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455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455A
KR20230041455A KR1020210125101A KR20210125101A KR20230041455A KR 20230041455 A KR20230041455 A KR 20230041455A KR 1020210125101 A KR1020210125101 A KR 1020210125101A KR 20210125101 A KR20210125101 A KR 20210125101A KR 20230041455 A KR20230041455 A KR 2023004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terminal
coupling
sp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455A/en
Publication of KR2023004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4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6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one or more balls engaging in a hole or a groov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10). The exterior and framework of the connector (10) can be formed by a housing (12). A terminal can be seated in a terminal seating space (16) formed in the housing (12), and a spacer (30) can be used to firmly maintain the terminal with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The spacer (30) can include coupling fingers (35) each having a first locking protrusion (38) that maintains a first locking state and a second locking state through a protective hood (18) formed in the housing (12)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39) that can be hung on the edge of a fastening hole (42) formed in a panel (40).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9) is larger tha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38) and is closer to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finger (35).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pacer (30) to be placed in the housing (12) in the first locking state and the second locking state by using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38)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9) of the coupling finger (35) and to also be mounted on the panel (40). Therefore, the number of connector parts having a function for mounting on the panel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nectors.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부품들이 구성하는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서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커넥터는 와이어의 선단에 설치되어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도록 한다.For example, connectors may be used to connect circuits composed of parts used in automobiles. This connector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wir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wires to form a circuit.

이와 같이 회로를 구성하는 커넥터를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해서 클립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일측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되고 타측이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을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할 때, 클립에 있는 돌기와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는 돌기가 서로 걸어져서 클립과 커넥터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클립은 자동차의 고정부인 패널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패널에 클립이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클립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In this way, a clip may be used to fix the connector constituting the circuit to the fixing part. One side of the clip may be mounted on a fixing part of a vehicle and the other side may be mounted on a housing of a connector. When the clip is mounted o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the protrusions on the clip and the protrusions on the housing of the connecto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lip and the connector can be fastened. Such a clip is generally mounted on a panel, which is a fixed part of a vehicle, and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clip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state in which the clip is fixed to the panel.

그리고, 커넥터에서는 터미널이 하우징 내의 터미널안착공간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을 수 있도록 스페이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는 하우징의 외면 일측으로 개방된 스페이서설치공간에 삽입되어 터미널안착공간에 설치된 터미널을 이중으로 지지하게 된다. 하지만, 스페이서를 설치하게 되면 스페이서가 외력에 의해 가조립상태에서 완전조립상태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둬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하우징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외면에 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두어야 하므로, 이에 의해 하우징의 전체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And, in the connector, a spacer can be used so that the terminal can be more firmly install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in the housing. Such a spacer is inserted into the spacer installation space open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 double support the terminal install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However, when a spacer is installed,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pacer from being arbitrarily moved from a provisionally assembled state to a fully assembled state due to an external force ha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housing increases. In addition, since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clip must be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size of the housing thereby increases.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는 하우징에 체결되어 터미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터미널을 지지하는 상태인 2차록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가 하우징에 체결되어 있는 것을 해지하여야 터미널의 리워크가 가능해지는데, 상기 스페이서의 2차록킹상태를 해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스페이서를 2차록킹하기 위한 돌기구조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spacer is fastened to the housing and serves to support the terminal, and the rework of the terminal is possible only when the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secondary locking state, which is a state of supporting the terminal, is fastened to the housing. In order to cancel the secondary locking state of the spacer, a separate tool must be used, and in this process,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protrusion structure for secondary locking the spacer is damaged.

