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901A -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901A
KR20230040901A KR1020220114359A KR20220114359A KR20230040901A KR 20230040901 A KR20230040901 A KR 20230040901A KR 1020220114359 A KR1020220114359 A KR 1020220114359A KR 20220114359 A KR20220114359 A KR 20220114359A KR 20230040901 A KR20230040901 A KR 20230040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omposition
extract
xylitol
stev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제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3004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omoting oral beneficial bacteria}
본 발명은 구강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충치, 치주질환 및 구취를 동반하는 치주 질환의 주요 원인은 구강 미생물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 질환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로 여러 종들이 알려져 있으나 그 중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등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미생물들은 치아 표면에 세균성 피막인 프라그를 형성한다. 프라그에서 증식하는 젖산균으로부터 젖산이 생성되어 프라그내에 고농도로 축적됨에 따라 치아의 칼슘 이온이 소실되면, 치아 외막 법랑질의 용해와 함께 충치가 유발되고 프라그로부터 유발된 독성 물질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틈새로 스며들어 세포내 염증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치은염, 치주염 등의 치주질환이 나타난다.
이에, 이러한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그 과정에서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 와이셀라 시바리아(Wissella cibaria)와 같은 일부 경구용 프로바이오틱스가 구강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는 구강 공생균이 아니므로 구강 환경에서 오래 살아있지 못하고, 구강용 제품으로 제품화하더라도 생균을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구강 유익균의 성장을 증진하기 위한 조성물을 개발하고, 이를 구강용 제품으로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Chang-Ho Kang, et a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33(4): 279-284 (2018). 2. Se-Rim Jo, et 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5):753-762 (2020).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본 발명의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을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구강용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구강 유익균을 증진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미생물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스테비아(stevia)"는 브라질과 파라과이가 원산지인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천연 감미료 및 설탕 대체제를 의미한다. 상기 스테비아의 화학식은 하기 화학식 1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용어 "자일리톨(xylitol)"은 자일로스를 가공하여 만든, 알코올계의 당을 의미하며, 설탕 대용품 또는 구강관리용품으로 사용된다. 상기 자일리톨의 화학식은 하기 화학식 2와 같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추출물 및 후박(Magnolia officinalis bark)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옥수수(Zea Mays L.),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센텔라 아시아티카(병풀, Centella asiatica) (일 예로, Centella asiatica (L.) Urban.) 및/또는 후박(Magnolia officinalis bark)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배지, 알코올 등의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배지,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C1 내지 6,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등),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옥수수, 센텔라 아시아티카 및/또는 후박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을 포함하며 이를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옥수수 추출물은 옥수수를 압착하여 얻은 지방을 검화하여 얻은 죽상물질인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후박 추출물은 후박 이산화탄소 초임계 건조 엑기스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상기 옥수수, 센텔라 아시아티카 및/또는 후박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해서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수수, 센텔라 아시아티카 및/또는 후박은 이의 추출물뿐만 아니라, 옥수수, 센텔라 아시아티카 및/또는 후박 그 자체, 이의 건조물, 발효액 또는 분획물 등의 형태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구강 유익균"은 구강 환경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구강 유익균 증진"은 구강 유익균의 성장 또는 생육을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강 유익균은 일 예로,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유익균의 성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스테비아 및 자일리톨의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구강 유익균인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의 성장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미생물총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강 미생물총 개선 효과는 전술한 구강 유익균 증진 효과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자일리톨, 스테비아, 