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865A - 컨텐츠 터치시 자동 슬라이드 및 터치시 진동 액티비티, 알림음향 및 마지막 컨텐츠 터치 시 초기 컨텐츠로 회기하는 기술 - Google Patents

컨텐츠 터치시 자동 슬라이드 및 터치시 진동 액티비티, 알림음향 및 마지막 컨텐츠 터치 시 초기 컨텐츠로 회기하는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865A
KR20230040865A KR1020220080100A KR20220080100A KR20230040865A KR 20230040865 A KR20230040865 A KR 20230040865A KR 1020220080100 A KR1020220080100 A KR 1020220080100A KR 20220080100 A KR20220080100 A KR 20220080100A KR 20230040865 A KR20230040865 A KR 20230040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tent
video
touch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유민
Original Assignee
노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유민 filed Critical 노유민
Publication of KR2023004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8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신체나 도구에 의한 터치로서 전자적 디바이스에 명령 시에 자동으로 다음 순서의 영상물 컨텐츠로 노출 시키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가 포함된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페이지에 노출된 영상물 컨텐츠에서 다음 순서의 영상물 컨텐츠로 자동으로 넘어가거나 반대 방향으로 터치시 이전 단계의 영상물 컨텐츠를 재 확인 할 수도 있고,
마지막 영상물에 이르렀을 경우 계속 진행해온 방향으로 영상물 컨텐츠에 2회 이상 터치로서 명령시에 터치내지 드래그를 진행을 시작한 초기 화면으로 회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터치가 이루어지는 명령시점에 디바이스를 통해 진동 내지 터치음을 사용자에게 인식 시키는 자동 기능들을 구현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텐츠 터치시 자동 슬라이드 및 터치시 진동 액티비티, 알림음향 및 마지막 컨텐츠 터치 시 초기 컨텐츠로 회기하는 기술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slides when content is touched, vibration activity when touched, notification sound, and returns to the initial content when the last content is touched}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 상의 영상물(내지 ex. 컨텐츠)에 자동 스크린 터치 기능 구현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일일이 손가락 등 신체의 전류를 감지하는 스크린 상의 터치 방식이 되거나 또는 일명 ‘터치팬’으로 불리는 도구(감압식, 적외선내지 초음파식, 정전용량식, 전자기공명식, 능동적전자식 등으로 작용하는 모든 도구류)를 통해 일일이 드래그 하면서 상하 또는 좌우에 배치된 다음의 영상물을 열람하는 불편한 방식이 아닌, 모든 종류의 에플리케이션 상에서 에플리케이션 운영자이거나 개발자가 지정한 소스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에 배치한 영상물의 배치 화면에 대해, 한 번의 터치 액션으로서 협소한 크기의 디바이스 기계 특성상 보이지 않는 다음의 영상물 페이지가 자동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기술이며, 또한 마지막 게시된 영상물을 터치 하는 경우에는 최초의 터치를 시작한 영상물로 회기하는 기술로서 이러한 진행에 대해 터치음 내지 진동으로 사용자가 인식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 및 전자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이 상용화되었다. 또한, 통신 속도의 향상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소정의 서버에 접속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 텍스트 정보 등을 확인함에 있어서, 각각이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용량이 점점 커지고 있다.
스마트폰 화면의 크기는 일정한데, 이미지 영상물 컨텐츠의 숫자 및 용량 또는 크기가 커짐에 따라, 해당 컨텐츠는 스마트폰의 소형 화면에서는 다양하게 여러 영상물을 한 번에 표시될 수 없었다는 지금까지의 한계와 불편한 점에 착안하여 편리한 기술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는 해당 화면의 좌측을 터치하면 좌측으로 자동 스크롤되고 우측 방향을 터치하면 우측으로 영상물 컨텐츠의 순서대로 화면이 이동하며, 상하 방향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서 자동으로 작동 한다. 때로는 화면 일측에 표시되는 안내 아이콘을 표기할 수도 있다. 영상물 컨텐츠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단편적인 화면에서 좌우로 다향한 영상물 페이지를 슬라이드 시켜 확인하게 되며, 해당 영상물의 게시자가 게시한 영상물의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자가 터치시에 최초의 시작된 영상물로 자동으로 회기 되게 한 기술의 배경이다.