한국실용신안공개 제 20-1995-0031541 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5-0031541 일본공개특허 평성09-0824423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09-0824423 한국공개특허 제 10-2011-0076582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76582 일본 등록 제 4001525 호Japanese Registration No. 400152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널에의 장착을 위한 기능과 터미널을 하우징 내에 유지하는 구조가 일체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integrate a function for mounting on a panel and a structure for holding a terminal in a housing.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패널에 체결하고 분리하는 것과 스페이서가 하우징 내에 1차록킹과 2차록킹으로 되고 이에서 해제되는 것이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connector is fastened to and separated from the panel, and that the spacer is first and secondly locked in the housing and released from the housing by elastic deform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와 터미널을 하우징 내에 유지시키는 스페이서의 1차록킹과 2차록킹을 위한 구조를 공용화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are a structure for mounting a connector on a panel and a structure for primary locking and secondary locking of a spacer holding a terminal in a hous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면으로 스페이서공간이 개방되며 타측 외면에는 체결레버를 둘러싸는 보호후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스페이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걸이턱이 구비되는 스페이서몸체와, 상기 스페이서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터미널통공과, 상기 스페이서몸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이 돌출되어 상기 보호후드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제1걸이턱과 패널에의 장착을 위한 제2걸이턱이 구비되는 결합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seating space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through the inside, a spacer space is opened to one outer surface, and the other outer surface protects the fastening lever. It may include a housing in which a hood is formed, and a spacer installed in the spacer space to support the terminal, the spacer being positioned in the spacer space and having a hooking jaw supporting the terminal, the spacer body, and the spacer body. A terminal through-hole formed through the body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at least two or more protruding from the spacer body to pass through the protective hood and se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acer. It may include a coupling finger provided with a hook and a second hook for mounting on the panel.

상기 보호후드에는 상기 결합핑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upling finger passes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ve hood.

상기 보호후드의 내면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걸이턱이 1차록킹상태에서 안착되는 걸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A hook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hooking jaw is seated in a primary locking state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od.

상기 제2걸이턱은 상기 제1걸이턱보다 상기 결합핑거에서 더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결합핑거의 자유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hooking jaw may protrude more from the engaging finger than the first hooking jaw and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free end of the engaging finger.

상기 결합핑거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변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coupling fingers may be provided with a deformation spac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핑거에 형성되는 것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oking jaw and the second hooking jaw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from being formed on the coupling finge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면으로 스페이서공간이 개방되며 타측 외면에는 체결레버를 둘러싸는 보호후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스페이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이 패널에 장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핑거를 구비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핑거에는 상기 보호후드의 관통공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내면과 외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제1걸이턱과 상기 하우징을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패널의 체결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제2걸이턱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in which a terminal seating space in which a terminal is located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a spacer space is opened to one outer surface, and a protective hood surrounding a fastening lever is form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It may include a spacer installed in the spacer space to support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t least two coupling fingers for mounting the housing to the panel, and the coupling fingers correspond to edges of the through-holes of the protective hood. A first hook that is selectively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nd a second hook that is hooked to an edge of the through hole of the panel to mount the housing to the panel may be provided.

상기 결합핑거의 사이에는 변형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은 상기 결합핑거의 자유단부 쪽에 형성될 수 있다.A deform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upling fingers,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may be formed at free ends of the coupling fingers.

상기 제2걸이턱은 상기 제1걸이턱보다 상기 결합핑거에서 더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결합핑거의 자유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hooking jaw may protrude more from the engaging finger than the first hooking jaw and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free end of the engaging finger.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핑거에 형성되는 것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oking jaw and the second hooking jaw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from being formed on the coupling finge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보호후드에는 상기 결합핑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upling finger passes may be formed in the protective hood.

상기 보호후드의 내면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걸이턱이 1차록킹상태에서 안착되는 걸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A hook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hooking jaw is seated in a primary locking state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od.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이 터미널안착공간에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스페이서에 커넥터를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2걸이턱을 두었다. 그리고 스페이서의 결합핑거에 형성된 제1걸이턱이 1차록킹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결합핑거에 형성된 상기 제2걸이턱이 스페이서를 하우징에 2차록킹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스페이서가 터미널을 하우징 내에 유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패널에 장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패널에 장착되는 기능을 가지는 커넥터의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ok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mounting the connector on the panel is placed on the spacer that allows the terminal to be firmly maintain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The first hook formed on the coupling finger of the spacer performs a primary locking function, and the second hook formed on the coupling finger secondarily locks the spacer to the housing. Therefore, the spacer was designed to perform a function of mounting the terminal to the panel as well as maintaining the terminal in the housing. Accordingly, the number of parts of a connector having a function mounted on a panel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이 스페이서가 터미널을 하우징 내에 유지하는 기능과 커넥터를 패널에 장착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하우징에는 종전의 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어도 되어서 전체 커넥터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효과도 있다.In this way, since the spacer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 of holding the terminal in the housing and the function of mounting the connector to the panel,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tructure for mounting the conventional clip in the housing, and the size of the entire connector is reduced.

