing through the hinge 10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0a and be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0 .

제 2전장품(300)에 연결된 와이어(400)는 힌지(100)에 도달하고, 힌지(100)에 도달한 와이어(400)는 힌지(100)를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제 1전장품(200)에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400)의 일 단부는 제 2전장품(300)에 연결되고, 와이어(400)의 다른 단부는 힌지(100)를 통과하여 제 1전장품(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전장품(200) 및 제 2전장품(300)은 힌지(100)를 통과하는 와이어(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와이어(400)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세탁기(1)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ire 400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reaches the hinge 100, and the wire 400 reaching the hinge 100 passes through the hinge 100 to the first electrical componen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It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 200.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wire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400 may pass through the hinge 100 and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 In this way, since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and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wire 400 passing through the hinge 100, most of the wire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washing machine 1 ) can be prevented from compromising the aesthetics of the

도어(20)에 구비된 제 2전장품(300)에 연결된 와이어(400)는 도어(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힌지(100)에 도달한다. 힌지(100)에 도달한 와이어(400)는 와이어 인입구(150)를 통해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된다. 와이어 가이드부(140)에 삽입된 와이어(400)는 와이어 인출구(160)와, 와이어 인출구(160)에 대응하도록 캐비닛(10)의 일 면에 마련된 관통홀(10a)을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로 인출된다. 캐비닛(10) 내부로 인출된 와이어(40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제 1전장품(200)에 연결된다.The wire 400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appliance 300 provided in the door 20 reaches the hinge 1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oor 20 . The wire 400 reaching the hinge 100 is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part 140 through the wire inlet 150 . The wire 400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unit 140 passes through the wire outlet 160 and the through-hole 10a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10 to correspond to the wire outlet 160, and enters the cabinet 10. pulled out inside The wire 400 drawn into the cabinet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200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0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3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힌지(500)의 와이어 가이드부(540)는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제 2힌지암(129)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실시예에 따른 힌지(500)의 와이어 가이드부(540)는 제 2힌지암(129)의 제 1면(123)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wire guide part 540 of the hinge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formed on the second hinge arm 129 located upwar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Specifically, the wire guide part 540 of the hinge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recessed into the first surface 123 of the second hinge arm 129 .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4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힌지(6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와이어(4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hole) 형상으로 힌지(600)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 the wire guide part 64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inge 600 . In other words, the wire guide part 640 may be formed in the hinge 600 in the shape of a hole so that the wire 400 may pass therethrough.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대략 회전축(195)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4면(126)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 및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 가이드부(6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 guide part 64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t least one hinge arm 120 . The wire guide part 64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t least one hinge arm 120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195 . The wire inlet 150 may be formed on the fourth surface 126 of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 The wire outlet 16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112 of the hinge body 110 facing the cabinet 10 . The wire inlet 150 and the wire outlet 16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 guide part 640 .

도 14는 와이어 가이드부(640)가 제 1힌지암(128)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와이어 가이드부(640)는 제 1힌지암(128) 및 제 2힌지암(129)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14 shows a case where the wire guide part 640 is formed on the first hinge arm 128, but the wire guide part 640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hinge arm 128 and the second hinge arm 129. can be formed i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5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힌지(7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와이어(4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hole) 형상으로 힌지(700)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 the wire guide part 74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inge 700 . In other words, the wire guide part 740 may be formed in the hinge 700 in a hole shape to allow the wire 400 to pass therethrough.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힌지바디(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대략 회전축(195)에 수직한 방향으로 힌지바디(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는 도어(20)와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3)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출구(160)는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인입구(150) 및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 가이드부(7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 guide part 74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inge body 110 . The wire guide part 74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hinge body 110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195 . The wire inlet 15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113 of the hinge body 110 facing the door 20 . The wire outlet 16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112 of the hinge body 110 facing the cabinet 10 . The wire inlet 150 and the wire outlet 16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 guide part 740 .

도 15는 와이어 가이드부(740)가 제 1힌지암(128) 하부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와이어 가이드부(740)는 제 1힌지암(128)과 제 2힌지암(129)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 2힌지암(129)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15 shows a case where the wire guide part 740 is formed under the first hinge arm 128, but the wire guide part 740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hinge arm 128 and the second hinge arm 129. It may be formed, or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inge arm 129.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ing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inge. Hereinafter,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와이어(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80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wire guide part 840 may be recessed into the hinge 800 so that the wire 400 may be inserted. Specifically, the wire guide part 840 may be recessed in at least one hinge arm 120 .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회전축 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암(120)의 제 2면(12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guide part 840 may be recess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124 of the at least one hinge arm 120 that faces downwar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와이어 인입구(15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는 절개부(175)를 포함하고, 힌지 커버(170)의 일 단부가 절개부(175)에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0)와 함께 와이어 인입구(150)를 형성할 수 있다.The wire inlet 15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protrusion 130 . Specifically,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includes a cutout 175, and one end of the hinge cover 170 is coupled to the cutout 175 to form a wire inlet 150 together with the at least one protrusion 130. ) can be formed.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840)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면(112)에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outlet 16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112 of the hinge body 110 facing the cabinet 10 so that the wire 400 can be drawn out from the wire guide unit 840 .