본 발명의 이전 사용자들은 계속적으로 화면 스크롤을 위한 터치 입력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는 점 및 또한 슬라이드 내지 스크롤을 위한 일일이 드래그나 터치 입력 시, 원하지 않는 다른 명령, 예를 들면 클릭 또는 복사 등의 명령으로 인식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누구나 격어봤을 만한 피로감을 느끼고 있던 실정에서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게 된 배경이 된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피로감을 느끼지 않게 해줄 수 있는 스크롤 기법이 필요하다. 적용된 기술 중에 뷰페이저(ViewPager)
- 수평으로 View를 좌/우로 스크롤 할 때 사용 하는 클래스 AdapterView
- 대량의 Date들을 보여주기 위해 View를 여러개 만들어서 ViewGroup에 추가하는 작업을 Date의 순서에 맞게 적절한 View로 만들어주는 클래스 객체 등의 기법이 배경이 된 기술을 포함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일일이 정보를 터치로서 밀어야 만 다음 정보로 넘어가는 불편한)문제점 등을 쉽게 터치 한 번식으로 하여 상하 내지 좌우의 다음 컨텐츠로 넘어가도록 하여, 종래의 여러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래그 형태로도 이용 가능하도록 적용 하였으나 그 이상의 편리성을 위해 간단 터치로서 신속하게 다량의 정보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피로감 및 불편함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며,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 되도록 촉각적 진동내지 터치음향으로서 사용자가 신체적으로 인지 하는 기능 등을 위해
동작인식 및 슬라이드 동작 애니메이션의 아래 세 단계 과제를 해결하고 자 한다.
① '터치 동작'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손가락 내지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손가락으로 접촉했을 때 손가락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기구(시중에 판매 중인 볼팬 형 등) 한 개 이상 올려놓을 때 정보를 확인 시 마다 터치 모바일 화면을 벗어나는 화면 발생이며,
애플리케이션은 터치 행위의 패턴을 특정 동작 명령으로 해석합니다.
이때 진동 모터가 디바이스의 경우 해당 기능이 내장된 디바이스에서 자동으로 약 0.2~0.3초 가량의 짧은 진동기능이 신체(터치하는 손가락 내지 터치팬 등)에 느껴지게 하게 하는 부분이 당 발명의 내용 중에 한 부분이며
②‘슬라이딩 동작’은 버튼 등을 눌렀을 때 보이지 않던 뷰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보이는 것으로 여러 뷰를 하나씩 전환하면서 보여주는 방식에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것입니다. 본 발명은 원래의 화면으로 일일이 되돌아 메인 화면으로 가기위해 일일이 지난 영상물을 다시 터치를 하여야하는 기존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편하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프로세스가 신속하게 검색되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신속히 원하는 것을 취득 진행할 수 있도록 향상시키는데,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장애우께나 고령자 등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고통을 격고 계신 분들에게
각 정보를 터치 할 때 마다 위 설시해 올린 진동기능이 신체(터치하는 손가락 등)에 느껴지게 하여 신체에 고통이나 불편하신 분들에서 다음 정보로 넘어갔음을 시간뿐만 아니라 촉각으로도 느끼게 하여 명백하게 자신의 의지가 확인 되는 기능을 특허로 하는 것이라 신체가 불편한 분들에게 영상물 컨텐츠 정보의 다음 진행에 대해, 시각뿐만 아닌 촉각적인 인간이 지닌 5가지 모든 감각이 본 발명이 디바이스를 통해 느낄 수 있어 매우 큰 도움이 될 발명이다.
(즉 일반인들에게도 편리한 사용만을 넘어
청각, 특히 시각 장애우들께서 촉감으로 다음 정보의 진행 여부를 즉시 확인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도움이 될 발명입니다.)