상기 스페이서의 결합핑거 쌍은 작업자가 손으로 탄성변형시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스페이서의 결합핑거 쌍에 형성된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은 스페이서를 하우징에 1차록킹 및 2차록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걸이턱이 패널에 커넥터를 장착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손으로 또는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결합핑거를 탄성변형시켜 패널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e pair of coupling fingers of the spacer may be operated by a worker elastically deforming them by han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jaws formed on the pair of coupling fingers of the spacer can allow the spacer to be firstly and secondarily locked to the housing by a simple manipulation of the operator. In addition, the second hook jaw can be fixed by mounting the connector on the panel, and the coupling finger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a worker's hand or using a tool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pane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서 스페이서가 1차록킹 상태에 있는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에서 스페이서가 2차록킹 상태에 있는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6의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스페이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넥터를 패널에 장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넥터가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pacer is in a primary locking state in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spacer is in a secondary locking state in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ac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6 .
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is started to be mounted on a pane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is mounted on a pane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another element between the ele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하우징(12)의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the housing 12 may form the external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2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housing 12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An inner space 14 open to the front of the housing 12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2 . A part of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4 .

상기 내부공간(14)으로 선단이 개방되게 상기 하우징(12)에는 터미널안착공간(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은 상기 하우징(12)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은 상기 내부공간(14)과 상기 하우징(12)의 후방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A terminal seating space 16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2 so that the front end is opened to the inner space 14 .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may pass through the housing 12 . Therefore,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can communicate the inner space 14 and the rear exterior of the housing 12 .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부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공간(16) 내에 일반적으로 랜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은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30)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A terminal (not show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 The terminal may be coupled with a terminal of a mating connector. The terminal may be generally supported by a lance (not shown) with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of the housing 12 . The terminal may also be supported by a spacer 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하우징(12)의 일측 외면에는 후드(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드(18)는 상기 하우징(12)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후드(18) 내에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버(20)가 있을 수 있다.A hood 18 may be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2 . The hood 18 may be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ousing 12 . There may be a fastening lever 20 for fastening with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in the hood 18 .

상기 체결레버(20)는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후드(18)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4)이 개방된 방향을 향해 연장된 체결레버(20)의 부분이 상기 후드(18)의 외부로 드러나 있다. 상기 후드(18)의 외부로 드러나 있는 체결레버(20)의 부분을 작업자가 손으로 누르면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20)의 일측에는 체결턱(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22)은 상기 내부공간(14)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턱(22)에 상대 커넥터의 일측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턱(22)에는 안내경사(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24)가 상대 커넥터의 체결구조에 안내되면서 상기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astening lever 20 undergoes som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and a portion thereof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side of the hood 18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s can be seen in FIG. 2 , a portion of the locking lever 20 extending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space 14 is opene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18 . When an operator presses a portion of the coupling lever 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od 18 with a hand, the coupling state with the mating connector may be released. A fastening jaw 2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lever 20 . The fastening shoulder 22 may be exposed to the inner space 14 . One side of the mating connector may be hooked to the fastening shoulder 22 . A guide slope 24 may be formed on the fastening shoulder 22 . As the guide slope 24 guides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mating connector, the fastening lever 2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상기 하우징(12)에는 스페이서공간(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공간(26)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형성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2)에 대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이 개방되는 방향과 상기 스페이서공간(26)이 개방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공간(26)은 상기 보호후드(18)가 형성된 반대쪽의 하우징(12) 외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A spacer space 26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2 . The spacer space 26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acer space 26 is opened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spacer space 26 may be open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2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protective hood 18 is formed.

상기 보호후드(18)의 일측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통공(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8)은 상기 보호후드(18)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8)을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30)의 결합핑거(34) 쌍이 관통할 수 있다.A through hole 28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ective hood 18 as shown in FIG. 2 . The through hole 28 may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otective hood 18 . A pair of coupling fingers 34 of the spacer 30 to be described below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8 .

상기 보호후드(18)의 내면에서 상기 관통공(28)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걸이홈(29)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홈(2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걸이턱(38)이 제1록킹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걸이홈(29)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제1걸이턱(38)이 상기 관통공(28)의 가장자리에 걸어질 수는 있다.A hooking groove 29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dge of the through hole 28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od 18 . A first hooking jaw 38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seated in the hooking groove 29 in a first locking state. Even if the hook groove 29 is not formed, the first hook jaw 38 can be hook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28 .