옥수수불검화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제조예 1)의 임상 시험 결과에서 구강 유익균인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의 구강 내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이 구강 유익균인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의 성장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유익균의 성장을 증진시키는바, 구강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유익균의 성장을 증진함으로써 구강 유익균의 구강 내 비율을 증가시켜 구강 미생물총을 개선하는바, 구강 건강 유지에 있어 유익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약 0.001 내지 약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0.002 내지 약 9 중량%, 약 0.003 내지 약 8 중량%, 약 0.004 내지 약 7 중량%, 약 0.005 내지 약 6 중량%, 약 0.006 내지 약 5 중량%, 약 0.007 내지 약 4 중량%, 약 0.008 내지 약 3 중량%, 약 0.009 내지 약 2 중량%, 약 0.01 내지 약 1 중량%, 약 0.1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0.3 내지 약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테비아 및/또는 자일리톨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중량% 미만 또는 10 중량% 초과로 함유될 경우에는 유효한 구강 유익균 증진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약 0.001 내지 약 10 %(w/v)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0.002 내지 약 9 %(w/v), 약 0.003 내지 약 8 %(w/v), 약 0.004 내지 약 7 %(w/v), 약 0.005 내지 약 6 %(w/v), 약 0.006 내지 약 5 %(w/v), 약 0.007 내지 약 4 %(w/v), 약 0.008 내지 약 3 %(w/v), 약 0.009 내지 약 2 %(w/v), 약 0.01 내지 약 1 %(w/v), 약 0.1 내지 약 1 %(w/v) 또는 약 0.3 내지 약 1 %(w/v)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테비아 및/또는 자일리톨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w/v) 미만 또는 10 %(w/v) 초과로 함유될 경우에는 유효한 구강 유익균 증진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스테비아 및 자일리톨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스테비아 및 자일리톨을 약 1 : 0.1 내지 10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 : 0.2 내지 9, 약 1 : 0.3 내지 8, 약 1 : 0.4 내지 7, 약 1 : 0.5 내지 6, 약 1 : 0.6 내지 5, 약 1 : 0.7 내지 4, 약 1 : 0.8 내지 3, 약 1 : 0.9 내지 2 또는 약 1 : 0.9 내지 1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약 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0.002 내지 약 0.9 중량%, 약 0.003 내지 약 0.8 중량%, 약 0.004 내지 약 0.7 중량%, 약 0.005 내지 약 0.6 중량%, 약 0.006 내지 약 0.5 중량%, 약 0.007 내지 약 0.4 중량%, 약 0.008 내지 약 0.3 중량%, 약 0.009 내지 약 0.2 중량%, 약 0.01 내지 약 0.1 중량%, 약 0.02 내지 약 1 중량% 또는 약 0.05 내지 약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및/또는 후박 추출물이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중량% 미만 또는 1 중량% 초과로 함유될 경우에는 유효한 구강 유익균 증진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약 1 : 0.1 내지 10 : 0.1 내지 10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 : 0.2 내지 9 : 0.2 내지 9, 약 1 : 0.3 내지 8 : 0.3 내지 8, 약 1 : 0.4 내지 7 : 0.4 내지 7, 약 1 : 0.5 내지 6 : 0.5 내지 6, 약 1 : 0.6 내지 5 : 0.6 내지 5, 약 1 : 0.7 내지 4 : 0.6 내지 5, 약 1 : 0.8 내지 3 : 0.6 내지 5, 약 1 : 0.9 내지 2 : 0.6 내지 5, 약 1 : 1 내지 2 : 1 내지 5 또는 약 1 : 1 내지 2 : 4 내지 5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약(about)"은 특정 숫자 값 앞에 제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은 용어 뒤에 기재되는 정확한 숫자뿐만 아니라, 거의 그 숫자이거나 그 숫자에 가까운 범위까지 포함한다. 그 숫자가 제시된 문맥을 고려하여, 언급된 구체적인 숫자와 가깝거나 거의 그 숫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용어 "약"은 숫자 값의 -10% 내지 +10% 범위를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용어 "약"은 주어진 숫자 값의 -5% 내지 +5% 범위를 지칭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는 본 발명의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을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및 구강 유익균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구강 유익균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강 유익균은 일 예로,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등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전 양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의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을 생물체 또는 비생물체에 처리함으로써, 구강 유익균 생육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전 양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는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구강용 의약외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구강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미제, 색소, 용제, 증백제, 가용화제 또는 pH 조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의약외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약, 구강세정제, 구강청정제, 껌, 캔디류, 구강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구강용 바니쉬, 구강양치액 및 잇몸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구강용 의약외품 조성물이 치약의 제형일 경우, 습윤제, 연마제, 결합제, 기포제, 