③ 특히 (상하 내지 좌우 중에서) 좌측 터치의 예를 든다면, 계속 좌측으로 터치 하면서 영상물을 열람 하였다고 하면, 마지막 정보에 이르렀을 때 다시 불편한 몸을 이끌고 원래 초기 시작된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해 일일이 지난 정보들을 반대 방향(예를 들어 좌측의 반대 방향인 우측 방향)으로 일일이 다시 터치를 할 필요가 없이
진행해온 마지막 영상물 컨텐츠의 좌측 단 1번의 터치로 최초 터치가 시작된 영상물 컨텐츠 화면으로 신속하게 회기 시키는 필수 불가결한 반드시 인간의 시간과 편리함에 즉시 도움을 주는 기술이기에 위 3가지 기술을 연결한 플로워 기술로 적용하여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였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터치형 자동 슬라이드 드래그 및 진동 등의 알림 및 초기 컨텐츠로의 회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가 포함된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가 UI 적으로 복잡하므로 구지 있던지 아예 없던지 간에 상관없으며, 해당 영상물 컨텐츠에 대해 좌측 우측 상측 하측 부분을 사용자가 터치 하였다는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터치 하는 숫자만큼 다음 영상물 컨텐츠로 동일하게 슬라이드 이동하는 자동 드래그와 마찬가지인 기능을 쉽게 터치 방식 구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에플리케이션의 운영자 내지 개발자의 명령 소스에 따라 상기 터치형 자동 스라이드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가 포함된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플로팅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터치를 중단하더라도, 상기 페이지에 대한 스크롤을 일정 속도로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다이나믹한 터치의 효과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터치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이벤트 핸들러를 통해서 현재 어떠한 모션을 취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onGestureListener를 Activity로 상속받고, GestureDetector를 생성하여, 터치이벤트로 등록시킨다.
자신이 원하는 동작을 가져올 수 있도록, 터치 이벤트의 상하좌우 터치의 동작지점, 거리, 터치 속도 등을 고려하여 설계를 한다.
좌우 화면으로 터치를 통해 이동하였다가 원래 메일 화면으로 일일이 터치하여 회기 하는 방식이 아닌 마지막 화면을 터치 하므로 인해
이미 검토한 페이지들의 화면들을 신속하게 지나서
즉시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여 공백의 페이지나 시간상 신체상 번거로운 재 터치 명령을 통해 지난 화면이 나오지 않도록 해야 최적의 모바일 UI 와 함께 다이내믹한 컨텐츠들을 제공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다양한 유형의 피로감 및 불편함이 최소화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물 및 자료를 검색하는 속도에도 도움이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츠 확인 속도 또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테츠의 종류를 고려하여 슬라이딩 등의 속도 내지 다이내믹한 화면이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자동 기능 구현이 가능해진다. 특히 무궁무진한 다수의 화면 검색을 일일이 신체를 동원하여 드래그 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간단한 터치를 통해 더 빠르고 다양한 정보를 취득한 뒤에 마지막 영상물 컨텐츠 화면에 이르러서는 진행 하였던 동일 한 상하 내지 좌우 방향의 한 번 터치 만으로 원래의 최초 화면으로 자동 이동함에 따른 과도한 터치슬라이드가 필요하지 않아 사용자의 피로감소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터치 자동 슬라이드 및 진동 액티비티 및 마지막 이미지 터치시 초기 이미지 회기 기술을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최초 상화 내지 좌우의 터치 이전의 초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 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 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스크롤 구현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컨텐츠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컨텐츠 서버(200)는 상호 통신망,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 무선통신망(WiFi: Wireless Fidelity)을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연산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랩탑 노트북, PDA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웹브라우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또는 영상이 포함된 페이지 등)를 수신한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자동 스크롤 명령 입력을 위한 플로팅 버튼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클릭(터치)하게 되면, 현재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페이지가 자동으로 스크롤된다.