스페이서(30)는 상기 스페이서공간(26)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0)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납작한 육면체 형상의 스페이서몸체(32)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몸체(32)를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터미널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통공(33)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설치된 터미널 들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통공(33)과 상기 스페이서몸체(32)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걸이턱(33') 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턱(33')들에 터미널의 일측이 걸어질 수 있다.The spacer 30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r space 26 . As can be seen in FIG. 6 , the spacer 30 may form an external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a spacer body 32 having a flat hexahedral shape. A plurality of terminal through-holes 33 may be formed through the spacer body 32 . Terminals install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may pass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hole 33 . Hook jaws 33' may be formed along one edge of the terminal through hole 33 and the spacer body 32. One side of the terminal can be hung on the hanging jaws 33'.

상기 스페이서몸체(3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한 쌍의 결합핑거(35)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35)는 상기 스페이서(30)를 하우징(12)에 1차록킹상태와 2차록킹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35)는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패널(4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ere may be a pair of coupling fingers 35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pacer body 32 . The coupling finger 35 can maintain the spacer 30 in the housing 12 in a primary locking state and a secondary locking state. The coupling finger 35 may also serve to be fastened to the panel 4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결합핑거(35)는 2개가 한 쌍으로 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결합핑거(35)는 다수개가 한 쌍으로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결합핑거(35)가 원형의 궤적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핑거(35) 사이에는 변형공간(3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변형공간(37)은 상기 결합핑거(35)가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핑거(35)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결합핑거(35)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변형공간(37)이다.Two coupling fingers 35 may be paired.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coupling fingers 35 may be paired. For example, three or more coupling fingers 35 may be arranged to form a circular trajectory. A deformation space 37 may exist between the coupling fingers 35 . The deformation space 37 allows the coupling finger 35 to be elastically deformed. The deformation space 37 is a space where the coupling fingers 35 can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fingers 35 becomes closer.

상기 결합핑거(35)는 상기 스페이서공간(26)에서 상기 하우징(12)을 관통하여 상기 보호후드(18)의 내부로 진입되고, 다시 상기 보호후드(18)에 형성된 관통공(28)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35)들은 서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35)들은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coupling finger 35 penetrates the housing 12 in the spacer space 26, enters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hood 18,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8 formed in the protective hood 18 again. can do. The coupling fingers 35 may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coupling fingers 35 may extend in a cantilever shape.

상기 결합핑거(35)의 자유단부 쪽에는 제1걸이턱(38)과 제2걸이턱(39)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턱(38)에 비해 상기 제2걸이턱(39)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클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결합핑거(35)에 형성된 제1걸이턱(38)과 제2걸이턱(39)은 돌출 방향이 반대가 될 수 있다. 즉, 도 2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상기 결합핑거(35)에 각각 형성된 제1걸이턱(38)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2걸이턱(39)도 마찬가지이다.A first hooking jaw 38 and a second hooking jaw 39 may be sequentially form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coupling finger 35 . Compared to the first hanging jaw 38, the second hanging jaw 39 may be relatively large in size. The protruding directions of the first hooking jaw 38 and the second hooking jaw 39 formed on each of the coupling fingers 35 may be opposite. That is, as can be seen in FIGS. 2 and 6,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hooking protrusions 38 respectively formed on the two coupling fingers 35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his is the same for the second hanging jaw 39.

상기 제1걸이턱(38)에 비해 상기 제2걸이턱(39)은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걸이턱(38)은 상기 스페이서(30)가 1차록킹상태에 있을 때 상기 걸이홈(29)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볼 수 있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걸이턱(38)과 제2걸이턱(39)은, 스페이서(30)의 1차록킹상태에서 상기 보호후드(18)의 내면과 외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Compared to the first hanging jaw 38, the second hanging jaw 39 protrudes relatively more. The first hooking jaw 38 may be seated in the hooking groove 29 when the spacer 30 is in a primary locking state. This can be seen in FIG. 3 . As can be seen here, the first hanging jaw 38 and the second hanging jaw 39 may be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protective hood 18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of the spacer 30 .