와이어 인입구(150) 및 와이어 인출구(160)는 와이어 가이드부(8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wire inlet 150 and the wire outlet 160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 guide part 840 .

힌지(800)는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는 힌지바디(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는 회전축(195)을 향하는 힌지바디(11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 역시 와이어 가이드부(84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hinge 8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wire outlet 841 . An additional wire outlet 841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hinge body 110 . Specifically, the additional wire outlet 84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inge body 110 toward the rotation shaft 195 . An additional wire outlet 841 may also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ire guide part 840 .

와이어(400)는 회전축 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도록 와이어 인입구(150)에 삽입된다. 와이어 인입구(150)에 삽입된 와이어(400)는 대략 회전축 방향(X)에 수직한 방향으로 캐비닛(10) 내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 인입구(150)에 삽입된 와이어(400)는 제 2암부(122)의 일 면을 따라 캐비닛(10) 내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 후, 와이어(400)는 세탁기(1) 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와이어(400)는 제 1암부(121)의 일 면을 따라 세탁기(1) 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제 1암부(121)의 일 면을 따라 세탁기(1) 후방을 향하여 이동한 와이어(400)는 와이어 인출구(160) 내지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841)를 통과하여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힌지 커버(170)는 와이어(400)가 와이어 가이드부(840)에 삽입된 이후에 와이어 가이드부(8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wire 400 is inserted into the wire inlet 150 so as to face upwar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X). The wire 400 inserted into the wire inlet 150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X of the rotation axis. In other words, the wire 400 inserted into the wire inlet 150 moves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0 along one side of the second arm 122 . After that, the wire 400 moves toward the rear of the washing machine 1 . In other words, the wire 400 moves toward the rear of the washing machine 1 along one side of the first arm 121 . The wire 400 that moves toward the rear of the washing machine 1 along one side of the first arm 121 may be introduced in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wire outlet 160 or the additional wire outlet 841. . The hinge cover 17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ire guide unit 840 after the wire 400 is inserted into the wire guide unit 840 .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힌지암(128)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840)는 제 1힌지암(128)의 제 2면(12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 the wire guide part 840 may be recessed into the first hinge arm 128 . Specifically, the wire guide part 840 may be recess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124 of the first hinge arm 128 .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제 6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힌지(100) 및 제 5실시예에 따른 힌지(8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8 is a view showing a hing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in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hing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hinge 8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900)의 와이어 가이드부(940)는 제 2힌지암(129)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가이드부(940)는 제 2힌지암(129)의 제 2면(124)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8 , the wire guide part 940 of the hinge 900 may be recessed into the second hinge arm 129 . Specifically, the wire guide part 940 may be recess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rface 124 of the second hinge arm 129 .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세탁기 2: 디스플레이
3: 발광부 10: 캐비닛
10a: 관통홀 11: 전면 프레임
12: 상면 프레임 13: 측면 프레임
15: 드럼 16: 개구
17: 도어 접촉부 18: 세제통
20: 도어 30: 도어 글라스
31: 글라스 바디 32: 플랜지부
33: 가이드부 40: 글라스 홀더
41: 홀더바디 42: 손잡이부
43: 힌지결합부 44: 수용홈
44a: 제 1수용홈 44b: 제 2수용홈
45: 결합리브 50: 도어 커버
60: 커버플레이트 61: 절곡부
62: 제 3수용홈 70: 컨트롤패널
71: 표시창 72: 조작부
100,500,600,700,800,900: 힌지 110: 힌지바디
111: 고정홀 112: 일 면
120: 힌지암 121: 제 1암부
122: 제 2암부 123: 제 1면
124: 제 2면 125: 제 3면
126: 제 4면 127: 결합홈
128: 제 1힌지암 129: 제 2힌지암
130: 돌기부 131: 제 1돌기부
132: 제 2돌기부 150: 와이어 인입구
160: 와이어 인출구 170: 힌지 커버
171: 커버바디 172: 결합리브
172a: 제 1결합리브 172b: 제 2결합리브
173: 지지리브 174: 절곡부
175: 절개부 180: 돌기부 커버
190: 고정링 200: 제 1전장품
300: 제 2전장품 400: 와이어
410: 제 1와이어 411: 커넥터
420: 제 2와이어 421: 커넥터
113: 일 면 841: 추가적인 와이어 인출구
195: 회전축 15a: 탈수공
140,540,640,740,840,940: 와이어 가이드부
1: washing machine 2: display
3: light emitting part 10: cabinet
10a: through hole 11: front frame
12: top frame 13: side frame
15: drum 16: opening
17: door contact 18: detergent box
20: door 30: door glass
31: glass body 32: flange portion
33: guide unit 40: glass holder
41: holder body 42: handle
43: hinge joint 44: receiving groove
44a: first receiving groove 44b: second receiving groove
45: coupling rib 50: door cover
60: cover plate 61: bent portion
62: third receiving groove 70: control panel
71: display window 72: control panel
100,500,600,700,800,900: hinge 110: hinge body
111: fixing hole 112: one side
120: hinge arm 121: first arm portion
122: second arm part 123: first surface
124: 2nd side 125: 3rd side
126: fourth surface 127: coupling groove
128: first hinge arm 129: second hinge arm
130: protrusion 131: first protrusion
132: second projection 150: wire inlet
160: wire outlet 170: hinge cover
171: cover body 172: coupling rib
172a: first coupling rib 172b: second coupling rib
173: support rib 174: bent part
175: incision 180: protrusion cover
190: fixing ring 200: first electrical component
300: second electric appliance 400: wire
410: first wire 411: connector
420: second wire 421: connector
113: one side 841: additional wire outlet
195: rotating shaft 15a: dehydration
140,540,640,740,840,940: wire guide part