향미제, 감미제, 착색제, 보존제, 약효성분, 용제, pH 조절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치약제 성분 중 분말이 페이스트상이 되게 하고 치약제가 공기 중에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글리세린, 솔비트액,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 중 1 내지 60 중량%, 2 내지 58 중량%, 4 내지 56 중량%, 6 내지 54 중량%, 8 내지 52 중량%,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제는 치약제중의 분말과 액체 성분 간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으로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잔탄검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3 중량%, 0.2 내지 2 중량%, 구체적으로는 0.3 내지 2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연마제는 치아표면을 상처내지 않고 치아표면의 부착물을 제거하고 치아 본래의 광택이 나도록 하는 것으로 탄산칼슘(CaCO3), 제2인산칼슘(CaHPO4, CaHPO42H2O), 무수규산(SiO22H2O), 수산화알루미늄(Al(OH)3), 피로인산칼륨, 탄산마그네슘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 중 1 내지 60 중량%, 2 내지 58 중량%, 4 내지 56 중량%, 6 내지 54 중량%, 8 내지 52 중량%,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향미제는 치약에 상쾌감과 냄새를 부여하여 사용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페퍼민트오일, 스피아민트오일, 멘톨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 중 0.01 내지 6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5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감미제는 치약제 원료에 의한 불쾌한 맛을 제거하고 청량감을 좋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카린산, 아스파탐, 자일리톨, 감초산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 중 0.01 내지 6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5 중량%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약효성분은 치아 우식증 예방, 치주질환 예방, 치주염 또는 치은염 예방, 구취 제거 등의 효과를 위한 것으로 불화물, 염화아연, 클로르헥시딘, 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사민산, 염화세틸피리디움, 염화피리독신, 트리클로산, 초산토코페롤, 일불소인산나트륨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효성분을 추가적인 약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의약외품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구강용 의약외품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는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구강용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품은 구강 유익균을 증진하기 위한 용도의 제품이라면 어느 제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제품은 구강 건강을 위해 제조, 시판되는 제품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적용되는 구강용 제품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구강용 제품으로는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용 연고, 구강 청정제, 가글링 제품, 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강용 제품은 액상, 고상, 현탁액, 젤상,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는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구강 유익균을 증진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강질환"이란 구강영역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질환을 말하며, 상기 구강영역은 앞쪽 입술부터 뒤쪽 구협에서 인두와 연결되는 입 안의 공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강질환은 구강에 발생하는 질환이라면 그 병증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질환은 구강 미생물총의 균형이 깨져 과증식된 구강 유해균에 의해 발병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구강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치아 우식증, 치주질환(치주염 또는 치은염), 시린이, 구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아 우식증(dental cavities)"이란 치아면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인한 감염성 질환으로서, 충치라고도 하며, 치아의 경조직이 침식되어 결손하는 증세를 보인다. 구체적으로 치아의 머리 부분 표면을 덮고 있고, 치아 상아질을 보호하는 유백색의 반투명하고 단단한 물질을 치아 법랑질 또는 에나멜질이라고 하는데, 입 안에 서식하는 구강병원균에 의해 설탕, 전분 등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산에 의해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되어 충치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치아 우식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는 치아 표면에 생성된 세균막인 치태(dental plaque, 플라크)를 들 수 있는데, 타액이 치아에 얇고 끈적한 막을 생성하고, 그 위에 스트렙토코커스의 일종인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등의 구강 미생물이 부착해 바이오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치태(dental plaque, 플라크)가 만들어지고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에 의해 더욱 두꺼워진다. 본 발명의 치아 우식증은 치아 우식증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되나, 구체적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바이오필름은 구강질환의 원인이 되는 구강 유해균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일 수 있고, 일 예로, 스트렙토코커스 속 미생물로부터 생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치아를 받치고 있는 치은과 치주인대 및 골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서, 흔히 풍치라고도 하는데,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뉜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질환으로 잇몸 즉, 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한다. 