상기 제2걸이턱(39)은 패널(40)(도 7과 도 8 참고)의 체결통공(42)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통공(42)의 가장자리에 걸어질 수 있다. 즉, 커넥터(10)가 위치되는 쪽의 패널(40) 표면이 아닌 반대쪽 표면에 상기 제2걸이턱(39)이 걸어질 수 있다.The second hook 39 may pass through the fastening through hole 42 of the panel 40 (see FIGS. 7 and 8 ) and be hooked to the edge of the fastening through hole 42 . That is, the second hook 39 can be hung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nel 40 on the side where the connector 10 is located.

상기 제1걸이턱(38)과 제2걸이턱(39)은 상기 스페이서(30)가 상기 하우징(12)에서 1차록킹상태와 2차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걸이턱(39)은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패널(40)에 장착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hook 38 and the second hook 39 allow the spacer 30 to maintain a primary locking state and a secondary locking state in the housing 12 . In addition, the second hook 39 may serve to allow the connector 10 to be mounted on the panel 40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스페이서(30)는 상기 하우징(12)의 스페이서공간(26)에 1차록킹상태와 2차록킹상태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공간(26)에 상기 스페이서(30)가 삽입되어 있기는 하지만, 도 3에서와 같이 스페이서몸체(32)의 일부가 하우징(12)의 표면보다 돌출된 상태가 1차록킹상태이다. 1차록킹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통공(33)이 각각의 터미널안착공간(16)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걸이턱(33')은 각각의 터미널안착공간(16)에 위치되지 않아 터미널을 터미널안착공간(16)으로 삽입할 때, 터미널과 상기 걸이턱(33')이 간섭되지 않는다.The spacer 30 may be selectively positioned in a first locking state and a second locking state in the spacer space 26 of the housing 12 . Although the spacer 30 is inserted into the spacer space 26, as shown in FIG. 3,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spacer body 32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12 is the primary locking state.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the terminal through hole 33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terminal seating space 16 . At this time, each hook 33' is not located in each terminal seating space 16, so that 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the terminal and the hook 33' do not interfere.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30)가 1차록킹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터미널을 삽입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하우징(12)에 상기 스페이서(30)가 1차록킹상태에 있으면, 상기 제1걸이턱(38)은 상기 보호후드(18) 내면의 걸이홈(29)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제2걸이턱(39)은 상기 보호후드(18)의 외면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28)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3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스페이서(30)가 스페이서공간(26)에서 빠지거나 2차록킹상태로 이동할 수 없다. 물론, 상기 결합핑거(35)가 서로 인접하게 되도록 작업자가 탄성변형시키면 상기 스페이서(30)를 스페이서공간(26)에서 분리해 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pacer 30 is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a terminal can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6 . For reference, when the spacer 30 is in the primary locking state of the housing 12, the first hook 38 is seated in the hook groove 29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od 18, and the The second hanging jaw 39 is hung on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28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od 18 . In this state, even if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spacer 30, the spacer 30 cannot fall out of the spacer space 26 or move in a secondary locking state. Of course, when an operator elastically deforms the coupling fingers 35 so that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spacer 30 can be separated from the spacer space 26 .

각각의 터미널안착공간(16)에 터미널의 삽입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스페이서(30)를 1차록킹상태에서 2차록킹상태로 이동시킨다. 상기 결합핑거(35)가 서로 인접하도록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제1걸이턱(38)이 상기 보호후드(18)의 관통공(28)을 통과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후드(18)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몸체(32)가 상기 스페이서공간(26)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하우징(12)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After the insertion of the terminal into each terminal seating space 16 is completed, the spacer 30 is moved from the primary locking state to the secondary locking state. The coupling fingers 35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hanging jaw 38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8 of the protection hood 18, and as shown in FIG. 4, the protection hood 18 to be located outside of In this state, the spacer body 3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pacer space 26 and does not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2 .

도 4에 도시된 2차록킹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30)는 상기 결합핑거(35)에 의해 설치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35)의 제1걸이턱(38)이 상기 보호후드(18)의 외면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28)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30)는 상기 스페이서공간(26)에서 빠지는 방향으로는 상기 제1걸이턱(38)에 의해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상기 스페이서(30)의 이동은 상기 스페이서몸체(32)가 상기 스페이서공간(26)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어 규제될 수 있다.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shown in FIG. 4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acer 30 may be fixed by the coupling finger 35 . The first hook 38 of the coupling finger 35 is hook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28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od 18 . Accordingly, the movement of the spacer 30 may be restricted by the first hooking jaw 38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pacer space 26 . And, the movement of the spacer 3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is direction can be regulated because the spacer body 3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r space 26 .