컨텐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상세 동작 및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컨텐츠 수신부(110), 영상물의 상하 내지 좌우의 터치 위치부(120), 자동 초기 화면으로 회기 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110), 영상물의 상하 내지 좌우의 터치 위치부(120), 자동 초기 화면으로 회기 부(13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수신부(110)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한 번에 표시되지 않는 크기의 콘텐츠일지라도 컨텐츠 서버(200)는 단일 URL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한 번에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영상물의 상하 내지 좌우의 터치 위치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도 3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영상물의 화면의 상하 내지 좌우측에 특별한 별도의 아이콘 등이 없어도 터치를 하면 자동으로 영상물이 상하 내지 좌우로 에플리케이션 운영자 내지 개발자가 지정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하 내지 좌우는 언제든지 터치 시 상하 내지 좌우로 작동함으로서 이전 영상물이나 컨텐츠를 다시 돌아가 확인 할 수 있고, 계속하여 하나의 방향으로 터치 (내지 드래그 가능) 하여 마지막 영상에 이르렀고 다음 단계로 가지 않는 영상물 제공이 더 이상 진행이 없어 멈춘 단계에서 사용자가 진행하여왔던 방향으로 2회 이상 계속 터치(내지 드래그) 할 경우에만 초기 영상물로 회기 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 단말기(100) 자체적으로 구현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명령 버튼으로서, 현재 사용자 단말기(100)에 어떠한 기능이 구현되는지와 무관하게 항상 사용자가 원하여 터치하는 경우 터치의 안내가 없어도 작동하도록 한다.
자동 초기 화면으로 회기 부(130)는 상술한바와 같이, 사용자가 계속하여 하나의 방향으로 터치 (내지 드래그도 가능)하여 마지막 영상에 이르렀고 다음 단계로 가지 않는 영상물 제공이 더 이상 진행이 없어 멈춘 단계에서 사용자가 진행하여왔던 방향으로 2회 이상 계속 터치(내지 드래그) 할 경우에만 초기 영상물로 회기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새 onTouchEvent()는 현재 터치의 접촉 위치, 압력 또는 크기가 변경될 때마다 ACTION_MOVE 이벤트를 통해 트리거됩니다. 이러한 이벤트는 모두 onTouchEvent()의 MotionEvent 매개변수에 기록됩니다.
손가락 기반의 터치가 가장 정확한 상호작용 방식이 아닌 경우도 있으므로 단순한 접촉이 아닌 움직임을 기반으로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앱이 움직임 기반의 동작(예: 스와이프)과 움직임 기반이 아닌 동작(예: 한 번 탭하기)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Android에서는 '터치 슬롭'이라는 개념을 포함했습니다. 터치 슬롭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이동 기반 동작으로 해석되기 전까지 배회할 있는 거리(픽셀 단위)를 말합니다.
이하의 소스코드는 영상물의 상하 내지 좌우의 터치 위치부(120) 및 터치 기반의 슬라이드 동작 구현 부(130)를 위해 실행되는 코드이다.
소스코드 1은 화면에 표시된 영상물 컨텐츠의 상하 내지 좌우 뷰의 터치 이벤트 캡쳐 코드이다.
[소스코드 1]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ctivity {
...
// This example shows an Activity, but you would use the same approach if
// you were subclassing a View.
@Override
public boolean onTouchEvent(MotionEvent event){
int action = MotionEventCompat.getActionMasked(event);
switch(action) {
case (MotionEvent.ACTION_DOWN) :
Log.d(DEBUG_TAG,"Action was DOWN");
return true;
case (MotionEvent.ACTION_MOVE) :
Log.d(DEBUG_TAG,"Action was MOVE");
return true;
case (MotionEvent.ACTION_UP) :
Log.d(DEBUG_TAG,"Action was UP");
return true;
case (MotionEvent.ACTION_CANCEL) :
Log.d(DEBUG_TAG,"Action was CANCEL");
return true;
case (MotionEvent.ACTION_OUTSIDE) :
Log.d(DEBUG_TAG,"Movement occurred outside bounds " +
"of current screen element");
return true;
default :
return super.onTouchEvent(event);
}
}
소스코드 2는 특정 위치만큼 터치 기반 슬라이드 동작 구현을 위하여 smoothScrollBy() XML 함수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표시되고 있는 페이지에 더 이상 수신할 데이터가 없을 때, 마지막 데이터인 영상물 컨텐츠를 초기 터치나 드래그 하였던 위치만큼 회기 시키기 위함이다.