치은(잇몸)과 치아 사이에는 V자 모양의 틈이 있는데, 이 홈(sulcus)의 잇몸 선 아래 부분을 구강병원균이 공격하면서 염증 자극원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를 방출하고, 이로 인해 잇몸이 붓고 출혈이 일어나는 등 염증이 생성되며, 이로써 치주인대와 인접조직이 손상된다. 치주염이 진행되면 치주인대, 더 나아가 치조골까지 손상시키고 결국 치아가 손실된다. 단백질, 비타민 등의 영양부족, 임신한 경우나 당뇨병 등과 같은 호르몬 장애, 흡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등이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치주질환의 다른 원인으로 치태 및 치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은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되나, 구체적으로는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터너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및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취"란 구강 및 인접기관으로부터 유래되는 냄새로 구취의 85 ~ 90%가 구강에서 유래하며, 특히, 혀의 뒷쪽에서 유래하고 있다. 구취의 주요 성분은 휘발성 황화합물인데, 휘발성 황화합물의 전체량 중 90%가 시스테인으로부터 만들어지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와 메티오닌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메틸머캡탄(methyl mercaptan)및 디메틸설파이드(dimethyl sulfide)이다. 이러한 성분들은 주로 혐기성 세균이 분비하는 단백질 효소에 의해서 생성되며, 혀의 뒷쪽이 가장 중요한 서식지가 된다. 이 부위는 타액에 의해 세정작용이 잘 되지 않고, 많은 작은 함몰이 있어 세균이 지속적으로 살아가는 장소가 된다. 혐기성 세균에 의한 휘발성 황화합물 생성이 구취의 원인으로 가장 중요하지만, 그 외 치아 우식증, 치주염, 구강 건조증 등과 같은 구강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구취를 발생시키는데 많은 종류의 혐기성 세균이 관여하며, 구취 발생 원인균의 구체적인 예로는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는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미생물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는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양태는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전술한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테비아, 자일리톨,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구강 유익균에 대해서는 이전 양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일 예로, 상기 구강 유익균은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등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전 양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바,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시료 단독 또는 조합의 구강 유익균 생육 증진 효과 확인
구강 유익균인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및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와, 종래 구강 유익균으로 알려진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를 대상으로 스테비아 및/또는 자일리톨 처리에 따른 생육 증진 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페리시안화물(III) [hexacyanoferrate(III)] 및 철(III)[iron(III)] 이온을 포함하는 BHI 아가 배지에서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를 각각 37℃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액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O.D값을 산출하여 각 미생물의 생육 증감을 무처리군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시료(%[w/v]) S.gordonii 생육 증진률(%)
무처리 -
스테비아 0.1 3.65
스테비아 0.3 8.54
스테비아 1 9.75
자일리톨 0.1 2.44
자일리톨 0.3 3.65
자일리톨 1 4.87
스테비아 0.3 +자일리톨 0.3 15.85
시료(%[w/v]) S.oralis 생육 증진률(%)
무처리 -
스테비아 0.01 2.37
스테비아 0.1 6.48
스테비아 1 10.22
자일리톨 0.01 0.17
자일리톨 0.1 1.63
자일리톨 1 0.89
시료(%[w/v]) L.reuteri 생육 증진률(%)
무처리 -
스테비아 0.01 1.60
스테비아 0.1 9.06
스테비아 1 16.52
자일리톨 0.01 0.05
자일리톨 0.1 1.67
자일리톨 1 0.48
그 결과, 상기 표 1 내지 3과 같이 스테비아를 단독 처리한 경우 구강 유익균인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에 대해 농도의존적으로 생육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자일리톨을 단독 처리한 경우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에 대해서만 생육 증진 효과가 있었다. 스테비아 및 자일리톨의 조합을 처리한 경우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에 대해 스테비아 단독 또는 자일리톨 단독 처리 대비 우수한 생육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1. 치약 조성물 제조
치약 제조 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카 14중량%, 플루오르화나트륨 0.22중량%, 소듐메틸코코일타우레이트(Sodium Methyl Cocoyl Taurate, SMCT) 0.1중량%를 포함하고, 추가로 카르복시메칠세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글리세린, 콜리이드성 이산화규소, 감미제, 방향제, 착색제 등을 첨가하여 대조군으로서 비교예의 일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에 스테비아 0.1중량%, 자일리톨 0.1중량%, 옥수수불검화추출물 0.02중량%,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0.01중량% 및 후박 추출물 0.05중량%를 첨가하여 실험군으로서 제조예 1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은 옥수수(Zea Mays L.)를 압착하여 얻은 지방을 검화하여 수득하였으며, 총 스테롤[β-시토스테롤(C29H50O : 414.69)] 15.0% 및 불검화물 80.0%을 포함하는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후박 추출물은 후박나무의 나무껍질을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하여 후박 이산화탄소 초임계 건조 엑기스를 수득하였다.