Claims (1)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와, 제 1 전장품을 갖는 캐비닛;
제 2 전장품을 갖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제 1 전장품 및 상기 제 2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도어가 회전축(rotating axis)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결합시키는 힌지;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제 1 힌지암;
상기 제 1 힌지암과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 2 힌지암; 및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상기 제 2 힌지암의 상기 회전축 방향의 면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드; 를 포함하는 세탁기.


a cabinet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laundry is put, and a first electric appliance;
a door having a second electrical component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wir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electrical component and the second electrical component; and
a hinge coupling the door to the cabinet so that the door can rotate around a rotating axis; including,
the hinge,
a first hinge arm;
a second hinge arm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inge arm in a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nd
a wire guide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hinge arm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o guide the wire;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KR1020230036884A 2019-03-22 2023-03-21 Washing machine KR102629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884A KR102629009B1 (en) 2019-03-22 2023-03-21 Washing machine
KR1020240009005A KR20240013267A (en) 2019-03-22 2024-01-19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834A KR102320194B1 (en) 2018-03-23 2019-03-22 Washing machine
KR1020210143518A KR102514106B1 (en) 2019-03-22 2021-10-26 Washing machine
KR1020230036884A KR102629009B1 (en) 2019-03-22 2023-03-21 Washing ma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518A Division KR102514106B1 (en) 2019-03-22 2021-10-26 Washing machi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9005A Division KR20240013267A (en) 2019-03-22 2024-01-19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261A true KR20230042261A (en) 2023-03-28
KR102629009B1 KR102629009B1 (en) 2024-01-25

Family

ID=7850550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518A KR102514106B1 (en) 2019-03-22 2021-10-26 Washing machine
KR1020230036884A KR102629009B1 (en) 2019-03-22 2023-03-21 Washing machine
KR1020240009005A KR20240013267A (en) 2019-03-22 2024-01-19 Washing machin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518A KR102514106B1 (en) 2019-03-22 2021-10-26 Washing machin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9005A KR20240013267A (en) 2019-03-22 2024-01-19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1410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264A (en)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Washing machine
KR20150051466A (en) * 2013-11-04 2015-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264A (en)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Drum Washing machine
KR20150051466A (en) * 2013-11-04 2015-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nec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009B1 (en) 2024-01-25
KR20240013267A (en) 2024-01-30
KR20210131966A (en) 2021-11-03
KR102514106B1 (en)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083B1 (en) Washing machine
KR102537237B1 (en) Washing machine
KR102040791B1 (en) Washing machine
EP2581025A1 (en) Control panel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320194B1 (en) Washing machine
KR102514106B1 (en) Washing machine
KR102521489B1 (en) Washing machine
KR101963249B1 (en) Washing machine
KR101057713B1 (en) Control panel assembly structure of drum washing machine
KR20220114709A (en) Washcing machine
CN117881833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30127795A (en) Washcing machin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8056043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050091408A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button in washing-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