본 발명의 커넥터(10)는 패널(4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핑거(35)의 제2걸이턱(39)이 상기 보호후드(18)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패널(4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panel 40.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hook 39 of the coupling finger 35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hood 18. It can be mounted on the panel 40 in a protruding state.

도 7에는 상기 스페이서(30)가 2차록킹상태에서 상기 패널(40)에 장착되기 시작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핑거(35)의 제2걸이턱(39)은 상기 패널(40)의 관통공(28) 내면에 그 경사면이 안내되면서 상기 결합핑거(35)가 서로 인접하게 되도록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변형공간(37)으로 상기 결합핑거(35)가 이동하여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2걸이턱(39)이 상기 패널(40)의 체결통공(42)을 통과하면, 상기 결합핑거(35)가 복원된다. 상기 결합핑거(35)의 탄성변형이 복원되면 상기 제2걸이턱(39)이 상기 패널(40)의 반대쪽 표면에 해당되는 상기 체결통공(42)의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이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7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spacer 30 starts to be mounted on the panel 40 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The second hook 39 of the coupling finger 35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coupling fingers 35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the inclined surface is gui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8 of the panel 40 . That is, the coupling fingers 35 move to the deformation space 37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way, when the second hook 39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42 of the panel 40, the coupling finger 35 is restored. Whe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finger 35 is restored, the second hanging jaw 39 is hooked to the edge of the fastening through hole 42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anel 40 . This state is shown in FIG. 8 .

한편, 상기 커넥터(10)를 상기 패널(40)에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결합핑거(35)를 다시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제2걸이턱(39)이 상기 체결통공(42) 내로 들어가도록 하면 상기 커넥터(10)를 상기 패널(4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핑거(35)가 서로 인접하도록 탄성변형시키는 것은 상기 제2걸이턱(39)을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주면 된다. 또 다르게는 공구를 상기 보호후드(18)의 내부로 넣어서 상기 결합핑거(35)가 서로 인접하게 되도록 탄성변형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separating the connector 10 from the panel 40 will be described. The connector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panel 40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coupling finger 35 again so that the second hook 39 enters the fastening hole 42 . At this time, elastically deforming the coupling fingers 35 so that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done by pressing the second hanging jaw 39 with a finger by the operator. Alternatively, a tool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hood 18 so that the coupling fingers 35 ar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패널(40)에 상기 커넥터(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분리해야 할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보호후드(18)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체결레버(20)의 부분을 눌러줘야 한다. 상기 체결레버(20)는 상기 패널(40)에 인접하여 있어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상기 체결레버(20)와 패널(40)의 사이로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패널(40)에 상기 체결통공(42)과 유사하게 관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10 is mounted on the panel 40, it may be necessary to separate the coupl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In this case, the portion of the fastening lever 2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hood 18 needs to be pressed. Since the fastening lever 20 is adjacent to the panel 40 , a worker's finger may not enter between the fastening lever 20 and the panel 40 . In this case,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panel 40 similarly to the fastening through hole 42 .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one or more to operat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커넥터 12: 하우징
14: 내부공간 16: 터미널안착공간
18: 보호후드 20: 체결레버
22: 체결턱 24: 안내경사
26: 스페이서공간 28: 관통공
30: 스페이서 32: 스페이서몸체
33: 터미널통공 33': 걸이턱
35: 결합핑거 37: 변형공간
38: 제1걸이턱 39: 제2걸이턱
40: 패널 42: 체결통공
10: connector 12: housing
14: internal space 16: terminal seating space
18: protective hood 20: fastening lever
22: tightening jaw 24: guide slope
26: spacer space 28: through hole
30: spacer 32: spacer body
33: terminal through hole 33 ': hook jaw
35: coupling finger 37: deformation space
38: first hanging jaw 39: second hanging jaw
40: panel 42: fastening through hole