또한,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하여 수득하였으며, 아시아티코시드(C48H78O19:959.15) 40.0% 및 총 게닌(아시아틴산 및 마데카신산) 60.0%을 포함하는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임상 시험에서 치약 조성물의 구강 미생물총 개선 효과 확인
임상 시험을 위한 피험자 모집을 위해, 사전 평가로 치주염 원인균을 보유하고 있는 25세 ~ 55세에 해당하는 16명의 남녀 성인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피험자들을 2개의 그룹(그룹당 8명)으로 나누어 4주 동안 하루에 2번 이상 식후에 비교예(대조군) 또는 제조예 1(실험군)의 치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양치하도록 하였다. 시험기간 중 2주에 한 번씩 기상 후 공복에 가글액 샘플을 채취하여 분석업체(EasyperiO, YD Life Science Company)에서 미생물 분석을 수행하여 구강 유익균인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의 구강 내 비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로 양치한 대조군은 실험 시작일(0주차) 대비 4주 후 구강 내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의 비율이 72% 이상 감소하였으나, 제조예 1의 치약 조성물로 양치한 실험군에서는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의 비율이 65%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4).
S.gordonii
비교예 0주차 -
2주차 -44.34%
4주차 -72.39%
제조예1 0주차 -
2주차 49.47%
4주차 64.61%
이에 따라, 스테비아, 자일리톨,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의 단독 또는 조합은 구강 유익균인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의 생육을 증진하고,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의 구강 내 비율을 조절하여 구강 미생물총을 개선시킴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스테비아, 자일리톨,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의 단독 또는 조합에 의해 구강 유익균인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및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와, 종래 구강 유익균으로 알려진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류테리의 성장이 증진되고, 구강 미생물총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바,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추출물 및 후박(Magnolia officinalis bark)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유익균은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actobacillus reuter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테비아 및 자일리톨을 1 : 0.1 내지 10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을 1 : 0.1 내지 10 : 0.1 내지 10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인,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8.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의약외품 조성물.
  9.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구강 유익균을 증진하는,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10.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미생물총 개선용 조성물.
  11.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식품 조성물.
  12. 스테비아, 자일리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구강 유익균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옥수수불검화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후박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4.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유익균은 스트렙토코커스 고르도니,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및 락토바실러스 류테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
KR1020220114359A 2021-09-15 2022-09-08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KR20230040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136 2021-09-15
KR20210123136 2021-09-15
KR20210141821 2021-10-22
KR1020210141821 2021-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901A true KR20230040901A (ko) 2023-03-23

Family

ID=857994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165A KR20230040240A (ko) 2021-09-15 2021-12-23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용 조성물
KR1020220114359A KR20230040901A (ko) 2021-09-15 2022-09-08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165A KR20230040240A (ko) 2021-09-15 2021-12-23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40240A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Chang-Ho Kang, et a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33(4): 279-284 (2018).
2. Se-Rim Jo, et 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5):753-762 (2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240A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6736B2 (ja)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S5929620A (ja) 虫歯防止剤
KR102090119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88920B1 (ko)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4859B1 (ko)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5861B1 (ko) 오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328978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개선용 구강 조성물
KR102079529B1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230040901A (ko) 구강 유익균 증진용 조성물
JP2005531556A (ja) 口腔衛生増進用組成物
KR102177066B1 (ko) 삼지구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5310B1 (ko) 베어바스코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3321B1 (ko) 구강 세정용 오일 조성물
JP3319748B2 (ja) う蝕防止剤
KR102123327B1 (ko) 구강 세정용 혼합 오일 조성물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123325B1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047703A (ko) 연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892716B2 (ja) 口腔用組成物
KR20180047704A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7705A (ko) 연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70487B1 (ko) 시나린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215B1 (ko) 미강, 볏짚 및 기장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용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