[소스코드 2]
// The current viewport. This rectangle represents the currently visible
// chart domain and range. The viewport is the part of the app that the
// user manipulates via touch gestures.
private RectF mCurrentViewport =
new RectF(AXIS_X_MIN, AXIS_Y_MIN, AXIS_X_MAX, AXIS_Y_MAX);
// The current destination rectangle (in pixel coordinates) into which the
// chart data should be drawn.
private Rect mContentRect;
private OverScroller mScroller;
private RectF mScrollerStartViewport;
...
private final GestureDetector.SimpleOnGestureListener mGestureListener
= new GestureDetector.SimpleOnGestureListener() {
@Override
public boolean onDown(MotionEvent e) {
// Initiates the decay phase of any active edge effects.
releaseEdgeEffects();
mScrollerStartViewport.set(mCurrentViewport);
// Aborts any active scroll animations and invalidates.
mScroller.forceFinished(true);
ViewCompat.postInvalidateOnAnimation(InteractiveLineGraphView.this);
return true;
}
...
@Override
public boolean onFling(MotionEvent e1, MotionEvent e2,
float velocityX, float velocityY) {
fling((int) -velocityX, (int) -velocityY);
return true;
}
};
private void fling(int velocityX, int velocityY) {
// Initiates the decay phase of any active edge effects.
releaseEdgeEffects();
// Flings use math in pixels (as opposed to math based on the viewport).
Point surfaceSize = computeScrollSurfaceSize();
mScrollerStartViewport.set(mCurrentViewport);
int startX = (int) (surfaceSize.x * (mScrollerStartViewport.left -
AXIS_X_MIN) / (
AXIS_X_MAX - AXIS_X_MIN));
int startY = (int) (surfaceSize.y * (AXIS_Y_MAX -
mScrollerStartViewport.bottom) / (
AXIS_Y_MAX - AXIS_Y_MIN));
// Before flinging, aborts the current animation.
mScroller.forceFinished(true);
// Begins the animation
mScroller.fling(
// Current scroll position
startX,
startY,
velocityX,
velocityY,
/*
* Minimum and maximum scroll positions. The minimum scroll
* position is generally zero and the maximum scroll position
* is generally the content size less the screen size. So if the
* content width is 1000 pixels and the screen width is 200
* pixels, the maximum scroll offset should be 800 pixels.
*/
0, surfaceSize.x - mContentRect.width(),
0, surfaceSize.y - mContentRect.height(),
// The edges of the content. This comes into play when using
// the EdgeEffect class to draw "glow" overlays.
mContentRect.width() / 2,
mContentRect.height() / 2);
// Invalidates to trigger computeScroll()
ViewCompat.postInvalidateOnAnimation(this);
}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형 명령을 중단하게 되면 아무런 작동을 하지 않고 마지막 영상물 컨텐츠에서 멈추께 되어있고, 또한 사용자가 다시 한 번 터치를 계속 이어가게 되면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맞추어 다음의 영상물 컨텐츠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에서, V는 당해 설정될 터치(ex. 드래그)의 횟수 즉, 단위 터치 횟수 당 드래그와 마찬가지로 다음으로 이어지는 영상물 컨텐츠의 페이지의 영역이고, N은 일정 횟수 동안 사용자가 터치형 버튼(A)을 활용하여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를 터치한, △Ti는 i번째 터치형 자동 드래그에서, 사용자가 동일 페이지 내에서 상하 내지 좌우로 터치형 버튼(A)을 클릭함으로써, 자동 드래그 기능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재차 터치형 버튼(A)을 클릭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 Pi는 i번째 터치에서, 상기 △Ti의 시간 간격 동안 터치가 된 범주의 페이지의 영역이다.