Claims (12)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면으로 스페이서공간이 개방되며 타측 외면에는 체결레버를 둘러싸는 보호후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스페이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걸이턱이 구비되는 스페이서몸체와,
상기 스페이서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터미널통공과,
상기 스페이서몸체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이 돌출되어 상기 보호후드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제1걸이턱과 패널에의 장착을 위한 제2걸이턱이 구비되는 결합핑거를 포함하는 커넥터.
A housing in which a terminal seating space in which a terminal is located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a spacer space is opened to one outer surface, and a protective hood surrounding a fastening lever is form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A spacer installed in the spacer space to support the terminal,
The spacer includes a spacer body positioned in the spacer space and provided with a hook for supporting the terminal;
A terminal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spacer body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At least two of them protrude from the spacer body and are installed through the protective hood and include a coupling finger provided with a first hook for set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acer and a second hook for mounting on a panel.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후드에는 상기 결합핑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upling finger passes is formed in the protection ho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후드의 내면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걸이턱이 1차록킹상태에서 안착되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hooking groove is formed at an edge of th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od, in which the first hooking jaw is seated in a primary locked stat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이턱은 상기 제1걸이턱보다 상기 결합핑거에서 더 돌출되고 상기 결합핑거의 자유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cond hooking jaw protrudes more from the coupling finger than the first hooking shoulder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fing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핑거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변형공간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t least two or more coupling fingers are provided with a deformation space interposed therebetwee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핑거에 형성되는 것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6.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are protruded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coupling fing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면으로 스페이서공간이 개방되며 타측 외면에는 체결레버를 둘러싸는 보호후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스페이서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이 패널에 장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핑거를 구비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핑거에는 상기 보호후드의 관통공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내면과 외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제1걸이턱과 상기 하우징을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패널의 체결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제2걸이턱을 구비하는 커넥터.
A housing in which a terminal seating space in which a terminal is located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a spacer space is opened to one outer surface, and a protective hood surrounding a fastening lever is form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A spacer installed in the spacer space to support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t least two coupling fingers for mounting the housing to the panel;
The coupling finger includes a first hooking jaw selectively located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of the protective hood and a second hooking jaw hooked on the edge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panel to mount the housing to the panel. connector provid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핑거의 사이에는 변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은 상기 결합핑거의 자유단부 쪽에 형성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deform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upling fingers,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jaws are formed at free ends of the coupling finger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이턱은 상기 제1걸이턱보다 상기 결합핑거에서 더 돌출되고 상기 결합핑거의 자유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는 커넥터.
The connector of claim 8 , wherein the second hooking jaw protrudes more from the engaging finger than the first hooking jaw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r to a free end of the engaging fing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은 서로 대응되는 결합핑거에 형성되는 것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10.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jaws are formed on the coupling fing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후드에는 상기 결합핑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
11.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wherei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upling finger passes is formed in the protection ho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후드의 내면에 해당되는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걸이턱이 1차록킹상태에서 안착되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1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hooking groove is formed at an edge of the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od, in which the first hooking jaw is seated in a primary locked state.
KR1020210125101A 2021-09-17 2021-09-17 Connector KR202300414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101A KR20230041455A (en) 2021-09-17 2021-09-17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101A KR20230041455A (en) 2021-09-17 2021-09-17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455A true KR20230041455A (en) 2023-03-24

Family

ID=8587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101A KR20230041455A (en) 2021-09-17 2021-09-17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145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541U (en) 1994-04-30 1995-11-22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Connector Fixture
KR20110076582A (en)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having spac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541U (en) 1994-04-30 1995-11-22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Connector Fixture
KR20110076582A (en)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having spac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3464B2 (en) Connector with sliding member
JP5947678B2 (en) Connector device
KR101998077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CPA
US7674130B2 (en) Electric connector for routing a line through a housing wall
US11404821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847918B2 (en) Fitting connector
US10312632B2 (en) Connector
US10122103B2 (en) Board connector
JP6519702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20069517A1 (en) Connecting device having a plug connector and a mating connector
TWI431863B (en) Connector attachable to an attaching object without forming a large opening in the attaching object
KR101234175B1 (en) Self-aligning connector
GB227059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ouble-lock contacts and bolt securing arrangement
KR101850445B1 (en) Waterproof connector
KR102591645B1 (en) Connector assembly
KR20230041455A (en) Connector
US20190052028A1 (en) Electronic unit attaching structure
US6866542B2 (en) Combination of device and retainer clip for retaining the device through an open window in panel
EP3848251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JP7098678B2 (en) Protector and wire harness
KR20220088042A (en) Rearholder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210055523A (en) Connector
KR200448593Y1 (en) Connector
KR102584713B1 (en) Connector comprising terminal position assurance
JP3662456B2 (en)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