즉,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컨텐츠 확인 속도의 평균값을 활용하여, 당해 터치를 통한 다음의 영상물 컨텐츠의 노출 반응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기반의 슬라이드 동작 구현 부(130)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종류와 양을 고려하여 다음 영상물 컨텐츠의 노출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트 정보만이 포함된 페이지일 경우보다, 이미지 정보만이 포함된 페이지의 경우, 노출 속도를 더 높일 수 있고, 컨텐츠의 양이 많을수록 노출하는 속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해당 페이지에 동영상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에는, 영상 노출 속도를 0으로 하거나,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장에서 한 번의 액션만으로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 대한 자동 영상의 다음 단계를 쉽게 확인 할 수 있고, 피로감과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츠 확인 속도 또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컨테츠의 종류를 고려하여 터치로 인한 자동으로 영상물 노출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자동 스크롤 기능 구현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컨텐츠 서버
110: 컨텐츠 수신부
120: 영상물의 상하 내지 좌우의 터치 위치부
130: 터치 기반의 슬라이드 동작 구현 부

Claims (3)


  1.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물 신체나 상술한 일명 ‘터치팬’ 등의 도구로 디바이스에 터치로 명령시 자동 슬라이드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가 포함된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가 없더라도 상하 내지 좌우의 화면을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다음 영상물 컨텐츠 페이지에 대한, 상하 좌우 터치 방향으로 자동으로 작동되며, 반드시 상하 내지 좌우 하나의 방향으로만 터치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이전 영상물 컨텐츠를 보기 위해 터치 하였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터치 시 이전 영상물들을 사용자가 되돌아 확인 할 수 있는 터치 횟수와 상하 내지 좌우 방향에 따른 자동 이미지 터치 슬라이드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영상물 노출 기능을 구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마지막 영상에 이르렀고 다음 단계로 가지 않는 영상물 제공이 더 이상 진행이 없어 멈춘 단계에서 사용자가 진행하여왔던 방향으로 2회 이상 계속 터치(내지 드래그) 할 경우에만 초기 영상물로 회기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회기 기능을 구현 방법.

  3.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어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가 포함된 페이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터치 및 도구로 명령 시, 사용자의 터치 명령 입력이 디바이스에서 감지되면, 해당 터치에 대한 진동 기능 및 터치 음향으로서 그 명령이 인식이 되었음을 표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220080100A 2021-09-16 2022-06-30 컨텐츠 터치시 자동 슬라이드 및 터치시 진동 액티비티, 알림음향 및 마지막 컨텐츠 터치 시 초기 컨텐츠로 회기하는 기술 KR202300408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570 2021-09-16
KR20210123570 2021-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865A true KR20230040865A (ko) 2023-03-23

Family

ID=8579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100A KR20230040865A (ko) 2021-09-16 2022-06-30 컨텐츠 터치시 자동 슬라이드 및 터치시 진동 액티비티, 알림음향 및 마지막 컨텐츠 터치 시 초기 컨텐츠로 회기하는 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8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7158B2 (en) Coordination of static backgrounds and rubberbanding
US11221675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US1131440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US20210311598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from Low Power Mode
DK179034B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adjusting presentation of audio outputs
US1083133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radial menu system
US20190018562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AU2013368443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US1015696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abbed and private browsing
AU2013259606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US20200210512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Website Presentation Settings
EP3255536B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ynamically adjusting presentation of user interfaces
KR20230040865A (ko) 컨텐츠 터치시 자동 슬라이드 및 터치시 진동 액티비티, 알림음향 및 마지막 컨텐츠 터치 시 초기 컨텐츠로 회기하는 기술
AU2015101231A4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